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77
/////// @ - . ' · %‘

Transcript of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Page 1: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짧혈讓짧안 양울교육 繼 、、、、、、

굉 ~~껴확l @ 、꾀 - I~ ”” . ι,,~ ‘- '

· %‘ / 物.

Page 2: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Page 3: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Page 4: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화성문화원

덕불교필유린 (짧不孤 必주JI앓)

겸손하게 배려하며 시민을잘받들어 외롭지 않게 모시겠습니다-

존경허는 부모님 ,사랑하는자녀들이 건강한 문화시민으로 함께 할 수 있도록

화성문화원이 문호냉장으로서의 역할을충실히 하겠습니다

t~끼~~끼 oJ좋 2012년 1 월 3 1 일 초판 1쇄 발행

글쓴01 1 강혁(중앙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 전통예술교육문화협회 감사)

사 진 | 김종오 항토사진작가 펴낸이! 우호절

기획펀집 | 흥영덕, 김숙이 디자인! 디자인블루씨 제 작 | 디자인블루씨 031-256-9490

펴낸곳| 화성문화원 주 소 I 445-926 경기도 화성시 항남읍 발안로 89 전 화 I 031-353-6330 팩 스 I 031-353-6331 홈패이지 I www.hscc.o「k「

멘펀휠01책은 화성시의 지원금으로 제작되었습니다

Page 5: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훨 확성문확원 ~

λ·JL~,는 운호f뉴안 양운교육 원꾀’

Page 6: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써|깨|릎·~J와/\t

세계유산이란? 인류가공동으로 보좀하고 이를 후손에게 전수해야 할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 유산이다,

문화유산, 자연유산J 무형유산, 기록유산

.M7'1 C>C>

(§) 가운데 사각형은 인간이 만든 형상이며 단(원)은 자언을 의미 사각형과 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인간과 자언이 밀접히 연관 지어져 있음을 나타내며 둥근 로고는

세계의 표상이며 보호의 심볼임 전체적으로 인간이 만든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상호보존 및 자연과 인간의 연관성을 상징

우리나라의 세계문화유산

세계문화유산

1 불국사 석굴암(1995) 2 해인사장경판고(1995) 3 종묘(1995) 4 창덕궁( 1 997)

5 수원화성(1997) 6 경주역사유적지(2000) 7 고창 화순 강화고인돌유적지(2000)

8 제주도화산섬과용암동굴 (2007) 9 조선왕릉(2009) 10 한국의 역사마을 j념|와 앙동(2010)

세계기록유산

1 훈민정음(1997) 2 조선왕조실록(1997) 3 직지심체요절(2001)

4 승정원일기(200 1) 5 조선왕조의궤(2007) 6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 (2007) 7 동의보감(2009)

세계무형유산

1 종묘제례 및 제례악(2001) 2 판소리(2003) 3 강릉단오제(2005) 4 강강술래(2009)

5 남사당놀이(2009) 6 영산재(2009) 7 제주칠머리당 영등굿(2009) 8 처용무(20091 )

9 가곡(2010) 10 대목장(2띠이 11 매사냥(20 10)

월 ”」

-뚫C 뒀i

藏훨풀 장덕궁 수원화성 증묘 불국사

Page 7: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해인사장경판고

등; D I저。 "i:!O 」」。E

종묘제례및제례악

고인돌유적지

승정원일기

꺼"'·'~.- ..... (‘ -γ · 1 ! τι - • - I

| ∼- |

~ - ·*윷 - - I 뽑혔 경주역사유적지 제주도

직지심체요절 조선왕조실록

강릉단오제

ν꺼끄.끼t ?tJ염고F ~t~},l\t {Jt~ 싹릎E육

내 고장의 문화유산을 바로 알고 지키며, 문화유산에 대한 바른 인식과 함양을

목적으로함-

모든 국덴이 1문화제 1지킴이가 되는그날까지∼∼

교육안내

1. 신청 및 문의 화성문화원(Te l 031-353-633이

2. 교육대상 · 초등학교, 중등학교, 기태교육을 원하는 기관)

3. 교육내용 융릉, 건릉, 용주사, 화성 등 문화유산 4. 대상지역 ; 경인지역 및 기타지역 5. 교육방식 ; 파워포인트 및 보조교재 활용

Page 8: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활越활邊를. r--

tr염끼| ~.tr끼V

국가지정문화재 1 국보 | 용주범종 2 보물 |봉림사목아미타불좌상t 봉림사목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

3 사적 | 융릉 건릉, 당성, 제암리 3 . 1운동 순국유적지, 화성 마하리 백제고분군

4 천연기념물 | 화성 고정리 공룡알 화석산지, 전콕리 물푸레나무,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5 중요민속자료 | 정홈채 가옥, 정용래 가옥

경기도지정문화재 유형문화재

1 금동향로,청동향굶 2 용주사상량문 3 전적수사본 4용주사병풍 5용주사대웅전후불탱화

6 용주사불설부모은중경 7 윤계선생 순절비 8 박세채영정 9 계갑일록 및 관련문서(5점)

10 화성 용주사오층석탑 11 화성용주사대웅보전 목조삼세불좌상 12 화성 용주사력조감실

13 화성용주사지장전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 일괄 14 화성 용주사삼장보살도 15 화성 용주사중종

16 화성용주사 나무때성인로왕보살

민속자료 | 정원채고가

기념물

1 남이장군묘 2 백천장선생묘 3 수원고읍성 4 화성남양동 신빈김씨묘 5 만년제 6 화성홍법리 남앙홍씨묘역

문화재자료

1 남앙항교 2 용주사 대웅보전 3 용주사천보루 4 흥승인고가 5 남양풍화당 6 우성전 우하영 묘역

7 화성용주사목조렬패 8 화성용주사목조소대 9 화성용주사청동시루

~ 휩·;'f~ --

‘,,,,,,

,’’’’’

폐횟μ…·τ뭔」

(한랩--·η끽.켠」→

K꽃--

、→·

i

藝γ·평ν-끼/∼

3끼

용주범종 봉림사 목아미타불좌상 고정리 공룡알화석지 뚫

용주사금동항로 용주사 대웅보전 후불탱화

용주사병풍

Page 9: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ν;〓'.",~~~"sT~~i[~i~f~ζ繼蠻難醫홉j

한명윤 밀앙박씨충열각 남앙홍씨묘역

嚴빼훌 넙앙항교 용주사대웅보전 홍승인고가

향토유·적 1 안콕서원 2 초|루백 효자각 3 이곤선생 효자문 4홍담효자각

5 한명윤 밀양 박씨 충열각 6 박장칠 효자각 7 금산사 8 수촌교회

9 홍한묘역 10 초|윤식 기념비문 11 남양홍씨 열녀정려문,

12 반남박씨묘역 13 노작흥사용묘역 14 차운혁충신정려문

15 언안차씨 집안문서 16 수성최씨 시조묘 17 반남박씨 박원도묘

18 정부인 영광정씨묘출토유물 19 고령신씨 소장고문헌

20 신면공 영광정씨정부인 화관비 21 조기수 묘역

최루백효자비각 박장절효자각 홍담효자각

남이장군묘

노작홍시용묘역

Page 10: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간L단 눈호f뉴안 양눈교육 했출

12 성간|으l ·듀샌

16 갚성 끼 l-c,H엑 I흐저|

20 국7 남M 1-~~l윷 ~11 f찌

치운혁충신정려문

남이장군묘

홍한묘역

우성전·우하영묘역

윤계선생준설비

최윤식기념비

38 늪으| 고양l 늪샤훌 최루백효자각

백천장선생묘[

홍담효자각

이곤선생효자문

박장철효자각

※ 잠고자료 화성의 효충열 (화성문화원 발행), 문화재청 문화재정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10 정증수 f초선 초기 상장의례 연구J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1995), 나각순 「조선시대 사대부 묘저IJ (서울타임스, 2011)

Page 11: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contents

50 떠|압섭찮 조기수묘역

노작흥사용묘역

56 찌"t쩔?\낀 신빈김씨묘

한명윤 、 밀양 박씨 충렬각

남양홍씨 열녀 정려문

64 π:::;J!ft i 농-1-τ- 1111~ 壘짧&

남양홍씨묘역

뺑용壘鍵〕 ‘ 반남박씨묘역

박원도묘

수성최씨시조묘

Page 12: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t!

