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 Seoul National...

40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Transcript of Disclaimer - Seoul National...

Page 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

사 논

베이킹소다 구강 효과

2014 5월

울 원

과 과 공

조 재

Page 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

베이킹소다 구강 효과

지도 일

이 논 사 논 출함

2014 5월

울 원

과 과 공

조 재

조 재 사 논 인 함

2014 6월

원 장 (인)

부 원 장 (인)

원 (인)

원 (인)

원 (인)

Page 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

20 후 에 들어 많 연구에 베이킹소다 합 가

염 억 , 면 균막 거 생 억 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 고

있다. 이 연구는 일 인 불소 실리카 합 여 새 운

베이킹소다 합 구취, 염 억 , 택도 개 마

모도를 보 여, 임상시험연구에 자 동 18-40

인 82명 탈락자 9명 외 73명(남 32명, 여 41명) 상

다. 연구 상자들 천일염 합 며 베이킹소다 함량 0%인

조군과 35%베이킹소다 합군 65%베이킹소다 합군 집단

나 었다.

집단 간 , 연 , 주낭, 면 균막지 출 지

차이가 없도 당 며, 각 집단 평행 계(Parallel design)에

라 실험 상자 조사자는 상자가 어느 군에 속 는지 지 못 는

이 맹검 진행 다. 실험 시작 14일 Baseline 검사를 해

모든 자에게 가 면 균막 거 거 실시 고 2

주 동 조군 를 사용 도 다. 실험 시작

일에 구강검사 함께 당 집단에 맞는 실험 조 를

다시 부 고, 45일 후 90일에 각각 내원 도 여 구취,

택도, 면 균막 도 출 지 를 평가 다.

또 면조도 우식병소가 없는 우 부 를 택

여, 면 부를 내경 10 mm 원 시편이 도 삭

며, 편 면 내경 20 mm 크릴 몰드에 진 이용 여 매몰

후, 상 질이 노출 지 편 면 냉각 공 에 silicon

carbide paper를 이용 여 80-2000 grid 지 단계 연마 다.

Page 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4

50개 시편 여 동일 경도 조도를 지닌 시편 47개를 집

단 실험 군과 증 군에 각각 여 잇솔질 후 면조도

차이를 다.

실험결과 다 과 같 결 얻었다.

1. 베이킹소다 합 는 45일부 게 구취억 효과가 있었다.

90일 사용 시에는 차이가 없었 며, 군간 차이는 나타나

지 다.

2. 65%베이킹소다 합 는 90일 이후부 실험시작일과 여

택도 개 효과를 보 다.

3. 65%베이킹소다 합 는 조군에 해 염에 억

효과가 있었 나, 35% 베이킹소다 합 여

염 억 효과는 없었다.

4. 모든 군에 면 균막 도 억 효과를 보 나,

군간 차이는 없었다.

5. 베이킹소다 합 는 조군 증 시 마모가 거

없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요어 : 베이킹 소다, , 염, 택도, 구취

번 : 2010-31221

Page 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5

목차

국 .............................................................................................................. 3

I. ................................................................................................................. 7

II. 연구 경 ........................................................................................................ 9

1. 구강 경 리용품 역사 ..................................................................... 9

2. 분과 효능......................................................................... 10

1) 마 ........................................................................................... 10

2) ........................................................................................... 10

3) 결합 ........................................................................................... 11

4) 보습 ........................................................................................... 11

5) 향미 ........................................................................................... 11

6) ........................................................................................... 11

3. 본작용과 부가작용 ......................................................... 12

1) 본작용 ........................................................................................ 12

2) 부가작용 ........................................................................................ 13

III. 연구 상 법 ..................................................................................... 14

1. 실험 상자 ............................................................................................ 14

2. 연구 상 .................................................................................. 15

3. 연구 법 ............................................................................................... 16

1) 연구일 행내용 ................................................................. 16

2) 구강 내 구취 법..................................................................... 17

3) 택도 .......................................................................... 18

4) 출 지 평가 ...................................................................... 18

5) 면 균막 도 평가 ............................................................. 18

6) 면조도 ...................................................................... 19

7) 통계 분 .................................................................................. 20

IV. 연구결과 .................................................................................................... 21

1. 경과 시간별 구취 감소효과 ............................................................... 21

1) H2S(hydrogen sulfide) 감소효과 ............................................ 21

2) CH3SH(methyl mercaptan) 감소효과 .................................... 21

2. 경과시간별 택도 변 량 ......................................................... 22

3. 경과시간별 출 지 변 량 ..................................................... 23

4. 경과시간별 면 균막 도 변 량 ............................................ 24

5. 계 실험 후 면조도 변 량 .............................................. 25

V. 고 .............................................................................................................. 26

VI. 결 ............................................................................................................ 33

참고 헌 ............................................................................................................ 34

Abstract ........................................................................................................... 37

Page 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6

목차

Table 1. Age and gender of subjects by experimental groups ........ 15

Table 2. Main components of dentifrices by groups......................... 16

Table 3. Concentration of H2S by groups during 90 days (parts per

billion) .................................................................................... 21

Table 4. Concentration of CH3SH by group during 90 days (parts

per billion) ............................................................................. 22

Table 5. Change of tooth surface gloss by group during 90 days .. 22

Table 6. Reliability of gloss guide ....................................................... 23

Table 7. Change of gingival bleeding index during 90 days ............ 24

Table 8. Change of plaque maturity index during 90 days .............. 24

Table 9. Baselines hardness, surface roughness, and surface

roughness after toothbrushing by groups .......................... 25

그림목차

Figure 1. Difference of H2S reduction by groups during 3 months. 26

Figure 2. Difference of gingival bleeding index during 3 months ... 28

Figure 3. Difference of plaque maturity index during 90 days........ 29

Figure 4. Reliability of Glossguide ...................................................... 30

Figure 5. Difference of surface roughness by groups ...................... 31

Page 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7

I.

