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31
Chapter 6 - 1 학습목표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Imperfections in Solids) 재료가 고체화될 생기는 결함의 종류 특성? 공공(Vacancy)계산 세라믹 재료에서의 결함의 종류 특성? 합금에서의 조성 이란? 전위의 종류 특성? 결정입계 쌍정 경계의 원자 구조 분석

Transcript of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Page 1: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

학습목표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Imperfections in Solids)

• 재료가 고체화될 때 생기는 결함의 종류 및 특성? 공공(Vacancy)의 계산

• 세라믹 재료에서의 점 결함의 종류 및 특성?

• 합금에서의 조성 이란?

• 전위의 종류 및 특성?

• 결정입계 및 쌍정 경계의 원자 구조 분석

Page 2: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

• 응고 (Solidification)- 용융 재료가 주조공정을 거쳐 고체화 . • 2 단계의 응고

• 핵 생성 (Nuclei form) • 핵 성장 (Nuclei grow) – 결정으로 성장되며 최종적으로 결정 구조.

• 액체 상태(liquid) 또는 용융 상태(molten)에서 출발

고체내의 결함 (Imperfections in Solids)

• 각각의 결정은 서로 만날 때까지 성장한다. Adapted from Fig. 6.20 (b), Callister & Rethwisch 9e.

결정 구조 결정으로 성장 핵생성 액상

[Pho

tom

icro

grap

h co

urte

sy o

f L. C

. Sm

ith a

nd C

. Bra

dy, t

he N

atio

nal

Bure

au o

f Sta

ndar

ds, W

ashi

ngto

n, D

C

(now

the

Nat

iona

l Ins

titut

e of

Sta

ndar

ds

and

Tech

nolo

gy, G

aith

ersb

urg,

MD

.)]

Page 3: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3

다결정 재료 (Polycrystalline Materials)

결정입계 (Grain Boundaries) • 결정간에 부딪치는 지역. • 한 지역의 격자에서 다른 격자로 전환

• 배열이 흐트러짐 • 결정입계에서 저밀도

– 높은 이동도 – 높은 확산도 – 높은 화학적 반응성

Adapted from Fig. 6.14, Callister & Rethwisch 9e.

Page 4: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4

고체내의 결함 (Imperfections in Solids)

일반적 응고 방법에서는 완벽한 결정 (perfect crystal)은 만들기 어렵다.

• 어떤 결함이 생길까? • 왜 결함은 중요한가? 재료의 화학적, 기계적 특성은 일반적으로 결함에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Page 5: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5

• 공공 (Vacancy) • 침입형 (Interstitial) • 치환형 (Substitutional)

점결함 (Point defects)

결함의 종류 (Types of Imperfections)

• 전위 (Dislocations) 선결함 (Line defects)

• 결정입계(Grain Boundaries) 면결함 (Area defects)

Page 6: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6

• 공공 (Vacancies): - 결정 구조에서 비어 있는 원자 사이트.

• 자기- 침입형 (Self-Interstitials): 원자 자리 사이에 잉여의 원자가 위치함.

점결함 (Point Defects)

공공 (Vacancy) 결정면의 왜곡

(수축)

결정면의 왜곡

(팽창)

자기 침입형 (Self-Interstitials)

Page 7: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7

볼츠만 상수(Boltzmann's constant)

(1.38 x 10 -23 J/atom-K) (8.62 x 10 -5 eV/atom-K)

N v N

= exp -Q v k T

결함(defects)의 수

총원자 자리의 수 Potential vacancy site

활성화 에너지 (Activation energy)

온도 (Temperature)

결정 내 각각의 원자 자리는 잠재적으로 공공이 형성될 수 있다. is a potential

vacancy site

• 평형 개수는 온도에 따라 변한다. !

