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Winter. Vol.03, 04

44
HANBAT Newsletter CREATIVE HANBAT 2012 Winter Vol. 3 · 4호 통권 S1동 도서관

Transcript of 2012. Winter. Vol.03, 04

HANBAT Newsletter

CREATIVE

HANBAT

2012 Winter Vol 3middot4호 통권S1동 도서관

존경하는 한밭가족 여러분

다사다난했던 임진(壬辰)년을 뒤로하고 희망찬 계사(癸巳)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우리 대학은 지난해 대학의 역사적 발전의 틀을 만든 해였습니다 우리 대학이 일반대학으로

다시 태어났기 때문입니다 우리 대학은 85년의 역사 속에서 국가 산업 발전에 따른 고급인재

육성을 위해 수많은 학제로 변화함에 따라 정체성 혼란이 거듭되어왔습니다만 이제는 그 종

지부를 찍고 최고 고등교육기관인 일반종합대학으로서 미래인재육성의 요람으로 다시 태어

났습니다

또한 일반대학원 석middot박사 과정이 동시에 개설되어 명실공히 최고 교육기관으로서 질 높은

교육과 세계적 수준의 연구역량을 갖출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아울러 국내 최초로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설치함으로써 대학이 산업과 융합하여 미래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체제

를 만들었으며 우수학생 유치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정부가 지원하는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등 수많은 정부사업을 유치하여 고

품격 교육과 산학융합교육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특히 연구비 확보가 150억원을 웃돌아 연구

여건이 크게 개선되었고 그 결과 교수님들의 논문과 특허 실적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사실로

부터 우리 대학 교수님들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총장간선제를 비롯한 많은 대학 혁신과제를 구성원간의 원만한 합의를 도출하여 슬기

롭게 이루어낸 역량을 보였습니다 또한 우리 대학의 교육과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그린

에너지관 신축 전학과 리모델링 ROTC관 신축을 하기 위해 작년보다 2배 가까운 시설 예산

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좁은 캠퍼스를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해 국유지 8100평(230억 원

상당)도 추가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많은 성과를 낸 교수님 직원선생님 조교선생님

그리고 학생 여러분을 비롯한 우리 한밭가족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사랑하는 한밭가족 여러분

우리 대학은 미래 인재교육의 일류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 2011년에 ldquo산학융합교육의 메카

Creative Hanbatrdquo 캠퍼스 구축을 우리의 비전으로 선포한 바 있습니다 대학은 이제 과거 상

아탑 시대를 벗어나 사회변화에 따른 수준 높은 교육과 연구를 통하여 급격히 변화하는 산업

구조에 따른 인재양성과 기술개발 수요에 부응하여야 합니다 이제 대학은 치열한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새해에는 이를 극복하여 일류

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서 우리 대학이 기반을 다지는 한 해로 정하고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진

하고자 합니다

신년사

HANBAT Newsletter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혁신과 교육환경을 개선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비교과 과정 프로그램을

제도화하여 정착시키겠습니다 특히 영어 교육을 비롯해 1인1기 교육 독서 100권 읽기 및 발표 극기 훈련프

로그램 등을 제도화하여 미래 산업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공학교육 인증제를 비롯한 각종 인증 제도를 정착시키고 교양교육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전 대학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새로운 교육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강의실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휴식공간도 확

대할 예정입니다 교수님들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둘째 각종 정부사업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노력과 2단계 BK21 후속사업을 비롯한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노

력을 함께 추진하겠습니다 미래 대학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세종시 RampBD 센터건립 추진과 서해안시대를 대비

한 당진 산학 융합지구사업을 통한 당진 캠퍼스 구축도 함께 추진할 계획입니다

셋째 세계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하여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외국유학생 확

대 국제공동연구 지원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성과가 우수한 교수님은 명예의 전당에 등재하여

그 이름을 명예롭게 영원히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넷째 산학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산학협력사업의 확대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보다

적극적인 산학협력 인프라를 확충하고 미래 대학경쟁력의 바로미터가 될 수 있는 기술사업화 기술이전 등의

사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다섯째 글로벌교육을 위한 국제협력 시스템을 강화하고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학위제 언어연수 등 자

매대학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우수한 유학생 유치를 위한 전략과 효율적인 유학생 지원 제도도 정착 시키고자

합니다 취업률 향상과 질 제고를 위한 취업조직 서비스 시스템 개선과 네트워크 확대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새해에는 무엇보다도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예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단과대학

행정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무처 학생처 기획홍보처 사무국은 주요 기획업무 중심으로 개편하고 일상 업무

와 학사관리업무 등은 단과대학에 대폭 이양하도록 하겠습니다 올해도 여러분의 복지관련 예산이 여의치 못

하여 개선하지 못함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만 항상 사정이 허락하면 심사숙고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존경하는 한밭가족 여러분

지금 우리 대학은 새로운 대학체제 개편으로 도약의 기회를 맞이한 동시에 보다 치열한 경쟁의 위기 속에서

산학융합교육 특성화를 통한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일류대학으로 발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분들의 힘과 지혜를 다시 한 번 모아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아울러 사랑하는 학생들이 큰 꿈을 만들

고 이룰 수 있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시는 교수님 직원선생님 그리고 조교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

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는 지금까지 보여준 대학 구성원의 단합된 노력으로 반드시 우리의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굳게 믿으며 우

리 한밭가족 모든 분들이 계사년 새해에 소망하시는 일 다 이루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가정에 행복이 충만하시

길 기원합니다

2013년 1월 2일

우리 대학교 총장 이원묵

05 10 3527 39

2012 Winter Vol 3middot4호 통권

발행처 |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홈페이지 | httpwwwhanbatackr 제작 | (주)봄인터랙티브미디어 T042-633-7800

학교소식

05bull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단 출범식

bull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bull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bull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bull제24기 최고경영자(CEO)과정 수료식

bull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전시회 개최

bull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bull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bull인문주간행사-명사 초청 강연회

bull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bull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bull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bull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bull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bull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bull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bull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bull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bull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bull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bull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bull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bull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bull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bull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bull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bull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bull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bull2013년 시무식 거행

bull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bull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개최

bull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bull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bull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bull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bull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

기관 선정

한밭인

39bull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bull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bull구본급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근정포장 수상

bull민병찬 교수 ldquo2012 MBC한빛대상(과학기

술분야)rdquo 수상

bull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bull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현학술

상」 수상

교육middot연구

23bull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bull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bull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bull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bull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bull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bull도시환경연구소 대전충남지역 토론회 개최

bull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bull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bull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bull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개발

bull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bull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bull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bull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bull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bull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

영 훈련 실시

bull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bull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bull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교류middot협력

33bull미국 메릴랜드 Bio-Park와 MOU 체결

bull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bull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 MOU 체결

bull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bull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bull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

협력 협약 체결

bull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

대학 설립 추진

bull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bull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

로그램 운영

bull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대학발전기금 기탁자 현황

42

Contents

표지

S1동 도서관

HANBAT Newsletter

CREATIVE

HANBAT

2012 Winter Vol 03middot04호 통권S1동 도서관

05

학교소식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단 출범

9월 19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 2층 다목적홀에서 이원묵총장과 유관기업체

기관 관계자 대학구성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

업단(이하 LINC사업단) 출범식을 가졌다

이날 출범식 1부 행사는 이원묵 총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대전광역시 김인홍

정무부시장 대전광역시교육청 윤광중 장학관의 축사와 LINC사업 이병영단장

의 산학협력사업보고 후 2부에서는 우리 대학이 현장중심교육의 내실화와 학

생 창업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현장실습지원센터 창업교육센터 개소를 알리

는 현판식을 가졌다 특히 이날 출범식에서는 10여년간의 학생현장실습을 적

극적으로 지원한 안전공업(주) 손주환 대표이사 등 12개 기업에게 감사패를 전

달했다

우리 대학은 앞으로 5년간 실천과 성공의 새로운 산학협력 선도모델 창출을

위하여 「IheartsU Dynamic Success Industry link University」 라는 독창성과 수월성

을 가진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병영 LINC사업단장은 ldquo이번 출범식을 통하여 우리 대학은 실천과 성공을 이

끌어 내는 산학협력 모형인 lsquoIheartsU 30 Dynamic Successrsquo실현으로 대학이 지역산

업과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델을 창출할 것rdquo 이라고 밝혔다

HANBAT University News학교소식

산학협력 SYSTEM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인프라 확충 현장실습middot 캡스

톤디자인 확대 운영 현장실습 지원센터 운영 창업

교육지원센터 운영

산학협력 COMPONENT

실습 및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 학middot석사 통합과정

운영 융middot복합 전공 운영

산학협력 LINK

기업의 애로기술 및 경영middot마케팅 등을 맞춤형 지원

공용장비 지원센터 운영 산업체 재직자 교육 미취

업 인턴십 지원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주요사업 내용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26일은 네 번째 만남으로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 2시

간이 넘는 시간 동안 격의 없이 이어진 학생과의 대화 시

간에서는 대학생활에서 학생들이 불편했던 점이나 시설

및 교육환경 개선 학사제도의 개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들의 질문이 이어졌고 이 총장은 질문 하나하나 직접

답하며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 총장은 ldquo학생과의 대화에서 학생들의 솔직한 비판과

의견을 듣고 보니 많은 것을 배운다 만남을 갖길 잘했다

는 생각이 들었다rdquo며 ldquo진지하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하

는 학생들의 모습에 우리 대학의 미래에 큰 기대를 느꼈

다rdquo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진한수(산업경영공학과middot1학년)군은

ldquo처음에는 부담스런 자리라고 생각했지만 터놓고 대화하

며 친근하게 다가오는 총장의 모습에 학생들에 대한 애정

과 관심이 크다는 것이 느껴졌다rdquo면서 총장과의 첫 만남

에 후한 점수를 매겼다

한편 이 총장과 5개 단과대학 1개 학부 학생들과 릴레이

대화는 11월 23일까지 계속되었다 학교 측은 한 달 동안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하여 학생들을 위

한 시설 및 학사 지원 등 다각적인 학생지도 및 지원 방안

을 마련 할 방침이다

ldquo총장님 반값 등록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교육의 질을

높이려면 예산이 많이 필요할 텐데 예산확보에 대한 방안은 무엇입

니까 학생식당에서 식사해보신적 있나요 좀 더 양질의 서비스를

기대해도 될까요rdquo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질

문이다

이원묵 총장은 10월 24일부터 11월 23일까지 한 달간 각 학과별로

전체학생과 직접 만나 대화의 장을 열어 불편 없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챙겼다

이번 행사는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의 주요정책 및 현안과제를 설명

하고 대학발전을 위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학

생들의 의견 수렴과 함께 학생들의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의식을 일

깨워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학생과의 대화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한밭대학교 학생들이 가져

야 할 꿈rdquo을 주제로 한 특강을 통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우리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 목표 교육비전 등을 소개 하며 ldquo학생 개개인

의 발전 및 대학 발전을 위해 서로 노력하자rdquo고 강조했다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01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건설환경조형대학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이

10월 9일부터 14일까지 한밭대학교 S10동 1층 갤

러리 목련홀에서 열렸다 이번 졸업작품전에는 도

전과 열정이 묻어나는 권민정 씨(24여)등 졸업생

55명의 참신하고 기발한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등 작품 80여 점과 각종 산업디자

인대회 수상작 10여 점 등 90여 점이 전시됐다

특히 이번 작품전에는 공업디자인학과와 교류하

고 있는 중국 합비대학 예술설계학과 학생들의 졸

업작품 10여 점도 전시되어 중국의 디자인 트렌드

를 이해하고 디자인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는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격려사에서 ldquo이번 작

품전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rdquo며 ldquo앞으로 끊임없는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개인의 발전과 우리 대학의 위상을

높여줄 것rdquo을 당부했다

9월 26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을 가졌다 이번 대회에는

43개팀 19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직접 기획middot설계middot제작한 Capstone

Design 시작품을 발표하였고 해당분야 전공교수가 출품작품별로 창의성

과 효율성 안정성 전공지식 활용도 종합적인 기획능력 등을 평가했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반물질팀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청춘예찬팀

코스모스팀 RampE팀 은상에 Light Hands팀 ARTOA팀 YSNam팀 동

상에 Think Tanker팀 꾀돌이팀 AHHA건축팀 등 총10개팀이 장학금과

상장 및 부상을 받았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은 반물질팀(제어계측공학)은 시각장애

인을 위해 점자좌판과 음성기능을 조합한 스마트폰인 Braille System을

출품하여 창의성 효율성 및 전공적인 기획능력 부분에서 큰 호평을 받

았다

대상의 영예를 안은 반물질팀 주현규(제어계측공학 4학년)군은 ldquo경진대

회 출품을 위해 지난 6개월간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해 다양한 실무경험

과 전공 심화 학습은 물론 팀원간 의사소통 해결방법 등에 대해 많은 지

식을 쌓을 수 있었다rdquo고 말했다

01_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시상식

02_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02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24기 최고경영자(CEO)

과정 수료식

8월 21일 오후 4시 교내 산학연협동관(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총

장과 CEO과정(총동창회장 백은기) 수료자 및 내외부관계자 200여 명

이 참석한 가운데 제24기 CEO과정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수료식은

이원묵 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53명의 수료자에게 수료증 수여 공로

자에 대한 상패수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었고 특히 24기생(원우회

장 서정우)들이 모은 발전기금 1천만원이 대학에 전달되었다 이번 24

기 CEO과정은 지난 3월 6일 입학식을 가졌고 약 6개월간 매주 화요일

과 목요일 CEO의 경영강좌와 문화 교양 건강 경영middot경제 특강 등 총

30여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이번 수료식을 통해 ldquo지금까지 한밭대 CEO과정을 수료

한 2200여 명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지역사회 경제는 물론 문화발전

과 사회 정의구현에 깊은 관심과 주도적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로 앞

으로도 본 대학의 발전은 물론 지역사회와 산업계 국가발전의 새로운

가치창조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을 당부한다rdquo고 밝혔다

한편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2000년 9월 제1기 72명 모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200여 명의 최고경영자를 배출하였다

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

전시회 개최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는 9월 11일부터 15일까

지 S10동 1층 갤러리 목련홀에서 「제8회 건축학과 학

생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해 2학

기부터 올해 1학기 동안 수요자중심의 맞춤식 건축설

계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건축학과 재학생들의 건축

설계프로젝트 결과물 110여 점과 각종 건축설계디자

인 대회에서 수상한 학생작품 30여 점이 전시되었다

건축학과 박상현 교수는 ldquo이번 전시회를 통해 학생들

은 자신이 수고하며 출품한 결과물과 다른 작품을 비

교함으로써 건축설계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키

우는 계기가 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이번 작품전은 기

획에서부터 홍보포스터와 리플렛 제작 전시회장 배

치와 작품설치 등 전 과정이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로

이루어져 lsquo잘 가르치는 대학rsquo인 우리 대학의 자기주도

형학습 교육의 현장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기획홍보처에서는 10월 19일 N4동 301호 세미나실과 11월 19일

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지족고교 1학년 학생 160명과 청산고교

1middot2middot3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대학탐방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middot2middot3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 소

개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대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

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는 2시간 동안 대학홍

보영상 및 학교현황 입시안내 마술쇼 등 대학소개를 진행하였고 3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학의 주요시설을 돌아보는 캠퍼스 투어를 실시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발전하는 우리

대학의 모습들을 보여준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지난 10월 26일 그랜드힐튼호텔 서울컨벤션센터에서 (사)한국산업경영

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6회 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가 개최

되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와 민창기 대학

원생은 lsquoB-2 상업용 빌딩의 효율적 신축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rsquo를 발표

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14개 대학 29팀이 출전한 lsquo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rsquo에서는 우

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재학생 총 8팀이 출전해 lsquoARENA를 이용한 은행

창구 대기행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rsquo을 발표한 손은호(4학년)외 3인(지

도교수 강진규)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lsquo대전 무인 자전거 lsquo타슈rsquo 스테이

션 추가 배치 최적후보지 선정rsquo을 발표한 신문수(3학년)외 3인(지도교수

이동형)이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6팀은 장려상을 수상하는 저력을

과시하며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타 대학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자

리가 되었다

lsquo인문주간행사 - KAIST 시정곤

교수 김용택 시인 초청 강연회rsquo

인문대학은 인문학융합연구소와 함께 10월 30일

오후 3시 S4동 207호에서 KAIST 시정곤 교수를

초청하여 ldquo인문학과 과학기술의 만남rdquo을 주제로

강연회를 실시했다 이번 강연회는 인문대학 lsquo인문

주간rsquo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창의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인

문사회전공자뿐만 아니라 공학전공자에게도 다양

한 인문소양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

다 11월 1일에는 ldquo문학과 삶의 행복한 만남rdquo을 주

제로 lsquo섬진강지기rsquo 김용택 시인을 초청하여 강연회

를 열었다 이번 강연회는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 의한 폭넓은 이해력과 유연한 접근

법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존경하는 한밭가족 여러분

다사다난했던 임진(壬辰)년을 뒤로하고 희망찬 계사(癸巳)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우리 대학은 지난해 대학의 역사적 발전의 틀을 만든 해였습니다 우리 대학이 일반대학으로

다시 태어났기 때문입니다 우리 대학은 85년의 역사 속에서 국가 산업 발전에 따른 고급인재

육성을 위해 수많은 학제로 변화함에 따라 정체성 혼란이 거듭되어왔습니다만 이제는 그 종

지부를 찍고 최고 고등교육기관인 일반종합대학으로서 미래인재육성의 요람으로 다시 태어

났습니다

또한 일반대학원 석middot박사 과정이 동시에 개설되어 명실공히 최고 교육기관으로서 질 높은

교육과 세계적 수준의 연구역량을 갖출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아울러 국내 최초로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설치함으로써 대학이 산업과 융합하여 미래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체제

를 만들었으며 우수학생 유치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정부가 지원하는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등 수많은 정부사업을 유치하여 고

품격 교육과 산학융합교육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특히 연구비 확보가 150억원을 웃돌아 연구

여건이 크게 개선되었고 그 결과 교수님들의 논문과 특허 실적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사실로

부터 우리 대학 교수님들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총장간선제를 비롯한 많은 대학 혁신과제를 구성원간의 원만한 합의를 도출하여 슬기

롭게 이루어낸 역량을 보였습니다 또한 우리 대학의 교육과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그린

에너지관 신축 전학과 리모델링 ROTC관 신축을 하기 위해 작년보다 2배 가까운 시설 예산

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좁은 캠퍼스를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해 국유지 8100평(230억 원

상당)도 추가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많은 성과를 낸 교수님 직원선생님 조교선생님

그리고 학생 여러분을 비롯한 우리 한밭가족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사랑하는 한밭가족 여러분

우리 대학은 미래 인재교육의 일류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 2011년에 ldquo산학융합교육의 메카

Creative Hanbatrdquo 캠퍼스 구축을 우리의 비전으로 선포한 바 있습니다 대학은 이제 과거 상

아탑 시대를 벗어나 사회변화에 따른 수준 높은 교육과 연구를 통하여 급격히 변화하는 산업

구조에 따른 인재양성과 기술개발 수요에 부응하여야 합니다 이제 대학은 치열한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새해에는 이를 극복하여 일류

