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주요업무계획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Q/071C0Q...사업개요 G hC^...

66
2018 주요업무계획 보 건 소

Transcript of 2018 주요업무계획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Q/071C0Q...사업개요 G hC^...

- 모두가 건강하고 모두가 행복한 명품강서 -

2 0 1 8 주 요 업 무 계 획

2018. 1.

보 건 소

- 1 -

보 고 순 서

Ⅰ. 정책목표와 방향 2

Ⅱ. 일반현황 3

Ⅲ. 부서별 주요업무계획

1.보 건 행 정 과 6

2.건 강 관 리 과 18

3.의 약 과 37

4.위 생 관 리 과 50

- 2 -

Ⅰ. . . . . . . . . . .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정 책 목 표 와 방 향방 향방 향방 향방 향방 향방 향방 향방 향방 향방 향정 책 목 표 와 방 향

정 책 목 표

모두가 건강하고 모두가 행복한 명품강서

정 책 방 향

▪맞춤형 보건행정 구현을 통한 주민의 삶의 질 개선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를 통한 구민 건강증진

▪건강한 미래를 약속하는 선진의료 실현

▪식품안전과 건강한 위생문화 확산

성과계획 및 예산액

(단위 : 개, 백만원)

부서명성 과 계 획 예산액

전략목표 성과목표 주요사업 2018년 2017년 증감

계 4 14 45 31,392 30,647 745

보건행정과 1 2 10 20,421 18,906 1,515

건강관리과 1 3 14 8,957 10,042 △1,085

의 약 과 1 5 9 1,412 1,121 291

위생관리과 1 4 12 602 578 24

- 3 -

Ⅱ. . . . . . . . . . . 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일 반 현 황(2018. 1. 19. 기준)

1 조 직 --------- 4과 16팀 1분소(13실 2센터)

강서구보건소

보건행정과 건강관리과 의 약 과 위생관리과

보건행정팀

보건민원팀

감염병관리팀

건강도시팀

가족보건팀

건강지원팀

건강증진팀

생명존중팀

의무진료팀

특구지원팀

의료관광

화곡분소

식품위생팀

식품안전팀

공중위생팀

위생감시팀

예방접종실

결핵검진실

금연클리닉

방문간호실

모성실

운동처방실

대사증후군센터

1차진료실

한방실

구강보건센터

조제실

임상병리실

방사선실

물리치료실

건강검진실

※ 위탁운영 : 강서구치매지원센터, 강서구정신건강복지센터, 강서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2 직원현황

□ 인 력 : 정원118명 / 현원115명 (2018. 1.19.기준)

구 분 계일 반 직 (105/102) 임 기 제 (13/13) 공무직 등

상근인력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5급 6급 7급 8급 9급 청경 공무직 무기계약

정원/현원 118/115 1/1 4/4 22/35 38/40 30/15 10/7 6/6 3/3 1/1 0 3/3 1/0 3/3 29

보건행정과 31/29 1/1 1/1 4/6 9/14 6/3 8/2 2/2 1/0 3/3

건강관리과 27/27 1/1 5/6 10/11 7/5 1/1 1/1 1/1 1/1 29

의 약 과 39/39 1/1 7/15 11/10 12/5 3/3 2/2 1/1 2/2

위생관리과 21/20 1/1 6/8 8/5 5/2 1/4

- 4 -

3 주요현황

□ 청사현황

구분 대 지 건물연면적 구 조 준공일 비 고

보건소 2,929.3㎡3,896.95㎡

(지하1/지상4층)

철근/

콘크리트1991.4.13

- 4층 : 1개 단체

- 3층 : 2개 단체

- 지층: 정신건강복지센터

화 곡분 소

457.1㎡ 379.59㎡(2층) 〃 2009.11.30

- 1층 : 1차진료, 예방접종

- 2층:물리치료실(동맥경화상담)

임상병리실, 보건교육실

□ 위탁시설 현황

구 분(위탁운영체) 위치 규모(㎡) 주요시설

치매지원센터(학교법인 이화학당)

화곡로 371경향교회

교육관(3층)630

- 인지재활치료 프로그램실- 검진실, 진료실, 작업실- 치매예방 운동치료실

정신건강복지센터(명지의료재단명지병원)

보건소 지하 238- 사회기술 훈련실- 음악치료 프로그램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숙명여자대학교)

곰달래문화복지센터(202호)

105.67 - 사무실 및 상담실

□ 기금현황 (단위 : 천원)

기 금 명2016년도말

조 성 액

2017년도 (12. 31. 현재)비고

증감액 조성액

식품진흥기금(위생관리과)

1,318,486 94,749 1,413,235

- 5 -

□ 주요장비

구분 계주 요 장 비(대)

차량소계 진료용 검사용 방역용 보건사업용

보건소 114 99 22 42 5 30 15

화곡분소 7 7 5 2

□ 의료기관 및 의료 유사업소

계 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한방병원

치과병원 의원 한의원 치과

의원안경업소

치 과기공소

안마원등

926 3 16 5 2 3 358 182 206 103 39 9

□ 약업소, 의료기기판매·수리업소 및 소독업소

계 약국의약품도매

안전상비의약품판매 (한)약업사

의료기기판매․수리 소독업

1,359 227 42 374 2 662 52

□ 위생업소

식 품 접 객 업 소 위 탁집 단급식소

식품자동판 매 기

공 중 위 생 업 소

소계 일 반음식점

단란주점

유흥주점

휴게제과 소계 숙박 목욕 이․미용

피부미용세탁소

위생관리등

9,843 7,783 5,159 168 133 1,618 435 270 2,060 174 40 1,454 392

□ 식품 및 축산물업소

식 품 업 소 축산물 취급업소

소계식품제조

가공업

즉석판매

제조가공업

식품소분

판매업등건강기능

식품판매업소계

축산물

판매업

축산물

가공업

식육포장

처리업

축산물보관

운반업등

3,014 2,473 72 587 367 1,447 541 488 12 12 29

- 6 -

보 건 행 정 과

(성과관리 체계도)

전 략 목 표 성 과 목 표 주 요 사 업

맞춤형 보건행정 구현을 통한 주민의삶의 질 개선

1 건강과 행복한 삶을 위한 환경조성

1. 보건소와 함께하는 청소년 꿈 찾기 진로여행

2. 토요 열린 보건소 운영

3. 효율적이고 쾌적한 보건소 청사 환경 조성

4. 보건소 민원실 원스톱 시스템 구축

2 질병과 감염병 없는 의료체계 확립5. 감염병 예방 관리를 위한 표본감시

대상 확대 (신규)

6. 민․관 협업 해충 구제로 구민 건강 보호

7. 감염병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대응능력 강화

8. 결핵안심국가 실현을 위한 결핵관리사업

9. 에이즈 감염인 지원 및 예방

10. 예방접종 확대로 감염병 예방 및 건강수준 향상

- 7 -

1 보건소와 함께하는 청소년 꿈 찾기 진로여행 일반사업

청소년들이 보건소 업무 및 의료 관련 직업에 대해 탐색하고,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자신의 소질과 재능을 발견하고, 꿈을 찾을 수 있도록 추진

□ 추진방향

○ 보건소 견학을 통해 보건 의료분야 직업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

○ 진로체험 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의 소질발견과 진로설계에 기여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01. ∼ 2018. 12.

○ 사업대상 : 관내 중 고등학생

○ 사업내용 : 보건소 견학 및 진로체험 프로그램 제공

○ 소요예산 : 비예산

□ 추진계획

○ 사업내용 : 보건소 견학 및 진로체험 프로그램 제공

- 진로체험 영상을 통해 직업현장을 탐색

- 보건소 견학, 응급처치 교육 및 체험

- 이색 직업 체험 “나도 운동 처방사”

○ 보건소 진로체험 홍보 강화

- 강서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와 연계하여 관내 중 고등학교에 홍보

□ 기대효과

○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분야의 진로 탐색을 통해 소질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주민에게 다가가는 친근한 보건소 이미지 및 각종 보건의료사업 홍보

- 8 -

2 토요 열린보건소 운영 일반사업

평일에 보건소 방문이 힘든 구민들을 위해 맞춤형 건강 프로그램을

토요일에 운영함으로써 구민에게 다가가는 보건행정서비스를 구현

□ 추진방향

○ 맞춤형 건강프로그램 제공으로 구민의 건강증진에 기여

○ 토요열린보건소 운영 프로그램 개발 및 홈페이지, 전광판, 강서까치

뉴스 등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로 이용 인원 증대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01. ∼ 2018. 12. (공휴일 제외)

○ 사업목표 : 저소득층·외국인 등 의료취약계층 및 직장인, 임산부 등을

위한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

○ 사업내용 : 매주「토요 건강 프로그램」운영

○ 소요예산 : 30,000천원(시비)

□ 추진계획

○ 사업내용 : 구민을 위한 맞춤형 「토요 건강 프로그램」운영

- 운영시간 : 매월 1주∼4주 토요일 9:00∼13:00

- 장 소 : 보건소,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학교

- 방 법 : 각 프로그램 별 근무반 운영(직원, 기간제근로자, 전문강사)

- 프로그램 : 8개 프로그램 운영

⇒ 대사증후군 관리, 토요부부 출산준비 교실, 임신전․후 건강관리, 다문화

임산부 출산준비교실, 토요어린이 건강클럽, 응급처치교육, 금연클리닉,

골밀도 검사

□ 기대효과

○평일 보건소 이용이 어려운 구민의 보건소 이용 편의 제공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실천하는 프로그램 운영으로 평생건강실천 및

지역사회 건강역량 강화

- 9 -

3 효율적이고 쾌적한 보건소 청사 환경 조성 일반사업

노후된 보건소 청사의 효율적 관리와 쾌적한 환경 조성을 통해 직원들의

업무 능률 향상 도모 및 지역 주민들에게 질 높은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 추진방향

○ 에너지 효율 증대를 통한 에너지 절약 및 예산 절감

○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으로 직원 및 주민들의 만족도 제고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01. ∼ 2018. 12.

○ 사업목표 : 낡고 노후한 보건소 청사 시설을 개선하여 효율적이고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

○ 사업내용 : 자산물품 취득, 창호 및 방충망 교체, 노후 시설 보수 보강

등을 통한 청사 환경 개선

○ 소요예산 : 60,000천원(구비)

□ 추진계획

○ 사업내용

- 창호 교체 : 겨울철 난방 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는 창호 교체

- 방충망 교체 : 부식이 심하고, 찢어진 방충망 사이로 모기 벌레 등이

유입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방충망 교체

- 시설물 보수 보강 : 노후로 낡은 시설물들을 보수 및 보강

- 사무용 가구 교체 : 낡은 사무용 집기 등 교체

- 시설 안전 점검 : 전기, 가스, 보일러, 승강기 등 정기 점검

□ 기대효과

○ 쾌적한 청사환경 제공으로 보건의료서비스 수준 및 직원 업무능률 향상

○ 냉난방기 사용감소, 창호 및 방충망 교체로 에너지 절약

○ 정기적인 시설 점검으로 안전한 청사 유지

- 10 -

4 보건소 민원실 원스톱 시스템 구축 일반사업

보건소를 방문하는 민원인들의 이용 편의를 위해 민원창구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하여 고객감동 서비스 실현

□ 추진방향

○ 쾌적하고 편안한 민원실 환경 조성으로 이용하기 편한 보건소 구현

○ 친절하고 신속한 민원 처리를 통한 구민 만족도 제고

□ 사업개요

○ 사업 기간 : 2018. 01. ~ 12.

