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2013년도 1 국가정보화에 ... -...

434
2013 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710000-000009-10

Transcript of 20 2013년도 1 국가정보화에 ... -...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710000-000009-10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 목차

    contents

    제1편

    국가정보화

    추진현황 및 성과

    제1장 추진성과 ·································018

    제1절 추진현황 ····································018제2절 추진성과 ····································020제3절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 ····························026

    제2장 추진방향 ·································029

    제1절 비전 및 전략 ··································029제2절 추진계획 ····································030

    제3장 추진기반 ·································032

    제1절 추진체계 ····································032제2절 법체계 ·····································035제3절 평가체계 ····································043

    제1장 입법·사법·선거 분야 ··························048

    국회사무처 ······································048국회도서관 ······································050국회예산정책처 ····································052국회입법조사처 ····································053대법원 ········································054헌법재판소 ······································060중앙선거관리위원회 ·································062

    제2장 일반행정 분야 ······························067

    안전행정부 ······································067법무부 ········································075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078법제처 ········································081

    제3장 산업·경제·교육과학 분야 ·······················088

    미래창조과학부 ···································088기획재정부 ·····································092교육부 ········································096산업통상자원부 ····································101방송통신위원회 ····································106

    제2편

    분야별 국가정보화 추진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금융위원회 ·····································108국세청 ········································111관세청 ········································115조달청 ········································119통계청 ········································122중소기업청 ·····································125특허청 ········································129

    제4장 외교·통일·안전 분야 ··························133

    외교부 ········································133통일부 ········································136국방부 ········································141검찰청 ········································143경찰청 ········································145병무청 ········································148방위사업청 ······································151소방방재청 ······································155

    제5장 사회·문화·복지·노동 분야 ·······················160

    문화체육관광부 ····································160보건복지부 ·····································165고용노동부 ·····································171여성가족부 ······································176국가인권위원회 ····································179공정거래위원회 ····································181국민권익위원회 ····································183국가보훈처 ······································189식품의약품안전처···································191문화재청 ·······································195

    제6장 농림수산·환경·국토해양 분야 ·····················202

    농림축산식품부 ····································202환경부 ········································206국토교통부 ······································210해양수산부 ······································219농촌진흥청 ······································225

  • 목차

    contents

    산림청 ········································231기상청 ········································236해양경찰청 ······································241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43

    제1장 국가정보화 인프라 고도화 ·····················248

    제1절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추진 ·························248제2절 범정부 EA 추진 ································252제3절 공공정보 활용환경 조성 ····························257제4절 공공정보 개방·공유·활용 확대 ························265제5절 정부통합전산센터 운영 ····························274

    제2장 정보화 서비스 확대 추진 ·······················280

    제1절 u-서비스 및 u-IT 신기술검증확산 추진 ·····················280제2절 인터넷 신산업 육성방안 ····························291제3절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 추진 ···························293제4절 빅데이터 선도사업 추진 ····························296제5절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 ····························299

    제3장 전자정부 및 서비스 고도화 ······················306

    제1절 전자정부 구현 ·································306제2절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추진 ·························311제3절 민원서비스 선진화 ·······························316제4절 전자정부 표준화 추진 ·····························320제5절 정보화 인력 양성 ·······························325

    제4장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329

    제1절 시·도 행정 정보화 ······························329제2절 시·군·구 행정정보화 ····························333제3절 행정공간정보체계 구축 ·····························337

    제3편

    국가정보화 인프라 및

    서비스 고도화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제5편

    글로벌 협력 강화

    제4편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이용환경 조성

    제1장 안전한 인터넷환경 조성 ························344

    제1절 정보보호 정책 수립 ·······························344제2절 인터넷 침해사고 예방 및 대응 ·························349제3절 정보보호 인프라 강화 ·····························350제4절 정보통신 기반시설 보호 ····························363제5절 정보보호산업 발전 종합대책 수립 ·······················367

    제2장 개인정보 보호 활동 강화 ·······················370

    제1절 개인정보 보호 정책 및 제도 개선 ························370제2절 개인정보 보호 침해 사고 예방 및 실태 점검 강화 ················374제3절 개인정보 보호 기반 강화 및 기술 지원 ·····················379제4절 정보 주체 권리 보장 및 인식 제고 ·······················383

    제3장 건전한 정보문화 기반 강화 ······················388

    제1절 정보문화 확산 ·································388제2절 인터넷중독 대응 ································393제3절 정보통신 윤리 교육 강화 ···························396