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서 우리 대학이 기반을 다지는 한 해로 정하고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진

하고자 합니다

신년사

HANBAT Newsletter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혁신과 교육환경을 개선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비교과 과정 프로그램을

제도화하여 정착시키겠습니다 특히 영어 교육을 비롯해 1인1기 교육 독서 100권 읽기 및 발표 극기 훈련프

로그램 등을 제도화하여 미래 산업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공학교육 인증제를 비롯한 각종 인증 제도를 정착시키고 교양교육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전 대학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새로운 교육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강의실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휴식공간도 확

대할 예정입니다 교수님들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둘째 각종 정부사업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노력과 2단계 BK21 후속사업을 비롯한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노

력을 함께 추진하겠습니다 미래 대학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세종시 RampBD 센터건립 추진과 서해안시대를 대비

한 당진 산학 융합지구사업을 통한 당진 캠퍼스 구축도 함께 추진할 계획입니다

셋째 세계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하여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외국유학생 확

대 국제공동연구 지원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성과가 우수한 교수님은 명예의 전당에 등재하여

그 이름을 명예롭게 영원히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넷째 산학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산학협력사업의 확대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보다

적극적인 산학협력 인프라를 확충하고 미래 대학경쟁력의 바로미터가 될 수 있는 기술사업화 기술이전 등의

사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다섯째 글로벌교육을 위한 국제협력 시스템을 강화하고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학위제 언어연수 등 자

매대학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우수한 유학생 유치를 위한 전략과 효율적인 유학생 지원 제도도 정착 시키고자

합니다 취업률 향상과 질 제고를 위한 취업조직 서비스 시스템 개선과 네트워크 확대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새해에는 무엇보다도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예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단과대학

행정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무처 학생처 기획홍보처 사무국은 주요 기획업무 중심으로 개편하고 일상 업무

와 학사관리업무 등은 단과대학에 대폭 이양하도록 하겠습니다 올해도 여러분의 복지관련 예산이 여의치 못

하여 개선하지 못함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만 항상 사정이 허락하면 심사숙고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존경하는 한밭가족 여러분

지금 우리 대학은 새로운 대학체제 개편으로 도약의 기회를 맞이한 동시에 보다 치열한 경쟁의 위기 속에서

산학융합교육 특성화를 통한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일류대학으로 발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분들의 힘과 지혜를 다시 한 번 모아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아울러 사랑하는 학생들이 큰 꿈을 만들

고 이룰 수 있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시는 교수님 직원선생님 그리고 조교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

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는 지금까지 보여준 대학 구성원의 단합된 노력으로 반드시 우리의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굳게 믿으며 우

리 한밭가족 모든 분들이 계사년 새해에 소망하시는 일 다 이루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가정에 행복이 충만하시

길 기원합니다

2013년 1월 2일

우리 대학교 총장 이원묵

05 10 3527 39

2012 Winter Vol 3middot4호 통권

발행처 |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홈페이지 | httpwwwhanbatackr 제작 | (주)봄인터랙티브미디어 T042-633-7800

학교소식

05bull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단 출범식

bull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bull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bull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bull제24기 최고경영자(CEO)과정 수료식

bull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전시회 개최

bull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bull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bull인문주간행사-명사 초청 강연회

bull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bull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bull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bull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bull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bull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bull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bull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bull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bull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bull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bull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bull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bull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bull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bull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bull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bull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bull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bull2013년 시무식 거행

bull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bull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개최

bull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bull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bull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bull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bull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

기관 선정

한밭인

39bull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bull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bull구본급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근정포장 수상

bull민병찬 교수 ldquo2012 MBC한빛대상(과학기

술분야)rdquo 수상

bull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bull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현학술

상」 수상

교육middot연구

23bull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bull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bull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bull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bull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bull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bull도시환경연구소 대전충남지역 토론회 개최

bull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bull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bull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bull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개발

bull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bull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bull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bull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bull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bull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

영 훈련 실시

bull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bull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bull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교류middot협력

33bull미국 메릴랜드 Bio-Park와 MOU 체결

bull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bull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 MOU 체결

bull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bull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bull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

협력 협약 체결

bull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

대학 설립 추진

bull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bull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

로그램 운영

bull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대학발전기금 기탁자 현황

42

Contents

표지

S1동 도서관

HANBAT Newsletter

CREATIVE

HANBAT

2012 Winter Vol 03middot04호 통권S1동 도서관

05

학교소식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단 출범

9월 19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 2층 다목적홀에서 이원묵총장과 유관기업체

기관 관계자 대학구성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

업단(이하 LINC사업단) 출범식을 가졌다

이날 출범식 1부 행사는 이원묵 총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대전광역시 김인홍

정무부시장 대전광역시교육청 윤광중 장학관의 축사와 LINC사업 이병영단장

의 산학협력사업보고 후 2부에서는 우리 대학이 현장중심교육의 내실화와 학

생 창업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현장실습지원센터 창업교육센터 개소를 알리

는 현판식을 가졌다 특히 이날 출범식에서는 10여년간의 학생현장실습을 적

극적으로 지원한 안전공업(주) 손주환 대표이사 등 12개 기업에게 감사패를 전

달했다

우리 대학은 앞으로 5년간 실천과 성공의 새로운 산학협력 선도모델 창출을

위하여 「IheartsU Dynamic Success Industry link University」 라는 독창성과 수월성

을 가진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병영 LINC사업단장은 ldquo이번 출범식을 통하여 우리 대학은 실천과 성공을 이

끌어 내는 산학협력 모형인 lsquoIheartsU 30 Dynamic Successrsquo실현으로 대학이 지역산

업과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델을 창출할 것rdquo 이라고 밝혔다

HANBAT University News학교소식

산학협력 SYSTEM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인프라 확충 현장실습middot 캡스

톤디자인 확대 운영 현장실습 지원센터 운영 창업

교육지원센터 운영

산학협력 COMPONENT

실습 및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 학middot석사 통합과정

운영 융middot복합 전공 운영

산학협력 LINK

기업의 애로기술 및 경영middot마케팅 등을 맞춤형 지원

공용장비 지원센터 운영 산업체 재직자 교육 미취

업 인턴십 지원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주요사업 내용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26일은 네 번째 만남으로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 2시

간이 넘는 시간 동안 격의 없이 이어진 학생과의 대화 시

간에서는 대학생활에서 학생들이 불편했던 점이나 시설

및 교육환경 개선 학사제도의 개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들의 질문이 이어졌고 이 총장은 질문 하나하나 직접

답하며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 총장은 ldquo학생과의 대화에서 학생들의 솔직한 비판과

의견을 듣고 보니 많은 것을 배운다 만남을 갖길 잘했다

는 생각이 들었다rdquo며 ldquo진지하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하

는 학생들의 모습에 우리 대학의 미래에 큰 기대를 느꼈

다rdquo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진한수(산업경영공학과middot1학년)군은

ldquo처음에는 부담스런 자리라고 생각했지만 터놓고 대화하

며 친근하게 다가오는 총장의 모습에 학생들에 대한 애정

과 관심이 크다는 것이 느껴졌다rdquo면서 총장과의 첫 만남

에 후한 점수를 매겼다

한편 이 총장과 5개 단과대학 1개 학부 학생들과 릴레이

대화는 11월 23일까지 계속되었다 학교 측은 한 달 동안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하여 학생들을 위

한 시설 및 학사 지원 등 다각적인 학생지도 및 지원 방안

을 마련 할 방침이다

ldquo총장님 반값 등록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교육의 질을

높이려면 예산이 많이 필요할 텐데 예산확보에 대한 방안은 무엇입

니까 학생식당에서 식사해보신적 있나요 좀 더 양질의 서비스를

기대해도 될까요rdquo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질

문이다

이원묵 총장은 10월 24일부터 11월 23일까지 한 달간 각 학과별로

전체학생과 직접 만나 대화의 장을 열어 불편 없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챙겼다

이번 행사는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의 주요정책 및 현안과제를 설명

하고 대학발전을 위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학

생들의 의견 수렴과 함께 학생들의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의식을 일

깨워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학생과의 대화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한밭대학교 학생들이 가져

야 할 꿈rdquo을 주제로 한 특강을 통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우리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 목표 교육비전 등을 소개 하며 ldquo학생 개개인

의 발전 및 대학 발전을 위해 서로 노력하자rdquo고 강조했다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01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건설환경조형대학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이

10월 9일부터 14일까지 한밭대학교 S10동 1층 갤

러리 목련홀에서 열렸다 이번 졸업작품전에는 도

전과 열정이 묻어나는 권민정 씨(24여)등 졸업생

55명의 참신하고 기발한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등 작품 80여 점과 각종 산업디자

인대회 수상작 10여 점 등 90여 점이 전시됐다

특히 이번 작품전에는 공업디자인학과와 교류하

고 있는 중국 합비대학 예술설계학과 학생들의 졸

업작품 10여 점도 전시되어 중국의 디자인 트렌드

를 이해하고 디자인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는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격려사에서 ldquo이번 작

품전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rdquo며 ldquo앞으로 끊임없는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개인의 발전과 우리 대학의 위상을

높여줄 것rdquo을 당부했다

9월 26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을 가졌다 이번 대회에는

43개팀 19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직접 기획middot설계middot제작한 Capstone

Design 시작품을 발표하였고 해당분야 전공교수가 출품작품별로 창의성

과 효율성 안정성 전공지식 활용도 종합적인 기획능력 등을 평가했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반물질팀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청춘예찬팀

코스모스팀 RampE팀 은상에 Light Hands팀 ARTOA팀 YSNam팀 동

상에 Think Tanker팀 꾀돌이팀 AHHA건축팀 등 총10개팀이 장학금과

상장 및 부상을 받았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은 반물질팀(제어계측공학)은 시각장애

인을 위해 점자좌판과 음성기능을 조합한 스마트폰인 Braille System을

출품하여 창의성 효율성 및 전공적인 기획능력 부분에서 큰 호평을 받

았다

대상의 영예를 안은 반물질팀 주현규(제어계측공학 4학년)군은 ldquo경진대

회 출품을 위해 지난 6개월간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해 다양한 실무경험

과 전공 심화 학습은 물론 팀원간 의사소통 해결방법 등에 대해 많은 지

식을 쌓을 수 있었다rdquo고 말했다

01_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시상식

02_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02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24기 최고경영자(CEO)

과정 수료식

8월 21일 오후 4시 교내 산학연협동관(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총

장과 CEO과정(총동창회장 백은기) 수료자 및 내외부관계자 200여 명

이 참석한 가운데 제24기 CEO과정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수료식은

이원묵 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53명의 수료자에게 수료증 수여 공로

자에 대한 상패수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었고 특히 24기생(원우회

장 서정우)들이 모은 발전기금 1천만원이 대학에 전달되었다 이번 24

기 CEO과정은 지난 3월 6일 입학식을 가졌고 약 6개월간 매주 화요일

과 목요일 CEO의 경영강좌와 문화 교양 건강 경영middot경제 특강 등 총

30여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이번 수료식을 통해 ldquo지금까지 한밭대 CEO과정을 수료

한 2200여 명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지역사회 경제는 물론 문화발전

과 사회 정의구현에 깊은 관심과 주도적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로 앞

으로도 본 대학의 발전은 물론 지역사회와 산업계 국가발전의 새로운

가치창조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을 당부한다rdquo고 밝혔다

한편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2000년 9월 제1기 72명 모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200여 명의 최고경영자를 배출하였다

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

전시회 개최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는 9월 11일부터 15일까

지 S10동 1층 갤러리 목련홀에서 「제8회 건축학과 학

생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해 2학

기부터 올해 1학기 동안 수요자중심의 맞춤식 건축설

계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건축학과 재학생들의 건축

설계프로젝트 결과물 110여 점과 각종 건축설계디자

인 대회에서 수상한 학생작품 30여 점이 전시되었다

건축학과 박상현 교수는 ldquo이번 전시회를 통해 학생들

은 자신이 수고하며 출품한 결과물과 다른 작품을 비

교함으로써 건축설계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키

우는 계기가 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이번 작품전은 기

획에서부터 홍보포스터와 리플렛 제작 전시회장 배

치와 작품설치 등 전 과정이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로

이루어져 lsquo잘 가르치는 대학rsquo인 우리 대학의 자기주도

형학습 교육의 현장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기획홍보처에서는 10월 19일 N4동 301호 세미나실과 11월 19일

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지족고교 1학년 학생 160명과 청산고교

1middot2middot3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대학탐방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middot2middot3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 소

개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대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

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는 2시간 동안 대학홍

보영상 및 학교현황 입시안내 마술쇼 등 대학소개를 진행하였고 3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학의 주요시설을 돌아보는 캠퍼스 투어를 실시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발전하는 우리

대학의 모습들을 보여준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지난 10월 26일 그랜드힐튼호텔 서울컨벤션센터에서 (사)한국산업경영

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6회 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가 개최

되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와 민창기 대학

원생은 lsquoB-2 상업용 빌딩의 효율적 신축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rsquo를 발표

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14개 대학 29팀이 출전한 lsquo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rsquo에서는 우

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재학생 총 8팀이 출전해 lsquoARENA를 이용한 은행

창구 대기행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rsquo을 발표한 손은호(4학년)외 3인(지

도교수 강진규)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lsquo대전 무인 자전거 lsquo타슈rsquo 스테이

션 추가 배치 최적후보지 선정rsquo을 발표한 신문수(3학년)외 3인(지도교수

이동형)이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6팀은 장려상을 수상하는 저력을

과시하며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타 대학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자

리가 되었다

lsquo인문주간행사 - KAIST 시정곤

교수 김용택 시인 초청 강연회rsquo

인문대학은 인문학융합연구소와 함께 10월 30일

오후 3시 S4동 207호에서 KAIST 시정곤 교수를

초청하여 ldquo인문학과 과학기술의 만남rdquo을 주제로

강연회를 실시했다 이번 강연회는 인문대학 lsquo인문

주간rsquo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창의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인

문사회전공자뿐만 아니라 공학전공자에게도 다양

한 인문소양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

다 11월 1일에는 ldquo문학과 삶의 행복한 만남rdquo을 주

제로 lsquo섬진강지기rsquo 김용택 시인을 초청하여 강연회

를 열었다 이번 강연회는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 의한 폭넓은 이해력과 유연한 접근

법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혁신과 교육환경을 개선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비교과 과정 프로그램을

제도화하여 정착시키겠습니다 특히 영어 교육을 비롯해 1인1기 교육 독서 100권 읽기 및 발표 극기 훈련프

로그램 등을 제도화하여 미래 산업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공학교육 인증제를 비롯한 각종 인증 제도를 정착시키고 교양교육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전 대학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새로운 교육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강의실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휴식공간도 확

대할 예정입니다 교수님들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둘째 각종 정부사업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노력과 2단계 BK21 후속사업을 비롯한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노

력을 함께 추진하겠습니다 미래 대학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세종시 RampBD 센터건립 추진과 서해안시대를 대비

한 당진 산학 융합지구사업을 통한 당진 캠퍼스 구축도 함께 추진할 계획입니다

셋째 세계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하여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외국유학생 확

대 국제공동연구 지원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성과가 우수한 교수님은 명예의 전당에 등재하여

그 이름을 명예롭게 영원히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넷째 산학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산학협력사업의 확대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보다

적극적인 산학협력 인프라를 확충하고 미래 대학경쟁력의 바로미터가 될 수 있는 기술사업화 기술이전 등의

사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다섯째 글로벌교육을 위한 국제협력 시스템을 강화하고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학위제 언어연수 등 자

매대학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우수한 유학생 유치를 위한 전략과 효율적인 유학생 지원 제도도 정착 시키고자

합니다 취업률 향상과 질 제고를 위한 취업조직 서비스 시스템 개선과 네트워크 확대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새해에는 무엇보다도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예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단과대학

행정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무처 학생처 기획홍보처 사무국은 주요 기획업무 중심으로 개편하고 일상 업무

와 학사관리업무 등은 단과대학에 대폭 이양하도록 하겠습니다 올해도 여러분의 복지관련 예산이 여의치 못

하여 개선하지 못함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만 항상 사정이 허락하면 심사숙고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존경하는 한밭가족 여러분

지금 우리 대학은 새로운 대학체제 개편으로 도약의 기회를 맞이한 동시에 보다 치열한 경쟁의 위기 속에서

산학융합교육 특성화를 통한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일류대학으로 발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분들의 힘과 지혜를 다시 한 번 모아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아울러 사랑하는 학생들이 큰 꿈을 만들

고 이룰 수 있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시는 교수님 직원선생님 그리고 조교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

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는 지금까지 보여준 대학 구성원의 단합된 노력으로 반드시 우리의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굳게 믿으며 우

리 한밭가족 모든 분들이 계사년 새해에 소망하시는 일 다 이루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가정에 행복이 충만하시

길 기원합니다

2013년 1월 2일

우리 대학교 총장 이원묵

05 10 3527 39

2012 Winter Vol 3middot4호 통권

발행처 |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홈페이지 | httpwwwhanbatackr 제작 | (주)봄인터랙티브미디어 T042-633-7800

학교소식

05bull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단 출범식

bull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bull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bull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bull제24기 최고경영자(CEO)과정 수료식

bull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전시회 개최

bull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bull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bull인문주간행사-명사 초청 강연회

bull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bull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bull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bull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bull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bull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bull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bull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bull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bull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bull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bull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bull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bull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bull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bull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bull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bull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bull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bull2013년 시무식 거행

bull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bull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개최

bull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bull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bull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bull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bull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

기관 선정

한밭인

39bull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bull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bull구본급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근정포장 수상

bull민병찬 교수 ldquo2012 MBC한빛대상(과학기

술분야)rdquo 수상

bull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bull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현학술

상」 수상

교육middot연구

23bull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bull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bull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bull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bull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bull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bull도시환경연구소 대전충남지역 토론회 개최

bull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bull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bull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bull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개발

bull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bull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bull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bull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bull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bull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

영 훈련 실시

bull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bull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bull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교류middot협력

33bull미국 메릴랜드 Bio-Park와 MOU 체결

bull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bull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 MOU 체결

bull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bull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bull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

협력 협약 체결

bull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

대학 설립 추진

bull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bull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

로그램 운영

bull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대학발전기금 기탁자 현황

42

Contents

표지

S1동 도서관

HANBAT Newsletter

CREATIVE

HANBAT

2012 Winter Vol 03middot04호 통권S1동 도서관

05

학교소식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단 출범

9월 19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 2층 다목적홀에서 이원묵총장과 유관기업체

기관 관계자 대학구성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

업단(이하 LINC사업단) 출범식을 가졌다

이날 출범식 1부 행사는 이원묵 총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대전광역시 김인홍

정무부시장 대전광역시교육청 윤광중 장학관의 축사와 LINC사업 이병영단장

의 산학협력사업보고 후 2부에서는 우리 대학이 현장중심교육의 내실화와 학

생 창업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현장실습지원센터 창업교육센터 개소를 알리

는 현판식을 가졌다 특히 이날 출범식에서는 10여년간의 학생현장실습을 적

극적으로 지원한 안전공업(주) 손주환 대표이사 등 12개 기업에게 감사패를 전

달했다

우리 대학은 앞으로 5년간 실천과 성공의 새로운 산학협력 선도모델 창출을

위하여 「IheartsU Dynamic Success Industry link University」 라는 독창성과 수월성

을 가진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병영 LINC사업단장은 ldquo이번 출범식을 통하여 우리 대학은 실천과 성공을 이

