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90
敎育學碩士學位請求論文 敎師의 民主的 學校經營 參與 實態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eachers ' Participation in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2001 2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Transcript of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Page 1: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敎 育 學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敎 師 의 民 主 的 學 校 經 營 參 與 實 態 에

관 한 硏 究

A S tu dy on T e ac h e rs ' P art ic ip at ionin D e m oc rat ic S ch o ol M an ag e m e nt

200 1年 2月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敎 育 行 政 專 攻

高 源 模

Page 2: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敎 育 學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敎 師 의 民 主 的 學 校 經 營 參 與 實 態 에

관 한 硏 究

A S tu dy on T e ac h e rs ' P art ic ip at ionin D e m oc rat ic S ch o ol M an ag e m e nt

200 1年 2月

指導敎授 金 昌 杰

本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敎 育 行 政 專 攻

高 源 模

Page 3: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本 論文을 高源模의 碩士學位論文으로 認准함

200 1年 2月

主審 印

副審 印

副審 印

Page 4: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謝 辭

本 論文을 完成하기까지 세심하게 指導해 주시고 끊임없이 激勵해

주신 金昌杰 敎授님께 진심으로 感謝드리며 , 아울러 아낌없이 後援해

주시고 助言해 주신 姜庚錫 敎授님 , 鄭永壽 敎授님께 謝意를 表합니

다 .

그 동안 學問에 精進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先輩 同僚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항상 精誠과 努力으로 뒷바라지 해준 아내와 자랑스럽게 지켜 보아

준 부모 , 형제들의 힘은 더욱 勇氣를 주었으며 이 기쁨을 함께 하고

싶습니다 .

2001 年 2 月

高 源 模

Page 5: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目 次

Ⅰ . 序論 1

A . 硏究의 必要性 1

B. 硏究의 目的 3

C. 硏究의 問題 3

D. 硏究의 制限點 4

E . 用語의 定義 4

Ⅱ . 理論的 背景 6

A . 學校經營 6

B. 民主的 學校經營 13

C. 學校經營의 指導性 25

D. 先行硏究의 考察 30

Ⅲ . 硏究 方法 33

A . 硏究의 對象 및 標集 33

B. 硏究의 道具 33

C. 資料의 處理 34

Ⅳ . 硏究 結果 및 解釋 35

A . 學校 敎育計劃 樹立에의 參與 35

- ⅰ -

Page 6: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B. 意思決定에의 參與性 40

C. 校內 奬學의 民主性 46

D. 人事管理 51

E . 勤務條件의 改善 55

F . 業務處理의 自律性 60

Ⅴ . 要約 및 結論 66

A . 要約 66

B. 結論 69

參考文獻 72

附 錄 74

國文要約 78

英文抄錄 80

- ⅱ -

Page 7: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表 目 次

<표Ⅲ- 1> 설문지 배부 및 회수 상황 33

<표Ⅲ- 2> 설문지의 구성 내용 34

<표Ⅳ- 1> 교사의 학교계획 수립 참여 35

<표Ⅳ- 2>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 수립시 의견 제시 36

<표Ⅳ- 3> 교육기획위원회 참여 의견 제시 37

<표Ⅳ- 4> 학교경영 참여 의견 제시 38

<표Ⅳ- 5> 관리자의 경영방침에 따른 민주화 비중 39

<표Ⅳ- 6> 학교경영 의사결정 참여 40

<표Ⅳ- 7> 의사결정에 교사 의견 반영 41

<표Ⅳ- 8> 교사 상호간의 의사소통 42

<표Ⅳ- 9> 직원회 안건의 사전 승인 43

<표Ⅳ- 10> 직원회의에서 발언기회 44

<표Ⅳ- 11> 소수의견의 수용 45

<표Ⅳ- 12> 교내 장학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교사의인지도 46

<표Ⅳ- 13> 교내 장학의 효과성 47

<표Ⅳ- 14> 교사의 비판 수용도 48

<표Ⅳ- 15> 교원 연수 의견 반영 49

<표Ⅳ- 16> 개인별 장학 실시 50

<표Ⅳ- 17> 교내 인사 원칙 제정과 준수 51

<표Ⅳ- 18> 인사 자문회의의 교사 의견 반영 52

- ⅲ -

Page 8: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표Ⅳ- 19> 교내 인사결정 공개 53

<표Ⅳ- 20> 부당한 인사 조치 54

<표Ⅳ- 21> 교사의 학습내용과 방법 자율적 연구 지원 55

<표Ⅳ- 22> 수업 시수의 적정 수준 56

<표Ⅳ- 23> 업무 분장시 교사와의 협의 57

<표Ⅳ- 24> 불필요한 장부 작성 58

<표Ⅳ- 25> 교원의 학년연구실 설치 운영 59

<표Ⅳ- 26> 업무처리의 위임 전결 60

<표Ⅳ- 27> 업무처리로 인한 수업결손 61

<표Ⅳ- 28> 교육자료 선정 절차에 관한 교원의 참여 62

<표Ⅳ- 29> 교육자료의 교원 요구 수용 63

<표Ⅳ- 30> 예산 심의위원회의 기능 수행 64

- ⅳ -

Page 9: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圖 目 次

[도- 1] 합리모형의 의사결정 과정 17

[도- 2] 만족모형의 의사결정 과정 18

[도- 3] 점증모형의 의사결정 과정 19

[도- 4] 혼합주사모형의 의사결정 과정 20

[도- 5] 최적모형의 세 가지 결정단계 21

- ⅴ -

Page 10: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Ⅰ . 序 論

A . 硏究 의 必 要性

21세기 미래사회는 세계화·정보화·신지식 기반사회로 바뀌어 나갈 것이

고, 따라서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인재의 개념도 새로운 정보·지식을 갖춘

신지식인으로서, 창의적이고 경쟁력을 갖춘, 그리고 정보·지식의 부가가치

를 높일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 자치제를 시작한 우리의 교육상황에서 가장 시급히 요구되는 문제중

의 하나는 교육 행정가들이 새로운 변화를 어떻게 대처해 나가느냐 하는 것

이다. 흔히 우리는 교육현실의 많은 문제를 교육행정가의 전문성 결여, 비민

주적이고, 비효율적인 지도력에 돌리고 있으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적응 경

험이 없는 그들의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문제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

는다.

이제까지 학교 행정가는 합법적 권한과 개인의 권위로서 학교조직을 이끌

어왔다. 그러나 앞으로 시대, 특히 교육자치제도하에서는 행정가의 합법적

권한과 개인적 권위에 의존할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오늘날 학교교육의 일반적인 목표를 학생들의 전인적인 발달을 조장하고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키우는데 두고 있다. 따라서 학교경영은 이러한 학교교

육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학교의 인적·물적 자원을 조장하

는 것이다.

Alvin T offler도 이 시대는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로서 권력이동을 그 특징

- 1 -

Page 11: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으로 꼽고 있다.1) 지금 우리 사회는 근본적으로 다른 권력 구조가 형성되어

가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도 수 년 전부터 일기 시작하여 대량 해직사태를 가

져왔던 전교조 문제, 학부모 모임 등이 자신들의 권리를 찾겠다고 나섰다.

이러한 권력이동의 문제와 지역감정 빈부의 갈등에 대한 정치 사회적 문제

까지 학교에 옮겨져 많은 갈등을 빚고 있는 것이 우리 현실이다.

이러한 학교 현장의 갈등문제 해결을 위해 행정당국에서도 학교 경영의

민주화를 내세우고 많은 시책을 펴왔다. 90년 교육백서에서도 학교의 교육

목표를 보다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경

영이 민주적으로 되어야 하며, 학교장은 학교경영의 책임자로서 교사들과의

대화 기회를 확대하고 교사들의 학교경영 참여와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그들의 입장과 요구를 수용하여 불만요인을 제거하고 바람직한 인간관

계를 유지함으로 교사들의 갈등을 최소화시키는데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고 하면서 학교경영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학교경영쇄신이

라고 하였다.2) 또 김창걸은 학교경영에서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은 민주화

라고 전제하고 교육목표설정, 교육계획 수립 등 의사결정과정에서 전 교직원

이 참여하여 결정하고 그 집행에 있어서 과도한 권한의 위임이 이루어져 교

직원 책임하에 실행될 때 교직원의 협조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

다.3 )

따라서 학교경영의 민주화가 얼마나 이루어져 학교경영의 영역에서 교사

들의 참여와 협동이 이루어지고, 의사결정과정에서 교사의 의견이 수렴되며

자율적으로 운영되는지 조사해 보는 것은 가치있는 일이라 하겠다.

1) 이성은 역, 학교행정과 장학론(서울:양서원, 1991), pp.7∼8.2) 교육부, 교육백서(서울:삼진사, 1990), pp.280∼283.3) 김창걸, 교육행정학 및 교육경영(서울:형설출판사, 1989), pp.345∼347.

- 2 -

Page 12: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B . 硏 究의 目 的

학교경영의 민주화를 위해서는 학교내의 권위주의를 청산하고, 평교사의

의견을 수렴ㆍ반영하며, 의사결정에서의 민주적 과정을 존중하고, 교육환경

개선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 자율성과 책임감이 수반되는 학교경영의 재량권

을 부장교사에게 폭 넓게 허용, 학교내의 가족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교의

인사ㆍ재정 등 공개 행정이 구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경영의 민주화 실

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

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적 학교경영에 대한 이론을 고찰한다.

둘째, 교원의 학교경영 참여에 있어 민주화 실태를 조사, 현장의 문제점을

밝힌다.

셋째, 민주적 학교경영의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C . 硏 究 의 問 題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민주적 학교경영에 관한 이론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둘째, 현행 교원의 학교경영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현행 학교경영의 민주화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민주적 학교경영을 위한 개선점은 무엇인가?

- 3 -

Page 13: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D . 硏 究의 制 限點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을 위한 제한점으로는

첫째, 학교 교직원 중에서 교사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경기도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경기도 초등학교 학교 규모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E . 用 語 의 定義

이 연구에서 사용한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경영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라는 조직체 구성원의 수단적

봉사적 협동 활동4)을 의미한다.

2. 민주적 학교경영

교육목표 설정, 교육계획 수립 등 의사결정과정에 전 교원이 참여 결정하

고, 집행에 있어 과감한 권한의 이양이 이루어지는 학교경영5)을 말한다.

3. 의사결정에의 참여성

교장은 학급경영에 관하여 담임의 의견을 존중하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할

4) 김창걸, 전게서, p.3435) 상게서, p .345.

- 4 -

Page 14: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때 교사의 의견을 청취ㆍ반영하며 위임전결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4. 교내 장학의 민주성

관리자가 수업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며, 교사들의 각종 연수 참여를 장려하

고, 교사의 수업기술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장학을 의미한다.

5. 인사의 적정성

인사 자문회의가 제 기능을 발휘하며, 업무분장 시 교사의 희망과 능력이

고려되고, 표창ㆍ연수추천 등이 합리적이고 공개적이어야 한다.

6. 업무추진의 자율성

업무 처리시 교장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고, 각자 맡은 일을 자발적으로

계획하고 추진해야 한다.

- 5 -

Page 15: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Ⅱ . 理論的 背景

A . 學校 經 營

1. 학교 경영 의 개 념

김창걸은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교

장이 그의 교육적 이념에 의한 자율적ㆍ창의적 관점에서 교육활동을 운영하

는 것6)이라고 하면서 법률 해석적 입장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객

관적ㆍ체계적으로 학교를 운영해 가는 학교 관리와 구분하였고, 김종철에 의

하면 학교경영이란 단위학교, 특히 초·중등학교에 있어서 교육목표를 설정

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인적·물적·기타 지원 조건을 정

비·확립하며, 목표달성을 위한 계획과 결정, 집행과 지도, 통제와 평가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봉사활동을 지칭하며 학교 조직 내에서의 집단적 협동 행

위를 위하여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본질로 하는 작용이다.7) 김윤태는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교장과 교직원 집단

이 협력하여 수행하는 조직적 활동이며 총괄적 작용이라고 정의하였다.8) 따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6) 김창걸, 전게서, p.343.7) 김종철·진동섭·허병기, 학교·학급경영론(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1991),

p.27.8) 김윤태, 교육행정·경영신론 (서울:배영사, 1986), p.15.

- 6 -

Page 16: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2 . 학교 경영 민주 화의 필요 성

학교 경영을 파악할 때 학교 경영이 지향할 이념적, 가치적 요소를 배제할

수 없는데, 우리 나라의 국가ㆍ사회의 이념이 민주주의이므로 학교 경영에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민주적 성격이다. 따라서 헌법에서 비롯된 모든

교육법규는 민주주의이념의 구체적 표현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김창걸도

학교 경영에서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은 민주화라고 하면서 교직원 조직, 학

생조직, 학부모조직, 지역사회조직이 참가하여 민주적으로 운영될 때 교육의

효율성을 고양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안귀덕은 정치문화의 경직성과 교육의 정치종속화현상을 지적하면서, 교육계

의 정치 종속화 현상은 자율성의 상실과 교직자들의 자율적인 교육력의 상

실로 나타났으며, 교육의 관료화 현상도, 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

이 있다고 하여 학교경영 민주화의 필요성을 암시하고 있다.9 )

3 . 학교 경영 의 원 리

학교경영을 위한 제반 원리를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a . 민주화의 원리

학교 경영에서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은 민주화이다. 학교경영의 민주화란

교육목표설정, 교육계획수립 등 의사결정과정에 전 교직원이 참여하고 결정

9) 안귀덕, 참교육 운동과 한국교육의 과제(서울:도서출판 윤문, 1990), pp.9∼12.

- 7 -

Page 17: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사항의 집행에 있어 과감한 권한의 위양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한다. 뿐만 아

니라 학교교육에 관계된 제반 문제해결과정에도 관계된 교직원들이 참여하

여 문제해결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도록 교장은 적극적으로 권장해야 한다.10 )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사항을 실현하는데 있어서는 과감하게 교직원들에

게 권한의 일부를 위양해야 한다. 교직원들의 참여에 의하여 결정되고 결정

된 과업을 교직원들이 책임하에 실행될 때는 교직원들의 협조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학교경영의 민주화는 무엇보다도 교장의 민주적 태도와 민

주적 지도성의 발휘가 전제되는 것이다. 학교는 다원적 조직에 의하여 운영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조직이 참가하여 민주적으로 운영될 때 교육의 효

율성을 고양시킬 수 있는 것이다.

b . 합리화의 원리

학교경영의 합리화란 교육목적을 이상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합리적으로

체제를 개선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합리화는 일체의 우연을 배척하고 논리

적 필연성에 의하여 대상을 구성하는 일이다.