    제4장 정보격차 해소 추진 ··························401

    제1절 정보격차 현황 ·································401제2절 웹 접근성 제고 ·································404제3절 정보통신기기 지원 및 서비스 제공 ·······················407제4절 정보화 교육 확대 ································410제5절 정보화마을 운영 ································414

    제1장 글로벌 협력 추진 ····························420

    제1절 전략적 국제 협력 ································420제2절 개도국 정보화 지원 ······························422

    제2장 전자정부 수출 및 국제 협력 ······················425

    제1절 전자정부 해외진출 현황 ····························425제2절 전자정부 해외진출 기반조성 ··························426

  • 표목차

    contents

    국가정보화 추진현황 및 성과제1편

    제1장 추진성과 ·········································· 018표 1-1-1-1 역대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추진 현황 ··························· 019표 1-1-2-1 이동통신사업자 트래픽 증가 추이 ····························· 020표 1-1-2-2 기관별 공공정보 개방 현황 ································ 022표 1-1-2-3 정부민원포털 민원24 서비스 이용 민원 처리건수 ····················· 023표 1-1-2-4 전자정부 수출 세부 내역 ································· 025표 1-1-3-1 우리나라의 주요 IT 분야에 대한 국제 평가 결과 ······················ 027표 1-1-3-2 프레임워크의 적용효과 ·································· 028표 1-1-3-3 우리나라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해외 적용 현황 ··················· 028

    제3장 추진기반 ··········································032표 1-3-1-1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개최 실적 ····························· 034표 1-3-2-1 2012~2013년 정보화 관련 주요 법률 제·개정 현황 ···················· 036표 1-3-3-1 중앙행정기관에 대한 정보화 평가체계 ··························· 043표 1-3-3-2 2012년 행정관리역량 평가체계 ······························ 044표 1-3-3-3 2013년 행정관리역량 평가체계 ······························ 044표 1-3-3-4 2012년 재정사업 자율평가 평가지표 ··························· 045표 1-3-3-5 최근 3년간 평가 결과 ··································· 045

    분야별 국가정보화 추진제2편

    제1장 입법·사법·선거 분야 ····································048표 2-1-2-1 국회도서관에서 정보검색 가능한 데이터 서비스 ······················ 050표 2-1-3-1 국회예산정책처 모바일 웹 및 앱 서비스 내용 ······················· 052표 2-1-5-1 사법업무 전산화 주요 추진실적 ······························ 054표 2-1-5-2 등기업무 전산화 주요 추진실적 ······························ 056표 2-1-5-3 등기업무 전산화 사업의 대국민 서비스 개선 효과 ····················· 056표 2-1-5-4 등기업무 전산화 사업의 예산절감 효과 ·························· 056표 2-1-7-1 내투표소 찾기 서비스 추진결과 ······························ 066

    제2장 일반행정 분야 ·······································067표 2-2-1-1 중앙영구기록관리시스템(CAMS) 기록물관리 현황 ····················· 072표 2-2-4-1 국가입법 지원 사업 추진 경과 ······························· 081표 2-2-4-2 법령정보 서비스 사업 추진 경과 ····························· 082표 2-2-4-3 처내 행정정보화 사업 추진 경과 ····························· 083

    제3장 산업·경제·교육과학 분야 ································088표 2-3-1-1 국가별 인터넷 산업의 GDP 비중 ······························ 089표 2-3-3-1 에듀넷 연도별 가입자 현황 ································ 097표 2-3-3-2 사이버학습 콘텐츠 개발·확보 현황 ···························· 098표 2-3-3-3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개발 현황 ······························ 098표 2-3-3-4 저소득층 자녀 교육정보화 지원 현황 ··························· 098표 2-3-3-5 RISS 검색 이용 현황 ···································· 099표 2-3-4-1 G4B 이용 현황 ······································ 102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표 2-3-4-2 내국신용장 전자적 방식(개설) 이용업체 증가현황 ····················· 103표 2-3-4-3 연도별 e-Trust 인증업체 현황 ······························· 104표 2-3-8-1 전자통관시스템 해외보급 현황 ······························ 118표 2-3-8-2 관세율 및 품목분류 사례 제공 현황 ···························· 118표 2-3-9-1 연도별 나라장터 이용 증가율 ······························· 121표 2-3-10-1 국가통계포털 서비스 이용 현황 ······························ 122표 2-3-11-1 중소기업 정책정보시스템 운영 현황 ···························· 128표 2-3-11-2 최근 5년간 정책정보 이용 실적 ······························ 128