끌어 내는 산학협력 모형인 lsquoIheartsU 30 Dynamic Successrsquo실현으로 대학이 지역산

업과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델을 창출할 것rdquo 이라고 밝혔다

HANBAT University News학교소식

산학협력 SYSTEM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인프라 확충 현장실습middot 캡스

톤디자인 확대 운영 현장실습 지원센터 운영 창업

교육지원센터 운영

산학협력 COMPONENT

실습 및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 학middot석사 통합과정

운영 융middot복합 전공 운영

산학협력 LINK

기업의 애로기술 및 경영middot마케팅 등을 맞춤형 지원

공용장비 지원센터 운영 산업체 재직자 교육 미취

업 인턴십 지원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주요사업 내용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26일은 네 번째 만남으로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 2시

간이 넘는 시간 동안 격의 없이 이어진 학생과의 대화 시

간에서는 대학생활에서 학생들이 불편했던 점이나 시설

및 교육환경 개선 학사제도의 개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들의 질문이 이어졌고 이 총장은 질문 하나하나 직접

답하며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 총장은 ldquo학생과의 대화에서 학생들의 솔직한 비판과

의견을 듣고 보니 많은 것을 배운다 만남을 갖길 잘했다

는 생각이 들었다rdquo며 ldquo진지하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하

는 학생들의 모습에 우리 대학의 미래에 큰 기대를 느꼈

다rdquo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진한수(산업경영공학과middot1학년)군은

ldquo처음에는 부담스런 자리라고 생각했지만 터놓고 대화하

며 친근하게 다가오는 총장의 모습에 학생들에 대한 애정

과 관심이 크다는 것이 느껴졌다rdquo면서 총장과의 첫 만남

에 후한 점수를 매겼다

한편 이 총장과 5개 단과대학 1개 학부 학생들과 릴레이

대화는 11월 23일까지 계속되었다 학교 측은 한 달 동안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하여 학생들을 위

한 시설 및 학사 지원 등 다각적인 학생지도 및 지원 방안

을 마련 할 방침이다

ldquo총장님 반값 등록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교육의 질을

높이려면 예산이 많이 필요할 텐데 예산확보에 대한 방안은 무엇입

니까 학생식당에서 식사해보신적 있나요 좀 더 양질의 서비스를

기대해도 될까요rdquo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질

문이다

이원묵 총장은 10월 24일부터 11월 23일까지 한 달간 각 학과별로

전체학생과 직접 만나 대화의 장을 열어 불편 없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챙겼다

이번 행사는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의 주요정책 및 현안과제를 설명

하고 대학발전을 위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학

생들의 의견 수렴과 함께 학생들의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의식을 일

깨워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학생과의 대화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한밭대학교 학생들이 가져

야 할 꿈rdquo을 주제로 한 특강을 통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우리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 목표 교육비전 등을 소개 하며 ldquo학생 개개인

의 발전 및 대학 발전을 위해 서로 노력하자rdquo고 강조했다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01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건설환경조형대학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이

10월 9일부터 14일까지 한밭대학교 S10동 1층 갤

러리 목련홀에서 열렸다 이번 졸업작품전에는 도

전과 열정이 묻어나는 권민정 씨(24여)등 졸업생

55명의 참신하고 기발한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등 작품 80여 점과 각종 산업디자

인대회 수상작 10여 점 등 90여 점이 전시됐다

특히 이번 작품전에는 공업디자인학과와 교류하

고 있는 중국 합비대학 예술설계학과 학생들의 졸

업작품 10여 점도 전시되어 중국의 디자인 트렌드

를 이해하고 디자인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는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격려사에서 ldquo이번 작

품전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rdquo며 ldquo앞으로 끊임없는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개인의 발전과 우리 대학의 위상을

높여줄 것rdquo을 당부했다

9월 26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을 가졌다 이번 대회에는

43개팀 19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직접 기획middot설계middot제작한 Capstone

Design 시작품을 발표하였고 해당분야 전공교수가 출품작품별로 창의성

과 효율성 안정성 전공지식 활용도 종합적인 기획능력 등을 평가했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반물질팀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청춘예찬팀

코스모스팀 RampE팀 은상에 Light Hands팀 ARTOA팀 YSNam팀 동

상에 Think Tanker팀 꾀돌이팀 AHHA건축팀 등 총10개팀이 장학금과

상장 및 부상을 받았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은 반물질팀(제어계측공학)은 시각장애

인을 위해 점자좌판과 음성기능을 조합한 스마트폰인 Braille System을

출품하여 창의성 효율성 및 전공적인 기획능력 부분에서 큰 호평을 받

았다

대상의 영예를 안은 반물질팀 주현규(제어계측공학 4학년)군은 ldquo경진대

회 출품을 위해 지난 6개월간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해 다양한 실무경험

과 전공 심화 학습은 물론 팀원간 의사소통 해결방법 등에 대해 많은 지

식을 쌓을 수 있었다rdquo고 말했다

01_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시상식

02_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02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24기 최고경영자(CEO)

과정 수료식

8월 21일 오후 4시 교내 산학연협동관(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총

장과 CEO과정(총동창회장 백은기) 수료자 및 내외부관계자 200여 명

이 참석한 가운데 제24기 CEO과정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수료식은

이원묵 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53명의 수료자에게 수료증 수여 공로

자에 대한 상패수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었고 특히 24기생(원우회

장 서정우)들이 모은 발전기금 1천만원이 대학에 전달되었다 이번 24

기 CEO과정은 지난 3월 6일 입학식을 가졌고 약 6개월간 매주 화요일

과 목요일 CEO의 경영강좌와 문화 교양 건강 경영middot경제 특강 등 총

30여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이번 수료식을 통해 ldquo지금까지 한밭대 CEO과정을 수료

한 2200여 명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지역사회 경제는 물론 문화발전

과 사회 정의구현에 깊은 관심과 주도적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로 앞

으로도 본 대학의 발전은 물론 지역사회와 산업계 국가발전의 새로운

가치창조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을 당부한다rdquo고 밝혔다

한편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2000년 9월 제1기 72명 모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200여 명의 최고경영자를 배출하였다

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

전시회 개최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는 9월 11일부터 15일까

지 S10동 1층 갤러리 목련홀에서 「제8회 건축학과 학

생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해 2학

기부터 올해 1학기 동안 수요자중심의 맞춤식 건축설

계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건축학과 재학생들의 건축

설계프로젝트 결과물 110여 점과 각종 건축설계디자

인 대회에서 수상한 학생작품 30여 점이 전시되었다

건축학과 박상현 교수는 ldquo이번 전시회를 통해 학생들

은 자신이 수고하며 출품한 결과물과 다른 작품을 비

교함으로써 건축설계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키

우는 계기가 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이번 작품전은 기

획에서부터 홍보포스터와 리플렛 제작 전시회장 배

치와 작품설치 등 전 과정이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로

이루어져 lsquo잘 가르치는 대학rsquo인 우리 대학의 자기주도

형학습 교육의 현장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기획홍보처에서는 10월 19일 N4동 301호 세미나실과 11월 19일

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지족고교 1학년 학생 160명과 청산고교

1middot2middot3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대학탐방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middot2middot3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 소

개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대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

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는 2시간 동안 대학홍

보영상 및 학교현황 입시안내 마술쇼 등 대학소개를 진행하였고 3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학의 주요시설을 돌아보는 캠퍼스 투어를 실시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발전하는 우리

대학의 모습들을 보여준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지난 10월 26일 그랜드힐튼호텔 서울컨벤션센터에서 (사)한국산업경영

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6회 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가 개최

되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와 민창기 대학

원생은 lsquoB-2 상업용 빌딩의 효율적 신축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rsquo를 발표

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14개 대학 29팀이 출전한 lsquo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rsquo에서는 우

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재학생 총 8팀이 출전해 lsquoARENA를 이용한 은행

창구 대기행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rsquo을 발표한 손은호(4학년)외 3인(지

도교수 강진규)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lsquo대전 무인 자전거 lsquo타슈rsquo 스테이

션 추가 배치 최적후보지 선정rsquo을 발표한 신문수(3학년)외 3인(지도교수

이동형)이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6팀은 장려상을 수상하는 저력을

과시하며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타 대학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자

리가 되었다

lsquo인문주간행사 - KAIST 시정곤

교수 김용택 시인 초청 강연회rsquo

인문대학은 인문학융합연구소와 함께 10월 30일

오후 3시 S4동 207호에서 KAIST 시정곤 교수를

초청하여 ldquo인문학과 과학기술의 만남rdquo을 주제로

강연회를 실시했다 이번 강연회는 인문대학 lsquo인문

주간rsquo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창의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인

문사회전공자뿐만 아니라 공학전공자에게도 다양

한 인문소양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

다 11월 1일에는 ldquo문학과 삶의 행복한 만남rdquo을 주

제로 lsquo섬진강지기rsquo 김용택 시인을 초청하여 강연회

를 열었다 이번 강연회는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 의한 폭넓은 이해력과 유연한 접근

법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05 10 3527 39

2012 Winter Vol 3middot4호 통권

발행처 |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홈페이지 | httpwwwhanbatackr 제작 | (주)봄인터랙티브미디어 T042-633-7800

학교소식

05bull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단 출범식

bull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bull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bull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bull제24기 최고경영자(CEO)과정 수료식

bull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전시회 개최

bull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bull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bull인문주간행사-명사 초청 강연회

bull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bull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bull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bull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bull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bull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bull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bull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bull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bull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bull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bull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bull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bull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bull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bull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bull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bull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bull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bull2013년 시무식 거행

bull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bull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개최

bull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bull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bull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bull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bull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

기관 선정

한밭인

39bull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bull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bull구본급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근정포장 수상

bull민병찬 교수 ldquo2012 MBC한빛대상(과학기

술분야)rdquo 수상

bull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bull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현학술

상」 수상

교육middot연구

23bull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bull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bull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bull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bull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bull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bull도시환경연구소 대전충남지역 토론회 개최

bull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bull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bull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bull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개발

bull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bull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bull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bull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bull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bull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

영 훈련 실시

bull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bull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bull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교류middot협력

33bull미국 메릴랜드 Bio-Park와 MOU 체결

bull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bull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 MOU 체결

bull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bull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bull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

협력 협약 체결

bull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

대학 설립 추진

bull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bull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

로그램 운영

bull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대학발전기금 기탁자 현황

42

Contents

표지

S1동 도서관

HANBAT Newsletter

CREATIVE

HANBAT

2012 Winter Vol 03middot04호 통권S1동 도서관

05

학교소식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단 출범

9월 19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 2층 다목적홀에서 이원묵총장과 유관기업체

기관 관계자 대학구성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

업단(이하 LINC사업단) 출범식을 가졌다

이날 출범식 1부 행사는 이원묵 총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대전광역시 김인홍

정무부시장 대전광역시교육청 윤광중 장학관의 축사와 LINC사업 이병영단장

의 산학협력사업보고 후 2부에서는 우리 대학이 현장중심교육의 내실화와 학

생 창업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현장실습지원센터 창업교육센터 개소를 알리

는 현판식을 가졌다 특히 이날 출범식에서는 10여년간의 학생현장실습을 적

극적으로 지원한 안전공업(주) 손주환 대표이사 등 12개 기업에게 감사패를 전

달했다

우리 대학은 앞으로 5년간 실천과 성공의 새로운 산학협력 선도모델 창출을

위하여 「IheartsU Dynamic Success Industry link University」 라는 독창성과 수월성

을 가진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병영 LINC사업단장은 ldquo이번 출범식을 통하여 우리 대학은 실천과 성공을 이

끌어 내는 산학협력 모형인 lsquoIheartsU 30 Dynamic Successrsquo실현으로 대학이 지역산

업과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델을 창출할 것rdquo 이라고 밝혔다

HANBAT University News학교소식

산학협력 SYSTEM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인프라 확충 현장실습middot 캡스

톤디자인 확대 운영 현장실습 지원센터 운영 창업

교육지원센터 운영

산학협력 COMPONENT

실습 및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 학middot석사 통합과정

운영 융middot복합 전공 운영

산학협력 LINK

기업의 애로기술 및 경영middot마케팅 등을 맞춤형 지원

공용장비 지원센터 운영 산업체 재직자 교육 미취

업 인턴십 지원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주요사업 내용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26일은 네 번째 만남으로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 2시

간이 넘는 시간 동안 격의 없이 이어진 학생과의 대화 시

간에서는 대학생활에서 학생들이 불편했던 점이나 시설

및 교육환경 개선 학사제도의 개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들의 질문이 이어졌고 이 총장은 질문 하나하나 직접

답하며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 총장은 ldquo학생과의 대화에서 학생들의 솔직한 비판과

의견을 듣고 보니 많은 것을 배운다 만남을 갖길 잘했다

는 생각이 들었다rdquo며 ldquo진지하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하

는 학생들의 모습에 우리 대학의 미래에 큰 기대를 느꼈

다rdquo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진한수(산업경영공학과middot1학년)군은

ldquo처음에는 부담스런 자리라고 생각했지만 터놓고 대화하

며 친근하게 다가오는 총장의 모습에 학생들에 대한 애정

과 관심이 크다는 것이 느껴졌다rdquo면서 총장과의 첫 만남

에 후한 점수를 매겼다

한편 이 총장과 5개 단과대학 1개 학부 학생들과 릴레이

대화는 11월 23일까지 계속되었다 학교 측은 한 달 동안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하여 학생들을 위

한 시설 및 학사 지원 등 다각적인 학생지도 및 지원 방안

을 마련 할 방침이다

ldquo총장님 반값 등록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교육의 질을

높이려면 예산이 많이 필요할 텐데 예산확보에 대한 방안은 무엇입

니까 학생식당에서 식사해보신적 있나요 좀 더 양질의 서비스를

기대해도 될까요rdquo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질

문이다

이원묵 총장은 10월 24일부터 11월 23일까지 한 달간 각 학과별로

전체학생과 직접 만나 대화의 장을 열어 불편 없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챙겼다

이번 행사는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의 주요정책 및 현안과제를 설명

하고 대학발전을 위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학

생들의 의견 수렴과 함께 학생들의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의식을 일

깨워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학생과의 대화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한밭대학교 학생들이 가져

야 할 꿈rdquo을 주제로 한 특강을 통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우리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 목표 교육비전 등을 소개 하며 ldquo학생 개개인

의 발전 및 대학 발전을 위해 서로 노력하자rdquo고 강조했다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01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건설환경조형대학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이

10월 9일부터 14일까지 한밭대학교 S10동 1층 갤

러리 목련홀에서 열렸다 이번 졸업작품전에는 도

전과 열정이 묻어나는 권민정 씨(24여)등 졸업생

55명의 참신하고 기발한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등 작품 80여 점과 각종 산업디자

인대회 수상작 10여 점 등 90여 점이 전시됐다

특히 이번 작품전에는 공업디자인학과와 교류하

고 있는 중국 합비대학 예술설계학과 학생들의 졸

업작품 10여 점도 전시되어 중국의 디자인 트렌드

를 이해하고 디자인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는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격려사에서 ldquo이번 작

품전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rdquo며 ldquo앞으로 끊임없는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개인의 발전과 우리 대학의 위상을

높여줄 것rdquo을 당부했다

9월 26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을 가졌다 이번 대회에는

43개팀 19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직접 기획middot설계middot제작한 Capstone

Design 시작품을 발표하였고 해당분야 전공교수가 출품작품별로 창의성

과 효율성 안정성 전공지식 활용도 종합적인 기획능력 등을 평가했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반물질팀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청춘예찬팀

코스모스팀 RampE팀 은상에 Light Hands팀 ARTOA팀 YSNam팀 동

상에 Think Tanker팀 꾀돌이팀 AHHA건축팀 등 총10개팀이 장학금과

상장 및 부상을 받았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은 반물질팀(제어계측공학)은 시각장애

인을 위해 점자좌판과 음성기능을 조합한 스마트폰인 Braille System을

출품하여 창의성 효율성 및 전공적인 기획능력 부분에서 큰 호평을 받

았다

대상의 영예를 안은 반물질팀 주현규(제어계측공학 4학년)군은 ldquo경진대

회 출품을 위해 지난 6개월간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해 다양한 실무경험

과 전공 심화 학습은 물론 팀원간 의사소통 해결방법 등에 대해 많은 지

식을 쌓을 수 있었다rdquo고 말했다

01_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시상식

02_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02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24기 최고경영자(CEO)

과정 수료식

8월 21일 오후 4시 교내 산학연협동관(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총

장과 CEO과정(총동창회장 백은기) 수료자 및 내외부관계자 200여 명

이 참석한 가운데 제24기 CEO과정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수료식은

이원묵 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53명의 수료자에게 수료증 수여 공로

자에 대한 상패수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었고 특히 24기생(원우회

장 서정우)들이 모은 발전기금 1천만원이 대학에 전달되었다 이번 24

기 CEO과정은 지난 3월 6일 입학식을 가졌고 약 6개월간 매주 화요일

과 목요일 CEO의 경영강좌와 문화 교양 건강 경영middot경제 특강 등 총

30여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이번 수료식을 통해 ldquo지금까지 한밭대 CEO과정을 수료

한 2200여 명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지역사회 경제는 물론 문화발전

과 사회 정의구현에 깊은 관심과 주도적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로 앞

으로도 본 대학의 발전은 물론 지역사회와 산업계 국가발전의 새로운

가치창조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을 당부한다rdquo고 밝혔다

한편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2000년 9월 제1기 72명 모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200여 명의 최고경영자를 배출하였다

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

전시회 개최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는 9월 11일부터 15일까

지 S10동 1층 갤러리 목련홀에서 「제8회 건축학과 학

생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해 2학

기부터 올해 1학기 동안 수요자중심의 맞춤식 건축설

계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건축학과 재학생들의 건축

설계프로젝트 결과물 110여 점과 각종 건축설계디자

인 대회에서 수상한 학생작품 30여 점이 전시되었다

건축학과 박상현 교수는 ldquo이번 전시회를 통해 학생들

은 자신이 수고하며 출품한 결과물과 다른 작품을 비

교함으로써 건축설계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키

우는 계기가 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이번 작품전은 기

획에서부터 홍보포스터와 리플렛 제작 전시회장 배

치와 작품설치 등 전 과정이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로

이루어져 lsquo잘 가르치는 대학rsquo인 우리 대학의 자기주도

형학습 교육의 현장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기획홍보처에서는 10월 19일 N4동 301호 세미나실과 11월 19일

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지족고교 1학년 학생 160명과 청산고교

1middot2middot3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대학탐방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middot2middot3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 소

개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대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

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는 2시간 동안 대학홍

보영상 및 학교현황 입시안내 마술쇼 등 대학소개를 진행하였고 3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학의 주요시설을 돌아보는 캠퍼스 투어를 실시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발전하는 우리