○ 사업 목표 : 구민이 만족하는, 구민을 위한 보건행정 구현

○ 사업 내용 : 순번대기시스템 교체, 민원 발급용 컴퓨터 설치

○ 소요 예산 : 13,264천원 (구비)

□ 추진계획

○ 민원실 순번대기시스템 교체

- 대상 민원 : 건강진단결과서 신청 및 발급, 처방전 발급 등

(1일 평균 이용 인원 : 약 600명)

- 추진 내용 : 발권기 1대, 표시기 및 호출기 각 4대 구입

○ 민원 발급용 컴퓨터 설치

- 설치 장소 : 보건소 1층 로비

- 추진 내용 : 민원인용 컴퓨터와 프린터를 설치하여 인터넷 민원발급

서비스 제공 (건강진단결과서, 건강진단서 등 발급)

□ 기대효과

○ 순번대기시스템 교체로 신속·정확한 민원 처리 및 보건소 이용 구민

편의 도모

○ 민원 발급용 컴퓨터 설치로 민원 발급 대기시간을 단축하고 각종 증명서

발급 이용 편의 제공으로 구민 만족도 향상

- 11 -

5 감염병 예방 관리를 위한 표본감시 대상 확대 신규사업

감염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표본감시 대상 확대 및 지속적

감시·분석으로 지역주민 건강을 보호하고자 함

□ 추진방향

○ 신속한 감염병 정보 환류를 통해 유행에 대비·대응 강화

○ 감염병 발생수준, 발생경향의 변동양상 및 고위험군 파악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년 1월 ~ 12월

○ 사업내용 : 표본감시 감염병 및 의료기관 관리

○ 소요예산 : 22,296천원 (국비 20,148, 시비 2,148)

□ 추진계획

○ 감염병 표본감시 의료기관 및 관리 현황

구 분 대상질병 지정 병(의)원 비 고

확대

.의료관련감염병(4종)

.장관감염증(20종)

.급성호흡기감염증(10종)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로타바이러스 등 35종

부민병원

·의료관련감염병(다제내성균)→다제내성농녹균외3종

·장관감염증(수인성및식품매개질환)→로타바이러스외 19종

·급성호흡기 감염증→아데노바이러스외 9종

우리들병원

기존

인플루엔자&수족구병

김미란서울소아청소년과의원

은혜소아청소년과의원

기생충감염병(6종)

강서구보건소

한국건강관리협회

성매개감염병(5종)

강서구보건소

미즈메디병원

미래아이산부인과

유광사여성병원

더와이즈황병원

○ 역할 : 지정된 감염병에 대하여 진단 7일 이내 신고

□ 기대효과

○ 감염병 발생현황에 대한 정보 환류로 유행에 대비·대응

○ 감염병발생정보제공받아감시·분석을통한신속한대응으로구민건강수준향상

- 12 -

6 민·관 협업 해충 구제로 구민 건강 보호 일반사업

하절기에 다발생하는 모기, 파리 등 위생해충을 민·관이 협업하여 집중 방역

소독을 실시·구제함으로써 구민의 건강보호 도모

□ 추진방향

○ 관내 모기 등 위생해충 다발생 지역 중점 방역소독

○ 각 동 새마을방역봉사대 및 지역자율방재단 협업 방역소독 체계 구축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01∼12

○ 소요예산 : 98,026천원 (구비)

□ 추진계획

○ 민·관 협업 추진 사항

구 분 기간 구성 사업내용 대상지역 소독방법 소요예산

보건소 연중2개반

6명

-방역취약지역 소독

-모기유문등설치운영

-월동모기 유충구제

-민원신속처리반운영

-구민에게 방역장비

무료 대여

사회복지시설,

빗물펌프장 ,

쓰레기적환장

분무소독

연무소독

동력

분무소독

36,812천원

새마을

방역

봉사대 5월

10월

20개동

(동별

3∼4명)

-관할 동지역

주 1회 이상 소독방역취약지역

연무소독

50,656천원

지역자율

방재단

-관할 동지역

월 2회 이상 소독하수구맨홀 10,558천원

□ 기대효과

○ 민·관 협업을 통한 방역활동으로 방역 효과 증대

○ 위생해충 다발지역 적기 중점 방역으로 구민건강 기여

- 13 -

7 감염병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대응능력 강화 일반사업

해외신종 법정 감염병 발생 예방과 확산방지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으로

사전감시 및 신속 대응체계 강화하여 감염병 예방 관리에 만전을 기함

□ 추진방향

○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감염병 사전감시 및 신속 대응체계 강화

○ 신종 주요 감염병 발생 대비 전문과정 교육이수로 전담인력 역량강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01. ∼ 12.

○ 소요예산 : 6,648천원 (국비 3,992/시비 500/구비 2,156)

□ 추진계획

○ 연중 24시간 해외신종 감염병 초동대응 전담반 운영

- 임무 : 환자신고 접수 및 상담, 역학사례 조사 실시, 환자 이송 및 격리조치 등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서울시 및 유관기관 비상 통신망과 연계 운영

. 병의원 네트워크 가동을 통한 감염병 웹보고 체계 유지

○ 감염병 확산 방지 신속 대응체계 구축

- 법정감염병 발생신고 시 역학조사 및 신속 대응조치

- 하절기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대비 비상방역 근무 실시(5월~9월)

- 환자발생 신고 시 역학조사반 즉시 출동 방역조치

․임무 : 감염병 역학조사, 환자·접촉자관리, 원인규명 및 확산방지 등

○ 감염병 발생 대응 감염병 관리과정(FMTP) 교육 이수

- 실무 실습 중심의 감염병 대응 교육

․감시, 역학조사, 신종감염병 등 초동 대응 교육

- 감염병 위기 대응 전략 및 신종감염병 관리 방법

○ 감염병 예방홍보 실시

- 계절별 주요 감염병에 대한 정보제공 등 예방홍보 캠페인 활동 전개

- 까치신문, 언론매체, 병(의)원,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한 질병별 적기 홍보 등

□ 기대효과

○ 감염병 대응 전문인력을 통한 신속 대처로 사회적․경제적 피해 최소화

○ 감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로 구민의 건강 보호 증진에 기여

- 14 -

8 결핵안심국가 실현을 위한 결핵관리사업 일반사업

결핵 발병 전 선제적 관리 및 환자 집중 관리를 통해 결핵 전파를 차단

하여 구민 건강증진 도모

□ 추진방향

○ 선제적 예방에 중점을 둔 결핵․잠복결핵 검진 확대

○ 능동적이고 신속한 환자 발견과 맞춤형 집중 관리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01. ∼ 12.

○ 소요예산 : 123,730천원 (국비 50,440/시비 33,290/구비 40,000)

□ 추진계획

○ 결핵환자 조기발견 및 집중관리

- 내소자 X-선 검진, 고등학교 이동검진(고2,3학년), 집단시설 종사자 결핵검진

- 결핵환자 추구관리 및 접촉자 검진으로 2차 감염 예방

- 다제내성․입원명령 결핵환자 의료비 지원(입원비, 약제비, 생계비 등)

- 결핵역학조사반 운영 : 의사, 간호사, 임상병리사, 차량운전기사 등

○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통한 예방

- 의료기관,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및 학교 등 집단시설 종사자 대상

○ 국가결핵관리사업 기반 구축

- 결핵 인식개선 및 행동변화를 위한 홍보 및 집단별 맞춤형 결핵예방교육

-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체계 유지

(질병관리본부, 대한결핵협회, 보건환경연구원, 결핵연구원, 병․의원, 교육청 등)

□ 기대효과

○ 결핵환자 조기발견 및 치료 관리로 감염 예방

○ 결핵환자, 접촉자, 부양가족 지원으로 조기 치료 유도

- 15 -

9 에이즈 감염인 지원 및 예방 일반사업

감염인에 대한 상담, 보호, 진료비 등 지원과 에이즈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지식 보급으로 전파 확산 방지

□ 추진방향

○ 감염자 의료비 지원·상담으로 치료 강화 및 감염 전파 방지

○ 관내 학교·민간단체와 연계한 에이즈 예방홍보

□ 사업개요

○ 사업기간: 2018. 01. ∼ 12.

○ 감 염 인: 230명 (남 213명/여 17명)

○ 소요예산: 84,708천원 (국비 42,354/시비 42,354)

□ 추진계획

○ 감염자 상담· 보호 및 의료비 지원 관리 사업

- 감염자 치료비(본인 부담금)지원 및 전문 의료기관 연계 진료 안내

- 감염자 건강 상담 및 타인 감염방지 교육

- 신규 감염자 등록 관리 및 전출자 전보(이관) 조치

○ 에이즈 예방 홍보(인식 개선 등) 및 캠페인 실시

- 대상: 관내 주민, 중·고등학생 등

- 내용: 에이즈 정의, 감염경로, 예방법 등

- 방법: 중·고등학생 등 교육(한국에이즈퇴치연맹 등과 연계, 전문 강사 활용)

예방홍보 캠페인, 패널 전시, 홍보물 배부

□ 기대효과

○ 감염자 지원 및 보호 관리 강화로 에이즈 감염 확산 방지

○ 예방홍보 강화로 신규 에이즈 감염자 발생 차단

- 16 -

10 예방접종 확대로 감염병 예방 및 건강수준 향상 일반사업

생애주기별 적기 예방접종을 실시하여 예방접종률 향상을 통한 지역사회

감염병 예방 및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

□ 추진방향

○ 국가예방접종 지원 및 등록 관리로 완전 접종률 향상

○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위탁의료기관 관리 철저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01. ~ 12.

○ 사업대상 및 내용

대 상 내 용 기타

만12세 이하 아동

(2005.1.1이후 출생자)

결핵(BCG), B형간염, DTaP(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IPV(소아마비), DTaP-IPV(디피티, 소아마비), 수두, Td(파상풍),

DTaP-IPV/Hib(디피티, 소아마비, 뇌수막염),Tdap(파상풍, 백일해),

Hib(뇌수막염), 일본뇌염(사백신),일본뇌염(생백신), 폐렴구균,

A형간염, 사람유두종바이러스,,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인플루엔자※ 어린이 인플루엔자 만 12세이하 확대실시 예정

무료

(17종)

만65세 이상 어르신(1953.12.31이전 출생자)

폐렴구균, 인플루엔자 무료(2종)

권장 대상자(임시예방접종) 장티푸스, 신증후군출혈열, B형간염 유료

○소요예산 : 9,330,465천원 (국비 2,770,829/시비 3,661,644/구비 2,897,992)

□ 추진계획

○ 예방접종 서비스 제공 및 대상자 관리

- 국가예방접종에 대하여 위탁의료기관 접종시 접종비 전액 지원

- 적기접종을 위한 기록 전산등록 및 미접종자 1:1 관리

- 만 4~6세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 및 예방접종 이상반응 관리

○ 국가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 관리 : 계약관리 및 자율 ․방문점검

○ B형간염 주산기 감염 예방사업 : 검사비 및 접종비 전액 지원

□ 기대효과

○ 예방접종비용 지원에 따른 육아부담 경감으로 출산․육아 양육 환경 조성

○ 예방접종의 적기실시 및 접종률 향상으로 감염병 예방 및 건강수준 향상

- 17 -

소요예산 총괄

(단위 : 백만원)

연번 사 업 명 사 업 개 요사업

기간

소 요 예 산 재원

(국비,

시비,

구비)

(②)

고계기투자

(①)

2018년

예 산

향 후

투 자

총계 9,769 9,769

국비 2,887

시비 3,770

구비 3,112

1

보건소와 함께하는

청소년 꿈 찾기

진로여행

보건소 견학 및

진로체험 프로그램제공

2018.

01.∼12.비예산 비예산 비예산

2토요 열린보건소

운영

토요 건강프로그램

운영〃 30 30 시비 30

3

효율적이고쾌적한

보건소 청사 환경

조성

자산물품 취득, 창호

교체 및 시설개선

〃 60 60 구비 60

4보건소 민원실 원

스톱시스템구축

순번대기시스템

각종민원서식

민원실근무복

〃 14 14 구비 14

5

감염병예방관리를

위한표본감시대상

확대

표본감시감염병관리 〃 22 22국비 20

시비 2신규

6민·관 협업 해충

구제로구민건강보호

방역취약지역 방역

활동〃 98 98 구비 98

7

감염병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대응

능력강화

감염병 전문인력

양성으로 감염병

관리체계 강화

〃 7 7

국비 4

시비 1

구비 2

8결핵안심국가실현을

위한 결핵관리사업보건소결핵관리사업 〃 124 124

국비 51

시비 33

구비 40

9에이즈 감염인

지원 및 예방

에이즈 감염인 의료비

지원및예방홍보〃 84 84

국비 42

시비 42

10

예방접종 확대로

감염병 예방 및

건강수준향상

편의제공과 접종률

향상으로

구민건강증진

〃 9,330 9,330

국비 2,770

시비3,662

구비2,898

- 18 -

건강관리과

(성과관리 체계도)

전 략 목 표 성 과 목 표 주 요 사 업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를 통한구민 건강증진

1 생활행태 개선으로 건강생활습관형성

1. 5가지즐거운건강체크!대사증후군관리(공약)

2. 담배연기 없는 건강도시 강서 구현

3. 금연성공! 금연클리닉 운영

4.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영양플러스

5. 굿바이,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2 영유아와 모성의 건강증진 및출산장려지원

6. 우리아이 건강 첫걸음

7. 행복한 산모, 건강한 출산

8. 모자보건 관련 의료비 지원

3 취약계층 건강관리능력 향상 9. 청소년 정신건강 진단서비스 제공(공약)

10. 가가호호! 찾아가는 방문건강관리

11. 암 예방부터 치료까지, 국가암관리

12. 치매, 두려움을희망으로! 치매지원센터운영

13. 마음돌봄!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14. 생명사랑, 자살예방

- 19 -

1 5가지 즐거운 건강체크! 대사증후군관리 공약사업

대사증후군을 조기 발견, 관리하는 통합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여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함.