합리적 사고는 어떤 사상을 분석하고 법칙성을 밝히거나 사실 또는 사건

의 원인을 설명하는 사고방법인데, 합리적 사고의 특징은 추상적ㆍ개념적ㆍ

객관적ㆍ논리적이며 동시에 작건 크건 간에 조직화되어 있다. 합리성이란 어

떤 생각이나 주장에 대하여 정당한 근거나 이유를 가지고 있어야지 단순한

감정의 표현이나 허망한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합리성

은 객관화할 수 있는 증거 혹은 이유를 수반하는 주장·판단·신념을 특징

10) 김창걸, 전게서, pp.345∼347.

- 8 -

Page 18: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합리성을 바탕으로 학교를 운영해 나가야 한다.

c. 과학화의 원리

학교경영의 과학화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

결해 나가는 방법을 말한다.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함은 사실에

근거를 두고 객관적 문제해결적 방법에 의하여 문제를 처리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우선 문제를 파악하고, 필요한 사실을 모아서 분류하며,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등 일련의 과학적 방법을 취한다.

과학적 방법의 구체적 단계는 ① 적절한 문제를 선택하여 파악하고, ② 필

요한 사실을 모으고 분석하며, ③ 각종 해결방법을 모색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정하고, ④ 문제해결의 기준을 설정하며, ⑤ 기준에 따라서 가설을 설정하

고 가설을 검증하고 해석하며, ⑦ 추후연구를 계속한다. 이와 같은 절차

에 따라 교육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d. 조직화의 원리

학교경영의 조직화란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의 인적·물적 자

원을 조직하는 것이다. 학교경영에 있어서 조직은 교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모든 교육활동은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교장

은 일차적으로 조직을 구성하고 조직을 통해서 그의 기능을 수행한다. 교직

원조직·학생조직·학부형조직·지역사회조직 등의 인적조직과 교무조직·

서무조직 등 사무조직과 각종 위원회에 이르기까지의 막료 조직 등 다양한

- 9 -

Page 19: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조직이 중층화되어 있어 정교하게 이들은 관계를 가지며 교육목표를 달성하

기 위한 각기의 조직과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과업의 조직은 체계화되어야

하는 것이 현대조직의 기본원칙이다. 하나의 과업은 몇 개의 하위체제로 분

류됨으로써 그 과업의 성격이 명백히 되며 또한 조정·통제가 수월해진다.

e. 효율화의 원리

학교경영의 효율화란 교육의 대내·외적인 능률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킴을

뜻한다. 물론 이것은 교육의 외적 생산성과 내적 효율성을 확보함을 전제로

하고 있다. 여기서 교육의 능률성, 생산성, 효과성 등의 개념을 살펴본다. 능

률성이란 경제적 원리로, 최소의 투입으로 최대의 산출을 얻자는 것이다. 즉

투입과 산출의 비율로 나타낸다. 생산성이란 각 개인의 시간당 산출량이며

여기에는 산출물에 대한 질적 수준의 향상도 고려된다. 효과성이란 설정된

목표의 달성 정도를 의미한다. 교육은 목표달성에 그 일차적인 노력이 경주

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제원리인 능률성이나 생산성을 도외시할 수도 없다.

이와 같이 학교경영에서 교육의 능률성, 생산성, 효과성을 확보하는 것이 학

교경영의 현대화의 중요한 관건이 된다.

f. 지역화의 원리

학교경영의 지역화란 학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도록 조

화롭게 학교를 경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조적 관계에서

학교가 운영됨으로써 학교의 사회화, 교육의 생활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학

- 10 -

Page 20: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생은 일정한 지역에서 태어나서 그 지역의 자연적·문화적 환경 속에서, 지

역의 특수한 조건하에서 성장·발달한다.

학교는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교육에 활용

하고, 학교가 가진 지식과 기술을 지역사회에 제공함으로써 학교와 지역사회

는 상호 협조하는 지역사회학교로 발전할 수 있다.

4 . 학교 경영 의 영 역

학교경영의 활동영역은 본래 학교가 수행해야 할 모든 활동 중에서 직접

적인 교육활동과 그것과 직결되는 제반활동, 즉 교수활동·교재연구·교재준

비고사·채점·평가, 교수- 학습안 작성, 지도에 필요한 제반 부책작성 및 기

입 등을 제외한 모든 활동이 포함될 수 있다.

학교경영활동을 크게 나누어, 인간관계 시설관계 재경관계 공

공관계 및 기타 등 4대 영역으로 하고 시설 속에는 아동·학생에 관한 기록

보관, 생활지도, 교육과정 개선 등을 포함시키기도 한다.11) 학교경영활동을

더욱 크게 묶으면 관리행정과 지도행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학교경영의 제반활동은 계획, 조직, 명령, 조정 및 통제의 기능을 거쳐서 수

행되는 것이다.12)

김봉수는 학교경영의 활동영역을 다음과 같이 보고 있다.13)

첫째, 학교 인사관리

11) W .S.Elabree and H.T .Mcnally , E lem en tary S chool A dm in is tra t ion andS up erv is ion (N.Y:American Book Co, 1951), pp.17∼24.

12) 박문옥, 행정학 (서울:박영사, 1963), p.125.13) 김봉수, 학교와 학교경영 (서울:형설출판사, 1987), p.192.

- 11 -

Page 21: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학교경영상의 인사관리는 교사의 인사관리 활동과, 다른 하나는 아동·학

생들의 인사관리 활동이다. 교사의 인사관리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지도조

언을 주고 교사의 복무를 감독한다거나 나아가서는 교사들의 인간관계를 조

정하는 일 등이다.

둘째, 학교 건강관리

건강관리 활동은 직접교육이 아니라 교육에 관계하는 사람의 보건관리 사

항을 말한다. 따라서 건강관리와 건강교육은 그 내용이 다르므로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학교 사무관리

학교사무는 여러 사람이 모두 종사해야 하므로 실제로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분야별로 분담되고, 적절한 사무실이 설정되어야 하며 사무처리의

능률화는 학교경영에 있어 중요한 연구과제의 하나이다.

넷째, 학교경영 조직편성 관리

학교경영을 위한 조직편성은 학교 전체운영과 관계되는 것으로서 학교는

그 자체가 하나의 전체로서 운영되어야 할 교육조직이라는 특성이 있기 때

문이다. 그러므로 그 교육조직과는 별도로 경영을 위한 조직으로 편성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학교는 교육을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조직이다. 그러나 학교교

육과 그 운영이 결코 지역사회의 제반실정과 요구, 과제 등을 도외시해서도

안되며 떠나서는 더욱 더 안 된다. 학교는 반드시 지역사회와는 밀접한 관계

가 맺어져야 한다.

여섯째, 학교평가

- 12 -

Page 22: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학교평가 영역은 교육평가와는 다른 것으로 일반적인 교육평가를 포함한

그 이상의 광범위한 영역이다.

일곱째, 학교재정 회계관리

학교를 경영하자면 많은 돈이 든다. 따라서 그 회계 경리사무를 신중히 취

급해야 하며, 국고 등의 공공재정은 물론이고, 학부모나 아동 또는 학생들의

회계 문제까지도 겸하는 경우가 많다.

B . 民 主的 學 校 經營

1. 민 주화 의 의 의

학교경영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먼저 요구되는 것은 학교경영의 민주화이

고, 민주화의 제일은 경영자의 민주적 지도성에서 비롯된다. 우리의 현실에

비춰볼 때 학교경영이 교육행정 요청을 비롯한 공공적 협조 요청의 수용과

같은 여건이 있어 학교장의 중추적 역할이 다소 제약을 받고 있기는 해도

학교장의 독자적 의사에 의하여 학교경영이 이루어지는 비중은 상당히 높다.

때문에 학교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능으로서의 학교경영이 활성

화되기 위하여는 민주적 지도성에 의한 경영의 민주화가 요구되는 것이다.

학교장을 비롯한 관리직의 위치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민주주의에 있어서

우월한 인간 존엄성에 대한 신념의 토대 위에 투철한 주인의식과 더불어 전

제와 관용으로 학교구성원의 의사를 존중하고 이견을 포용할 수 있는 지도

력을 갖춰야 할 것이다.

오늘날 학교경영은 급속도로 변모하는 현대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 13 -

Page 23: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민주적 지도성의 문제가 중요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민주적 지도성의 바탕

위에서 의사결정의 민주화가 이룩되어야 한다. 의사결정의 민주화는 민주적

집단과정을 통한 충분한 의사소통으로 합리적 판단에 의해 효율적인 의사결

정이 가능하며 중지를 모으는 과정에서 공동 직무에 대한 오판을 방지하고

최선의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적 지도성의 독단을 배

제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학교경영의 민주화란 학교 교육목표의 설정, 교

육계획의 수립 등 의사결정 과정에서 경영자인 학교장의 민주적 지도성과

전교직원의 참여하에 결정된 결정사항을 집행해 나아가는데서 비롯되는 것

이다. 따라서 결정된 사항에 대한 집행과정에서 두 가지를 고려하여야 할 사

항이 있다. 그 하나는 권한과 책임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사무분장의 문제

인 것이다. 민주적 집단과정에 의해 결정된 사항을 집행함에 있어서는 학교

장은 과감하게 권한의 일부를 교직원들에게 위임하여야 한다.

우리의 국가이념은 민주주의이며 헌법전문에도 민주주의 이념이 담겨져

있고 교육법 제5조에 교육은 교육본래의 목적에 기하여 운영·실시되어야

하며 어떠한 정치적, 파당적, 기타 개인의 편견의 선전을 위한 방편으로 이

용되어서는 안 된다. 라고 규정하여 교육의 중립성 내지 자립성을 보장하고

있다.

2 . 민 주화 의 방 향

김봉수는 학교경영의 민주화의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14)

민주사회 건설을 지상의 목표로 하는 오늘의 시점에서는 학교교육부터가

14) 김봉수, 전게서, p.138.

- 14 -

Page 24: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민주화되어야 함은 당연한 일이다. 따라서 학교교육의 민주화는 민주사회시

민으로서의 인격형성을 목표로 삼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학교경영이 이루

어져야 한다는 것은 자명한 이론이다.

민주교육에서는 개인 한사람 한사람을 존중하고 각 아동·학생들의 개성

과 사회성을 최대한으로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학교교육에서

는 각 학습자들의 개성을 존중하고, 그들의 욕구와 사회의 요구를 조절하면

서 아동·학생들의 민주인으로서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

민주교육에서는 모든 교육활동의 기초가 학습자로부터 출발해야 하므로,

학교에서의 모든 교육계획과 경영이 학습자를 본위로 해야한다. 그러나 학교

경영의 성격으로 보아 일면에는 관리적 기능을 도외시할 수는 없다. 그렇다

고 상부의 지시나 명령에만 의존하는 관료적 학교경영이 되어서는 아니 된

다. 학교경영 일부가 관리기능이 있다고 학습자의 욕구나 필요를 무시하고

짜여진 교육과정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주입한다거나 훈련만을 강행해 나아

가는 식의 학교경영은 지양되어야 한다.

또한 민주이념은 집단시를 중요시한다. 그러므로 학교경영에서는 학교경영

책임자의 일방적 의견에 의한 교육계획이나 교육시책 등을 결정할 것이 아

니라 그 학교의 전교직원은 물론, 나아가서는 학부모나 학습자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가운데서 그것들이 결정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로 학교

를 경영함에 있어서는 전교직원의 집단 협의를 통함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

라서는 학부모나 아동·학생까지도 그 의견을 반영하게 하여 학교교육목표

를 세우고 방법을 모색하며, 나아가서는 지역사회 인사들의 여론이나 전문가

의 의견 등을 받아들여 학교를 경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15 -

Page 25: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3 . 학 교경 영의 민주 화

학교경영의 민주화를 위하여 의사결정의 참여와 의견수렴 및 반영에 대한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의사결정에 대한 여러 모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a . 의사결정의 의의

의사결정이란 심사 숙고 후에 도달된 결론이라고 보았고, 그 후의 학자들

은 의사결정을 행정의 본질로 보고 모든 행정의 기능은 의사결정이라고 해

석되어 질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을 모든 다른 활동을

종속시킬 수 있는 행정의 중핵과정 또는 행정과 동의어로 보았다.

b . 의사결정 모형

의사결정은 학교 경영의 전 과정 - 계획, 조직, 지도, 통제 등에서 수없이

계속 이루어지고 그 결과는 학교와 구성원에게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게 된

다. 올바른 의사결정에 도달할 수 있는 행정가의 의사결정과 조직의 의사결

정 체계의 수립은 교육기관을 성공적으로 경영하는 필수적인 조건이다.

의사결정의 일반적 과정은 크게 - 문제 또는 목표의 확인, 문제해결 또는 목

표달성을 위한 대안의 개발, 대안의 평가와 선택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설명 방식에 따라 의사결정 모형은 달라진다.

의사결정의 각 모형들은 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함과 동시에 어떠한

방식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에 의

- 16 -

Page 26: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사결정 모형을 몇 가지 살펴보았다.

1) 합리모형

합리모형은 인간의 전능성을 전제로 의사 결정자는 이성과 고도의 합리성

에 따라 행동하고 결정한다고 보고, 대안의 선택에 있어 의사결정자가 문제

와 목표를 완전히 파악하고 이를 해결 또는 달성할 수 있는 모든 대안을 탐

색·평가하여 가장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규범적·이상적 의사결정 이론

이다.

합리모형의 의사결정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5)

문제를 인지하고 목적·목표를 명확히 설정한다.

문제를 해결하거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모든 대안을 탐색·확인한다

각 대안 미래에 나타날 결과를 예측한다.

각 대안의 예측된 결과를 목표와 관련해서 비교·평가한다.

문제 해결이나 목표 달성을 위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한다.

[도- 1] 합리모형의 의사결정

합리모형은 합리성과 포괄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모형에서 의사 결정자는

15) Marios Camhis , P lanning T heory P hilos op hy (London : T avistock, 1979), p.30.

- 17 -

Page 27: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합리적 사고로 의사를 결정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대안들

을 포괄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한다. 그래서 이 모형을 합리적·포괄적 모형이

라고 부르기도 한다.16)

2) 만족모형

만족모형 Simon이 제시한 형태론적 의사결정 이론이다. Simon은 인간은

그의 지적 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합리모형이 요구하는 객관적·과학적인 합

리성과 포괄성에 의한 의사결정이 이루어 질 수 없다고 보고, 실제 의사결정

은 완전한 합리성에 의한 최선의 선택이 아니라 의사결정자의 판단에 의한

만족스러운 해결 수준에서의 선택이라고 본다.

