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64
1

Transcript of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Page 1: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

Page 2: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레오폴드와 제이 조지 스티클리 L. & J. G. Stickley

찰스 림버트 Charles Limbert

아담 호프 & 폴 외스터가르드 Adam Hoff & Poul Østegaaard

한스 베그너 Hans J. Wegner

닐스 몰러 Niels O. Moller

폴 헤닝센 Poul Henningsen

보르게 모겐센 Borge Mogensen

크리스티안 솔머 베델 Kristian Solmer Vedel

아르네 보더 Arne Vodder

아르네 야콥센 Arne Jacobsen

입 코포드 라르센 Ib Kofod Larsen

폴 키에르홀름 Poul Kjaerholm

핀 율 Finn Juhl

헨리 로젠그렌 한센 Henry Rosengren Hansen

올 벤셔 Ole Wanscher

피터 흐비트 Peter Hvitdt

아르네 호프만 올센 Arne Hovmand Olsen 헬게 베스테르가르드 옌슨 Helge Vestergaard Jensen

이 전시의 모든 가구와 조명 작품은 이일규님의

소장품이며, 함께 전시된 현대미술 작품은

경기도미술관 소장품입니다.

All furniture and lighting fixtures are from

Il Kyu Lee’s collection whereas works of

contemporary art on display are from

the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collection.

Page 3: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2012. 4. 3 - 6. 10

전시주최 경기도미술관

책임큐레이터 황록주

출품작 소장가 이일규

전시총괄 백기영(학예팀장)

전시지원 김현정, 김지희, 최기영

전시홍보 김종길(교육팀장), 여경환, 전지영

에듀케이터 최혜경

행정지원 백승원(행정팀장), 곽병길, 김충선, 채정민

디자이너 김태용

큐레이터 어시스턴트 김은미, 남별님

공간연출시공 경기종합공사 지영호

작품운송·설치 (주)코리아트, (주)선진아트

사인물제작·설치 B&B 디자인 김대유

영상설치 미지아트 박근수

영상제작 마즈커뮤니케이션 김재만

사진 최상현

번역 유수연 번역회사

편집인 경기도미술관장 최효준

발행인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엄기영

발행처 경기도미술관

발행일 2012. 8. 25

ⓒ2012 경기도미술관

본 도록은 2012년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_현대가구의 시작>

전시를 위해 경기도미술관이 발행하였습니다.

복 권에 실린 글과 도판은 경기도미술관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길 36

tel 031-481-7000

fax 031-481-7053

www.gmoma.org

2012 Gyeonggi MoMA Cross-genre Exhibition

Beauty of LinesBeginning of the Modern FurnitureApril, 3, 2012- June, 10, 2012

Exhibition Organized by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Curator in Charge Hwang Rock Joo

Collector of Artworks Il Kyu Lee

Exhibition in Charge Peik Ki Young(Chief Curator)Cuartorial Supports Kim Hyun Jeung, Kim Ji Hee, Choi Ki YoungCommunications Gim Jong Gil(Senior Manager, Education Team), Yeo Kyung Hwan, Jeon Ji Young Educator Choi Hye KyoungAdministrative Supports Seaingwon Paek(Senior Manager, Administrative Support Team), Kwak Byoung Kil, Kim Chung Seon, Chae Jung MinDesigner Kim Tae YongCuratorial Assistant Kim Eun Mee, Nam Byul Nim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Gyeonggi Total Interior Ji Young HoShipping and Installation KoreArt Service, Sunjin ArtPR Signs B&B Design Kim Dae YooVideo Installation Miji Art Park Keun Soo

Video Production MaaZ Communication, INC. Kim Jae ManPhotography Choi Sang HyunTranslation www.artntext.com

Editor Hyo-Joon Choi, Director of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Published Ohm Ki Young, President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Date of Publishing 2012.8.25 ©2012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This Catalogue is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2012 Gyeonggi MoMA Cross-genre exhibition Beauty of Lines,

Beginning of the Modern Furniture.

No part of this book may be reproduced or utilized in any form

or any means without permission of Gyeonggi MoMA.

All Rights Reserved.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36 Dongsan-gil, Danwon-gu, Ansan-city,

Gyeonggi-do, 425-866 Korea

T. 031-481-7000

F. 031-481-7053

www.gmoma.or.kr

sponsored by

Page 4: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

Greetings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presents <Beauty of Lines-Beginning of the Modern Furniture> in this Spring after such a long and cold winter. Beyond contemporary visual art but for giving the public more wide and various perspectives, the museum provide cross-genre exhibition showing practical artwork 'furniture' in our daily life and viewers will rediscover the beauty of it.

Gustav Stickly, US, through exhaustive master-craftsmanship focused on hand-made work, the most simple but fits in contemporary taste by Hans Wegner, Arne Jacobsen, Finn Juhl, Ib Kofod Larsen which are scandinavia born with 150 precious furnitures will be representing under the theme of 'straight line' and 'curve'. We expect you will indulge yourself with these condensed and implicative lines in the modern furniture in this exhibition.

Looking back upon the past, 100 years ago, we can identify their superior sense showing the beginning of modern furniture and our classic ones with light fixtures during the same period as well as some of the collection from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will be beautifully balanced. We hope you enjoy this special moment.

We specially thanks to Mr. Il-Kyu Lee , a collector abundantly provides his vast collection for this exhibition. In your space, your story of life and the beauty of lines with your memorable days are to be renewed when you visit the show which is presenting the essence of modern furniture embraced the fragrance of art.

