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118 ISP 최종보고서webbook.me.go.kr/DLi-File/091/020/007/5591804.pdf · 제 출 물...

201

Transcript of 20141118 ISP 최종보고서webbook.me.go.kr/DLi-File/091/020/007/5591804.pdf · 제 출 물...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000-001342-01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2014. 8.

(최 종 보 고 서)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안전원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000-001342-01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2014. 8.

(최 종 보 고 서)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안전원

제 출 물

화학물질안전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용역 사업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 8.

연구기관명 : ㈜유코아시스템

연구책임자 : 최 용 호

연구원 : 박 재 홍

연구요약

□ 화학물질관리 중요성의 시급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수는 10만여 종에 이르며 매년 2천여

종의 새로운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으며, 매년 300여종 이상이 새로이 국내시장에 진

입되는 등 현대 사회에서 화학물질은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요소가 된지 오래이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안전한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산업발전에 큰 기여를 하는 아주 유용

한 물질이지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인명 및 재산피해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발생으

로 인한 생태계 피해 등 2차 피해를 유발하는 등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부정적인 파

급 효과가 매우 크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2015년 화학물질관리법 시행으로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

서 제도 추진과 유해화학물질 영업자의 책임 강화할 수 있도록 수급인 관리까지 확대

하며, 취급자가 사고대비물질에 대한 위해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에게 고지하도

록 사고 대응을 강화하였으며, 화학사고 대응 체계를 개편하여 취급자의 위해관리계획

에 따른 조치, 수집조정관 파견 제도를 추진하려 한다. 또한 화학물질관리법 제48조

「화학물질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운영」에 준하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다음에

해당하는 국내외 유해물질 정보를 수집 평가 관리하여야 한다.

1. 화학물질의 명칭(국문명, 영문명, 유사명 등)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번호 국제연

합 번호 등 화학물질 일반정보

2.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위험물, 독성가스 등 화학물질 관리법에 따라

관리되는 화학물질 정보

3. 화학물질의 유해성 및 위해성 등에 관한 정보

4. 사업장별 화학물질 취급량 및 취급시설 등에 관한 정보

5. 화학물질의 용도 위험성 방재요령 등 화학사고 대비에 필요한 정보

6. 화학물질의 누출 유출시 이격거리, 화재시 이격 및 방호활동거리 등 화학사고 대응에 필요한 정보

7. 화학물질, 화학물질 함유 제품의 국내외 정보

8. 그 밖에 화학물질의 안전관리 및 화학사고 대비 대응 등과 관련된 정보

이에 화학물질안전원에서는 화학물질관리법 시행 시 예상되는 기업 및 정부기관 담

당자 등 각 이해관계자들에게 방대한 자료 관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전산시스템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 잦은 화학사고로부터 국민의 안전 대책 방안 필요

화학물질관리법이 시행될 경우 기업 및 정부기관 담당자 등 각 이해관계자별로 새로

운 업무 절차가 신설되고, 수만 건 이상의 민원서류 처리가 예상됨에 따라 업무 프로

세스의 효율성 향상 및 체계적 자료의 관리와 국민을 화학사고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기

위하여 화학물질관련 정보, 화학물질별 응급대응정보, 화학물질 취급시설 정보 등 제공

함으로써, 화학물질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를 위하여 IT 시스템 개발

이 필요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사업에서는 화학물질관리법 시행에 따른 IT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장 단기 전

략과 단계별 이행계획 수립으로 IT시스템 개발에 소요되는 물자 등을 합리적으로 두출

하기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을 추진하였다.

□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방안 수립 및 이행

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이해관계자로부터 업

무프로세스 현황 조사 및 분석과 화학물질안전원 내 외부에서 사용되는 관련 시스템의

현황 파악을 실시하였다. 또한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을 통해 정보제공을 위

하여 최신 IT 기술의 Trend 및 선진사례를 분석하였고, 관련 법, 제도 조직을 분석하

여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관련 이슈 및 대안을 분석하여 화학물질관리

법 종합포털시스템, 시스템 공동 활용, e-Learning시스템, 현행 시스템 개선 등 미래모

형을 도출하여, 단계별 추진과제의 정의와, 예산 산정 및 Road Map을 설계하였다.

○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성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은 화학물질안전원 내․외부로부터 화학물질정보 관

련 데이터를 수집 및 정제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전문도구를 이용해 분

석함으로써, 화학 산업분야의 동향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 할 수가 있

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의 안전보장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대외비자료 및 공개 가능 자료로 구분하여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안전과 환

경보호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림 1.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목표시스템 구성(안)

○ e-Learning 시스템 구성

e-Learning 시스템은 화학물질 취급시설 종사자 또는 관련 사업장 종사자의 년 1회

2시간 이상 필수 교육을 원활히 진행함으로써, 화학물질관련 취급 종사자의 안전의식

을 향상시키고자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림 2.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목표시스템(안)

○ 시스템 공동 활용 구성

시스템 공동 활용은 화학물질안전원 내부에서 구축되는 시스템의 중복 개발을 회피

하고, 시스템간의 데이터 공유하는데 소요되는 불필요한 소요를 제고하고자 메타데이

터시스템을 통한 데이터(용어, 코드)의 표준화를 진행하여야 하며, 사용자 관리를 일

원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통합관리와, 시스템 사용이력을 통한 불법접근 및 보안 데이

터 유출에 대한 이력 추적과 사용이력 통계를 통하여 사용량이 많은 시스템의 자원분

배 등을 통해 자원을 적시적기에 배치하여 활용이 가능하며, 게시판 기능과 같은 일

반 기능에 대하여 기능 제공을 함으로써, 개발원가의 절감 기회가 발생한다.

그림 3. 시스템 공동 활용 목표시스템 구성(안)

□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의 효과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은 국민의 안전과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

해물질관련 사업장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업무에 대한 중요도를 인지시키고, 국민에게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스스로 방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이 되어야 하며, 환경보전을 위해서도 정보를 제공하여 화학물질정보제공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이 되어야 한다.

목 차

1. 사업개요 1

가. 사업 배경 및 목적 1

나. 사업 범위 및 추진 방법 3

다. 사업범위별 추진결과 4

라. 추진일정 및 수행절차 5

2. 현황 분석 7

가. 환경 분석 7

나.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을 실천하기 위하여 4대 Core 전략에 따른 15개 과제 도출 17

다. 현행 시스템 분석 23

3. 미래모형 설계 72

가. 정보화전략 수립 72

나. 미래모형 설계 73

다. 데이터 아키텍처 구성방안 128

라. 기반기술 아키텍처 구성방안 131

4. 이행계획 수립 138

가. 정보화 추진과제 도출 138

나. 단계별 이행 로드맵 150

다. 소요자원 산정 156

라. 기대효과 분석 169

5. 부록 173

가. 어플리케이션 기능점수 산정 근거 173

나. 정량적 기대 효과 산정 기준 183

다. 참고자료 184

표 차례

표 1. 사업 추진 일정 5

표 2. ICT Core 세부 전략 도출 17

표 3. 외부환경분석 SWOT분석 19

표 4. 분석대상 선정기준에 따른 기술요건 20

표 5.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개정 및 운영 내부관계자 25

표 6.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개정 및 운영 외부관계자 27

표 7.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관리 내부관계자 29

표 8.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관리 외부관계자 31

표 9. 화학물질 위해성 등 관리 내부관계자 33

표 10. 화학물질 위해성 등 관리 외부관계자 35

표 11. 화학물질조사 및 배출량저감대책 내부관계자 37

표 12. 화학물질조사 및 배출량저감대책 외부관계자 38

표 13. 화학물질 분류/표지 내부관계자 41

표 14. 화학물질 분류/표지 외부관계자 42

표 15.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 내부관계자 44

표 16.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 외부관계자 45

표 17. 분석대상 데이터 62

표 18. 일반정보 65

표 19. 관리번호 65

표 20. 속성별 분류정보 66

표 21. 물리화학적 특성 67

표 22. 배출/유통량 정보 68

표 23. 독성정보 69

표 24. 법령 및 고시정보 70

표 25. 표준화 메타데이터 관리 대상 속성 정보 107

표 26. 메타데이터 관리 및 운영 조직 R&R(Role and Responsibility) 111

표 27. 연계정보 대상 도출 123

표 28. 연계대상별 연계방안 및 연계방식 선정 123

표 29. 표준연계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127

표 30. 표준연계시스템 구현 방안 127

표 31. 종합정보시스템 데이터 주제별 설명 129

표 32. e-Learning 데이터 주제별 설명 131

표 33. 시스템 공동 활용 데이터 주제별 설명 131

표 34. 하드웨어 구성 내역 133

표 35. 소프트웨어 구성 내역 133

표 36.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안 157

표 37. 종합정보시스템 인프라 및 시스템 구축내역 158

표 38. 연도별 소요자원 산정 결과 159

표 39. 응용시스템별 연도별 개발비용 162

표 40. 데이터베이스 서버 산정 기준 164

표 41. WEB/WAS 서버 산정 기준 165

표 42. 업무별 스토리지 용량 산정 165

표 43. 하드웨어 서버 및 스토리지 도입 용량산정 166

표 44. 연도별 하드웨어 구축 예상 비용 167

표 45. 소프트웨어 비용 168

표 46. 정성적 기대효과 분석 170

표 47. 정량적 기대효과 산출 172

그림 차례

그림 1. 사업의 목적 ·······················································································································2

그림 2. 수행단계 상세절차 ···········································································································6

그림 3. 중·소 기업 업체수와기업규모별 유통량 ····································································10

그림 4. 지역별 화학사고 발생 건수 ·························································································10

그림 5. 우리나라 전자정부 서비스의 발전 단계 ···································································11

그림 6. 정부3.0, 한국정보화진흥원 2007 ·················································································12

그림 7. 범정부 기술참조 모델 ···································································································13

그림 8. 가트너 ‘12~’14년 10대 전략 기술 ···········································································16

그림 9.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중 ICT CORE 추진 전략 ·······················································17

그림 10. 업무 분석 대상 및 목적 ·····························································································23

그림 11. 화학물질안전원과 관련 업무 연관도 ·······································································24

그림 12.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개정 및 기본계획 수립 정보 활용 체계도 ·····················25

그림 13.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관리 ········································································28

그림 14. 화학물질 위해성 등 관리 ···························································································32

그림 15. 화학물질조사 및 배출량저감대책 체계도 ·······························································36

그림 16. 화학물질 분류/표지 체계도 ························································································40

그림 17.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 체계도 ·········································································43

그림 18. 화학물질관리법 관련 IT시스템 ·················································································46

그림 19.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개요 ·······································································47

그림 20.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구조(1) ··························································47

그림 21.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구조(2) ··························································48

그림 22.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기능(1) ··························································49

그림 23.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기능(2) ··························································49

그림 24.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기능(3) ··························································50

그림 25.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기능(4) ··························································50

그림 26. 화학물질정보시스템 데이터 구조 ·············································································51

그림 27.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개요 ·························································································51

그림 28.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응용구조(1) ············································································52

그림 29.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응용구조(2) ············································································52

그림 30.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응용기능(1) ··············································································53

그림 31.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응용기능(2) ··············································································53

그림 32.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데이터 구조 ···········································································54

그림 33.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개요 ·······································································55

그림 34.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응용구조(1) ··························································55

그림 35.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응용구조(2) ··························································56

그림 36.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응용기능(1) ··························································56

그림 37.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응용기능(2) ··························································57

그림 38. 화학물질 유해성 심사 홈페이지 응용기능(3) ························································57

그림 39.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데이터구조 ···························································58

그림 40.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58

그림 41.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구조(1) ····················································59

그림 42.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구조(2) ····················································59

그림 43.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기능(1) ····················································60

그림 44.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기능(2) ····················································60

그림 45.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기능(3) ····················································61

그림 46. 데이터 분석 개요 ·········································································································62

그림 47. 데이터 현황 종합 ·········································································································71

그림 48. 미래모형정립 단계 ·······································································································72

그림 49.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설계방안 ·····························································73

그림 50.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구축목표 ·········································································74

그림 51.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구성 방향 ·······································································75

그림 52.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목표시스템 구성(안) ····················································76

그림 53.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주요 서비스 ···································································77

그림 54. 개인맞춤형서비스 개념도 ···························································································78

그림 55. 통합자료관리 개념도 ···································································································79

그림 56. 통합자료 관리 기능 분해도 ·······················································································80

그림 57. 데이터웨어하우스 개념도 ···························································································81

그림 58.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 기능분해도 ·····································································82

그림 59. 데이터 웨어하우스 관리 개념도 ···············································································83

그림 60. 정보활용 개념도 ···········································································································84

그림 61. e-Learning 시스템 구축목표 ·····················································································85

그림 62.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시스템 구성 방향 ·······································86

그림 63.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목표시스템 안 ·············································87

그림 64.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시스템 주요 서비스 ···································88

그림 65. 교육 신청 및 교육듣기 ·······························································································89

그림 66. 강사 교육관리 및 과정개설 ·······················································································90

그림 67. e-Learning 지식광장 ···································································································91

그림 68. e-Learning 시스템 교육관리 ·····················································································92

그림 69. e-Learning 시스템 집합교육관리 ·············································································93

그림 70. 시스템 공동 활용 구축목표 ·······················································································94

그림 71. 시스템 공동활용 목표시스템 구성 안 ·····································································95

그림 72. 시스템 공동 활용 주요서비스 ·················································································96

그림 73. 메타데이터시스템 개념도 ···························································································97

그림 74. 메타데이터시스템 구성안 ···························································································98

그림 75. 메타데이터시스템 관리 프로세스 ·············································································98

그림 76. 메타데이터시스템 응용기능 ·······················································································99

그림 77. 통합 로그인 개념도 ···································································································100

그림 78. 권한 및 인증에 따른 통합 로그인 ·········································································101

그림 79. 시스템 사용이력 개념도 ···························································································102

그림 80. 게시판 생성 및 관리 ·································································································103

그림 81. 화학물질안전원의 통합메타데이터의 필요성 ·······················································104

그림 82. 통합 메타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개요 ···································································105

그림 83. 통합 메타데이터 설계 개요 ·····················································································106

그림 84. 표준화 메타데이터 설계 ·························································································106

그림 85. 표준화 메타데이터 관리 대상 항목 간 연계관계 설계 ·····································107

그림 86. 표준화 메타데이터 구축 운영 단계별 주요 활용 ···············································108

그림 87. 표준화 메타데이터 초기 구축 방안 ·······································································109

그림 88. 표준화 메타데이터 기관 간 연계 운용방안 ·························································109

그림 89. 메타데이터 관리 및 운영 조직 구성 방안 ···························································110

그림 90. 전자민원처리시스템 개념도 ·····················································································112

그림 91. 전자민원처리시스템 주요 서비스 구성 ·································································113

그림 92. 전자민원처리시스템과 온나라시스템 연계방안 정의 ·········································114

그림 93. 온나라시스템과의 결제처리 연계 ···········································································115

그림 94. 온나라시스템과 연계 기능 및 기준 ·······································································116

그림 95. 장외영향평가 위해관리계획 프로그램 개념도 ·····················································117

그림 96. 장외영향평가·위해관리계획 프로그램 주요서비스 ··············································118

그림 97.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CARIS) 개념도 ···················································119

그림 98.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 주요서비스(1) ······················································120

그림 99.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 주요서비스(2) ······················································120

그림 100. 화학물질 사고이력시스템 개념도 ·········································································121

그림 101. 화학물질 사고이력시스템 주요 서비스 ·······························································122

그림 102. 자료연계 방안 목표 개념도 ···················································································124

그림 103. 화학물질안전원 내부시스템 연계방안 구성도 ···················································124

그림 104. 웹서비스 방식의 연계 방안 ···················································································125

그림 105. 표준전자문서 설계 절차 ·························································································126

그림 106. 표준연계 프레임워크 구성 ·····················································································126

그림 107. 주제별 데이터 영역 ·································································································128

그림 108. 시스템별 수집DB ·····································································································130

그림 109. 기술기반 아키텍처 구성 방안 개요 ·····································································132

그림 110.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 ·······································132

그림 111. 보안 정책 ···················································································································134

그림 112. 전자문서 보안처리 절차 ·························································································134

그림 113. 보안 취약점 및 해결방안 ·······················································································135

그림 114. 서버보안 흐름도 ·······································································································136

그림 115. DB 보안 구성 ···········································································································137

그림 116. 이행과제 도출 및 이행 단계 정의 ·······································································138

그림 117.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139

그림 118. 통합자료관리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140

그림 119.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141

그림 120. 정보포털 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142

그림 121. 시스템 공동 활용 표준체계 구축 ·········································································143

그림 122. e-Learning 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144

그림 123.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응용기반 구성 ···············································145

그림 124.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인프라 구축 이행과제 정의 ·······················146

그림 125. 화학물질 통합메타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 이행과제 정의 ·····························147

그림 126. 화학물질 데이터 관리체계 수립 이행과제 정의 ···············································148

그림 127.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운영방안 이행과제 정의 ·····························149

그림 128. 단계별 추진 목표 ·····································································································150

그림 129.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년차별 추진 계획 ·········································151

그림 130. 화학물질관리법 시스템 표준 연계 구축 년차별 추진 계획 ···························151

그림 131. 종합정보시스템 응용기반 구성 년차별 추진 계획 ···········································152

그림 132. 인프라 구축 및 보안 구축을 위한 년차별 추진 계획 ·····································152

그림 133. 통합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 년차별 추진 계획 ·················································153

그림 134. 스마트 정보 제공 체계 구축 년차별 추진 계획 ···············································153

그림 135.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운영 년차별 추진 계획 ·······························154

그림 136. e-Learning 시스템 년차별 추진 계획 ·································································155

그림 137. 소요자원 도출 개요 ·································································································160

그림 138. 개발비용 보정계수 적용 ·························································································161

그림 139. 기능 점수 산정 ·········································································································162

그림 140. 개발 비용 최종 산출 결과 ·····················································································163

그림 141. 기대효과 도출 목적 ·································································································169

그림 142. 기대효과 도출 절차 ·································································································169

그림 143. 정성적 기대효과 ·······································································································171

화학물질안전원 1 (주)유코아시스템

1. 사업개요

가. 사업 배경 및 목적

1) 사업 배경 및 필요성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수는 10만여 종에 이르며 매년 2천

여 종의 새로운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다. 또한, 매년 300여종 이상이 새로이 국내

시장에 진입되는 등 현대 사회에서 화학물질은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요소가 된

지 오래이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안전한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산업발전에 큰 기여를

하는 아주 유용한 물질이지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인명 및 재산피해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발생으로 인한 생태계 피해 등 2차 피해를 유발하는 등 사회 경제적으로

미치는 부정적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2013년 화학물질관리법과 화학물질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로

개정하고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함에 따라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제 도입으로 장

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 제출 추진과, 유해화학물질 영업자의 책임 강화할 수

있도록 수급인 관리까지 확대하며, 취급자가 사고대비물질에 대한 위해관리계획 수

립하고, 지역주민에게 고지하도록 사고 대응에 강화하였으며, 화학사고 대응 체계를

개편하여 취급자의 위해관리계획에 따른 조치, 수습조정관 파견 제도를 추진하려 한

다. 또한 화학물질관리법 48조 「화학물질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운영」에 준하여 종

합정보시스템을 통해 다음에 해당하는 국내외 유해물질 정보를 수집 평가 관리하여

야 한다.

1. 화학물질의 명칭(국문명, 영문명, 유사명 등)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 국제연합 번호 등 화학물질 일반정보

2.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위험물, 독성가스 등 화학물질 관리

법에 따라 관리되는 화학물질 정보

3. 화학물질의 유해성 및 위해성 등에 관한 정보

4. 사업장별 화학물질 취급량 및 취급시설 등에 관한 정보

5. 화학물질의 용도 위험성 방재요령 등 화학사고 대비에 필요한 정보

6. 화학물질의 누출 유출시 이격거리, 화재시 이격 및 방호활동거리 등 화학사고 대

응에 필요한 정보

7. 화학물질, 화학물질 함유 제품의 국내외 정보

8. 그 밖에 화학물질의 안전관리 및 화학사고 대비 대응 등과 관련된 정보

화학물질안전원 2 (주)유코아시스템

이에 화학물질안전원에서는 화학물질관리법 시행 시 예상되는 기업 및 정부기관

담당자 등 각 이해관계자들에게 방대한 자료 관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전산시스

템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하며, 효율적인 구축을 위하

여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 안전과 관련된 공공기관 또는

단체와 협의체를 구성 운영하여야 한다.

2) 사업 목적

향후 화학물질관리법이 시행될 경우 기업 및 정부기관 담당자 등 각 이해관계자별

로 새로운 업무 절차가 신설되고, 수만 건 이상의 등록서류 처리가 예상됨에 따라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성 향상 및 체계적 자료 관리를 위하여 IT 시스템 개발이 필수

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사업에서는 IT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장단기 전략 수립, 단계

별 이행계획의 마련 및 시스템 개발에 소요되는 물자 등을 합리적으로 도출하기 위

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을 추진하였다.

그림 1. 사업의 목적

화학물질안전원 3 (주)유코아시스템

나. 사업 범위 및 추진 방법

1) 본 사업의 과업지시에 따른 추진 범위는 다음과 같다.

가) 화관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방안 및 운영전략 수립

(1) 종합적·체계적화관법서비스구축및운영을위한단계별추진계획및구체적실행방안제시

(가) 화관법 운영을 위한 서비스 구축 및 운영 방안 단계별 추진 계획 제시

(2) 화관법 시행에 따른 업무의 범위 정의 및 프로세스 확립

(가) 화관법의 인·허가 단위 업무를 정의하고 관리자·수요자 입장에서의 업무범위를 산정

(3) 화관법 IT 시스템 구성 체계 및 세부 기능 정의

(가) 화학물질안전원의 인·허가관련 운영 시스템에 대한 현황 분석 및 활용 방안 분석

(나) 전산화를 위한 시스템 구성과 각 시스템 내 세부 기능 및 최적의 구조 제시

(4) 화관법 IT 시스템 규모 산정

(가) 화관법 IT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신규 개발되거나 기존 시스템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에 대한 세부 방안 제시

(나) 각 시스템별 소요물자(서버 등 시스템 HW, 시스템 SW, NW, 응용 SW) 규모

및 개발 방안 정의

나) 화관법 IT 시스템의 세부 이행 계획 전략 수립

(1) 화관법 종합정보시스템 개발전략(로드맵) 수립

(가) 화관법 IT 시스템 장단기 개발방향 수립 및 각 단계별 최적의 이행계획(추

진일정/세부 내용/소요 자원 등) 수립

(나) 로드맵에 따른 화관법 IT 시스템의 운영 조직 및 운영주체별 업무 절차 수립

(다) 시스템 구축에 따른 시스템 유지관리 프로세스 수립

(2) 화관법 IT 시스템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 및 정보화 투자를 위한 소요 근거 제시

(가) 시스템 구축에 따른 정성적, 정량적 기대효과 산정

(나) 소요예산의 내역 및 예측치 제시

화학물질안전원 4 (주)유코아시스템

다. 사업범위별 추진결과

수행내용 수행결과(page)

1. 화관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방안 및 운영전략 수립

- 종합적·체계적 화관법 서비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단계별 추진계획 및 구체적 실행방안 제시미래모형 설계, 64~122p

- 화관법 시행에 따른 업무의 범위 정의 및 프로세스 확립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124, 129, 130, 133P

- 화관법 IT 시스템 구성 체계 및 세부 기능 정의정보화 추진과제 도출,

123~134p

- 화관법 IT 시스템 규모 산정 소요자원 산정, 140~152p

2. 화관법 IT 시스템의 세부 이행 계획 전략 수립

- 화관법 종합정보시스템 개발전략(로드맵) 수립단계별 이행 로드맵,

134~139p- 화관법 IT 시스템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 및 정보

화 투자를 위한 소요 근거 제시기대효과 분석, 153~156p

화학물질안전원 5 (주)유코아시스템

라. 추진 일정 및 수행절차

1) 추진 일정

본 사업의 추진방법론에 따른 주요 업무활동별 추진 일정은 표 1과 같이 수행되었다.

구 분M M+1

1 2 3 4 1 2 3 4

1. 화관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방안 및 운영전략 수립

- 종합적·체계적 화관법 서비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단계별 추진계획 및 구체적 실행방안 제시

- 화관법시행에따른업무의범위정의및프로세스확립

- 화관법 IT 시스템 구성 체계 및 세부 기능 정의

- 화관법 IT 시스템 규모 산정

2. 화관법 IT 시스템의 세부 이행 계획 전략 수립

- 화관법 종합정보시스템 개발전략(로드맵) 수립

- 화관법 IT 시스템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 및

정보화 투자를 위한 소요 근거 제시

3. 최종보고회 ◎

표 1. 사업 추진 일정

화학물질안전원 6 (주)유코아시스템

2) 수행절차

본 사업은 화학물질안전원 내·외부 환경 분석과 업무 및 시스템의 현황 분석 단계

를 거쳐 수행된다. 환경 및 현황 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개선과제를 목표모델 수립단

계에서 상세화하며, 실행계획 수립단계에서는 상세화된 개선과제에 대해 사업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각 연구용역 수행 단계의 상세 절차는 그림 2와 같이 수행되

었다.

그림 2. 수행단계 상세절차

화학물질안전원 7 (주)유코아시스템

2. 현황 분석

가. 환경 분석

외부 환경 분석은 거시적 환경요인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변수를 정치

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기술적 환경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본 사업에

반영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 정치적 환경 분석

정부는 2017년까지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국민행복을 제시하고 이 중에서도 국민

안전을 위한 주요 국정과제로 “재난 예방 및 체계적 관리”를 추진하였다.

가) 국가 재난관리시스템 강화를 통해 국민들이 각종 재난으로부터 안전함 삶 구현

(1) 통합재난대응시스템 구축 : 예방 중심의 선제적 재난관리 및 재난 대응 컨트롤

타워 기능 강화와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진행 중

나) 구미 불산 누출 같은 화학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석면 등 유해물질로부터 국

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외영향평가, 환경오염피해배상제도 등 화학물질

안전관리 및 환경오염피해구제 체계마련

(1) 화학사고 예방·대응·수습 체계 구축 : 사고의 예방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

여 장외영향평가를 도입하고, 화학사고 전문기관인 화학물질안전원 설치(2013

년)토록 하였다.

