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13
학부 소개 문예학부는 한국어를 매개로 한 스토리 창작 활동을 통해 우리 민족의 예술혼과 전통을 오늘 에 재현하는 창의적 스토리텔러를 육성하고 있다. 우리 고유의 것과 보편적인 세계문화에 대 한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독창적이며 미래지향적인 글로벌 예술인재를 육성한다. 서울예술 대학교 문예학부에서는 그간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유명 작가와 대중의 사랑을 받 는 인기 작가 다수를 배출한 바 있다. 한류드라마를 시작으로 K-컬처라 불리는 다양한 우리 문화콘텐츠가 글로벌 무대에서 각광받고 있는 현재, 모든 창작물의 기본인 스토리텔러의 역할 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문예학부에서는 이러한 시대 변화에 부응하여 장르의 연계, 타 매 체와의 융합 등 다매체 지향적 예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문예학부는 시와 소설 등 문학 창작 교육을 담당하는 문예창작전공과, 연극ž영화ž방송의 극본 창작 교육을 담당하는 극작전공, 총 2개의 전공으로 구성돼 있다. 문예창작 전공에서는 한국어 표현능력을 연마함으로써 문학 각 장르의 기초적 창작 역량을 배 양하며, 문학 작품에 대한 분석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편집과 출판 의 기초 지식 및 업무 능력을 습득하고 뉴 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매체 및 장르와의 연계 창작 능력을 함께 습득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시·소설·아동문학·평론 등 다양한 창작 인재를 양성 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작가, 출판편집자, 출판마케터 등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 극작전공에서는 희곡, 뮤지컬, 시나리오, 드라마, 방송구성 등 다양한 극작 분야의 작가 육성 을 목표로 이론과 실기의 조화로운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극작전공은 연극의 희곡을 창작하 는 공연극본창작전공과 영화 시나리오와 방송 드라마 등을 창작하는 영상극본창작전공, 총 2 개의 세부전공으로 다시 나뉘어 각 매체의 특성에 맞는 창작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연극, 영 화, 방송 등 매체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극작의 기초 지식을 익히며, 창작자가 갖추 어야 할 극적 예술 감각과 창의력, 다양한 표현능력 등을 개발한다. 이러한 교육적 성과를 산 업 현장과 연계하여 희곡작가, 시나리오작가, 방송작가 등으로 활동하는 직업예술인을 배출한 다. 학부 교육목표 1. (우리 예술혼의 계발) 우리 민족 고유의 예술혼과 전통을 이어받아 오늘의 문예 창작 현장에 널리 재현하며, 공연예술과 뉴미디어 스토리텔링 분야에 접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2. (세계화)

Transcript of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Page 1: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문 예 학 부

학부 소개

문예학부는 한국어를 매개로 한 스토리 창작 활동을 통해 우리 민족의 예술혼과 전통을 오늘에 재현하는 창의적 스토리텔러를 육성하고 있다. 우리 고유의 것과 보편적인 세계문화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독창적이며 미래지향적인 글로벌 예술인재를 육성한다. 서울예술대학교 문예학부에서는 그간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유명 작가와 대중의 사랑을 받는 인기 작가 다수를 배출한 바 있다. 한류드라마를 시작으로 K-컬처라 불리는 다양한 우리 문화콘텐츠가 글로벌 무대에서 각광받고 있는 현재, 모든 창작물의 기본인 스토리텔러의 역할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문예학부에서는 이러한 시대 변화에 부응하여 장르의 연계, 타 매체와의 융합 등 다매체 지향적 예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문예학부는 시와 소설 등 문학 창작 교육을 담당하는 문예창작전공과, 연극ž영화ž방송의 극본 창작 교육을 담당하는 극작전공, 총 2개의 전공으로 구성돼 있다. 문예창작 전공에서는 한국어 표현능력을 연마함으로써 문학 각 장르의 기초적 창작 역량을 배양하며, 문학 작품에 대한 분석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편집과 출판의 기초 지식 및 업무 능력을 습득하고 뉴 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매체 및 장르와의 연계 창작 능력을 함께 습득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시·소설·아동문학·평론 등 다양한 창작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작가, 출판편집자, 출판마케터 등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 극작전공에서는 희곡, 뮤지컬, 시나리오, 드라마, 방송구성 등 다양한 극작 분야의 작가 육성을 목표로 이론과 실기의 조화로운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극작전공은 연극의 희곡을 창작하는 공연극본창작전공과 영화 시나리오와 방송 드라마 등을 창작하는 영상극본창작전공, 총 2개의 세부전공으로 다시 나뉘어 각 매체의 특성에 맞는 창작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연극, 영화, 방송 등 매체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극작의 기초 지식을 익히며, 창작자가 갖추어야 할 극적 예술 감각과 창의력, 다양한 표현능력 등을 개발한다. 이러한 교육적 성과를 산업 현장과 연계하여 희곡작가, 시나리오작가, 방송작가 등으로 활동하는 직업예술인을 배출한다.

