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첨가물

6
용도별 정의 대표 첨가물 사용식품 예 향미증진제 식품의 맛이나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 L-글루타민산나트륨 (MSG)등 조미료, 냉동어묵 발색제 식품의 색소를 유지 또는 강화하기 위해 사용 아질산나트륨 등 햄, 소시지 감미료 식품의 단맛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아스파탐 등 단무지, 껌 표백제 식품을 하얗고 밝게 만들거나, 변색하지 않도록 보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아황산나트륨 등 와인, 말린과일 착색료 식품에 색을 부여하거나 원래의 색을 복원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식용색소황색제4호, 카라멜 색소 등 소스류, 떡 보존료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소르빈산, 안식향산 간장, 딸기쨈 유화제 물과 기름처럼 본래 섞이지 않은 물질을 균질하게 혼합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것 글리세린지방산에스 테르, 카제인나트륨등 아이스크림, 마요네즈 식품첨가물이란? l 정의 : (식품위생법 제2조) 식품을 제조·가공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넣거나 섞는 물질 또는 식품을 적시는 등에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이 경우 기구·용기·포장을 살균·소독 하는데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식품으로 옮아갈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l 식품첨가물 지정절차 : 식품첨가물은 식품을 제조·가공·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 침윤, 기 타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사람의 건강을 해 할 우려가 없으며, 이를 사용함으로서 소 비자에게 이익을 주는 것으로서 안전성, 사용의 기술적 필요성 및 정당성 등의 사항에 대하 여 과학적인 평가를 수행한다. l 국내현황 우리나라는 1961년에 식품과 식품첨가물 규제의 근거가 되는 식품 위생법이 처음 제정되었고 당시 217 품목의 화학적 합성첨가물이 지정되었다. 2014년 기준 국내에서 사용이 허가된 종류 는 합성첨가물, 천연첨가물, 혼합제제들이 지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와 양은 다양화 되 어가고 있다. 국내 식품첨가물 공전에 식품첨가물은 602종이 등재되어 있다. (표1) 식품첨가물을 사용 목적에 따른 대표 식품첨가물 분류 ( 출처 : 식품안전의약처 홈페이지- 홍보자료 )

Transcript of 식품첨가물

Page 1: 식품첨가물

용도별 정의 대표 첨가물 사용식품 예

향미증진제식품의 맛이나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

L-글루타민산나트륨

(MSG)등조미료, 냉동어묵

발색제식품의 색소를 유지 또는

강화하기 위해 사용아질산나트륨 등 햄, 소시지

감미료식품의 단맛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아스파탐 등 단무지, 껌

표백제

식품을 하얗고 밝게 만들거나,

변색하지 않도록 보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아황산나트륨 등 와인, 말린과일

착색료

식품에 색을 부여하거나 원래의

색을 복원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식용색소황색제4호,

카라멜 색소 등소스류, 떡

보존료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소르빈산, 안식향산

등간장, 딸기쨈

유화제

물과 기름처럼 본래 섞이지 않은

물질을 균질하게 혼합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것

글리세린지방산에스

테르,

카제인나트륨등

아이스크림,

마요네즈

식품첨가물이란?

l 정의 : (식품위생법 제2조) 식품을 제조·가공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넣거나 섞는

물질 또는 식품을 적시는 등에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이 경우 기구·용기·포장을 살균·소독

하는데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식품으로 옮아갈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l 식품첨가물 지정절차 : 식품첨가물은 식품을 제조·가공·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 침윤, 기

타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사람의 건강을 해 할 우려가 없으며, 이를 사용함으로서 소

비자에게 이익을 주는 것으로서 안전성, 사용의 기술적 필요성 및 정당성 등의 사항에 대하

여 과학적인 평가를 수행한다.

l 국내현황

우리나라는 1961년에 식품과 식품첨가물 규제의 근거가 되는 식품 위생법이 처음 제정되었고

당시 217 품목의 화학적 합성첨가물이 지정되었다. 2014년 기준 국내에서 사용이 허가된 종류

는 합성첨가물, 천연첨가물, 혼합제제들이 지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와 양은 다양화 되

어가고 있다. 국내 식품첨가물 공전에 식품첨가물은 602종이 등재되어 있다.