↓」」;/생

12

. -‘

--- ~ "- ----ι-· - ~벼

τ즉는듀二二즉드드도도듀욕긍그ζ;L→. ~

.글도훌한r맡:.;댁~률ιI률선풀.

-- -

Page 13: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I

I

' ~~ ‘ 、

/

/ /

• /

/꺼f

觸鐵 壘變〉

꺼킹t~핵 깐τ삐

、、、

성 c~ 칸 누영닐 η~11.?

13

Page 14: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캡~’외 뷔χ셔 ~ ·_\ 쩡 2~ 랜 운엔얄η}쇼?

정려(族聞)란국가에서 백성의 미풍양속을장려하고자효자 · 충신 · 열

녀 등이 살던 마을 입구에 붉은 칠을 한 정문을 세워 표창하고, 민심을 북

돋워 격려하고자한것이지요.

조선 시대에는 국가의 통치 사상인 성리학을 널리 알리고자 적극적인

정려 사업을 시행했어요. 삼국 시대 이래의 효자 · 충신 · 열녀 등에 대한

정려 정책을그대로계승하는한편, 『동국삼강행실도』와 『오훤행실도』 등

의 책을 편찬하여 민간에 보급하였어요. 따라서 사대부의 경우는 가문의

명예였으떠노비의 경우는신분상승을가능하게 하는등실절생활에 이 익을 주어 후손들로 하여금 본받도록 하였지요.

특히 임진왜란과병자호란등의 전쟁중에

정려가급증하였는데,전쟁 이후의 어려워진

국내사정을수습하기 위한국가정책이기도

하였어요.

------‘ 、、

14

Page 15: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훨蠻 피 ‘ 、

‘ ‘ ' ’ ’ , /

--------------------------------,----------------------------------------------------------------------‘-‘1

정문(族門) : 붉은 칠을 한문살로꾸댔기 때문에 홍전뭔紅簡門) 또는홍살문으로도불러요

효자 : 유교 윤리에 따라 부모를 잘 섬긴 자녀.

충신 ; 유교윤리에 따라임금을잘섬긴관료

열녀 : 유교 윤리에 따라 남편을 잘 섬긴 아내‘

『동국삼강행실도』 : 1 434년 세종 임금의 명령을 편찬한효자 충신 떨녀에 관한 책

이후 1481 던 효딜로 표기된 『동국속삼강행실도』 가 펀찬되었고, 1617년 이 둘을 흡서하고

내용을충실하게 한 『동국신속삼강행실도』 가더 펀찬되었어요

『오륜행실5~』 ; 『동국삼강행실도』 와 1518년에 간행된 『이륜행실도』 를 흡때 1797년

정조 임금의 명령으로 편찬한효자 · 충신 · 열녀에 관한 책이어요

---~ -‘ -- -- -- -- -- →------“~ “ 15

Page 16: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동-. . -、“ /『

--‘- -- 、、/ I ~-r-、. - .、/

爛〕轉壘〕·j

··κ/ 겼

. --

-a_ -a

것/、송 4-카 총회값줬썩/…

、i

‘κr

/. '

--

***%Xγ 셨·

Page 17: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觸혈장1

소 λj λ I cH 누넙£| 양냐

17

Page 18: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ι--/

h·f hF

μu ιν

Fk

lλjλlcH 운랍 ~1 양낙

Fι4끼|τH는 ~~'t에l ψ「납 환 κ랩에서‘.-1d1_0 \ 0잃nι

조선 시대 도읍인 한양 안에는 임금의 능을 비롯한 일체의 무덤을 조

성할 수 없도록 하였어요. 그래서 한양의 외곽을 둘러 싼 경기도에 왕실

과 사대부들의 능 · 원을 비롯한 많은 묘역을 마련하였어요. 그리

고 ‘묘’ 래는 것은 능 · 원에 해당하지 않는 왕족괴- 사대부 및 서인의 무

덤을가펴키지요.

조선 시대는 신분에 따라 묘의 명칭과 규모, 조성방법과 각종 석물의

배치에따른제한규정 및 형태와수량등걸모습의차별이 있었고,무텀

안의 구조와 양식에 대해서도 정해진 차별이 있었지요. 먼저 조선 시대

사대부의 장례 기간은 품계에 따라 달랐어요. 4품 이상 관료는 3월장, 5

품 이하-는 1월장, 일반 서인은 유월장(途月舞)을 지넷는데 후기로 오면

서 주로 3일장을 치 릿지요.

조선 시대 사대부 묘제에 대한 법적 규정은 태종 때에는 석실을 쓰지

못히 게 하고 회격묘를 조성하게 하였어요. 그래서 세종 때 회격묘를 정

책적으로 권장하였답니다. 또한 신도비의 경우 관직과 품계가 종2품 이

상인 사땀의 묘에만세울수 있었고, 일반서민의 묘비는 2척(약 60cm)을

넙지 못따도록하였어요.

18

Page 19: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l

‘- --,~ 、 /- 、‘--‘ / ’ , -- -- --

‘‘ 、--‘ 、

---、---、、

유월εKi학月좋) : 죽은 달을 넘겨서 다음달에 치르는 장사 ’‘ -- -‘ 석실(石室) ; 돌을 써서 무덤 안에 관을 안치하거나 덧널을 만들어 놓은 꽁간.

、 ι/‘ ‘ i.~1--스

‘ '7'-7/ /

I

‘ 、、 도읍지·집터 무덤등의만들때많은영항을주었어요 I

‘ “ ‘-/“ /‘ -/ .、 / 、 -- ‘ / 、----" ‘--- 、 _.,-‘--/

、----

회격묘(J곳隔훌) : 관을 안치하거나 덧널을 만들어 넣을 때 석회를 사용한 무덤.

풍수지리설 ; 인간의 샘활이 자연의 모습과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논리. 특히 / /

I • I / “ ,,

-- ‘- -

둘째, 묘역의 크기도 신분에 따라 달랐는데, 관직 1품은 사방 각 90보, 2

품은 80보, 3품은 70보, 4품은 60보, 5품은 50보, 6품은 40보로 제한하였고,

여성은 남편의 관직에 따랐어요.

셋째, 고려 시대의 단독 매장과 달리 조선 시대에는 부부의 합장을 당연

하게 여겼어요. 그리고 풍수지리설에 따라 남편은 왼쪽, 아내는 오른쪽에

묻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어요.

이렇게 조선 시대 사대부묘제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유교 · 불교 · 풍수

지리설 등 다양한 사상적 문화요소가 융합되어 나타나고 있어요.

Page 20: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I

I I

I I

I

‘ 、、

-------- ---· ~ ‘----------­、

、、

• 、、

al ,.

