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68

description

This slide was designed for non-commercial purposes. 이 슬라이드는 비영리IT지원센터(www.npoit.kr)가 진행한 [Ctrl + CV 전문가 과정]의 첫 번째 시간(2013.0826.)인 한글 프로그램 교육에 대한 강의노트입니다. 이 교육은 정년혁신활동가들의 업무능력 향상에 필요한 IT활용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비영리IT지원센터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npoitcenter)

Transcript of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Page 1: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Page 2: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어려웠던 부분 정보 수집

한글 2007 강의

문서 만들기

질문 또는 문제 해결하기

Page 3: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한글 2007 문서 수정하기

• 문서 수정이 강의의 핵심

• 원본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

• 출력된 참고자료를 활용하기

Page 4: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가급적 마우스는 사용하지 않기!!

• 단축키 사용량을 늘려 문서 작성 시간 단축하기

• 단축키를 모르는 경우 도움말 (F1) 및 참고자료 활용

Page 5: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원본의 손상을 막기 위해 다른 이름 저장

• [Alt + V]는 다른 이름 저장입니다.

• 파일명은 각자 원하는 이름으로 합니다.

Page 6: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페이지 수정하기

• [F7] 은 편집 용지 설정 메뉴입니다.

• 여백 설정을 통해 문서 공간을 확

보 할 수 있습니다.

• 문서의 통일감을 줄 수 있도록 위

쪽, 아래쪽, 오른쪽, 왼쪽의 크기를

10.0 mm로 통일 합니다.

• Alt를 누르면 단축키 정보가 표시

됩니다.

Page 7: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글꼴을 기본값으로 되돌리기 1

• [Ctrl + A]를 누릅니다. 모두 선택 단축 키 입니다.

• 이어서 [Alt + L]를 누릅니다. 글자 모양 도구 메뉴 입니다.

• 글자 모양에서는 기본 커서가 글꼴에서 활성화 되어있습니다.

• 바탕체, 돋움체, 고딕체 중 1개를 선택합니다.

Page 8: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글꼴을 기본값으로 되돌리기 2

• 글꼴이 바뀌면 양쪽 정렬을 하기 위해 [Ctrl +Shift + M]을 입력

합니다.

• M은 양쪽, R은 오른쪽, L은 왼쪽, C는 가운데 정렬입니다.

Page 9: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문서에 있는 모든 그림파일 저장하기

• 그림의 수정사항이 요구되거나 만일을 대비해 저장을 합니다.

• 그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마우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 그림을 클릭하면 그림 보조 메뉴가 활성화 됩니다.

Page 10: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그림파일을 글자처럼 취급하기 1

• 이미지 파일이 문서에 들어가면 이미지는 별도의 객체가 되어

문단의 모양을 망치게 됩니다.

• 그림을 마우스로 클릭한 상태에서 키보드 P를 누릅니다.

• P를 누르면 객체 속성 메뉴가 활성화되며 기본 - 위치에 표시

되어 있는 글자처럼 취급을 키보드 C를 눌러 선택합니다.

Page 11: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그림파일을 글자처럼 취급하기 2

• 문서마다 다르지만 글자처럼 취급하기를 적용하면 문단이 깨

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당황하시지 마시고 문서를 차근차근

수정하면 깔끔하게 변경이 가능해집니다.

Page 12: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격적인 문서 수정하기

• 참고자료 1의 모양과 비슷하게 만들기

Page 13: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무엇을 고려 해야할까?

• 참고자료 1의 내용

– 배치 : 조직을 이루는 것, 서로 관련된 요소들을 가깝게 배치하기

– 정렬 : 지면을 통합하고 조직화 하는 것

– 폰트 : 가독성이 높고 깔끔한 것

• 이미지의 크기

• 전체 페이지의 구상

Page 14: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제목 수정

• 본격적으로 수정하기 위해선 문단부호와 주판부호를 확인해야

합니다.

• 문단 부호는 [Ctrl + G +T] 를 통해 표시가 가능하며, Enter키를

몇 번 눌렀는가를 나타냅니다. 활성 시 문단 끝에 모양의 화

살표가 생성이 됩니다.

• 조판 부호는 [Ctrl + G +C] 를 통해 표시가 가능하며, Space

Bar키를 몇 번 눌렀는가를 나타냅니다. 활성 시 띄어쓰기가 되

어있는 각 문장의 공간에 v 모양이 생성이 됩니다.

Page 15: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제목 수정 1

• 이미지로 인해 구분이 힘든 경우 잘라내기 [Ctrl + X] 를 통해

이미지를 임시로 제거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조합원 교육통신[26]을 → 아이쿱 (또는 iCOOP) 구로생협 조합

원 교육통신 26호로 바꿉니다.