□ 추진방향

○ 대사증후군 사업참여자 추구관리율 향상

○ 대사증후군 관리사업과 지역사회 자원과의 협력체계 구축

○ 전문상담인력의 역량 강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내용

- 대사증후군 검진 및 등록관리, 찾아가는 건강원스톱 운영

- 평일 보건소 방문이 어려운 구민을 위해 토요 열린보건소와

찾아가는 건강상담실 운영

-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 운영, 나트륨 저감 실천운동 전개

○ 소요예산 : 430,185천원(시비 19%, 구비 81%)

□ 2018년 이행목표

○ 대사증후군 검진 : 10,900명

○ 대사증후군센터 등록관리 : 5,700명

○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운영 : 16회

○ 나트륨 저감 실천운동 전개

- 어린이집·지역아동센터 대상 나트륨 저감화 교육 : 26개소

- 염미도 측정코너 운영 및 상담 : 500명

- 저염 참여 음식점 확대 : 80개소

- 20 -

□ 추진계획

세부로드맵 사업기간 사업비(백만원)

진도율(%) 비 고

대사증후군 검진 및 등록관리 연 중 430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운영 3월 ~ 12월 0

건강신호등 운영 3월 ~ 12월 0

싱겁게 먹기 교육 3월 ~ 12월 0

염미도 측정 코너 운영 3월 ~ 12월 0

□ 추진상 문제점 및 효율적 이행방안

○문 제 점 : 대사증후군 6개월, 12개월 추구관리율의 향상을 위한 전략 필요

○이행방안

- 보건소 내 및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한 사업 수행, 질 관리를 통하여

추구 관리율 제고

- 교육자료 개발 및 홍보로 대사증후군 지속적 인식 개선 도모

- 자발적 검진 참여 동기부여 및 인센티브 적용 방안 모색

□ 추진실적

이행목표 단위누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대사증후군검진 명 53,000 35,295 10,300 10,593 10,300 10,777 10,600 14,131 10,900 13,590 10,900

대사증후군등록 명 26,000 20,870 5,000 6,302 5,200 6,536 5,400 8,090 5,400 6,248 5,700

나트륨저감교육 개소 184 112 80 60 26 26 26 26 26 27 26

염미도측정 명 2,000 2,033 500 673 500 673 500 675 500 500 500

저염참여음식점확대 개소 250 156 20 30 35 54 50 72 65 80 80

- 21 -

2 담배연기 없는 건강도시 강서 구현 일반사업

금연 환경 조성 및 관리, 흡연예방 교육, 금연 홍보를 통해 간접흡연

피해로부터 구민의 건강을 보호하고자 함

□ 추진방향

○ 금연구역에 대한 지도·점검 및 흡연자 단속 강화, 금연구역 지정 관리

○ 아동․청소년, 직장인 등 대상으로 흡연 예방 교육 실시

○ 캠페인 및 각종 매체를 활용한 금연 홍보 강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목표 및 내용

세부사업 명 목표 내용

금연구역 지도 점검 6,000건 금연구역시설기준 이행상태지도점검 등

흡연자 단속 1,000건 금연구역 내 흡연자 단속 및 과태료 부과

흡연 예방 교육 80회 학교, 사업장 등에 강사파견하여 아동, 청소년, 직장인등대상흡연예방교육실시

홍보 및 캠페인 60회 금연구역 등 금연 홍보 및 캠페인

청소년 흡연예방지킴이 운영 150명 중 고등학생흡연예방지킴이 위촉및 활동

○ 소요예산 : 379,621천원 (국비 29%, 시비 9%, 구비 62%)

□ 추진계획

○ 금연 환경 조성 및 관리 : 1월 ~ 12월

- 금연구역 표지판 설치 등 시설 기준 준수여부 지도․점검 및 보완 관리,

흡연자 단속, 금연구역 추가 지정관리

○ 흡연예방 및 금연 교육 : 2월 ~ 12월

-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사업장, 복지관 및 모자보건․건강증진사업 연계한 교육 실시

○ 금연 홍보 : 1월 ~ 12월

- 청소년 흡연예방지킴이 운영, 금연홍보물 제작·배포 및 캠페인 활동, 각종

매체 활용 홍보

□ 기대효과

○ 흡연의 유해성 및 금연구역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한 금연문화 정착

○ 금연 환경 조성 및 관리를 통한 간접흡연 피해 방지

- 22 -

3 금연성공! 금연클리닉 운영 일반사업

흡연자의 금연실천을 위한 금연지원서비스 제공으로 금연성공률을 높여

지역사회 흡연율을 감소시키고 구민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함

□ 추진방향

○ 금연클리닉 운영 홍보 및 보건소 사업 대상자 연계를 통한 흡연자

금연클리닉 등록률 제고

○ 학교, 사업장 등 방문 및 토요일 금연클리닉 운영으로 금연 실천 접근성 향상

○ 흡연자에 대한 맞춤형 금연 상담 및 지원, 치료, 지속관리로 금연성공률 제고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목표 및 내용

세부사업 명 목표 내용

금연클리닉 등록관리 2,800명 흡연자 등록 및 금연 지원

금연 치료 지원 200건 금연치료상담진료및금연의약품처방

찾아가는생활터금연클리닉운영 8개소/350명 사업장 등 연계한 출장 금연 지원

찾아가는청소년금연교실운영 10개교/200명 학교연계를통한흡연청소년금연지원

토요열린보건소금연클리닉운영 22회/630명평일 내소가 어려운 흡연자 대상

토요일 금연 지원 및 관리

○ 소요예산 : 289,581천원 (국비 23%, 시비 7%, 구비 70%)

□ 추진계획

○ 금연클리닉 운영 : 흡연자를등록하여1:1금연상담및보조제제공, 치료등지원․관리,

흡연 청소년 금연 상담·교육 프로그램 운영(5회)

○ 출장 금연클리닉 : 찾아가는 생활터 금연클리닉(1개소 당 4회), 찾아가는 청소년 금연

교실 (1개교 당 4회), 출장기관 금연 및 흡연예방 교육 지원

○ 토요 금연클리닉 : 매월 1․3주 토요일(09:00~13:00) 금연클리닉 운영

□ 기대효과

○ 금연 지원을 통한 지역사회 흡연율 감소

○ 금연 실천으로 구민의 건강증진 및 건강수명 연장에 기여

- 23 -

4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영양플러스 일반사업

취약계층 임산부 및 영유아의 영양위험요인(빈혈, 저체중, 영양불량)등을 개선하고,

보충식품 공급과 지속적인 영양교육으로 건강수준 및 식생활관리 능력 향상

□ 추진방향

○ 취약계층 임산부 및 영유아의 영양문제(빈혈, 저체중, 영양불량) 해소

○ 식생활 관리를 할 수 있는 건강한 식습관의 지식능력 배양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내용

- 보충식품 제공 : 우유 주3회, 기타식품 월 2회 배송

(보충식품 : 대상구분 및 특성에 따라 6종 식품패키지 중 1개 패키지 제공)

- 영양교육 및 영양평가 : 단체교육, 소그룹교육, 개인상담, 정기적인 영양평가

- 가정방문을 통한 식생활관리 : 식품보관상태 확인, 영양상담 등

- 식품 및 배송업체 관리 : 매월 식품검수 및 배송상태 점검

○ 소요예산 : 282,480천원(국비36%, 시비11%, 구비53%)

□ 추진계획

○ 대상자 모집 및 사업설명회 : 분기별 1회

○ 단체 영양교육 및 개인 상담 : 월 1회

○ 보충식품 공급 : 월 1~2회

○ 가정 방문 : 대상자 선정 후 최소 1회 이상

○ 정기적 영양평가 : 대상자 등록 전, 등록 후 6개월 시점

- 빈혈검사, 신체계측, 영양섭취상태조사, 기타 영양위험요인

□ 기대효과

○ 취약계층 임산부 및 영유아의 건강 형평성 제고 기여

○ 영양교육을 통한 올바른 식습관 형성으로 평생건강 유지

- 24 -

5 굿바이, 아토피 ․천식 예방관리 일반사업

어린이 대상 기관 단위의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사업을 통해 알레르기성

질환 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고 안심학교 중심의 건강 생활환경을 조성하고자 함.

□ 추진방향

○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교육 및 홍보

○ 생활환경개선을 통한 질환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건강생활환경 조성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대상 : 안심학교 아동 및 가족, 지역구민

○ 소요예산 : 27,000천원 (국비50%, 시비15%, 구비35%)

□ 추진계획

○ 아토피․천식 안심기관 선정 및 운영

- 알레르기 질환 실태조사 및 아토피 환아 건강관리

- 아토피․천식 안심기관 대상자 별 교육

▶ 알레르기 질환 교육 (동화구연, 탈 인형극 등)

- 아토피·천식 안심학교 인증 지원

○ 아토피․ 천식 예방관리 홍보

□ 기대효과

○ 아토피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통해 인식변화 유도 및 인지도 향상

○ 알레르기질환 예방교육으로 아토피질환 자가관리 능력의 향상

- 25 -

6 우리아이 건강 첫걸음 일반사업

전문인력이 출산 가정을 방문하여 체계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임산부 및 영유아의 건강수준 향상 및 양육 역량 증진에 기여

□ 추진방향

○ 관내 출산가정을 방문하여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함으로써 모든 아동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공평한 출발 실현

○ 건강관리 뿐 아니라 필요시 보건소 사업 및 동주민센터 복지서비스 등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통합 서비스 관리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대상 : 출산 6주 이내의 임산부 및 영유아

○ 추진방향 : 보건소 등록임산부 및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대상자 발굴, 등록

○ 소요예산 : 186,893천원 (시비100%)

□ 추진계획

○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 신생아 건강관리(신체계측, 성장수준, 황달, 청력, 예방접종 등)

- 산모 건강관리(유방/유두, 오로, 영양/식사, 흡연, 음주 등)

- 산모 우울 평가, 사회심리적 상태 평가

○ 부모교육 및 육아상담

- 모유수유/분유, 우는 아이 달래기(DVD 교육), 신생아 수면, 모아 상호작용

- 산모가 궁금해 하거나 걱정되는 점에 대해 경청, 상담

○ 보건소 사업 및 지역사회 연계

- 보건소 사업 연계(정신건강복지센터, 모자보건의료비지원, 영양플러스 등)

- 동주민센터 복지플래너 의뢰(동행방문 포함), 복지서비스 및 타기관 연계

○ 엄마모임

- 서울아기 등록임산부 대상 육아정보교환, 상담 및 교육 실시

□ 기대효과

○ 임산부·영유아 건강수준 향상을 통한 건강불평등 해소

○ 지역사회 자원을 이용한 체계적, 통합적 서비스 지원

- 26 -

7 행복한 산모, 건강한 출산 일반사업

임산부의 산전· 산후관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분만을

유도하고 태아와 모성의 건강증진도모

□ 추진방향

○ 임산부의 등록율 향상을 통해 체계적인 산전․산후 건강관리

○ 영유아의 발달시기별 건강관리를 통해 기초건강 확보와 건강증진 도모

○ 가임기 여성의 출산친화적 문화 조성으로 출산율 향상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대상 : 임산부․영유아 및 가임기 여성

○ 총사업비 : 139,768천원(국비50%, 시비15%, 구비35%)

□ 주요내용

○ 임산부건강관리

- 임산부 등록관리, 임산부 건강검진(모성, 풍진, 임신성 당뇨검사 등)

- 태아기형아 검사, 초음파 검사, 철분제 및 엽산제 지급 등

○ 모자 건강교실 운영 : 모유수유교실

○ 모유수유 클리닉 운영 : 수유 시 발생하는 문제점 전문가 1:1상담

○ 예비부부 및 신혼부부 건강검진

- 관내 신혼부부 및 예비부부를 대상으로 풍진(여), B형간염, 빈혈, 당뇨,

성병 및 에이즈, 흉부 X-ray

○ 유축기 연중대여

○ 산후조리원 지도 관리

- 신규 산후조리원 개설 및 변경 신고 처리

- 지도점검 : 연4회 정기점검 및 수시점검을 통하여 인력 기준 및 시설 준수 여부,

감염예방 관리 등 점검

□ 기대효과

○ 모성 및 영유아 건강 보호 및 증진 구현

- 27 -

8 모자보건 관련 의료비 지원 일반사업

난임부부, 미숙아 등의 의료비 및 건강검진비 지원을 통하여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키고 저출산을 극복하며 모자보건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