온도 변화에 따른 공공의 평형 개수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vacancy)

Page 8: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8

• 1000°C에서 1 m3 당 Cu의 공공개수를 계산하여라. • 주어진 조건:

A Cu = 63.5 g/mol ρ = 8.4 g / cm 3

Q v = 0.9 eV/atom N A = 6.02 x 1023 atoms/mol

예제. 공공 개수의 계산

1 m3 당 , N = N

A A

Cu ρ x x 1 m3 = 8.0 x 1028 sites

• 풀이: N v = (2.7 x 10-4)(8.0 x 1028) sites = 2.2 x 1025 vacancies/m3

= 2.7 x 10-4

8.62 x 10-5 eV/atom-K

0.9 eV/atom

1273 K

N v N

= exp - Q v k T

Page 9: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9

• 공공 측정을 하면 활성화 에너지(Qv)를 얻을 수 있다. N v

N = exp - Q v

k T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의 측정

• 공공을 측정하고..

N v

N

T

exponential dependence!

총원자 사이트 당 공공의 평형 개수

• 그래프의 변환

1/ T

N N v

ln - Q v /k

기울기

Page 10: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0

• 세라믹에서 공공 (Vacancies) -- 세라믹에서 양이온과 음이온 어느 쪽에서도 공공이 존재한다. • 세라믹에서 침입형 (Interstitials) -- 양이온에 대해서만 침입형 결함이 존재한다. -- 침입형 자리에 비하여 음이온의 반경이 크기 때문에 음이온의 침입형은 일반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

Fig. 6.2, Callister & Rethwisch 9e. (From W.G. Moffatt, G.W. Pearsall, and J. Wulff,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Materials, Vol. 1, Structure, p.78. Copyright ©1964 by John Wiley & Sons, New York. Reprinted by permission of John Wiley and Sons, Inc.)

세라믹의 점결함 (Point Defects)

양이온 침입형

양이온 공공

음이온 공공

Page 11: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1

• 프렌켈 결함 (Frenkel Defect) -- 양이온 공공- 양이온 침입형이 짝을 이루고 있음. • 쇼트키 결함 (Shottky Defect) -- 양이온과 음이온의 공공이 짝으로 존재한다.

•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defects

Shottky Defect:

Frenkel Defect

Fig. 6.3, Callister & Rethwisch 9e. (From W.G. Moffatt, G.W. Pearsall, and J. Wulff,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Materials, Vol. 1, Structure, p.78. Copyright ©1964 by John Wiley & Sons, New York. Reprinted by permission of John Wiley and Sons, Inc.)

세라믹의 점결함 (Point Defects)

Page 12: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2

만약, 용매 (A)에 용질 (B)가 첨가 될 때 2개의 거동. • 용매 (A) 에서 고용체 (Solid solution) B

• 용매 A 에서 용질 B가 새로운 상(new phase)으로 더해져 있다. (일반적으로 B의 양이 많을 경우)

OR

치환형(Substitutional) 고용체 (e.g., Cu in Ni)

침입형(Interstitials) 고용체 (e.g., C in Fe)

2차 입자상 (Second phase particle) -- 조성 (composition)의 차이 -- 구조(structure)의 차이.

금속의 불순물 (i)

Page 13: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3

치환형 고용체(substitutional solid solution)의 조건 W. Hume – Rothery rule

– 1. Δr (atomic radius) < 15% – 2. 주기율표 상의 유사성

• 즉, 전기적음성도가 유사하다.

– 3. 동일한 결정 구조(순수 금속) – 4. 원자가 전자(Valency)

• 다른 모든 요소가 동일하다면, 낮은 원자가보다 높은 원자가의 금속이 더 용해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금속의 불순물 (ii)

Page 14: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Table on p. 177, Callister & Rethwisch 9e.