(2) 환경오염피해구제제도 확립 : 피해자가 구제받을 수 있도록 원인자를 대상으로

환경오염 피해배상제의 도입과, 유독물생산자 등에게 환경오염 피해보험을 의

무 가입토록 하여, 원인자 미상 피해의 구제를 위한 기금을 설치토록 하였다

(2013~2014 법제화).

다) 국가환경종합계획(‘06~‘15)의 체계적 추진을 위한 5년간의 실천계획으로 자연환

경보전 기본계획 등 분야별 환경계획을 종합·조정하고, 관계부처 환경정책과

시·도 환경보전계획을 총괄하는 범정부적 환경 종합계획 수립하여 추진

라) 기후변화와 환경위험의 선제적 대응과 환경안보 강화를 위해 ‘국민의 건강과 안

전을 책임지는 환경관리’, 환경서비스와 환경복지 확충을 위한 추진전략을 수립

하여 추진 중

마)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지는 환경관리를 위해 생활용수의 안정적 확보와 상

하수 서비스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를 추진 중

바) 도시·공단지역의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대기오염 총량관리를 강화하고 전기

차·천연가스 버스의 보급을 확대

사) 폐기물이 비산·유출되는 수거차량을 탱크로리형으로 현대화

화학물질안전원 8 (주)유코아시스템

아) 환경복지 확충을 위해 환경약자에 대한 보호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환경취약지

역을 중점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중소기업 환경대응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며, 환

경피해를 위한 구제체계를 강화하는 정책과제 추진

자)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시민의 알 권리 강화를 위해 지역사회 알권리 법 제정

현 정부는 국가차원에서 통합재난대응시스템 구축 방안 수립과, 화학물질사고로 인

한 2차 피해자에게 구제와 환경취약지역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관련 시설을 관리하기

위한 노력, 산업단지 주변 지역의 유해화학물질 노출 조사 및 주민 건강 모니터링 등

을 통해 국민 안전 정책에 강화하고 있다.

2) 경제적 환경 분석

기업의 자발적 안전관리 참여와 중·소 영세업체 시설지원을 통하여 강화되는 화학

물질관리법에 준수하여, 안전하게 업무환경과 중소 업체의 경영난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 기업의 자발적 안전관리 참여

노후 및 취약시설 개선과 사고 예방 및 대응 시스템의 확충과 원천업체의 책임강

화, 안전문화 정착을 통해 기업의 자발적 안전관리 참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 30대 기업 중 석유화학, 전자반도체 분야의 9개사 화학물질 취급기업은 노후·

취약시설 개선, 환경시설 강화, 소방시설 확충, 유독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에 2015년까지 2조 8천억원을 투자하며, 이에 따라 환경안전 및 화학물질 안

전관리 분야 전담조직과 인력도 확충 예정에 있다.

(2) 석유화확업계를 중심으로 채택돼온 누출탐지·보수시스템(LDAR)이 휘발섬유기

화학물질(VOC) 배출량을 70%이상 감축하는 효과가 있어 타 업종까지 확대함

으로써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3) 화학사고의 회피사례, 유사시 처리사례와 이로부터 얻은 교훈 등에 대한 정보

수집 공유체계를 산업계가 자체적으로 구축, 서로 공유함으로써 유사사고의 재

발방지에 활용하고자 함.

(4) 도급 계약 조건을 개선하여 수급인에게 충분한 안전조치 기회를 제공하고 하

청업체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가) 하청업체가 안전관리를 철저하게 할 수 있도록 현행 최저임찰가 도급계약을

하청업체의 안전관리 역량 및 안전이력을 반영한 종합평가 방식으로 전환하

여 나가고,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을 도급 계약 조건에 명시함으로써 중소

기업에 대한 안전관리를 철저하게 하게 함

(나) 유해위험정보를 하청업체에 의무적으로 제공하고 화학설비의 정비·보수 등

화학물질안전원 9 (주)유코아시스템

위험작업에 대한 작업방법·내용을 확인해 허가하는 작업허가서 발부 제도를

시행하고, 원청에서는 안전 감독관을 비치하도록 하는 한편, 하청근로자에게

안전교육을 병행

나) 중·소 영세업체 시설 지원

화학물질관련 사고 발생 시 환경 및 안전의 문제점이 대두됨에 따라 중요성이 확

대되고 있으며, 기업의 자발적인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전반적인 요구가 증대

됨에 따라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발적 노력이 필요하다.

(1) 2015년까지 시화, 반월 등 소규모 업체가 밀집한 노후산업단지와 안전관리 역량

이 취약한 업체에 대해서는 무상 정밀안전진단, 방문 기술지도·교육 등을 지원

하고, 2015년에는 중소기업 융자금을 활용하여 긴급정비가 필요한 시설을 지원

(2) 앞으로는 관계부처가 힘을 모아 지도·점검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전문가의

안전진단, 기술지도, 교육 등을 병행하여 기업부담은 감소시키고 효과를 증대

(3) 대응장비·측정·분석·영향조사 분야 기술 개발 추진 및 화학물질 관리 서비스

기술을 개발 및 보급하여 전문적인 안전관리를 지원

산업계, 정부가 힘을 모아 만든 첫 대책이라는 점에서, 이번 종합대책이 정부가

강조해온 국민안전을 이루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전망하며, 중·소 기업의 안

전관리를 위한 정부차원의 안전관리 지원 체계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3) 사회/문화적 환경

가) 국민의 안전보장 요구 증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화학사고로 인하여 산업단지 인근 주민들의 건강과 재산 피

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됨에 따라 안전관리에 국민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전남, 경기, 울산, 서울 순으로 사고 발생 건수가 많으며, 이들 지역

은 대규모 화학단지가 있거나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 다수 분포된 지역으

로 화학물질 취급양이 많을수록 사고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국민의 안전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사전준비 및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 추진이 필요하며,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국민의 화학사고로부터 사전

에 예방 할 수 있는 정보제공 서비스가 필요하다.

화학물질안전원 10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3. 중·소 기업 업체수와기업규모별 유통량

그림 4. 지역별 화학사고 발생 건수

화학물질안전원 11 (주)유코아시스템

4) 기술적 환경 분석

가) 전자정부서비스의 발전

(1) 국내 전자정부 서비스는 개별 부처 전산화에서 대국민 서비스 정보화 단계를

거처 범부처간 연계 업무처리 및 서비스 제공의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그림 5. 우리나라 전자정부 서비스의 발전 단계

나) 정부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

(1) 미래의 정부 서비스는 인터넷의 진화에 따라 「단방향→양방향→개인별 맞춤

정보서비스」로 패러다임이 변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화학물질안전원 12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6. 정부3.0, 한국정보화진흥원 2007

다) 범정부 기술참조모델

(1) 범정부 기술참조모델은 업무지원을 위한 응용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기술

을 서비스 접근 및 전달, 인터페이스 및 통합, 요소기술, 플랫폼 및 기반구조,

보안의 5가지 분류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기술함

(가) 서비스 접근 및 전달

① 사용자 또는 외부 시스템 관점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영역

② 시스템(또는 서비스 제공자)관점에서 사용자 또는 외부시스템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

(나) 인터페이스 및 통합

① 외부 또는 내부 타 시스템 또는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를 연계하여 활용

하는 데 기반이 되는 기술 분야 의미

(다) 요소기술

① 시스템적으로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요

소 기술 분야를 의미

(라) 플랫폼 및 기반구조

화학물질안전원 13 (주)유코아시스템

① 시스템적으로 서비스(서비스 컴포넌트)를 구축, 유지, 사용할 수 있도록 지

원하는 하드웨어, 네트워크, 미들웨어, 운영체제 등의 기반분야 의미

(마) 보안

①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정보자산(하드웨어, 소프트

웨어, 네트워크 등)을 적절한 방법(보안정책과 보안대책)으로 보호하는 것을 의미

그림 7. 범정부 기술참조 모델

라) 한국IDC는 국내 IT시장 10대 예측

(1) 2014년 국내 IT이상,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 예상

(가) 2013년에 이여 2014년 국내 IT 시장이 처음으로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

을 기록할 전망

① IT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클라이언트

기반 제품 시장의 부진

② 다만, 경기 불확실성이 축소되면서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시장을 제외한 전

통적인 IT시장은 점차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2) 제3의 플랫폼, 성장 측면에서 유일한 IT마켓플레이스

(가) 클라우드, 소셜, 모바일, 빅데이터로 전통적인 IT영역이 지속적인 성장 예상

① 글로벌 전체 IT 지출 29%, 전체 IT시장 성장의 8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3) 보다 진화한 컨슈머라이제이션 시대

화학물질안전원 14 (주)유코아시스템

(가) 태블릿PC시장의 도약 가능성 등 다양한 변화가 진행 될것 으로 예상

①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게임요소가 활성화되고, HTML5영역이 예상된 성장 궤

도를 유지하지 못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앱 영역이 관심을 받을것으로 예상

(4)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도입 활성화 및 가치 변화

(가) CYOD(Choose Your Own Device)가 확산되면서 기업 환경과 BYOD(Bring

Your Own -Device)의 간극을 좁힐 것으로 예상

① 디바이스를 포함한 하드웨어 대한 관심은 점차 기업용 앱 지원 및 서비스를

포괄하는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전체 ROI부문에 집중될 전망

(5) 비즈니스 측면에서의 사물인터넷(IoT)시장 확산

(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클라이언트 기기뿐만 아니라 M2M(Machine to

Machine), 다양한 형태 등 기기 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디바이스들이 이

미 존재하고 있으며, 그 숫자가 급속도로 늘고 있어 향후 IoT가 실제 비즈

니스에 적용되는 사례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

(6) 빅데이터 영역, 표준화 단계

(나) 빅데이터 관련 솔루션들이 점차 표준화 형태로 제시되면서 선택의 어려움이

극복되고, 기술적 측면보다는 사례를 통한 빅데이터 영역의 가치에 대한 관

심이 증가 될 것으로 전망

(7) 소셜 부문, 기업 영역 확산 본격화

(가) 일반 사용자 위주의 소셜 영역이 점차 기업 업무의 전략적 프레임워크에 포함

① 기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으로 진화하며 마케팅 측면은 물론, 기업의

비즈니스 그 자체에 녹아드는 모습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② 분석 역량이 강화된 소셜리틱스 앱 영역도 기업의 워크플러우와 접목, 비즈

니스 경쟁력 강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각되면서 시장 성장 주도

(8) 수요자 주도의 클라우드, 클라우드 2.0

(가) 글로벌 커버리지 및 로컬 지원 역량 유무 확대에 따라 클라우즈 비즈니스에

있어 파트너를 포함, 채널 비즈니스 비중 확대

(9) 더 빠르고 유연한 광대역 네트워크 환경 확대

(가) 대역폭에 민감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 수요가 확대되면서 더 빠르고, 더 넓

고, 유연한 네트워크 환경 구축에 대한 관심 확대

(10) IT부서 및 CIO역할 변화 가속화

(가) IT부서는 점차 서비스 형태의 IT를 제공하는 SP(Service Provider)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IT환경 구축보다는 IT운용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지원 역할에 중점

① LoB(사업부서)의 의견은 그 비중이 더욱 확대

화학물질안전원 15 (주)유코아시스템

② IT의 가치가 낮아진다기보다는 IT가 비즈니스 이노베이션의 주체가 되고

있다는 관점 접근

(나) 이에 따라 IT사업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반으로 IT주도의 비즈니스가 형성되

어 발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IT시스템 벤더 및 서비스 업체, 통신사 등은

PC오 모바일 기기를 넘어 기업의 각종 설비와 기계, 자동차, 텔레비전과 같

은 소비재 제품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현실이며, 대부분의 기업들이 운영

및 조직 측면에서 IoT를 위한 충분한 준비를 갖추고 있지는 않지만 보유하

고 있는 제품, 서비스, 자산, 데이터 등 모든 것을 디지털화해 연결시킬 때

관리, 수익, 운영 측면에서 모두 큰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 가트너의 2014년 10대 전략기술 비교

(1) 2012년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주목 받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하이브리드 IT &

클라우드 컴퓨팅와 개인형 클라우드까지 변형이 되며 지속적으로 성장

(2) 테블릿, 모바일 기기 등은 이동성이 좋은 웨어러블 컴퓨팅이나, 스마트 머신,

다양한 모바일 기기로 변경되어 성장

(3) 2012년에 새로 등장한 사물인터넷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간 통신을 한다는

개념을 확장하며 ’13년에도 주목을 받았으며, 2014년에는 만물인터넷으로 개념

이 확장되어 향후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기기 등과 상호운용 관련 기술은 시

장성이 높은 기술로 부상

화학물질안전원 16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8. 가트너 ‘12~‘14년 10대 전략 기술

바)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에 따르면 “디지털 창조한국”실현을 위해 정보화로 창조경제

경인, 창의적 ICT활용, 창조역량 강화, 창조한국 인프라 고도화 등 4대 「ICT

CORE 전략」추진

화학물질안전원 17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9.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중 ICT CORE 추진 전략

나.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을 실천하기 위하여 4대 Core 전략에 따른 15개 과제 도출

전략 과제 세부과제

정보화를

통한 창조

경제 견인

1 .국가데이터

기반의 신산업

육성

1-1. 데이터의 효과적인 개방ㆍ공유 및 활용기반 조성

1-2. 데이터 기반 新비즈니스 창출

1-3. 데이터 산업의 발전기반 확충

2.신기술 확산

을 통한 수요

창출

2-1. 신기술 선도사업으로 비즈니스 창출ㆍ확대

2-2. 미래핵심기술 상용화를 위한 ICT R&D 확대

2-3. 신기술 융복합을 저해하는 규제 개선

3 . I CT기반의

창의적 기업역

량 강화

3-1. ICT를 활용한 전통ㆍ중소기업의 강소기업화 지원

3-2. ICT 신생ㆍ벤처기업의 경쟁력 강화

3-3. 공공정보화 시장혁신으로 SW기업의 성장 촉진

3-4. 신시장 개척을 위한 ICT기업의 글로벌 진출 확대4. 인터넷 신비

즈니스 창출기

반 조성

4-1. 상생과 혁신을 통한 인터넷 생태계 강화

4-2. 인터넷 新비즈니스 창업ㆍ육성 지원

4-3. 인터넷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기반 조성

국가사회

의 창의적

ICT 활용

5. 국민을 위한

지능형 맞춤

행정 구현

5-1. 국민 기대에 부응하는 행정서비스 고도화

5-2. 국민참여형 서비스 확대

5-3. 협업 기반의 과학적 국정운영 강화6. ICT로 건강 6-1. 사용자 중심의 의료ㆍ복지서비스 강화

표 2. ICT Core 세부 전략 도출

화학물질안전원 18 (주)유코아시스템

한 국민행활

보장6-2. 안전한 식ㆍ의약품 이용 환경 조성

7.윤택한 지능

형 생활 환경

조성

7-1. 디지털 기반의 관광ㆍ레저 등 문화복지 실현

7-2.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는 생활서비스 구현

8. ICT기반의

국가ㆍ사회 안

전망 구축

8-1. 선제적인 재난재해 예방 체계 구축

8-2. 과학적인 범죄대응ㆍ치안체계 구현

8-3. 스마트 국가안보체계 확립

9. 지속가능한

신 SOC지능화

9-1. 첨단 도시환경 및 교통ㆍ물류체계 지능화

9-2. 에너지ㆍ환경 변화 대응 인프라 구축

9-3. 지능형 국가공간정보기반 및 활용체계 구축

국민의 창

조역량 강

10. 미래주도형

ICT역량 강화

10-1. 최첨단 교육ㆍ학습환경 구현

10-2. 창조적 디지털 리터러시 제고

10-3. 창의성ㆍ상상력이 풍부한 미래인재 양성11. 건강한 인

터넷 문화 장

11-1. 사이버폭력, 인터넷중독 등 역기능 해소

11-2. 온라인 자정체계 마련

11-3. 인터넷 정보윤리교육 및 건전문화 확산

12. 차별없는

정보복지 구현

12-1. 공평하고 차별 없는 정보이용환경 조성

12-2. 정보소외계층의 디지털격차 해소

디지털

창조한국

인프라 고

도화

13. 지능형 미

래 네트워크

구축

13-1. 가입자망 등 유선 네트워크의 양적 확충

13-2. 모바일 네트워크 활용 확산

13-3. 미래사회에 대비하 네트워크 혁신

13-4. ICT장비산업 활성화

14. 사이버 안

전국가 기반

확충

14-1. 정보보호 예방ㆍ대응 능력 상화

14-2. 국가 정보보호 산업 육성

14-3. 전자금융 등 인터넷 비즈니스 보안 강화

15. 국가정보자

원 체계 고도

15-1. 국가정보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관리기반 확

15-2. 클라우드 기반의 국가자원관리 체계 구축

15-3. 범국가 스마트워크 인프라 확충

화학물질안전원 19 (주)유코아시스템

1) 환경분석에 따른 SWOT분석

가)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SWOT분석을 하기 위하여 강점,

약점, 기회 및 위협 사항을 정리하였다.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l 화학물질 취급시설 안전관리 강화, 신속한

화학사고 대응체계의 확립

l 지속되는 화학물질사고에 대한 국민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

- 유해물질과화학사고로부터안전하고건강한삶의실현

l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기 위하여 화학정보에 대해

사전에 공지하고 안전문화 장착을 위한 노력

- 화학사고 예방시스템 구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방안 모색

l 화학사고에 대한 사전 예방점검에 대한 공감대 형성

- 전문인력 양성과 화학물질관리 안전기준체계 구축

l 화학물질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 구축

- 화학물질안전원 인력으로 장기근무(전문직위군) 지정

l 유해화학물질 별에 따른 관리 기관 상이함

l 화학물질관리를 위한 인프라의 미흡 및 개별화

- 사고 대응 인력, 장비 부족 등으로 소수의

인력으로 다수의 업무 추진

- 화학물질관리를 위한 종합정보시스템의 부재

l 화학물질관련 기관의 정보 시스템의 중복과

예산의 낭비초래

l 화학물질안전에 대한 기업 인식의 중요성 미비

- 대기업과 다르게 중소기업의 경우 경영상의

어려움이 있어 이에 대한 극복 방안 필요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l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으로

예방중심의 선제적 재난관리 및 재난대응 컨트롤

타워 기능 강화, 재난 안전 통신망 구축으로

화학물질안전원의 위상 제고

l 화학물질관련 정보서비스를 총괄하는 서비스

구축을 통하여 화학안전 분야의 세계적 선진 롤

모델 수립 가능

l 타기관과의 중복된 서비스의 제거와 화학물질

정보화표준로 선진화된 화학물질관리 사고 대응

및 예방대응 체계 구축

l 신개념 IT 기술 수용을 통하여 화학물질정보 및

안전관리의 안정성 및 편리성 증진

l 화학물질관리의 중요성 부각 및 필요성 증대

l 현 공공서비스 발달 단계에 상응하는 수준 미

도달 시, 디지털 사회참여 확대 및 인터넷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현 조류에 도태 위험

l 다양한 수요자 별 맞춤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

존재

l 다변화되는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적기의

정확한 대응의 어려움 존재

l 다양하고 개별적인 프로세스의 글로벌 수준의

표준화 및 유사 중복 투자의 제거 필요

표 3. 외부환경분석 SWOT분석

화학물질안전원 20 (주)유코아시스템

2) 정보기술 분석대상 선정 기준 및 기술 요건

가) 도출 기술 키워드를 대상으로 본 사업에 활용할 정보기술분석 대상을 내·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선정하고, 상세 분석을 통하여, 목표 적용기술을 도

출하였다.

(1) 선정기준

(가) 신기술에 기반한 업무처리 서비스 환경기반 구축

(나)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한 정보공유 및 활용을 고려한 선진형 시스템 구축

(다) 최신 IT서비스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정보의 활용 및 보호 양면을 고려한

정보관리체계 마련

(라) 각 업무시스템 구축을 위한 응용 기술의 적용

(2) 기술요건

기술 분야 기술 요건

서비스 접근 및 전달관련 기술

Ÿ 기존의 일방적인 정보전달형태에서

벗어나 양방향의 Interactive한

정보교환 지원

Ÿ 사고 위치 및 예방 형태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화학사고 예방 및

사고대응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ubiquitous환경 지원

인터페이스 및 통합기술

Ÿ 다양한 형태의 연계방식 및

연계데이터를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는

체계

Ÿ 복잡한 프로세스를 유연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체계

요소기술

Ÿ 각종 산재되어 있는 정보의 기준정보에

대한 중앙집중적인 관리 지원

Ÿ 기존의 단순한 정보의 연관관계 수립이

아닌 유추적인 판단을 요하는 대상간의

관계설정 지원

플랫폼 및 기반구조 기술

Ÿ 부정기적인 다수의 조사업무에 따른

부하를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지원

보안 기술

Ÿ 통합적인 보안관리 및 모니터링이 가능

Ÿ 배포된 자료 중 민감한 자료에 대한

변경 및 배포에 대한 제한

표 4. 분석대상 선정기준에 따른 기술요건

화학물질안전원 21 (주)유코아시스템

(3) 분석대상 정보기술 선정

(가)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IT시스템 설계, 개발,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적용 가능한 정보기술 도출을 위하여 선정기준을 결정하

였고 이에 따른 기술요건을 도출하여 다음과 같은 정보기술을 도출하였다.

① 서비스 접근 및 전달관련 기술

㉮ Web 2.0

- 화학물질관련 정보 배포에 있어 폭넓은 형태의 양방향, 참여형 서비스를

활용 할 수 있는 방안 고려

㉯ 모바일 서비스

- 화학사고 대응에 있어 현장에서 실시간 데이터 입력 및 전송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한 개선 방안 고려

- 화학물질 정보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모바일을 통한 정보서비스의 제공 방안 고려

② 인터페이스 및 통합 기술

㉮ SOA

- 다양한 형태의 연계형태를 포괄할 수 있는 유연한 아키텍처 구조 필요

-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와 컴포넌트 중심의 아키텍처 구조 필요

㉯ BPM

- 다양한 형태의 업무프로세스를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한 기술로 적용 검토

③ 요소기술

㉮ MDM

- 분산되어 있는 각 시스템 간에 공통으로 적용하여 일관되게 관리되어야

할 기준정보 관리를 위한 도입 검토

㉯ 메타데이터

- 데이터 표준화를 통하여 표준화가 필요하나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일 수 있는 용어에 대한 검색 및 연관관계 설정을 위한 적용 검토

④ 플랫폼 및 기반구조 기술

㉮ 만물인터넷

- 다양한 기기간의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연결로 화학사고 예방 및 사고 발

생에 기술 적용방안 및 도입 검토

㉯ 클라우드 컴퓨팅

- 정보자원의 유용한 활용을 위하여 적용 검토, 특히 외부기관에 서비스 제

공시 제공방식으로 검토

⑤ 보안기술

㉮ ESM

화학물질안전원 22 (주)유코아시스템

- 보안관리를 전사적인 차원에서 일관된 정책을 가지고 통합적으로 관제 및 운영/관리

함으로써, 보안 관리 업무의 효율화와 보안성 향상을 극대화측면에서적용 고려

㉯ DRM

- 민감한 데이터의 배포 및 유통에 적용 검토

화학물질안전원 23 (주)유코아시스템

다. 현행 시스템 분석

1) 업무 현황 분석

화학물질관리 시스템의 업무프로세스의 정확한 현황분석을 통하여 업무 현황을 파

악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화학물질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확하고 효과적인

개선방향을 정립하고자 담당자 인터뷰와 환경정보도서관(http://library.nier.go.kr/) 연

구용역보고서 “화학물질정보 포털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2009.6).

(상)-(하) / 환경부” 자료를 참조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림 10. 업무 분석 대상 및 목적

가) 화학물질정보 관련 업무 연관도

화학물질관련 업무 프로세스간의 연관관계 파악 및 효과적인 업무 수행을 위하여

프로세스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그림 11>와 같이 파악하였으며, 화학물질 프로세

스의 현황 파악 및 분석을 통하여 프로세스간의 영향도 파악과 향후 화학물질 정책

프로세스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 및 발전방향을 파악하였다.

