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ian Norberg-Schulz · - 1 - 석사 3학기 박선영 2014.05.08 Christian Norberg-Schulz...

26
- 1 - 석사 3학기 박선영 2014.05.08 Christian Norberg-Schulz (1926~2000,Oslo) Norwegian architect, architectural historian and theorist. 1926년 노르웨이 오슬로 출생 1949년 스위스 연방공과대학 졸업 그 후 하버드대학과 로마에서 바로크 건축을 연구 1964년 트론하임 공과대학에서 박사학위 취득 1966년 오슬로 주립학교 교수 1974년 MIT에서 가르침 He edited (1963–78) the architectural journal Byggekunst, 초기 저작(60년대): 분석 심리학적 문제 후기 저작(80년대): 하이데거의 “Building Dwelling Thinking” 건축이론에 처음으로 하이데거 생각(현상학)을 가져왔다. Giedion, Gropius, and Mies van der Rohe 의 영향 1952년 기드온의 영향으로 그는 PAGON (Progressive Architects Group Oslo Norway)를 설 립하기도 했으며, 오슬로 인근에 엄격한 그리드 체계의 three glass-and-steel houses 를 디 자인 했다. (Eames and Mies van der Rohe 영향) 슐츠는 전통적 구조와 지역 재료의 사용 vernacula 건축 등의 가치를 강조. 그러나, Jencks's 「The Language of Post-Modern Architecture (1977)」 지지:새로운 표현의 가능성으로 인식 CIAM의 Modern Movement 문화지지 등으로 인해 역경에 빠져 고립 1) 1990년 그는 다시 포스트 모던을 얄팍하고 어리석다고 선언하고 다시 그의 주요 모더니즘 이론으로 돌아왔다. 「Principles of Modern Architecture」는 그가 죽기 전 출간 되었다. 1) 출처: http://www.encyclopedia.com/doc/1O1-NorbergSchulzChristian.html

Transcript of Christian Norberg-Schulz · - 1 - 석사 3학기 박선영 2014.05.08 Christian Norberg-Schulz...

- 1 -

석사 3학기 박선영 2014.05.08

Christian Norberg-Schulz (1926~2000,Oslo)

Norwegian architect, architectural historian and theorist.

1926년 노르웨이 오슬로 출생

1949년 스위스 연방공과대학 졸업

그 후 하버드대학과 로마에서 바로크 건축을 연구

1964년 트론하임 공과대학에서 박사학위 취득

1966년 오슬로 주립학교 교수

1974년 MIT에서 가르침

He edited (1963–78) the architectural journal Byggekunst,

초기 저작(60년대): 분석 심리학적 문제

후기 저작(80년대): 하이데거의 “Building Dwelling Thinking”

건축이론에 처음으로 하이데거 생각(현상학)을 가져왔다.

Giedion, Gropius, and Mies van der Rohe 의 영향

1952년 기드온의 영향으로 그는 PAGON (Progressive Architects Group Oslo Norway)를 설

립하기도 했으며, 오슬로 인근에 엄격한 그리드 체계의 three glass-and-steel houses 를 디

자인 했다. (Eames and Mies van der Rohe 영향)

슐츠는 전통적 구조와 지역 재료의 사용 vernacula 건축 등의 가치를 강조.

그러나, Jencks's 「The Language of Post-Modern Architecture (1977)」 지지:새로운 표현의

가능성으로 인식

CIAM의 Modern Movement 문화지지 등으로 인해 역경에 빠져 고립1)

1990년 그는 다시 포스트 모던을 얄팍하고 어리석다고 선언하고 다시 그의 주요 모더니즘

이론으로 돌아왔다. 「Principles of Modern Architecture」는 그가 죽기 전 출간 되었다.

1) 출처: http://www.encyclopedia.com/doc/1O1-NorbergSchulzChristian.html

- 2 -

현상학 Phenomenology

현상학은 20세기 초반에 후설, 하이데거, 사르뜨르, 메를로-퐁티 등에 의하여 제창 되었다.

이들 네 명의 철학자 중 시기적으로 가장 먼저 시작했던 훗설은 무엇보다도 인식을 문제로

삼으며 경험주의의 인식론과 자연과학이 주장하는 객관적인 진술에 대하여 에포케 epoche2)

즉 판단 중지 를 선언하며 의미화 되지 않은 절대적인 앎의 명증성을 찾고자 하였고 이로

인하여 현상학적 환원을 시도하였다. 이에 반해 하이데거는 기존의 형이상학 과는 달리 존

재 그 자체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 존재론’ 이라 할 수 있다.3)

표1. 현상학의 유형별 분류4)

4장 현상학

1. 후설과 인식

a. 명증성의 추구

b. 의미대상과 초험적 자아

c. 상호주관성

2. 하이데거와 존재학

a. 존재의 문제

b. 인간 존재

c. 존재와 시

3. 사르트르와 실존주의

a. 실존과 자유

b. 자기기만

c. 타인과의 관계

d. 개인과 사회

4. 메를로-퐁티와 지각

a. 인식

b. 언어

c. 야생적 존재

d. 예술적 진리5)

2) 고대 그리스의 회의론자(懷疑論者)들이 쓰던 용어. 원래는 ‘멈춤’ 또는 ‘무엇인가를 하지 않고 그대로 둠’을 의미하는 말, E.후설은 이 에포케를 자신의 현상학적 환원(現象學的還元)의 방법을 표현하는 말로 사용하였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에포케 [epoche] (두산백과)

3) 박선영,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개념을 적용한 난지도 자연체험 전시관 디자인 계획”, 숭실대 학사논문, 2008, p.6.

4) ibid...p.6.