Hyo-Joon Choi Director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Page 5: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

인사말씀

유난히 추웠던 겨울을 보내고 맞는 이 봄에 경기도미술관은

<선의 아름다움 - 현대 가구의 시작> 전시를 개최합니다. 미술

향수의 영역을 넓히고 다양한 시각문화의 성과를 소개하는

경기도미술관의 크로스장르전으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실용적인 예술작품 ‘가구’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수작업을 중시한 철저한 장인정신으로 생활 속의 예술을 실현한

미국의 대표적인 가구 디자이너 구스타프 스티클리Gustav

Stickly와, 가장 단순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에 맞는 가구를

만들어낸 한스 베그너Hans Wegner, 아르네 야콥센Arne

Jacobsen, 핀 율Finn Juhl, 입 코포드 라르센Ib Kofod Larsen 등

스칸디나비안 디자이너들의 명품 가구 150여점을 ‘직선’과

‘곡선’이라는 조형요소로 나누어 구성한 이번 전시를 통해,

이제는 우리의 일상 속에 자리잡은 현대 가구의 간결하고

함축적인 선의 아름다움을 만끽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미 100여 년 전에 현대 가구의 시작을 알린 이 디자이너들의

시대를 앞서 간 탁월한 감각을 확인하는 일과, 연대가 올라가는

우리 고가구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조명, 경기도미술관의

소장품들이, 전시된 가구와 이루어내는 절묘한 조화를 발견하는

일은 여러분께 특별한 즐거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 전시를 위하여 방대한 양의 귀한 수집품들을 선뜻

출품해주시고 많은 조언을 해주신 소장가 이일규님께 각별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일상의 삶 속에 예술의 향기를 한껏

배어들게 해준 현대 가구 디자인의 정수를 만나는 이 특별한

전시에 다녀가신 관람객 여러분의 공간에서도, 삶의 이야기와

선의 아름다움과 소중한 추억이 함께 어우러진 의미 있는 작은

역사가 새롭게 만들어지기를 소망해 봅니다.

경기도미술관장

최효준

Page 6: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6

The beautiful means the faithful to the basics

By Hwang Rock Joo Curator of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The beginning of modern furniture Misool (美術, fine arts) literally means a technique for reaching beauty. As the fine arts have become so diverse, we often wonder how to reach art, losing the path to it. As everyone has their own criteria for beauty we might ask, “What furniture is placed in your home?” and “What aesthetics and philosophy influenced your purchase of the furniture you have in your home?”

For many people art is associated with daily life: the exhibition Beauty of Lines - Beginning of the Modern Furniture addresses modern furniture as daily art. Most people use furniture today, but use of furniture was not generally allowed before modern times. Furniture has largely been used for storage and relaxation, often beyond ordinary people’s life: storage is usually for the disposal of surplus property, but commoners usually did not have surplus assets to sa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id all Westerners use beds? Of course not. Furniture for rest and life when taking a rest was not allowed continued for many years. In Korea, where sedentary lifestyle is pervasive, most people have long been unfamiliar with furniture such as beds and chairs. Except for some small items, furniture was for classes with surplus property and daily rest.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19th century nurtured a middles class, allowed them to use furniture, and offered new furniture production systems. The aesthetic sense their furniture had was different to the aristocratic, characterized by luxurious decoration. When art genres with modernist aesthetics struggled to return to their origin, modern furniture concentrated on basic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material. That is to say, modern furniture began with the completion of beauty with minimal elements.

Furniture, the arts of lines

The salient feature of modern furniture is in its lines. A piece of modern furniture is completed through exquisite arrangements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and gentle curves. The piece is not characterized by excessive engravings, icons, or symbols to signify power and status in previous furniture for a noble class. What remain are simple lines, materials, and functions. The exhibition explores historical contexts for modern future, and the meaning of exquisite lines. With this, the show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straight line’ and ‘curved line’, and starts with straight lines.

A straight line i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wo points with no bend or curve. It is a conceptual line inexistent in nature and a most succinct form with potential for infinite movement. This line is a departure point for all furniture and basic line expanding to all design arenas. The section for straight lines displays the original furniture of American designer Gustav Stickley who introduced to

Page 7: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7

아름답다는 것은

기본에 충실하다는 것

황록주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현대 가구의 시작

미술은, 말 그대로 아름다움에 이르는 기술이다.

오늘날의 미술이 워낙 다양한 경로로 물줄기를

내다보니 사람들은 정작 예술의 그 간단한 뜻을

잃고 그에 다다르는 길을 헤맨다. 물론 아름다움에

대해서는 저마다 다른 기준들이 있겠다. 그렇다면

이런 질문은 어떤가. 당신의 집에는 어떤 가구가 놓여

있는가. 그 어떤 아름다움에 관한 감각과 철학이 몸과

부딪으며 매일을 함께 하는 바로 그 가구를 당신의

집으로 불러 들였는가.

많은 사람들에게 미술은 바로 그러한 일상과

관련되어 있다. <선의 아름다움 - 현대 가구의

시작>은 일상의 미술, 그 중에서도 본격적인 현대

가구에 대한 이야기를 보여주는 전시이다. 오늘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는 가구는 사실 근대

이전까지만 해도 일반적으로는 허락되지 않는

영역이었다. 가구의 용도를 보면 크게 수납과 휴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두 가지 용도가 모두 일반인의

생활의 범주 너머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유는 이렇다.

먼저 ‘수납’은 보관하고 저장할 수 있는 잉여의 자산이

있어야 발생하는 일이다. 하지만 보통의 사람들에게

다음번에 쓰기 위해 일정기간을 두어야 할 물건이

제대로 있을 리 없었다. ‘휴식’은 어떠한가. 서양

사람들은 그 먼 옛날부터 모두 침대를 사용했을까?

당연히 그렇지 않다. 휴식을 위한 가구는 물론 휴식

자체가 허락되지 않는 삶이 오랜 세월 지속되었던

역사였다. 좌식 문화에 익숙한 우리나라에서 특히나

침대와 의자 같은 가구는 낯선 문화다. 소소한

소품들을 제외하면, 가구는 저장할 잉여의 자산이

있고, 일상적인 휴식이 허락된 계층에게나 접근

가능한 영역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정황 속에서 18세기에 시작된 산업혁명은

중산층을 성장시켰고, 그들에게 본격적으로 가구와

함께 하는 삶을 허락했으며, 새로운 가구 생산

시스템을 제공했다. 하지만 그들의 가구가 보여준

미감은 귀족계층이 호화롭게 장식에 장식을 덧붙이던

그것과는 확실히 달랐다. 모더니즘 미학의 세례를

받은 수많은 미술 분야들이 공통적으로 각자의

근원으로 돌아가고자 몸부림칠 무렵, 현대 가구

또한 가구가 갖고 있는 기본, 즉 가구의 가구로서의

기능과 그것을 만들기 위한 재료의 특성 자체에

몰두했다. 말하자면 그야말로 최소한의 요소들만으로

아름다움을 완성해내는 일, 그것이 바로 현대 가구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가구, 선의 예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현대 가구의 아름다움이란

뭐니뭐니해도 ‘선’이다. 수직, 수평의 직선과 완만한

곡선들이 더하고 덜할 것도 없이 배치되어 하나의

완성된 가구로 찬연히 모습을 드러낸다. 이들

가구에는 이전의 가구에 새겨진 과도한 조각이나

성상의 재현, 권력와 지위를 뽐내는 그 어떤 상징도

없다. 다만 간단한 선, 재료가 기능을 위해 달려가는

길 위에서 가감 없이 멈추어버린 지점까지의

흔적만이 담담하고 단호하게 남아 있을 뿐이다.