Page 21: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 - 、

깐 꿇카많f I( ~ti~; 、、‘:' 각|*나켜 ,., \!

‘옳잉 맺 우센끊첼f켈 \'I 예 I '~」날 ’우 」l 셔써 ;셔그 ’ / 、v "-..J-"' 다- ~· 얀 01.'...~ 2 I ,

、 ~1τ 냐 71 a 닙| /

、、 / 」--二마·‘.

----- -

---

Page 22: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22

냉「 4낸흉 4얘H까

짧£?

~~눈격 출간성근1눈

앓짧s..:

지정번호 향토유적문화재 제15호

지정연도 2005. 12. 01 소재지 화성시 정남면 패랑리 산59

시대 조선시대

차운핵 (1393∼ 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 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난과관련하여 세워졌어요

『동국속삼강행실도』 충신편에 차운혁은 함경도 회령 사람으로 소

개되어 있어요. 1467년 이시애가 함경도 길주에서 반란을 띨으켰을 때 ,

치운혁판 의병으로 종군하여 반란군과 맞섰는데 , 그의 부하인 최윤손의

배반으화 이시애에게 잡혀 함정도 단천의 옥중에서 순절하았어요.

반란이 평정된 뒤, 세조 임금께서는 그의 충절을 정충출기포의적개공

신(精忠出氣布義敵懷功많) 2등으로 삼고, 병조참판의 중직과 아울러 연

천군에 봉하였으며, 초상을 그려 공신각에 걸고 식읍괴- 공신록권을 내려

주었어요.

또한 정조 임금은 『홍재전서』 「사훈고의례」 에서 차운혁의 공로

를 칭찬하였으며, 철종 임금은 차운혁의 초상화를 본떠 봉안하였어요

그리고 1876년에는 수원 남신에 충신 정려를 세우도록 명달 내렸어요.

한편 현판에는 1860년에 정려를받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표

Page 23: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鍵뚫용

鍵옳쌓

Page 24: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η-t 냈「 4낸흉 강해H거

觸옳황 護앓짧

---

---------._ ------ ,칸「듀.-; ! ---、 --'---- --- --

『동국속삼강행실도』 : 1433년에 발간한 r동국삼강행실도」 의 언해본으로 효자 35명, 충신 3명, 열녀 22명익 사실을 그림과 함께 한자와 효밀로 소개한 책. 이시애의 난 : 1467년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이시애가 일으킨 반란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 ; 조선 서l조 때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곡시친룹

석블 ?국가의 왕족이나 고관또는공이 있는 이에게 일정한 D털의 세끓 거두어 살림에 보댈 수 이도로하제도 고객궈 ; 곡시01란국가나 왕실을 위하여 공을 세운 이에게 주던 칭호로공을 세운 정도에 따라 싫 다눠 꿇과토지 노님| 금뚫 내렸으며 자손에게는음직(조상의 공뾰 하는 爛내림 r홍재전서」 ; 조선 저122대 임금 정조가 지은 글들을 엮어 간행한 책

-

Page 25: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25

、、

、 、、、

I

----Ill

i -----’----

-----

-----‘

I

’、

J I

i l ------------‘

‘------------------------l

ll ·-ll

ll I·

、/

t

’、

i I

’、

Il

i--、

.II

I

-、

- - ·‘ -- -F I l --

훨용ι

--’- -

Page 26: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렌%「 4낸흉 4얘H끽

26

냥01 짱눈 口..LL

짧짧ι

지정번호 경기도 기념물 제13호

지정연도 1973년 07월 10일

소재지 화성시 비봉면 남전리 산 145 시대 1441년

님이 죠탄(1441∼1468)은 조선 전기 무관이어요. 태종의 외

손자로서 어머니가 태종의 넷째 딸 정선 공주랍니다 1457년

약관의 나이로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1467년에 경기도 포천, 영

평 일대의 도적떼를토벌하였고,이시애가함경도때서 난을일

으키자 우대장이 되어 평정하였으며, 그 공로로 적개공신 1등

에 올랐어요. 이후 평안도 압록강 너머의 간주위 여진을 토벌

하고, 여진족장 이만주를처치히-였어요. 무관으로서의 여러 공

로로 세조의 총애를 받아 공조판서가 되었고, 1468년에는 28세

의 나이로 병조판서 에 올랐어요.

그런데 1468년 신숙주 · 힌벙회 등의 세력에게 질시를 받이­

벼슬이 강등되었고, 그 후 유지광이 남이를 역모로 고발하여

강순등과함께 처참하게 거열형을당하였고,무고하게 관련된

많은 사람이 처형당하였어요. 1818년 그의 후손인 우의정 남

공철(南公輸)의 주청으로 강순과 함께 신원되었어요. 현재 남

이섬 등 여러 장소에 남이조L군의 가묘가 남아있고, 남이 징군

의 억울한 죽음과 관련한 전설과 민속이 전해져요.

Page 27: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 - --‘ --// 약관; 스무살의나이.

t 강순 : 1398∼ 1468. 조선전기무관.세종과서|조때 4군 6 진

• 개척을 비롯한 많은 전공이 있음. ; 거열형 ; 조|인으|두맑두다리 및 머리를각각매달아수례나

‘ ‘ ‘ ‘ ‘ -‘ι /-(ε~1-~

‘ .,-.7 / 、

신원 : 죄인의 누명을 벗겨 억울함을 풀어줌,

• ‘--/ /

/ • 소로 끌케 하여 신체를 찢는 형벌

---- -- -- -- -- --------- ----鍵蠻〉

禮꿇뺑

--、

‘ - ----.....

Page 28: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헌%「 4낸윷 4재H끽 총한f ..a. 펙

지정변호

지정연도

소재지

시대

항토유적문화재 제10호호

1986년 05월 20일

화성시 서신면 홍법리 산70-1

조선시대

、/

、、

홍한(1451∼ 1498)은 조선 전기의 문관이어요. 1485년 별시문과에 병과

로 급제히-였고, 여러 관직을 거쳐 1498년 이조참의가 되었어요. 무오사화

가 일어나 김종직의 문인이라 하여 장형을 당한 뒤 경홍으로 유배 가다가

도중에서 돌아가셨어요. 더욱이 그 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지난

날 홍문관에 있을 때 연산군의 후원 관사를 논계한 일이 들추어져 부관참

시를 당하-였어요. 다행히 중종 때 신원되고 이조참판에 추증되었어요.

홍한의 묘역은부인인창녕 최씨와쌍분으로봉분은원형이며, 문인석 1

쌍과 1691년에 세운 묘갈이 남아 있어요,

Page 29: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 、~ ~ 、

/ j團톨활샤.찮繼활뿔뿔 , ,.짧뿔흉훌앓영톨꿇훌싫없꼈뭘훨흘훌--- 、/ --------------------- 、

‘ ‘ ‘ I I

/ /

/ •

/ 龜議醫월‘ 、、、/ 睡製쩔씬? 、

I $繼률폈$ ;

l훌醫뿔월짧짧懶 I I 를톨월훌.흩£월~~~‘.,. I

\ $輔織 / -~ 、 .없황·?)κ훌뺏 l}; ] I

/--- 、、 홉醫繼違靜1 / // 、、團합認찮藝鐵훌/ 權혈흙

續뚫뽕

j

l

’’-----

Page 30: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한%「 4바흉 누Aj 렌 누등}영 뇨옐 4얘H껴 •

‘k ' ~<> - 、‘∼ /『

--‘-。. 、 /} 、~,.--,•. ·"/

조선 션조 때의 문신이자 의병장이었고, 이조판서로 추증된 추연 우성전

(1542∼1593)의 묘와 직계 7대손인 우하영(1741∼1812)의 묘가 있는 곳이어요

Z든연우/성전

우성전은 1576년 수원현감 재직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기도에서 의

병을 모집해 ‘추의군’ 이라 하고 소금과 식량을 조달해 난민을 구제하였어

요. 또한 강화도에 들어가서 김천일과 합세해 전공을 세우고 강화도를 장

악해 병션을 이끌고 일본군의 진격로를 차단했으며, 권율이 수원 독성산성

에서 행주에 이르자 의병을 이끌고 지원하기도 하였어요. 그 뒤 퇴각하는

일본군을 경상도 의 령까지 쫓아갔으나 과로로 병을 얻어 돌아가셨어요. 성

호 이익이 비문을 짓고, 이상천이 전액을 한 신도비가 입구에 서 있어요.

