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llenge (design portfolio)

22
Challenge User Experience Designer Park Ui Jun’s design portfolio

description

Challenge of Design works

Transcript of Challenge (design portfolio)

Page 1: Challenge (design portfolio)

ChallengeUser Experience Designer

Park Ui Jun’s design portfolio

Page 2: Challenge (design portfolio)

디자인 도전 중2005년, The North Face 그래픽 디자인 공모전 입선

2006년,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공모전 특선2009년, 충북 아이디어 챌린지 정책 공모전 우수상

2010년, 아이리버 E-book 디자인 제안 산학 프로젝트 진행중

Page 3: Challenge (design portfolio)

Contents

Page 4: Challenge (design portfolio)

User Experience Design1기존의 제품과 서비스가 제공해주는 기능이 사용자가 원하는 경험에 가장 근접해 가는 것이 UX Designer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교내에서진행되는 프로젝트를 통해 UX에 대해 연구 및 실행한 작업을 소개하며본인이 UX 툴을 사용하여 UI 및 Product를 고객의 니즈를 찾아 나간 여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User Experience Design

User Interaction Design

Product Design

Communication Design

Page 5: Challenge (design portfolio)

HANDONG GLOBAL U N I V E R S I T Y

Multi-function printer with new experience

My Role

New Interaction & product design

Project Explanation & objectives

한동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수업 Smart Media Design 프로젝트(2009년도 2학기)

복합기 제품을 선정하여 User Experience를 위해 설계된 Methodology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 조사를진행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Data를 토대로 Direction을 설정하고 Final Concept을 디자인한다.

In-depth user researchConcept generationMaking FrameworkProduct design, model making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Illustratior, Flash)3D Modeling (3Ds Max, Rhino)

Page 6: Challenge (design portfolio)

HeuristicEvaluation

Pre-research

Usability Framework

Building Research Framework

Multi-function printer with new experience

Mind mapWeb research 1 2Critical issues3

Domain Properties3 45

1 Web research

Mind map2

3 Critical issues

Domain Properties3 Heuristic Evaluation4

설치 환경설정 프린트 복사 고장 스캔 이동

유지보수, 카트리지 교체

Pre-research에서 나온 Data를 토대로 복합기의 Sequence에 따른 특성을 뽑아낸다.

Usability Framework5

Routinely-made error

Direction, positional error

Naming, Metaphor error

Natural Mapping error

Phase perception

Configuration

5~6명의 프린터 유저들로 하여금 출력, 스캔,복사의 과정에 있어서 연상되는 것들에 관하여mind-mapping을 하는 시간을 갖고 이를 통하여cirtical issue를 추출하였다.

4명의 팀원들이 복합기 사용경험이 있지만시장동향 및 디자인 동향에 대해 파악하고 Research 방향을 수립할 수 있는 Data를모으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Research를 통해서 Domain(출력, 스캔, 복사)의속성에 따라 중요한 issue를 도출하여 정리 및 통합을 하였다. 이는 Research Framework의 기본이 될 작업이었다.

자체적으로 제품 및 interaction Service에 대해 평가하는 시간을갖고 이를 Data화 하였다. 이 자료를 분석하여 통/폐합하여Usability Framework를 짜기 위한 전초단계를 완성시킨다.

HANDONG GLOBAL U N I V E R S I T Y

Process of New interaction & Product design

프린트 - 출력시 진동, 통장 사본 및 증명 사진 출력복사 - 책의 안쪽 부분은 복사 시 어둡게 나옴스캔 - 스캔 후 원본 빼는 것을 잊음환경 - 컴퓨터와 프린터 기 사이의 색상 차가 존재설치 - 드라이버 다운받기 귀찮음고장 - 빨간 불 나올 때 어떻게 할까?

예 }

반복적이고 자주 일어나지만 많은 행동단계를

요하는 Work 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행태 조사

출력물의 방향과 위치가 사용자의 의도와 맞지 않은

사용행태를 조사하고 일치하지 않는 이유를 알아본다.