□ 추진방향

○ 임신․출산․육아 지원을 통한 출산율 제고 및 건강수준향상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대상 : 난임부부 및 저소득 가정, 의료급여수급권자 등

○ 소요예산 : 1,785,412천원 (국비 38%, 시비 32%, 구비 30%)

□ 추진계획

○ 모자보건사업 보조인력비 : 22,440천원(국:시:구=30:35:35)

○ 난임부부 시술비(체외수정) 지원 : 131,632천원(국:시:구=30:35:35)

○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 170,511천원(국:시:구=30:35:35)

○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환아관리 : 182,000천원(국:시:구=30:35:35)

○ 난청조기진단 : 15,163천원(국:시:구=30:35:35)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 115,200천원(국:시:구=30:35:35)

○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 : 466,666천원(국:시:구=30:35:35)

○ 청소년 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 4,800천원(국:시:구=50:25:25)

○ 영유아건강검진및발달장애아동정밀검사비지원: 11,240천원(국:시:구=50:25:25)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624,480천원 (국:시:구=50:25:25)

○ 영유아 발달지원서비스 : 41,280천원(국:시=50:50)

□ 기대효과

○ 저출산 극복 및 산모․신생아 건강수준 향상

- 28 -

공약사업 이행목표단위

누계 2014 2015 2016 2017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인터넷, 스마트폰과다사용 실태조사 명 1,000 612 - - 1,000 612 - - - -

정신건강상담 및사례관리 명 7,400 5,722 1,000 1,352 1,000 1,000 1,800 2,101 2,100 2,210

인터넷중독․정신건강예방교육 명 7,850 10,784 1,750 1,768 1,500 2,027 1,500 3,322 3,300 4,943

인터넷중독․정신건강집단프로그램 명 2,230 1,803 400 473 480 504 400 433 400 519

정신건강지원기관네트워크 회 20 68 4 4 4 7 4 30 30 41

9 청소년 정신건강 진단서비스 제공 공약사업

아동·청소년기 정신건강 문제의 예방, 조기발견 및 상담·치료를 통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의 성장 발달 지원

□ 추진방향

○ 문제 행동의 조기 발견 및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 대상별 예방교육 및 인식개선 활동을 통한 자율적 조절능력 강화

○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고위험 청소년 상담지원 및 사회참여 활성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규모 : 아동·청소년 및 가족

○ 사업내용 : 고위험군 상담 및 사례관리, 예방교육, 집단 프로그램 운영

○ 소요예산 : 10,000천원(구비 100%)

□ 2018년 이행목표

구분 정신건강상담

및 사례관리정신건강예방교육(학생,학부모,교사등)

집단프로그램(가족캠프 등)

네트워크구축(간담회 등)

목표 2,100명 4,500명 450명 30회

□ 추진계획

○ 예방 및 인식개선 : 유치원·학교 대상 예방교육, 캠페인

○ 고위험군 상담 및 프로그램 운영 : 찾아가는 상담, 집단프로그램, 가족캠프 등

○ 협력체계 및 기반조성 : 유관기관 간담회, 사업설명회

□ 추진상 문제점 및 효율적 이행방안

○ 학교 밖 청소년 및 은둔형 고위험군 청소년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필요

○ 찾아가는 전문상담사 활용 및 유관기관과의 연계체계 구축을 통한 개입

□ 추진실적

- 29 -

구   분 찾동 방문건강관리사업사례관리 전달체계 개선사업

(통합 방문건강관리사업)

사업기간 연 중 연 중

사업목표 건강수명 연장취약계층의 건강인식 제고,

자가건강관리능력 향상

사업대상65세 이상 어르신

(65세 ž 70세 도래 어르신 필수)

건강문제가 있는 취약계층 주민

(수급자, 다문화가정 등)

추진인력

찾동 방문간호사 20명 통합 방문간호사 5명

- 방문간호사 전원 동 주민센터에 배치

ž 동 방문간호사는 찾동 및 통합 방문건강관리 업무를 동시 수행

(1인 1동이나 취약계층이 밀집한 4개 동은 통합방문간호사 1~2인 추가 배치)

추진체계 서울시→보건소→동주민센터 보건복지부→서울시→보건소

사업내용

- 보편적, 포괄적 건강관리      

ž 건강문제 평가

ž 평가결과를 근거로 건강 설계

ž 방문건강관리서비스제공

ž 보건소 내ž외 자원 연계 등

- 선택(취약계층)방문건강관리

ž 건강위험요인 및 건강문제 스크리닝

ž 방문건강관리서비스제공

ž 보건소 내ž외 자원 연계 등

소요예산791,762 천원

(시비 100%)

206,310천원

(국비50% , 시비15% , 구비35% )

10 가가호호! 찾아가는 방문건강관리 일반사업

동 주민센터를 기반으로 어르신의 예방적 건강실현을 위한 보편 가정방문과

건강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를 통하여 건강수명 연장 및 건강

형평성 제고에 기여

□ 추진근거

○국민건강증진법 제3조, 제19조

○지역보건법 제11조 1항 5호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2단계 사업 시행 자치구 선정(서울시 자치행정과-20071, 2015. 9.18.)

□ 사업개요

- 30 -

구 분 세부추진내용

대상자 등록․관리

․65세 ž70세도래 어르신의 건강 평가 및 취약계층 건강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건강문제(증상) 조절 여부에 따라 집중 관리군,

정기관리군, 자기역량지원군으로 분류하여 등록관리

방문간호서비스

․집중관리군 : 2~4개월에 6~10회 방문하여 집중관리 서비스 제공

․정기관리군 : 2~6개월에 1회 방문하여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자기역량지원군 : 6개월~1년에 1회 방문하여 서비스 제공

지역사회 자원

연계 처리

․방문간호사가 해결할 수 없는 복합적인 건강 및 복지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사회 자원을 발굴하고 지원 및 연계

소규모 집단

프로그램 운영․만성질환 및 허약노인 관리 소규모 집단 프로그램 운영

상담실 운영․동 주민센터 방문 민원에 대해 필요시 혈압ž혈당 측정 및 건강

상담

방문간호사 교육․업무 추진 모니터링 및 방문간호사 역량 강화를 위한 월 2회

직무교육 및 사례관리 발표

□ 추진계획

□ 기대효과

○찾아가는 서비스 제공으로 사각지대의 신규대상자를 발굴하여 관리함으로써

건강 형평성 제고

○노년기 연령별 맞춤 건강관리로 지역의 건강수준 향상 및 건강수명 연장

○보건 복지 연계 서비스 제공으로 공공 의료 서비스 효과 극대화

- 31 -

11 암 예방부터 치료까지, 국가암관리 일반사업

암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를 유도하고 치료비를 지원함으로써 암의 치료율을

높이고 사망률을 감소시켜 지역주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 도모

□ 현황 및 추진방향

○ 암 예방·홍보 및 정보관리 체계 구축

○ 저소득층에 대해서 국가암 조기검진 및 암환자 치료비 지원

□ 사업개요

1) 국가암 검진비 지원

○ 사업기간 : 연 중

○ 지원대상 : 의료급여 수급자, 건강보험가입자 하위50%○ 검진항목 : 국가5대암(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 검진절차

- (검진대상자)지정 의료기관에서 검진 → (보건소) 건강보험공단에 검진비 예탁

→(의료기관) 공단으로 청구→ (공단) 의료기관에 지급

○ 추진계획

- 암 검진 수검률 향상(45% → 45.5%)

- 암 검진 사후관리(유소견자 재검 독려/수시)

- 암 검진 홍보 및 캠페인(연 3회)

○ 소요예산 : 1,021,306천원(국비 30%, 시비 35%, 구비 35%)

2) 암환자 의료비 지원

○ 사업기간 : 연 중

○ 지원대상

- 의료급여 수급자(전체 암 종), 소아암환자(전체 암 종/소득·재산기준 적합자)

- 건강보험가입자(국가암검진을 통한 암확진자 및 폐암/건강보험료 하위 50%)

○ 지원금액

- 의료급여 수급자최대 220만원(급여 최대 120만원, 비급여 최대 100만원)

- 건강보험가입자 급여 최대 200만원

- 소아암환자 백혈병 최대 3천만원, 그 외 암 최대 2천만원

○ 소요예산 : 542,060천원(국비 30%, 시비 35%, 구비 35%)

- 32 -

12 치매, 두려움을 희망으로! 치매지원센터 운영 일반사업

치매 조기발견 및 치료, 인지재활프로그램을 통해 노년기 치매예방 및 뇌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치매환자 및 가족의 부양 부담감 감소 및 중증악화 방지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함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대상 : 관내 만 60세 이상 지역주민, 치매환자 및 가족

○ 운영방법 : 민간위탁(위탁운영기관 : 학교법인 이화학당)

○ 운영인력 : 12명(신경과 전문의1, 간호사5, 사회복지사2, 작업/미술치료사2, 운동처방사2)

○ 총사업비 : 890,507천원

- 치매지원센터 운영비 : 735,000천원(국비 50%, 시비 25%, 구비 25%)

-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 : 141,907천원(국비 30%, 시비 35%, 구비 35%)

- 치매원인확진 검사비 : 12,000천원(국비 50%, 시비 15% , 구비 35%)

- 시책업무추진비 : 1,600천원(구비100%)

□ 추진계획

구 분 세부추진내용

치매등록관리 치매환자 발굴및 가족모임, 상담서비스, 조호물품 제공 등

치매조기검진사업

선별검진 : 만60세 이상 대상자

정밀검진 : 선별검진자 중 인지 저하대상자

원인확진검사 : 정밀검진 상 치매 진단자 MRI검사

치매예방인식개선사업교육 및 홍보자료 보급홍보 프로그램 시행 및 언론홍보

인지건강센터 운영 작업, 미술, 음악, 원예치료 등 인지프로그램 운영 등

지역사회 자원강화 지역 자원연계, 자원봉사자 양성 및 운영

의료비지원사업저소득층 원인확진 검사비 지원

저소득층 치매치료비 지원

운동치료실 운영신체능력 검사, 인지기능 단계별(치매군, 치매고위험군, 정상군)

운동프로그램 운영

□ 기대효과

○ 치매선별검진 인지 저하자에 대한 지속관리로 치매 이환률 낮추는 계기 마련

○ 치매대상자 발굴 및 치매치료비 지원으로 가족의 정신적, 육체적 부담 경감

○ 치매예방 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일상생활 속 치매예방실천 증진

- 33 -

13 마음돌봄!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일반사업

통합적인 정신건강·복지서비스 체계를 구축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촉진하고 정신건강 자가관리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정신건강증진에 기여

□ 추진근거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제12조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신건강증진사업등의 추진 등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제15조

-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설치 및 운영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관내 정신장애인 및 가족, 지역주민, 유관기관

○ 운영방법 : 민간위탁(위탁운영기관 :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 운영인력 : 14명(정신과 전문의1, 정신건강사회복지사11, 사회복지사2)

○ 사업내용 :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사업,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사업

○ 소요예산 : 619,416천원 (국비4%, 시비46%, 구비50%)

□ 추진계획

○ 정신건강돌봄사업(중증 정신질환자 관리사업)

- 등록관리(사례관리), 재활프로그램, 가족모임, 회복대회, 응급개입 등

○ 정신건강증진사업

- 우울·자살·알코올 선별검진, 예방교육 및 고위험군 집단 프로그램

- 주민참여형 정신건강 돌봄시스템 운영(헬스리더, 청춘두레단, 회복자 동행방문)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사업

- 심층사정평가, 정신건강 예방교육 및 프로그램(우울, ADHD 등)

□ 기대효과

○ 중증정신질환자의 만성화를 방지하고 지역사회 통합으로 삶의 질 향상

○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를 통해 구민의 정신건강 증진

- 34 -

14 생명사랑, 자살예방 일반사업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 밀착형 자살예방 안전망을 구축하고 자살 고위험군을

조기 발견하여 신속하게 위기개입 함으로써 자살률을 낮추고 생명사랑

문화를 조성하고자 함

□ 추진근거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 서울특별시 강서구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조례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지역주민, 자살시도자 및 그 가족, 자살자 가족 등

○ 소요예산 : 110,000천원(시비 100%)

□ 추진계획

○ 범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 자살관련 사회 인식 개선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 자살위험 환경 개선

○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지역사회 자살대응 역량 강화,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 자살예방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 기대효과

○ 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자살예방 활동을 통해 생명존중문화 확산

○ 민·관 협력을 통해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고,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개입을 통해 자살률 감소에 기여

- 35 -

소요예산 총괄

(단위 : 백만원)

연번 사 업 명 사 업 개 요사 업

기 간

소 요 예 산 재원

(국비,

시비,

구비)

(②)

비고계

기투자

(①)

2018년

예 산

향 후

투 자

총 계 7,710 7,710국비 2,038시비 2,940구비 2,732

1 대사증후군관리

대사증후군조기발견및관리

연중 430 430시비 83구비 347

공약사업

2담배연기없는건강도시강서

구현

금연환경조성및흡연예방

연중 380 380국비 111시비 33구비 236

3금연성공!