화학물질안전원 24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11. 화학물질안전원과 관련 업무 연관도

나) 화학물질 정보 활용 체계도

(1)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개정 및 기본계획 수립

환경부의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개정 및 기본계획 수립과 국립환경과학원의 환경

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에 관한 사항, 화학물질유해성시험 연구기관의 지정, 운영

부문, 화학물질의 유해성 심사 및 개선방안 마련 및 화학물질 사고대응 정보체계

의 운영 및 대응 정보의 제공에 대한 정보 체계도는 <그림 1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화학물질안전원 25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12.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개정 및 기본계획 수립 정보 활용 체계도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관련 내부이해관계자는 환경부 화학물질과, 국립환경과학원

이며 단위 업무명, 사용유형, 활용정보, 정보출처 정보는 <표 5>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정보활용자 단위업무명사용

유형활용정보 정보출처 비고

화학물질과

1.6.1.1 유해화

학물질관리법

의 개정 및 운

활용

물질별 독성정보, 유

독물질 정보, 관찰물

질 정보

화학물질정보시

스템-

생산 유해성심사결과(고시) 환경부홈페이지 -

1.6.1.3 유해화

학물질 종합관

리대책 수립/

시행

활용인터넷 불법유통 단

속결과과학원

16종 화학물질 대

상(과학원 단속)

으로 결과를 활용

하여 지방청/지자

체의 임무/역할을

매 3월정의

표 5.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개정 및 운영 내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26 (주)유코아시스템

활용

단속실적, 업체 등록

현황, 지도/점검 결과,

정기점검 현황

지방자치단체,

지방환경관서

차후 환경백서,

환경 연감 등에

활용함

활용 유해성심사결과(고시) 환경부홈페이지  

1.6.1.4 유해화

학물질 시험기

관의 지정/육

성 및 관리

활용업체 관리 현황, 시

험항목, 업체 목록 등과학원 -

국립환경

과학원

1.3.1.3 OECD

대량생산화학

물질 위해성

평가사업

생산화학물질의 독성정

보 

기존의 화학물질

의 대상으로 독성

정보를 생산

1.3.4.1 GLP

시험기관 지정

및 관리

생산업체 관리 현황, 시

험항목, 업체 목록 등   

1.3.6.1 신규 및

기존화학물질

유해성 심사

참조신규물질에 대한 독

성, 물성, 사용정보

신규물질수입 /

제조업체

심사신청을 위해

업체가 자비로

GLP기관을 통해

생산

생산

물질에 대한 심사결

과(유독물, 관찰물, 일

반물)

 

심사후 유독물의

경우 즉시고시, 기

타3년 후 고시

1.3.6.2 유해성

심사 항목별

평가지침 마련

생산

급성독성,유전독성등

과학적인평가를위한

평가지침

 GLP시험기관에

자료 송부

1.3.6.3 QSAR법

적활용방안마련생산

물질에 대한 독성, 물

성, 사용정보

업체제공(신규

물질)/직접생산

(기존물질)

급성독성,유전독성

등항목들에대한결

과를실제실험Data

와비교

프로그램을이용한물

질의유적독성,급성독

성정보

 

1.3.6.4 유해성

심사 목록 구

축·관리

활용

유해성심사결과  

화학물질정보시스

템에 수시로 업데

이트생산

1.3.6.5 유해성

심사관련고시

제·개정

생산

유독물, 관찰물, 일반

물(유독물에 해당 하

지 아니 하는 물질)에

대한 고시

 

심사후 유독물의

경우 즉시고시, 기

타 3년 후 고시

1.3.12.7 인터넷

불법유통 유독

물 검색

생산 불법유통단속결과    

화학물질안전원 27 (주)유코아시스템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관련 외부이해관계자는 신규물질 수입/제조업체, 대국민, 시

민단체, 학계 및 연구기관, GLP시험기관, 지방자치단체, 지방환경관서이며 단위

업무명, 사용유형, 활용정보, 정보출처 정보는 <표 6>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정보활용자 단위업무명 사용유형활용정

보정보출처 비고

신규물질 수입/신규물질

수입/제조를 위해 신규물질에 대한

독성, 물성,

사용정보

입력화학물질

유해성심사-

제조업체유해성심사를

요청하는 기업

대국민

화학물질

유독물, 관찰물,

일반물(유독물에

해당 하지 아니

하는 물질)에 대한

고시

활용환경부

홈페이지-

시민단체

학계 및

연구기관

GLP시험기관정부에서 지정한

GLP 시험기관

급성독성,유전독성

등과학적인평가를위

한평가지침

활용 - -

지방자치단체

화학물질수입허가(

지방환경관서) 및

유독물

영업(지방자치단체

)에 대한 업무를

위임받아 업체허가,

불법유통단속,

지도/점검 등

환경부로부터

업무를 위임 받아

진행

단속실적,

업체등록현황,

지도/점검결과,

정기점검현황

입력 -

불법인터넷

유통물

단속은과학

원으로부터

증거자료를

받아단속시

행(지방자치

단체)

지방환경관서

표 6.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개정 및 운영 외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28 (주)유코아시스템

(2)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 관리, 잔류성 유기오염물 질 관련 국제협약 관련 업무

환경부의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 관리,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관련 국제

협약 관련업과 국립환경과학원의 환경오염물질의 환경 내에서의 변화에 관한 조사

연구, 화학물질의 유해성 심사 및 개선방안 마련에 대한 정보 체계도는 <그림

13>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13.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관리

화학물질안전원 29 (주)유코아시스템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관리 관련 내부이해관계자는 환경부 화학물질과, 국

립환경과학원이며 단위 업무명, 사용유형, 활용정보, 정보출처는 <표 7>와 같이 구

성되어있다.

정보활용자 단위업무명

활용정보 정보출처 비고

화학물질과

1.6.2.1 화학물질

확인 및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 심사

유해성 심사실적,

심사 추진현황 등과학원 ­

1.6.2.2 화학물질

수입(제조) 관리

수입허가 업체에

대한 정보, 수입 물질

및 양

지방환경관서

수입 시 허가에

대한 행정

업무를

지방청에서

진행. 수시로

환경부에 보고

1.6.2.3 유독물

영업자 관리

유독물 영업업체

허가/신청 현황지방자치단체

지자체에 유독물

영업업체의허가/

신청에 대한

업무를 위임하고

연말에 보고

받음.

1.6.7.1 특정면제

목록작성

PCB,다이옥신배출량

인벤토리과학원 ­

1.6.7.2 부산물

POPs 배출량 조사

1.6.7.3 POPs

관리기본계획 수립

1.6.7.4 POPs

배출원측정망관리

국립환경

과학원

1.3.2.1

하천퇴적물중PO

Ps축적도모니터

링사업

표층퇴적물과

심층퇴적물의

POPs축적도

­

결과물은 웹을

통해 공개하지

않으며,

국회에서 요청

시 제출.

모니터링 Data는

공개 안 하는

것이 좋음

표 7.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관리 내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30 (주)유코아시스템

1.3.6.2 신규 및

기존화학물질

유해성

유해성심사실적,

심사추진현황 등­ ­

1.3.6.2

유해성심사항목

별평가지침마련

급성독성,유전독성등

과학적인평가를위한

평가지침

­

홈페이지에

공개 및

시험기관(GLP)

에 자료 첨부

1.3.6.3

QSAR법적활용

방안마련

물질에 대한 독성,

물성, 사용정보

업체제공(신규

물질)/직접생

산(기존물질)

급성독성,

유전독성 등

항목들에 대한

결과를 실제 실험

Data와 비교 

프로그램을이용한물질의

유전독성,급성독성정보­

1.3.6.4

유해성심사목록

구축·관리

산유해성 심사결과 ­

화학물질정보시

스템에 수시로

업데이트

1.3.6.5

유해성심사관련

고시제·개정

유독물, 관찰물,

일반물(유독물에 해당

하지 아니 하는

물질)에 대한 고시

­

심사 후

유독물의 경우

즉시 고시, 기타

3년 후 고시

화학물질안전원 31 (주)유코아시스템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관리 관련 외부이해관계자는 지방환경관서, 지방자

치단체, 유독물 영업업체, 폐기물 처리업체이며 이해관계자설명, 활용(입력)정보, 유

형, 관련시스템정보는 <표 8>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정보활용자 단위업무명사용유

형활용정보 정보출처 비고

지방 환경

관서

화학물질 수입

허가에 관한 업무

진행

생산수입허가업체, 수입물질

및 양에 대한 정보­ ­

폐기물 처리업체의

인허가 관리생산

폐기물 처리업체 인허가

내역­ ­

지방자치단

유독물영업업체에대

한허가신청에대한업

무를위임받아진행

생산유독물영업업체허가신청

현황­ ­

유독물영업

업체

유독물영업을 하는

업체입력 업체정보 ­ ­

폐기물

처리업체

지방환경관서를통해

폐기물처리허가를받

은업체

입력 업체정보 ­  

표 8. 수입(제조) 화학물질 및 영업자관리 외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32 (주)유코아시스템

(3) 화학물질의 위해성 등 관리

환경부의 과불화물 등 국제적 규제물질에 대한 관리, 내분비계 장애물질 관리와

국립환경과학원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관리, 유해물질의 소비자노출 평가연구에 대

한 정보체계도는 <그림 14>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14. 화학물질 위해성 등 관리

화학물질안전원 33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의 위해성 등 관리 내부이해관계자는 환경부 화학물질과, 국립환경과학

원이며 단위 업무명, 사용유형, 활용정보, 정보출처는 <표 9>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정보

활용자단위업무명

사용

유형활용정보 정보출처 비고

화학

물질과

1.6.9.1 생활용품

상시 모니터링

구축 운영/관리

활용

제품의 사용특성(사용횟수,

연령

등)노출계수(제품-화학물질

-노출계수)

과학원 ­

1.6.11.3

취급제한금지물질

지정관리

 

 

생산법령정보고시(취급제한,금지

물질에관한규정)

환경부

홈페이지

고시내용

업데이트

활용위해성 입증 제품에 대한

물질, 용도 정보과학원 ­

활용 물질 정보화학물질

정보시스템 민원인(관련업

체) 문의대응활용 관련 법령 정보

환경부

홈페이지

1.6.11.4 CCA,

폐목재 등 처리

대책

생산 연구결과(대책) ­

사회적

이슈 발생

시 연구

용역을 통해

대책을

수립함

1.6.11.5

나노물질안전성평

가관리

활용탄소, 은 등 나노물질에

대한 안정성 평가 결과과학원 ­

생산 나노물질 유통 현황 ­

대학교 등의

연구기관을

통해 용역

진행

1.6.11.7

REACH대응전략

수립

생산 REAXH 대응 지침서 ­

관련

업체에

오프라인

배포 및

REACH

도움 센터에

업데이트

1.6.8.1 내분비계

장애 물질활용 연구보고서 과학원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표 9. 화학물질 위해성 등 관리 내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34 (주)유코아시스템

중장기연구사업 보도자료작성

1.6.8.3 한일

내분비계

장애물질 협력

사업

생산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국내 결과분석 데이터과학원

보고서는

일본과

번갈아 가며

격년으로

작성

활용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일본의 결과 일본

분석 데이터

국립환경

과학원

1.3.1.1

내분비계장애물질

관리

생산

국내 환경매체의

노출수준에 대한 연구

­

대기,

생물체 등

일부 매체는

용역으로

수행하고

수질, 퇴적물

등은 직접

시행하여

매년 보고서

형태로 작성

보고서

활용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일본의 결과 ­

보고서는 일본과

번갈아가며

격년으로작성분석 데이터

1.3.1.2

나노물질안전성평

 

생산

나노물질 예상취급업체

목록, 유통현황­

내부 자료임.

공유 할 필요

없으며,

나노물질관련

홈페이지에서

도 이 목록은

공개 안됨나노물질 관련

실험분석결과, 실험방법

등의 전문자료

­ ­

탄소, 은 등 나노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 결과­ ­

1.3.9.1

소비자제품에함유된유해

화학물질노출실태조사

생산

제품의 사용특성

(사용횟수, 연령 등)

노출계수(제품-화학물질-노출계수)

­ ­

화학물질안전원 35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의 위해성 등 관리 외부이해관계자는 취급제한물질관련업체, 화학물질

수출업체(2,000여개), 화학물질완제품수출업체(14,000~15,000여개), 일본 환경성이

며 이해관계자설명, 활용(입력)정보, 유형, 관련정보시스템 정보는 <표 10>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정보활용자 이해관계자설명 활용(입력)정보 유형관련정보

시스템비고

취급제한물

질관련업체

취급제한 물질과

관련 있는 업체

물질정보 및

취급제한 물질에

대한 법령정보

문의 ­ 오프라인으로

문의

화학물질수

출업체(2,000

여개)

유럽에화학물질

을사용한완제품

을수출하려는업

체REACH 대응

지침서활용

REACH

도움센터

오프라인 배포

및 온라인

서비스 제공화학물질완

제품수출업

체(14,000~1

5,000여개)

유럽에화학물질

을사용한완제품

을수출하려는업

일본환경성

한국과공동으로

내분비계장애물

질에대한공동연

구진행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결과분석 데이터

교환

활용 ­

보고서는 일본과

번갈아가며

격년으로 작성

표 10. 화학물질 위해성 등 관리 외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36 (주)유코아시스템

(4) 화학물질 조사 및 배출저감대책 수립

환경부의 화학물질 조사 및 배출저감대책 수립과 국립환경과학원의 화학물질의

배출량 정보 구축·제공, 유해화학물질에 관한 정보시스템의 구축관리에 대한 정보

체계도는 <그림 15>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15. 화학물질조사 및 배출량 저감 대책 체계도

화학물질안전원 37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조사 및 배출량저감대책 내부이해관계자는 환경부 화학물질과, 국립환

경과학원이며 단위 업무명, 사용유형, 활용정보, 정보출처는 <표 11>와 같이 구성

되어있다.

정보

활용자단위업무명

사용

유형활용정보 정보출처 비고

화학

물질과

1.6.4.1

화학물질의

유통량 조사

활용 유통량 정보

유통량

보고검증검

색 시스템

매 4년마다

용역을 통해

조사하며 조사 시

업체 ID/pass

발급하여 진행1.6.4.2

화학물질의

배출량 조사

활용

공정별,

물질별(388종),

업종별(조사대상

42개 업종) 배출량

조사/자료

배출량정보

공개

시스템 

점오염원은매년과

학원,환경청,화학

물질과에서직접진

행하며,비점은매4

년마다 용역을

통해진행.

1.6.4.3

화학물질의

배출량

정보공개

1.6.4.4

산업계의자발적

협약관리

활용 배출량 감소 정보협약 업체

제공

배출량조사업체(3

.000)여개를

대상으로 자발적

협약(3년내 30%,

5년내 50%,

30/50프로그램)1.6.4.5

화학물질통합정

보시스템 구축

활용

계획대비추진실적(

어떤 정보가 구축

되었는가)

과학원 ­

국립

환경

과학원

1.3.9.1

배출량조사결과

기술검증, 분석

생산

공정별,

물질별(388종),업종

별(조사대상42개업

종)배출량조사/자료

­

결과는

배출량정보 공개

시스템에

업데이트

1.3.9.2

배출량조사

기술교육 및

산업체

조사표작성

지원

1.3.9.5

표 11. 화학물질조사 및 배출량저감대책 내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38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조사 및 배출량저감대책 외부이해관계자는 유통량 신고기업, 한국화학물

질관리 협회, 배출량 신고기업, 배출량 저감 협약 기업, 평가위원회이며 단위업무명,

사용유형, 활용정보, 정보출처는 <표 12>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정보공개시스템

및 관련 TR

I관련홈페이지운영1.3.9.3

배출저감기술연구생산 배출저감기술 ­ ­

1.3.5.1

화학물질정보시

스템구축

생산 화학물질 정보 ­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정보

활용자단위 업무명 사용유형

활용

정보정보출처 비고

유통량

신고기업

유통량 신고 대상

업체유통량 입력

유통량

보고검증검색

시스템

매 4년마다 용역을

통해 조사하며

조사 시 업체에게

ID/pass발급하여

진행

한국화학

물질관리

협회

유통량 조사 시

시스템 및

기술적인 부분을

담당함

¯ ¯

유통량

보고검증검색

시스템

¯

배출량

신고기업

배출량 신고 대상

업체(점오염원)배출량 입력

배출량

보고검증검색

시스템

매 년 용역을 통해

조사하며 조사 시

업체에게 ID/pass

발급하여 진행

비점오염원조사업

체배출량 입력

배출량

보고검증검색

시스템

매 4년마다 용역을

통해 조사하며

조사 시 업체에게

ID/pass발급하여

진행

배출량

저감 협약

기업

자발적으로

배출량

저감협약을 맺은

기업-배출량

배출량저감

방안(기술)활용 TRI 지원 시스템 ¯

표 12. 화학물질조사 및 배출량저감대책 외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39 (주)유코아시스템

조사업체(3,000)여

개를 대상으로

자발적 협약(3년내

30%, 5년내

50%를

저감하겠다는

30/50 프로그램)

배출량

감소자료입력 TRI 지원 시스템 ¯

평가위원

교수,전문가,사회

단체,환경단체등으

로구성되어기업이

제출한배출량저감

자료를검증

배출량

감소 자료활용 ¯ ¯

화학물질안전원 40 (주)유코아시스템

(5) 화학물질 분류·표지

환경부의 화학물질 분류/표지와 국립환경과학원의 국제적 기준에 의한 분류·표

시제도 조사 ·연구에 대한 정보체계도는 <그림 16>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16. 화학물질 분류/표지 체계도

화학물질안전원 41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 분류/표지 내부이해관계자는 환경부 화학물질과, 국립환경과학원이며

단위 업무명, 활용유형, 활용정보, 정보출처는 <표 13>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정보

활용자단위 업무명 활용유형 활용정보 정보출처 비고

화학

물질과

1.6.5.1화학물질분류

표지제도도입/시행

활용

환경부와 타 부처의

분류결과에 대한

차이점 분석

­

환경부와타부처의

분류결과에대한

차이점분석을제공

받아타부처설득을

위한대응논리개발.

타부처의분류

결과는해당기관의

홈페이지에있으며,

환경부는홈페이지에

올리지않음

생산 GHS 지침서 번역본 ­

UN에서 발간한

책자를 부처

공동으로 번역하여

수입/수출/제조 등

유독물 취급업체에

오프라인으로 제공

국립

환경

화학원

1.3.8.1 GHS에의한

유독물등

유해화학물질

분류·표시내용연구

생산

GHS분류결과Excel형

태 타 부처 분류

사례 연구 결과

­ ­1.3.8.2 GHS와

조화되는 유독물

지정체계 연구

1.3.8.3 국내외

GHS의 조화를

위한 연구

1.3.8.4 GHS 관련

홈페이지

구축·관리 및

산업체지원

생산 업체 질의응답유독물 GHS

지원 시스템

GHS에 대한

업체의 질의응답을

비공개로 진행

표 13. 화학물질 분류/표지 내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42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 분류/표지 외부이해관계자는 유독물 취급업체, 대국민, 한국화학물질관

리협회이며 이해관계자설명, 활용(입력)정보, 유형, 관련정보시스템은 <표 14>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이해관

계자이해관계자설명 활용(입력)정보 유형

관련정보시스

템비고

유독물

취급업

수입/수출/제조 등

유독물질을

취급하는 업체

GHS 지침서

번역본활용 ­ ­

GHS 관련

질의응답활용

유독물 GHS

지원 시스템

유독물 실적

보고한 업체만

로그인 가능

대국민

GHS제도에 관심

있는 대국민,

시민단체 등 일반인

GHS 홍보자료 활용

정부합동

GHS

홈페이지

­

한국화

학물관

리협회

유독물실적보고수집 유독물 실적 활용 ­ ­

표 14. 화학물질 분류/표지 외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43 (주)유코아시스템

(6)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

환경부의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와 국립환경과학원의 화학물질의 안전관리

에 관한 조사연구, 화학물질 사고대응 정보체계의 운영 및 대응 정보의 제공, 화학

물질 사고 및 화학물질로 인한 테러 원인물질 분석법 연구에 대한 정보체계도는

<그림 17>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17.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 체계도

화학물질안전원 44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 내부이해관계자는 환경부 화학물질과, 국립환경과학원

이며 단위 업무명, 활용유형, 활용정보, 정보출처는 <표 15>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정보활

용자단위업무명

사용

유형활용정보 정보출처 비고

화학

물질과

1.6.3.1화학물질관련사고

및 테러예방 대비·대응

활용

화학물질정보데이터구

축실적시스템운영실적

과학원 -1.6.3.2화학물질사고의

환경영향조사

1.6.3.3화학물질안전관리

센터의 운영·관리

(과학원)

1.3.11.1자체방제계획서

작성지원 프로그램 기반

연구

생산사고대응물질 56종에

대한 유해성 강조- -

활용

업체의방제시설및장비의

보유현황,안전관리조직

읜인력및구성도,사고시

응급조치계획

지방환경

관서(사고

대비물질

취급업체)

업체가지방청에신고

후지방청에서취합하

여과학원제출

(과학원)

1.3.11.2사고후

영향조사관련DB구축 및

지원 프로그램 개발

생산

유독물+사고대응물질의

물리/화학적특성(독성,

PBT, 잔류성,

생물농축성)및물질별노

출량산정을위한변수,위

해도평가,대기수질토양

이동및잔류형태,복구기

준설정등

-

유독물(558종) 및

사고대응물질(56종

)에대해사고의종류,

규모에따라피해상

황을예측하는프로

그램임

(과학원)1.3.12.2화학물질사고대응

정보시스템관리

생산 구축실적 - -

(과학원)

1.3.12.3

화학물질사고대응경보

유지보수

(과학원)1.3.12.4초동대응용화학물

질취급업체DB구축

(과학원)1.3.12.8화학물질관련대응정

보제공을위한웹화면개발

(과학원)

1.3.12.7인터넷불법유통유

독물검색생산

인터넷불법유통유독물

증거자료(화면캡처)-

직접생산후지방환

경관서로자료를넘

겨단속실시

1.3.13.1휴대용CG/MS를이용한

사고대비물질분석법연구생산

GasChromatograph및M

assSpectroscopy장비를

이용한

물질분석방법(지침서)

-  

표 15.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 내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45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 외부이해관계자는 초동대응기관, 지방환경관서단체,

사고대비물질, 취급업체이며 이해관계자설명, 활용(입력)정보, 유형, 관련정보시스

템은 <표 16>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이해관

계자이해관계자 설명 활용(입력)정보 유형

관련

시스템비고

초동대

응기관

화학물질

사고/테러 시

사고대비물질56개화학물질에

대한유해성,취급업체의방제시

설및장비의보유현황,안전관리

조직읜인력및구성도,사고시응

급조치계획등의자체방제계획

활용 -차후시스템화

가능

가장 우선적으로

대응하게 되는

기관으로,

지방자치단체,

소방방제청,

경찰청,

해양경찰청,

국방부,

국립의료원예하

지역응급정보센

터등이있음

지방환

경관서

단체

 

Gas Chromatograph 및 Mass

Spectroscopy 장비를 이용한

물질분석방법(지침서)

생산 -  

휴대용GC/MS를 이용하여

측정한 사고대비물질 측정값활용 -

사고대

비물질

취급업

환경부 에서

지정한56종의사

고대비물질을일

정수량이상취급

하는업체

업체상세정보-방제시설및장비

의보유현황,안전관리조직읜인

력및구성도,사고시응급조치계

획등

생산 -

 사고 발생

시 과학원에

정보시스템이

구축 되면

지방환경관서

를 거치지

않고

과학원으로

바로입력

표 16. 화학물질관련 사고 및 테러 외부관계자

화학물질안전원 46 (주)유코아시스템

2) 정보화 현황 분석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도입으로 변화가 예상되는 기존 정보 시스템 현

황은 <그림 18>와 같다.

그림 18. 화학물질관리법 관련 IT시스템

가)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은 화학물질 중독사고 정보 및 테러 대응 정보 등

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 C/S기반 응용프로그램이며 전체적인 시스템 개

요와 주요 이해관계자는 <그림 19>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사용자 주요 응용기능은 파일, 보기, 지도컨트롤, 정

보검색, 사고대응, 위험성 평가, 상세확산평가, 기상업데이트, 메시지보내기, 도움말

로 구성되어있으며 세부기능은 <그림 20>,<그림 21>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화학물질안전원 47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19.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개요

그림 20.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구조(1)

화학물질안전원 48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21.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구조(2)

화학물질안전원 49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기능 중 파일, 보기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22>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22.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기능(1)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기능 중 지도컨트롤, 정보검색기능의 세부 상세설명

은 <그림 23>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23.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기능(2)

화학물질안전원 50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기능중 정보검색, 사고대응 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24>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24.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기능(3)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기능 중 사고대응, 위험성평가, 상세확산평가, 기상

업데이트, 메시지보내기, 도움말 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25>와 같이 구성되

어있다.

그림 25.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응용기능(4)

화학물질안전원 51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데이터구조는 GIS, 대응기관, 물질정보, 관리정보,

방재장비정보, 취급업체정보, 산업단지 정보로 <그림 26>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26. 화학물질정보시스템 데이터 구조

나)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화학물질정보 시스템은 2005년 구축되어 2009년까지 DB구축 사업을 진행하였고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화학물질 일반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스템 개요와 주

요 이해관계자는 <그림 27>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림 27.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개요

화학물질안전원 52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정보시스템의 주요 응용기능은 공통기능, NCIS 소개, 품질검색, 법령정

보, 관련사이트, 통합게시판, 자료실로 구성되어있으며 세부기능은 <그림 28>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28.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응용구조(1)

화학물질정보시스템 관리자의 주요 응용기능은 품질관리, 관리, 게시판관리, 일반

회원관리, 자료실관리로 구성되어있으며 세부기능은 <그림 29>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림 29.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응용구조(2)

화학물질안전원 53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정보시스템 기능중 메인, NCIS소개, 물질검색 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30>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30.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응용기능(1)

화학물질정보시스템 기능중 법령정보, 관련사이트, 통합게시판, 자료실, 물질관리,

통제관리 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30>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31.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응용기능(2)

화학물질안전원 54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정보시스템 데이터구조는 화학물질정보, 유해성심사, 기초코드, 로그, 통

계/게시판 정보로 <그림 32>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32.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데이터 구조

화학물질안전원 55 (주)유코아시스템

다)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는 화학물질 제조 및 수입 업체들의 신규화학물질

유해성 심사 민원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스템 개요와 주요 이해관계자는 <그림

33>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림 33.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개요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의 주요 응용기능은 유해성심사 종합안내, 화학물

질 목록, 알림마당, 정보마당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세부기능은 <그림 34>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34.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응용구조(1)

화학물질안전원 56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관리자의 주요 응용기능은 유해성심사 종합안내,

화학물질 목록, 알림마당, 정보마당, 영문홈페이지, 민원알림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세

부기능은 <그림 35>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35.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응용구조(2)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기능 중 메인, 유해성심사 종합안내, 화학물질 목

록, 알림마당 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36>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36.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응용기능(1)

화학물질안전원 57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기능 중 알림마당, 정보마당과 관리자페이지의 유

해성심사 종합안내, 화학물질 목록, 알림마당, 정보마당 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37>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37.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응용기능(2)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기능 중 영문홈페이지, 민원알림 기능의 세부 상

세설명은 <그림 38>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38. 화학물질 유해성 심사 홈페이지 응용기능(3)

화학물질안전원 58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데이터구조는 화학물질정보, 유해성심사, 기초코

드, 로그/통계/게시판 정보로 <그림 39>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39.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데이터구조

라)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는 센터 소개와 기타 연관시스템 운영지원하며

시스템 개요와 주요 이해관계자는 <그림 40>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림 40.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원 59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의 주요 응용기능은 센터소개, 유해물질정보, 비

상대응정보, 사고대응정보시스템, 기상정보로 구성되어있으며 세부기능은 <그림

41>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41.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구조(1)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의 주요 응용기능은 교육과정, 관련법령, 취급업

체DB등록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세부기능은 <그림 42>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42.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구조(2)

화학물질안전원 60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의 기능중 메인, 센터소개, 유해물질목록 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43>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43.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기능(1)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의 기능 중 유해물질 정보, 비상대응정보, 사고

대응정보시스템, 기상정보, 교육과정 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44>와 같이 구

성되어있다.

그림 44.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기능(2)

화학물질안전원 61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의 기능 중 교육과정, 관련법령 취급업체DB등

록 기능의 세부 상세설명은 <그림 45>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림 45.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홈페이지 응용기능(3)

화학물질안전원 62 (주)유코아시스템

3) 데이터 현황 분석

데이터 현황 분석은 현재 운영 중인 화학물질정보 관련 시스템의 구조와 데이터

현황 파악을 통해 효과적·효율적 데이터 관리와 운영을 위한 개선 기회를 도출하였

다.