대학의 모습들을 보여준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지난 10월 26일 그랜드힐튼호텔 서울컨벤션센터에서 (사)한국산업경영

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6회 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가 개최

되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와 민창기 대학

원생은 lsquoB-2 상업용 빌딩의 효율적 신축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rsquo를 발표

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14개 대학 29팀이 출전한 lsquo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rsquo에서는 우

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재학생 총 8팀이 출전해 lsquoARENA를 이용한 은행

창구 대기행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rsquo을 발표한 손은호(4학년)외 3인(지

도교수 강진규)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lsquo대전 무인 자전거 lsquo타슈rsquo 스테이

션 추가 배치 최적후보지 선정rsquo을 발표한 신문수(3학년)외 3인(지도교수

이동형)이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6팀은 장려상을 수상하는 저력을

과시하며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타 대학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자

리가 되었다

lsquo인문주간행사 - KAIST 시정곤

교수 김용택 시인 초청 강연회rsquo

인문대학은 인문학융합연구소와 함께 10월 30일

오후 3시 S4동 207호에서 KAIST 시정곤 교수를

초청하여 ldquo인문학과 과학기술의 만남rdquo을 주제로

강연회를 실시했다 이번 강연회는 인문대학 lsquo인문

주간rsquo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창의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인

문사회전공자뿐만 아니라 공학전공자에게도 다양

한 인문소양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

다 11월 1일에는 ldquo문학과 삶의 행복한 만남rdquo을 주

제로 lsquo섬진강지기rsquo 김용택 시인을 초청하여 강연회

를 열었다 이번 강연회는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 의한 폭넓은 이해력과 유연한 접근

법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05

학교소식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단 출범

9월 19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 2층 다목적홀에서 이원묵총장과 유관기업체

기관 관계자 대학구성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

업단(이하 LINC사업단) 출범식을 가졌다

이날 출범식 1부 행사는 이원묵 총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대전광역시 김인홍

정무부시장 대전광역시교육청 윤광중 장학관의 축사와 LINC사업 이병영단장

의 산학협력사업보고 후 2부에서는 우리 대학이 현장중심교육의 내실화와 학

생 창업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현장실습지원센터 창업교육센터 개소를 알리

는 현판식을 가졌다 특히 이날 출범식에서는 10여년간의 학생현장실습을 적

극적으로 지원한 안전공업(주) 손주환 대표이사 등 12개 기업에게 감사패를 전

달했다

우리 대학은 앞으로 5년간 실천과 성공의 새로운 산학협력 선도모델 창출을

위하여 「IheartsU Dynamic Success Industry link University」 라는 독창성과 수월성

을 가진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병영 LINC사업단장은 ldquo이번 출범식을 통하여 우리 대학은 실천과 성공을 이

끌어 내는 산학협력 모형인 lsquoIheartsU 30 Dynamic Successrsquo실현으로 대학이 지역산

업과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델을 창출할 것rdquo 이라고 밝혔다

HANBAT University News학교소식

산학협력 SYSTEM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인프라 확충 현장실습middot 캡스

톤디자인 확대 운영 현장실습 지원센터 운영 창업

교육지원센터 운영

산학협력 COMPONENT

실습 및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 학middot석사 통합과정

운영 융middot복합 전공 운영

산학협력 LINK

기업의 애로기술 및 경영middot마케팅 등을 맞춤형 지원

공용장비 지원센터 운영 산업체 재직자 교육 미취

업 인턴십 지원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주요사업 내용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26일은 네 번째 만남으로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 2시

간이 넘는 시간 동안 격의 없이 이어진 학생과의 대화 시

간에서는 대학생활에서 학생들이 불편했던 점이나 시설

및 교육환경 개선 학사제도의 개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들의 질문이 이어졌고 이 총장은 질문 하나하나 직접

답하며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 총장은 ldquo학생과의 대화에서 학생들의 솔직한 비판과

의견을 듣고 보니 많은 것을 배운다 만남을 갖길 잘했다

는 생각이 들었다rdquo며 ldquo진지하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하

는 학생들의 모습에 우리 대학의 미래에 큰 기대를 느꼈

다rdquo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진한수(산업경영공학과middot1학년)군은

ldquo처음에는 부담스런 자리라고 생각했지만 터놓고 대화하

며 친근하게 다가오는 총장의 모습에 학생들에 대한 애정

과 관심이 크다는 것이 느껴졌다rdquo면서 총장과의 첫 만남

에 후한 점수를 매겼다

한편 이 총장과 5개 단과대학 1개 학부 학생들과 릴레이

대화는 11월 23일까지 계속되었다 학교 측은 한 달 동안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하여 학생들을 위

한 시설 및 학사 지원 등 다각적인 학생지도 및 지원 방안

을 마련 할 방침이다

ldquo총장님 반값 등록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교육의 질을

높이려면 예산이 많이 필요할 텐데 예산확보에 대한 방안은 무엇입

니까 학생식당에서 식사해보신적 있나요 좀 더 양질의 서비스를

기대해도 될까요rdquo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질

문이다

이원묵 총장은 10월 24일부터 11월 23일까지 한 달간 각 학과별로

전체학생과 직접 만나 대화의 장을 열어 불편 없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챙겼다

이번 행사는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의 주요정책 및 현안과제를 설명

하고 대학발전을 위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학

생들의 의견 수렴과 함께 학생들의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의식을 일

깨워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학생과의 대화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한밭대학교 학생들이 가져

야 할 꿈rdquo을 주제로 한 특강을 통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우리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 목표 교육비전 등을 소개 하며 ldquo학생 개개인

의 발전 및 대학 발전을 위해 서로 노력하자rdquo고 강조했다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01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건설환경조형대학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이

10월 9일부터 14일까지 한밭대학교 S10동 1층 갤

러리 목련홀에서 열렸다 이번 졸업작품전에는 도

전과 열정이 묻어나는 권민정 씨(24여)등 졸업생

55명의 참신하고 기발한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등 작품 80여 점과 각종 산업디자

인대회 수상작 10여 점 등 90여 점이 전시됐다

특히 이번 작품전에는 공업디자인학과와 교류하

고 있는 중국 합비대학 예술설계학과 학생들의 졸

업작품 10여 점도 전시되어 중국의 디자인 트렌드

를 이해하고 디자인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는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격려사에서 ldquo이번 작

품전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rdquo며 ldquo앞으로 끊임없는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개인의 발전과 우리 대학의 위상을

높여줄 것rdquo을 당부했다

9월 26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을 가졌다 이번 대회에는

43개팀 19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직접 기획middot설계middot제작한 Capstone

Design 시작품을 발표하였고 해당분야 전공교수가 출품작품별로 창의성

과 효율성 안정성 전공지식 활용도 종합적인 기획능력 등을 평가했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반물질팀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청춘예찬팀

코스모스팀 RampE팀 은상에 Light Hands팀 ARTOA팀 YSNam팀 동

상에 Think Tanker팀 꾀돌이팀 AHHA건축팀 등 총10개팀이 장학금과

상장 및 부상을 받았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은 반물질팀(제어계측공학)은 시각장애

인을 위해 점자좌판과 음성기능을 조합한 스마트폰인 Braille System을

출품하여 창의성 효율성 및 전공적인 기획능력 부분에서 큰 호평을 받

았다

대상의 영예를 안은 반물질팀 주현규(제어계측공학 4학년)군은 ldquo경진대

회 출품을 위해 지난 6개월간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해 다양한 실무경험

과 전공 심화 학습은 물론 팀원간 의사소통 해결방법 등에 대해 많은 지

식을 쌓을 수 있었다rdquo고 말했다

01_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시상식

02_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02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24기 최고경영자(CEO)

과정 수료식

8월 21일 오후 4시 교내 산학연협동관(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총

장과 CEO과정(총동창회장 백은기) 수료자 및 내외부관계자 200여 명

이 참석한 가운데 제24기 CEO과정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수료식은

이원묵 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53명의 수료자에게 수료증 수여 공로

자에 대한 상패수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었고 특히 24기생(원우회

장 서정우)들이 모은 발전기금 1천만원이 대학에 전달되었다 이번 24

기 CEO과정은 지난 3월 6일 입학식을 가졌고 약 6개월간 매주 화요일

과 목요일 CEO의 경영강좌와 문화 교양 건강 경영middot경제 특강 등 총

30여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이번 수료식을 통해 ldquo지금까지 한밭대 CEO과정을 수료

한 2200여 명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지역사회 경제는 물론 문화발전

과 사회 정의구현에 깊은 관심과 주도적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로 앞

으로도 본 대학의 발전은 물론 지역사회와 산업계 국가발전의 새로운

가치창조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을 당부한다rdquo고 밝혔다

한편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2000년 9월 제1기 72명 모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200여 명의 최고경영자를 배출하였다

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

전시회 개최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는 9월 11일부터 15일까

지 S10동 1층 갤러리 목련홀에서 「제8회 건축학과 학

생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해 2학

기부터 올해 1학기 동안 수요자중심의 맞춤식 건축설

계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건축학과 재학생들의 건축

설계프로젝트 결과물 110여 점과 각종 건축설계디자

인 대회에서 수상한 학생작품 30여 점이 전시되었다

건축학과 박상현 교수는 ldquo이번 전시회를 통해 학생들

은 자신이 수고하며 출품한 결과물과 다른 작품을 비

교함으로써 건축설계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키

우는 계기가 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이번 작품전은 기

획에서부터 홍보포스터와 리플렛 제작 전시회장 배

치와 작품설치 등 전 과정이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로

이루어져 lsquo잘 가르치는 대학rsquo인 우리 대학의 자기주도

형학습 교육의 현장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기획홍보처에서는 10월 19일 N4동 301호 세미나실과 11월 19일

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지족고교 1학년 학생 160명과 청산고교

1middot2middot3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대학탐방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middot2middot3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 소

개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대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

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는 2시간 동안 대학홍

보영상 및 학교현황 입시안내 마술쇼 등 대학소개를 진행하였고 3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학의 주요시설을 돌아보는 캠퍼스 투어를 실시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발전하는 우리

대학의 모습들을 보여준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지난 10월 26일 그랜드힐튼호텔 서울컨벤션센터에서 (사)한국산업경영

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6회 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가 개최

되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와 민창기 대학

원생은 lsquoB-2 상업용 빌딩의 효율적 신축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rsquo를 발표

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14개 대학 29팀이 출전한 lsquo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rsquo에서는 우

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재학생 총 8팀이 출전해 lsquoARENA를 이용한 은행

창구 대기행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rsquo을 발표한 손은호(4학년)외 3인(지

도교수 강진규)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lsquo대전 무인 자전거 lsquo타슈rsquo 스테이

션 추가 배치 최적후보지 선정rsquo을 발표한 신문수(3학년)외 3인(지도교수

이동형)이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6팀은 장려상을 수상하는 저력을

과시하며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타 대학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자

리가 되었다

lsquo인문주간행사 - KAIST 시정곤

교수 김용택 시인 초청 강연회rsquo

인문대학은 인문학융합연구소와 함께 10월 30일

오후 3시 S4동 207호에서 KAIST 시정곤 교수를

초청하여 ldquo인문학과 과학기술의 만남rdquo을 주제로

강연회를 실시했다 이번 강연회는 인문대학 lsquo인문

주간rsquo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창의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인

문사회전공자뿐만 아니라 공학전공자에게도 다양

한 인문소양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

다 11월 1일에는 ldquo문학과 삶의 행복한 만남rdquo을 주

제로 lsquo섬진강지기rsquo 김용택 시인을 초청하여 강연회

를 열었다 이번 강연회는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 의한 폭넓은 이해력과 유연한 접근

법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이원묵 총장

학생과 직접 대화 릴레이

26일은 네 번째 만남으로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 2시

간이 넘는 시간 동안 격의 없이 이어진 학생과의 대화 시

간에서는 대학생활에서 학생들이 불편했던 점이나 시설

및 교육환경 개선 학사제도의 개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들의 질문이 이어졌고 이 총장은 질문 하나하나 직접

답하며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 총장은 ldquo학생과의 대화에서 학생들의 솔직한 비판과

의견을 듣고 보니 많은 것을 배운다 만남을 갖길 잘했다

는 생각이 들었다rdquo며 ldquo진지하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하

는 학생들의 모습에 우리 대학의 미래에 큰 기대를 느꼈

다rdquo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진한수(산업경영공학과middot1학년)군은

ldquo처음에는 부담스런 자리라고 생각했지만 터놓고 대화하

며 친근하게 다가오는 총장의 모습에 학생들에 대한 애정

과 관심이 크다는 것이 느껴졌다rdquo면서 총장과의 첫 만남

에 후한 점수를 매겼다

한편 이 총장과 5개 단과대학 1개 학부 학생들과 릴레이

대화는 11월 23일까지 계속되었다 학교 측은 한 달 동안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하여 학생들을 위

한 시설 및 학사 지원 등 다각적인 학생지도 및 지원 방안

을 마련 할 방침이다

ldquo총장님 반값 등록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교육의 질을

높이려면 예산이 많이 필요할 텐데 예산확보에 대한 방안은 무엇입

니까 학생식당에서 식사해보신적 있나요 좀 더 양질의 서비스를

기대해도 될까요rdquo 산업경영공학과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나온 질

문이다

이원묵 총장은 10월 24일부터 11월 23일까지 한 달간 각 학과별로

전체학생과 직접 만나 대화의 장을 열어 불편 없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챙겼다

이번 행사는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의 주요정책 및 현안과제를 설명

하고 대학발전을 위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학

생들의 의견 수렴과 함께 학생들의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의식을 일

깨워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학생과의 대화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한밭대학교 학생들이 가져

야 할 꿈rdquo을 주제로 한 특강을 통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우리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 목표 교육비전 등을 소개 하며 ldquo학생 개개인

의 발전 및 대학 발전을 위해 서로 노력하자rdquo고 강조했다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01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건설환경조형대학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이

10월 9일부터 14일까지 한밭대학교 S10동 1층 갤

러리 목련홀에서 열렸다 이번 졸업작품전에는 도

전과 열정이 묻어나는 권민정 씨(24여)등 졸업생

55명의 참신하고 기발한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등 작품 80여 점과 각종 산업디자

인대회 수상작 10여 점 등 90여 점이 전시됐다

특히 이번 작품전에는 공업디자인학과와 교류하

고 있는 중국 합비대학 예술설계학과 학생들의 졸

업작품 10여 점도 전시되어 중국의 디자인 트렌드

를 이해하고 디자인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는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격려사에서 ldquo이번 작

품전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rdquo며 ldquo앞으로 끊임없는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개인의 발전과 우리 대학의 위상을

높여줄 것rdquo을 당부했다

9월 26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을 가졌다 이번 대회에는

43개팀 19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직접 기획middot설계middot제작한 Capstone

Design 시작품을 발표하였고 해당분야 전공교수가 출품작품별로 창의성

과 효율성 안정성 전공지식 활용도 종합적인 기획능력 등을 평가했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반물질팀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청춘예찬팀

코스모스팀 RampE팀 은상에 Light Hands팀 ARTOA팀 YSNam팀 동

상에 Think Tanker팀 꾀돌이팀 AHHA건축팀 등 총10개팀이 장학금과

상장 및 부상을 받았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은 반물질팀(제어계측공학)은 시각장애

인을 위해 점자좌판과 음성기능을 조합한 스마트폰인 Braille System을

출품하여 창의성 효율성 및 전공적인 기획능력 부분에서 큰 호평을 받

았다

대상의 영예를 안은 반물질팀 주현규(제어계측공학 4학년)군은 ldquo경진대

회 출품을 위해 지난 6개월간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해 다양한 실무경험

과 전공 심화 학습은 물론 팀원간 의사소통 해결방법 등에 대해 많은 지

식을 쌓을 수 있었다rdquo고 말했다

01_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시상식

02_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02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24기 최고경영자(CEO)

과정 수료식

8월 21일 오후 4시 교내 산학연협동관(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총

장과 CEO과정(총동창회장 백은기) 수료자 및 내외부관계자 200여 명

이 참석한 가운데 제24기 CEO과정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수료식은

이원묵 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53명의 수료자에게 수료증 수여 공로

자에 대한 상패수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었고 특히 24기생(원우회

장 서정우)들이 모은 발전기금 1천만원이 대학에 전달되었다 이번 24

기 CEO과정은 지난 3월 6일 입학식을 가졌고 약 6개월간 매주 화요일

과 목요일 CEO의 경영강좌와 문화 교양 건강 경영middot경제 특강 등 총

30여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이번 수료식을 통해 ldquo지금까지 한밭대 CEO과정을 수료

한 2200여 명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지역사회 경제는 물론 문화발전

과 사회 정의구현에 깊은 관심과 주도적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로 앞

으로도 본 대학의 발전은 물론 지역사회와 산업계 국가발전의 새로운

가치창조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을 당부한다rdquo고 밝혔다

한편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2000년 9월 제1기 72명 모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200여 명의 최고경영자를 배출하였다

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

전시회 개최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는 9월 11일부터 15일까

지 S10동 1층 갤러리 목련홀에서 「제8회 건축학과 학

생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해 2학

기부터 올해 1학기 동안 수요자중심의 맞춤식 건축설

계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건축학과 재학생들의 건축

설계프로젝트 결과물 110여 점과 각종 건축설계디자

인 대회에서 수상한 학생작품 30여 점이 전시되었다

건축학과 박상현 교수는 ldquo이번 전시회를 통해 학생들

은 자신이 수고하며 출품한 결과물과 다른 작품을 비

교함으로써 건축설계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키

우는 계기가 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이번 작품전은 기

획에서부터 홍보포스터와 리플렛 제작 전시회장 배

치와 작품설치 등 전 과정이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로

이루어져 lsquo잘 가르치는 대학rsquo인 우리 대학의 자기주도

형학습 교육의 현장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기획홍보처에서는 10월 19일 N4동 301호 세미나실과 11월 19일

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지족고교 1학년 학생 160명과 청산고교

1middot2middot3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대학탐방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middot2middot3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 소

개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대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

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는 2시간 동안 대학홍

보영상 및 학교현황 입시안내 마술쇼 등 대학소개를 진행하였고 3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학의 주요시설을 돌아보는 캠퍼스 투어를 실시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발전하는 우리

대학의 모습들을 보여준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지난 10월 26일 그랜드힐튼호텔 서울컨벤션센터에서 (사)한국산업경영

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6회 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가 개최

되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와 민창기 대학

원생은 lsquoB-2 상업용 빌딩의 효율적 신축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rsquo를 발표

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14개 대학 29팀이 출전한 lsquo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rsquo에서는 우

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재학생 총 8팀이 출전해 lsquoARENA를 이용한 은행

창구 대기행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rsquo을 발표한 손은호(4학년)외 3인(지

도교수 강진규)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lsquo대전 무인 자전거 lsquo타슈rsquo 스테이

션 추가 배치 최적후보지 선정rsquo을 발표한 신문수(3학년)외 3인(지도교수

이동형)이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6팀은 장려상을 수상하는 저력을

과시하며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타 대학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자

