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21
국문요약 창원국가산업단지는 1974년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에 의한 세계적인 첨단기계 산업단지 조성을 목표로 건설된 이래, 40여 년간 한국 기계산업의 메카로서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 여하여 왔다. 최근 들어, 창원국가산단은 기술집약적 연구개발 기능이 계속 약화되어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도 미 흡한 실정이다. 창원국가산단의 주력산업은 기계관련 산업들인데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한국의 기 계산업 국제경쟁력은 낮은 수준에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었다. 그래서 창원국가산단 소재 기 업들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 다른 지역의 기업들과 경쟁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원국가산단의 주력 산업들의 경쟁력은 국내 다른 지역 기업에 비해서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기타기계 장비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차 금속제조업은 창원국가산단 기업과 전국 주요 기업의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동일하였다. 그러나 기타 운송장 비은 창원소재기업의 유동비율과 자기자본회전율은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동일하 나, 매출액증가율과 자기자본이자율은 5%의 유의수준하에서 전국 주요 기업보다 낮은 경쟁력 수 준에 있었다. 그래서 창원국가산단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세 가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 다. 첫째, 강소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예비 강소기업제도를 도입하고, 이 기업들이 필요 로 하는 맞춤형 인력을 공급하며, 적극적인 금융지원 및 제도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기계산업 서비스화 촉진을 통하여 수익성과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 로, 첨단기계산업 융복합화를 성공적으로 조성하며, 지원기반시설의 확충방안을 모색해야만 한 다. | 주제어 | 창원국가산단, 기업경쟁력, 경영성과, 강소 중소기업 * **

Transcript of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Page 1: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창원국가산단 소재 기업경쟁력 평가 및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

노 상 환*

국문요약

창원국가산업단지는 1974년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에 의한 세계적인 첨단기계 산업단지 조성을

목표로 건설된 이래, 40여 년간 한국 기계산업의 메카로서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

여하여 왔다. 최근 들어, 창원국가산단은 기술집약적 연구개발 기능이 계속 약화되어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도 미

흡한 실정이다. 창원국가산단의 주력산업은 기계관련 산업들인데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한국의 기

계산업 국제경쟁력은 낮은 수준에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었다. 그래서 창원국가산단 소재 기

업들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 다른 지역의 기업들과 경쟁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원국가산단의 주력 산업들의 경쟁력은 국내 다른 지역 기업에 비해서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기타기계 장비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차 금속제조업은

창원국가산단 기업과 전국 주요 기업의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동일하였다. 그러나 기타 운송장

비은 창원소재기업의 유동비율과 자기자본회전율은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동일하

나, 매출액증가율과 자기자본이자율은 5%의 유의수준하에서 전국 주요 기업보다 낮은 경쟁력 수

준에 있었다. 그래서 창원국가산단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세 가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

다. 첫째, 강소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예비 강소기업제도를 도입하고, 이 기업들이 필요

로 하는 맞춤형 인력을 공급하며, 적극적인 금융지원 및 제도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기계산업 서비스화 촉진을 통하여 수익성과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

로, 첨단기계산업 융복합화를 성공적으로 조성하며, 지원․기반시설의 확충방안을 모색해야만 한

다.

| 주제어 | 창원국가산단, 기업경쟁력, 경영성과, 강소 중소기업

Ⅰ. 서 론

국가산업단지는 기간산업 및 첨단과학기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국토해양부 장관이 개발촉진

이 필요한 낙후지역이나 기간산업 및 첨단산업 입지로 양호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하여 왔다.**

* 경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제금융학과 교수([email protected])** 한국산업단지공단(2012) 참조

Page 2: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창원국가산업단지는 1974년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에 의한 세계적인 첨단기계 산업단지 조성을 목

표로 건설된 이래, 40여 년간 한국 기계산업의 메카로서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

하여 왔다. 그러나 1990년대 기계연구원, 삼성테크윈 등 정부 및 대기업 연구기능이 수도권 이전

하여 기술집약적 연구개발 여건이 계속 약화되었고, 중소기업의 기술 및 연구개발 역량이 미흡한

실정이다.

기계산업은 주력 제조업의 제품 생산을 위한 양산용 공정 및 장비를 공급하는 산업으로 오랜

기간 기술 축적을 필요로 하는 산업으로, 자본집약적 산업인 동시에 고용창출형 산업으로 전후방

연관효과가 높아,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이다. 그리고 특정

기술을 확보하고 나면 장기간 시장지배가 가능하여, 기계산업 경쟁력이 국가 브랜드 가치와 비례

하는 경향을 가지는 산업이다.* 그래서 경상남도와 창원시, 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권 본부는 산

업집적활성화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이하‘산집법’)을 근거로 2개 분야 즉, 기술고도화와 환경고도화

에서 8개 사업계획을 수립하였다. 기술고도화 사업으로는 융복합집적단지를 조성하고, 첨단산업집

적화 단지를 조성하며, 기업 연구개발을 위한 대기업 R&D센터 건립사업과 중소기업의 기술고도

화를 지원하기 위한 기계ㆍ소재융합 기술고도화사업과 산단 내 스마트그리드 구축사업 등이고,

환경고도화 사업으로는 남천문화산책거리 조성사업과, 행복산단 진흥사업이다.**

창원국가산단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주력산업인 기계산업의 경쟁력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지난 10여년 동안 창원국가산

단은 구조고도화를 통해서 업종첨단화, 혁신클러스터 구축, 단지 내 정보화기반, 산업집적기반시

설을 확충, 첨단기계 전자공업이 결합된 메카트로닉스 단지로 발전을 유도하고, 환경친화적인 산

업시설 유치로 쾌적한 산업단지 건설을 추구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단지 내 지원 및 기반시설

은 노후화되고,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혁신역량 부족으로 대기업에의 종속도는 심화되어 실질

적인 성과는 미미하였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을 평가한 후

발전방향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II절에서는 창원국가산단의 일반적인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창원국가산단의 경

쟁력 분석을 위해,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선행연구를 고찰한다. III절에서는 창원 소재 기업들의

경영성과를 타 지역 소재 기업들과 비교함으로서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을 비교 분석하고, IV절

에서는 III절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 확충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한다. 마

지막으로, 요약 및 결론을 정리한다.