<선의 아름다움-현대 가구의 시작>은 바로 인류사의

여정에서 현대 가구가 차지하고 있는 역사적 맥락과,

그 지점에서 발견하게 된 아름다운 선의 의미들을

찾아보는 전시이다. 전시가 ‘직선’과 ‘곡선’ 두 영역으로

나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다.

전시는 먼저 직선의 영역으로부터 출발한다.

직선은 두 점 사이를 가장 짧게 연결하여 꺾이거나

굽은 데가 없는 곧은 선으로, 자연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개념적인 선이며 무한한 움직임의 가능성을 지닌

가장 간결한 형태이다. 그야말로 가구의 출발선이자

모든 디자인 영역으로 확장되는 기본적인 선이다.

Page 8: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8

the United States work of William Morris (1834-1896), a proponent of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that pursued design as a communal living movement based on handicraft and craftsmanship, and his workshop products showing the solid, simple beauty of straight lines. As Asian furniture manufactured in the similar period are exhibited together, Eastern and Western furniture sharing the same handicraft techniques and modern aesthetic senses can be compared. Relevant materials like the video of the catalog of Stickley’s furniture produced in the early 1900s are displayed together, offering a glimpse at cultural history 100 years ago.

It is nearly impossible to discuss modern design history without dealing with William Morris, English poet, painter, philosopher, and designer. In the days of rapidly emerging industrialized society, he never forgot the humans. The belief machines could not replace all, and that humans maintain their value in any condition, led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to embody art within life. Later, this movement spread throughout Europe and the Bauhaus, and its influence reached the United States, and continued into modern design today.

What’s interesting is furniture of straight lines represented by Stickley’s bears an obvious resemblance to traditional Korean furniture. When making furniture with the conventional material of wood, parts where boards meet poles are elaborately processed and linked by using techniques of connecting and interlocking, without materials like glue and nails. Gustav Stickley’s furniture is also made in such traditional ways. In his furniture joints are not processed smoothly,

and bumps remain unprocessed, considered as a modeling element. He demonstrates natural geometric beauty by using techniques of ‘tessellation’ creating a two-dimensional plane by linking the sides of upper wooden plates and ‘butterfly linking’ interlocking two boards through the butterfly-shape holes. As these techniques are found in modern Korean furniture on display, we envisage ideas here share the same root with Western furniture. The section for curved lines introducing ‘Scandinavian design’ that embodied the core aesthetic logic of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as design in life show modern, refined, ad suggestive beauty through diverse furniture by Hans Wegner, Arne Jacobsen, and Finn Juhl. Their works indicate simple furniture with a modern flavor we use in daily life today was already completed in part 50 years ago. In this section viewers may experience furniture design as the aesthetics practiced in life and the arts permeated life. Furniture made of wood is basically formed with straight lines, but at times ornamental curvilinear forms accord with elaborate handmade parts. After World War II however, new curved lines were used for furniture, made possible with the discovery of new furniture materials. Some furniture by Hans Wegner who modernized motifs from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s was inspired by Vincent van Gogh’s chair. This was made by coiling paper string, instead of straw mat, and changed our notion of basic furniture materials, such as wood, leather, and cloth. Chairs designed by niels Moller and Borge Mogensen on show can be reviewed in this context.

Furniture design with new curves also came with a breakthrough in metal processing technology. Arne Jacobsen’s Swan Chairs and

Page 9: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9

직선의 전시 공간은 수공업과 장인정신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적 생활 운동으로서의 디자인을 추구했던

‘예술 공예 운동Art and Craft Movement’과 이를

주도했던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1834-1896를

미국에 소개하고, 이들의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수공의

아름다움을 창조해낸 미국의 디자이너 구스타프

스티클리Gustav Stickly의 1900년대 초반의 오리지널

가구들을 비롯, 스티클리 가구 공방에서 제작된

대표적인 가구들이 보여주는 단단하면서도 간결한

직선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섹션으로,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동양의 가구들이 함께 전시되어

모서리의 ‘짜임’과 판의 ‘이음’을 만들어내는 수공적

기법과 모던한 미감을 공유하고 있는 동서양의

가구를 비교해볼 수 있다. 1900년대 초반에 만들어진

스티클리 가구의 카탈로그 영상을 비롯, 100여년전의

문화사를 살펴볼 수 있는 관련 자료도 함께 전시된다.

사실 영국의 시인이며, 화가이자, 사상가면서

또한 디자이너였던 윌리엄 모리스를 제외하고는

현대 디자인사를 논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일

것이다. 가속도가 붙은 산업화 사회를 역사상

처음으로 경험하던 시절, 윌리엄 모리스는 그

또한 인간이 하는 일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았다.

기계가 모든 것을 대신할 수 없으며, 인간은 그

어떤 조건에서도 그들만의 가치를 지닐 것이라는

믿음은 삶 속에서 예술을 구현하고자 했던 예술

공예 운동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후 유럽 전역은

물론 대서양을 건너 미국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바우하우스Bauhaus를 거쳐서 오늘날의 현대

디자인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스티클리로 대변되는 직선의

가구와 우리나라의 전통 가구가 서로 쌍생아처럼

닮아 있다는 점이다. 전통적으로 나무를 재료로 하는

가구를 만들 때 나무 부재끼리 만나는 부분이나

판자와 기둥이 만나는 부분들은 접착제나 못 같은

제3의 재료를 쓰지 않고 부재들간의 짜임이나 이음

기법만으로 정교하게 가공된다. 구스타프 스티클리가

만든 가구들 또한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을 따르고

있는데, 특히 이음매를 이루는 부재를 매끈하게

깎아내지 않고 원래의 모습대로 돌출시켜 그 마저도

하나의 조형요소로 만들어냈다. 탁자의 상판을

이루는 판들을 평평하게 이어붙이는 데에도 판자

옆면을 서로 이어붙이는 ‘쪽매’나 판자 사이를

나비모양으로 뚫고 그 모양대로 다른 나무판을 넣는

‘나비이음’을 사용하여 자연스러우면서도 기하학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기법들은 이번

전시에 출품된 우리나라의 근대 가구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재료를 다루는 사람들의

생각이 가닿는 지점이 동일함을 알 수 있게 한다.