(표1) 식품첨가물을 사용 목적에 따른 대표 식품첨가물 분류

( 출처 : 식품안전의약처 홈페이지- 홍보자료 )

Page 2: 식품첨가물

품목별2011

생산량 (ton) 출하액 (천원) 수출액 ($)

1위 수산화나트륨액 / 가성소오다액 2,220,225 205,535,488 -

2위 염산 723,920 26,086,078 864,997

3위 질소 428,913 6,482,007 -

4위 차아염소산나트륨(수) 348,055 45,348,704 -

5위 이산화탄소 248,412 23,538,049 1,349,440

6위 혼합제제 39,011 214,727,525 54,369,182

7위 산소 37,159 3,965 -

8위 D-소르비톨액 37,134 14,047,627 595,608

9위 수산화나트륨 / 가성소오다 35,508 26,702,921 -

10위 쌀겨왁스 28,217 14,952,714 15,997,303

11위 L-글루타민산나트륨 27,957 45,856,593 21,592,731

12위 황산 27,246 2,146,567 -

13위 프로필렌글리콜 25,200 8,000,000 35,836,867

14위 탄산칼륨(무수) 20,429 2,380,066 16,185,44015위 기구등 살균소독제(염소계) 중 차아염소산나트륨 18,881 7,026,425 49,634

16위 빙초산 18,735 8,292,221 1,058,066

17위 수산화칼슘 17,272 2,146,471 -

18위 인산 14,640 7,834,402 -

○ 통계표ID TX_14503_B074

○ 통계표명 생산량기준 식품첨가물 순위(2011)

○ 수록기간 년 2011 ~ 2011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및식품첨가물생산실적

2012년 2013년 증/감

생산량 (톤) 4,568,662 5,584,243 + 1,015,581

생산액 (천원) 1,376,954,808 1,576,391,467 + 199,436,659

식품첨가물은 식품 섭취 시 여러 경로를 통한 일생동안 섭취하게 된다. 식품 산업의 발전 및

수입식품 증가로 새로운 식품첨가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국민들은 식품첨가물에 대한

노출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국민의 식생활 양식이 변화하면서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식품첨가물의 생산액은

2005년부터 2012년까지 2배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식품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표2) 2012, 2013년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출처 : 통계청e-나라지표 )

(표3) 2011년 생산량기준 식품첨가물 순위 ( 출처 : 통계청 e-나라지표 )

Page 3: 식품첨가물

19위 D-소르비톨 12,981 18,056,121 874,939

20위 이산화규소 11,106 1,194,066 1,589,501

21위 국 9,910 21,366,564 -

22위 수산화칼륨 9,512 3,565,098 4,464,069

23위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8,809 66,359,999 938,695

24위 제이인산칼륨 6,214 7,435,284 27,000

25위 산성백토 6,154 2,442,895 -

26위 초산전분 5,272 384,929 2,296,703

27위 글리세린 5,229 1,359,457 -

28위 퍼라이트 4,815 3,329,681 -

29위 카라멜(색소) 4,787 6,363,741 67,358

30위 탄산칼슘 4,594 1,572,431 6,389

31위 말티톨시럽 4,313 5,034,616 -

32위 염화칼슘 4,097 1,785,497 -

33위 젤라틴 3,766 13,495,716 12,192,714

34위 이온교환수지 3,602 8,805,886 4,014,235

35위 L-페닐알라닌 3,562 - 23,803,102

36위 효모 3,265 7,495,108 -

37위 아세틸아디핀산이전분 3,092 6,071,487 -

38위 DL-사과산 3,063 2,517,773 3,187,182

39위 기구등 살균소독제(과산화수소계) 2,279 3,722,582 -

40위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2,242 5,812,338 741,645

41위 합성팽창제 1,750 4,421,022 4,635

42위 산화전분 1,747 1,754,794 58,014

43위 면류첨가알칼리제 1,747 2,097,696 744,816

44위 폴리글리시톨시럽 1,670 1,524,771 -

45위 활성탄 1,570 3,465,458 22,019

46위 기구등 살균소독제(염소계) 중 치아염소산수 1,564 1,825,094 -

47위 카라기난 1,478 6,752,843 12,353,446

48위 피로인산칼륨 1,418 1,793,829 37,126

49위 무수아황산 / 이산화황 1,386 632,575 -

50위 폴리인산칼륨 1,310 1,382,748 -

○ 통계표ID TX_14503_B073

○ 통계표명 생산량기준식품첨가물 순위(2010)

