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33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description

 

Transcript of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2014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Page 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2014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발행인주성혜발행일2014.12.발행처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기획학교문화예술교육본부장 노준석정책연구팀장 홍유진 정책연구팀 류윤호 등록KACES-1440-R003ISBN978-89-6748-115-5 93300

문의Tel. (02)6209-5900Fax. (02)6209-1392E-mail. [email protected]ⓒ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Page 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연구책임자백 령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공동연구자김창환 교육개발원 교육조사통계연구본부 본부장서우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한 준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연구보조원민경선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Page 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목차 | i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의 내용 6 3. 연구의 방법 8

Ⅱ.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11 1. 선행연구 분석 13 2. 이론적 고찰 및 문화역량 개념 25

Ⅲ.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43 1. 문화역량 개념모형 45 2. 문화역량 측정모형 50 3. 문화역량 진단조사도구 개발 54

Ⅳ. 결론과 제언 63 1. 결론 65 2.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활용을 위한 제언 67

참고문헌 69

부록 77 부록 1. 제1차 델파이조사 조사지 79 부록 2. 제2차 델파이조사 조사지 89 부록 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설문지 108

Page 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표 Ⅱ-1> OECD-DeSeCo 프로젝트의 핵심역량 15 <표 Ⅱ-2> OECD-DeSeCo 프로젝트 참여국 보고서에서 자주 언급되는

핵심 역량 16

<표 Ⅱ-3> 문화역량 관련 선행연구 검토 자료 19<표 Ⅱ-4> 문화역량 구성 요소 (2011년 연구) 21<표 Ⅱ-5> 문화역량 범주 및 지표 (2011년 연구) 22<표 Ⅱ-6> 문화역량 구성 영역 및 요소 (2012년 연구) 23<표 Ⅱ-7> 문화와 문화예술 비교 30<표 Ⅱ-8> 역량의 정의 34<표 Ⅱ-9> 문화적·사회적·경제적 역량의 특성 비교 41<표 Ⅲ-1> 문화역량 구성체계 50 <표 Ⅲ-2> 문화역량 구성 요소 및 개념 정의 51<표 Ⅲ-3> 문화역량 지표체계 53<표 Ⅲ-4> 문화역량 진단조사를 위한 예비조사의 조사영역 및 내용 54<표 Ⅲ-5> 문화역량 진단조사 문항 출처 57<표 Ⅲ-6> 조사 설계 요약 59<표 Ⅲ-7>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웹조사 59<표 Ⅲ-8> 방문면접조사 60<표 Ⅲ-9> 문화역량 지표체계 구성 60<표 Ⅲ-10> 문화역량 지표체계 문항내용 61<표 Ⅳ-1> 문화역량 진단 기준(예시) 68

표 목차

Page 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그림 목차

<그림 Ⅰ-1> 연구의 흐름 9<그림 Ⅱ-1> Model of Learning Metrics 17<그림 Ⅱ-2> 문화의 개념 검토 31<그림 Ⅱ-3> 역량의 구성 요소 35<그림 Ⅱ-4> 역량 논의 발전 과정 36<그림 Ⅱ-5> 문화역량에 대한 개발적 관점 39<그림 Ⅱ-6> 문화역량의 범위 41<그림 Ⅱ-7> 문화역량 개념(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42<그림 Ⅲ-1> 문화역량 개념모형 도출 방법 45<그림 Ⅲ-2> 문화역량의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순환구조 46<그림 Ⅲ-3> 문화역량 구성요소 개념도 48<그림 Ⅲ-4> 문화역량 개념모형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49<그림 Ⅲ-5> 문화역량 측정모형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51<그림 Ⅲ-6> 문화역량 측정모형 52

Page 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3. 연구의 방법

Page 1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1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 서론 | 3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래사회는 경제, 사회, 문화, 과학기술 등 모든 영역에서 기존의 산업사회의 패러다임과는 매우 다른 형태로 진화 발전할 것임이 예측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보다 창의적이고 스마트한 사회, 사회적으로는 삶의 질과 사회의 질이 더 향상된 사회, 문화적으로는 미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가 더 존중되는 사회, 과학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사회로 변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미래자본을 창의자본, 지식자본, 사회자본, 생명자본으로 정리하고, 창의력과 상상력이 미래 경제, 사회, 문화, 과학기술을 주도하는 핵심 가치로 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0b: 140). 인간의 속성을 기준으로 미래 사회를 전망할 때, 미래 사회는 감성의 시대로 전망되고 있다. 산업사회가 인간의 합리적인 이성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하여 왔고,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도 이성적 사고능력이 중시되지만, 미래 창의, 융합, 스마트 시대에는 인간의 직관적·감성적 능력이 중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롤프 옌센(Rolf Jensen)은 미래 사회는 상상력과 감성이 중시되는 “드림 소사이어티(Dream Society)가 될 것으로 예언하였다(롤프 엔센, 2005). 다니엘 핑크(Daniel Fink)는 미래 사회가 하이컨셉(High-Concept), 하이터치(High-Touch)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다니엘 핑크, 2012). 하이컨셉이란 예술적·감성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능력을 말하고, 하이터치란 공감을 이끌어 내는 능력을 말한다. 다니엘 핑크는 좌뇌적 사고가 미래 사회에도 필요할 것이지만, 더 이상 그것만으로는 부족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하이컨셉 시대에는 양쪽 뇌를 모두 활용하는 새로운 사고가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디자인, 스토리, 조화, 공감, 놀이, 의미 등 6가지로 제안하였다. 미래사회를 주도하는 핵심 개념으로 강조되고 있는 ‘창의성’과 ‘감성’은 문화예술의 영역이다. 정치, 경제, 사회, 과학기술 등의 사회 영역 가운데 문화예술과 가장 가까운 개념들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미래사회는 문화예술의 시대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박근혜 정부는 ‘문화융성’을 4대 국정 기조 가운데 하나로 제시하였다(대통력직인수위원회, 2013). 국민의 삶의 질과 사회의 질과 문화의 질을 제고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문화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미래사회는 역량 사회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지식’에서 ‘역량’으로 전 세계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지식정보화 사회, 스마트 사회, 창의사회 등으로 규정짓는 21세기 사회에서 국민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에서

Page 1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역량’이 크게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OECD, 2002, 2005; 이광우 외, 2009; 이근호 외 2012; 김창환 외, 2013). 산업사회에서는 지식의 획득과 활용, 기술의 개발 및 활용이 중요하였으나, 21세기의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기술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을 아우르는 종합적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핵심역량을 갖추는 것이 미래 사회에서 개인의 성공적인 삶과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Rychen & Salganik, 2003: 3).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주요 선진국들은 전 국민의 역량을 키우는 교육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있다(홍원표 외, 2010). 현재사회와 미래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자질과 능력이 무엇인지 연구하여 제시하고 전 국민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것이 창조경제를 준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21세기 평생학습 시대를 준비하는 지름길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국민의 역량을 키우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취학 전 교육에서 누리과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고, 초중등 교육 분야에서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역량 중심 교육을 시행하고 있고, 대학교에서도 역량 제고를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고 교육을 하고 있다(김창환 외, 2014). 또한 성인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평생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사회를 문화의 시대요, 역량의 시대라고 규정할 때 ‘문화역량’은 그 어떤 역량보다 중요한 역량으로 부각된다. 현재 사회에서 살고 있는 국민,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일차적인 역량이 문화역량인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적극 부응하고자 문화체육관광부는 2004년부터 국민들의 문화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고자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제정하였고 이 법에 근거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설립되면서 관련 문화예술교육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어왔다.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1조에는 법의 목적을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이 국민의 문화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명백히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2005년 문화예술교육이 본격적으로 국가적 아젠다로 설정되고 추진된 지 10년이 지났다. 그동안 문화예술교육을 진흥하기 위하여 법, 제도, 조직 등 각종 인프라가 구축되었고, 사업이 확대되면서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제 문화예술교육 인프라 구축과 양적 성장을 기반으로 질적으로 더욱 발전하여야 하는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미래 문화사회를 준비하기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새 정부가 출범하여 문화를 융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여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향후 문화예술교육 10년을 내다보고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작업은 이

Page 1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 서론 | 5

제 시대적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14년 2월 문화부는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서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민행복에 기여하여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21세기 ‘문화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 전 국민의 문화역량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국민의 문화역량을 조사하기 위한 방향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조사 지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또한 기존 문화역량에 대한 논의 및 연구에 대해서 개념과 방향을 검토하고 재구성하여 정책적 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역량 개념 틀을 정립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문화역량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에 기초하여 문화역량 진단조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초로 국민의 문화역량 수준을 측정할 경우, 향후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여야 할 방향성과 전략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Page 1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2. 연구의 내용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축을 위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2.1. 이론적 고찰 문화역량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프레임을 설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론적 프레임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문화역량의 개념 분석, 문화역량 지표의 개념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화역량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OECD-DeSeCo 프로젝트 이후 국내외 문화역량 관련 선행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이번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에 추진된 문화역량지수 연구의 방향성 및 한계점을 검토하고, 선행연구에서 주는 시사점을 본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기초로 문화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문화역량 지표의 이론적 프레임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2.2. 문화역량 지표 개념 틀 정립 문화역량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개념 틀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역량 지표 개념 틀이란 문화역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개념과 구성요소를 구조화한 것, 즉 문화역량 개념모형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즉, 문화역량을 충실하게 담은 그릇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문화역량 개념 틀을 도출하기 위해 관련 주제어들의 개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화를 포함하여 예술, 역량, 교육, 문화자본 등 연구 주요 핵심어의 정의, 영역, 범위를 검토하여 연구의 근간이 되는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초로 문화의 의미, 역량의 의미, 문화역량의 개념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3. 문화역량 지표체계 구성 문화역량 개념 틀을 바탕으로 문화역량을 구성하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념 모형을 바탕으로 문화역량의 영역과 범위를 설정하고 지표체계 및 지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문화역량지표에 기초하여 국민의 문화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가급적 기존에 개발된 조사도구를 활용하되, 필요한 경우 자체 개발을 시도하였다. 문화역량 지

Page 1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 서론 | 7

표에 기초하여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론 등 조사설계 방향 논의를 걸쳐 진단조사를 계획하였다. 세부지표에 따른 설문항을 도출하여 진단조사지를 작성한 다음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지표 및 항목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4. 문화역량지수의 방향성 및 활용방안 본 연구를 통해 지표가 도출되면 국민의 문화역량 진단조사는 별도 추진되며,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량 개념 틀에 대한 논의와 문화역량 지표체계 및 지표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문화역량 및 문화역량지수의 방향성 및 활용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진단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방안 및 정책에의 활용성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Page 1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3. 연구의 방법

문화역량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자문회의, 전문가 델파이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3.1. 문헌연구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관련 문헌 분석이 필요하다. 문화관련 연구, 문화역량 관련 연구, 문화역량지표/지수 관련 연구, 문화역량조사 관련 연구, 문화 및 문화역량 관련 법에 관한 문헌을 검토, 분석하였다. 특히, 2011년에 수행된 <문화역량지수 개발 연구>와 2012년에 수행된 <문화역량지수 조사연구>를 집중 분석하였다. 두 연구에서는 문화역량의 개념, 해외 조사 동향, 이론적 근거, 문화역량 파악을 위한 지표 설정, 델파이 조사 등을 진행하여 지수를 개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방향성 및 개념 틀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제공받고자 하였다.

3.2. 전문가 협의회 문화역량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의 의견을 접목, 반영하고자 하였다.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예술교육 전문가, 문화정책 전문가, 역량 및 교육 분야 전문가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의 전문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3.3. 전문가 델파이조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역량 개념모형, 측정모형, 지수체계와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넓은 전문적 의견수렴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 조사목적 : 문화역량의 개념, 문화역량지표 개념 모형 및 측정 모형, 지표체계 및 지표 등에 대하여 의견을 조사하여 반영

□ 조사대상 : 문화 분야, 예술 분야, 교육 분야, 사회 분야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실시

Page 1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 서론 | 9

연구방향 및 방법 정립국내외적 맥락에서의 연구의 의미 파악

국내 문화관련 제도 및 환경 변화 이해문화예술교육 정책 방향/

사회적 의미 이해

문화, 역량, 지수 등 연구 주제어 개념과 이론 파악

개념모형 및 지표개발

1차 전문가 협의회

델파이 조사측정모형 및 지표 개발

2차 전문가 협의회

측정 모형 및 지표 확정

결과보고

□ 조사시기 : 2014년 8~9월 중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의 절차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I-1> 연구의 흐름

Page 1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1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1. 선행연구 분석

2. 이론적 고찰 및 문화역량 개념

Page 2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2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13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문화역량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이론적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론적 논의에서는 문화역량의 개념, 문화역량 지표의 개념과 의미 분석이 핵심 내용이 된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역량이 쟁점화 되었던 OECD-DeSeCo 프로젝트 이후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선행연구 분석을 기초로 문화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의 의미, 문화자본의 의미, 역량의 의미, 문화역량의 개념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논의된 문화역량 개념에 기초하여 마지막으로, 문화역량 지표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1. 선행연구 분석1.1. 역량과 관련된 연구

역량에 관한 연구에 강력한 모멘텀을 제공한 것은 OECD-DeSeCo 프로젝트이다. OECD는 1997년부터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에 착수하였다(Rychen & Salganik, 2001). 21세기 새로운 사회적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 기존의 지식 역량으로는 적극 대처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을 이루고 사회의 질, 개인적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식, 기술, 역량 등 다면적 역량이 중요하며, 이를 개발하는 것이 교육의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Rychen & Salganik, 2001: 1). 이러한 문제의식과 더불어 OECD는 성공적인 삶과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하여 읽기, 쓰기, 셈하기, 컴퓨터 활용하기 외에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역량의 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 분야와 역량의 활용을 책임지고 있는 경제 분야로 구분하여 미래 사회의 요청과 삶의 도전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한 역량들이 무엇인지 탐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역량을 구성하는 요인들로서 기존의 인지적 기술과 지식 외에 비인지적 특성들, 예를 들어 태도, 동기, 가치 등에 대하여 묻고 연구하기 시작하였다(김창환 외, 2013: 18). OECD-DeSeCo 프로젝트에서 역량 개념을 정의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학자는 독일의 심리학자 바이네르트(Franz E. Weinert)였다. 바이네르트(2001)는 역량의 다면성을 드러내면서 개념정의를 시도한다(Weinert, 2001). 그는 먼저 역량을 인지적 측면에서 일반 인지 역량(general cognitive competencies)과 특수 인지 역량(specialized cognitive competencies)으로 구분하였다. ‘일반 인지 역량’은 개인이 다양한 영역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지적 능력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일반적이고 기초적인

Page 2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인지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반면, ‘특수 인지 역량’은 개인이 특정한 영역에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지적 능력을 의미한다. 예컨대, 피아노 연주, 자동차 운전, 수학 문제 해결 등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지 능력이다. 다음으로 그는 인지적 역량과 행위역량(action competence)의 차이점을 설명하며 역량이 인지적 차원을 넘는 것임을 강조한다(Weinert, 2001: 51). 그는 ‘행위역량’을 성공적 학습과 행동에 필요한 인지적, 동기적, 사회적 측면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본다. 즉, 지식, 기술, 동기, 의지, 가치, 행위를 포괄하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바이네르트의 가장 큰 기여는 그가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의 개념을 강조하고 정의한 점이다. ‘핵심 역량’이란 다양한 사회적-직무적 요구들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할 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 즉 맥락과 상황으로부터 독립적인 역량을 의미한다(Weinert, 2001: 52). 핵심역량이 갖고 있는 다기능적 기초역량의 특성으로 인하여 매혹적일 뿐 아니라, 교육적으로도 매우 의미 있는 개념으로 보았다. 그는 언어 역량, 외국어 역량, 매체 역량, 학습 역량, 사회적 역량 등을 핵심역량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OECD-DeSeCo 프로젝트 이후 국내에서도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초중등 교육 분야에서는 역량 개념에 대한 논의(윤정일 외, 2007), 핵심역량 개발에 대한 논의(김기헌 외, 2008b; 김태준, 2008; 김기헌 외, 2009a, 김기헌 외 2010a, 김태준, 2010, 장근영 외, 2011, 최인재 외, 2011),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소경희, 2007; 윤현진 외, 2007; 이광우 외, 2008; 이광우 외, 2009; 홍원표 외, 2010; 강영혜 외, 2011; 이근호 외, 2012, 차성현 외, 2012), 직업역량에 대한 논의(오헌석 외, 2007; 임언 외, 2008), 역량지수에 대한 논의(김신영 외, 2006; 김창환 외, 2013), 교사역량(김정원 외, 2011)에 관한 논의 등이 이루어졌다. 고등교육 분야에서는 핵심역량에 대한 논의(진미석 외, 2007; 최정윤 외, 2007, 2008; 김동일 외, 2009), 대학생 역량지수에 관한 논의(김창환 외, 2014) 등이 추진되었다. 성인의 생애능력과 관련된 연구(유현숙 외, 2002; 김안나, 2003; 유현숙 외, 2004)도 추진되어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초중등 학생, 청소년, 대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가 추진되었으나, 핵심역량으로 도출된 결과는 유사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정보처리능력, 소통능력, 협동력, 시민의식 등이 공통적으로 제안되고 있다.

1.2. 문화역량과 관련된 연구 21세기를 소통, 협업, 창의를 기반으로 한 문화 세기로 선언한 이후, 이에 대한 세계적-현대적 맥락에서의 담론을 조성하고 인간의 삶의 질을 담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교육’ 개념

Page 2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15

의 변화가 불가피 한 시점이 되었다. 사회화나 전통의 계승에 대한 행동적, 인지적 접근의 교육에서 전인적 성장으로 확대된 개인, 집단적 능력과 가치에 대한 교육의 개념 설정과 인식 공유가 시도되었다. 개인과 집단의 지식, 기술을 급변하는 상황에 접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좀 더 체계적으로 논의한 문해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어 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역량에 대한 논의가 출발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가시화한 것이 OECD-DeSeCo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 프로젝트는 21세기 환경 속에서 개인과 집단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지식과 기술을 비롯해 윤리적, 감성적 사고와 태도, 사회구성원으로서 책임의식과 행동에 대한 주도적 능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하였다. 수많은 연구와 토론을 거친 끝에 OECD-DeSeCo 프로젝트에서는 최종적으로 세 가지 핵심역량, 즉 사회적으로 다양한 집단 속에서 상호작용하기, 자율적으로 행동하기, 도구를 상호작용적으로 사용하기 등을 도출하였다(Rychen & Salganik, 2003: 85~104).

<표 II-1> OECD-DeSeCo 프로젝트의 핵심역량핵심역량 구성 요소

사회적으로 다양한 집단 속에서 상호작용 하기

• 관계역량• 협동역량• 갈등 대처 및 해결능력

자율적으로 행동하기• 큰 그림과 넓은 맥락 속에서 행동하기• 삶을 설계하고 실천에 옮기기• 개인의 권리, 관심, 한계, 필요 등을 주장하기

도구를 상호작용적으로 사용하기• 언어, 상징, 텍스트를 상호작용적으로 사용하기• 지식과 정보를 상호작용적으로 사용하기• 기술을 상호작용적으로 사용하기

Page 2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OECD에서는 또한 DeSeCo 프로젝트에 참여한 12개 국가의 커리큘럼에서 자주 언급되는 핵심 역량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II-2> OECD-DeSeCo 프로젝트 참여국 보고서에서 자주 언급되는 핵심 역량HIGH MEDIUM LOW

사회적 역량 / 협력 (Social competencies /

Cooperation)가치 교육

(Value orientation)

문화 역량, 심미성, 창의성, 다문화 역량, 미디어 역량(Cultural competencies/

Aesthetic/ Creative/Intercultural/ Media)

문해력 / 지적·응용 지식(Literacies / Intelligent and

applicable knowledge)자기 역량 / 자기 관리(Self-competence / Self management)

건강 / 스포츠 / 신체적 역량(Health / Sports /

Physical Competence)학습 역량 / 평생 교육

(Learning competencies / Lifelong learning)

정치적 역량 / 민주주의(Political competence

/ Democracy)의사소통 역량

(Communication competencies)

자연과 관계하는 생태학적 역량(Ecological competence

Relation to Nature)* 자료: Uri Peter Trier(2001). 12 Countries Contributing to DeSeCo - A Summary Repot, p. 29.

OECD-DeSeCo 프로젝트 결과로 제시된 핵심역량들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을 개인의 능력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 역량은 개인이 소유하고 있거나 향후 소유하여야 할 능력을 말한다. 둘째, 역량을 개인적 차원의 역량과 사회적 차원의 역량으로 구분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상력, 자기관리능력 등은 개인이 스스로 개발할 수 있는 개인적 차원의 능력이라면, 협동력, 의사소통능력, 시민역량 등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만 형성될 수 있는 사회적 차원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일반 핵심 역량 가운데 특정 영역과 관련된 두 가지 역량이 포함되어 있는데, 하나는 문화역량이고, 다른 하나는 과학기술(정보)역량이라는 점이다. 창의성, 심미성, 표현력, 다문화역량 등으로 표현되는 문화역량은 많은 국가에서 국민이 갖추어야 하는 핵심 공통 능력으로 강조되고 있다. 문화역량은 OECD 프로젝트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UNESCO 프로젝트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UNESCO는 2015년부터 시작하는 Post-EFA(Education For All)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로 전 세계 학생들의 역량 개발을 목

Page 2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17

적으로 하는 Learning Metrics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UNESCO Learning Metrics에서는 다면적인 역량을 고려하여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을 강조하고 있다. UNESCO Learning Metrics에서는 인지적 측면의 영역으로 과학기술, 수학, 학습/인지 등을 포함하고 있고, 비인지적 측면의 역량으로는 신체적 건강, 감성/사회성, 문화/예술을 포함하고 있다. 문해/소통은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의 중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놀라운 점은 비인지적 역량으로 구분되는 감성, 사회성, 문화/예술, 문해/소통 등의 역량 모두가 문화역량의 핵심 영역들이라는 점이다. 즉, 비인지적 역량의 핵심이 문화역량이라는 점이다. UNESCO Learning Metrics 프로젝트와 함께 이제 문화역량은 역량 논의에서 핵심 역량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21세기에 전 세계 모든 국민들이 문화역량을 갖추는 것이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림 II-1> Model of Learning Metrics

* 자료 : 김창환 외(2013), 4p.