전시를 이루는 두 번째 축인 곡선의 가구 영역은

예술 공예 운동의 핵심적인 미학적 논지를 생활

속의 디자인으로 구현해낸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만나는 섹션으로, 한스 베그너Hans Wegner, 아르네

야콥센Arne Jacobsen, 핀 율Finn Juhl 등의 다양한

가구 작품을 통해 현대적이고 세련되며 함축적인

아름다움을 가진 곡선을 만나볼 수 있다. 자연을

모티프로 하는 이들 작품들은 오늘날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순하면서도 현대 생활에

적합한 미감을 갖춘 가구들이 디자이너들의 사려

깊은 감각을 통해 이미 50여 년 전에 많은 부분

완성되었다는 것을 실감하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미학, 삶 속에 스며든 예술로서의 가구 디자인을

경험하게 한다.

전통적으로 나무를 재료로 만들어졌던 가구는

대체로 직선의 조형을 기본으로 하지만, 정교한

수공 조각들이 어우러진 장식적인 곡선의 형태도

보여주었다. 그러나 양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는,

나무 조각뿐 아니라 기존에는 생각할 수 없던 형태의

곡선들이 가구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무엇보다도 새로운 가구 재료의 발견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동서양의 전통에서 가구의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현대화한 한스 베그너의 가구 중에는

고흐의 의자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들이 있는데,

밀짚 방석 대신 종이 노끈을 감아 만든 이 의자의

등장은 나무와 가죽, 천으로만 일관하던 가구의

기본 재료에 혁신적인 사건이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닐스 몰러Niels Moller와 보르게 모겐센Borge

Mogensen의 의자들도 이러한 맥락에서 함께 살펴볼

Page 10: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0

Egg Chairs were made by covering steel frames with cloth or leather. Such technological development enabled numerous works by prodigy designers to creatively alter physical conditions. Bent plywood has become a significant material in the history of furniture material. Plywood bent through chemical and heat treatment has been an important material that made possible mass-production of cheap, quality design furniture. The beautiful curves of bent plywood are in Ib Kofod Larsen’s pieces on display.

Works made of curved lines are commonly called Scandinavian design. Danish, Swedish, Finnish, and Norwegians usually spend lots of time indoors due to cold weather and so consider the house a critical element in their lives. They have sought the modeling beauty of curvilinear form, for a warm, cozy, comfortable space rather than straight lines. In Scandinavia, with abundant forest resources and popular handmade wooden furniture, wood was mainly used rather than metal due to the long winter season. Whereas furniture for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appeared luxurious and bombastic, furniture of Scandinavian design is largely made for the general public. Design considering humanity and the environment, for comfortable interior space and practicality, with durability without redundancy is ‘art with function’. The concept of Scandinavian design derived from exhibitions at 23 ar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over three years under the title Design in Scandinavia. Designs among Denmark, Sweden, Finland, and Norway differ slightly but share aesthetics and an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humanity. For 25 years after World War II, the golden era of Scandinavian design, the four countries developed a design philosophy

and created numerous designers and design icons, at the center of 20th century design history. Scandinavian designers produced lots of furniture varying in form, underlining long straight lines, and reflecting shapes from the body and nature. They above all presented furniture that appears as an abstract mass but balanced, succinct, pure, asymmetric, and free-flowing, offering comfort.

Beauty faithful to the basics As with all art forms, furniture encapsulates traces and narratives of human life. There is nothing insignificant in the future, including ways of existence depending on changes of the times and trivial events. Human fabrication of something beyond nature and objects will continue beyond our age. This tendency is often discovered in daily space. What may be invariable is keeping the basics as a shortcut to beauty. What designers have attained over the last 100 years is the optimal use of materials for function, proportion and size appropriately reflecting a user’s physical conditions, and the natural elemental beauty of lines.

Page 11: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1

수 있는 작품들이다. 또한 금속 가공기술의 획기적인

발달 역시 새로운 곡선의 가구를 만들어낸다. 아르네

야콥센의 <달걀 의자>, <백조 의자>와 같은 작품들은

금속을 성형하여 만든 틀을 기본으로 그 표면을

천이나 가죽으로 씌워 만들어내는데, 이러한 기술의

발달은 물질적인 조건들을 창의적으로 변화시키는

천재적인 디자이너들의 많은 작품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 외에도 가구재료사에서 중요한 맥락으로

논의되어야 하는 것은 성형 합판이다. 얇은 나무판을

여러 겹 붙여 만든 합판을 약품과 열처리를 통해

자연스럽게 휘어내는 기술로 만들어지는 성형 합판인

벤딩 플라이우드는 저렴한 가격에 높은 수준의 디자인

가구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해준 중요한 재료의

변화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입 코포드 라르센Ib Kofod

Larsen의 작품에서 아름다운 성형 합판의 곡선을

살펴볼 수 있다.

곡선의 섹션을 이루고 있는 작품들은 대체로

스칸디나비안 디자인Scandinavian Design으로

통칭된다. 스칸디나비안으로 묶이는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사람들에게 집은 추운 기후로 인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된다. 포근하고 안락한 공간을 위해 직선보다는

따뜻한 느낌을 주는 곡선적인 형태의 조형미를

추구하였다. 특히 이 지역은 풍부한 산림자원과

뒤늦은 산업화로 인해 수공 목재 가구 생산이

활발했고, 겨울이 길기 때문에 금속보다는 목재가

주재료로 사용되었다. 이전의 가구가 왕족과 귀족을

위한 화려하고 과장된 것이었다면 이들 가구는

본격적으로 일반인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안락한

실내 공간을 위한 인간과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내구성을 갖춘 실용적인

디자인을 추구했던 이들 지역의 디자인은 기능을

겸비한 예술의 경지로 불리고 있다.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이라는 개념은 1954년

‘‘Design in Scandinavia’라는 타이틀로 3년여에

걸쳐 미국과 캐나다의 23개 미술관에서 개최된

전시회에서 비롯되었다. 이들 4개국은 본질적으로는

조금씩 다르지만 환경과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한

동일한 미학을 추구하여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으로

불린다. 2차 대전 후 25년 동안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의 황금기라 불리는 시기 동안 이들 4개 국가는

디자인 철학을 발전시키고 수많은 디자이너와 디자인

아이콘을 배출시키며 20세기 디자인사의 중심부에

놓이게 된다. 이들 스칸디나비안 디자이너들은 인체나

자연의 형태를 반영하는 디자인과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기술의 발달로 긴 곡선을 강조하는 형태의

가구를 많이 만들었으며, 추상적인 덩어리와 균형미,

간결하고 순수하며 비대칭적이면서 자유로우나

그 어떤 가구보다도 인체에 편안함을 주는 가구를

선보였다.