Page 31: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31

構뚫용 鍵짧폈

7{섞돼폐.편폐

.편·꽉??一깜

L人까f」똥{떤3仁T

파갇꾀싫

1찮화·z---

강人첸)펠?-j∼μ니rrλ(I〔

찌μ찮J펠싸-­

창J 갚협--?〈줬꾀

η깨하r원

강끽-

-하싸냐짧타μ?강

녁꺾싸 짧셉·μ딘(↓jr八평,끼쉰-샤-쉰‘

{4강小

η·t----7·

_,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21호

2003년 04월 21일

화성시 매송면 숙곡리 산79-1

조선중기

호 도 」

번 연 W

정 정 녕 시

지 지 ;

/ • I

’ I

‘ 、、‘ ‘

Page 32: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런%「 4냉흉 4매H까

..... ι·ι, - -‘.LT".J -rr;.; 초 -1~·-b

우하영은 조선 후기의 학자입니다. 1755년부터 과거 공부를 시작했지만,

끝내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농촌 지식인으로 평생을 보내셨지요. 그는

전국의 산천을 유람하고 사회실정을 체험하였으며 , 옛 문헌과 당대 제가들

의 논설을 널리 읽고 수집하여 국가 · 사회의 경 영 및 개혁 방안을 종합한

『천일록(千-錄)』 을 지으셨어요. 「천일록』 의 핵심은 권농 정책에 이

었어요. 또한당시의 광작농업 경영을비판하고,화성장시에서 외부행상의

금절을 주장하기도 하였어요. 그의 태도는 실학적 근대성의 단면을 보여

주었지만전통적 양반사회의 관념에서 탈피하지는못하였어요.

Page 33: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Page 34: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r;. ‘

(~ 「 ;- - --

커%「 4바흉 4채H껴 눈껴| λ~ii 순젤 닙 |

34

지정번호

지정연도

소재지

시대

경기도유형문화재 제85호

1979년 9월 30일

화성시 남앙동 1392 1 1636년

윤계 선생(1583∼1636)은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636년에 병자호란이 일

어났을 때 , 남양부사로 있으면서 임금을 보호하기 위한 근왕병을 모집하

여 남한산성으로 들어가려다 청군에게 잡혀 전사하였어요 뒤에 그의 공

을 기려 이초참판에 추증되어 정문이 세워졌으며, ‘충간’ 이라는 시호가 내

렸어요.

윤계 선생 순절비의 모양은 윗부분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고 옥개석이

없으며 비신의 높이는 178cm, 폭 75cm, 두께 23cm이고 돌의 성질은 대리석

으로 되어 있어요. 기단은 가로 127cm, 세로 92cm, 높이 20cm에 화강석으로

되어 있으며 비석에 새긴글은송시열이 짓고송준길이 썼어요.

¢鐵혈뿔

Page 35: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앓뚫

J)

Page 36: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네d

7 삭l

T」

랬 치카

서 ·“·

’ιiz

v

r‘

hμ“

r

+7

→키

끼 L바

이μA깨

Lh’Av-­

「,

--

πf껴

Ji

m펴

뾰 맨

제 일 맨

재 뼈 £

문 탤 님 기

적 U

정 점

유 맨 시 강

토 %성 제

향 E

화 일

호 도 1

번 연 mV

정 정 녕 시

지 지 ;

최윤식 선생(1912∼1939)은 1939년 당시 27세의 나이로 향낚면시무소에

근무하였습니다. 8월 15일 오후 5시경 정남면 문학리 봉황동에서 큰 화재가

발생하였는데, 이 소식을 듣고 급히 화재 현장으로 달려갔어요. 민가가 불길

에 휩싸인 상황에서 인명을 구하기 위해 주변 사람들의 만류도 뿌리치고 멍

석을몸에 두른채 진화작업을하다가불에 탄서까래가내려앉아큰화상을

입고아쉽게도순직하였어요. 1940년 9월그의 희생정신을기리고자지역유

지들이 지금의 정남면 패랑리 도로변에 기념비를 세웠습니다.

Page 37: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 • - -=··*&훌---‘l!llliD ... ·ζ~ •. --..‘ • • 鍵讓禮-‘{.;누 후 ;

· -~ ‘ - -- - ι .‘ • ; 똘훨롤.풀m•뭘훌훌를 」ι 훌 ; · -앓l률-톨- t특 llilll • - ~를mm를~ 카;t - •

--...i ·~ -,_룹훌훌룰l톨-- 윷놓- ' - • • -· ‘ .,. ., _ --、 - •

; .톨껴i ‘ ._ 률 騙l 렐‘ 톨F ; ·; 깨활체캉개를빼뱉톨願훨빼l ‘ 화’ - --... ~- lli;t!> , 삐_...뭘mlll뼈-- p . ,. ...

-- -흩--:c삐꿇펴뚫뭘趣職•-~피펀_/“ - -- -

Page 38: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Page 39: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I I

I /

/ /

/ / ---

輪觀] 壘짧짧 •

짧蠻꿇훌 一-- - - ---- ~ - ---、/ 、/ 、

/ /

/ I

I I

' \ ‘

샀배E -종

{μ#싸씨

써킥‘Z과

‘7과 壘鍵)

착루랙| 효;>+객

랙|컨깡λj앵 뇨

흥양 혹 ;;< ~객 。|곰 λj앙| 혹;;<~-운

tJ.{깡뀔 효 ;;< ~객 --‘ 、、

Page 40: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ι,.. ,,

초회 고끼r,

4 「‘J

m 효 떼

때 일 방μ

mF

m 읍

디논 워르 C

저「c-

료C

대케

유 렌 시 시

토 앉 성 선

향 돼 화 조

호 도 」

번 연 W

정 정 녕 시

지 지 ;

초껴「윷 촉|춘밸l .효 A~객

최루백(?∼1205)은 고려시대 효자로서 『고려사』 「열전」 , 『세종실록지리

지』, 『동국삼강행실도』, 『신증동국여지승람」, 『오륜행실도』 등에수록되

어 있습니다. 최루백이 15살 때 그의 아버지 최상저가 사냥을 나갔다가 호

랑이에게 잡혀 먹히자 어머니에게 “자식된 도리로 어찌 아버지의 원수를

갚지 않고 견딜 수 있겠는지요7’ 라고 하면서 도끼를 들고 홀화 산으로 올

라갔어요. 그는 호랑이를 발견하여 죽이고 배를 갈라 아버지의 뼈와 살을

꺼내어 홍법산서쪽에 산소를 만들고 여막을 짓고 삼년간 시묘살이를하였

어요.

