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49
문서번호 민생경제과-1999 결재일자 2015.1.26.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주무관 민생경제과장 창조경제기획관 경제진흥본부장 김형금 정광현 천정욱 01/26 서동록 텃밭조성팀장 오철선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영문 농수산유통팀장 송임봉 영농관리팀장 이영호 도시농업팀장 박세황 텃밭 가꾸는 도시, 행복 키우는 시민 - 가족과 이웃이 함께하는 생활속 도시농업 - - 가족과 이웃이 함께하는 생활속 도시농업 - - 가족과 이웃이 함께하는 생활속 도시농업 -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 2015. 1. 경제진흥본부 (민생경제과)

Transcript of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Page 1: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문서번호 민생경제과-1999

결재일자 2015.1.26.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민생경제과장 창조경제기획관 경제진흥본부장

김형금 정광현 천정욱01/26

서동록

협 조

텃밭조성팀장 오철선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영문

농수산유통팀장 송임봉

영농관리팀장 이영호

도시농업팀장 박세황

텃밭 가꾸는 도시, 행복 키우는 시민

- 가족과 이웃이 함께하는 생활속 도시농업 -- 가족과 이웃이 함께하는 생활속 도시농업 -- 가족과 이웃이 함께하는 생활속 도시농업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

2015. 1.

경제진흥본부(민생경제과)

Page 2: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 표시하시기 바랍니다.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 시 민 : 유 ■ ( 도시농업시민단체협의 ) 무 □

● 이 해 당 사 자 : 유 ■ ( 도시농업시민단체협의 ) 무 □

● 전 문 가 : 유 ■ ( 서울시도시농업전문가회 ) 무 □● 옴 브 즈 만 : 유 □ ( ) 무 □

법 령 및 기 타 고 려 사 항

● 법 령 규 정 : 교통 □ 환경 □ 재해 □ 기타 ■ ( 도시농업 법령 및 조례 ) 무 □

● 기 타 사 항 : 고용효과 □ 노동인지 □ 균형인지 □ 홍보 □ 취약계층 □ 성인지 □ 빗물순환 □ 장애인 □ 디자인 □ 갈등발생 가능성 □

유지관리 비용 □ 바른 우리말 □ 인권 □ 무 □

타 자 원 의 활 용

● 중 앙 부 처 : 유 □ ( ) 무 □● 민 간 단 체 : 유 ■ ( 도시농업 민간단체 ) 무 □● 기 업 : 유 □ ( ) 무 □

관 계 기 관 및 단 체 협 의

● 관 계 기 관 : 유 ■ ( 농업기술센터, 푸른도시국,25개 자치구 ) 무 □● 민 간 단 체 : 유 ■ ( 도시농업 민간단체 ) 무 □● 시 산 하 기 관 : 유 □ ( ) 무 □

언 론 홍 보 계 획

● 홍 보 계 획 :보도자료 □ 기자설명회 □ 현장설명회 □ 기획보도 □기고문 □ 기타 □ ( ) 없음 □

Page 3: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목 차0

1 서울시 도시농업 현황 1

2 ‘14년 추진실적 및 개선할 점 2

3 비전과 목표 4

4 주요사업 및 소요예산 5

5 사업별 추진계획 6

도시농업 실천공간 확보·확산 6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도시재생·자원순환 24

사회·문화기능과 공동체 활동 강화 27

6 행 정 사 항 40

붙임 : 1. 사업별 추진 기관(부서) 43

2. ’15년 사업별 성과지표 44

Page 4: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 -

1 서울시 도시농업 현황

□ 일반 현황

❍ 2011년 기준 최근 3년간 약 4배 증가

- 서울시 공원면적 : 16,900ha(서울시 면적의 약28%) - 서울시 농지면적 : 671ha(서울시 면적의 약1%) - 서울시 도시농업면적 : 118ha(서울시 면적의 0.2%, 공원면적의 0.7%)▸ 서울변두리를 활용한 주말농장이 서울시 도시농업 실천공간의 65%이며

이중에서 강동‧도봉‧서초구의 개발제한구역과 팔당호 주변이 전체

주말농장의 약 70%를 차지함

❍ 도시텃밭 분야별 형태별 내역(’14. 12월말 )분야별 합 계

주말농장 및 자투리 텃밭옥상

텃밭

학교

농장

상자

텃밭공 영(시 + 자치구) 민영

주말농장(시 지원)소 계

공영주말농장

공원 텃밭

기타 자투리

개 소 2,208(상자텃밭제외)

539 79 35 425 55 410 1,204 82,530

면 적(㎡) 1,181,823 634,255 434,576 79,191 120,488 325,739 43,654 152,440 25,735

거주지주변 지속적인 실천공간 확보로 생활속 도시농업 기반조성

□ 도시농업 시민단체의 텃밭조성, 교육훈련, 농자재보급, 정보제공

등 다양한 사업 추진

❍ 상자텃밭 보급, 토종종자 보급, 공동체텃밭 운영 등 도시농업 시민단체의

자체 활동 영역 확대

Page 5: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 -

2 '14년 추진실적 및 개선할 점

전년도 추진 실적 : 31개 사업 완료

자투리텃밭 조성, 도시농업 백서 발간, 도시농업박람회 개최 등

과 제 주 요 사 업 목 표 실 적 비고

1. 서울형

도시농업

자투리 텃밭 조성 ․3,000구획 ․3,783구획(55,617㎡) 완료

옥상텃밭 조성 ․70개소 ․127개소(8,397㎡) 완료

상자텃밭 조성 ․20,000세트 보급 ․28,652세트 보급 완료

테마가있는농장조성(실버, 다둥이, 다문화) ․8개소(15,200㎡) ․7개소(15,000㎡) 완료

학교농장 조성 ․30개교 ․33개교 완료

도시농업공원 ․5개소(강동,창동,노들,갈현,불암)

․4개소(강동, 창동, 노들,갈현) 불암 조성 중

완료

친환경 텃밭농장(민영텃밭) 지원 ․55개소 15,000구획 ․55개소 15,894구획 완료

2. 손쉬운

도시농업

도시농업지원센터 지정 ․1개소 ․4개소 완료

도시농부학교 운영 ․60회/4,000명 ․63회/8,563명 완료

도시농업백서 발간 ․1회 ․1회(9월) 완료

도시가족 주말농부(어린이농촌체험) ․18회/1,440명 ․15회/1,374명 완료

서울농업 그린투어 ․15회/600명 ․15회/589명 완료

시민 눈높이에 맞춘 농업체험교육 ․350회/22,250명 ․376회, 23,482명 완료

도시농업 홈페이지 보강 ․자치구소식페이지신설 ․자치구소식페이지,․농촌체험안내페이지신설

완료

서울형 도시텃밭 모델 개발 ․연구용역 추진 ․연구용역 완료(6월) 완료

3. 6차 산업

도시농업

도시농업 전문가 양성 ․2기(100명) ․2기(103명) 완료

도시농업 시민단체 공모사업 추진 ․5개 단체 내외 ․6개 단체 완료

민영도시농업전문인력양성기관지정 ․3개소 ․3개소 완료

수직농장 조성(식물공장) ․1기 ․1기(노인복지시설) 완료

주민참여예산사업 ․3개 사업 ․3개 사업 완료

음식물쓰레기 퇴비통 보급사업 ․112개소 ․112개(신규55, 기존57) 완료

농산물(토양) 안전성 검사 ․농산물(200건), 토양(500건) ․농산물 52건, 토양 80건 완료

4 .문화 ·복지 도시

농업

도시농업박람회 개최 ․1회 ․1회(9.23∼26) 완료

도시농업 국제컨퍼런스 개최 ․1회 ․1회(5.30∼31) 완료

도시농업 해외교류사업 ․1회 ․1회(6명, 뉴욕·시카고8박9일) 완료

도시농업워크숍(간담회) ․2회 ․2회(7.15/8.29∼30) 완료

도시농업장터(농부의시장) 운영 ․39개소 ․12개소(광화문, 북서울꿈의숲, 보라매, 한강9개소)

완료

서울장터 운영 ․2회 ․2회(설, 추석) 완료

벼 심은 버스 운영 ․1대․1대(도시농업홍보버스운영으로 대체) 대체

도시농업 우수구 포상 ․최우수(1), 우수(2) ․최우수(1), 우수(2), 장려(2) 완료

도시농업위원회 운영 - ․2기개편, 실무위원회구성 완료

Page 6: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 -

장애요인 및 개선할 점

장애요인

❍ 실천공간의 지속적인 확대와 생활주변 텃밭조성의 어려움

- 대부분 외곽지역에 위치해 접근성이 떨어져 지속적인 참여와 관심도 저하

❍ 관 주도의 획일적인 텃밭조성 및 운영으로 시민 만족도 저하

- 텃밭 참여자의 상황 및 조건에 맞는 다양한 테마농장 부족

- 텃밭 참여자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공동체형성 프로그램 부족

❍ 시민이 쉽게 도시농업을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홍보 부족

-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 증가에 비해 실제 참여도 미흡

- 도시농업 대시민 교육강화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창의적인 홍보 필요

개선할 점

기 존 개선 후 개선내용

서울근교 중심의

주말농장형 텃밭

주거생활권 주변의 도심텃밭 (도심틈새텃밭,옥상텃밭등확대공급)

시민들의 지속적 참여와관심유도를 통해 생활속도시농업 구현

관 주도형 텃밭운영 시민 주도형 텃밭운영도시농업 정착을 위해서는시민이 주도하고 시가지원하는 방식 필요

가족단위의 취미·

여가형 도시농업

지역공동체문화 활성화와

힐링형 도시농업

경작과정에서 힐링과

지역공동체문화 형성 유도

소극적인 홍보TV출연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창의적인 홍보

시민이 쉽게 도시농업을실천할 수 있도록, 시민단체 등을 적극 활용하여대중화 도모

Page 7: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4 -

3 비전 및 목표

가족과 이웃이 함께하는

생 활 속 도 시 농 업

핵심

가치

나와 가족을 위해(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이웃과 마을을 위해(소통과 공동체 회복)

도시와 농촌을 위해(도시재생과 도농상생)

목표①

시민주도형활동공간 확보

②공동체회복과

사회 공익기능 증대

③미래산업육성으로

일자리창출

④도농상생과 자원순환

과제· 도시농업 기반 마련· 생활주변에 텃밭조성

· 도시공동체 활성화· 사회 공익적 기능 확대

·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녹색일자리 창출

· 도농교류 활성화· 음식물쓰레기퇴비화

주요

사업

1. 유휴지, 폐부지 실태조사

→ 도시농업단체 연결

1. 공원텃밭을 공동체

활동의 거점으로 활용

(주민·단체, 어르신모임 등)