기본에 충실한 아름다움

모든 예술이 그러하듯, 가구 역시 인간이 살아온

흔적과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른

가구의 존재 방식은 물론,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사로운 사건들까지 무엇 하나 예사로 볼 것이 없는

것이다.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무엇인가를 만들고

그 대상을 통해 사물 너머의 것에 다다르고자 하는

인간의 활동은 우리가 공유한 시대를 넘어서도 지속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일상적인 공간 속에서도 빈번히

발견할 수 있는 일이다. 더군다나 그 부단한 과정

속에서 변치 않으리라 짐작할 수 있는 것은 기본적인

것을 충실히 잘 지켜내는 일이 결국 아름다움으로

가는 첩경이라는 사실이다. 쓰임새에 적확한

재료의 사용과 사용자의 물리적 조건들을 적확하게

반영해내는 비례와 규모, 그리고 그것이 자연스럽게

이어져 완성되는 선의 아름다움은 지난 100여년의

역사를 통해 많은 디자이너들이 고심 끝에 세상에

드러나게 해준 선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Page 12: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2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안락의자 Arm Chair 75×97×64cm

397발받침 397 Stool 50×40×30cm

Page 13: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3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안락의자 Arm Chair 66×74×73.5cm

808의자 808 Chair 45×93×45cm

흔들의자 Arm Rocker 70×11.5×75cm 1907

왼쪽부터

Page 14: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4

레오폴드와 제이 조지 스티클리 L. & J. G. Stickley 책꽂이 Bookcase 101.5×220×30cm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책상 Desk 136×77×136cm

사무용 의자 Office Chair 65×95×50cm

Page 15: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5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의자 Window Seat 60.5×67×47cm

긴 의자 Settle 191.5×72×80cm

책상 Desk 107×74×61cm

왼쪽부터

Page 16: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6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탁자 Table 122×76×76cm 1904

우산꽂이 Umbrella Stand 73.6×53.3×30.4cm 1907

둥근 탁자 Round Table 98×98×76cm 1904

서재용 탁자 Library Table 60.5×61.5×59.5cm 1912

레오폴드와 제이 조지 스티클리 L. & J. G. Stickley 서재용 탁자 library Table 107×74×70.7cm 1912

왼쪽부터

Page 17: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7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등받이 조절 의자 Adjustable Back Chair 77×98×92.5cm 1904

Page 18: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8

Gustav Stickley 1858-1942 AmericaGustav Stickley introduced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led by English designer William Morris to the United States, spearheading its public expansion. He founded the Craftsman workshop, and The Craftsman magazine, and distributed furniture to the public, opening a new chapter in design history. Before Stickley produced furniture in his workshop, furniture was considered a luxury item. The emergence of his furniture with simple, practical lines, solidly made by craftsmen was epochal to everyday public life. The Craftsman, magazine he published to lead and publicize craft culture was a product of his efforts. His furniture is still produced and sold in their original form. He is a figure who had a major effect on modern American design and decorative art.

구스타프 스티클리

1858-1942 영국

구스타프 스티클리는 영국의 윌리엄 모리스가

주도했던 아트 앤 크래프트 운동을 미국에 소개하고

이를 대중적으로 이끌었던 인물로, 크래프트맨 공방을

설립하고 이곳에서 만든 가구를 일반에 보급하면서

디자인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그가 공방에서

가구를 만들어내기 전까지만 해도 가구는 일반

대중에게 그저 사치품으로 인식되었으나, 단순하고

실용적인 선과 장인들의 손이 빚어낸 견고함을 갖춘

스티클리 가구의 등장은 대중적 일상의 풍경을 바꾼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공예문화를 선도하고

대중적으로 알리기 위해 출판했던 잡지 <크래프트맨>

또한 그의 노력이 담긴 산물이다. 그의 가구는

현재까지도 원형을 간직한 채 제작,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선구적 활동을 통해 구스타프 스티클리는 근대

이후 미국의 디자인과 장식예술에 가장 광범위한

영향을 준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Page 19: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19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탁자 Table 213×76×106cm

식탁의자 Dining Chair 46.5×95×44cm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식탁용 카트 Serving Cart 101(~172)×77×54.5cm

벽 뒤쪽

Page 20: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0

레오폴드와 제이 조지 스티클리 L. & J. G. Stickley 책장 Bookcase 137×135×34cm

오른쪽 끝에서 두 번째

구스타프 스티클리 Gustav Stickley 찬장 Sideboard 179.5×101×59.5cm

왼쪽 끝

Page 21: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1

Page 22: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2

작가 미상 Anonymous 벽걸이 화장품 수납장 Hanging Cosmetic Closet 60×55.5×18cm

Page 23: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3

아담 호프 & 폴 외스터가르드 Adam Hoff & Poul Østegaaard 코트걸이 Coatrack 56×28×29cm 1964

Page 24: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4

작가 미상 Anonymous 담배 수납장 Tabacco Closet 45×100×30.5cm

Page 25: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5

작가 미상 Anonymous 화장품 수납장 Cosmetic Closet 61×107.5×39cm

Page 26: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6

찰스 림버트 Charles Limbert 림버트의자 Limbert Chair 65.6×85×55cm

림버트탁자 Limbert Side Table 41×46.5×41cm

Page 27: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7

작가 미상 Anonymous 네스팅 탁자 Nesting Tables 56.5×49.5×35cm

Page 28: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8

조선시대, 작가 미상 Anonymous in Chosun Dynasty 책탁 Bookcase 123×177×52cm

살대 의걸이장 Closet 109×182×53cm

사방탁자 Mixed-use Console 36.5×146.8×35.5cm (재현품 replica)