(dentifrice)는 ‘ (dens)’ ‘ 지르다(fricare)’란 용

어에 생 1), 미용효과 쾌 향 달 해 개

시작 여2), 근에는 우식증이나 염 등

분들 합 다양 종 들이 시 고 있다.

면에 생 는 면 균막 외인 착색 효과 거

해 , 25~60%가 도 이 마 를 합 다3). 에 가

장 리 사용 마 는 침강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CaCO3;

precipitated)과 인산칼슘(dicalcium phosphate, CaHPO4;

anhydrous), 인산칼슘(calcium pyrophosphate, Ca2P2O7) 등 사

용 고 있 며2), 그 외에 불용 타인산소다(sodium metaphosphate,

NaPO3; insoluble) 인산일 소칼슘(dicalcium phosphate, dehydrate,

CaHPO4·2H2O) 등 사용 도 다. 근에는 규산(silica)이나

산 규소(silicon oxide) 산 루미늄(aluminum oxide) 등 색

또는 명상 를 조 여 사용 도 다.

베이킹소다(sodium bicarbonate; NaHCO3)는 19 부 를 깨

이 는데 사용 어 며, 낮 마모도 불소 결합

효과를 가시 주는 구 요소 사용 게 었다4). 베

이킹소다 작자인 Church Dwight는 보다 나 구강건강

해 베이킹소다 사용 극 권장 다2). 베이킹소다가 포

함 는 면 균막 감소, 염 감소, 착색 거 구취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 고 있다5,6). 20 후 에 들어 많 논 들

이 베이킹 소다 가 염 억 , 면 균막 거 생 억

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 다7-10). 특히, 베이킹 소다 는

Page 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8

염 억 는 것 리 있다4).

베이킹소다 는 불소 이 있는 산 산규소(hydrated

silica)를 사용 고 있다. 인산칼슘이 포함 베이킹소다 는 법랑

질 결손부 에 미 랄 침착 도 고, 번 우식 료 취 인

거 면과 택도를 개 시키는 것 보고 고 있다11). 그러

나 우리나라에 는 직 지 베이킹소다 합 효과를 체계

연구 보고가 거 없는 실 이다. 이에 본 연구에 베이킹소다 합

구취, 염 억 , 택도 개 , 면 균막 억

마모도 도를 보고자 다.

Page 1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9

II. 연구 경

1. 구강 경 리용품 역사

일 칫솔질 양 구강병인 우식증과 주질 조

있는 법 있다. 고 부 랍인들 ‘Miswak’ 또는

‘Siwak라고 불리는 향 나 를 며 구강청결 지했었다12).

이 나 가지는 우식증 도 불소농도는 낮 나, 면

균막 거 고 를 택 는 효능이 있었다13). 18 국에

인 칫솔과 사 구강용품이 개 었다14). 이 칫솔

에 손상 주고 사이에 낀 이 질 거 있었 며 직진

손잡이 칫솔모 돼지 사용 다.

편 는 칫솔이 개 이후에 청결 구강 여 사

용 시작 다12). 특히 1857 매가 본격 시작

었다2). 는 상자나 캔에 나 어 포장 분말 태가 일 이

었 며, 상자에는 분 담 고, 캔에는 과 향미 를 합

담 다. 이 분말 는 1940 지 매 었다3). 재는

리 상이 크림인 크림 가 가장 리 쓰이고 있다.

분 마 가 가장 많 부분 차지 고 있 며, 이 인해 면에

생 는 외인 착색 거 는 심미 효과 면 균막 거 는

구강 생청결효과가 생 다. 이 크림 는 납튜 가 개 면

조, 매 시작 다. 그러나 2차 계 동 납 공 부족

가격상승 라스틱 튜 를 사용 가 개 었다. 결국 튜

가격이 인 고 용 자인 변 가 다양해짐 써, 분말

는 속히 크림 어갔다3).

Page 1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0

2. 분과 효능

늘날에는 주 크림 를 사용 고 있 며, 크림 주

분 마 , , 결합 , 보습 등 4가지이다3).

1) 마

마 는 면에 부착 면 균막 깨 게 거 고

면 택 게 여 면에 지20)를 낮추고, 면 균막 재 이 쉽

게 이 지지 도 는 분이다15). 이 마 는 주 분

, 함량이 25~60%가 게 합 다. 마 를 합 지 체

를 사용 는 사람 약 90%에 면 균막이 부착 다고 보고

다3). 마모 마 고 경도, 입자 크 모양에

해 결 다2).

2)

는 를 깨 게 지 여 만들어 에 는

인 이다. 거품작용 칫솔질 분리 면 균막

잔사들이 효과 겨 내 갈 있게 다2). 또 는 면장

감소시 작용 증가시킨다3). 재는 sodium

lauryl sulfate(이 SLS)가 가장 리 사용 다. SLS는 약간 항균

과 낮 면장 산도에 우 동 가진다2). 그러나

근에는 SLS가 구강 막 자극 여 구강 내를 건조 게 거나, 구취

를 있다고 근거들이 나 고 있 며16,17), 이에 라 SLS가

합 지 들이 시 고 있다.

Page 1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1

3) 결합

리 질이 다른 질 합해 놓 면, 시간이 경과 면 다시

분리 다. 결합 는 크림 에 합 구 분이 시간이 경과 는

과 에 분리 는 이러 상 막도 합 는 질 지칭 다3). 모

든 결합 는 근본 이드 써, 에 분 결합

에 합 다. 늘날에는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같

합 분 분산 룰 스 도체나 합 복합 colloidal magnesium

aluminum silicate가 결합 에 많이 합 고 있다.