5) 박이문, 「현상학과 분석철학」, 지와 사랑, 2007. 목차

- 3 -

Martin Heidegger (1889-1976) 독일

그리스 신전은 아무런 대상도 모사하고 있지 않다. 그것은 수 많은 틈이 떡 벌어져 있는 바위 계곡 가

운데 서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신전은 신의 모습을 숨겨 간직하고 있으며, 그 숨겨진 간직 속에서

열려진 주랑을 통해 그것을 성스러운 영역 가운데로 드러내고 있다·········

신전은 거기 있음으로써 자기 둘레에 비로소 처음으로 탄생과 죽음, 저주와 축복, 승리와 굴욕, 존립과

몰락이 운명의 형태로 인간 본질에게 다가오는 모든 길과 관계를 통일적으로 결합하고 모아 들인다.

이 열려진 관계들의 압도적 진폭(die waltende Weite)이 바로 역사적 민족이 거주하는 세계(Welt)다.

그곳에 선 채 신전은 그 위를 내닫는 폭풍에 맞섬으로써 비로소 폭풍이 그 자신의 위력 속에 나타나

도록 한다. 대리석의 광택과 빛은 얼핏 태양의 은총에만 의한 것 같지만 동시에 낮의 빛과 그 하늘의

너비와 밤의 어두움을 비로소 나타나게 한다.

이러한 출현(Herauskommen)과 발현(Aufgehen) 자체 또는 그 전체를 그리스 인들은 일찍이 퓌시스라

불렀다.

대지는 모든 발현하는 것들이 그 자체로 되어 발현하면서 되돌아가는 그곳을 말한다. 모든 발현하고

있는 것들 가운데서 대지는 스스로를 감추면서 간직하는 것(das Bergende)으로 현존한다.6)

슐츠는 「Theorizing a new agenda for architecture:An Anthology of Architectural Theory 1965–1995」 책

chapter 9 Heidegger’s Thinking on Architecture p.429. 에서 위의 하이데거의 글을 인용하고 있다.

<그림1.> 그리스 신전7)

6) M. 하이데거, 예술작품의 근원, 예전사, 1996, PP.48-50.

7) ibid...p.49.

- 4 -

Writing

- Intentions in Architecture, MIT Press, Cambridge, Mass., 1963.

-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Praeger Publishers, London, 1971.

- Baroque Architecture, H. N. Abrams, 1972.

- Late Baroque and Rococo Architecture, 1973.

- Meaning in Western Architecture, Rizzoli, New York, 1974.

- Genius Loci, Towards a Phenomenology of Architecture, Rizzoli, New York. 1980.

- Modern Norwegian Architecture, Norwegian University Press, Oslo, 1986

- New World Architectur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New York, 1988.

- Concept of Dwelling, Rizzoli, New York. 1993.

- Nightlands. Nordic Building, MIT Press, Cambridge, Mass., 1997.

- Architecture: Presence Language Place, Skira, Milan, 2000.

- Principles of Modern Architecture, Andreas Papadakis Publishers, London, 2000.

Roots of Modern Architecture, A.D.A EDITA, Tokyo, 1988.

1. Intentions in Architecture, MIT Press, Cambridge, Mass., 1965.

건축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과, 그 상호간의 논리적인 상관관계를 지적

‘Intentions in Architecture’ use liguistics, perceptual(Gestalt) psychology, and phenomenology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theory of architecture. It appeares just before Robert Venturi’s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8)

2.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Praeger Publishers, London, 1971

實存 · 空間 · 建築, 김광현 역, 태림문화사, 1985년

프랑스의 구조주의, Noam Chomsky의 언어학에 근거한 기호학적 접근, Christopher

Alexander에 의한 building task 분석방법, Robert Venturi 와 같이 형태이론의 쇄신을 목적

으로 하는 이들....... 이러한 상황을 의식하는 가운데,

건축공간:建築空間의 문제에 관한 새로운 접근법 제시,

1) 건축적 공간: 환경에 관한 쉐마(Schulz는 이 용어를 환경에 대한 전형적인 반응·태도로 정의하고 있다.

Intentions in Architecture p.41) 또는 이미지가 인간 보편적인 세계-내-존재 의 필연적 부분을 이

룬다고 생각 이를,

===> “실존적 공간” 이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전개하려 한다.

따라서, 건축의 전체성을 이해하는 하나의 단순하면서도 유익한 열쇠를 설정했다고 믿는다.

8) Kate Nesbitt ed, 「Theorizing a new agenda for architecture:An Anthology of Architectural Theory 1965 – 1995」,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6, p.412.

- 5 -

1. 공간의 개념공간의 체계

건축이론에서의 공간개념

건축적 공간과 실존적 공간

2. 실존적 공간

실존적 공간의 요소

중심과 장소

방향과 통로

구역과 영역

요소의 상호작용

실존적 공간의 단계

지리

경관

도시적 단계

주거

기물

단계의 상호작용

결론

3. 건축적 공간

건축적 공간의 요소

장소와 결절점

통로와 축선

영역과 지역

요소의 상호작용

건축적 공간의 단계

경관

도시적 단계

주거

단계의 상호작용

결론

역자후기

참고문헌

색인

3. Genius Loci, Towards a Phenomenology of Architecture, Rizzoli, New York. 1980.

In classical Roman religion a genius loci was the protective spirit of a place.

장소의 정령

- 6 -

Meaning in Western Architecture, Rizzoli, New York, 1974. 서양건축의 본질적 의미, 정항섭·윤재희 역, 세진사, 1984년 1쇄, 1999년 7쇄.

Contents

Preface

1. Egyptian Architecture

2. Greek Architecture

3. Roman Architecture

4. Early Christian Architecture

5. Romanesque Architecture

6. Gothic Architecture

7. Renaissance Architecture

8. Mannerist Architecture

9. Baroque Architecture

10. Enlightenment

11. Functionalism

12. Pluralism

Meaning, Architecture and History

Selected Bibliography

Index

Picture Credits

Preface

건축은 구체적 현상이다. 그것은 경관, 정주지, 건물, 그리고 특징적인 articulation으로 이루

어져 있다. 먼 옛날부터 건축은 인간을 도와서 그의 실존을 의미 있게 만들었다.

