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21
. 작물연구 147 ABSTRACT The convergence of agricultur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s a new growth engine increasing efficiency in every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his convergence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a solution to problems which the farmer faces in production sector, such as a labor shortage, unusual weather phenomena etc. These days smart farm increases by the policy for Spread of ICT usage in agriculture. Adoption of ICT on farm can reduce production cost and produce good quality products by precise farm management and remote control. We studied the real condition of the usage of ICT facilities and set up a Gyeonggido Agrifood ICT Support Center to promote farmer’s usage of ICT facilities on farm and performed ICT use consulting, educated agrifood ICT policy and repaired ICT equipment and facilities of farm. Key words : Agrifoo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Smart Farm 1. 연구목표 농업은 그동안의 전통적인 생산방식에서 탈피하여 생산과 가공 유통이 결합한 6차 산업 으로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기술), ET(환경기술), NT(나노기술) 등 융합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고부가가치 융복합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농업과 ICT(정보통신기술)이 결합한 ICT농업은 농업 생산·유통·소비의 전과정에 ICT를 접목하여

Transcript of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Page 1: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47

과제구분 기본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농식품 ICT 융복합 발전방안 연구 농업경영 ’15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정구현

경기지역의 농식품 ICT 성과분석

및 활성화 연구농업경영 ’15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정구현

색인용어 ICT, 거점지원센터, 스마트팜

ABSTRACT

The convergence of agricultur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s a new growth engine increasing efficiency in every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his convergence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a solution to problems which the farmer faces in production sector, such as a labor shortage, unusual weather phenomena etc.

These days smart farm increases by the policy for Spread of ICT usage in agriculture. Adoption of ICT on farm can reduce production cost and produce good quality products by precise farm management and remote control.

We studied the real condition of the usage of ICT facilities and set up a Gyeonggido Agrifood ICT Support Center to promote farmer’s usage of ICT facilities on farm and performed ICT use consulting, educated agrifood ICT policy and repaired ICT equipment and facilities of farm.

Key words : Agrifoo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Smart Farm

1. 연구목표

농업은 그동안의 전통적인 생산방식에서 탈피하여 생산과 가공 ‧ 유통이 결합한 6차 산업

으로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기술), ET(환경기술), NT(나노기술)

등 융합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고부가가치 융복합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농업과

ICT(정보통신기술)이 결합한 ICT농업은 농업 생산·유통·소비의 전과정에 ICT를 접목하여

Page 2: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48

농산업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새로운 산업수요와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

되고 있다. 또한 농업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기상 이변에 의한 생산의 불안

정성, 복잡한 유통구조에 따른 유통비용 상승, 급변하는 소비자 기호 변화 등 농산업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2004년 정보통신부의 IT 융합 모델화사업으로 시작된 농업‧농촌 ICT 융복합 기술개발

및 확산 정책은 2010년부터 농림수산식품부가 주관하면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농식

품부에서는 그동안 시설원예, 축산, 유통, 수산 등 농식품분야에서 22개의 ICT융합모델

개발을 완료하고 2014년부터 농업생산 부문을 중심으로 한 농식품 ICT 융복합 확산사업

으로 확대하여 희망농가를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2013. 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

2014. 농림축산식품부).

ICT기술을 농업생산에 활용하면 정밀한 농장관리와 원격 관리가 가능해져 생산비를

절감하고 품질이 좋은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ICT 융복합

기술의 농업적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할 과제들이 있다(심근섭, 이혜림

2014).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이 ICT 시스템의 유지관리와 사후관리 문제이다. 농장의 작물

생육환경 측정과 환경조절에 사용하는 각종 센서들이 외국산이다 보니 가격이 비싸고 고장이

나도 고치기가 어렵다. 또한 센서와 소트트웨어, 시스템 구축업체가 모두 달라 장비가 고

장났을 때 책임지고 수리하는 업체가 없거나 수리기간이 오래 걸린다. 농가의 정보화능력

과 인식 부족도 ICT기술의 적용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지

식이 부족하여 설치한 시스템을 충분히 활용하기 못하기도 하고 농장의 생산성 향상에 꼭

필요한 생육관련 데이터의 수집과 관리가 부실하다. 정부지원이 ICT 시설과 장비지원에

치우쳐 있어 사후 운영관리에 대한 지원이 미흡하고 농가가 사업비 부담에 비해 사업효과

를 확신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ICT사업 확산을 더디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ICT융

복합 시설 설치후에 발생하는 사후관리 문제를 인식한 정부에서는 권역별로 ICT융복합 거

점지원센터를 설치하여 ICT 시설농가의 교육, 컨설팅, 사후관리를 담당하고 ICT 시설 이용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우선 시범적으로 2014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 ICT 융복합

거점지원센터를 설치 운영하고(김덕현, 2015), 2015년부터 전국으로 사업범위를 확대하여

운영하였다.

본 연구는 ICT 시설농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기도의

ICT융복합 사업 추진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농식품 ICT융복합 확산사업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농식품 ICT거점지원센터를 설치하는 한편 ICT 실천농가의 사후관리

및 지원방안을 수립하여 실행코자 수행하였다.

Page 3: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49

2. 연구방법

가. ICT 시설 설치농가 실태조사

도내 ICT시설 설치농가 현황 및 이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설원예, 과수, 버섯

ICT시설을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는 50농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는 조사표에 의한 방문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CT시설 설치 및 이용현황,

지속적인 이용의도, 이용상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나. ICT 거점지원센터 설치 운영

도내 ICT 시설 설치 이용농가를 지원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지원체계를 구축 운영

코자 도 농업기술원에 ICT 거점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지역내 산학관연 협력체계를 구축

하였다. ICT 거점지원센터에서는 ICT 실천농가의 컨설팅과 사후관리, ICT 교육을 추진

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가. ICT 시설 설치농가 실태조사

도내에서 ICT시설을 설치한 농가는 50호로 조사되었다(표 1). 작목별로는 시설원예

29호, 버섯 3호, 축산 4호, 과수 14호였으며 재원별로는 지식경제부 지원 21호, 농식품부

지원 12호, 농촌진흥청, 도, 시군 등의 지원사업으로 설치한 농가가 12호로 조사되었다.