의도한 결과물을 얻기 위해 얼마나 쉽게

환경설정을 할 수 있는 지 관찰한다.

장비 상태, 고장 진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지 관찰한다.

사용자의 패턴화된 행동이 복합기의 물리적

레이아웃(버튼, LCD 등)과 Natural Mapping

을 이루는 지 알아본다.

Label 및 Pictogram 등이 올바른지 알아본다.

Page 7: Challenge (design portfolio)

User Research Design Implementation

Multi-function printer with new experience

:)Persona Selection6

Planning UT Method6Usability Test 7 Desgin Strategy9 Ideation0 Final Concept1

Persona Selection6

Planning UT Method6

Ideation0

Design Strategy9

Usability Test7

Analyzing UT Data8

각 분야를 대표할 수 있는 User Testee를 선정하기 위해Persona 기준을 만들고 그에 가장 적합한 인물을 Contact하여 UT를 실행가능하도록 하였다.

What are

the tasks?

Scenario

writing

Task Room

Setting

Task

Simulation

Feedback &

Modification

실험자책상에 앉아서 태스크 수행평소에 사용하는 환경과 비슷한 분위기를 제공편안한 마음으로 실험에 임할 수 있게 함

평가자_2실험자 조작 상황의 전체적인 모습을전면에서 촬영함

평가자_3전체적인 실험을 진행하며 과업을 실험자에게 전달함

평가자_1실험자가 말하는 내용이나 질문을

현장에서 랩탑에 기록함

숨은 조력자실험자가 interview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게분위기 조성

Muliti-function Printer

주어진 Task를 실행하면서 사용자가 범하는 오류등을 체크하고 촬영하여 작업 모습을 남겼다.

User Interaction

Form-Factor

Value 1. Consequential Prediction System

ex 1. 급지 및 스캔시 출력 방향, 위치 예측ex 2. 메뉴 선택에 따른 결과 예측

Value 2. PUI에 적합한 interface 방식 제공하기

ex 1. 데이터의 양(Continuous/Discrete)에 따라 그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제안ex 2. 요구되는 조작의 세밀도에 부합하는 인터페이스 제안

Value 3. Right Time, Right Information

ex 1. 현재 진행 중인 Task에 대한 시각, 청각적 피드백 제공ex 2. 활성화 상실 오류를 범하는 곳에 대한 due 제공ex3. 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원인에 대한 분류 Task 오류 및 특이사항 원인 대안

현재 상태에 대한 알림성 두껍고 큰/얇고 가벼운 책 스캔

현재 스캔중이라는 시각적인 메시지가 있었지만 스캔이 아직 덜 끝났음에도 프린터기가 조용하여 다끝난줄 알고 원본을 제거하여 오류발생

스캔은 집중을 요하는 work이 아니기때문에 신호를 지각할 수 있는 범위가한정되어(시선 돌림) 현재 상태를 명확히 인지하지 못한다.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수단이 줄어들어도 인지할 수 있도록 두 종류 이상의Feedback을 준다. (시각적 신호와 청각적 신호를 동시에 제공)

현재 상태에 대한 알림성 한 장에 두 페이지 인쇄

사용자가 사진 인화지로 설정되어있던 것을 보지 못하고 원래 의도했던 A4가 아닌 사진 인화지 모드인 채로 출력을 함

복합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지와 특별히 사용하는 용지의 구분 없이 이전 세팅값만을 기억하여 제공하는 반면, 사용자는 어떠한 일을 할 때work가 바뀌게 되면 그 단계만을 인지하고 생각하기 때문에 복합기의 세팅값과 사용자가 인지하는 세팅값간의Gap이 발생한다.

용지 상태의 표시가 다른 메뉴와 비슷해 Sensory Memory에 인식되기 어렵다.