만족모형의 의사결정 과정은 대략 다음과 같다.17)

모든 가능한 대안이 아니라 몇 개의 대안만을 선정한다.

의사결정자가 수용할 수 있는 각 대안에 대한 만족치를 설정한다.

만족치에 도달한 대안을 선정한다.

[도- 2] 만족모형의 의사결정 과정

만족모형은 경험적·현실적 의사결정 이론이다. 그래서 이 모형은 의사결

정에 미치는 현실적 제약을 수용해 실제적인 의사결정 과정에 접근하고 있

다.

16) Ibid, pp. 30- 31.17) Herbert A.Simon , op. cit , p.272.

- 18 -

Page 28: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3) 점증모형

점증모형은 Lindbloom이 정책결정 과정의 분석을 토대로 제안한 경험적·

현실적 의사결정 방법이다. 이 모형은 규범적·이상적인 합리모형과는 대립

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Lindbloom은 정책결정은 현 상태에서 약간의 점

증적인 변화를 연속적·탐색적·수정적 과정을 통해서 추구하는 것이며, 정

책 대안은 각 대안 결과의 최저 한계가치의 차이를 비교하여 선택한다는 것

이다. 이러한 성격으로 이 모형을 Lindbloom은 연속적·제한적 비교 방법이

라고 부르고 있다.

점증모형의 의사결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18)

약간 향상된 목표로 제한하여 설정한다.

점증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대안만을 제한적으로 선정한다.

목표와 대안을 서로 연계시키며 검토·조정한다.

각 대안 결과의 최저한계가치 또는 추가분의 차이를 비교하여대안을 선택 집행한다.

위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계속해 나가면서 정책대안을 수정해 간다.

[도- 3] 점증모형의 의사결정 과정

18) Lindloom , A Strategy of Decision :P olicy E valuat ion as a S ocial P orcess (NewYork : T he Free press, 1963), ch.5∼6.

- 19 -

Page 29: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Lindbloom의 점증모형은 사회 집단간에 상호 의견 조절이 원활히 이루어

지고 합의 도출이 쉬운 다원적 사회, 안정적 민주 정치 체제가 확립된 사회

에 유용한 정책 결정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4) 혼합 주사모형

Etzioni는 합리적·포괄적 의사결정 방법인 합리모형과 현실적·점증적 의

사결정 방법인 점증모형을 결합하여 현실적이고 전략적인 혼합주사모형을

제시하였다. 혼합 주사모형에서 정책결정을 포괄적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기

본 결정과 구체적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점증적 결정으로 구분하여 이 두 가

지 수준의 결정이 상호 작용하는 과정으로 의사결정을 설명하고 있다.

혼합주사모형의 주된 과정은 다음과 같다.19)

기본결정을 한다.

점증적 결정을 한다.- 기본결정을 바탕으로 구체적·점증적인

목표와 대안을 실행한다.

상위결정으로 하위결정을 주사한다.

주사결과- 실행결과- 평가를 검토하여 점증적 결정과

기본결정에 피드백시켜 수정한다.

[도- 4] 혼합주사모형의 의사결정 과정

Etzioni는 이 모형을 주사능력, 합의능력 및 계획능력이 높은 능동적 사회

19) Marios Camhis , op. cit , pp. 57- 59

- 20 -

Page 30: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에 적합한 의사결정 방법이라고 하였다. 이 모형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합리

모형과 점증모형을 절충하여 사용하는데 있다.

5) 최적모형

최적모형은 Dror이 제시한 규범적 정책 결정 모형이다. Dror은 정책결정

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요소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정책결정자의 주

관적인 요소들- 직관, 판단, 창의- 이 작용하여 결정된다고 보았다. 최적모형

은 결정기준으로‘만족’이나‘최선’을 택하기보다는‘최적’을 택하였다.

최적모형은 크게 세 가지 주 결정단계를 포함한다.20)

초정책결정단계- 기본 정책결정 전략 수립한다.

정책결정단계- 최적 대안 설정한다.

재정책결정단계- 정책의 집행과 평가하여 정책을 변화시킨다.

[도- 5] 최적모형의 세 가지 결정단계

최적모형은 의사결정 과정에 객관적 합리성과 더불어 주관적 판단 요소를

포함시킨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이상적인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20) Ychezkel Dror, P ublic P olicy - m ak ing R eexam in ed (New Brunswick,N.J .:Pransaction , Inc. 1983), pp. 160∼196.

- 21 -

Page 31: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c. 참여적 의사결정

참여적 의사결정은 결정사항에 관련되는 사람들이 결정과정에 참여하여

그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집단적 의사결정 방식이다. 참여적 의사결정은 민주

적이고 자율적인 학교경영의 요건으로 중요시되며 한 개인이 결정하는데 부

딪치는 한계를 여러 사람의 중지를 모음으로써 극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의

사결정 수단이다. 또 참여적 의사결정은 구성원의 업무수행의 효율성을 높여

준다. 따라서 학교 행정가는 학교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는 학교 의사결정

체계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학교에서 교사들이 참여하여 의사결정을 하더

라도 모든 교사가 모든 결정을 다 참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것

이다.

학교 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Bridges는 행

정가가 사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의 형태를 참여의 정도순에 따라 다섯 가지

로 들고 있다.21)

(1) 토의 : 참여의 가장 단순한 수준으로 문제의 토의에 집단 구성원을 참

여시키면서 그들의 문제와 결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되 결정은 행정가가

한다.

(2) 정보 탐색 : 행정가가 더욱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입수하는 것이다.

(3) 민주적 집권자 :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절차로서 행정가가 결정하되 참

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한다.

21) Edwin M. Bridges , "A Model for Shared Decision Making in the SchoolPrincipalship," E d ucational A dm inis tra tion Quarterly , 3, No.1(Winter 1967).p.52.

- 22 -

Page 32: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4) 의회주의자 : 집단이 실제 의사를 결정해야 하나 만장일치나 합의가

되지 않을 것 같으면 소수의 의견, 아이디어 및 가치 갈등을 허용하고 입장

을 적절히 조정하는 의회주의 절차를 따른다.

(5) 참여자 결정 : 집단의 합의가 요청될 때 이 절차가 요구되는데, 이 방

법은 집단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일 때 또는 합의가 이루어지리라고 보일 때

사용된다.

의사결정은 결정사항이 실행되지 않으면 별 의미가 없게 된다. 개인이나

집단이 아무리 훌륭한 결정을 하더라도 그것이 실행에 옮겨지지 않으면 단

지 하나의 의도에만 그치게 되어 아무런 효과를 거둘 수 없는 것이다. 따라

서 결정 사항을 계획된 대로 실행에 옮기는 것이 의사결정의 성패를 좌우하

는 관건이 된다.

d. 의사결정과 학교행정

많은 수의 학생과 교직원이 연관된 문제에 대한 결정은 단독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합리적인 결정을 위해 여러 사람들로부터 전문적인 조언과 정

보를 얻어야 한다. 의사결정에 구성원을 참여시켜야 하는 이론적 기초를 살

펴보면

첫째, 구성원은 자신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게 될 정책을 결정하는데 발언

권이 있어야한다.

둘째, 의사결정에 참여한 구성원들이 협동적으로 개발한 정책은 실행하기

가 훨씬 용이하다.

셋째, 구성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써 보다 나은 결정을 할 수 있다.

- 23 -

Page 33: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넷째, 의사결정에 있어 구성원을 참여시킴으로서 그들의 사기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참여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계획적이어야 한다. 참여가 계획

적이고 의도적이기 위해서는 참여의 구조와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곧 의

사결정의 의도적이고 조직적인 참여 형태는 조직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며

구성원들에게 큰 만족을 준다.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방법의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2)

관계성의 검토

교사의 개인적인 이해관계가 높으면 그 의사결정에 참여할 관심도 높아진

다. 이 검토에 관련되는 문제는 교수법, 교재, 훈육, 교육과정 및 교수조직이

다.

전문적 식견의 검토

교사의 참여가 효율적인 것이 되려면 교사는 효과적으로 공헌할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면 체육과의 프로그램을 짜는데 영어교사가 갖고 있

는 훈련과 경험이 거의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관활영역의 검토

학교는 계층적 기반으로 조직되어 있으므로 학교의 구성원은 의사결정 영

역이 제한되어 있다. 즉 교사에게 관련이 있고 교사가 학문적 식견이 있는

문제라도 고위층에 의해 억제되면 결정을 내리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의사결정의 주제가 고도의 전문가인 참여자에게 깊숙히 관련되어 있다면 이

것은 수용의 영역밖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문제에 대하여 개

개인의 이해관계와 전문적 기여가 공전하고 있는 교사들을 의사결정에 자주

참여시켜야만 된다, 어떻게 교사들을 의사결정에 포함시킬 것인가를 결정하

22) 주삼환, 학교경영에 있어서 의사결정의 민주화구조(중앙교육연구원 연구논문,1990)

- 24 -

Page 34: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는 것은 학교경영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C . 學 校 經營 의 指導 性

학교경영에 있어서 학교장이 지도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것은 학교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는 핵심적 요소로서 그 구성원의 행위를 달리할 수 있

는 지도성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지도성을 파악하는 접근방법에 따라 지

도성이론은 특성이론, 행동이론, 상황이론으로 구분된다.

1. 지 도성 의 개 념

학교 조직에 있어서 학교장의 긍정적인 지도성은 성공적인 학교의 중요한

특성으로 밝혀지고 있다. 학교장의 지도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것은 학교

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지도성은 다양한 요소를 포

함하고 있는 종합적인 개념이다. 지도성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의 세 가지

요소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지도성은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의미한다. 다른 사람의 행

동, 의견, 태도 등에 영향을 미쳐서 이를 변화시키는 영향력을 지도성의 핵

심요소로 본다.

둘째, 지도성은 지도자와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적용의 과정에 존재하

며, 상호작용의 결과로 파악한다. 다른 사람이 지도자의 영향력을 수용할 때

지도성이 발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지도성은 변화를 지향한다. 지도성은 미래상, 목적, 개혁으로 나타나

- 25 -

Page 35: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는 변화지향성을 특징으로 한다. 조직의 변화를 유도하지 않는 영향력은 진

정한 의미에서의 지도성이라고 할 수 없다는 입장에서 변화지향성을 지도성

의 중요한 특성으로 여긴다.

종합해보면 지도성은 사회적 관계에서 변화를 선도하는 개인의 영향력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지도성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적극적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영향력을 미치며 개인과

집단의 조정을 통하여 협동적 행동을 촉진·유도하는 혁신적·창의적인 능

력·기술을 의미한다.23)

2 . 지 도성 이론

지도성 이론은 지도성을 구성하는 요인과 지도성의 성격 및 결과를 설명

하는 체제이다. 지도성을 파악하는 접근 방법에 따라 지도성 이론을 특성이

론, 행동이론, 상황이론으로 구분한다.

a . 특성이론

특성이론은 지도자는 다른 사람과 다른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가정

하고, 지도자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지도자의 보편적 특성으로 입

증하려는 이론이다. 특성이론의 연구는 지도자와 비지도자를 구분 짓는 인성

적 특성이나 자질을 파악하려고 한다. 초기의 대부분의 지도성의 연구는 이

러한 특성이론의 접근으로 이루어졌다. Stogdill은 지도자의 특성을 다음과

23) 김규정, 신고 행정학 원론(서울 : 법문사, 1994), p. 430

- 26 -

Page 36: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같이 분류하였다.24 )

첫째, 능력 - 지능, 민첩성, 언어 유창성, 독창성, 판단력

둘째, 성취 - 학식, 지식, 운동 재능

셋째, 책임 - 신뢰성, 솔선력, 지속성, 적극성, 자신감, 탁월욕구

넷째, 참여 - 활동, 사회성, 협동, 적응성, 유머

다섯째, 지위 - 사회·경제적 지위, 인기

Stogdill에 따르면 인성적 특성은 지도자와 추종자, 성공적 지도자와 비성

공적 지도자, 높은 지위의 지도자와 낮은 지위의 지도자를 구별하는 요인이

며, 결단성, 지속성, 자신감, 자아력, 인간관계 기술과 같은 것은 지도자의 중

요한 인성적 특성이고, 지도성의 효과는 지도자의 특성, 상황영향, 그리고 특

성과 상황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

다.25)

최근의 특성이론의 연구는 지도자의 고유한 특성을 찾으려는 연구에서 지

도자의 직무 관련 기능 파악, 효과적인 지도성과 비효과적인 지도성 비교,

인성적 특성과 지도성 효과와의 관계 연구 등의 방향으로 연구 방향이 전환

되고 있다.

b . 행동이론

지도성 행동이론은 효과적인 지도성 행동과 비과학적인 지도자 행동을 비

교·분석하는 방법으로 성공적인 지도자 행동을 파악하여 지도성을 이해하

24) Bernard M. Bass (ed.), S tog d ill 's H andbook of L eadership (New York :T heFree Press, 1981), pp. 65∼66.

25) 정태범 외, 학교·학급경영론(서울:도서출판 하우, 1995), p. 90.

- 27 -

Page 37: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려는 입장이다. 행동이론의 관심은 지도자가 어떤 사람인가 또는 어떤 특성

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보다는 지도자가 어떤 행동을 하는가에 있다. 그

래서 행동이론 연구들은 지도자 행동을 기술하고 분류하며 지도자 행동 결

과의 효과를 여러 측면, 예컨대 조직 구성원의 직업 만족, 사기, 생산성 등에

걸쳐서 조사하는데 관심을 갖는다. 지도자의 행동 이론의 대표적 연구로는

Iowa 대학의 연구, Ohio 주립대학의 연구, Michigan 대학의 연구가 있다.26)

Iow a 대학의 연구에서 보면 집단 구성원은 민주적 지도성을 가장 좋아했

으며, 전제적 지도성보다는 자유방임적인 지도성을 선호하였다. 전제적 지도

성은 공격적이거나 또는 무기력한 행동을 불러일으켰다. 자유방임적 지도성

아래에서 가장 높은 공격적 행동이 나타났다. 생산성은 민주적 지도성 아래

보다는 전제적 지도성 아래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자유방임적 지도성

아래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생산성에 관한 이후의 연구는 장기적

으로는 전제적 지도성의 생산성이 민주적 지도성의 생산성 보다 낮아졌다.