학부 교육목표

1. (우리 예술혼의 계발) 우리 민족 고유의 예술혼과 전통을 이어받아 오늘의 문예 창작 현장에 널리 재현하며,

공연예술과 뉴미디어 스토리텔링 분야에 접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2. (세계화)

Page 2: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우리의 예술적 가치를 세계와 공유할 수 있도록 보편적 콘텐츠를 개발하고 미지의 예술을 향한 실험적 탐구와 창작에 앞장서는, 주체적이며 글로벌한 창작 인재를 양성한다.

3. (예술-과학 융합) 우리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세계화하기 위해 뉴미디어 과학기술을 활용한 예술 창작역량을

강화하며, 다양한 장르 및 매체와 연계하는 융합적 상상력을 계발한다.

4. (연계·순환·통합) 고전과 현대, 계열(장르), 문화권(가치관)의 통섭을 활발히 실천하며 보다 개방적이며 새로

운 예술창작 방법론을 모색한다.

5. (산학협력) 뉴 미디어 콘텐츠에 적합한 스토리텔링 교육을 통해 문화예술 분야의 직무능력을 계발하고 현장의 요구

에 부응하는 창작 인재를 양성한다.

인재 양성 유형별 세부전공 소개

문예창작 문예창작 세부전공은 한국어에 의한 표현능력을 연마하여 문학(시, 소설, 아동문학) 각 장르에 대한 창작가로서의 기초적 능력을 배양한다. 한국의 전통적인 문학과 보편적인 세계 문학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미래지향적으로 접목하며, 예술 일반에 대한 이해와 인문학적 소양에 기초한 창작 능력을 향상시킨다. 시대 변화에 부응하여, 문학 장르의 연계는 물론 타 매체와의 창작 교류를 실행할 수 있는 다매체 지향적인 문학 예술인을 배출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공연극본창작 공연극본창작 세부전공은 연극·뮤지컬·아동극 등 장르의 특성에 맞는 극의 기초를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극본을 창작한다. 인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극예술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극본의 무대화 과정을 체험함으로써 창작 역량 향상을 향상시켜, 극예술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현장의 변화에 부응하는 경쟁력 있는 극작가를 배출한다. 영상극본창작 영상극본창작 세부전공은 시나리오·드라마·방송구성·웹드라마 등 영상콘텐츠의 매체별 스토리텔링 특성과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극본을 창작한다. 급속히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을 이해하고 피칭·제작실습을 통해 산업 현장이 요구하는 스토리 창작자로서의 경쟁력을 길러, 궁극적으로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할 대중적이면서도 독창적인 작가를 육성한다.

Page 3: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문예학부 문예창작 전공 교육과정표

학년

1학기 2학기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론 실습 이론 실습

1 교선 06276 작가와 직업윤리 3 3 교선 06261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3 3

학선 06281 스토리텔링과 젠더 3 3 학선 06286 서사예술과 인간심리 3 3

전필 06231 시창작과글쓰기Ⅰ 2 2 전필 06232 시창작과글쓰기Ⅱ 2 2

전필 06233 소설창작과글쓰기Ⅰ 2 2 전필 06234 소설창작과글쓰기Ⅱ 2 2

전선 06176 고전문예론 2 2 전선 06002 한국문학사 2 2

전선 06178 시론Ⅰ 2 2 전선 06238 시론Ⅱ 2 2

전선 06179 소설론 2 2 전선 06183 작가론 2 2

전선 06235 아동문학실습Ⅰ 2 2 전선 06236 아동문학실습Ⅱ 2 2

전선 06196 한국현대시강독Ⅰ 2 2 전선 06197 한국현대시강독Ⅱ 2 2

전선 06198 한국현대소설강독Ⅰ 2 2 전선 06199 한국현대소설강독Ⅱ 2 2

전선 06203 세계문학강독Ⅰ 2 2 전선 06204 세계문학강독Ⅱ 2 2

소계 24 18 6 24 18 6

2 전선 06287 출판과창업Ⅰ(캡스톤디자인) 2 2 전선 06288출판과창업Ⅱ(캡스톤디자

인)2 2

학선 06289 현대철학과 문학 3 3 학선 06290 젠더스터디 3 3

전필 06251 시창작워크숍Ⅰ 3 3 전필 06255 시창작워크숍Ⅱ 3 3

전필 06252 소설창작워크숍Ⅰ 3 3 전필 06256 소설창작워크숍Ⅱ 3 3

전선 06239 아동문학실습Ⅲ 2 2 전선 06240 아동문학실습Ⅳ 2 2

전선 06264 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 3 1 2 전선 06265 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 3 1 2