표 1. ICT 시설농가 현황(‘08∼’14)

구 분 소계 고양 파주 용인 화성 안성 남양주 이천 가평 기타

시설원예 29 12 3 5 3 1 1 4 -

버 섯 3 - - - - 2 - - - 1

축 산 4 - 1 - - 1 2 - -

과 수 14 - - - - 3 10 - - 1

* 재원별 : 지식경제부 21, 농식품부 12, 기타(농진청, 도, 시군 등) 19

* 연도별 : ,08년 1, ‘09년 6, ’10년 15, ‘13년 16, ’14년 12개소

도내 ICT 시설농가 실태조사농가의 일반현황은 표 2와 같다. 남자 경영주가 92%, 여성

경영주가 8%였으며 연령대는 50대가 48%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한편 영농경력은

11∼20년이 가장 많았으며 21∼30년 30%, 30년 이상 26%, 10년 이하가 6%의 순이었다.

Page 4: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50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남 46 92여 4 8계 50 100

연 령

40대 8 1650대 24 4860대 18 36계 50 100

영농경력

10년 이하 3 611∼20년 19 3821∼30년 15 3030년 이상 13 26

계 50 100

ICT시설 이용이 비교적 많은 시설원예와 과수농가의 영농현황을 살펴보면(표 3) 과수

재배농가의 평균연령은 55.8세였으며 평균 영농경력은 24.1년, 호당 평균 경영규모는

14,289㎡였으며 연간매출액은 64,385천원이었고, 시설원예농가의 평균연령은 56.4세, 평균

영농경력 23.9년 호당 평균 경영규모 5,955㎡, 연간매출액 508,867천원으로 조사되었다.

표 3. 농가 영농현황

영농분야 평균연령(세)

영농경력(년)

재배면적(㎡)

연간 매출액(천원)

시설원예 55.8 24.1 5,955 508,867

과수 56.4 23.9 14,289 64,385

시설원예농가와 과수농가에서 설치 운영하는 ICT시설에는 차이가 있었다. 시설원예농가는

시설내부의 생육환경 측정 및 조절을 위한 환경 측정 센서와 시설환경 제어를 위한 장비가

주로 설치되어 있었으며, 과수농가는 병해충 예측 방제를 위한 외부 기상 측정장치와 IT

페로몬 트랩, 과일저장을 위한 저온저장고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 주로 설치 운영

되고 있었다. 시설원예와 과수에서 요구하는 ICT 시설 및 장비에 차이가 있어 각각을

구분하여 ICT시설 이용농가의 ICT시설 설치 현황을 살펴보았다.

(1) 시설원예

온실을 재배작물에 적합한 환경으로 유지하기 위해 온실 내외부의 기상상태를 측정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부 농가에서는 온실 내부 생육환경 측정에 필요한 센서만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5: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51

온실내부 온습도와 CO2, 광량 센서 등은 많은 농가에서 설치하였으나 외부온도, 풍향,

풍속, 일사센서 등은 설치가 미흡하였다. 특히 양액의 EC와 PH를 측정하는 EC센서와

PH센서는 양액 재배농가에서 대부분 설치하였으나 지온센서는 설치농가 2농가로 매우

적었다(표 4).

표 4. 하드웨어 구축현황

구 분

환경센싱운영PC

온실외부 온실내부

온도 풍향 풍속 일사 감우 온습도 CO2 광 량 EC PH 지 온

설 치 17 14 14 13 25 27 22 21 15 16 2 26

미설치 12 15 15 16 4 2 7 8 14 13 27 3

계 29 29 29 29 29 29 29 29 29 29 29 29

온실 내부의 생육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시설과 제어방법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농

가에서 천창과 측창, 보온스크린, 차광커튼, 난방기 등 시설원예작물 재배에 필요한 기

본 시설의 제어는 시설과 관련된 센서와 연동된 제어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유동팬과 살수장비 및 관수관비 장치의 설치가 미흡한 농가

가 비교적 많았고 설치농가도 타이머나 수동으로 제어가능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표 5. 시설 및 환경제어

구 분일중천창

이중천창

측창보온스크린

차광커튼

난방기

co2발생기

훈증기

유동팬

살수장비

관수관비

양액

설치

유무

설 치 29 25 29 28 25 27 18 1 20 10 19 18미설치 0 4 0 1 4 2 11 28 9 19 10 11계 29 29 29 29 29 29 29 29 29 29 29 29

제어

방법

제어기 25 22 25 25 20 20 12 0 15 6 12 13타이머 1 0 1 0 2 3 4 0 5 0 1 2수 동 3 3 3 3 3 4 2 1 0 4 6 3계 29 25 29 28 25 27 18 1 20 10 19 18

농가에 설치된 환경제어 시스템을 현재 활용하고 있는 농가는 전체 농가의 65.5%인

19농가로 조사되었다. 활용농가에서는 온실관리의 편리성과 생산량 증대, 노동력 절감

등의 사유로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환경제어 시스템을 설치하였으나 현재

활용하지 않고 있는 농가는 34.5%인 10농가로 나타났다. 활용하지 않고 있는 사유로는

당초 설치할 때 기대하였던 효과에 미흡하거나 잦은 고장, 고장 난 후에 애프터서비스

가 안된다는 응답이 많았다.

Page 6: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52

표 6. 환경제어 시스템 이용현황

구 분 활 용 미활용 계

빈 도 19 10 29

% 65.5 34.5 100.0

활용 및 미활용 사유(중복응답)

- 온실관리의 편리성(16)- 생산량 증대(7)- 노동력 절감(13)- 지자제의 권유(4)- 기타(3)

기대성과에 미흡(4)잦은 고장(3)A/S가 안됨(6)유지관리 비용부담(1)기타(4)*

* 기타 : 신뢰성 저하, 불편함, 불합리점 개선 주체없음

시설원예농가의 복합환경제어 시스템 설치 운영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복합환경제어 시설은 갖추어져 있으나 설치 후 유지보수가 잘 안되어 센서 작동이 불량

하고 초기에 설치한 환경제어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가 안되어 PC환경에서 작동이 안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센서에서 발생한 생육환경 데이터의 수집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농가에서도 생산성향상과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수확량과 생

산물의 품질, 생장관련 데이터의 수집과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ICT시설의 효율

적인 활용이 미흡하였다.