Ohio주립대학의 연구에서는 집단과 조직 목적 달성에 관련된 지도자 행동

의 분석을 통해서 2차원 지도자 행동이론을 발전시켰다. 다양한 집단과 상황

에서 지도자의 행동을 조사·분석하여 지도자 행동을 특징짓는 두 차원의

행동 - 구조선도와 배려- 을 확인하였다. 구조선도는 지도자가 조직의 활동

목적에 중점을 두어 과업을 조직하고 역할을 규정하여 일을 분배하고, 의사

소통망을 수립하며, 구성원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작업집단 활동을 평가하는

활동이다. 배려는 지도자가 나타내는 신뢰, 존경, 온정, 지원, 그리고 구성원

의 복지에 대해 관심을 갖는 활동을 말한다. 구조선도는 과업지향적인 활동

이고, 배려는 인화지향적인 활동이다. 구조선도와 배려의 2차원의 지도자 행

26) 정태범 외, 전게서, pp. 91∼94.

- 28 -

Page 38: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동은 신뢰로운 지도성 행동으로 인정되고 있다.

Michigan 대학의 연구는 효과적인 지도자와 비효과적인 지도자를 특징짓

는 일관성 있는 행동 형태를 연구했는데, Ohio 주립대학의 연구에서 파악된

구조선도와 배려 차원의 지도성과 유사한 직무중심적 지도성과 종업원중심

적 지도성으로 확인되었다. Michigan 대학의 연구에서 생산성을 가장 높이

는 지도자는 생산중심 지도자 행동과 종업원중심 지도자 행동을 다함께 나

타내는 지도자로 밝혀지고 있다. 과업과 인간관계를 다함께 강조하는 지도자

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즉, 효과적인 지도자는 높은 과업지향 행동과

높은 인간지향 행동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c. 상황이론

상황이론은 모든 상황에 최적한 지도자의 특성이나 행동은 있을 수 없다

는 전제에서 효과적인 지도성 행동은 상황에 의해 조건지어진다는 입장이다.

상황이론에 의하면, 지도자 행동의 효과성은 기본적으로 지도자의 특성과 기

술, 지도자의 행동 및 지도자가 처한 상황요인의 상호작용으로 결정된다. 상

황이론의 지도자의 특성과 행동은 그가 처한 상황 맥락에서 고려되어야 하

기 때문에 상황이 지도성의 효과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이라는 것이다. 따라

서 상황이론 연구는 어떤 상황에서 어떤 지도성 형태가 효과적 또는 비효과

적인가에 관심을 갖는다.

- 29 -

Page 39: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3 . 학 교경 영자 의 지 도성

지도성 이론들이 시사하는 바는 효과적인 지도성 발휘를 위해서는 지도자

로서의 자질과 품위를 구비하고 그가 처한 상황에 적합한 지도성 행동을 나

타내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경영자에게는 도덕성을 바탕으로 한 인격, 교육철학과 전문성을 바탕

으로 한 교육적 식견과 판단력, 그리고 행정능력과 같은 자질과 품성이 요구

된다. 이러한 자질과 품성을 바탕으로 하여 학교경영자는 높은 과업지향 행

동과 인간지향 행동이 다함께 나타나는 지도성을 발휘해야 한다. 학교경영자

는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집단 활동을 조직하고 각 구성원의 역할을

규정하여 과업을 맡기고, 활동 방법을 구안하여 교육 활동을 추진하는 과업

행위를 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에게 신뢰, 존경, 온정, 지원, 복지에

대해 관심을 갖는 인간관계를 향상시키는 행동을 나타내어야 한다. 또한 효

과적인 지도성 발휘를 위해서는 지도자는 그가 속한 조직과 집단 구성원의

성격, 과업의 성격, 자신과 구성원과의 관계 등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지

도자로서의 행동을 취해야 한다.

D . 先 行硏 究 의 考 察

본 연구와 관련있는 선행연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박무일은 학교 조직에 있어서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27)에서 학교장이

27) 박무일, 학교조직에 있어서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

육대학원, 1988).

- 30 -

Page 40: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의사결정은 독단이 되어서는 안되며 직원회의시 충분한 발언기회를 주어 의

견 수렴을 통한 집단사고에 의해 학교경영을 하는 것이 민주화에 기여한다

고 했으며, 학교장은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에 개방적이고 대폭적인 수용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의사결정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이강식은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헌신도와의 관계연구 28)에서

학교행정에 있어서 의사결정 과정에 교사의 참여도가 높을수록 교사의 학교

경영에 대한 헌신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교사가 학교의사결정에 참여함

으로서 자기가 맡고 있는 직무에 책임감을 느껴 충실하게 되고, 학교조직에

대하여 애착심을 갖게 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방재선은 "학교 행정가의 관리유형과 교사의 근무 만족도에 대한 조사연

구"29)에서 학교 행정가의 관리유형을 참여적이고 민주적으로 지각한 교사들

이, 관료적이고 권위적으로 지각한 교사들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 만족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보다 참여적이고 민주적인 관리형태로 전환

하는 노력을 기울려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재영은 교사의 근무의욕에 관한 연구"30 )에서 근무의욕을 결정하는 긍

정적인 요인은 교직적성요인과 교직의 안정성 및 성공감으로 나타났고 부정

적인 요인은 복지 및 후생시설, 승진제도 및 가능성, 학교장의 지도성, 의사

소통의 질적 정도와 태도요인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방찬영은 교장의 교내 장학지도기술의 개선에 관한 연구 31)에서 학교장

28) 이강식,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헌신도와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인

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82).29) 방재선, 학교행정가의 관리 유형과 교사의 근무 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 (석사학

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882).30) 정재영, 교사의 근무의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31) 방찬영, 교장의 교내 장학 지도 기술이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

- 31 -

Page 41: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의 지도성의 기술이 교내장학, 인사관계, 집단정도, 인사관리, 평가, 교육과정

운영면의 제영역에서 나타나야 한다고 하면서 교내 장학을 위한 학교장의

연수가 수시로 있어야한다. 교내 인사 전반에 걸쳐 정실 및 권위에 의하지

말 것이며 교사의 사기진작을 위해 교사들의 불만해소, 관객 등이 이루어져

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민주적 학교경영에 있어서 학교의 의사결정 및

시행에 있어 교사의 참여 문제가 관건임을 알 수 있었다.

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 32 -

Page 42: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Ⅲ . 硏究 方法

A . 硏究 의 對 象 및 標 集

본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은 경기도내 초등학교 20개교 교사 500명을 임의

선정하여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의 배부와 회수률은 <표 Ⅲ- 1>과 같다.

<표 Ⅲ- 1> 설문지 배부 및 회수 현황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2

학급

28%

43학

급이

54%

배 부 수

회 수 부 수

400 100 100 200 150 50 200 300 150 200 150 100 150 250 500

345 87 92 176 138 26 157 275 148 169 115 77 119 236 432

회 수 율(%)

사 용 부 수

86.3 87 92 88 92 52 78.5 91.7 98.7 84.5 76.7 77 79.3 94.4 86.4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

B . 硏 究의 道 具

본 연구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사용한 설문지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

교 자체 평가 안내서32)를 기준으로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으며 설문지의 구

32) 한국교육개발원, 학교자체평가 안내서(서울:문예사, 1988), pp.89∼91.

- 33 -

Page 43: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성내용은 <표 Ⅲ- 2>와 같다.

<표 Ⅲ- 2> 설문지의 구성 내용

내 용 문 항

학교 교육계획 수립에의 참여 1, 2, 3, 4, 5

의 사 결 정 에 의 참 여 성 6, 7, 8, 9, 10, 11

교 내 장 학 의 민 주 성 12, 13, 14, 15, 16

인 사 관 리 17, 18, 19, 20

근 무 조 건 의 개 선 21, 22, 23, 24, 25

업 무 추 진 의 자 율 성 26, 27, 28, 29, 30

각 문항에 대하여 1∼5Likurt (단계)로서 단계별로는 1. 매우그렇지 않다, 2.

별로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 대체로 그렇다, 5. 매우 그렇다로 가까운

항목에 V 표시를 하도록 하였다.

C . 資 料 의 處 理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설문지의 각 문항에 대한 응답 인원수를

백분율로 환산하고, 직위·연령·성·교육경력·학교규모 등의 각 요인별로

χ²검증을 하여 유의도를 알아보았다.

- 34 -

Page 44: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Ⅳ . 硏究 結果 및 解釋

A . 學校 敎 育 計劃 樹 立에 의 參 與

1. 교사 의 학 교계 획 수 립 참 여

학교 교육계획 수립에의 교원들의 참여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1>

과 같다.

<표 Ⅳ- 1> 교사의 학교 계획 수립 참여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130 10 40 64 34 2 40 100 59 55 26 23 45 72 140

% 38 13 46 37 25 9 26 38 42 33 23 32 38 32 33.5별로

그렇지않다

N 106 19 31 51 37 6 44 81 45 47 33 18 20 87 125% 31 24 36 29 28 26 29 31 32 28 30 25 17 38 29.8

보통이다N 59 21 9 30 33 8 30 50 18 34 28 15 27 38 80% 17 27 10 17 25 35 19 19 13 20 25 19 23 17 19.1

대체로

그렇다

N 30 12 3 21 15 3 21 21 13 21 8 10 10 22 42% 9 15 3 12 11 13 14 8 9 13 7 14 9 10 10.0

매우 그렇다N 15 17 4 9 15 4 19 13 6 10 16 8 15 9 32% 4 22 5 5 11 17 12 5 4 6 14 11 13 4 7.6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74.72 162.84 32.74 64.75 39.46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2.2892 1.3860 1.3513 5.4171 4.0321

<표 Ⅳ- 1>에 의하면 학교 교육계획의 교원들의 참여도에 대하여 매우 그

렇다 7.6%, 대체로 그렇다는 10.0%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 35 -

Page 45: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33.5%, 별로 그렇지 않다가 29.8%로 나타나고 있어 참여도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별로는 부장교사의 참여도가 상당히 높은 것

으로 나타났고, 변인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 학 교 교 육과 정 운 영 계 획 수 립시 의견 제시

학교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운영 계획 수립시 의견 제시에 대한 분석 결

과는 <표 Ⅳ- 2>와 같다.

<표 Ⅳ- 2>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 수립시 의견 제시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55 2 14 29 12 2 10 47 23 24 10 12 15 30 57

% 16 3 16 17 9 9 6 18 16 14 9 16 13 13 13.6별로

그렇지않다

N 106 15 42 42 29 8 43 78 56 35 30 17 34 70 121% 31 19 48 24 22 35 28 30 40 21 27 23 29 31 28.9

보통이다N 103 30 22 56 46 9 46 87 39 55 39 20 43 70 133% 30 38 25 32 34 39 30 33 28 33 35 27 37 31 31.7

대체로

그렇다

N 58 23 8 34 35 4 37 44 17 41 23 16 17 48 81% 17 29 9 20 26 17 24 17 12 25 21 22 15 21 19.3

매우 그렇다N 18 9 1 14 12 0 18 9 6 12 9 9 8 10 27% 5 11 1 8 9 0 12 3 4 7 8 12 7 4 6.5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26.68 262.26 74.24 63.01 32.01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2.3123 3.7797 2.8857 1.1937 9.2577

<표 Ⅳ- 2>에 의하면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 수립시 의견 제시에 대하

여 매우 그렇다 6.5%, 대체로 그렇다는 19.3%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3.6%, 별로 그렇지 않다가 28.9%로 나타나고 있어 의견 제시에 있

- 36 -

Page 46: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50대의 원로교사 23명

중 매우 그렇다는 응답률이 1명도 응답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 교육 기획 위원 회 참 여 의 견 제 시

교육 기획 위원회 참여 의견 제시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3>과 같다.

<표 Ⅳ- 3> 교육 기획 위원회 참여 의견 제시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

매우

그렇지않다

N 68 6 23 35 15 1 27 47 36 26 12 15 20 39 74

% 20 8 27 20 11 4 17 18 26 15 11 20 17 17 17.7별로

그렇지않다

N 87 15 27 43 26 6 37 65 39 43 20 13 24 65 102% 26 19 31 24 19 26 24 25 29 26 18 18 21 29 24.3

보통이다N 85 20 24 40 33 8 30 75 38 35 32 18 27 60 105% 24 25 26 23 25 34 19 28 26 21 29 25 23 26 25.1

대체로

그렇다

N 73 25 11 39 41 7 39 59 20 44 34 20 32 46 98

% 22 32 13 22 31 30 25 22 14 27 31 27 27 20 23.4매우

그렇다

N 27 13 2 18 19 1 21 19 8 19 13 8 14 18 40

% 8 16 2 10 14 4 14 7 6 11 12 11 12 8 9.5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

통계량(χ²) 18.45 ** 213.46 19.73 *** 77.53 24.17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01 5.3899 .0005 1.5365 .0021

** p < .01, *** p < .001

<표 Ⅳ- 3>에 의하면 교육 기획 위원회 참여 의견 제시에 대하여 매우 그

렇다 9.5%, 대체로 그렇다는 23.4%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7.7%, 별로 그렇지 않다가 24.3%로 나타나고 있어 의견 제시에 있어 만족

- 37 -

Page 47: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p < .001수준, 직위별·학교규모별

로는 p < .01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20대 교사의 의견

제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4 . 학 교 경 영 참 여 의 견 제 시

학교 경영에 직접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4>와 같다.

<표 Ⅳ- 4> 학교 경영 참여 의견 제시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89 3 25 44 18 5 30 62 40 35 17 17 28 47 92

% 26 4 29 25 13 22 19 23 28 20 15 22 24 21 21.9별로

그렇지않다

N 116 18 33 57 40 4 45 89 48 55 31 15 35 84 134% 34 23 38 32 30 17 29 34 34 33 28 21 30 37 31.9

보통이다N 83 25 18 45 35 10 38 70 35 38 35 20 26 62 108% 24 32 21 26 26 43 25 27 25 23 32 27 22 27 25.8

대체로

그렇다

N 35 24 6 21 30 2 28 31 11 28 20 16 19 24 59% 10 30 7 12 22 9 18 12 8 17 18 22 16 11 14.2

매우 그렇다N 17 9 5 8 11 2 13 13 7 11 8 6 9 11 26% 5 11 6 5 8 9 8 5 5 7 7 8 8 5 6.2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57.20 83.63 14.19 ** 47.55 55.47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1.1238 8.3260 .0067 1.2065 3.5848

** p < .01

<표 Ⅳ- 4>에 의하면 학교 경영에 참여하여 의견 제시에 대하여 매우 그

렇다 6.2%, 대체로 그렇다는 14.2%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 38 -

Page 48: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21.9%, 별로 그렇지 않다가 31.9%로 나타나고 있어 의견 제시에 있어 만족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p < .01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5 . 관 리자 의 경 영 방 침에 따른 민주 화 비 중

관리자의 경영 방침에 따른 요소가 학교 경영 민주화에 큰 비중을 차지하

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5>와 같다.