그림 46. 데이터 분석 개요

가) 분석대상 데이터

화학물질정보시스템,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 안전관리센터 홈페

이지,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종류, 핵심데이터를 분

석대상으로 하였고 상세정보는 <표 17>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시스템 데이터 종류 핵심 데이터 비고

화학물질정보시스템

화학물질정보

Ÿ 화학물질 기본정보

Ÿ 고시정보 및 물질군 분류정보

Ÿ 화학물질명

Ÿ 화학물질 상세정보

Ÿ 화학물질 통합정보

유해성심사Ÿ 유해성심사 자료

Ÿ 유해성심사자료 파일정보

로그/게시판

Ÿ 정보

Ÿ 로그정보

Ÿ 게시판

기초코드 Ÿ 메뉴정보

표 17. 분석대상 데이터

화학물질안전원 63 (주)유코아시스템

Ÿ 메시지 정보

Ÿ 공통코드 정보

Ÿ 에러정보

기초물질 관련정보

Ÿ 기술물질정보

Ÿ 배출량 보고물질 그룹

Ÿ 물질 그룹별 상세물질 매핑

업체 및 사용자 정보Ÿ 회원정보

Ÿ 업체정보

연도별 배출량

Ÿ 연도별 배출량 보고 업체

Ÿ 연도별, 업체별 보고물질

Ÿ 연도별, 업체별, 물질별 폐기물

이동량 정보

Ÿ 연도별, 업체별, 물질별 폐수

이동량 정보

Ÿ 연도별 업체, 물질 오류

Ÿ 연도별, 업체별 누락물질

Ÿ 연도별, 업체별, 물질별 공정정보

로그정보

Ÿ 메뉴별 접속로그

Ÿ 연도별 정보공개

Ÿ 전체로그

기초코드관련

Ÿ 관할기관

Ÿ 배출량 공정코드

Ÿ 산업분류(업종)

Ÿ 폐기물 종류

Ÿ 폐기물 처리방법

Ÿ 폐기물처리 시설의 종류

Ÿ 지역구분

Ÿ 폐수처리시설 종류

Ÿ 폐수종류

Ÿ 폐수 처리방법

Ÿ 농공단지 분류

Ÿ 유입수계 분류

Ÿ 상수원 보호구역

게시판

Ÿ 공지사항

Ÿ FAQ

Ÿ Q&A

Ÿ 팝업관리

Ÿ 일정

화학물질 유해성심사

홈페이지민원알리미

Ÿ 업체정보

Ÿ 이메일 발송정보

Ÿ SMS 발송정보

Ÿ 코드정보

Ÿ 가입정보

화학물질안전원 64 (주)유코아시스템

Ÿ 업체 담당자 정보

Ÿ 노동부 신청서류 게재

Ÿ 업무 관리자

Ÿ 방문정보

Ÿ 민원처리 현황

화학물질 안전관리센터

홈페이지웹 게시판

Ÿ FAQ

Ÿ News/자료실

Ÿ 우편번호

Ÿ 웹 사용자 관리

Ÿ 기상정보 신청정보

Ÿ 직원 게시판

Ÿ 인증신청 게시판

Ÿ 팝업/공지사항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

취급업체

Ÿ 취급업체 정보

Ÿ 취급량 내용

Ÿ 보관내용

물질정보

Ÿ 물질기본정보

Ÿ 물질상세정보

Ÿ 물질명칭

Ÿ 물질 이미지 정보

Ÿ 계산수식

Ÿ 물질관리 속성

Ÿ 물질 소스모델 상수

산업단지 Ÿ 산업단지 분류코드

GIS 정보

Ÿ 위치정보 분류코드

Ÿ 지점정보

Ÿ 기상표출 시설물 정보

Ÿ 위치정보

Ÿ 지번분류 정보

Ÿ 행정구역 정보

관리정보

Ÿ 사고대응 보고서

Ÿ 사용자 관리

Ÿ 코드정의 테이블

방재장비Ÿ 방재품목 정보

Ÿ 방재장비 판매업체

대응기관

Ÿ 대응기관 방재물품 정보

Ÿ 병원 정보

Ÿ 대응기관 정보

Ÿ 군부대, 군부대 관리업체

Ÿ 소방서, 지방환경청, 경찰서,

행정기관

Ÿ 판매업체_방재품목

Ÿ 보고서출력_기관별_대응정보

화학물질안전원 65 (주)유코아시스템

나) 분석대상 데이터 현황 비교

(1) 물질정보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시스템에서 사용

하는 물질정보의 일반정보에 대해 시스템별로 <표 18>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분류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물질아이디 ● ●

CAS NO. ● ●

영문명 ● ●

국문명 ● ●

영문유사명 ● ●

국문유사명 ● ●

구조식 ● ●

분자량 ● ●

분자식 ●

화학물질군 ● ●

유해물질관리 법의 적용 범위

사고대비물질의 적용범위

주요 배출 업종

OECD SIDS 위해성평가보고서

GHS 정보

표 18. 일반정보

화학물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시스템에서 사용

하는 물질정보의 관리번호에 대해 시스템별로 <표 19>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분류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RTECS No. ● ●

UN No. ● ●

EC No. ● ●

HS No. ●

ICSC No. ● ●

기존화학물질번호 ●

유해물질관리번호 ●

IDMG CODE ●

고유번호

EINESC No.

NLP No.

표 19. 관리번호

화학물질안전원 66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시스템에서 사용하

는 물질정보의 속성별 분류정보에 대해 시스템별로 <표 20>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분류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기존화학물질 ●

유독물 ● ●

관찰물질 ● ●

취급제한물질 ● ●

취급금지물질 ● ●

사고대비물질 ● ●

OECD 대량생산화학물질

스톡홀롬협약물질 ●

로테르담협약물질 ●

유독물등에해당하지아니하는 물질

그외 법령유해물질목록 ●

휘발성

중금속

산알칼리

발암성

발암성1A그룹

발암성 2A 그룹

발암성 2B 그룹

내분비장애추정

생식독성

유전독성

환경오염-대기

환경오염-수질

VOC-국내

VOC-EPA

CU

CR

수화물여부

고분자여부

표 20. 속성별 분류정보

화학물질안전원 67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물질정보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해 시스템별로 <표 21>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분류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물리적상태 ● ●

색상 ● ●

냄새 ● ●

녹는점 ● ●

끓는점 ● ●

증기압 ● ●

밀도 ● ●

옥탄올-물분배계수 ● ●

헨리상수 ●

비중 ● ●

점도 ● ●

산화성 ●

해리상수 ●

승화점 ●

증기밀도 ●

액체밀도 ●

고체밀도 ●

휘발도 ●

임계온도 ● ●

임계압력 ● ●

맛 ●

PH ●

인체노출징후 ●

증기밀도 ●

사용용도 ●

유해그림(유해법)-텍스트

유해그림(유해화학물질관리법)

기화열 ●

용해도(물) ●

용해도(용매) ●

표 21 물리화학적 특성

화학물질안전원 68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시스템에서 사용

하는 물질정보의 배출/유통량 정보에 대해 시스템별로 <표 2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분류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배출량 – 물질별●

(TRI 공개링크)

배출량 – 업체별●

(TRI 공개링크)

배출량 – 지역별●

(TRI 공개링크)

배출량 – 업종별●

(TRI 공개링크)

배출량 - 연도별●

(TRI 공개링크)

유통량 – 물질별

유통량 – 업체별

유통량 – 지역별

유통량 – 업종별

유통량 - 연도별

표 22. 배출/유통량 정보

화학물질안전원 69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시스템에서 사용

하는 물질정보의 독성정보에 대해 시스템별로 <표 23>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분류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독성-흡입 ● ●

독성-피부 ● ●

독성-안구 ● ●

독성-경구 ● ●

독성-기타 ● ●

생태독성-어류 ● ●

생태독성-무척추동물 ● ●

생태독성-해조류 ● ●

생태독성-기타 ● ●

생태독성-생물 축적성

● ●

발암성

유전독성

생식독성

급성독성

만성독성

환경거동 ● ●

안전성 ●

급성/아급성 독성 ●

물질안전정보 ●

취급및폐기방법 ● ●

물질별 GHS정보 ●

표 23. 독성정보

화학물질안전원 70 (주)유코아시스템

(2) 법령 및 고시정보

화학물질정보시스템은 법령 및 고시정보를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센터 정보를

단순링크로 제공하고 있으며, 화학물질 안전관리센터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법령

및 고시 정보는 내용을 HTML형태로 제공되고 <표 24>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분류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유해성심사 홈페이지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

환경부

- 유해화학물질관리법 ● ● ●

-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관리법 ●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법 ●

- 자연환경보전법 ●

- 토양환경보전법 ●

- 폐기물관리법 ●

- 대기환경보전법 ●

- 먹는물 관리법 ●

노동부

- 산업안전보건법 ● ●

행정안전부

- 위험물안전관리법 ●

- 소방기본법 ● ●

- 소방시설공사업법 ●

-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총포, 도검, 화약류등 단속법 ●

교육과학기술부

- 원자력법 ● ●

농림수산식품부 ●

- 농약관리법 ●

- 사료관리법 ●

보건복지가족부

- 식품위생법 ●

- 약사법 ●

- 화장품법 ●

-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

지식경제부

- 고압가스안전관리법 ● ●

- 대외무역법 ●

- 액화석유가스의안전관리및사업법 ●

- 오존층 보호를 위한 특정물질의 제조규제 등에 관한법률

- 화학무기금기를위한특정화학물질, 생물작용제등의제조, 수출입,규제등에관한법률

-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 관리법 ●

기획재정부

- 관세 ●

REACH 관련법령

표 24. 법령 및 고시정보

화학물질안전원 71 (주)유코아시스템

(3) 데이터 현황 종합

화학물질관련 정보에 대하여 연관성 있는 <그림 47>와 같이 데이터의 공유와

연계, 업무협조체제 강화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표준화 및 연계가 필요하며, 정보

수요자들의 정보요구사항 수렴을 위한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정보에 대한 표준화

및 연관 정책, 법규, 자료 제공 등의 체계적인 관리와 제공이 필요하므로, 화학물

질 관련 시스템 전체적인 관점에서 데이터 표준화 진행 할 것을 권고한다.

그림 47. 데이터 현황 종합

화학물질안전원 72 (주)유코아시스템

3. 미래모형 설계

가. 정보화전략 수립

1) 정보화 방향성 수립

미래모형 설계는 과업착수 이후 대내외 환경 및 정보기술 환경에 대한 분석을 수

행하며, 이후 현황분석 단계와 연계되어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

한 정보화전략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림 48. 미래모형정립 단계

미래모형 설계에 앞서 수행된 화학물질안전원의 내·외부 환경 분석 및 업무운영

현황분석, 정보기술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화학물질안전원의 미래모형을 개발

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개선 방향과 모형별 세부 계획을 수립하였다.

화학물질안전원 73 (주)유코아시스템

나. 미래모형 설계

정보 기술현황 분석에서 도출된 개선기회를 바탕으로 화학물질안전원의 종합정보시

스템 구축방향 및 구축방안을 사용 편리성, 정보 공동활용 기반, 미래 예측성 및 확장

성 측면에서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 한다.

1)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성 방안

그림 49.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설계방안

화학물질안전원 74 (주)유코아시스템

가)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시스템 구성방안

(1)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개요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은 2015년 1월 1일부터 화학물질관리법 시행에

따른 요구로 국내외 화학물질에 관련한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며,

표준화되고 일원화된 화학물질관련 종합 정보 제공이 가능한 정보화 기반 시스템

이 요구되고 있다. 종합포털시스템은 웹(On-Line)접점으로 화학물질 정보를 통합

하여 시스템 구축을 원칙으로 하며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준수와 공통 컴포

넌트 활용과 웹 표준화 및 정보화 표준 준수를 통하여 단계별 사업을 추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림 50.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구축목표

화학물질안전원 75 (주)유코아시스템

(2)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구성 방향

정보획득의 편의와 이용자 효율을 중시한 「스마트포털」과 개별 정보활용에 최

적화된 「개인화포털」의 개념을 도출하여 이를 접목한 화학물질안전원만의 종합

포털을 구성한다.

그림 51.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구성 방향

화학물질안전원 76 (주)유코아시스템

(3)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목표시스템 구성 안

종합정보시스템은 화학물질정보를 이용하는데 있어 편리하고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 정보수집관리, 데이터웨어하우스, 데이터관리, 서비스 등으로 구성된 화학물

질관리 종합포털로 구성하여 서비스를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림 52.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목표시스템 구성(안)

(가) 주요 특징

① 사용자 이용편의 중심의 이용자 검색 편의를 위한 사용자 중심의 포털 서비스 구현

② 스마트와 개인화를 위하여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한 기능의 구성과

사용자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 서비스 구현과 모바일을 통한 정보 포털 서비스

③ 표준 프레임워크 적용을 통하여 공통 컴포넌트 활용을 통해 구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개발비용의 절감과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 효과가 증대된다.

화학물질안전원 77 (주)유코아시스템

(4)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주요 서비스 도출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의 안정적인 서비스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그림 53. 화학물질관리법 종합포털 주요 서비스

화학물질안전원 78 (주)유코아시스템

(가) 개인맞춤형 서비스

개인화 포털 서비스의 강화를 위해 사용자별 관심있는 정보를 종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통합 제공 기능 필요

그림 54. 개인맞춤형서비스 개념도

주요 고려사항으로 화학물질정보 제공을 위한 효율적 연계방안을 고려하여 최

적의 화학물질 정보 리포트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외부 홈페이지, 타 시스템 등

과의 원활한 정보 연계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현하고, 동시 사용자가 많을 경우

관심정보 알림이 시스템에 부하를 주지 않도록 시스템 효율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화학물질안전원 79 (주)유코아시스템

(나) 통합자료관리

각 기관별, 화학물질안전원에서 운영중인 시스템으로부터 화학물질관련 정보를

취합하여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정보 습득을 위한 기반이 필요하다.

그림 55. 통합자료관리 개념도

① 주요 설계 방향

㉮ 화학물질안전원 운영계 시스템으로부터 원천자료에 대하여 ETL을 이용하

여 자동수집을 하며 오류를 검증하여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으로 데이터

를 이관해 줄수 있는 통합자료관리 시스템 구축

㉯ 민간에서 제공되는 국내외 화학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체계 구축

화학물질안전원 80 (주)유코아시스템

㉰ 유관기관에서 취급하고 있는 물질정보 자료이관 및 수집

㉱ 수집 자료에 대한 오류, 중복제거, 예외 등 기능 구축

② 주요 고려사항

㉮ 신규로 생성되는 화학물질정보에 대해 추가등록, 수집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야 함

㉯ 자료수집에 대한 이력관리를 통해 중복성이 있는 자료의 제거와 수집되어

있는 자료의 모니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자료 제거

㉰ 수집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제거하여 자료수집에 대한 품질 향상

과 대외비 등급표기로 문서보안 준수

그림 56. 통합자료 관리 기능 분해도

화학물질안전원 81 (주)유코아시스템

(다) 데이터웨어하우스(DW)시스템

화학산업 유관기관별로 화학물질관련 통계 정보 및 화학물질정보를 관리하고

기관별로 서비스 중이며, 전체 화학산업의 통계 분석 정보 및 화학물질 정보 공

유 측면에서 효율적인 정보획득을 위하여 단일창구를 통합 정보 제공의 필요성

제기되고 있다.

그림 57. 데이터웨어하우스 개념도

화학물질안전원 82 (주)유코아시스템

① 구축방향

㉮ 시스템 구축의 효율성 및 데이터 변경의 최소화

㉯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분석환경 제공 및 효율적인 정보 추이 분석 기반 제공

㉰ 각 유관기관의 화학물질관련 정보의 취득 및 분석 작업 로드 최소화

㉱ 화학산업분야의 통계성 정보의 체계적 축적 및 단일창구를 통한 분석 자료

의 취득/활용기반 마련

② 주요 고려사항

㉮ 데이터웨어하우스는 구축시기를 고려하여 유관기관에서 원천데이터를 제공

가능한 시점 및 원천데이터를 선정한 후, 최신의 원천데이터 기반 신뢰성

있는 시스템 구축해야 함

㉯ 정형적 분석 및 비 정형적 분석, 다차원적 분석 및 추이 분석이 가능해야 함

㉰ 사용자는 중간과정 없이 온라인상에서 직접 데이터에 접근 및 분석이 가능해야 함

그림 58.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 기능분해도

화학물질안전원 83 (주)유코아시스템

(라) 정보포털 서비스

국내ㆍ외 화학물질 정보를 수집ㆍ평가ㆍ관리를 통하여 국민에게 화학물질 관련

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의식 강화를 위해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 제공하도록

한다.

그림 59. 데이터 웨어하우스 관리 개념도

① 구축방향

㉮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근 가능한 UI 구성

㉯ 주제별 화학물질정보를 그룹으로 묶어 정보 제공

② 주요 고려사항

㉮ 대국민이 직접 활용하는 서비스로 정보의 정확한 내용이 제공되어야 함(오

타, 수치 오류 제로화)

㉯ 검색기능 제공으로 대량의 화학물질정보 검색에 있어 빠른 속도로 제공

㉰ 전문가 활용도를 고려하여 상세한 검색조건으로 검색이 가능한 기능 제공

화학물질안전원 84 (주)유코아시스템

(마) 정보활용

기관별 화학물질관련 정보가 상이 하여 이용자들의 정보 습득에 불편을 초래하

고 있으며 일반사용자가 화학물질정보를 접근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일반사용자

도 전문적인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림 60. 정보활용 개념도

① 구축방향과 고려사항

㉮ 유관기관에서 화학물질관련 정보사용에 문제가 없도록 사용

㉯ 시스템 기능별 사용자 도움말 제공

㉰ 사용자 요구사항을 수렴을 통하여 Open API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만족

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

㉱ 상담 내용에 대한 공유를 통해 유사한 궁금증에 대해 전문가 답변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함

화학물질안전원 85 (주)유코아시스템

나) e-Learning 시스템 구성방안

(1)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개념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대상이 유해화학물질 관리

자, 취급시설 기술인력, 유해화학물질 취급 담당자로 확대되고,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의 종사자 교육이 매년 2시간 이상의 의무화됨에 따라 유해화학물질 취급사

업장의 종사자를 관리자가 모두 교육을 하기 위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웹 기반시스템으로 교육을 통한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에 대한

접근 용이성 증대 및 다양한 콘텐츠 제공을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림 61. e-Learning 시스템 구축목표

화학물질안전원 86 (주)유코아시스템

(2)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구성방향

재미있는 다양한 교육을 중시한 「콘텐츠」와 의사소통, 정보제공에 최적화된

「커뮤니티」의 개념을 도출하여 이를 접목한 e-Learning 시스템 구성을 목표로

한다.

그림 62.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시스템 구성 방향

화학물질안전원 87 (주)유코아시스템

(3)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목표시스템 안

온라인 교육정보시스템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종사자 교육을 이용하는데

있어 접근성을 용이하도록 교육안내, 내강의듣기, 학습도움방, 자료실 등으로 구성

된 e-Learning 시스템이다.

그림 63.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목표시스템 안

(가) 주요 특징

① 사용자 이용편의 중심 설계

㉮ 24시간 수강 및 다양한 내용 수강 가능

② 스마트 & 커뮤니티

㉮ 모바일을 통한 교육 서비스

㉯ 상호교육 가능한 콘텐츠로 학습 효과 증대

③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적용

㉮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준수 및 웹 표준 준수

㉯ 학습활동에 대한 이력 관리 기능

화학물질안전원 88 (주)유코아시스템

(4)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시스템 서비스 도출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시스템의 안정적인 서비스와 효율적인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그림 64.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시스템 주요 서비스

(5)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e-Learning 시스템 주요 구성 요소

(가) 내 강의 듣기

교육생이 교육신청(온라인, 오프라인 교육)부터 교육내역조회의 수료증 출력 및

조회까지의 기능을 제공하며, 교육생 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커뮤니티 기능을 서

비스를 한다.

교육신청은 온라인교육과 오프라인교육으로 교육내용에 따라 운영이 되어야 하

며, 교육신청은 온라인을 통하여 신청과정에서 온라인교육과 오프라인교육을 선

택 할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교육은 교육에 대한 진도체크 기능을 적용하여, 교

육 이수에 대한 내용을 숙지 할 수 있도록 하며, 오프라인교육은 집합교육으로

이루어진다.

화학물질안전원 89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65. 교육 신청 및 교육듣기

교육생은 교육신청 후 교육에 대한 교육비를 전자결제를 이용하여 시스템내부

에서 결제를 할 수 있으며, 교육 이수 후 나의교육내역 기능을 이용하여 수료증

을 출력할 수 있다.

① 주요 설계 방향

㉮ 교육생이 수강신청의 어려움이 없도록 시인성을 가지도록 구조를 구성해야

하며, 알림글의 경우 목록에서 최우선 순위에 배치되어야 한다.

㉯ 1:1 상담, 질의에서는 글쓰기 등록 시 공개, 비공개(비밀글) 기능을 지원하

고 비공개(비밀글)의 경우 관리자, 강사, 본인만 확인하고 처리 할 수 있도

록 기능 구현

㉰ 교육생 강좌에 대한 청강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② 주요 고려사항

㉮ 신규로 생성되는 교육과정에 대하여 교육생이 직접 등록 및 신청 할 수 있

도록 해야 하며, 중복된 교육과정에 대한 제거가 필요함

㉯ 교육내용에 대한 품질과 온라인 교육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청강 기능 적용

화학물질안전원 90 (주)유코아시스템

(나) 강의관리

강사가 교육생에 대한 학습평가, 과제관리, 수료관리, 진도관리 기능을 제공하

며, 강사가 직접적으로 제작한 강의 등록 및 콘텐츠 관리를 위한 기능을 서비스

한다.

교육과정에 신청한 교육생이 수료에 만족되는 진척을 하였는지를 체크하며, 퀴

즈 또는 시험지를 이용하여 평가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교육생의

질의에 대한 의견 나눔 기능을 제공하여 강사와 교육생간의 원활한 교육이 이루

어 질수 있도록 한다.

그림 66. 강사 교육관리 및 과정개설

화학물질안전원 91 (주)유코아시스템

또한 강사는 신규 교육과정 개설을 위하여 본인 제작한 콘텐츠나 일부 동영상을 수록하여

정규과정에 등록하기 위하여 신청을 할 수가 있도록 기능 구현이 되어야 한다.

① 주요 설계 방향

㉮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까지 단계를 최소화한 메뉴 구성

㉯ 사용자 중심의 메뉴 구성으로 구조는 단순하고 일관성 있게 구성

㉰ 퀵 메뉴 기능을 이용하여 메뉴간의 이동을 용이하게 구성

② 주요 고려사항

㉮ 신규로 생성되는 교육과정에 대하여 추가등록,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되어야 함

㉯ 중복된 교육과정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교육내용 등록 시 교육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함

㉰ 교육내용에 대하여 외부로 유출이 되지 않도록 보안 기능이 있어야 함

(다) 지식광장

지식광장은 수강생과 일반인에게 화학물질안전관련 교육정보 및 학술정보, 지

식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그림 67>에서 동영상/flash는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은 일반인, 수강생에게 화

학물질안전관련 홍보동영상과 flash를 제작하여 교육수료를 하지 않아도 안전의식

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으며, 학술정보 기능에서는 화학물질관련

전문가, 일반인에게 제공하기 위한 논문, 학술지 등의 전문지식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지식 나눔 기능을 이용하여 교육생 또는 강사가 교육과정 이후 전문지식

을 습득한 후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데 있어 안전한 관리,

관리 정보 등을 등록하여 취급시설물 사업장의 종사자, 일반인, 화학물질 취급사

업체 등에서 정보를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한다.

그림 67. e-Learning 지식광장

화학물질안전원 92 (주)유코아시스템

① 주요 설계 방향

㉮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단순하고 일관성 있는 메뉴로 구성

㉯ 모바일기기 및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동영상/flash가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

㉰ 향후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초․중․고 학생의 학습능력에 맞추어 제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환경 구성

㉱ 전문지식에 대하여 사전에 분리하여 일반인이 정보 이용을 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료별로 분류

② 주요 고려사항

㉮ 동영상/flash의 콘텐츠 등록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현되어야 함

㉯ 일반인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메뉴 구성

㉰ 전문지식의경우저작권내용에따라등록여부를판단하여삭제할수있도록하여야함

(라) 교육관리

교육관리 기능은 수강생, 강사가 이용하는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개설 등의 기

능을 관리하는 기능으로 주로 관리자가 사용을 한다. 교육생이 교육과정을 신청

을 하면 교육과정별 정원수에 맞추어 교육대상자를 관리하며, 교육신청자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신규로 강사가 교육과정을 개설 시 강의관련 계획서, 영상, 유인물을 등록하

면 등록된 내용을 관리자가 과정승인관리를 이용하여 승인/비승인 처리를 할 수 있

으며, 승인 된 교육과정에 대하여 과정분류관리를 통하여 교육 분류를 해야 한다.

그림 68. e-Learning 시스템 교육관리

화학물질안전원 93 (주)유코아시스템

① 주요 설계 방향

㉮ 비전공자인 관리자가 쉽게 관리를 이용 할 수 있도록 메뉴 구성

㉯ 교육과정에 대한 개설, 승인 등의 단계별 프로세스 적립

㉰ 교육생, 강사의 정보 관리와 개인 정보의 보안 사항

② 주요 고려사항

㉮ 사용자 요구수렴을 통하여 관리자 기능의 만족도를 향상

㉯ 교육과정 개설 프로세스의 정립과 교육 차수에 대한 관리 방안

㉰ 교육 정원 초과 시 교육신청의 마감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마) 집합교육

집합교육은 오프라인교육으로 현재는 오프라인으로 신청 및 교육을 진행 중에

있고, 교육 결과 및 교육 수료증에 대하여 직접 문서 작성을 통한 제공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프라인 교육에 대한 신청을 온라인을 통해

접수를 받으며, 교육 정원 초과 시 시스템 내부에서 자동으로 마감하도록 하여 1

회 교육 시 정원만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육수료증 및 교육이력을

관리하여 향후 화학물질관리법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에서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69. e-Learning 시스템 집합교육관리

화학물질안전원 94 (주)유코아시스템

① 주요 설계 방향

㉮ 사용자 중심의 화면 설계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성

㉯ 소프트웨어적 시스템 안정성과 다수의 사용자 동시 접속에 대한 안정성 확보

㉰ 시스템 관리자는 총괄관리자, 중간관리자 등 권한 역할별로 지정하여 선택

적 권한 설정 기능이 되어야 한다.