Element Atomic Crystal Electro- Valence Radius Structure nega- (nm) tivity

Cu 0.1278 FCC 1.9 +2 C 0.071 H 0.046 O 0.060 Ag 0.1445 FCC 1.9 +1 Al 0.1431 FCC 1.5 +3 Co 0.1253 HCP 1.8 +2 Cr 0.1249 BCC 1.6 +3 Fe 0.1241 BCC 1.8 +2 Ni 0.1246 FCC 1.8 +2 Pd 0.1376 FCC 2.2 +2 Zn 0.1332 HCP 1.6 +2

금속의 불순물 (iii)

1. Cu에 더 용해되기 쉬운 원소는 Al or Ni ?

2. Zn에 더 용해되기 쉬운 원소는 Al or Ag ?

Page 15: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5

• 불순물이 존재하더라도 전기적 중성도(charge balance)는 반듯이 유지되어야한다.

• Ex: NaCl

세라믹에서 불순물로 인한 결함

Na + Cl - • 치환형 양이온 불순물

불순물 X Ca 2+ 불순물 불순물 O

Ca 2+

Na +

Na + Ca 2+

cation vacancy

• 치환형 음이온 불순물

불순물 X O 2- 불순물

O 2-

Cl -

an ion vacancy

Cl -

불순물 O

Page 16: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6

고체 내 불순물의 정량화- 조성의 표기

• 조성(composition)의 표기

– mass percent

100 x100 x 1

21

11

Totalm

m

mm

mC =

+=

m1 = component 1의 질량 (mass)

100 x100 x 1

21

1'1

Total

m

mm

m

n

n

nn

nC =

+=

nm1 = component 1의 몰수

– atom percent

Page 17: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7

고체 내 불순물의 정량화- 조성의 변화

• 조성(composition)의 변환 – mass → atom percent

1221

21

21

2

2

1

1

1

1

2

2

1

1

1

1

`1

)(100 x11

1

1100 x

ACAC

AC

AA

Am

m

Am

m

Am

m

m

A

m

A

m

A

m

C

TotalTotal

Total

Total

=

×←×+×

×=

×←+

=

분자와분모에

분자와분모에

m1 = component 1의 질량 (mass) mtotal = 고체의 총질량 A1 = component 1의 원자량 (mass/mole)

Page 18: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18

고체 내 불순물의 정량화- 조성의 변화

• 조성(composition)의 변환 – 예제 6.6 – 97 mass%의 Al 과 3 mass%의 Cu → atom percent

%3.1100 x55.639798.263

98.263100 x

%7.98100 x98.26355.6397

55.6397100 x

`

`

atACAC

ACC

atACAC

ACC

CuAlAlCu

AlCuCu

AlCuCuAl

CuAlAl

=×+×

×=

=

=×+×

×=

=

AAl = 26.98 ( g/mol) ACu = 63.55 ( g/mol)

Page 19: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Summary

• 공공의 평형 개수 • 세라믹의 점결함- 이온들의 공공, 침입형 • 프렌켈 과 쇼트키 결함 • 금속의 불순물- 용질→용매 (침입형, 치환형) • 세라믹의 불순물- 전기적 중성도 • 조성의 계산

19

Page 20: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0

Page 21: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1

• 변형으로 인한 일부 원자들의 정렬이 어긋난 선 결함. • 전위들이 움직일 때, 결정면(crystal planes) 간에 슬립 (slip)이 발생한다. • 영구 변형을 일으킨다.

전위 (Dislocations):

Zinc (HCP)의 이미지:

• 변형 전 • 인장 신율 (tensile elongation) 후

slip steps

선 결함 (Line Defects)

Page 22: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2

고체내의 결함 (Imperfections in Solids)

선결함 ( Dislocations, 전위 ) – 일부 원자들의 배열이 어긋난 1차원 결함

• 칼날 전위 (Edge dislocation): – 결정 구조에 잉여의 원자 반 평면이 위치한다. – b (버거스 벡터): 전위선에 수직이다. (⊥)

• 나선 전위 (Screw dislocation): – 전단 변형(shear deformation)에 의한 나선형 단사면(spiral

planar ramp) 이 발생 – b(버거스 벡터): 전위선에 평행한다. (||)

Burger’s vector, b: 격자의 뒤틀림의 정도와 방향을 표시

Page 23: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3

고체내의 결함 (Imperfections in Solids)

칼날 전위 (Edge Dislocation)

Fig. 6.9, Callister & Rethwisch 9e. (Adapted from A. G. Guy, Essentials of Materials Science,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NY, 1976, p. 153.)

