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11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종류형 펀드입니다. 자산운용보고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 자산운용회사가 작성하며, 투자자가 가입한 상품의 특정기간(3개월)동안의 자산운용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여 제공하는 보고서입니다.

Transcript of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Page 1: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종류형 펀드입니다.

자산운용보고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 자산운용회사가 작성하며,투자자가 가입한 상품의 특정기간(3개월)동안의 자산운용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여 제공하는 보고서입니다.

Page 2: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1

Page 3: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KOSPI지수 32% KIS채권지수 50% 콜(KRW) 18%비교지수(BM)

17시이전 : 제 03영업일 기준가격으로 제 04영업일 환매,17시이후 : 제 04영업일 기준가격으로 제 05영업일 환매환매방법

총 0.800%(판매 0.535%, 운용 0.230%, 기타 0.035%)신탁보수(연)1조2068억원운용규모2006.01.02설정일

국내 채권에 주로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면서 배당성향이 높은 주식에 투자합니다.

%하는 성과입니다.-0.98%P를 하회

)에 비해-0.16이는 비교지수(BM)의 수익률(

의 운용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1.15)동안3개월 ( 2019.07.02~2019.10.01

-0.16-1.15 %2019.07.02~2019.10.01펀드는 지난

5년3년1년6개월3개월구분

1.66%1.11%1.57%-2.09%-0.98%BM대비

12.36%5.38%-0.31%0.25%-0.16%BM

14.02%6.49%1.26%-1.84%-1.15%펀드

2019년2018년2017년2016년구분

-0.19%5.32%-2.79%-2.90%BM대비

2.88%-3.21%7.19%2.37%BM

2.69%2.11%4.40%-0.53%펀드

※ 펀드의 최초설정일은 2006년 01월 02일로 운용기간이 짧아 수익률이 없는 경우 "-" 로 표시하였습니다.

※ 수익률의 성과는 세전수익률이며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를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 출처 : KB자산운용 StarM

펀드가 주로 투자하는 자산유형은 채권(62.42%), 주식(36.55%), 어음(12.05%) 등입니다.주요투자종목은 휠라코리아(6.66%), 효성(6.16%), 메리츠금융지주(5.55%) 등입니다.

※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기준임. 기준일 : 2019.10.01

▶ 수익률은 클래스 기준 입니다. 클래스 펀드는 각 클래스의 보수·수수료 차이로 인해 운용실적이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 펀드에 대한 제사한 정보는 투자설명서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Page 4: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금융투자협회 펀드코드펀드명칭

펀드의 기본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3627KB 마이플랜 배당주 증권 모투자신탁[주식]AH039KB 마이플랜 장기 국공채 플러스 증권 모투자신탁(채권)53628KB 연금플랜 국내채권 증권 모투자신탁[채권]A9582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 C 클래스BU865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 C-EA9583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 C-F 클래스53357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BY353KB스타 단기채 증권 모투자신탁(채권)

※ 펀드의 자세한 판매회사는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 [http://dis.kofia.or.kr], 자산운용회사 홈페이지 [http://www.kbam.c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 투자신탁은 퇴직연금 가입자만을 위한 투자신탁으로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 2조 제 7호에 규정한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투자자를 위한 투자신탁입니다.

이 투자신탁은 퇴직연금 가입자만을 위한 펀드로서 국내 채권에 주로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면서 배당성향이 높은 주식에의 투자를 병행합니다. 그러나, 이 투자신탁의 투자목적이 반드시 달성된다는 보장은 없으며, 이 투자신탁과 관련된 어떠한 당사자도 투자원금의 보장 또는 투자목적의 달성을 보장하지 아니합니다.

상품의 특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적용법률국민은행일반사무관리회사

국민은행 미래에셋대우증권 삼성생명 등판매회사우리은행펀드재산보관회사(신탁업자)

KB자산운용자산운용회사종료일이 따로 없습니다.존속기간

(2019.07.02~2019.10.01)운용기간2006-01-02최초설정일

5등급(낮은위험)위험등급[투자신탁],[증권펀드](혼합채권형),추가형,개방형,종류형,모자형

펀드의 종류

(단위: 원,%)

증감률당기말전기말항목펀드명칭

펀드의 당기말과 전기말 순자산 총액 및 기준가격 증감을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3.24%1,295,188,896,6041,338,524,676,565자산총액131.77%1,342,184,475579,098,581부채총액

-3.30%1,293,846,712,1291,337,945,577,984순자산총액-1.15%1,072.091,084.53기준가격

종류(Class)별 기준가격 현황-1.28%1,039.691,053.16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채권혼합) C-E 클래스-1.35%1,056.871,071.29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채권혼합) C 클래스-1.22%1,069.431,082.64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채권혼합) C-F 클래스