ICT시설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노후시설의 교체와 사후관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환경

제어 및 경영관리 프로그램의 보완과 업데이트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CT시설에서 수집된 생육 및 생장환경 데이

터를 분석하여 농가에 환류하는 연구와 기술보급체계의 구축이 요구되었다.

표 7. 복합환경제어 시스템 이용의 문제점

◯ 복합환경제어 시설은 갖추어져 있으나 활용 미흡

- ICT시설 설치시 개발한 환경제어 S/W 업그레이드 및 사후 유지관리 미흡으로

인한 작동 불능 많음.

- 설치 후 내구년한 경과 및 유지보수 미흡으로 센서 작동 불량하고 복합환경

제어시스템 고장이 많음

◯ 데이터 수집 및 활용 미흡

- 생장환경 및 경영관리 S/W 사용미흡으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안됨.

- 데이터 관리 및 분석 능력 미흡

◯ 생육데이터 수집 및 DB화 필요

- 병해충 발생 및 방제 자료, 화훼 등 시설원예 작물 수확량, 품위자료 관리 안됨

Page 7: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53

(2) 과 수

과수분야의 ICT시설 농가는 기상을 측정하여 병해충을 예측하거나 관수장비와 연동하기

위해 설치한 농가와 과원에 발생하는 해충을 예찰하여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IT페로몬

트랩 설치농가로 구분할 수 있다. 설치목적에 따라 농가별로 설치한 ICT 장비에 차이가

있어 병해충 예측과 관수장비와 연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ICT장비를 설치한 농가에서는

온습도, 풍향, 풍속, 일사, 강우, 결로센서 등을 설치하였으나 해충방제를 위해 IT 페로몬

트랩을 설치한 농가에서는 기상환경 센서를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확한 과일을 보관하기 위한 저온저장고에는 대부분 온습도 센서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냉동기를 제어하고 있었으며, 생장 및 도난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하드웨어 구축현황

구 분환경센싱

관수시설온습도 풍향 풍속 일사 지온

토양수분

강우 결로

설 치 5 5 5 4 2 2 3 3 9

미설치 9 9 9 10 12 12 12 12 5

계 14 14 14 14 14 14 14 14 14

구분병해충

(IT 페로몬트랩)저장관리센싱

모니터링(CCTV)

온습도 냉동기 CO2 생장관리 도난관리

설 치 9 12 13 0 2 4

미설치 5 2 1 14 12 10

계 14 14 14 14 14 14

과수 농가는 과원의 임대차 계약 만료로 시스템을 이전한 한 농가를 제외하고는 모든

농가에서 ICT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었다. 과수농가의 ICT 시설을 활용하는 이유로는 과원

관리에 편리하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농업 기술센터 등 지

자체의 지속적인 이용 권유에도 원인이 있었다.

표 9. 과수 ICT 시스템 이용현황

구 분 활 용 미활용 계

빈 도 13 1 14

% 92.9 7.1 100

활용 및 미활용 사유

- 과원 관리 편리(12)- 노동력 절감(8)- 지자체 권유(6)

시스템 이전

Page 8: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54

과원에 ICT 시설을 설치한 농가에서는 ICT 시스템을 활발히 사용하고 있었으나 지자

체의 사업목적에 따라 전체 ICT시스템의 일부만 도입되어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ICT시설의 활용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상과 연동된 관수, 병해충 방제가 미흡하고 센싱

장비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생육데이터의

수집과 DB화가 안되어 농가의 병해충 방제비용 절감과 기상 및 토양수분 상태에 따른

적절한 관수와 이에 따른 생산량 증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농가의 ICT장비와 환경제어 시스템을 보완하여 농가별로 생육․ 생장데이터 수집

분석과 이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와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표 10. 시스템 이용의 문제점

◯ 복합환경제어 시설 미비

- 시범사업 목적에 따라 기상센서, IT페로몬 트랩을 농가별로 구분 설치

- 기상과 연동된 관수, 병해충 방제 안됨

◯ 수집데이터 활용 미흡

- 농업기술원 서버로 데이터는 수집되나 농가에서 분석 및 영농활동 안함.

◯ 생육데이터 수집 및 DB화 필요

- 병해충 발생 및 방제 자료, 과실 중량 및 품위 관련 자료 조사 미흡

도내 시설원예와 과수농가의 ICT 시설 및 장비 이용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결과 다

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농가에 설치된 하드웨어의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되었으므로 불량센서와 고장난 센서의

교체와 추가 설치가 요구된다. 또한 한 농가에 여러 업체의 센서가 설치되어 고장이 날

경우 수리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 농가에서 수리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규격을

통일할 필요가 있다.

시설원예 농가에서는 노후화되고 작동이 불량한 복합환경제어 시스템을 수리하고 보완

하는 노력이 요구되었으며 과수는 기상관측시설과 IT페로몬 트랩을 병해충 예측시스템과

연계하고 관수 및 방제시설과 연동하는 등 복합 환경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존의

ICT시설 활용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센서네트워크로 수집이 곤란한 수확량, 과실의 품질, 생육관련데이터의 수집과

관리가 필요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농업기술원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 농업연구․ 지도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컨설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9: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55

표 11. 개선방안

구 분 개선방안

◯ 하드웨어

- 노후화 및 고장 센서 교체

- 기상 및 CO2 센서 등 필요 센서 보완 설치

- 여러 업체의 이 기종 센서를 단일규격으로 통일하여

유지보수 비용 및 노력 절감

◯ 환경제어

- 시설원예 : 노후시스템 교체 및 시스템 수리

- 과수 : 기상과 IT페로몬 트랩, 병해충 예측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한 복합 환경제어 시스템 구축

◯ 생육ㆍ생장환경

DB

- 센서로 수집이 안되는 수확량, 품질, 생육 관련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 필요