1. 高부가가치 옥상농원

시범조성

1. 도농상생을 위한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조성 2. 텃밭을 이용한 심신

치유 강화

2. 마을형 농부의 시장 운영 2. 농부의 시장 내실화

3. 다양한 학교농장 및

사회복지시설 텃밭 조성

3. 텃밭생산물 나눔,

축제문화 확대

3. 도시농업전문가의

교육, 활동범위 확대

3. 낙엽,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사업단 운영

4대 분야 33개 사업, 총 7,522백만원

Page 8: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5 -

4 주요사업 및 소요예산

사업별 내역(4대분야 33개 사업 : 신규사업 8, 기존사업,�확대 25)

사업분야 사업수 사 업 명예 산

(백만원) 비고

1

도시농업

실천공간

확보·확산

13

1-1 도심 “자투리텃밭” 조성 4371-2 사회복지시설 “싱싱텃밭” 조성 : 공약사항 1,0001-3 생태 학습의 장 “학교농장” 조성 : 공약사항 540 기술센터

1-4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 “옥상텃밭” 조성 1,1831-5 이야기가 있는 “상자텃밭” 보급 4051-6 텃밭조성 가능부지 실태조사 501-7 도시농업실천을 위한 “희망서울 친환경농장” 운영 7101-8 사회취약 계층을 위한 “테마가 있는 농장” 운영 179 기술센터

1-9 “민영 주말농장” 지원사업 95 기술센터

1-10 도시농업 “체험학습장” 운영 659 기술센터

1-11 텃밭에서 찾는 건강 전통음식을 통한 도시농업활성화 2601-12 실내·외 텃밭정원 육성사업 761-13 도시농업 우수 자치구 포상 50

2

사회적

경제

활성화

4

2-1 민간단체 공모사업 2502-2 주민참여 예산사업 302-3 “도시농업지원센터” 지원 502-4 도시농업전문가 활용 및 일자리 창출 -

3자원순환

3

3-1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96 기술센터

3-2 가락시장 및 공동주택 농산물 생쓰레기 퇴비화사업 603-3 음식물 퇴비화사업(음식물 퇴비제조기 공급) - 시범사업 60

4

사 회·

문 화

공 동 체

활 성 화

13

4-1 서울 “도시농업박람회” 업그레이드(분재전시 포함) 5104-2 농사절기 “도시농업 축제한마당” 운영 지원 1504-3 도시농업 워크숍 개최 154-4 도시농업 해외교류사업 204-5 도시농업위원회 운영 활성화 124-6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실시 35 기술센터

4-7 도시농업 대중화를 위한 “도시농부학교” 운영 16 기술센터

4-8 “서울농업체험” 그린투어 23 기술센터

4-9 “도시농업 담당직원 교육” 실시 -4-10 “농부의 시장 확대 및 운영” 내실화 5004-11 도농상생 “농촌체험 캠핑” 프로그램 운영 254-12 부모와 함께하는 “도시가족 주말농부” 체험 264-13 “도시텃밭 농산물 안전성 검사” 실시 -

합 계 33 7,522

Page 9: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6 -

5 사업별 추진계획\

1분야(실천공간 확보) 세부추진계획 (13개 사업)

1-1 도심 “자투리텃밭” 조성으로 지역공동체 활성화

기존사업

○ 도심 속 자투리텃밭 조성으로 거주지에서

텃밭까지의 거리를 줄이고 도시환경 개선

○ 단체 중심의 텃밭분양으로 공동체문화 기반 마련

사업개요

○ 조성계획 : 연간 125개소(각 자치구별 5개소) 자투리텃밭 조성

○ 조성대상지

- 미활용 공공시설 부지, 폐부지(환경개선 대상지) 등

- 조성면적 제한은 없으나, 개소별 16~200㎡ 정도의 자투리텃밭 조성

○ 기 조성 자투리텃밭 유지관리비 지원

- 자치구 직영 주말농장(61개소)을 비롯한 기 조성 도시텃밭

○ 사 업 비 : 437백만원(1개소 약 350만원) - 자치단체 경상보조 매칭사업

추진방향

○ 주거생활권 내 자투리텃밭 조성으로 이용자의 접근성, 편리성 도모

○ 폐부지, 쓰레기장으로 방치된 부지를 발굴하여 도시환경 개선

○ 지역단체 및 도시농업단체 등 공동체 운영방식으로 공동체문화 활성화

추진계획

○ 사업수행 : 자치구

○ 사업방법 : 사업비는 시․구(50 : 50) 매칭

- 시민제보 및 자치구를 통한 도심 자투리공간 발굴

- 텃밭을 운영할 공동체(단체) 모집 및 선정 (단체예: 어르신모임, 부녀회, 학생동아리등)

- 텃밭푯말 표기 필수(내용: 텃밭명, 운영단체명, 운영원칙, 텃밭이야기 등 게재)

- 텃밭조성비용(토량개량, 퇴비지원 등) 및 유지관리비용 지원

Page 10: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7 -

추진방법

○ 대상지선정

- 국·공·사유지 등 자투리 공간 등 도시농업 실천에 적합한 곳(자치구별 실정에 맞게

적정 후보지 선정)

※ 사유지의 경우 임차료 및 조성비 지원 가능

※ 사유·나대지 등 임시활용의 경우 토지주와 원활한 토지임차 유도를 위해 임차

사용중 토지주의 긴급사용으로 인한 반환요청 시 언제든지 반환 가능하도록 조

건부 임차로 원활한 도시농업 실천공간 확보

․ 자치구에서 토지주의 명도요청시 경작중이라도 반환조건(필요시 명도공증) 명

시 임차(자치구, 주민센터, 민간단체, 개인 등 임차 주체와 협의)

<도시농업이용 부동산임대차표준안 서식 첨부 - 붙임 2>

▹ 자치구 직영 임차(위탁포함)와 제3자 임대알선의 경우에도 적용

▹ 임차한 토지에 텃밭참여자를 모집할 경우 작물 재배중이라도 토지주의 반

환 요청시 이의를 제기 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붙여 참여자를 모집하여 긴

급 반환에 따른 민원해소

○ 지원내용

- ‘15년 신규조성 비용 : 자투리땅 임차료, 조성비, 농자재비, 운영관리비 등

- 기 조성된 텃밭 운영·관리비 : 텃밭관리사(인건비), 표지판 등

○ 사업비 교부

- 시비 교부는 자치구별 사업비(매칭) 예산 범위 내에서 자치구간 조정

○ 사업비 집행

- 사업비 집행시 시·자치구 매칭비율 반드시 준수(시비 50 : 구비 50)

○ 운영방법 : 주민참여형(공동체 운영) 권장(개인 참여형도 가능)

- 자투리텃밭 내에 일정면적 기부텃밭 조성 운영

추진일정

○ '15. 1 : 사업계획수립 및 자치구 사업계획 접수

○ '15. 2 : 사업비 교부

○ '15. 3~4 : 텃밭 운영단체 및 대상지 선정

○ '15. 4~12 : 사업추진(작물식재) 등 운영

○ '15. 11~12 : 사업결과 종합평가 및 사업비 정산

Page 11: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8 -

1-2 사회복지시설 “싱싱텃밭” 조성(시장 공약사항) 공약

신규

○ 시장공약사항(관리번호 11-2-4 )

- 세부내용 : 학교 80개교와 사회복지시설에 싱싱텃밭 조성

○ 싱싱텃밭조성후원예치료사및도시농업전문가등을

활용한치유프로그램운영으로복지정책 지원

추진현황(’14.12월말 현재)○사회복지시설 텃밭 조성

- 추진실적 : 텃밭조성 30개소 ( )는 서울 관내 사회복지시설 현황

계 종합복지회관 노인 장애인 자활시설 정신보건

30(5,607) 13(98) 6(4,733) 4(575) 4(86) 3(115)

’15년 사업개요○ 조성개소수 : 50개소

- 모든 자치구 2개소 기본 배정- 추가배정은 '14년도 옥상텃밭 추진실적과 '15년 자치구 계획서를 제출 받아

심사 후 배정

○ 조성형태 : 사회복지시설에 옥상텃밭, 자투리텃밭○ 사 업 비 : 1,000백만원(전액 시비) - 자치단체 경상보조

추진 방향○ 조성방향

- 옥상텃밭 조성 전에 난간 안전펜스를 설치하여 추락 등 안전사고 예방책 마련- 자투리땅, 옥상공간을 이용하여 조성- 옥상형 텃밭의 경우 33㎡ 이상 조성(1개소당 평균 20백만원)- ‘싱싱텃밭’ 조성 후 도시농업전문가 등을 활용한 원예프로그램 등 운영

○ 시설기준 및 기타- 도시농업관련 농자재 등의 안전한 관리 및 처리에 관한기준 제12조 준수- 옥상텃밭 조성 수량, 재질 등 자치구 자율적 조정 가능

(조성면적은 개소당 33㎡이상으로 규모 있는 옥상텃밭 조성)- 5년 이상 설치 유지가 가능하고, 시설물을 철거하지 않는 조건을 부여하고 추진

추진일정

Page 12: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9 -

○ '15. 1 : 사업계획수립

○ '15. 2 : 사업 운영자 선정

○ '15. 3~4 : 텃밭조성 대상지 선정

○ '15. 4~12 : 사업추진(작물식재) 등 운영

○ '15. 11~12 : 사업결과 종합평가 및 사업비 정산

1-3 생태학습의 장 “학교농장” 조성(시장공약사항) 공약

기존사업

○ 시장공약사항(관리번호 11-2-4 )

- 세부내용 : 학교 80개교와 사회복지시설에 싱싱텃밭 조성

○ 농업활동을 통한 정서함양, 올바른 식생활, 생태

교육, 교우관계 향상 등 추구

사업개요

○ 사업대상 : 서울시 초·중·고등학교 30개교 ※기 조성지 110개교

○ 사 업 비 : 540백만원(신규조성 1개소 약 7백만원)

※ 기 조성된 110개교의 학교농장에 대한 운영 지원 1개소당 평균 3백만원

추진계획

○ 학교농장 조성 및 운영

- 사업대상 : 서울시 초·중·고등학교

- 조성개소수 : 30개교

- 조성면적 : 학교별 20~100㎡ 자투리형(조성비 학교당 7백만원)