Page 16: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제목 수정 2

• 제목이 참고자료 1과 같은 모양이 되기 위해서는 글자 크기를

낮출 필요가 보입니다.

•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제목을 블록 지정 합니다.

• [Alt + Shift + R] 를 눌러 글자 크기의 포인트를 천천히 36pt로

변경합니다.

Page 17: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제목 수정 3

• 문단을 Enter키를 활용하여 나눕니다.

• 선 효과를 주기 주기 위해 제목 위아래에 – 문자를 원하는 만큼

입력합니다.

Page 18: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제목 수정 4

• 제목에 드래그를 다시 실행하여 자간을 조절합니다.

• [Alt + Shift + A] 를 눌러 간격을 좁혀 줍니다.

• 너무 좁혔다고 생각하는 경우 [Alt + Shift + Z] 를 눌러 간격을

다시 늘일 수 있습니다.

Page 19: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제목 수정 5

• 제목에 드래그를 다시 실행하여 줄 장평을 조절합니다.

• [Alt + Shift + N]를 눌러 간격을 좁혀 줍니다.

• 너무 좁혔다고 생각하는 경우 [Alt + Shift + W]를 눌러 간격을

다시 늘일 수 있습니다.

Page 20: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제목 수정 6

• 장평, 자간 조절로 나머지 부분을 단축키로 조정합니다.

• 정확하게는 하지 마시고, 감이 올 수 있게 적당히 조절하는 것

이 좋습니다. 너무 조절을 하면 수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

기 때문입니다.

Page 21: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1

• 본문의 내용을 수정하기 위해 줄 간격을 초기화 합니다.

Page 22: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2

• 띄어쓰기 및 오타가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Page 23: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3

• “*황매실..”을 스타일 복사 [Alt + C]를 실행합니다.

• 모양 복사 메뉴가 활성화 되면 키보드 B를 눌러 ‘글자 모양과 문단 모양 둘 다 복사’를 선택합니다.

• 본문 전체를 블록 지정 후 다시 [Alt + C]를 입력합니다.

Page 24: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4

• 문단을 다시 알맞게 나눕니다.

Page 25: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4

• 오려 두기를 실행했었던 그림 파일을 마우스 커서가 있는 공간에 붙여 넣기 [Ctrl + V]를 실행합니다.

Page 26: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5

• 하단에 있는 축제 내용을 오려 두기 [Ctrl + X]를 실행

• 이후 상단에 붙여 넣기 [Ctrl + V] 실행

Page 27: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6

• 붙여 넣기 한 상자는 도형 입니다.

• 모서리가 둥근 모양으로 변경하기 위해 도형을 클릭합니다.

• 도형을 클릭한 상태에서 L를 입력합니다.

• 선 – 사각형 모서리 곡률 에서 둥근 모양을 적용하기 위해 O를 입력합니다.

Page 28: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7

• 도형을 글자처럼 취급을 하기 위해 도형을 클릭합니다.

• 도형을 클릭한 상태에서 P를 입력합니다.

• 키보드 C를 눌러 글자처럼 취급을 적용시킵니다.

• 적용이 완료가 되면 문단이 다음페이지로 밀려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age 29: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8

• 도형에 입력된 내용을 드래그 하여 선택을 합니다.

• 스타일 복사를 적용하기 위해 [Alt + C] 를 입력합니다.

Page 30: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9

• 본문 하단에 전화번호 및 주소를 입력합니다.

• 띄어쓰기 없이 Tab키를 사용하여 간격을 2번 늘립니다.

Page 31: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수정 10

• 주소와 연락처를 기입하기 위해 표 생성을 합니다.

• 표 생성은 [Ctrl + N + T] 로 만들 수 있습니다.

• 1칸을 만들 것이기 때문에 1 X 1 크기로 지정을 합니다.

• 표가 만들어지면 주소와 연락처를 기입합니다.

Page 32: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구성 1

• 본문의 내용을 기입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 본문에 내용에 들어간 내용을 몇 장에 표현이 가능한가를 구성

해야 합니다.

• 구성을 하면서 빠진 부분 및 수정사항에 대해 한 번 더 확인하

는 작업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Page 33: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구성 2

• 줄 간격, 글자 크기를 줄이는 작업

• 표지가 1장에 표현이 되어야 합니다.

• 크기 수정 : 36 PT → 26 PT

Page 34: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구성 3

• 크기 수정 : 13 PT → 16 PT

• 공란 문단 : 13 PT → 12 PT

• “자연드림이야기 5월호”는 강조효과를 위해 진하게 [Alt + Shift + B] 효과를 줍니다.