4) 보습

보습 란 크림 가 건조 는 상 지 여 합 는

질 말 다3). 즉 가 계속 습 상태 지 도 는 능

, 과거에 벌꿀 보습 에 첨가 나, 늘날 리 린이

나 솔 톨 보습 에 합 다. Glycol 용 보습

합 경우 균과 곰 이가 증식 있 에 sodium benzoate 같

부 를 첨가 도 다.

5) 향미

요 특 냄새 색 들 있다. 이러 것

결 는 분이 향미 이다2). Spearmint, peppermint, wintergreen

cinnamon 등이 향미 써 에 좋고 지속 인 맛 공 다.

6)

에 가장 리 첨가 는 우식 재 불소를 들 있 며,

Page 1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2

이를 통해 우식증 억 있다2). 우리나라에 시 에 매

는 불소가 합 97% 거 부분 가 이

에 해당 다18).

또 면 균막 염 조 여, 트리클

잔 클 르헥시 포함 도 다. 근에는 미 효과를 해 과산

거나 강 마모 를 도 다. 다만 이러 품들 사용

시에는 모 (balck hairy tongue)이나 지각과민증 마모 등

부작용이 나타날 있 므 주 를 요 다2)

3. 본작용과 부가작용

1) 본작용

작용

는 합 를 이용 여 에 부착 식 잔사에 침

여 시키고 부 시킴 써 작용 다3). 즉 과

부착 사이에 스며들어가, 부착 에 분리시키고, 부

분산시킴 써 작용 나타내는 것이다.

연마작용

이 는 달리 연마작용 에 합 마 를 이용 여 면

깨 게 고 택시 면 균막이 쉽게 지 게 는 것

이다. 연마작용 작용과 같이 작용 여 주 사용목 인

면 깨 고 생 만드는 효과를 달 게 만든다.

Page 1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3

2) 부가작용

리 면 균막 조 이 주 능 써 칫솔질 보조 는 것이

본 인 목 이다. 다만 불소나 항 염 재를 에 포함

시 면 균막 조 는 능도 있 며, 근에는 이러

경향이 욱 강 고 있다.

특히 노출 근면 인해 통증 느끼는 지각과민증 조

해, potassium nitrate나 strontium chloride sodium citrate 등

합 가 시 고 있다2,19).

이외에 미 능 강 해 과산 소 첨가 거나 구취

거를 능 들이 시 고 있다.

Page 1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4

III. 연구 상 법

1. 실험 상자

이 연구는 헬싱키 언 원 에 여 행 었 며, 울

원 임상실험연구 리 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에 해 승인 다(IRB number. S-D20120010).

심 주질 이 없고 건 거나 약간 출 만 보이는 사람

연자만 상 다. 상 양 택도를

에 부에 라미 이트나 라믹 크라운과 같 보철 이 없는 사

람 시 며, 면 균막 도를 에 면 균막 지

가 Turesky modified Quigley and Hein Plaque Index(TQPHI; 2tone

disclosing solution, Young dental manufacturing, USA)20)에 해 1.5

이 이며 본 실험에 동 자를 실험 상자 다. 승인 연구 리

원회 공고 상자 모집 실시 고 82명 지원자

다 과 같 자는 실험 상에 외시 다.

<실험 상 외자>

1. 출 지 에 향 미 있는 연, 임신, 항생 복용

3주 스 링 진자

2. 연구 리 상 즉시 구강진료를 야 자, 료 야 우식

병소가 3개 이상 존재 또는 심 주질 보 자

3. 타 분 약 복용자, 또는 장 를 장착 자

4. 상 양 , 견 , 1 구 에 라미 이트 또는 보철

이 장착 어 있는 자

Page 1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5

이 상자 외요인에 해당 지 는 상자는 73명이었 며,

연구도 탈락자는 없었다. 실험 상자 특 Table 1과 같이 연

18~39 이고 남 이 32명 43.8%를 차지 다. 집단 간에

별이나 연 에 른 없었다.

Table 1. Age and gender of subjects by experimental groups

Group

Age Gender

N mean s.d. P-value*

male female P-value**

frequency %

frequenc

y %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24 26.58 4.91

0.881

10 41.7 14 58.3

22 26.91 3.68 10 45.5 12 54.5 .964

27 27.19 4.10 12 44.4 15 55.6 *Calculated by ANOVA **Calculated by Chi-square method

2. 연구 상

연구 상자들 천일염 합 일 를 사용 는 베이킹소

다 함량 0%인 조군과 35% 베이킹소다 합 실험군 65% 베

이킹소다 합 군 집단 나 었 며, 각 집단별

주 분 Table 2 같다. 조군 마 는 루미나트리 이드

이트 며, 35% 베이킹소다 합 군과 65% 베이킹소다 합

군 모 베이킹소다를 마 사용 다.

Page 1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6

Table 2. Main components of dentifrices by groups

Group Main components (%)

Control group

Sodium bicarbonate (0%), Monofluorosodium phosphate

(0.75%), Tocopherol acetate (0.2%),

Cetylpyridium chloride (0.05%), α-alumina

trihydrate(20%)

35% Baking soda group Sodium bicarbonate (35%), Sodium fluoride (0.22%),

Hydrated silicon dioxide (10%)

65% Baking soda group Sodium bicarbonate (65%), Sodium fluoride (0.2%)

3. 연구 법

평행 계에 이 맹검임상실용연구(Randomized double-blinded clinical

trial with parallel design) 계 었 며, 실험 상자 조사자는

상자가 어느 군에 속 는지 지 못 는 이 맹검 진행 었다. 90일

간 구취, 택도 개 , 염, 면 균막 도 평가를 시행 며,

각 집단 험자 모 90일 동 매일 지 주스(High Calcium

Orange Juice, Woongjin Cor., Korea)를 10ml 2회 마시도 다.