- 사업내용 : 학습장 조성 및 관련 농자재(퇴비·비료·모종 등)일체 지원

- 교육프로그램 : 학교별로 학부모단체, 도시농업시민단체, 도시농업전문가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운영

▸시 교육청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통한 학교농장 조성 및 운영방안 강구

▸학교농장 개방은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학부모와 도시농업시민

단체에서 부분적으로 이용한 후 점차 자유롭게 개방하는 방안 마련

추진일정

Page 13: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0 -

○ '15. 1 : 학교농장 조성 및 운영 계획 수립

○ '15. 3 : 지원대상 학교 선정

○ '15. 4~11 : 학교별 농장조성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 '15. 11~12 : 사업결과 평가

1-4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 옥상텃밭 조성 기존사업,� 확대

○ 우리시 공공시설 옥상을 활용한 텃밭 조성과시민개방으로 공유도시 서울 실천

○ 수익형, 취미형, 치유형 등 다양한 유형의 옥상텃밭 조성으로 도시농업 홍보 강화

사업개요○ 조성대상 : 서울시 공공건물 및 공동주택 옥상○ 조성형태 : 공동체 문화 활성화를 위한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 옥상텃밭○ 사 업 비 : 1,183백만원 (개소별 약 39백만원) - 자치단체 경상보조

- 공공시설은 전액지원, 공동주택(민간시설)은 시비 80 : 자부담 20%로 추진

추진계획○ 조성 개소수 : 30개소

- 모든 자치구 1개소 기본 배정- 추가배정은'14년도옥상텃밭추진실적과'15년자치구계획서를제출받아심사후배정

○ 조성유형- 심신치유형: 원예치유및밥상나눔등의프로그램운영이가능한기관에치유형텃밭조성· 밥상나눔 : 작물 재배, 수확, 요리, 식사를 함께 하며마음의 치유를얻는 프로그램

- 공동체 취미형 : 공공건물 옥상텃밭 조성 후 운영을 희망하는 공동체와 연결

○ 운영형태- 도시농업 문화공동체의 활동거점지로 활용하며, 수확행사, 텃밭음식 나눔행사,

텃밭콘서트 등 다양한 행사 진행하며, 인근 주민 및 협의체 구성을 통한 운영

추진방법 ○ 설치기준

- 설치장소 : 공공시설(구청사, 주민센터, 복지관), 어린이집 등 다중이용시설 선정 ※ 우선설치 대상 공간이 없는 경우 개인시설도 건물주의 사용승낙 가능한 경우 설치 가능 (자부담비율 20%이상)

․규 모 : 옥상면적 70㎡내외(조성면적 33㎡이상)․관수시설 : 점적식 자동관수(스프링쿨러 등) 시설 설치․설치유형 : 상자형, 베드형으로 장소에 맞는 효율적인 방법 선택

○ 설치기준 및 기타- 도시농업관련 농자재 등의 안전한 관리 및 처리에 관한기준 제12조 기준 준수- 옥상텃밭 조성 수량, 재질 구성 등 자치구 자율적 조정 가능

Page 14: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1 -

- 5년 이상 설치 유지가 가능하며, 시설물 철거하지 않는 조건을 부여하고 사업 추진

추진일정

○ '15. 2 : 서울시 공공건물(공동주택) 옥상텃밭 조성가능지 조사 및 선정○ '15. 3 : 운영자 선정 및 사업비 교부○ '15. 4~12 : 옥상텃밭(농원) 조성 및 각종 프로그램 운영○ '15. 11~12 : 사업결과 종합평가

Page 15: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2 -

1-5 이야기가 있는 상자텃밭(주머니텃밭) 보급 기존사업,� 확대

○ 주택가 골목을 활용한 “상자텃밭 길” 조성으로

지역주민간 화합의 장소 마련

○ 상자텃밭 보급으로 생활(주거)공간에서 누구나

실천 가능한 도시농업 기반 마련

사업개요

○ 사업물량 : 25,000세트

- 상자·주머니텃밭 자치구 실정에 맞게 추진

○ 사업대상 : 어린이집, 유치원, 경로당, 단체, 개인 등

○ 사 업 비 : 405백만원

추진계획

○ 사업수행 : 자치구

- 자치구별 사업자 선정 → 자치구별 상자텃밭 보급 추진

○ 사업방법

- “이야기가 있는 상자텃밭 골목길” 조성

· 주택가 골목길을 활용한 상자텃밭 골목길 구별 1개소 조성(개소당 100세트)

· 주민단체 또는 주민센터 관리 및 운영

※ 성실경작과 실수요자 부담원칙 적용 이용시민 부담 조치

- 판매형 보급 : 시:자치구:참여자 매칭(4:4:2 또는 3:3:4)

· 참여자 부담비율을 20%에서 단계적으로 40%로 하여 공급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추진

○ 보급내용 : 텃밭상자(주머니), 상토, 종자, 모종, 재배 매뉴얼 등 세트

- 상자공급이 1회성으로 끝나지 않도록 사전교육실시 후 공급하고, 사후 평가

모니터링 실시

○ 사업비 교부 및 집행

- 시비 교부는 자치구별 사업비(매칭) 예산 범위내에서 자치구간 조정하고 사업비

집행시 시·구·참여자 매칭비율 반드시 준수

추진일정

○ '15. 1 : 사업계획수립○ '15. 2 : 자치구 사업비 교부○ '15. 4 : 자치구별 상자텃밭 보급○ '15. 4~12 : 상자텃밭 골목길 조성 및 관리○ '15. 11~12 : 사업결과 종합평가

Page 16: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3 -

1-6 텃밭조성 가능부지 실태조사 및 커뮤니티 맵핑 신규

○ 도심 유휴지(시유지 등) 및 폐부지 실태조사 후

텃밭조성 가능지를 민간단체와 연결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도시농업 실천의 지속적 확보 도모

사업개요

○ 사 업 명 : 도심텃밭 조성 가능지 실태조사

○ 사업기간 : 2015. 2 ~ 11월

○ 사업목적 : 텃밭조성 가능부지 파악으로 효율적 도시환경개선 및

농업실천공간 확보

○ 조사대상 : 국․공․사유지, 미활용 나대지, 도시환경개선 부지 등

○ 조사방법 : 도시농업시민협의회와 업무 협약

○ 사 업 비 : 50백만원

조사내용

○ 서울시 도시텃밭 현황 및 조성 가능지 조사

- 도시텃밭 공간 부족의 해결과 향후 도시농업 공간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

· 현 황 : 구별 도시텃밭 위치, 면적, 재배작물과 수확량, 운영형태, 연락처 등

· 조사대상 : 국·시·구유지, 사유지, 도시환경개선 대상지(폐부지), 미활용나대지 등

○ 자치구별 텃밭 운영이 가능한 도시농업단체 조사

- 도시텃밭과 커뮤니티의 효율적인 맵핑을 위해 지역별 민간단체 현황 조사

추진일정

○ '15. 2 : “도심텃밭 조성 가능지 실태조사” 업무협약

○ '15. 3~10 : 실태조사 수행

○ '15. 11 : 결과물 보고

○ '15. 12~'16. 3 : 텃밭조성지 선정 및 커뮤니티 맵핑

Page 17: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4 -

1-7 도시농업 실천을 위한 “희망서울 친환경농장” 운영

기존사업

○ 경기도 고양시, 남양주시, 광주시, 양평군 등 서울

외곽을 활용한 대규모 주말농장 조성으로 시민들의

친환경 안전 먹거리 자급 및 여가선용 기회 제공

사업개요

○ 운영규모 : 12개소 7,200구획(118,800㎡)

- 개소현황 : 남양주 2개소(1,200구획), 광주 5개소(3,050구획), 양평 3개소

(2,050구획), 고양 1개소(300구획), 시흥 1개소(600구획)

○ 참여대상 : 서울시민, 서울소재 직장 및 시민단체

○ 사 업 비 : 710백만원(시비 150, 한강수질개선특별회계 560)

추진계획

○ 참여자 모집 : ’15. 2. 2 ~ 3. 31

○ 재배방법 : 참여자 직접 경작을 통한 친환경 재배

○ 농장관리 : 서울시․농장주․참여자 공동

- 서울시 : 참여자 지원사항 적기 공급

- 농장주 : 농장기반 조성, 편의․휴게시설 확충, 급수시설 등

- 참여자 : 친환경 농업 실천

○ 시민 농장 임차료 : 1구획당 6~10만원(임차료 중 3만원 서울시 지원)

- 남양주․양평․광주(6만원), 고양(10만원), 시흥(8만원)

○ 지원사항

- 임차료, 영농교재, 씨앗, 모종, 소농기구, 유기질 비료, 병충해 방제 등

추진일정

Page 18: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5 -

○ '15. 1 : 희망농장 친환경농장 계획수립

○ '15. 2~3 : 참여자 모집

○ '15. 4~7 : 농장개장 및 봄 작물 재배

○ '15. 8. : 가을농장 개장 및 가을작물 재배

○ '15. 11. : 가을작물 수확

Page 19: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6 -

1-8 사회취약 계층을 위한 “테마가 있는 농장” 운영 기존사업

○ 실버․다둥이․다문화농장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테마농장 운영으로 도시농업을 통한 사회

통합 기능 실현 및 복지정책 지원

사업개요

○ 실버․다둥이가족․다문화가족 농장 운영

- 실버텃밭 농장 : 3개소, 900구획(10,000㎡)

- 다둥이가족텃밭 농장 : 3개소, 300구획(4,400㎡)

- 다문화가족텃밭 농장 : 1개소, 50구획(600㎡)

○ 사 업 비 : 179백만원(농업기술센터 추진)

추진계획

○ 규 모 : 7개소 1,250구획(15,000㎡)

○ 대상 및 공급면적

- 실버농장 : 65세 이상 어르신(1인당 6.6㎡)

- 다둥이가족농장 : 3자녀 이상 다둥이가족(가족당 6.6㎡)

- 다문화가족농장 : 다문화가족(가족당 6.6㎡)

○ 지원내용

- 친환경농자재 및 퇴비, 모종, 종자 등 지원, 농작물 재배기술 지도 등

추진일정

○ '15. 2 : 텃밭 농장 참여자 모집

○ '15. 3 : 참여자 사전교육

○ '15. 4 : 봄작물 재배 개장

○ '15. 4~7 : 봄작물관리 현지 기술지도

○ '15. 8~11 : 가을작물 재배 개장 및 관리

Page 20: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7 -

1-9 민영 주말농장 지원사업 기존사업

○ 민영주말농장이 친환경농법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설개선 및 시민이용 편익시설 지원