리가 되었다

lsquo인문주간행사 - KAIST 시정곤

교수 김용택 시인 초청 강연회rsquo

인문대학은 인문학융합연구소와 함께 10월 30일

오후 3시 S4동 207호에서 KAIST 시정곤 교수를

초청하여 ldquo인문학과 과학기술의 만남rdquo을 주제로

강연회를 실시했다 이번 강연회는 인문대학 lsquo인문

주간rsquo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창의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인

문사회전공자뿐만 아니라 공학전공자에게도 다양

한 인문소양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

다 11월 1일에는 ldquo문학과 삶의 행복한 만남rdquo을 주

제로 lsquo섬진강지기rsquo 김용택 시인을 초청하여 강연회

를 열었다 이번 강연회는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 의한 폭넓은 이해력과 유연한 접근

법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0706

학교소식

학교소식

01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열려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

건설환경조형대학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이

10월 9일부터 14일까지 한밭대학교 S10동 1층 갤

러리 목련홀에서 열렸다 이번 졸업작품전에는 도

전과 열정이 묻어나는 권민정 씨(24여)등 졸업생

55명의 참신하고 기발한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등 작품 80여 점과 각종 산업디자

인대회 수상작 10여 점 등 90여 점이 전시됐다

특히 이번 작품전에는 공업디자인학과와 교류하

고 있는 중국 합비대학 예술설계학과 학생들의 졸

업작품 10여 점도 전시되어 중국의 디자인 트렌드

를 이해하고 디자인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는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격려사에서 ldquo이번 작

품전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rdquo며 ldquo앞으로 끊임없는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개인의 발전과 우리 대학의 위상을

높여줄 것rdquo을 당부했다

9월 26일 오후 3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Capstone Design) 경진대회 시상식을 가졌다 이번 대회에는

43개팀 19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직접 기획middot설계middot제작한 Capstone

Design 시작품을 발표하였고 해당분야 전공교수가 출품작품별로 창의성

과 효율성 안정성 전공지식 활용도 종합적인 기획능력 등을 평가했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반물질팀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청춘예찬팀

코스모스팀 RampE팀 은상에 Light Hands팀 ARTOA팀 YSNam팀 동

상에 Think Tanker팀 꾀돌이팀 AHHA건축팀 등 총10개팀이 장학금과

상장 및 부상을 받았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은 반물질팀(제어계측공학)은 시각장애

인을 위해 점자좌판과 음성기능을 조합한 스마트폰인 Braille System을

출품하여 창의성 효율성 및 전공적인 기획능력 부분에서 큰 호평을 받

았다

대상의 영예를 안은 반물질팀 주현규(제어계측공학 4학년)군은 ldquo경진대

회 출품을 위해 지난 6개월간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해 다양한 실무경험

과 전공 심화 학습은 물론 팀원간 의사소통 해결방법 등에 대해 많은 지

식을 쌓을 수 있었다rdquo고 말했다

01_ 제5회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시상식

02_ 공업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

02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24기 최고경영자(CEO)

과정 수료식

8월 21일 오후 4시 교내 산학연협동관(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총

장과 CEO과정(총동창회장 백은기) 수료자 및 내외부관계자 200여 명

이 참석한 가운데 제24기 CEO과정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수료식은

이원묵 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53명의 수료자에게 수료증 수여 공로

자에 대한 상패수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었고 특히 24기생(원우회

장 서정우)들이 모은 발전기금 1천만원이 대학에 전달되었다 이번 24

기 CEO과정은 지난 3월 6일 입학식을 가졌고 약 6개월간 매주 화요일

과 목요일 CEO의 경영강좌와 문화 교양 건강 경영middot경제 특강 등 총

30여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이번 수료식을 통해 ldquo지금까지 한밭대 CEO과정을 수료

한 2200여 명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지역사회 경제는 물론 문화발전

과 사회 정의구현에 깊은 관심과 주도적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로 앞

으로도 본 대학의 발전은 물론 지역사회와 산업계 국가발전의 새로운

가치창조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을 당부한다rdquo고 밝혔다

한편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2000년 9월 제1기 72명 모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200여 명의 최고경영자를 배출하였다

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

전시회 개최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는 9월 11일부터 15일까

지 S10동 1층 갤러리 목련홀에서 「제8회 건축학과 학

생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해 2학

기부터 올해 1학기 동안 수요자중심의 맞춤식 건축설

계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건축학과 재학생들의 건축

설계프로젝트 결과물 110여 점과 각종 건축설계디자

인 대회에서 수상한 학생작품 30여 점이 전시되었다

건축학과 박상현 교수는 ldquo이번 전시회를 통해 학생들

은 자신이 수고하며 출품한 결과물과 다른 작품을 비

교함으로써 건축설계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키

우는 계기가 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이번 작품전은 기

획에서부터 홍보포스터와 리플렛 제작 전시회장 배

치와 작품설치 등 전 과정이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로

이루어져 lsquo잘 가르치는 대학rsquo인 우리 대학의 자기주도

형학습 교육의 현장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기획홍보처에서는 10월 19일 N4동 301호 세미나실과 11월 19일

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지족고교 1학년 학생 160명과 청산고교

1middot2middot3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대학탐방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middot2middot3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 소

개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대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

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는 2시간 동안 대학홍

보영상 및 학교현황 입시안내 마술쇼 등 대학소개를 진행하였고 3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학의 주요시설을 돌아보는 캠퍼스 투어를 실시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발전하는 우리

대학의 모습들을 보여준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지난 10월 26일 그랜드힐튼호텔 서울컨벤션센터에서 (사)한국산업경영

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6회 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가 개최

되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와 민창기 대학

원생은 lsquoB-2 상업용 빌딩의 효율적 신축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rsquo를 발표

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14개 대학 29팀이 출전한 lsquo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rsquo에서는 우

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재학생 총 8팀이 출전해 lsquoARENA를 이용한 은행

창구 대기행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rsquo을 발표한 손은호(4학년)외 3인(지

도교수 강진규)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lsquo대전 무인 자전거 lsquo타슈rsquo 스테이

션 추가 배치 최적후보지 선정rsquo을 발표한 신문수(3학년)외 3인(지도교수

이동형)이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6팀은 장려상을 수상하는 저력을

과시하며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타 대학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자

리가 되었다

lsquo인문주간행사 - KAIST 시정곤

교수 김용택 시인 초청 강연회rsquo

인문대학은 인문학융합연구소와 함께 10월 30일

오후 3시 S4동 207호에서 KAIST 시정곤 교수를

초청하여 ldquo인문학과 과학기술의 만남rdquo을 주제로

강연회를 실시했다 이번 강연회는 인문대학 lsquo인문

주간rsquo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창의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인

문사회전공자뿐만 아니라 공학전공자에게도 다양

한 인문소양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

다 11월 1일에는 ldquo문학과 삶의 행복한 만남rdquo을 주

제로 lsquo섬진강지기rsquo 김용택 시인을 초청하여 강연회

를 열었다 이번 강연회는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 의한 폭넓은 이해력과 유연한 접근

법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24기 최고경영자(CEO)

과정 수료식

8월 21일 오후 4시 교내 산학연협동관(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총

장과 CEO과정(총동창회장 백은기) 수료자 및 내외부관계자 200여 명

이 참석한 가운데 제24기 CEO과정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수료식은

이원묵 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53명의 수료자에게 수료증 수여 공로

자에 대한 상패수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었고 특히 24기생(원우회

장 서정우)들이 모은 발전기금 1천만원이 대학에 전달되었다 이번 24

기 CEO과정은 지난 3월 6일 입학식을 가졌고 약 6개월간 매주 화요일

과 목요일 CEO의 경영강좌와 문화 교양 건강 경영middot경제 특강 등 총

30여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이번 수료식을 통해 ldquo지금까지 한밭대 CEO과정을 수료

한 2200여 명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지역사회 경제는 물론 문화발전

과 사회 정의구현에 깊은 관심과 주도적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로 앞

으로도 본 대학의 발전은 물론 지역사회와 산업계 국가발전의 새로운

가치창조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을 당부한다rdquo고 밝혔다

한편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2000년 9월 제1기 72명 모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200여 명의 최고경영자를 배출하였다

제8회 건축학과 학생작품

전시회 개최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는 9월 11일부터 15일까

지 S10동 1층 갤러리 목련홀에서 「제8회 건축학과 학

생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해 2학

기부터 올해 1학기 동안 수요자중심의 맞춤식 건축설

계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건축학과 재학생들의 건축

설계프로젝트 결과물 110여 점과 각종 건축설계디자

인 대회에서 수상한 학생작품 30여 점이 전시되었다

건축학과 박상현 교수는 ldquo이번 전시회를 통해 학생들

은 자신이 수고하며 출품한 결과물과 다른 작품을 비

교함으로써 건축설계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키

우는 계기가 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이번 작품전은 기

획에서부터 홍보포스터와 리플렛 제작 전시회장 배

치와 작품설치 등 전 과정이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로

이루어져 lsquo잘 가르치는 대학rsquo인 우리 대학의 자기주도

형학습 교육의 현장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기획홍보처에서는 10월 19일 N4동 301호 세미나실과 11월 19일

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지족고교 1학년 학생 160명과 청산고교

1middot2middot3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대학탐방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middot2middot3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 소

개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대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

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는 2시간 동안 대학홍

보영상 및 학교현황 입시안내 마술쇼 등 대학소개를 진행하였고 3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학의 주요시설을 돌아보는 캠퍼스 투어를 실시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발전하는 우리

대학의 모습들을 보여준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지난 10월 26일 그랜드힐튼호텔 서울컨벤션센터에서 (사)한국산업경영

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6회 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가 개최

되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와 민창기 대학

원생은 lsquoB-2 상업용 빌딩의 효율적 신축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rsquo를 발표

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14개 대학 29팀이 출전한 lsquo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rsquo에서는 우

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재학생 총 8팀이 출전해 lsquoARENA를 이용한 은행

창구 대기행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rsquo을 발표한 손은호(4학년)외 3인(지

도교수 강진규)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lsquo대전 무인 자전거 lsquo타슈rsquo 스테이

션 추가 배치 최적후보지 선정rsquo을 발표한 신문수(3학년)외 3인(지도교수

이동형)이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6팀은 장려상을 수상하는 저력을

과시하며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타 대학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자

리가 되었다

lsquo인문주간행사 - KAIST 시정곤

교수 김용택 시인 초청 강연회rsquo

인문대학은 인문학융합연구소와 함께 10월 30일

오후 3시 S4동 207호에서 KAIST 시정곤 교수를

초청하여 ldquo인문학과 과학기술의 만남rdquo을 주제로

강연회를 실시했다 이번 강연회는 인문대학 lsquo인문

주간rsquo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창의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인

문사회전공자뿐만 아니라 공학전공자에게도 다양

한 인문소양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

다 11월 1일에는 ldquo문학과 삶의 행복한 만남rdquo을 주

제로 lsquo섬진강지기rsquo 김용택 시인을 초청하여 강연회

를 열었다 이번 강연회는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 의한 폭넓은 이해력과 유연한 접근

법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0908

학교소식

학교소식

고교생 초청 대학탐방 프로그램 실시

기획홍보처에서는 10월 19일 N4동 301호 세미나실과 11월 19일

S5동 206호 다목적홀에서 지족고교 1학년 학생 160명과 청산고교

1middot2middot3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대학탐방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1middot2middot3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대학 소

개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대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

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는 2시간 동안 대학홍

보영상 및 학교현황 입시안내 마술쇼 등 대학소개를 진행하였고 3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학의 주요시설을 돌아보는 캠퍼스 투어를 실시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발전하는 우리

대학의 모습들을 보여준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산업경영공학과 추계학술대회 및

텀프로젝트 경진대회 참가

지난 10월 26일 그랜드힐튼호텔 서울컨벤션센터에서 (사)한국산업경영

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6회 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가 개최

되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와 민창기 대학

원생은 lsquoB-2 상업용 빌딩의 효율적 신축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rsquo를 발표

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14개 대학 29팀이 출전한 lsquo대학생 텀프로젝트 경진대회rsquo에서는 우

리 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재학생 총 8팀이 출전해 lsquoARENA를 이용한 은행

창구 대기행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rsquo을 발표한 손은호(4학년)외 3인(지

도교수 강진규)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lsquo대전 무인 자전거 lsquo타슈rsquo 스테이

션 추가 배치 최적후보지 선정rsquo을 발표한 신문수(3학년)외 3인(지도교수

이동형)이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6팀은 장려상을 수상하는 저력을

과시하며 우리 대학 학생들의 우수성을 타 대학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자

리가 되었다

lsquo인문주간행사 - KAIST 시정곤

교수 김용택 시인 초청 강연회rsquo

인문대학은 인문학융합연구소와 함께 10월 30일

오후 3시 S4동 207호에서 KAIST 시정곤 교수를

초청하여 ldquo인문학과 과학기술의 만남rdquo을 주제로

강연회를 실시했다 이번 강연회는 인문대학 lsquo인문

주간rsquo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창의적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인

문사회전공자뿐만 아니라 공학전공자에게도 다양

한 인문소양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

다 11월 1일에는 ldquo문학과 삶의 행복한 만남rdquo을 주

제로 lsquo섬진강지기rsquo 김용택 시인을 초청하여 강연회

를 열었다 이번 강연회는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 의한 폭넓은 이해력과 유연한 접근

법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 마감

8월 24일 오전 11시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이원묵 총장의 졸업식사를 시

작으로 성열구 총동문회장이 축사를 하고 총장상과 학위증을 수여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특

히 이번 수여식에서는 학위수여 대상자 총 283명(석사 17명 학사 266명) 모두에게 개인별로

이원묵 총장이 직접 학위 증서를 수여했다 김태웅(전기공학과 졸업)외 4명에게 학업우수상

을 임진아(영어과 졸업)외 1명이 공로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책을 가까이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혜안을 키우고 자기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길 바라며 자랑스러운

한밭대학교의 동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비전과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과

열정을 가지길 바란다rdquo고 말하고 ldquo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이겨내길 바란

다rdquo고 당부했다

9월 11일 「2013학년도 수시 2차 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35명 모집에 5432명이

지원하여 6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각 전형 중에서 최고의 경쟁률은 기회균형선발전형

의 경영회계학과가 21대1 이며 일반전형에서는 시각디자인학과가 12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학middot석사통합과정(5년제)으로 모집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는 450대

1(모집 10명 지원 45명)의 경쟁률을 보였다

일반전형 715대 1(모집 617명 지원 4410명) 국가보훈대상자전형 438대 1(모집 8명 지원 35명)

농어촌학생전형 570대 1(모집 61명 지원 348명)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750대 1(모집 54명 지원 405명)

기회균형선발전형 1074대 1(모집 19명 지원 204명)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야간) 039대 1(모집 76명 지원 30명)

「2013학년도 수시2차 모집」 각 전형별 경쟁률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110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거행

인문대학 lsquo창의적 작품

활동 경진대회rsquo 개최

8월 31일 오전 11시 산학연협동관(S5동) 2층 다목적홀에서 황문구교수(전자middot제어공학)

김선호교수(교양학부) 최병길교수(신소재공학)에 대한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퇴임식에는 이원묵 총장을 비롯해 교직원과 재학생 및 가족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에 기여한 교수 3분의 영예로운

퇴임을 축하했다 이날 퇴임을 맞은 황문구 교수와 김선호 교수에게는 황조근정훈장이

최병길 교수에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이 각각 수여됐다 특히 이날 퇴임 교수에게

는 후학양성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인정해 명예교수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원묵 총장은 이날 송공사에서 ldquo평생을 학문과 연구에 몰두하며 후학양성을 위해 헌

신해 오신 교수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퇴임 후에도 한밭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달

라rdquo고 말했다

인문대학에서는 9월 17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작

품 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자아실현을 통해 자긍심을 고

취하고 자기전공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졸업 후 능력 있는 직장인이 되는데 필요

한 덕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작품의 주제 참신성과 중요성 시

사점 목적 명확성 형식을 기준으로 문화탐방 보고서 동아리 활동 보고서 소설middot희곡

번역 및 창작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장실에서

거행된 시상식에서는 금상 수상자 조은진(영어) 이주연(중어) 최용주(일어)에게 30만원

의 상금과 상장을 은상 수상자 박소현 외 1명(영어) 정명희 외 2명(중어) 임춘용 외 1명

(중어)에게 상금 20만원과 상장을 동상 수상자 김훈식 외 3명(영어) 이종혁 외 3명(중어)

에게는 상금 10만원과 상장을 각각 수여했다 수상작들은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lsquo한

밭Fairrsquo 행사장에 전시되었다

01_ 2012년 상반기 교원 정년퇴임식 0203_ 창의적작품활동

01

02

03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8월 16일 오후 5시 산학연협동관(S5동) 511호에서 총장과 사업단장 교내

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장 김

태일)rdquo 현판식을 가졌다

이노폴리스캠퍼스는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시행하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middot육성사업」으로 대학이 보유한 산학협

력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친기업환경을 조성하여 대덕특구 성장에 모멘

템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 바우처 프로그램과 창업아이템

검증 프로그램 2개 사업에 모두 선정되어 2년간 8

억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 대학은 이노베이션바우처 프로그램 분야에서

대덕특구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단기 기술개발 지원

기업 현장 밀착형 기업교육 시제품 제작을 위

한 시험middot분석 시제품의 사업화 제품 기획을 위

한 기술middot경영 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지원

하고 창업아이템 검증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대덕

특구내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의 창업 시작

품 개발 시장전문가 참여 창업아이템 검증 대

덕특구 및 한밭대 신탁기술 사업화 1+1 창업학

석사학위과정 연계운영 등 특구 보육 기술 또는 창

업자 고유 아이디어를 창업교육과정을 통해 특구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이 사업의 기술사업화

와 창업지원을 위해 우리 대학 내 고가장비와 대학

연구인력 지역 내 산middot학middot연middot관 전문가들이 참

여한다 우리 대학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대덕특

구내에 산업단지캠퍼스와 연계하여 대덕특구의 신

기술 사업화를 위한 친기업환경조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지정

ldquo이노폴리스캠퍼스rdquo 현판식

우리 대학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가 공시한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표에서 취

업률 699로 lsquo나rsquo그룹(2000명이상 3000명 미만)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에 대학취업률 lsquo나rsquo그룹에서 전국 2위를 하게 된 것은 우리 대학이 그동안 추구해온 현장중심의 특성화 교육프로

그램 운영의 성과rdquo라고 말했고 ldquo앞으로 지속적으로 자기 주도형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특성화를 통해 기업과 함께하는 산학융합 교육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학생 취업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rdquo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2단계 산학협력중심 대학육성 서울어코드 활성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지원 산업단지캠퍼스 지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선정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 지원 지역 혁신인력양성 등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에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전국 최초 새로운 학위과정 모델인 학middot석사통합과정(128명 정원)을 인가받아 2013학년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5년 만에 학사학

위와 석사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을 모집하면서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

비한 수준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며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그동안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발표에서 최근 7년간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해 왔다

2004년 783 2005년 813 2006년 795 2007년 812 2008년 838 2009년 852 2010년 706 2011년 714로

각각 전국 최상위를 기록하여 왔다

2012년도 대학 취업률 전국 2위(나그룹)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312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2년도 한밭대학교 Fair 개최

lsquo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 열려

「2012 한밭대학교 Fair」가 11월 14일 대학본부(N1동) 앞에서 이주호 교육과

학기술부장관과 염홍철 대전시장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등 주요인사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인 「2012 한밭