- 생장환경 관리 시스템 구축

◯ ICT 교육 및

컨설팅

- ICT시설 설치농가의 정보통신기술 교육

- 데이터 관리 및 해석 능력 배양

- 농업기술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 품목별 담당자의 주기적인

DB분석 및 환경관리 컨설팅

3) 버섯 및 축산

도내 주요 특화작목인 버섯을 대상으로 한 ICT 사업은 2008년 G마크 머쉬하트 이력

추적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이 시범적으로 실시되었으며, 2013년 광주와 안성의 버섯 농가를

대상으로 u-IT기반의 버섯 생장관리 분석시스템 사업이 추진된 바 있다. 2008년에 안성에

설치된 이력추적관리시스템은 시설의 노후화와 시스템 유지보수 미비로 현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2013년에 안성과 광주의 버섯농가에 설치된 ICT 시설에서는 버섯 생장관련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있으며 향후 버섯연구소 전문가에 의해 분석되어 품종별 최적 생

육모델 개발과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컨설팅에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그러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센서 등 장비 도입시 실 사용자인 농장의

Page 10: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56

현실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농가의 시스템 사용 효율성이 높지 않고 농장 현실에 맞

지 않는 장비가 도입된 부분이 있어 농가의 사용경험을 토대로 지속적인 성능개선이 요

구되고 있다.

한편, 돼지 사육농가에는 2014년 농식품부의 ICT확산사업을 통해 최초로 4농가에 양돈

ICT 시설이 도입되었다. 모돈 자동급이기, 액상급이기, 선별기 등의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4) ICT 융복합시스템에 대한 인식

도내 ICT시스템 설치 운영농가 50호를 대상으로 농가의 ICT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시

스템 도입전과 도입당시, 이용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시스템 도입전에는 시스템을 도입하면 영농에 편리하고(4.1점) 능숙하게 활용할 것으

로 생각했고(3.6점), 시스템 도입이 귀찮거나(2.2), 힘들고(2.4점) 운영이 어렵다(2.5점)는

인식은 적어 시스템 도입에 긍정적이었다.

표 12. ICT 융복합시스템에 대한 인식(시스템 도입전)

설문항목 평 균 표준편차

도입 전에 ICT융복합 시스템 이용농가를 알고 있었다 3.1 1.24

도입 전에 ICT융복합 시스템 운영하는 것을 본적이 있다 2.9 1.31

ICT융복합 시스템 설치업체를 알고 있었다 2.7 1.22

컴퓨터 교육을 받았었다 3.4 1.14

컴퓨터 활용에 자신감이 있다고 생각했었다 3.6 0.84

인터넷 활용에 자신감이 있다고 생각했었다 3.7 0.83

시스템의 기능을 능숙하게 활용한다고 생각했었다 3.6 0.70

시스템은 타 분야로 확대될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3.7 0.84

시스템 활용이 선진 농가가 될 것이라는 생각했다. 3.7 0.81

시스템 도입이 편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4.1 0.68

시스템 운영이 어렵다고 생각했었다 2.5 0.78

시스템 도입은 귀찮다고 생각했었다 2.2 0.84

시스템 도입은 힘들다고 생각했었다 2.4 0.94

※ 리커트 5점척도(1 : 전혀 그렇지 않다. 5 : 매우 그렇다)

시스템을 농장에 설치하고 조작운영방법을 배울 때에는 설치비용이 높다고 생각한다

(4.0점), 부품교체 비용이 높다고 생각한다(3.7점)고 인식하였으며 제품에 대한 정보(품질,

기능, 가격)에 대한 인식과 A/S에 대한 불만이 평균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1: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57

표 13. ICT 융복합시스템에 대한 인식(시스템 도입시)

설문항목 평 균 표준편차

제품의 품질정보 획득이 어려웠다 3.4 0.98제품의 기능정보 획득이 어려웠다 3.3 1.02제품의 가격정보 획득이 어려웠다 3.6 0.91조작방법 습득이 오래 걸렸다 2.4 0.72사후서비스(A/S) 이용이 어려웠다 3.5 1.34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이용 방법이 어려웠다 3.1 1.50설치비용이 높다고 생각한다 4.0 0.78부품교체 비용이 높다고 생각한다 3.7 0.88시스템 설정 변경에 어려움이 있었다 3.1 1.25부품 교체 시 시간지연의 불편함이 있었다 3.5 1.21고장 시 빠른 A/S를 받지 못했다 3.5 1.33도입 후 추가비용 발생에 부담이 있었다 3.0 1.11A/S의 품질에 만족하지 못했다 3.5 1.07

※ 리커트 5점척도(1 : 전혀 그렇지 않다. 5 : 매우그렇다)

시스템 이용후에는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겠다(4.0점), 지속적으로 사용하겠다

(4.0점)는 의견이 높아 전반적으로 ICT시스템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14. ICT 융복합시스템에 대한 인식(시스템 이용 후)

설문항목 평 균 표준편차

ICT 융복합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겠다 4.0 0.80

ICT 융복합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겠다 4.0 0.69

ICT 융복합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 3.9 0.74

ICT 융복합 시스템을 타인에게 추천하겠다 3.7 0.94

ICT 융복합 시스템보다 기존방식이 더 좋다 2.9 1.13

ICT 융복합 시스템 설치를 반대한다 2.1 0.67

ICT 융복합 시스템에 불만이 있다 2.8 1.08

ICT 융복합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겠다 2.2 0.80

※ 리커트 5점척도(1 : 전혀 그렇지 않다. 5 : 매우그렇다)

ICT시스템 이용만족도는 평균 3.41점으로 조사되었다. 각 항목별로 살펴보면 과원

관리가 편리해졌다(3.9점), 일하기가 편해젔다(3.8점), 정보기술 활용능력이 향상되었다

(3.5점)는 응답점수가 높았으며 경영비가 절감되고(3.2점), 농가소득이 향상되었다(3.3점)

등 각 항목에 걸쳐 만족도가 보통(3.0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Page 12: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58