② 주요 고려사항

㉮ 각 과목별 또는 주차별로 다양한 교육 요소를 임의적으로 구성 및 편집 가

능하도록 기능 구성

㉯ 교육관련 대상 업체 정보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기능 지원

㉰ 교육수료자에 대한 수료증 출력 및 정보 조회가 되어야 한다.

다) 시스템 공동 활용 방안

(1) 시스템 공동 활용 개요

화학물질안전원의 내부 시스템은 노후화된 시스템이 존재하여 전자정부 표준프

레임워크의 활용성이 떨어지고 C/S기반의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시스템 공동 활용

을 위한 환경이 부족하나, 향후 구축되는 전자문서처리시스템, e-Learning 시스템,

주민고지 시스템 등 온라인시스템의 원할한 업무 진행을 위한 화학물질안전원 내

부 시스템의 통합 사용자 관리와 개별 시스템의 데이터를 표준화를 지원하기 위한

공동 활용을 위한 기반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림 70. 시스템 공동 활용 구축목표

화학물질안전원 95 (주)유코아시스템

(2) 시스템 공동 활용 목표시스템 구성 안

시스템 공동 활용 영역은 중복개발의 빈도, 재사용 가능성, 표준화 적용 등을 고

려하여 개발 생산성 및 투자 활용성이 높은 메타데이터관리, 통합로그인, 사용이

력, 게시판 관리 등으로 공동 기능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발전될 시스

템에 대한 공동 활용이 가능한 시스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림 71. 시스템 공동활용 목표시스템 구성 안

(가) 주요특징

① 통합인증을 통한 시스템관리와 권한관리 체계의 통합관리

② 화학물질안전원 내부 시스템들의 기능 공동 활용

③ 표준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원 내부 시스템들 간의 용어 표준화 진행

④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 준수 및 웹 표준 준수와 공통 컴포넌트의 활용

(3) 시스템 공동 활용 주요 서비스 도출

시스템 공동 활용을 위한 공통 기능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화학물질안전원 96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72. 시스템 공동 활용 주요서비스

(4) 시스템 공동 활용 주요 구성 요소

(가) 메타데이터시스템(공통서비스)

메타데이터시스템은 적용시스템 중심의 데이터 표준화 정책을 지원하며, 데이

터 표준을 적용 토록하며, 데이터의 증가/변경에도 효율적인 표준화 관리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누구나 같은 의미로 용어를 이해하고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이다. 또한,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에 대하여 단일한 관점을 제고함으

로써 사용자 의사결정의 정확성 및 신속성에 향상을 기대 할 수 있으며, 메타데

이터 추출의 자동화 지향하며, 시스템 자원의 변경에 대한 강력한 영향분석 지원

으로 유지보수의 용이성과 확장성이 확보되며 시스템 활용성이 향상되며, 정보제

공 시간 단축으로 정보 분석이 향상된다.

화학물질안전원 97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73. 메타데이터시스템 개념도

화학물질안전원 98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74. 메타데이터시스템 구성안

화학물질안전원 내·외부 원천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표준관리와 데이터 모델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을 통하여 데이터관리를 철저히

하여 시스템 간 데이터 활용 시 데이터 오류를 최소화 한다.

그림 75. 메타데이터시스템 관리 프로세스

화학물질안전원 99 (주)유코아시스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투입하여 화학물질안전원 내·외부 및 종

합정보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하여 표준화를 벗어나는 데이터가

없도록 관리를 하여야 한다.

그림 76. 메타데이터시스템 응용기능

화학물질안전원 100 (주)유코아시스템

(나) 통합로그인 및 권한관리

화학물질안전원의 개별 시스템을 통합로그인을 통하여 한 명의 사용자가 여러

시스템을 사용하여도 권한설정에 따라 시스템 접속이 가능하도록 통합하여 관리

하며, 각 사용자 계층에 따라 시스템 권한 설정을 하며, 시스템 별 기능 사용제한

을 두어 명확한 권한을 분리하였다. 통합로그인은 일반 로그인 ID/Password의 제

공과 주요 업무에 대해 인증서 기반 로그인 환경(NPKI, GPKI 공인인증서 모듈

적용)을 제공하여 사용자 보안을 중점 관리한다.

그림 77. 통합 로그인 개념도

화학물질안전원 101 (주)유코아시스템

권한 및 인증을 고려하여 사용자 로그인 시 권한에 따라 개별 시스템 및 개인

화 화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림 78. 권한 및 인증에 따른 통합 로그인

화학물질안전원 102 (주)유코아시스템

(다) 시스템 사용이력

사용자 기반의 계정관리 정보를 활용한 접근이력, 사용이력을 로그를 적재하여

분석을 통한 체계적인 계정관리 및 감사로 보안성 강화할 수 있고 계정관리와 연

동된 접근통제 및 감시 기능에 활용이 가능하다. 시스템 사용이력 기능은 서버시

스템 접근이력 및 사용이력에 대한 실시간 감시 기능 확보에 따른 정보보안 프로

세스 개선에 활용이 가능하다.

그림 79. 시스템 사용이력 개념도

화학물질안전원 103 (주)유코아시스템

(라) 게시판 생성 및 관리

개별 시스템별 중복 개발 방지를 위하여 게시판별 게시물에 대한 관리기능을

제공하고 전자정부 프레임웍에서 UI 일관성유지로 사용자 편의성 고려하여 구축

함으로써 개발 비용의 중복 투자를 방지하며, 동일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림 80. 게시판 생성 및 관리

화학물질안전원 104 (주)유코아시스템

라) 데이터 표준화 및 메타데이터 관리 체계 정립 방안

데이터 표준화 및 메타데이터 관리 체계는 업무 절차, 사용 용어의 표준화 등을

위하여 화학물질안전원에서는 표준화 메타데이터, 업무참조 메타데이터, 화학물질

설명자료 메타데이터로 구성된 통합 메타데이터를 구성 관리함으로써 표준화된 업

무 절차 및 수행 기준을 확립하고, 업무 변화에 대한 이력 정보를 보관하고, 화학물

질에 대한 표준적 이해의 기반 확보와 화학물질안전원 전체의 표준화된 데이터 이

해하여 관리함으로써 화학물질안전원 내부의 모든 시스템의 전체에 걸쳐 업무수행

의 표준화된 기준 정보로 제공 및 활용해야 한다.

그림 81. 화학물질안전원의 통합메타데이터의 필요성

화학물질안전원 105 (주)유코아시스템

통합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계, 관리 조직 및 프로세스 확립, 지속적인 데이터 품

질관리, 통합메타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안전원의 통합 메타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그림 82. 통합 메타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개요

통합 메타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통합 메타데이터로 관리해야 하는

대상 정보 관리를 위한 인프라 자원으로서의 관리 시스템 구축이 우선 되어야 하

며, 통합 메타데이터로 수집, 관리, 운영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정확성,

무결성, 현행화 등을 위하여 지속적인 품질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위와 같은

관리 인프라 측면과 품질 측면에 대한 고려를 통하여 고품질의 효과적인 통합 메타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1) 통합 메타데이터 설계

통합 메타데이터 설계 시 화학물질안전원에서 향후 관리 필요성이 제기되는 화

학물질자료 설명메타데이터, 업무참조메타데이터, 표준화 메타데이터로 관리를 위

하여 데이터웨어하우스 표준화정보를 표준단어, 표준 용어, 표준 도메인을 중점적

으로 관리를 하며, 메타데이터로 화학물질특성정보, 안전 및 특수대응정보, 위험정

보, 사고정보, 사고처리 업무정보, Process 정보를 필요 관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

계에 반영되어야 한다.

화학물질안전원 106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83. 통합 메타데이터 설계 개요

표준화 메타데이터는 단어, 용어, 도메인, 코드 메타데이터로 구분되어 상호 참

조관계로 연계되도록 한다. 표준화 메타데이터 관리 대상 정보의 기준은 일반적인

표준화 메타데이터 관리 구조 표준을 참조하고, 시스템 용어, 업무 용어, 코드 명

칭은 통합관리 하기 위한 구조로 반영을 한다. 또한 표준화 메타데이터 관리 대상

정보는 Naming Rule, 표준단어, 표준용어, 표준 도메인, 표준코드를 이용한다.

그림 84. 표준화 메타데이터 설계

화학물질안전원 107 (주)유코아시스템

표준화 메타데이터 관리 대상과 항목 간 연계관계 설계에서 표준 용어는 용어

구성 기준으로 표준 단어를 참조하며, 표준 도메인 정의 내역을 참조하여 표준 용

어 및 표준 코드의 값이 가지는 범위를 정의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그림 85. 표준화 메타데이터 관리 대상 항목 간 연계관계 설계

(2) 표준 데이터 및 관리 기준

향후 화학물질안전원의 구축되는 시스템은 표준화 메타데이터로 관리되어야 하

는 대상 정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속성 정보를 관리되어야 한다.

구분 관리 항목 관리항목 설명

표준단어

단어ID 개별 단어를 구분 식별하는 식별키단어 한글 명칭 단어를 표현하는 한글 표준 명칭단어 유형 표준/유사/금칙 단어 구분 정보단어 정의 단어 의미/사용처 등에 대한 표준 정의영문명칭 단어를 표현하는 영문 표준 명칭영문 약어 명칭 영문 명칭에 대한 표준 약어 명칭

표준용어

용어ID 개별 용어를 구분 식별하는 식별자용어 한글 명칭 단어의 한글 명칭으로 조합된 용어의 한글 명칭용어 구분 시스템 용어/업무 용어/코드 구분 정보구성 단어 용어를 구성하는 표준 단어의 조합

영문 명칭단어 영문 약어 명칭으로 조합되어 표현되는 용어의영문 명칭

용어 정의 용어 의미/사용처 등에 대한 표준 정의

표 25. 표준화 메타데이터 관리 대상 속성 정보

화학물질안전원 108 (주)유코아시스템

(3) 메타데이터 구축 운영 단계별 주요 활동

표준화 메타데이터는 기존에 운영되던 표준화 사전 및 초기 구축대상 시스템을

참조하여 최초 구축되며, 이후 표준화 운영단계에서 발생되는 요구사항에 대하여

지속적인 현행화 및 표준화 준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림 86. 표준화 메타데이터 구축 운영 단계별 주요 활용

도메인ID 용어에 할당된 도메인 종류

표준

도메인

도메인ID 개별 도메인을 구분 식별하는 식별키도메인 명칭 개별 도메인 명칭Data Type 도메인의 데이터 유형길이 도메인의 데이터 길이도메인 정의 도메인 사용 기준 정의

표준

코드

코드ID 개별 코드를 구분 식별하는 식별키

코드 한글 명칭 단어의 한글 명칭으로 조합된 코드의 한글 명칭

코드 영문 명칭단어 영문 약어 명칭으로 조합되어 표현되는 코드의영문 명칭

코드 정의코드가 표현하는 값의 내용 및 범위에 대한 표준 정의

코드 사용 내역 코드가 등록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 내역도메인ID 코드에 할당된 도메인 종류

공통

관리

항목

생성자단어/용어/도메인/코드를 최초 등록한 등록 부서 또는 담당자

생성일시 최종 등록 일시

변경자단어/용어/도메인/코드를 변경 등록한 등록 부서 또는 담당자

변경일시 수정 일시

화학물질안전원 109 (주)유코아시스템

표준화 메타데이터 초기 구축을 위하여 현행 분석 과정에서의 도출된 단어, 용

어, 도메인, 기존관리 표준화 사전 및 표준화 솔루션 등에서 제공하는 표준 용어집

을 통하여 전사적 차원의 데이터 표준사전(단어, 용어, 도메인, 명명규칙)을 최초

구축하여야 한다.

그림 87. 표준화 메타데이터 초기 구축 방안

(4) 표준화 메타데이터의 기관 간 운용 프로세스

표준화 메타데이터 운용 프로세스를 위해 시스템 표준화 메타데이터를 제외한

업무적인 표준화 메타데이터는 향후 개별 기관에 배포되어 표준화 수해를 위해 기

준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화학물질안전원은 표준화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개별

기관에서는 이를 배포 받아 활용(통합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을 통한 XML 또는

Excel 형태의 데이터 다운로드 이용)하며, 개별 기관은 표준화 메타데이터와 기관

보유 표준화 메타데이터를 비교하여 적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적용 시 기관의

표준화 메타데이터와의 매핑 또는 갱신하여 활용하며 신규 등록 또는 변경이 필요

시 통합메타데이터관리시스템을 통해 요청하도록 한다.

그림 88. 표준화 메타데이터 기관 간 연계 운용방안

화학물질안전원 110 (주)유코아시스템

(5) 관리 및 운영 조직 구성 방안

통합 메타데이터 관리와 운영을 위한 조직은 기존 조직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조

직으로 구성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나 화학물질안전원의 조직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

능 조직화 구성 및 혼합형 구성 방안을 고려 할 수도 있다.

그림 89. 메타데이터 관리 및 운영 조직 구성 방안

화학물질안전원 111 (주)유코아시스템

메타데이터 관리 및 운영 조직 R&R(Role and Responsibility)는 메타데이터 관

리 및 운영을 위한 조직은 전략 결정과 기획을 담당하는 관리자와 승인된 사항에

대한 실제 운영을 지원하는 운영자 및 메타데이터 이용 및 필요시 변경을 요청하

는 일반 사용자로 나뉘어서 구성하도록 한다.

담당자 주요 역할 및 책임

관리자

전략/정책 관리자• 메타데이터에 대한 구성, 관리, 운영 전략 및 정책 결정

• 메타데이터에 대한 이견 및 조정 사항 발생 시 조율 및 관리 실행

DA

( Data Architecture )

• 메타데이터 관리 구조 설계 및 운영

•메타데이터관리지침수립및표준안변경요청사항에 대한 검토와결정

• 메타데이터에 대한 전사 가이드 자료 작성 및 배포 관리

• 메타데이터 등록, 변경, 삭제 등의 사용자 요청에 대한 승인 반려 등의 의사 결정을 통한 통제

• 메타데이터에 대한 주기적 품질 측정 및 지속적인 개선작업 기획

•응용시스템등의연계시스템대상의표준화준수검토및개선작업기획

운영자DBA

( DatabaseAdministrator )

• 통합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  DA 기획 작업 및 실행 요청에 대한 실제 수행 지원

   - 메타데이터 변경에 따른 영향도 평가 및 결과 산출

   - 데이터 품질 측정 및 개선 작업의 실제 수행

   - DA 변경 승인 요청 사항에 대한 실제 처리

일반

사용자

업무 데이터 담당자•업무기능의메타데이터요구사항반영을위해필요한데이터및표준정의

• 업무 관련 메타데이터 표준 변경 요구 사항에 대한 검토 및 개선 요청

업무 시스템 담당자 • 시스템 개발, 운영 등의 목적에 따라 소요되는  메타데이터의 표준 정의 및 변경 요청 수행 

일반 사용자 • 업무 운영을 위한 메타데이터 조회 및 필요 시 메타데이터 변경 요청

표 26. 메타데이터 관리 및 운영 조직 R&R(Role and Responsibility)

화학물질안전원 112 (주)유코아시스템

마) 현행 시스템 개선 방안

(1) 전자민원처리시스템 개선 방안

2015년 1월 화학물질관리법 시행으로 화학물질 관련 인·허가, 진열·보관·운반 계

획서 등 관련 사업장들이 신청해야 하는 서류는 총 64종이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전산시스템 및 모바일 앱 기반 구축으로 2014년 8월부터 시스템 개발을 하여 2015

년 1월부터 서비스 예정이다.

그림 90. 전자민원처리시스템 개념도

화학물질안전원 113 (주)유코아시스템

(가) 주요 서비스 기능 요소

① 서비스 단계 설명 페이지

② 공지사항, Q&A, 게시판 등 민원 정보

③ 64종 서식에 대한 인.허가 신청 제출 및 조회

④ 인․허가 심사청구 및 승인, 반려

⑤ PDF 문서 변환 개발

⑥ IOS, Android 하이브리드앱

⑦ 시스템 사용자, 그룹별 관리

⑧ 사용자 메뉴, 권한 관리

⑨ 시스템, 사용자 코드 관리

(나) 주요 서비스 구성

그림 91. 전자민원처리시스템 주요 서비스 구성

화학물질안전원 114 (주)유코아시스템

전자민원처리시스템은 민간, 기업에서 주로 민원 신청에 의하여 시작되는 업무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지만, 지방환경청, 화학물질안전원에서는 내부 결제까지 연

동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안전행정부의 온나라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하여 기안적성 및 결재를 일원화 할 수 있도록 권고한다.

그림 92. 전자민원처리시스템과 온나라시스템 연계방안 정의

화학물질안전원 115 (주)유코아시스템

(다) 주요 개선사항

① 전자민원처리시스템의 업무처리단계에서 결재기안문 작성 시 온나라시스템

으로 부터 과제카드정보와 결제자 정보를 받아 지정

② 전자민원처리시스템에서 결재요청을 하면 온-나라 시스템의 결재자에게 자

동 상신되고, 결재처리 후 결과를 전자민원처리시스템에서 조회

③ 전자민원처리시스템의 사용자(개별기관별로 1~2명), 온 나라시스템의 사용

자가 중앙정부기관 및 일부자치단체로 연계비용 및 업무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온나라시스템과의 연계만을 고려

④ 온나라시스템과 결재 연동을 통한 단계 처리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그림 93. 온나라시스템과의 결제처리 연계

화학물질안전원 116 (주)유코아시스템

(라) 결제처리 흐름에 대한 설명

① 전자민원처리시스템에서 해당 업무에 지정할 과제카드 목록을 온-나라 시스

템으로부터 받아 조회하고 지정

② 결재자 목록을 온-나라 시스템으로부터 받아 조회하고 지정 기안본문을 작성

③ 결재요청 하면 결재자의 온-나라 시스템 ‘처리할 일’폴더에 문서관리카드가 생성

④ 결재자가 문서관리카드로 기안문을 확인하고 결재처리

⑤ 결재결과가 전자민원처리시스템으로 전송되고, 담당자는 결과를 조회

⑥ 온나라시스템과 전자민원처리시스템 간 연계를 위하여 도출된 연계기능 및

연계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계를 하였다.

그림 94. 온나라시스템과 연계 기능 및 기준

화학물질안전원 117 (주)유코아시스템

(2) 장외영향평가 위해관리계획 프로그램

2015년 1월 장외영향평가·위해관리계획 보고서를 화학물질안전원에 제출을 하여

야 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보고서 작성부담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

여 영향범위를 자동으로 산정할 수 있는 범용프로그램을 정부차원에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C/S기반으로 개발되며, 2014년 7월 발주

하여 개발 중에 있다.

그림 95. 장외영향평가 위해관리계획 프로그램 개념도

화학물질안전원 118 (주)유코아시스템

(가) 주요 기능 요소

①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 수행에 필요한 영향모델 연구

㉮ 용기·파이프 등을 통한 누출모델 및 화재·폭발, 독성물질 확산의 피해범위 예측

㉯ 주요 설비별 고장확률(누출빈도) DB 구축 및 위험도 산출방법 연구

㉰ 공정정보 기반의 정량적·정성적 장외평가 수행형태 구현

② 사업자를 위한 장외평가 프로그램 개발

㉮ 지번검색, 확대·축소·이동 기능을 가진 2D 기반 전국 GIS 구축

㉯ 사업장 단위설비 공정정보 입력 모듈 구현

㉰ GIS내 사업장 주변지역 주민정보 설정 기능 포함

③ 장외영향평가서·위해관리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장외평가 기능구현

㉮ 사고 시나리오별 Consequence 및 Risk 기반의 영향범위 표출

㉯ 관련 보고서 자동 생성 및 출력기능 구현

④ 시스템 운영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사업장 계정관리 및 위해우려 영향범위 산정프로그램 배포

㉯ 사업장 정보 검색 및 통계 분석 기능

⑤ 주민고지 기능시스템 개발

㉮ 사업장별 주민 고지내용 업로드 및 입력기능

㉯ 사업장별·지역별 주민 고지내용 조회

㉰ 접근성·보안성이 용이한 GUI 구현

장외영향평가 위해관리계획 프로그램의 주요 서비스 요소와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그림 96. 장외영향평가·위해관리계획 프로그램 주요서비스

화학물질안전원 119 (주)유코아시스템

(3) 화학사고 대응정보시스템(CARIS) 구성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 시스템을 통해 화학사고 발생 시 소방, 지자체, 환경청

등 대응기관에 화학물질정보, 취급업체 정보, 피해예측범위 등을 제공하여 신속 정

확한 사고대응을 기여하기 위하여 개발된 C/S형태의 시스템으로 2014년 현재 고

도화 진행 중이다.

그림 97.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CARIS) 개념도

화학물질안전원 120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98.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 주요서비스(1)

그림 99.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 주요서비스(2)

화학물질안전원 121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은 C/S 프로그램으로 온라인으로 구축되지 않는

사유는 사용되는 데이터가 민간기업에서 예민하게 반응하는 자료이기 때문에 온라

인으로 구축할 경우 해킹, 자료 유출 등의 보안상의 이유로 C/S로 구축되어 운영

하고 있다. 향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결과 데이터에 대하여 통합자료 수집을 통

하여 분석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안정적이게 운영될 것으로 사료됨

(4) 화학물질 사고이력시스템

화학사고이력 시스템을 통해 화학물질 사고 명칭, 사고일자, 사고 물질, 사고장

소, 사고원인, 피해현황 등을 입력 및 제공하도록 구축되는 시스템으로, 주로 화학

물질안전원, 지방환경청에서 사용을 한다.

그림 100. 화학물질 사고이력시스템 개념도

화학물질안전원 122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에 대한 사고이력의 관리를 위해 주요 서비스와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그림 101. 화학물질 사고이력시스템 주요 서비스

(5) 현행시스템과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간 정보연계 방안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과 관련된 대내외 시스템에 대하여 연계되는 정보를

정의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연계방식을 선정하며 각각의 유관시스템과 연계방식에

대한 구현 방안을 수립함으로써 종합정보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도록 한다.

연계대상의 정의는 종합정보시스템과 연계 되어야할 대상 시스템 및 연계되는

정보에 대하여 정의를 하고, 연계방식 선정은 연계되어야할 대상 및 정보의 특성

을 고려하여 최적의 연계방식을 선정한다. 연계방안의 수립을 대내외 정보연계방

안, 표준방식의 표준연계방안, 외부기관 정보 연계방식을 제시한다.

종합정보시스템과 각 시스템과의 연계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어 현행 연계업무의

실질적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성능측면의 고려가 필요하며, 향후 확장 및 유지보

수성 보장을 위하여 표준화되고 검증된 기술방식을 준용하여야 한다.

화학물질안전원 123 (주)유코아시스템

(가) 종합정보시스템과의 연계 시 고려사항

① 내부시스템 연계의 경우 대상별 특성화된 연계방식을 보장하여야 하며, 성

능적인 측면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 및 응용프로그램 직업연계방식 필요

② 외부시스템의 경우 다양한 연계방식 및 향후 확장에 대비하여야 하며, 지속

적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화되고 통일된 방식의 연계방식 필요

(나) 연계대상별 연계방안 및 연계방식 선정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유관시스템과 연계를 위한 방안과 연계방식

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연계대상 연계정보 연계방안 연계방식

전자민원처리시스템 전자민원 신청 정보

Ÿ 대상시스템에서 제공하는연계방식을 준용하여 연계

Ÿ 자동화되고 안정적인 솔루션기반의 연계수행

ETL

API/웹서비스

(대상시스템제공방식)

장외영향평가시스템,위해관리계획시스템

취급사업장 평가 정보및 계획정보

화학사고대응시스템 화학사고 대응 정보

화학사고이력시스템 화학사고 이력 정보

ETL화학물질 평가 및 등록정보처리시스템

화학물질 평가 정보

표 28. 연계대상별 연계방안 및 연계방식 선정

연계대상 연계정보 용도 방향발생

시점

대상

위치

전자민원처리시스템

• 유해물질 취급 사업장으로부터 받은민원처리 자료

• 유해물질 사업장 가입정보

자료분석및 통계

수신 수시 내부

장외영향평가시스템,위해관리계획시스템

• 유해물질 취급 사업장의 평가 자료,위해관리 계획 제출한 자료

자료분석및 통계

수신 수시 외부

화학사고대응시스템 • 유해물질 취급 사고 내용자료분석및 통계

수신 수시 내부

화학사고이력시스템 • 유해물질 취급 사고 이력 정보자료분석및 통계

수신 수시 내부

화학물질 평가 및 등록정보처리시스템

• 화학물질 평가 및 등록 받은 사업장 정보

자료분석및 통계

송신/수신

수시 외부

표 27. 연계정보 대상 도출

화학물질안전원 124 (주)유코아시스템

종합정보시스템의 통합자료관리시스템은 화학물질안전원 내부 시스템은 물론

외부 기관과의 다양한 연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그림 102. 자료연계 방안 목표 개념도

(다) ETL방식의 연계 방안

화학물질안전원의 내부시스템에 대한 연계 방안은 해당 시스템으로 부터 데이터

베이스에서 직접연계를 통해 접근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그림 103. 화학물질안전원 내부시스템 연계방안 구성도

화학물질안전원 125 (주)유코아시스템

① 연계 구성 방안 흐름은 다음과 같다.

㉮ 화학물질안전원 내부시스템에서 통합 자료관리 영역으로 수집된 원천자료를

ETL Module을 통해 추출을 한다.

㉯ 종합정보시스템의 통합 자료관리 영역으로 데이터 적재를 하고, 적재된 데이터는

정제, 변환을 수행하며, 코드에 대한 매핑 작업을 통해 표준화를 실시한다.

㉰ 종합정보시스템에 수신 이력 결과를 기록하여 데이터에 대한 수집 현황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라) API/웹서비스 연계 방안

연계관련 표준기술로는 웹 서비스가 있으며 이는 국제표준방식으로 이 기종 정

보시스템을 통합·연계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IT 서비스 환

경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림 104. 웹서비스 방식의 연계 방안

(마) 외부기관으로 서비스를 하기 위한 표준 전자문서 방안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에서 구축되는 표준화된 유해물질 정보를 외부

기관에 제공을 하기 위하여 표준연계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는 표준전자문

서 제공을 위하여 외부기관 연계를 위해 유해물질정보 표준전자문서 설계와 통일

된 전자문서에 따라 외부기관 유해물질 정보 송수신 체계를 설계해야 한다. 또한,

표준 전자문서에 대한 암호화/복호화를 통해 전자문서 보안기능을 강화하고 다양

한 유통환경에 대해 통일된 방식의 연계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표준연

계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여야 한다.