실존적 의미들은 자연적, 인간적, 그리고 영적spiritual 현상들로 부터 유래하며, 질서와 성격

으로 경험된다. 건축은 이러한 의미들을 공간적 형태로 바꾼다. 건축은 의미심장한(상징적)

형태들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오늘날 인간은 구체적 현상으로서의 건축의 재정복에 대한 절박한 필요를 느끼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 7 -

Meaning, Architecture and History

□ Existence, Meaning and Symbolism: 실존, 의미 그리고 상징주의

인간과 세계에서의 그의 위치

“인간의 불확실한 성격” man’s indeterminate nature

동물 vs. 인간

동물: 특수화된 구조와 기능, 어떤 동물도 그 종의 수준에 머무름

인간: 적응성과 융통성으로 자신의 기능을 발전시킬 능력을 지님

동물에게 학습은 부차적인 역할, 인간은 다른 사람의 도움과 자체 행위(학습)을 통해 실존적

발판을 획득.

그렇다면 인간은 자연이 제공하지 않는 발판과 주체성을 어떻게 획득하는가?

- 추상화 하고 일반화 하는 능력

- 현상들 사이의 유사성과 관계들을 인식하는 능력

- 자연 및 인간 과정의 지배 법칙들을 발견하는 능력

현상들의 연속적 흐름으로부터 추상하는 것은 그의 실존적 의미들의 구성요소가 된다.

What he abstracts from the continuous flow of phenomena contitutes his existential meanings.

1. 추상화, 일반화, 귀납:induction 능력은 인간 기본의 본능

2. 의미에 대한 경험은 인간 기본의 요구

즉, 성장한다는 것은 의미들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

귀납의 발전(개인의 성장 기간 동안 발전)

a. 한 살의 유아: 대상들의 영구적 개념과 공간 내에서 자신의 움직임에 대한 관념을 이미

지니고 있다.

b. 1년 6개월 유아: 추상이 가능해질 정도로 언어가 능숙해진다.

- 8 -

1) 상징의 기본 목적=인간의 귀납을 보존

인간의 추상화, 일반화 하는 능력에 필수적인 보완물:complement 을 형성

lt is, in fact, the basic purpose of any kind of symbol to conserve the inductions of man, and the

symbolic function forms a necessary complement to man’s faculty of abstraction and

generalization.

인간의 여하한 산물은 자신과 환경 사이의 관계에 질서를 주려는 목적의 상징과 도구로 간

주, 말에 의하지 않은 행동은 말에 의한 행동과 마찬가지로 구조화된 상징체계들에 의존.

Any human product may be considered a symbol or tool which serves the purpose of bringing

order(meaning) into certain relations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and nonverbal behaviour

is just as dependent upon structured symbol system as verbal behaviour.

상징체계들이 함께 취해지면 우리가 문화라 부르는 공통질서를 형성하게 된다.

문화에의 참여는 지각(경험)과 묘사(표현)을 통해 누구든 그 상징의 사용방법을 안다는 것을

의미

개인적 발전과 문화적 발전 사이의 대응:parallelism 이것은 인간 발전에 있어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문화와 정신성은 실존의 상호의존적 양상이다.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인간의 자유”란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으로 결정된 가능성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선택하고 주어진 문화에 기여하는 것.

2) 인간 정신능력의 발전

- 최초의 산만한 지각===> 명료한 경험들

- 혼합적 상징주의 ===> 순수하고 편견이 없는 것

원시인과 어린이

원시적 정신의 삶에는 주체와 객체간의 비교적 ‘제한된 구별’ limited differentiation에 의해

특징 지워 지기 때문에 주체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 얽매인다.(tied)

이 단계에서 지각된 사물은 살아있는 것처럼 보인다.(appear animate)

ex) Magdalenian:마들렌기(서유럽 약 17,000~12,000년 전 구석기의 최종기) 의 동굴 벽화

이미지의 존재를 죽임으로서 실제 존재물 자체에도 똑같이 그것이 실현된다고 믿었기 때문

에 성공적인 사냥을 기대했다.

- 9 -

라스코lascaux동굴 내 벽화 9)

3) 정신적 활동의 진보와 갈등

진보

구체적인 지각(감각)-운동신경의 행동들로 부터 분리된 형태

지각 영역의 명료한 체계화 및 복잡한 개념상의 분류에 바탕

순수한 가능성의 세계를 연다.

- 의식적 선택과 계획에 의해 행동 가능

-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

- 구별과 체계적 통합에 있어 동시적 증대를 의미

갈등

원시적 지각이 논리적 모순을 융합하는 반면, 합리적 사고는 명백한 진실 표현을 목표하지

만, 이것들에 의해 얻어진 지식의 댓가 는 실존을 의미심장한 전체의 자발적으로 경험하는

능력에 상대적 손실을 가져온다.

갈등의 해결: 상징체계의 분화

a. 묘사적: (과학과 철학)

진보된 추상화, 일반화를 통한 유효한 이해를 목표

b. 비 묘사적: (예술과 종교)

자연 및 인간 생활에 내재적:inherent 과정과 전체를 파악하려는 시도

실존적 의미들이 인간 생활에 임의로 첨가되는 그 무엇이 아니라는 사실이 강조되어야 한

다. 그것은 또한 내재적이다. 따라서 공간과 시간에서 어느 정도 불변성을 지니는 성분을 포

함한다.

9)http://va312aslifilis.wordpress.com/2010/10/11/magdalenian-art-system-and-cave-painting/

- 10 -

articulation을 이루고 있는 상징을 지각할 때, 인간은 자신의 개별적 존재를 자연 및 인간적

차원들의 복합체에 관련시킴으로서 그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를 경험하게 된다.

경험된 의미들은 처음부터 실존적 공간의 구성요소 이며 이것은 인간 행위의 틀을 형성

□ Space, Character and Architecture: 공간, 특성, 그리고 건축

실존공간의 개념은 인간의 여하한 행동도 공간적 양상을 지닌다는 사실에 바탕

1) 공적인 실존공간

많은 수의 사적 실존공간에 속하는 가장 안정된 공통 성질들에 의해 구성

2) 사적인 실존공간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한 정신적 발전 중 구성

결과적으로, 이미지는 의미심장한 대상들 사이의 3차원적 관계들의 상태로 형성

Q. 이러한 견해라면 아이들이 그리는 ‘집’의 묘사나 그림도 이미 그 아이가 구성한 사적인 실존공간의 발현으로 보

는 것인가?