Page 41: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끼’

/--

-ν껴

j

L

/‘‘

--

ν뀐ν

/\\/

/

\ 뭘

-------- ---------- -- -- -- ---묘지명 : 돌아간 이의 일생을 정리하여 무덤에 함께 넣는 \

것으로 대체로 돌이나 구운 도자기판으로 만들어져 있어요 ‘、I

-- -- -- ----------------------정조는 융롱을 조성하면서 남쪽에 있던 최루백의 비각을 서남쪽 홍법산

기숨ι로옮겼으며 최루백이 태어난마을을효자문골로,호랑이를잡은뒷

산의 큰- 바위를 효암이라 명명하고 그의 자손에게 국가 세금을 면제해 주

었어요” 한편 최루백은 부인에 대한 사랑이 남달리 깊었는데,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 엠경애의 묘지명을 직접 지어 부인의 무덤에 함께 묻었어요. 고려시

대 묘지석 중 남편이 직접 글을 쓴 경우로 유일한 것입니다. 아쉽게도 최루

백의 묘소에 대해 현재까지 아는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원래 비각은 봉담

읍수기리에 위치해 있었으며,정려비는숙종때세워졌어요”

r--·-------------------- ..

:'.1

‘ --·-------------------- .. 41

Page 42: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초외 고꺼r,

‘- -. L-L끼「종

던~~~져}λ·~AJI 口-니-

〈觸짧 호 도 J

번 」nV대

정 정 다 시

지 지 ;

경기도기념물제86호

1985년 09월 20일

화성시 기안동 140-1

고려시대

백천장은 고려 말기 문관으로 과거에 급제한 후 정당문학 등을 역임하

고 원나라로 유학을 가서 높은 벼슬을 지냈으며 , 나이가 들어 귀국한 뒤 수

성백(隨城伯)에 봉해져 재상을 지냈어요. 조선시대에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세자의 능 주변의 산소는 모두 옮기도록 하였는

데 , 그가 효성으로 이름 나 있었기 때문에 그의 묘소는 국가에서 보호하여

옮기지않았다고해요.

석물로는 묘비 · 장명등 · 문인석 1쌍이 전부인데 , 묘비는 그의 17세 후

손인 백홍수가 1813년(순조 13)에 세웠으며 , 비는 높이 102cm, 너비 았m, 두

께 13cm이어요.

Page 43: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壘짧옮

壘짧%

‘ ‘ ‘ 、、

‘ I I

ι 6실)~

I

、 -- -- -- -- -- -- -- -- --

-- -- -- --

43

Page 44: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F ‘

«(> :· :,,, 호외 고끼r,

. -호껴f윷 흥도# 혹 :A~갤

호 도 -­

번 연 W

정 정 깅 시

지 지 ;

향토유적문화재 저14호

1986년 5월 20일

화성시 서신면 홍법리 산32

1539년

홍담(1509∼1576)은 조선 중기의 문관입니다. 홍담은 세 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할머니 품에서 자랐는데, 아홉 살에 할머니가 돌아가시자 빈소를 떠

나지 않았으며 크게 슬퍼하였고, 아버지와 계모 이씨를 모시고 살면서 효도

와 우애가 남달랐다고 전합니다. 29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다시 3년 동

안 시묘살이를 하며 계모 이씨를 공경과 성의를 다하여 섬겼다고 해요.

그는 일체의 가정생활에 소홀함이 없었으며, 공무에 부지런하며 늙어서

도 게을리 히는 일이 없으므로 세상에서 어진 사대부라고 칭송을 받았어요.

그가 돌아간 뒤 마을 사람들이 그의 효행을 나라에 보고하여 왕명으로 효자

정문이 세워지게 되었어요.

맞배지붕에 한식기외를 얹은 겹처마 건물로서 87--l-의 장초석 위에 4개의

원주형 나무기퉁이 세워져 있고 방풍판이 달려 있어요.

44

‘j끼\ v양,\ " _

--------- ‘·

-- -- -- --

-- 、、

‘ 맞배지붐 ; 가장 간단한 지붕형식 ‘ 、

책을 반쯤 펴놓은 八자헝 모양 \

겹처마 ; 2단의 서까래로 구성된 처및 /

장초석 ; 길게 만든 주춧돌

I I

’ ---- ---------- -- -- ---- -- .‘ -- -- -- --

“ -- ---“

Page 45: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Page 46: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초외 고끼r, 호끽「늦

壘擊)

r · ' r{

.∼ ;---

01 곧 칸벤 .효 A~T

讓황설

호 도 1

번 연 W

정 정 타 시

지 지 ; 원끼

~축〈?

향토유적문화재제3호 1986년 5월 20일

화성시 봉담읍 상리 산97

조선시대

이곤(1601∼?)은 1669년 과거 에 급제하여 병조정랑괴-각 지방의 현감

을 지내면서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어요. 부모가 노환으로 병석

에 누워 추운 겨울날 잉어와 오이가 먹고 싶다고 하자 이곤은 백방으로

온갖 노력을 다하였어요. 하늘과 땅이 감동하여 마침내 잉어를 구할

수 있었고, 깊은 산 속의 덩굴에 매달려 있는 오이를 기적적으로 얻어

부모를 공경했다고 합니다.

그의 극진한 효성은 나라에까지 알려져 1737년 왕후로부터 효행싱­

과 효자 정문을 하사받았다고 전합니다. 현재 정려는 1883년 9월에 세

운것이어요.

Page 47: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Page 48: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a. A~갤 밸져}젤 초외 고끼t,

i끽「흥

향토유적문화재제6호

1986년 5월 20일

화성시 동탄면 장지리 493-2 1780년

호 도 -­

번 연 W

정 정 녕 시

꺼이 끼이

;

박장철(1780∼1853)은 어릴 적부터 천성이 맑고 어질었으떠 부모에 대

한 효성이 극진하였다고 해요. 그의 아버지가 병이 들자 박장철은 밤낮으

로 간호하며 엄동설한에 송이버섯과 고기를 구하여 아버지의 병세를 회복

시켰어요. 1828년 흉년과 함께 전염병이 창궐하자 박장철은 누구나 꺼리

는 환자구호와 빈민구제에 나섰습니다. 그렇게 하여 그의 도움으로 살아

남은 사람이 수백 명에 이르렀고, 그의 고마움을 잊지 못하는 칭송이 마을

전체에 가득하였습니다.

1885년효자정려가내려져 이듬해 8월 정각이 건립되었습니다. 현재의

정려각은 1972년에 수리한 것으로 맞배지붕에 한식기와를 얹은 겹처마집

입니다.

----------‘ ‘ ‘ ‘ ‘

까 A

/ /

/ /

/

’’’

l 1 1 1 ’1 1 1 1 1 l j ;‘,,,,1

’’’’’’’--,,

-----

48

Page 49: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1-- --------- / -- -- -- -- -- -- --?

|짜끼t센~ 늪κ값| τ서C소1 f-d갔nι!

-- -- -- --/ ---------/ -- ---‘

---、、

、、

、、

、、

、、

j 1

----l

l ·------‘

l l !!!1

、、

、、

)

I

’ I I

I I

I I

I I

I

Page 50: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F

·μ댐 修l

₩뼈 뼈 뼈 -

맴 R

뼈 를 l

!il

Page 51: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1행떻g

51

Page 52: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피,ι「 키i!갑 쇼 71 순· Ji 넥

/

놓시

지정번호 항토유적문화재 제22호

지정 연도 2008년 12월 04일

소재지 화성시 동탄면 목리 118 16 시대 조선시대

조기수(1653∼1695)는 인조의 손녀사위이자,효종의 조카사위로서 부미­

에 버금가는 대접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석물의 조각을 보면 왕실의 지원

을 받은 솜씨로 추정되고 있어 당대 최고수준의 기술을 보여주고 있지요.