전선 06187 시창작론 2 2 전선 06192 현대시특강 2 2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전선 06270 대중문학의 이해 3 3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소계 21 8 10 21 11 10

3 전필 06274 시창작세미나Ⅰ 3 3 학선 10102 역사와 팩션 스토리 기획 3 1 2

전필 06275 소설창작세미나Ⅰ 3 3 전선 06277 시창작세미나Ⅱ 3 3

전선 06213 비평세미나Ⅰ 2 2 전선 06278 소설창작세미나Ⅱ 3 3

전선 06266 문학과 정신분석Ⅰ 2 2 전선 06214 비평세미나Ⅱ 2 2

전선 06267 문학과 정신분석Ⅱ 2 2

전선 06229 출판편집기획실습 2 1 1

소계 10 2 8 15 4 11

Page 4: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문예학부 공연극본창작 전공 교육과정표

학년

1학기 2학기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론 실습 이론 실습

1 교선 06276 작가와 직업윤리 3 3 교선 06261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3 3

학선 06281 스토리텔링과 젠더 3 3 학선 06286 서사예술과 인간심리 3 3

전선 10110 연극 감상 및 비평 3 3 전선 10217 명작희곡강독 3 1 2

전선 10215 영상콘텐츠 감상 및 비평 3 3 전선 10085 캐릭터연구 2 2

전선 10086 희곡론 3 3 전선 10116 희곡창작기초Ⅱ 3 1 2

전필 10113 희곡창작기초Ⅰ 3 1 2 전선 10219 드라마창작기초Ⅱ 3 1 2

전선 10218 드라마창작기초Ⅰ 3 1 2 전선 10115 시나리오창작기초Ⅱ 3 1 2

전선 10112 시나리오창작기초Ⅰ 3 1 2 연계 50002 장면만들기Ⅱ(공연) 3 3

연계 50001 장면만들기Ⅰ(공연) 3 3 연계 01141 연출실기(공연) 3 1 2

연계 02123 영상제작기초Ⅰ(영상) 3 4 연계 02125 영상제작기초Ⅱ(영상) 3 4

연계

소계 30 12 19 29 13 17

2 학선 06289 현대철학과 문학 3 3 학선 06290 젠더스터디 3 3

전선 10088 취재필드워크 2 2 전필 10104 희곡창작연습Ⅱ 3 3

전필 10103 희곡창작연습Ⅰ 3 3 전선 10220아동청소년극창작연습

(캡스톤디자인)3 3

연계 14041 제작실습Ⅰ(공연) 4 2 4 전선 10205 뮤지컬창작기초 3 1 2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연계 01057 제작실습Ⅱ(공연) 4 2 4

연계 01012 세계연극사Ⅰ(공연) 3 3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소계 15 5 9 22 9 12

3 전선 10210뮤지컬콘텐츠

창업프로젝트3 3 학선 10102 역사와 팩션 스토리 기획 3 1 2

전필 10032 희곡창작실습Ⅰ 3 3 전필 10033 희곡창작실습Ⅱ 3 3

전선 10221아동청소년극창작실습(캡스

톤디자인)3 3

연계 01058 제작실습Ⅲ(공연) 4 2 4

연계

01013 세계연극사Ⅱ(공연) 3 3

16 5 13 6 1 5소계

Page 5: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문예학부 영상극본창작 전공 교육과정표

학년

1학기 2학기

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이수

구분코드 교과목 학점

시수

이론 실습 이론 실습

1 교선 06276 작가와 직업윤리 3 3 교선 06261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3 3