Ⅱ. 창원국가산단의 현황과 선행연구

1. 창원국가산단의 현황과 문제점

창원국가산단은 제1단지, 제2단지, 유통단지, 완암단지 안민단지 차룡단지 등 12개 단지로 이루

어져 있으며, 관리면적은 25,302천m으로 산업시설은 17,242천m로 약 68%이며 녹지는 9%에 달

한다. 그리고 창원국가산단의 배후에는 3,062개사의 제조업체에서 94,608명의 근로자들이 생산에

참여하고 있다. 창원국가산단의 지원기관은 지방자치단체, 산업활동 지원기관, 연구시설, 고등 교

* 이상천(2010) 참조** 창원시(2013) 참조

Page 3: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구 분 계 대기업 중소기업

기업체개사 2,153 48 2,105

비율(%) 100 2.0 98.0

고용인원수명 91,897 47,552 44,345

비율(%) 100 51.7 48.3

생산액억원 536,063 38,338 10,853

비율(%) 100 78.0 22.0

수출액백만불 23,967 2,107 241

비율(%) 100 89.7 10.3

구분 생산 수출 고용 입주업체 가동업체 가동율 업체당

육기관 및 산업활동 교육기관 등이 있는데, 지방자치단체로 광역지원기관인 경상남도와 기초지원

기관은 창원시가 있고, 산업활동 지원기관은 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권본부, 경남지방중소기업청,

부상지방노동청 창원지청, 중소기업진흥공단, 경남 TP 등이 있으며, 연구시설로는 한국전기연구

원과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가 있다. 그리고 고등 교육기관으로는 경남대학교와 창원대

학교 등이 있으며, 산업활동 교육기관으로는 한국폴리텍 VII 대학 등이 있다.*

창원국가산단 입주조건은 산집법의 시행령 제6조의 자격을 갖추고, 기존단지에는 한국산업표준

분류 중분류상 24∼31에 속하는 업종이 입주할 수 있고, 차룡단지와 월림임대단지에는 한국산업

표준분류상 전 제조업이 입주할 수 있다.** 입주기업에는 취득세는 전액 면제되고, 재산세는 5년

간 50% 감면의 세제혜택이 주어지고, 경상남도에서 기술개발, 정보화, 사업전환, 대기업협력, 창

업, 중소기업육성, 창업경영안정, 입지자금 등을 대상으로 시설자금과 운전자금에 대해서 금융혜

택이 주어진다.***

창원국가산단에는 2012년 기준 2,153개 기업 중 98%인 2,105개사가 종업원 300인 이하인 중소

기업이며, 2%인 48개사가 대기업이다. 대기업 48개사에서 전체 고용인원의 약 52%인 47,552명이

고, 전체 생산액의 약 78%, 수출액의 약 90%를 담당하고 있는 반면, 98%의 중소기업에서 고용

약 49%, 생산액이 총생산액의 22%, 수출액의 10% 만을 담당하고 있다.(<표 1> 참조)

<표 1> 창원국가산업단지 기업 규모별 현황

자료 : 한국산업단지공단(2012)

창원국가산단의 생산액은 매년 큰 변동성을 보여 왔으나 2009년 음(-)의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

2010년 큰 회복은 있었으나, 지난 2년간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고, 수출액은 2001년부터 2004년까

지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큰 변동률을 보이고 있다. 반면, 고용은 분석기간 동안

대체로 안정적인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표 2> 참조)

<표 2> 창원국가산단의 생산액, 수출액, 고용의 변화율(종합)

* 한국산업단지공단(2012) 참조** 한국산업표준분류상 24∼31은 다음과 같다. 24는 1차 금속제조업, 25는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

외), 26은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7은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28은

전기장비 제조업, 29는 기타 기계 및 장비제조업, 30은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1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

업 등이다.*** 지원규모는 시설자금은 2억 원 이하이고 운전자금은 1∼3억 원이며 금리는 연 4%∼8.7%이고 대출기간은 사

업별 1년 거치 2년 분할 상환에서 3년 거치 5년 분할 상환이다.

Page 4: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생산액(억

원)

증가율(

%)

수출액

(백만$)

증가율

(%)

고용

(명)

증가율(

%)(개) (개) (%) 고용수(명)

2001 200,009 9.43 6,694 2.64 72,691 1.59 1,100 970 88.2 75

2002 229,293 14.64 7,072 5.65 72,871 0.25 1,191 996 83.6 73

2003 243,006 5.98 7,952 12.44 72,595 -0.38 1,294 1,151 88.9 63

2004 276,116 13.63 9,928 24.85 72,852 0.35 1,382 1,279 92.5 57

2005 291,727 5.65 11,487 15.70 73,074 0.30 1,615 1,412 87.4 52

2006 317,650 8.89 14,312 24.59 77,184 5.62 1,716 1,508 87.9 51

2007 376,908 18.66 17,256 20.57 78,077 1.16 1,773 1,592 89.8 49

2008 443,131 17.57 20,743 20.21 79,977 2.43 1,815 1,660 91.5 48

2009 424,399 -0.04 17,542 -15.43 80,015 0.05 1,893 1,747 92.3 46

2010 495,826 16.83 18,870 7.57 82,569 3.19 2,048 1,855 90.6 45

2011 554,049 11.74 23,371 23.85 87,532 6.01 2,210 2,033 92.0 43

2012 536,063 -0.03 23,967 2.55 91,897 4.99 2,388 2,204 92.3 42

자료: 전게서

창원국가산단은 대기업 중심의 국내 최대 기계산업 집적지로 소재에서 완제품까지 기업 간 상

호연관성이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기계 분야는 두산중공업(해수담수시설) 등

세계적인 기술수준의 혁신기업사와 부품․소재 협력업체로 산업기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공작

기계분야는 대우종합기계를 중심으로 생산, 수출 10위권의 기업이 있다. 그리고 운송장비분야는

로템, GM대우 등 완성업체와 함께 부품업체의 발달로 국내 최대의 운송장비 부품 공급기지 역할

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부산-진해 경제자유지역과 마산자유무역지역이 인근에 있어 수도권

을 제외하고는 한국 최대의 배후여건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창원국가산단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기술력 차이에 의한 기업 간의 연계 개발․생산

구조가 약하고, 창원국가산단에 소재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가 전략적 파트너쉽 관계라기

보다는 원․하청의 관계로, 완제품 생산기업, 중간 모듈 생산기업, 부품생산기업 및 소재․원자재

생산기업들 간의 협업체계가 미흡하고, 기업체간 협력체계 미흡한 수준이다.** 다음으로, 중소기

업에 대한 기술개발, 기술이전 및 산업화 지원이 미흡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 즉, 강

소 중소기업이 존재하지 않고 수준 높은 연구인력 및 기술인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

창업․벤처캐피털 등 금융지원이 미흡하며, 물류 원활화를 위한 인프라 및 지원시설이 부족하고,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한 높은 지가상승과 용지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핵

심 우량기업들의 타 지역으로 이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새로운 연구 및 기술인력 수급이 원활하

지 못한 상태로 지속되어 기술인력의 부족 및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2000년대 초중반 한

국 기계류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요인이었던 중국 기계산업이 향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강력한 경쟁 상대로 부상하고 있다.

2.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 관련 선행연구

한국표준산업분류에 의한 기계산업은 일반기계, 전기기계, 정밀기계, 수송기계, 금속제품(조립금

속)의 5대 업종을 모두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기계산업은 타 산업에 생산설비 및 이에 대한 구

성품을 제공하는 일반기계만을 말한다. 창원국가산단은 한국의 최대 기계산업 집적지로서 한국

기계산업의 경쟁력이 곧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다.