<표 Ⅳ- 5> 관리자의 경영 방침에 따른 민주화 비중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14 5 5 8 5 1 9 10 7 8 4 2 3 14 19

% 4 6 6 4 4 4 6 4 5 5 4 3 3 6 4.9별로

그렇지않다

N 31 7 12 17 8 1 12 26 19 12 7 5 3 30 38% 9 9 15 9 6 4 8 10 13 6 6 7 3 13 9.0

보통이다N 37 8 8 23 13 1 20 25 17 18 10 3 11 31 45% 11 10 9 13 9 4 13 9 12 11 9 4 14 14 10.7

대체로

그렇다

N 93 27 32 42 39 7 51 69 41 45 34 22 30 68 120% 28 34 36 25 29 30 33 26 29 27 32 30 21 30 28.6

매우 그렇다N 165 32 30 85 69 13 62 135 57 84 56 42 70 85 197% 48 41 34 49 52 48 40 51 41 51 49 56 59 37 47.0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3.37 49.30 17.43 ** 17.78 * 102.40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4966 1.8463 .0015 .0229 1.3767

* p < .05, ** p < .01

<표 Ⅳ- 5>에 의하면 관리자의 경영 방침에 따른 민주화 비중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47.0%, 대체로 그렇다는 28.6%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

- 39 -

Page 49: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다가 4.9%, 별로 그렇지 않다가 9.0%로 나타나고 있어 민주화 비중에 있어

관리자의 경영방침은 상당한 영향이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p < .01

수준, 교육경력별로는 p < .05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B . 意 思決 定 에의 參 與 性

1. 학 교경 영에 있어 서 의 사결 정 참 여

학교경영에 있어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6>과 같다.

<표 Ⅳ- 6> 학교경영 의사결정 참여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90 6 24 48 20 4 25 71 37 39 20 16 28 52 96

% 27 8 28 28 15 17 16 27 26 24 18 22 24 23 22.9별로

그렇지않다

N 113 20 38 50 41 4 50 83 52 53 28 17 34 82 133% 33 25 44 29 31 17 32 32 37 33 25 23 29 36 31.7

보통이다N 96 23 17 54 39 9 46 73 35 49 35 21 30 68 119% 28 29 19 30 29 40 29 27 25 28 32 28 25 29 28.4

대체로

그렇다

N 26 20 7 15 21 3 18 28 13 17 16 8 15 23 46% 8 25 8 8 15 13 12 10 9 10 14 11 13 11 10.9

매우 그렇다N 15 10 1 8 13 3 15 10 4 9 12 12 10 3 25% 4 13 1 5 10 13 11 4 3 5 11 16 9 1 6.0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X2) 56.58 190.81 28.76 44.19 55.56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1.5182 2.5631 8.7602 5.2334 3.4355

<표 Ⅳ- 6>에 의하면 학교경영에 있어서 의사결정 참여에 대하여 매우 그

렇다 6.0%, 대체로 그렇다는 10.9%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 40 -

Page 50: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22.9%, 별로 그렇지 않다가 31.7%로 나타나고 있어 의사결정 참여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20대 교사 87명 중, 학교규

모별로는 43학급이상의 교사 228명 중 매우 그렇다는 응답률이 1명으로 나

타났으며, 변인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 의 사결 정에 교사 의견 반영

학교 경영에 있어 중요한 의사결정을 할 때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되고 있

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7>와 같다.

<표 Ⅳ- 7> 의사결정에 교사 의견 반영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41 5 14 23 8 1 13 33 21 17 8 7 14 25 46

% 12 6 16 13 6 4 8 13 15 10 7 10 12 11 10.9별로

그렇지않다

N 88 11 23 45 27 4 29 70 38 42 19 13 24 62 99% 26 14 26 26 20 17 19 27 27 25 17 17 21 27 23.6

보통이다N 114 37 35 51 55 10 58 93 52 54 45 22 45 84 151% 33 47 40 29 41 43 38 35 37 32 41 30 38 38 36.0

대체로

그렇다

N 87 24 13 51 39 8 48 63 24 53 34 28 31 52 111% 26 30 15 29 29 35 31 24 17 32 31 38 26 23 26.5

매우 그렇다N 10 2 2 5 5 0 6 6 6 1 5 4 3 5 12% 3 3 2 3 4 0 4 2 4 1 5 5 3 2 2.9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11.44 * 69.25 20.07 *** 51.00 44.49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220 4.4214 .0004 2.6200 4.5823

* p < .05, *** p < .001

<표 Ⅳ- 7>에 의하면 의사결정에 교사 의견 반영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 41 -

Page 51: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2.9%, 대체로 그렇다는 26.5%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0.9%, 별

로 그렇지 않다가 23.6%로 나타나고 있어 의견 반영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p < .001수준, 직위별로는 p < .05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3 . 교 사 상 호간 의 의 사소 통

교사들은 상호간에 학교 교육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

과는 <표 Ⅳ- 8>과 같다.

<표 Ⅳ- 8> 교사 상호간의 의사소통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18 3 7 12 2 0 5 16 10 10 1 2 1 18 21

% 5 4 8 7 1 0 3 6 7 6 1 3 1 8 5.0별로

그렇지않다

N 53 13 16 33 16 1 21 45 26 26 14 10 15 41 66% 16 16 18 19 12 4 14 17 18 16 13 14 13 18 15.8

보통이다N 116 22 36 51 47 4 46 92 52 51 35 17 48 72 138% 34 28 41 29 35 17 30 34 37 30 32 25 40 32 32.9

대체로

그렇다

N 132 38 24 70 60 16 72 98 44 73 53 41 46 83 170% 39 48 28 40 45 70 47 37 31 44 48 56 39 36 40.6

매우 그렇다N 21 3 4 9 9 2 10 14 9 7 8 3 7 14 24% 6 4 5 5 7 9 6 5 6 4 7 4 6 6 5.7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3.76 66.73 16.63 ** 31.24 *** 69.83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4397 1.3028 .0022 .0001 5.3196

** p < .01, *** p < .001

<표 Ⅳ- 8>에 의하면 교사들 상호간에 학교 교육 정보 교환에 대하여 매

- 42 -

Page 52: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우 그렇다 5.7%, 대체로 그렇다는 40.6%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5.0%, 별로 그렇지 않다가 15.8%로 나타나고 있어 교사 상호간의 의사소통

에 있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별로는 p < .001수준,

성별은 p < .01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4 . 직 원회 안건 의 사 전 승 인

교사는 학교 경영에 있어 직원회에 올리는 안건을 교장·교감에게 사전

승인을 받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9>와 같다.

<표 Ⅳ- 9> 직원회 안건의 사전 승인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34 4 8 18 10 2 20 18 14 15 9 9 6 23 38

% 10 5 9 10 7 9 13 7 10 9 8 12 5 10 9.0별로

그렇지않다

N 74 15 21 40 24 4 38 51 36 34 19 15 21 53 89% 22 19 25 23 18 17 25 19 26 20 17 21 18 23 21.2

보통이다N 105 21 31 51 38 6 41 85 41 50 35 20 27 79 126% 31 27 34 28 28 26 27 32 29 30 32 26 23 35 30.1

대체로

그렇다

N 94 24 26 45 40 7 42 76 40 49 29 26 38 54 118% 28 30 30 26 30 30 27 29 28 29 26 36 32 24 28.2

매우 그렇다N 33 15 1 21 22 4 13 35 10 19 19 4 25 19 48% 10 19 1 12 16 17 8 13 7 11 17 5 21 8 11.5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9.90 * 512.86 21.28 ** 25.93 ** 79.96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420 4.0569 .0002 .0010 4.9833

* p < .05, ** p < .01

<표 Ⅳ- 9>에 의하면 직원회 안건의 사전 승인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 43 -

Page 53: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11.5%, 대체로 그렇다는 28.2%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9.0%, 별

로 그렇지 않다가 21.2%로 나타나고 있어 사전 승인에 있어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교육경력별로는 p < .01수준, 직위별로는 p < .05

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5 . 직 원회 의에 서 발 언 기 회

교사는 직원회의에서 발언할 기회를 갖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 10>과 같다.

<표 Ⅳ- 10> 직원회의에서 발언 기회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21 4 3 13 6 3 10 15 8 9 8 3 4 18 25

% 6 5 3 7 4 13 6 6 6 5 7 4 3 8 6.0별로

그렇지않다

N 70 12 21 38 22 1 21 61 36 31 15 7 22 53 82% 21 15 24 22 16 4 14 23 26 19 14 10 19 23 19.6

보통이다N 96 18 26 48 36 4 37 77 38 50 26 17 31 66 114% 28 23 30 27 27 17 24 29 27 29 23 23 26 29 27.2

대체로

그렇다

N 105 30 25 55 46 9 58 77 40 57 38 31 38 66 135% 31 38 29 32 34 39 38 29 28 34 34 41 32 29 32.2

매우 그렇다N 48 15 12 21 24 6 28 35 19 20 24 16 22 25 63% 14 19 14 12 18 26 18 13 13 12 22 22 19 11 15.0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4.72 31.36 ** 28.99 20.05 * 93.19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3170 .0017 7.8200 .0101 1.0427

* p < .05, ** p < .01

<표 Ⅳ- 10>에 의하면 직원회의에서 발언 기회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 44 -

Page 54: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15.0%, 대체로 그렇다는 32.2%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6.0%, 별

로 그렇지 않다가 19.6%로 나타나고 있어 발언 기회에 있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p < .01수준, 교육경력별로는 p < .05수준에

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6 . 소 수 의 견의 존중 정도

학교경영에 있어 소수 의견 수용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11>과 같다.

<표 Ⅳ- 11> 소수 의견의 수용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25 7 4 15 12 1 12 20 10 13 9 2 8 22 32

% 7 9 5 9 9 4 8 8 7 8 8 3 7 10 7.6별로

그렇지않다

N 101 13 26 53 29 6 37 77 43 50 21 18 23 73 114% 30 16 30 29 22 26 24 29 30 29 19 24 20 32 27.2

보통이다N 135 31 39 61 58 8 61 105 57 63 46 29 48 89 166% 40 39 45 35 43 35 40 40 40 38 41 40 41 39 39.6

대체로

그렇다

N 69 22 15 42 27 7 38 53 27 38 26 22 30 39 91% 20 28 17 24 20 30 25 20 19 23 23 30 28 17 21.7

매우 그렇다N 10 6 3 4 8 1 6 10 4 3 9 3 8 5 16% 3 8 3 2 6 4 4 4 3 2 8 4 7 2 3.8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12.96 * 30.01 ** 5.169 19.20 * 71.87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114 .0027 0.2703 .0138 2.0840

* p < .05, ** p < .01

<표 Ⅳ- 11>에 의하면 학교 경영에 있어 직원회의 안건 중 소수 의견의

수용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3.8%, 대체로 그렇다는 21.7%로 나타난 반면 매

- 45 -

Page 55: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우 그렇지 않다가 7.6%, 별로 그렇지 않다가 27.2%로 나타나고 있어 소수

의견의 수용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p <

.01수준, 직위별·교육경력별로는 p < .05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C . 校 內 奬學 의 民 主性

1. 교 내 장 학의 교사 의 인 지도

교내 장학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지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12>와 같다.

<표 Ⅳ- 12> 교내 장학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지도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18 0 7 9 2 0 6 12 11 5 2 4 2 12 18

% 5 0 8 5 1 0 4 5 8 3 2 5 2 5 4.3별로

그렇지않다

N 80 12 25 43 19 5 30 62 39 38 15 9 23 60 92% 24 15 29 24 14 22 19 23 28 22 14 12 20 26 21.9

보통이다N 142 38 38 74 57 11 68 112 59 72 49 32 46 102 180% 42 48 44 43 43 48 44 42 42 43 44 44 39 45 42.9

대체로

그렇다

N 86 23 16 45 43 5 41 68 28 46 35 21 39 49 109% 25 29 18 26 32 22 27 26 20 28 32 28 33 21 26.0

매우 그렇다N 14 6 1 4 13 2 9 11 4 6 10 8 7 5 20% 4 8 1 2 10 9 6 4 3 4 9 11 6 2 4.8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10.05 * 139.91 3.96 47.58 69.47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395 6.2312 0.4108 1.1860 6.2696

- 46 -

Page 56: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 p < .05

<표 Ⅳ- 12>에 의하면 교내 장학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지도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4.8%, 대체로 그렇다는 26.0%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

지 않다가 4.3%, 별로 그렇지 않다가 21.9%로 나타나고 있어 교사의 인지도

에 있어 장학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

별로는 p < .05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와 40

대 교사는 교내 장학의 내용과 방법을 잘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 교 내 장 학의 효과 성

교직원의 교내 장학 효과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13>과 같다.

<표 Ⅳ- 13> 교내 장학의 효과성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23 3 9 11 4 2 10 16 15 5 6 5 4 17 26

% 7 4 10 6 3 9 6 6 11 3 5 7 3 7 6.2별로

그렇지않다

N 79 22 28 44 27 2 30 71 40 39 22 13 23 65 101% 23 28 32 25 20 9 19 27 28 23 20 18 20 29 24.1

보통이다N 147 32 32 72 61 14 63 116 52 79 48 30 55 94 179% 43 41 37 40 46 61 41 44 37 47 43 40 47 41 42.7

대체로

그렇다

N 83 18 16 44 36 5 45 56 31 41 29 19 33 49 101% 24 23 18 25 27 22 29 21 22 25 26 26 28 21 24.1

매우 그렇다N 8 4 2 4 6 0 6 6 3 3 6 7 2 3 12% 2 5 2 2 4 0 4 2 2 2 5 10 2 1 2.8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4.44 42.86 15.63 ** 29.57 *** 44.42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3497 2.3876 .0035 .0002 4.7467

- 47 -

Page 57: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 p < .01, *** p < .001

<표 Ⅳ- 13>에 의하면 교직원의 성장·발달을 위한 교내 장학의 효과성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2.8%, 대체로 그렇다는 24.1%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

지 않다가 6.2%, 별로 그렇지 않다가 24.1%로 나타나고 있어 교내 장학의

효과성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별로는 p <

.001수준, 성별로는 p < .01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장학의

효과성은 연령별로 50대 교사의 23명 중 매우 그렇다는 응답률이 없었다.

3 . 교 사의 비판 수용 도

교사들의 비판을 수용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14>와 같다.