    제4장 외교·통일·안전 분야 ···································133표 2-4-6-1 병무청 정보화서비스 현황 ································· 150표 2-4-8-1 2013년 국정과제 및 정부 3.0 과제 추진현황 ························ 156표 2-4-8-2 지자체 종합상황관제시스템 구축 현황 ··························· 157표 2-4-8-3 시·도 긴급구조표준시스템 구축 현황 ··························· 158

    제5장 사회·문화·복지·노동 분야 ································160표 2-5-3-1 ‘온나라’ 활용 실적 ····································· 173표 2-5-3-2 워크넷 이용실적 ······································ 175표 2-5-6-1 소비자상담센터(1372) 상담건수 ······························ 183표 2-5-7-1 민원 신청건수 ······································· 184표 2-5-7-2 국민행복제안 신청건수 ·································· 184표 2-5-7-3 정책토론(정책포럼, 전자공청회) 현황 ··························· 184표 2-5-7-4 정부민원안내콜센터 콜처리 현황 ····························· 185표 2-5-9-1 인터넷 민원 접수율 ···································· 192표 2-5-9-2 독성정보시스템 DB 주요내용 ······························· 194표 2-5-10-1 문화유산 관광인재 서비스 주요 내용 ·························· 199

    제6장 농림수산·환경·국토해양 분야 ·····························202표 2-6-1-1 ICT융복합 사업유형별 주요내용과 사례 ·························· 203표 2-6-2-1 토지피복지도 제작 현황 ·································· 208표 2-6-3-1 국토교통부 분야별 추진과제 ······························· 211표 2-6-4-1 해양수산연구정보포털 제공 정보 ····························· 221표 2-6-4-2 종합 해양정보시스템 DB 구축 현황 ···························· 224표 2-6-9-1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분야별 추진 계획 및 실적 ···················· 245

    국가정보화 인프라 및 서비스 고도화제3편

    제1장 국가정보화 인프라 고도화 ······························248표 3-1-1-1 광대역통합망(BcN)과 Giga인터넷 서비스 비교 ······················· 249표 3-1-1-2 Giga인터넷 시범망 구축실적 및 계획 ··························· 249표 3-1-1-3 2012년도 농어촌지역 광대역망 서비스 제공 내역 ····················· 251표 3-1-1-4 공공 WI-FI 구축현황 및 계획 ······························· 251표 3-1-1-5 2단계 국가정보통신서비스 사업자 및 제공서비스 ····················· 252표 3-1-2-1 EA 도입현황 ········································ 253표 3-1-2-2 EA 성숙도 수준 ······································ 254표 3-1-2-3 연도별 공공부문 EA 교육현황 ······························· 254

  • 표목차

    contents

    표 3-1-2-4 범정부 EA 포털 등록 정보자원 ······························ 255표 3-1-3-1 행정정보 공동이용 실태점검 대상기관 ··························· 262표 3-1-3-2 연도별 구비서류 감축 건수 ································ 263표 3-1-4-1 2012년 국가DB사업 추진 현황 ······························ 267표 3-1-4-2 2013년 국가DB사업 1차 추진 현황 ···························· 268표 3-1-4-3 공공데이터포털 현황 ··································· 268표 3-1-4-4 공공데이터포털 Open API 35종 현황 ··························· 269표 3-1-4-5 공공데이터 메타정보 연계기관 현황 ···························· 270표 3-1-4-6 공공데이터 정보 활용건수 ································· 271표 3-1-4-7 개인 및 1인 창조기업 주요 활용 사례 ··························· 271표 3-1-4-8 2013년 확대 예정인 Open API 현황 ···························· 273