현재 상태(세팅값)에 대한 Feedback을줄 수 있는 방안 고려(용지함 부분이빛나는 램프)

현재 상태(용지 종류 등)를 상시 표시해 주는 창 고려

인지하기 쉬운 naming 부분 확대 복사부분확대 모드말고,백분율 모드로 잘못 들어감

사용자가 크기 조절에 대한 유사성을근거로 메뉴를 선택할 때, cognitivenaming을 제대로 주지 않아 오류를 범하게 한다.

대상과 행위 모두를 포괄할 수 있는,인지하기 쉬운 네이밍을 해 준다.

인지하기 쉬운 naming 전용지 인쇄용지 설정을 위해 "미리보기"메뉴대신에 "사진편집"메뉴로 들어갔다.

Naming이 하위 메뉴들을 포괄하지 못하여 선택 후 결과를 예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재 위치에 대한 명확한 인지가 어렵다.

복합기가 제시하는 Conceptual Model(Sequence를 고려 : 미리보기-용지설정)과 Mental Model( 속성의 유사성을고려 : 사진편집-용지설정)이 일치하지않는다.

하위 메뉴를 포괄할 수 있는 네이밍을다시 해 준다

네비게이션을 넣어 주어 현재 위치가어디쯤인지 알게 해 준다

속성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복합기가제시하는 Conceptual Model과 사용자의 Mental Model을 일치시킬 수 있는네이밍을 다시 해 준다

자연스러운 대응성 신분증 방향을 맞추어 복사 신분증을 스캐너 벽에 붙여서 놓음앞 뒤 복사를 할 때 위치 파악이 용이하도록 행동함

x

Analyzing Data8

대학생 - 시험문제 출력자 유형

프리랜서 - 고품질 출력자 유형

직장인 - 보고서 무한 출력자 유형

평가자 1의 입장에서 UT 촬영 장면

Final Concept1

:)

Page 8: Challenge (design portfolio)

HANDONG GLOBAL U N I V E R S I T Y

Kitchen Product For Singles

My Role

New Interaction & product design

Project Explanation & objectives

한동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수업 Design Planning 프로젝트(2009년도 2학기)

기업이 주목하는 타겟인 싱글족의 식습관을 Support할 수 있는 제품을 선정하고, 싱글족의 Experience에 맞추어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 Methodology를 이행하고 최종 Concept을 제안한다.

Planning MethodologyFocused-Group Interview progressionConceptualizationMaking Frameworkraphic user interface design (Illustratior, Flash)3D Modeling (3Ds Max, Rhino)

Page 9: Challenge (design portfolio)

Target 설정 및 싱글족에 대한 조사기업들이 주목하는 타겟은?싱글족은 어떤 족?

1

Goal 설정그들은 무엇을 필요로 할까?무엇을 지원해 줄까?

2

Issue 도출 싱글족 니즈 분석에 따른 item 선정각 item에 따른 issue 도출

3

“늘어나고 있는 1인 가구 비율”“600만명에 이르는 싱글족 시장 규모”“싱글족을 겨냥한 제품이 늘어나고 있음”“싱글족은 자신만의 공간이 있고, 바쁘다.”“싱글족은 인스턴트 식품 의존도가 높다.”

싱글족의 식생활 sequence별 행위를 지원해주는 Item 선정.

음식보관 <냉장고>음식조리 <전자레인지>용기처리 <분리수거함>

싱글족 니즈 Framework 식사 sequence

4. 합리적인 소비

1. 시간 절약하기 2. 공간 활용하기

3. 규칙적인 식사

싱글족은 시간을좀더 효율적으로사용하고 싶다.

싱글족은 합리적인 소비를 원한다.

싱글족은 생활공간의 효율적활용이 필요하다.

싱글족은 규칙적인 식사가필요하다.

음식보관

음식조리

용기처리

+ = 부엌 제품 디자인을 위한issue 도출

User Research조사방법 선택 및 조사계획 설정Interview, User Observation 등 실행

4싱글족을 대표할 수 있는 Persona 선정

User Observation(사용자 행동 조사)

인스턴트 식습관에 길들여진 싱글족의 식생활 지원!!