문화역량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국내에서도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관련 연구가 추진되어 왔다. 문화역량의 개념에 관한 연구(위미나, 2007), 미술 분야의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정연희, 2007; 김정희, 2010), 교사역량과 관련된 연구(윤갑정/김미정, 2007), 학교에서의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이찬/이은적, 2010; 강현석/유제순, 2010) 등의 연구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문화역량에 대한 연구는 문화역량에 대한 개념 논의와 모형 개발 등 이론 정립의 초기 단계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1.3. 문화역량 관련 지표/지수와 관련된 연구 문화 및 문화예술과 관련해서 다양한 지표 및 지수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정갑영 외는 2002년 <국민문화지수 개발 연구>를 추진하였다(정갑영 외, 2002). 이 연구는 지역별로 문화지수를 산출하여 비교해, 궁극적으로는 지역별로 특성화된 문화발전을 유도하고자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문화지수는 지역차원에서 개발되었는데, 본 연구는 문화

Page 2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지수가 포괄하는 영역 중 ‘사회문화적 활동/여가활동’의 내용의 일부를 개인적 차원에서 고려하여 개인의 문화역량 지표체계에 반영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문화향수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국민들의 문화향수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1998년부터 시행되었다. 조사주기는 2년으로 국민들의 문화향수실태를 파악하여 문화정책 수립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을 지닌다. <문화향수실태조사>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다양한 지표를 담고 있어서 활용가치가 높고, 본 연구에서는 특히, 문화역량의 ‘참여’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김소영 외는 2013년 <예술지수(Arts Index) 개발 연구>를 추진하였다(김소영 외, 2013).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 현황을 다각적으로 진단하고 예술정책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여기서 예술지수란 예술을 둘러싼 각종 여건과 현실을 기준점에 대비하여 비교하려는 표준화된 종합 수치를 의미한다. 예술지수는 문화가치사슬(Culture value chain)의 모형(김소영 외, 2010)을 토대로 자원을 투입하여 문화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인 투입-과정-산출의 구조를 따르는데, 본 연구에서는 ‘산출’에 해당하는 ‘예술향유’지수와 ‘예술성과지수’를 검토하였다. 민무숙 외는 2012년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를 추진하였다(민무숙 외, 2012). 이 연구는 미래세대를 책임질 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성 현황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정책대응이 필요한 과제를 도출하고자 이루어졌다. 또한 안상수 외는 2012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를 추진하였다(안상수 외, 2012).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인의 다문화 감수성의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개발의 목적을 지니고 진행되었다. 두 연구가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핵심내용은 타문화/타자에 대한 수용 정도이다. 본 연구는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여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와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역량의 사회적 차원 중 ‘관용’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윤소영은 2013년 <여가행복지수 개발 기초연구>를 추진하였다. 이 연구는 ‘국가와 지역의 여가환경’ 차원, ‘개인의 여가활동’ 차원, 그리고 ‘개인의 여가만족’ 차원을 구분하고 세부내용에 해당하는 지표를 개발했다. 본 연구는 인프라 측면이 아닌 개인의 문화역량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와 지역적 차원을 제외한 개인의 여가활동 및 만족 차원에 해당하는 내용을 검토하였다. 양혜원은 2011년 <2011 문화예술 대표지표 분석 연구>를 추진하였다. 이 연구는 문화예술의 주요정책목표와 문화순환주기를 통합하여 한 축을 구성하고, 문화예술정책의 프로그램의 논리를 다른 한 축으로 두어 문화예술 지표체계를 정리했다. 프로그램의 논리는 “투입-산출-성과 및 영향”으로 구분하여 총 34개의 세부지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투입’과 ‘산출’은 주로 거시적 지표를 담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정책의 수요자에 초점을

Page 2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19

둔 ‘성과 및 영향’ 지표를 주로 검토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의 지표체계를 구성하는데 참고하고자 하였다. 검토한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Page 2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2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연구명 영역 세부지표수행기관 대영역 소영역

예술지수(Arts Index) 개발연구

예술창작/생산 인력 문화예술종사자 수, 예술 활동가 수콘텐츠 문화예술 콘텐츠 건수 및 횟수

예술재정 예산 문화부 예산, 문화예술 예산 기부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액/기부액

예술시설 시설 문화시설 수, 공연장 수 및 가동률시설인력 공연시설/미술시설 인력 수

예술향유향유 문화예술 관람율/관람횟수/독서율 등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13)

참여 문화예술분야 창작발표/자원봉사 경험률, 동호회 참여율,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예술성과향유결과 문화예술만족도 및 관림의향, 문화예술교육만족도 및

수강의향, 여가생활 만족도, 행복 및 삶의 질시장성과 공연시장 매출액, 미술시장 매출액, 문화예술 국제교류

건수

국민문화지수 개발 연구: 종합보고서

문화유산 지정 유형/무형문화재 수, 박물관 관람률문학/예술

문학인/출판사/공연예술단체 및 행사/조형예술인/공연시설/전시시설 수, 도서관 이용률, 공연예술행사/조형예술전시회 관람률

대중문화영화관 수, 영화 관람률, 비디오테이프 대여편수, 대중음악공연 관람률, 대중음악 음반 구입 수, 만화책 독서율, 주간 게임시간문화관광부·

문화정책개발원(2002) 사회문화적 활동/여가활동

예능계 학원수, 문화교육 참여율, 자원봉사활동 참여율, 여가시간, 문화활동 시간, 문화활동 시간, 여가비 지출액, 문화비 지출액

문화향수실태조사

여가생활 여가시간, 여가 비용

예술향유분야별 예술관람 실태, 예술행사 관람의향, 관람 걸림돌 및 정보 출처, 예술행사 관람의 매체 비중, 분야별 매체 이용 관람실태, 예술참여활동 실태, 예술참여활동 의향, 문화예술 관련 지출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과거 경험, 분야별 문화예술교육 경험실태, 문화예술교육의향, 문화예술교육의 걸림돌

문화예술공간 이용 각 공간별 문화예술활동 공간이용 실태, 문화공간에서 개최되는 문화예술행사 참여 의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2)

문화관련 자원봉사 및 동호회활동 문화관련 자원봉사 활동,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 실태

문화바우처 카드 이용 문화바우처 카드 이용경험역사문화유적지방문 및

지역축제 관람역사문화유적지 방문실태, 방문의향, 방문 걸림돌, 축제, 관람실태, 관람의향, 관람 걸림돌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다양성

문화개방성 이웃, 지역사회, 국가로의 외국 이주민 유입 및 정주에 대한 허용적 태도

국민정체성국적/한국어 능력/전통 음식 선호/생득적 지위가 다른 것에 대해 어느 정도 승인적 태도를 취하는가, 그 자격에 대한 다양성을 인정하는 태도

여성가족부(2012)

고정관념 및 차별

외국인 이주민에 대해 가진 편견적 태도와 고정관념 정도, 차별적 행동 경향성

관계성 일방적 동화기대

소수자인 외국 이주민이 한국인과 한국문화와 관습을 이해하고, 한국의 전통적 가족풍습을 순응하며, 한국어를 더 완벽히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정도로 측정

<표 II-3> 문화역량 관련 선행연구 검토 자료

Page 2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21

연구명 영역 세부지표수행기관 대영역 소영역

거부·회피정서외국인/이주민들과 대중교통이나 공공장소에서 접촉을 꺼리거나 위험, 불결함과 연관된 부정적 정서를 느끼는 정도

상호교류행동의지

외국인이나 이주민과의 친목모임이나 클럽가입, 인구관계 형성, 식사, 데이트 관계를 맺고자하는 의향이나 행동의지

보편성이중적 평가

외국인에 대해서 집단별로 차이를 두는 이중성 태도를 측정, 영어권 언어의 선호, 출신배경에 따라 업무능력을 다르게 평가하는 것

세계시민행동의지

지구적 문제에 대한 관심사를 바탕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행동적 지향성 또는 행동의지

여가행복지수 개발 기초 연구 여가참여

문화예술활동 문학/미술/서양음악/전통예술/무용/뮤지컬/연극/영화/대중음악 관람률 및 참여율

관광활동연간 국내 관광활동 참가자 수/1인 평균 여행일수, 연간 국내 평균 여행일수, 국외관광객수, 연간 국외 평균 여행일수

체육활동 스포츠 관람률, 스포츠 직접참여율자원봉사,

동호회활동 자원봉사 직접참여율, 동호회활동 참여율취미/오락/휴식

활동수집/생활공예/요리·다도/게임/바둑-장기/애완동물 돌보기/산책/목욕/사우나/낮잠/TV시청/비디오시청/라디오청취/음악감상/신문·잡지읽기 참여율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3)

지식/교양분야 여가활동 교육 참여율교육교양활동

여가경력 여가경력여가활동의 몰입경험, 여가활동 정기적 활동유무, 여가활동의 자발적 의지와 활동 참여경험, 여가활동 지속적 경험, 교육경험 유무

제약인식 여가활동 자원 제약여부, 타인과 비교한 박탈감

여가태도 및 만족도

여가태도 일과 여가 비교융위, 일과 여가의 활동제약, 여가변화에 대한 인식

만족도여가여건만족도(여가시간/비용/산업/정책/행정), 여가자원만족도(문화복지/관광자원/체육/외식·오락시설), 여가활동만족도(문화예술/관광/체육/휴힉/취미오락/사회기타/교육 교양)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다문화 수용성 다양성 차원(문화개방성, 국민정체성, 고정관념 및 차별)의 수용성

국제지표 비교다문화 지향성, 다문화의 한계, 다양성에 대한 한계, 이주자 송환 정책의 선호, 이주자 시민권 부여에 대한 인식,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일반적인 위협인식

외국이주민 증가에 따른 한국사회 위협인식

일자리 위협 인식, 경제적 위협 인식, 범죄에 대한 위협 인식, 고유문화 위협인식, 임금저하 위협인식, 사회문제 증가 위협인식, 국가재정 가중 위협인식

다문화정책에 대한 태도 정책에서의 이주민 의견 반영, 국적취득, 인권보장, 적극적 조치

여성가족부(2012)

다문화 대중매체 노출 경험 신문/방송 등 대중매체 속에서의 외국인 관련 내용 접촉 경험

다문화 관련 활동 참여 경험 다문화 관련 교육/자원봉사/시민단체/행사 참여 경험국민정체성 한국인으로 갖추어야 할 자격요건

Page 3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2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연구명 영역 세부지표수행기관 대영역 소영역시티즌십 우리 사회의 훌륭한 시민이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

외국인 및 이주민 접촉경험 외국인 및 이주민 접촉경험, 해외거주 경험, 해외거주 지역, 해외여행 경험

문화예술 대표지표 분석연구

문화예술의 창조적 역량

창작/제작/보존/교류/(교육)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신규 문화예술인력 고용지표, 문화예술인력 일자리 지표, 문화예술상품 수출액/수입액, 해외문화원 방문자 수, 한국문화예술인지도/선호도, 문화유산 등재 건수

문화적 환경 매개/유통/(교육) 문화시설 서비스만족도

문화체육관광부(2011) 문화적

삶의 질소비/참여/

(교육)문화예술상품/서비스 물가지수, 문화예술(수요자) 교육 참여자만족도, 문화예술(수요자)교육 효과, 문화예술복지 수혜자 만족도, 문화예술 관람객 만족도, 문화예술활동 참여자 만족도, 삶의 만족도

위의 선행연구들이 문화, 문화예술을 아우르는 지표 및 지수에 관한 연구라면 문화역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표 및 지수에 대한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하였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2011년 <문화역량지수 개발 연구>(추미경 외, 2011)와 더불어 2012년에는 <문화역량지수 조사 연구>(정광호 외, 2012)를 추진하였다. <2011 문화역량지수 개발 연구>에서는 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정리하고, 문화역량 측정지표와 질문항을 개발하였다(추미경 외, 2011). 이 연구에서는 문화역량을 ‘삶의 질을 고양시키는 문화적 인식, 기술, 태도로서 개인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활력이 넘치고 감정적으로 잘 조율되고, 지적 활동을 합리적으로 하며, 가치로운 삶의 추구함으로써 문화적으로 성숙한 태도를 드러낼 수 있는 통합적 능력’으로 정의하고, 문화역량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 II-4> 문화역량 구성 요소 (2011년 연구)구분 문화역량 하위 범주 내용 측정지표

기초영역 에너지(심체력)요소 몸과 마음이건강하도록 활기찬 기운을 만들어 가는 능력 건강, 수양

핵심영역창의 요소

다양한 표현, 풍부한 상상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새로움을 만들어가는 능력

표현력, 상상력, 유연성

수용요소 다른 사람이나 문화를 섬세하게 이해하고 소통하며 포용하는 능력 소통성, 포용력, 감수성

정신요소 지적 활동과 사회적 지성을 만들어 가는 능력 지적 활동, 사회적 지성

편재 영역 가치요소문화역량 전반에 펼쳐진 여역으로서 가치로운에 대한 헌신과 공동선을 추구하는 능력

가치에 대한 헌신, 공동선

* 자료 : 추미경 외(2011), p.71.

Page 3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23

이와 같이 문화역량 구성요소에 기초한 문화역량 측정지표에 따라 문화역량을 조사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제시하였고, 지표를 개발한 후 문화역량지수 조사를 진행하였다.

<표 II-5> 문화역량 범주 및 지표 (2011년 연구)문화역량 하위범주 측정지표 질 문 항

1) 에너지(심체력)요소(Physical component)몸과 마음이 건강하도록 활기찬 기운을 만들어가는 요소

건강 ①현재 육체적, 정신적으로 (나의) 건강상태가 좋다.②(나는) 평소 시간을 내여 주기적으로 운동을 한다.

수양 ①(나는) 정신적 성숙함은 개인의 삶이 풍요로워지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②(나는)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정신적으로 풍요롭게 살려고 노력한다.

2) 창의요소(Creative component)다양한 표현, 풍부한 상상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새로움을 만들어가는 요소

표현력 ①(나는) 평소 사람들이 쓰지 않는 나만의 새로운 것을 찾아 표현하려고 한다.②(내) 생각이나 느낌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상력 ①(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②(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

유연성①(나는) 새로운 제안이나 방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편이다.②(나는) 내가 좋아하는 것 외에 새로운 것을 경험해보려고 한다.③(나는) 새롭거나 낯선 상황에 잘 적응한다.

3) 수용요소(Receptive component)다른 사람이나 문화를 섬세하게 이해하고 소통하며 포용하는 요소

소통성①(나는) 다른 사람의 의견과 생각을 귀담아 듣는다.②(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설득하려는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③(나는) 다른 사람과 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표용력①(나는)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고, 이해하려고 한다.②(나는) 소외받는 사람들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존중한다.③(나는) 다른 문화에 대한 지식과 정보, 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많다.

감수성①(나는) 내 주위의 환경변화에 대해서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②(나는) 주변사람들의 감정변화를 늘 생각하고 배려한다.③(나는) 주변사람들로부터 감수성이 풍부하다는 말을 듣는다.

4) 정신요소(Mental component)지적 활동과 사회적 지성을 만들어가는 요소

지적활동①(나는)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끊임없이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②(나는) 전통문화[인류문화]와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이해력이 있는 편이다. ③(나는) 신문이나 뉴스를 볼 때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한다.

사회적(집단)지성

①(나는) 개인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②(나는) 내가 가진 지식, 정보를 사회에 환원하려고 노력한다.③(나는) 불합리한 사회제도나 정책을 개선하려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한다.

5) 가치요소(Spiritual component)가치로움에 대한 헌신과 공동선을 추구하는 요소

가치에 대한 헌신

①(나는 살아가면서) 아름다움이나 문화적 풍요로움을 중요한 가치로 생각한다.②(나는) 인생에서 지켜야 할 바람직한 가치를 가지려고 노력한다.③(나는 나와는) 다른 사람의 다양한 가치에 대해 존중하려고 한다.

공동선①(나는) 지구촌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아프리카 난민]에 대해 공통의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②(나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문화를 성숙하게 하는데 참여하고 있다.③(나는) 사회적 나눔, 공동체 참여를 위해 자원봉사나 기부를 하고 있다.

Page 3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2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 자료 : 추미경 외(2011). p.109.

<2012 문화역량지수 조사 연구>에서는 문화역량지수 선행연구 분석을 기초로 문화역량지수를 정의하고, 문화역량지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정광호 외, 2012). 이 연구는 '문화역량을 개인 및 조직, 사회가 상상력, 놀이, 인공물을 통해 문화와 예술을 생산, 축척, 공유, 이해, 소통하며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고, 창조적이고 비판적으로 느끼고 표현하며 행위하는 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에 기초하여 문화역량의 구조와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표 II-6> 문화역량 구성 영역 및 요소 (2012년 연구)상위영역 중간-하위영역

문화 소양문화정향-문화 관련 성향평가문화지식-문화관련 일반 지식 문화 도구 사용-디지털 매체 활용, 문화예술 활용도구 사용읽기/쓰기-(전자) 책 독서량, 이메일 작성량

문화 향유 문화향유실태-문화공연 관람여부, 디지털 매체 관람, 의견 교류

문화실천문화 수용성-외국인(문화) 관련 인식문화예술활동-문화예술창작/발표 경험, 향후 문화예술교육 참여의사문화공동체 활동-지역사회 봉사활동, 지역 문화 개선 아이디어 제안, 지역사회 문화 활동 참여여부 및 기간

* 자료 : 정광호 외(2012), p.xi, 55를 재구성

이와 같이 문화역량 지표를 개발한 이후 문화역량지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189명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1.4. 선행연구 분석이 주는 시사점 앞에서 역량, 문화역량, 문화역량지표 및 지수로 구분하여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OECD, UNESCO 등 국제역량 논의에서 문화역량이 핵심역량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이다. 역량을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으로 구분할 때, 문화역량은 비인지적 측면에서 핵심 역량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UNESCO Learning Metrics에서는 비인지적 측면의 핵심을 감성과 사회성으로 보고, 비인지적 측면을 구성하는 핵심역량을 문화역량과 사회역량으로 구분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말은 문화역량이 우리 학생들과 국민들이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이라는 점을 말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Page 3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25

둘째,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이해에도 불구하고, 문화역량을 구성하는 지표에서 대략의 합의할 수 있는 공유점들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2011 문화역량지수 개발 연구>에서는 인간을 구성하는 다면적 요소로부터 출발하여 문화역량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성과 감성과 영성을 기반으로 하는 다면적 요소를 고려하되, 특별히 감성적 차원의 영역을 문화역량의 핵심 영역으로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2012 문화역량지수 조사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영역에서의 참여와 실천을 강조하고 있는데, 문화예술 분야를 한정한 점에서 역시 비인지적 측면의 역량 요소가 중심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문화역량 관련 지표 및 지수를 살펴볼 때, 문화역량 요소와 관련하여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키워드들이 있다는 점이다. 감수성, 상상, 표현, 소통, 이해, 포용, 참여, 활동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키워드는 본 연구에서 문화역량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준거들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Page 3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2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2. 이론적 고찰 및 문화역량 개념2.1. 문화의 개념

2.1.1. 이론적 논의 문화는 일반적으로 유무형의 인간의 삶의 방식과 활동의 총체적 결과라고 표현되고 있으나, 문화의 개념과 정의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인간이 자기 삶의 목적을 위해 자연을 조직하고 동화하는 행위 일체를 문화 혹은 문화 실천이라 초기 연구자들은 정의하였다. 초기 인간은 자연만을 길들이는 것이 아니라 집단생활을 하면서 인간이 인간을 길들이는 방식으로 규정하기도 하였다. 삶의 방식을 공유하고 계승과 전수를 통해 다음 세대에 전해지는 가치관, 행동방식, 신념 등을 문화로 규정한 것이다. 자신의 유한성과 대응 방식은 종교와 예술로, 구성원간의 관계는 정치로, 생산과 소비 관련 실천과 질서는 경제로 서로 다른 영역으로 세분화되기도 하였다.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가 “영어 단어 중 가장 난해한 몇 개 단어중 하나”로 정의된 ‘문화’의 합의된 정의는 수많은 논의 이후에도 여전히 쉽지 않다. 윌리엄스는 문화를 넓은 의미에서 지적, 정신적, 심미적인 계발의 일반적 과정, 한 인간이나 시대 또는 집단의 특정 생활방식, 지적인 작품이나 실천행위, 특히 예술적인 활동의 세 가지로 정의하였다. 텍스트 혹은 문화적 실천행위 혹은 의미를 나타내는 실천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윌리엄스 이후 문화연구는 인류학, 사회학, 언어학, 기호학 등으로 확장되었고 특정 시기에 한 사회 안에서 발현하는 가치, 태도, 신념, 지향점, 정신상태, 전제조건으로서 문화가 이해되고 논의되고 있다. 다양한 이론적 연구를 정리해 볼 때, ‘문화’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문화는 예술을 포함한 집단 내에 형성된 생활방식의 총체이자 제도, 언어, 종교, 사고체계, 사회관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문화는 사회적 유산과 전통에 의해 형성된 사회적 의미 체계로서, 학습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속되고, 특정 시공간 내의 사회적 행동 양식에 의한 삶의 방식이며, 변화하는 삶의 조건에 적응하기 위한 선택이고 역동적인 조절 과정으로, 사회적 제도의 상호 연결 체계로서 삶을 계획하고 상징화하는 의식적인 인간 사고에 의해 형성된 의미 있고 인공적 산물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문화는 더 이상 정치, 경제, 사회와 분리되어 논의될 수 없으며, 사회적 인간을 규정하는데 있어 주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문화 개념에 대한 주요 논의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Page 3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27

문화․ 지식, 신념, 신앙, 예술, 도덕, 법룰, 관습 등 물질적, 비 물질적인 것을 막론한 인간 활동의 총체 -에드워드 테일러(1871) 저서 [원시문화 Primitive Culture]․ 지적, 정신적, 심미적인 계발의 일반적 과정, 한 인간이나 시대 또는 집단의 특정 생활방식(양식), 지적인 작품이나 실천행위, 특히 예술적인 활동-레이몬즈 윌리엄즈(Raymond Williams)․ 인간이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양식을 실현하는 과정이며, 서서히 형성되는 생활방식

과 내용의 총체, 인간의 내적 정신적 활동의 소산-르로버와 클루크혼(C. Kluckholn)․ 인류학 개론에서 문화란 사회의 성원들에 의해 학습되고, 공유되고 양식화되면서 다음세대로 이어지는 것