○ 민영주말농장을 통한 도시농업 확산을 위해

주말농장 우수경작자 발굴․시상, 분양정보 홍보

사업개요

○ 사업대상 : 55개소

○ 사업내용

- 친환경농자재 지원, 최고 텃밭상 공모전 개최, 민영주말농장 분양 홍보

○ 사 업 비 : 95백만원(농업기술센터 추진)

추진계획

○ 텃밭 분양 홍보

- 주말농장 개장 및 분양시기에 맞추어 서울시 홈페이지에 분양안내 홍보

○ 민영주말농장의 재배기술 지도 및 농자재 지원

- 텃밭 농작물 재배기술 지도 : 4 ~ 11월

- 텃밭가꾸기 교재 지원 : 2,000부

- 친환경농자재 지원 : 친환경 유기농 자재 목록 공시 제품 등

○ 도시농업 최고 텃밭상 시상

- 시상점수 : 24점

- 시상분야 : 자투리텃밭, 주말농장, 옥상텃밭, 학교텃밭 등

- 시상 훈격 : 서울시장

추진일정

○ '15. 2~3 : 민영텃밭 활성화 지원사업 대상자 모집

○ '15. 3~4 : 민영주말농장 텃밭분양 홍보

○ '15. 4~5 : 지원대상 선정, 친환경농자재 지원

○ '15. 9~11 : 도시농업 최고 텃밭상 신청서 접수 및 시상

Page 21: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8 -

1-10 도시농업 “체험학습장” 운영 기존사업

○ 시민의 요구에 부응한 체험교육 추진으로 교육생

만족도를 높이고 맞춤형 도시농업 체험교육

모델제시로 도심내 농업․자연의 볼거리 제공

사업개요

○ 도시농업 체험 학습장 운영 : 5개소 53,136㎡

구 분시민자연학습장

친환경농업체험교육장

도시농업실습교육장

힐링체험농원

복지형체험농원

위 치서초구 내곡동

1-2946 외

강동구 상일동

467-9 외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665 외

강서구 과해동

22-2 외

서초구 신원동

157 외

운영규모 6,311㎡ 9,000㎡ 11,911㎡ 21,385㎡ 4,529㎡

※ ’14년 운영실적 : 220회 10,146명

○ 사 업 비 : 659백만원(농업기술센터 추진)

추진계획❍ 시민자연 학습장 : 6,311㎡(서초구 내곡동)

- 전시작목 : 420종(식량, 채소, 특용, 약용, 자생화, 화훼 등)

- 활 용 : 어린이자연체험학교, 전원생활, 귀농교육생 등 실습 체험장

❍ 친환경농업체험 교육장 : 9,000㎡(강동구 상일동)- 전시작목 : 200종( 식량작물, 유지작물, 녹황색 채소류, 수생식물 등

- 활용 : 친환경농업 체험학습, 국화분재 기술자 양성교육, 티칭팜 교육장

❍ 도시농업실습 교육장 : 11,911㎡(고양시 도내동)

- 전시작물 : 250종(수수, 조, 기장, 고구마, 옥수수, 두류, 약용작물, 자원식물 등)

- 활 용 : 영농창업․귀촌(전원생활), 티칭-팜 교육 등 실습장

❍ 힐링체험농장 조성('14년 신규조성): 21,385㎡(강서구 과해동)

- 협력기관 및 단체 : 강서구청, 경복궁쌀 연구회 농업인단체

- 활 용 : 힐링체험 프로그램(자연체험, 농작물수확, 녹색식생활 등) 운영, 도시텃밭

❍ 복지형체험농장 : 4,529㎡(서초구 신원동)

- 국유재산 유휴토지 무상활용 : '14.7.21 ~'19.7.20

- 활 용 : 도시농업 공간으로 운영(복지형 체험농원 등)

추진일정

○ '15. 1 : 사업별 세부계획 수립

○ '15. 3~11 :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운영

○ '15. 12 : 사업별 평가

Page 22: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19 -

1-11 텃밭에서 찾는 건강 전통음식을 통한 도시농업 활성화 신규

○ 텃밭에서 건강 전통음식을 만들고 작물재배와 체험을

연계한 로컬푸드와 도시농부시장 활성화

○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도시농업 활성화

사업 추진

사업개요

○ 사 업 명 : 건강 전통음식 체험형 텃밭 조성

○ 사업기간 : ’15. 2 ~ 11월

○ 사업내용 : 건강 전통음식 체험형 텃밭조성

- 토요 도시농부시장 운영(강동구 상일동)

- 텃밭 생산 농산물로 ‘제철 한 끼 음식 만들어 먹기’ 체험 및 양봉학교 운영

- 식재료 활용한 2차 식품 만들기

▸ 장 담그기, 떡메치기, 전통두부, 딸기잼옥수수막걸리․강정 만들기, 벌꿀과자 등

○ 사 업 비 : 260백만원

추진계획

○ 체험형 텃밭 조성 및 운영

- 위 치 : 강일동 32-1외 1개소(농장), 상일동 어울마당(파머스마켙 운영)

- 면 적 : 13,984㎡ (소유–건설교통부, 시유지 )

- 시 설 : 비닐하우스(재배․교육장 시설 등) 2,800㎡, 관정 3개, 이동식화장실

- 장비 및 학습기자재 : 작업용로더, 온풍기2대, 앰프, 체험학습 기자재(테이블, 두부

제조기 앰프, 솥, 장독, 수경 재배기 등)

추진일정

○ '15. 2 : 세부추진계획 수립

○ '15. 3 : 텃밭 조성 등 개장 준비작업

○ '15. 4~10 : 체험장 운영

○ '15. 11 : 사업평가 및 결과보고

Page 23: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0 -

1-12 실내·외 텃밭정원 육성 사업 신규

추진배경

○ 식용 위주로 재배하는 도시농업 상황을 화훼원예 등 폭넓은 작물들을 옥내․외

삶의 주변에서 쉽게 찾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시농업의 다양성 확대를

위한 정책의 필요성 대두

○ 실내정원사를 육성하고 관내 화훼농업과 연계한 저렴한 실․내외 정원을 공급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사업개요

○ 화훼 농업현황

- 재배면적 : 약 13㏊

- 농 가 수 : 약 35명

- 화훼농업인 단체 : 초화·관엽작목반

○ 사업방향

- 가드너 양성 : 15회 40명

- 관내 실․내외 정원식물 육성 및 가드너와 연계한 공급체 구성

○ 추진내용

- 가드닝 스쿨 개설․운영을 통한 자생 활동가 배출 및 활동가 지원

- 관내 실․내외 텃밭정원 식물 육성(상토 지원사업을 통한 구심점 형성)

- 가드너와 화훼농업인을 연계한 공급체 구성 유도(협동조합 등)

사 업 비 : 76백만원 (시비 38, 구비 38)

추진일정

○ '15. 2. : 사업계획 수립

○ '15. 5, 9월 : 가드너 스쿨 개강

○ '15. 3~12월 : 상토 지원사업, 관련 주민 협동조합 교육 참가

Page 24: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1 -

1-13 도시농업 우수 자치구 포상 기존사업,� 확대

○ 자치구 간 선의의 경쟁 유도로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도시농업 사업 유도

○ 우수 자치구 포상을 통해 도시농업 우수 사례 발굴 자치구 최우수상

사업개요

○ 평가대상 : 25개 자치구 및 도시농업 실천 시민(단체)

○ 평가방법 : 서면평가 및 현장점검

○ 평가사업 : 자치구 도시농업 활성화 평가

○ 사 업 비 : 50백만원

추진계획

○ 평가방향

- 평가항목에 대한 자치구 사전의견수렴으로 자치구 참여 활성화

- 시정 발전방향에 부합되는 객관적이고 적정한 평가 기준 마련

○ 평가방법

- 서면평가 : 자치구별로 제출 실적자료에 의한 사업 평가

- 현장점검 : 제출 자료에 의한 현장 실사

○ 우수 자치구 및 도시농업 실천시민 선정 : 서울시장 표창 병행

- 자치구 : 최우수 1(20백만원), 우 수 2(16백만원)

장 려 2(10백만원), 특별격려 2(4백만원)

○ 우수 사례 홍보

- 도시농업 우수사례 자치구 순회강연

- 서울시 홈페이지 내 도시농업 우수사례 홍보페이지 제작

- 우수사례 보도자료 제공 등

추진일정

○ '15. 2 : 평가항목에 대한 자치구 및 시민단체 의견수렴

○ '15. 3 : 도시농업 우수 구 시상계획 수립 및 통보

○ '15. 11 : 실적자료 수합 및 평가

Page 25: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2 -

2분야(사회적경제 활성화) 세부추진계획 (4개 사업)

2-1 민간단체 공모사업 기존사업,� 확대

○ 민간단체의 창의적인 사업 제안과 추진으로

도시농업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 가능성 모색

○ 도시농업 단체 육성지원으로 민·관거버넌스 구축

및 도시농업 저변 확산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5. 4 ~ 11월

○ 사업대상 : 도시농업 비영리단체․법인(도시농업 사회적기업, 협동조합포함)

○ 사업주제 : 도시농업 관련 자유주제

○ 사 업 비 : 250백만원

추진계획

○ 운영방법 : 민간단체에 대한 공모를 통해 추진

- 공모를 통한 모집 → 전문가단의 사업심사(서면 심사) → 단체 선정

(도시농업 교육·홍보, 자원재활용, 텃밭조성 등 주제 자유)

- 도시농업 단체의 네트워크를 통한 사업전개로 도시농업 저변 확산

- 사업별 예산사용, 내용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 지원단체 : 5~10개 단체

○ 지원금액 : 단체당 20~50백만원 이내

추진일정

○ '15. 1 : 민간단체 도시농업 공모사업 운영계획 수립

○ '15. 2~3 : 도시농업 사업 공모 및 지원단체 선정

○ '15. 3 : 협약 체결 및 보조금 지급

○ '15. 3~11 : 사업추진 및 점검(분기별 1회, 필요시 수시)

○ '15. 12 : 사업결과 종합평가 및 사업비 정산

Page 26: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3 -

2-2 주민참여 예산사업 (도시농업 분야) 기존사업

○ 주민의 주도적 참여와 마을이 중심이 되는

도시농업 실천으로 공동체 회복

○ 도시농업 관련 주민참여 예산사업을 통해 시민과

함께하는 도시농업 추진 및 일자리창출

신청기관(단체) 자치구 서울시

사업계획서 및사업비교부신청서 제출

사업운영 능력, 계획 등을판단하여 사업비 교부 신청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위원회사업심사 및결정