1) 연구일 행내용

본 실험 (baseline) 2주 wash-out 해 상자들

에 면 균막 착색 를 도포 후 거 가 면 균막

거 실시 다. 조군 를 지 여 2주 동

매일 3회 평소 칫솔질 법 도 며, 임상실험에

명 동 를 다.

Wash-out날 부 2주 후 지 를 회 고, 당

군에 맞는 를 다시 부 다. 변 구취, 면 균막

도, 출 지 택도를 다. 실험시작일 부

지 주스를 10ml 2회 식 도 2주 분량 지 주스를 지

Page 1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7

다. 우식 병소 같 부작용 탐지 해 2주마다 구강검진

실시 다. 실험시작일 부 45일 후 다시 같 임상변 를

고, 그 부 45일 후(실험시작일 부 90일 후)에 마지막 임상변 를

다.

2) 구강 내 구취 법

구취는 용 황 구(Gas Chromatography)

일종인 Oral Chroma(CHM-1, ABILIT Cor., Japan)를 사용 여

다. 공복상태 내원 사람 상 Oral Chroma를 사용 여

다 과 같 구취를 다

Oral Chroma를 시작 30분 에 원에 연결 여 열 는 편,

구강내 황 합 모 여 연구 상자는 소

1분간 입 다 게 다. Oral Chroma 용 시린지를 연구 상자가

입 이 고 가볍게 입 다 게 며, 가 시린지에 닿지 도

다. 연구 상자 여 시린지를 통해 람 불거나 공 를 입

지 못 도 여, 1분 후 시린지 스톤 고 당 는 동작 2회

복 여 시린지 잔여가스를 없 다 , 가스주입침 시린지에

고 시린지 내 가스를 0.5㎖만 남 고 나 지는 버리고, Oral Chroma

본체 가스주입구에 채취 가스를 주입 후, 이 가스주입침

본체 가스주입구 에 닿 지 삽입 여 시린지 가스를 단번

에 주입 다. 그 후 신 이 나고 자동 시작 며,

후, 스톤 손가락 른 채 시린지를 빼낸 다 , 8분 후에

나 결과를 다.

본 실험에 는 구강 내 주 구취인자인 H2S CH3SH만 상

며 신질 이 가 생 는 구취인자인 (CH3)2S는

Page 1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8

외 다21). 구취 실험시작일, 45일 후, 90일 후 각각 동일

법 다.

3) 택도

상 (#11,21)를 거즈 깨 게 닦 후에 Stuzenberger

등22)에 glossguide를 이용 여 면 택도를 다. 이 법

사람 를 택도 나열 고 가장 깨 고 택이

있는 를 6 놓고 가장 부식이 많이 어 거 고 택도가

낮 는 1 놓 다. 간 는 요시 산에 짧 시간 담가

부식시키거나 rubber cup에 해 면연마를 실시 다.

인 에 놓 택도를 며 택도가 glossguide 간값에

경우 0.5 놓 며, glossguide 신뢰

해 실험 간에 사진 험자 부 사진 후 이

이미지를 이용 여 48시간 억상실 시간간격 고 택도를 복

여 다.

4) 출 지 평가

상 좌우 , 견 , 1 구 (#16, 13, 11, 21, 23, 26, 46,

43, 41, 31, 33, 36)를 상 훈 자가 CPI Probe( ,

PWHO, 국)를 근심 면, 면 , 원심 면, 근심 면, 면 , 원

심 면 주낭에 집어 어 10 후 각각 부 출 존재

를 다

5) 면 균막 도 평가

부 는 상 좌우 , 견 , 1 구 (#16, 13, 11, 21,

Page 2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19

23, 26, 46, 43, 41, 31, 33, 36) 이었다. 면착색 (2tone

disclosing solution, Young dental manufacturing, USA)를 도포 후

푸른 색 띄는 면 균막 지 TQPHI20) 를 이용 여 면 균막

지 를 산출 다.

<Turesky modified Quigley and Hein Plaque Index20)>

0: 면 균막 없

1: 경부에 과 같 면 균막 존재

2: 경부에 얇게 연속 태 1mm미만 면 균막 존재

3: 1mm이상보다 나 경부 1/3에 면 균막 존재

4: 경부 1/3 어 며 2/3를 지 는 면 균막 존재

5: 2/3를 어 는 면 균막 존재

6) 면조도

우식병소가 없는 우 부 를 택 여, 면 부

를 내경 10 mm 원 시편이 도 삭 다. 편 면 내경 20

mm 크릴 몰드에 진 이용 여 매몰 후, 상 질이 노출

지 편 면 냉각 공 에 silicon carbide paper를 이용 여 80-

2000 grid 지 단계 연마 여 다. 임상실험에 사용

집단 외에 증 군 포함 여 4가지 슬러리를 사용 다. 증 군

외 나 지 군 25 g과 증 40 ml를 30분간 합

여 슬러리를 조 여 이용 다.

3열8 직 평강모단면칫솔((주) 랑, WD237, 국) 동칫솔

질 에 놓고, 각각 실험 상 조 슬러리에

히 잠 도 조 후, 평 복행 10,000회 칫솔질 여

공 이 주사 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Page 2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0

CLSM; Carl Zeiss, LSM-5 Pascal, Germany) 이용 여 면조도를

다. 2축 심 여 50 개 연속 이미지를 1um 간격

얻 후 Software Topology 능 면조도를 다.

7) 통계 분

각각 변 는 변 량 경우 t검 이용 고, 집단 간

는 ANOVA를 이용 여 분 다. Glossguide 신뢰도분

시에는 내 간일 도(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

여 분 다.