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문화의 속성 정의-코탁 [문화란 무엇인가] 유태용, 학연문화사․ 문화를 ‘소리 없는 언어’로 규정. 문화기호로서 언어에는 인간의 잠재의식이나 개념이 담겨 있으며 그 때문

에 말에는 사유와 정감이 녹아있고 문화가 투영된다고 함-에드워드 홀(Edward T. Hall)․ 사회 모든 집단의 사고와 느낌, 행동양식에 대한 조직이거나 정돈의 총합을 말하며 이것은 사회집단의 의

식에서 보여주는 신체적 유기 존속을 포함한다고 말함-브라운(Brown)․ 인간이 만든 기술이나 물질문화,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조직한 것 신념이나 가치 체계-화이트

(White)․ 삶의 방법. 환언하면 인간이 직면하는 기본적인 문제에 대하여 사회적인 해답이 있는 것.삶 의 총체적인 설

계로 삶의 모든 면을 포괄. 적응하는 체계. 생물학적 환경이나 문화적인 실상에 적응 시도 .학습되는 것. 인간이 자신의 문화를 알고 그것을 평가하기 이전에 인간은 그것을 배우게 되고 대부분 무의식 가운데 배우는 것. 그것 가운데 있는 사람에게 의미가 있는 것. 각 문화는 자체로 논리-루즈베락(Luzbetak)

․ 경험적 문화(지식과 기술, 그리고 무엇이 실체인가를 규정하는 상황정의 포함) 심미적 문화 - 모든 사회의 미적 기준을 결정해 주는 가치와 이념으로 구성 규범적 문화 - 사람들이 어떠한 행위를 해야 하고, 또 하지 말아야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줌 특정사회에 있어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설정해줌-볼드브릿지(Baldridge)

․ 기술적 개념(인간이 만든 세계, 구체적인 관습, 습속, 상징 질서 틀속에서 인간의 생산과 재생산의 형식) 역동적 개념(문화의 이중성 접근, 물질적 차원과 성찰적 차원, 공동체 삶의 관습, 주도적 이념, 파악, 재생산, 평가) 고고학적 개념(전제하고 있는 조건, 전승과 전통의 맥락, 무의식적인 영역, 신념과 심성, 불안과 공포, 암묵적인 기대와 열망의 탐구, 자기 계몽) 규범적 개념 (위계질서의 관점 속에서 문화의 차이를 확정하는 것, 상호 충돌과 갈등) 문화 철학적 접근

․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을 분류하는 목록이나 분류 체계로서, ‘의식’의 산물이라기보다 역사적으로 일정한 의식형태들을 생산해내는 데 매개체가 되는 무의식적 범주들과 틀-레비스트로스(Levi-Strauss)

․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해석하고 사회 행동을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획득된 지식-제임스 스프래들리(James Spradley)

․ 구체적이고 개별적이며 산발적인 현상을 보이는 여러 관행-볼테르(Voltaire)․ 문화란 사람들이 정신과 취미를 풍요롭게 하려는 의도로 만든 예술과 학문, 그리고 과학을 통해서 획득한

인식의 총체-부르크하르트(J. Burckhardt)

Page 3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2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 사회적으로 형성된 의미의 체계-김창남1)(1998)․ 1) 토지, 곡식, 가축의 경작, 2) 정신, 예술, 문명의 배양, 3) 사회발전의 일반적 과정 그리고 보편적 과정으로서

의 문화, 4) 특수한 민족, 집단, 계급, 시간 속에서 공유되고 있는 의미, 가치, 생활방식, 5) 의미를 생산하는 실천, 의미화하는 실천-보콕2)(Bocock)

․ 주로 자연과 대립해서 쓰이며, 인간을 제외한 자연은 객관적·필연적으로 생기나, 이러한 자연을 소재로 하여 목적 의식을 지닌 인간의 활동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문화’라 함-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한 사회 또는 사회적 집단에서 나타나는 예술, 문학, 생활양식, 더부살이, 가치관, 전통, 신념 등 독특한 정신적, 물질적 지적 특징(유네스코, 2002)

2.1.2. 국내 법률이 정의하는 문화 문화역량 지표를 도출하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가 위해서는 문화의 개념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 문화를 정의하는 다양한 방법 가운에 가장 기본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은 법을 살펴보는 것이다. 법에는 우리 사회에서 이해하는 문화에 대한 합의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2014년 현재 문화와 관련된 법으로는 <문화기본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이 있다. 이들 법은 각기 다른 목적과 관점에서 ‘문화’ 개념을 규정하고 있다. <문화기본법>(법률 제 12134호 2013년 12월 30일 제정/2014년 3월 31일 시행)에서는 문화를 문화예술, 생활양식, 삶의 방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 등 매우 넓은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학자들의 인식과 유사하게 정의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과 대비되는 인간의 삶과 관련된 모든 것을 문화로 지칭하고 있다.

제1조(목적) 이 법은 문화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정하고 문화정책의 방향과 그 추진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문화의 가치와 위상을 높여 문화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사회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기본이념) 이 법은 문화가 민주국가의 발전과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영역 중의 하나임을 인식하고, 문화의 가치가 교육, 환경, 인권, 복지, 정치, 경제, 여가 등 우리 사회 영역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그 역할을 다하며, 개인이 문화 표현과 활동에서 차별받지 아니하도록 하고, 문화의 다양성, 자율성과 창조성의 원리가 조화롭게 실현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이념으로 한다. 제3조(정의) 이 법에서 "문화"란 문화예술, 생활양식, 공동체적 삶의 방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 등을 포함하는 사회나 사회 구성원의 고유한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특성의 총체를 말한다.

1) 김창남(1998),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2) Bocock, R.(1993), “현대사회의 문화적 형성”, in Hall, S.(ed.), Formations of Modernity, London: Polity

Press, 전효관․김수진․박병영 역(2001), ≪현대성과 현대문화≫, 서울: 현실문화연구, pp. 335~392.

Page 3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29

<지역문화진흥법>(법률 제 12354호 2014년 1월 28일 제정/2014년 7월 29일 시행)에서는 ‘지역문화’를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유산, 문화예술, 생활문화, 문화산업 및 이와 관련된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문화기본법>에서 문화를 넓은 의미로 규정한 것과는 달리 조금 더 구체적으로 대상을 명시하고 있다. 문화유산, 문화예술, 문화산업 등이 그것이다.

제1조(목적) 이 법은 지역문화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지역 간의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지역별로 특색 있는 고유의 문화를 발전시킴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화국가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1. "지역문화"란 「지방자치법」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또는 공통의 역사적·문화적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지역

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유산, 문화예술, 생활문화, 문화산업 및 이와 관련된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을 말한다.2. "생활문화"란 지역의 주민이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하여 자발적이거나 일상적으로 참여하여 행하는 유형·무형

의 문화적 활동을 말한다.

<문화예술진흥법>(법률 제 12354호 2014년 1월 28일 타법개정/2014년 7월 29일 시행)에서는 ‘문화예술’에 대한 개념을 규정하고 있고, 문화예술의 구체적인 영역까지 제시하고 있다. 문학, 미술,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 국악, 사진, 건축, 어문, 출판 및 만화를 문화예술의 영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제1조(목적) 이 법은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한 사업과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전통문화예술을 계승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여 민족문화 창달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2.2.17., 2013.7.16.>1. "문화예술"이란 문학, 미술(응용미술을 포함한다),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演藝), 국악, 사진, 건축, 어문

(語文), 출판 및 만화를 말한다.2. "문화산업"이란 문화예술의 창작물 또는 문화예술 용품을 산업 수단에 의하여 기획·제작·공연·전시·판매하는 것

을 업(業)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3. "문화시설"이란 문화예술 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다음 각 목의 시설을 말한다. 가. 「공연법」 제2조제4호에 따른 공연장 등 공연시설 나.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2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박물관 및 미술관 등 전시시설 다. 「도서관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도서관 등 도서시설 라. 문화예술회관 등 공연시설과 다른 문화시설이 복합된 종합시설 마.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문화예술교육지원법>(법률 제 12329호 2014년 1월 21일 타법 개정)에서는 문화예술을 <문화예술진흥법>에 담겨져 있는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위에서 규정한 영역의 활동을 문화예술로 파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Page 3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3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제1조(목적) 이 법은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개정 2011.6.7., 2012.2.17., 2014.1.21.>1. "문화예술교육"이라 함은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제1항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진흥 기본

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산업,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을 말하며, 다음 각 목과 같이 세분한다.

가. 학교문화예술교육 : 「영유아보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어린이집, 「유아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유치원과 「초·중등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행하여지는 문화예술교육

나. 사회문화예술교육 : 제2조제3호 및 제4호에서 규정하는 문화예술교육시설 및 문화예술교육단체와 제24조의 각종 시설 및 단체 등에서 행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외의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교육

현행 문화와 관련된 법규정을 살펴볼 때, 문화는 인간의 삶의 표현 전체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고 있는 것과 더불어, 문화예술 장르에 한정하는 좁은 의미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렇게 볼 때, 현행 법규정에서는 문화와 예술을 밀접한 관련을 맺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문화 연구와 더불어 국내의 관련법에서 정의하는 문화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 개념을 사회를 구성하는 자본이자 사회구성원이 지향하는 가치로 규정하고자 한다. 즉 <문화기본법>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화예술, 생활양식, 공동체적 삶의 방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 등을 포함하는 사회나 사회 구성원의 고유한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특성의 총체”로 규정하고자 한다.

2.1.3. 문화와 예술 문화(culture)는 그 의미상 인간이 형성하고 만들어 낸 모든 것을 의미한다. 인간의 사고와 행위를 통하여 만들어진 것이란 의미에서 인위적(人爲的)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따라서 자연적(自然的)으로 스스로 있는 것인 자연(nature)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인간이 생각하고 행동하면서 형성하고 만들어 낸 것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기술(technic)이다. 기술은 그리스어 ‘테크네(technē)’에서 유래된 것으로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 또는 수단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두번째는 예술(art)로서, 이는 라틴어 ars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립하다’ ‘궁리하다’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기술이 실용적인 효용성이 강조되는 생산활동이라면, 예술은 인간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그 자체가 목적인 인간의 활동(ars vivendi) 및 활동의 산출물을 의미한다. 예술은 일반적인 기술과 구별하기 위해 특별히 미적 기술(fine art)이라는 표현이 쓰이게 되었다. 기술은 인간의 이성과 지식을 도구로 활용하지만, 예술은 인간의 지식, 인지, 표상, 직관, 상상, 연습 등 다차원적 소양과 특성을 모두 활용하고, 창의적인 특성을 지닌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인간이 정신활동

Page 3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31

을 통하여 형성한 모든 것들로서, 법, 도덕, 종교, 경제, 학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볼 때, 예술은 문화의 한 영역으로서 예술 활동과 그 결과물 전체를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은 합성어로서, 예술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표 II-7> 문화와 문화예술 비교구분 문화 문화예술

주요 개념문화 : 인간의 삶과 정신으로부터 창조된 모든 것 (기술, 예술, 법, 도덕, 종교, 경제, 학문 등)

문화예술 : 지식, 인지, 표상, 직관, 연습 등에 기초한 창조적 활동

관심 영역 교육, 학문, 예술, 종교, 매체 등 인간의 정신적-사회적 삶과 관련된 영역

시각예술, 공연예술, 문학 등 인문, 예술과 관련된 영역 (liberal arts + fine arts)

인간상 문화시민 문화시민

정책 목표 Quality of Society(사회의 질)Quality of Culture(문화융성)

Quality of Life(삶의 질)Quality of Cultural Competency(문화역량)

다음 그림 <Ⅱ-2>는 문화의 개념을 인간 역량에 대해 총체적 관점에서 논의한 딜타이의 삶의 철학 논의와 연계하여 검토한 것이다. 우선 문화를 삶의 총체적 산물과 활동으로 규정하고, 이를 다시 물질문화와 가치체계로 구분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 기술이나 물질문화는 물질적인 삶의 양식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신념과 가치체계는 지적 · 정서적 · 영적 영역에 두루 걸쳐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처럼 문화를 물질문화와 가치체계로 구분하였다고는 하나, 지적·정서적·영적 영역과 물질적 세계는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속에서 상호 밀접하게 연결되어 서로 맞물려 있다. 이러한 상호 관계를 통해 문화는 경험적 문화, 심미적 문화, 규범적 문화로 구분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처럼 문화는 딜타이의 삶의 철학과 연계하여 생각, 느낌, 행동을 인간 삶의 핵심요소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발현되는 방식에 따라 개인적 차원의 요소와 사회적 차원의 요소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 혹은 사회적 차원에 대한 논의는 다음 Ⅲ장의 문화역량 구성요소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Page 4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3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그림 Ⅱ-2> 문화의 개념 검토

2.1.4. 문화예술과 교육 위와 같이 문화와 예술의 관계를 이해할 때, 문화예술교육은 궁극적으로는 문화교육을 지향하되, 그 구체적인 실천적 접근 방안으로 예술교육을 중심에 두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김정희, 2007). 예술교육은 미적 체험(aesthetic experience)의 교육이라고 불린다. 심미성의 의미를 담고 있는 aisthesis는 그리스어로서 감각적 인지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인간의 감각을 기초로 체험하고, 인지하고, 표현하고, 이해하고(추체험), 소통하는 것이 예술활동인 것이다. 인간, 특히 어린이는 감각적 경험을 통하여 사고를 형성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심미적 경험은 인간 성장과 발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즉, 예술교육은 인간이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Page 4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33

있어서 가장 원초적이고 기초적인 것이다. 또한 예술적 인식은 인간의 가치관을 형성하기 때문에 인간 교육과 도덕교육의 기초가 되고, 따라서 인성교육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3) 예술교육은 또한 이해와 소통을 바탕으로 공동체 속에서 사회적 갈등을 극복하고 화합과 공존을 이루어내는 사회성 교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정연희, 2007). 여기서 예술교육은 미적 체험을 넘어 창의교육, 감성교육, 인성교육, 사회교육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2.1.5. 문화예술교육의 출현 및 위상 국내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2003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계획은 2004년 문화예술교육활성화 종합계획으로 구체화되었고, 2005년 2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 2005년 12월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으로 뒷받침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을 통해 스스로의 생각, 경험, 느낌을 생각하고 표현하고 이를 함께하는 이들과 공유하며 자존감, 공동체 형성을 통한 문화역량 향상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생애주기별 교육으로 학교와 사회 영역에서 지역과 삶의 주제를 선정하고 주제에 따라 다양한 매체와 장르의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예술교육은 모든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예술성을 계발시켜, 개인의 자아를 실현하고 풍요로운 사회 발전을 추구하는 교육을 의미하며, ‘예술을 위한 교육’과 ‘예술을 통한 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예술교육은 예술을 가르치는 것에 관한 교육 이론, 교수법, 교직에 관한 전반적인 것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교육은 교수자의 철학적 신념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배경, 경험, 상황, 환경을 고려하여 가르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즉 교수자와 학습자의 가르치는 행위에 대한 철학적, 과학적 접근을 포함하는 용어라 할 수 있다. 또한 광의적 개념에서 교육은 가르치는 측면과 학습하는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 예술교육의 개념 안에서 ‘예술을 위한 교육’과 ‘예술을 통한 교육’은 서로 다른 관점을 취하고 있다. 본질적 관점은 예술 자체의 경험을 중요시하지만 맥락적 관점은 예술을 일반적 교육목표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예술을 위한 교육은 미술, 음악, 무용, 연극, 영화 등 예술 장르의 고유한 특성을 살려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지식, 감각, 기능을 키우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예술이 가지는 철학적 의미를 살펴본다면 예술을 위한 교육이 단지 기능 습득에 머무는 것은 아니다. 예술은 아름다움에 대한 근원적 체험을 가능하도록 하고 그 체험을 다시 구체적

3) 이 때문에 현대 교육학 학문의 창시자인 헤르바르트(J. F. Herbart, 1776-1841)는 심미적 교육, 즉 예술교육

을 교육의 핵심 과제라고 강조하였다.(Herbart, 1982) 또한 그는 심미적 경험이 이 세계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교육이라고 주장한다.

Page 4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3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인 예술양식으로 드러내도록 한다. 따라서 예술은 창조성, 상상력, 미적 체험과 같은 개인의 존재론적 근거를 경험하도록 하며 보편성에 따른 의미 구현을 통해 자신을 성취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예술을 통한 교육은 무게 중심을 예술적 경험과 이해가 아닌 학습자와 사회에 두고 인간적 성장과 함께 사회적 역량을 키우기 위한 도구적 목적으로 예술을 활용하는 것이다. 예술을 통한 교육에서는 우리 자신을 창조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 교육을 이해하며 여기에서 예술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 한다. 리드(H. Read)는 “교육의 일반적인 목적은 인간개성의 발달을 조장함과 동시에 그 개인이 소속된 사회집단의 유기적인 통일체 속에서 연역되고 조화된 개인이 되게 하는데 있다.” 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식, 기능, 감성의 모든 영역이 통합된 예술교육이 기본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예술을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으로 구분하는 것은 예술교육의 다양한 입장과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실제로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어떤 접근을 하더라도 목표와 수단이 엄격하게 분리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본질적인 관점으로 예술체험을 시켰을 때,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 교육이 추구하는 지적인 기능적인 가치태도적인 영역에서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맥락적인 관점으로 예술교육을 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예술체험이 예술 그 자체가 가지는 목적 실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예술을 인문학의 체계 속에서 조명한 김문환은 예술이 “단순히 삶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뿐 아니라 상상력을 자극하고 한 사회 또는 시대의 여러 문화요소를 통합하기 때문에 이에 비추어 우리 자신의 현실, 가치 그리고 관심을 재점검할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한 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의 자기이해를 위하여 예술과 교육이 같은 지향점을 가지고 통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예술교육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2004년 문화관광부에서 발간한 ‘창의한국’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비전을 개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사회의 문화역량 강화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은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을 상호 연계적이고 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설정한 개념으로, 예술교육을 근간으로 하여 현행 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미적 감수성 함양이나 창의성 육성, 정서 함양을 통해 궁극적으로 예술교육을 통한 교육적 가치들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모든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를 지향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황연주, 2004).

2.2. 역량의 개념 역량 개념은 사용되는 맥락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역량을 뜻하는 단어 com-petence(또는 competency)는 능력(ability), 능력(capacity), 능력(capability), 자질(qualification), 기술(skill), 능숙(proficiency) 등으로 다양한 의미를 갖고 사용되고 있다(김창환 외, 2013). 그동안 연구되고 정의된 역량 개념 가운데 주요 학자들의 개념정의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Page 4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35

구분 학자 정의

역량

McClelland(1973, 1993)• 업무 성과와 관련된 심리적, 행동적 특성 • 우수한 직무성과를 산출하게 하는 개인의 내재적 특성

Klemp(1980) • 개인의 역할 수행에 있어 성공적인 결과를 산출하는 내재적 특성 Boyatzis(1982)

• 직무 수행에서 탁월한 성과를 낼 수 있는 내재적인 특질 (동기, 특성, 기술, 사회적 역할, 지식 체계 등)

McLagan(1982, 1990)• 직무나 역할 수행에서 뛰어난 실적을 내는 수행자의 능력 특성 • 높은 성과를 가져오는 개인의 능력

Spencer & Spencer(1993) • 직무나 특정 상황에서 탁월한 성과를 창출하는데 직접 관련된 개인의 동기,

특질, 자아의식, 지식, 스킬 등Dubois(1993)

• 직무와 관련된 업무 수행 능력• 삶에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개인의 특성

Norton(1999) • 주어진 직업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및 태도의 성취 • 개인이 주어진 직업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

을 때 소유하고 있는 능력

OECD(2002)

• 다양한 요구에 성공적으로 대응하는 능력 혹은 활동 또는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

• 개인이나 사회의 요구에 성공적으로 부응하면서 활동이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

Rychen & Salganik(2003) • 인간의 심리사회적인 특성(인지적이고 비인지적인 측면)을 활 용하여 복잡한 사회적 요구들에 적절히 대처해 나가는 능력

NCES(2002) • 구체적인 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 능력, 지식의 집합체

강순희 외 (2002)• 조직에서 요구하는 공통적 역량(기본역량)과 개인의 특수직무나 역할에서

요구하는 차별화 역량(전문 역량)의 합 유현숙 외(2002) • 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 주어야 하는 핵심 능력현주 외(2004) •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능력

김정원 외(2011) • 역할 수행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이나 태도

다음과 같다.

<표 II-8> 역량의 정의

* 자료: 김창환 외(2013), pp.29~30.

초기의 역량 논의에서 ‘역량’은 지적인 측면의 역량으로 이해되었다. 지능 개념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1973년 McClelland는 역량이 지능 이상의 특성을 갖고 있다고 강조하였다(McClelland, 1973). 그는 역량을 업무 성과와 관련된 심리적, 행동적 특성으로 파악하였다. McClelland 이후 역량은 주로 직무 수행에서 필요한 능력으로 이해되었다. 직무 수행 능력으로 이해되던 역량 개념을 확대하여 이해하도록 이끈 학자는 Spencer & Spencer이다. 그들은 역량을 ‘개인의 내적 특성’으로 파악하고, 역량이 지식(Knowledge),

Page 4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3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기술(Skill), 동기(Motives), 자아개념(Self-Concept), 특질(Traits) 등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Spencer & Spencer, 1993: 9~11).

<그림 II-3> 역량의 구성 요소

* 자료 : Spencer & Spencer(1993). p.11.