* 한국산업단지공단(2013) 참조** 전게서

Page 5: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박광순 외(2012)은 한국 기계류의 RCA지수와 국제적 경쟁력을 분석하였고, 산업연구원(2010)

은 실무 담당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기법으로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을 고찰하였다. 그

리고, 허문구(2013)는 창원국가산단 기계클러스터의 경쟁력 수준을 제시하였으며, 허문구 외(2012)

는 산업활력지수를 통해 한국 국가산단에서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박광순 외(2012)은 한국 기계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RCA 지수와 국제경

쟁력 패턴을 제시하였다. RCA 지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2001년과 2011년 모두 한국 기계류의

중간재에 대해 경쟁력이 있는 품목은 한 품목도 없었고, 최종재는 2001년에 건설기계 1.056, 냉동

공조기계 1.771, 섬유기계 1.454, 금형 2.522로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었고, 2011년에는 건설기계

1.865, 가공공작기계 1.166, 냉동공조기계 1.075, 섬유기계 1.332, 기타 특수목적용기계 1.332, 금형

2.974로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재의 경우 가공공작기계, 기타 특수목

적용기계는 2001년에는 비교우위가 없었으나, 2011년에 비교우위를 확보한 부문이고, 건설기계,

섬유기계, 금형은 지난 10년간 경쟁력이 향상된 부문이다. 그러나 냉동공작기계는 경쟁력이 급격

하게 하락하여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지 않으면 비교우위를 상실할 수도 있

는 부문이고, 식품가공기계나 사무용기계도 지난 10년간 경쟁력이 하락하였다. 다음으로, 국제경

쟁력 패턴 변화에 따라서 한국 기계산업이 가격경쟁력에 의존하는 지, 혹은 기술경쟁력에 의존하

는 지를 고찰하였다.** 경쟁력 분석을 위해 4개 유형, 유형 1(기술적 비교우위 산업군), 유형 2(생

산비면 비교열위 산업군), 유형 3(생산비 비교우위 산업군), 유형 4(기술적 비교열위 산업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분석결과, 한국의 기계산업은 유형 3의 품목 비중이 42.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유형 4, 유형 2가 각 각 22.8%, 18.9% 이였으며, 유형 1은 15.6%로 가장 낮았다. 이는

한국의 기계산업이 여전히 생산비 측면에서 비교우위를 유지하고 있는 품목 위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산업연구원(2010)에서 기계산업 내에서 생산, 고용 등의 측면에서 대표성을 갖는 14

개 품목을 선정하여 델파이기법을 사용하여 기업의 실무 담당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경남 기

계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경쟁력 고려 유형은 생산경쟁력, 품질경쟁력, 가격경쟁력, 서비스

경쟁력, 기술경쟁력 등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남 기계산업의 경쟁력은 지난 2000년의 경우

최고 경쟁력 보유국 대비 66.5 수준이었으나, 2009년에는 76.2 수준으로 향상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경쟁력 항목별로 보면, 생산경쟁력, 품질경쟁력, 기술경쟁력 등의 측면에서 개선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도 가격경쟁력과 서비스경쟁력이 여타 경쟁력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

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허문구 외(2012)는 한국은 기존 생산기능 중심의 산업단지에 산학연 네트워크와 R&D

기능을 강화하여 혁신역량을 제고하는 산업단지의 혁신클러스터화를 위해 2005∼2008년 동안 1

단계로 한국형 클러스터 기반을 구축하고, 2008∼2011년 동안 2단계로 자립형 클러스터 성장기반

을 확립하며, 2012∼2015년 동안 3단계로 세계적인 클러스터 육성사업 전략을 추진 중에 있다. 이

를 위해, 2005년 창원 기계클러스터를 비롯한 7개 단지를 시범단지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미

* RCA지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RCA = (

)/(

) = (

)/(

), 여기서, 는 I국의 k상품의

대세계 수출액, 는 세계 전체의 k상품 수출액, 는 I국의 총수출액, 는 세계 전체의 총수출액이다.

RCA가 1보다 크면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고, 1보다 작으면 비교우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국제경쟁력 패턴 변화에 의한 방법은 교역조건(수출가격/수입가격)이 상승할수록 기계산업의 질적인 향상이 이

루어지고 있다는 전제하의 분석이다. 이 분석방법의 핵심은 국가경쟁력을 가격경쟁력과 기술경쟁력으로 분리

하는 문제인데 이는 Aiginger(1997, 1998)에 따랐다.

Page 6: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국 실리콘 밸리, 스위스 시스타, 미국 오스틴, 독일 뮌헨, 도르트문트 클러스터 순으로 성숙도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창원 기계클러스트는 평가점이 가장 높은 실리콘밸리의 91점에 비해 매우 낮

은 35점에 그쳐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허문구(2013)는 산업단지를 유형을 네 가지 즉, 성장단지(I 유형), 잠재적 성장단지

(II 유형), 쇠퇴단지(III 유형), 정체단지(IV 유형) 으로 구분하여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성장단지는 높은 성장잠재력과 우수한 인프라를 가진 산업단지이고, 잠재적 성장단지는 낮은 성

장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우수한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단지이다. 그리고 쇠퇴단지는 낮은 성장

잠재력과 열악한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단지이며 정체단지는 높은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

나 열악한 인프라를 가진 단지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혁신잠재력과 인프라로 구성된 산업단

지 활력지수를 평가하기 위해 표준화 계수를 활용하였는데,* 한국 18개 국가산단 중에서 창원국

가산단의 활력지수는 6위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혁신잠재력은 양(+)의 값을 가지고 있었으나 인

프라는 음(-)의 값을 가져 IV 유형인 정체단지에 포함되어 있다고 평가되었다.

III. 경영성과를 통한 창원국가산단 소재 기업의 경쟁력 분석

1. 분석자료 및 분석모형

창원시에 본사를 두고 있고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은 총 24개이고,

코스닥은 기업은 총 16개 기업인데,** 이들 기업과 전국의 주요 기업들의 경영성과를 비교 분석

함으로서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을 평가한다.*** 창원국가산단의 주력산업은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차 금속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다. 이들을 대상으

로 한국의 주요 관련 기업과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활동성 등 경영성과를 비교 분석한다.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의 창원소재 주요 기업은 두산중공업, STX엔진, S&TC, SMEC, 우림기계

등 8개 기업이고, 전국 주요 기업은 삼익 THK, 현대엘리베이트, SIMPAC, 동양기전, 동양물산기

업, 수산중공업, 신성이엔지, 우진플라임 등 122개 기업이며,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창원소

재 기업은 현대위아, S&T 중공업, 영화금속, 삼성공조, 우수 AMS 등 5개 기업이고, 전국 주요

기업은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성우하이텍, 현대모비스, 인지컨트롤스, 부산주공 등 70개 기업이

다. 그리고, 1차 금속 제조업의 창원소재 기업은 한국철강, 영흥철강, 현대비앤지스틸, 경남스틸

등 6개 기업이고, 전국 소재 주요 기업으로는 포스코, 포스코강판, 현대제철, 현대하이스코, 휴스

틸, 세아베스틸, 고려아연, 이구산업 등 69개 기업이며,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창원소재 기업은