<표 Ⅳ- 14> 교사의 비판 수용도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38 6 8 25 10 1 14 30 14 20 10 1 13 30 44

% 11 8 9 14 7 4 9 11 10 12 9 1 12 13 10.5

별로

그렇지않다

N 71 17 22 37 27 2 33 55 34 32 22 14 30 44 85

% 21 22 25 20 20 9 21 21 24 18 20 18 26 19 20.3

보통이다N 121 35 32 60 52 12 62 94 52 58 46 24 44 88 156% 36 44 37 34 39 52 40 36 37 35 41 33 38 39 37.2

대체로

그렇다

N 91 16 22 42 36 7 34 73 31 49 27 28 24 55 107

% 27 20 25 24 27 30 22 28 22 30 24 38 21 24 25.5

매우 그렇다N 19 5 3 11 9 1 11 13 10 8 6 7 6 11 24% 6 6 3 6 7 4 4 5 7 5 5 10 5 5 5.7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

통계량 (χ² ) 3.94 21.75 * 8.46 10.26 352.22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4145 .0403 0.0760 0.2472 3.0424

- 48 -

Page 58: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 p < .05

<표 Ⅳ- 14>에 의하면 교사의 비판 수용도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5.7%,

대체로 그렇다는 25.5%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0.5%, 별로 그

렇지 않다가 20.3%로 나타나고 있어 교사의 비판 수용도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p < .05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

내고 있다.

4 . 교 원 연 수 의 견 반 영

교직원의 연수 계획 수립시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

과는 <표 Ⅳ- 15>와 같다.

<표 Ⅳ- 15> 교원 연수 의견 반영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22 3 8 12 4 1 7 18 11 10 4 1 6 18 25

% 6 4 9 7 3 4 5 7 8 6 4 1 5 8 5.9

별로

그렇지않다

N 60 15 14 38 17 6 23 52 26 35 14 12 20 43 75

% 18 19 16 21 13 26 15 20 18 21 13 16 17 19 17.9

보통이다N 120 31 34 60 51 6 56 95 56 52 43 26 41 84 151% 35 39 39 34 38 26 36 36 40 30 39 36 35 37 36.0

대체로

그렇다

N 118 21 27 55 48 9 54 85 41 59 39 27 41 71 139

% 35 27 31 32 36 39 35 32 29 36 35 36 35 31 33.2

매우 그렇다N 20 9 4 10 14 1 14 15 7 11 11 8 9 12 29% 6 11 5 6 10 4 9 6 5 7 10 11 9 5 6.9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

통계량 (χ² ) 6.88 27.07 ** 10.97 * 18.95 * 95.21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1423 .0075 .0269 .0151 4.0484

- 49 -

Page 59: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 p < .05, ** p < .01

<표 Ⅳ- 15>에 의하면 교원의 연수 계획 수립시 교사들의 의견 반영에 대

하여 매우 그렇다 6.9%, 대체로 그렇다는 33.2%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5.9%, 별로 그렇지 않다가 17.9%로 나타나고 있어 교사들의 의견 반

영에 있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p < .01수준, 성

별·교육경력별로는 p < .05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5 . 장 학을 위한 정보 제공

교내 자율장학 위원회를 구성하고 장학 대상자의 요구와 희망을 존중하여

개인별 장학을 실시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16>과 같다.

<표 Ⅳ- 16> 개인별 장학 실시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42 7 12 26 11 0 15 34 20 22 7 8 9 32 49

% 12 9 14 15 8 0 10 13 14 13 6 11 8 14 11.6

별로

그렇지않다

N 90 22 29 44 33 6 28 84 46 39 27 13 38 61 112

% 27 28 33 25 25 26 18 32 33 23 24 18 32 27 26.7

보통이다N 139 28 41 59 53 14 63 104 59 63 45 29 44 94 167% 41 35 47 33 40 61 41 39 42 37 41 39 38 41 39.9

대체로

그렇다

N 59 18 3 42 29 3 40 37 13 39 25 20 22 35 77

% 17 23 3 24 22 13 26 14 9 23 23 27 19 15 18.4

매우 그렇다N 10 4 2 4 8 0 8 6 3 4 7 4 4 6 14% 3 5 2 2 6 0 5 2 2 2 6 5 3 3 3.3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

통계량 (χ² ) 3.96 380.02 48.51 79.09 47.85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4112 6.3997 7.4031 7.4357 1.0548

- 50 -

Page 60: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표 Ⅳ- 16>에 의하면 장학 대상자의 요구와 희망을 존중하여 개인별 장

학을 실시하는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3.3%, 대체로 그렇다는 18.4%로 나

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1.6%, 별로 그렇지 않다가 26.7%로 나타나

고 있어 개인별 장학의 실시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

인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 . 人 事管 理

1. 인 사자 문회 의의 기능

교내 인사 원칙의 제정과 시행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17>과 같다.

<표 Ⅳ- 17> 교내 인사 원칙 제정과 준수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29 5 7 18 8 1 16 18 14 14 6 4 6 24 34

% 9 6 8 10 6 4 10 7 10 8 5 5 5 11 8.1별로

그렇지않다

N 74 18 24 42 21 5 31 61 35 37 20 16 20 56 92

% 22 23 28 24 16 22 20 23 25 22 18 21 17 25 21.9

보통이다N 129 26 34 69 42 10 48 107 56 58 41 22 43 90 155% 38 33 39 40 31 43 31 41 40 35 37 30 37 39 37.0

대체로

그렇다

N 91 25 21 39 51 5 49 67 34 48 34 26 38 52 116

% 27 32 24 21 38 22 32 25 24 28 31 36 32 23 27.7

매우 그렇다N 17 5 1 7 12 2 10 12 2 10 10 6 10 6 22% 5 6 1 4 9 9 6 5 1 6 9 8 9 3 5.3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 (χ² ) 1.99 118.23 16.74 ** 79.61 40.88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7366 1.3919 .0021 5.8535 2.1954

- 51 -

Page 61: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 p < .01

<표 Ⅳ- 17>에 의하면 교내 인사 원칙 제정과 준수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5.3%, 대체로 그렇다는 27.7%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8.1%, 별

로 그렇지 않다가 21.9%로 나타나고 있어 교내 인사 원칙 제정과 준수에 있

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p < .01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2 . 인 사자 문회 의의 교사 의견 반영

인사 자문회의가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 18>과 같다.

<표 Ⅳ- 18> 인사자문회의의 교사 의견 반영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

매우

그렇지않다

N 34 7 11 19 10 1 13 28 17 16 8 3 10 28 41

% 10 9 13 11 7 4 8 11 12 10 7 4 9 12 9.8별로

그렇지않다

N 112 18 36 54 34 6 42 88 57 46 27 23 33 74 130% 33 23 41 31 25 26 27 33 40 27 24 32 28 32 31.0

보통이다N 128 27 27 71 47 10 58 97 47 67 41 22 39 94 155% 38 34 31 41 35 43 38 37 33 40 37 29 33 41 37.0

대체로

그렇다

N 58 25 12 29 36 6 37 46 19 34 30 23 30 30 83% 17 32 14 16 27 26 24 17 13 20 27 32 26 13 19.8

매우 그렇다N 8 2 1 2 7 0 4 6 1 4 5 3 5 2 10% 2 3 1 1 5 0 3 2 1 2 5 4 4 1 2.4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12.69 * 65.52 9.93 * 69.97 85.36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128 2.1862 .0415 4.9936 4.0572

- 52 -

Page 62: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 p < .05

<표 Ⅳ- 18>에 의하면 인사 자문회의가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는가에 대

하여 매우 그렇다 2.4%, 대체로 그렇다는 19.8%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9.8%, 별로 그렇지 않다가 31.0%로 나타나고 있어 교사들의 의견 반

영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별·성별로는 p < .05

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연령별로는 50대교사의 23명

중 매우 그렇다는 응답률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 인 사의 합리 성· 공개 성

교내 인사 결정에 합의된 사항을 교사에게 공개를 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

과는 <표 Ⅳ- 19>와 같다.

<표 Ⅳ- 19> 교내 인사결정 공개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40 8 11 22 14 1 19 29 19 18 11 7 11 30 48

% 12 10 13 13 10 4 12 11 13 12 10 10 9 13 11.4별로

그렇지않다

N 61 14 16 36 19 4 32 43 32 25 18 11 20 44 75

% 18 18 18 21 14 17 21 16 23 15 16 14 17 19 17.9

보통이다N 134 22 39 69 38 10 53 103 55 71 30 25 35 96 156% 40 28 45 40 28 43 34 39 39 42 27 34 30 42 37.2

대체로

그렇다

N 90 29 20 44 48 7 41 78 33 47 39 24 40 55 119

% 27 37 23 24 36 30 27 30 23 28 35 33 34 24 28.4

매우 그렇다N 15 6 1 4 15 1 9 12 2 6 13 7 11 3 21% 4 8 1 2 11 4 6 5 1 4 12 10 9 1 5.1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 (χ² ) 7.81 144.92 6.16 109.61 32.85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0989 6.0714 0.1875 4.5757 6.5660

- 53 -

Page 63: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표 Ⅳ- 19>에 의하면 교내 인사 결정에 합의된 사항을 교사에게 공개를

하는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5.1%, 대체로 그렇다는 28.4%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1.4%, 별로 그렇지 않다가 17.9%로 나타나고 있어 인

사 결정의 합의 사항 공개에 있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

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 학 교장 의 부 당한 인사 조치

교내 인사 자문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이 학교장의 독단에 의한 부당한 조

치였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20>과 같다.

<표 Ⅳ- 20> 부당한 인사조치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62 13 17 25 30 3 24 51 22 33 20 24 23 28 75

% 18 16 20 14 22 13 16 19 16 20 18 33 20 12 17.9별로

그렇지않다

N 126 27 36 66 45 6 48 105 55 63 35 23 42 88 153% 37 34 41 37 34 26 31 40 39 38 32 32 36 39 36.5

보통이다N 109 27 29 55 41 11 59 77 47 48 41 17 38 81 136% 32 34 33 32 31 48 33 29 33 28 37 23 32 36 32.5

대체로

그렇다

N 33 10 4 25 12 2 20 23 14 18 11 6 13 24 43% 10 13 5 14 9 9 13 9 10 11 10 7 11 11 10.2

매우 그렇다N 10 2 1 4 6 1 3 9 3 5 4 4 1 7 12% 3 3 1 2 4 4 2 3 2 3 4 5 1 3 2.9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1.18 68.33 20.92 *** 7.26 69.42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8814 6.5733 .0003 0.5087 6.4053

*** p < .001

- 54 -

Page 64: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표 Ⅳ- 20>에 의하면 교내 인사 자문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이 학교장의

독단에 의한 부당한 인사 조치였는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2.9%, 대체로

그렇다는 10.2%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7.9%, 별로 그렇지 않

다가 36.5%로 나타나고 있어 인사 조치에 있어 부당한 경우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p < .001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E . 勤 務 條件 의 改 善

1. 자 율적 연구 지원

학습에 있어 자율적 연구 지원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21>과 같다.

<표 Ⅳ- 21> 교사의 학습 내용과 방법 자율적 연구 지원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

매우

그렇지않다

N 22 4 6 11 8 1 9 17 10 8 8 5 4 17 26

% 6 5 7 6 6 4 6 6 7 5 7 7 3 7 6.2별로

그렇지않다

N 89 14 27 45 25 6 38 65 42 40 21 13 27 63 103

% 26 18 31 26 19 26 25 25 30 24 19 18 23 28 24.6

보통이다N 130 31 30 77 44 10 54 107 52 71 38 23 45 93 161% 38 39 34 43 33 43 35 41 37 42 34 32 38 41 38.4

대체로

그렇다

N 82 26 23 36 43 6 43 65 34 39 35 26 37 45 108

% 24 33 26 21 32 26 28 25 24 23 32 35 32 20 25.8

매우 그렇다N 17 4 1 6 14 0 10 11 3 9 9 7 4 10 21% 5 5 1 3 10 0 6 4 2 5 8 10 3 4 5.0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 (χ² ) 4.95 126.98 5.62 38.79 52.74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2920 2.4915 0.2297 5.3750 1.2109

- 55 -

Page 65: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표 Ⅳ- 21>에 의하면 교사들에게 학습 내용과 방법을 자율적으로 연구하

고 선택하도록 지원하는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5.0%, 대체로 그렇다는

25.8%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6.2%, 별로 그렇지 않다가 24.6%

로 나타나고 있어 교사들의 자율적 연구 지원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변인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별

로 50대 교사 23명 중 매우 그렇다는 응답률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 주 당 수 업시 수의 적정 수준

교사의 교육과정 주당 수업 시수는 적정 수준인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

표 Ⅳ- 22>와 같다.

<표 Ⅳ- 22> 주당 수업시수의 적정 수준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100 25 36 53 29 7 48 77 50 48 27 22 29 74 125

% 29 32 41 30 22 30 31 29 35 29 24 30 25 32 29.8별로

그렇지않다

N 104 17 23 57 36 5 44 77 45 51 25 19 37 65 121

% 31 22 26 33 27 22 29 29 32 30 23 26 32 29 28.9

보통이다N 95 21 23 44 41 8 39 77 35 46 35 19 34 63 116% 28 27 26 24 31 35 25 29 25 28 32 26 29 28 29.7

대체로

그렇다

N 26 11 4 10 21 2 13 24 6 13 18 9 13 15 37

% 8 14 5 6 16 9 8 9 4 8 16 11 11 7 8.8

매우 그렇다N 15 5 1 11 7 1 10 10 5 9 6 5 4 11 20% 4 6 1 6 5 4 6 4 4 5 5 7 3 5 4.8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 (χ² ) 7.04 121.39 4.99 56.57 13.86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1338 3.2566 0.2876 2.1802 0.0855

- 56 -

Page 66: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표 Ⅳ- 22>에 의하면 교사의 주당 수업 시수는 적정 수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4.8%, 대체로 그렇다는 8.8%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29.8%, 별로 그렇지 않다가 28.9%로 나타나고 있어 주당 수업시수의 적정

수준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 업 무의 적정 성

교내 업무 분장시 교사의 희망과 능력을 고려하고 협의를 통하여 이루어

지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23>과 같다.