Spencer & Spencer의 역량 이해는 OECD-DeSeCo 프로젝트에서 역량 개념을 논의하는 데에도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역량을 폭 넓게 이해하도록 하고, 또한 역량이 직업을 수행할 때 외에도 일반적으로 삶을 영위하면서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라는 이해로 발전하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즉,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직무능력’으로서의 역량 이해를 넘어서 생활세계에서 필요한 ‘다면적 생활능력’으로 이해하도록 한 것이다. 인간이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라는 이해로 확장되면서 역량은 교육을 통해 개발되어야 하고 또 개발될 수 있다는 관점이 형성되었다. 이와 더불어 역량 논의는 크게 두 차원으로 전개되는데, 하나는 산업계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직무역량’에 대한 논의와, 다른 하나는 교육계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핵심역량’에 대한 논의이다. 역량이 인간 삶을 위해 누구나 갖추어야 하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해되면서 역량에 대한 논의는 경제영역에서 교육영역으로 중심축이 이동한다. 이러한 역량에 대한 논의를 주도한 것은 OECD이다. 1997년부터 OECD 회원국들은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DeSeCo 프로젝트는 21세기 학생들이 삶에 필요한 핵심 역량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밝히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OECD, 2005). DeSeCo 프로젝트는 미래 사회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관심을 갖고 12개국이 연구에 참여하여 3가지 핵심역량(도구를 상호적으로 사용하기, 이질적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자율적으로 행동하기)을 도출하였다(OECD, 2005). OECD-DeSeCo 프로젝트 이후 선진국들은 경쟁적으로 역량에 대한 논의를 심도 있게 전개하였다. 뉴질랜드, 독일 등 일부 국가들은 역량 개발을 국가 교육과정의 핵심과제로 설정

Page 4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37

하고 교육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7년부터 역량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해졌고, 취학전 교육부터 대학까지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역량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역량에 대한 논의가 전문화되고 세분화되고 있다. OECD가 일반역량과 핵심역량에 관심을 기울였다면, 이후 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한 역량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OECD에서 개발한 자기관리역량, 공동체역량과 더불어, 학업역량, 진로/직업역량, 사회적 역량, 시민역량, 조직역량, 경제적 역량, 문화역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역량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역량은 이제 사회 각 분야에서 공동체 구성원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기울이는 곳에서 반드시 사용되는 개념이 되었다.

<그림 II-4> 역량 논의 발전 과정

지금까지의 역량 논의를 종합하여 볼 때, 학자들 사이에서 합의된 역량 이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을 개인적 차원의 역량과 사회적 차원의 역량으로 구분하고 있는 점이다. 역량은 일차적으로 개인이 소유한 것이기 때문에 개인적 차원의 역량(intra-personal competency)이다. 그러나 동시에 역량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하면서 발휘되는 능력(inter-personal competency)이기 때문에 사회적 차원의 역량을 포괄하고 있다. 그러한 연유로 OECD에서는 핵심역량을 개인적 차원의 역량(자율 역량, 지적도구 사용역량)과 사회적 차원의 역량(상호작용 역량)으로 구분하고 있다. 둘째, 역량은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을 모두 포괄한다는 점이다. Spencer & Spencer가 이미 강조한 바와 같이 역량은 인간의 다면적 특성을 포괄하고 있다. OECD-DeSeCo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학자 Rychen & Salganik(2003, 45)은 역량에서 일차적으로는 인지적 측면(인지적 역량)이 중요하지만, 동시에 행위적 측면(동기, 정서, 가치, 태도 등)도 중요하다고 보고, 이 두 가지 측면을 포괄하는 통합적 모델(holistic model)을 강조하였다. 셋째, 역량이 교육을 통해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OECD-DeSeCo 프로젝트에서 역량을 교육을 통해 개발되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미래 학생의 성공적인 삶과 국가사회의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UNESCO에서도 Learning Metrics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인지적 측면의 역량과 비인지적 측면의 역량이 학교교육을 통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이란 개념을 OECD-DeSeCo 프로젝트 이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방식을 차용하여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시민으로서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Page 4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3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자질’로 규정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역량 개념 안에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을 포괄하는 것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인지적 측면의 역량으로는 지식(knowledge), 문해(literacy), 사고(thinking), 학습(learning) 요소 등이 있고, 비인지적 측면의 역량으로는 태도(attitude), 가치관(value), 감정(emotion), 동기(motive), 기술(skill), 행위(action) 등의 요소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OECD-DeSeCo 프로젝트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역량을 개인적 차원의 역량(지적도구 사용역량, 자율 역량)과 사회적 차원의 역량(상호작용 역량)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2.3. 문화자본의 개념 문화자본은 경제적 자본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물질적 생산 활동의 가치보다 정신적-문화적 활동의 가치를 강조하는 개념이다. 자본이 기회를 만들어 내는데 기여하고, 기회가 역량을 키우는데 기여한다고 볼 때, 문화적 자본은 국민에게 문화적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2.3.1. 피에르 부르디외(P. Bourdieu)의 문화자본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P. Bourdieu)는 유럽의 무상 교육 환경에서도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재생산되는 현실을 분석하기 위한 핵심개념으로 교육사회학적 관심에서 문화자본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후 문화사회학적인 관심을 확장하면서 사회계급의 위계구조와 문화취향의 위계 사이에 상동적인 관계가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 정통이라고 인정된 문화(legitimate culture)에 대한 취향을 문화자본으로 개념화하였다(Bourdieu, 1984). 부르디외는 문화 취향을 자본으로 개념화함으로써 문화소비 및 문화생산의 경험이 가지는 축적적인 성격을 강조하였다. 문화소비의 전제조건으로서 문화자본이 요구되고 문화활동을 지속함으로써 문화자본이 확장되는 현상을 문화자본으로 개념화한 것이다. 문화자본의 사회학적 의미는 다른 성격의 자본과 가지는 관계에서 두드러진다(Bourdieu, 1986). 문화자본은 경제자본, 사회자본과는 구분되는 별개의 고유한 영역에 관계하는 자본이지만 다른 자본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경제자본을 활용하여 문화자본을 축적할 수 있고 문화자본을 이용하여 사회자본을 획득할 수 있다. 부르디외는 문화자본의 종류를 객체화된 자본, 체화된 자본, 제도화된 자본으로 제시하여 문화자본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인식을 제공하였다.

2.3.2. 폴 디마지오(P. DiMaggio)의 문화자본

Page 4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39

폴 디마지오(P. DiMaggio)는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논의를 미국에 소개하여 오늘날 세계적으로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이 영향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이론의 소개에 머물지 않고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여 문화자본의 측정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많은 경험적 연구를 촉발시켰다. 디마지오(1982)의 경험적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학력 성취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TALENT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문화자본 측정을 위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음악회 참석이나 문학작품 읽기 등의 질문항을 선별하여 태도, 참여, 정보의 세 분야에 대한 질문을 통해 문화자본을 측정하였다. 태도 항목에서는 미술, 음악, 문학에 대한 관심, 문화와 관련한 자기 평가 척도를 제시하였고, 활동 항목에서는 학교 활동 이외의 영역에서 수행한 시각예술창작, 공연경험, 예술행사 참여를 측정하였고, 정보 항목에서는 음약, 미술, 문학 영역의 정보에 대한 테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4. 문화역량의 개념 2011년 문화역량지수 개발 연구에서는 문화역량을 “삶의 질을 고양시키는 문화적 인식, 기술, 태도로서 개인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활력이 넘치고 감정적으로 잘 조율되어, 지적활동을 합리적으로 하며, 가치로운 삶을 추구함으로써 문화적으로 성숙한 태도를 드러낼 수 있는 통합적 능력”으로 규정하였다(추미경 외, 2011). 한편 2012년 문화역량지수 조사에서는 문화역량을 “개인 및 조직, 사회가 상상력, 놀이, 인공물을 통해 문화와 예술을 생산, 축적, 공유, 이해 소통하며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고 창조적이고 비판적으로 느끼고 표현하며 행위하는 역량”으로 규정하였다(정광호 외, 2012). 2011년의 개념규정에서는 보다 기초적이며 근본적인 역량의 측면이 더 많이 강조되었다. 그 결과 신체와 정신, 지성과 감성이 모두 포함되는 광범하고 포괄적인 개념정의가 이루어진 반면 그것이 발현되는 맥락이나 활용의 측면에 대한 강조가 약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2012년의 문화역량에 대한 개념규정은 우선 역량의 적용범위를 개인만이 아닌 조직과 사회로 확장하고, 또한 대상을 문화와 예술과 관련된 행위로 한정하는 한편 차이와 다양성 인정, 창조적, 비판적 느낌과 표현 등 사회적으로 역량이 발휘되는 맥락을 보다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연구의 개념규정을 종합할 수 있는 문화역량의 개념을 도출하고자 한다. 우선 문화에 대해서는 앞서 문화에 대한 개념 규정에서 “문화예술, 생활양식, 공동체적 삶의 방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 등을 포함하는 사회나 사회구성원의 고유한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특성의 총체”로 규정하였기 때문에 생활양식과 문화예술 및 가치관, 정신과 물질, 지성과 감성을 포괄하되, 생활양식보다는 문화예술, 물질보다는 정신, 지성보다는 감성에 보다 더 초점을 두고 접근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포괄범위를 지나치게 넓게 잡을 경우 문화역량과 역량 일반이 혼란스럽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2011

Page 4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4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년 및 2012년의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문화예술교육과의 관련성을 염두에 두고자 한다. 문화역량이 단지 개인에게 잠재된 것일 뿐만 아니라 개인적, 사회적으로 개발(cultivate)될 수 있고 또한 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과의 관련성에 대한 고려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문화역량 개념을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문화시민으로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문화의 생산과 향유의 바탕이 되며 사회적, 경제적 삶을 풍요롭고 조화롭게 하는 데 기여하는 감성과 태도 및 취향과 지식”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화역량 개념에는 개인의 고유한 역량과 사회적으로 함양된 역량이 포괄되며, 본 연구는 이의 증진을 위해 교육(자기개발 포함)이 필요하다고 본다.

문화역량의 개념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문화시민으로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문화의 생산과 향유의 바탕이 되며 사회적·경제적 삶을 풍요롭고 조화롭게 하는 데 기여하는 감성과 태도 및 취향과 지식

이처럼 문화역량의 개념을 규정하는 배경에는 본 연구에서 취하는 세 가지 관점이 존재한다. 첫째는 통합적 관점이며, 둘째는 개발적 관점이고, 셋째는 상호작용적 관점이다. 첫 번째 통합적 관점은 인간을 이성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을 포괄하는 존재로 파악, 문화를 인간의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특성의 총체로 파악, 역량을 지식, 기술, 태도, 동기, 행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Dewey, 2005). 문화를 사회 및 개인의 특정한 영역에 국한되는 것으로 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문화역량 개념 역시 특정 영역에서의 활동에 요구되는 능력과 지식, 태도로만 보는 것은 지나치게 한정적이다. 문화기본법의 문화 규정에서 볼 수 있듯이 단순히 문화예술영역에서의 경험과 태도를 넘어 사회적 맥락 속에서 문화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해서도 다루어야 할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문화역량을 예술의 좁은 장르에 한정하지 않고 개인이 예술적 경험, 체험, 기회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개인의 삶에 어떠한 진전과 성장이 있었는지를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 개발적 관점이란 문화역량이 교육적 행위를 통하여 개발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모든 역량이 그렇지만 문화역량은 특히 문화(culture)라는 단어 자체가 개발(cultivate)이라는 말과 연관되어 있듯이 교육을 통한 발전이 매우 중요하다. 문화역량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특히 문화예술교육이다. 다음 그림은 본 연구의 이러한 관점을 요약적으로 보여준다.

<그림 II-5> 문화역량에 대한 개발적 관점

Page 4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41

특히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역량의 강화 및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국민의 문화역량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국민들의 문화역량이 개발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예술교육의 대상과 내용 및 방식은 본래부터 유동적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에 따라 재정의 되어야 하는데, 과거 전근대 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주로 엘리트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문화예술교육이 국민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Arnold, 1960). 하지만 여전히 현재에도 예술교육에의 접근이 상당 부분 고급화되어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이 보다 취약계층 사람들에게 실질적으로 혜택이 주어질 수 있도록 목표설정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의 문화역량을 제고하는데 집중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문화역량과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은 문화적 역량을 갖추고 이를 증진하는 시민을 지원하고 키우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어떤 분야에서 혹은 어떤 계층의 사람들에게 문화역량의 어떤 부분이 결핍되었는지를 파악하여 문화예술교육이 그 부분에 집중될 필요도 있다고 하겠다. 이는 문화역량의 측정이 교육의 결과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교육의 출발점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에 대한 공공지원에 관한 정책적 논의가 과거 생산자 위주의 지원으로부터 향유권의 확장으로 그 중심이 변화해 왔다면, 이제는 그동안 수행된 지원정책이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해 주었는가에 의문을 던지고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생활예술인 양산에 의의를 둘 필요가 있다(Fine, 2006). 이를 위해서도 국민 전반의 문화역량 제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은 이제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과 직접 관련성을 갖는 경험의 제공만이 아니라 사회 전체로 확장하여 정신적 풍요로움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 번째 상호작용적 관점이란 문화역량을 문화적 측면,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하되, 문화적 역량이 사회적 역량 및 경제적 역량과 중첩되며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문화적 역량이 사회나 경제로부터 독립적이거나 고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Becker 1984, Bourdieu 1993). 사회적 역량이란 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감, 참여, 소통, 포용 등의 역량에서 문화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공유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고 본다. 또한 경제적 역량이란 인간 삶에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합리적으로 소비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역량 측면에서 문화역량과 경제적 역량이 공유하고 있

Page 5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4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는 측면이 있다고 파악한다. 아래 표는 문화역량의 특성을 사회 및 경제의 역량과 비교한 것이다. 또한 아래 그림은 사회적 역량 및 경제적 역량과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문화역량의 범위를 제안한 것이다. 문화역량의 범위는 아래 그림에서 예술역량을 포함하는 고유한 부분과 함께 사회적 역량 및 경제적 역량과 교집합을 이루는 부분을 모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Page 5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고찰 | 43

<표 II-9> 문화적·사회적·경제적 역량의 특성 비교구분 문화적 역량 사회적 역량 경제적 역량

핵심가치 감성, 심미성, 창의성, 다양성, 사회성 사회성, 시민성 창의성, 합리성

지향점 문화시민, 국민행복, 삶의 질, 문화경제

사회의 질, 사회통합 창조경제, 문화콘텐츠

주요 역량 감수성, 상상력, 표현력, 공감, 참여, 소통

공감, 참여, 소통, 개방, 포용, 배려 창작, 생산, 소비

<그림 II-6> 문화역량의 범위

문화역량을 상호작용적으로 본다는 의미는 문화역량이 사회적 역량 및 경제적 역량과 관련을 맺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특히, 문화적 역량에서 창의성은 경제적 역량과, 다양성 및 공감은 관용과 포용이라는 사회적 역량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제적 역량과 문화적 역량의 교집합 부분을 물질문화로, 이를 제외한 문화적 역량의 영역을 정신문화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역량, 경제적 역량, 그리고 문화적 역량의 균형 발전이 국가 선진화의 중요 가치라고 본다. 연구진이 정의한 문화역량 개념은 1차적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정되었고, 2차적으로 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폭넓은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확정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연구진이 제시한 문화역량 개념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과 함께 구성 요소와 표기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보완 의견을 제시하였다. 연구진이 제시한 문화역량 개념(안)의 타당성에 대해 전문가 32명의 평가는 5점 만점에 평균 3.75점이었다. 전문가의 65.6%가 타당하거나 매우 타당하다고 응답하였고, 31.3%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고, 3.1%가 타당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연구진은 전문가 델파이조사 결과를 충실히 반영하여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Page 5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4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그림 II-7> 문화역량 개념(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12.5%

53.1%

31.3%

3.1%

0.0%

10.0%

20.0%

30.0%

40.0%

50.0%

60.0%

매우 타당 타당 보통 타당하지 않음

사회지표(social indicators)는 폭넓게 볼 때 “사회적 조건과 동향에 대한 계량적 측정치들”로 규정된다(Smith 1981: 739). 사회지표란 또한 “사회체계를 추적관찰(monitor)하고 사회변화를 확인하며 이러한 변화에 개입하여 사회적 변화의 과정을 변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Ferriss 1988: 601) 시계열적 통계치를 의미하기도 한다. 본래 방법론적으로 경험적 지표는 통계학적으로 복잡한 현상의 특정 측면을 보여주는 계량적 측정치를 의미하며, 이러한 경험적 지표들이 모여 복잡하고 다차원적 현상의 특성을 요약하는 지수(index)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때 다양한 지표들은 연구자들로 하여금 관심을 갖는 현상의 질적 특성을 양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만들어지고 이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회과학의 경험적 연구들에서는 연구대상이 되는 현상에 대한 경험적 지표들을 정하고 이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통해서 가설을 검증하거나 현상에 대한 판단을 내린다. 지표가 추상적 개념인 문화역량을 대표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역량 개념과 지표 간의 격차를 좁히고 보다 정확히 사람들의 문화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진단조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화와 관련된 이론 및 법률과 역량, 그리고 문화자본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역량의 개념을 도출하고 이것의 특성을 정리했다. 이는 다음 장에서 진행할 문화역량의 개념 및 측정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문화역량 지표체계를 세우는데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과정이다. 즉 문화역량지표란 문화역량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대표함과 동시에 문화역량과 관련된 경험적 자료를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를 의미한다.

Page 5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45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1. 문화역량 개념모형2. 문화역량 측정모형

3. 문화역량 진단조사도구 개발

Page 5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5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47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이 장에서는 문화역량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문화역량 개념모형을 개발하고, 개념모형에 기초하여 측정모형을 개발한 후, 문화역량 지표체계 및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1. 문화역량 개념모형

문화역량 개념모형이란 문화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개념과 요소들을 구조화한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량 개념모형에 부합하는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네 가지 접근을 시도하였다. 먼저, 문화 및 문화역량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다. 문화예술, 역량, 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관련된 법을 검토하였다. 문화기본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을 검토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화예술 및 문화역량 관련 지표와 지수를 검토하였다. 문화역량지수, 문화지표, 예술지수, 문화향유실태조사, 문화다양성지표, 청소년다문화수용성조사, 지역문화지표, 국민여가활동조사, 여가행복지수, 문화예술인실태조사 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였다. 문화에 대한 이해가 다양한 점을 고려하여 가급적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림 III-1> 문화역량 개념모형 도출 방법

Page 5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4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1.1. 문화역량의 요소 및 특징 본 연구에서는 역량을 전인적 측면에서 논의하여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핵심가치로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에 인간 역량의 성장이 자연(nature)에서 특정한 상황과 맥락(culture)의 구조로 전환된다고 전제하였다. 특히 문화역량은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적 성격이 아닌 그 자체가 목적적 가치를 갖기도 한다는 점에서 다른 역량과 다른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량을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이라는 두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개인적 수준에서는 자신의 느낌과 감정, 상상을 어떻게 표현하고 또한 다른 사람들의 감정적 표현이나 문화적 산물을 수용해서 반응할 수 있는지 여부라는 차원에서(Dilthey, 2002), 사회적 수준에서는 문화적으로 세련된 개인들 간에 공감과 소통, 이해가 잘 이루어져서 기술적이고 도구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의미와 감성이 충만한 문화적 삶이 공유될 수 있는가를 중점에 두었다(Dewey, 2005).4) 또한 개인 수준과 사회 수준은 서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일련의 순환적 연결고리를 통해서 긴밀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Becker, 1982)는 점을 반영하였다. 개인 및 사회적 수준에서 문화역량이 축적되고 발휘되는 과정은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III-2> 문화역량의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순환구조

개인에 따라 접근과 실행의 차이는 있으나 ‘특정 체험’으로부터 반추하여 ‘느낌’을 가지게 된다. 자신의 체험에 대해 얼마나 풍부한 느낌을 갖는가는 문화역량의 중요한 기초이다

4) 본 연구에서 개념화한 문화역량은 국가 혹은 사회나 조직의 문화역량이 아닌 ‘개인’의 문화역량을 전제로 하

며, 이러한 점에서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개인적

수준”은 ‘개인’이 경험하거나 표현하는 차원의 역량을 의미하고, “사회적 수준”은 조직이나 사회(society)의

역량이 아니라 ‘개인’이 사회관계적 혹은 사회활동적 차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Page 5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49

(Dilthey, 2002). 하지만 이러한 느낌이 반드시 체험된 것에서만 비롯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직접 체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대상에 대해서도 ‘상상’을 통해서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Greene, 1995). 상상 역시, 문화역량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야 하는 까닭은 이것이 체험과 느낌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체험’에 대한 반추를 통해서든, 아니면 상상을 통해서든, 일단 ‘느낌’을 갖게 되면 사람들은 이를 ‘표현’하려 한다.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통해 표현을 하든, 기록을 통해 표현을 하든, 아니면 예술적 표현수단을 통해 표현을 하든, 느낌을 표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화역량의 일부이다. 표현은 자신의 느낌을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동시에 표현은 진부하거나 상투적이면 표현을 받아들이는 상대방에게 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정확하면서 참신하고 창의적인 표현이 중요하다(Kavolis, 1968). 일단 표현되어진 의미와 감정은 ‘의미와 상징’으로 특정인 혹은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이를 접하게 된 사람은 이러한 표현을 이해해야 한다. ‘이해’란 다른 사람의 직접적인 혹은 상상되어진 체험의 내용을 상상 속에서 함께 공유함으로써 표현한 바의 의도와 의미에 도달하는 과정이다. 이처럼 개인의 체험, 느낌, 상상, 표현의 반복 속에서 내재적 기초 역량의 기반이 마련된다(Dilthey, 2002). 내재적 기초 문화역량이란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방식이 아닌 개인이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방식에서 얼마나 효과적이고 창의적일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언어적 상징을 통해서든 아니면, 그 밖의 시각적·음향적 상징을 통해서든 표현과 이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개인 혹은 사회는 문화적으로 잠재된 기초역량이 풍부한 것이다. 그런데 문화와 관련하여 표현과 이해의 교환 및 순환과정을 둘러싼 사회적 규칙과 관행으로서 문화적 문법 및 제도들이 존재한다(Becker, 1982; Dickie, 1974). 이러한 문화적 문법과 제도를 통해서 기초 역량은 참여, 관심/지식, 취향의 실천역량으로 발전할 수 있다. 사회에 속한 개인들의 기초역량에 기반해서 표현되어진 바들이 쌓이면서 문화적 ‘관심’이 형성된다. 하지만 문화적 관심은 개인의 자발적 활동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문화적 교육과 참여를 통해서 형성된 취향에 의해 보다 더 많이 형성된다(Bourdieu, 1993). 문화적 관심은 문화에 대한 지식을 추구하게 하며, 또한 관심과 지식을 갖춘 개인들은 문화적 참여를 통해서 문화적 생산 및 향유를 경험한다. 반복된 문화적 참여를 통해서 개인들은 집단적으로 구분되는 취향을 갖게 된다. ‘취향’이란 자신이 선호한다고 생각하는 문화적 형식과 내용들을 의미한다. 그런데 집단적 참여를 통해서 개인들은 공동의 취향을 형성하기 때문에, 집단에 따라 문화적 취향은 차이를 보인다. 예컨대 인종이나 종족별로 자신들의 문화적 전통이 취향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사회계층적으로도 부르디외가 주장하듯이 문화자본에 따른 위계화된 계층의 형성이 나타난다(Bourdieu, 1993). 취향은 외국 이론을 토대로 ‘대중문화-고급문화’와 ‘유니보어(Univore)-옴니보어(Omnivore)’5)를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한국적 상황(예: K-pop 장르

Page 5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5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의 형성)을 고려하여 ‘자국문화-외국문화’의 취향을 측정해 볼 필요도 있다(한준, 한신갑, 신동엽, 구자숙, 2007). 집단별로 분화된 취향은 개인에게 다시 영향을 미쳐 개인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지식을 분화시키고 차별화시킨다. 이처럼 사회와 개인의 관계적 차원이라고 할 수 있는 실천적 역량에서도 순환고리가 존재한다. 앞서 언급한 개인적 기초역량에서의 순환고리가 문화적 체험과 상상의 표현 및 이해를 통해 개인에게 역량이 축적되는 것을 의미한다면, 실천적 역량에서의 순환고리는 관심과 지식에서 출발해서 참여와 취향 형성을 통해 개인 간에 차별화된 문화적 취향과 역량이 발생하는 과정인 동시에,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문화교육을 통해 집단 간 격차를 줄이는 등 전반적인 수준을 높이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순환고리의 가장 외곽을 형성하는 개인의 사회적 수준에서의 역량은 문화역량이 발휘되어 사회적으로 관계와 과정에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역량은 개인적 차원에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능력이자. 사회 속에서 개인의 문화적 취향과 관심 및 참여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사회 전반에서 본다면 사회적 소통과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을 가져올 수 있는 바탕이 된다(DiMaggio and Useem, 1978). 이러한 ‘소통’과 ‘이해’, ‘공감’은 사회적 갈등의 소지를 줄이고 통합을 가져올 수 있는 기초가 되기도 하며, 이미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사회로의 경향 속에서 관용과 공존을 가능하게 해주기도 한다.