*** 한국은 R&D 역량강화, 네트워크 활성화 등을 통해 산업단지를 신성장 공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2005년 창

원(기계), 구미(전자), 울산(자동차), 반월·시화(부품소재), 광주(광산업), 원주(의료기기), 군산(기계·자동차부

품) 등 7개 시범단지 산업클러스터를 지정하고, 성과확산을 위해 2007년 인천 남동(부품소재), 대구성서(메카

트로닉스), 부산 녹산(조선기자재), 전남 대불(중형 조선), 충북 오창과학(전자정보) 등 5개 산업단지를 추가

지정하였다. 그리고 2010년 193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광역클러스터 구축사업을 개시하고 있다.(한국산업단

지공단 홈페이지(www.kicox.or.kr) 참조)* 표준화 계수는 다음과 같다.

z =

, 여기서 z는 표준화 계수, ,

** 창원상공회의소(2012a, 2012b) 참조*** 문규현(2010) 참조

Page 7: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구 분 지표 계산식

수익성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이익/자기자본)⨉100안정성 유동비율 (유동자산/유동부채)⨉100성장성 매출액 증가율 (당기매출액/전기매출액)⨉100 - 100활동성 자기자본회전율 (순매출액/자기자본)⨉100

구 분 전국 기업 창원 소재 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삼익 THK, 현대엘리베이트, SIMPAC,

계양전기, 대동공업, 동부로봇, 동양기

전, 동양물산기업, 수산중공업, 신성이

엔지, 우진플라임, 흥국, 화천기공 등

122개 기업

두산중공업, STX엔진, STX중공

업, 두산엔진, S&TC, SMEC, 나

라엠앤디, 우림기계(8개 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경창산업, 동

국실업, 성우하이텍, 현대모비스, 평화

산업, 인지컨트롤스, 부산주공 등 70개

기업

현대위아, S&T 중공업, 영화금

속, 삼성공조, 우수 AMS(5개 기

업)

1차 금속

제조업

포스코, 포스코강판, 현대제철, 현대하

이스코, 휴스틸, 세아베스틸, 세아제강,

문배철강, 고려아연, 이구산업 등 69개

기업

한국철강, 영흥철강, 현대비앤지

스틸, 경남스틸, 삼보산업, 삼현

철강(6개 기업)

기타 운송

장비 제조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한라 IMS,

대선조선, 대우조선해양 등 14개 기업

S&T 모터스, STX 조선해양, 인

화정공, 동방선기(4개 기업)

S&T 모터스, STX 조선해양, 인화정공, 동방선기 등 4개 기업이며, 전국 소재 기업은 현대중공

업, 현대미포조선, 한라 IMS, 대선조선, 대우조선해양 등 14개 기업이다.(<표 3> 참조)

<표 3> 경쟁력 분석대상 주요 기업

기업의 재무적 경영성과를 안정성, 성장성, 수익성, 활동성 등을 업종별로 비교 분석한다. 수익

성 지표로는 매출총이익율, EBIT(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es) 마진율, ROA(Return on

Asset),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등이 있고, 안정성 지표로는 자기자본비율, 유

동비율, 부채비율, 유보율 등이 있으며, 성장성 지표로는 매출액증가율, 판관비증가율, EBIT 증가

율, EPS(Earnings Per Share) 증가율 등이 있다. 그리고 활동성 지표로는 총자산회전율, 타인자

본회전율, 자기자본회전율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익성 지표로 자기자본이익율, 안정성 지표

로 유동비율, 성장성지표로 매출액 증가율, 활동성 지표로 자기자본회전율을 이용한다.(<표 4>

참조)*

<표 4> 경영성과 지표

자료: 노상환(2013)

* 노상환(2013) 참조

Page 8: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경영성과를 통한 경쟁력분석을 위해 경영성과 자료는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

(kind.krx.co.kr)에서 2000년∼2012년 결산자료를 이용하고,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은 t-검정방법을

이용하여 경영성과 평균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T(X) = (X - μ)/(s/n)

T(X) = (X - X

)/(S((1/n)+(1/n)))(등분산 가정의 경우)

T(X) = (X - X

)/((s/n) + (s

/n))(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은 경우)

2. 기초자료분석과 분석결과

각 부문별 기초자료의 추이를 간략히 분석하면, 기타 기계 및 장비제조업의 경우 2012년 기준

창원소재 기업의 유동비율은 142.05로 전국 소재 기업의 273.23에 비해 매우 낮으나, 매출액 증가

율,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은 창원 소재기업이 전국 주요기업보다 양호한 상태이다.(<표

5> 참조) 이러한 추이는 <그림 1>에서와 같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주요기업의 유동비

율은 창원소재 기업보다 항상 높았으나 다른 경영성과는 우위를 평가하기 어려운 추이를 보여주

고 있었다.

<표 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의 기업의 경영성과

구분유동비율 매출액증가율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2000 198.49 137.21 115.36 -7.49 25.11 -1.09 4.64 2.02

2001 275.61 173.47 32.67 184.64 15.23 24.21 2.74 2.41

2002 230.32 183.57 52.31 35.43 13.33 1.87 2.98 2.50

2003 211.75 148.03 80.31 11.84 15.15 2.63 3.09 2.91

2004 208.92 137.53 101.37 30.39 27.94 13.42 3.42 3.78

2005 273.67 158.14 17.50 34.97 17.71 20.06 2.46 3.21

2006 255.23 148.11 16.88 28.35 9.27 21.19 2.03 2.71

2007 254.33 166.19 11.27 35.25 7.82 25.96 1.82 2.79

2008 230.56 215.63 29.19 30.28 -7.75 19.15 1.86 2.28

2009 230.60 222.16 3.14 -1.66 3.48 10.04 1.56 1.72

2010 240.18 212.90 69.16 7.12 10.41 7.32 2.11 1.53

2011 258.93 119.36 16.79 10.05 6.39 11.53 2.81 2.30

2012 276.23 142.05 -5.47 -4.87 -0.56 2.29 1.56 1.87

Page 9: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구분유동비율 매출액증가율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2000 139.03 138.42 97.70 8.93 13.95 14.26 4.45 5.03

2001 150.22 136.83 12.24 17.58 18.37 10.97 3.77 4.03

2002 155.77 205.91 48.79 10.72 16.84 22.22 3.36 3.96

2003 161.10 191.95 13.00 2.77 8.47 46.09 2.98 2.60

2004 156.90 189.88 24.96 22.58 11.68 11.26 3.06 2.43

2005 174.68 197.25 22.24 1.08 10.92 6.69 3.04 2.41

2006 150.27 140.23 16.84 11.28 4.50 13.38 3.15 3.41

2007 168.91 139.00 7.93 13.93 4.90 8.42 2.88 3.28

2008 149.19 167.21 13.12 12.19 -1.27 2.73 2.64 2.61

2009 153.97 188.02 -6.03 -11.88 -0.91 0.11 2.32 1.90

2010 147.38 185.49 98.35 28.80 9.27 9.93 2.81 2.91

2011 139.45 182.86 20.11 20.45 4.42 9.47 2.96 3.14

2012 153.79 230.79 8.45 -3.39 7.31 8.36 2.94 2.73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

<유동비율> <매출액증가율>

<그림 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의 기업의 경영성과 추이 비교

다음으로, 자동차 및 트러일러 제조업의 경우 2012년 기준 창원소재 기업의 유동비율은 230.79

로 전국 소재 기업의 153.79에 비해 매우 높으나,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은 창원 소재

기업이 8.36, 2.73이고, 전국 주요기업이 7.31, 2.94로 비슷한 수준에 있었다.(<표 6> 참조) 이러한

추이는 <그림 2>에서와 같이 유동비율과 자기자본이익율은 창원소재기업이 전국 기업에 비해 우

위에 있었으나 자기자본회전율은 비슷한 수준이었고, 매출액증가율은 대체로 낮은 수준에 있었다.