    제2장 정보화 서비스 확대 추진 ································280표 3-2-1-1 2012년 유비쿼터스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세부과제 ·················· 283표 3-2-1-2 2013년 유비쿼터스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세부과제 ·················· 285표 3-2-1-3 2012년 u-IT신기술 검증확산사업 세부내역 ························ 286표 3-2-1-4 2013년 u-IT신기술 검증확산사업 세부내역 ························ 287표 3-2-1-5 2012년 u-서비스 대표성과 지표 측정결과 ························· 288표 3-2-1-6 업무효율화를 통한 행정비용 절감 ····························· 288표 3-2-1-7 농어업인, 소상공인 등 소득증대 ····························· 289표 3-2-1-8 유비쿼터스 기반 국민안전망 구축 ····························· 289표 3-2-1-9 행정서비스 접근편의성 제고 ······························· 289표 3-2-1-10 2012년 u-IT신기술검증확산사업의 주요성과 ························ 290표 3-2-3-1 세계 및 국내 클라우드 시장 ································ 293표 3-2-3-2 ‘민간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확산 전략’의 추진방향 및 9대 정책과제 ············ 293표 3-2-3-3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평가 부문별 주요내용 ························ 294표 3-2-3-4 클라우드 인력양성 추진 현황 ······························· 295표 3-2-3-5 클라우드 업계 간담회 개최 현황 ······························ 296표 3-2-4-1 2013년 빅데이터 관련 개발 지원 과제 ··························· 298표 3-2-5-1 사회 취약계층 및 중소기업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 방안 주요 내용 ··················299표 3-2-5-2 거주지형 스마트워크센터 이용 현황 ···························· 300표 3-2-5-3 2012년 스마트워크 시범서비스 주요 내용 ························· 301표 3-2-5-4 2013년 스마트워크 시범서비스 주요내용 ·························· 301표 3-2-5-5 스마트워크 촉진법(안) 주요 내용 ····························· 302표 3-2-5-6 국내 스마트워크센터 현황 ································· 302표 3-2-5-7 스마트워크 적합직무 예시 ································· 304

    제3장 전자정부 및 서비스 고도화 ······························306표 3-3-1-1 전자정부 추진경과····································· 307표 3-3-1-2 전자정부 지원 사업 추진규모 ······························· 307표 3-3-1-3 2012년도 전자정부 지원 사업 추진현황 ·························· 308표 3-3-2-1 2013년 구축한 모바일 행정업무 서비스 ·························· 314표 3-3-2-2 2012년 제정·배포한 모바일 전자정부 가이드라인 ····················· 315표 3-3-4-1 전자정부 표준현황····································· 320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표 3-3-4-2 국내 웹 브라우저 이용률 현황 ······························· 321표 3-3-4-3 국외 웹 브라우저 이용률 현황 ······························· 321표 3-3-4-4 행정업무용 표준코드 ··································· 322표 3-3-4-5 행정업무용 S/W 선정현황 ································· 323표 3-3-5-1 연도별 정보화 교육 실적 ································· 326표 3-3-5-2 2012년 정보화 교육 실적 ································· 326표 3-3-5-3 정보화 교육센터 사이버교육 콘텐츠 개발현황 ······················· 327표 3-3-5-4 연도별 정보화 역량 진단 실적 ······························· 328

    제4장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329표 3-4-2-1 시·군·구 행정종합정보 고도화 로드맵 ·························· 333표 3-4-3-1 스마트 현장행정서비스 목록 ································ 339표 3-4-3-2 생활공감지도 전국 공통서비스 내용 ···························· 341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이용환경 조성제4편

    제1장 안전한 인터넷환경 조성 ·································344표 4-1-1-1 연간 ISMS 인증 추이 ··································· 346표 4-1-1-2 고용계약형 석사과정 지원사업 운영 현황 ························· 347표 4-1-1-3 2012년 정보보호 교육과정 운영 결과 ··························· 348표 4-1-1-4 2013년 정보보호 담당자 교육과정 ····························· 348표 4-1-2-1 민간 분야 사이버 침해사고 발생현황 ··························· 349표 4-1-3-1 공인인증기관 지정현황 ·································· 351표 4-1-3-2 등급별 CC 평가·인증 현황 ································ 356표 4-1-3-3 평가수수료 할인정책 ··································· 357표 4-1-3-4 최근 1년 CC 인증 제품 목록 ································ 358표 4-1-3-5 정보보호 사전점검 수행 건 수 ······························ 360표 4-1-4-1 국내외 전자적제어시스템 피해사례 ···························· 363표 4-1-4-2 주요 정보통신기반 시설 지정기준 ····························· 364표 4-1-4-3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분야별 시설 지정현황 ······················ 365

    제2장 개인정보 보호 활동 강화 ································370표 4-2-1-1 일괄 개정 대상 주요 법령 ································· 370표 4-2-1-2 개인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현황 ······························ 373표 4-2-2-1 개인정보 영향 평가 수행 현황 ······························· 375표 4-2-2-2 개인정보 영향평가 교육 이수생 현황 ··························· 375표 4-2-2-3 개인정보 영향 평가 교육 이수생 현황 ··························· 375표 4-2-2-4 2012년 업종별 위반 기관 수 및 실태 점검 시 위반 비율 ·················· 376표 4-2-2-5 2012년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 관리 수준 진단 지표 ··················· 377표 4-2-3-1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 운영 현황 ····························· 381표 4-2-3-2 2012년 개인정보 보호 조치 지원 현황 ··························· 381표 4-2-4-1 개인정보 침해 신고·상담 접수 유형 ··························· 383표 4-2-4-2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회의 실적 ···························· 384표 4-2-4-3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조정 결정 현황 ························· 384표 4-2-4-4 2011~2012년 개인정보 분쟁조정 접수 유형 분석 ······················ 385