<그림 III-3> 문화역량 구성요소 개념도<개인적 수준의 문화역량 요소>이해 (understanding) 문화 형성 (building (cultural))지식(knowledge) 상상(imagining)느낌(feeling)문화 유지 (maintaining (cultural)) 열정(passion)

창의적 표현(creative expressing)사회적 참여(social participation)

<사회적 수준의 문화역량 요소>참여(participating)

소통(communicating)공감대(sympathizing)

5) 미국 사회학자 Peterson & Simkus에 의해 처음 옴니보어-유니보어 가설로 제기되었다(Peterson & Simkus,

1992). 옴니보어-유니보어 가설(The Omnivore-Univore Hypothesis)은 계층에 따라 여가소비의 형태가 포

괄적 혹은 집중적인 성향을 보인다는 논의로, 옴니보어(omnivore: 잡식성)은 특정 문화에 한정되지 않은 폭넓

은 문화취향을 가진 경우를 의미하며, 유니보어(univore: 편식성)는 특정한 문화에 한정하는 취향을 의미한다.

Page 5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51

위의 <그림 III-3>는 이러한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에서의 문화역량의 관계를 보여준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문화역량 연구는 사회적 역량 및 경제적 역량과 중첩되는 부분 혹은 이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문화역량의 사회 및 경제에 대한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방법론적 한계 때문에 문화역량과 관련되는 ‘사회성 영역’과 ‘창조성 영역’을 찾아내어 사회적 문화활동과 창의적 문화활동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으로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도 한다. 사회적 문화활동으로는 문화 자원(cultural capital)이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콘텐츠가 되는가의 측면에서 “사회성 여가활동”, “의사소통의 주제에 문화적인 요소가 얼마나 포함 되는가”, “누구와 영화를 보는가”의 내용이 포함 가능하다(Lizardo, 2006). 또한 창의적 문화활동으로는 기존 조사에 있었던 ‘창작표현활동’과 함께 “문화활동에서 창의적 체험을 경험했는가”, “소비활동에서 심리적 차원을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하는가”가 문화적 역량(cross-cultural competence) 관련 문화활동 등의 내용으로 포함된다(Florida, 2002). 한편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전문가들은 연구진이 제시한 문화역량 개념모형에 대해서 의견을 유보한 경우도 다수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보완 의견을 제시해주었다. 또한 문화역량을 세 가지 차원(문화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구분한 점에 대한 논거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제시되었고, 특히 경제적 역량에 대해서는 찬반의견이 나뉘었다. 연구진이 제시한 문화역량 개념모형의 타당성에 대해 전문가 31명의 평가는 5점 만점에 평균 3.29점이었다. 전문가의 38.7%가 타당하다고 응답하였고, 51.6%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고, 9.7%가 타당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연구진은 수정보완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여 수정된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그림 III-4> 문화역량 개념모형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단위: %)

0.0%

38.7%

51.6%

9.7%

0.0%

10.0%

20.0%

30.0%

40.0%

50.0%

60.0%

매우 타당 타당 보통 타당하지 않음

Page 6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5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2. 문화역량 측정모형

2.1. 문화역량 측정모형 문화역량 측정모형이란 문화역량 개념이 담고 있는 속성을 수치화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가공한 모형이다. 측정모형에 기초하여 지표를 구성하고,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문화역량을 문화기본법 제7조의 역량에 대한 내용을 참고하여 국민 개개인이 갖추고 있는 역량이라고 이해하고, 위의 개념모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량을 크게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역량을 개인의 내면에 있는 역량(기초 역량), 내면을 밖으로 표출하는 역량(실천 역량), 그리고 표현된 것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역량(사회적 역량)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파악하였다. 문화역량을 크게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개인적 차원을 내재적 요소와 외향적 요소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분에 부합하는 역량을 도출하는 작업을 시도하였고, 앞서 논의한 문화역량의 순환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10개의 세부 역량을 도출하였다.

<표 III-1> 문화역량 구성체계차원 문화 역량

개인적 차원(individual dimension)

내재적 요소- 감수성- 상상력- 취향- 관심/지식- 이해

외향적 요소 - 참여- 표현력

사회적 차원(social dimension)

- 공감- 소통- 관용

연구진이 제시한 문화역량 측정모형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조사 결과, 타당하지 않다는 의견도 일부 있었으나 타당하다는 의견이 우세하고, 구성체계와 요소에 대해서 다양한 수정·보완 의견이 제시되었다. OECD 핵심역량 구성체계와 유사하게 문화역량을 개인적이고 관계적이고 집단적인 상황 속에서 발휘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대체적으로 동의하였으며,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이었다. 그러나 일부 요소(지식, 이해, 표현 등)에 대해서는 구성체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취향은 절대적인 기준에

Page 6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53

대영역 소영역 개념정의

개인적차원

내재적 요소

감수성sensibility

- 인간 의식의 정서적 성향- 외부 세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성질- 외적 자극에 대한 반응의 정도

상상력imagination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힘- 직접 경험이 없이 이미지나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능력

취향taste

-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방향 또는 그런 경향- 대상의 미적 품질을 받아들이는 특별한 능력- 문화의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

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

knowledge

- 주의력이나 흥미가 특정한 사물로 향하고 있을 때의 심적 태도나 감정 (interest)- 특정 대상에 대한 지향성(orientation)- 어떤 것에 마음이 이끌려 주의를 기울임(attention)- 대상에 대한 경험적 인식(knowledge)

이해understanding

- 언어, 기호, 회화, 조각, 음악과 그 밖의 문화적 산물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 상징의 의미나 의도를 파악하고 해석하는 능력

의거하여 지수화하는 것이 어렵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연구진이 제시한 문화역량 측정모형의 타당성에 대해 전문가 31명의 평가는 5점 만점에 평균 3.58점이었다. 전문가의 58.1%가 매우 타당하거나 타당하다고 응답하였고, 35.5%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으며, 6.5%가 타당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연구진은 수정보완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여 수정된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그림 III-5> 문화역량 측정모형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6.5%

51.6%

35.4%

6.5%

0.0%

10.0%

20.0%

30.0%

40.0%

50.0%

60.0%

매우 타당 타당 보통 타당하지 않음

개인적 차원의 역량과 사회적 차원의 역량으로 구성되는 문화역량의 구성요소들의 개념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표 III-2> 문화역량 구성 요소 및 개념 정의

Page 6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5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대영역 소영역 개념정의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 관심 대상에 끼어들어 관여하는 행위

표현력expressiveness

- 인간 안의 내적인 것을 밖으로 표출하는 능력- 생각과 느낌 등을 언어나 몸짓 같은 형상으로 나타내는 능력 - 경험하거나 상상한 것을 상징을 활용하여 나타내는 것

사회적 차원

공감empathy

- 다른 사람의 심리적 상태를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느끼는 것을 통해서 지각하는 방식- 타인의 처지나 입장에서 느끼고 생각하는 능력

소통communication

- 막힘없이 잘 소통하는 것- 편견과 선입견 없이 경청하는 자세와 상대의 의사를 제대로 파악하려고

노력하는 자세에 기초하여 서로가 서로의 말뜻을 잘 알아들음- 다른 사람과 의미와 의견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이해하는 것

관용tolerance

- 나와 다른 배경/정체성에 대해 거부하지 않는 것- (종교적·사회적) 신념이 나와 달라도 기본권(대한민국에서 살 권리 등)을

인정하는 것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량 개념모형에 기초하여 측정모형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문화역량 측정모형은 2개의 대영역과 10개의 소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정모형은 문화역량에 대한 진단조사 결과를 지수화 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틀로 작용한다. 즉, 국민의 문화역량 수준을 전체 지수, 영역별 지수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데 유용한 틀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림 III-6> 문화역량 측정모형

2.2. 문화역량 지표체계 문화역량 개념모형 및 측정모형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문화역량 지표체계를 개발하였다. 문화역량 지표체계에는 대영역, 소영역, 지표 등이 포괄적으로 담겨져 있다. 이러한 지표체계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문화역량지표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Page 6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55

대영역 소영역 지표

개인적차원

내재적 요소

감수성sensibility - 감수성

상상력imagination

- 상상력- 창의성

취향taste

- 미적 품질 판단 능력- 문화적 가치 판단 능력

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

knowledge

- 문화에 대한 관심 정도- 문화지식 수준

이해understanding - 문화 이해 능력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 문화 관람- 문화 창작발표 능력- 문화 동호회 활동- 문화 봉사 활동- 독서량- 문화예술교육 참여

표현력expressiveness - 표현력

사회적 차원

공감empathy - 공감 능력

소통communication

- 의사소통능력- SNS 소통 능력

관용tolerance

- 문화 개방성- 문화 포용성

<표 III-3> 문화역량 지표체계

Page 6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5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3. 문화역량 진단조사도구 개발

3.1. 문화역량 진단조사도구 개발

문화역량 진단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먼저 진단조사지를 개발하였다. 총 27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진단조사는 직접평가와 간접평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직접평가는 학업성취도 평가와 같이 시험 문제를 개발하여 능력을 테스트하는 것으로서 주로 인지적 평가에 많이 활용된다. 간접평가는 조사 대상이 자가진단을 통하여 자신의 역량을 스스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주로 비인지적 측면의 평가에서 많이 활용된다. 비인지적 측면의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본 문화역량 지표의 특성상 간접평가 방식을 취하여 진단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진단조사의 조사영역 및 내용은 아래 <표 Ⅲ-4>와 같다. 우선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대영역을 나누고, 개인적 차원에서는 다시 내재적 요소와 외향적 요소를 중분류했다. 그리고 내재적 요소는 감수성, 상상력, 취향, 관심/지식, 이해의 5가지 소영역으로 세분했다.

<표 III-4> 문화역량 진단조사를 위한 예비조사의 조사영역 및 내용대영역 소영역 조사내용

개인적차원

내재적 요소

감수성sensibility

일상생활에서의 정서적 경험문화예술활동을 통한 정서적 경험

상상력imagination

상상에 대한 개인의 의식 성향일상생활에서의 상상력문화예술활동에서의 상상력

취향taste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에 대한 개인의 의식 성향 및 취향여행에서의 문화예술 활동일상생활에서의 취향

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knowledge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문화예술에 대한 지식이해

understanding일상생활에서의 이해능력문화예술활동에서의 이해능력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문화예술 동호회 및 자원봉사 참여문화예술 및 스포츠행사 관람과 일반 문화예술활동 참여문화예술교육 경험 및 교육의 효과

표현력expressiveness

일상생활에서의 표현력경험하거나 상상한 것을 상징을 활용해 나타내는 능력

사회적 차원

공감empathy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처지나 입장을 느끼고 공감하는 능력문화예술활동에서 작품의 상징과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는 능력

소통communication

타인과 의미/의견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SNS를 활용한 소통

관용tolerance

다른 가치관 및 의견에 대한 포용성다문화 수용성

Page 6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57

‘감수성’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정서적 경험의 내용을 담기 위해 주변 환경이나 사람들의 변화를 얼마나 느끼고 반응하는지와 감수성이 풍부한 정도를 스스로 응답하도록 했다. 또한 문화예술 활동에서의 감수성을 묻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영화와 드라마 감상에서의 정서적 경험에 대해 응답할 수 있도록 문항을 개발했다. ‘상상력’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상상에 시간을 할애하는 것에 대한 개인 의식의 성향을 묻는 문항과 감수성과 같이 자신의 상상력이 풍부한 정도에 대해 스스로 응답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했다. 또한 일상에서의 행동과 생각에 상상이 개입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했고, 문화예술활동에서 상상력을 활용하는 정도를 묻기 위해 문학작품을 예로 들어 문항을 구성했다. ‘취향’에서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에 대한 개인의 의식 성향을 묻기 위한 문항을 구성하였고 취향은 절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지표화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문화예술 취향이 배타적으로 고급문화 혹은 대중문화만을 선호하는 형태로 나타나는지 아니면 다양한 문화예술장르에 선호를 갖는 옴니보어적 문화취향을 갖는지 알기 위해 음악장르를 세분하여 문항을 구성했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취향과 관련한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여행 중에 문화예술 활동에 얼마나 참여하는지에 대한 문항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취향을 나타내는가를 알기 위해 자신만의 고유한 스타일을 갖는지를 묻는 문항을 포함시켰다.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은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구하고자 노력하는 정도와 대화 소재에 문화예술의 내용을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가를 묻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한편 연구진은 직접적으로 제시문을 통해 문화예술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할 때, 한정된 문항으로 한정된 내용만을 확인하게 되어,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문화예술에 대한 지식의 폭을 문항에 담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문화역량 사전조사에서는 스스로가 생각하는 문화예술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응답할 수 있도록 구성한 문항을 별도로 개발했다. ‘이해’ 영역은 일상생활과 문화예술활동에서의 이해능력을 묻는 문항을 포함한다. 문화예술활동에서의 이해 능력은 독서와 예술작품을 감상할 때 언어와 상징 등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개인적 차원의 외향적 요소는 참여, 표현력의 두 가지로 세분하였다. 우선 ‘참여’는 문화역량의 소영역 중 가장 많은 문항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한다’는 행위가 문화역량의 능동적 측면을 잘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가 포함하는 다양한 활동 및 효과와 여러 가지 참여의 형태에 대한 조사는 질적 연구에서 포괄적으로 다루기 힘든 측면이 있어서, 참여 영역은 설문조사를 통한 문화역량 조사의 장점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참여에 대한 측정은 구체적인 참여활동을 기준으로 참여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차원에서 구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전조사 설문지에

Page 6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5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는 동호회 참여 경험, (문화)자원봉사 활동 참여 경험, 문화예술 및 스포츠 행사 관람 의향 및 실제 관람 여부, 학교 내외부에서 이루어진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경험과 그 효과,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에의 참여 경험 여부 등의 문항을 구성하여 문화역량의 요소 중 참여의 영역을 측정하고자 했다. ‘표현력’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은 두 가지 성격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언어나 몸짓으로 나타내는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얼마나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적극적으로 새로운 표현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지를 물었다. 다른 하나의 성격은 경험하거나 상상한 것을 상징을 활용해 나타내는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경험하거나 상상한 것을 표현하기 위해 글이나 사진 등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의 내용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사회적 차원은 공감, 소통, 관용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공감’은 일상생활에서의 공감능력과 문화예술활동에서의 공감능력으로 나뉜다. 일상생활에서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타인의 입장을 잘 이해하는지, 타인의 감정과 고통을 얼마나 잘 느끼고 공감하는지의 문항을 구성했다. 그리고 문화예술활동에서 작가의 의도를 공감하게 되는지를 묻는 문항을 포함시켰다. ‘소통’은 타인과 의미와 의견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소통하고자 하는 자세를 묻는 문항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조리있게 이야기하는지, 그리고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한지와 함께 상대방의 의견을 귀 기울여 듣는 지와 같은 내용을 문항에 담았다. 또한 대면적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SNS를 통한 의사소통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SNS에서 자신의 의견을 얼마나 잘 공유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지에 대한 문항을 추가로 포함시켰다. 마지막으로 ‘관용’은 나와 다른 가치관, 정치성향, 종교에 대한 포용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한국사회에는 급격한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로 인해 여러 가지 갈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내용을 문화적 관용을 구성하는 요소에 포함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일차적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에서 제시된 지표에 기초하였으며, 진단조사 도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가급적 기존에 개발된 조사도구를 참고 및 활용하였다. 진단조사 도구를 개발한 후에는 전문가협의회, 전문가 델파이조사 등을 통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조사도구를 최종 확정하였다. 문화역량 문항 개발시 참고·활용한 기존 조사도구들은 다음과 같다.

Page 6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59

대영역 소영역 진단조사 문항 출처

개인적차원

내재적 요소

감수성sensibility 문1 ∙ 2011년 문화역량지수조사

상상력imagination 문2 ∙ 2011년 문화역량지수조사

∙ 김미숙(2012)취향taste 문3,4,5,6 ∙ GSS 1993

∙ 2007 KGSS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

knowledge문7 ∙ 2011년 문화역량지수조사

∙ 2007 KGSS

이해understanding 문8 ∙ 김창환 외(2013)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문9-22

∙ 2012년 문화역량지수조사∙ 1998 GSS∙ 2007 KGSS∙ 김창환 외(2013)

표현력expressiveness 문23 ∙ 2011년 문화역량지수조사

∙ 김창환 외(2014)

사회적 차원

공감empathy 문24 ∙ 설현수 외(2006), 정서적 공감척도의 타당

화 및 차별기능문항 탐색 소통

communication 문25,26 ∙ 김안나(2003). 의사소통능력

관용tolerance 문27 ∙ 김안나(2003). 시민의식

∙ 김창환 외(2013)

<표 III-5> 문화역량 진단조사 문항 출처

3.2. 문화역량 진단 예비조사 실시 진단조사지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전국 16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5~59세 이하 성인 4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는 전문 조사기관에 의해 온라인 패널을 이용한 CASI 조사로 이루어졌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조사 진행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설문지를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예비조사 설계는 다음과 같다.

Page 6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6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3.2.1. 사전조사 조사설계

○ 온라인 패널 사전조사- 조사지역 : 전국 16개 광역시도- 조사대상 : 만15세-59세 이하- 유효표본 : 총 450명- 표본추출 : 다단계 층화추출(Multi-Stage Stratified Sampling) · 통제변수 : 지역ㆍ성ㆍ연령별 인구크기- 표 집 틀 : 자체/협력 온라인 패널- 조사방법 :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CASI 조사- 조사기간 : 9월 29일 ~ 10월 10일(총 2주 간)

○ 가구방문 면접 사전조사- 조사지역 : 서울, 경기 지역- 조사대상 : 만 15세-75세 이하- 유효표본 : 총 70명- 표본추출 : 연령별 임의 표집 · 각 연령별 10명 · 남녀 비율 50:50- 표 집 틀 :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집계구 활용- 조사방법 : 가구방문 면접조사- 조사기간 : 9월 29일 ~ 10월 10일(총 2주 간)- 유의사항 · 가구방문 면접조사는 단순 설문문항에 대한 응답뿐만 아니라, 설문문항에 대한 심층

적인 의견 수집을 목표로 진행됨.① 사전 조사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문항에 대한 의견 수집을 별도로 진행② 응답과정에서의 의문점, 의해가 되지 않는 문항들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 수집

Page 6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61

<표 III-6> 조사 설계 요약구 분 세부 조사 설계

조사방법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웹조사(CASI : Computer assisted self-interview) 가구방문 면접조사

조사지역 전국 16개 광역시도 서울・경기 지역조사대상 만 15-59세 남녀 만 15세-75세 남녀유효표본 총 450명 총 70명

(각 연령별 10명)

표본추출다단계 층화추출(Multi-Stage Stratified Sampling)· 기본통제변수 : 지역ㆍ성ㆍ연령

연령별 임의 표집남녀 비율 - 50:50

표 집 틀 자체/협력 온라인 패널 통계청 집계구 활용

3.2.2. 최종 유효 표본

<표 III-7>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지역 15-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소계 합계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서울 4 4 10 9 11 11 11 11 10 10 41 40 91 부산 1 1 3 4 3 3 4 4 4 4 13 14 31 대구 1 1 2 2 2 2 3 3 3 3 10 10 22 인천 1 1 4 2 3 3 3 3 3 3 12 11 26 광주 1 1 2 1 1 1 2 2 1 1 6 6 13 대전 1 1 1 1 2 2 2 2 1 1 6 6 14 울산 1 1 1 2 1 1 1 1 1 1 5 5 11 경기 6 5 11 10 13 13 15 15 11 12 50 48 111 강원 1 1 1 1 1 1 2 1 2 2 6 5 13 충북 1 1 1 1 1 1 2 1 2 2 7 5 13 충남 1 1 2 2 2 2 2 2 2 2 9 7 18 전북 1 1 1 1 2 1 2 2 2 2 7 7 15 전남 1 1 1 1 2 1 2 2 2 2 7 6 15 경북 1 1 2 2 2 2 3 3 3 3 11 9 22 경남 2 1 3 2 3 3 4 4 4 3 14 12 29 제주 0 0 0 0 1 1 1 1 1 1 3 2 6 합계 24 22 45 41 50 48 59 57 52 52 230 220 450

Page 7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6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대영역 소영역 지표 진단조사 문항(부록 참조)

개인적차원

내재적 요소

감수성sensibility - 감수성 문1

상상력imagination

- 상상력- 창의성 문2

취향taste

- 미적 품질 판단 능력- 문화적 가치 판단 능력 문3,4,5,6

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

knowledge

- 문화에 대한 관심 정도- 문화지식 수준 문7

이해understanding - 문화 이해 능력 문8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 문화 관람- 문화 창작발표 능력- 문화 동호회 활동- 문화 봉사 활동- 독서량- 문화예술교육 참여

문9-22

표현력expressiveness - 표현력 문23

사회적 차원

공감empathy - 공감 능력 문24

소통communication

- 의사소통능력- SNS 소통 능력 문25,26

관용tolerance

- 문화 개방성- 문화 포용성 문27

<표 III-8> 방문면접조사 연령

지역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이상 합계

서울 5 5 5 5 5 5 5 35명경기 5 5 5 5 5 5 5 35명총계 10 10 10 10 10 10 10 70명

3.3. 문화역량 진단조사 최종 문항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한 후 최종적으로 진단조사 도구를 확정하였다. 2개 대영역, 10개 소영역, 20개 지표, 27개 진단조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Ⅲ-9> 및 <표 Ⅲ-10>과 같다.