<표 6>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기업의 경영성과

Page 10: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구분유동비율 매출액증가율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2000 182.20 201.75 18.02 17.69 9.29 8.59 3.90 4.80

2001 195.10 223.56 8.54 4.46 10.40 7.22 3.12 4.27

2002 213.45 158.76 13.49 13.68 10.59 18.35 2.64 5.55

2003 230.77 108.90 35.95 11.09 8.55 22.58 2.65 4.59

2004 193.18 207.28 31.56 24.64 18.63 19.98 3.17 4.40

2005 215.33 179.97 17.88 2.47 6.67 6.95 2.81 3.92

2006 184.75 179.28 12.20 6.90 4.57 11.12 2.72 4.01

2007 183.82 195.87 18.30 14.18 6.05 5.58 2.72 4.84

2008 156.32 169.69 34.83 25.52 0.22 -20.18 3.01 6.16

2009 188.17 247.31 -13.46 14.18 4.08 17.52 2.28 4.95

2010 187.17 237.31 23.48 21.51 5.90 14.74 2.78 5.11

2011 183.09 170.23 14.94 15.48 2.13 8.45 2.66 4.69

2012 181.55 178.61 -0.65 -1.03 1.62 6.00 2.27 4.05

<유동비율> <자기자본회전율>

<자기자본이익율> <매출액증가율>

<그림 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기업의 경영성과 추이 비교

셋째, 1차 금속제조업의 경우 2012년 기준 창원소재 기업의 유동비율과 매출액 증가율은

178.61, -1.03으로 전국 소재 기업의 181.55, -0.65에 비해 약간 낮은 수준에 있으나, 자기자본이익

율, 자기자본회전율은 창원 소재 기업이 전국 주요기업 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 있었다.(<표 7>

참조) 이러한 추이는 <그림 3>에서와 같이 유동비율과 매출액증가율은 창원소재기업이 전국 기

업과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고, 자기자본회전율은 비슷한 수준이었고, 매출액증가율은 대체로

낮은 수준에 있었다.

<표 7> 1차 금속 제조업의 기업의 경영성과

Page 11: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구분유동비율 매출액증가율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2000 97.37 84.31 51.95 15.69 16.48 6.07 3.25 5.46

2001 116.68 85.97 42.71 23.14 16.97 11.85 2.84 5.01

2002 116.38 101.30 17.11 14.76 9.62 18.28 2.69 4.07

2003 171.87 122.07 1.13 0.96 5.70 16.16 2.52 3.37

2004 163.95 125.95 16.34 30.02 12.46 20.69 2.51 3.75

2005 175.28 101.60 14.80 48.62 -8.44 16.14 2.43 4.37

2006 179.41 93.78 29.45 39.47 0.49 25.77 2.60 3.75

2007 250.18 91.60 38.01 23.84 22.61 26.79 2.66 3.63

2008 191.98 101.70 38.66 25.89 5.75 9.84 2.58 2.51

2009 207.52 111.89 6.90 8.70 3.78 -4.03 2.38 2.18

2010 217.95 112.88 -8.54 8.22 12.07 8.26 1.67 1.73

2011 185.04 110.12 70.13 2.95 -14.42 3.31 1.80 1.50

2012 261.83 98.08 5.55 -20.85 7.41 -13.59 1.38 1.28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

<유동비율> <매출액증가율>

<그림 3> 1차 금속 제조업의 기업의 경영성과 추이 비교

마지막으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경우 2012년 기준 창원소재 기업의 유동비율, 매출액증가

율, 자기자본이익율이 98.08, -20.85, -13.59로 전국 소재 기업의 261.83, 5.55, 7.41에 비해 매우 낮

은 수준에 있었고, 자기자본회전율은 창원 소재 기업이 전국 주요 기업과 비슷한 수준에 있었

다.(<표 8> 참조) 경영성과 추이는 <그림 4>에서와 같이 유동비율은 창원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

고 있었으며, 매출액증가율과 자기자본이익율은 매우 큰 변동성을 보였고, 자기자본회전율은 창원

소재기업과 전국 주요기업 모두 지속적인 하향 추세에 있었다.

<표 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기업의 경영성과

Page 12: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구분

기타 기계 및

장비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1차 금속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전국 창원

유동비율264.73

(336.40)

336.40

(51.41)

146.88

(94.81)

173.80

(103.54)

181.55

(151.86)

174.42

(78.56)

214.64

(240.84)

89.64

(59.02)

매출액증가

5.90

(27.26)

53.60

(145.03)

13.63

(11.29)

14.83

(16.35)

-0.65

(14.52)

7.22

(7.33)

4.63

(10.10)

-11.54

(6.05)

자기자본이

익율

4.31

(15.56)

6.91

(9.09)

5.63

(19.93)

11.09

(8.00)

1.62

(12.17)

7.23

(5.92)

7.90

(5.48)

-9.24

(11.90)

자기자본회

전율

1.73

(1.00)

2.08

(0.94)

2.92

(1.60)

2.73

(1.19)

2.27

(1.39)

4.37

(4.39)

1.24

(0.90)

1.63

(0.79)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

<유동비율> <매출액증가율>

<그림 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기업의 경영성과

창원소재 기업과 전국 주요기업들의 각 부문 즉,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

러 제조업, 1차 금속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2000년부터 2012년까지의 경영평가의 평균

은 <표 9>과 같다. 구체적으로, 창원 소재 기타 기계 및 장비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차 금속제조엄의 경영성과 평균은 거의 대부분 전국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나, 기타 운송장비 제

조업의 경우는 전국 수준보다 낮은 수준에 있었다.