  • 표목차

    contents

    제3장 건전한 정보문화 기반 강화 ·······························388표 4-3-1-1 정보문화지수 체계의 개편현황 ······························ 388표 4-3-1-2 신규 정보문화지수 측정내용 ································ 389표 4-3-1-3 정보문화의 달 운영현황 ·································· 391표 4-3-1-4 2013년 행복한 스마트문화 실천연합 과제 지원현황 ···················· 392표 4-3-2-1 최근 5년간 인터넷 및 스마트미디어중독 예방 교육 실적 ·················· 395표 4-3-3-1 정보통신 윤리 교육 현황 ································· 397표 4-3-3-2 정보통신윤리 교육용 콘텐츠 현황 ····························· 399

    제4장 정보격차 해소 추진 ···································401표 4-4-1-1 부문별 일반 국민 대비 소외계층 정보화 수준 ······················· 402표 4-4-1-2 소외계층별 일반 국민 대비 종합 정보화 수준 ······················· 403표 4-4-1-3 소외계층 인터넷 이용률 및 격차 추이 ··························· 403표 4-4-1-4 소외계층 가구 컴퓨터 보유율 및 격차 추이 ························ 403표 4-4-2-1 웹 접근성 표준 1.0과 2.0 주요 차이점 비교························· 405표 4-4-3-1 정보 소외계층 정보통신보조기기 보급 현황 ························ 407표 4-4-3-2 정보통신 보조기기 개발 현황 ······························· 408표 4-4-3-3 연도별 사랑의 그린PC 보급실적 ······························ 409표 4-4-3-4 연도별 통신중계서비스 제공 현황 ····························· 410표 4-4-4-1 장애인 정보화 교육 실적 ································· 411표 4-4-4-2 장애인 IT 긴급 서비스 실적 ································ 411표 4-4-4-3 연도별 고령층 정보화 교육 실적 ······························ 412표 4-4-4-4 연도별 신 소외계층 정보화 교육 실적 ··························· 412표 4-4-4-5 연도별 북한 이탈주민 정보화 교육 실적 ·························· 412표 4-4-4-6 연도별 강사지원단 교육 실적 및 지원 현황 ························ 413표 4-4-4-7 연도별 온라인 정보화 교육 실적 ······························ 413표 4-4-5-1 정보화마을 프로그램 관리자 주민교육 실적 ························ 415표 4-4-5-2 정보화마을 컨설팅 추진 실적 ······························· 416표 4-4-5-3 연도별 전자상거래 판매실적 ································ 417표 4-4-5-4 정보화마을 조성 현황 ··································· 417

    글로벌 협력 강화제5편

    제1장 글로벌 협력 추진 ·····································420표 5-1-1-1 우리나라 주요 국제개발은행별 협력 현황 ························· 420표 5-1-2-1 개발도상국 정보접근센터 구축 현황 ···························· 422표 5-1-2-2 2013년 개도국 정보접근센터 구축 국가 현황 ························ 423

    제2장 전자정부 수출 및 국제 협력 ······························425표 5-2-1-1 연도별 전자정부 수출 실적 ································ 425표 5-2-1-2 2012년 전자정부 수출 실적 ································ 426표 5-2-2-1 협력 MOU 체결 내역 ··································· 427표 5-2-2-2 협력센터 운영 내역 ···································· 428표 5-2-2-3 센터별 주요 실적 ····································· 428표 5-2-2-4 개도국 인력양성을 위한 초청연수 연도별 실적 ······················ 429표 5-2-2-5 2012년 하반기, 2013년 상반기 해외IT전문가 초청연수 과정 ················· 430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국가정보화 추진현황 및 성과제1편

    제1장 추진성과 ··········································018그림 1-1-2-1 정부 3.0의 비전과 중점 추진 과제 ···························· 021그림 1-1-2-2 스마트복지 10대 과제 ·································· 023그림 1-1-2-3 인터넷중독 현황····································· 024그림 1-1-2-4 사이버 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 ····························· 024그림 1-1-2-5 전자정부 수출 실적 ··································· 024그림 1-1-3-1 UN 전자정부 평가 결과 ································· 026그림 1-1-3-2 온라인 서비스 성숙도 ·································· 026