왼쪽부터

Page 29: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29

조선시대, 작가 미상 Anonymous in Chosun Dynasty 찬장 Sideboard 184×131×67cm

Page 30: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0

조선시대, 작가 미상 Anonymous in Chosun Dynasty 약함 Medicine Sideboard 76×62×25.5cm

서안 Desk 196.5×134.5×29cm

약함 Medicine Sideboard 110×134×26cm

왼쪽부터

Page 31: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1

Page 32: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2

한스 베그너 Hans J. Wegner 황소의자 Ox Chair 90×110×106cm 1960

황소의자 발받침 Ox Chair Stool 45×60×35cm 1960

곰의자 Bear Chair 98×90×70cm 1954

32

Page 33: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3

닐스 몰러 Niels O. Moller 62번 모델 의자 Model 62 Chair 45.7×82×42cm 1962

한스 베그너 Hans J. Wegner 회의용 탁자 Conference Table 318.5×72.5×199cm

폴 헤닝센 Poul Henningsen PH5조명 PH 5 1958

Page 34: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4

보르게 모겐센

1914-1972 덴마크

가구 제작자의 아들로 태어나 덴마크 미술조형학교와

로얄 미술아카데미에서 공부하고 가구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덴마크 디자인을 세계에 알린 디자이너

중 한 명으로 사용자의 생활에 가장 잘 맞는 가구의

규격을 만들기 위한 많은 연구 끝에 캐비넷 사이즈의

표준화를 완성했다. 강하고 단순한 선을 특징적으로

사용하였고, 밝은 색의 참나무oak 소재를 즐겨 썼다.

<M6288 식탁>은 테이블 안으로 사람의 다리가

놓이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중심부에 모으고 다리받침을 길게 뻗는 형태의

디자인을 통해 독특한 선의 조형미를 이루어냈다.

Borge Mogensen 1914-1972 Denmark Son of a furniture maker, Borge Mogensen studied furniture design at the Danish School of Arts and Crafts and 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He is a designer who exposed Danish design to the world. After studying to set a user-friendly standard of furniture, Mogensen completed the standardization of cabinet sizes. He used solid, simple lines, often using bright-colored oak. In M 6288 Table he designed the leg to be central for sitter comfort, completing a beauty of form in line.

폴 헤닝센

1894-1967 덴마크

건축가이자 조명 디자이너, 작가 및 저널리스트로도

활동했던 폴 헤닝센은 전통적인 조명이 자신의

건축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전등이 주거환경이나

작업환경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를 비롯, 우리의

삶에서 빛의 중요성을 연구하는 데 거의 모든 일생을

바쳤다. 근대 조명 디자인의 아버지로 불리는 그는

다년간의 연구 결과 빛의 광원이 사람들의 눈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하면서도 조명기구의 반사판이

효율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빛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수많은 ‘PH 시리즈’ 조명 디자인을 남겼다.

이번 전시에 소개된 <PH 5>는 1926년에 만들어진

헤닝센의 대표적인 조명으로, 3개 층의 쉐이드가 각각

위 아래로 빛을 반사시켜 은은하면서도 효율적인 빛의

전달이 가능하게 디자인하였다. 엉겅퀴과의 다년초인

‘아티초크’의 꽃봉오리 모양을 닮은 <PH 아티초크>는

12개의 반원형 뻐대에 6개씩의 잎을 달아 총 72개의

쉐이드로 이루어져 있는 헤닝센 최고의 걸작으로,

100여개의 부품을 25명의 숙련공이 조립하여 만든다.

Poul Henningsen 1894-1967 DenmarkDanish architect, lighting designer, artist, and journalist, Poul Henningsen has devoted his life to studying the importance of light in our lives, including how light-lamps can improve resident and working environments, as traditional lighting is not adequate to his architecture. Often called the father of modern lighting fi xture design, he invented PH 5 lamp series designs in which a lighting fi xture’s refl ecting plate enables an effective diffusion of light. PH 5 is a typical light fi xture design designed to make possible ambient, effective lighting with three-story shades refl ecting light up and down. PH Artichoke, resembling a bud of a globe artichoke, perennial thistle of the genus Cynara, a masterpiece composed of 72 shades on 12 semicircle frames with six leaves each. This light fi xture is produced with 100 parts assembled by 25 skilled workers.

Page 35: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5

보르게 모겐센 Borge Mogensen 식탁 Dining Table 97.5×70×97.5cm 1960

J39의자 J39 Chair 48.5×75×44cm 1947

폴 헤닝센 Poul Henningsen PH아티초크조명 PH Artichoke 1958

35

Page 36: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6

한스 베그너

1914-2007 덴마크

스칸디나비안을 대표하는 가구 디자이너인 한스

베그너는 특히 의자 디자인에 관심을 많이 기울였다.

기능은 물론 연령과 성별, 환경적인 요소들을 모두

충족시켜야 하는, 인체와 가장 가까운 가구이자

바로 그러한 이유로 가장 만들이기 어려운 가구인

의자 디자인의 영역에서 독보적인 디자이너라 할 수

있다. 1,000여 개가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긴 한스

베그너는 과도한 장식을 배제하고 기본적 기능을

강조한 미니멀리즘 디자인의 원형을 만들어내었으며,

장인정신을 존중하는 과거의 도제식 수공예 전통과,

기계문명과 대량생산의 시대를 상징하는 산업디자인

사이를 종횡무진 오가며 동 서양의 전통을 재발견하는

독특한 작품들을 통해 오늘날 전세계인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가구 디자이너로 기억되고 있다.

Hans Wegner1914-2007 Denmark Hans Wegner, leading Scandinavian furniture designer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chair design. He is unrivaled in this area of furniture that has to accommodate many conditions including age, sex, and environmental elements, is closest to the body, and is always difficult to design and make. Creating more than 1,000 works, Wegner produced the archetype of minimalism design, excluding excessive decoration and underlining basic function. He is remembered as a most favorable designer with unique work rediscovering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s, crossing boundaries between the apprentice system of the handicraft tradition respecting workmanship, and the industrial design of mass production in our mechanical civilization.