대학교 Fair」는 우리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 성과를 창업지락(知樂) 창

의지락(知樂) 및 취업지락(知樂) 이란 주제로 한자리에 모아 발표하는 자리이다

우리 대학은 그 동안 산학협력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환경에 부합되는 맞춤

형 산학협력 특성화를 추진하여 성공한 산학협력특성화의 Hub대학으로 주목

을 받고 있어 이번 「한밭대학교 Fair」는 산학협력에 관심 있는 정부 기관 기업

체 전국 대학 간 활발한 정보교류의 장이 되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이번 행사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창의적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대학이라는 한밭대학교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

었을 것rdquo이라고 이번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N2동 문화예술관 전면광장에 설치된 특별전시관에서 lsquo2012 한밭대학교 굴렁쇠 잡

페스티벌rsquo을 개최했다 lsquo굴렁쇠rsquo란 특별전시관 내 마련된 컨설팅존과 이벤트존 리쿠르팅존을 굴렁쇠처럼 돌아가면서 대기업 취업전

략을 배우고 취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행사는 SK케미칼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우수 중견기업 28개가 참여하여 올해 채용동향과 내년 취업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또한 특별 전시관에서는 전문 컨설턴트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면접 컨설팅 및 코디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다양한 행사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인 좋은 기회가

되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

우리 대학은 11월 30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관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를 가졌다

ldquo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담그기rdquo 행사에는 우리 대학 사랑middot나눔봉사

단 학생 70명과 교직원 30여 명이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성과 사랑을 다

해 담근 김장김치 1000kg는 유성지역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생활보호대상

가정 100세대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직접 1세대당 10kg씩 전달하며 함께 살아

가는 이웃의 따뜻한 정을 전했다

류봉조 학생처장은 ldquo이번 겨울은 지난겨울 보다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예보와

김장값이 올라 어려운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

다rdquo라고 말하면서 ldquo앞으로도 사랑나눔봉사단과 함께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여 소외된 우리의 이웃을 도울 계획이다rdquo고 밝혔다

정보기술대학과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S2동

4층 컨벤션홀에서 제1회 정보기술대학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세부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

는 학습을 유도하며 학생들 간 정보교류 활성화와 우호 증진을 위해 마련됐

다 29일 열린 시상식에서는 lsquo꿈꾸조rsquo팀(박슬기 외 6명middot전기공학과) 이 전기자

전거(Electric bike)라는 작품으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밖에 lsquoAWCSrsquo팀 외

6팀이 금상 lsquoK1-J3rsquo팀 외 13팀이 은상 lsquo스마트조rsquo팀 외 20팀이 동상 lsquoParadox

17rsquo팀 외 16팀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514

학교소식

학교소식

제30회 HNUBS

방송제 열려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당선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도서관에서는 11월 6일 S1동 도서관 로비에서 ldquo희망을 꿈꾸게 하는 곳 새로운 변화의 시작 여기

는 도서관입니다rdquo라는 주제로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구성원들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 하게 하고 더불어 도서관 이용률도 증대

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작은 음악회를 시작으로 독서마일리지와 도서관 모범이용자 시상식을 가

졌다 독서마일리지 부문에서는 송인정(설비공학 3)학우가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모범이용자 학생

부문에서는 이수진(경제 3) 외 3명이 교수 부문에서는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최윤석 교수와 정보통신

공학과 이동호 교수가 수상하였다 이밖에 도서 전시회 Book Hunting Cinema Hanbat 영화상영

텀블러 증정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었다

우리 대학 HNUBS방송국에서는 11월 8일 문화예술관에서 lsquo제30회 HNUBS 방송제rsquo를 개최하여

400여 명의 학우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방송제는 방송국 국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과 공

연을 선보여 드라마 CF 국토대장정 농활 영상 뉴스 등이 보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행사를 기획한 HNUBS 방송국 편성국장 심요섭(기계 3)은 ldquo약 4개월 동안 연습했는데 준비한 것보

다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시원섭섭했다rdquo며 ldquo방송제를 통해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려주

고 싶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감동을 느꼈으면 좋겠다rdquo고 전했다

총학생회장 선거가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치러졌다 이번 선거는 단일후보가 출마했는데 개표

결과 총 유권자 8031명 중 4357명이 투표에 참여해 54가 넘는 투표율을 보였고 그 중 찬성이

3680표로 84를 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제29대 lsquoFunampFunrsquo회장단은 총학생회장 오지훈(컴

공 3) 전일제부총학생회장 이용복(전기 2) 정시제부총학생회장 서동곤(경제 2) 김수현(경영 3) 여

학생 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오지훈 당선자는 ldquo여론을 수렴하여 학우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는 총

학생회장이 되겠다rdquo고 당선소감을 밝혔다

01_ 제15회 도서관 문화행사 실시 02_ 제30회 HNUBS 방송제 03_ 총학생회장단 lsquoFunampFunrsquo

01 03

02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lsquo제1회 한밭독서토론대회rsquo

성황리 개최

교양학부에서는 11월 3일 오전 10시 S3동 101호에서 lsquo제1회 한밭

독서토론대회rsquo 를 열고 학생 독서토론왕을 뽑았다 이번 대회에서 독

서토론왕은 lsquo탈레랑rsquo팀(경영 4년middot민상원 경영 2년middot정신영 경영회

계 1년middot김영주)이 선정됐다

총 115개팀 345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10월 17일부터 예선심사

가 진행됐다 대회 지정도서인 lsquo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rsquo(캐스 선

스타인 저)에 대한 독서토론을 통해 우수한 32팀 96명의 본선 진출

팀을 선발하였고 지난 10월 27일 열띤 경합 끝에 최종 결선진출팀 4

팀 12명이 가려졌다

토론형식은 개최측이 선정한 논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의 팀을 정

하고 각 논제별로 30분간 토론을 하였고 심사기준은 논제의 쟁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정도 논증 재구성 및 비판 능력 논제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현실 적용 능력 토론의 태도 및 토론 규칙 수행 능력 등

을 평가했다

한편 교양학부 주관으로 열린 한밭 독서토론대회는 학생들에게 바

람직한 토론문화를 정착시키고 현대 사회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716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 개설

우리 대학 영문 홈페이지가 9월말 개설 되었다 영문 홈페이지는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우리 대학 유학생 및 해외

자매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 학생과 대학에 우리 대학의 홍보 및

정보제공을 위해 개설되었다

개설된 주요 항목은 대학비전 연혁 기구표 등 일반현황과 대학

대학원 소개 입학정보 국제교류(자매대학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복지시설 등이다

영문홈페이지는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hanbatackr)에 접

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lsquoENGLISHrsquo를 클릭하면 영문 홈페이지

(httpnewhanbatackrhtmlen)에 접속이 가능하다

2012년도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

11월 20일 서울 강남 상록회관에서 lsquo2012 재경총동문회 정기총회rsquo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서울재경회원 성열구 회장

및 동문회 임원 이원묵 총장 등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2012년도 결산 및 2013년도 회계 연도 예산심의

외에 제15 16대 회장 이middot취임식이 이루어져 16대 회장으로 김홍석(토목과졸middot40회)이 취임했다

김 회장은 현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날 이원묵 총장은 우리 대학 주요성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대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남선기공 우리 대학에

오축머시닝센터 기증

12월 13일 오전 11시 30분 대학본부 2층 총장실에서 남선기공(회장 손종현)과 「오

축머시닝센터」기증식을 가졌다

손 회장은 산학협력과 현장밀착형 교육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의 교육시스템 운영

을 높이 평가하고 학생들의 실습교육과 시제품제작은 물론 관련기업과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남선기공에서 생산한 시가 7억원의 최첨단기자재

「오축머시닝센터」 1대를 무상으로 기증하게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축머시닝센터」는 일반적으로 3차원 가공기계가 xyz축을 운동하며 작동을 하는

기계이지만 여기에 회전축과 그 외 보조축을 추가함으로써 원형가공 등을 더욱 정밀

(정밀도 plusmn0001)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기계이다

우리 대학은 「오축머시닝센터」기증으로 CADCAMCAE 실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캡스톤디자인 및 졸업작품 제작 등의 초정밀 가공기술을 교육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

들의 현장실습과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주)남선기공의 「오축머시닝센터」 기증에 감사하고 지역의 선도기업

이 최첨단기자재를 가지고 대학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만큼 대학에서도 창의적인 인

재를 양성하여 보답하겠다rdquo고 말했다

손종현 남선기공 회장은 현재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힘쓰고

있으며 기업운영의 핵심가치를 기업의 영속성에 두고 기업의 미래자산인 인재육성

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1년도에도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에 10억상

당의 공작기계를 기증한바 있다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1918

학교소식

학교소식

2013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 마감

12월 26일(수) 우리 대학 「2013학년도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lsquo나rsquo군」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일반전형

주간 평균경쟁률 418대 1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05대 1(266명 모집 1078명 지원) lsquo나rsquo군

일반전형 주간 430대 1(273명 모집 1174명 지원)로 일반전형 주간은 평균 418대 1의 경쟁률

을 보였다

정시모집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으로 모집한 공과대학 설비공학

과로 12명 모집에 74명이 지원하여 617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학middot석사 통

합과정) 글로벌융합학부 엔지니어리더학과가 20명 모집에 53명이 지원하여 265대 1로 경쟁률

이 가장 낮았다

특히 우리 대학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학middot석사학위 통합과정은 정시모집 lsquo가rsquo군 일반전형 주간

으로 모집하여 344대 1의(112명 모집 385명 지원)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 및

직원표창

2012년도 하반기 교직원 정년퇴임식이 12월 31일 오전 11시 S2동 컨벤션홀에서 거행되었다

이날 교무처 강명환 사무국 이종천 유성숙 선생의 정년퇴임식에서는 퇴임자들의 가족 및 친지

동료 등 300여 명이 자리하여 정든 한밭대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축복했다

또한 정년퇴임식 종료 후 2012년도 대학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표창식이 거행되

었다 이날 표창식에서는 학생처 손금배 과장등 3명이 정부포상을 학생처 박지현 팀장 등 9명이

총장 표창을 받았다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사무관 손금배 국무총리상

우수공무원 표창

ldquo가rdquo그룹 ldquo나rdquo그룹

산학협력단 산학협력과 기술사업화팀 종합인력개발원 인력개발지원팀

혁신우수팀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학생처 학생과 행정주사 박지현 총장상

사무국 총무과 기능8급 김윤기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기성회직 김미영 총장상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기성회직 이영준 총장상

종합인력개발원 기성회직 정은송 총장상

공동실험실습관 무기계약직 최원두 총장상

교무처 교무과 조교 김재두 총장상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조교 황운성 총장상

건설환경조형대학

도시동학과기성회조교 박상진 총장상

공적우수자 표창

소 속 직 급 성 명 비고

기획홍보처 기획홍보과

행정주사 이형기 국무총리상

모범공무원 표창

소 속 부 서 성 명 비고

제3행정실 공업주사 신승종 교과부장관상

학사유공자 표창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1월 2일(수) 오전 10시 문화예술관(N2동)에서 이원묵 총장과 교직원 등 대학구성원 5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2013년 시무식」을

갖고 희망찬 계사년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시무식에서 이원묵 총장은 ldquo앞으로 대학은 치열한 교육의 질 경쟁과 급격한 교육 수요 감소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일류대학으로 우뚝 서기 위해 대학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인재육성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자rdquo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사운영 혁신과 교육환경 개선 둘째 각종 정부사업 유치를 위한 지속적 노력 셋째 세계

적 수준의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인센티브제도 Postdoctoral fellow 제도 국제공동연구 지원 넷째 새로운 산학협력 패러다

임 구축을 위한 기술지주회사와 학교기업 설립 등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 다섯째 글로벌 교육을 위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복수

학위제 언어연수 확대 여섯째 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한 단과대학의 행정 활성화 확대 등 우리 대학 발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

을 제시했다 또한 이날 시무식에서는 2012년도 취업활동 유공교직원 신민혜(공과대학 화학생명공학과) 등 5명의 직원에게 총장

상을 수여했다

2013년 시무식 거행

2013학년도 편입학 원서접수 마감

1월 14일(월) 오후 5시 「2013학년도 편입학 전형」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3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전형별 경쟁률은 일

반전형 주간 275대 1(197명 모집 542명 지원) 특별전형 야간 348대 1(172명 모집 599명 지원)로 편입학전형(정원내) 369명 모

집에 1141명이 지원하여 3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120

학교소식

학교소식

우리 대학은 1월 17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개

최하고 「2013학년도 학생등록금 동결」을 최종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08학년도부터 2013학년

도까지 6년 연속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

다 그동안 저렴한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에 의한

재정의 추가요인 등 어려운 재정여건임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금년에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대학의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효

율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간접비용을 최소화함으

로써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로 했다 그러나 등

록금은 동결돼도 장학금과 학생복지 및 교육비

등 학생에 대한 투자는 올리거나 작년수준을 유

지하기로 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대학의 어려운 재정여

건으로 등록금 동결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학재정 운영을 통해 어

려움을 극복할 것이며 등록금 동결이 학부모들

에게 위안과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rdquo고 말했다

2013학년도 등록금

동결

우리 대학 학군단이 국방부가 1월 22일 발표한 「2012년 학군단 설치

대학별 운영실태 평가」에서 전국 학군단 설치 110개 대학 중 최우수

등급 받았고 국립대학 중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학군단 운영실태 평가는 국방부가 직접 우수한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

발하기 위해 매년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학칙middot규정 후보생 능력middot

성적 교육 시설 복지middot인력지원 등 4개 항목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학군단 폐지 및 학군사관후보생 정원 확충을 위한 평가지표로 사용하

는 매우 중요한 평가이며 이번성과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 말까지

4주간 진행된 평가 결과이다

황권택 학군단장은 ldquo전국 110개 학군단 운영 실태평가에서 최우수등

급을 받은 것은 우리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교관들의 노력 대학본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한 데 어우러져 이끌어낸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

다rdquo라고 말하고 ldquo앞으로 한밭대학교 학군사관 후보생을 군의 중추가

되는 능력있는 장교로 이끄는데 관계구성원의 변함없는 노력과 지원

이 필요하다rdquo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군단은 지난 2007년 창설하여 당시 정원 25명에서

출발해 2012년 50명으로 짧은 기간에 정원이 2배 증가하는 저력을

과시했으며 현재 정원이 50명(총원 91명)으로 지금까지 총 169명의

학군장교를 배출하였다

학군단 2012년 운영실태 평가

전국 110개 대학중 최우수 등급받아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우리 대학은 1월 17(목) 오후 3시 30분 대학본부

(N1동) 2층 대회의실에서 「2013년도 제1차 지역중

심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우리 대학이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단위 총장회의이며 전국 16개 지역중심 국middot공립

대총장이 참석하여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lsquo대학입시 간소화rsquo 등 대통령당선자 공약사항 5건과 lsquo지역대학 출신 채용할당제 도입으로 취업확대rsquo lsquo대학 평가인

증제 제도개선rsquo lsquo국가장학금 배정방식rsquo 등 협의회 안건 7개 등 총 14개 현안을 폭넓게 다뤘다

지역중심 국middot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비롯해 전국에 20개 회원대학이 있고 지역 국middot공립대학이 안고 있는 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총장협의체이다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2

학교소식

2월 14일(목) 16시 S5동 산학연협동관 다목적홀에서 이원

묵총장과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한기온회장을 비롯해

직원 등 내middot외부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대

학원 제25기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을 갖였다

이날 수료하는 44명의 CEO과정 수료자들은 지난해 9월 6

일 입학하여 약 6개월간 경영강좌와 문화middot교양강좌 건강

강좌 등 총 30여개로 진행되는 강좌를 이수했다

한밭대 이원묵 총장은 이날 수료생들에게 ldquo앞으로도 본 대

학의 발전은 물론 국가 지역사회 산업계에서 지식 가치창

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rdquo고 격려했다

제25기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식

우리 대학이 1월 8일 중기청에서 주관하는 전국 280여개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완료과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산학

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최상위 5)으로 선정되었다

그 동안 중소기업의 현장애로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기업의 Needs와 교수의 Seeds를 연결해주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코디네이팅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전권에서 유일

의 2년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한국에어로는 lsquo300HP급 수윤활

식 오일프리 공기압축기rsquo를 한밭대학교 명태식 교수와 공동연

구실적을 사업화함으로써 약 27억원의 매출효과 7명의 고용창

출효과를 거두었다

2년연속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우수기관 선정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거행

2월 22일(금) 오전 10시 30분 교내

문화예술관에서 총장과 내middot외빈

학부모와 졸업생 등이 참석한 가운

데 「201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는 박사 4명

석사 202명 학사 1842명 등 총

2048명에게 영예로운 학위를 수여

했다

이날 최태은(건축공학과 졸업)학생

이 대전광역시장상을 수상하였고

사회봉사협의회장상 김민영(일본어

과 졸업) 김동근(제어계측공학과 졸업) 총동문회장상에 정지용(멀티미디어공학전공 졸업) 기성회장상에 박지은(전파공학전공 졸

업)이 각급 단체 및 기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김효엽(기계공학전공)등 32명이 학업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조주영(중국어과)등 11명이 공로상을 조은진(기계공학과)등 51명

이 ACE 인재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원묵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ldquo항상 초심을 유지하고 책을 가까이 하며 매사에 성실한 자세로 노력해 줄 것을 rdquo을 당부하며 졸업

생의 힘찬 새 출발을 격려했다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3

교육bull연구

제1회 고등학생

적정기술 캠프 열려

8월 25일 오전 9시 N4동(DH101 DH301)에서 우리 대학 적정기술연구소와 적정기술

교사연구회가 주관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에이드그린 적정기

술미래포럼이 후원하는 「제1회 고등학교 적정기술 캠프」가 개최되었다 이번 캠프는

대전지역 8개 고등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 70여 명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 상황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따뜻한 감성

을 지닌 과학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캠프에 참가한 대전괴정고 대전여고 동대전고 충남고 대성고 대전구봉고 대전

성모여고 우송고 등 8개 학교 적정기술 동아리 학생들은 적정기술에 대한 홍성욱 교

수의 강의와 함께 태양열 오븐을 제작하여 메추리알을 넣어 익혀보는 실습시간과 그

동안 각자 학교에서 활동하며 구상해온 적정기술을 발표하고 lsquo도전 적정기술 골든벨rsquo

을 통해 적정기술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도 하였다

홍성욱 교수(적정기술연구소장)는 ldquo이번 캠프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이 이를 창

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열악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인류에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감성을 지닌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우리 주변의 열악한 지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

제를 지역적middot문화적middot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말

한다

EducationmiddotResearch교육middot연구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4

교육bull연구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열려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인문대학에서 11월 14일 S4동 207호에서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예선을 통과한 12개팀이 준비한 PPT자료를 발표했고 영어과 권희상 교