학선 06281 스토리텔링과 젠더 3 3 학선 06286 서사예술과 인간심리 3 3

전선 10110 연극 감상 및 비평 3 1 2 전선 10217 명작희곡강독 3 1 2

전선 10215 영상콘텐츠 감상 및 비평 3 1 2 전선 10085 캐릭터연구 2 2

전선 10086 희곡론 3 3 전선 10116 희곡창작기초Ⅱ 3 1 2

전필 10113 희곡창작기초Ⅰ 3 1 2 전선 10219 드라마창작기초Ⅱ 3 1 2

전필 10218 드라마창작기초Ⅰ 3 1 2 전선 10115 시나리오창작기초Ⅱ 3 1 2

전필 10112 시나리오창작기초Ⅰ 3 1 2 연계 50002 장면만들기Ⅱ(공연) 3 3

연계 50001 장면만들기Ⅰ(공연) 3 3 연계 01141 연출실기(공연) 3 1 2

연계 02123 영상제작기초Ⅰ(영상) 3 4 연계 02125 영상제작기초Ⅱ(영상) 3 4

소계 30 14 17 29 13 17

2 학선 06289 현대철학과 문학 3 3 전선 10117웹드라마와 멀티플랫폼

콘텐츠 창업3 3

전선 10088 취재필드워크 2 2 학선 06290 젠더 스터디 3 3

전필 10206 드라마창작연습Ⅰ 3 3 전선 10208 드라마창작연습Ⅱ 3 3

전필 10107 시나리오창작연습Ⅰ 3 3 전선 10073 방송구성연습 3 3

연계 03065 TV제작실습Ⅰ(영상) 4 2 4 전선 10108 시나리오창작연습Ⅱ 3 3

연계 02104 영화제작워크숍Ⅰ(영상) 4 2 4 연계 03066 TV제작실습Ⅱ(영상) 4 2 4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연계 02105 영화제작워크숍Ⅱ(영상) 4 2 4

전선 20002 현장실습 3

소계 22 7 16 26 7 20

3 전필 10212 드라마창작실습Ⅰ 3 3 학선 10102 역사와 팩션 스토리 기획 3 1 2

전선 10079 방송구성실습 3 3 전선 10212 드라마창작실습Ⅱ 3 3

전필 10036 시나리오창작실습Ⅰ 3 3 전선 10037 시나리오창작실습Ⅱ 3 3

연계 03067 TV제작실습Ⅲ(영상) 4 2 4

연계 02111 졸업영화Ⅰ(영상) 4 2 4

소계 17 4 17 9 1 8

Page 6: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문예학부 교과목 개요

작가와 직업윤리 Writer & Professional Ethics

작가로서의 소양과 윤리를 함양하고 체험한 이들이 자신의 삶과 직업에 그 이해를 적용할수 있게 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Creative writing & Communication

새로운 미디어 환경 속에서 글쓰기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방법과 의미에 대해 생각하고 소통의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스토리텔링과 젠더 Storytelling� &� Gender

성 정체성에 따른 사회적 권력과 역할 관계, 성 소수자 문제, 동성애 문제 등 젠더에 관련된 이야기를 연구·분석 및 개발한다.

서사예술과 인간심리 Epic� Art� &� Human psychology

심리학을 포함한 인문학을 바탕으로 서사예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을 체험한다.

현대철학과 문학 Modern� Philosophy� &� Literature

현대 문학이 가진 철학과의 유대를 살피며 문학 전반에 걸친 철학적 사상과 그것의 표현 언어를 습득하고 나아가 분석한다.

젠더 스터디 Genderstudy

넓은 의미의 젠더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다루어왔던 다양한 작품들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창작자가 가져야할 젠더윤리의식을 습득할 수 있다.

역사와 팩션 스토리 기획 History & Faction Storytelling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해서 영상과 공연 분야를 망라한 새로운 스토리를 창안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출판과 창업Ⅰ(캡스톤) Publishing & EstablishmentⅠ(Capstone)

출판 기획부터 편집, 제작,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출판 산업 전반에 대한 총체적인 출판 이론과 실무를 학습한다

출판과 창업Ⅱ Publishing & EstablishmentⅡ(Capstone)

출판 기획부터 편집, 제작,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출판 산업 전반에 대한 총체적인 출판 이론과 실무를 심화 학습한다

웹드라마와 멀티플랫폼 콘텐츠 창업 Start-up Business for Web Drama & Multi Platform Contents

다매체 시대 콘텐츠의 다수를 이루는 영상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이론 기초 학습은 물론, 문화원형 활용 콘텐츠의 기획을 통해 창업 아이템을 개발하고, 최근 급속히 부상하고 있는

Page 7: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웹드라마를 핵심으로 창업 과제를 수행토록 한다.멀티플랫폼 콘텐츠 기획을 통해 '예술과 과학의 융합적 상상력을 계발'하고, 문화원형 활용 콘텐츠 기획을 통해 우리 고유의 세계관과 예술적 가치관을 오늘의 예술 현장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웹드라마 창업 프로젝트 수행으로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능력을 계발'한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 있는 도전이 될 것이다.