사업수행 및 정산 사업비 교부집행 및 사업관리 사업비검토 및 교부

추진실적

구 분 ’13년(4개 사업) ’14년(3개 사업)

사업명

1. 관악구 : 서울살이 도시농업가게 조성

2. 송파구 : 도심형 도시농업공동체텃밭 조성

3. 금천구 : 호미로 일구는 마을공동체 사업

4. 동대문구 : 주민이 함께 가꾸는 나눔텃밭 조성

1. 중 구 : 지역어르신을 위한 텃밭 조성

2. 금천구 : 꿈틀이가 사는 생태마을 조성

3. 강서구 : 도심속 농업체험학습장 조성

사업비 690백만원 617백만원

추진계획

○ 사 업 명 : 중랑천 도시농업 체험학습장 확장 운영(동대문구)

○ 사업목적 : 농작물 경작을 통해 농촌생활을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장 마련

으로 도시민의 건전한 여가활동 제공 및 이웃간 소통의 기회 확대

○ 사업내용 : 농작물재배 등 도시농업 체험장 운영

○ 사업면적 : 3,000㎡

○ 사 업 비 : 30백만원

추진일정

○ '15. 1 : 주민참여예산 계획 제출 및 보조금 교부신청○ '15. 2 : 사업비 교부○ '15. 3~10 : 사업수행○ '15. 11~12 : 사업성과 분석 및 정산

Page 27: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4 -

2-3 도시농업지원센터 지원 기존사업,� 확대

○ 민영 도시농업지원센터 지정 및 사업지원을

통해 지역별 도시농업활성화 거점지 마련

○ 지역별 도시농업 현장지도, 교육, 농자재 보급,

로컬푸드 매장 설치 등 도시농업 사업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5. 2 ~ 12월

○ 지정 및 등록 : 4개소

․한국도시농업조경협회(관악구) - 서남권 ․텃밭보급소(마포구) - 서북권

․라이네쎄(서초구) - 동남권 ․송석문화재단(도봉구) - 북부권

○ 사업내용 : 지역맞춤형 현장지도 및 교육, 농자재 등의 보급지원을 통해 지역

도시농업 거점화 추진

○ 사 업 비 : 50백만원(지원센터당 20백만원 이내)

추진계획

○ 도시농업지원센터 지원대상 선정 후 예산지원

- 도시농업 지원센터 지정기준에 적합한 시설 및 지도교수․운영요원 확보, 교육

운영 계획 등 심사

- 단체 선정 후 사업비 지원 및 평가

- 지원센터의 예산지원 신청 → 심사 → 사업비 지원 및 평가

추진일정

○ '15. 2 : 도시농업지원센터 지원계획 수립

○ '15. 2~3 : 공모 및 선정

○ '15. 3 : 사업비 교부

○ '15. 4~11 : 사업추진 및 프로그램 운영

○ '15. 11~12 : 사업결과 종합평가 및 사업비 정산

Page 28: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5 -

2-4 도시농업전문가 활용 및 일자리 창출 기존사업

○ 여가·취미활동을 넘어 일자리와 수익 창출이

가능한 도시농업 육성

○ 官 주도형에서 민간이 주도하는 양질의 도시

농업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개요

○ 도시농업전문가를 활용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 학교농장 관리사, 텃밭매니저, 도시양봉사 등

○ 도시농업의 지속적인 확대를 통한 산업 육성

- 도시농업 교육, 양봉, 음식물퇴비화, 도시농업 농자재 산업 등

도시농업 일자리 창출 계획: 연간 700명○ 학교농장 운영 및 관리를 위한 텃밭매니저 : 100명

○ 공영 주말농장 및 민간 텃밭 관리 및 운영 : 300명

○ 장애인 도시 양봉단 운영 : 10명

○ 도시농산물 판매와 도시농업 문화가 어우러진 농부시장 운영인력 : 200명

○ 도시농업지원센터 운영 : 20명

○ 주민참여예산사업에 의한 지역 일자리 : 10명

○ 도시농업 민간단체 공모사업 운영 : 50명

○ 도시농업투어, 농촌체험, 농촌캠핑 프로그램 운영 : 10명

도시농업전문가 활용 가능 사업

○ 서울시에서 텃밭조성 지원하는 110개교 학교의 텃밭관리사

○ 농촌체험, 농촌캠핑, 도시농업 프로그램 운영

○ 공동주택 및 공공건물 옥상텃밭과 공원텃밭의 텃밭매니저

○ 도시농산물을 재배·유통·판매하는 도시농부로 활동

○ 25개 자치구 도시농부교육 강사로 활동

○ 도시농업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공모사업 실시

○ 도시농업박람회, 축제 등 행사 개최 시 프로그램 참여

※ 향후 도시농업전문가회가 활성화 될 경우 전담인력 배치방안을 검토하고, ’15년

도시농업박회부터는 도시농업전문가회 참여공간 별도 마련

Page 29: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6 -

3분야(도시재생 ․자원순환) 세부추진계획 (3개 사업)

3-1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사업 신규

○ 도시농업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퇴비 제조로 자원순환이

가능한 친환경 생태도시 구현

○ 음식물쓰레기의 친환경적 처리와 재활용으로 환경보전 실천

사업개요

❍ 사 업 량 : 162개소(신규50, 기존112)

❍ 사업기간 : '15. 1~12월

❍ 사업대상 : 도시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공동체

추진방향

❍ 자투리, 옥상, 텃밭, 학교 등 도시농업 공동체 우선 지원

❍ 친환경농업 및 기반조성을 위해 시범사업으로 추진

❍ 도시농업활성화와 음식물쓰레기 자원화(퇴비화)를 연계

추진계획

❍ 음식물쓰레기퇴비화 사업 : 50개소

․ 지원내역 : 음식물쓰레기 발효통 150세트, 미생물발효제, 혼합제(톱밥) 등

❍ 기존 사업 현지관리 지도 : 112개소

․ 보급현황

합 계 도시농업공동체 학교 텃밭농장 아파트 복지센터 관공서

112 52 35 6 6 7 6

사업예산 : 96백만원

Page 30: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7 -

3-2 가락시장 및 공동주택 농산물 생쓰레기 퇴비화 사업 신규

추진내용

○ 퇴비 제조와 활용이 가능한 공간을 가락시장내에 설치

○ 가락시장의 무․배추 등 생쓰레기 수거 후 퇴비화 작업 실시

○ 주말농장 이용자의 음식물 생쓰레기(조리 전 음식물) 퇴비화 교육 및 제조 참여

○「1주말농장 -1공동주택」연결로 공동주택 생쓰레기 수거 후 퇴비 제조

추진계획

○ 가락시장 내 퇴비장 조성 및 운영비 지원 : 2015 ~ 2018년

- 퇴비화 시설 및 자재(톱밥, 미생물 발효제 등) 지원

- 가락시장 생쓰레기 퇴비화사업 운영비 지원 및 체험교육장으로 홍보

- 일반퇴비 뿐만 아니라 액상 퇴비화사업 연구 및 시험사업 실시

- 퇴비장 조성 및 확대 조성계획이 있는 주말농장 파악 → 지원대상 농장 선정

※ 가락시장의 생쓰레기 퇴비화사업은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 송파구와 협의하여

세부추진계획을 별도로 수립하여 운영

○ 1주말농장-1공동주택(아파트) 퇴비화 사업 연결 : 2015 ~ 2018년

- 아파트별로 음식물 생쓰레기 민간 퇴비사업 추진팀 구성

· 구성 : 주부 위주의 지역주민 3~5인 정도 구성

· 역할 : 생쓰레기 음식물통 설치 및 수거 → 연결된 주말농장의 퇴비장으로 운반

주민의 음식물쓰레기 분리 배출 교육 및 캠페인, 음식물처리시설 견학 등

※ 공동주택 음식물 생쓰레기 수거의 경우 자치구 협조 및 지원 가능

연도별 소요예산 : 840백만원

구 분 2015 2016 2017 2018 계

가락시장생쓰레기 60 100 150 200 510

1주말농장-1공동주택 - 70 120 140 330

계 60 170 270 340 840

Page 31: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8 -

3-3 음식물 퇴비화사업(음식물 퇴비제조기 공급) -시범사업 신규

추진배경

○ 음식쓰레기를 퇴비화 하여 자원순환이 가능한 친환경생태도시 구현

○ 도시농업 실천농가에 대해 시범적으로 음식물 퇴비제조기를 공급하여

도시농업에 활용 및 환경보전

추진계획

○ 공급가구 : 110가구

- 자치구별 30~50 가구를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실시

○ 도시농업 실천 가구에 대해 제조기를 공급하고 시비효과 등 모니터링 실시

○ 사업추진 절차

- 공급업체 선정 → 구별 대상가구 신청 → 공급 할 자치구 선정 → 공급 →

사용만족도 등 모니터링 실시 → 사업 평가

사업비 : 60백만원 +자부담 16백만원 = 총사업비 76백만원

○ 공급가격(개당) : 660천원(예정)

- 시 예산지원 80%(528천원) : 자부담 20%(132천원)

세부추진계획 : 별도수립 후 시행

추진일정

○ '15. 1. : 대상가구 파악 제출(자치구 → 서울시)

○ '15. 2. : 세부추진계획 수립(서울시)

○ '15. 3. : 퇴비제조기 공급

○ '15. 4~10 : 퇴비 제조 및 시비(施肥)효과 등 모니터링 실시

○ '15. 11. : 사업평가

Page 32: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29 -

4분야(사회·문화 기능) 세부추진계획 (13개 사업)

4-1 서울 도시농업박람회 업그레이드 기존사업,� 확대

○ 매년 도시농업박람회 정기 개최로 도시농업의 가치

확산 및 대시민 홍보

○ 전임 감독제 도입으로 수준 높은 행사 진행

○ 국제관 유치로 세계도시농업의 트렌드 및 비전 제시

사업개요

○ 기 간 : '15. 5월

○ 장 소 : 서울광장

○ 주 최 : 서울특별시․언론사 등

○ 추진방법 : 민간행사 위탁운영(전임 감독제 시행)

○ 주요행사 : 도시농업 홍보관, 국제관, 전시․체험관, 기업관, 학술행사 등

○ 사 업 비 : 510백만원(분재 전시회 30백만원 포함)