※ 기준가격이란 투자자가 펀드를 입금(매입), 출금(환매)하는 경우 분배금 (상환금포함) 수령시에 적용되는 가격으로 펀드의 순자산총액을 발행된 수익증권 총좌수로 나눈 가격

향후 운용계획시장 현황 및 운용경과

최근 시장 현황 및 향후 펀드 운용 계획에 대한 매니저의 코멘트 입니다.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기준가격

Page 5: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시장은 글로벌 무역 분쟁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미국과중국의 타협, 그리고 각 지역 중앙은행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및 정부의 재정정책에 지속적으로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부진은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 확산에 따른 매크로 흐름 변화의 초기 단계 현상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글로벌 및 국내 경기의 지속적인 둔화가 예상됩니다. 단기간의 불확실성 해소에 베팅하기 보다는 보수적인 가정 하에서의 대응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시장 보다는 기업에 집중하는 전략이 지속적으로 유효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회복이 둔화됨에도 불구하고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고 기업 자체의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간의 차별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때문입니다. 또한 이와 같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서 주주환원정책에 대한시장의 요구는 계속해서 불거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는 기업의 성장률둔화와 자본시장의 선진화에 맞춰 지속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이며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 증대와 주주환원정책 강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주주가치를 증대시키는 기업의 비중을 선제적으로 늘리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보입니다. 동 펀드는 펀더멘털 개선보다 빠르게 반등한 시장과 악재 대비호재에 우호적으로 급변한 투자심리에 대한 추격 매수를 지양하고 1) 기업가치 대비 저평가된 종목, 2) 높은 자산가치와 배당수익률로 하방을 지지하고 있는 종목, 그리고 3) 뛰어난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외부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구조적인 성장성을 갖춘 종목에 대한 비중을 확대하고 신규 종목 발굴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보유 기업에 재무구조 개선, 배당 증대,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요구를 지속하도록 하겠습니다.

분기 초 증시는 글로벌 무역 분쟁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감으로 급락하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분기 말로 갈수록 경기 부진에 대한 연준의 선제적, 예방적 금리인하 및 완화적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었습니다. 이는 신흥국 환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나친 달러 강세가제한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미중 무역협상 또한 스몰딜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며 매크로 불확실성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조성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분기 말에는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 현상 재차 부각되며 낙폭을 소폭 만회하였습니다. 코스피는 2.3% 하락하였고, 코스닥은 9.2% 하락하며 글로벌 매크로 환경 개선 수혜로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 반도체 업종의호조로 코스피가 상대적으로 양호했습니다. 동 펀드는 1.14% 하락하며0.16% 하락한 벤치마크 대비 0.98% 언더퍼폼 하였습니다. 개별 종목의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주가가 하락한 것이 수익률 하락의 원인입니다. 유행 하락 사이클 우려로 하락한 휠라코리아, 자회사 주가 하락으로 동반 하락한 메리츠금융지주, 아시아나항공 인수전 참여 우려로 하락한 HDC현대산업개발 등이 부정적인 기여를 하였습니다. 섹터 측면에서는 업황 회복 기대감이 부각된 반도체 업종의 언더웨잇이 부정적인 기여를 하였습니다. 반면 신약 가치가 부각된 메지온, 저평가 매력이 부각된 효성 등이 긍정적인 기여를 하였습니다. IT 대형주의 반등과 함께 펀드의 언더퍼폼이컸던 분기였습니다. 동 펀드는 IT 업종의 바닥 확인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회복의 속도와 정도에 대해 불확실한 측면이 있어 가격을 고려해 진입시점을 판단할 예정이며, 별개로 반도체 장비, 소재 업종 중 투자철학에부합하는 종목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2014.10.02~2019.10.01

2016.10.02~2019.10.01

2017.10.02~2019.10.01

2018.10.02~2019.10.01

2019.01.02~2019.10.01

2019.04.02~2019.10.01

2019.07.02~2019.10.01

최근 5년최근 3년최근 2년최근 1년최근9개월최근6개월최근3개월

(단위: %)각 기간별 펀드와 비교지수(BM)의 수익률을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14.026.496.771.262.68-1.84-1.15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12.365.380.57-0.312.870.25-0.16비교지수1.661.116.201.57-0.19-2.09-0.98비교지수대비 성과

종류(Class)별 현황

--5.650.732.28-2.10-1.28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채권혼합) C-E 클래스