표 15. ICT융복합시스템 이용 만족도

설문항목 평 균 표준편차과원(생장환경) 관리가 편리해 졌다 3.9 0.98노동력이 절감 되었다 3.4 1.09수확량이 증가 되었다 3.2 0.88품질이 향상되었다 3.3 0.88정보기술 활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3.5 0.79작물의 재배기술이 향상 되었다 3.1 0.78일하기가 편해졌다 3.8 0.74경영비가 절감(난방비 등)되었다 3.2 0.86농가소득이 향상되었다 3.3 0.74 평 균 3.41 0.86

※ 리커트 5점척도(1 : 전혀 그렇지 않다. 5 : 매우 그렇다)

ICT 융복합 농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정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4.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관련주체간의 연계협력이 중요하다(4.1점), 중간지원 조직 지정 및 운영의

필요성(4.1점), 정보기술 활용능력 향상(4.0점), 컨설팅 요원 육성(4.0점), 농가간 정보공유

(3.9점), 공급업체 육성(3.9점)등의 중요성도 높게 나타났다.

표 16. ICT 융복합 농업 활성화를 위한 의견

설문항목 평 균 표준편차

정보기술 활용 능력을 향상해야 한다 4.0 0.64과원생장환경관리에 대한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 4.0 0.61재배 컨설팅을 확대해야 한다 3.8 0.87재정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4.5 0.82컨설팅 요원을 육성해야 한다 4.0 0.92공급업체들을 육성해야 한다 3.9 0.88판매(출하)정보와 연계해야 한다 3.8 0.91관련주체간 연계협력이 중요하다 4.1 0.71농가간 정보공유가 필요하다 3.9 0.84ICT 융복합 농업 협의체구성이 필요하다 3.8 0.68중간지원조직 지정 및 운영이 필요하다 4.1 0.84

※ 리커트 5점척도(1 : 전혀 그렇지 않다. 5 : 매우 그렇다)

금년부터 농업기술원에서 운영하게 될 ICT 거점지원센터 활용의도에 대한 설문에서는

거점지원센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4.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거점지원센터에서 제

공하는 시스템 유지관리 지원(4.1점)과 현장컨설팅(3.9)을 받고 싶다는 의견도 비교적 높

게 나타났다.

Page 13: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59

표 16. 거점지원센터 활용의도

설문항목 평 균 표준편차

ICT 거점지원센터는 필요하다 4.3 0.69

ICT 거점지원센터와 연계된다면 과수재배면적을 확대하겠다 2.7 0.90

거점지원센터에서 ICT 융복합시스템 교육이 개설된다면 수강하겠다 3.7 0.85

거점지원센터에서 생장환경관리 현장컨설팅을 지원한다면 받고 싶다 3.9 0.80

거점지원센터에서 생장환경 관리에 대한 모니터링을 받고 싶다 3.8 0.86

거점지원센터에서 지속적인 시스템 유지관리 지원을 받고 싶다 4.1 0.80

거점지원센터의 신속한 정보를 받기위해 인터넷을 연결할 의향이 있다 3.8 0.79

※ 리커트 5점척도(1 : 전혀 그렇지 않다. 5 : 매우 그렇다)

또한 ICT현장 컨설팅을 실시할 때 적합한 기관으로는 시군농업기술센터가 52.9%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 농업기술원 24.3%, 설치업체 8.6% 관련산업협회 5.7% 등ㅇ로 조

사되어 ICT시설 설치농가가 소재한 지역의 시군농업기술센터가 현장컨팅팅에 가장 적합

한 기관으로 조사되었다.

표 17. ICT농가 현장컨설팅 적합 기관(중복선택)

 기 관 빈도 비중(%)

지역인근 대학 2 2.9

시군농업기술센터 37 52.9

설치업체 6 8.6

도 농업기술원 17 24.3

관련산업협회 4 5.7

기 타 4 5.7

계 70 100.0

※ 기타 :전국단위센터, 단위단지, 필요없음 등

한편, ICT시설 설치농가에 희망하는 교육내용으로는 생장환경의 이해(25.7%), 환경

제어기술(26.4%), ICT시설을 통해 수집된 정보의 분석 및 이해(18.1%)인 것으로 조사되어

작물재배환경 교육과 함께 ICT시설의 운영과 생육․ 생장환경데이터의 수집 분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4: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60

표 18. 희망하는 교육 내용(중복선택)

 교육내용 빈도 비중(%)

수강하지 않음 4 2.8

생장환경의 이해 37 25.7

병해충관리 23 16.0

환경제어 기술 38 26.4

수집정보 분석 및 이해 26 18.1

우수사례 공유 12 8.3

기 타 4 2.8

 계 144 100.0

※ 기타 : 해당없음(2), 농장 환경 정보 출력의 활용, 공동선별, 노령화로 수강어려움

나. ICT 거점지원센터 설치 운영

정부는 ICT를 활용한 과학영농으로 생산비 절감(20%)과 수량 증대(30%) 효과를 위해

농식품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농식품 ICT 융복합 확산사업은 시설원예와

과수, 축산농가에 ICT시설 자금을 지원하여 농장 ICT 시설 설치를 촉진하는 사업으로

시설원예 분야는 작물의 온·습도 등의 최적환경 유지를 위한 시설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복합환경제어시스템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과수분야는 과수원내 병해충 예찰 및

온습도 등 환경 모니터링을 활용한 관수 등 각종 제어가 가능한 IT 융합 과수재배관리

시스템 설치를 지원하고 있고, 축산농가는 자동사료급이 및 돈사관리 등의 자동화 시설

설치를 지원한다. 정부는 위 사업과 동시에 농장에 설치된 ICT 시설의 활용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권역별로 거점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이를 지원하기 위한

권역별 ICT 거점지원센터 설치운영 시범사업을 2014년부터 추진하고 있다(2014. 농림수

산식품부).

(1) 사업 개요

ICT 거점지원센터 설치운영사업은 정부에서 추진한 ICT 융복합모델 보급농가와 2014년

부터 추진중인 농식품 ICT 융복합 확산 대상농가를 지원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지원체계를

구축 운영코자 추진중인 사업으로 2015년에는 7월부터 12월까지 추진되었다. 경기도에서는

도 농업기술원에 거점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였는데 사업 개요는 표 19와 같다.