화학물질안전원 126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105. 표준전자문서 설계 절차

표준연계시스템은 표준연계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연계대상 시스템내

의 정보가 XML형태로 변환되어 처리되며 이때 웹서비스방식을 통하여 송수신을

함으로써 외부기관과의 정보교환에 대하여 지원을 할 수 있다.

그림 106. 표준연계 프레임워크 구성

화학물질안전원 127 (주)유코아시스템

표준기반의 연계체계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으며, 웹서비스기반의 전자문서 송

수신을 위한 개별 기능을 처리함

표준연계체계 구현을 위해서는 직접 개발하는 방식과 솔루션을 적용하는 방식

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볼 때 효율적으로 구성가능하고 향후 확장

에 대비하기 위하여 범용솔루션 기반의 표준연계체계를 구현함이 타당함

구성요소 처리로직 입력 출력

웹서비스

송수신

Ÿ 지정된 폴더에 문서가 존재하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 후

존재하면 송신함 

Ÿ 웹서비스를 송신하기 위해 WSDL를 읽어서 Endpoint 및

메시지 정보를 읽음

Ÿ 웹서비스메시지를생성하고대상시스템으로웹서비스메시지송신함

Ÿ 송수신 실패시 관련 전자문서를 저장하고 처리로그를 기록함

XML전자문서

XML전자문서,

송수신내역

스키마 검증

Ÿ 송수신되는 XML전자문서의 스키마 유효성을 검증하여

실패시 Failed로 관리, 스키마 검증에 성공시 다음 프로세

스로 데이터를 전달

Ÿ 수신 전자문서 스키마 검증 실패시 해당 전자문서를 보낸

연계대상으로 Reject Message를 송신

송수신

전자문서검증결과

스케쥴러Ÿ 지정된 시간, 날짜를 주기적으로 확인

Ÿ 정해진 주기에 따라 문서의 변환, 송신 프로세스를 수행수행계획 -

변환처리

Ÿ XML생성 또는 DB에 저장될 전자문서를 구분하여 상호

변환을 수행

Ÿ 변환과정에서 오류발생시 해당 오류메시지를 기록

DB 또는File

XML전자문서

피드백

Ÿ 승인/거절한 연계정보에 대해서 생성된 XML 문서를 외

부연계대상으로 송신

Ÿ XML 전자문서의 처리 내역을 연계이력 추적관리 할 수

있도록 이력 정보 저장

Ÿ 승인/거절 정보 XML문서의 로그 처리

승인/거절

응답문서결과내역

표 29. 표준연계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구성요소 솔루션 적용방식 직접 개발방식

재사용성널리 사용되는 연결 프로그램 등이 구비되어 재사용가능

연결 프로그램개발은 연결기관고유의 방식이라 재 사용률이 낮음.

유지보수성관련기관 추가 시 어댑터만 추가/변경함으로 유지보수 용이

시스템 간 연계프로그램 개발 및 유지보수를 위한 인력이 많이 소요됨

표 30. 표준연계시스템 구현 방안

화학물질안전원 128 (주)유코아시스템

다. 데이터 아키텍처 구성방안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데이터그룹은 개별 응용시스템 즉, 종합포털,

e-Learning시스템, 공동 서비스 등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집

합으로 표한할 수 있다. 각 응용시스템 별 주제별 데이터 영역은 다음과 같다.

그림 107. 주제별 데이터 영역

신기술 적용성모듈화된 아키텍처로 새로운 정보기술적용이 용이함.

최신정보기술적용이 곤란함.

속도 및 안정성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처리 등에 속도와 안정성이 보장

연계대상마다 개발로 인한 시스템의 안정성 및 최적성이 떨어짐.

확장성관련기관 공통의 방식으로 확장에 대처가능

연계대상이 제한적이며, 연계대상 추가시마다 개발해야 함.

개발 용이성패키지로 연계업체 추가 시 모듈개발만필요

개발에 따른 적용이 곤란

비용초기 도입비용 후 추가 시 추가모듈비용만 필요

개발비용 및 추가시마다 개발비용발생.시스템 안정시까지 계속된 비용발생

화학물질안전원 129 (주)유코아시스템

1) 종합정보시스템 데이터 주제영역 설명

종합정보시스템 데이터 주제영역 설명 및 주요 포함 실체 유형은 다음과 같다.

가) 종합정보시스템 수집 DB

종합정보시스템 수집 데이터는 NCIS, GHS, PRTR(물질), PRTR(배출량이동량)

업체, PRTR(배출량이동량 조사표), 유통량 보고시스템, 유독물 실적보고, 화학물질

확인 명세서, Kischem, CEIS, 화평법시스템에서 입수한 자료를 구축하여 <그림

108>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주제영역하위

주제영역설명

주요 포함 실체

유형

통합

자료관리

자료수집안전원 및 유관기관에서 보유하

고 있는 자료 수집

시스템별 자료수집,

외부자료수집자료수집

이력관리

자료 수집 문서에 대한 이력관리

및 모니터링

자료 수집 문서, 자

료수집 현황

자료관리 수집자료의 오류, 중복 관리오류관리, 중복관리,

데이터변환

데이터웨어

하우스

DW

데이터 생성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

자 분석 형태의 DW용 데이터 추

DW자료, 주제별

관리

DM 생성수집된 데이터의 사용자 분석 형

태의 DM용 데이터 추출

DM자료, 주제별 관

리메테데이터

관리

데이터 관련 정보 추출 후 DB

관리

메타데이터, 용어관

사용자관리 분석도구, 웹 사용자 관리사용자관리, 분석도

구관리

정보포털

검색서비스일반사용자 및 전문가 검색 서비

스검색이력, 검색DB

화학물질

정보화학물질관련 정보 제공 화학물질정보

표 31. 종합정보시스템 데이터 주제별 설명

화학물질안전원 130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108. 시스템별 수집DB

화학물질안전원 131 (주)유코아시스템

2) e-Learning 시스템 데이터 주제 영역 설명

유해화학물질 e-Learning 데이터 주제영역 설명 및 주요 포함 실체 유형은 다음과

같다.

3) 시스템 공동 활용 데이터 주제 영역 설명

시스템 공동 활용 데이터 주제영역 설명 및 주요 포함 실체 유형은 다음과 같다.

라. 기반기술 아키텍처 구성방안

시스템 구축 시 도입되는 서버들은 복잡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성능과

업무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서버의 신뢰성, 가용성, 유지보수성 등을 제공하는

서버를 선정하여 안정적인 업무처리의 기반을 제공한다.

주제영역 설명주요 포함 실체

유형교육안내 교육관련 내용을 사용자에게 설명 교육정보, 신청방법

내강의듣기 강의 신청, 신청한 강의 듣기, 수료증 발급 등강의듣기, 수료증

발급학습도움방 강의 내용에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 및 도음말 설치프로그램

자료실 강의 내용에 필요한 교안 및 자료 공유교안자료, 자료 공

표 32. e-Learning 데이터 주제별 설명

주제영역 하위 주제영역 설명주요 포함 실체

유형

메타데이터

시스템

업무표준메타업무를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

한 설명자료 관리

업무설명항목, 업무별자료설명항목

용어표준화메타정보화에 필요한 표준 데이터

관리

표준단어, 표준용어,표준도메인, 표준코드

정보참조메타정보제공을 진행함에 있어 필

요로 하는 정보관리

통계, 프로세스 풀,집계표, 원시자료

표 33. 시스템 공동 활용 데이터 주제별 설명

화학물질안전원 132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109. 기술기반 아키텍처 구성 방안 개요

1) 하드웨어 구성도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내 각각의 주요시스템들은 이중화 구성되어 안정

화를 이루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림 110.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

화학물질안전원 133 (주)유코아시스템

2) 하드웨어 구성 내역

구분 품 명 상세 내역 수량

서버

웹서버 24만tpmC, CPU  4Core, MEM 30GB,UNIX 2

WAS 36만tpmC, CPU  6Core, MEM 24GB,UNIX 2

DB서버 72만tpmC, CPU 12Core, MEM 45GB,UNIX 2

송수신서버 48만tpmC, CPU  8Core, MEM 30GB,UNIX 2

개발서버 CPU 6Core (Web/WAS, DB, 송수신),UNIX 1

저장 스토리지Physical 8TB 이상(Raid1) EDI(증설) USP-V 1

Physical 4TB 이상(Raid5) 대체(증설) 1

N/W

L7 스위치 8900 교체 (기존장비 재배치) 2

L4 스위치 8Port 이상, 1/10 Gbps 2

SAN Switch 8Port 이상, 4GBps 2

Rack 서버랙, 17” LCD Console, KVM Switch 2

표 34. 하드웨어 구성 내역

3) 소프트웨어 구성 내역

구분 품 명 상세 내역 수량

업무

S/W

웹서버 사용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 2

WAS 웹기반 업무 트랜잭션 처리 및 관리 (이중화) 2

DBMS 데이타베이스 (이중화 기능 포함) 2

웹리포팅 웹기반에서 리포팅을 위한 솔루션 2

볼륨관리 온라인에서 파일 확장, 축소 à 고가용성 증대 1

ETL 자료수집을 위한 솔루션 1

OLAP 자료분석을 위한 솔루션 1

검색도구 자료 검색을 솔루션 1

보안

S/W

암호화솔루션 웹 트랜잭션에 대한 암/복호화 1

서버보안/PKI 서버 접근 보안 강화 / 암호화 솔루션 8

서버백신 파일 바이러스 점검 (Unix/Windows서버) 10

ESM agent 보안 정책 등 종합적인 보안 관리 9

키보드보안 사용자 PC 키보드 보안 솔루션 2

로봇자동방지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 가입 방지 2

관리

S/W

Framework RIA 개발을 위한 업무솔루션 1

웹로그분석 웹 로그 분석을 통한 사용자 패턴, 성능 분석 2

WAS모니터링 시스템 모니터링 및 정책 관리 2

DB모니터링 DBMS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및 튜닝 2

HA 서버간 클러스터링 구성 6

장애관리(SMS) 시스템 모니터링 및 정책 관리, 통합Dashboard 1

Web 포탈 Web 서비스 기반 마련을 위한 Tool 4

백업솔루션 자동화된 백업정책 적용 및 통합관리(agent 포함) 9

EAM 사용자 권한 관리 (사용자별 포탈인데. 필요성.?) 2

파일컨트롤러 파일 업로드 관리 (포탈내부용.?) 1

송수신솔루션 데이터 송수신 솔루션  (FTP 서버.?) 2

표 35. 소프트웨어 구성 내역

화학물질안전원 134 (주)유코아시스템

4) 보안 방안

관리적 보안 및 물리적 보안은 기존 보안체계를 준수하며 기술적 보안중 네트워크

보안은 통합전산센터 인프라체계를 준용함으로써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관

련하여 통합인증, 문서보안, 서버보안, DB 보안을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그림 111. 보안 정책

가) 문서보안

표준연계를 위한 연계되는 정보 내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서명 및 암복호화를 수

행함으로써 전자문서 보안표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그림 112. 전자문서 보안처리 절차

화학물질안전원 135 (주)유코아시스템

나) PC보안

PC 보안 확보를 위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한 ID, Password 등 주요정보를

보호하고, 해킹 툴 및 시스템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그림 113. 보안 취약점 및 해결방안

화학물질안전원 136 (주)유코아시스템

다) 서버보안

범정부통합전산센터의 보안정책을 서버기능 적용을 통한 해커, 크래커, 또는 내부

자 등 불법 침입자(비 인가자)에 대한 접근권한을 통제함으로써, 서버 내 주요 자산

에 대한 위ㆍ변조 방지와 불법 정보유출 등을 차단하며 중앙관리서버를 통한 서버

보안 정책의 일괄 통제, 원격관리, 통합관리 체계 구현를 구현되어 있으며 시스템

Layer의 보안성 강화를 통한 서버 침해 사고 사전 대응 및 위협 요소 경감된다.

그림 114. 서버보안 흐름도

화학물질안전원 137 (주)유코아시스템

라) DB 보안

DB 모니터링을 통하여 DB컬럼, 사용자, IP, 시간대별 접근제어 기반의 실시간 감

시를 통한 데이터 접근 내역 및 사용 내역 감시와 접근자별 사용 내역 추적, 중요

데이터 접근자 내역 추적하고, SQL 관리 도구를 사용한 대량 데이터 사용자 모니

터링 및 감시, 주요 금융정보 및 데이터의 선별 암호화 (Column 단위 접근 제어 암

호화, 복호화 권한을 선택적으로 적용), 주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인증을 권한

별로 세분화하여 비 인가자에 의한 주요정보 및 고객정보를 보호하고 관련 데이터

의 보안성 및 무결성 확보를 통한 보안성 강화하고 내.외부의 인가되지 않은 사용

자로부터 데이터 접근 정책을 세부적으로 적용 및 수행이 가능하여 데이터 유출 사

고 예방 가능하다.

그림 115. DB 보안 구성

화학물질안전원 138 (주)유코아시스템

4. 이행계획 수립

환경 및 현황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구성 요건과

정보화 추진 방향성을 반영하여 미래모형을 설계하였으며, 그 결과는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구현을 추진하기 위한 이행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되었다. 본 사업

에서는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을 구현을 위한 세부 이행계획을 마련하기 위하

여 개별 응용시스템의 기능 구현을 위한 업무시스템 개발 부문과 화학물질관리법 종합

정보시스템의 전체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술기반 구축 부문으로 구분

하여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세부 추진과제의 업무범위, 예상기간, 주요 고려사항, 예상 소요자원 및 기대효과는

정보화 추진 방향성을 반영한 미래모형 설계 결과에 기반하고 도출되었으며, 각 세부

추진과제의 주요 내용은 해당 업무의 선·후 관계 및 화관법의 단계별 예상 시행일정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통합 이행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되었다.

그림 116. 이행과제 도출 및 이행 단계 정의

화학물질안전원 139 (주)유코아시스템

가. 정보화 추진과제 도출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은 미래모형 설계에서 도출된 것과 같이 화학물질관

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은 정보포털, 통합자료관리 시스템,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 시

스템 공동활용의 4개의 응용시스템과, e-Learning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각 응용시스

템의 구현은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정보화 이행을 위한 정보화 추진과제로

활용한다.

각 응용시스템 개발을 하는데 있어 화학물질안전원 내외부의 화학물질정보 데이터

통합과 통합된 자료의 정제, 변환, 이관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이 작업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는 표준화 실시와, 자료 활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화학산업분야 정책자료와 통계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이행단계에

서 통합메타데이터관리, 데이터 관리체계 과제가 별도로 도출되었다.

1)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개발은 화학물질안전원의 내부 시스템의 데이터와

외부에서 제공되는 화학물질관련 정보를 연계, 수집을 통하여 정제, 변환, 이관을 통

해 자료를 관리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웨어하우스를 통해 자료 분석과 통계자

료를 추출하고, 정보포털을 이용하여 수집된 원천자료와, 분석결과를 대국민에게 제

공 등이 과제에서 요구되는 주요 추진 범위로 이행과제 정의는 다음과 같다.

그림 117.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화학물질안전원 140 (주)유코아시스템

가)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개발 과제의 추진 시 주요 고려사항

(1) 웹(On-Line)접점으로 하는 화학물질정보포털 시스템 구축 단계 필요

(2)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 준수, 공통 컴포넌트 활용으로 중복 기능 개발 제거

(3) 웹 표준화 및 국가 정보화표준 준수, 단계별 사업 추진 및 확장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

나) 통합자료관리시스템

통합자료관리시스템은 화학물질안전원의 내부시스템으로부터 원천자료의 자동수

집과, 화학물질관련 외부의 자료를 수집을 통해 자료의 정제, 변환을 통해 데이터의

표준화 단계를 구축하고 중복된 자료를 제거함으로써 자료의 품질과 정확도를 향상

시키는 주요 범위로 다음과 같은 이행과제는 다음과 같다.

그림 118. 통합자료관리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1) 통합자료관리시스템 추진 시 주요 고려사항

(가) 신규로 생성되는 화학물질정보에 대해 추가 등록, 수집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야 함

(나) 자료수집에 대한 이력관리를 통해 중복성이 있는 자료의 제거와 수집되어

있는 자료의 모니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자료 제거

(다) 동일한 자료에 대한 표준화를 통해 자료의 품질과 정확성 확보

(라) 외부자료 수집 설계 시 자동 수집을 위한 연계 모듈 설계 필요

다)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

데이터웨어하우스시스템은 화학물질안전원 내외부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통해 화학산업분야의 정책수립을 위해 활용되도록 수행되어야 하며,

이행과제 정의는 다음과 같다.

화학물질안전원 141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119.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1) 데이터웨어하우스시스템의 주요 고려사항

(가) 정형적 분석 및 비정형적 분석, 다차원적 분석 및 추이 분석이 가능해야 함

(나) 사용자는 중간과정 없이 온라인상에서 직접 데이터에 접근 및 분석이 가능해야 함

(다)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화학산업계 관련 정보의 분석을 통

해 정책수립을 위한 기반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해 질것으로 기대된다.

화학물질안전원 142 (주)유코아시스템

라) 정보포털 시스템

정보포털 시스템은 수집 및 분석된 화학물질정보를 대국민에게 서비스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개발이 되어야 한다. 화학물질관련정보, 안전정보 등을 대국민에게 서비

스관점에서 개발되어야 하며, 다양한 검색 서비스를 통해 일반인, 전문가에게 화학

물질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모바일 서비스를 통하여 기업 종사자, 일반 대국민이 현

장에서 바로 활용 할 수 있는 기반, 시각화 콘텐츠 제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친숙한

화면을 제공해 주어야 하는 과제로 다음과 같이 이행과제정의를 하였다.

그림 120. 정보포털 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1) 정보포털 시스템의 주요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대국민이 직접 활용하는 서비스로 정보의 정확한 내용이 제공되어야 함(오

타, 수치 오류 Zero화)

(나) 검색기능 제공으로 대량의 화학물질정보 검색에 있어 빠른 속도 제공

(다) 전문가 활용도를 고려하여 상세한 검색조건으로 검색이 가능한 기능 제공

(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현장 사용자가 사용 할 수 있는 기반으로 설계 및 개발

화학물질안전원 143 (주)유코아시스템

2) 시스템 공동 활용 표준체계 구축

시스템 공동 활용 표준체계 구축은 화학물질안전원 내부에서 구축되는 시스템들의

중복개발의 빈도, 재상용 가능성, 표준화적용 등을 고려하여 개발 생산성 및 투자 효

율성이 높은 메타데이터관리, 통합로그인, 사용이력, 게시판 관리 등을 추진 범위로

이행과제 정의는 다음과 같다.

그림 121. 시스템 공동 활용 표준체계 구축

가) 시스템 공동 활용 표준체계 구축에 대한 주요 고려사항

(1) 화학물질안전원의 적용시스템 중심의 데이터 표준화 정책 지원, 데이터 표준 적용

(2) 데이터의 증가 및 변경에도 효율적인 표준화 관리 기반 마련

(3)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에서 제공되는 공통 컴포넌트 활용

(4) 통합인증 로그인 컴포넌트 재사용 기반 마련

(5) 향후 확장성 및 범용성을 고려한 설계

화학물질안전원 144 (주)유코아시스템

3) e-Learning 시스템

e-Learning 시스템 구축은 화학물질관련 안전교육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기 위한

기반 시스템으로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데

접근성을 용이하도록 교육관리, 내강의 듣기, 사이트관리, 강사관리, 강의관리 등을

추진 범위로 이행과제 정의는 다음과 같다.

그림 122. e-Learning 시스템 이행과제 정의

가) e-Learning 시스템의 주요 고려사항

(1) 웹(On-Line)과 오프라인의 병행 교육이 가능한 지원 시스템 구축

(2)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 공통컴포넌트 활용

(3) 교육단계별 진척 및 웹 표준화, 정보화 표준 준수, 단계별 프로세스 세부 설계

화학물질안전원 145 (주)유코아시스템

4)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응용기반 구성

표준화된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서술하는데

사용하는 기본 개념 구조)를 활용하여 공통 라이브러리, 공통 개발도구, 공통 인터페

이스 등의 응용 S/W구현을 위한 표준화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이행과제 정의를

도출하였다.

그림 123.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응용기반 구성

가)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응용기반구성을 위한 주요 고려사항

(1) 현행 연계업무의 실질적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성능측면의 고려

(2) 향후 확장 및 유지보수성 보장을 위하여 표준화되고 검증된 기술방식을 준용

5)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인프라 구축

시스템 구축 시 도입되는 서버들은 복잡한 업무를 처리 할 수 있는 충분한 성능과

업무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서버의 신뢰성, 가용성, 유지보수성 등을 제공하는

서버를 산정하여 안정적인 업무처리의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이행과제 정의를 도출

하였다.

화학물질안전원 146 (주)유코아시스템

그림 124.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인프라 구축 이행과제 정의

가)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주요 고려사항

(1) 신뢰성 : 다운타임을 피하기 위하여 장애 없이 지속적으로 동작하면서 데이터

의 무결성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한다.

(2) 가용성 :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이 액세스 가능하며 사용

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함

(3) 보수용이성 : 부품 업그레이드 또는 장애 시에 빠르고 쉬운 서비스 과정을 통

하여 다운타임 최소화하여야 함.

화학물질안전원 147 (주)유코아시스템

6) 화학물질 통합메타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

업무 절차, 업무 용어의 이해, 화학 용어의 표준화 등을 위하여 화학물질안전원에

서는 표준화 메타데이터, 업무참조 메타데이터, 화학물질자료설명 메타데이터로 구성

된 통합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는 다음과 같은 이행과제 정의를 도출하였다.

그림 125. 화학물질 통합메타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 이행과제 정의

가) 화학물질 통합메타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 고려사항

(1) 표준화메타데이터 : 표준화 메타데이터는 단어, 용어, 도메인, 코드 메타데이터

로 구분되어 상호 참조 관계로 연계됨

(2) 화학물질자료 설명 메타데이터 : 설계 완료된 관리 항목을 기준으로 기존 데이

터와의 매핑 관계를 정의

(3) 업무참조 메타데이터 : 화학물질관련 전체 업무의 흐름 및 기준을 정의하는 업

무 정보를 중심으로 구축

화학물질안전원 148 (주)유코아시스템

7) 화학물질 데이터 관리체계수립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담당자와 역할을 정의하는 것으로 화학물질 정

보에 대한 데이터 요구사항관리를 통해 변경 및 개선 요구 사항을 수집하고 검토하

여 관리하는 체계를 수립하여 화학물질정보에 대한 데이터의 관리 체계를 위해 이행

과제 정의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그림 126. 화학물질 데이터 관리체계 수립 이행과제 정의

가) 화학물질 데이터 관리체계 수립을 위한 주요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데이터 관리를 담당할 담당자가 선정되어 있고 담당자별로 수행해야할 역할이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함

화학물질안전원 149 (주)유코아시스템

8)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운영방안

조직의 핵심 기능정의 및 조직 구조 설계를 통하여 향후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

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운영 조직 및 운영조직의 소요 인력을 산정

하여 운영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이행과제 도출하였다.

그림 127.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운영방안 이행과제 정의

가)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운영방안 수립을 위한 주요 고려사항

(1) 사업수행조직의 수행 능력 제고를 위하여 안전원 내부 조직으로 구성된 T/F

등의 구성을 통한 협조 필요

(2) (단기) 종합정보시스템의 특성 및 조직구성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화학물질안전

원 내 관련 기존 조직의 협조 및 활용 필요

(3) (장기) 업무수행의 효과성 및 독립성의 확보 및 전문적인 업무 수행을 위하여

독립 조직 구성 필요

화학물질안전원 150 (주)유코아시스템

나. 단계별 이행 로드맵

앞에서 도출한 정보화 추진 과제를 이용하여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을 위해 년차별 진행을 위한 세부 추진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1단계는 종합정보시스

템의 기반마련을 위해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를 기반의 시스템 구축과, 데이터 품질

관리 구축 및 시범관리, 데이터 구축을 통해 시범운영으로 전환하며, 시범운영을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2단계에서는 확산 및 안정화를 위해 데이터 품질관리

DQM을 도입하고 시스템 기능 확대 및 안정화를 통하여 사용자 서비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3단계에서는 데이터의 품질관리와 화학물질 분석체계 및 의사결정지원체

계를 위한 기반마련을 위해 시스템을 구축한다.

화학물질안전원의 종합정보시스템은 <그림 128>과 같이 단계에 따라 정보화 시스

템과 데이터 구축을 진행한다.

그림 128. 단계별 추진 목표

화학물질안전원 151 (주)유코아시스템

1)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세부 추진 일정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을 추진하기 위하여 1,2단계에서는 기본 체계 구축

및 시범운영을 실시하며, 3단계에서는 확대운영을 통해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

스템에 대한 서비스를 확대하여 국민, 기업, 유관기관에서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129.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년차별 추진 계획

2) 화학물질관리법 시스템 표준 연계 체계 구축

표준 연계를 위한 체계 구축을 통하여 중복개발의 빈도, 재사용 가능성, 표준화 적

용 등을 고려하여 개발 생산성 및 투자 효율이 증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130. 화학물질관리법 시스템 표준 연계 구축 년차별 추진 계획

화학물질안전원 152 (주)유코아시스템

3) 종합정보시스템 응용기반 구성

응용기반 구성을 위하여 표준화된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의 활용을 통

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이 기대된다.

그림 131. 종합정보시스템 응용기반 구성 년차별 추진 계획

4) 인프라 구축 및 보안 구축 방안

인프라 구축 및 보안 구축을 통해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에 대한 업무의

처리와, 연속성을 보장함으로써 서버의 신뢰성, 가용성, 유지보수 용이성을 고려하여

통합전산센터의 기본 인프라와 병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축되어야 한다.

그림 132. 인프라 구축 및 보안 구축을 위한 년차별 추진 계획

화학물질안전원 153 (주)유코아시스템

5) 통합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

통합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은 1단계에서는 데이터 표준화와, 관리 절차 및 조직을

확립하여 운영을 위한 사전 준비와 단계별로 안정화를 통해 데이터에 대한 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축되어야 한다.