그는 평소 검소하고 소박한 삶을 살아 말년에는 세수 대야까지도 질그릇으

로 사용하여 부인도 몸소 깨달아 함께 처신하였다고 해요. 또한 그는 부친

의 묘소에서 막을 짓고 시묘살이를 한 효자로도 이름이 나 있어요.

묘소는 부인 이씨와 함께 합장묘이며,목족골능말 구롱에 있으며 1729

년에 조성되었어요. 봉분은 단분이고 묘표와 혼유석 , 상석, 향로석 , 장명

등, 망주석 1쌍, 문인석 1쌍, 묘갈 등의 석물을 갖추고 있습니다--

/

놓시

Page 53: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I

∼.- \ / ---

∼애&-

53

Page 54: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제¢「 키,1짚 노걷# 총λf광 뇨넥

54

지정번호 향토유적문화재 제14호 지정연도 2002년 12월 03일

소재지 화성시 석우동 산64

시대 1947년

홍사용0900∼ 1947)은 시인으로 본관은 남양이고 호는 노착(露崔)으로

홍시용이라는 이름 대신 주로 노작이라는 호로 작품 활동을 하였어요.

1919년 휘문의숙을 졸업하고 3· 1운동 당시 학생운동에 가담하여 체포

되었다가 귀향하여 정백과 함께 수필 「청산백운」 과 시 「푸뜬 언덕 가으

로」 를 썼는데, 이 두 작품은 유고로 전해지다가 최근에 공개되어 지금까

지 알려진 그의 최초 작품이 되고

있어요.

홍사용의 문단 활동으로는 『백

조』 창간호의 권두시 「백조는 흐

르는데 별하나나하나」 를 비롯

하여 「나눈 왕(王)이로소이다」 등

20여 편과 민요시 「각시풀」 · 「붉

은시름」 등여러편이 있어요.

싫설

Page 55: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또 소설로 「저승길」 · 「뺑덕이네」 · 「봉화가 켜질 때」 , 희곡 「할미꽃」 . 「출

가」 · 「제석」 외에도 수필과 평론이 있어요. 극단 활동으로는 1923년 토월

회에 가담하여 문예부장을 맡은 것을 비롯하여 1927년 박진 · 이소연과 함

께 산유화회를 조직하였고, 또 1930년 홍해성 · 최승일과 함께 신흥극장을

조직하까도 하였어요. 8 . 15광복을 맞아 근국청년단에 가담하였으나, 그

뜻을펴지 못하고지병인 폐환으로사망하였어요.

홍사홉의 시 작품은 감정의 과잉으로 표출되는 비애의 눈물과 허망감을

형상화한 초기의 사절적인 장시와 민요의 율조를 바탕으로 하여 민족관념

을 노래한 민요시로 구분하고 있어요.

동탄신도시 노작공원 안에 묘역이 있으며 , 부인 원주 원씨와 합장묘이

어요. 아무런 석물도 없었으나 1984년 5월 그의 대표작 「나는 왕이로소이

다」 의 사비 건립을계기로묘표,향로석,혼유석 , 상석 등을갖추게 되었어요.

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Page 56: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Page 57: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션 . c繼擊뽑 轉聽

• • 鍵훌羅 /,~ ·、

• 、I 、

I ‘ I \ I

I \ λJ 님J 갑 »-I Ji I

‘ 깐렌눈 · 닐양 혜μ| 똥헬객 I

、 • 、 냥양 총 »-I 켈넥 껑 21 눈 • 、 / 、 / 、 / 、 • ----

fJ/

Page 58: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ι;

W껴~J쩡꺼간 λJ 닙J 갑 »-I 뇨옐

호 도 1

번 연 W

정 정 녕 시

지 지 ;

경기도 기념물 제153호

1994년 12월 24일

화성시 남앙동 산131-17

조선시대

세종의 후궁인 신빈 김씨(1404∼1464)는 본래 내자시 여종이었으나, 세

종 즉위 해에 13세의 나이로 원경왕후에게 발탁이 되어 중궁전으로 보내

져 소헌왕후의 궁인이 되었는데 , 훗날 세종의 후궁이 되었습니다. 신빈김

씨는 1427년 첫 아들인 계양군을 낳고 1439년 귀인이 되었다가 신빈에 책

봉되었어표. 신빈 김씨는 세종이 승하하자 머리를 깎고 비구니가 되었어

요. 묘 주워 에는 1465년에 세운 묘갈과 묘비 , 4각 장명등, 문얀석 한 쌍과

상석 이 있으며 묘 주위는 돌담으로 둘러 싸여 있어요. 묘갈은 전체 높이가

230cm, 비신은 종 모양입니다. 문인석은 섬세하게 만들어져 여성적인 부

드러운 인상을 띠고 있어요.

Page 59: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쑤시

/ /

/ /

/ /

/ /

/ /

/ I

I I

I I I I

’ I I I I

' ‘ ‘ ‘

‘ ‘ ‘ ‘ 、、

、、

、、

、、

‘、

‘. ‘‘

‘‘ ‘‘

‘‘

니 추시 ‘

•.

{l

ι」

J

-t

、-

-자

U

59

Page 60: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껴@뽑꺼깐 한F영눈 · 멜 ;F밸~1 -충렬!과

ff]

지정번호 향토유적문화재 제5호

지정연도 1986년 5월 20일

소재지 화성시 앙감면 정문리 198-3 시대 1593년

선조 때의 충신 한명윤(1542∼ 1593)과 그의 아내인 밀양 박씨의 순절

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충신 · 열녀문입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한명

윤은 1593년 상주목사로 일본군과 싸우다가 6월에 52세의 나이로 전사하

였어요. 그 뒤 국가에서 그의 공적을 인정하여 선무원종공신 2등, 이조참

판에 추증하였어요.

한편 한명윤은 출전하는 길에 부인 박씨에게 멀리 피신할 것을 권유했

으나 박씨 부인은 결연히 함께 죽음을 택하기를 원하면서 극구 피신하지

않았습니다. 마침내 왜적이 몰려오자 피신하기를 권유하는 관비들의 간청

을 뿌리치고 “내 어찌 구차하게 살기를 원하겠느냐” 면서 비수로써 자결

했어요.