추진계획

○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도시농업공원, 노들섬 등에서 개최 검토

○ 전임 감독제를 도입하여 창의적·장기적 계획 수립

○ 일시적인행사가아닌시민들이체험하고도시농업비전을공유할수있도록콘텐츠재구성

○ 주요인사 초청, 국제컨퍼런스·학술대회 개최, 도시농업 선진도시와 해외교류

및 벤치마킹 등을 통해 서울을 도시농업 수도로 자리 메김

○ 농식품부의 농업 미래성장산업 토론회 “농업이 미래다”와 관련 농촌지원부스운영

- 귀농귀촌지원관, 농촌미래전시관 등 농촌지원부스 운영을 통해 중앙정부와 협업체제 유지

※ 분재전시회를 함께 실시하여 다양한 볼거리 제공

추진일정

○ '15. 2 : 도시농업 박람회 행사계획 수립, 총 감독 선임

○ '15. 2 : 관련 단체 협약

○ '15. 3~4 : 도시농업 전시(안)구성 및 의견수렴

○ '15. 4~5 : 홍보자료 확정․배포 및 세부추진계획 수립

○ '15. 5 : 도시농업박람회 개최

Page 33: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0 -

4-2 농사절기 “도시농업 축제한마당” 운영 지원

기존사업

○ 도시농부와 시민이 함께 즐기는 절기별 도시농업

축제한마당 개최로 도시농업문화 확산

○ 축제를 통한 도시농업공동체의 결속과 정보교류

사업개요

○ 장 소 : 서울시 주요텃밭(노들텃밭, 상암두레텃밭, 강동도시농업공원 등)

○ 주 최 : 서울특별시

○ 추진방법 : 민간단체 위탁운영(도시농업 관련 기관 및 단체 등)

○ 주요행사 : 농산물품평회, 농업체험행사, 도시농부장터, 다양한 문화행사 등

○ 사 업 비 : 150백만원

추진계획

○ 개최 횟수 : 3회이상(4월 청명, 6월 하지, 7월 소서, 10월 한로, 11월 입동 등 )

○ 계절별·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행사 프로그램 구성

- 모내기행사, 추수행사, 텃밭요리 경연대회, 서울농산물 품평회, 김장 축제 등

○ 도시농부의 다양한 참여 유도

- 생산농산물 나눔 행사 및 인근 시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행사구성

○ 아파트단지, 학교, 어린이집 등 연계

- 지역공동체 등과 연계한 농사체험 행사 등을 기획하여 지역행사로 추진

○ 사 업 비 : 150백만원(1개 장소당 50백만원 이내에서 운영)

추진일정

○ '15. 1~2 : 시민단체 의견수렴 및 한마당 행사계획 수립

○ '15. 3 : 도시농업 한마당 행사 시민단체(텃밭)선정

○ '15. 4~11 : 한마당 행사 개최(지역텃밭)

Page 34: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1 -

4-3 도시농업 워크숍 (세미나) 개최 기존사업

○ 도시농업 관련 시민단체 및 연구가, 공무원 등

민관 합동워크숍으로 다양한 의견 수렴

○ 민․관 거버넌스 활성화로 도시농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도시농업 정보공유

사업개요

○ 행사장소 : 서울시연수원 및 콘도 등

○ 참여인원 : 100명 이내

○ 추진방법 : 민간행사 위탁운영(도시농업 관련 기관 및 단체 등)

○ 행사내용 : 도시농업 특강, 우수사례 발표, 활성화방안 토론 등

○ 사 업 비 : 15백만원

추진계획

○ 서울시 도시농업 추진사업 설명

- 도시농업 사업 추진현황 보고 및 분석, 향후과제 등

○ 도시농업 우수사례 발표

- 도시농업 시민단체, 도시농업 관련단체․개인 우수사례 공유

○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특강

- 도시농업 전문가 초청 특강

○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토론

- 도시농업 일자리 창출,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분임 토의 및 발표

추진일정

○ '15. 1~3 : 시민단체 의견수렴

○ '15. 4 : 도시농업 워크숍 계획 수립

○ '15. 4~8 : 주제, 사례발표 내용 수립 및 강사 선정

○ '15. 9~10 : 워크숍(세미나) 운영

Page 35: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2 -

4-4 도시농업 해외 교류사업 기존사업

○ 도시농업 해외 교류로 해외 도시의 도시농업

트랜드를 파악하고 도시시스템과 연계한 우리시

도시농업 정책수립에 활용

○ 도시농업 해외 교류사업을 통해 우리시를 알리는

기회 마련

사업개요

○ 교류일정 : ’15. 5 ~ 8월

- 해외 도시농업 인사 초청 : 2014. 5월(학술대회)

- 서울시 도시농업 해외 홍보 : 2014. 10월

○ 추진방법 : 민간행사 위탁운영(도시농업 관련 기관 및 단체 등)

○ 주요행사 : 도시농업 해외 컨퍼런스 참석

○ 사 업 비 : 20백만원

추진계획

○ 도시농업 국제 컨퍼런스 개최

- 국제 컨퍼런스 개최 : 민간단체 주관 진행

- 해외 도시농업 전문가 초청 : 3개국 이상

- 해외 도시농업 전문가 해외사례 발표 및 박람회기간중 전시 장소 마련

○ 도시농업 해외 홍보

- 서울시 도시농업 해외 홍보 : 민간단체 주관 진행

추진일정

○ '15. 1~2 : 시민단체 의견 수렴

○ '15. 2 : 도시농업 해외 교류사업 계획 수립

○ '15. 6~8 : 해외 국제컨퍼런스 참석 및 홍보

○ '15. 9 : 결과보고

Page 36: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3 -

4-5 도시농업위원회 운영 활성화 기존사업,� 확대

○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한 서울특별시도시농업위원회 구성·운영

○ 시민이 주도하고 시가 지원하는 도시농업 추진으로

거버넌스 및 홍보 강화

설치근거

○ 설치근거 : 서울특별시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5조

○ 설 치 일 : 2012. 11. 1(2기 위원회 위촉 : ’14.11.1)

위원회 구성 및 운영○ 본 위원회 구성 : 15명 (공동위원장 2인, 위원 13명)

- 공동위원장 : 경제진흥본부장, 이종석

- 위 원 : 13명(위촉 13명) ※ 간사 : 민생경제과장

○ 실무위원회 구성 : 15명 (본위원회 위원 7, 실무위원 8)

- 실무위원장 : 안철환

○ 임 기 : 2년 (’14.11.1 ~ ’16.11.1)

※ 위촉위원 1회에 한하여 연임가능

○ 회의운영 : 재적 과반수 출석으로 개의, 출석 과반수 찬성으로 심의 의결

- 실무위원회 운영을 통해 민·관거버넌스 협력 활성화 도모

기능 및 역할○ 도시농업의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항

○ 도시농업의 관련 연구, 기술개발 및 홍보에 관한사항

○ 도시농업의 중장기 비전설정 및 실천계획에 관한 사항

○ 도시농업과 관련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회의 개최 및 주기○ 회의개최 : 위원장 또는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

○ 개최주기 : 정기(분기 1회), 수시(필요시)

사업비 : 12백만원

Page 37: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4 -

4-6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실시 기존사업

○ 도시농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도시농업 리더 양성

○ 향후 도시농업 강사, 현장지도자, 텃밭매니저,

귀농·귀촌 교육전문가로 활동

사업개요

○ 사업대상 : 서울시민으로 농업분야 관련자

○ 사업인원 : 2기, 100명

○ 사 업 비 : 35백만원

추진계획

○ 운영주최 : 서울시농업기술센터(도시농업 전문인력 양성기관)

○ 교육시기 : 전반기(매년 3~4월), 후반기(매년 8~9월)

○ 교육대상

- 농업계학교졸업자, 농업관련자격증소지자

- 농업분야 장기교육(50시간 이상)이수자

- 농업경영 유경험자, 농업관련기관단체 경력자

○ 교육구성

- 교과구성 : 이론(40%), 실습(40%), 현장실태조사(20%)

- 교육시간 : 80시간 이상

- 교육내용 : 도시농업 이해와 중요성, 친환경재배기술 등

○ 도시농업 일자리 창출

- 도시농업교육, 현장지도, 도시농부, 텃밭매니저, 환경 분야 자원봉사자 등으로 활동

추진일정

○ '15. 3~4 : 1기 참여자 모집 및 교육

○ '15. 8~9 : 2기 참여자 모집 및 교육

Page 38: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5 -

4-7 도시농업 대중화를 위한 “도시농부학교” 운영 기존사업

○ 일반시민 대상의 찾아가는 생활농업교육으로

도시농업 확산

○ 친환경농법, 텃밭채소가꾸기, 로컬푸드 교육 등을

통한 녹색소비자 양성

사업개요

○ 교육대상 : 도시농업 교육 희망시민

○ 교육인원 : 연 40회 5,000명

○ 사 업 비 : 16백만원

※ 최근 3년간 교육실적 : 180회/ 23,090명

추진계획

○ 운영주최 : 서울시농업기술센터

○ 교육장소 : 구민회관, 주민센터, 복지시설 등(자치구와 협의)

○ 교육강사 : 도시농업전문가 등 관련분야 전문 강사 활용

○ 교육편성 : 도시농업실천반, 텃밭채소 가꾸기반 등 운영

○ 교육시간 : 2시간

○ 교육내용

-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도시농업교육

- 친환경 텃밭채소가꾸기, 친환경방제제 만들기, 로컬푸드의 중요성 등

○ 교육운영

- 자치구별 교육 수요조사 → 교육인원 확정 → 교육실시 → 평가

추진일정

○ '15. 1~2 : 도시농부학교 25개 자치구 교육 수요 조사

○ '15. 3~10 : 도시농부학교 운영(자치구별 도시농업 교육)

○ '15. 11 : 사업 추진결과 평가

Page 39: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6 -

4-8 “서울농업체험” 그린투어 기존사업

○ 도시민이 영농체험을 통해 도시농업에 대한

이해와 도시농업 활성화 및 생산적인 여가문화의

토대 마련

사업개요

○ 교육대상 : 서울시민(개인) 또는 단체

○ 교육인원 : 연간 15회, 600명

○ 교육장소 : 친환경 채소농장, 벼농장, 분재농원, 허브농장, 과수원 등

○ 사 업 비 : 23백만원

추진계획

○ 운영주최 : 서울시농업기술센터

○ 서울농업체험 그린투어

- 분야별 친환경농장 탐방 및 작물재배 견학

- 시기별 농사체험 및 도시농업 실습교육

- 우수농산물 직거래 및 시식

추진일정

○ '15. 1 : 서울농업체험 그린투어 추진계획 수립

○ '15. 2~11 : 서울농업 체험 그린투어 사업추진

○ '15. 12 : 사업 추진결과 평가

Page 40: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7 -

4-9 도시농업 담당직원 대상 교육 실시 신규

○ 도시농업 사업 추진 시 우리시 및 자치구

공무원의 적극적인 협조와 이해 필요

○ 도시농업 업무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도시농업

실무 교육 및 선진농가 사례조사

사업개요

○ 교육대상 : 서울시 및 자치구 직원

○ 교육장소 : 농업기술센터

○ 교육인원 : 연 4회 100명(25명/회)