그림 133. 통합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 년차별 추진 계획

6) 스마트 정보 제공 체계 구축

종합정보시스템의 사용 확대를 위하여 현장 또는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즉시 활용을 위한 기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그림 134. 스마트 정보 제공 체계 구축 년차별 추진 계획

화학물질안전원 154 (주)유코아시스템

7)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운영 방안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1차년도에는 기획팀 인

력의 75%, 운영팀 인력의 25% 및 운영지원팀 인력의 10%로 구성하여 운영을 위한

기반 체계를 구축하고, 확산 및 안정화를 지원하고 운영 할 수 있는 조직을 확보하

여 전문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독립적인 종합정보시스템 운영조직을 운영하여야 한

다.

그림 135.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운영 년차별 추진 계획

화학물질안전원 155 (주)유코아시스템

8) e-Learning 시스템 구축

온라인 교육시스템을 년차별로 구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추진 단계를 년도별

로 도출하였다. 온라인 교육시스템은 운영기반을 위한 체계 구축을 위해 기본 안전

교육 콘텐츠의 제작과,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2차년도는 콘텐츠의 확대와 기능 고도화, 3차년도는 스마트 러닝을 위한

기반 확대와, 콘텐츠의 시각화를 구축함으로써 활용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림 136. e-Learning 시스템 년차별 추진 계획

화학물질안전원 156 (주)유코아시스템

다. 소요자원 산정

1) IT 인프라 구축비용

IT 구축 비용을 산정하기 위한 인프라와 시스템구축 구성은 크게 3가지 안으로 분

리하여 제시하였다.

1안은 모든 서버를 이중화하여 구축하여 안정적인 IT 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성이

다. 이 경우, 3년간 인프라와 시스템구축에 약 95억 원으로 그 규모에 맞게 비교적

안정적으로, 서버 부하 집중시의 분산 지원으로 신속한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여 화

관법 종합정보시스템 서비스의 안정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장점으로는 서버부하

집중 시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고 담당자의 시스템 설계에 적극적인 참여로 시스템의

요구를 더 정확히 추출할 수 있고, 전문가팀의 구성으로 객관적인 평과와 시스템의

청사진을 볼 수 가 있다. 단점으로는 많은 자원이 필요하고, 분석/설계에 많은 시간

이 소요되고, 프로젝트 관리가 복잡하게 될 수 있으며, 초기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발

생할 수 있다. 개발사에서는 대형시스템의 개발경험이 있는 업체의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현 업무절차와 기존 시스템의 구체적 문제점 파악 할 수 있는 역량이 필

요하고, 실패의 위험을 줄이고 충분한 테스트가 이루어져 고품질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2안은 모든 서버를 이중화하지 않고 구성하는 방안으로 서버부하 집중시 불안정한

서비스 운영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3년간 인프라와 시스템구축에 약65억 원

으로 파악되었다. 장점으로는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개발이 가능하고, 경제적 측면

의 비용절감이 있으며, 개발의 유연성을 확보 할수 있다. 그리고 재정적 또는 기술적

으로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단점으로는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서버부하시 장

애발생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개발사에서는 시스템 요구가 미리 파악가능한 경

우에 적합하고, 전체 일정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중요한 작업에 대

해 설계/테스트 작업이 중복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3안은 모든 서버를 이중화하지 않고 구성하는 방안으로 서버부하 집중시 불안정한

서비스 운영이 이루어 질 수 있고, 분석용 SW 및 인터페이스 툴 등 일부는 제외하

고 구축해야 하며, 이 경우, 3년간 인프라와 시스템구축에 약45억 원으로 파악되었

다. 개발부분 일부 업무에 대해 조정이 필요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이지만 안정

적인 서비스 대응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장점으로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발이

가능하며, 소규모 자원이 소요되고, 복잡성이 감소하여 빠른 시간 안에 업무 적용이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시스템을 업무에 맞추기보다는 업무를 시스템 기능에 맞추어

야 하는 부담이 따르고 필요한 모든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개발사에서는 변화가

적은 프로젝트에 적합하고, 개발주기 중 변화는 사용자 요구에 대해 유연성있게 대

화학물질안전원 157 (주)유코아시스템

처하기 어려움이 있다.

본 사업에서는 초기 투자비용 및 운영 안정성과 3년의 구축기간을 종합적으로 고

려하여 1안을 권고하였다. 각 제안별 인프라 구성의 장단점 및 운영비용은 <표 36>

에 정리하였다.

IT 인프라와 시스템구축 구성안 별 상세 구축내역은 <표 37>과 같다. 하드웨어,

네트워크/통신,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하였으며 서버의 성능은

“하드웨어 용량 산정” 결과를 따르고 있다.

구분 1안(권고안) 2안 3안

장점

Ÿ 서버부하 집중 시 안정적 운영가능

Ÿ 담당자의 시스템 설계에의 적극적

참여

Ÿ 전문가팀에 의해 객관성 있게 평가

Ÿ "Big picture"를 볼 수 있음.

Ÿ 서버이중화

Ÿ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업무에 적용 가능

Ÿ 경제성 (비용절감), 개발

의 유연성 확보

Ÿ 재정적 또는 기술적으로

위험 부담이 큰 경우

Ÿ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개

Ÿ 소규모자원 소요

Ÿ 복잡성 감소

Ÿ 빠른 시간 안에 업무 적

단점

Ÿ 많은 자원/시간 소요

Ÿ 프로젝트 관리의 복잡성

Ÿ 초기 투자비용 과다

Ÿ 개발 단계별 관리가 어려

Ÿ 서버 부하시 장애발생 리

스크 발생

Ÿ 시스템을 업무에 맞추기

보다는 업무를 시스템

기능에 맞추어야 하는

부담이 따름

Ÿ 필요한 모든 기능 기대하

기 어려움

개발사

Ÿ 대형시스템 개발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역량 필요

Ÿ 현 업무절차와 기존시스템의 구체적

문제점 파악

Ÿ 실패의 위험을 줄임, 테스트 용이

Ÿ 시스템요구가 미리 파악

가능한 경우에 적합

Ÿ 전체 일정을 줄이기 위한

방안 마련

Ÿ 중요한 작업(설계, 테스

트)의 중복 작업

Ÿ 변화가 적은 프로젝트에

적합

Ÿ 개발주기중 변하는 사용

자요구에 대해 유연성

있게 대처하기 어려움

초기 3년간

인프라비용약 50억 약 24억 약 19억

초기 3년간

시스템 개발

비용

약 45억 약 41억 약 26억

총기 3년간

총 구축비용약 95억 약 65억 약 45억

표 36.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안

화학물질안전원 158 (주)유코아시스템

구분 업무 품목제안가

(천원)1안 2안 3안

하드웨어

대외업무 서버 통합 서버(WEB/WAS/DB서버) 166,440 6 2 2

내부업무서버

통합자료관리, DW시스템, 화

학사고이력관리, 통계조사,DB

서버 - 통합서버

235,736 5 2 1

관리서버SSO/EAM 서버 21,997 1 1 1

백업서버 33,463 1 1 1

저장장치

대외업무용 저장장치(이중화

구성)-102,600 2 1 1

내부 통합관리용 저장장치 66,000 1 1 1

백업장치

대외용 백업장치 VTL 96,000 1 1 1

내부용 백업장치 VTL 240,000 2 1 1

네트워크/

통신

통신장비

라우터 32,450 2 1 1

L4 19,650 4 2 1

L7 14,400 4 2 1

SAN 스위치 16,104 4 1 1

침입방지 방화벽 48,000 1 1 1

소프트에어

대외업무

Web Server-Web tier 73,500 2 1 1

WAS Server-제우스 105,000 2 1 1

DBMS-oracle 73,500 2 1 1

대내업무

WAS Server-제우스 240,000 1 1 1

DW tool-Olap 147,000 1 0 0

인터페이스툴-Tibco 174,000 1 1 0

통계툴-sas 252,000 1 0 0

DBMS-Oracle 73,500 2 1 1

SSO/EAM 72,000 1 1 1

백업tool-Backup tool 27,000 2 1 0

IT 인프라 소계 4,983,503 2,367,569 1,896,783

소프트웨어개발비

시스템공통활용 816,371 802,049 481,786

화학물질 포털시스템 376,355 369,752 267,128

자료관리시스템 1,488,130 1,190,514 756,487

e-Learning시스템 520,967 511,827 321,585

인쇄비,여비(개발원가 10%) 320,182 287,414 182,698

이윤(개발원가의 20% ) 640,364 574,828 365,397

부가가치세 416,237 373,638 237,508

IT 개발비 소계 4,578,608 4,110,025 2,612,592

합계 9,562,111 6,477,594 4,509,375

표 37. 종합정보시스템 인프라 및 시스템 구축내역

화학물질안전원 159 (주)유코아시스템

2) 소요자원 산정결과 종합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구축하기위하여 투자비

용은 응용시스템 개발비용, 기반 인프라 장비 구입비용으로 구성되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약 9,562백만원의 연도별 소요자원 비용은 <표 38>과 같다.

비용구분 비용요소 2016년 2017년 2018년 합계

개발비용

소프트웨어 개발1)

1,877,523 951,119 373,180 3,201,824

직접경비 187,752 95,111 37,318 320,182

이윤 375,504 190,223 74,636 640,364

부가세 244,078 123,645 48,513 416,237

장비

구입비

소계 2,684,858 1,360,101 533,648 4,578,608

소프트웨어 구매 1,338,000 - 252,000 1,590,000

하드웨어 구매 1,513,998 1,239,205 851,568 3,393,503

소계 2,851,998 1,239,205 1,103,568 4,983,503

시스템 구축비용 합계 5,115,434 2,510,273 1,787,056 9,526,111

표 38. 연도별 소요자원 산정 결과

(단위 : 천원)

1) 기능점수(Functnio Point)방식으로 산정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비용

화학물질안전원 160 (주)유코아시스템

3) 업무시스템 개발비용 방식

과제별 이행을 위해 소요되는 응용시스템 및 인프라 구축비용을 구성요소별, 과제

영역별, 연도별로 산출하였다.

그림 137. 소요자원 도출 개요

지식경제부 고시로 규정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의 기준은 국가기관 등이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소프트웨어 개발 또는 유지보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시스

템 운영 환경 구축 등의 정보화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소프트웨어사업에 대한 예산수

립, 계약 시 적정원가계산 등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사업의 종류마다 비용 산정 핵심요소와 비용 구

성내용이 상이하게 제시되는데,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의 경우 단계별 공정을 수행하

는데 필요한 개발원가와 직접경비 그리고 이윤의 합으로 구성된다.

소프트웨어 개발비 = 개발원가 + 직접경비 + 이윤

소프트웨어 개발비는 다음 절차에 따라 산정한다.

가) 개발할 소프트웨어의 규모를 산정한다. 소프트웨어 규모는 국제표준의 기능점수

(Function Point) 방식으로 개발 소프트웨어규모를 구한다.

나) 가)에서 산정된 기능점수에 기능점수 당 단가를 곱하여 보정 전 개발 원가를

구한다.

화학물질안전원 161 (주)유코아시스템

다) 나)에서 도출된 보정 전 개발 원가는 개발하고자하는 소프트웨어의 규모 어플

리케이션의 복잡성 등과 같은 각 사업별로 발생 할 수 있는 특성적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비용 이다. 소프트웨어 사업대가의 기준에서는 이러한 요인

들을 크게 소프트웨어 개발규모 어플리케이션 유형 개발 언어 품질 및 특성으

로 구분 하였으며 이에 대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개발 원가를 구하도록 하고

있다.

라) 다)에서구한 개발원가에는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에서 일반적으로 소요되는 직

접경비 항목은 포함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경비 항목을 별도로 고려

할 수 있다. 이러한 직접경비로는 컴퓨터 시스템 사용료, 소프트웨어 도구 사용

료 지급이자, 전문가비용 여비, 특수자료비, 인쇄 및 청사진비, 자료조사비, 기

자재시험비, 위탁비 및 현장운영비, 모형비 및 그 외의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에

소요되는 직접비용이 있다.

마) 이윤은 개발원가의25% 범위 내에서 반영할 수 있다.

4) 업무시스템 개발비용 산정

위의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 산정 절차에 따라 먼저 소프트웨어 개발 규모를 계산

하기 위하여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기능점수를 산정하였다. 기능점수 방

식은 사용자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규모를 산정하는 방법으로, 주로 논리적 설계를

기초로 하여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의 수를 정량화하여 규모를 산

정하는 방식이다.

그림 138. 개발비용 보정계수 적용

화학물질안전원 162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범위 및 경계를 설정하고, 데이터기능(Data

Function)점수와 트랜잭션기능(Transaction Function)점수의 합, 즉 보정 전 기능점

수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 <그림139>와 같다. 상세한 산출 근거는 부록을 참조하면

된다.

개별 업무단위별 총기능 점수에 소프트웨어 사업 대가 기준으로 산정한 결과 시스

템 공동 활용 영역은 816,371,371원, 정보포털시스템은 376,355,083원, 자료관리 시스

템 및 데이터웨어하우스는 1,488,130,328원, e-Learning 시스템은 520,967,496원이 산

출되었다.

그림 139. 기능 점수 산정

이행과제 소계1단계 2단계 3단계

2016년 2017년 2018년

시스템공동활용    816,371   415,300   256,515   144,555

자료관리시스템   1,488,130   857,527   510,196   120,406

화학물질 포털시스템 376,355      241,833     74,658     59,863

e-Learning 시스템  520,967       362,863   109,748     48,355

비용합계 3,201,824 1,877,523   951,119       373,180

표 39. 응용시스템별 연도별 개발비용

(단위 : 천원)

화학물질안전원 163 (주)유코아시스템

<표 39>에서 산출된 개발원가에 이윤은 원가의 25%이내로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최종 개발원가의 20%로 설정하여 총 4,162,371,561원으로 산정하였다. 직접경비의 경

우, 컴퓨터시스템 사용료, 소프트웨어도구 사용료, 전문가비용, 여비 및 모형제작비

등 12가지 항목에 대하여 산정하여야 하며, 본 사업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원가’의

10%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원가, 직접경비 및 이윤을 모두 합한 화학물질관리법 종합

정보시스템의 총 개발 비용은 <그림 140>와 같이 약 4,578,608,717원으로 산정되었다.

그림 140. 개발 비용 최종 산출 결과

화학물질안전원 164 (주)유코아시스템

5) IT 인프라 구축비용

가) 데이터베이스 산정 방법

DB서버 용량은 분당트랜잭션수를 기준으로 각종 보정계수를 산정하여 도출

(tpmC* = 분당트랜잭션 * 기본tpmC보정* 피크타임 보정 * 데이터베이스 보정 *

어플리케이션 구조 보정 * 네트워크 보정 * 클러스터 보정 * 시스템 여유 율)

항 목 설명 값 범위 일반 값

분당트랜잭션수

동시사용자 수,전체 사용자의 10%~30% 10~30% 10%

산정 대상서버에서 분당 트랜잭션 발생 추정치의 합 업무

유형 및 복잡도를 감안하여 3~5값 적용

업무당

3~5tr4tr

기본 tpmC보정

최적의 환경에서 측정한 tpmC 수치를 실환경에 맞게 적

용하기 위한 보정

단순(300명이하) : 20%, 복잡(300명이상): 30%

20~30% 30%

피크타임보정

업무가 과중한 시간대에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

도록 피크타임을 고려한 보정

상(특정시간이나 특정일에 집중) : 50%

중(특정마감일이 있는 경우) :40%

하(특정시간대, 매주 피크) : 30%

20%~

50%30%

데이터베이스 보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건수와 전체데이터베이스 볼륨을 고

려한 보정

10%~

50%30%

어플리케이션 구

조 보정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와 요구되는 응답시간에 따른 성능

차이를 감안한 보정

10%~

100%40%

어플리케이션 부

하보정

온라인 작업을 수행하는 피크타임에 배치작업등이 동시에

이뤄지는 경우를 감안한 보정

상(배치성 작업 등 추가작업이 많은 경우) : 90%이상

중(온라인업무중 일부 배치작업) : 60~80%

하(배치작업이 드문경우) : 30%~50%

30%~

120%70%

네트워크 보정네트워크 대역푝으로 인해 응답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CPU처리로 보완하기 위한 보정

10%~

30%20%

클러스터 보정 클러스터 환경에서 장애 발생시를 대비한 보정30%~

50%-

시스템 여유율예기치 못한 업무의 증가 및 시스템의 안정된 운영을 위

한 여유율

30%~

50%30%

표 40. 데이터베이스 서버 산정 기준

화학물질안전원 165 (주)유코아시스템

나) WEB/WAS 서버 산정 기준

WEB/WAS 서버용량은 사용자당 오퍼레이션수를 기준으로 동시사용자수, 사용자

당 오퍼레이션 수, 인터페이스 부하 보정, 피크타임 부하보정, 시스템 여유율의 보

정계수를 산정하여 서버 용량을 도출하였다.

다) 스토리지 용량 산정

스토리지 용량산정은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에서 구축되는 메타데이터관

리시스템, 통합자료관리, 데이터웨어하우스(DW)시스템, 화학물질 포털 업무별로 구

분하여 데이터 용량을 합산하여 산출하였다.

항목 설명 값범위 일반값

동시 사용자 수소프트웨어또는시스템을  네트워크상에서동시에사용하는사용자

수, 전체 사용자의 5%~20%

WEB: 5~10%,

WAS:10~20%

WEB: 10%

WAS: 20%

사용자당오퍼레이션수 사용자 한명이 초당 발생시키는 오퍼레이션 수 3~6개 5개

인터페이스 부하 보정 서버가 타 서버와 통신하게 될 때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부하율 2~10% 5%

피크타임부하보정 갑자기 많은 접속에 대한 부하 보정 20~50% 30%

시스템 여유율시스템의 안정된 운영을 보정하기 위해 업무의 중요도나 긴

급도를 감안하여 적용- 30%

표 41. WEB/WAS 서버 산정 기준

시스템 영역

Table Index 총용량(Gb)

레코드 수

레코드별

평균길이

(bytes)

용량

(Gb)인덱스수

인덱스

별 평균

용량

(Gb)

용량

(Gb)보정전 보정후

화학물질

메타

화학물질자료설명

메타3,000,000 4,000 11.18 50 0.1 5.0 16.18 17.79

업무참조메타 3,000,000 4,000 11.18 100 0.2 20.0 31.18 34.29

용어표준화메타 3,000,000 6,000 16.76 100 0.3 30.0 46.76 51.44

데이터 모델 리파

지토리5,000,000 5,000 23.28 200 0.2 40.0 63.28 69.61

첨부파일 영역     50.00       50.00 50.00

합계 14,000,000 19,000 112 450 0.80 95.00 157 223

통합자료

관리

자료수집관리 50,000,000 6,000 279.40 200 0.7 140.0 419.40 461.34

자료수집 이력관리 50,000,000 5,000 232.83 200 0.5 100.0 332.83 366.11

자료관리 100,000,000 6,000 558.79 150 0.5 75.0 633.79 697.17

임시자료 영역 300,000,000 6,000 1676.38 300 1.0 300.0 1976.38 2174.02

첨부파일 영역     300.00       300.00 300.00

합계 500,000,000 23,000 3047.40 850.00 2.70 615.00 3,662 3,999

데이터웨어

하우스(DW)

DB 영역 10,000,000 6,000 55.88 150 0.3 45.0 100.88 110.97

첨부파일 영역     100.00     0.0 100.00 100.00

합계 10,000,000 6,000 156 150 0 45 201 211

화학물질

포털

DB 영역 10,000,000 6,000 55.88 150 0.3 45.0 100.88 110.97

첨부파일 영역     100.00       100.00 100.00

합계 10,000,000 6,000 156 150 0 45 201 211

표 42. 업무별 스토리지 용량 산정

화학물질안전원 166 (주)유코아시스템

라) 하드웨어 투자비용 산출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는 기술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기반구조 구성도 및 소프트웨어 구성도에

따라 정의하였다. 하드웨어 용량 산정은 대외업무와 대내업무로 구분하여 각각의

서버 별로 산정되었으며, 각 서버는 3계층 구조의 이중화를 따를 수 있도록 정하였

다.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의 산출 항목 별 값과 산정근거는 <표 43>과 같다.

구분 업무명 구성 SPEC수

량비고 장비 사례

예상성능

(tpmc)

서버

대외

업무

Web

Server

통합서버, 파

티셔닝8Core, Memory 64G 2식

HA 구성

IBM p770

3.8Ghz,

32Core,

Memory

256G

          

1,040,000

WAS

Server

통합서버, 파

티셔닝8Core, Memory 64G 2식

           

1,040,000

DB Server통합서버, 파

티셔닝

16Core, Memory

128G2식

           

2,080,000

대내

업무

통합자료관

통합서버, 파

티셔닝4Core, Memory 32G 1식

단독 통합서

IBM p770

3.8Ghz,

32Core,

Memory

2562G

              

520,000

DW 시스템통합서버, 파

티셔닝8Core, Memory 64G 1식

           

1,040,000

화학사고이

력관리

통합서버, 파

티셔닝2Core, Memory 16G 1식

              

260,000

통계조사통합서버, 파

티셔닝4Core, Memory 32G 1식

              

520,000

DB Server통합서버, 파

티셔닝

16Core, Memory

128G1식

           

2,080,000

SSO/EAM별도서버,

x86

2.6Ghz 8Core*2CPU,

Memory 32G1식

OS:

Windows

IBM

X3650M4 

백업서버별도서버,

x86

2.6Ghz 8Core*1CPU,

Memory 32G2식

OS:

Windows

IBM

X3650M4 

스토

리지

대외

업무 

Usable 10TB, Cache 32G, FC 8

port

HDD: 600G*42ea, RAID 1 구성,

2식 이중화HUS150

*2ea 

대내

업무 

Usable 80TB, Cache 32G, FC 8

port

HDD: 3G*38ea, RAID 5 구성,

1식 단독 구성 HUS130  

SAN

Switc

h

대외

업무  24Port   2식 이중화

IBM

SAN24B-4

Express

 

대내

업무  24Port   2식 이중화

IBM

SAN24B-4

Express

 

VTL

대외

업무 

총 20TB

Back up

Back up Appliance

Usable 27TB1식

대외업무

Back up

Quantum

DXi4701 

대내

업무 

총 80TB

Back up

Back up Appliance

Usable 130TB1식

대내업무

Back up

Quantum

DXi4701 

표 43. 하드웨어 서버 및 스토리지 도입 용량산정

화학물질안전원 167 (주)유코아시스템

IT 인프라 구축비용을 산정하기 위한 인프라 구성은 모든 서버를 이중화하고, 데

이터 백업까지 구축하여 시스템의 안정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 경우 3년간 투자

비가 약 33억원의 규모로 산출되었으며, 서버 부하 집중시의 분산 지원 및 재해 발

생 시 신속한 시스템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구분 품목 수량 예상 비용 연도별 예상비용

 2016년  2017년  2018년

대외업무

서버

통합 서버

(WEB/WAS/DB서

버)

2 998,641,800 599,185,080     

299,592,540

      

99,864,180

내부업무

서버

통합자료관리, DW시

스템, 화학사고이력

관리, 통계조사,DB서

버 - 통합서버

1 1,178,681,400 71,472,560     

353,604,420

     

353,604,420

관라서버SSO/EAM 서버 1 21,997,800 21,997,800  -  -

백업서버 1 33,463,800 33,463,800  -  -

저장장치

대외업무용 저장장치

(이중화 구성)-2 205,200,000 23,120,000  -

      

82,080,000

내부 통합관리용 저

장장치1 66,000,000  26,400,000

      

19,800,000

        

7,920,000

백업장치

대외용 백업장치

VTL1 96,000,000 57,600,000

      

38,400,000- 

내부용 백업장치

VTL1 480,000,000  -

     

240,000,000

     

240,000,000

통신장비

라우터 2 64,900,000 32,450,000     

255,599,000-

L4 4 78,600,000 39,300,000 -       

39,300,000

L7 4 57,600,000 28,800,000 -       

28,800,000

SAN 스위치 4 64,418,400   32,209,200 32,209,200 - 

침입방지 방화벽 1 48,000,000    48,000,000 - - 

총계 3,393,503,200 1,513,998,440 1,239,205,160 851,568,600

표 44. 연도별 하드웨어 구축 예상 비용

화학물질안전원 168 (주)유코아시스템

구분 명칭 제품명 수량 비고 장비명 비고

서버

대외

업무

Web Server Web tier 2식

HA 구성

147,000,000  

WAS Server 제우스 2식 210,000,000  

DBMS oracle 2식 147,000,000 RDBMS

대내

업무

WAS Server 제우스 1식

단독 통합서버

240,000,000  

DW tool Olap 1식 147,000,000  

인터페이스툴 Tibco 1식 174,000,000 인터페이스툴

통계툴 sas 1식 252,000,000

DBMS Oracle 1식 147,000,000 RDBMS

SSO/EAM -  1식 OS: Windows 72,000,000  

백업tool Backup tool 2식 OS: Windows  54,000,000  

 소계         1,590,000,000 

표 45. 소프트웨어 비용

화학물질안전원 169 (주)유코아시스템

라. 기대효과 분석

1) 개요

정보화 투자효과 분석을 통하여 정보시스템 활용되는 자원과 성과 비교를 통해 투

자 대비 효과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활용되는 자원은 인프라 구매 및

설치 비용, 시스템 구축 비용, 유지보수 비용 및 시스템운영 비용을 포함하며, 성과

는 정성적 또는 정략적 투자 효과를 의미한다. 즉 ‘IT투자타당성 검토’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전문적인 분석기법을 활용되어야 한다.

그림 141. 기대효과 도출 목적

개선과제 및 KPI2) 를 고려하여 평가대상을 선정하고 산출 로직을 도출한 후 정량

화를 위한 필요정보를 수집하여 정량 및 정성적 기대효과를 도출 한다.

그림 142. 기대효과 도출 절차

2) 미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자료를 묶은 평가 기준

화학물질안전원 170 (주)유코아시스템

2) 정성적 기대효과

개선 과제별로 파악된 기대효과를 감독기관, 사용자(기관)의 가치 전달 대상별로

구분하여 정성적 기대효과를 분석하였습니다.