이에 나라에서는두사람의 충절을가상히 여 ,------- ·、、‘ / 、、

겨 충렬문-을 내 렸고, 『동국신속삼강행실 / ‘ ’ 、、-- - 」. 、J- ‘ ’ .... ~ i‘ 도』 「열녀」 편에 ‘박씨가스스로목을 / .틀쉴링훨4 -、、

‘/ ...r.l!:.;:1흥~ \ 찌르다’ 라는 제목으로 전하고 있 / 훨킹·-룹.톨i \

어요 현재의 건물은 1945년 5월에 ; F월흘를률띔톨룰를활틀,, \

다시 지은 것으로 팔작지붕에 한 I 효휠월흩톨를톨률Iii톨---를 .. 식 기와를 얹었으며 방펠。l 달 i 홉羅醒뭘뿜띔뺨했‘識\ 린겹처마집입니다. I

、、、、、

、 I

I I

~= I

I

I I

I I

Page 61: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u활h륙깐! --선무원좀공신 ; 임진왜란 때 공을세운 01들 가운데 1ED4년(선조 37)의 선무공신에서 빠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1 ED5년 4월에 9,α잉명을 더 할 이조참판 ; 조선시대 6조기운데 하니인 0 1조의 버금기는자리로판서털보조t히였어요 흐즈 ; 나라의공이%는이가돌아간뒤에벼슬을더해올려주는일 - -‘ 『도시속삭갇행실도』 : 1617년팽맨뽕에으l얘 『삼강행실도」 권a 싫달어에셔삼국人l대부터임진왜란뿔01후으|화 충신 열녀등으| 人i실을수록; 전국에 반포하였는데, 민쓴을안정 · 격려시킬목적으로만옮 방풍판 ; 비림을막기위하여지붕으I ~떨끝아래에늘여붙인널뻔자

、-------------------

、-----------

61

Page 62: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옐네 냥;F m끽oJ쩡꺼간

향토유적문화재 제12호

1999년 10월 18일

화성시 송림동산 125

조선정조

호 도 1

번 연 W

정 정 닷 시

지 지 =

/ /

I

영조 떼 우승지를 역임한 최 태형 (1718∼ 1783)의 부인 남양 홍씨

(1737∼1783)의 순절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정문으로 정조 때 건립되었어

요. 최태형은 조선후기의 문관으로, 『삭녕최씨대통보』 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정조 때까지에 관직 생활을 하였던 것으로

알려져있어요.

부인 남양 홍씨는 조선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홍섬의 5대손인 선롱 참

봉홍신상의 딸이어요. 1787년 8월 29일 최태형이 사망하자두 달 뒤인그

해 10월 13일에 자결하였고, 이 일로 인하여 송림산에 조성한표 옆에 정려

를세우게 되었어요,

1787년 열녀 정문의 명령이 내려졌으며 이듬해 묘 아래에 정문을 건립

하였어요.

F ., --

/

/-

--/·

/-

--J -------------、

‘ 、

‘ ---• ” -- ∼ ------62

Page 63: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

/ /

/ /

/ I

I

’ ’ I I

‘ ‘ 、、

、、、、、、、、、、

--

-/

/ /

/ /

/ /

/ /

/ --------

Page 64: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 ---- ----------- ----///’잔누-------「핀““--、

‘// ,/ ~- 、、, ·-~ - 、/ ‘ . -/ 4ι홀솔· -‘ -톨& 、

/ 3양강률..:.-...-‘k 一 --- 、

' ~꿇覆빼빼....,.f'J ‘--; ·-團 、~장옐톨~ 1· / ~~- ·~ 、l톨繼~ I l률한까Y ....-~흩...... 、l롤빼-J I ~!''i ~~ 、--씩윌- ~.J -흙~· ~훌률;ξ맺률-.~ ‘

' g께_.r.;. . l률· ! ~톨핵훌흩를ml I 냉톨_.:1 F llr짝 ! -"톨.책를-냥 I

,~ 鍵뺏I옳”liu . 률(·1· 톨롤홉톨훌률 ,' l흩--..Alt'~흥g 1 --를~· I

‘、、1빼활꺼熟률廳! ............. 를輯뭘뭘를t / 、“월빼 ')f 'I,. ;‘~~~를團~ I

-、 ----롤빼-앙i ---빼_......... ~ “ ‘-움_.._. _____..... , 、 、•• 톨-·~ 、、 ’빼때.를 ι 원..__삐_........- ‘ - -

- ‘ ’--”’-ι·. .. ‘--- , 、 、 싸‘뚫빼빼£뚫~ ‘ - - -

、 ----“ 4 --순==-- • • -

---------- i“,~ -----------

" .

Page 65: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빼빼훌

·FIK9

엽엽 口A밥 “

”--따

뺨辦빨쐐

-

l!

내d

밴」성

-

--」A-”·

λT

.//한

、、、

/、

~ 쫓勢끼

ffi

• ‘ · ; •

Page 66: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덮

ι”.‘--ι

“υ써%

냥양 총μ| 뇨젝

호 도 J

번 〕mγ대

정 정 의 시

n이 끼…,

;

경기도 기념물 제168호 1999년 04월 26일

화성시 서신면 홍법리 산30

조선시대

/

/

서신면홍법리 남양홍씨 묘역은조선 중기에 조성된문중묘역입니다.

이 마을의 남양 홍씨는 크게 홍언필을 파조로 하는 문희공파, 홍담을 파조

로하는정효공파,홍한을파조로하는참의공파로구성되어 있어요.

이 묘역은 고려 때 금오위별장을 지낸 홍선행을 시조로 하눈 ‘토홍’ 의 후

손들의 조코가 모인 곳이어요. 또한 홍언필 · 홍섬 · 홍담 · 홍진도 · 홍한 등

이 매장된 봉분 117]와 문인석 10기 ,동자석 2기 , 망주석 10기 , 묘비 4기, 상

석 5좌, 향로석 5좌, 신도비 57]로 되어 있어요.

또홍언필과 그의 아들홍섬이 정사를논하던곡좌재(曲座짧)라는 사당

이 있는데,그 이름은 비록 빈자리라 하더라도 부자지간에 마주 보고 앉는

것은 예법에 어긋난다 하여 동서 방향으로 굽어 앉았다고 한데서 유래해

요. 아울례 주변에는 홍담의 효자각이 있어요.

조선 중기 때의 묘역으로 당대의 덕망 있는 학자,정치가인 조광조, 송시

열, 한호등에 의해 지어진 글이 있는 신도비를 살펴볼 수 있으며 보존상태

가 양호하여 그 당시의 문화수준을 살펴볼 수 있어요.

I I

I

.,,.--- I -- ---------, ____________ _

ffi

쫓 聽f- ~헬훌흩휠 xr1 •

/

Page 67: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Page 68: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j~ 1:'7‘ ’

ι느otc, .z.-τ l괜냥 밸Ml -뇨렉

l l ‘

‘/ 、

/ / ,

’ 호 도 1

번 연 W

정 정 녕 시

지 지 ;

향토유적문화재 제13호 2001년 09월 14일

화성시 석우동 45-3

조선시대

‘ 、、

/ /

/ / -- -------

반남 박씨 묘역은 석우동 야산 기늙에 조성되어 있는데 시조는 고려

고종 떼 전라도 반남현의 호장을 지낸 박웅주로 알려져 있어요.

반남 박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15명, 상신 7명, 대제학 2명,

왕비 2명을 배출하여 박씨 중에서 관료 경력자가 가장 많아요.

대표적인 인물로 선조 때 창신교위를 지낸 박주의 묘는 상석 , 혼유석 ,

향로석 , 동자석 1쌍 등 원래의 석물을 그대로 갖추고 있고, 박주의 아들

박여의 묘에도 1999년에 건립한 묘표를 제외하고는 옛 석물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요. 박여의 아들 박대하의 묘는 묘표를 비롯한 모든 석물

이 원래의 것이나, 향로석은 땅속에 갚이 묻혀 있어요.