--5.071.04-0.59-2.35-1.12비교지수대비 성과

9.583.985.090.462.08-2.23-1.35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채권혼합) C 클래스

-2.79-1.404.520.77-0.80-2.48-1.18비교지수대비 성과

12.515.696.150.962.46-1.98-1.22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채권혼합) C-F 클래스

0.140.315.571.28-0.41-2.23-1.06비교지수대비 성과

비교지수) KOSPI지수 32% KIS채권지수 50% 콜(KRW) 18%

※ 위 투자실적은 과거 성과를 나타낼 뿐 미래의 운용성과를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KOSPI지수: 1980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하여 증권시장에 상장된 전 종목을 대상으로 산출되는 한국의 대표적인 지수- KIS채권지수: KIS채권평가에서 제공하는 채권 종합지수로 채권투자에서 발생한 총수익(자본손익+이자수익+재투자수익)을 지수화한 것

합계및 예금기타실물자산장외장내집합투자증권어음채권주식

손익단기대출 특별자산파생상품증권

(단위: 백만원)각 기간별 펀드와 비교지수(BM)의 수익률을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10,135-25385-----816682813,244-24,724전기-16,03166196----127437168,164-25,342당기

설정일펀드명칭

2006.01.02

2017.08.11

2006.01.02

2012.04.27

기타부동산구분

Page 6: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펀드(자펀드)가 투자하고 있는 각각의 모펀드별 비중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펀드가 투자하고 있는 모펀드 투자비중

주) 위의 도표 및 그림은 현재 투자자가 가입하고 있는 자펀드만을 대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펀드가 각 모펀드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나타냅니다.

(단위: %,원)

합계(비중)KRW(비중)통화별 구분

1,295,188.901,295,188.90자산총액

-175,127.53(-13.52)

-175,127.53(-13.52)

기타

31,411.63(2.43)31,411.63(2.43)단기대출 및 예금--기타--실물자산--부동산--장외

916.64(0.07)916.64(0.07)장내--집합투자증권

156,109.60(12.05)-어음

808,465.30(62.42)808,465.30

(62.42)채권

473,413.27(36.55)473,413.27

(36.55)주식

( ) 구성 비중 : 위의 자산구성현황은 투자자가 가입한 자펀드의 실제 자산구성내역이 아니고,투자자의 이해를 돕기위해, 모펀드의 자산구성 내역과 해당 자집합투자기구가 각 모집합투자기구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율 등을 감안하여 산출한 것입니다.

(단위: 백만원,%)

증감(당기-전기)전기당기자산

(단위: %)

기타

단기대출 및 예금

특별자산

부동산

파생상품

집합투자상품

어음

채권

주식

펀드자산 총액에서 상위 10종목, 자산총액(파생상품의 경우 위험평가액)의 5% 초과 보유종목 및 발행주식 총수의 1% 초과 종목의보유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보다 상세한 투자대상자산 내역은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사이트의 펀드 분기영업보고서 및 결산보고서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단, 협회 전자공시사이트에서 조회한 분기영업보고서 및 결산보고서는 본 자산운용보고서와 작성기준일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특별자산

파생상품

증권

Page 7: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보유비율평가액업종명(단위: 주,백만원,%)

10.4949,654금융업1

8.9842,526기타(미분류)2

8.6340,838유통업3

8.4640,050화학4

6.8732,535서비스업5

6.3129,872소프트웨어6

5.9328,085건설업7

5.6626,800전기,전자8

5.4325,695디지털컨텐츠9

5.0523,906교육10

28.19133,451기타11

100.00473,413합계주) 보유비율 = 평가액/총평가액×100│업종기준은 코스콤 기준

* 본 그래프는 기준일 현재 펀드에 편입되어 있는 주식의 업종별 비율을 나타냅니다.

비고비중평가액보유수량종목명(단위: 주,백만원,%)

1.15%2.4431,538537,269휠라코리아2.11%2.2529,164340,306효성1.92%2.0326,2682,052,199메리츠금융지주6.50%1.6120,809311,512골프존5.11%1.5920,5449,853,316한국토지신탁2.21%1.5820,493216,861컴투스

1.5620,228512,100삼성전자우1.09%1.4018,080949,068메리츠화재5.82%1.3918,055525,607메가스터디교육

1.2015,5962,548,325쌍용양회

비고비중신용등급보증기관상환일발행일평가금액액면가액종목명(단위: 백만원,%)