개선과제 정성적 기대효과 분석

감독

기관

프로세스

Ÿ 유관기관과의 정보연계를 통하여 정보관리 효율성 및 보안성 증대

Ÿ 화학물질종합시스템의 시행 및 향후 서비스 범위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

Ÿ 유해물질정보에 대한 통합관리를 통해 체계적이고 일원화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화학물질안전원 위상 강화

시스템

Ÿ 데이터웨어하우스(DW)분석을 통한 화학산업분야 관련 정책 수립 기

반 마련

Ÿ 표준화된 개발환경 및 데이터 구조 기반으로 유지보수 효율성 증대

Ÿ 통합관리를 통한 데이터의 보안 및 제공 효율성 증가

Ÿ 유해물질정보의 관리 비용 절감

Ÿ 업무 수행 단계별 맞춤정보 및 사용자 개인별 알림 정보 등을 통한

시스템 이용편의성, 사용자 만족도 증가

Ÿ 통합 사용자 기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인증 및 가입절차 최소화

Ÿ 업무 유형별 프로세스 및 컴포넌트 풀 제공을 통하여 자료수집도구

준비의 효율성 증대

데이터

Ÿ 메타데이터에 대한 변경 영향도 최소화로 데이터 품질 향상

Ÿ 데이터 모델관리 수준 향상

Ÿ 개념, 논리, 물리 모델간의 연계분석을 통해 현재 관리되고 있는 데이

터 모델의 체계적 관리 기능

Ÿ 데이터 모델에 대한 형상 관리 및 영향평가 정확도 향상

Ÿ 데이터 모델의 일관성 유지

사용자

(기관)

프로세스

Ÿ 유해물질정보 품질관리를 통한 정보품질 향상

Ÿ 개별 관리되던 시스템을 일원화함으로써 신뢰성과 편의성 제고

Ÿ 화학산업분야 업무환경 개선 및 전문역량 강화

Ÿ 정보공유 강화를 통한 정보확대 및 국가 차원의 중복 정보 제거

시스템

Ÿ 대국민 소통 채널 다양화를 통해 보다 신속하고 친숙하게 국민에게

다가가는 서비스 제공 실현

Ÿ 사용자가 원하는 유해물질정보에 대한 정확한 조회 환경 제고

Ÿ 표준화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불일치 자료로 인한 사용자의 오해 및

혼란 최소화

데이터

Ÿ 유해물질정보에 대한 빠른 검색 제공 및 조회 결과의 정확성 제고 등

유해물질데이터 검색 효율 향상

Ÿ 유해물질 설명 메타데이터를 통한 화학물질에 대한 명확한 이해 기준

제공

Ÿ 집계자료 등 맞춤형 통계정보 획득을 통하여 경제적 사회적 부가가치

창출

Ÿ 정책수립 및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통계정보의 제공으로 의사결정

의 과학화

표 46. 정성적 기대효과 분석

화학물질안전원 171 (주)유코아시스템

표<46>에서 도출된 정성적 기대효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정성적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그림 143. 정성적 기대효과

화학물질안전원 172 (주)유코아시스템

3) 정량적 기대효과

개선 과제별로 파악된 기대효과를 편익의 발생시점에 따라 시스템의 구축 측면과

시스템의 활용측면으로 구분하여 정량적 기대효과를 도출하며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

지 않은 현재 가치로 산정하였다. 산정 기준에 대하여는 <부록 2>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구분 산정 내용 연간 기대효과

활용

측면

일반사용자정보

검색 시간 절감

Ÿ 산정공식 : 정보 검색 시간 감소 비율 ×이용자

당 평균 정보 검색 시간 × 민원인 시간당 인

건비 × 연평균 시스템 이용자수

Ÿ 효과산정 : 80% × 10분 × 13,448원 × 49,275건

= 약 0.8억원(년)

₩88,353,360

일반사용자 정보

분석 시간 절감

Ÿ 산정공식 : 정보 검색 시간 감소 비율 ×이용자

당 평균 정보 검색 시간 × 민원인 시간당 인

건비 × 연평균 시스템 이용자수

Ÿ 효과산정 : 20% × 1시간 × 13,448원 × 49,275

건 = 약 5.3억원(년)

₩530,120,160

구축

측면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시스템 구축 비

용 절감

Ÿ 산정공식 : (기관별 평균 개별시스템 구축 비

용 × 기관별 유해화학물질관련 시스템 구축

건 수 × 유해화학물질 정보서비스 참여 기관

수 × 종합정보시스템 개발 기간 ) -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 비용

Ÿ 효과산정 : 약 4억 5,000원 × 2.4건 × 5개기관

× 3년) - 91억 = 약 71억원(3개년)

₩7,1000,000,000

시스템 유지보수

비용 절감

Ÿ 산정공식 : (3년 기관별 시스템 구축 비용 ×

12%유지보수 비용) - (종합정보시스템 × 12%

유지보수 비용)

Ÿ 효과산정 : 약 161억 × 0.12) - (91억 × 0.12)

= 약 71억(3개년) = 약 8억 5천만원

₩852,000,000

연계시스템 중복

구현 방지

Ÿ 산정공식 : 표준연계시스템 예상 구축 비용 ×

예상기관 수 - 종합정보시스템 통합자료관리

비용

Ÿ 효과산정 : 약 2.6억원 × 5 - 5억 = 약 8억원

₩800,000,000

표 47. 정량적 기대효과 산출

화학물질안전원 173 (주)유코아시스템

5. 부 록

가. 어플리케이션 기능점수 산정 근거

업무

업무 기능명 SW 기능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개발년도내부

논리

외부

연계추가 수정 삭제

외부

출력

외부

조회

메타

데이

터시

스템

데이터 구

조 정보

데이터 구조

정의 정보

영역 정보 2016 1   1 1 1   1

엔티티 정보 2016 1   1 1 1   1

속성 정보 2016 1   1 1 1   1

데이터간 관계

정보

데이터 간의 관계

에 대한 정보2017 1   1 1 1   1

엔티티와 엔티티간

의 관계2017 1   1 1 1   1

데이터 변경 시 영

향도 분석2017 1   1 1 1   1

논리모델관리주제영역조회 2016             1

주제영역상세조회 2017             1

관계/관계속성조회 2016             1

물리모델관리테이블조회 2016             1

컬럼조회 2016             1

인덱스조회 2016             1

테이블상세조회 2017             1

컬럼상세조회 2016             1

DB정보관리시스템정보조회 2017             1

데이터베이스정보

조회2017             1

스키마 정보관리 2017 1   1 1 1   1

테이블정보관리 2017 1   1 1 1   1

매핑관리도메인 매핑 관리 2016 1   1 1 1   1

테이블 매핑 관리 2016 1   1 1 1   1

컬럼 매핑 관리 2016 1   1 1 1   1

매핑정의서 관리 2016 1   1 1 1   1

도메인 매핑 상세

조회2016             1

테이블 매핑 상세

조회2016             1

컬럼매핑상세조회 2016             1

화학물질안전원 174 (주)유코아시스템

매핑정의서 상세조

회2017             1

표준 정보 워드 사전논리명(한글) 2016 1   1 1 1   1

물리명(영문) 2016 1   1 1 1   1

물리약어(영문약

어)2016 1   1 1 1   1

금칙어 관리 2016 1   1 1 1   1

표준용어 사전 속성 컬럼에 대한

전사적 표준용어2016 1   1 1 1   1

표준 도메인 2016 1   1 1 1   1

표준 데이터 타입 2016 1   1 1 1   1

유효값조회 2016             1

도메인상세조회 2017             1

코드 관리 2016 1   1 1 1   1

명명 규칙 엔티티/테이블 작

명 규칙2016 1   1 1 1   1

속성/컬럼 작명 규

칙2016 1   1 1 1   1

관계 작명 규칙 2016 1   1 1 1   1

인데스 작명 규칙 2016 1   1 1 1   1

활용 관리 영향도 분석 프로그램과 테이블

간의 관계 정보를

통한 영향도 분석

2017             1

테이블과 프로그램

과의 관계 정보를

통한 영향도 분석

2017             1

영향도관리표준단어 2017 1   1 1 1   1

항목 2017 1   1 1 1   1

도메인 2017 1   1 1 1   1

엔티티/테이블 2017 1   1 1 1   1

입출력파일 2017 1   1 1 1   1

프로그램 / 작업 2017 1   1 1 1   1

매핑정의 2017 1   1 1 1   1

검증 기능 메타데이터에 대한

충실도 품질 검증2016             1

메타데이터에 대한

표준준수도 품질

검증

2016             1

메타데이터에 대한 2016             1

화학물질안전원 175 (주)유코아시스템

모델 비교를 통한

품질 검증

관리 기능

정보

메타 프로세스

관리 

메타데이터 등록 2018 1   1 1 1   1

변경프로세스 통제

기능2018 1   1 1 1   1

사용자 관리 메타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권한 관리2018 1   1 1 1   1

스케줄 메타데이터 추출

스케줄 관리2018 1   1 1 1   1

메타데이터 적재

스케줄 관리2018 1   1 1 1   1

메타데이터 검증

스케줄 관리2018 1   1 1 1   1

데이터 품질 점검

스케줄 관리2018 1   1 1 1   1

사용 통계 정

메타데이터 사용에

대한 현황 정보2018             1

메타데이터 사용에

대한 통계 분석2018             1

데이터 흐

데이터 흐름

정보

데이터와 데이터

간의 추출-변환/가

공-적재 등 관계

정보

2016     1 1 1   1

작업결과 정보 데이터 흐름 작업

의 수행 결과 정보

관리

2016             1

어플리케이

션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에플리케이션 목록 2016     1 1 1   1

어플리케이션 특성

정보2016     1 1 1   1

어플리케이션간 호

출 관계2016     1 1 1   1

데이터/App관

계 정보

테이블과 응용프로

그램간 관계 정보

관리

2016     1 1 1   1

BI 정보 OLAP, EUC,

Reporting Tool 등

데이터 접근 유형

정보

2016     1 1 1   1

데이터 품

질 정보

품질지표 관리 데이터 품질기준을

정의하여 등록2018     1 1 1   1

품질측정 관리 데이터 품질 측정

대상 선정2018     1 1 1   1

데이터 검증규칙

정의/등록2018     1 1 1   1

데이터 품질측정

수행2018     1   1   1

데이터 결과 조회 2018     1   1   1

데이터 결과 분석 2018     1   1   1

품질개선 관리 데이터 개선대상

선정2017 1   1 1 1   1

데이터 정제 모듈

관리2017 1   1   1   1

데이터 정제 결과

조회2017     1   1   1

품질통제 관리 데이터 품질목표 2016     1   1   1

화학물질안전원 176 (주)유코아시스템

설정

데이터 품질 통계 2016     1   1   1

데이터 품질관리

평가2016     1   1   1

부가 정보 IT 자원 정보 하드웨어 정보 관

리2017     1   1   1

소프트웨어 정보

관리2017 1   1   1   1

네트워크 정보 관

리2017 1   1   1   1

DB 성능 정보

관리

운영 DB 성능정보

관리2016 1   1   1   1

통합

로그

통합로그인 로그인

로그인

2016     1       1

2016             1

2016             1

통합 사용자 권한

관리2016     1       1

사용자 인증 관리 2016     1       1

사용자 등록 관리 2016     1 1     1

회원가입 회원가입 회원가입서식

2016     1        

2016             1

시스

템사

용이

이력관리 접근이력 접근이력 

2016     1       1

2016     1       1

사용이력 사용이력 

2016     1       1

2016     1       1

공통

컴포

넌트

활용

게시판 관

게시판 관리

서비스

게시판 사용 현황 2017             1

관리자 및 게시판

권한2017     1       1

UI변경 2017 1   1       1

사용자 차별화

서비스

관리자,연구원,대국

민서비스의

레벨설정기능

2017     1       1

 소계

 

44 0 72 49 60 0 99

신규개발 44 0 72 49 60 0 99

재활용 0 0 0 0 0 0 0

정보

포털

화관법IT시

스템 소개

사업개요  2016             1

사업로드맵  2016             1

사업범위  2016             1

목표시스템 구성도  2016             1

서비스추진체계  2016             1

정 보 검 색

서비스

통합검색 서비스  2016             1

메타검색

서비스 

메타 물질자료 선

택 기능2016             1

마우스 오버시 용

어의 간략한 설명2016             1

부가검색

서비스

연관있는질의어,인

기검색어,추천검색

어,시소러스관리

2016   1         1

검색어실패 단어

관리2016 1   1       1

화학물질정

보서비스

물질목록검색 2016   1 1       1

평가대상물질 2016     1       1

허가대상물질 2016     1       1

제한금지물질 2016     1       1

유독물 2016     1       1

화학물질안전원 177 (주)유코아시스템

화학물질통계서비스 2016   1 1       1

안전관리정보서비스 2016   1 1       1

화학지식공유 2016 1   1       1

사업장별 화학물질정보서비스 2016   1 1       1

관련사이트

 

국내사이트 2016     1       1

국외사이트 2016     1       1

자료실 2016 1   1       1

법령정보 2016     1       1

민원서비스 2016 1   1       1

질의응답 질의응답 관리  2016 1   1       1

이용안내/정보마당 서비스 2016     1       1

참 여 마 당

서비스설문조사, 포럼, 커뮤니티  2016     3       3

관리자기능

카테고리 관

카테고리 생성,

수정, 삭제 기능2016 1   1 1 1   1

이용자 현황

관리 서비스

회원가입, 탈퇴,

휴면현황 및 회원

을 성별, 직업별로

분석 관리

2016     1       1

컨텐츠별 관

게시판, 뉴스, 칼

럼 등 관리기능2016 1   1 1 1   1

사용자관리  2016     1 1 1   1

권한/역할 관리 2016     1 1 1   1

시스템모니터링 2016             1

게시판관리  2016     1       1

민원처리  2016     1       1

개인화 서

비스

관심정보 수

집 서비스

개인별로 관심 정

보 선택 기능2016     1       1

화면 레이아

웃 구성

레이아웃 배치 및

칼라 변경 기능2016     1       1

개인폴더 관

리 서비스

마이페이지 내에서

개인 폴더를 생성,

수정, 삭제 등 관

리 할 수 있는 기

2016     1       1

사용자정보 2016     1       1

나의결재내역 2016     1       1

안전원개인별메시지발송  2016 1   1       1

내 민원조회  2016     1       1

모바

일화

학포

앱개발 및

등록앱개발 2017             2

마이페이지

 

 

관심정보 수집 서비스  2017     1       1

화면 레이아웃 구성  2017     1       1

개인폴더 관리 서비스  2017     1       1

화학물질정보서비스  2017   1 1       1

화학물질통계서비스  2017   1 1       1

안전관리정보서비스 2017   1 1       1

화학지식공유 2017 1   1       1

사업장별 화학물질정보서비스 2017   1 1       1

관련사이트  2017     1       1

자료실 2017     1       1

법령정보  2017     1       1

화학물질안전원 178 (주)유코아시스템

민원서비스  2017     1       1

화학

물질

API

서비

소개

Open Api란 Open Api소개 2018             1

이용안내서비스 개념, 구성

도2018             1

공지사항 공지사항 2018             1

FAQ FAQ 2018     1       1

개발가이드

Api제공 목록화학물질별, 지역

별별 목록 조회2018             1

에러코드에러코드별 상세조

회2018             1

Api 결과 미리

보기

Api 결과 서비스

미리보기2018             1

예제관리

화학물질별 상세조회  2018 1           1

지역별 상세조회  2018             1

목록검색  2018             1

신청관리Api신청  2018 1   1       1

Api처리상태  2018             1

화학

콘텐

콘텐츠3종  2018   3 1     3  

소계

 

11 12 49 4 4 3 70

신규개발 11 12 49 4 4 3 70

재활용 0 0 0 0 0 0 0

모델

링부

DW모델

DW모델설계  2017 80 20       1  

Data Mart 설계  2017 20         1  

인터페이스설계 2016 100         1  

DW

구축

공통부분

작업관리

작업명관리 2016     1       1

작업Query관리 2016     1       1

작업스케쥴링 2016     1       1

작업실행 2016 80   1       1

예약실행 

2016     1       1

2016     1       1

2018     1       1

Job실행로그 2016     1       1

작업모니터링 2016             1

작업결과 엑셀출

력2016           1  

매핑정의

 

매핑설정 2017     1       1

변환규칙설정 2017     1       1

데이터 품질

관리

품질기준관리 2017     1       1

오류기준관리 2017     1       1

코드변환 규칙설정 2016     1       1

Batch 프로그램 관리  2018 1   1       1

이력관리컬럼 변경 내역관

리2016             1

추 출

(Extract)

연동방법관리내부시스템, 외부

시스템

2016   1 1       1

2016   1 1       1

연동확인

연동목록 2016             1

접속테스트 2016             1

연동정보확인  2016             1

화학물질안전원 179 (주)유코아시스템

2016             1

연동상태관리 2018 1   1       1

변 환

(Transform

)

조건등록

변환규칙설정 2016 1   1       1

정제규칙설정 2016     1       1

정렬, 컨버젼, 조인

연산2016     1       1

적재(Load)

 자동적재 2016     1       1

Mar

t 구

매핑정의매핑설정 추출, 변환, 적재 2018     1       1

변환규칙설정  2018     1       1

Mart생성 신규Mart 데이터 생성  2018 20   1       1

 소계

 

303 22 24 0 0 4 30

신규개발 303 22 24 0 0 4 30

재활용 0 0 0 0 0 0 0

e -

수강

인정

나의강의듣

공지사항  2016     1 1     1

진도/목차  2016     1 1     1

시험  2016     1 1     1

토론  2016     1 1     1

과정 q&a  2016     1 1 1   1

과정 자료실  2016 1   1 1 1   1

지식광장

동영상/flash 2017   1 1     1  

학술정보  2017     1       1

각종문서  2017   1 1     1  

정보 공유  2017     1       1

마이페이지

학습현황  2016     1       1

설문  2017     1       1

스크랩북  2016     1       1

나의 수강내역  2016     1       1

수료증 출력  2016   1 1     1  

강사

기능

강의관리

학습현황관리  2017     1       1

평가관리  2017     1 1 1   1

과제관리  2016     1 1 1   1

게시판  2016     1 1     1

수료관리  2016     1       1

과정 q&a  2016     1 1     1

과정 자료실  2016 1   1     1 1

과정개설 

카테고리관리  2016     1       1

콘텐츠관리 및 작성  2016     1 1 1   1

콘텐츠 목차관리  2016     1       1

진도율관리 등  2016     1       1

관리

기능

교육관리

과정분류관리  2016     1       1

과정승인관리  2016     1 1 1   1

차수관리  2017 1   1 1     1

수강신청관리  2016     1       1

수강대상자관리  2016     1       1

집합교육관리  2016     1       1

강사/학습자 관리  2016 1   1       1

사이트관리

코드/메뉴관리  2016     1       1

배너관리  2017     1       1

팝업관리  2017     1       1

수강신청  2016     1       1

온라인 결제  2016   1 1       1

교육과정관

리교육과목관리

교과목명, 시간수,

강의목표, 강의요

약, 참고도서, 교

재, 성적 평가방법

등을 등록, 수정,

2016 1   1 1 1   1

화학물질안전원 180 (주)유코아시스템

조회하는 기능

교과목상세관

교과목별 상세정

보(과정명, 교육시

간, 정원 등)를 등

록, 수정, 삭제 기

2016     1       1

교과목별 교

수관리

교과목별 교수,

강사료, 강의과목/

시간 등을 관리하

는 기능

2016     1       1

교육진행관

교육일정관리

해당강좌의 과정

명, 교수, 정원, 강

의기간, 금액, 교재

등을 등록, 수정,

삭제 기능

2016     1       1

교육수강관리

수강신청자들의

교육 참석여부, 근

태 등을 관리하는

기능

2016     1       1

교육평가관리

교육수료기준에

의한 수강생들의

교육수강내역을 평

가하는 기능

2017     1       1

설문결과관리

설문조사내역에

대한 결과등록 및

조회

2017     1       1

교육수료관리

교육수료, 미수료,

재교육대상자들 관

리하는 기능

2017     1       1

증서관리

증서발급 및 재발

급 관리 및 발급대

장 출력

2017     1       1

기준정보관

교육장관리

이론 및 실습 교

육을 하는 교육장

관리 기능(강의실,

회의실 등)

2016     1       1

생활관관리

수강생들이 이용

가능한 생활관 관

리 기능

2017     1       1

교재관리

강좌별로 사용하

고 있는 교재정보

를 등록, 수정, 삭

제하는 기능

2016     1       1

설문문항관리

오프라인 설문조

사에 대한 설문문

항 관리

2016     1       1

교육평가내역

관리

평가대상 교과목

에 대한 평가항목

관리 기능

2016     1       1

강사료지급기

준관리

강사료 지급에 대

한 기준 등록 및

수정

2017             1

교육수료기준 과목별 교육 수료 2017     1       1

화학물질안전원 181 (주)유코아시스템

관리 기준 관리

공통코드관리

공통으로사용되는

코드를등록,수정,삭

2016     1       1

교육비정산

관리

수강료관리수강료 입금내역

을 등록하는 기능2016   1         1

강사료지불관

강사료 지급내역을

등록하는 기능2016   1         1

통계관리

교육신청현황

과목별 교육신청

(접수)현황 조회

기능

2016             1

교육수강현황

과목별 교육수강

(등록)현황 조회

기능

2016             1

설문조사결과

오프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조회

기능

2017             1

교육생현황과목별 교육수강

생 현황 조회 기능2017             1

회원현황

시스템에 등록된

전체 회원 조회 기

2017             1

강사료지급내

강사에게 지불한

강사료 지급내역

조회기능

2016   1         1

수강료결산조

과목별 수강료 결

제현황 조회 기능2016   1         1

출력관리

수료증 출력국·영문 수료증

출력2018   1       1 1

명찰 출력

교육과정 명찰 관

리 및 출력 기능

(명찰 디자인 반영

및 교육과정별 명

찰 선택기능)

2018           1 1

교육생 명부

출력과정별교육생 2018           1 1

교육 시간표

출력

과정별, 교수별,

주간별, 일별 등2018           1 1

교육생관리

회원정보관리회원 가입, 수정,

탈퇴 기능2018     1       1

강사정보관리

강사 기본정보 등

록, 수정, 삭제 기

2018     1       1

회원일괄등록

관리

단체 회원등록 시

엑셀로 접수받아

일괄 등록

2018     1       1

수강신청등록

개설중인 교과목

에 대해 수강생들

이 강좌를 신청하

는 기능

2018     1       1

시스템 관

홈페이지관리홈페이지 팝업 등

관리 기능2018     1   1   1

자동캠페인서

비스 관리

e-Mail 및 SMS

서비스 관리2017   2 1       1

화학물질안전원 182 (주)유코아시스템

사용자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를 등록, 수정, 삭

제 하는 기능

2016     1       1

메뉴관리

운영페이지에 표

시될 메뉴의 순서

및 사용여부를 등

록, 수정, 삭제하는

기능

2016 1   1       1

유형별 권한

관리

사용자 유형별로

접근 가능한 프로

그램에 대해 권한

을 부여하는 기능

2016     1   1   1

콘텐

츠개

 신규 콘텐츠 10종 개발  2016 10 1 1   1 10  

 소계

계 

 

16 12 64 14 10 18 74

신규개발  16 12 64 14 10 18 74

재활용  0 0 0 0 0 0 0

계 374 46 209 67 74 25 273

신규개발  358 34 145 53 64 7 199

재 활 용 0 0 0 0 0 0 0

화학물질안전원 183 (주)유코아시스템

나. 정량적 기대 효과 산정 기준

산정인자 추정치 단위 추정근거

연간근무일수   258 일 월근무일 21.5일 x 12개월

정보 검색 시간 감소 비

율80 %

통합시스템 사용으로 인해 정보 검색 시간이 기존

보다 80% 감소한다고 가정함

이용자당 평균 정보 검

색 시간    10 분 이용자당 평균 정보 검색 시간은 10분으로 가정함

연평균 종합정보시스템

이용자 수49,275 명(2014년)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의 하루 평균 접속자

수를 130명으로 1년 접속자수로 가정함

정보 분석 시간 감소 비

율20 %

통합시스템 사용으로 인해 정보 분석 시간이 기존

보다 20% 감소한다고 가정함

이용자당 평균 정보 분

석 시간        1 시간 평균 정보 분석 시간은 1시간으로 가정함

건당 평균 민원 응대 시

간  10 분

민원 건당 평균 민원 응대 시간을 10분으로 가정

민원 건 수 감소 비율 30 %통합시스템 사용으로 인해 민원 건 수가 기존보다

30% 감소한다고 가정함

연평균 민원 건 수 5,160 건 월평균 민원 건 수 20건 가정

기관별 평균 개별시스템

구축 비용450,000,000 원

2011년 ~ 2012년 나라장터의 6개 기관 유해화학

물질 관련 시스템 구축 비용의 평균

기관별 연평균 유해물질

관련 시스템 구축 건 수2.4 개

2011년 ~ 2012년 6개 기관에서 14개의 통계 관련

사업을 추진함 (나라장터 기준)

유해물질정보서비스 참

여기관 수5 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고용노동부, 산업통산자원부, 소방

방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시스템 구축 비용 9,100,000,000 원2016년 ~ 208년간 시스템 구축을 위해 91억원 투

입 예정임

공무원 시간당 인건비 13,647 원 (시간당)2012년 일반직 7급 10호봉 월급여액을 2,347,200원

으로 가정함

일반 사용자 시간당 인

건비13,448 원 (시간당) 시간당 평균임금 = 2,313,000원/21.5일/8시간

일반 사용자 시간당 인

건비2,313,000 원 (월)

2011년 09월 기준, 통계청 산업별 전체 근로자 실

질임금

월근무일 21.5 일 법정근로시간 기준

유집보수 비용 12 % 개발사업비의 12%로 산정

화학물질안전원 184 (주)유코아시스템

다. 참고자료

1) 화학물질정보 포털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2009.6). (상)-(하) /

환경부 : 환경정보도서관(http://library.nier.go.kr/)

2) 화학물질 사고사례 및 대처요령 발표자료(2013)

3)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시행령 전부개정령안(2014) / 환경부

4) 창조경제 시대의 SW산업 경쟁력 강화 방향(2013)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5) 글로벌 화학물질 규제에 대한 조망(2013) / KIST 유럽연구소

6) 국정과제 / 청와대 홈페이지

7) 전라북도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방안(2013) / 전북발전연구원

8) 화평법, 화관법과 기업의 대응 방향(2014.4) / 딜로이트

9) 화학물질 유해성 평가 시스템 구축 ‘절실’(2011)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0) 화학물질관리법 주요 내용 및 기업대응방안(2014.4)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11) 화학물질사고 관련 정책 및 R&D 동향(2014.3)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12) CEIS_용역사업_최종보고서(09~13) / 화학물질안전원

13) 화학사고 응급대응정보시스템 운영 및 바코드 인식 응급정보제공 모바일 앱 개

발 최종보고발표자료(고려대) / 국립환경과학원

14)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DB 3차 구축 사업 최종보고 / 국립환경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