3) 모든 실존공간

원시적 상징주의의 원형적 관계들에 관련: 어린이와 원시인 사이의 밀접한 유사성

-성격-

1) Piaget의 형태심리학

유아의 공간: 각기 단일의 행위에 중심을 둔 공간들의 수집

최초의 위상: 位相 근접, 분리, 연속, 영속, 내 외부 의 관계

2) 케빈린치

중심과 장소:근접

방향과 통로:연속

면적과 영역:폐쇄

정위:orient 하기 위해 인간은 이같은 관계들을 파악 할 필요가 있는 반면, 기하학적 구조들

은 보다 고급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 훨씬 뒤에 발전

3) 중심의 관념: 원시 실존공간의 기본 요소로 간주될 수 있음

의미가 명백해지는 장소는 사실상 중심이다.

세계의 창조는 하나의 중심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도시들의 건물 역시 한

중심 주위에 발달해야 한다.

처음부터 중심은 인간에게 미지의 무서운 주변세계에 대조적인 알려진 것을 의미한다.

- 11 -

장소는 주변의 외부에 대조적인 내부로 경험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해 비교적 작아

야 한다.

알려진 장소들의 제한된 크기는 자연히 유심적:centralized form 형태에 조화된다. 따라서 장

소는 기본적으로 원형round이다.

상-하, 전-후, 좌-우, 신체 그 자체가 육체적 좌표체계 근원

수직: 공간의 신성한 차원 “세계의 축”

수평: 인간의 구체적 행동세계: 모든 수평 방향 동등

인간이 지닌 가장 단순한 실존적 공간 모델=>수직축에 의해 관통된 수평면

4) 통로: 모든 경우에서 통로는 인간 실존의 기본성질을 나타낸다.

Vers une architecture(1923)에서 일찌기 Le Corbusier는 통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음과 같이 기술

했다: “축(軸)은 아마도 최초의 인간표현이다; 그것은 모든 인간행동의 수단이다. 아장아장 걷는 어린이

는 축을 따라 움직이고, 삶의 폭풍우에서 분투하는 인간은 스스로 축을 추적한다.”(영어판, London

1924, p.173)

실존공간의 구성요소들

장소들place, 통로들path, 영역들domain 은

실존공간의 구성요소들이며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환경-

1) 실존공간의 환경차원들

a. 경관:Landscape

b. 인간 정주지의 도시차원:urban dimension of human settlement

c. 단일 건물들 buildings

- Landscape

자체 구조적 성질들에 의해 결정된 일정한 용량capacity를 가지며 물리적-실제적 조건들에

관계될 뿐 아니라 경관의 형태들에 의해 나타나진 의미들과도 관련된다.

- settlement

인간 발판이 미지의 환경에서 안전한, 알려지고 안락한 세계로 인식되는 주된 성질은

단일성, 동일함의 증명 가능성이다.

도시구조 역시 Kevin Lynch에 의해 연구되었듯이 내부조직을 포함한다.

- 12 -

- buildings

주거: 어디엔가 있고자 하는 기본적인 욕구

하이데거는 “건물”, “주거”, 그리고 “존재”를 나타내는 독일어들이 공통의 어원을 지닌다고

지적, :“우리가 거주할 능력이 있을 경우에만 건설할 수 있다.....주거는 실존의 기본성질이다.”

-성격-

1) “성격들”

“어디엔가 있다는 것”은 위치 이상의 것을 의미, = 장소, 통로, 영역들의 성격과 동일

어떠한 의미도 특별한 장소에서 드러나며, 그 장소의 성격은 이 드러난 사실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실존적 의미들은 “성격들” 로서 나타난다.10)

2) “질적인 개념들” qualitative concepts

성격 전체의 비 묘사적 상징화에 의해 드러나며 슐츠는 이것을 질적인 개념이라 부른다.

이것은 대상들의 모든 기본적인 차원들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의미와 그 물리적 표현들에 관

계한다.

질적인 개념들에 도달하는 최고의 방법은 비 묘사적(예술, 종교적) 상징주의의 역사 연구를

통해서

2) 건축적 구체화에 종속된 세 범주

a. 자연적 natural

재료의 성질, 방위 및 태양의 진로등 과 같은 큰 규모의 현상, 장소의 개별적 성질들로 구성

b. 인간적 human

인간의 행동과 상호작용, 남성 및 여성과 같은 기본 범주, 개성의 유형, 상호 관련된 특성들

로 구성

c. 영적 spiritual

자연 및 인간적 현상들로부터 추상적 개념으로 신앙 및 가치들에 관계

(자연적, 인간적, 영적 성격)은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대상들에 관련되지만, 전자는 후자로

몰아넣어 질 수 없고 의미들의 표현들로서 혼합적 범주들이다.

ex) 하이데거의 주전자 분석 인용

“쏟아지는 물에는 수원이 거한다.” In the poured water dwells the source

(땅, 바위, 하늘, 비, 등 수원의 물에는 하늘과 땅 등.)

10) H.Sedlmayr, Epochen und Werke Ⅰ(Vienna, 1959), p.9. 슐츠 인용.

- 13 -

“퍼붓는 재능은 주전자의 주전자 다움 이다.” The gift of the pouring is the jugness of the jug.

주전자의 성격에 하늘과 땅이 존재한다.

1) 건축적 성격의 결정인자

진짜이거나 허구의 구조에 의해 표현되는 “힘의 작용”

2) 건축가의 과제

의미심장한 성격을 지닌 장소를 만들어 내는 것

성격의 차원 없이 모든 차원은 우리가 지도map를 통해서만 아는 단순 추상개념에 머물기

때문

3) 환경의 성격

고대 이래 환경의 성격은 genius loci 혹은 “장소의 정령” (spirit of place) 으로 인식되었고,

심지어 오늘날에도 Lawrence Durrell은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 “당신이 여러 나라의 술, 치즈, 그리고 성격들을 음미하면서 유럽을 서서히 알게될 때, 당신은 여하한

문화의 중요한 결정인자는 결국 장소의 정령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11)

4) 건축

건축은 실존공간의 구체화

건축은 전체(인간-환경)를 구성하는 공간관계 및 성격들을 표현하는 상징체계다.