사업 내용은 경기도 농식품 ICT 거점지원센터 설치 운영, ICT융복합 시설 농가 컨설팅

및 노후 장비 교체 지원, ICT시설 농가와 희망농가에 대한 ICT융복합 확산사업 교육

및 홍보이며 사업비는 85백만원이 배정되었다.

Page 15: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61

표 19. ICT 거점지원센터 설치운영사업 개요

○ 목적 : 기존 ICT 융복합 모델 보급 농가 및 확산 대상 농가를 지원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지원 체계 구축․운영

○ 추진방향

- 농식품 ICT사업의 효율적인 추진과 사후관리를 위한 거점지원센터 구축 운영 - 농업 및 ICT관련 산ㆍ학ㆍ관ㆍ연 연계체계 구축 및 역할 분담 - ICT 기반 농축산 농가 성과 제고를 위한 컨설팅, 교육, 홍보 추진

○ 사업기간 : 2015.7.17.∼12.18(5개월간)

○ 사 업 비 : 85,000천원

○ 사업대상 : ICT시설 설치농가 50호

○ 참여기관 : ㈜이지팜, ㈜에피넷, 한경대학교, 한국시설원예ICT융복합협동조합

○ 사업내용 : - 경기도 농식품 ICT 거점지원센터 설치 운영

- ICT융복합 시설 농가 컨설팅 및 노후 장비 교체, 사후관리 - ICT융복합 확산사업 교육 및 홍보

사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ICT 전문업체와 교육기관과 산ㆍ학ㆍ연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참여기관별 역할은 표 20과 같다.

표 20. 참여기관별 역할

구 분 담당역할

경기도농업기술원(주관기관)

• 사업추진 및 운영관리 총괄• 거점지원센터 구축․운영• 참여기관간 연계 및 업무 지원

한경대학교 산학연협력단

• 시설원예 생장환경 및 품질관리 컨설팅• 양돈 사양 및 환경관리 컨설팅• ICT농가 전문교육 및 현장실습교육

(주)이지팜• 양돈, 시설원예 ICT농가 이용현황 조사• 양돈, 시설원예 ICT농가 환경제어 컨설팅• 양돈, 시설원예 ICT농가 시설 및 장비점검, 유지보수

㈜ 에피넷• 과수 ICT농가 이용현황 조사• 과수 ICT농가 시설 및 장비 점검, 유지보수• 과수 ICT농가 컨설팅 및 시스템 이용 교육

한국시설원예ICT융복합 협동조합

• 시설원예 ICT 환경제어 컨설팅• 시설원예 ICT 현장활용 교육

각 시군농업기술센터

• 작목별 재배기술 지도• ICT 교육생 모집 및 교육 진행 협조• ICT 실천농가 관리• 기타 사업 수행 지원

Page 16: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62

(2) 경기도 농식품 ICT 거점지원센터 구축 운영

농업기술원 농업과학연구관 3층에 50㎡규모로 사무실을 설치하고 사업의 원할한

수행을 위해 사업 참여기관 및 농가와의 연락을 담당할 요원을 2명 배치하였다. 센

터에서는 본 사업의 운영관리를 총괄하였으며 참여기관간의 역할 조정과 사업예산

관리, 시군농업기술센터와 참여기관과의 협력 지원, ICT농가 조사 자료의 취합과

분석업무를 수행하였다.

(3) ICT 시설농가 컨설팅 및 노후장비 교체, 사후관리

ICT 시설농가에 대한 컨설팅은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먼저 미리 준비한 사전

점검표를 가지고 사업대상 50농가를 대상으로 농가에 설치된 ICT시설 및 장비의 작

동여부를 파악하고 ICT시설 및 장비 운영에 있어서 농가의 애로사항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농가 조사결과 환경제어 및 관리운영 측면에서 장비의 노후화와 환경제어 관측결

과의 작물적용기술 매뉴얼 부재, 농업인이 생육 및 환경 데이터 수집 및 분석방법을

모르고 있는 점들이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관리 측면에서는 ICT 시설의 무상

수리기간 만료 후 농가와 업체간에 유지보수 계약이 체결되지 않아 사후관리가 부실

하며 정부에서도 사후관리를 위한 체계가 구체적으로 구축되지 않아 시설의 활용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가 스스로도 자신의 농장에 필요한 컨설팅 사항을

구체화하여 요구하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농가에서 ICT 복합환경제어 기술이 농장의

생산 품질 및 농가소득과 직결된다는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노후장비의 교체와

유지보수 지원, 개별농가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과 ICT기술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사업예산상의 제약으로 2-3차 컨설팅은 개별농가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ICT시설의 지속적인 이용의향이 있는 농가 중에서 20호를 선정하여 진행

하였다. 선정된 농가를 대상으로 농장을 방문하여 ICT시설의 이용방법을 교육하고

장비와 환경제어 시스템의 오류를 수정하는 등 83회에 걸쳐 컨설팅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복합환경제어 시설 중에서 농장에 필요한 장비를 노후화되어 교체가 필요한 농가

10호에 대하여는 유통휀, 온습도 센서 등의 장비를 교체하여 시설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Page 17: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63

표 21. 농가의 ICT시설 이용실태 및 대응방안

분야 애로 사항 대응 체계

환경제어관리·운영

○ 2013년 이전 사업실시 농가는 센서와 연동된 자동제어 기능 노후, 고장방치 등으로 현재 반자동 상태로 활용 하거나, 활용 포기 농가 다수 발생

○ 기 설치 하드웨어는 최대한 활용 하고,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장비 의 교체, 스마트폰 제어기능의 반영 등 ‘대수선’을 위한 지원 필요