금연클리닉운영금연클리닉

운영연중 289 289

국비 67시비 20구비 202

4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영양플러스

보충식품공급및식생활관리능력향상 연중 282 282

국비 102시비 31구비 149

5 아토피․천식예방관리

아토피․천식예방관리 연중 27 27

국비 13시비 4구비 10

6 우리아이건강 첫걸음

출산가정방문건강관리

연중 187 187 시비 187

7 행복한 산모건강한 출산

임산부,영유아건강관리 연중 140 140

국비 69시비 22구비 49

8모자보건관련

의료비 지원

난임부부외의료비지원9종의료비지원

연중 1,785 1,785국비 672시비 567구비 546

9청소년정신건강진단서비스

제공

게임중독 상담 및치료 연중 10 10 구비 10

공약사업

10가가호호!찾아가는

방문건강관리

취약계층및어르신

방문건강관리연중 998 998

국비 94 시비816

구비 88

- 36 -

연번 사 업 명 사 업 개 요사업

기간

소 요 예 산 재원

(국비,

시비,

구비)

(②)

비고계

기투자

(①)

2018년

예 산

향 후

투 자

11암 예방부터치료까지,국가암관리

국가5대암검진 및

의료비지원연중 1,563 1,563

국비 469시비 547구비 547

12치매,두려움을희망으로!

치매지원센터운영치매지원센터 운영 연중 890 890

국비 416시비 235구비 239

13마음돌봄!

정신건강복지센터운영

정신건강복지센터운영

연중 619 619국비 25시비 285구비 309

14 생명사랑,자살예방

자살예방 및고위험군 등록관리

연중 110 110 시비 110

- 37 -

의 약 과

(성과관리 체계도)

전 략 목 표 성 과 목 표 주 요 사 업

건강한 미래를 약속하는선진의료 실현

1. 의료관광 활성화 지원 1. 양․한방 의료관광 사업 활성화(공약)

2. 강서 미라클메디 특구 조성(공약)

2. 건전한 의료질서 확립 3. 효율적이고 안전한 의약업소 관리

3. 구민이 만족하는 의료서비스 4. 한방 친화적 건강도시, 강서 만들기

5. 생활 속의 건강검진

6. 4분의 기적 응급의료 관리

7. 치아건강 백세까지 구강보건사업

4. 의약품 안전사용 관리 8. 건강한 의약품 관리

5. 구민진료 9. 주민과 함께하는 화곡보건분소

- 38 -

1 양․한방 의료관광 사업 활성화 공약사업

특화(척추, 관절, 불임)된 의료기술로 외국인환자 유치를 극대화하고

전통의학인 한방을 접목하여 의료관광 사업범위를 확대함으로써 국제

의료관광도시 구현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추진방향

○ 지속적인 외국인환자 유치 및 양․한방 의료관광 사업 활성화

○ 외국인환자 유치 확대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 2018년 이행목표

○ 외국인환자 유치 3,000명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대 상 : 강서 미라클메디 특구협의회 등

○ 소요예산 : 107,280천원(구비)

□ 추진계획

○ 국내외 의료관광 홍보 마케팅

- 해외 의료설명회, 박람회 참가, 온오프라인 홍보 마케팅, 신시장 발굴

○ 한방 및 소규모의원 참여 확대 방안 마련

- 외국인환자 유치 등록 독려 및 행정․제도적 지원

○ 의료관광 네트워크 관리

- 홈페이지 유지보수(특구사업 추가, 통계 수치, 홍보 등)

○ 양․한방 의료관광 상품 운영

- 의료관광 정보 코스 개발 및 운영, 홍보물제작 등

□ 추진실적

○ 민․관 해외 공동설명회

- 러시아 하바롭스크, 사할린, 블라디보스톡(2012, 2013, 2014, 2017)

- 미국 뉴욕, 뉴저지(2012), 베트남 하노이(2012)

- 카자흐스탄 알마티(2013), 몽골 울란바타르(2013, 2014, 2017) 중국 선전시 뤄후구

(2015), 중국 대련시 사하구구(2016)

○ 해외의료진/에이전시 초청설명회(2013), 의료관광 포럼개최(2014, 2015)

- 39 -

2 강서 미라클메디(Miracle-medi) 특구 조성 공약사업

특화사업 추진을 통해 우리구의 강점을 극대화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

하여 의료관광 인프라를 확충함으로써 고품격 국제 의료관광도시 구현

□ 추진방향

○ 공항거점 의료시설 집적지역(강서로, 공항대로) 메디컬 클러스터화

○ 브랜드가치 향상 및 관광산업 연계를 통한 활성화 도모

○ 특화사업 추진, 규제특례 적용으로 고품격 국제의료관광허브도시로 발돋움

□ 2018년 이행목표

○ 강서 미라클메디 특구 조성 ⇨ “고품격 국제 의료관광 허브도시 구현”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소요예산 : 101,250천원(구비)

□ 추진계획

○ 특구활성화 지원(인증획득 지원, 편의시설 확충 정비 등)

○ 의료관광특구협의회(의료, 유치, 쇼핑, 숙박, 외식) 구성 강화 및 운영

○ 강서 미라클메디(의료관광)특구 축제 개최

○ 의료브랜드강화사업, 의료관광 투어버스 사업, 의료관광 연계사업

○ 간판 및 안내시설 등 외국어 표기

□ 추진실적

○ ’15. 9. : 특구지정 신청(강서구 → 중소기업청)

○ ’15. 11. : 특구지정 확정(제35차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 중소기업청)

○ ’16. 6. : 특구협의회 구성 및 운영, 방문, 위촉, 간담회 개최

○ ’16. 7. : 강서 미라클메디 특구 규제특례 운영지침 마련

○ ’16. 6. : 2016 소비자평가 국가대표브랜드 大賞 수상(의료관광 도시부문)

○ ’17. 2. : 규제특례 완화(서울스타병원 신축, 건폐율 54%,용적률375%)

○ ’17. 3. : 특구협의회 정기총회 개최

○ ’17. 6. : 2017 소비자평가 국가대표브랜드 大賞 수상(의료관광 도시부문)

○ ’17. 11. : 2017 지역특구 서울시최초우수특구 선정(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수상)

- 40 -

3 효율적이고 안전한 의약업소 관리 일반사업

의료·약업소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의약품 등의 적정한 유통관리를

통하여 올바른 유통질서 확립과 구민의 건강증진

□ 추진방향

○ 의약업소 자율점검 정착으로 책임과 의무 부여

○ 건강 위해 요소 중심 밀착 감시로 효율적 보건 의료 행정 실현

○ 부정불량 의약품 근절 및 유통 질서 확립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규모 : 3,080개소, 850대

계 의료기관 의료유사업 약업소 의료기기판매·수리 마약류취급업소진단용

방사선장치

3,930 775 151 650 662 842 850

○ 소요예산 : 비예산

□ 추진계획

○ 의료기관 및 의료유사업소 관리

- 의료기관 및 의료유사업소 자율점검 추진(상/하반기 2회)

-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 의료광고 등 기획 조사

- 국가건강검진 기관 지정, 건강진단 신고 처리

- 진단용방사선 발생장치, 특수의료장비 적정 운영 감시

○ 약업소, 의료기기 판매·수리업소, 마약류취급업소 지도 관리

- 약업소, 의료기기 판매·수리업소, 마약류취급업소 자율점검 추진(2회)

- 무자격자 조제·판매행위, 의료기기 허위 관대 광고 근절

- 마약류 보관, 취급, 기록 등 적정여부 점검

□ 기대효과

○ 보건 의료서비스 질적 향상으로 구민 건강 증진에 기여

- 41 -

4 한방 친화적 건강도시, 강서 만들기 일반사업

전통의료를 이용한 한의약적 건강증진 방안을 제시하여 구민의 한방의료

수요 충족으로 삶의 질 향상과 한방 건강도시로의 구 이미지 제고에 적극 기여

□ 추진방향

○ 지역주민의 한의약적 건강관리법에 대한 인식제고

○ 만성 퇴행성질환의 예방․관리를 위한 한의약건강증진 프로그램 제공

○ 지역아동센터와 인근 한의원간의 1:1 주치의제도 운영으로 건강증진도모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목표 : 건강증진프로그램 운영 3,000명, 한방주치의사업 300명

○ 소요예산 : 89,616천원(국비 28%, 시비 9%, 구비 63%)

□ 추진계획

○ 기공체조교실 운영

- 기공을 통한 몸과 마음의 단련으로 건강 증진

○ 중풍예방교실 운영

- 질환 인식 고취 및 중풍예방법 교육

○ 허준건강교실 운영 지원

- 한의학적 접근을 통한 건강관련 다양한 강좌 구성

○ 지역아동센터 한방주치의 운영

- 사업설명회를 통한 센터의 참여여부 파악

- 지역아동센터와 주치한의원간의 1 : 1연계 한방진료서비스 제공

□ 기대효과

○ 각 생애주기 반영 및 건강위험요인을 개선

○ 구민 만성․퇴행성 질환의 사전예방 및 완화에 기여

○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직접적 의료복지 실현

○ 관내 한의원 연계 및 지역자원을 활용한 구민 건강증진

- 42 -

5 생활 속의 건강검진 일반사업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구민의 건강증진, 질병의 조기발견 및 치료유도

의료비 절감으로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능력 배양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추진방향

○ 구민중심의 편의성과 건강증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구축

○ 자조적인 건강관리 능력이 부족한 지역 내 건강취약계층을 발굴

○ 국가건강검진사업과 연계하여 건강정보 제공 및 보건의식 함양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소요예산

- 구민건강검진,암표지자, A․C형간염, 국민건강검진, 외국인건강검진,북한이탈주민

건강검진, 지역아동센터아동무료건강검진, 일반검사: 193,253천원(구비)

- 의료급여수급권자: 80,220천원(국비 50%, 시비 25%, 구비 25%)

- 국가건강검진 사후관리 : 비예산

사 업 명 검 진 대 상 목 표 비 고

구민건강검진 관내 거주 30세 이상 구민 300명강서구민만

가능한 특화검진

암표지자,A·C형간염 관내 거주 20세 이상 구민 500명

골밀도사업 관내 거주 45세↑여성, 70세↑남성 2,000명

국민건강검진 건강보험공단 검진 대상자 300명 일반,구강검진

의료급여수급권자건강검진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19~39세 세대주, 41~64세 세대주와 세대원

연간대상자의 33% 건강검진비 지원

생애전환기건강검진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만 40, 66세 도래한 자 연간

대상자의 35% 건강검진비 지원

북한이탈주민 및 외국인 건강검진

강서구 주거 배정 받은 북한이탈주민, 관내 거주 외국인 및 근로자, 다문화가족전체구성원 70명 서울서부하나센터

지역아동센터 아동 무료 건강검진 관내 16개 지역아동센터 소속 아동 100명

국가건강검진 사후관리 국가건강검진자 중 검진사후관리 동의서 작성자 20,000건 대상자 분류 및 관련

건강사업 연계

□ 기대효과

○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 기회 부여를 통한 구민의 건강증진과 건강한 삶에 기여

○ 건강증진 사업 연계를 통한 사후관리 및 건강관리 능력 향상

- 43 -

6 4분의 기적 응급의료 관리 일반사업

돌연 심정지 등 응급상황 발생시 구민들의 사전 대처능력을 향상

시킴으로써 생존율 향상은 물론, 사고로 인한 후유증을 최소화하여

구민의 건강과 생명보호에 적극 기여

□ 추진방향

○ 응급처치 홍보 및 CPR(심폐소생술) 교육 강화

○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확대 및 관리 강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규모 : 응급처치교육 21,000여명, 자동심장충격기 관리 289대

○ 사업내용 : 심폐소생술 요령 및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 소요예산 : 80,598천원(시비 12%, 구비 88%)

□ 추진계획

○ 응급처치교육

- 대 상 : 21,000여명(교육이수 의무대상자, 보육교사, 학생, 일반구민)

- 내 용 : 심폐소생술(CPR) 교육 및 실습,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 응급처치 상설 교육장 운영