<표 III-9> 문화역량 지표체계 구성

Page 7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II.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체계 구성 | 63

대영역 소영역 문항 수 문항내용 (개요)

개인적차원

내재적 요소

감수성sensibility 5

- 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 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 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나서 감동이 오래가는 편이다

상상력imagination 4

-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 본다- 나는 소설 등의 문학작품을 읽고 난 후 뒷이야기를 꾸며 생각해 본다

취향taste

5(8)

-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

을 발견할 수 있다.-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을 위협한다- 뛰어난 예술과 그렇지 않은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

에 관계없이 절대적이다-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 여행시 문화활동별 참여 빈도- 음악 장르별 가치판단 및 선호 여부

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

knowledge4

-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

- 나는 대화할 때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이해understanding 3

-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 나는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 내가 관심 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14)

-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 참여 여부 및 활동 분야, 소속- 문화예술 행사별 관람 여부 및 빈도, 관람 의향- 문화예술 분댜별 창작·발표 참여 여부-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 및 시간, 분야- 월 평균 독서량- 정규수업·특별활동 시간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학원·개인교숩 등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최초 수강 시점 및 기간,

효과

표현력expressiveness 4

-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나는 평소에 내 생각이나 느낌을 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사회적 차원 공감empathy 5

-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 줄 수 있다- 주변 사람이 우울하면 내 마음도 편하지 않다

<표 III-10> 문화역량 지표체계 문항내용

Page 7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6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 남의 고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

소통communication

3(6)

-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

을 말한다- 사진 공유, SNS 등 글 게재, SNS 공감 표현에 대한 빈도

관용tolerance 4

-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 나는 정치적·종교적 신념이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는다- 나의 이웃으로 다른 인종의 외국인이 이사 온다면 마음이 불편

할 것이다-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

* 위 문항 외에, 행복도 및 삶에 대한 만족도, 가치 부여, 인구학적 특성 등의 내용 포함* 세부내용은 <부록5 :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설문지> 참조

Page 7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V. 결론과 제언

1. 결론

2.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활용을 위한 제언

Page 7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7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V. 문화역량과 문화역량지수의 방향성 및 활용방안 | 67

IV. 결론과 제언

본 연구는 문화역량의 개념 틀을 만들고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문화역량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문화역량 관련 개념들을 분석하였고, 문화역량에 대한 개념 정의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역량 개념모형과 측정모형을 개발하고, 문화역량 지표체계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문화역량 지표체계는 향후 체계성을 보완하고 지속적인 조사와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지수화하는 작업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수행한 연구를 정리하고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결론

최근 ‘역량’은 세계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21세기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모든 국민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자질로서 역량이 주목 받고 있다. OECD, UNESCO 등 국제기구가 선도하며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선진국들도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교육청을 중심으로 역량 기반 교육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러한 역량 논의에서 ‘문화역량’은 핵심역량으로 간주되고 있다. 역량을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으로 구분할 때, 문화역량은 비인지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역량에 대하여 연구하고 논의하는 것은 시기상 매우 적절하고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수립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적극 부응하고자 마련된 것이다. 이 기본계획 안에는 국민의 문화역량을 제고하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 제시되었고, 그것이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민의 행복을 증진하는데 있어서 토대가 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문화역량 수준을 높이는 것이 우리나라가 문화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있어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이 강조되어 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방안들이 제시되어 있다. 2005년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지 약 10년이 지났다. 지난 10년 동안 문화예술교육은 양적으로는 급성장하여, 국민들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문화 격차를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제 지난 10년을 돌아보며 질적으로도 더욱 성숙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현안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미래 10년을 내다보며 문화예술교육이 갈 길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길을 찾는데 있어서 문화역량은 핵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문화 격차를 줄이고, 국민의 문화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핵심 아젠다

Page 7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6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로 부상한다고 가정할 때, 이 가운데 교육 분야에서 가장 심혈을 기울여야 할 부분은 문화역량의 증진에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미래 한국사회를 전망할 때, 문화역량은 더 큰 의미를 지닌다. 미래 대한민국은 경제선진국인 동시에 사회선진국, 문화선진국을 꿈꾸고 있다. 그러할 때 서구 선진국들과 같이 진정한 선진국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역량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역량을 쌓을 때 국민 개개인은 문화시민이 될 수 있고, 문화시민이 증가할 때 국가적으로도 문화선진국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다. 우리나라가 문화시민과 문화선진국으로 나아간다는 것은 국민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국민행복시대를 맞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미래 문화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문화시민으로서 갖춰야 할 역량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들로 구성될 수 있을지를 고민하였다. 문화역량에 대한 개념 틀을 만들고, 문화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연구진이 새롭게 개발한 문화역량 개념 틀과 지표체계는 그간의 문화역량에 대한 기존 논의들과 함께 향후 문화역량 논의를 진전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논의를 간학문적(문화학, 예술학, 사회학, 교육학 등)으로 접근하여 보다 포괄적인 시각에서 진일보한 대안을 도출하는 과정이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정책적으로 볼 때, 문화역량지표 개발 연구는 증거기반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역량 지표와 문항은 문화정책과 문화예술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표는 그 성격상 현재 상태와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문화역량지표는 문화역량의 수준을 재는 바로미터이며, 국민의 문화역량 수준 및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문화역량지표는 동시에 문화예술교육을 진단하는 검진표와 같다. 문화역량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우리 문화예술교육의 현재를 확인하고, 문제점의 상태와 원인을 파악하도록 한다. 이러한 진단을 바탕으로 문화역량지표는 나침반과 같이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Page 7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IV. 문화역량과 문화역량지수의 방향성 및 활용방안 | 69

2.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활용을 위한 제언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더불어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역량이 미래 사회의 핵심역량, 특히 비인지적 측면에서 핵심역량으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문화역량을 제고하는 노력이 전방위로 추진되어야 한다. 정규교육과 더불어, 방과후 학교,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등에서 문화역량을 제고하는 노력이 보다 충실히 전개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의 핵심 목표를 보다 명료히 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국민의 ‘문화역량’을 증진하는데 교육적 노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단계별/영역별 로드맵을 구상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역량지표와 진단조사 결과는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과 전략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둘째, 국민의 문화역량 수준에 대한 주기적 진단과 처방이 중요하다. 문화역량 진단조사는 그 자체로 문항 수준, 지표 수준, 지수 수준에서 국민의 문화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장단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국민의 문화역량을 주기적으로 조사할 경우, 시계열 트렌드를 파악하여 보다 정합성이 높은 정책 대안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문화역량에 대한 국제비교를 시도할 것을 제안한다. OECD 국가의 경제, 사회, 교육 분야의 국제비교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문화 및 문화역량과 관련하여서는 국제비교 작업이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문화역량 지표를 활용하여, 국제비교조사를 실시할 경우, 우리 국민의 문화역량을 보다 다각적으로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초중등학생 역량조사인 DeSeCo 프로젝트와 PISA 프로젝트는 OECD가 주도하였으나, 대학생 역량 진단조사인 AHELO는 우리나라가 주도하여 현재 OECD 국가들 대상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는 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문화역량지표는 또한 새로운 정책평가 도구로서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새로운 정책의 지향점, 적절성, 성과 등을 평가하는데 기준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표를 통하여 해당 정책이 국민의 문화역량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했는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시적으로, 문화역량지표의 대영역과 소영역은 아래 표와 같이 문화정책 및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좌표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ge 7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7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대영역 소영역 상태매우우수 우수 보통 미흡 매우미흡

개인적차원

내재적 요소

감수성상상력취향

관심/지식이해

외향적요소

참여표현력

사회적 차원공감소통관용

<표 IV-1> 문화역량 진단 기준(예시)

위의 진단 기준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국민의 문화역량을 측정하게 될 경우, 향상도를 판단하게 되어 정책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시계열 자료가 확보되어 정책 효과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진단조사를 개별 학교별로 실시하게 될 경우, 미흡한 문화역량을 확인하고 교육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역량지표는 개별 학교에서 학교건강 검진표(school health grid)로서 기능할 수 있고, 국가 수준, 시도 수준, 시군구 수준과 학교 수준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장기적으로 국가 수준의 문화역량 성취 기준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성취하여야 할 최소한의 기준 또는 목표가 제시될 때, 문화예술교육의 수준 진단과 개선 방안들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7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참고문헌

Page 8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8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참고문헌 | 73

참고문헌

강영혜 외(2011).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곽병선(2013). 차기 정부의 교육 정책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교육과학기술부(2012). 인성교육 실태조사.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각 년도). OECD 교육지표.교육부(2013). 2013 대통령 업무보고 자료.권해수(2011). 학교 기반의 청소년 핵심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Vol. 22, No. 1, pp. 141-173.김경훈 외(2012).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문제해결력 기반의 정보 교육정책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김기헌(2008a). 아동청소년기 핵심역량(Key Competence): 개념과 적용사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래세대 리포트.김기헌 외(2008b).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김기헌 외(2009a).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김기헌 외(2009b). 2009 한국 청소년 핵심역량 진단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김기헌 외(2010a).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김기헌 외(2010b). 2010 한국 청소년 핵심역량 진단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김기헌 외(2011). 아동․청소년의 생활패턴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보건복지가족부․한국청소년정책연구

원.김동일 외(2009).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Vol. 10, No. 2, pp. 195-214.김성열 외(2006). 교육지수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김세훈 외(2004).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김세훈 외(2008). 국민소득 4만불 시대의 문화정책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소영 외 (2013). 『예술지수(Arts Index)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김소영 외 (2010). 『문화예술분야 통계 생산 및 관리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김신영 외(2006). 한국 청소년 행복·역량지수 개발 연구. 국가청소년위원회.김안나 외(2003).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II). 한국교육개발

Page 8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7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원.김양분 외(2005).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 만족도 지표 및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김영화 외(1997). 교육지표 개발 및 주기적 교육조사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 교육개발원.김용화 외(2011). OECD 국가의 복지지표 비교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김정원 외(2011). 교사 생애단계별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김정희(2007). 예술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의 과제. 인천문화재단(2007). 공교육에서의 예술교육의 위상과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의 과제 토론회.김창환 외(2010). 창의인재 통계 혁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김창환 외(2011). 국가교육의 정기 비전: 향후 10년의 교육비전과 전략.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김창환 외(2011). 한국의 핵심 교육지표·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김창환 외(2012). 한국의 핵심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 교육정의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김창환 외(2013). 한국의 핵심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 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

원.김창환 외(2014). 한국의 핵심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I): 대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

발원.김태기 외(2002). 생애단계별 능력형성의 관점에서 본 기업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김태준 외(2008).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I) :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김태준 외(2010). 한국 청소년의 시민역량 국제비교 연구: 국제시민교육연구(ICCS) 참여. 한국교육개

발원.김해동 외(2001).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다니엘 핑크(2012). 새로운 미래가 온다: 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 한국경제신문사.대통령직인수위원회(2013). 박근혜정부 국정비전 및 국정목표.롤프 옌센(2005). Dream Society. 리드리드출판.류방란 외(2006). 지역 간 교육격차 실태 분석 및 격차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류방란 외(2006). 한국사회 교육복지지표 개발 및 교육격차 분석 - 교육복지지표개발. 한국교육개발

원.류방란 외(2007).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균형발전지수 개발. 한국교육개발원.류방란 외(2010). 교육복지 지수 개발 및 DB 구축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류성창 외(2012). 역량 중심 대입제도 개편 가능성 탐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Page 8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참고문헌 | 75

문화관광부(2007).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중장기 전략.문화체육관광부(2014). 문화예술교육 중장기발전계획.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1). 2011 문화예술정책백서.문화사회연구소(2012).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2012년 정기국회정책자료집. 민무숙 외 (2012).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여성가족부.박용성(2009). AHP에 의한 의사결정 - 이론과 실제. 교우사.빌헬름 딜타이, 이한우 옮김(2009). 체험·표현·이해.산업정책연구원(2007). IPS National Competitiveness Research 2007 Report. 서울특별시(2009). 청소년 창의지수 연구. 설현수·김동민·이수현(2006). 정서적 공감척도의 타당화 및 차별기능문항 탐색. 교육평가연구, 19권 2

호, 179~201. 소경희 외(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

연구, Vol. 25, No. 3, pp. 1-21.손민호(2006).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사

회기반지식! 교육과정연구, Vol. 24, No. 4, pp. 1-25.송경오/박민정(2007).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특징과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Vol. 34, No. 4, pp.

155-182.송창용 외(2005). 인적자원개발지수(HRD Index) 개발. 교육인적자원부.안상수 외 (2012).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여성가족부.양현미 외(2004).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양혜원 (2011). 『2011 문화예술 대표지표 분석 연구』. 문화체육관광부.오헌석 외(2007).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논총, Vol. 49, pp.

191-213.오헌석(2006). Global HRD INDEX.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인적자원연구센터.유네스코한국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지속가능한 미래와 문화예술교육.유현숙 외(2002).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I). 한국교육개발

원.유현숙 외(2004). 국가수준이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III). 한국교육개발

원.윤소영(2013). 『여가행복지수 개발 기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윤정일 외(2007). 인간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Vol. 45,

Page 8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7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No. 3, pp. 233-260.윤현진 외(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 한국교육

과정평가원.이광우 외(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 한국교육

과정평가원.이광우 외(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

육과정평가원.이광현(2007). 교육격차지수 개발 연구: 방법론 검토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 연구, Vol. 25, No.1,

pp. 1-24.이근호 외(2012).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교육과정의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승희 외(2002). 평생교육지표 및 지수 개발. 한국교육개발원.이종재/송경오(2007). 핵심역량 개발과 마음의 계발: 중용(中庸)의 관점. 아시아교육연구, Vol. 8, No.

4, pp.137-159.이홍민/김종인(2005). 핵심역량 핵심인재. 한국능률협회.임언 외(2008). 미래 사회의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근영 외(2011). 아동․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 지원체제개발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

원.정갑영 외(2002). 『국민문화지수 개발연구: 종합보고서』. 문화관광부·한국문화정책개발원.정광호 외(2012). 문화예술교육지수 조사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정연희(2007).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의 진단과 향후 전망. 인천문화재단(2007). 공교육에서의 예술교육의 위상과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의 과제 토론회.정정숙 외(2006) OECD 주요국가의 문화경쟁력 분석. 한국문화관관정책연구원.정택희 외(2008). 학교성과지수 개발 연구: 학교교육성과지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조애리, 강문수외 (2004). 문화코드,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조대연 외(2008). 미래의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차성현 외(2012). 사회성 및 감성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최강식 외(2004). 한국형 인적자원개발지수 (JRD Index) 개발. 한국직업능력 개발원·교육인적자원부.최승현 외(2011).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및 교사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

가원.최인재 외(2010).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V - 2010 한국 청소년 건강․안전(보호) 지표 조사 자료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Page 8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참고문헌 | 77

최인재 외(2011).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추미경 외(2011). 문화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2012 문화향수실태조사』.한국문화사회학회 (2008). 『문화이론, 사회학접 접근』.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2010 문화예술교육 통계 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예술교육의 Framework: ‘교육과정’과 문화예술교육.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 미술.한국정보화진흥원(2010a). 한국사회의 15대 메가트랜드.한국정보화진흥원(2010b). 스마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ICT 전략.한국정보화진흥원(2011). 미래연구 백서.한준, 한신갑, 신동엽, 구자숙(2007). 한국인의 문화적 경계와 문화적 위계구조. 문화와 사회, 29-53. 황연주(2004).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황연주·정연희(2005). 문화예술교육의 미술교육적 논의. 미술교육논총 제19권 1호, 1~28.홍원표 외(2010).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

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Ananiadou, K., Claro, M.(2009). 21st Century Skills and Competences for New Millennium Learners in OECD

Countries. OECD Education Working Papers, 41.

Arnold, Matthew.(1960). "Culture and Anarchy. 1869." Ed. Samuel Lipma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Becker, Howard Saul.(1984). Art worlds. Univ of California Press.

Bourdieu, P.(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Bourdieu, P.(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241-258.

Bourdieu, Pierre.(1993).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Essays on art and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Dewey, John.(2005). Art as experience. Penguin.

Dickie, George.(1974). "Art and the aesthetic: An institutional analysis."

Page 8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7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DiMaggio, Paul, and Michael Useem.(1978). "Cultural property and public policy: emerging tensions in

government support for the arts." Social Research, 356-389.

DiMaggio, P.(1982).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89-201.

European Commission(2009).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in Europe.

Ferriss, Abbott L.(1988). "The uses of social indicators." Social Forces 66.3, 601-617.

Fine, Gary Alan.(2006). Everyday genius: Self-taught art and the culture of of authentic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Florida, Richard L.(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Basic books.

Greene, Maxine.(1995). Releasing the Imagination: Essays on Education, the Arts, and Social Change. The Jossey-Bass Education Series. Jossey-Bass, Inc., Publishers, 350 Sansome Street, San Francisco, CA 94104.

IEA(2010). Initial Findings from IEA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

Johann Friedrich Herbart:(1982). Paedagogische Schriften. Bd.1. Hrsg. v. W. Asmus. Stuttgart.

Kavolis, Vytautas.(1968). Artistic expression: A sociological analysi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Lizardo, Omar.(2006). "How cultural tastes shape personal network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1.5: 778-807.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NACCCE(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Creative and Cultural Education)(1999). Our futures: Creativity, culture and education.

OECD(2011). How’s Life? Measuring Well-beinbg.

OECD(2011). Society at a Glance.

OECD(2013). Education at a Glance.

OECD(2002). Definition and Selection for Competences (DeSeCo) -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Strategy Paper.

OEC(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eterson, R. A. & Simkus, A.(1992). How musical tates mark occupational status groups. In Lamont, Michele, Fournier, Michael(Eds.). Cultivating Differences(pp.152-168).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Rychen, D. S. & Salganik, L. H.(2001).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 Huber.

Rychen, D. S. & Salganik, L. H.(2003). Key Competencies-For a Successful Life and Well-Functioning Society.

Page 8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참고문헌 | 79

부 록

1. [부록1] 제1차 델파이조사 조사지2. [부록2] 제2차 델파이조사 조사지

3. [부록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설문지

Hogrefe & Huber.

Smith, Tom W. "Social indicators." Journal of Social History (1981): 739-747.

Spencer, L. & Spencer, S.(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Trier, U. P.(2001). 12 Countries Contributing to DeSeCo - A Summary Repot.

Trilling, B & Fadel, C, 한국교육개발원 역(2012). 21세기 핵심 역량.

UNESCO(2006). Road Map for Arts Education.

Villalba, Ernesto(2008). On creativity. European Commission.

Weinert, F. E.(2001). Concept of Competence: A Conceptual Clarification.

Page 8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Page 8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81

부록

부록 1. 제1차 델파이조사 조사지

「문화예술교육 관련 문화역량 개념 및 지표 구축 연구」

전문가 의견조사

** 응답자 소속 및 성명 :

Page 9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8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안녕하십니까?바쁘신 중에도 저희 연구를 위해 귀한 시간을 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올해 문화예술교육 관련 문화역량 지표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과제의 일환으로 여러 분야 전문가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문화역량의 개념, 문화여량 지표 체계 등 연구진이 구성하고 있는 지표 개발에 관한 안에 대해서 타당성을 평가받고, 수정하거나 보완해야 할 내용에 관하여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전문가 선생님들께서 주시는 의견을 기초로, 올해 문화역량 지표체계를 개발하고, 조사 문항을 개발하여 올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문화역량 조사를 실시할 계획입니다. 내용 면에서 타당하고 신뢰 받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문가 선생님들의 고견이 매우 소중합니다. 전문가 선생님들의 응답 내용은 철저히 비밀로 보장되고, 오직 본 연구와 관련하여 사용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2014년 8월연구책임자 백령 올림

※ 본 조사지와 관련한 의문사항은 다음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연세대학교 연구원 민경선 □ 전화 : 010-9605-0019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연구책임자 경희대학교 백령 □ 전화 : 010-9254-6895

Page 9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83

본 델파이조사의 목적과 내용

○ 문화역량 지표 개발 및 역량진단조사의 필요성과 목적 - 2004년 문화예술교육이 본격적으로 국가적 아젠다로 설정되고 추진된 지 10년이 지났습니다. 지난 10년을 돌아보며 앞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작업이 새로운 과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14년 2월 문화부는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계획서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민행복에 기여하여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서도 “이 법은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21세기 역량 시대를 맞이하여 국민의 문화역량을 개발하고 그러한 역량에 기초하여 국민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성을 찾는데 중요한 위미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21세기 ‘문화의 시대’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전 국민의 문화역량을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연구가 전문성 있고 내실 있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본 델파이조사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 본 조사를 바탕으로 문화역량 지표를 개발하고, 국민의 문화역량 수준을 측정하여 향후 10년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여야 할 방향성과 아젠다를 찾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지표 및 지수개발의 과정은 이론적 프레임 설정, 지표 개발 및 선정, 데이터 수집, 지수 산출의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본 델파이조사에서는 연구진이 개발한 이론적 프레임, 특히 문화역량의 개념, 문화역량 지수의 개념 모형 등에 초점을 맞추어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반영하고자 합니다.