슬립면

Page 24: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4

고체내의 결함 (Imperfections in Solids)

나선 전위 (Screw Dislocation)

전위선

슬립면

Page 25: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5

Imperfections in Solids

Screw Dislocation

Adapted from Fig. 6.10, Callister & Rethwisch 9e. [Figure (b) from W. T. Read, Jr.,Dislocations in Crystals,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NY, 1953.]

Burgers vector b

전위선 b

(a) (b)

Screw Dislocation

Page 26: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6

혼합전위 (Mixed Dislocations)

Adapted from Fig. 6.11, Callister & Rethwisch 9e. [Figure (b) from W. T. Read, Jr., Dislocations in Crystals,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NY, 1953.]

칼날 (Edge)

나선 (Screw)

Mixed

Page 27: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7

계면결함 ( Interfacial defects)

결정립계 (Grain Boundaries) • 결정간에 부딪치는 지역. • 한 지역의 격자에서 다른 격자로 전환

• 배열이 흐트러짐 • 결정입계에서 저밀도

– 높은 이동도 – 높은 확산도 – 높은 화학적 반응성

Adapted from Fig. 6.14, Callister & Rethwisch 9e.

• 2차원이고 다른 결정 구조/ 결정 방향을 가진 재료의 두 영역으로 분리 • 외부 표면, 결정립계, 상계면, 쌍정립계, 적층결함

외부표면(External surface) : 표면에서 결정 구조의 종료. 즉, 표면 원자의 불완전한 결합상태가 표면 에너지를 발생. 모든 재료는 표면에너지를 최소화하려 함.

Page 28: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 상계면 (phase boundary) - 성질이 다른 두 개의 상이 접하는 경계면 • 쌍정입계 (twin boundary)

– 쌍정면(twin plane)을 중심으로 원자 위치가 대칭적이다.

• 적층 결함 (Stacking faults) – FCC 금속에서 ABCABC의 적층 순서에 결함이 발생함. – Ex: ABCABABC

28

Adapted from Fig. 6.15, Callister & Rethwisch 9e.

계면결함 ( Interfacial defects)

Page 29: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29

A sites

B B

B

B B

B B

C sites

C C

C A

B

B sites

• ABCABC... 적층 순서 • 2D Projection

• FCC 단위정

FCC 적층 순서 (Stacking Sequence)

B B

B

B B

B B

B sites C C

C A

C C

C A

A B

C

866.0

Page 30: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30

• 공공 (Vacancy) • 침입형 (Interstitial) • 치환형 (Substitutional)

점결함 (Point defects)

• 전위 (Dislocations) • 칼날(Edge), 나선(Screw) 혼합(Mixing).

선결함 (Line defects)

• 외부표면 (External surface) • 결정입계(Grain Boundaries) • 상계면 (Phase boundary) • 쌍정립계 (twin boundary) • 적층결함 (Stacking faults)

면결함 (Area defects)

Summary 고체의 결함의 종류

Page 31: Chapter 6: 고체내의 결함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kimsunjoong/... · 2016-09-09 · Chapter 6 - 14 Hume–Rothery rules의 응용 – Solid Solutions

Chapter 6 -

Summary

• 공공의 평형 개수 • 세라믹의 점결함- 이온들의 공공, 침입형 • 프렌켈 과 쇼트키 결함 • 금속의 불순물- 용질→용매 (침입형, 치환형) • 세라믹의 불순물- 전기적 중성도 • 조성의 계산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