뮤지컬콘텐츠 창업 프로젝트 Start-up Business for Musical Contents

뮤지컬콘텐츠를 활용한 창업 프로젝트를 개발한다. 기존 뮤지컬공연 뿐만 아니라, 뮤지컬을 활용한 다양한 창업아이템 개발 및 창업 팀 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즉, 뮤지컬 극본 창작의 기초 지식과 기술을 익히고, 그를 토대로 작곡 등 작업파트너와 협업을 통해 팀을 꾸리고 아이템을 개발한다. 아이템은 무대의 뮤지컬공연 또는 뮤지컬영화로 개발하여, 각종 공모전이나 지원제도 등을 통해 프로젝트 팀을 창업한다. 또 한편, 뮤지컬 요소가 아동극, 인형극, 축제, 이벤트, 광고, 디지털콘텐츠 등으로 활용된 사례 연구를 하고, 그를 바탕으로, 팀별로 각 매체로의 특화되고 창조적인 창업 아이템을 개발한다.

시창작과글쓰기Ⅰ Poetry Writing & Prose WritingⅠ

올바른 시적 언술의 방법을 터득하도록 한다. 스토리텔링 연계과정으로서의 기본 소양을 함양한다.

시창작과글쓰기Ⅱ Poetry Writing & Prose WritingⅡ

<시창작과글쓰기Ⅰ>에 대한 심화 학습

소설창작과글쓰기Ⅰ Fiction Writing & Prose WritingⅠ

소설에 적극적으로 접근함으로서 인생을 경험토록 한다. 소설 창작에 대한 능력을 계발, 훈련함으로서 가능한 경우 작가로서 성장, 활동하도록 한다. 스토리텔링 연계과정으로서의 기본 소양을 함양한다.

소설창작과글쓰기Ⅱ Fiction Writing & Prose WritingⅡ

소설에 적극적으로 접근함으로서 인생을 경험토록 한다. 소설 창작에 대한 능력을 계발, 훈련함으로서 가능한 경우 작가로서 성장, 활동하도록 한다. 스토리텔링 연계과정으로서의 기본 소양을 함양한다.

시창작워크숍Ⅰ Poetry Writing WorkshopⅠ

시적 언술의 기본 및 향상을 도모하며, 세계 문학 현장, 현단계 한국시의 현황 등을 소개함으로써 세계화된 안목을 갖추도록 한다. 그에 따른 자신만의 독창적인 시적 언술 방법을 계발하도록 한다.

시창작워크숍Ⅱ Poetry Writing WorkshopⅡ

<시창작워크숍Ⅰ>에 대한 심화 학습. (시적 언술의 기본 및 향상을 도모하며, 세계 문학 현장, 현단계 한국시의 현황 등을 소개함으로써 세계화된 안목을 갖추도록 한다. 그에 따른 자신만의 독창적인 시적 언술 방법을 계발하도록 한다.)

Page 8: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소설창작워크숍Ⅰ Fiction Writing WorkshopⅠ

<소설창작과글쓰기ⅠⅡ>에 대한 심화 학습

소설창작워크숍Ⅱ Fiction Writing WorkshopⅡ

<소설창작과글쓰기ⅠⅡ>에 대한 심화 학습

고전문예론 Humanistics Studies

고전문학 작품 감상을 통해 고전적인 문예이론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의 보편적인 구조와 가치를 이해하도록 한다.

한국문학사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한국문학에서 통시적 전개과정을 파악하고 한국문학의 전반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이 과목의 목적을 둔다.

시론Ⅰ PoeticsⅠ

시학 용어의 올바른 이해와 시 분석을 통해 시 창작을 심화한다.

시론Ⅱ PoeticsⅡ

시학 용어의 올바른 이해와 시 분석을 통해 시 창작을 심화한다.

소설론 Novel Studies

소설 창작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소설의 기본원리를 습득한다. 원론 설명에 뒤이어 한국현대소설의 창작과정을 소개, 다양한 소설창작 실험을 통해 소설창작의 방법과 정신을 깨닫는데 초점을 둔다.

작가론 Author Studies

중요한 한국현대소설가들의 문학세계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국현대소설의 역사와 현재를 경험하도록 한다.

아동문학실습Ⅰ Children's Literature LessonⅠ

아동문학의 기본 개념과 기초 이론을 이해하고, 아동문학의 주된 흐름을 파악한다. 아동문학의 창작 세계를 맛보고 장르를 선택해서 창작한다.

아동문학실습Ⅱ Children's Literature LessonⅡ

아동문학의 기본 개념과 기초 이론을 이해하고, 아동문학의 주된 흐름을 파악한다. 아동문학의 창작 세계를 맛보고 장르를 선택해서 창작한다.

아동문학실습Ⅲ Children's Literature LessonⅢ

아동문학의 창작을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창작의 실제 과정에서 필요한 능력을 함양한다.

아동문학실습Ⅳ Children's Literature LessonⅣ

아동문학의 창작을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창작의 실제 과정에서 필요한 능력을 함양한다.