2.81RF2031-12-102011-12-1036,35028,152국고채권04000-3112(11-7)2.47RF2033-12-102013-12-1031,98724,610국고채권03750-3312(13-8)2.05RF2048-03-102018-03-1026,52620,877국고02625-4803(18-2)1.48RF2028-06-102018-06-1019,10917,383국고02625-2806(18-4)1.30RF2024-09-102019-09-1016,77716,763국고01375-2409(19-5)1.01A+2022-08-092019-08-0913,03313,072교보증권7-10.91AA-2024-04-192019-04-1911,77511,534SK네트웍스182-20.90A02019-11-022017-11-0211,61811,534대신에프앤아이210.89AAA2021-03-042019-09-0411,53511,534산금19신이0106-0904-10.87RF2044-12-102014-12-1011,2998,843국고채권02750-4412(14-7)

비고비중신용등급보증기관상환일발행일평가금액액면가액종목명(단위: 백만원,%)

CD0.59AAA20191121201811217,6737,689신한은행 C DCD0.59AAA20200827201908297,5797,689KEB하나은행 C D어음0.29A120200610201906123,8023,845비케이패밀리제4차 기업어음어음0.29A120200610201906123,8023,845비케이패밀리제4차 기업어음어음0.29A120200610201906123,8023,845비케이패밀리제4차 기업어음어음0.29A120200610201906123,8023,845비케이패밀리제4차 기업어음어음0.29A120200612201906143,8023,845비케이패밀리제4차 기업어음어음0.29A120200707201907093,7983,845리치월드제13차 기업어음어음0.29A120200707201907093,7983,845리치월드제13차 기업어음

Page 8: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어음0.29A120200723201907253,7953,845리치월드제13차 기업어음

비고미결제약정금액계약수매수/매도종목명(단위: 주,백만원,%)

11,81089매도10년국채 F 201912917-선물위탁증거금(국내)4544매수3년국채 F 201912

비고만기일금리금액취득일자금융기관종류(단위: 백만원,%)

1.1531412-우리은행예금(은대)주) 2019.10.01 기준

비고금액종류(단위: 백만원)

4,060미수입금436미수배당금

운용규모(백만원)펀드(개)운용규모(백만원)펀드(개)

펀드의 운용을 담당하는 펀드매니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109000716881,24822,847,83119책임 운용역2014.01.28최웅필

21090009612,681,147133,082,18525책임 운용역2018.05.24이종혁210900146820,00012,930,86823부책임 운용역2014.01.28정용현211000023202,884,28322부책임 운용역2019.03.22이석호

주) 성명이 굵은 글씨로 표시된 것이 책임운용전문인력이며, 책임운용전문이란 운용전문인력중 투자전략 수립 및 투자의사 결정 등에 있어 주도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자를 말합니다.

※ 펀드의 운용전문인력 변경내역 등은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사이트의 수시공시 등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주소 http://dis.kofia.or.kr)단, 협회 전자공시사이트가 제공하는 정보와 본 자산 운용보고서가 제공하는 정보의 작성기준일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책임운용전문인력기간

최근 3년 동안의 책임 펀드매니저 변경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동훈2007.11.12 ~ 2017.12.31송성엽2012.01.01 ~ 2014.01.27최웅필2014.01.28 ~ 현재문동훈2018.01.01 ~ 2018.05.23이종혁2018.05.24 ~ 현재

주) 2019.10 기준 최근 3년간의 운용전문인력 변경 내역입니다.

협회등록번호직위운용개시일성명

성과보수가 있는 펀드 및 일임계약 운용 규모

운용중인 다른 펀드 현황

Page 9: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비율(%)*금액비율(%)*금액

당기전기(단위: 백만원,%)

펀드에서 부담하는 보수, 기타비용, 매매중개수수료 및 증권거래세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230755.0100.230771.997자산운용회사0.26716.5980.26716.093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 C-E0.5341706.5080.5341744.891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 C 클래스0.0300.9230.0301.043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 C-F 클래스0.02065.6530.02067.130펀드재산보관회사(신탁업자)0.01549.2400.01550.348일반사무관리회사1.0962593.9321.0962651.501보수합계0.00723.6790.00722.923기타비용0.039127.0040.049165.631단순매매.중개 수수료0.01032.2020.02068.341조사분석업무 등 서비스 수수료0.048159.2060.070233.972합계0.052169.6050.099331.812증권거래세

※ 펀드의 순자산총액(평잔)대비비율. 단, 4대보수(자산운용회사, 판매회사, 신탁업자, 일반사무관리회사)는 약관상 연보수율.※ 기타비용이란 회계감사비용, 증권 등의 예탁 및 결제비용 등 펀드에서 경상적 . 반복적으로 지출된 비용으로서 매매 . 중개 수수료는 제외한 것입니다.