<표 Ⅳ- 23> 업무 분장시 교사와의 협의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

매우

그렇지않다

N 36 7 12 24 5 2 9 34 18 20 5 6 11 26 43

% 11 9 14 14 4 9 6 13 13 12 5 8 9 11 10.3별로

그렇지않다

N 99 18 28 57 26 6 42 75 46 45 26 19 33 65 117

% 29 23 32 33 19 26 27 28 33 27 23 26 28 29 27.9

보통이다N 121 28 33 52 55 9 51 98 50 57 42 26 43 80 149% 36 35 38 30 41 39 33 37 35 33 38 36 37 35 35.6

대체로

그렇다

N 74 22 13 38 40 5 44 52 24 41 31 21 24 51 96% 22 28 15 21 30 22 29 20 17 25 28 28 21 22 22.9

매우

그렇다

N 10 4 1 4 8 1 8 6 3 4 7 2 6 6 14

% 3 5 1 2 6 4 5 2 2 2 6 3 5 3 3.3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

통계량(χ²) 3.86 77.93 35.24 33.29 12.39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4247 1.0234 4.1530 5.4551 0.1346

<표 Ⅳ- 23>에 의하면 교내 업무 분장시 교사와의 협의에 대하여 매우

- 57 -

Page 67: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그렇다 3.3%, 대체로 그렇다는 22.9%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0.3%, 별로 그렇지 않다가 27.9%로 나타나고 있어 업무 분장시 교사와의

협의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 잡 무관 리

불필요한 장부를 작성하거나 관리하고 있지 않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

표 Ⅳ- 24>와 같다.

<표 Ⅳ- 24> 불필요한 장부 작성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

매우

그렇지않다

N 52 7 15 29 12 3 11 48 23 27 9 10 12 37 59

% 15 9 17 17 9 13 7 18 16 16 8 14 10 16 14.1별로

그렇지않다

N 81 20 16 50 29 6 38 63 32 47 22 16 24 61 101

% 24 25 18 28 22 26 25 24 23 27 20 22 21 27 24.1

보통이다N 132 37 42 61 58 8 64 105 62 53 54 30 55 84 169% 39 47 48 35 43 35 42 40 44 32 49 40 47 37 40.3

대체로

그렇다

N 62 12 12 26 31 5 33 41 20 31 23 15 24 35 74

% 18 15 14 15 23 22 21 16 14 19 21 21 21 15 17.7매우

그렇다

N 13 3 2 9 4 1 8 8 4 9 3 3 2 11 16% 4 4 2 5 3 4 5 3 3 5 3 4 2 5 3.8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3.92 41.60 51.78 22.85 ** 11.63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4169 3.8847 1.5342 .0035 0.1685

** p < .01

<표 Ⅳ- 24>에 의하면 불필요한 장부를 작성하거나 관리하고 있는가에 대

- 58 -

Page 68: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하여 매우 그렇다 3.8%, 대체로 그렇다는 17.7%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4.1%, 별로 그렇지 않다가 24.1%로 나타나고 있어 불필요한 장부를

작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별로는 p < .01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5 . 교 원의 복지 향상

교내에서 교원들의 학년연구실이 설치되어 있어 협의와 교재연구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25>와 같다.

<표 Ⅳ- 25> 교원의 학년연구실 설치 운영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

매우

그렇지않다

N 101 23 25 50 40 9 39 85 40 51 33 29 39 56 124

% 30 29 29 29 30 39 25 32 28 31 30 40 33 25 29.6별로

그렇지않다

N 68 18 15 42 25 4 36 50 26 40 20 13 21 52 86

% 20 23 17 24 19 17 23 19 18 24 18 18 18 23 20.5

보통이다N 80 19 22 39 30 8 37 62 34 36 29 21 29 49 99% 24 24 25 22 22 35 24 23 24 22 26 28 25 21 23.6

대체로

그렇다

N 51 10 12 27 21 1 22 39 19 27 15 7 15 39 61

% 15 13 14 15 16 4 14 15 13 15 14 10 13 17 14.6매우

그렇다

N 40 9 13 17 18 1 20 29 22 13 14 4 13 32 49% 12 11 15 10 13 4 13 11 16 8 13 5 11 14 11.7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0.62 14.91 8.00 11.83 75.33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9604 0.2464 0.0914 0.1590 4.2288

<표 Ⅳ- 25>에 의하면 교원의 학년연구실 설치 운영에 대하여 매우 그렇

다 11.7%, 대체로 그렇다는 14.6%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 59 -

Page 69: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29.6%, 별로 그렇지 않다가 20.5%로 나타나고 있어 학년연구실을 설치 운영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F . 業 務處 理 의 自 律 性

1. 업 무처 리의 독자 성

교장이 업무처리의 지침만 정하고 세부 사항은 해당교사에게 일임하는 위

임전결사항이 시행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26>과 같다.

<표 Ⅳ- 26> 업무처리의 위임 전결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

매우

그렇지않다

N 39 6 11 21 12 1 11 34 18 15 12 0 15 30 45

% 12 8 13 12 9 4 7 13 13 9 11 0 13 13 10.7별로

그렇지않다

N 74 14 16 38 32 2 23 65 27 40 21 8 22 58 88

% 22 18 18 22 24 9 15 25 19 24 19 11 19 25 21.0

보통이다N 120 31 33 59 48 11 55 96 53 58 40 27 52 72 151% 35 39 38 33 36 38 36 36 38 34 36 37 44 32 36.0

대체로

그렇다

N 84 24 21 47 32 8 52 56 33 47 28 29 24 55 108% 25 30 24 27 24 35 34 21 23 28 25 39 21 24 25.8

매우 그렇다N 23 4 6 10 10 1 13 14 10 7 10 10 4 13 27% 7 5 7 6 7 4 8 5 7 4 9 14 3 6 6.5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3.34 10.99 44.01 8.97 33.54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5020 0.5290 6.3908 0.3447 4.9158

<표 Ⅳ- 26>에 의하면 교장이 업무처리의 지침만 정하고 세부 사항은 해

- 60 -

Page 70: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당교사에게 일임하는 위임전결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6.5%, 대체로 그렇다

는 25.8%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10.7%, 별로 그렇지 않다가

21.0%로 나타나고 있어 해당교사에게 일임하는 위임전결에 있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 업 무처 리의 비민 주적 요소

과중한 업무 처리로 인하여 수업결손을 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는 <표 Ⅳ- 27>과 같다.

<표 Ⅳ- 27> 업무처리로 인한 수업결손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22 5 3 11 11 2 11 16 6 13 8 5 6 16 27

% 6 6 3 6 8 9 7 6 4 8 7 7 5 7 6.4별로

그렇지않다

N 63 12 14 34 22 5 27 48 25 29 21 15 12 48 75% 19 15 16 20 16 22 18 18 18 17 19 21 10 21 17.9

보통이다N 129 22 29 60 54 8 41 110 49 61 41 25 45 81 151% 38 28 33 33 40 35 27 42 35 36 37 33 38 36 36.0

대체로

그렇다

N 67 27 24 39 25 6 44 50 34 35 25 17 35 42 94% 20 34 28 22 19 26 29 19 24 21 23 23 30 18 22.4

매우 그렇다N 59 13 17 31 22 2 31 41 27 29 16 12 19 41 72% 17 16 20 18 16 9 20 16 19 17 14 16 16 18 17.3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11.03 * 26.44 ** 34.15 9.95 12.25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262 .0092 6.9405 0.2686 0.1403

* p < .05, ** p < .01

<표 Ⅳ- 27>에 의하면 과중한 업무 처리로 인하여 수업결손에 대하여 매

- 61 -

Page 71: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우 그렇다 17.3%, 대체로 그렇다는 22.4%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

가 6.4%, 별로 그렇지 않다가 17.9%로 나타나고 있어 과중한 업무처리로 인

하여 수업결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p < .01수준, 직

위별로는 p < .05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3 . 사 무처 리의 형식 적인 절차

구입할 교육자료의 선정 절차에 관해 교원의 참여에 대한 분석 결과는 <

표 Ⅳ- 28>과 같다.

<표 Ⅳ- 28> 교육자료 선정 절차에 관한 교원의 참여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20 5 4 15 5 1 8 17 9 10 6 5 2 18 25

% 6 6 5 9 4 4 5 6 6 6 5 7 2 8 6.0별로

그렇지않다

N 42 10 15 21 15 1 21 31 24 16 12 8 8 36 52% 12 13 17 12 11 4 14 12 17 10 11 11 7 16 12.4

보통이다N 108 16 30 54 34 6 41 83 43 56 25 20 30 74 124% 32 20 34 31 25 26 27 31 30 34 23 26 26 32 30.0

대체로

그렇다

N 126 36 31 67 54 10 62 100 51 67 44 29 54 79 162% 37 46 36 38 40 43 40 38 36 39 40 40 46 35 38.2

매우 그렇다N 44 12 7 18 26 5 22 34 14 18 24 12 23 21 56% 13 15 8 10 19 22 14 13 10 11 22 16 20 9 13.4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5.18 47.94 4.50 27.47 *** 24.76 **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2691 3.2061 0.3427 .0005 .0017

** p < .01, *** p < .001

<표 Ⅳ- 28>에 의하면 교육자료 선정 절차에 관한 교원의 참여에 대하여

- 62 -

Page 72: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매우 그렇다 13.4%, 대체로 그렇다는 38.2%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

다가 6.0%, 별로 그렇지 않다가 12.4%로 나타나고 있어 교육자료 선정 절차

에 관한 교원의 참여에 있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별

로는 p < .001수준, 학교규모별로는 p < .01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

고 있다.

4 . 필 요한 경비 의 지 원

구입할 교육자료는 교육프로그램과 교원의 요구에 기초하여 선정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29>와 같다.

<표 Ⅳ- 29> 교육자료의 교원 요구 수용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매우

그렇지않다

N 10 4 2 7 5 0 5 9 3 6 5 2 0 12 14

% 3 5 2 4 4 0 3 3 2 4 5 3 0 5 3.3별로

그렇지않다

N 47 8 16 25 11 3 14 41 26 18 11 7 8 40 55% 14 10 18 14 8 13 9 16 18 11 10 10 7 18 13.1

보통이다N 111 22 31 54 42 6 54 79 45 53 35 25 30 78 133% 33 28 36 31 31 26 35 30 32 32 32 33 26 34 31.7

대체로

그렇다

N 125 32 30 67 49 11 55 102 50 68 39 26 56 75 157% 37 41 34 38 37 43 36 39 35 40 35 36 48 33 37.5

매우 그렇다N 47 13 8 22 27 3 26 34 17 22 21 14 23 23 60% 14 16 9 13 20 13 17 13 12 13 19 19 20 10 14.4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3.25 37.96 *** 17.12 ** 20.15 ** 42.76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5177 .0001 .0018 .0097 9.7568

** p < .01, *** p < .001

- 63 -

Page 73: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표 Ⅳ- 29>에 의하면 구입할 교육자료는 교육프로그램과 교원의 요구에

기초하여 선정되는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14.4%, 대체로 그렇다는 37.5%

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3.3%, 별로 그렇지 않다가 13.1%로 나

타나고 있어 교육자료의 교사 요구 수용에 있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연령별로는 p < .001수준, 성별·교육경력별로는 p < .01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5 . 예 산 심 의위 원회 의 기 능

예산 심의위원회의는 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Ⅳ- 30>과 같다.

<표 Ⅳ- 30> 예산 심의위원회의 기능 수행

변인

내용

직위별 연령별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계교사

81%

부장

교사

19%

20대

21%

30대

42%

40대

32%

50대

5%

37%

63%

0~9년

34%

10~19

40%

20년

이상

26%

35학

급이

18%

36~4

2학

28%

43학

급이

54%

매우

그렇지않다

N 29 8 8 21 7 1 11 26 13 18 6 2 7 28 37

% 9 10 9 12 5 4 7 10 9 12 5 3 6 12 8.8별로

그렇지않다

N 79 16 20 43 27 5 43 52 39 31 25 18 23 54 95% 23 20 23 25 20 22 28 20 28 19 23 25 20 24 22.7

보통이다N 166 35 51 76 63 11 64 137 71 78 52 29 55 117 201% 49 44 59 43 47 48 42 52 50 46 47 39 47 51 48.0

대체로

그렇다

N 54 16 8 31 26 5 28 42 14 36 20 19 25 26 70% 16 20 9 18 19 22 18 16 10 22 18 26 21 11 16.7

매우 그렇다N 12 4 0 4 11 1 8 8 4 4 8 6 7 3 16% 4 5 0 2 8 4 5 3 3 2 7 8 6 1 3.8

합계 N 340 79 87 175 134 23 154 265 141 167 111 74 117 228 419통계량(χ²) 2.35 23.16 * 18.94 *** 46.60 126.07

자유도 4 12 4 8 8유의도 0.6723 .0264 .0008 1.8251 1.8403

- 64 -

Page 74: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 p < .05, *** p < .001

<표 Ⅳ- 30>에 의하면 예산 심의위원회의 기능 수행에 대하여 매우 그렇

다 3.8%, 대체로 그렇다는 16.7%로 나타난 반면 매우 그렇지 않다가 8.8%,

별로 그렇지 않다가 22.7%로 나타나고 있어 심의 위원회의 기능 수행에 있

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p < .001수준, 연령별로는

p < .05수준에서 의미있는 차를 나타내고 있다.

- 65 -

Page 75: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Ⅴ . 要約 및 結論

A . 要 約

1. 연 구의 개요

본 연구는 민주적 학교경영에 있어 교원들의 참여 실태를 조사하여 갈등

을 해결하고 학교 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전제하에 민주적 학교경영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일선학교에서 진행

되고 있는 민주적 변화에 대하여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며 어떤 곳에 문제

가 있고,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를 찾기 위하여 학교경영 전반에 관한 30

개 문항을 작성 경기도내 초등학교 20개교에서 무선표집한 교사 500명에게

배부하고 432부를 회수한 후 사용 가능한 419부의 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하

였으며 자료처리는 각 문항별 백분율에 의하여 환산하고 요인별로 χ²검증

을 하여 유의도를 알아보았다.

2 . 연 구의 결과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학교 교육계획 수립에의 참여

첫째, 학교 교육계획 수립시 교원들이 참여하지 않는다는 33.5%로 참여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 66 -

Page 76: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둘째,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 수립시 의견 제시를 하고 있다는 반응이

6.5%, 교육 기획위원회에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는 반응이 9.5%, 학

교경영에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는 반응이 6.2%로 학교의 전반적인

계획에 있어 소수의 의견만이 반영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관리자의 경영방침에 따른 민주화의 비중에 있어서는 47.0%가 영향

이 있다고 반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대체로 그렇다 28.6%)

b) 의사결정에의 참여성

첫째, 학교경영에 있어서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반응이 6.0%, 의사결정에

있어서 교사의 의견 반영이 2.9%로 의사결정에 있어 교사의 의견이 수용되

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는 5.7%이나 대체로 그렇다

가 40.6%로 서로 교육에 관한 정보교환이 잘 이루어지는 편이었다.