Page 9: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한국현대시강독Ⅰ Korea Modern Poetry StudyⅠ

한국 현대시에서 전범이 될 만한 작품들을 선정하여 강독함으로써 한국현대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대시에 대한 독해력과 분석력을 함양한다.

한국현대시강독Ⅱ Korea Modern Poetry StudyⅡ

한국 현대시에서 전범이 될 만한 작품들을 선정하여 강독함으로써 한국현대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대시에 대한 독해력과 분석력을 함양한다.

한국현대소설강독Ⅰ Korea Modern Fiction StudyⅠ

한국 현대소설에서 전범이 될 만한 작품들을 선정하여 강독함으로써 한국현대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대소설에 대한 독해력과 분석력을 함양한다.

한국현대소설강독Ⅱ Korea Modern Fiction StudyⅡ

한국 현대소설에서 전범이 될 만한 작품들을 선정하여 강독함으로써 한국현대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대소설에 대한 독해력과 분석력을 함양한다.

세계문학강독Ⅰ World Literature ReadingⅠ

세계문학 작품 가운데 전범이 될 만한 작품들을 선정하여 강독함으로써 세계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학에 대한 보편적인 독해력을 함양한다.

세계문학강독Ⅱ World Literature ReadingⅡ

세계문학 작품 가운데 전범이 될 만한 작품들을 선정하여 강독함으로써 세계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학에 대한 보편적인 독해력을 함양한다.

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 Literary Criticism & Culture CriticismⅠ

현대의 중요한 미학 이론을 이해하고, 그것을 실제 문학 문화 미디어 비평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비평적 능력을 기른다.

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 Literary Criticism & Culture CriticismⅡ

현대의 중요한 미학 이론을 이해하고, 그것을 실제 문학 문화 미디어 비평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비평적 능력을 기른다.

시창작론 Critical Analysis of Poetry

다양한 시인들의 시를 접해보면서 시 창작의 여러 가지 방식을 추론하고, 작품에 깃든 다양한 시적 사유를 발견한다.

현대시특강 Special Lecture on Modern Poetry

<시창작론>에 대한 심화 학습

대중문학의 이해 Study on Public Literature

대중문학과 장르문학의 개념과 그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의미 있는 대중문학의 사례를 통해 대중문학의 사회적 문학적 의미를 분석하도록 한다. 스토리텔링 연계과정으로서의 기본 소양을 함양한다.

Page 10: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연극 감상 및 비평 Appreciation & Review of Theater

연극의 특성과 표현 방식을 폭넓게 이해하고, 연극 감상과 비평 방법을 길러 미래의 예술 창조자로서의 소양을 기르도록 한다. 연극의 사회적, 역사적, 미적 가치를 능동적으로 찾아내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각 예술 분야에서 어떤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가, 특히 젊은 예술가들의 문제의식을 이해하고 그들의 직업을 분석·비평한다.

영상콘텐츠 감상 및 비평 Appreciation & Review of Video Contents

영상콘텐츠의 특성과 표현 방식의 폭넓은 이해를 통해 작가로서의 소양을 기르도록 한다. 자기만의 시선으로 영상을 분석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도 소통할 수 있는 하나의 글로써 표현하는 능력을 훈련한다.

희곡론 Playwriting Practice

희곡이론 및 분석방법론을 배움으로써 연출가의 시각, 무대예술가의 시각, 배우의 시각, 극작가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각, 관객의 시각 그리고 희곡이 해석되는 동시대인의 시각 등 다방면에서 희곡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익힌다. 극 창작의 기초를 튼튼히 다짐으로써 ‘창조적 예술가를 양성하고 실험적 탐구와 창작 방향을 수립 할 수 있는 안목’을 고양한다.

명작희곡강독 Reading Classic Drama

동서양의 고전희곡 을 희곡작가들의 희곡세계와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희곡작가들이 어떻게 자기세계를 구축해 가는지를 배우고 극작가의 세계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높인다.

캐릭터연구 Character Building

극중 인물을 마치 현실속의 인물처럼 입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칼 구스타프 융의 심리학에서 발전한 MBTI와 애니어그램과 같은 성격유형이론을 통해 ‘내가 아닌 사람’을 쓸 수 있고, 연기할 수 있도록 한다.

취재필드워크 Field Work for Motif Finding

예술에 있어서 표현의 근원은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보편적이고 본능적인 것을 발견하고 그런 인간과 환경을 바라보는 작가적 자세로부터 나온다. 인간에 대한 무한한 흥미를 바탕으로 철저한 “인간탐구”를 통하여 그 결과를 자기만의 캐릭터로 해석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상에 대한 다양한 취재 이론과 접근 방법을 익히고 관찰결과를 바탕으로 필드노트를 작성하는 능력을 기름과 동시에 자료 분석과 그룹별 토론 및 발표를 통하여 향후 창작의 소재를 끌어낼 안목과 기초를 다진다.