<표 9> 전국-창원 주요 산업 경영성과 평균(2000∼2012)

창원소재 기업의 경쟁력을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기타기계 장비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차 금속제조업은 경우 창원소재 기업과 전국 주요기업의 경영성과 즉, 유동비율, 매출액

증가율,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의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이 채택되어 이들은 통계적으

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기타 운송장비의 경우 창원소재 기업의 유동비율과 자기자본회전율은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5% 유의수준하에서 귀무가설이 채택되어 통계적으로 동일하나, 매출액

증가율과 자기자본이자율은 5%의 유의수준하에서 전국 주요 기업보다 낮은 수준에 있다는 것을

Page 13: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구분 유동비율 매출액증가율 자기자본이익율 자기자본회전율

기타 기계 및

장비제조업

1.113

(0.268)

-0.929

(0.384)

-0.372

(0.711)

-.974

(0.33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0.611

(0.543)

-0.228

(0.820)

-0.607

(0.546)

0.263

(0.793)

1차 금속제조업0.113

(0.910)

-1.307

(0.195)

-1.111

(0.271)

-1.165

(0.296)

기타 운송장비0.871

(0.399)

2.623

(0.020)

3.945

(0.001)

-0.698

(0.496)

보여주고 있다.(<표 10> 참조)

<표 10> 전국-창원 기계산업체의 경영성과 비교

주: ( )속은 유의확률 값임, *는 5%, **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함을 의미함.

IV.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 확충방안

한국의 기계산업과 경남의 기계산업 경쟁력은 세계시장과 비교할 때 미흡한 수준이고 또, 창원

기계클러스터는 세계 주요 클러스터에 비해서 매우 낮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그리고 창원 소재

기업들의 경영성과도 전국 소재기업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래서 창

원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경제를 견인할 수 있는 강소 중소기업을 육성하고, 기

계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하기 위해 서비스화를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중소기업이 자원과

정보를 공유하여, 기계산업 첨단화 및 새로운 시장의 창출을 위해 기계산업 중심의 융복합화 복

합단지 조성하고, 산단 구조고도화 및 업종고도화 사업을 통한 지속적인 지원·기발시설을 확충하

여야 한다.*

1. 강소 중소기업 육성

창원국가산단 입주기업 98%가 중소기업인데, 고용은 50%에도 미치지 못하고, 생산액은 약

20%, 수출은 약 10% 만을 분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계산업에서 핵심부품, 설계 및 서비스기

술 등에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담당하는 부품생산 및 소재·원소재, 중간

모듈 생산과 대기업이 담당하는 가공조립기술이 전략적 파트너쉽 관계로 이루어져 공동 기술개

발, 기술이전, 기술정보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창원국가산단은 대기업 중심단지

로 중소기업 대부분은 대기업의 원하청 기업으로 기술개발 및 연구개발 역량이 매우 취약한 실

정이다.**

그래서 한국의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은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을 실시하여 우수

한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글

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은 수출 5백만불 이상 기업 중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선정 해외마

케팅, R&D, 금융 등을 집중 지원하여 5천만불 이상의 수출기업으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그래서

* 이갑두 외(2010) 참조** 2012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에 따르면 중소기업 경쟁력은 독일은 8.40, 미국은 7.57, 한국은 4.52 이다.

(www.imd.org 참조)

Page 14: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기업수(

개)

일반현황 수출역량 기술역량

평균업

매출액(

억원)

종업원(

명)

수출액(

만불)

수출비중

(%)

수출업력

(년)

R&D

비율

(%)

기술인

력(명)

기술인

(건수)

102 17 229 88 1,185 47.5 12 4.3 11 11

독일 미국 일본오스트리

아스위스 이탈리아 프랑스 중국 영국 기타

1,307 366 220 128 110 76 75 68 67 198

중소기업청은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을 통해 세계시장에서 경쟁이 가능한 수출 중소기업을

육성하여, 소기업에서 중기업, 중견기업으로 중소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되기를 기

대하고 있다. 그래서 2013년 기준 102개 기업을 강소 중소기업으로 지정하여 전용 해외마케팅 및

연계지원 해외마케팅 지원을 하고,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과제를 수행하며, 수출금융을 지원하고

있다.(<표 11> 참조)

<표 11> 2013년 강소기업 선정 현황

자료: 중소기업청(2013. 1.19) 보도자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유로존이 재정위기로 어려움에 처했으나, 독일 경제가 상대적으로

강했던 이유는 중소기업의 강한 경쟁력이 제조업 성장과 고용안정에 기여하였기 때문이라고 평

가된다. 독일 중소기업의 강한 경쟁력 핵심은 글로벌 리딩 중소기업의 주요한 역할에서 찾을 수

있다. 독일 중소기업의 효율성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독일 GDP의 50%, 고용의 80%, 수출의

41.3%를 담당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헤르만 지몬

(Hermann Simon(1996))이 명명하였던 히든참피언(Hidden Champion) 즉, 강소 중소기업 1,307개

사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표 12> 참조)

<표 12> 주요국의 강소 중소기업 수

자료: 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Technology(2012); 한국은행(2013)에서 재인용

독일 강소 중소기업의 경험에서 볼 수 있듯이, 중소기업은 여건 변화에 대응한 혁신지속 및 유

연성 확보가 가능하고, 고부가가치 틈새제품을 통한 시장 접근이 가능하며, 일자리 창출 등에서

대기업 보다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글로벌화 진전으로 경쟁이 심화되는 경영환경에서

창원국가산단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강소 중소기업을 발굴 육성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창원소재 기계관련 중소기업 중에서 세계시장에서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예비 강소 중소기업제도’를 실시하여 기술개발 및 연구개발을 지원하

고 또, 해외 마케팅 지원 및 금융 및 제도적 지원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직업과 연계된

교육기관을 확충하고, 산학연계 과정을 확충하여 학교에서의 이론교육과 기업에서의 실습교육을

통한 전문교육 활성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산학연이 참여하는 기술지식센터를 설립하여 R&D투

자를 확대하고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을 활성화 하여야 한다.

* Kotra(2013) 참조** 히든참피언의 선정기준은 세계시장 점유율이 상위1∼3위(유럽시장 1위), 매출액이 50억유로 미만, 낮은 인지도

등이다.

Page 15: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매출규모 및 서비스화 20% 미만 20% 이상 전체

250억원 이상 4.64%(138) 7.63%(33) 5.18%(171)

250억원 미만 -0.50%(138) 7.00%(36) 1.05%(174)

둘째, 중소기업의 우수한 노동력 확보를 위해서 유인기반을 제고해야 한다. 지방 중소기업의

경우 수도권이나 대기업에 비해서 우수한 노동을 유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역․산업 맞춤형 인

력양성체계를 구축하여 창원국가산단에 필요한 우수한 노동력을 지역에서 양성하여 확보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기계산업에 IT시스템의 융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를 창

출하기 위해서 창원시 지원하에 국내기술자 양성을 위한 교육, 관련 서비스 풀 제공, 해외 대리점

인재를 육성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금융지원 및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이 혁신역량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지역은행 중심의 지역밀착형 주거래은행을 통하여 원활한 재원조달이 필요하다. 지역은행의 경우

지역밀착형 경영으로 중소기업의 정보비대칭성에 따른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중소기업

대출에 상대적으로 유연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창원시를 포함한 정부가 지속적으로

창원국가산단 기계산업을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경영기반을 확충하어야 한다.