But,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은 마무리 된 완벽한 이미지를 거의 만들어 내지 않고 통상 모

순을 포함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실존공간은 소망:Wishes 과 꿈:dream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소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인간은 환경을 변화 시키려고 노력한다.

그러므로 환경에 대한 인간의 관련은 변화에 대한 소망은 물론 적응adaptation에 있으며 건

축 작품들의 해석은 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원형Rudimentary의 건축 상징체계는 원시적 초기 문명에서 발견

최초의 진정 통합되고 발전 가능성 있는 체계: 고대 이집트 세계 :서양문화의 원형들 중 특

히 중요한 역할

11) L. Durrell, Spirit of Place(London and New York, 1969), P.156.

- 14 -

언어가 융통성 있는 의미 전달을 참작 하듯이 유사한 건물들이 다른 장소에 건설될 때 상징

적 형태들의 추상화 와 특수한 의미가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문화의 전파가 가능해진다.

Q. 이전까지 슐츠의 견해에 따른다면 이것은 문화의 전파가 아니라 “문화의 이식” 이라고 말해야 하지

않을까?

원형적 해결책이 특별한 대지에 의해 직접 결정되지 않을 때, 이것이 비록 원래 자연현상의

경험들로 부터 생겨난 형태라 할지라도 이것은 인공의 환경 man-made을 만들어 낸다.

When the archetypal solution is not directly or totally determined by the particular site, this

produces a man-made or artificial milieu; although the forms employed originally might stem from

the experience of natural phenomena.

따라서, 건축 상징체계는 인간이 지구 어디에 있든지 의미심장한 환경을 경험하도록 허용하

며 이렇게 하여 그가 실존적 발판을 발견하도록 도와준다.

The architectural symbol system, thus, allows man to experience a meaningful environment,

wherever he might be on earth.

□ The History of Architecture: 건축의 역사

건축역사는 건축 상징체계의 발전과 사용을 묘사하기 때문에 그것은 문화사의 일부분을 형

성한다. 또한 그것은 실존적 가능성들의 역사가 된다.

실존공간의 구체화로서의 건축론을 기초로,

문화발전에 대한 개인 작품의 공헌을 이해하는 일 중요

문화발전이 세계의 발전과 행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선택 가능성들이 증대된다

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 가능

이 조사의 목표는

a. 건축형태를 일련의 실존적 의미들의 구체화로 보는 해석으로 결론 지으려는 것

b. 건축을 역사, 문화와 관련해 평가하려는 것

따라서 기본적 상징화의 정의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의도 되었고 그 요소들이 높은 추상

의 차원에서 건축언어를 형성하는데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묘사하기 위해 의도되었다.

- 15 -

- 기본 상징적 형태들이 명백한 Gestalt 성질을 소유

- 지방 특유 건축은 물리적 조건과 필요사항에 반영이 아니라 상징체계의 두드러진 성질들

- 지방 특유 건축=기념비적 건물: 공통의 뿌리= 똑같은 상징적 기능에 이바지

but, 진정한 차이는 기념비적 건축이 지방 특유 건축보다 높은 차원의 추상을 나타내는 것

건축역사는 개인의 심리적 발전과 유사하다

-중세: 새로운 “영적” spiritual 차원이 두각

-르네상스, 바로크: 인본주의는 자연,인간,영적 성격의 종합을 목표

- 16 -

1. Egyptian Architecture

□ Introduction

1) 이집트 건축의 기본 목표

질서 order 와 불변성 costancy

2) 이집트 건축의 표현

수직력과 수평력의 종합: 직교 및 축척 조직은 똑같은 목적을 달성(영원 타당한 환경 창조),

거석의 매스, 형태의 정밀도, 체적 측정이 용이한 형태, 엄격한 기하학적 조직

ex) 피라밋: 축척 조직, 견고한 구조, 영원 불변의 질서 유형화

3) 이집트 건축의 평가

-다른 초기 지중해 문명들에 시도된 바 없는 추상의 수준에 도달

-인류 역사상 첫번째 통합된 건축적 상징이다.

-하지만 내포된 발전들은 새로운 시도를 향한 소망 이라기 보다 똑같은 기본적 의도를 더욱

조직적으로 수행한 것

□ Landscape and Settlement :경관과 정주

1) 지리적 구조: 단순성과 규칙성

나일 계곡 양측은 인간의 공간을 명백히 제한하는 사

막, 전체에 걸쳐 비교적 균일한 성격을 지닌 세로로 긴

오아시스, 기후는 건조하고 불변, 나일강의 정기적 범람.

2) 공간구조

나일 강과 평행하여 인공적인 긴 산맥을 형성하도록

놓여진 피라밋

ex) Thebes신전: 산맥을 따라 비슷한 열을 이룸

이집트의 단순한 지리적 구조는 기본적인 실존적 의미

들의 상징화에 기반을 제공

물리적 환경을 축적으로 조직하고 직교체계로 구체화

했다(정주지, 도시 배치에도 적용)

▶Egypt. 12)

(1) Giza (2) Abusir (3) Saqqara (4) Memphis

(5) Tell el-Amarna (6) Thebes(Karnak,Luxor) (7) Edfu

(8) Abu Simbel.

12) C. Norberg-Schulz, 「Meaning in Western Architecture」, praeger, 1975, p.10.