• 기한과 물품은 구분이 쉽도록 앞에 – 기호를 입력합니다.

Page 35: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구성 4

• 크기 수정 : 너비 163mm , 90mm

• 정렬 위치 : 가운데 정렬

Page 36: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구성 5

• 크기 수정 : 13 PT → 12 PT

• 공란 문단 : 13 PT → 12 PT

• 그림과의 통일성을 위해 가운데 정렬을 실행합니다.

• 그림과 내용과 일치 할 수 있도록 적당히 자간을 늘립니다.

• 위 공란은 그림과 가급적 붙어있어야 하기 때문에 빈 공란에서 Del 키를 누릅니다.

Page 37: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구성 6

• 크기 수정 : 13 PT → 16 PT

• 공란 문단 : 13 PT → 12 PT

• 기호 삭제, □는 – 으로 수정

• 축제 이름을 강조하기 위해 진하게, 오이체로 수정

• 글상자를 가운데 정렬 실행

• 높이를 47mm로 수정

Page 38: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구성 7

• 도형을 클릭한 상태에서 P를 눌러 개체 속성 메뉴를 실행.

• 글상자 탭으로 이동합니다.

• 왼쪽정렬 상태에서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왼쪽 여백을 늘입니다.

• L을 눌러 15mm ~ 20mm 정도의 수치를 입력합니다.

Page 39: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구성 8

• 크기 수정 : 13 PT → 10 PT

• 글 내용 : 가운데 정렬

• 한 줄에 모든 내용이 들어갈 수 있도록 자간을 줄입니다.

Page 40: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구성 9

• 크기 수정 : 13 PT → 11 PT

• 표 테두리 없음

• 셀 배경 : 검은색

• 글자 색 : 흰색

• 글 내용 : 가운데 정렬

• 자간이 적다고 보이면 적당하게 수정

• 표의 크기를 [Ctrl + ↓] 를 통해 크기 늘임

• 표를 글자처럼 취급을 해서 마무리를 합니다.

Page 41: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본문 완성

• 오타 최종 확인

• 여백 확인

Page 42: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

• 설문지 방식은 표를 뼈대로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 번거로운 점은 있지만, 출력 시 깔끔하게 나옵니다.

• 전부 수정하는 것은 기입하지 않았습니다. (반복형태)

1. 표에 그림 넣기

2. 간격 일정하게 하기

3. 단락 기호 입력하기

Page 43: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2

• 설문지 1번 내용 위 공란에서 표 만들기를 생성합니다.

• [ Ctrl + N + T ] 을 통해 표 생성을 합니다.

• 5 X 1 을 기본 베이스를 잡았습니다.

• 글자처럼 취급까지를 눌러 표를 생성합니다.

Page 44: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2

• 표 안에 기존에 입력한 내용을 복사 후 붙여 넣기

• 여백 조절을 위해 두 번째 칸에서 내용을 입력

• 문단 번호 [ Ctrl + Shift + Insert ] 키를 입력

• 공란은 스페이스 바가 아닌 [ Ctrl + Tab ] 키를 2 ~ 3번 으로 조절을 합니다.

Page 45: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3

• 설문지의 내용을 위해 참조의 위치를 강조

• 3번째 칸에 페이지 참조를 반영

• 오른쪽 정렬

• 글자 진하게, 밑줄 강조 [ Alt + Shift +U ]

• 표 간격을 적당히 늘여 설문지 내용과 비율 조절

Page 46: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4

• 2번 설문지를 입력하기 위해 2번째와 3번째 칸의 내용을 복사합니다.

• 복사한 내용을 4번째 칸에서 붙여 넣기를 실행합니다.

• 셀 붙이기 메뉴에서 아래쪽에 끼워 넣기를 적용하기 위해 B키를 입력합니다.

Page 47: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5

• 붙여 넣기가 완료되면 숫자 1은 2로 변경이 됩니다.

• 다시 2번 내용을 붙여 넣기 하여 내용을 입력합니다.

Page 48: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6

• 이렇게 5번까지 입력을 합니다.

• 4, 5번의 경우 줄 간격을 맞추기 위해 Enter키가 아닌 Ctrl + Tab 키를 활용하여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Page 49: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7

• 1 ~ 5번까지의 내용이 입력이 되었다면, 설문 내용이 입력

된 칸의 크기를 늘려서 여백을 최소화 해야 합니다.

• 설문지 내용 칸을 Ctrl 을 눌러 각각의 내용을 클릭합니다.

• 선택이 완료되면 Ctrl + ↓를 눌러 표의 크기를 늘립니다.

Page 50: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Page 51: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8

• 다음 장도 내용을 동일하게 만듭니다.