- 장 소 : 보건소 3층 상설교육장

- 장 비 : 애니 - 20대, 연습용 자동심장충격기 - 10대

- 교육내용 : 심폐소생술(CPR) 교육 및 실습,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 자동심장충격기 관리

- 관리대수 : 289대

- 관리방법 :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시설별 월1회 자체 점검 실시

(‘응급의료 정보 제공’ 앱(app)이용하여 점검 실시)

□ 기대효과

○돌연 심정지 등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능력 향상

○구민의 건강과 생명 보호

- 44 -

7 치아건강 백세까지 구강보건사업 일반사업

예방 및 교육 중심의 구강보건사업을 실시하여 건강치아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신체적 기반을 마련하고, 저소득 및 장애인 취약계층에게

직접적인 치료를 지원하여 구강건강 형평성에 기여하고자 함

어린이 및 취약계층 구강보건사업

□ 추진방향

○ 치아우식증에 취약한 어린이에게 전문가 불소도포

○ 치과치료에서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지원

○ 구강보건의 날(6월 9일) 행사로 지역주민에 대한 구강건강사업 홍보

○ 학생 및 아동주치의 사업을 통한 치과의원 연계 구강보건사업

○ 학령기 아동 교육 및 학교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 관리 운영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관내 6세이상 어린이, 관내 장애인 1~4급, 관내 지역주민 등

○ 총사업비 : 227,100천원(국비16%, 시비59%, 구비25%)

□ 추진계획

○ 어린이 불소도포사업 : 6세 이상 어린이

- 초등학교 방문 및 보건소 내소 어린이를 위한 전문가 불소도포

○ 장애인 구강건강관리사업 : 장애인 1~4급

- 주1회 강서구 치과의협회에서 진료실 치과의사 봉사활동 지원

(초기충치 레진치료, 스켈링, 치면세마, 불소도포 등)

○ 구강보건교육 및 홍보사업 : 관내지역 주민 및 직장인

- 구강보건의 날(6월 9일) 홍보행사 및 구강건강관리 교육

○ 학생 및아동치과주치의사업: 4학년아동3,471명및저소득층아동350명

- 학교 구강검진과 연계하여 구강검진, 교육 및 예방진료 서비스 제공

- 저소득층 아동 예방처치 및 주치의 치과의원 치과치료서비스 연계

- 45 -

○ 양치대설치학교 구강보건교육 및 칫솔질 실습

- 학교 내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을 위한 교육 및 관리운영

□ 기대효과

○ 전문가 불소도포를 통한 어린이 치아우식증 예방

○ 치과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에게 실질적인 치과진료 지원

○ 구강건강관리를 교육을 통한 주민 구강건강 향상에 기여

○ 의료취약 계층에 대한 직접적 의료복지 실현

○ 학교 내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을 통한 구강건강생활 습관화 유도

구강보건센터 진료실 운영

□ 추진방향

○ 지역주민을 위한 구강검진, 상담, 진료실 운영

○ 국가건강검진에 따른 구강검진사업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구강진료실 내방 지역주민 및 직장인

○ 총사업비 : 5,000천원(구비)

□ 추진계획

○ 구강검진 및 상담 상시운영

○ 성인구강검진, 영유아구강검진 등 국가구강검진사업

○ 만65세이상 어르신 치근우식증 예방 및 시린이 완화를 위한 불소도포사업

□ 기대효과

○ 지역주민의 구강검진 및 상담을 통한 구강 내 궁금증 해소

○ 구강보건센터 진료실 연중 운영에 따른 공공진료기관 역할 강화

- 46 -

8 건강한 의약품 관리 일반사업

올바른 의약품 사용 문화 확산 및 지리적 접근성이 좋은 약국의 민간

자원 활용을 통한 통합보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구민 건강 증진 도모

세이프약국 운영

□ 추진방향

○ 중복 투약 등으로 인한 약물오남용 감소와 복약 순응도 향상

○ 지역 전문자원(약국) 활용을 통한 건강취약계층의 건강증진 도모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규모 : 참여약국 20개소

○ 소요예산 : 20,000천원(시비)

□ 추진계획

사업순서 추진방법 추진내용

참여약국 선정상담 공간이 완비되고 참여 의지가

있는 관내 약국

상담약사 역량강화 교육

(약력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

포괄적 약력관리

약국 방문자 중 만성질환자 및 다제

병용 복용자로서 약력관리 희망자 프로

그램 등록

처방의약품,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등에 대한 포괄적 복약지도 실시

(보건소 금연클리닉 및 의료기관 연계)

생활밀착형

약물교육

의료수급권자 대상으로 방문 및 유선

상담

약물 오남용율이 높은 고위험군 대상

일대일 방문 복약상담

약력관리비 지급약물 상담이 2회 이상 진행된 경우

상담료 지급

1회~5회 이상 지속적인 대면 상담

관리 및 프로그램 입력

□ 기대효과

○ 올바른 의약품 사용에 대한 자가 관리 능력 제고

○ 통합보건서비스 제공을 통한 흡연율 감소, 자살예방 효과 증대

가정 불용 의약품 수거·폐기

□ 추진방향

○ 가정 내 불용의약품의 약국을 통한 안전한 폐기

○ 의약품 안전 사용 및 폐기 교육을 통한 올바른 의약품 사용 문화 확산

- 47 -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참여약국 : 관내약국

○ 소요예산 : 5,150천원(구비)

□ 추진계획

○ 청소자원과와 연계 폐기 실시

가 정

➡약 국

➡거점약국(40개소)

➡청소자원과

➡소각장

불용의약품

배출복약지도 및 수거 수거 및 보관

월 1회 운반

(마지막 주 수요일)소각처리

○ 가정 불용 의약품 회수처리에 대한 구민 교육 및 홍보 실시

□ 기대효과

○ 불용의약품 안전한 수거 폐기를 통한 환경오염 예방

유해약물 오남용 예방교육 사업

□ 추진방향

○ 마약류 및 유해약물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통하여 오·남용 예방

○ 유해약물 안전관리에 대한 시민의식 강화 및 지역사회 기반 마련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3. ~ 11.

○ 소요예산 : 5,000천원(구비)

□ 추진계획

사 업 명 대 상 교육장소 교육내용

생애주기별 약물오남용

예방교육

유치원, 초․중․고

등학생, 성인, 어르신

학교 등(마약퇴치운동본부연계)

유해약물(술,담배 등)

폐해에 대한 교육

마약류취급자 교육 의료용 마약류취급자 보건소의료용 마약류 관리

방법 등마약류 퇴치 홍보

캠페인구민 지하철 역사 등

불법 마약류 퇴치

캠페인 등

□ 기대효과

○ 유해약물의 올바른 관리 및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지역사회 건강에 기여

- 48 -

9 주민과 함께하는 화곡보건분소 일반사업

지역적 편중으로 불편이 많았던 화곡지역 주민들에게 지속적인 진료상담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공공보건 의료서비스를 제공

□ 추진방향 ○ 화곡지역 주민들이 가까이에서 편리하게 진료 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

○ 만성질환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다각적인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 강서구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재활서비스 제공 및 예방프로그램 운영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장소 : 화곡보건분소(강서구 월정로 30길 96)

○ 사업인력 : 총 7명(의사1, 간호사2, 물리치료사1, 행정직3)

○ 소요예산 : 166,340천원(국비 12%, 시비 4%, 구비 84%)

□ 추진계획

○ 사업목표 (단위 : 명)

구분 1차진료예방접종 물리

치료장애인등록관리

대사증후군

동 맥경 화

체성분분 석

교육상담영유아 성인

목표 12,000 300 800 4,500 100 450 300 450 400

○ 사업내용

- 1차 진료실 : 내과진료 및 고혈압, 당뇨, 퇴행성 질환 등 만성질환 진료 및 상담

- 예방접종실 : 영․유아, 성인예방접종 및 상담, 예방접종확인증명서 발급

- 물리치료실 : 퇴행성질환, 진료처방에 의한 물리치료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추진(장애인등록, 관리및예방프로그램 운영)

- 대사증후군사업 : 대사증후군, 동맥경화, 체성분 검사 및 상담, 추후관리

- 임상병리실 : 대사증후군검사, 간염 항원․항체검사, 간 기능, 당뇨 등

- 건강교육 및 상담 : 재활프로그램 운영, 구강 및 자살스크리닝 등 건강상담

□ 기대효과

○ 질병조기발견 및 장애발생 예방을 통한 구민 건강증진에 대한 능동적 참여

○ 화곡분소 이용을 통한 지역 주민 편의 도모 및 구민 만족도 향상

- 49 -

소요예산 총괄 (단위 : 백만원)

번사 업 명 사 업 개 요

사업

기간

소 요 예 산 재원(국비,시비,

구비)

(②)

비고계

기투자

(①)

2018년

예 산

향 후

투 자

총 계 1,085 1,085국비 122시비 199구비 764

1양․한방의료관광

사업활성화

양․한방 의료관광

활성화연중 108 108 구비 108

공약사업

2강서 미라클메디

특구 조성

특화사업발굴

규제특례마련

특구지정

연중 102 102 구비 102 공약사업

3효율적이고안전한

의약업소관리

의․약업소및의약품등

지도․유통관리연중 비예산 비예산

4한방친화적건강도시,강서만들기

한의약적건장증진방안

제시로한방수요충족연중 90 90

국비 26

시비 8

구비 56

5생활 속의

건강검진

질병의조기발견

으로 건강관리

능력 배양

연중 274 274

국비 40

시비 20

구비 214

64분의기적

응급의료관리

응급상황대비

대응능력 확보연중 81 81

시비 10

구비 71

7치아건강백세까지구강보건사업

구강검진 및

교육을 통한

구강관리 강화

연중 232 232

국비 36

시비 134

구비 62

8건강한 의약품

관리

세이프약국운영 및

올바른 의약품 사용

문화 확산

연중 31 31시비 20

구비 11

9주민과

함께하는

화곡보건분소

화곡보건분소운영및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추진

연중 167 167

국비 20

시비 7

구비 140

- 50 -

위 생 관 리 과

(성과관리 체계도)

전 략 목 표 성 과 목 표 주 요 사 업

식품안전과 건강한 위생문화 확산 1. 건강하고 안전한 음식문화 조성 1. 맞춤형위생관리로안심먹거리만들기

2. 안전하고건강한음식문화확산

3. 100세시대찾아가는건강밥상 만들기

4.마곡지구개발에따른모범음식점지정확대

2. 식품의 안전성 관리 강화 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강화(공약)

6. 식품제조·판매업소부정불량식품OUT

3. 투명, 깨끗한 위생환경 조성 7. 우리동네착한공중위생업소알리기

8. 공중위생업소인터넷자율점검실시

9. 공중위생업소 상시 모니터링실시

4. 예방 중점 위생관리체계 확립 10. 청소년 유해업소 야간단속

11. 원산지 표시 관리 강화

12. 축산물 위생관리

- 51 -

1 맞춤형 위생관리로 안심 먹거리 만들기 일반사업

외식문화 증가로 안전한음식문화 환경 조성을 위한 선제적 위생 점검 및컨설팅을

통하여 위생수준 향상과 식중독 예방 및 구민 건강보호

□ 추진방향 ○ 계절별․요인별 등 맞춤형 위생 지도․점검으로 식중독 사전 예방

○ 식중독 발생 시 신속한 대응으로 확산 방지 및 피해 최소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12월

○ 대 상 : 1,400개소

- 찾아가는 위생지도 컨설팅 700개소

- 식중독 예방 집중 관리업소 : 700개소 (집단급식소 360, 중․대형 음식점 340)○ 사업내용

- 소규모 음식점 위생 개선을 위한 찾아가는 위생지도․점검 컨설팅 실시

- 식중독 발생 사전 예방을 위한 발생 우려시설 집중점검 및 교육․홍보

○ 소요예산 : 110,950천원(식품진흥기금)

□ 추진계획

○ 찾아가는 위생지도 컨설팅 서비스 : 2018. 3~11월

- 식품취급 컨설팅 및 오염도 ATP 검사, 자율 위생 점검으로 위생수준 향상

○ 식중독 예방 요인별․계절별 위생지도․점검 : 2018. 3~11월

- 집단급식소(상․하반기), 중․대형음식점(5월, 11월)