- 17 -

□ Building: 건물

이집트의 주된 건설과제 ‘영원의 집’ :사후 세계

1) Pylon: 이집트 신전의 탑문

큰 문에 의해 통합되는 경사진 벽체와 육중한 두탑.(탑들 사이 문 상부에 태양의 표현)

2) 신전의 평면: 하나의 축을 따라 배열된 세 부분

a. 열주가 있는 안뜰: colonnaded courtyard

b. hypostyle(다주식) holl

c. 성소

3) 신전의 배치: 상징적

주된 hall에서 궁전 거주자 안뜰 사이에서 등장 --> 건물로 스며들면서 공간들은 작아짐-->

바닥면은 높아지고 천정은 낮아짐 --> 성소가 끝에 에워싸인 방으로 나타남 --> 서쪽 벽체

에 새겨진 상징적 의문(symbolic false door)으로 사라짐:삶의 통로에 대한 표현 --> 원천으

로 영원한 복귀

4) 이집트 건축의 상징적 표현: 이집트 우주에 대한 표현

a. 에워싸인 오아시스:enclosed oasis

b. 영속성이 있는 거석의 매스:durable megalithic mass

c. 직교적 질서:orthogonal order

d. 통로 혹은 축:path or axis

□ Articulation: 부분들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의미심장하고 일관된 전체로 통합하는 것13)

건축적 articulation의 특징적 수단: 고도로 조직된 우주를 표현하려는 소망

-일반 공간 조직: 이집트 세계의 일반 성질들을 상징화

-다른 수단들: 유기적, 인간적 삶도 이 우주에 속함

제2왕조의 석조건축

보다 가벼운 목조구조에서 형태, 식물적 장식 요소 차용

13) C. Norberg-Schulz, 「서양건축의 본질적 의미」, 세진사, 1999년, 7쇄, p.12.

- 18 -

두 가지 의도

a. 목조 구조물이 골격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무정형:amorphous 의 점토, 석조 건물들의

mass articulation을 위한 중요한 영감이 됨: 직교 공간을 구체화 하려는 소망

b. 식물적 요소들은 삶의 모든 양상에 절대적이고 영원한 형태를 부여하고자 하는 소망

이집트 건축은 이러한 종류의 articulation에 대한 최초의 의식적이고 체계적인 시도를 제공

1) Sesostris Ⅰ, Amenhotep Ⅰ의 Pavilion

연속적인 틀을 형성하는 moulding 들에 의해 분리

지붕은 깊은 Cavetto(곡선을 지닌 오목한 몰딩)에 의해 분리된 부분으로 해석

2) Old Kingdom

인간과 신들의 행동을 절대적이고 신성한 질서의 표현들로 보이게 하는 전형적인 표면부조:surface

reliefs 발전. 부조:relief 들은 직교구조를 빛과 음영의 연출로 용해시킨 다기 보다 오히려 높여주는

texture의 효과

3) 기둥

이집트인의 소망을 가장 뚜렷이 표현: 식물 형태에서 유래

땅의 기름짐에 대한 상징, 인간에게 보호, 영구성, 비옥한 토양으로 부터 솟아오른 신성한 식물들과 땅

에 대한 상징.

- 19 -

□ Saqqara: 이집트 북부 카이로 남쪽에 있는 마을

이집트의 거대한 석조건축:

제3왕조 (기원전 2778~2723) Zoser왕의 거대한 분묘 복합체:large mortuary complex

1) 건축가: Imhotep 임호텝

역사에 있어서 창조적 개인의 중요성, 이집트 세계관을 자신의 건축으로 유형화 하는 데 성

공, 건축가 이상의 존재로 ‘높은 성직자’, ‘최고 재판관’, ‘국무총리’ 등의 역할을 수행 사후에

는 신의 대열에 오름.

2) Saqqara의 복합체:complex

-10m 높이의 석회암 벽체로 둘러싸인 545x278m의 장방형

-경내에는 높이60m 이상의 장방형의 단형 피라밋

-수 많은 안뜰 주위 여러 구조물들

-동남쪽 모퉁이의 입구

-거대한 안뜰: 피라밋 기슭에 주된 제단을 포함

-작은 안뜰: 측면에 모조 예배실:dummy chapels를 거느림

-이중 궁전: 두 개의 모조 건물과 안뜰을 지님

피라밋 북쪽

-ka14)의 상을 모신 Serdab chamber

(Serdab :고대 이집트의 분묘의 한 방으로, 죽은 사람의 상(像)이 간직되어 있다.)

-Zoser 왕의 장제신전: mortuary temple

3) 모조 구조물들의 사용은 zoser 복합체의 상징적 성격을 지적해 주고 있다.

The use of dummy structures indicates the symbolic character of the Zoser complex.15)

- 두개의 모조 궁전: dummy palace

상 이집트 왕: 파라오의 White House를 표현

하 이집트 왕: Red House를 표현

- 모조 예배실: dummy chapels

두 땅의 지역을 표현

왕의 혼 ka를 재생 시켜 Heb-Seb ceremony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

14) 고대 이집트의 사자(死者)의 영혼으로 바, 아크(akh)와 함께 3종의 영적개념의 하나···········육체는 지상에서의 신의 모습이며, 카는 그 성스러운 부분, 천상적 요소이다. 소위 인격이 분리된 것으로, 개인과는 쌍을 이루는 쌍생아로서 태어나며, 생명유지의 힘으로서 그 인간을 따르고, 그의 죽음에 앞서서 내세에 거주해서 그 도래를 기다리며, 그를 이끌고, 식사를 함께 하고, 수호한다고 한다. <카에 간다>라는 것은 죽음을, <카의 집>은 묘지를 의미했다.···········카는 살아가기 위해서 음식물을 필요로 하는데, 묘지의 새로운 공물이나 벽에 그려진 공물을 카의 음식물로 하기 위해서는 생자(生者)의 기도를 필요로 하였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카 [Ka] (종교학대사전, 1998.8.20, 한국사전연구사)15) C. Norberg-Schulz, 「Meaning in Western Architecture」, praeger, 1975, p.25.

- 20 -

- mastaba tomb의 거대한 피라밋은 ka의 영원한 존재를 가시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articulation을 이룬 모든 세부들은 그 표현들에 구체적인 상형 문자적 성질을 부여했다.