수 중국어과 김남미 교수 일본어과 조남성 교수 공업디자인과 구상 교수 교양학부

김주리 교수가 심사위원이 되어 심사했다 대상은 lsquo칭찬하라 스마트하게rsquo(일어 봉주현

외 8명)가 금상은 lsquo중국상하이 지역탐방rsquo(중어 김현주 외 5명)이 은상은 lsquo한국으로 유

입되고 있는 일본문화rsquo(일어 이찬휘 외 2명)가 수상했으며 그 외 2팀이 동상을 7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인문대학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사례발표 대회를 통

한 인문역량 개발과 학습동기를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1월 15일부터 21일까지 lsquo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rsquo을

개최했다 설계 주제는 COsup2 절감 및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아이디어 우리 대학 교

육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아이디어와 창의적 공학 설계에 관한 아이디어 등

3가지 주제로 총 20팀이 참가했다 이번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현안이 되는 지구온난

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공학설계의 중요성 강조 및 설계교육 강화를 통한 창의성 향상

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BC-GM팀의 lsquo무시멘트계 저탄소 경량 복합 채널의 제조기법rsquo

이 대상을 차지했으며 금상 2팀 은상 3팀 동상 4팀으로 총 10팀이 수상했다

01_ 인문대학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02_ 제4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01 02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5

교육bull연구

2012년도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

우리 대학 주관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S2동 4층 컨벤

션홀에서 제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제약결정화 기술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 15개국 150여명의 결정화 기술

전문가가 참석하여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다양한 최신 결정

화공정기술의 연구 동향과 응용사례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기술을

교류했다

이번에 참여하는 교수 중에는 세계적으로 연구력을 인정받는 저명

교수인 울리히 교수(독일 마틴루터대학교) 히라사와 교수(일본 와

세다대학교) 코크럴 교수(프랑스 루앙대학교) 등 유명 과학자가 참

석했다 우리 대학 김광주 교수(화학생명공학과)는 ldquo발표자와 참석

자가 대부분 전혀 경비 지원 없이 자비로 신청하여 참여하였고 행

사 위주 보다는 순수한 학술발전을 위한 국제교류의 장이 될 것rdquo이

라고 말했다

결정화공정기술은 제약 바이오 NT 소재 첨단화학산업에서 주목

받고 있는 결정설계 결정입도 및 형상조절 결정결함 입도분포 조

절 고순도 분리정제 polymorph 제어 co-crystal 제조 API결정특성

제어 등에 적용되는 화학 및 제약 산업의 핵심 공정 기술이다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6

교육bull연구

국제교류원 lsquo외국어

스피치 대회rsquo 개최

국제교류원에서는 10월 26일 S5동 206호에서 제12회 교내 외국어스피치 본선대회를 개최

하였다 예선심사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경시부문에 총 41명이 출전하여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각자의 응시부문 외국어 실력을 펼쳐보였다 본선대회 후 시상식에서는

영어과 곽두진 중국어과 강송리 일본어과 전승현 경제학과 송설 학생들이 각 부문별 최우

수상을 수상하였고 우수상1명 장려상11명 등 총 16명의 학생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학middot석사통합과정

전국 최초 신설

우리 대학은 5년 만에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을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신설했다 학middot석사 통합과정은 학기제 현장실습 산학공동 연구개발

참여 등 현장적응력과 연구역량을 겸비한 지역 우수산업인력을 조기에 양성하는 과정이다

우리 대학은 이번 수시 1차에서 글로벌융합학부(엔지니어리더) 8명을 시작으로 2차에서 10

명 정시모집 102명 등 총 120명을 별도로 선발한다

특히 일정 학년이 되면 인턴십과 캡스톤디자인 산학공동 RampD프로젝트에도 참여하여 장학

금과 연구보조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 대학이 산학협력특성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한 학제로 교과부에 제시하여 인

가를 받았고 교과부는 지난 4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에서 산학협력 학middot석사 통합과정(5년

제)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앞으로 새로운 모델로 전국대학에 파급될 것으

로 보인다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7

교육bull연구

학교문화기술연구소(소장 안은영)는 10월

26일 오후 2시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와

공동으로 S3동 108호 세미나실에서 「lsquo경력

단절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성지원정책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한 유관기관들의 역할과 지원방

향을 정립하고 여성공학인의 지속성장을

통한 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

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공계출신 산업체 여

성직장인 기술중심 중소기업관계자 공대

재학중인 여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1부 순서는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위원

이 lsquo이공계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경력개

발 장애요인rsquo을 주제로 발표하고 2부 순서로 김유숙 한국산업기술미디어문화재단 본부장의 사회로 송은숙 여성벤처인협회 대전충청

지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 송희경 아이티센시스템(즈)전무 김명희 대전시 여성정책담담 사무관이 토론자로 나서 여성공학인력

의 사회진출 확대 및 여성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 개최

도시환경연구소(소장 유병로)는 9월 26일 오후 3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타워 4층에서 관계 회원 약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lsquo충

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대전middot충청지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lsquo똑똑한 금수강산 만들기rsquo의 일환으로 도시환경연구소와 희망정책국민연대(대표 곽영훈)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서 최근 대

전middot충청권의 화제로 급부상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lsquo충청광역 철도망 조기구축과 대전 충청권 연계발전 전략rsquo이란

주제로 토론했다

우리 대학 유병로 교수는 기존 철도를 신탄진에서 계룡시 구간까지 조기에 전철화하여 약1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도시철도 활용을 제

안하고 이 구간에 만들어지는 15개의 환승역 정차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에 인공대지(人空垈地)를 조성하여 고층건물을 지은 뒤

서민주택 복합상가 컨벤션 복지시설 등을 주변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공급하는 신개념 철도부지 및 역세권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lsquo경력단절 예방rsquo 행복한 여성공학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8

교육bull연구

2012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운영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부교육선진화선도사업(ACE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후배간에 협동학습을 통해 학업능력

을 키우는 튜터링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데 2012학년도 2학

기에는 826명(신입생 정원대비 366)을 모집했고 총 122개 팀(튜터

122명 튜티 704명)의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여 9월 21일과 24일 각각

lsquo2012학년도 2학기 튜터링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rsquo을 실시하였다

스터디그룹은 튜터 1명과 튜티 5sim9명으로 구성되어 매 학기 10주간

운영하며 운영 기간 중 8주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튜터는 1회 모

임당 2시간씩 학습기초 과목인 수학 물리 화학 등 전공기초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튜티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스터디그룹 운영은 각 팀이 기초교과목 수업 후 일지 제출 현황

등 운영현황을 체크하고 팀별 지원금과 인증서 우수팀 시상 등의 혜

택이 주어지는 반면 2주 이상 수업일지를 미제출 하거나 튜티의 참석

율이 60이하인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

었다

이순주 교수학습센터장은 ldquo우리 대학이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한

튜터링프로그램은 선middot후배 간 자신의 학습능력을 자발적으로 키우는

선순환적 학습프로그램으로 매학기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참여 학생들 모두 학업성적 향상에 큰 도움을 받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dquo고 밝히며 ldquo앞으로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rdquo고 말했다

학부교육선진화 사업단

lsquo교수-학생 독서토론회rsquo 개최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에서는 10월 31일 오후 5시부

터 7시까지 N4동 DH301호에서 lsquo스토리가 스펙을 이

긴다rsquo라는 책을 주제로 홍성욱 교수와 함께하는 교

수-학생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독서토론회는 올바른 독서방법을 교육하여 능동

적인 독서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사

고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학생들

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책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과 사고를 배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11월 14일에는 lsquo사회계약론rsquo이라는 도서를 주

제로 조복현교수와 11월 28일 lsquo실행이 답이다rsquo라는

도서를 주제로 설동호 교수와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

였다

교수-학생 독서토론회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

의 책을 접하면서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는 올바른 독서 토론 문화가 정착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29

교육bull연구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

개발

12월 18일 우리 대학은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인쇄형 OLED 조명소자용 광추출층 소재

및 박막 배리어형성용 공정 및 인쇄장비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번 국제공동연구는

지난 6월에 체결한 우리 대학과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자간

학middot연middot관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의 결실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정부출연금을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위해 지

원하며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비연구소 드레스덴 분원은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

블 광원인 OLED에서 사용되는 고효율용 광추출층 소재와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보호막

인쇄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공동개발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인쇄기술을 통한 플렉서블 OLED 소자의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소유권은 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가 공

동 소유하게 되며 개발된 기술의 실시권은 특구 기업인 펨스와 해동화학이 활용하여

사업화 한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 실시권을 갖게되는 펨스는 베리어층 코팅장비 상용화로 5년간 372억 원

해동화학은 광추출층 소재 상용화로 51억 원의 매출이 각각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자middot제

어공학과 최윤석 교수는 ldquo우리 대학과 프라운호퍼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독일의 우수한 분

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특구내 디

스플레이 및 반도체 유관기관 및 기업이 독일로 진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전자middot제어공학과 주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lsquo제15회 청소년

로봇캠프rsquo가 개최되었다

로봇캠프는 초등학생들에게 로봇에 대한 기초학습 능력 배양과 체험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마련되었고 로봇과학 세미나 로봇 제작 Logic 프로그램

강의 로봇 프로그래밍 지능로봇경진대회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진행 되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120여 명의 학생들은 로봇에 대한 지

식을 익히고 자신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주어진 미션에

맞춰 대결을 펼치는 등 로봇에 대한 다양한 체험 기회를

가졌다

한편 우리 대학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목표로 청소년 로

봇캠프를 개최한 것은 15번째이고 2006년부터 지난 캠

프까지 약 2000여 명의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흥미롭

게 행사에 참여하여 왔다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0

교육bull연구

2013학년도

신입생 예비대학

운영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은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N4동 산업정보관에서 2013학년도 수시합격

자를 대상으로 신입생 예비대학을 운영하였다

예비대학은 올해 수시모집에 합격한 260여 명의 예비신입생들에게 입학에 앞서 대학생활의 적응

력을 키워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학생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하여 4박 5일간 숙식하며 영어middot수학기초 교육 컴퓨터활용 교육

글쓰기 독서토론회 교수middot전문가 초청강연 레크레이션 등 지도를 받았다

안기홍 학부교육선진화사업단장은 ldquo이번 예비대학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입학 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 꿈을 펼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dquo라고 말했다

신입생 예비대학은 작년 처음 시작하여 400여 명이 수료하였고 이번이 2회째이다

취업캠프 및 리더십 캠프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마인드를 고취하고 기업 및 직

무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기업에 대한 취업전략 세우는 한편 외부 현

직인사팀장의 집중 면접교육middot실습 지도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심

어주기 위해 「ONE-STOP실전 취업캠프」를 운영하였다 캠프는 합숙에

의한 집중교육으로 실시되었는데 1월 21일부터 23일까지 교원도고연

수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2박 3일동안 합숙을 하며 취업동기부여 및 성공취업전략 직

업분석방법 기업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표 면접 유형별 준비 및 대책

면접이미지 및 스피치 합격하는 입사서류 작성법 등 취업 준비과정에

서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천안 국립

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3 입사서류 집

중캠프」를 실시하였다 캠프는 학생들이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입사서류 작성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특히 전문가 특강과 지도를 받아 자신만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고 완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겨울방학

TOEIC맞춤 캠프 열어

국제교류원에서는 12월 31일부터 1월 25까지 4주간

에 거쳐 lsquoTOEIC맞춤 캠프rsquo를 진행하였다

집중합숙교육으로 실시된 이번 캠프는 글로벌 인재

양성 육성과 취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사전에 Level

Test을 거친 80명의 희망자를 수준별로 20~30명씩

3개반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캠프의 교육비는 대학이 전액부담하고 학생은 기숙사

비용 일부를 부담하여 학생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과 학습태도 등 엄격한 규칙으로 캠프를 운영한

결과 성적이 평균 200점 상승하였고 최고 300~350

점 이상 향상된 학생도 있었다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현인수 학생은 ldquo학교에서 마

련한 TOEIC맞춤캠프가 짧은 기간이지만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진행되어서 혼자 공부할 때 보다 어느 정도

TOEIC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좋은 경험이되었고 기

회가 된다면 다시 한 번 참여하고 싶다rdquo고 말했다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1

교육bull연구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초 및

동계입영 훈련 실시

우리 대학 학군단은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6일까지 육군훈련

소(논산)과 학생군사학교(괴산)에서 「2013년 학군사관 후보생 기

초 및 동계입영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2middot3학년 학군사관 후보생 91명을 2개조로 나뉘어

4주간 실시되었는데 2학년 학생은 군인화를 목표로 재식훈련

각개전투 개인화기사격 경계 지휘훈육 등 집중훈련을 받았고 3

학년 학생은 장교화 과정으로 개인화기사격 K201 통신장비 구

급법 지휘훈육의 숙달훈련을 받았다 이원묵 총장은 혹한의 날

씨에도 불구하고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모든 군사훈련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후보생들을 격려하였다

학군단은 매년 겨울이면 학군사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초급장교 육성을 위한 정예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마친 91명의 학생 및 학군단원들은 2월 15일(금)

11시 문화예술관에서 거행된 입단식과 승급식에서 정식 학군단

원이 되었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국제교류원에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

화사업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21일부터 2013년도 3

월 1일까지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를 실시하였다

글로벌단기집중어학연수는 학생들에게 외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능력 향상

을 꾀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 향후 취업에도 도

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영어회화 문법 독해 말하기 등 실습위

주로 구성 되어 있어 외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

다고 참가학생은 말했다

경영학과 김은희 학생 등 130여 명이 필리핀 자매대학

사우스웨스턴대학교 불라칸주립대학교 닥턱스대학교

등에서 4주와 8주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연수하였고 뉴

질랜드 유니텍공과대학 및 호주 퀸슬랜드공과대학에서

각각 9명 13명 등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제2차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 운영

종합인력개발원은 2월 4일부터 6일까지 교내 S2동 취업강의실에서 재학생 36명

을 대상으로 데일카네기 글로벌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였다 데일카네기 리더십개

발과정은 자신감을 키우고 인간관계 개선과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인데 이미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리더십 개발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선착순 접

수를 실시한 후 30분도 되지 않아 접수가 마감되어 많은 학생들이 아쉬워하였다

이번 교육은 성공을 위한 올바른 태도 형성 비전 설정 이름 기억법 용기 개발

인간관계와 자신감 증진 등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단계부터 걱정 스트레스 극복

자기관리 명확한 의사 전달 칭찬 파워 타인을 감동시키는 연설법 등 다양한 프

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었다

수료식에서 최원오 종합인력개발원장은 ldquo리더십은 한 개인이 행복한 인생을 꾸

려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고 오늘 교육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목표과 실천

목표를 바로 세우고 훌륭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 달라rdquo며 수료하는 학생을 격려

했다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2

교육bull연구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에서는 2012년 12월 12일부터 2013년도 2월 28일까지 글로벌 인턴십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인턴십은 글로벌 역량과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향후 취업 역량을 높

이기 위해 마련하였는데 현지 자매대학교에서 취업에 필요한 영어회화 수업 세미나와 해

당국가의 문화 및 언어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전공 관련 현지기업체에 배정되어 현장실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2012학년도에는 민정식(시각디자인학과)학생 등을 비롯한 총 50여 명이 캐나다 위니펙대

학교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 베트남 한국현지 법인기업체(LG생활건강 등) 필리핀의 한국

대사관 등 4개 기관과 중국 코리나 교연이 주관한 기업체에서 글로벌 인터십을 실시하였다

제7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개최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공과대학생들이 자기 계발 및 자발적 홍보마인드를 갖추고 미래의 고용주

에게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전문적인 재능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

었다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공학계열 3middot4학년 재학생 30명의 포트폴리오를 제출받아 교내

외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최종 13개의 우수한 학생 포트폴리오를 선정하였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김지호(정보통신공학 3년)학생이 대상을 수상했고 금상에 박지은(전

파공학 4년) 조예원(생산가공공학 3년) 김문영(컴퓨터공학 4년) 은상에 홍미리(정보통신

공학 3년) 정양영(산업경영공학 4년) 김지혜(응용화학공학 2년) 동상에 조흥선(정보통신

공학 3년) 등 3명 오민영(산업경영공학 4년)등 3명이 장려상을 수상하여 상장 및 장학금

을 받았다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3

교류bull협력

미국 메릴랜드 Bio-Park

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11일 오전 11시 미국 메일랜드 로크빌(Rockville)에

위치하고 있는 USG Conference Center에서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바이오

파크와 생명과학 기술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이원묵 총장이 직접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를 방문하여 바이오

파크 단장 겸 메릴랜드대학교 부총장인 제임스 휴즈(Dr James Hughes)와 체

결하였는데 주요내용은 세종시 내 산학융복합지원센터 관련 국제 RampD센터

설립 투자 생명공학분야의 연구 및 개발 수익창출형(시장지향형) 생명과학

기술 사업화 인적자원 교류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등 사업에 대한 상호협력

이다

메릴랜드대학 바이오파크는 2003년 설립된 바이오 클러스터로 암 게놈 백신

혈관생물학 및 재생의료 등 각 분야에 12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메릴랜드 메

디컬 스쿨을 기반으로 초기단계 바이오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

다 현재 24개 다국적 연구소가 입주하여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과 함께

활발한 교류협력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이번 메릴랜드 바이오파크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대덕

캠퍼스에 있는 기술상용화센터와의 협력은 물론 앞으로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산학융복합 국제 RampD 센터와 연계하여 바이오분야 기술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rdquo이라고 말했다

InterchangebullCooperation교류middot협력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4

교류bull협력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현지시간 10월 9일 오전 9시 미국 아칸소(Arkansas)주립

대학교(총장 다니엘 하워드) 총장실에서 인적자원 및 학술분야 상호

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양 대학은 교수교류를 포함한 공동연구 학생연수 및 인턴십 추

진 등 학생교류 활성화 학술정보 교류 분야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

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중middot장기 교류를 목표로 교수 학생교류는

물론 폭넓은 분야의 실질적인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대학은 아칸소주립대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연구

원 및 교수교류 등 인적자원 교류를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

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아칸소주립대학교는 1909년도에 설립된 국립대학으로 250개

이상의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이다

미국 솔로몬 AGENCY와

MOU 체결

10월 19일 오후 5시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미국 솔로몬

AGENCY(대표 하용화)와 국제인턴십프로그램 운영을 위

한 상호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원묵 총장과 미국 솔로몬 AGENCY 하

용화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는데 협약내용

은 국제 인턴십 운영을 위한 참여학과 및 학생수와 선발

절차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앞으

로 우리 대학이 추진하는 다양한 해외 인턴십을 통한 해

외취업 활성화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로몬 AGENCY 하 대표는 제31대 뉴욕한인회 회장으로

1992년 미국에서 솔로몬 보험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한 재

미사업가로 미주 한인 2세들의 장학사업 정체성 교육 체

계적인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한 한인 지도자 양성에도 힘

쓰고 있으며 2002년 뛰어난 아시안 아메리칸 비즈니스

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5

교류bull협력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와

MOU 체결

우리 대학은 10월 24일 오후 2시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파키스탄 페샤

와르대학교와 인적자원교류 및 학술교류 등의 상호협력과 교류증진을 위한

국제 학술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서 이원묵 총장은 파키스탄 페샤와르대학교 키브라 아야즈(Qibla

Ayaz) 총장과 교원 교류 학생교류(교환학생) 학술정보 교류 분야 등에

대해 서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양 대학이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통해 국제교류 활성화의 기