희곡창작기초Ⅰ The Foundation of PlaywritingⅠ

소포클래스 이후 베케트에 이르는 극작가들의 작품을 각색하면서 20세기에 걸친 극작의 흐름을 인지하며, 희곡창작의 기초 원리를 익히고 텍스트로서의 글쓰기가 아니라 공간을 구성하는 글쓰기를 익힌다. 즉 무대의 극성에 대한 발견을 유도한다.

희곡창작기초Ⅱ The Foundation of PlaywritingⅡ

희곡창작기로Ⅰ의 심화과정. 극작가로서 희곡이 단지 활자 매체로만 쓰여지는 것이 아니라

Page 11: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는 점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 각자의 작품 주제의 방향을 찾아가고, 작품화 방법론을 터득한다. 매주 대표적 작품들을 연구하며, 연극의 형태와 내용이 현대에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탐구하고, 그 깨달음으로 학생 자신의 비전을 수립한다.

희곡창작연습Ⅰ One Act PlaywritingⅠ

희곡이론에서 터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편의 단막극을 창작, 수정, 보완 개작함으로서 극작의 실제를 체험한다.

희곡창작연습Ⅱ One Act PlaywritingⅡ

희곡창작연습Ⅰ에서 터득한 경험을 바탕으로 단막극을 창작, 수정, 보완 개작함으로서 극작법을 심화시킨다.

아동·청소년극창작연습(캡스톤) Practice in Playwriting for Child and youth(Capstone)

아동·청소년극 전반의 개념에 맞는 극작술, 연극 환경을 탐구하고 연령에 맞는 성장요소와 문제, 욕구 등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함께 탐구한다.

뮤지컬창작기초 Musical Theatre Writing for Beginners

뮤지컬 창작 입문을 위한 커리큘럼이다. 장면(대사)이 어떻게 전개되어 가사와 음악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배우는 것이 주된 취지다. 이를 위해 뮤지컬 넘버의 여러 형태를 배우며 장면 및 가사 구축을 직접 해보는 수업이다. 그 외에도 뮤지컬 작품 하나를 선정하여 분석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며, 북뮤지컬과 컨셉트 뮤지컬의 다른 성향을 살펴보며 '무엇이 뮤지컬적인 소재인가'에 대한 견해를 넓힐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뮤지컬 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협업에 대한 수업 또한 진행한다.

드라마창작기초Ⅰ The Foundation of TV Drama WritingⅠ

TV드라마의 특성을 이해하고 웹을 비롯한 매체 플랫폼의 다변화에 따른 드라마 형식과 내용의 차이를 파악하며, 소재와 주제, 콘셉트와 스토리 라인, 캐릭터와 플롯 등 드라마 창작을 위한 기초 이론과 극본 창작 실습을 통해 드라마 작가로서의 기본 자질을 함양한다.

드라마창작기초Ⅱ The Foundation of TV Drama WritingⅡ

드라마창작기초Ⅰ의 심화과정.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 유형을 탐구하고 TV드라마와 웹드라마의 차별화된 스토리텔링 특성을 익혀 새로운 드라마를 기획 창작한다. 인간과 사회에 대한 작가적 관점으로 독창성이 있으면서도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드라마 극본을 완성한다.

드라마창작연습Ⅰ Script Writing for TV DramaⅠ

TV단막극의 기획안 작성과 극본 집필 실습을 통해, 드라마 극본 창작 이론과 기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킨다.

드라마창작연습Ⅱ Script Writing for TV DramaⅡ

드라마창작연습Ⅰ의 심화과정. TV단막극의 기획안과 대본의 개작, 수정 과정을 통해 드라마 창작 능력을 심화한다.

방송구성연습 Script Writing for Radio

교양, 다큐, 예능, 시사, 라디오 등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 장르 특

Page 12: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성에 맞는 프로그램 기획과 구성 대본 작성 실습을 통해 방송구성작가의 실무 능력을 익힌다.

시나리오창작기초Ⅰ Foundation of screenwritingⅠ

시나리오와 영화에 대한 기초 이론과 영상문법, 스토리 구조와 구성의 방법론 등을 통해 독창적인 시나리오 창작 능력에 대한 비전과 방안을 탐색한다.

시나리오창작기초Ⅱ Foundation of screenwritingⅡ

시나리오창작기초Ⅰ의 심화과정. 시나리오와 영화에 대한 기초 이론과 영상문법, 스토리 구조와 구성의 방법론 등을 통해 독창적인 시나리오 창작 능력에 대한 비전과 방안을 탐색한다.