Page 10: Challenge (design portfolio)

싱글족은 규칙적인 식사가필요하다.

조사를 통해 얻은 모든 자료를 통합 정리

1. 쉬운 정리와 빠른 식습관을 도와주는 냉장고 디자인

2. 싱글족에게 즐거움을 더하는 전자 레인지 디자인

3. 분리수거를 도와주는 compressor 디자인

Consolidation나온 모든 문제점들에 대한 니즈 파악니즈에 대한 아이디어 정리

5

Direction & Final Concept 앞에서 나온 니즈 및 아이디어를적용한 final 제품 디자인

6

3D Modeling실제 제품 묘사7

1. 냉장고 디자인 2. 전자 레인지 디자인 3. Compressor 디자인싱글족의 생활패턴을 고려하여 동선이 짧고효율적으로 냉장, 냉동보관이 가능한 Form-Facor를 Interaction을 통해 구현하였다. 싱글족의 생활패턴을 고려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해결해주고, 기다리는 시간동안Recreation을 제공하는 Interaction을 구현하였다.

싱글족이 분리 수거시 여러가지 불편함을겪고 있는 것을 해결해 주기 위한 수동식분리수거물 압축기를 제안하였다.

Page 11: Challenge (design portfolio)

Information Architecture2 모든 제품과 서비스의 Interface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바탕에 Information Architecture가 적절히 구성되어야 한다. 사용자 조사를 통해 IA를 재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User Interface를 구현해보았다.

User Experience Design

Information Architecture

Product Design

Communication Design

Page 12: Challenge (design portfolio)

HANDONG GLOBAL U N I V E R S I T Y

IA restructure & UI proposal

Required Skills

IA 재구성을 통한 User Interface 제안

Project Explanation & objectives

한동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수업 Design Studio 2 프로젝트(2009년도 2학기)

캐논 Powershot 제품을 선정하여 제품의 IA구조를 파악하고 최적화시킨다. 이를 통해 캐논 Powershot을Redesign하고, Powershot을 Promotion할 수 있는 Graphic User Interface를 제안한다.

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Illustratior, Flash)3D Modeling (3Ds Max, Rhino)IA analysis & restructure

Page 13: Challenge (design portfolio)

“Menu 구조 최적화를 위해Information Architecture 수정”

IA restructure & UI Proposal

IA Restructure & UI Proposal

HANDONG GLOBAL U N I V E R S I T Y

IA Analyzation IA Restructuring Product Redesign User Interface Design

Design Process

Page 14: Challenge (design portfolio)

IA Restructure & UI Proposal

HANDONG GLOBAL U N I V E R S I T Y

IA restructure & UI Proposal

IA Analyzation IA Restructuring Product Redesign User Interface Design

Design Process

Redesign된 Cannon Powershot과재구성된 Information Architecture로Promotion User Interface 디자인

Page 15: Challenge (design portfolio)

Product Design3 학교에서 배운 스킬 및 Design 발상법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용자의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며 제품디자인을 해 보았다.

User Experience Design

Information Architecture

Product Design

Communication Design

Page 16: Challenge (design portfolio)

HANDONG GLOBAL U N I V E R S I T Y

Electrolux tea spoon proposal

Required Skills

Product Design

Project Explanation & objectives

2010 Electrolux Design Lab 공모전 출품작 (심사 진행중)

2050년, 미래. 도시의 인구는 전체의 74%가 넘고, 도시인들은 시간이 부족하고 공간이 부족하다.시간, 공간, 그리고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그들의 삶을 편리하게 해줄 수 있는 제품을 디자인 해보자.