○ 사 업 비 : 별도 편성하지 않음

※ '15년도는 도시농업 수요계층 맞춤형 기술교육 예산을 함께 사용

추진계획

○ 교육강사 : 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관련 분야 전문 강사 활용

○ 교육대상 : 시·구 도시농업 업무관련 공무원

○ 추진방법 : 교육대상자 모집 및 인원확정

○ 교육시간 : 1일 8시간

○ 교육내용

- 도시농업의 가치와 기능, 관련 법규, 선진국의 도시농업 사례 등

- 생활 속 실천 가능한 다양한 도시농업 현장실습

- 서울도시농업 선진농가 사레조사

○ 교육운영

- 부서별, 자치구별 교육대상자 안내 → 교육인원 확정 → 교육실시 → 평가

교육 이수 후 평가를 통해 실무업무를 내실 있게 추진토록 하고 우수 직원 격려

추진일정

○ '15. 1~2 : 우리시, 자치구 교육 대상자 모집(서울시, 자치구)

○ '15. 4~10 : 교육실시

○ '15. 11 : 사업 추진결과 평가

※ 학교농장 운영 교직원에 대한 도시농업 교육은 '16년도 이후에 추진 검토

Page 41: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8 -

4-10 농부의 시장 확대 및 운영 내실화 (도시농업 “서로 어울림 장터” : 도시농업 서울장터)

기존사업,� 확대

○ 市 주도의 도시농업 서울장터를 민간단체와 합동으로

개최하여 규모확대와 시너지 효과 제고

○ 도시농업과연계한문화․예술활동및공동체커뮤니티조성

사업개요

○ 도심공원의 도시농업 서울장터

- 장 소 : 5개소(광화문광장, 북서울 꿈의 숲, 보라매공원, 2개소 미정)

○ 서울시 한강공원의 도시농업 서울장터

- 장 소 : 9개소(이촌, 뚝섬, 광나루, 잠실, 반포, 여의도, 양화, 난지, 망원)

○ 자치구 도시농업 서울장터

- 장 소 : 25개 자치구(구청마당, 근린공원 등)

○ 사 업 비 : 500백만원(자치구별 농부의 시장은 구별로 예산편성 운영)

추진계획

○ 도시농업 생산 잉여농산물을 이웃과 함께 나누고 소통 화합의 장을 마련하여

마을공동체 활성화 및 도시농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

- 도시농업(자투리․주말․상자텃밭 등) 생산 농산물 판매 위주의 장터 운영

※ 향후 도시농산물 생산량과 공동텃밭 운영단체의 활동사항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텃밭 주변에 장터를 설치하는 등 중장기적인 개선방안 마련

▸개선안) 기존 농부의 시장에 도시농업 시민 및 단체의 참여비중을 점차 확대하고, 도시농업

시민단체 등 공동텃밭 운영단체가 소규모 장터를 많은 곳에서 직접 운영

○ 서울시 도심공원의 도시농업 서울장터 운영 : 대형 3개소

→ 텃밭 주변의 소규모 30개소

- 운영기간 : 매년 4~11월, 매주 토․일요일

○ 새마을중앙회, 민간단체 농부의 시장과 통합운영으로 행사규모 확대와 시너지효과 제고

○ 주변 전통시장 참여 확대, 전통시장 활성화 홍보 등 주변시장과 상생하는 방안모색

○ 중장기적으로 텃밭주변에 개설하고, 도시농업과 연계한 체험 및 문화행사 병행

추진일정

○ '15. 2 : 도시농업 서울장터 운영계획 수립

○ '15. 4~11 : 도시농업 서울장터 운영

○ '15. 12 : 사업평가

Page 42: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39 -

4-11 도농상생 농촌체험 캠핑 프로그램 운영(농촌 체류휴가형) 신규

○ 농촌지역 일손도 돕고, 캠핑도 즐길 수 있는

도농상생 농촌체험 캠핑여행 프로그램 운영

○ 농촌지역의 경제활성화를 돕고, 서울시민에게 저렴한

주말여가 기회 제공

사업개요

○ 체험대상 : 가족단위 서울시민

○ 참여인원 : 2회 150명, ’15년 년 2회 시범운영 후 점차 확대 추진

※ 체류기간은 ’15년도에 1박 2일 추진 후, ’16년 이후에는 3박 4일까지 확대 검토

○ 체험장소 : 농촌마을과 인근 폐교 등 캠핑장 활용

※ 우선 경기・강원・전북지역 운영 후 서울시와 타 道 지역도 중장기적으로 검토

○ 참 가 비 : 1박 2일 기준 1인당 2만원

○ 사 업 비 : 25백만원

※ 도농상생 및 농촌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해 국비또는 지방비(운영비의약30%) 지원방안검토

추진계획○ 운영계획 : 농촌체험과 캠핑, 일손돕기를 접목한 여행상품으로 개발

- 일손돕기는 단순작업을 하되, 현지 시·도와 긴밀히 협의하여 희망하는 농가를 선정

하여 추진(옥수수 수확, 밤줍기 등)

○ 운영방법 : 여행사를 통한 위탁운영

○ 참여자 모집 : 서울시 홈페이지

○ 프로그램 내용

- 계절별 농산물 식재 및 수확체험, 농촌일손 돕기 활동

※ 일손돕기 실시 전 사전교육을 실시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추진

- 농촌 마을별로 체험프로그램 및 향토음식 제공

- 농촌마을 견학 및 지역 농산물 구매

추진일정

○ '15. 1 : 농촌 캠핑, 일손돕기 프로그램 계획 수립

○ '15. 3 : 운영 여행사 선정

○ '15. 5~10 : 캠핑프로그램 운영

○ '15. 12 : 사업평가

Page 43: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40 -

4-12 부모와 함께하는 “도시가족 주말농부” 체험 신규

○ 우리시와 농업중앙회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어린이 가족단위의 1일 농촌체험행사

○ 농산물 수확체험과 로컬푸드 요리활동을 통해

도시민의 올바른 식생활 유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5. 4 ~ 10월

○ 체험대상 : 어린이 가족단위 서울시민

○ 참여인원 : 1,500명

○ 체험장소 : 경기도 연천, 안성 등 農食品교육 전문농장

○ 주 최 : 서울특별시․농업중앙회 공동사업

○ 사 업 비 : 26백만원

추진계획

○ 모집방법 : 서울시 및 농협중앙회 홈페이지

○ 체 험 비 : 1일 1인당 39,500원(시비지원 14,000원)

- 체험비 분담금 : 우리시 14,000원, 농협 15,500원, 개인 10,000원

○ 체험일정 : 4~10월(매월 2·4주 토요일 9시~18시, ※ 7, 8월방학기간 매주 토요일)

○ 운영내용

- 계절별 농산물 수확체험 및 요리실습

- 농촌마을 견학, 전통놀이, 둘레길 걷기, 나룻배타기 등 마을별 프로그램 운영

- 우리 농산물의 우수성과 로컬푸드를 이용한 식생활문화의 중요성 교육

추진일정

○ '15. 2 : 농업중앙회와 업무 협의

○ '15. 2 : 도시가족 주말농부 행사계획 수립

○ '15. 4~10 : 체험프로그램 운영

○ '15. 12 : 사업평가

Page 44: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41 -

4-13 도시텃밭에서 생산한 농산물 안전성검사 실시 기존사업

○ 정기적인 농산물 안전성 검사로 시민 불안을해소하고, 도시농산물의 이미지 개선 및 홍보

○ 도시텃밭 경작자의 친환경농자재 사용 유도로

친환경 도시농산물 생산

사업개요○ 사업장소 : 서울시내 텃밭

○ 검사대상 : 텃밭재배 농산물 및 토양

○ 검사항목 : 농산물 잔류농약 및 중금속(납, 카드늄), 토양 중금속 및 양분검사

○ 사 업 비 : 비 예 산

추진계획○ 의뢰기관 : 자치구

○ 검사기관 : 보건환경연구원(농산물, 토양), 농업기술센터(토양)

※ 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안전과와 연계하여 안전성 검사 지속적인 실시

○ 수거대상 : 자투리텃밭, 옥상텃밭, 학교농장, 민간텃밭 등

○ 검사수량 : 농산물(연간 200건), 토양검사(연간 100건)

○ 검사방법(강북검사소 검사의뢰)

- 농산물 : 자치구별 봄·가을 작물 무작위 표본 수거 → 안전성 검사 의뢰

- 토 양 : 자치구별 작물 식재 전 도시텃밭 토양 무작위 표본 수거 → 검사 의뢰

○ 검사결과 홍보

- 농산물 및 토양 안전성검사 결과를 방송 및 일간지 신문에 게재하여 적극 홍보

․도시텃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먹거리로 이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수확 후 바로 먹을 수 있어 신선도와 맛이 오히려 일반농산물 보다

우수함을 시민들에게 널리 홍보

○ 도시농업박람회 개최시 안전성검사 홍보 부스 운영 방안 마련

- 도시농업 생산물에 대한 안전성검사 홍보와 간이 속성검사 현장체험장 운영 검토

(보건환경연구원 강북검사소 잔류농약검사팀과 사전협의 필요)

추진일정

○ '15. 2 : 농산물 안정성 검사계획 수립

○ '15. 3~ 4 : 토양 안전성 검사 실시

○ '15. 4~ 6 : 봄작물 안전성 검사 실시

○ '15. 10~11 : 가을작물 안전성 검사 실시

Page 45: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42 -

6 행 정 사 항

1 도시농업 업무 TF 구성 ․ 운영

추진배경

○ 도시농업간담회시 시장 요청사항(’14. 8. 29)