시나리오창작연습Ⅰ Practice in Scenario WritingⅠ

한편의 시나리오를 창작, 수정, 보완, 개작함으로서 시나리오 창작의 전 과정에 대한 실제적 경험을 갖게 한다.

시나리오창작연습Ⅱ Practice in Scenario WritingⅡ

시나리오창작연습Ⅰ의 심화과정. 한편의 시나리오를 창작, 수정, 보완, 개작함으로서 시나리오 창작의 전 과정에 대한 실제적 경험을 갖게 한다.

시창작세미나Ⅰ Poetry Writing SeminarⅠ

시적 사고력과 표현 능력 발전

시창작세미나Ⅱ Poetry Writing SeminarⅡ

<시창작세미나Ⅰ>에 대한 심화 실습

소설창작세미나Ⅰ Fiction Writing SeminarⅠ

소설창작에 대한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한 토대 위에서, 실제로 완성도 높은 소설 작품을 창작하고 이를 발표함으로써, 창작학습의 단계를 마무리한다.

소설창작세미나Ⅱ Fiction Writing SeminarⅡ

소설창작에 대한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한 토대 위에서, 실제로 완성도 높은 소설 작품을 창작하고 이를 발표함으로써, 창작학습의 단계를 마무리한다.

비평세미나Ⅰ Literary Critique SeminarⅠ

현대예술과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비평이론들을 습득하고 현대예술을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비평세미나Ⅱ Literary Critique SeminarⅡ

현대예술과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비평이론들을 습득하고 현대예술을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문학과 정신분석Ⅰ Literature & PsychologyⅠ

문학과 심리학과의 이론적 상관관계를 고찰하고, 문학작품에서의 심리학적·정신분석적 분

Page 13: 문 예 학 부 - seoularts.ac.kr · 전선06264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Ⅰ312전선06265문학비평과 문화비평Ⅱ312 전선06187시창작론 22전선06192현대시특강

석 방법에 대한 이해력을 높인다.

문학과 정신분석Ⅱ Literature & PsychologyⅡ

문학과 심리학과의 이론적 상관관계를 고찰하고, 문학작품에서의 심리학적·정신분석적 분석 방법에 대한 이해력을 높인다.

출판편집기획실습 Publishing Editing Planning Practice

출판의 매체로서의 특수성과 역할, 기능을 이해하는데 역점을 두고, 편집 진행 과정, 제작과정을 실습함으로서 실무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희곡창작실습Ⅰ Advanced PlaywritingⅠ

한편의 단막극, 또는 장막극을 수준 높은 작품이 되도록 완성시킨다.

희곡창작실습Ⅱ Advanced PlaywritingⅡ

희곡창작실습Ⅰ의 심화과정. 한편의 단막극, 또는 장막극을 수준 높은 작품이 되도록 완성시킨다.

아동·청소년극창작실습(캡스톤) Advanced Playwriting for Child and youth(Capstone)

아동극창작연습의 심화과정 과목이다. 아동극을 필요로 하는 연극 환경을 공부하고, 아동·청소년극의 정의와 소재 범위의 한계에 도전한다. 또한 동시대에 걸맞는 문제의식과 높은 스토리 밸류를 가진 이야기는 무엇인지를 찾아간다.

드라마창작실습Ⅰ Advanced Script Writing for TV DramaⅠ

단막극과 장편드라마의 형식과 내용의 차이를 이해하고, 보다 긴 드라마 작품의 기획에 도전한다. 기획안 작성과 극본 집필 실습을 통해 드라마창작 실무 능력을 강화한다.

드라마창작실습Ⅱ Advanced Script Writing for TV DramaⅡ

드라마창작실습Ⅰ의 심화과정. 동시대 사회의 이슈와 트렌드를 파악하여 대중성과 작품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드라마를 기획하고 극본의 수정 보완을 거듭해 경쟁력 있는 작품을 완성한다.

방송구성실습 Advanced Script Writing for Radio

방송구성연습의 심화과정.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 기획, 구성안 작성, 내레이션 집필 등 심화 단계의 실습 교육을 실시하며, 현역작가와 제작자의 특강, 현장 실습 등을 통해 구성작가로서의 경쟁력을 키운다.

시나리오창작실습Ⅰ Advanced Scenario WritingⅠ

영화작가로서의 문제의식과 영화 창작의 사회적 의미를 상기하며, 대중적 재미와 사회문화적 의미를 갖춘 시나리오를 기획 창작한다.

시나리오창작실습Ⅱ Advanced Scenario WritingⅡ

시나리오창작실습Ⅰ의 심화과정. 질적 수준이 높은 시나리오를 완성해 영화 작가로서의 경쟁력을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