2. 기계산업 서비스화 촉진-기계서비스 산업의 활성화

기계산업의 경우 낮은 기술가변성에 따른 제품 시장성장 속도는 완만하나 후발기업의 진입에

따른 경쟁격화, 단발적 제품 거래 특성, 장기간의 제품수명 주기로 인한 막대한 제품 사용기반이

구축되어 있어 서비스화가 강력한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고 안정적인 매출발생과 수익성 및 안

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기계산업 서비스 활동은 1) 기계사용 교육 및 훈련 서비스, 2)

부품 공급 및 교체 서비스, 3) 설비 및 장비 유지보수(부품 유지보수 포함), 4) 고객설비 및 장비

운용 아우소싱 서비스, 5) 렌탈, 리스, 할부구매, 보험, 신용보증 등의 금융서비스, 6) 공정설계, 최

적화, 생산성 향상 등 기술컨설팅 서비스, 7) 경영진단, 해외시장 개척, 경영전략 수립 등 비즈니

스 컨설팅 서비스, 8) 중고기계 유통, 재제조, 재활용 등 제품 라이프 사이클 서비스 등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기계산업 서비스화 추진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수익성과 안정정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

를 나타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수익성은 매출액이 250억원 이상 기업 평균 수익률은 5.18% 이

였는데, 서비스화가 20% 미만인 경우의 수익률이 4.64%이고, 서비스화가 20% 이상인 경우는

7.63%로 서비스화로 약 3%의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매출액이 250 억원 미만인

경우, 평균 수익률은 1.05%인데 서비스화가 20% 미만인 경우는 수익률은 -0.50%인데 반해, 20%

이상인 경우는 7.00%이었다.(<표 13> 참조) 즉, 매출규모가 250억원 미만인 경우 서비스화를 통

해 수익률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 14>에서의 안정성은 서비스화

추진 정도가 20% 이상인 기업들의 최근 3년간 매출액 순이익율의 표준편차의 평균은 0.074로

20% 미만 기업의 표준편차 0.106보다 휠씬 낮음을 알 수 있다.

<표 13> 서비스화 정도에 따른 수익성 비교(2010년)

* 윤지수 외(2013) 참조** 한국기계연구원(2012) 참조

Page 16: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전체 2.07%(275) 7.20%(69) 3.09%(345)

매출규모 및

서비스화20% 미만 20% 이상 전체

250억원 이상 0.079(138) 0.041(33) 0.071(171)

250억원 미만 0.133(138) 0.104(36) 0.127(174)

전체 0.106(275) 0.074(69) 0.099(345)

자료: 한국기계연구원(2012)

주: ( ) 속은 기업수를 나타냄.

<표 14> 서비스화 정도에 따른 안정성 비교(2008∼2010년)

주: 전게서

2010년 기준으로 한국 기계산업은 업체당 평균 2.4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부품 공

급 및 교체 서비스, 설비 및 장비 유지보수(부품 유지보수 포함), 기계사용 교육 및 훈련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이 상대적으로 많으나, 금융, 비즈니스 컨설팅, 제품 라이프 사이클 서비스는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서비스는 제품판매 지향적으로 고객사 프로세스 개선에 기여

하는 정도가 낮아 별도의 가격 책정이 어려운 서비스에 편향되어 있다.*

그래서 한국 기계산업 서비스화를 통한 수익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정설계, 최적화,

생산성 향상 등 기술컨설팅 서비스나 경영진단, 해외시장 개척, 경영전략 수립 등 비즈니스 컨설

팅 서비스, 중고기계 유통 재제조, 재활용 등 제품 라이프 사이클 서비스 및 렌탈, 리스 등의 금

융서비스를 활성화하여 고객사의 프로세스 개선에 기여하는 서비스를 개발하여야 하겠다. 기계분

야의 많은 중소기업들은 직접적인 유통망 개척의 어려워 직접 판매 보다는 딜러를 통한 판매를

주로 하여 제품가동이력 정보나 사용기반에 대한 정보 수집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

에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기계산업 서비스화를 위해서 기업차원에서 전문인력 확충,

기업적 차원의 전략적 대응 능력 함양, 비즈니스 모델 개선 역량 및 고객의 서비스 요구 인지 및

발굴능력 제고, 관련 서비스 협력 기업 정보 교류 및 서비스화에 따른 조직 간의 원활한 융합이

필요하고, 정부차원에서는 법, 제도, 사업환경 등의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3. 첨단 기계산업 융복합화 조성 및 지원·기반 인프라 확충

최근 기계산업은 복잡한 기계시스템에 효과적인 제어를 구현하고, 기계적․전기적 데이터를 지

능적으로 처리하고 해석하는 융복합화가 가속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기계산업에 첨

단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부품의 첨단화를 위한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이 필요하다. 대기업에 비해 연구역량이 열악한 중소기업의 경우 융복합화 단지 조성을 통해 자

원 및 정보를 공유하여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첨단 융복합화 단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R&D

지원 등의 기술적 제도적 하부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즉, R&D와 혁신을 지

원하는 역할을 하는 인프라로 기술적 및 제도적 하부구조가 필요하다. 기술적 하부구조는 R&D

프로그램(기초연구 포함), 기술정보 제공, 전략 기획, 시장 개발, 실험·시험·시설·장비 등을 의미하

* 전게서

Page 17: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며, 제도적 하부구조는 특허시스템, 자본시장 역동성 제고 등의 사업 환경을 말한다.*

그리고, 산집법 제45조의2에서 산업단지구조고도화 시행을 위해서는 산업 여건의 변화, 주변

지역의 도시화 등으로 산업단지의 업종 고부가가치화 및 산업재배치가 필요한 경우, 입주기업체

의 경영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산업기반시설·산업집적기반시설·공공시설 등의 유지·보수·개량

및 확충이 필요한 경우 등에 사업시행자는 계획을 수립하여 관리권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구조고도화사업 시행자는 국가·지방자치단체와 관리기관인데, 필요한 비용은 기본적으로 사업시

행자가 부담하나 산업단지 중 착공 후 30년 이상된 국가산업단지의 산업기반시설에 대하여 필요

한 비용의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그러나 창원국가산단의 구조고도화 사업에서 지원 및 기반사

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예산확보 근거가 미흡하므로 재원조달 방안을 구

체화하여야 한다. 또, 환경고도화를 위한 복지시설 및 근로자 주거시설 건립이나 기숙사 건립이외

에 기업 혁신기능 확충, 창업, 벤처캐피털 등을 위한 금융지원 및 특허 등 비즈니스 서비스 기관

확충 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 역시 모색되어야 한다.