Page 37: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7

한스 베그너 Hans J. Wegner 식탁 Table 240×72×85.5cm

암소뿔의자 Cow Horn Chair 55×77×38cm 1952

Page 38: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8

한스 베그너 Hans J. Wegner 613의자 613 Chair 60×85×43cm 1960

Page 39: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39

한스 베그너 Hans J. Wegner 713의자 713 Chair 68×90×43cm 1960

Page 40: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0

한스 베그너 Hans J. Wegner 톱 작업대 모양 의자 Sawbench Chair 74×77×56cm 1951

Page 41: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1

한스 베그너 Hans J. Wegner CH36의자 CH 36 Chair 45×75×39cm 1962

Page 42: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2

아르네 야콥센 Arne Jacobsen 백조의자 Swan Chair 141×75×46cm 1957

백조의자 Swan Chair 74×76×48cm 1957

Page 43: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3

Page 44: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4

아르네 야콥센

1902-1971 덴마크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출생한 이 디자인계의 거장은

코펜하겐 미술 아카데미 건축과를 졸업하고 2차 대전

이후부터 다양한 건축 작업을 선보이며 덴마크를

대표하는 건축가로 성장하였다. 특히 아르네 야콥센은

본인이 설계한 건물에 쓰일 가구를 직접 디자인하여,

가구를 공간을 구성하는 일부로 완벽히 인식했다.

새로운 소재를 사용하는 데 주저함이 없었던

그는 조명이나 욕실 수전, 문고리와 식기에 이르는

다양한 디자인을 통해 건축물의 통합 프로젝트를

확장시켜나갔다.

백조 의자와 달걀 의자는 아르네 야콥센이 설계한

로열 호텔The SASS Royal Hotel, 1956-1961 로비와

라운지에 사용하기 위해 1958년에 만들어졌다.

작품의 이름처럼 자연의 형상에서 모티프를 가져와

직선을 과감히 없애고 오로지 곡선으로만 만들어진 이

의자들은 유연한 조각같은 선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이 의자들은 알미늄 재질의 회전의자용 받침대 위에

유기적으로 성형된 틀을 얹고 여러 종류의 가죽과

천으로 덧씌우는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아르네

야콥센이 이러한 신소재를 사용한 의자들을 만들어낸

이후 전통적으로 나무를 사용한 가구에 익숙했던

덴마크에서도 점차 새로운 재료의 가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의 창의적이면서도 아름다운 디자인은 많은

사람들에게 특별한 영감을 불러 일으켰다.

Arne Jacobsen1902-1971 Denmark Born in Copenhagen, Denmark, design master Arne Jacobsen graduated from the Architecture School at 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After World War Two he presented diverse architectural designs to become a representative architect of Denmark. He designed furniture to be used for the buildings he designed, recognizing furniture as part of architectural space: often employing new materials, Jacobsen created diverse designs for lighting fixtures, faucets, door handles, and tableware. His Swan and Egg Chairs were made for the lobby and lounge of the SASS Royal Hotel (1956-1961) he designed. Inspired by nature, the chairs are composed only with curves - no straight lines - demonstrate the beauty of flexible lines. The chairs are made with organically modeled frames on aluminum seats covered with leather and cloth. Using various new materials, Jacobsen encouraged Danes accustomed to wooden furniture to become interested in new forms of furniture. His creative, beautiful designs inspired many people.

Page 45: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5

아르네 야콥센 Arne Jacobsen 계란의자 Egg Chair 87×101×44cm 1958

계란의자발받침 Egg Chair Stool 52×35×36cm 1958

Page 46: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6

입 코포드 라르센

1921-2003 덴마크

덴마크의 가구 디자이너인 입 코포드 라르센은 왕립

아카데미를 졸업한 후 가구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여러 회사와 협업을 진행했다. 그는 1950년대와

60년대를 거쳐 덴마크는 물론 스웨덴 시장에서도

여러 가구를 통해 인지도를 넓혔지만, 현업으로

활동했던 당시보다도 반 세기가 지난 오늘날 더욱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군더더기 없이 날렵한 곡선으로

마감된 그의 작품들은 고전적인 목재와 가죽은 물론

플라이우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폭의 재료에 걸쳐 그

우아한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전시된 작품

중 1956년에 제작된 <엘리자베스 의자>는 1958년

덴마크를 방문한 영국 여왕이 이 의자를 구입하면서

유명세를 탔고, 급기야 ‘엘리자베스’라는 별칭을 갖게

된 일화가 전해진다.

Ib Kofod Larsen 1921-2003 Denmark Danish furniture designer Ib Kofod Larsen collaborated with many firms in his furniture design after graduating from the Royal Academy of Fine Arts in Copenhagen. In the 1950s and 1960s his furniture design was widely known in the Danish and Swedish market, and his designs remain widely favored. His works with agile curves without superfluity bring about elegant beauty irrespective of the materials used, such as wood, leather, or plywood. One piece on display is the Elizabeth Chair manufactured in 1956 and named as such after Queen Elizabeth purchased one during her official visit to Denmark in 1958.

Page 47: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7

입 코포드 라르센 Ib Kofod Larsen 엘리자베스의자 Elisabeth Chair 71×78×72cm 1956

엘리자베스의자발받침 Elisabeth Chair Stool 55×35×43cm 1956

Page 48: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8

입 코포드 라르센 Ib Kofod Larsen 조가비의자 Shell Chair 121.5×86×43cm

조가비의자 Shell Chair 59×74×50cm

Page 49: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49

Page 50: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0

폴 키에르홀름

1929-1980 덴마크

덴마크 예술공예학교에서 전통적인 제작술을

배웠으나 철재와 캔버스, 가죽, 로프 등을 결합한

작품들을 기계생산으로 선보였다.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데 가장 적합한 형태의 간결한 기능주의

스타일을 구현하며 구조적인 명확함과 기술적 품질이

뛰어난 가구를 만들었으며, 특히 철재를 사용한

유려한 선의 구현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폴 키에르홀름의 디자인 아이콘으로 일컬어지는

<PK22 의자>는 좌석과 등받이를 하나로 만들고

다리와 연결 부품만을 가지고 의자의 요소를

단순화시켜 유연한 선을 구현해냈다.

Poul Kjaerholm1929-1980 Denmark Poul Kjaerholm learned traditional furniture making at the Danish School of Arts and Crafts, but later produced works combining steel, leather, canvas, and rope. He made furniture with a structural articulation and superb technical quality, embodying a functional style and form. In PK22 Chair, known as Kjaerholm’s design icon, he used flexible lines through a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chair and the use of only legs and linking parts, making the seat and backrest one.