Page 9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8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1. “문화역량 개념”에 대한 질문입니다 연구진 의견○ 문화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연구진은 먼저 인간, 문화, 예술, 역량의 개념을 고찰하고 문화역량의 개념을 정의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생각, 느낌, 행위가 인간과 인간 삶을 규정하는 핵심 요소라 판단하고 인간을 전체적인 관점, 즉 이성적인 존재인 동시에 감성적인 존재로서 파악하고자 합니다. 또한 삶의 철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인간 삶의 핵심을 체험과 표현과 이해의 순환과정으로 파악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 개념을 <문화기본법>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에 따라 “문화예술, 생활 양식, 공동체적 삶의 방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 등을 포함하는 사회나 사회 구성원의 고유한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특성의 총체”로 규정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개념을 <문화예술진흥법>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에 따라 “문학, 미술(응용미술을 포함한다),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演藝), 국악, 사진, 건축, 어문(語文), 출판 및 만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이란 개념을 OECD-DeSeCo 프로젝트 이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방식을 차용하여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자질, 즉 지식과 태도와 기술’로 규정하고자 합니다. 역량 개념 안에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을 포괄하는 것으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량’ 개념을 잠정적으로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문화시민으로서 행복하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감성과 태도, 취향과 지식’으로 정의하고자 합니다. 문화역량 개념에는 개인의 고유한 역량과 사회적으로 함양된 역량이 포괄되며, 본 연구는 이의 증진을 위해 교육(자기개발 포함)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Page 9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85

연구진 의견□ 문화역량을 이해하는 관점○ 통합적 관점 : 연구진은 인간, 문화역량을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합니다. - 인간을 이성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을 포괄하는 존재로 파악하고자 합니다. - 문화를 인간의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특성의 총체로 파악하고자 합니다. - 역량을 지식, 기술, 태도, 동기, 행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파악하고자 합니다. ○ 개발적 관점 - 연구진은 문화역량이 교육적 행위를 통하여 개발되는 것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역량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

□ 문화역량 접근 방법 - 문화역량 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진은 간학문적 접근을 시도하였습니다.- 철학, 사회학, 문화학, 예술학, 교육학적 관점에서 협업을 통해 문화역량에 대해 토론하고 개념을 규정하고자 하였습니다.

1) 문화역량 개념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해 주십시오.타당성 정도

매우타당함 타당함 보통임 타당하지 않음 매우

타당하지 않음

2) 문화역량 개념에 대한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Page 9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8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연구진 의견◯ 문화역량 개념모형 도출 절차- 관련 법 검토 : 문화기본법, 문화예술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 문헌 검토 : 문화예술, 역량, 교육 관련 선행연구 종합적 검토- 관련지표/지수 검토 : 문화지표, 예술지수, 문화향유실태조사, 문화다양성지표, 청소년다문화수용성조사, 지역문화지표, 국민여가활동조사, 여가행복지수, 문화예술인실태조사 등- 전문가 검토 : 전문가협의회를 통한 검토◯ 문화역량의 특성- 연구진은 문화역량을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문화역량을 문화적 측면,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을 포괄하고 있는 역량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 사회적 역량이란 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공감, 참여, 소통, 포용 등의 역량에서 문화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공유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경제적 역량이란 인간 삶에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합리적으로 소비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창의적 역량 측면에서 문화역량과 경제적 역량이 공유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표 1> 문화역량의 특성구분 문화적 역량 사회적 역량 경제적 역량핵심가치 감성, 심미성, 사회성 사회성, 시민성 창의성, 합리성지향점 문화시민, 국민행복,

삶의 질, 문화경제사회의 질, 사회통합 창조경제, 문화콘텐츠

주요 역량 공감, 참여, 소통 공감, 참여, 소통, 개방, 포용, 배려 창작, 생산, 소비

◯ 문화역량의 범주- 연구진은 문화역량이 사회적 역량 및 경제적 역량과 관련을 맺고 있고,- 문화역량 안에는 사회적 역량과 경제적 역량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2. “문화역량 개념 모형”에 대한 질문입니다.

2.1. 개념모형 전체

1) 문화역량 개념 모형(전체)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해 주십시오.타당성 정도

매우타당함 타당함 보통임 타당하지 않음 매우

타당하지 않음

Page 9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87

2) 문화역량 개념 모형(전체)에 대한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Page 9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8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2.2. 개념모형의 구성요소연구진 의견○ 문화역량 개념 모형 - 위의 논의에 기초하여 도출된 문화역량 개념 모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 2> 문화역량 개념 모형차원 문화 역량

개인적 차원(individual level)

내재적 요소- 감수성- 상상력- 취향(취향의 다양성 포함)- 관심/지식

외향적 요소 - 참여- 표현력

사회적 차원(social level)

- 공감- 소통- 이해- 관용

○ 문화역량을 크게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 연구진은 문화역량을 <문화기본법 제7조>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국민 개개인이 갖추고 있는 역량이라고 이해하였습니다.- 연구진은 개인의 역량을 개인의 내면 속에 있는 역량, 내면을 밖으로 표현하는 역량, 그리고 표현된 것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역량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 크게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개인적 차원을 내재적 요소와 외향적 요소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연구진은 위의 구분에 부합하는 역량을 도출하는 작업을 시도하였고, 모두 10가지의 세부 역량이 도출되었습니다.

1) 문화역량 개념 모형의 구성요소(차원 및 세부 역량)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해 주십시오.

타당성 정도매우

타당함 타당함 보통임 타당하지 않음 매우타당하지 않음

Page 9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89

2) 문화역량 개념 모형의 구성요소(차원 및 세부역량)에 대한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Page 9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9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2.3. 문화역량 구성요소의 개념정의

연구진 의견

대영역 소영역 개념정의

개인적차원

내재적 요소

감수성sensibility

- 인간 의식의 정서적 성향- 외부 세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성질- 외적 자극에 대한 반응의 정도

상상력imagination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힘- 직접 경험이 없이 이미지나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능력

취향taste

-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방향 또는 그런 경향- 대상의 미적 품질을 받아들이는 특별한 능력- 취향의 다양성

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

knowledge

- 주의력이나 흥미가 특정한 사물로 향하고 있을 때의 심적 태도나 감정(interest)

- 특정 대상에 대한 지향성(orientation)- 어떤 것에 마음이 이끌려 주의를 기울임(attention)- 대상에 대한 경험적 인식(knowledge)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 관심 대상에 끼어들어 관여하는 행위

표현력expressiveness

- 인간 안의 내적인 것을 밖으로 표출하는 능력- 생각과 느낌 등을 언어나 몸짓 같은 형상으로 나타내는 능력 - 경험하거나 상상한 것을 상징을 활용하여 나타내는 것

사회적 차원

공감empathy

- 다른 사람의 심리적 상태를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느끼는 것을 통해서 지각하는 방식

- 타인의 처지나 입장에서 느끼고 생각하는 능력

소통communication

- 막힘없이 잘 소통하는 것- 편견과 선입견 없이 경청하는 자세와 상대의 의사를 제대로 파악하려고

노력하는 자세에 기초하여 서로가 서로의 말뜻을 잘 알아들음- 다른 사람과 의미와 의견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이해하는 것

이해understanding

- 언어, 기호, 회화, 조각, 음악과 그 밖의 문화적 산물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

- 상징의 의미나 의도를 파악하고 해석하는 능력관용

tolerance- 나와 다른 배경/정체성에 대해 거부하지 않는 것- (종교적·사회적) 신념이 나와 달라도 기본권(대한민국에서 살 권리 등)을

인정하는 것

○ 문화역량 구성 요소 설명

Page 9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91

1) 문화역량 개념 모형을 구성하는 소영역에 대한 설명 및 개념정의가 타당한지에 대한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 끝까지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Page 10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9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부록 2. 제2차 델파이조사 조사지

「문화예술교육 관련 문화역량 개념 및 지표 구축 연구」

전문가 의견조사(2차)

** 응답자 소속 및 성명 :

안녕하십니까?

바쁘신 중에도 저희 연구를 위해 귀한 시간을 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올해 문화예술교육 관련 문화역량 지표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과제의 일환으로 여러 분야 전문가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문화역량의 개념, 문화여량 지표 체계 등 연구진이 구상하고 있는 지표 개발에 관한 안에 대해서 타당성을 평가받고, 수정하거나 보완해야 할 내용에 관하여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제2차 전문가 의견조사에서는 지난번 응답해 주신 제1차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연구진이 고려하고 있는 문화역량 지수체계와 하위지표(질문문항)에 관하여 전문가 분들의 의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전문가 선생님들의 응답 내용은 철저히 비밀로 보장되고, 오직 본 연구와 관련하여 사용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2014년 9월

연구책임자 백령 올림

※ 본 조사지와 관련한 의문사항은 다음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연세대학교 연구원 민경선 □ 전 화 : 010-9605-0019 □ 이메일 : [email protected]연구책임자 경희대학교 백령 □ 전 화 : 010-9254-6895

Page 10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93

1. 제1차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입니다 먼저 바쁘신 가운데서도 애정을 갖고 좋은 의견을 많이 주신 점에 대하여 깊이 감사드립니다. 긍정적 지지 의견, 비판적 견해, 대안적 의견 모두에 감사드리며, 깊이 검토하여 향후 연구 수행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주신 의견을 간단히 요약․정리하고, 이에 대한 연구진의 향후 연구 방향 및 방안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문화역량 개념에 대한 의견

응답자수 매우타당 타당 보통 타당하지않음

매우 타당하지 않음 평점

32 4 17 10 1 0 3.75

□ 의견 요약 ○ 문화역량 개념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는 가운데, 구성 요소와 표기에 대

한 다양한 수정 의견을 제시하여 주셨습니다. ○ OECD 역량 개념을 바탕으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여 개념정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

았고, ○ 교육을 중요 매개체로 포함한 것에 대한 보완 설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개진되었습니다.□ 타당성 평가결과

□ 향후 연구 방향 ○ 제안해 주신 의견을 기초로 문화역량 개념을 더욱 정치하게 정의하도록 보완하겠습니다. ○ 내용적 측면과 더불어 표기적인 측면에도 신경을 더 쓰도록 하겠습니다.

Page 10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9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문화역량 개념모형에 대한 의견

응답자수 매우타당 타당 보통 타당하지않음

매우타당하지 않음 평점

31 0 12 16 3 0 3.29

□ 의견 요약 ○ 대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여 주셨지만, 논란이 될 수 있는 부분도 많이 지적하여 주셨습니다. ○ 문화역량을 세 가지 차원(문화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구분한 점에 대한 논거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여 주셨고, 대안을 제시하여 주시기도 하셨습니다. ○ 특히 경제적 역량에 대해서는 찬반의견이 극명하게 나뉘었습니다. □ 타당성 평가결과

□ 향후 연구 방향 ○ 연구진이 제시한 세 가지 역량(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역량)은 문화역량과의 관련성을 강조하고자 한 취지가 강하였습니다. 따라서 문화역량 개념 모형을 설정할 때 관련성에 대한 설명을 대폭 보완할 예정입니다. ○ 특히, 경제적 역량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재검토하고 논거를 보완하고자 합니다.

문화역량 구성요소에 대한 의견

응답자수 매우타당 타당 보통 타당하지 않음

매우 타당하지 않음 평점

31 2 16 11 2 0 3.58

□ 의견 요약 ○ 문화역량 개념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주셨으나, 구성체계

와 요소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을 주셨습니다. ○ OECD 핵심역량 구성체계와 유사하게 문화역량을 개인적이고 관계적이고 집단적인 상황 속에서 발휘 가능

하다는 점에서는 대체적으로 동의하고 있으나, 세 가지 구성체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여 주셨습니다.

○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을 주셨으나, 일부 요소(지식, 이해, 표현 등)에 대해서는 구성체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안되었고, 취향은 절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지수화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제시하여 주셨습니다.

□ 타당성 평가결과

□ 향후 연구 방향 ○ 연구진은 구성 체계와 요소에 대하여 재검토 하였고, 구성체계와 구성 요소를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 그리하여 이해를 개인적 차원의 역량으로 위치를 이동시켰고, 창의성 요소는 여러 영역에 걸쳐 있다고 판단

하고 지수 영역 보다는 문항 차원에서 포함시키기로 하였고, 취향은 상대적인 기준점을 제시하고 현재의 수준을 판단하는 방향으로 문항을 구성하기로 하였습니다.

○ 향후 개인적 차원의 역량과 사회적 차원의 역량 개념을 명료히 정의하여 둘 사이의 관련성과 차별성을 보다 구체화하여 드러내고자 합니다.

○ 또한 2차 델파이조사에서 문항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받은 후 문항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지표체계에 대한 검토와 수정도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Page 10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95

연구진 부탁말씀

○ 이상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말씀드렸습니다. 주신 검토 의견들에 대한 치밀한 검토가 필요하여, 그 모든 결과들을 종합하여 2차 조사를 실시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때문에 이번 2차 조사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지표 체계와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요소 및 문항에 대하여 검토를 받고자 합니다.

○ 이번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문화역량지수를 구성하는 하위역량 및 하위지표(질문항)에 관하여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지표영역별로 수정·보완해야 할 사항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age 10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9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2. 제 2차 전문가 의견 조사 내용2.1. 문화역량 측정모형과 지표체계수정된 문화역량 지표체계

□ 문화역량 측정모형○ 문화역량 측정 모형이란 문화역량 개념이 담고 있는 속성을 수치화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가공한 모형을 말합니

다. 측정 모형에 기초하여 지표를 구성하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수를 산출할 수 있게 됩니다.○ 문화역량 측정 모형(안) - 연구진은 문화역량 개념 모형에 기초하여 측정 모형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습니다.

□ 문화역량 지표체계대영역 소영역 하위지표(문항)

개인적 차원(individual dimension)

내재적 요소감수성상상력취향

관심/지식이해

외향적 요소 참여표현력

사회적 차원(social dimension)

공감소통관용

1) 위에서 제시된 문화역량 측정 모형 및 지수체계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해 주십시오.

타당성 정도매우

타당함 타당함 보통임 타당하지 않음 매우타당하지 않음

Page 10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97

2) 여러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정리하기는 하였습니다만,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화역량 측정 모형 및 지수체계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age 10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9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2.1. 문화역량 진단조사 문항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스스로를 생각할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일반적으로 타인이 귀하를 볼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그렇다

번호 감수성 문항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그렇다

① ② ③ ④ 1 주위의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 ① ② ③ ④

2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늘 생각하고 배려한다

3 감수성이 풍부하다4 다른 사람들의 스타일 변화를 잘 알아

채는 편이다5 계절의 변화를 남들보다 먼저 느낀다

□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

① 감수성

1) “감수성”을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Page 10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99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스스로를 생각할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일반적으로 타인이 귀하를 볼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그렇다

번호 상상력 문항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그렇다

① ② ③ ④ 2 상상력이 풍부하다 ① ② ③ ④3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

고 한다4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 대해

자주 생각한다

1 귀하는 다음 의견 중 어느 쪽에 가깝다고 생각하십니까?공상은 시간 낭비이기 때문에 현실에 집중한다

현실이 각박해도상상에 시간을 할애할 여지는 있다

① ② ③ ④

□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② 상상력

2) “상상력”을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Page 10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0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문화예술에 대한 다음의 각 의견에 대해 얼마나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매우 반대 매우 동의

1 추상적 현대 미술은 아무렇게나 만들어져서 아이들이라도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2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

3 대중문화는 좋거나 나쁘다기 보다는 개인의 취향문제로 보아야 한다

4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이 떨어진다귀하는 여행 중 다음의 문화 활동을 얼마나 하십니까?

전혀 하지 않는다 항상 한다

5 공연예술 관람(전통예술, 뮤지컬, 축제 등) ① ② ③ ④6 시각예술 관람

다음의 음악 장르에 문화적 가치가 얼마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음의 음악 장르에 대한 선호여부를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매우낮음

매우높음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한다 모르겠다

7.1 ① ④ 민속음악 7.2 ① ② ③ ④8.1 트로트,

뽕짝 8.2

9.1 재즈, 블루스 9.2

10.1발라드, 포크,컨트리

10.2

11.1 힙합, 랩, 댄스 11.2

12.1 락, 헤비메탈 12.2

13.1 종교음악 13.214.1 뮤지컬 14.2

15.1클래식(오페라/ 합창)

15.2

□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③ 취향

*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적 위계에 대한 관념 및 실태 파악

Page 10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01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6 귀하는 일상의 소비활동에서 나만의 고유한 스타일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② ③ ④

3) “취향”을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Page 11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0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스스로를 생각할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일반적으로 타인이 귀하를 볼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그렇다

번호 관심/지식 문항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그렇다

① ② ③ ④ 5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끊임없이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 ① ② ③ ④

6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접촉이 있는 편이다

7 대화의 소재에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

귀하는 다음의 각 의견에 어느 정도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

1 훌륭한 예술과 평범한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절대적이다 ① ② ③ ④

2 사회의 극히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

3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

4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④ 관심/지식

4) “관심/지식”을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Page 11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03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다음의 각 진술에 대해 얼마나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전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1 나는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는 내용을 잘 이해한다 ① ② ③ ④2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3 회화, 조각, 음악과 그 밖의 문화예술 작품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개인적 차원 역량의 내재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⑤ 이해

5) “이해”를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Page 11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0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개인적 차원 역량의 외향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다음의 문화예술 및 스포츠 행사를 관람할 의향이 있습니까?

귀하는 지난 1년 간 (2013.00.00~2014.00.00) 다음의 문화예술 및 스포츠 행사를 실제로 관람한 적이 있습니까? (있는 경우 빈도 응답)

있다 없다 있다 없다5.1 ① ② 전통예술 공연

(국악, 풍물, 민속극) 5.2 ① 빈도 ②

6.1 연극 공연(뮤지컬, 난타 포함) 6.2 빈

도7.1 영화 7.2 빈

도8.1 무용 공연(서양무용, 한국무용, 현대무용) 8.2 빈

도9.1 음악 공연

(클래식 음악, 오페라) 9.2 빈도

10.1 전시회(사진, 서예, 건축, 디자인, 공예전 등) 10.2 빈

도11.1 문학 행사(시화전, 도서 전시회, 작가와

의 대화) 11.2 빈도

12.1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12.2 빈도

13.1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13.2 빈도

14.1 스포츠 관람 14.2 빈도

귀하는 문화예술에 대한 다음의 각 의견에 대해 얼마나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매우 반대 매우 동의

1 정부가 세금과 같은 공공 재원으로 문화예술을 지원하는 것이 좋다 ① ② ③ ④

2 가난한 학생들이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할 필요가 있다

3 인터넷으로 음악이나 영화 등을 무료로 주고받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문화를 즐기는데 도움이 된다

4 순수예술(클래식 음악, 미술, 연극, 문학작품 등) 관련 방송 프로그램은 현재보다 많아져야 한다

□ 개인적 차원 역량의 외향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① 참여

Page 11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05

17 귀하는 문화예술 관련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으십니까? 정규학교 예체능 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교육은 제외하고, 예능계 학교나 학원, 개인교습 등은 포함시켜 말씀해 주십시오① 있다 ② 없다(문화 예술관련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다면)

17.1 다음 각 문화교육을 최초로 언제 받으셨습니까? 만 11세 혹은 그 이전

만 12세~만 17세

만 18세 혹은 그 이후

1) 음악(악기, 성악, 합창, 창, 판소리 등) ① ② ③2) 발레, 무용3) 미술, 서예4) 기타 ( )

17.2 그 문화 교육을 모두 얼마동안 받으셨습니까? 1년 미만 1년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

1) 음악(악기, 성악, 합창, 창, 판소리 등) ① ② ③2) 발레, 무용3) 미술, 서예4) 기타 ( )

18 귀하는 문학 관련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으십니까? 정규학교 예체능 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교육은 제외하고, 예능계 학교나 학원, 개인교습 등은 포함시켜 말씀해 주십시오① 있다 ② 없다(문학 관련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다면)

18.1 귀하는 다음의 문학 관련 교육에 관한 각 진술에 대해 얼마나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매우 반대 매우 동의1) 문학작품에 관심을 갖게 했다 ① ② ③ ④2) 문학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3) 문학작품 창작활동을 할 동기를 부여했다

15 귀하는 지난 1년 간 (2013.10.1~2014.9.30) 학교, 문화예술교육시설, 스포츠교육시설 등에서 문화예술교육 또는 스포츠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있는 경우 프로그램수 응답

있다 없다15.1 문화예술교육 ① 프로그램수 ②15.2 스포츠교육 프로그램수

16귀하는 지난 1년 동안(2013.10.1~2014.9.30)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예술 창작·발표 활동을 하신 적이 있습니까?(단, 학교에서 정규 교과과정 및 학원에서 입시 목적에 의한 것은 제외)

있다 없다16.1 문학행사 (시화전, 도서전시회, 작가와의 대화) ① ②16.2 미술 (사진, 서예, 건축, 디자인 등) 전시회16.3 클래식 음악회 오페라16.4 전통예술 (국악, 풍물, 민속극)16.5 연극 (뮤지컬 포함)16.6 무용 (서양무용, 한국무용, 현대무용)16.7 영화16.8 대중가요 콘서트, 연예

Page 11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0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21 귀하는 온라인 서적, 잡지 만화책, 수업교재를 제외하고 원 평균 몇 권의 책(종이책 기준)을 읽습니까?전혀 읽지 않음 한 달에 1권 미만 한 달에 1권 한 달에 2권 한 달에 3권 이상

① ② ③ ④ ⑤

19 귀하는 시각예술 관련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으십니까? 정규학교 예체능 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교육은 제외하고, 예능계 학교나 학원, 개인교습 등은 포함시켜 말씀해 주십시오① 있다 ② 없다(시각예술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다면)

19.1 귀하는 다음의 시각예술 교육에 관한 각 진술에 대해 얼마나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매우 반대 매우 동의1) 시각예술에 관심을 갖게 했다 ① ② ③ ④2) 시각예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3) 시각예술 창작활동을 할 동기를 부여했다

20 귀하는 청각예술 관련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으십니까? 정규학교 예체능 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교육은 제외하고, 예능계 학교나 학원, 개인교습 등은 포함시켜 말씀해 주십시오① 있다 ② 없다(청각예술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다면)

20.1 귀하는 다음의 청각예술 교육에 관한 각 진술에 대해 얼마나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매우 반대 매우 동의1) 청각예술에 관심을 갖게 했다 ① ② ③ ④2) 청각예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3) 청각예술 창작활동을 할 동기를 부여했다

22 귀하는 지난 1년 동안(2013.10.1.-2014.9.30.) 문화자원봉사활동(예술재능기부, 도슨트, 문화해설사 등)에 참여하신 경험이 있습니까?