- 설․추석 명절대비, 뷔페형 음식점, 여름철 취약업소 등 기획 위생점검 실시

○ 식중독 예방 관리 홍보 및 교육 강화

- 1830 손씻기 체험 교육 및 기자재 대여, 계절별 식중독 예방요령 홍보

- 소규모 어린이집 급식관리 책임자 교육 : 2018. 6월

- 식중독 예방 뮤지컬 공연 : 2018. 9월

○ 식중독 발생 비상근무 체계 구축 : 신속한 대응 및 식중독 원인조사 등

□ 기대효과

○ 식중독 예방을 위한 선제적 위생지도로 안전한 외식문화 환경 조성

- 52 -

2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문화 확산 일반사업

낭비 없는 상차림, 나트륨 섭취 줄이기, 위생적인 주방 개선 등을

통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문화 개선으로 구민의 건강 보호

□ 추진방향

○ 낭비 없는 상차림 확산 및 주방 개선으로 안전한 음식문화 환경 조성

○ 일반음식점 및 집단급식소 저염참여 실천으로 건강한 외식환경 조성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12월

○ 대 상 : 일반음식점 및 집단급식소

○ 사업내용

- 낭비 없는「먹을만큼 적당하게」음식문화 및 위생적인 주방문화 개선

- 고염식단 개선을 위한 일반음식점 및 집단급식소 나트륨 섭취 줄이기

○ 소요예산 : 3,000천원(식품진흥기금)

□ 추진계획

○ 낭비 없는 음식문화 참여 확대 및 주방문화 개선

- 「먹을만큼 적당하게」참여업소 관리 및 확대

- 위생적인 개방형 주방 개선 및 조리장 CCTV 설치 지원

- 간소화 상차림 홍보로 음식물 쓰레기 감소 및 환경보호

○ 나트륨섭취 줄이기 실천업소 확대

- 나트륨섭취 줄이기 참여 및 실천업소 200개소 관리

- 주기적인 모니터링으로 저염식 성실 참여 유도 ⇒ 저염실천 음식점 지정

- 집단급식소 참여 확대 ⇒ 어린이 및 직장인 등 나트륨 저감 식습관 개선

○ 한국외식업중앙회 강서구지회 등 민․관 협업을 통하여 음식문화 개선 확대

□ 기대효과

○ 민․관 협업을 통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문화 조성으로 구민 건강보호

- 53 -

3 100세 시대 찾아가는 건강밥상 만들기 일반사업

고염식에 길들여진 어르신을 위해 나트륨 섭취 줄이기 실천 환경을 조

성하여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관리로 구민 건강 증진

□ 추진방향

○ 식생활지킴이 봉사단이 경로당을 방문 직접적인 위생관리 및 저염식

교육․체험 등 식생활 개선 지원

○ ‘좋은 조부모 교실’과 연계하여 나트륨 섭취 저감 ‘건강한 손주밥상

만들기’ 교육 및 홍보

□ 사업개요

○ 기 간 : 2018. 3. ~12월

○ 구 성 : 식생활지킴이 봉사단 : 34명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32명, 학부모식품안전지킴이 2명)

○ 대 상 : 65세이상 어르신, 현재 또는 미래의 조부모

○ 내 용

- 어르신 식생활 개선을 위한 경로당 순회 방문하여 식생활 체험 교육 및 홍보

- 경로당 주방 위생관리 및 개인위생 교육․홍보

○ 소요예산 : 1,400천원(식품진흥기금)

□ 추진계획

○ 어르신 식생활 개선을 위한 관내 경로당 순회 방문

- 건강한 식습관 개선을 위해 나트륨 줄이기 교육 및 조리시연

- 식중독 예방 교육 및 경로당 조리장 위생관리 지도

○ 좋은 조부모 교실과 연계하여 ‘건강한 손주밥상 만들기’

- 나트륨 섭취 줄이기 및 저염식(이유식) 조리법 및 조리시연 체험

○ 종합사회복지관 경로식당의 급식 염도 모니터링 관리

□ 기대효과

○ 위생관리 취약한 어르신들의 식생활 개선으로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관리

○ 조부모 교육으로 유아기부터 저염식 식습관을 형성하여 평생 건강 증진

- 54 -

4 마곡지구 개발에 따른 모범음식점 지정 확대 일반사업

마곡지구 개발과 강서미라클 메디 특구 내 위생환경 및 서비스 수준이 우수한

업소를 발굴하여 모범음식점으로 확대 지정함으로써 수준높은 외식문화를 조성

하고자 함

□ 추진방향

○ 마곡지구 개발에 따른 대기업 사옥 주변, 교통 편의성 및 접근성이

양호한 곳을 모범음식점 신규 지정 확대

○ 모범음식점으로 지정 및 관리하여 안전한 외식 및 수준높은 음식문화 조성

□ 사업개요

○ 대 상 : 일반음식점 및 집단급식소

○ 연도별 모범음식점 지정현황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146 176 172 180 200

○ 지정시기 : 매년 11월

○ 소요예산 : 36,000천원(식품진흥기금)

□ 추진계획

○ 신청 및 추천 : 2018. 1월~9월

○ 실태조사 및 지정 : 2018. 9~11월

○ 추진일정

(3~4월) 모범업소 관리계획 수립

(3~6월) 인센티브물품수요조사및지급

(1~9월) 모범업소 신청접수

하반기

(9~10월) 모범업소 지정실태조사

(10~11월) 모범업소심의및 지정

(11~12월) 신규 모범업소 현판지급

○ 지원사항

- 강서 미라클 메디 특구 지정에 따른 안내지도 및 쿠폰북 등재

- 모범음식점 육성자금 지원, 모범음식점 홈페이지 운영

- 포충기, 위생도마, 위생행주 등 인센티브 물품 지원

□ 기대효과

○ 모범업소 지정 관리로 식품위생 및 서비스 수준 향상

○ 올바른 음식문화 선도 및 정착에 기여

- 55 -

계 유 치 원 어린이집

등록수 인원수 등록수 인원수 등록수 인원수

130개소 7,328명 3 187 127 7,141

5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강화 공약사업

학교주변 어린이 기호식품의 위생적인 판매 환경 조성 및 급식시설의

체계적인 관리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과 영양수준 향상에 기여

□ 추진방향

○ 구민과 함께하는 어린이 기호식품 모니터링 등 상시 감시체계 운영 강화

○ 어린이기호식품우수판매업소 지정 관리로 위생적이고 안전한 판매 환경 조성

○ 급식센터와 급식시설의 쌍방향 소통을 통한 어린이 영양·위생 체계적 관리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12월

○ 대 상

- 식품안전보호구역 내 어린이 기호식품 취급업소 관리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 어린이기호식품취급업소 관리

학교 수 보호구역지정 계 학교내(매점) 학교밖

82개교 43구역 650개소 14개소 636개소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 소요예산 : 452백만원

- 학교주변 어린이기호식품 지도점검 : 52백만원(국비 8, 시비 8, 기금 36)

-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 400백만원(국비 120, 시비140, 구비 140)

□ 2018년 이행목표

○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 정기점검으로 위생적인 환경 조성

○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의 급식소 영양·위생환경 향상을 위한 컨설팅 실시

- 56 -

□ 추진계획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 관리>

○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정기적 위생관리

- 학부모식품안전지킴이 전담관리원 책임 구역제 지정 : 30명

-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식품 취급업소 점검 : 650개소*6회/년

○ 어린이기호식품 등 식품 안전성 확보

- 과자류, 음료류, 김밥 등 다소비 식품 유해성 검사

- 식자재 안전을 위한 집단급식소 식품판매업소 위생점검 실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 식품안전 향상을 위한 어린이 급식소 컨설팅 실시

- 컨설팅 내용: 어린이급식소의 급식운영방식, 구매관리, 작업관리, 시설 영양·위생

관리 등

- 대 상: 100인 미만 관내 어린이 급식소

- 방 법: 어린이급식소컨설팅신청서 접수 → 현장컨설팅실시 및 개선방안 제공

- 홍 보: 홈페이지(보건소,급식지원센터)를 통한 홍보 안내 실시

○ 어린이급식소 등록업소 관리

- 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관리시설 방문지원

· 위생·안전 순회방문(연4회 이상), 영양관리 순회방문(연2회 이상)

- 대상별 교육지원

· 교육내용: 손 씻기 및 식중독 예방교육, 편식예방교육, 위생 준수사항

· 교육대상: 어린이, 조리원, 원장, 교사, 학부모 등

□ 추진실적

○ 학교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위생적인 판매환경 조성

- 상시 감시체계 운영을 위한 어린이기호식품 전담관리원 지정: 30명

- 어린이기호식품 취급업소 위생 지도점검 : 2,533명 / 13,165개소

-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표지판 정비 : 86개 교체

- 어린이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 지정 관리 : 41개소

- 어린이 기호식품 수거·검사 : 498건

○ 어린이 급식시설의 위생·영양 체계적 관리

-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업소 확대

· 2015년 110개소 → 2016년 120개소 → 2017년 130개소

- 영양·위생 순회방문 및 교육 : 2,534회 / 36,614명

- 57 -

6 식품제조·판매업소 부정불량식품 OUT 일반업무

살충제 계란 파동 등 부정불량식품으로부터 구민의 식품안전을 보호하고자

유통식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여 365일 식품의 안전성 확보

□ 추진방향

○ 식품 제조·판매업소의 정보망 구축으로 가공식품 유통 안전기반 조성

○ 식자재 납품업소 위생 지도점검 등 강화로 불량 식자재 유통 근절

○ 부정·불량식품 유통 판매 근절을 위한 식품행정통합시스템 관리 강화

□ 사업개요○ 사업기간 : 2018. 1~12월

○ 대 상 : 식품제조 · 판매업소 2,473개소

계 식품(첨가물)제조가공업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식품소분·판매업 건강기능식품판매업

2,473 72 587 367 1,447

○ 소요예산 : 17,740천원 (국비 3,145, 시비 3,145, 식품진흥기금 11,450)

□ 추진계획

○ 식품제조가공업소 및 기타식품판매업소(대형유통업소) 관리 강화

- 민·관 신속 연락망 운영 : 영업주, 관리책임자의 e메일, 문자 송신번호 확보로

식품 위해 발생 시 신속 정보제공 등 즉각 대처로 위해식품 유통 근절

- 시기별(설· 추석절),계절별(하절기· 가을김장철 등) 성수식품제조업소및판매업소점검실시

○ 집단급식소 식품판매업소 위생점검 강화

- 개학철 및 하절기 식자재 납품업소를 점검하여 급식 원료의 안전성 확보

○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유통식품 수거 검사: 시민다소비 식품 200건

○ 전통시장, 소규모 식품판매업소(편의점) 등 위생사각지대 점검

- 동별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지정으로 상시 모니터링 및 위생점검 실시

○ 식품행정통합시스템(1399 신고센터) 관리 강화 및유관기관 협조체계 강화

- 이물혼입· 유통기한 경과제품· 허위과대광고 등 민원 신고시 신속 대응 처리

□ 기대효과

○ 안전한 식품 제조 · 유통 판매 정착으로 구민건강 보호

- 58 -

7 우리동네 착한 공중위생업소 알리기 일반사업

Facebook 등 SNS를 활용하여 공중위생서비스평가결과최우수업소를홍보함으

로써 영업주의 자율적 업소관리능력 함양 및 확산으로 위생서비스 수준의 질적향상

□ 추진방향

○ 우수 공중위생업소에 대한 정보제공으로 제공자 및 이용객 상호간의 신뢰형성

○ SNSSNS를 활용한 우수업소 홍보를 통해 영업주의 위생관리기준 등 자발적 참여 유도

□ 사업개요

○ 추진근거 : 공중위생관리법 제13조 및 제14조

○ 사업기간 : 2018. 5~12월

○ 대 상 : 숙박, 목욕, 세탁업 483개소(숙박 174, 목욕 40, 세탁 269)

※ 이․미용업은 2019년 실시 예정

○ 평가항목 : 시설기준 등 법적 준수사항 및 서비스 품질 등 업소 권장사항

○ 소요예산 : 13,600천원(구비)

□ 추진계획

○ 공중위생서비스평가 계획 수립 : 2018. 6월

☞ SNSSNS를 통한 착한 공중위생업소 홍보계획 안내

○ 현장방문 및 서비스평가 실시 : 2018. 9~10월

○ 평가등급결정 및 공표 : 2018. 12월

- 절대평가방법을 채택, 점수별로 3등급(녹색, 황색, 백색) 결정

- 평가결과에 의해 위생관리등급 통보 및 홈페이지 등에 공표

○ acebook 등 SNS(Social Network Services)acebook 등 SNS(Social Network Services)를 통한 홍보실시

