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STRY The Molecular Science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2/Daeguhanui/...CHEMISTRY...

14
( 담당교수: 한방의료공학과 최승한) 1. 과학을 공부하는 이유 2. 과학의정의 3. 과학적인 방법 4. 20C 과학의 혁명 5. 강의 개요 6. 성적평가 방법

Transcript of CHEMISTRY The Molecular Science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2/Daeguhanui/...CHEMISTRY...

  • ( 담당교수: 한방의료공학과 최승한)

    1. 과학을 공부하는 이유 2. 과학의정의 3. 과학적인 방법 4. 20C 과학의 혁명 5. 강의 개요 6. 성적평가 방법

  • 우리가 자각을 하고 있던 아니던 간에, 우리 모두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과학적인 방법들을 사용한다.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계들의 발명과 제작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더 중요한 것은, 자연의 모습을 이해함으로써 그 질서와 법칙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고 생각하는 데 있다.

    과학을 공부하는 이유(1)

  • 과학은 인간 사회에서 인간이 경험한 사상 또는 사물에 대하여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지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ex) 회전하는 물체(자전거, 팽이)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쓰러지지만 움직일 때는 그렇지 않은 원리는 각속도, 각운동량의 개념을 포함한다. 원자와 원자핵이나, 은하의 구조를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자전거 바퀴, 원자, 그리고 은하. 이 모두는 각운동량의 개념을 포함한다.

    과학을 공부하는 이유(2)

  • 1) 광의(廣義)의 과학 철학(philosophy)의 뜻을 포함(고대 그리스) 그 이후 , 철학 은 초경험적이며 형이상학적인 분야에 대한 내용으로 구분됨. 2) 협의 (狹義)의 과학 자연과학(natural science)

    과학의 정의

  • 자연과학(natural science)

    자연에 대한 지식의 집합체

    자연현상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며 경험에 의하여 인지한 사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경험과학.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사실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찾음.

    현상에 의미 부여 체계화하는 이론 정립.

  • 자연과학 역사 B.C 7C 그리스에서 발전. 16C Copernicus, Galilei

    17C, Newton 완성

    언어수학

    방법: 1. 문제인식. 다른 문제와 비교(구분) 2. “가설”을 세움 3. 가설의 결과(들)을 예측

    4. 가설, 예측, 실험결과들로 구성된 일반적인 규칙을 명확히 제시.

  • 1.거시적(macroscopic)세계 육안적 세계 2. 미시적(microscopic)세계 원자와 소립자의 세계, 현미경 관찰과 그 이하의 물질들의 자연세계 3. 초거시적(ultramacroscopic)세계 거시적 세계보다 그 척도가 더 큰 세계, 우주과학의 세계

  • 생명체 --- 생명과학

    생물학, 동물학, 식물학 etc.

    비생명체 --- 물질과학 지질학, 화학, 물리학 etc.

    -----------------------------------------------

    *** 공학(engineering) 도구, 기술 & 과정(process)

  • 과학적인 방법이란 무엇인가? ---> 과학적 방법의 단계들 1. 자연현상의 주의 깊은 관찰. 2. 관찰과 경험의 일반화에 기반을 둔 규칙이나 경험법칙의 정립. 3. 관찰과 경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의 발달과 이론으로의 세련화. 4. 추가적인 실험과 관찰들을 통한 가설이나 이론의 검증.

  • Greece 철학자, 과학자, 교육자. 17살에 Platon 학술원에 입학. 20년 동안 연구. Alexander 대왕의 선생. 정밀히 관찰. 표본수집. 물질계에 존재하는 모든 지식

    을 모아 요약하고 분류함. 조직적인 연구법은 (후에)서구과학이 탄생되는 방법

    론이 됨. 교회(서구 유럽의 강력한 정치 문화적 힘을 가짐)가 처음

    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구결과를 읽지 못하게 함 후에 허용.

    기독교의 교리와 협조 하도록 함.

  • 1) 유교, 불교적 사상,

    2)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3) 선비를 중심으로 한 관료제도,

    4) 중국사상에서의 추상적 이론체계와 그리스적인

    기하학적 ·수학적 ·논리적 사유의 결여,

    5) 사농공상(士農工商)이 말하고 있는 제조업, 상업과 기술천시 사상 등 여러 각도에서 분석되고 있음.

  • 20세기의 과학혁명?

    뉴턴으로 완성된 과학체계는 그 이후 200여 년 동안 여러 분야 과학발전의 토대가 됨.

    20세기에 들어와 M. Planck의 양자가설(量子假說)을 시발로 하여

    A.Einstein의 상대성이론에 의해,

    새로운 우주관과 과학이론이 생겨났다.

    유전공학의 발전, 정보통신혁명에 의한 지식정보화 사회의 심화 등은 새로운 문명의 태동을 예고하고,

    우주와 심해저 개발이라는 무한대 영역개척과,

    물질구조의 근원적 탐구를 위한 극미(極微)한 소립자 세계의 탐구는 현대 과학기술이 극한상황에 도전하고 있는 실상을 극명하게 보여 주는 것이다

  • 주제: 통신,전기, 의료기기,교통,에너지,레저

    교재: 재미있는 생활 속의 물리여행

    출판사: 한승

    (Oxford University Press)

    성적평가: 출석(20%),과제(20%),중간(30%), 기말(30%)

    상대평가

  • 가상강좌는 시간과 장소를 초월한 학습방법으로서,

    강의실 수업에서 느낄 수 없는 교육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편리함과 더불어 그만큼의 단점도 내포되어 있습니다.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방식이 아님으로 인해 여러분이 무관심하게 시간을 보낼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교수님은 여러분의 강의 참여 정도를 컴퓨터를 통해 수시로 점검 및 평가해 나갈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