- 도시농업 업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농업기술센터, 푸른도시국 등

상호 연관되는 부서와 TF를 구성하여 긴밀한 협의 필요

TFT 구성․운영 계획

○ 조직구성

- T/F 팀장 : 경제진흥본부 민생경제과장

- T/F 팀원 : 7명

․민생경제과(2) : 도시농업지원팀장, 텃밭조성팀장

․푸른도시국(3) : 공원정책과 공원녹지기획팀장, 공원조성과 주제공원팀장,

조경과 조경관리팀장

․농업기술센터(2) : 도시농업과장, 농업기술과장

- T/F 서기 : 민생경제과 도시농업 총괄 주무관

※ 필요시 도시농업분야의 전문학자, 시민단체, 자치구 등 자문 또는 배석

○ 주요기능

- 도시농업분야 주요업무 추진사항 사전 검토 및 협의

- 공원내 도시농업 조성, 수직식물농장, 음식물․낙엽․가로수 자원화 사업 등

○ 운 영

- 운영기간 : ’15. 3월 ~ , 정례회의 개최는 분기 1회 이상

2 도시농업 업무 책임관제 운영 (인사과 협의)

추진배경○ 도시농업간담회시 시장 요청사항(’14. 8. 29)

- 도시농업 업무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므로 5년정도 근무할 수 있도록

전문관(책임관)제 도입 필요

추진방안○ 추진기간 : 2015년 상반기부터

○ 대상인원 : 2명(도시농업지원팀장, 담당 주무관)

Page 46: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43 -

3 도시농업 기능 ․ 조직 보강 (조직담당관, 인사과 협의)

추진배경

○ 도시농업간담회시 시장 요청사항(’14. 8. 29)

- 도시농업 업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추진단을 구성하고 인원 보강 필요

- 공무원 중 일부는 도시농업 NGO 출신을 채용하여 시민단체 등과 소통

추진방안

○ 추진기간 : 2015.1월 ~

- 도시농업추진단은 ’16.1.1일부터 구성(2팀, 10명)하고 중장기 인력보강 방안을

별도 수립하여 추진(현재 5명 → ’15년 10명 → ’16년 이후 20명 이상)

- NGO 출신 채용은 향후 도시농업과로 개편될 경우 추진(팀장 1, 직원1)

○ 시·자치구 도시농업 인력 보강

구 분 ’14.12월 ’15년 ’16년 ’17년 ’18년

시본청(민생경제과) 5 10 20 25 30

자치구 17 25 30 40 50

계 22 35 50 65 80

증 가 13 15 15 15

※ 향후 市 도시농업과로 확대 , 자치구 전담부서(팀 또는 과) 설치 권고

- 매년 확대되는 도시농업 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신규직원 지속적 채용 필요

4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관련규정 개정 추진(법무담당관 협의)

공원텃밭 등 도시농업 실천공간 확보를 위한 관련규정 개정 추진

○ 도시공원내에서 도시농업을 자유롭게 실천할 수 있도록 도시공원조례와 도시

농업 조례 개정 추진

- 도시농업공간이 건축 조경면적에 반영되도록 하고, 아파트 건축시 도시

농업공간 확보의무화 등 검토

○ 옥상텃밭 활성화를 위한 건축조례와 재산세 조례 등 개정추진

○ 유휴지 도시농업 활용 조례, 유기폐기물 도시농업 자원화 지원 조례 등 제정

추진

Page 47: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44 -

5 도시농업 추진계획 수립 ․ 시행

도시농업 추진계획 수립․시행

○ 각 사업별 기관(부서별)별 세부추진계획 수립․시행 : '15. 1월

- 경제진흥실(민생경제과) : 도시농업 사업 총괄

- 푸른도시국(공원녹지정책과, 공원조성과) : 도시농업공원 관련 사업

- 농업기술센터 : 농업교육, 농업기술보급․연구개발사업 등

제4회 도시농업 박람회 운영

○ 도시농업 박람회 총감독 및 추진위원회 구성 운영

- 총감독(행사․도시농업 관련자), 제4회 행사 도시농업위원회 실무위원회

소위원회(자문)

- 방향제시 및 주제선정 등 시민이 주도하는 행사 기획

- 자치구, 타시도 참여 및 각국도시를 초청하여 국제박람회로 준비

Page 48: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45 -

(붙임 1)도시농업 사업별 기관(부서)별 추진사업

주 요 사 업 추진부서

1 도시농업 실천공간 확보·확산

1-1 도심 “자투리텃밭” 조성민 생 경 제 과

( 농 업 기 술 센 터 )

( 자 치 구 )

1-2 사회복지시설 “싱싱텃밭” 조성 : 공약사항1-3 생태 학습의 장 “학교농장” 조성 : 공약사항1-4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 “옥상텃밭” 조성 1-5 이야기가 있는 “상자텃밭” 보급1-6 텃밭조성 가능부지 실태조사

민 생 경 제 과1-7 도시농업실천을 위한 “희망서울 친환경농장” 운영1-8 사회취약 계층을 위한 “테마가 있는 농장” 운영

농 업 기 술 센 터1-9 “민영 주말농장” 지원사업

1-10 도시농업 “체험학습장” 운영 농 업 기 술 센 터( 자 치 구 )

1-11 텃밭에서 찾는 건강 전통음식을 통한 도시농업활성화민 생 경 제 과

( 자 치 구 )1-12 실내·외 텃밭정원 육성사업1-13 도시농업 우수 자치구 포상

2 사회적경제 활성화

2-1 민간단체 공모사업 민 생 경 제 과( 자 치 구 )2-2 주민참여 예산사업

2-3 “도시농업지원센터” 지원 민 생 경 제 과

2-4 도시농업전문가 활용 및 일자리 창출 민 생 경 제 과(농업기술센터, 자치구)

3 도시재생 , 자원순환

3-1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민 생 경 제 과농 업 기 술 센 터자 치 구

3-2 가락시장 및 공동주택 농산물 생쓰레기 퇴비화사업3-3 음식물 퇴비화사업(음식물 퇴비제조기 공급) - 시범사업

4 사회‧문화, 공동체 활동 강화

4-1 서울 “도시농업박람회” 업그레이드(분재전시 포함) 민 생 경 제 과

4-2 농사절기 “도시농업 축제한마당” 운영 지원 민 생 경 제 과

4-3 도시농업 워크숍 개최 민 생 경 제 과

4-4 도시농업 해외교류사업 민 생 경 제 과

4-5 도시농업위원회 운영 활성화 민 생 경 제 과

4-6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실시 농 업 기 술 센 터

4-7 도시농업 대중화를 위한 “도시농부학교” 운영 농 업 기 술 센 터( 자 치 구 )

4-8 “서울농업체험” 그린투어 농 업 기 술 센 터

4-9 “도시농업 담당직원 교육” 실시 민 생 경 제 과( 농 업 기 술 센 터 )

4-10 “농부의 시장 확대 및 운영” 내실화 민 생 경 제 과

4-11 도농상생 “농촌체험 캠핑” 프로그램 운영 민 생 경 제 과

4-12 부모와 함께하는 “도시가족 주말농부” 체험 민 생 경 제 과

4-13 “도시텃밭 농산물 안전성 검사” 실시 민 생 경 제 과(식품안전과, 보건환경연구원)

Page 49: 2015년 서울 도시농업활성화 추진계획wish.welfare.seoul.kr/upload/data/_20150127132117133.pdf · 2015-01-27 · 농촌일손 돕기 및 교류 확대 실시 2. 옥상텃밭

- 46 -

(붙임 2)20 15년 사 업 별 성 과 지 표

사업별 내역(4대분야 33개 사업 : 신규사업 8, 기존사업�및�확대 25)사업분야 주 요 사 업 명 사업(성과)지표 사업비

(백만원) 비고

도시농업실천공간확보

·확산

1-1 도심 “자투리텃밭” 조성 · 125개소 437 기존

1-2 사회복지시설 “싱싱텃밭” 조성 : 공약사항 · 50개소 1,000 신규

1-3 생태 학습의장 “학교농장” 조성 : 공약사항 · 30개소 540 기존

1-4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 옥상텃밭 조성 · 30개소 1,183 기존

1-5 이야기가 있는 상자텃밭 보급 · 25,000세트 405 기존

1-6 텃밭조성 가능부지 실태조사 · 업무협약추진 50 신규

1-7 도시농업실천을 위한 “희망서울 친환경농장” 운영 · 12개소 7,200구획 710 기존

1-8 사회취약 계층을 위한 “테마가 있는 농장” 운영 · 7개소, 1,250구획 179 기존

1-9 “민영 주말농장” 지원사업 · 55개소, 15,000구획 95 기존

1-10 도시농업 “체험학습장” 운영 · 5개소, 53,136㎡ 659 기존

1-11 텃밭에서 찾는 건강 전통음식을 통한 도시농업활성화 · 3개소 260 신규

1-12 실내·외 텃밭정원 육성사업 · 15회차 40명 76 신규

1-13 도시농업 우수 자치구 사례 포상 · 최우수(1), 우수(2), 장려(2), 격려(2) 50 확대

미래도시농업및일자리창출

2-1 민간단체 공모사업 · 10개 단체 내외 250 확대

2-2 주민참여 예산사업 · 1개소 30 기존

2-3 “도시농업지원센터” 지원 · 5개소 50 기존

2-4 도시농업전문가 활용 및 일자리 창출 · 700명 - 기존

자원순환

3-1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 112개소(신규55, 기존112) 96 기존

3-2 가락시장 및 공동주택 농산물 생쓰레기 퇴비화사업 · 1개소 60 신규

3-3 음식물 퇴비화사업 (음식물 퇴비제조기 공급)-시범사업 · 110개소 60 신규

사회·

문화

기능

강화

4-1 서울도시농업박람회 업그레이드 · 1회(5월중) 510 확대

4-2 농사절기 “도시농업 축제한마당” 운영 지원 · 5회(절기별) 150 기존

4-3 도시농업 워크숍 개최 · 2회 15 기존

4-4 도시농업 해외교류사업 · 2회 20 기존

4-5 도시농업위원회 운영 활성화 · 4회이상 12 확대

4-6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실시 · 2회, 100명 35 기존

4-7 도시농업 대중화를 위한 “도시농부학교” 운영 · 40회, 5,000명 16 기존

4-8 “서울농업체험” 그린투어 · 15회, 600명 23 기존

4-9 “도시농업 담당직원 교육” 실시 · 4회, 100명 - 신규

4-10 “농부의 시장 확대 및 운영” 내실화 · 15개소 500 기존

4-11 도농상생 “농촌체험 캠핑” 프로그램 운영 · 5회, 250명 25 신규

4-12 부모와 함께하는 “도시가족 주말농부” 체험 · 15회, 1,400명 26 기존

4-13 “도시텃밭 농산물 안전성 검사” 실시 · 300건 - 기존

합 계 33 사 업 비 7,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