- 평가결과 최우수 업소 명단(업소명, 연락처, 소재지 등) 게시

- SNSSNS 홍보에 동의한 업소에 한해서 제출한 사진(간판, 요금표, 업소내 사진 등) 및 약도,

연락처 등 업소정보제공

□ 기대효과

○ SNSSNS를 활용한 착한업소 홍보를 통해 능동적인 업소관리능력 함양 및 확산

- 59 -

8 공중위생업소 인터넷 자율점검 실시 일반사업

현재 부분 시행중인 인터넷 자율점검제의 문제점을 개선․보완하여,

On-Line 점검시스템을 구축 ž 시행함으로써 경제성 및 효율성과 함께

자율적 업소관리능력 향상

□ 추진방향

○ 서면 자율점검과 병행 시행중인 인터넷 자율점검(On-line)의 전면시행

○ 상담라인 운영을 통한 영업주 참여 및 피드백 유도

□ 사업개요

○ 추진근거 : 공중위생관리법 제9조(보고 및 출입검사)

○ 추진기간 : 연 4회(분기별 1회)

○ 대 상 : 2,060개소 (2018. 1월 현재)

계 숙박업 목욕장업 미용업 이용업 세탁업 건물위생관리업 위생처리업

2,060 174 40 1,330 124 269 121 2

○ 소요예산 : 400천원(구비)

□ 추진계획

○ 공중위생서비스평가 및 지도․점검을 통한 업소정보 수집 및 정정

○ 점검대상업소 데이터베이스 구축 : 2018. 1~2월

○ 연 4회(분기별) 인터넷자율점검 실시안내 : SMS(통합메시징) 활용

○ 인터넷사용이 어려운 업소를 위한 1:1 call-back 상담라인 상시개설․운영1:1 call-back 상담라인 상시개설․운영1:1 call-back 상담라인 상시개설․운영

- On-line 자율점검 전면시행 안내문 및 업소비치용 점검표 배부(연 1회)

- 유선상담을 통해 배부한 검검표를 이용, Q&AQ&A 방식의 업소관리상태 진단

○ 분기별 점검결과 분석 후, 필요시 업소 현장점검 실시

□ 기대효과

○ On-line자율점검전면시행을통한업소의관리능력함양으로공중위생서비스수준향상

- 60 -

9 공중위생업소 상시 모니터링 실시 일반사업

공중위생업소에 대한 연중 모니터링 및 수거ž검사 등을 통한 안전하고

쾌적한 위생서비스 환경조성으로 구민건강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추진방향

○ 공중위생업소의 시설설비 및 위생관리기준 등에 대한 사전모니터링 강화

□ 사업개요

○ 추진근거 : 공중위생관리법 제9조(보고 및 출입검사)

○ 점검기간 : 2018. 1~12월

○ 대 상 : 2,060개소 (2018. 1월 현재)

계 숙박업 목욕장업 미용업 이용업 세탁업 건물위생관리업 위생처리업

2,060 174 40 1,330 124 269 121 2

○ 소요예산 : 3,920천원(구비)

□ 추진계획

○ 공중위생업소 상시 모니터링 실시 : 연중(특정관리대상시설 포함)

- 대 상 : 공중위생업소(신규 업소 및 민원발생 업소 등)

- 내 용 : 영업자 준수사항 안내 및 경미한 위반사항 행정지도 실시

○ 목욕장업 욕조수 수거ž검사(연 2회)

- 대 상 : 목욕장 40개소

- 내 용 : 욕조수 수거검사 및 수질관리방법 등 안내

○ 먹는샘물 및 해양심층수 등 수거ž검사(연 2회)

- 대 상 : 관내 유통중인 먹는샘물 판매업소

- 내 용 : 먹는샘물 수거 후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 검사의뢰

○ 위생처리업소 점검 및 수거ž검사(연 2회)

- 대 상 : 위생처리업 2개소

- 내 용 : 물수건 등 제품 수거검사 및 위생관리기준 등 안내

□ 기대효과

○ 위해요인 발생방지를 위한 사전 모니터링을 통한 공중위생수준 향상

- 61 -

10 청소년 유해업소 야간단속 일반사업

지속적인 야간 지도단속을 통해 불법행위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서 유해

환경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고 이용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하여 건전한

음식문화 정착 및 구민 보건위생에 기여

□ 추진방향

○ 청소년 유해업소 중 법 준수위반 발생이 우려되는 행위 사전 차단

○ 카페형 음식점 퇴폐․변태영업행위 근절 및 옥외영업 단속 운영을 통한

건전한 상거래 질서 유지

□ 세부추진계획

○ 추진기간 : 2018. 1~12월

○ 대 상 : 6,869개 업소(유흥․단란주점,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등)○ 중점추진 사항

- 청소년유해업소 유흥(단란)주점 및 카페 일반음식점 밀집지역 중점 단속

- 청소년 출입․고용․주류제공 등 청소년 유해행위 단속

- 영업시설기준, 영업자준수사항, 개인위생 상태 등 식품위생법 위반사항

○ 추진방법

- 단속반 편성 : 1개반 5명(공무원3,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2)

※ 필요시 경찰합동 단속

- 음식점 원산지표시 지도점검과 병행 실시

- 행정지도 위주로 하되 청소년 유해행위 적발시 강력한 행정처분

○ 소요예산 : 20,000천원(식품진흥기금)

□ 기대효과

○ 식품접객업소에 대한 지속적 지도단속을 통해 유해환경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고, 영업주의 준법정신 함양으로 건전한 상거래 질서유지

- 62 -

11 원산지 표시 관리 강화 일반사업

원산지 표시의 지속적인 홍보 및 지도․점검으로 구민의 선택권 및 알 권리를

보장하고 식품안전성을 높여 믿고 먹을 수 있는 음식문화 환경 조성

□ 추진방향

○ 효율적이고 내실 있는 원산지표시제 지도․점검 강화

○ 원산지거짓표시․미표시행위를근절하여믿고먹을수있는음식문화환경조성

○ 원산지표시제 정착으로 건전한 상거래 질서 확립

□ 추진개요

○ 사업기간: 2018. 1~12월

○ 대상업소: 일반음식점․휴게음식점, 집단급식소, 전통시장

도․소매시장, 대형마트, SSM(기업형 슈퍼마켓)

○ 원산지 표시관리 대상품목

음 식 점 농 수 산 물

계 농산물 축 산 물 수 산 물 계 농산물및 가공품

수산물및 가공품

203(쌀,콩,배추김치)

5(쇠고기,돼지닭,오리,양고기)

12(광어,우럭,참돔,미꾸라지,낙지,민물장어,고등어,갈치,명태,오징어,꽃게,참조기)

898 638 260

○ 소요예산 : 13,000천원(구비)

□ 추진계획

○ 민․관 합동 음식점 수시점검 및 농수산물 정기점검

- 음 식 점 : 야간 식품접객업소 위생 점검시 병행

- 농수산물 : 설․추석명절, 봄․여름철, 김장철 등

○ 중점 점검내용

- 음식점 메뉴판 및 게시판 품목별 원산지 표시 적정 여부

- 원산지가 거래된 거래 영수증과 대조하여 거짓표시 여부 확인

- 수입산 농수산물 국산 둔갑 판매, 원산지 미 표시 ,거짓표시 여부

○ 원산지 의무표시 품목에 대하여 적정여부 확인 및 관련 홍보물배부

□ 기대효과

○ 지속적인 지도․점검 및 홍보를 통한 원산지 표시의식 고취 및 올바른

원산지 표시로 구민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

- 63 -

12 축산물 위생관리 일반사업

구민이 믿고 안심할 수 있도록 축산물 취급업소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지도·관리하여 안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하고 소비자 신뢰 확보

□ 추진방향

○ 축산물 및 가공품의 철저한 위생관리로 구민에게 안전한 축산물 공급

□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8. 1~12월

○ 대 상 : 533개소 (2018. 01월 현재)

축산물판매업소축 산 물

가공업소

식육포장

처리업소

축 산 물

보관업소

축 산 물

운반업소식육판매

우유류판 매

식 용 란수집판매

축 산 물유통전문

식 육부산물

식 육 즉석판매가 공 업

541 326 70 13 20 2 57 12 12 5 24

○ 소요예산 : 7,700천원(구비)

□ 추진계획

○ 축산물 생산․판매․유통관계에 따른 위생관리(정기/수시점검)

- 설날, 하절기, 추석절, 연말연시 위생 취약분야․부정불량식품 정기점검

- 민원신고업소, 행정처분 이력업소 중심의 수시 점검

- 단속위주의 점검보다 교육 홍보 위주의 위생관리로 축산물 안전성확보

○ 중점 점검내용

- 수입육을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하는 행위

- 거래내역서 작성․보관여부

- 축산물 영업장 위생관리 상태 및 영업자준수 사항이행 여부

- 현장판매시 광고지 및 스티커 내용의 허위표시 과대광고 행위근절

- 유통기한 경과 및 비위생적 취급 축산물 현장 회수·폐기조치

□ 기대효과

○ 축산물의 위생적인 관리와 유통질서 확립으로 구민 건강보호

- 64 -

소요예산 총괄

(단위 : 백만원)

연번 사 업 명 사 업 개 요사업

기간

소 요 예 산 재원

(국비,

시비,

구비)

(②)

비고계

기투자

(①)

2018년

예 산

향 후

투 자

총 계 682 682

1

맞춤형위생관리

로안심먹거리

만들기

․대 상 : 1,400개소(찾아가는 위생지도 컨설팅 700, 식중독 예방 집중관리업소 700)

․내 용- 소규모 음식점 찾아가는위생지도 컨설팅 실시

-식중독 발생 우려시설 집중점검 및 교육·홍보

2018.

1~12111 111 기금

2

안전하고

건강한음식문화

확산

․대 상 : 일반음식점 및집단급식소

․내 용-먹을만큼적당하게 업소참여유도및 주방문화개선-고염식단 개선을위한나트륨섭취저감화지원

〃 3 3 기금

3

100세시대

찾아가는

건강밥상만들기

․대 상 : 65세 이상 어르신,현재 또는 미래의 조부모

․내 용-경로당순회방문을통한 식생활체험 교육·홍보-경로당 주방 위생관리 및 개인위생교육·홍보

2018.

3~122 2 기금

4

마곡지구 개발

에따른 모범음

식점지정확대

․대 상 : 일반음식점 및 집단급식소

․내 용-강서미라클 메디특구 지정에따른 안내지도 및쿠폰북등재-모범음식점 육성자금 지원

2018.

1~936 36 기금

5어린이식생활

안전관리강화

․대 상 : 식품안전보호구역내어린이기호식품취급업소,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내 용-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정기적 위생관리-어린이 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 지정확대 관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위생․영양 등 체계적인 급식관리

2018.

1~12452 452

국 128

시 148

구 140

기금 36

공약사업

- 65 -

(단위 : 백만원)

연번 사 업 명 사 업 개 요사업

기간

소 요 예 산 재원

(국비,

시비,

구비)

(②)

비고계

기투자

(①)

2018년

예 산

향 후

투 자

6

식품제조

․판매업소

부정불량식품OUT

․대 상 : 2,510개소(식품제조가공업, 식품판매업소)․내 용-식품 제조․판매업소 위생점검-유통식품 수거검사-식품행정통합시스템 관리

2018.

1~1218 18

국 3시 3기금12

7

우리동네 착한

공중위생업소

알리기

․대 상 : 숙박, 목욕, 세탁업487개소(숙박174, 목욕40, 세탁273)․내 용-우수 공중위생업소를 SNS를 통해 홍보

-평가등급결정 및 공표

2018.5~12

14 14 구비

8공중위생서비스

인터넷자율점검

․대 상 : 2,031개소(이용업, 미용업)

․내 용-서면 자율점검과 병행하여인터넷 자율점검 시행

-상담라인운영을통한영업주참여

2018.1~2

1 1 구비

9

공중위생업소

상시모니터링

실시

․대 상 : 2,031개소․내 용-공중위생업소 상시 모니터링-목욕장업 욕조수 수거·검사-먹는샘물 및 해양심층수 등수거·검사

2018.1~12

4 4 구비

10청소년유해업소

야간단속

․대 상 : 유흥․단란주점,일반․휴게음식점,노래연습실

․내 용-민․관 합동단속(1개반 5명)-퇴폐․변태 영업행위-청소년 유해행위 단속

〃 20 20 기금

11 원산지표시

관리강화

․대 상 : 일반·휴게음식점, 집단급식소, 대형마트 등

․내 용-원산지표시 이행여부 지도점검 및 교육-음식점 원산지표시판 제작및 농수산물 원산지 표시홍보물 배부

〃 13 13 구비

12 축산물위생관리

․대 상 : 축산물판매업소등 533개소․내 용-관내 생산․판매․유통중인 축산물에 대한 정기및 수시점검

〃 8 8 구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