Page 2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1

IV. 연구결과

1. 경과 시간별 구취 감소효과

1) H2S(hydrogen sulfide) 감소효과

90일 동 집단 간 H2S 변 추 는 Table 3과 같이, 조군

경우 H2S농도가 실험시작일에 54.79, 45일 후 22.50, 90일 후 81.21

었 며, 35%베이킹소다 합군에 는 실험시작일에 78.45, 45일

후 13.23, 90일 후 30.95이었다. 65% 베이킹소다 합군 실험시작일

에 57.63, 45일 후 10.22, 90일 후 41.67이었다. 35% 베이킹소다 합

군 45일과 65% 베이킹소다 합군 45일에 실험 후

차이가 찰 었 며, 다른 항목에 는 결과가 찰 지 다.

Table 3. Concentration of H2S by groups during 90 days (parts per billion)

Group baseline 45 days 90 days

mean s.d. mean s.d. mean s.d.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54.79 76.46 22.50 30.37 81.21 141.29

78.45 130.64 13.23* 34.57 30.95 44.60

57.63 83.76 10.22* 15.86 41.67 64.15 *P<0.05 paired t-test from baseline

2) CH3SH(methyl mercaptan) 감소효과

90일 동 집단 간 CH3SH 변 추 는 Table 4 같이, 조

군 경우 CH3SH가 실험시작일에 11.37, 45일 후 5.58, 90일 후 9.83

었 며, 35% 베이킹소다 합군에 는 실험시작일에 7.41,

Page 2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2

45일 후 5.36, 90일 후 7.64 었다. 65% 베이킹소다 합군에

는 실험시작일에 6.41, 45일 후 2.37, 90일 후 6.78 었다. 모

든 항목에 결과가 찰 지 다.

Table 4. Concentration of CH3SH by group during 90 days (parts per billion)

Group Baseline 45 days 90 days

mean s.d. mean s.d. mean s.d.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11.37 28.80 5.58 13.39 9.83 35.68

7.41 19.92 5.36 14.22 7.64 11.29

6.41 18.94 2.37 10.05 6.78 20.40

2. 경과시간별 택도 변 량

90일 동 집단 간 택도 변 추 는 Table 5 같이,

조군 경우 택도가 실험시작일에 4.07, 45일 후 4.03, 90일 후

4.35 었다. 35% 베이킹소다 합군에 는 실험시작일에 4.35,

45일 후 4.23, 90일 후 4.59이었 며, 65% 베이킹소다 합군에 는 실

험시작일에 4.06, 45일 후 4.34, 90일 후 4.78이었고, 65% 베이킹소다

합군 90일에 만 차이가 찰 었 며, 다른 항목에 는

결과가 찰 지 다.

Table 5. Change of tooth surface gloss by group during 90 days

Group Baseline 45 days 90 days

mean s.d. mean s.d. mean s.d.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4.07 1.33 4.03 1.32 4.35 1.21

4.35 1.06 4.23 1.12 4.59 .73

4.06 1.42 4.34 .97 4.78* .80 *P<0.05 paired t-test from baseline

Glossguide 신뢰 분 결과는 Table 6과 같다. Glossguide를 사

용 여 48개 부 를 간내 상 계(intra-class

Page 2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3

correlation coefficient: ICC) 2번 검사 결과는 0.886(95% 신뢰구

간: 0.797-0.936)이었다.

Table 6. Reliability of gloss guide

Comparisons before

3 3.5 4 4.5 5 5.5 6 total ICC

after 3 2 0 0 0 0 0 0 2 0.886 (0.797-0.936)

3.5 0 0 1 0 0 0 0 1

4 0 0 7 1 5 0 0 13

4.5 0 0 2 10 2 0 0 14

5 0 0 0 2 6 2 0 10

5.5 0 0 0 0 0 1 0 1

6 0 0 0 0 2 2 3 7

total 2 0 10 13 15 5 3 48

3. 경과시간별 출 지 변 량

90일 동 집단 간 출 지 변 추 는 Table 7과 같이,

조군 경우 출 지 가 실험시작일에 1.92, 45일 후 5.46, 90일

후 6.46 었다. 35% 베이킹소다 합군에 는 실험시작일에

2.00, 45일 후 5.18, 90일 후 4.36이었고, 65% 베이킹소다 합군에

는 실험시작일에 3.56, 45일 후 5.00, 90일 후 4.48이었 며, 조군

45일과 90일 35% 베이킹소다 합군 45일 90일에 이

찰 었다. 65% 베이킹소다 합군 조군과 군간 차이를 보

다.

Page 2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4

Table 7. Change of gingival bleeding index during 90 days

Group Baseline 45 days 90 days

mean s.d. mean s.d. mean s.d.

Controla

35% Baking sodaa,b

65% Baking sodab

1.92 1.89 5.46* 4.93 6.46* 6.69

2.00 2.53 5.18* 3.95 4.36* 3.79

3.56 4.29 5.00 4.70 4.48 4.65 *P<0.05 paired t-test from baseline a,bDifferent characters mea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Schffe post-hoc

analysis

4. 경과시간별 면 균막 도 변 량

90일 동 집단 간 면 균막 도 변 추 는 Table 8과 같

이 조군 경우 면 균막 도가 실험시작일에 15.58, 45일 후

8.21, 90일 후 7.96 었다. 35%베이킹소다 합군에 는 실험

시작일에 13.32, 45일 후 5.77, 90일 후 4.14이었고, 35%베이킹소다

합군에 는 실험시작일에 11.52, 45일 후 5.22, 90일 후 3.85이었 며,

모든 집단에 후 45일과 90일에 차이가 찰 었 며,

집단 간 결과가 찰 지 다.