• 첫 번째 장의 표를 복사하여 다음 장도 동일하게 만듭니다.

• 이미지가 들어가는 부분을 무시하고 내용을 입력합니다.

• 입력하고 나서 그림을 입력하기 위한 작업을 합니다.

Page 52: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9

• 8번의 내용은 설문지의 내용과 원칙과 다릅니다.

• 설문지에서 ?는 자신의 생각을 물어보는 것이라 내용은 공

란이 되어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내용을 알맞게 수정을 하면 좀더 깔끔해 질 수 있습니다.

Page 53: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0

• 10번의 경우 그림 자체가 설문지 이기 때문에 셀 추가를 하여 칸을 1개 더 생성합니다.

• 10번 내용이 입력된 칸에[ Ctrl + Enter ]키를 누르면 칸이 하나 더 생성이 되면서 11번이라는 목록이 자동 생성이 될 것입니다.

Page 54: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1

• 10번 내용을 F5키를 눌러 블록 지정 후 [ Ctrl + ↑ ] 키를 입력하여 최대한 크기를 늘립니다.

• 11번 내용은 지금 필요가 없기 때문에 F5키를 눌러 블록 지정 후 [ Ctrl + Shift + Insert ] 를 다시 입력하면 사라집니다.

Page 55: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2

• 새로 추가한 칸을 F5키를 눌러 블록 지정 후 S를 눌러 셀 나누기를 실행합니다.

• 이미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칸 수를 3으로 나눕니다.

Page 56: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2

• 기본 틀이 완성이 되었습니다.

• 설문지 내용 칸을 Ctrl 을 눌러 각각의 내용을 클릭합니다.

• 선택이 완료되면 Ctrl + ↑를 눌러 표의 최대로 줄입니다.

• 완료되면 다시 Ctrl + ↓를 눌러 표의 크기를 늘립니다.

• 어느 정도 늘렸다면 블록을 3칸으로 나눈 칸만 선택하여 표

의 크기를 Ctrl + ↓로 통해 알맞게 늘립니다.

Page 57: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Page 58: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2

• 모양이 잡혔습니다.

• 6번과 9번에 이미지를 삽입하기 위한 준비를 실행합니다.

• 6번과 9번의 작업은 동일한 방법입니다.

Page 59: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3

• 6번 내용을 F5를 눌러 블록 지정을 합니다.

• S키를 눌러 셀 나누기를 실행합니다.

• 한 개의 이미지만 삽입하기 때문에 2칸으로 나눕니다.

Page 60: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4

• 6번의 내용만 F5를 눌러 블록 지정 후 내용을 복사합니다.

• Del 키를 눌러 6번 내용을 지웁니다.

• 7번에 붙여 넣기를 실행합니다.

• 내용만 덮어쓰기를 C를 눌러 선택합니다.

Page 61: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5

• 다시 6번을 F5키를 눌러 블록 지정 후 [ Ctrl + Shift + Insert ] 키를 눌러서 문단 번호를 해제 합니다.

• 블록이 지정된 상태에서 [ Alt + ← ] 키를 입력하여 이미지를 삽입할 공간을 확보합니다.

• 적당히 확보되었다 판단되면, 9번 내용도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Page 62: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6

• 3칸으로 나눈 10번을 그림을 삽입했을 때 알맞은 모양을 낼 수 있도록 합니다.

• 첫 번째 칸을 Shift + ← 을 통해 끝까지 줄입니다.

• 두 번째 칸은 Shift + → 을 통해 끝까지 늘립니다.

Page 63: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6

• 이미지를 삽입하기 위해 생성한 칸을 F5로 블록 지정 합니다.

• C를 눌러 그림 탭을 확인합니다.

• 처음에 그림을 저장한 파일을 찾아서 그림을 선택합니다.

• 이미지 삽입 시 채우기 유형과 문서에 포함을 확인합니다.

Page 64: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Page 65: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7

• 완성된 표는 뼈대로써의 역할입니다.

• 표를 이루고 있는 테두리를 테두리 없음으로 적용을 하여

설문지를 마무리 합니다.

Page 66: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설문지 수정 18

• 표를 F5 키를 3번 눌러 전체 선택을 합니다.

• 전체 선택 이후 L키를 눌러 셀 테두리를 설정합니다.

• Y키를 눌러 선 없음, A키를 눌러 모든 테두리를 선택합니다.

•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설문지도 적용하면 완료입니다.

Page 67: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Page 68: 2013청년IT_한글2007의재발견_강의노트_에뭉이

추가질문- www.npoit.kr

같이의 가치를 나눕니다 @비영리 I T지원센터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