All the articulating details gave the representations a concrete, pictographic character.16)

Saqqara는 그것이 건축사를 의미심장한 형태들의 정복과 사용으로 시작했다는 점에서 중요

하다.

여기서 울(enclosure), 축을 이루는 북도, 수직적으로 지향된 mass, 그리고 articulation을 이

룬 벽체는 다양한 상황에서 새롭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일반화된 개념들이 되었다.

Here the enclosure, the axial corridor, the vertically oriented mass and the articulated wall became

generalized concepts which could be used anew in a variety of situations.17)

□ Giza: 피라미드와 스핑크스로 유명한 이집트 Cairo 부근 도시

제4왕조 (기원전 2723~2563) Giza에 건설된 일단의 왕의 분묘

Saqqara에 다소 주저하는 피라밋 소재(素材)를 도입한 이후에, 수직과 수평방향이 통합되어

진정한 종합을 이룬 최초의 완전히 성숙된 피라밋들이 나타남.

After the somewhat hesitant introduction of the pyramid motif at Sqqara, at Giza there appear

the first full fledged pyramid wher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re unified to form a

true synthesis.18)

Cheops, Chephren, Mycerinus 거대한 세 피라밋은 완전히 발전된 “주제”theme를 나타내고

강조하며, 더 작은 구조물들은 명백하고, 체적측정이 용이한 기초적인 형태들에 대한 똑같은

소망을 나타냄.

Cheops 에서 Mycerinus 에 이르는 피라밋 크기의 감소와 신전의 상대적 크기에 있어서의

보완적인 증가는 어떤 역사적 발전을 지적하고 있다.

articulation을 이루는 세부:details 들과 장식은 유연한 표면들과 체적측정이 용이한 형체들

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폐기되었다.

Articulating details and decoration are abolished to strengthen the effect of the smooth surfaces

and stereometric shapes.19)

16) ibid...p. 25.17) ibid...p. 25.

18) ibid...p. 25.

19) ibid...p. 29.

- 21 -

<그림2> 20)

1) Giza의 복합체: 같은 방향, 서로 가까이 놓인 세개의 유사한 단위들로 이루어짐

a. 피라밋 b. 장제신전 c. 계곡신전을 향해 내려가는 긴 방죽길

사체는 그곳에서 정화되고 미이라가 된다.

2) Saqqara로부터 Giza에 이르는 발전 과정

a. 상형문자적 소재들의 폐기

abandoning of pictographic motifs

b. 발전된 공간의 조직화

a further systematization of space

c. 직교 조직 및 축적 통로를 강조하는 증대된 추상

an increasing abstraction which stresses the basic themes of orthogonal organization and axial

path

20) ibid...p. 25.

- 22 -

□ Deir el-Bahari

제8왕조 (기원전 1511~1480) Deir el-Bahari 소재 Hatshepsut 여왕의 장제신전

(Giza에 있는 건물 완성과 약 1000년 차이)

1) 두 건설 사이의 중요한 발전

trabeation 체계: 기둥과 보를 사용하는 공법이 거석의 mass를 대신했다.

직교체계는 더 이상 거석의 mass 표면에 의지하거나 mass 내부로 굴착되지 않고, 기둥과

보들의 개방된 반복으로 실현된다.

장제신전에서 상징적 피라밋은 거대 hypostyle hall 안에 배치, 외측에 trabeation을 이룬

portico를 수반하고 있다.

2) 실존적 안전성: existential security 거석의 mass가 아닌 기둥과 보의 반복적 추상적 질서

에 의해 상징화 됨.

□ Medinet Habu: 람세스3세의 장제신전으로 고대 이집트 신 왕국 시기 주요 유적

신전의 발전은 18왕조 후기에도 계속 되었고, 19~20왕조 때 절정을 맞았다.

1) RamsesⅢ 의 장제신전(기원전 1198~1196)

현재 문헌에서 Medinet Habu 신전은 형태와 장식에 있어서의 타락이라고 종종 비판된다.

하지만 타락의 견지에서 토론되기 보다는 이집트 건축의 근본 의도들이 그 논리적 결론에

이른 최후의 위대한 바로크적 종합이라 이해되어야 한다.

but rather than being discussed in terms of degeneration, Medinet Habu should be seen as a last,

great baroque synthesis. p.35.

2) 진정한 의미의 신전: the core of a complete holy city 뿐.

Saqqara에 있는 복합체와 유사하며, 원래 내부의 경내로만 이루어 졌으나 람세스 통치 말엽

외부 방비시설 추가, 두 벽체 사이의 영역을 성직자, 군인, 장인, 노예들의 주거로 사용.

3) Medinet Habu 신전의 발전

기원전 3~4세기 왕조에 바로크적 경향들은 더욱 발전, 최후의 이집트 신전들은 장식의 풍

요로움과 건축요소들의 상호관입에 의해서 구별된다.

- 23 -

<그림3> Mortuary complex of Ramses Ⅲ, Medinet Habu. View along the principal axis.21)

□ Space Conception and Development: 공간개념과 발전

1) 성분을 이루는 형태개념,

defined enclosure, axial hall, courtyard, megalithic mass, orthogonal order, articulation의

수단인:columns, frames, mouldings, cornices)

한계: 이것들은 다소 우연한 방법으로 결합, 일반적 축적배치:axial disposition를 결함, 배치

는 지세에 따른 더욱 원시적 무리짐의 임시적인 기하학적 처리로 특징.

2) Giza의 거대한 기념물: 한 단계 더 진보,

피라밋 복합체의 서로 다른 단위들의 선형 연속성, 체적측정의 정밀성, Saqqara의 상형문자

적 해결방법이 증대된 추상에 의해 밀려남.

3) 무정형 mass 를 수직 수평의 상징적 격자로 대체,

4) New kingdom의 신전은 그 발전의 끝을 나타냄: 그 평면은 이집트 문화가 붕괴될 때까

21) ibid...p. 37.

- 24 -

지 반복된 하나의 공식이 되었다.