있다 없다①

(22.1~2 문항에 응답)②

(표현력 문항으로 이동)22.1 (문항 22에서 참여 경험이 있다고 응답을 하셨다면)

1년 동안 참여한 봉사활동 시간은 모두 얼마입니까?총 ________________________ 시간

22.2 (문항 22에서 참여 경험이 있다고 응답을 하셨다면) 주로 활동한 자원봉사분야는 무엇입니까?① 단체 및 교육활동을 위한 예술재능기부 (반주, 안무, 교습 등)② 관람 안내를 위한 정보 제공 (도슨트, 문화해설사 등)③ 기타 (무엇:____________________)

1) “참여”를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Page 11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07

개인적 차원 역량의 외향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스스로를 생각할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일반적으로 타인이 귀하를 볼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그렇다

번호 표현력 문항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그렇다

① ② ③ ④ 1 내 안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① ② ③ ④2 내 생각이나 느낌을 다른 사람과 달리

새롭게 표현하고자 한다3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4 내 마음속에 있는 것을 잘 드러내지 못

해서 답답할 때가 있다5

말하고자 하는 것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해 말뿐만 아니라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 개인적 차원 역량의 외향적 요소 진단조사 문항② 표현력

2) “표현력”을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Page 11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0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사회적 차원의 역량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다음의 각 진술에 대해 얼마나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전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2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매우 화가 난다 ① ② ③ ④3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줄 수 있다4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우울하게 있으면 내 마음도 편

하지 않다5 화내고 있는 사람을 보면 왜 그런지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다6 고통스러워하는 동물을 보면 몹시 마음이 아프다

1 귀하는 다음 의견 중 어느 쪽에 가깝다고 생각하십니까?바쁠 때는 오로지 내 일에 집중한다

바쁘더라도 친구가 아프면 관심을 많이 기울인다

① ② ③ ④

□ 사회적 차원의 역량 진단조사 문항1) 공감

1) “공감”을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Page 11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09

사회적 차원의 역량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다음의 각 진술에 대해 얼마나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전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1 상대방이 말하는 의도가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 잘 듣

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2 상대방의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3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을 말한다

4 나는 다른 사람들과 말이 잘 통하지 않을 때가 많다5 다른 사람들이 나를 이해해 주지 못할 때가 많다6 나는 내 말만 하지 않고 다른 사람 말도 들어주는 편

이다전혀하지

않는다가끔하는

편이다자주하는

편이다매우

자주 한다

7 귀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가족, 친구, 동료와 얼마나 자주 공유하십니까? ① ② ③ ④

8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을 얼마나 자주 쓰십니까?

9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글에 대하여 얼마나 자주 공감을 표하십니까?

□ 사회적 차원의 역량 진단조사 문항2) 소통

2) “소통”을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Page 11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1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사회적 차원의 역량 진단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

귀하는 다음의 각 진술에 대해 얼마나 동의 또는 반대하십니까?전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1 나와는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더라고 상대방의 주장

을 귀담아 듣는다 ① ② ③ ④

2 나와 종교적 신념이 달라도 기본권(대한민국에서 살 권리 등)을 인정해야 한다

3 우리나라는 다양한 인종, 종교, 문화가 많이 들어올수록 좋다

4 나는 세계 여러 나라의 새로운 문화를 접하는 것에 흥미를 갖고 있다

5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

6 나는 말투, 생김새, 피부색이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을 놀리거나 차별한 적이 있다

□ 사회적 차원의 역량 진단조사 문항3) 관용

3) “관용”을 진단하는 조사 문항 가운데 수정하거나 보완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여 주십시오.

☺ 끝까지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Page 11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11

부록 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설문지

2014년 문화역량 기초조사

통계법 제33조 (비밀의 보호 등)- 통계작성 과정에서 알려진 사항으로서 개인 또는 법인이나

단체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보호되어야 한다.

안녕하십니까? 귀하 및 귀댁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저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월드리서치입니다.

이번에 저희 회사에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뢰를 받아 문화예술교육 정책 수

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문화역량 기초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귀하의 의견은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본 조사는 통계법 제33조에 의거하여 실시⋅관리되므로, 설문 내용 및 응답자에 대한 모

든 비밀은 철저하게 보장됩니다. 또한 이 조사의 내용은 통계목적 이외에는 절대로 사용

되지 않습니다.

귀하의 소중한 응답은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오니, 잠시 시간을

내어 본 설문에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4년 10월

주관기관 수행기관

문의사항 ㈜월드리서치 연구부 대리 문병일

TEL> 02-6188-6033 E­Mail> [email protected]

Page 12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1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SQ1. 거주지역

① 서울 ② 부산 ③ 대구 ④ 인천 ⑤ 광주

⑥ 대전 ⑦ 울산 ⑧ 세종 ⑨ 경기 ⑩ 강원

⑪ 충북 ⑫ 충남 ⑬ 전북 ⑭ 전남 ⑮ 경북

⑯ 경남 ⑰ 제주

SQ2. 거주지역 크기 ① 대도시 ② 중・소도시 ③ 읍/면

SQ3. 성별(※ 면접원 기재) ① 남성 ② 여성

SQ4. 올해 귀하의 연세는 만으로 어떻게 되십니까? 만 세

◀만 15세 미만 면접 중단

우선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이나 성향에 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

문1.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 1 2 3 4

2)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 1 2 3 4

3) 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 1 2 3 4

4)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

1 2 3 4

5) 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나서 감동이 오래가는 편이다

1 2 3 4

Page 12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13

문2.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 1 2 3 4

2)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 1 2 3 4

3)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 본다

1 2 3 4

4) 나는 소설 등의 문학작품을 읽고 난 후 뒷이야기를 꾸며 생각해 본다

1 2 3 4

문3. 귀하는 문화예술에 대한 다음의 각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 매우 동의 동의 동의 안함전혀

동의안함

1)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

1 2 3 4

2)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

1 2 3 4

3)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을 위협한다 1 2 3 4

4) 뛰어난 예술과 그렇지 않은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절대적이다

1 2 3 4

5)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

1 2 3 4

문4. 귀하는 지난 1년 동안(2013.00.00 ~ 2014.00.00) 갔던 여행(당일 여행 포함) 중에

해당지역의 문화활동에 얼마나 참여하셨습니까?

세부 문항매우

자주한다자주한다

별로하지

않는다

전혀

하지

않는다

해당기간

여행경험

없음

1) 공연예술 관람 (전통예술, 뮤지컬, 축제 등) 1 2 3 4 5

2) 시각예술 관람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 등) 1 2 3 4 5

Page 12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1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문5. 다음의 음악 장르별로 문화적 가치가 얼마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 매우 높음 높음 낮음 매우 낮음

1) 전통음악 (국악/민요/사물놀이 등) 1 2 3 4

2) 트로트/뽕짝 1 2 3 4

3) 재즈/블루스 1 2 3 4

4) 발라드/포크/컨트리 1 2 3 4

5) 힙합/랩/댄스 1 2 3 4

6) 락/헤비메탈 1 2 3 4

7) 종교음악 1 2 3 4

8) 뮤지컬 1 2 3 4

9) 클래식(오페라/합창/가곡 등) 1 2 3 4

문6. 다음의 음악 장르별로 선호여부를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세부 문항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한다 장르모름

1) 전통음악 (국악/민요/사물놀이 등) 1 2 3 4

2) 트로트/뽕짝 1 2 3 4

3) 재즈/블루스 1 2 3 4

4) 발라드/포크/컨트리 1 2 3 4

5) 힙합/랩/댄스 1 2 3 4

6) 락/헤비메탈 1 2 3 4

7) 종교음악 1 2 3 4

8) 뮤지컬 1 2 3 4

9) 클래식(오페라/합창/가곡 등) 1 2 3 4

문7.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

1 2 3 4

2) 나는 대화할 때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 1 2 3 4

3)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

1 2 3 4

4)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1 2 3 4

Page 12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15

문8.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 1 2 3 4

2) 나는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 1 2 3 4

3) 내가 관심 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

1 2 3 4

다음은 문화예술 행사관람이나 관련된 활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9. 귀하는 현재 (2014.00.00 기준) 문화활동을 위해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

까?

① 참여하고 있다(☞ 문10번으로 이동)

② 그렇지 않다 (☞ 문12번으로 이동)

문10. [※ 문9의 ① 응답자]

귀하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문화 동호회는 주로 어떤 활동을 하고 있습니까?

참여하고 있는 활동을 모두 응답해 주세요.

① 공연·전시 관람 ② 영화 관람 ③ 음악 활동(합창단, 악기 연주 등)④ 사진 촬영 ⑤ 무용 활동 (방송·재즈·사교댄스, 발레, 에어로빅 등)⑥ 문학 활동 (독서토론, 문예창작 등) ⑦ 미술 및 서예 활동(그림, 공예, 디자인, 서예 등)⑧ 기타 (무엇: _______________)

문11. [※ 문9의 ① 응답자]

귀하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시는 문화 동호회는 어디에 소속되어 있습니까? 소속이

다를 경우, 모두 응답해 주세요.

① 직장 ② 학교 ③ 온라인 (인터넷, 카페, 클럽, SNS 등)

④ 지역 사회 ⑤ 학교 단체 ⑥ 기타 (무엇: __________ )

Page 124: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16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문12. 귀하는 지난 1년 간 (2013.00.00~2014.00.00) 다음의 문화예술 행사를 실제로

관람한 적이 있습니까? 관람 경험이 있는 경우, 지난 1년동안의 관람 횟수를 구체적으로 적어

주세요.

세부 문항 있 다 없 다

1) 전 통 예 술 공 연 (국 악 /민 속 극 등 ) ① 빈 도 회 ②

2) 연 극 공 연 (뮤 지 컬 , 난 타 등 ) ① 빈 도 회 ②

3) (영 화 관 ·자 동 차 극 장 등 에 서 ) 영 화 관 람 ① 빈 도 회 ②

4) 무 용 공 연 (서 양 /한 국 /현 대 무 용 등 ) ① 빈 도 회 ②

5) 음 악 공 연 (클 래 식 음 악 /오 페 라 /콘 서 트 등 ) ① 빈 도 회 ②

6) 전 시 회 (미 술 /사 진 /서 예 /건 축 /디 자 인 /공 예 전 등 ) ① 빈 도 회 ②

7) 문 학 행 사 (시 화 전 /도 서 전 시 회 /작 가 와 의 대 화 등 ) ① 빈 도 회 ②

8) 지 역 문 화 예 술 행 사 ·축 제 ① 빈 도 회 ②

9) 역 사 문 화 유 적 지 탐 방 ① 빈 도 회 ②

문13. 귀하는 다음의 문화예술 행사를 관람할 의향이 있습니까?

세부 문항 있 다 없 다

1) 전 통 예 술 공 연 (국 악 /민 속 극 등 ) ① ②

2) 연 극 공 연 (뮤 지 컬 , 난 타 등 ) ① ②

3) (영 화 관 ·자 동 차 극 장 등 에 서 ) 영 화 관 람 ① ②

4) 무 용 공 연 (서 양 /한 국 /현 대 무 용 등 ) ① ②

5) 음 악 공 연 (클 래 식 음 악 /오 페 라 /콘 서 트 등 ) ① ②

6) 전 시 회 (미 술 /사 진 /서 예 /건 축 /디 자 인 /공 예 전 등 ) ① ②

7) 문 학 행 사 (시 화 전 /도 서 전 시 회 /작 가 와 의 대 화 등 ) ① ②

8) 지 역 문 화 예 술 행 사 ·축 제 ① ②

9) 역 사 문 화 유 적 지 탐 방 ① ②

Page 125: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17

문14. 귀하는 지난 1년 간(2013.00.00~2014.00.00) 아래의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

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까? 단, 학교 정규 교과과정이나 학원에서 입시 목적에 의

한 것은 제외합니다.

세부 문항 있 다 없 다

1) 백일장, 서예 경연대회 참가 ① ②

2) 미술작품(그림, 조소 등) 창작, 전시회 ① ②

3) 사진 전시 ① ②

4) 연극, 영화, 연예 프로그램 출연 및 제작 ① ②

5) 악기 연주 또는 합창 등 음악 공연 ① ②

6) 무용 공연 ① ②

7) 기타(무엇: ___________________) ① ②

문15. 귀하는 지난 1년 동안(2013.00.00.-2014.00.00.)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예술재능기부, 도슨트, 문화해설사 등)에 참여하신 경험이 있습니까?

※ 도슨트란 미술관 등에서 전시회를 해설해 주는 사람을 말합니다.

① 있다(☞ 문16번으로 이동) ② 없다(☞ 문18번으로 이동)

문16. [※ 문15의 ① 응답자]

1년 참여한 문화예술분야 자원봉사활동 시간은 모두 얼마입니까?

총 시간

문17. [※ 문15의 ① 응답자] 주로 활동한 문화예술 자원봉사분야는 무엇입니까?

① 단체 및 교육활동을 위한 예술재능기부 (반주, 안무, 교습 등)

② 관람 안내를 위한 정보 제공 (도슨트, 문화해설사 등)

③ 기타 (무엇:____________________)

문18. 귀하는 월 평균 몇 권의 책(종이책 기준)을 읽습니까? 단, 온라인 서적(e-book

포함), 잡지, 만화책, 수업교재를 제외하고 말씀해 주세요.

① 전혀 읽지 않음 ② 한 달에 1권 미만 ③ 한 달에 1권

④ 한 달에 2권 ⑤ 한 달에 3권 이상

Page 126: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18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다음은 문화예술교육과 그 효과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19. 귀하는 초등, 중등, 고등학교의 정규수업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음악(국악 포함),

무용(댄스스포츠 포함), 미술(서예, 공예 포함), 문학 분야(소설, 시, 희곡 포함), 연

극·영화의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다음의 각 의견에 대해 어떻

게 생각하십니까? ※ 예능계학교도 포함해서 말씀해주세요.

세부 문항 매우 동의 동의 동의 안함전혀

동의안함

1) 교육 받은 문화예술 분야에 관심을 갖게 했다 1 2 3 4

2) 교육 받은 문화예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 1 2 3 4

3) 교육 받은 문화예술 활동에 계속 참여할 동기를 부여했다

1 2 3 4

문20. 학원, 개인교습 등의 활동을 통해 다음 각 문화예술교육을 최초로 언제 받으셨습

니까? 단, 정규학교 예체능 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교육은 제외하고 말

씀해 주십시오.

세부 문항취학 전에

초/중/고등학교재학 중에

초/중/고등학교졸업 이후

교육받은경험 없음

(☞ 문21번으로 이동)☞ 문23번으로

이동

1) 음악(악기, 성악, 합창, 창, 판소리 등) ① ② ③ ④

2) 무용(발레, 댄스스포츠, 등) ① ② ③ ④

3) 미술(서예, 공예, 디자인 등) ① ② ③ ④

4) 문학(소설, 시, 희곡 등) ① ② ③ ④

5) 연극·영화 ① ② ③ ④

문21. [※ 문20의 ① ~ ③ 응답자 ] 위의 문화예술교육을 얼마 동안 받으셨습니까?

세부 문항 1년 미만 1년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

1) 음악(악기, 성악, 합창, 창, 판소리 등) ① ② ③

2) 무용(발레, 댄스스포츠 등) ① ② ③

3) 미술(서예, 공예, 디자인 등) ① ② ③

4) 문학(소설, 시, 희곡 등) ① ② ③

5) 연극·영화 ① ② ③

Page 127: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19

문22. [※ 문20의 ① ~ ③ 응답자 ] 위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다음의 각 의견에 대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 매우 동의 동의 동의 안함전혀

동의안함

1) 교육 받은 문화예술 분야에 관심을 갖게 했다 1 2 3 4

2) 교육 받은 문화예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 1 2 3 4

3) 교육 받은 문화예술 활동에 계속 참여할 동기를 부여했다

1 2 3 4

귀하의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23. 귀하는 스스로를 생각할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1 2 3 4

2) 나는 평소에 내 생각이나 느낌을 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 1 2 3 4

3)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

1 2 3 4

4)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1 2 3 4

문24.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 1 2 3 4

2)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 줄 수 있다

1 2 3 4

3) 주변 사람이 우울하면 내 마음도 편하지 않다 1 2 3 4

4) 남의 고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1 2 3 4

5)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 1 2 3 4

Page 128: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20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문25.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 1 2 3 4

2)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1 2 3 4

3)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을 말한다

1 2 3 4

문26. 귀하는 다음의 각 질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자주한다자주한다

별로하지

않는다

전혀

하지

않는다

1) 귀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가족, 친구, 동료와 얼마나 자주 공유하십니까?

1 2 3 4

2)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을 얼마나 자주 쓰십니까?

1 2 3 4

3)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글에 대하여 얼마나 자주 공감을 표하십니까?

1 2 3 4

문27.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

1 2 3 4

2) 나는 정치적·종교적 신념이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는다

1 2 3 4

3) 나의 이웃으로 다른 인종의 외국인이 이사 온다면 마음이 불편할 것이다

1 2 3 4

4)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

1 2 3 4

Page 129: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21

문28. 귀하는 어제 어느 정도 행복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행복하지 않았다 보통 매우 행복했다<---------------- ---------------->

⓪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문29. 귀하는 요즘 자신의 삶에 대해 전반적으로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보통 매우 만족한다<---------------- ---------------->

⓪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문30. 귀하는 요즘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전반적으로 얼마나 가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가치 없다 보통 매우 가치 있다<---------------- ---------------->

⓪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Page 130: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22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지금까지 조사에 협조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조사 자료의 분류를 위해 몇 가지만 더 여쭙겠습니다.

DQ1. 귀하를 포함해서 귀댁의 가구원은 모두 몇 명입니까?

▪가구원이란?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으로, 현재 같이 살고 있는 친척, 군대 간 자녀, 유학 간 자녀 등은 포함하고, 결혼하여 따로 살고 있는 자녀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DQ2. 귀 댁의 가족 구성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시나요?

① 1인 가구 ② 부부 가구 ③ 부부 + 자녀

④ 노부모 + 부부 + (손)자녀 ⑤ 기타

DQ3. 귀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01) 관리자 02)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03) 사무 종사자 04) 서비스 종사자

05) 판매 종사자 06)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0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08)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09) 단순노무 종사자 10) 군인

101) 주부 102) 중학생

103) 고등학생 104) 대학생

105) 대학원생 106) 무직

107) 퇴직 108) 기타 ( ________________ )

DQ4. 귀하의 직장(일)에서의 지위는 무엇입니까?

임금근로자

① 상용근로자 → 계약기간 1년 이상

② 임시근로자 → 계약기간 1개월 이상~1년 미만

③ 일용근로자 → 계약기간 1개월 미만

비임금근로자

④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사업주)

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⑥ 무급가족종사자(가족 일을 돕되 임금이 없는)

DQ5. 귀하께서는 학교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단, 중퇴는 졸업에 포함되지 않

습니다.

① 초등학교 졸업 이하

② 중학교 재학(중학생) ③ 중학교 졸업

④ 고등학교 재학(고등학생) ⑤ 고등학교 졸업

Page 131: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부록 | 123

⑥ 대학교 재학(대학생) ⑦ 대학교 졸업

⑧ 대학원 재학(대학원생) ⑨ 대학원 졸업

DQ5-1. 귀하께서는 예능계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를 다닌 적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DQ6. 귀하의 혼인 상태는 어떠합니까?

① 미혼 ② 기혼 ③ 이혼 ④ 별거 ⑤ 사별

DQ6-1. (DQ6의 ②, ③, ④, ⑤ 응답자만) 귀하의 자녀는 모두 몇 명이십니까?

DQ6-2. (DQ6-1에서 자녀가 1명 이상이라는 응답자만)

귀댁 자녀의 취학상태는 어떠한지 말씀해 주십시오.

순위 취학 전 초등학생 중고대생 학생 아님

첫째 ① ② ③ ④

둘째 ① ② ③ ④

셋째 ① ② ③ ④

넷째 ① ② ③ ④

DQ6-3. (DQ6의 ② 배우자있음 응답자만) 귀댁은 맞벌이를 하고 계십니까?

① 맞벌이 ② 외벌이

DQ7. 귀댁의 가족 전체의 월평균 소득은 대략 어느 정도입니까?

① 99만원 이하 ② 100∼149만원 ③ 150∼199만원

④ 200∼249만원 ⑤ 250∼299만원 ⑥ 300∼349만원

⑦ 350∼399만원 ⑧ 400∼449만원 ⑨ 450∼499만원

⑩ 500∼549만원 ⑪ 550∼599만원 ⑫ 600~649만원

⑬ 650~699만원 ⑭ 700만원 이상

DQ8. 현재 살고 계신 집은 귀하 소유입니까? 아니면 셋집입니까?

① 자기 집

② 전세

③ 월세, 반전세(보증부 월세), 사글세(일정금액을 맡기고 월세로 대체하는 방식)

④ 무상주택(임대료를 지불하지 않고 사는 주택)이나 사택

Page 132: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124 |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DQ9. 귀하는 어떤 종교를 가지고 계십니까?

① 종교 없음

② 개신교 ③ 불교 ④ 천주교 ⑤ 기타( )

DQ10. 귀하의 아버님께서는 학교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단, 중퇴는 졸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① 초등학교 졸업 이하

② 중학교 재학(중학생) ③ 중학교 졸업

④ 고등학교 재학(고등학생) ⑤ 고등학교 졸업

⑥ 대학교 재학(대학생) ⑦ 대학교 졸업

⑧ 대학원 재학(대학원생) ⑨ 대학원 졸업

DQ11. 귀하의 어머님께서는 학교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단, 중퇴는 졸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① 초등학교 졸업 이하

② 중학교 재학(중학생) ③ 중학교 졸업

④ 고등학교 재학(고등학생) ⑤ 고등학교 졸업

⑥ 대학교 재학(대학생) ⑦ 대학교 졸업

⑧ 대학원 재학(대학원생) ⑨ 대학원 졸업

대면

면접용

응답자 성명

응답자 전화번호

조사 일시 월 일 _______시 _______분 ~ _______시 _______분 까 지

면접원 성명 면접원 ID

검증 결과 ① 통과 ② 재검증

바쁘신 중에도 참여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은 문화예술교육 융성과

행복한 국민의 삶을 만들어 가는데 성실한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Page 133: 2014 문화역량 개념틀 연구

자문위원

< 외부전문가(자문) > 권 덕 원 경인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박 영 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양 혜 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임 학 순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 정 문 성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