합계(A+B)매매·중개

수수료비율(B)총보수·비용

비율(A)합계(A+B)

매매·중개수수료비율(B)

총보수·비용비율(A)

상위펀드 비용 합산해당 펀드(단위: 연환산,%)

펀드에서 부담하는 보수, 기타비용 및 매매중개수수료 등을 연간 단위로 환산한 수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1690.1680.0010.1690.1680.001전기0.1160.1150.0010.1160.1150.001당기0.0200.0120.0080.0200.0120.008전기0.0190.0110.0080.0190.0110.008당기0.0150.0080.0070.0150.0080.007전기0.0160.0090.0070.0160.0090.007당기0.0170.0080.0090.0170.0080.009전기0.0180.0090.0090.0180.0090.009당기0.0760.0700.0070.002-0.002전기0.0560.0480.0070.002-0.002당기

종류(Class)별 총보수비용 비율 현황0.8770.0700.8070.800-0.800전기0.8560.0490.8070.800-0.800당기0.6070.0680.5390.532-0.532전기0.5880.0480.5390.532-0.532당기0.3720.0700.3020.295-0.295전기0.3510.0480.3020.295-0.295당기

주1) 총보수, 비용비율(Total Expense Ratio)이란 운용보수 등 펀드에서 부담하는 보수와 기타비용총액을 순자산 연평잔액(보수·비용 차감전 기준)으로 나눈 비율로서 해당 운용기간 중 투자자가 부담한 총보수·비용수준을 나타냅니다.주2) 매매·중개수수료 비율이란 매매·중개수수료를 순자산 연평잔액(보수·비용 차감전 기준)으로 나눈 비율로서 해당 운용기간 중 투자자가 부담한 매매·중개수수료의 수준을 나타냅니다.주3) 모자형의 경우 모펀드에서 발생한 비용을 자펀드가 차지하는 비율대로 안분하여 합산한 수치입니다.

구분펀드명칭

판매회사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매매.중개 수수료

구분펀드명칭

KB 마이플랜 배당주 증권 모투자신탁[주식]

KB 마이플랜 장기 국공채 플러스 증권 모투자신탁(채권)

KB 연금플랜 국내채권 증권 모투자신탁[채권]

KB스타 단기채 증권 모투자신탁(채권)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 C 클래스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 C-E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 C-F 클래스

Page 10: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

※ 매매회전율이 클수록 거래비용 등 투자자의 비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매회전율은 운용스타일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단위: 주,백만원,%)

연환산해당기간금액수량금액수량

매매회전율㈜매도매수

펀드 운용기간 동안의 매매량, 매매금액, 매매회전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매매회전율이 높다고해서 비용을 유발하는 펀드라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가입하신 펀드의 스타일, 규모, 시장상황에 맞춰 비교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펀드 명칭

※ 모자형의 경우, 모펀드에서 발생한 매매주식규모 및 회전율을 자펀드가 보유한 모펀드 수익증권 비중으로 안분한 결과입니다.

58.1314.6567,9063,908,74386,3723,441,712KB 마이플랜 배당주 증권 모투자신탁주) 해당운용기간 중 매도한 주식가액의 총액을 해당 운용기간 중 보유한 주식의 평균가액으로 나눈 비율

(단위: %)펀드의 최근 3분기 별 매매회전율 추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9.04.02~2019.07.01

2019.01.02~2019.04.01

2018.10.02~2019.01.01펀드 명칭

23.8324.2418.66KB 마이플랜 배당주 증권 모투자신탁[주

주) 매매회전율이 높을 경우 매매거래수수료(0.1%내외) 및 증권거래세(매도시0.3%) 발생으로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게 되는 펀드 비용이 증가합니다.

* 고객님이 가입하신 펀드는 모자형 구조로써 이 자산운용보고서의 자산구성현황, 보유종목, 보수 및 비용 등의 정보는 고객님이 가입한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가 투자하고 있는 비율에 따라 안분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고객님이 가입하신 펀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습니다.

* 이 보고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해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의 자산운용회사인 [KB자산운용]이 작성하여 펀드재산보관회사(신탁업자)인 [우리은행]의 확인을 받아 판매회사인 [국민은행 미래에셋대우증권 삼성생명 등]을(를) 통해 투자자에게 제공됩니다.

KB자산운용 http://www.kbam.co.kr금융투자협회 http://dis.kofia.or.kr

Page 11: 2019.07.02~2019.10 - Nonghyup · 2020-02-14 · 2019.07.02~2019.10.01 이 상품은 [혼합채권형 펀드]로서, 추가 입금이 가능한 추가형이고, 다양한 판매보수의

KB 퇴직연금 배당40 증권 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