이집트 건축이 공간을 멀리했으며 그 형태언어가 주로 조형적 관계에 바탕을 둔다고 종종

주장되고 있다. enclosure는 내부에 대한 필요로 생겨나지만 이집트인은 그런 식으로 창조

된 공간 내에 거주:居住 하지 않았다.

내부구조를 다룬 그들의 방식: 이집트인이 항상 도중에 있다는 관념을 표현, 그것은 ‘영원한

방황’을 위한 무대가 됨. hypostyle hall 의 기둥들 사이의 중재하는 공간들은 mass 들의

volume보다 작았으며, 따라서 단편적인 것들이 되고 정지상태를 야기하지 않았다.

□ Meaning and Architecture: 의미와 건축

1) 이집트 역사 전체를 통해 근본적인 힘은 태양, Ra 혹은 Aton은 Heliopolis(태양도시)에 자

신의 주된 성소를 가짐.

Atum은 처음에 그 뾰족한 꼭대기에 태양광선을 받기 위해 원초의 물로부터 솟아오른 바위

로 나타났다. 이 menhir(큰 돌을 땅에 세운 유사 이전의 유적)은 태양도시에 표현되었는데

나중의 obelisk를 예시함.

2) 의인화: personification

자연과 상호작용 같은 실존 의미와, 선과 악의 상호작용 같은 추상적 관계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줌.

3) 이집트인의 질서와 규율

고도로 질서 잡히고 형식화된 관계들을 선호, 지리와 계절의 리듬에 기인함.

양자는 이런 애호를 결정해 버렸다. 나일 강 범람에 대한 적절한 조절에 의존하므로 연속적

협력과 엄격한 규율이 필요했기 때문.

4) 이집트 문화의 기본 과제

전체성을 변화로 부터 보호하는 것: 시간은 질서 내의 리듬으로 해석할 필요,

이것은 무한한 것도 유한한 것도 아닌 직교로 질서 잡힌 공간으로 가시화 됨.

바로크적 확장이 그러했듯 모든 속박을 풀지도 어떤 최종 목표에 이르지도 않았다. 대신

부활로 다시 태어나는, 죽음을 초월한 세계에 상징적으로 이른다.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have elapsed since the end of Egyptian culture, but we can still

be deeply moved by its fundamental themes: the themes of place of being and path of life, of

being and time. p.42.

- 25 -

크리스티안 노르베르크 슐츠와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대담 출처: Baukunst

und Werkform ,11, 1958,6, pp.615-618. 22)

Schulz: 크라운 홀과 만하임의 극장의 구성은 대칭적이다. 미스에게 그의 여러 건축물이 왜 대칭인지,

대칭의 문제가 그에게 어떤 특별한 의미가 있는지 물어보았다.

Mies: “왜 건축물이 대칭이면 안 됩니까? 이 대학 캠퍼스의 조건상 대부분의 건축물들을 보면, 양측에

계단이 있거나 중앙에 강의실이나 현관이 있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이 조건에 따라서 건물들이 자연

스럽게 대칭형이 된 것입니다. 이런 이유를 제외하면 저는 대칭 이라는 문제에 전혀 주안점을 두지 않

습니다.”

Schulz: 다른 차원에서 두 건축물을 비교해 보면 외부에 노출된 구조가 눈에 띄게 닮았다. “당신의 작

업을 보면 새로운 구조의 가능성을 실험하기 보다는 언제나 같은 구조방식을 되풀이 합니다. 그 이유

가 무엇입니까?”

Mies: “우리가 만약 매일 새로운 것을 발명해야 한다고 하면, 우리는 사실 어느 곳에도 도달할 수 없

습니다. ····························· 어떤 것을 시작해서 완성하기 까지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비올레 르

뒤크의 사례를 교육적 차원에서 자주 인용합니다. 그는 고딕 건축이 300년에 걸쳐 발전시킨 것이 동

일한 구조방식을 완성하고 개선하는 것이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이러한 방식으로 미래

의 발전에 근간이 될 초석을 마련하는 것이 제 의도입니다.”

Schulz: “건축물이 중립적인 틀이라고 한다면, 자연은 이 건축물들에 대한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합니

까?”

Mies: 우리가 해서는 안 되는 일은 여러 가지 색으로 칠한 집과 실내 장식으로 자연을 훼손하는 일입

니다. ····························· 자연과 주택 그리고 인간이 보다 더 큰 차원의 통일을 이루는 것입니다. 판스워스

주택의 유리벽면을 통해서 자연을 내다보면, 밖에서 볼 때와는 달리 자연에 더 깊은 의미를 부여하게

됩니다.

Schulz: “많은 사람들은 당신이 언제나 직각만을 고수한다고 비난합니다. 1930년대의 한 프로젝트에서

는 자유로운 평면에 굽은 벽면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Mies: “경사진 각도나 곡면에 대해 잘 만들어진 경우라면 내가 반대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런데 지금

까지 이 문제가 해결된 경우를 보지 못했습니다. 바로크 건축가들은 분명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오

랜 발전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를 완성한 것입니다.”

☞ 슐츠는 미스의 작업에서 일관된 구조에 대한 의미나 구조 자체에 대한 (인식론적)인 입

장에서 질문을 하고 있다. 하지만 미스는 자신이 만들어가는 구조 자체를 사물object로 인식

하고 있으며 ‘바우엔 Bauen’, 그것이 ‘만들어지는 것 자체’에 더 주목하고 있다. 또한 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통합성과 진보를 이루려는 목적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22) 프리츠 노이마이어, 김영철·김무열 옮김, 「꾸밈없는 언어」, 동녘, 2009, P.510~514.

- 26 -

최근 건축 현상학

강연 2014.04.30

“Embodied Mind, Enactive Perception and Architecture” 세계적인 건축역사가, 이론가이자 현상학자이신 Alberto Pérez-Gómez 교수

저서

-Architecture and the Crisis of Modern Science, The MIT Press (1985)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and the Perspective Hinge, The MIT Press (2000)

-Built upon Love: Architectural Longing after Ethics and Aesthetics, The MIT Press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