셋째, 직원회 안건의 사전 승인을 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고, 직원회의에서

발언기회는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경력에 별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은 경향을 보였다.

c) 교내 장학의 민주성

첫째, 교내 장학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지도는 부장교사와 40대 교사가

대체적으로 잘 인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장학의 효과성에 대하여는

만족할만한 반응을 볼 수 없었다.

둘째, 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비판을 수용한다는 반응이 5.7%로 낮은 반응

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원의 연수 계획 수립시 교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시되고 있었다.

넷째, 장학대상자의 요구와 희망을 존중하여 개인별 장학을 실시하지 않고

- 67 -

Page 77: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있었으며, 장학을 위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d) 인사관리

첫째, 교내 인사자문회의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의견은 잘

반영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사 결정에 합의된 사항의 공개는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

며, 학교장의 독단에 의한 부당한 조치는 경미하게 반응을 보였다.

e) 근무조건의 개선

첫째, 학습 내용과 방법을 자율적으로 연구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셋째, 업무 분장시 교사의 희망과 능력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불필요한 장

부를 작성하여 관리하고 있었다.

넷째, 학년연구실의 설치운영으로 교재연구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f) 업무처리의 자율성

첫째, 교장이 업무처리의 지침만 정하고 세부 사항은 해당교사에게 위임하

여 업무처리에 있어 독자적으로 처리하고 있었다.

둘째, 과중한 업무처리로 인하여 수업결손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입할 교육자료의 선정절차에 교원의 참여와 교원의 요구에 기초하

여 선정되고 필요한 경비를 지원하고 있었다.

넷째, 예산 심의위원회의 기능 수행에 있어서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 68 -

Page 78: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B . 結 論

본 연구는 민주적 학교경영의 실태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 분석함으로서

앞으로 일선학교에서 개선하고 지향하여야 할 유의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던

바 다음과 같다.

민주적 학교경영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은 각기 독립적으

로 존재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서 효과를 나타

내게 된다. 따라서 학교경영의 문제점을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면 그

문제점 하나로 인해 학교경영 전반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학교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경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첫째, 바람직한 학교 교육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한 사업들과 업무들을 기

획하고 실천하며 평가하는 순환적 과정으로서 교원들의 참여와 의견제시에

대한 수용이 부족하였고, 교육 계획의 체제는 전적으로 현장성을 고려하여

일선 학교에서 접근하기 용이하게 작성하여야 하므로 계획 수립시 다수의

교사가 참여하여 작성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민주적 학교경영에 있어 학교장은 상급 기관들로부터 권한과 책임

을 위임받아 구체적인 교육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학교장의 경영방침에

따른 민주화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결정에의 참여성에 있어서 교사들의 참여와 의견 반영이 잘 수

용되지 않고 있으며, 교사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으로 교육에 관한 정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직원회 안건의 사전 승인과 직원회에서의 발

언기회가 점점 커져가고 있으나, 교사들의 의사결정에의 참여와 의견 수용에

- 69 -

Page 79: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대한 학교장의 전향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셋째, 교원의 연수계획 수립에 있어서는 의견을 반영하고 실시하고 있었으

며, 교내 장학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지도는 대체적으로 잘 알고 있었으

나, 장학의 효과성과 개인별 장학에 있어 교원들에게 많은 정보 제공의 기회

가 있어야 하며, 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비판을 수용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

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인사자문회의 기능이 잘 수행되고 있었으며, 인사결정에 대한 합리

적 공개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학교장의 독단에 의한 인사조치는 경미한 것

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고 대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방

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습 내용과 방법을 자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

나, 교사의 주당 수업 및 업무 분장, 불필요한 장부 관리에 시달리고 있어

그 동안 크게 떠들던 업무 경감 대책은 별로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생

각되어 대책이 요망되었다.

그리고 학년연구실의 설치운영을 권장하고 있는 현 정책에 있어 일선 학

교에서는 공간 부족과 이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

다.

여섯째, 업무처리의 자율성에 있어 학교장이 지침만 정하고 세부 사항은

위임전결하여 독자적 처리를 하고 있었고, 교사의 교육자료 선정 참여와 요

구에 기초하여 선정되었고 필요한 경비를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 심의위원회

의의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이의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일곱째, 총 30개 문항 중 20개 문항에서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민주적 학교경영에 있어 학교경영자로서의 학교를 운영하는 데 있어

- 70 -

Page 80: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서 조직구성원과 함께 학교를 이끌어갈 방향을 제시하여야 하며, 학교경영을

위한 학교장의 경영 방침과 철학을 갖춘 철저한 전문 경영인 양성이 요구된

다.

- 71 -

Page 81: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參 考 文 獻

< 저서 >

교육부. 교육백서. 서울:삼진사, 1990.

김규정. 신고 행정학 원론. 서울:법문사, 1994.

김봉수. 학교와 학교경영. 서울:형설출판사, 1987.

김윤태. 교육행정·경영신론. 서울:배영사, 1986.

김종철·진동섭·허병기. 학교·학급경영론. 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

사, 1991.

김창걸. 교육행정학 및 교육경영. 서울:형설출판사, 1989.

남정걸. 교육행정과 학교경영. 서울:세영사, 1986.

박문옥. 행정학. 서울:박영사, 1963.

안귀덕. 참교육 운동과 한국교육의 과제. 서울:도서출판 윤문, 1990.

이성은 역. 학교행정과 장학론. 서울:양서원, 1991.

정태범 외. 학교·학급경영론. 한국교육행정학회, 1995附錄.

정태범 외. 학교·학급경영론. 서울:도서출판 하우, 1995.

< 논문 >

박무일. 학교조직에 있어서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

대학교 교육대학원, 1988.

방찬영. 교장의 교내 장학 지도 기술이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방재선. 학교행정가의 관리 유형과 교사의 근무 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

- 72 -

Page 82: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882.

이강식.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헌신도와의 관계연구. 석사학

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82.

정재영. 교사의 근무의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

학원, 1987.

주삼환. 학교경영에 있어서 의사결정의 민주화구조.

중앙교육연구원 연구논문, 1990.

한국교육개발원. 학교자체평가 안내서. 서울:문예사, 1988.

< 외국문헌 >

Elabree, W .S . and McNally .H .T . E lem entary S chool A dm inis tration and

S up ervis ion . New York : American Book Co, 1951.

Camhis, Marios . P lanning Theory P hilos op hy . London : T avistock , 1979.

Lindbloom , A S trategy of D ecis ion: P olicy E valuation as a S ocial

P orcess . New York:T he Free Press, 1963.

Dror , Ychezkel. P ublic P olicy - m ak ing R eexam ined . New Brunswick . N .

J .: Pransaction , Inc, 1983.

Bridges, M . Edwin . "A Model for Shared Decision Making in the

School Principalship." E ducational A dm inis tration Quarterly .

3. No.1. Winter , 1967.

Bass, Bernard. M .(ed). S tog dill 's H andbook of L eadership . New York :

T he Free Press , 1981.

- 73 -

Page 83: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질 문 지

안녕하십니까?

본 질문지는 민주적 학교경영에 관한 교원의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목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선생님의 성의있는 답변이 본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사용되어질 것입니다.

본 조사 자료는 연구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되지 않

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바쁘시더라도 협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

고 원 모 올림

응 답 요 령

◎ 질문지에 대한 각 응답 문항 중에서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

운 항목에 V '표시를 해 주십시오.

〈 보 기 〉

매우

그렇지

않다

별로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2 3 4 5

- 74 -

Page 84: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기 초 조 사

※ 해당란에 V표 해 주십시오.

1. 직 위 1) 부장교사 2) 교 사

2. 연 령 만( 세)

3. 성 별 1) 남 2) 여

4. 교육경력 1) 0∼9년 2) 10∼19년 3) 20년 이상

5. 학교규모 1) 35학급 이하 2) 36∼42학급 3) 43학급 이상

1. 선생님께서는 귀교의 학교 교육 계획 수립에

있어 직접 참여하였다.

2. 학교 교육 과정 전반에 걸친 운영 계획 수립

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3. 귀교에 교육 기획 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어

직접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4. 선생님은 귀교의 학교 경영에 직접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5. 관리자의 경영 방침에 따른 요소가 학교 경

영 민주화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6. 선생님께서는 학교 경영에 있어서 의사 결

정에 직접 참여하였다.

7. 학교 경영에 있어 중요한 의사 결정을 할

때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된다.

8. 교사들은 상호간에 학교 교육에 관한 정보를

교환한다.

9. 교사는 학교 경영에 있어 직원회에 올리는

안건을 교장·교감에게 사전 승인을 받는다.

10. 교사들은 직원회의에서 발언할 기회를 갖는

다.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 75 -

Page 85: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11. 학교 경영에 있어 직원회의 안건 중 소수의

의견을 수용한다.

12. 교내 장학의 내용과 방법이 분명하며 교사

들도 그 내용을 잘 알고 있다.

13. 교내 장학은 교직원의 성장·발달을 위해

수행하고 있다.

14. 귀교의 관리자는 교사들의 비판을 우호적으

로 받아들인다.

15. 교직원 연수 계획 수립시 교사들 의견이 반

영된다.

16. 교내 자율 장학 위원회를 구성하고 장학 대

상자의 요구와 희망을 존중하여 개인별 선택

장학을 실시하고 있다.

17. 교내 인사 원칙이 제정되어 이를 준수하여

시행하고 있다.

18. 인사 자문회의가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제 기능을 다하고 있다.

19. 교내 인사 결정에 합의된 사항을 교사에게

공개하고 있다.

20. 교내 인사 자문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이 학

교장의 독단에 의한 부당한 인사 조치였다.

21. 교사들에게 학습 내용과 방법을 자율적으로

연구하고 선택하도록 지원한다.

22. 교사의 교육과정 주당 수업 시수는 적정 수

준이다.

23. 교내 업무 분장시 교사의 희망과 능력을 고

려하고 협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 76 -

Page 86: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24. 불필요한 장부를 작성하거나 관리하고 있지

않다.

25. 교내에서 교직원들의 학년 연구실이 설치되

어 있어 협의와 교재 연구를 할 수 있는 공

간이 마련되어 있다.

26. 교장이 업무 처리의 지침만 정하고 세부 사

항은 해당교사에게 일임하는 위임 전결 사항

이 시행되고 있다.

27. 과중한 업무 처리로 인하여 수업 결손을 한

적이 있다.

28. 구입할 교육자료(설비·비품 등)의 선정 절

차에 관해 교직원이 참여하고 있다.

29. 구입할 교육자료(비품 등)는 교육프로그램

과 교직원의 요구에 기초하여 선정되고 있다.

30. 예산 심의 위원회는 제 기능을 다하고 있

다.

※ 끝까지 답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 77 -

Page 87: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國 文 要 約

敎師의 民主的 學校經營 參與 實態에

관한 硏究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敎育行政專攻 高 源 模

본 연구의 목적은 일선 민주적 학교경영 실태에 관점을 비추어 조사, 분석

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개선책을 찾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설문지법에 의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경기도내

초등학교 교원 419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계획 수립시 다수의 교사가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작

성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둘째, 의사결정에의 참여성에 있어서 정보 교환과 직원회의 발언 기회는

커져가고 있으나, 교사의 의사결정에의 참여와 의견 수용에 대한 학교장의

전향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셋째, 교원의 연수계획 수립에의 의견 반영과 장학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잘 운영되고 있으나, 장학의 효과성과 개인별 장학에 있어 많은 정보를 제공

해 주어야 하며, 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비판을 수용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

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78 -

Page 88: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넷째, 인사자문회의의 기능이 잘 수행되고, 인사결정에 대한 공개가 이루

어지고 있으나, 학교장의 독단적 인사조치와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고 대변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 내용과 방법을 자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

나, 교사의 주당 수업 및 업무 분장, 불필요한 장부 관리에 시달리고 있어

업무 경감 대책이 요망되었다.

그리고 학년연구실의 설치운영에 있어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업무처리의 자율성에 있어 위임 전결하여 독자적 처리를 하고 있

었고, 교사의 교육자료 선정 참여와 요구에 기초하여 선정되었고 필요한 경

비를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 심의위원회의의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이

의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일곱째, 총 30개 문항 중 20개 문항에서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민주적 학교경영을 위한 학교경영자의 경영 방침과 철학을 갖춘 철

저한 전문 경영인이 양성되어야한다.

- 79 -

Page 89: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A b s tract

A S tu dy on T e ac h e rs ' P art ic ip at ionin D e m ocrat ic S c h o ol M an ag e m e nt

Go , W on M o(Directed by Profe s s or Kim , Chang Gul )

D epartm ent of E duc ation A dmini s trationT he Gradu ate S chool of Educ ation

T 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in the light of activedemocratic school management conditions , and it is to reveal theproblem s and to found out a reform measure.

A s a method for study, it was executed with a literature research and a

questionnaire. Also as an object for study, I chose 419 pers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s in Kyonggi Province.

T 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s .

First , the measures , a large number of teachers present their opinion by

participating in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 plans and make out it ,

should be devised.

Second, the chance of information exchange and speech in a staff

meeting become larger , but it is required of the principal of a school ' s

progressive attitude for teachers ' participation of decision - making and

acceptance of opinion .

T hird, reflection of opinion in the establishment of teacher s ' training

plan and content s and methods of scholarship are operated well. But a lot

- 80 -

Page 90: A S tudy on T eachers ' Participation in D em ocratic S ... · 라서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학교조직체 구성 원의 수단적·봉사적·협동활동이라고

of information should be offered by the effectiveness of scholar ship and

scholar ship by persons . Also fundamental measures for acceptance of

teacher s ' criticism about scholarship should be prepared.

Fourth , a function of a per sonnel adver sary council is executed well and

publication about personnel decision is made, but measure against the

principals ' arbitrary personnel appointments and measure for collecting

and speaking for teacher s should be advised.

Fifth ,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tudy are applied for investigation

autonomously , but the measures for alleviation of work are required

because the teachers have suffered from instruction by the week, work

responsibility and unnecessary adjustment of account s . Also the measures

for realistic support should be prepared for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of class laboratory .

Sixth, it is individually treated according to arbitrary decision by

commission in the autonomy of business treatment and it is selected on

a basis of teacher s ' participation and demand for selecting education data .

And it support s necessary expenses . But it is required of a reform

measure because the budget council is formally operated.

Lastly , it is showed that 20 items among total 30 item s are

unsatisfactory . Accordingly , incorrigible special managers who have

school managers ' management planning and philosophy for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should be trained.

- 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