Page 69: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3 ” \ ι "~-- - ‘ -4성 t;:::;i )~--=‘- - - - - - ---=----- -

-- -- -- - -- -- -- -- -- -- -- -- “ /

I 상신 : 영의절조f2.I절우의정을통틀어 0 1르는말 ‘ 대제학 ; 조선 시대어때문관의 영예문관사밑에서 I

실무를 밑드10 ~보떤 정2품 벼슬아차 I

묘표 ; 무덤?뼈| 세워누구의무덤인자를알수있

‘ 도록한훗밀이 |나훗돌. I 、

ffi

Page 70: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tt갱앓£중

춘융뚫製

70

언#권노 口」」-

지정번호 향토유적문화재 제18호

지정연도 2007년 02월 28일

소재지 화성시 동탄면 방교리 산2 3 시대 조선시대

박원도(1626∼1690)는 1648년 진사시 에 합격하여 1666

년에 청안현감을 비롯하여 사헌부 지평 네 차례 , 사간원

정언 등을 지냈습니다. 1675년 남인에 의하여 곤경에 빠진

송시열을 변호하다가 죄를 얻어 청주도사로 좌천되기도

하였어요.

1683년 부령부사가 되었을 때 , 당시 국가에서는 이곳

을할읍하여 새로이 무산부를설치하려고백성으로부터의

역역을 빈번히 징발하였는데 , 그는 마포 3,000필로써 말을

대신 써서 백성의 부담을 크게 완화시켰어요. 1689년 기사

환국으로 남인이 다시 정권을 잡자, 벼슬을 버 리고 독서로

생애를 마쳤어요.

박원도의 묘갈,묘비,문인석 등은거의 원챙 그대로보

존되어 있어 조선 후기 고분 석물 연구에 귀중한 자호호가

되고 있어요.

Page 71: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자끼\ “~ Q'- r、 //----------\)’‘’ , ~ ---··------ ...... _ .. -,,, ~ ‘--

’ / --t; 할읍 : 고을을나눔. ! ; 역역 ;일반엎01 진국7버으뮤7템|몸으로직접응을한것 }

i 기시혼}국;조선숙종때소의장씨소생의아들윤을왕세자로삼으려 ! ; 는쯤에반H한송시열등서인이 O를지지한뿐에게패배빡 ·,_

', 정권이서인에서는인으로 H밴일 ;

가 사성 : 무덤뒤에빈달모앙으로두둑해|뭘싼흙담 // ’ / / ‘· ----------------------------- / --

8혔짧關

8쩔옳뿔

Page 72: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섣덮

L

쐐댐

수껑 촉|μ| λ| 추 口-11..

/ / --

지정번효L

지정연도­소재지

시대

향토유적문화재 제17호

2007년 2월 28일

화성시 매송면 숙곡리 산81 1

고려시대

/

‘ /

수성 최씨 시조 최 영규는 고려 후기의 문신입니다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후손으로 원래 김씨였다고 전해요 1261년(원종 2) 문과에 급제

하여 문학에 임명되어 서정에서 학문을 가르쳤어요 고려 충렬왕 때 수주

일대의 풍속이 어지러워지자자청해 호장으로부임하여 짧은 기간에 풍속

과 인심을 바로잡았어요. 그 공적을 인정하여 1302년에 상을 내려 수성백

에 봉하고 최씨 성을하사받아수성 최씨의 시조가 되었어요. 이후수성 최

씨 가문은 고려조에서 명문의 기문을 이루었어요.

최 영규의 묘소는 숙곡리의 야산 중턱 에 부인 정경부인 이천 서씨와 합

장묘로조성되어 있으며,시호는‘문혜’ 이어요

Page 73: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___ ':_ __ .[.__;쩔?」筆 ;,7-" -,_ ~"-rζ

서경 : 오늘날평안님도평양시 호장 ; 고려 ·조선시대 지방효면|의우두머리 지방실무행정을총괄하였어요 시호 ; 국왕· 왕후 · 고관 선비 등이돌아간뒤에그의공적과흐업을 기리며 국가에서 내려주는별명.

、τ=======

수f케 * Zl'>(f ι/7 1J.i.t- ’ I z_ I 극7 으l tz.1-? 킹큐

7킹운요브l ~. ~'깐 1당이 'I Tf"fo-,t;__ -

T3

Page 74: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 --- -. “ --- --- -- ------‘· 납~앓g늘~ l∼~률를엌 • ‘ l꿇짧뜯뭘뀔쁨륜"lin-냉를._..__ - , •• *---==늘;=펴츠;:ll -l공홍-- -

“ ---」y - -

1 ‘ i ‘--- -. -. -----·---':'-.,,~---

、. // 꿇1111 쫓L찌보아쇼!

‘ ‘ ‘ ‘ ‘ ‘ ‘ ‘ -----

------‘ ‘ ‘ ‘ ‘ ‘

※ 서로 관계가 깊은 것을 이어보아요.

〈가〉 〈나〉

-。「서 a ·'A: L」내 -- • 정남면호짜H

우하영 • • 염경애

i도:S」〔 2」~ • • 천일록

닙_lj처 L-자 ι」 • • 늠앙홍씨

최윤식 • • 추의군 최근배 • • 는방홍씨열녀정려문 -,---,

최태형 • • 수성백

곡조f재 • • 겨I~군

신빈김씨 • • 갑자사화

흥사용 • • 나는 옹H〕 |로소이다

74 우섬전-추의균l 무하영-전일록, 흥한‘갑자사화, 백천장‘수싱백, 최윤A」정님먼 화재. 최루백-엄정애, 초|태형-남앙 떻씨‘ 곡좌재-님앙 홍씨 묘역 신빈 감μ|- 계앙군, 흉사옹흥-나는 왕이로소QI다

Page 75: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

‘. ‘.

‘ '

I I

/ /

/ --I

※ 주관식이어요

1. 함경도 길주에서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의병을 조직하였으나 부하의 배반으로

옥중에서 순절하신 분은?

2. 돌아간 이의 일생을 간단하게 글로 정리하여 무덤에 시선과 함께 넣어 두는

돌이나도자기판은?

3.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여진족을 토벌하는 등의 무공으로 22살에 병조판서가

되었뜨나 역모로 몰려 참혹한 거열형으로 억울하게 돌아가신 분은?

4. 조선 제22대 정조 임금께서 지으선 글들을 모아 엮은 책 이름은?

5. 조선 시대 국가에서 돌아간 이의 공덕을 기려 내려준 호의 이름은?

6. 임진왜란 때 수원에서 의병을 일으켜 경상도 의령까지 일본군을 쫓아가다 과로로

돌아가신분은?

7. 건축혈의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 터보다 한 층 높게 쌓은 구조물은?

8. 관을 안치하거나 덧빌을 만들어 넣을 때 석회를 사용한 무덤은?

9. 1683년 부령부사로 있으면서 마포 3,αB필로써 말을 대신 써서 그곳 백성의 부역 부담을 덜어주신 분은?

10. 조선 제16대 인조 임금의 손녀 사위이자 제17대 효종 임금의 조가 사위로

평소에 소박하고 검소하게 살아 말년에는 세숫대야도 절그릇으로 사용하여

정럼함의 모범을 보이신 분은?

1.차운혁 2.묘지영 3.남이 장군 4.홍재전서 5.시호 6.우성전 7.기단 8호|격묘 9. 딱원도 10.조기수 75

Page 76: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Page 77: 학교 ---학년 반 의 책이에요 · 2019. 7. 2. · 차운핵(1393∼1467)은 조선 전기의 무관이어요. 그리고 차운혁의 충 신정려분은1467년에 발발한이시애의

-화성에는 지역을 빛낸 많은 인물들이 있습니다.

선조들의 삶과 역사 속 남겨진 이야기와 흔적은 영원히 기억히고 지쳐서

I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 〈신나는 문화유산 방문교육〉 시리즈는 화성문호}원에서 화성의 문화재를 어린이, 청소년 여러분에게 알기 쉽고 재미있게 표현한 책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