반을 구축하고 교원middot학생 및 학술정보 교류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

여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rdquo고 말했다 한편 페샤와르대학교는 1950

년도에 설립한 대학으로 의과대학 등 10개 이상의 단과대학에 석middot박사과정

을 개설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명문 국립대학이다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6

교류bull협력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middot창업

비즈니스센터middot와토스코리아 간

산학협력 협약 체결

8월 29일 오후 4시 인천 원당동에 위치한 (주)와토스코리아 회의실에

서 우리 대학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사업단 양영석 단장과 (주)와토스

코리아 송공석 대표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향후 5년간 기술창업

자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화장실 설비기반 뿌리산업과 대덕특구의 첨단기술을 접목

시켜 관련기술 분야의 제품개발과 기술창업자 육성등 상호간 이익 증

진과 우호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되었다

이 협약내용에 따라 양 기관은 유량사업기회 도출 및 제공 대덕특

구기반 기술조사 및 기술자 연계 예비창업자 모집과 창업준비 훈련

시작(제)품 제작 관련 공간 설비 및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검증을

통과한 예비창업자에 대한 전략적 사업제휴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

양영석 단장은 ldquo창업교육기관과 기술선도기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의미에서 그 성과가 기대

된다rdquo고 말했다

(주)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는 1973년 7월에 lsquo남영공업사rsquo로 창업하여

2005년 11월에 코스닥 상장업체로 우리나라의 화장실용구 제조의 선

두기업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초청방문

이원묵 총장은 10월 29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하 lsquo행복청rsquo) 이재홍 청장을 초청하여 우리 대학이 추진

하여 온 산학협력 성과와 우수사례를 설명하고 세종시

의 자족기능 확충과 인프라 구축에 관한 의견을 나누

었다

이재홍 행복청장은 대덕특구에 위치한 우리 대학 대덕

산학융합캠퍼스의 각종 산학협력 관련시설을 둘러보

면서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인프라와 운영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날 우리 대학과 행복청은 앞으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방안에 대해서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우리 대학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5

월 17일 글로벌 융복합 컨소시엄 대학 설립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우리 대학은 현재 세종시에

국제RampD센터 차세대기술융합대학원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포함된 산학융복합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7

교류bull협력

행복청과

세종시 대학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우리 대학은 1월 29일 오후3시 정부세종청사 본관2층 대회의실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

설청과 세종시에 대학 설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리 대학과 행복도시건설청이 세종시에 국제협력을 통한 산학융합 RampD 모

델 구축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성과의 산업화 모델 구축 연구-교육과정 일체화를 통한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대학부지 내에 산학융합 국제 RampD센터 RampBD 사업화지원센터 차세대

융합기술대학원 등을 2017년 설립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며 행복청은 우리 대학의 설립

제안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학설립에 필요한 적정 부지를 확보하여 공급한다는 방

침이다 송복섭 기획홍보처장은 ldquo우리 대학 세종 산학융복합캠퍼스 설립이 성공적으로 추

진되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과 산학융합을 통한 연구결과의 사업화로 국가성장동력 창

출에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rdquo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세종산학융복합캠퍼스를 성공적으

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에 독일 마르틴루터(Martin Luther)대학 등 외국 4개 대학과 글로벌

융복합 컴소시엄대학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소 매릴

랜드 바이오파크와도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월에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와

국제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대학은 지난 1월11(금) 호주에서 울릉공대학교(총장 폴 웰링스

Paul Wellings)와 세종시에 울릉공대학교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

여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우리 대학이 외국의 명문대학과 국제대학원대학을 유치하여 운영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합의내용은 우리 대학이 세종시에 설립될 산학융합캠퍼스 부지 내

에 교지를 제공하고 울릉공대학교는 국제대학원대학을 설립하여

석middot박사과정을 개설한다는 것이다

국제대학원대학은 대덕특구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사업

화시키는 실용적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의 국제화 및 사업

화를 위한 연구인력 공급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세종시 국제대학원대학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산학융합캠퍼스에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와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를 각각

구축할 계획이다

lsquo국제 RampD센터rsquo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가 초빙되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는 기술사업화의 전초기지

로 첨단 융복합기술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와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lsquo국제RampD센터rsquo내에 울릉공대학교가 상업화 연구 및 기술사업화 분야에 대한 협력을 위하여 자체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울

릉공대학교의 우수기술과 선진사업화 기법이 접목될 경우 국제 공동사업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원묵 총장은 ldquo우리 대학 산학융합 캠퍼스는 세종시의 대학부지 지구에 약 5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lsquo국제 RampD센터rsquo

lsquoRampBD 사업화지원센터rsquo lsquo차세대융합기술대학원rsquo 및 lsquo게스트하우스rsquo 등을 갖추게 됨으로써 앞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국제도

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rdquo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 울릉공대학교는 2011년 세계 상위 2 연구대학에 선정되었고 호주 내에

서 상위 5위내 명문대학이며 초전도체 및 전자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는 대학이다

호주 울릉공대학과 세종시에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추진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8

교류bull협력

글로벌챌린저

프로그램

실시

국제교류원은 2013년 1월 31일부터 2013년 2월 8일까지 캄보디아 우동지역에서 글로벌

챌린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글로벌챌린저프로그램은 우리 대학 학생들이 해외문화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문화장

벽을 해소하고 도전정신 및 리더십을 함양한 전인적인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

해 마련되었다

연수단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과 생명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공업디자인학과 경

영학과 등 15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금까지 학습했던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온돌형 소각장

이동식 화덕 여주(고야) 건조기술 및 망고 건조 기술을 현지인들에게 전수하여 복지향상 및

수입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동 지역의 빈곤층 아이들을 위한 lsquo밥퍼프로그램rsquo에 참여하며 해당지역의 빈곤층 가

정 및 아이들과 의미 있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상민(생산가공학과 3년)학생은 ldquo캄보디아 우동 지역의 현지인들

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 현지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rdquo고 말했다

제2회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3일까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 지역에서

Global Engineering Project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외 빈곤계층에 필요한 적정기술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학계열 재학생 8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수까부미지역을 방문하여 4박 5

일 동안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낙후된 환경에

필요한 적정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8명의 학생들은 Water 분야와 Non Water 분야로 4명씩 2개조로

나누어 작품을 제작 중에 있다 오는 5월에 개최되는 lsquo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rsquo에 작품을 출품할 예정이다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39

한밭인

자작 자동차 동아리 ldquo미라클팀(지도교수 권병철)rdquo이 8월 22일

부터 24일까지 3일 동안 새만금 군산자동차경주장에서 개최된

2012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에서 Baja 내구성 부문 동상과 가속

부문 은상을 각각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는 국내대학 자동차

동아리 139여개팀이 참가하였고 우리 대학 미라클팀은 자동차

설계middot제작보고서 및 동적검사 가속성능 내구력 등 다양한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클 팀의 지도교수인 권병철(기계공학과)교수는 ldquo미라클팀이 각종

전국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실력있는 인재양

성을 위한 창의적 교육시스템에 의한 학생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의 결과rdquo라고 말했다

한편 미라클팀은 그동안 국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서 2004

년 종합 3위 2005년 종합 준우승 2010년 내구성상 2011년 종

합우승 2012년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바 있다

자작 자동차 동아리 「미라클」

2012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내구성

부문 동상 가속 부문 은상 수상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3x3x3 큐브 종목 한국 신기록 수립

HANBAT People한밭인

Baja 내구성 부문 동상 수상회장 구성모(기계설계 3) 김민경(기계설계 2) 이민찬(기계설계 4) 이종선(기계설계 4) 김경훈(기계설계 4)

가속부문 은상 수상박병욱(기계설계 4) 김규만(기계공학 3) 유태균(기계공학 3) 김선환(기계공학 1) 황인현(기계공학 1) 손정호(기계공학 1)

수상자(미라클)

글로벌융합학부 유병선 학생이 창의적 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3times3times3 큐브 종목에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10월 5일

홍콩에서 개최된 Rubikrsquos Cube Asian Championship 2012에 참

가하여 최소회전으로 맞추기 종목에서 34회전으로 한국 신기록

을 수립하면서 종목 아시아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7월에

는 한국에서 개최된 2011 한국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times3times

3 큐브 종목에서 평균 1113초로 한국 신기록 수립을 하면서 종

목 1위를 하였다 한편 유병선 학생은 CWR(Clus World Record)

의 리더로 큐브모임 개최와 한국 비공인 기록 인증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있다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40

한밭인

구본급 교수 「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

대전」 근정포장 수상

민병찬 교수 「2012 MBC한빛대상

(과학기술분야)」 수상

공과대학 구본급 교수(신소재공학과)가 중소기업청 주최 lsquo제1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rsquo에서 산학연유공자(교수) 부문 lsquo근정포장rsquo 표

창을 수상했다

구교수는 국내 산학협력RampD사업 추진과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

사업 추진 등 산학연협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에 근정포장을 수상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상식은 9월 5일(수) 오전 10시 서울 COEX 1층 Hall A에서 열렸다

구 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청 지정 중소기업산

학협력센터의 총괄책임자로 재임시 특허출원8건 등록3건 시제품

25건 생산현장애로기술개발 18건 박람회참가 12건 연구장비활

용 1561건 연구원취업 3건 중소기업교육 196명이수 대학생중소

기업현장연수체험 74개기업 및 29명의 학생을 참여시키는 등 산

학협력RampD사업 및 다각적인 중소기업지원사업을 활발히 운영하

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과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장(2008~2010)을 역임하면서 한middot

중middot일 3국의 국제교류협력 및 활성화를 위한 lsquo환황해 산학관 비즈

니스포럼rsquo을 2회 추진함으로써 산학협력의 글로벌화를 꾀하였고 7

년간의 대전지역 산학연성과와 정부의 관련사업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공과대학 민병찬 교수(산업경영공학과)가 10월 27일 대

전MBC와 한화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lsquo2012 MBC한

빛대상(과학기술 분야)rsquo 을 수상했다

이번 2012 MBC한빛대상(과학기술 분야)수상은 산middot

학middot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고부가가치의 미래원천 첨단기술개발 등으로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

아 수상하게 되었다

민 교수는 주식회사 태평양 이플립 화장품과 공동으로

허브식물의 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체영향에 대한 후각 데이터 베이

스를 구축하여 스트레스 경감용 에센스 복합향 인자를

추출해 제품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인간의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인간공학복지공학 분야 연구에 매진

하며 40여건에 달하는 특허등록과 340여편의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다

lsquo한빛대상rsquo은 한화그룹과 대전 MBC가 공동으로 주최되

는 행사로 2005년부터 대전충남지역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큰 개인이나 단체를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41

한밭인

64세 만학도 나란히 대학졸업장 품에

안아

경제학과 남기곤 교수 「제3회 학

현학술상」 수상

2월 22일 2012학년도 전기학위수여식에서 이순을 넘긴 만학도가

대학 졸업장을 받았다

화제의 주인공은 경영학사 학위를 받은 이동연씨(64여)와 박순자

씨(64여)인데 우리 대학은 이들에게 모범적인 대학생활로 후배들

의 귀감이 된 점을 인정하여 공로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노령에도 불구하고 정규 교과 수업은 물론 대학에서 실시

하는 취업캠프 자격증 취득 과정과 각종 특강 프로그램에도 빠지

지 않는 열정적인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동연 학우는 ldquo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열정이 노년을 건강

하고 아름답게 보내는 삶이라고 생각했다rdquo고 말하고 ldquo늦었다는 생

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배움에 당당히 도전하는 분

들이 많았으면 좋겠다rdquo고 만학의 소회를 밝혔다

경상대학 남기곤 교수(경제학과)가 2월 22일 서울 고려

대학교 정경관에서 (사)한국경제발전학회에서 수여하는

제3회 학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학현학술상은 경제학계의 대표적인 학자인 학현 변형윤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경제학 발전 공로를 기리고 한국

경제발전학회의 학회지인 「경제발전연구」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 2011년 제정되었다

남교수는 이번에 수상에 선정된 논문에서 서울 소재 대

학에 진학한 사람과 지방대학에 진학한 사람 사이에 노

동시장에서의 lsquo차별rsquo이 존재하는가 에 초점을 맞춰 수

능 성적을 통제하는 방식의 기존 연구 방법이 가지는 한

계를 비판하고 lsquo대학에의 근접성(college proximity)rsquo 도구

변수 방법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연 박순자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42

Development Fund발전기금

국립한밭대학교 대학발전기금 기탁 현황 기간 2012 8 1 ~ 2013 2 25

(가나다 순 단위원)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1 건축학과 교수 일동 3000000 132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학과) 제자사랑 장학금

2 계룡건설산업 1000000 5000000 회장 이시구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3 고려용접봉 2000000 18000000 대표 홍민철 고려장학회 장학금

4 구순환 210000 2370000 한밭대학교 직원(입학관리본부) 대학발전기금

5 권혁상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산학협력단) 대학발전기금

6 김명수 3000000 5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도시공학과) 도시공학과 김명수 장학금

7 김병수 1750000 5500000 한국수자원공사 토목공학과 장학금

8 김선희 70000 50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9 김영구 70000 880000 한밭대학교 조교(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0 김영우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11 김용철 400000 2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2 김은숙 140000 46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13 김응규 700000 6290000 한밭대학교 교수(정보통신공학과) 대학발전기금

14 김응규 210000 45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15 김인배 180000 2360000 한밭대학교 직원(교무처) 대학발전기금

16 김재만 5000000 49900000 승화건설산업 대표 토목공학과 장학금

17 김정순 4000000 4860000 문원미디어 대표 문원 장학금 영어과 장학금

18 김 호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19 나병환 1000000 1000000 협동조합금융학과 재학생 협동조합금융학과 발전기금

20 노황우 400000 4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21 류덕위 2000000 3145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제학과) 이코노드림(류덕위) 장학금

22 민명기 700000 3100000 도로교통공단 대전교통방송 김명수 장학금

23 박연옥 30000 200000 연지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24 박영준 100000 100000 한밭대학교 겸임교수(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25 박인수 70000 220000 신진기획 대표 대학발전기금

26 박종인 210000 3550000 한밭대학교 직원(평생교육원) 대학발전기금

27 삼성카드 3000000 3000000 대표 최치훈 대학발전기금

28 서동근(한경사모) 1000000 1000000 태평환경개발 회장 경제학과 발전기금

29 서용범 1000000 1000000 우진산전 기술본부 중앙연구소 기계설계공학과 장학금

30 설동후 30000 570000 창업경영대학원 동문 대학발전기금

31 송윤호 140000 76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32 신영순 180000 2940000 초롱꽃집 후원의 집 장학금

33 신용순 400000 265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34 안홍진 300000 3100000 (유)백제주류 대표 경제학과 발전기금

35 염동빈 70000 390000 한밭대학교 직원(학생처) 대학발전기금

36 염춘숙 210000 2040000 고향촌 후원의 집 장학금

37 오경자 250000 2400000 수통골참한우 후원의 집 장학금

38 오세은 4500000 283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39 유기봉 210000 3230000 한밭대학교 직원(사무국) 대학발전기금

40 유성관광 2400000 21600000 대표 강은모 유성컨트리클럽장학금

41 윤수중 180000 1130000 정플라워 후원의 집 장학금

42 윤여갑 300000 600000 탐라돌구이 후원의 집 장학금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43

번 호 기탁자 금 액 총누계액 기탁자 내역 지정처

43 윤용숙 200000 400000 수통골본가 후원의 집 장학금

44 이규명 350000 2450000 한밭대학교 직원(기획홍보처) 대학발전기금

45 이길주 50000 50000 한밭대학교 강사(건축학과) 건축학과 발전기금

46 이명철 100000 100000 남해아구찜 후원의 집 장학금

47 이봉호 210000 202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48 이상수 8000000 983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시공재료연구실

49 이수하 560000 3870000 한밭대학교 직원(도서관) 대학발전기금 도서구입기금

50 이용민 210000 69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1 이원묵 700000 26100000 한밭대학교 총장 대학발전기금

52 이준우 210000 20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53 이진영 100000 100000 수향면옥 후원의 집 장학금

54 이창희 300000 700000 해든터 후원의 집 장학금

55 이충곤 140000 164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56 일우선박 1000000 2000000 회장 서정권 대학발전기금

57 장철현 2000000 7500000 한밭대학교 교수(건설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장학금

58 전찬용 150000 750000 경동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김명수장학금

59 조경자 700000 13000000 일송정 후원의 집 장학금

60 조경호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61 조병선 2000000 4200000 한밭대학교 교수(설비공학과) 대학발전기금

62 조주행 210000 2540000 한밭대학교 직원(종합인력개발원) 대학발전기금

63 지성구 600000 37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64 국민은행유성지점 15000000 680500000 지점장 여양구 대학발전기금

65 남선기공 700000000 700000000 회장 손종현 교육기자재(현물)

66 뉴파워프라즈마 9794000 16633000 대표 최대규 제어계측공학과 장학금

67 대목건설 600000 24400000 대표 유영덕 한밭사랑 장학금

68 도원엔지니어링 1000000 4000000 대표 윤태권 외 2인 건축공학과 발전기금

69 엘엔 2000000 2000000 대표 이길영 생산가공공학과 장학금

70 티지엘 2000000 2000000 대표 김석규 경영학과 장학금

71 하나은행충청사업본부 10000000 23000000 대표 함영주 대학발전기금

72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1000000 9000000 대표 윤세한 건축학과 해안장학금

73 현대조경건설 10000000 10000000 대표 이근수 그린캠퍼스 조성 식수(현물)

74 지성구 400000 356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75 창업보육센터 10000000 5160000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장학금

76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10000000 10000000 한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24기 일동 대학발전기금

77 최병욱 700000 4500000 한밭대학교 교수(화학생명공학과) 대학발전기금

78 최재현 350000 450000 리엔차이 후원의 집 장학금

79 최종원 210000 240000 우미일식 후원의 집 장학금

80 최종인 210000 6240000 한밭대학교 교수(경영회계학과) 경영학과 발전기금

81 최한숙 180000 1440000 원조설악추어탕 후원의 집 장학금

82 케이티대전법인 1336000 11127000 대표 이석채 KT IT-Master 장학금

83 한국가스기술공사 1787220 5787220 대표 강기창 한국가스기술공사 온누리 장학금

84 한밭대학교 노동조합 2400000 19343000 한밭대학교 기성회 직원 일동 한밭사랑 장학금

85 행정발전협의회 250000 250000 한밭대학교 행정발전협의회 대학발전기금

86 허황회 210000 3060000 한밭대학교 교수(일본어과) 대학발전기금

87 홍미희 400000 1900000 한밭대학교 교수(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교육기자재 기금

88 황순홍 500000 500000 창업경영대학원 금융경제학과 재학생 금융경제학과 발전기금

89 KTampG상상펀드기금운영위원회 1000000 1000000 대표 김광근 학군단 운동기구(현물)

계 841567220 1964120220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

Creative 한밭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Creative 한밭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12 Winter 통권 제3middot4호 발행인 이원묵 발행처 한밭대학교 기획홍보처 305-719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전화 042-821-1403 팩스 042-821-1484 httpwwwhanba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