○ 환경제어 관측 결과의 작물적용 기술 제공 미흡 - 기상값 토양 양수분 값 등은 실시 간으로 제공되지만 이에 따른 작물 및 환경관리 지침 없음

○ 작물별 생육, 재해, 병해충 관리 매뉴얼 작성, 교육 - 작물별 생육, 재해, 병해충 관리 전문 컨설팅 요원 육성 및 주기별 현장 지도

○ 기상재해 병해충 발생 및 방제시기에 대한 종합 정보 제공 없음. - u-IT해충트랩의 경우 과수 해충 3종의 발생량만 통보

○ 미개발 작물별 생육, 재해, 병해충 관리기술 개발 및 총합시스템 구축 사업 필요

◦ 선도농가는 노하우의 유출로 인식 하여 생육ㆍ생장환경 데이터 제공을 꺼리고 있으며, 후발 농가는 데이터 수집의 방법, 매뉴얼, 활용 방법을 모르고 있음

○ 생육생장환경 데이터 수집 및 활용방법 컨설팅 및 교육

사후관리

(A/S)

○ H/W, 센서, S/W공급업체가 달라 ICT 시설 고장시 A/S 및 빠른 수리 안되고 책임을 미루는 경우가 있음

○ 농가의 입장에서 공급자를 관리, 감독, 분쟁의 조정, 하자이행 조치를 위한 감리자, 컨설팅 기능 필요

○ 무상 수리기간 만료 후 농가 개별 유지보수에 대해 농가와 업체 모두 유지보수계약 미체결

○ 유지보수비용 지원 및 유지보수 계약 유도

○ ICT시설 설치(농정), 사후관리, 교육에 대한 역할이 불명확하여 농가정보 수집, 사후관리에 혼선

○ 사업별 추진주체 명확화 및 차년도 사업계획에 반영 요망

교육·컨설팅지원

◦ 농가가 일반론 차원에서 ICT 교육 및 컨설팅을 원하고 있으나, 구체 적인 요구사항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는 농가는 소수

◦ 개별식 맞춤형 컨설팅 및 유지 관리에 대한 근접지원을 통하여 일정 수준에 도달한 농가 중심으로 유형화된 지원 방식으로 다면적인 교육 및 컨설팅 필요

◦ ICT 복합환경제어 기술이 당사자 농가의 영농기술을 높여주고, 생산품질 및 나아가 농가소득과 직결된다는 인식이 낮음

◦ 집체교육 방식의 영농기술 교육 및 컨설팅은 지양하고 농가의 1:1 맞춤의 영농기술 교육 실시

(3) ICT 융복합 확산사업 교육 및 홍보

도 농업기술원 직원과 시군농업기술센터의 ICT 및 재배기술 담당자 등 공무원을 대상

으로 정부의 농업 ICT정책과 활용현황에 대한 교육을 2회 66명 실시하였으며, 각 시군

Page 18: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64

농업기술센터의 협조를 받아 농업인을 대상으로 정부의 농식품 ICT 정책과 활용사례,

복합환경제어 관련 교육을 9회 280명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실습을 희망하는 공무원과

농업인 30명을 대상으로 1박2일 과정의 현장실습교육을 실시하는 등 총 12회에 걸쳐

376명의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정부의 ICT확산사업을 홍보하였다.

표 22. 농가 교육 및 홍보 현황

일 시 장 소 교육대상 인원(명) 내 용

9.10 경기도농업기술원시군농업기술센터 직원

15농식품 ICT정책과 활용현황재배 분야별 복합환경제어

11.05 여주시농업기술센터 딸기연구회원 25 시설원예 복합환경제어

11.06 한경대학교 농업CEO과정생 43 농식품 ICT정책과 활용사례

11.16 이천시농업기술센터 분화연구회원 40 시설원예 복합환경제어

11.18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 화훼연구회원 20 화훼 복합환경제어

11.23∼24

한경대학교공무원 및 농업인

30재배 분야별 복합환경제어시스템 이용법 및 현장실습

11.25 안성시농업기술센터 사이버연구회원 30 농장환경제어

11.30 연천시농업기술센터 사과연구회원 20 과수 ICT 환경제어11.30 농업기술원 사이버연구회원 52 농식품 ICT정책과 활용현황

12.02 송탄APC 수경재배연구회원 20 시설원예 복합환경제어

12.10 경기도농업기술원 농업기술원 직원 51 농식품 ICT정책과 활용현황12.18 고양시농업기술센터 화훼연구회원 30 화훼 복합환경제어합계 13회 376

4. 결과요약

ICT기술을 농업생산에 활용하면 정밀한 농장관리와 원격관리가 가졍해져 생산비를

절감하고 품질이 좋은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설치된 ICT시설의 활용을 위

해서는 농가교육, A/S, 노후화된 설비의 교체 등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ICT시설농가의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농가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한 경기도 농식품 ICT 거점지원센터의 운영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ICT시설 설치농가 실태조사

도내 ICT 시설을 설치한 농가 50호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ge 19: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65

(1) 시설원예 농가는 온실내부의 생육환경 측정에 필요한 온습도, CO2, 광량 센서 등은

많은 농가에서 설치하였으나 지온센서와 외부환경 측정에 필요한 온도, 풍향, 일사,

감우센서의 설치는 미흡하였고, 천창과 측창, 보온스크린, 차광커튼, 난방기 등의

제어는 센서와 연동된 제어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으나 유동팬과 살수장비 및 관수관비 장치의 제어는 타이머를 이용하거나 수동

으로 제어하는 농가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2) 시설원예 농가중에서 환경제어 시스템을 현재까지 활용하는 농가는 65.5%였으며 온

실관리의 편리성, 노동력 절감, 생산량 증대 등이 주된 활용사유로 꼽았고, 미활용

농가는 34.5%였으며 A/S가 안되거나 기대성과에 미흡, 잦은 고장 등을 활용하지 않

는 사유로 거론하였다.

(3) 시설원예 농가의 복합환경제어 시스템 이용상의 문제점으로는 초기 환경제어 S/W

의 진부화로 인한 작동불능과 시설의 노후화 및 유지보수 미흡으로 인한 시스템

고장, 생육 및 생장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활용 미흡으로 나타났다.