Table 8. Change of plaque maturity index during 90 days

Group Baseline 45 days 90 days

mean s.d. mean s.d. mean s.d.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15.58 12.55 8.21* 6.59 7.96* 8.13

13.32 8.20 5.77* 6.76 4.14* 4.53

11.52 11.56 5.22* 8.80 3.85* 4.77 *P<0.05 paired t-test from baseline

Page 2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5

5. 계 실험 후 면조도 변 량

경도, 면거 칫솔질 후 면거 차이값

Table 9 같다. 경도는 조군에 52.84, 35%베이킹소다 합군

에 52.92, 65%베이킹소다 합군에 53.19, 증 군에 53.20

었다. 면거 는 조군에 0.67, 35%베이킹소다 합군

에 0.68, 65%베이킹소다 합군에 0.64, 증 군에 0.68이었고,

칫솔질 후 면거 는 조군에 3.91, 35%베이킹소다 합군에

1.11, 65%베이킹소다 합군에 0.74, 증 군에 1.45이었다.

항목들 집단 간에 차이는 견 지 다.

Table 9. Baselines hardness, surface roughness, and surface roughness after

toothbrushing by groups

Group Baseline hardness Baseline surface roughness

Surface roughness

after toothbrushing

N mean s.d. P-value* mean s.d. P-value* mean s.d.

Controla 12 52.84 9.18

.999

.67 .09

.888

3.91 1.99

35% Baking sodab 12 52.92 8.74 .68 .15 1.11 .59

65% Baking sodab 11 53.19 9.04 .64 .08 .74 .21

Distilled waterb 12 53.20 8.45 .68 .16 1.45 2.25

*Calculated by ANOVA

a,bDifferent characters mea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Schffe post-hoc analysis (P<0.001)

면거 차이는 조군에 3.24, 35%베이킹소다 합군에

0.44, 65%베이킹소다 합군에 0.10, 증 군에 0.77 었

다. 조군 면조도변 는 다른 집단 면조도변 다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Page 2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6

V. 고

Brunette 23)과 Wild 등24) 베이킹소다 분이 구취를 이는데 효과

이라고 보고 고 있다. 구강 내 불쾌 냄새를 시키는 주 분

황 합 (volatile sulfide compounds) 구취 생 분

약 90%를 차지 다21).

Figure 1. Difference of H2S reduction by groups during 3 months

본 연구에 처 45일 동 조군과 35%베이킹소다 합군 65%

베이킹소다 합군 모 주염 생 는 구취인자인 H2S농도가

Figure 1과 같이 게 감소 는 것 나타났다. 45일 간 H2S

차이는 35%베이킹소다 합군 경우 -65.23, 65%베이킹소다 합군

경우 -47.41 나타나 실험시작일에 해 차이가 있었다. 그러

나 H2S CH3SH에 모 90일 군간 차이를 나타내지 못

다.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baseline 45 days 90 days

ppb (

part

s per

billion)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Page 2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7

이는 임상실험 인 여 험자에게 모 구강 깨 이 동

부여가 었 에 실험 간 지는 있게 칫솔질 나, 실험

후 부 가면 결국 본래 구강 생습 돌 간 것 사료

었다. 구취 경우 많 편향요인(bias factor)들이 향 미

에, 보다 게 베이킹 소다 구취억 효과를 는 것이

요 다고 사료 었다

Kleber 등25) 5% 베이킹소다를 합 껌 인 칫솔질과 함

께 작시 경우 염과 면 균막지 모 게 감소 것

보고 다. 본 연구에 는 염지 출 지 를 사용

다. 65% 베이킹소다 합군 경우 출 지 차이는 45일 간

1.44, 90일 간 0.93인데 해 조군 경우 출 지 차이는 45

일 간 3.54, 90일 간 4.54 계산 었다. 즉, 65%베이킹소다 를

사용 집단 실험시작일 실시 가 면 균막 리 효과가

지속 지 어 염 생 이 억 데 해, 조군 경우 지속

염지 가 상승함 찰 있었다. 이 차이는 통계

도 조군과 65%베이킹소다 합군 간 차이를 보 다. 라 베

이킹소다 함량이 많 염 억 효과가 강해지는 것 사료

었다(Figure 2).

Page 2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8

Figure 2. Difference of gingival bleeding index during 3 months

다만 면 균막 도는 군간 차이가 나타나지 다. 조

군에 는 면 균막 도 차이가 45일 간 -7.37, 90일 간 -7.63

이었고, 35%베이킹소다 합군에 면 균막 도 차이는 45일

간 -7.55, 90일 간 -9.18이었다. 65%베이킹소다 합군 면 균막

도 차이는 45일 간 -6.30, 90일 간 -7.67이었다(Figure 3). 군

내에 실험시작일에 해 모든 집단에 면 균막 도가 게

감소 는 경향 찰 있었다.

0

2

4

6

8

10

baseline 45 days 90 days

gin

giv

al in

dex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Page 3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29

Figure 3. Difference of plaque maturity index during 90 days

2004 Munoz 등 칼슘과 인산 베이킹소다를 합 는

택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 다. 이 연구에 는

113명 건강 를 지닌 인이 참여 며, 실험 간 동 매일

산 주스를 마시게 다. 90일 후 택도 면거 는

게 향상 것 찰 었다(P<0.0001). 이는 체외실험에 도 베이킹

소다 에 포함 인산과 칼슘이 부식 부 를 복시

를 재 시키는 효과를 보여 결과 사 다26)

이러 결과는 본 실험에 베이킹소다 함량이 높 65% 베이킹소

다 합군에 90일 동 택도 향상이 있는 결과 일

다(P=0.002). 다만 군간 에 차이를 견 어 웠

다. Munoz 등11) 임상시험이나 체외실험 결과처럼 군간에 도

차이를 보이지는 나, 이는 임상시험에 통 지

동변 들에 결과 사료 었다. 게다가 Munoz 등11)이 사용

Glossguide는 Sturzenberger 등22)에 해 개 법이나 재 지

일 사용 는 법이 니 에 택도 향상 경향

0

10

20

30

40

50

baseline 45 days 90 days

pla

que m

atu

rity

index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Page 3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0

볼 있었 나 사용 glossgide에 라 달라질 있

것 사료 었다.