Page 51: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1

폴 키에르홀름 Poul Kjaerholm PK22의자 PK22 Chair 58.5×75×58cm 1955

Page 52: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2

핀 율 Finn Juhl 의자 Side Chair 82×73×54cm

쟁반탁자 Tray Table 84×78×45cm 1958

난롯가에 두는 의자 Fireplace Chair 64×80×50cm 1945

작가 미상 Anonymous탁자 Tray Table 75×55.5×50cm

핀 율 Finn Juhl쟁반탁자 Tray Table 110×55×50cm 1958

왼쪽부터

Page 53: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3

Page 54: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4

핀 율

1912-1989 덴마크

덴마크 디자인의 아버지로 불리는 건축가이자

디자이너로, 가구를 조각의 반열에 올려놓은 작가로

평가받는다. 천연자원도 없이 산업의 중심에 농업이

자리잡고 있던 덴마크는 핀 율을 비롯한 디자이너들의

국제적인 성장에 따라 디자인 산업을 국책사업으로

진행했고, 이 과정에서 핀 율은 오늘날까지도

전세계인에게 사랑받는 ‘덴마크 디자인’ 브랜드의

개념틀을 확립하여 1960년대 이래 덴마크 가구 수출

증대에 지대하게 기여하였다.

인간의 신체와 사용처에 따른 기능을 충실히 연구한

그의 가구들은 디자인과 기능이 완벽히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핀 율이 디자인한 테이블은 거의

대부분 가장자리에 얕은 벽이 세워져 있는데, 이는

물건이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려임과

동시에 유려한 아름다움을 전해준다.

가구와 함께 전시한 스케치는 핀 율은 자신이

디자인하는 가구마다 직접 그린 것인데, 애정이 듬뿍

담긴 이 그림 속에는 세심하고도 배려 깊은 가구에

대한 태도가 담겨 있다.

Finn Juhl 1912-1989 Denmark Danish architect and designer Finn Juhl was often called father of Danish design, and artist who raised furniture to the level of sculpture. Denmark was an agricultural country with poor natural resources: as Danish designers including Juhl expanded internationally, the Danish government developed a design industry with national projects. Herein, Juhl established the concept ‘Danish design’ favored today throughout the world, and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Danish furniture export. His furniture, based on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shows perfect harmony between design and function. Tables often have thin walls in their margins to prevent things on the table falling, and exude exquisite beauty. Sketches on display alongside his furniture are for his furniture, signifying his careful, showing his affectionate, considerate attitude toward furniture.

Page 55: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5

핀 율 Finn Juhl 의자 Side Chair 55×80×42cm 1951

쟁반탁자 Tray Table 60×50×42cm 1958

Page 56: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6

헨리 로젠그렌 한센 Henry Rosengren Hansen 수납장 Sideboard 240×80×46.5cm 1960

올 벤셔 Ole Wanscher 콜로니얼 의자 Colonial Chair 64×84×60cm

콜로니얼 의자 Colonial Chair 123×185×50cm

헨리 로젠그렌 한센 Henry Rosengren Hansen 탁자 Table 160×50×70cm

뒤쪽

중앙

Page 57: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7

피터 흐비트 Peter Hvitdt 탬부어 수납장 Tambour Sideboard 135×87×48cm 1954

Page 58: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8

크리스티안 솔머 베델 Kristian Solmer Vedel 모더스의자 Modus Chair 73×72×52cm 1965

모더스의자발받침 Modus Chair Stool 55×32×55cm 1965

모더스탁자 Modus Side Table 55×32×55cm 1965

Page 59: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59

아르네 보더 Arne Vodder 원형탁자 Round table 172×73×122cm

한스 베그너 Hans J. Wegner 하트의자 Heart Chair 50×73×40cm 1952

Page 60: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60

아르네 호프만 올센 Arne Hovmand Olsen 식탁의자 Spisestuestol 50×76×39cm 1950

헬게 베스테르가르드 옌슨 Helge Vestergaard Jensen 흔들의자 Rocking Chair 58×101×77cm 1958

Page 61: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61

피터 흐비트 Peter Hvitdt 수납장 Sideboard Cabinet 79×106.5×38cm 1961

Page 62: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62

김기린 Kim Gui Line

inside outside

195×130cm(each)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1980

신성희 Shin Sung Hy회화-77

123×194cm 마대 위에 유채 Oil on Gunny bag 1977

유영국 Yoo Young Guk

산 The Mountain

132×132cm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1997

류경채 Ru Kyung Chae축전 89-1 Festival 89-1

162×130cm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1989

류경채 Ru Kyung Chae축전 88-5 Festival 88-5 / 축전88-6 Festival 88-6

130×97cm(each)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1988

김홍주 Kim Hong Joo무제 Untitled

162×162cm 캔버스에 아크릴 채색 Acrylic on canvas 2002

출품 소장품

Exhibited Collections of Gyeonggi of MOMA

Page 63: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63

박현기 Park Hyun Ki무제 Untitled

245×55×23cm

모니터, 돌, 나무 Monitor, Stone, Wood

1993

배영환 Bae Young Whan아주 럭셔리하고 궁상맞은 불면증

LuxuriousMiserable Insomnia

223×150cm 와인병, 각종술병파편, 철,

알루미늄, 연철, LED 조명, 에폭시

Wine bottle, Fragmented drink bottles, Iron,

Aluminium, LED, Epoxy

2008

하종현 Ha Chong HyunConjunction 83-077

220×360cm 대마천에 유채로 배체기법

Oil on and pushed from back of hempen cloth 1983

윤형근 Yun Hyong Keun Burnt Umber & Ultramarine

270×140cm 린넨에 유채 Oil on linen

1978

정창섭 Chung Chang Sup楮 No. 84100 Tak No. 84100

140×240cm 천에 닥 섬유 Best fiber on cotton 1984

정창섭 Chung Chang Sup묵고 No.21604 Meditation No.21604

194×2×59cm 천에 닥 섬유 TAK Fiber on Cotton

2001

Page 64: 2012 선의 아름다움- 현대가구의 시작 · 2020. 11. 17. · 2012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선의 아름다움 현대 가구의 시작 2012. 4. 3 - 6. 10 전시주최

64

직선

두 점 사이를 가장 짧게 연결하여

꺾이거나 굽은 데가 없는 곧은 선.

자연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개념적인 선.

무한한 움직임의 가능성을 지닌 가장

간결한 형태.

곡선

모나지 않고 부드럽게 굽은 선.

점이 평면 위나 공간 안을

연속적으로 움직일 때 생기는 선.

자연이 갖고 있는 모든 선.

The straight line i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wo points, without bend or curve.The conceptual line is inexistent in nature. The most succinct form with potential for infinite movement.

Gently curved line without angulation.The line is engendered when points move in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All lines nature ret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