(4) 과수농가는 ICT 시설 설치 목적에 따라 병해충 예측을 위한 기상장비 설치농가와

IT 페로몬트랩 설치농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병해충 예측을 위한 ICT장비 설치농

가는 온습도, 풍향, 풍속, 일사센서 등 기상관측센서를 설치하였으나 해충예찰을 위

한 IT페로몬트랩 설치농가는 기상 관측장비를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과수농가는 시스템 이전농가 1농가를 제외한 모든 농가가 ICT시스템을 이용하고 있

었으며 과원관리의 편리함과 노동력 절감, 지자체의 권유 등을 ICT시스템 활용사

유로 꼽았다.

(6) 과수농가의 ICT 시스템 이용의 문제점으로는 사업 목적에 따라 기상센서, IT 페로

몬트랩을 농가별로 구분설치하여 복합환경제어가 되지 않았고 수집된 기상데이터

를 병해충 방제에 충분히 활용하지 않는 점과 과수 생육데이터 수집 및 활용이 미

흡한 점으로 조사되었다.

(7) ICT 시설농가의 ICT 시스템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는 노후화 및 고장난 센서, 시스

템의 교체 및 수리, 생육․생장환경 데이터의 수집 및 DB화, 농가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8) ICT 시설농가의 ICT융복합시스템에 대한 인식은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 하겠다

(4.0점), 지속적으로 사용하겠다(4.0점)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치된 ICT

시스템의 이용만족도는 평균 3.41점으로 조사되었다.

(9) ICT 융복합 농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정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4.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관련주체간의 연계협력이 중요하다(4.1점), 중간지원 조직 지정 및

운영의 필요성(4.1점), 정보기술 활용능력 향상(4.0점), 컨설팅 요원 육성(4.0점), 농

가간 정보공유(3.9점), 공급업체 육성(3.9점)등의 중요성도 높게 나타났다.

Page 20: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166

(10) ICT 거점지원센터 활용의도에 대한 설문에서는 거점지원센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4.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스템 유지관리 지원(4.1점)과 현장컨설팅(3.9점)을

희망하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ICT현장 컨설팅에 적합한 기관으로는 시군농업기술

센터를 꼽았으며(52.9%), 희망하는 교육내용으로는 생장환경의 이해(25.7%), 환경 제

어기술(26.4%), ICT시설을 통해 수집된 정보의 분석 및 이해(18.1%)인 것으로 조사

되어 작물재배환경 교육과 함께 ICT시설의 운영과 생육․ 생장환경데이터의 수집 분

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ICT 거점지원센터 구축 운영

기존 ICT 융복합 모델 보급농가 50호를 대상으로 2015년에는 7월부터 12월까지 추

진한 경기도 농식품 ICT 거점지원센터 설치운영사업 추진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CT 거점지원센터 설치운영사업을 위해 지역내 ICT업체, 대학교, 농업기술센터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세부내용은 경기도 농식품 ICT 거점지원센터 구축 운영,

ICT융복합 시설 농가 컨설팅 및 노후 장비 교체 지원, ICT 시설 농가와 희망농가에

대한 ICT 융복합 확산사업 교육 및 홍보이며 사업비는 85백만원이었다.

(2) 농업기술원 농업과학연구관 3층에 50㎡규모로 경기도 농식품 ICT 거점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담당 요원 2명을 배치하였으며, 센터에서는 사업의 운영관리를 총괄하고

참여기관과의 역할 조정과 예산 관리, ICT농가 조사자료의 취합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3) 사업대상 농가의 ICT시설 이용실태를 전수조사하고 ICT시설 및 장비 이용에 대한

컨설팅은 50농가를 대상으로 3차에 걸쳐 93회 실시하였으며, 10농가의 노후장비 수리

및 교체를 지원하였다.

(4) 농가 조사결과 장비의 노후화와 환경제어 관측결과의 작물적용기술 매뉴얼 부재,

농업인이 생육 및 환경 데이터 수집 및 분석방법 미 숙지, 사후관리가 부실등이 시

설의 활용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노후장비의 교체와 유지보수 지원, 개별농가

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과 ICT기술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 ICT 및 재배기술 담당자 등 공무원을 대상으로 정부의 농업 ICT정책과 활용현황에

대한 교육을 2회 66명 실시하였으며, 농업인을 대상으로 정부의 농식품 ICT 정책과

활용사례, 복합환경제어 관련 교육을 9회 280명 실시하였다. 또한 공무원과 농업인

30명을 대상으로 1박2일 과정의 현장실습교육을 실시하는 등 총 12회에 걸쳐 376명

의 교육을 실시하고 정부의 ICT확산사업을 홍보하였다.

Page 21: ABSTRACT · 2016-05-30 · 1502015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2. 조사자 일반현황 구 분 빈 도 비 중(%) 성 별 남 46 92 여 4 8 계 50 100 연 령 40대 8 16 50대

Ⅰ. 작물연구 167

5. 인용문헌 - 박경아. 2014. 농식품 정보화정책 방향. 농림축산식품부 스마트농정플러스 2015 워크숍

자료집.pp. 23-34.

- 민근홍, 2013. 농식품 ICT 융복합 운영현황 및 사례소개. 한국농식품정보학회 2013

농식품분야 ICT 융복합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pp. 40-49.

- 심근섭, 이혜림. 2014. 영농현장의 시설농업ICT융복합 애로사항과 과제. 한국농식품정보

과학회 제2회 농식품 ICT융복합 포럼 자료집.

- 김덕현. 2015. 전남 농식품 ICT 융복합 거점지원센터 구축 및 컨설팅 사례. 농림축산

식품부 2015년 스마트팜 확산 및 창조마을 조성 지자체 담당자 워크숍 자료집.

- 김연중외 8인. 2013. 스마트 농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농촌경제연구원.

6. 연구결과 활용제목○ 거점지원센터 설치운영사업 기초 활용

7. 연구원 편성

세부과제 구분 소속 직급 성명 수행업무참여년도

경기지역의 농식품 ICT사업 성과분석 및 활성화 연구

책임자농업기술원작물연구과

농업연구관 정구현시험수행총괄

’15

공동연구자〃〃〃

농업연구사〃

농업연구관

이진홍전명희박인태

사업실태조사〃

연구자문

’15

’1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