다만 본 실험에 glossguide 신뢰 평가 해 내상 계

를 이용 여 0.886(95% 신뢰구간: 0.797-0.936) ICC값 얻었다

(Figure 4). ICC값이 0.75~0.80 사이는 우 신뢰도 간주 고 있

다27). 라 본 연구에 쓰인 glossguide는 택도를 평가 는데

합 다고 볼 있었다.

Figure 4. Reliability of Glossguide

본 연구 임상실험에 험자들에게 90일 동 매일 2회 10ml

지 주스를 식 게 다. 이것 Munoz 등11) 연구 법과 같

이 험자들 부식 료 취를 것이었다. 90일 동

실험결과 지각과민 우식병소 견 등 부작용 소

험자는 없었다. 라 건강 면 가진 험자에게는 매일 2회

도 부식 료 취는 에 가 없는 것 사료 었다.

CLSM 이용 여 면거 는 베이킹소다가 합

경우 증 사 면 조군 를 슬러리 사용 여 칫솔

Page 3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1

질 마모를 시행 결과 증 베이킹소다 를 사용 군보다

게 면거 가 증가 는 결과를 보여 (Figure 5), Munoz 등11)

연구결과 일 다. 조군 면조도변 는 다른 집단 면

조도변 다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베이킹소다 합

마모도가 거 없는 것 인 있었다.

Figure 5. Difference of surface roughness by groups

본 연구는 택도나 면 균막 도 등 임상연구에 찰

어 운 지 를 사용 다는 에 가 있었다. 그러나 법에

효 에 연구들이 요 것 사료 다. 특히 택도

경우 Sturzenberger 등22)과 Munoz 등11) 외에 효과를 임상

평가 경우는 없었다. 라 본 실험에 사용 법과 같

glossguide validity 작 법에 상 연구가

요 것 보 다.

베이킹소다 합 는 염억 마모 지면에 매우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 군간 차는 보이지 나, 면 균

-2

-1

0

1

2

3

4

5

6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Distilled

water

Ra

Control

35% baking soda

65% baking soda

Distilled water

Page 3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2

막 억 , 택도 향상, 구취억 에 게 사용 에

여 효과가 있는 것 나타났 며, 이러 효과는 베이킹소다 합

이 높 강 게 나타났다. 베이킹소다 는 구강건

강 향상시키는데 우 효능 가진 것 사료 다.

Page 3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3

VI. 결

베이킹소다 합 구취, 염 억 , 택도 개

마모도 도를 보 해, 73명 연구 상자를 천일염 합 일

를 사용 조군과 35% 베이킹소다 합 를 사용 집

단과 65%베이킹소다 합 를 사용 집단에 평행 게 당 고,

45일과 90일 동 각각 구취, 택도, 면 균막 도

출 지 를 평가 다 또 47개 우 상 질 시편에 임상실험

집단에 사용 는 증 를 슬러리 사용 여 칫솔질에

른 면조도변 를 분 여, 다 과 같 결과를 얻었다.

1. 베이킹소다 합 는 45일부 게 구취억 효과가 있었다.

90일 사용 시에는 차이가 없었 며 군간 차이는 나타나

지 다.

2. 65%베이킹소다 합 는 90일 이후부 실험시작일과 여

택도 개 효과를 보 다.

3. 65%베이킹소다 합 는 조군에 해 염에 억

효과가 있었 나, 35%베이킹소다 합 여

염 억 효과는 없었다.

4. 모든 군에 면 균막 도 억 효과를 보 나,

군간 차이는 없었다.

5. 베이킹소다 합 는 조군 증 시 마모가 거

없었다.

Page 3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4

참고 헌

1. Mosby. Mosby's Medical Dictionay 8th ed.: Elsevier; 2009.

2. Norman OH, Franklin G-G, Christine NN. Primary Prventive

Denstiry 7th ed. New Jersey: PEARSON; 2009:145

3. 종 , 진, 일, 신승철, 장 , 진 외. . 5 .

울: 고 사; 2008:256-277

4. Hefferren JJ. Historical view of dentifrice functionality

methods. J Clin Dent 1998;9:53-56.

5. Ghassemi A, Vorwerk LM, Hooper WJ, Putt MS, Milleman KR.

A four-week clinical study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 baking soda dentifrice and an antimicrobial

dentifrice in reducing plaque. J Clin Dent 2008;19:120-126.

6. Putt MS, Milleman KR, Ghassemi A, Vorwerk LM, Hooper WJ,

Soparkar PM, et al. Enhancement of plaque removal efficacy

by tooth brushing with baking soda dentifrices: results of five

clinical studies. J Clin Dent 2008;19:111-119.

7. Shibly O, Ciancio SG, Kazmierczak M, Cohen RE, Mather ML,

Ho A,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hydrogen

peroxide mouth rinse,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 and

mouth moisturizer on oral health. J Clin Dent 1997;8:145-149.

8. Kleber CJ, Moore MH, Nelson BJ. Laboratory assessment of

tooth whitening by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s. J Clin Dent

[Article] 1998;9:72-75.

9. DeVizio W, Petrone M, Volpe A, Mankodi S, Stone C, Petrone

D. Anticalculus efficacy of a tartar control dentifrices

containing sodium bicarbonate and calcium peroxide. J Dent

Res [Meeting Abstract] 1996;75:3302-3302.

10. Buchanan S, Taggart EJ, Armitage G, Hoover CI, Robertson P,

Newbrun E. Effect of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 and root

planing o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J Dent Res [Meeting

Abstract] 1986;65:271-271.