V. 요약 및 결론

창원국가산업단지는 1974년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에 의한 세계적인 첨단기계 산업단지 조성을

목표로 건설된 이래, 40여 년간 한국 기계산업의 메카로서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

여하여 왔다. 그러나 창원국가산단은 기술집약적 연구개발 기능이 계속 약화되어 산업구조 고도

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어렵고,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에 대한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래서 창원국가산단의 주력 산업들의 경쟁력은 국내 다른 지역 기계산업에 비해서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기타기계 장비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

차 금속제조업은 경우 창원소재 기업과 전국 주요기업의 경영성과의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이

채택되어, 이들은 통계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타 운송장비의 경우 창원소재 기

업의 유동비율과 자기자본회전율은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5% 유의수준하에서 귀무가설이 채택

되어 통계적으로 동일하나, 매출액증가율과 자기자본이자율은 전국 주요 기업보다 낮은 수준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창원 기계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강소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세 가

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예비 강소기업제도를 도입하고, 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맞춤

형 인력을 공급하며, 적극적인 금융지원 및 제도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기계산업 서비스

화 촉진을 통화여 수익성과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공정설계, 최적화, 생산성 향상 등 기술컨

설팅 서비스나 경영진단, 해외시장 개척, 경영전략 수립 등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 중고기계 유

* 산업연구원(2012) 참조** 산집법은 산업의 집적을 활성화하고 공장의 원활한 설립을 지원하며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를 체계적으로 관리

함으로써 지속적인 산업발전 및 균형 있는 지역발전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

로 한다.*** 구조고도화사업 대상 산업단지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 구조고도화사업 대상 산업단지의 발전전략과제, 구조

고도화사업의 시행기간 및 시행자, 구조고도화사업 예정지구의 위치 및 면적, 구조고도화사업 예정지구의 현

황 및 경쟁력 분석, 구조고도화사업의 시행방법, 토지이용계획의 변경에 관한 사항, 산업집적기반시설·산업기

반시설·공공시설 등의 정비 및 확충 방안, 성장유망산업의 배치 및 입주업종의 첨단화·고부가가치화 방안, 기

업·연구소·대학 등의 유치, 산학융합 활성화계획과의 연계방안, 재원조달방안, 제45조의6에 따른 개발이익의

재투자 계획,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다.

Page 18: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 논문투고일 2014. 01. 02

■ 논문 최종심사일 2014. 01. 30

■ 논문게재확정일 2014. 02. 15

통 재제조, 재활용 등 제품 라이프 사이클 서비스 및 렌탈, 리스 등의 금융서비스를 활성화하여

고객사의 프로세스 개선에 기여하는 서비스를 개발하여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첨단기계산업 융복

합화를 성공적으로 조성하며, 지원․기반시설의 확충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본 논문은 2013년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 ‘지방기업의 기속가능한 발전방향-창원 소재 기업

의 사례를 중심으로’(노상환(2013))을 발췌 보완한 것이다. 익명의 심사위원들의 유익한 조언과

논평에 깊이 감사드리며, 혹시 남아 있을지 모르는 오류는 전적으로 저자의 책임임을 밝혀둔

다.”

Page 19: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참 고 문 헌>

노상환(2013), “녹색경영기업의 기속가능성과 경영특성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 제21권 제3호

문규현(2010), “일본 Nikkei 225 현물지수 거래량, 수익률 및 변동성 사이의 전달체계에 관한 연

구” 지역산업연구 제33권 제2호

박광순·이진면·진혜진(2012), 기계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과 전략적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산업연구원(2010), 경남지역산업진흥사업 성과분석 및 (재)경남테크노파크 발전전략 수립

산업연구원(2012), 경남 핵심전략산업 선정을 위한 조사 연구

윤지수·서익진(2013), “인적자원 구성요인이 지역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 연구-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산업연구 제36권 제1호

이갑두·이곡지·송일경(2010), “중소기업의 환경, 전략, HRM 및 성과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고찰”,

지역산업연구 제33권 제1호

이상천(2010), 창원시 R&D 기반 성장 도약 전략, 창원시 지역균형 발전위원회 운영 자료집

중소기업청(2013), 보도자료 1월 29일

창원상공회의소(2012a), 창원지역 코스닥 상장사 2012년 3분기 경영설적 분석

창원상공회의소(2012b), 창원지역 코스피 상장사 2012년 3분기 경영설적 분석

창원시(2013), 창원국가산업단지 구조고도화

한국기계연구원(2012), “서비스화를 통한 우리나라 기계산업의 혁신전략 연구”, 인사이트 제 4호

한국산업단지공단(2012), 국가산업단지 현황

한국산업단지공단(2013), 창원국가산업단지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은행(2013), “독일 중소기업이 강한 경쟁력을 갖는 주요 배경”, 국제경제리뷰

허문구·김동수·홍진기·최윤기·임종인(2012), “‘산업단지 활력지수’산출을 통한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방안-혁신잠재력과 기반인프라를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허문구(2013), “창원국가산단의 경쟁력분석을 통한 발전전략과 정책과제”, 2013 한국은행 경남본

부·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권본부 공동실무세미나

Aiginger, K., A.(1997), “The Use of Unit Values for Discriminating between Price and QualityCompetition”,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Vol 21.

Aiginger, K., A.(1998),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Dynamic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Structual Change and Economic Dynamics of Economics, Vol 9.

Kotra(2013), 독일 강소기업 벤치마킹

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Technology(2012), German Mittelstand: Engine of the

German Economy, September

Simon, H(1996), Hidden Champion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국제경영개발원 www.imd.org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 kind.krx.co.kr

한국산업단지공단 www.kicox.or.kr

Page 20: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Enrichment of firms located

at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Lho, Sangwhan*

ABSTRACT

This paper evauluates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suggests the

competitiveness enrichment of firms located at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wide machine-related firms is globally

the lower competitiveness level in the literature survey. Even if Changwon

Industrial Complex is a cradle of nation's machine industry, there are other

industries, transport equipment, metal products and motor vehicles. The paper

compares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located at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with that located at other regions in terms of financial management,

that is, growth rate of sales, profit rate of net worth, current ratio and

turnover of net worth. Major findings are that the growth rate of sales and

the profit rate of net worth of transport equipment firms located at Changwon

Industrial Complex are lower than those of other major regions whereas,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rest of industries are similar to those of

national firms. That means, corporate competitiveness located at Changwon

Industrial Complex is lower globally just like that of nationwide firms.

Therefore, it suggests three policy issues to enhance corporate

competitiveness, i) development of the future Hidden Champions of small and

medium corporate that are relatively small but highly successful companies,

ii) Revitalization of machinery services industry that are technical

consulting service and business consulting service, iii) Development of IT

convergence of machinery industries of financial supports that are technical

and regulatory base structure and local facilities supports that are

industrial structure and industrial environmental acceleration.

Keywords :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corporate competitiveness,

financial management, Hidden Champion, machinery service industry

* Professor, Department of Finance and Economics, Kyungnam University.

Page 21:  · 2019-02-17 · "#$ % & & ! '$ ()* &! ! ! "# ' +, -. -. / « 7 u ý h +(T a5.6w¨ T ST ý~h« T % M 6x h56 Y h . ß ST hY " ÌM h56 u ý/½hpq e+ %k pq T % _pqT eÄ pq ý3n ~~u7

1. 주저자

노상환(Lho, Sangwhan) : [email protected]

고려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미국 미시간대학교(The University of

Michigan-Ann Arbor)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남대학

교 경제금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환경세, 탄소배출권 등 각

종 환경정책과 지역경제의 경쟁력관련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