Graphic design (Illustratior, Photoshop)3D Modeling (3Ds Max, Rhino)Design Research

Page 17: Challenge (design portfolio)

2050년, 미래 도시인들의 tea spoon 제안

주제: 2050년도, 도시의 개인들의 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가전 제품 디자인

1 2

3

2010 생활 가전 공모전 출품작(심사 진행 중)

미래 2050년도의 도시인들의 특징: 바쁘다. 공간이 모자란다. 그들의 차 문화 분석: 바쁠 수록 문화 생활에 대한 수요는 늘 것이다. 따라서 차에 대한 필요는 여전할 것.

그렇다면 바쁜 시간을 절약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차를 마실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Anytime Teamaker 제안

Page 18: Challenge (design portfolio)

Communication Design4 Communication Design의 가장 큰 목적은 공감, 소통이다. 내용이 전달이되지 않는다면 본의를 잊은 것과 다름없다. Communication Design 작업물들을 통해 본인이 배우며 실천한 것들을 돌아본다.

User Experience Design

Information Architecture

Product Design

Communication Design

Page 19: Challenge (design portfolio)

North Face 그래픽 디자인 공모전 입상작1주제: “Never Stop Exploring”

Page 20: Challenge (design portfolio)

2006 커뮤

니케

이션

디자

인 공

모전

특선

수상

작2

주제

: “책은

지혜

가 가

득한

집입

니다

.”

Page 21: Challenge (design portfolio)

1. 대한민국의 경제, 양적으로 성장했다.

2. 그러나 질적으로는 성장했는가? 그렇다고 볼 수만 없다.

3. 특히 몸이 불편한 장애인과 노인에 대한 배려가 잘 되어있다고 볼 수 없다. >> 장애인 대상 복지부 조사 “79.7%,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많다” 답변)

4. 그들은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 >> 2003 장애인 복지 실증적 연구, 97.2% 장애인 관광이 필요하다 답변, 82.6% 장애인 전용시설 필요 답변)

5. 그렇다면 충청북도는 그들을 위해 무엇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인가? >> “현재 한국에는 없는 노약자를 위한 전용 휴양 시설 제공

one page proposal (한장 요약본)

>> Dreamtel의 로고

6. 실현 가능성 있는가? 가능하다. Business Role model 존재.(영국 vitalise) 7. 무엇을 제공해줄 것인가? (1) 숙박시설 제공 (2) 숙박시설에서 당일 다녀올 수 있는 관광 상품 제안 (3) 고객이 즐길 수 있는 문화 공연 및 activities 제안 (4) 충북 의료단지와 협력하여 의료서비스 판매할 수 있는 기회 마련

8. 무엇이 필요한가? 노약자를 배려한 시설, staff 및 도우미

9. Dreamtel 의 미래 계획 >> 운영 첫 해는 분기 별, 여름, 겨울 휴가철 총 6번 고객을 유치 >> 반응이 좋으면 3년 안에 매주 운영되는 상시 운영 체제로 전환 >> 충북 1호 점에서 5년 후 전국 도별 6개의 운영센터 설립 >> 안정 운영 후 충북에서 G-tel(Global-tel)로 전환하여 국제적인 Dreamtel로 성장

10. Dreamtel의 기대효과 >> 운영 기업의 Brand image 제고, 지역학생 도우미 선발을 통한 전인교육의 장 제공 >> 불편한 가정을 둔 가정에 휴식시간 제공, 전국에서 모여드는 고객의 임상 사례 확보

11. 결론 >> Dreamtel Project를 통하여 장애인과 몸이 불편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선진문화와 살기 좋은 세상을 이끌어가는 충북이 되자.

>> 도우미 전용 uniform 가시성을 위해 주황색 설정

>> 고객 전용 uniform 젊음의 푸른 색 설정

>> 함께 제안한 노약자 전용 smart car

2009 충북 아이디어 챌린지 정책 공모전 우수상 수상작3주제: “Dreamtel Project, 노약자를 위한 휴양시설 제안”

2009 충북 아이디어 챌린지

Page 22: Challenge (design portfolio)

Challenge contin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