11. Munoz CA, Stephens JA, Proskin HM, Ghassemi A. Clinical

efficacy evaluation of calcium, phosphate, and sodium

bicarbonate on surface-enamel smoothness and gloss.

Compend Contin Educ Dent 2004;25:32-39.

12. Hirschfeld I. The toothbrush: its use and abuse: Henry

Kimpton; 1939

13. Hattab FN. Meswak: the natural toothbrush. J Clin Dent

1997;8:125-129.

Page 3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5

14. Golding PS. The development of the toothbrush. A short

history of tooth cleansing. Part 1. Dent Health (London)

1982;21:25-27.

15. Busscher H, White D, van der Mei H, Baig A, Kozak K.

Hexametaphosphate effects on tooth surface conditioning film

chemistry--in vitro and in vivo studies. J Clin Dent

2002;13:38-43.

16. Rantanen I, Jutila K, Nicander I, Tenovuo J, Soderling E. The

effects of two sodium lauryl sulphate-containing toothpastes

with and without betaine on human oral mucosa in vivo. Swed

Dent J 2003;27:31-34.

17. Ahlfors EE, Dahl JE, Lyberg T. The development of T cell-

dominated inflammatory responses induced by sodium lauryl

sulphate in mouse oral mucosa. Arch Oral Biol 2012;57:796-

804.

18. 지 , 이재 , 경, 경, 진범. 울산 역시민

불소 합 사용 . 구강보건 회지 2003;27:149-155.

19. Schiff T, Mateo LR, Delgado E, Cummins D, Zhang YP, DeVizio

W. Clinical efficacy in reducing dentin hypersensitivity of a

dentifrice containing 8.0% arginine, calcium carbonate, and

1450 ppm fluoride compared to a dentifrice containing 8%

strontium acetate and 1040 ppm fluoride under consumer

usage conditions before and after switch-over. J Clin Dent

2011;22:128-138.

20. Turesky S, Gilmore ND, Glickman I. Reduced plaque formation

by the chloromethyl analogue of victamine C. J Periodontol

1970;41:41-43.

21. 일, 신승철, 조자원, 장연 , 이명국. 구취조 법. 울:

퍼시 북스; 2011:13-49

22. Sturzenberger OP, Beiswanger BB, King JD. Method for the

clinical evaluation of enamel polish. J Dent Res 1975;54:931-

937.

23. Brunette DM. Effects of baking-soda-containing dentifrices

on oral malodor. Compend Contin Educ Dent Suppl

1997;18:S22-32; quiz S46.

24. Wild JE, Nelson BJ, Hubbard ME, Bowman JP. Oral malodor

control afforded through the use of sodium bicarbonate-

containing chewing gum. Compend Contin Educ Dent

2001;22:43-46.

25. Kleber CJ, Putt MS, Milleman JL, Davidson KR, Proskin HM.

An evaluation of sodium bicarbonate chewing gum in reducing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in conjunction with regular

toothbrushing. Compend Contin Educ Dent 2001;22:4-12.

Page 3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6

26. Munoz CA, Feller R, Haglund A, Triol CW, Winston AE.

Strengthening of tooth enamel by a remineralizing toothpaste

after exposure to an acidic soft drink. J Clin Dent 1999;10:17-

21.

27. Poulsen S, Budtz-Jorgensen E, Knudsen AM, Nielsen L,

Kelstrup J. Evaluation of two methods of scoring denture

plaque. Acta Odontol Scand 1983;41:283-286.

Page 3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7

Abstract

Oral cleansing effect of sodium bicarbonate

Cho Hyun-Jae, BS, DDS, MSD

(Directed by Prof. Paik Dai-Il , DDS MSD, PhD)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Social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objectives of this clinical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s for reducing oral

malodor, gingivitis and improvement of tooth gloss, compared to a

conventional fluoride/silica-containing dentifri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Helsinki Declaration. Ethical clearance of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IRB number. S-D20120010).

Healthy adult volunteers (N=73) between 18 and 45 year olds of

ages, who had more than 20 teeth, were selected, and randomly

allocated to control, 35% baking soda group, and 65% baking soda

group. This study was double 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by

Page 3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8

paralleled design.

Professional plaque controls were provided for all subjects, and

used same control dentifrice during 14 days. At baseline, all

subjects received assigned dentifrice and, were instructed to brush

three times everyday. Oral malodor, tooth gloss, plaque maturity

index, and gingival bleeding index were measured at baseline, 45

days, and 90 days respectively.

For measuring surface roughness, toothbrushes was set to

electronic toothbrushing machine, and made it horizontal shuttle

movement 10,000 times on the bovine specimen. In this experiment,

control, 35%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 65%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s, and distilled water were used as slurries.

To prepare the dentifrice slurries, 40 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25 g of each dentifrice. All slurries were used shortly after

preparation and 30 min after vigorous mechanical stirring to prevent

particle settling.

Each variable was analyzed by paired t test and each variable

change among groups was analyzed by ANOVA. Reliability of gloss

was analyzed b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oral malodor in

both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 groups during 45 day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among groups.

2. 60%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tooth gloss during 90 days, although no

Page 4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219/1/000000021938.pdf · 이 베이킹 소다 세치제가 치은염 억제, 치면세균막 제거 및

39

significant improvement during 45 days.

3. 60%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 group ha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gingivitis than control. 35%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 group had no inhibitory effect on

gingivitis than control.

4. All dentifrices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n

maturity of plaque,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5. The relative tooth abrasivity of the dentifrices of both sodium

bicarbonate dentifrice groups were very low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distilled water group.

Keywords: sodium bicarbonate, baking soda dentifrice, gingivitis,

gloss, oral malod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