○ 수록기간 년 2010 ~ 2010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및식품첨가물생산실적

(표4) 2010년 생산량기준 식품첨가물 순위 ( 통계청 e-나라지표 )

Page 4: 식품첨가물

품목별2010

생산량 (ton) 출하액 (천원) 수출액 ($)

1위 수산화나트륨액 / 가성소오다액 2,353,669 152,310,330 -

2위 염산 708,443 25,016,753 -

3위 질소 476,045 8,146,384 -

4위 차아염소산나트륨(수) 351,573 51,317,945 -

5위 이산화탄소 295,044 18,880,899 97,341

6위 산소 77,129 30,462 -

7위 혼합제제 43,578 197,128,885 43,184,028

8위 수산화칼슘 28,105 2,595,908 -

9위 황산 25,716 1,353,600 -

10위 L-글루타민산나트륨 25,560 40,937,665 15,827,218

11위 프로필렌글리콜 25,000 6,200,000 30,270,008

12위 D-소르비톨액 18,850 12,162,609 509,401

13위 수산화나트륨 / 가성소오다 17,129 9,832,179 -14위 기구등 살균소독제(염소계) 중 차아염소산나트륨 14,416 6,423,715 -

15위 빙초산 14,041 5,794,941 1,564,280

16위 D-소르비톨 13,546 15,155,354 1,026,612

17위 탄산칼륨(무수) 10,825 2,525,317 7,206,145

18위 인산 9,979 1,695,803 -

19위 이산화규소 8,908 1,337,621 1,064,557

20위 산성백토 8,158 3,190,808 51,601

21위 수산화칼륨 7,880 3,552,161 3,065,141

22위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7,242 80,707,538 1,262,415

23위 탄산칼슘 6,384 2,393,651 -

24위 천연착향료 5,459 14,332,840 90,664

25위 퍼라이트 5,148 2,153,621 -

26위 카라멜(색소) 4,993 6,431,146 -

27위 초산전분 4,542 312,671 1,674,372

28위 말티톨시럽 3,998 4,114,642 -

29위 염화칼슘 3,837 1,385,670 52,300

30위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3,817 9,944,807 1,359,483

31위 이온교환수지 3,567 9,070,373 4,126,337

32위 제이인산칼륨 3,515 8,435,055 143,817

33위 젤라틴 3,445 14,236,647 9,398,780

34위 효모 3,329 7,995,676 -

35위 국 3,162 6,255,803 -

36위 활성탄 2,905 4,998,871 -

37위 DL-사과산 2,775 2,427,933 2,696,139

Page 5: 식품첨가물

38위 글리세린 2,321 1,370,719 -

39위 기구등 살균소독제(과산화수소계) 2,308 3,085,926 -

40위 면류첨가알칼리제 2,275 3,110,540 644,158

41위 폴리덱스트로스 2,274 3,645,717 225,728

42위 아세틸아디핀산이전분 2,127 3,798,006 1,913

43위 합성팽창제 1,642 3,974,269 277

44위 무수아황산/이산화황 1,610 42,552 -

45위 산화전분 1,517 1,443,593 36,086

46위 폴리글리시톨시럽 1,507 1,468,933 -

47위 카라기난 1,295 5,651,829 9,781,132

48위 헥산 1,260 1,915,200 -

49위 삭카린나트륨제제 1,235 4,844,277 7,808

50위 푸마르산 1,083 236,140 963,717

그러나 식약처 등의 소비자 인식조사에서도 식품첨가물이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

중의 하나로 꼽힐 정도로 국민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안전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히 남아있다

(표5) 식품안전 불안요인 (단위: %)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형태조사 통계보고서, 2013 가공

주 : 표본수 5,194명 20세 이상 성인 남녀 조사기간 조사기관 ㈜한국리서치)

식품첨가물은 인체에 안전한 첨가물만 허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체에 안전하지 않더라도 저 농

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면 사용이 가능하고, 아주 극미한 양이더라도 알레르기 등의 이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 어린이나 고령자등 민감 계층을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며, 전체 국

민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객관적인 위해분석을 통한 정확한 정보 전달이 시급하다.

Page 6: 식품첨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