    제2장 추진방향 ··········································029그림 1-2-1-1 국가정보화 비전 및 전략 ································ 029그림 1-2-2-1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5대 분야 ····························· 030

    제3장 추진기반 ··········································032그림 1-3-2-1 정보화 관련 법제도 분류 ································ 035

    분야별 국가정보화 추진제2편

    제1장 입법·사법·선거 분야 ····································048그림 2-1-6-1 헌법재판 정보화 중장기 마스터 플랜 ·························· 060그림 2-1-6-2 연도별 사업 추진현황 ·································· 061그림 2-1-7-1 선거관리시스템 구성도 ································· 063그림 2-1-7-2 재외선거관리시스템 구성도 ······························ 064그림 2-1-7-3 통합선거인명부시스템 구성도 ····························· 065

    제2장 일반행정 분야 ·······································067그림 2-2-1-1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시스템 시스템 구성도 ····················· 070그림 2-2-1-2 안전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념도 ···························· 071그림 2-2-1-3 대한민국 대량재해희생자 신원확인시스템 ······················· 073그림 2-2-1-4 안전행정부 비전과 정책목표 ······························ 074그림 2-2-2-1 인터넷 화상접견시스템 개념도 ····························· 075그림 2-2-4-1 정부입법 총괄관리 시스템 구성도 ···························· 086그림 2-2-4-2 법령지식 등록 시스템 구성도 ······························ 086

    제3장 산업·경제·교육과학 분야 ································088그림 2-3-1-1 미래창조과학부 향후 목표 및 과제 ··························· 088그림 2-3-1-2 국제전기통신연합 ICT 발전지수 ····························· 089그림 2-3-1-3 연도별 인터넷 중독률 ·································· 091그림 2-3-1-4 정보격차해소 정책지표 개선추이 ···························· 091그림 2-3-2-1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 구성도 ······························ 093그림 2-3-2-2 개선된 사용자등록 및 권한 승인절차 ·························· 094그림 2-3-2-3 사이버테러 대책 흐름도 ································· 094그림 2-3-2-4 재정경제 사이버안전센터 개념도 ···························· 095그림 2-3-2-5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 096

  • 그림목차

    contents

    그림 2-3-6-1 자금 세탁 방지 정보 시스템 현황 ···························· 110그림 2-3-6-2 금융 분야 사이버 보안관제센터 개념도 ························· 110그림 2-3-8-1 국가관세종합정보망 세대별 특징 ···························· 116그림 2-3-9-1 통합 관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나라장터 메인화면 ··············· 120그림 2-3-10-1 같은 듯 다른 듯 男과 女 서비스 ····························· 123그림 2-3-10-2 통계 지리정보 서비스 현황 ······························· 123그림 2-3-10-3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 시스템 ······························ 124그림 2-3-10-4 나라통계 시스템 주요기능 ································ 125그림 2-3-11-1 중소기업 정책정보시스템 메인화면 ··························· 127그림 2-3-11-2 중소기업 정책정보시스템 운영 현황 ··························· 127그림 2-3-12-1 3세대 특허넷 개념도 ·································· 130

    제4장 외교·통일·안전 분야 ···································133그림 2-4-1-1 국가 외교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전체 개념도 ······················ 134그림 2-4-1-2 외교정보전용망 구축 현황 ······························· 135그림 2-4-2-1 북한 종합DB 추진 목표 ································· 137그림 2-4-2-2 북한 종합DB 현황 ···································· 137그림 2-4-2-3 이산가족정보 시스템 ·································· 138그림 2-4-2-4 남북교류협력시스템 기관 연계 구성도 ·························· 139그림 2-4-5-1 모바일 기기상 실종아동 검색 화면 ··························· 146그림 2-4-5-2 무선 KICS(형사사법통합정보시스템) 운영환경 ····················· 146그림 2-4-5-3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Geo-Pros)참고자료 ····················· 146그림 2-4-5-4 수배차량 자동검색시스템 업무처리도 ·························· 147그림 2-4-6-1 병무행정 정보화 비전 및 전략 ···························· 148그림 2-4-6-2 병무행정 정보화 전략계획 사업추진 방법론 ······················· 149그림 2-4-6-3 개인정보 노·유출 및 악성코드 발생예방 추이 ····················· 151그림 2-4-7-1 SBA 통합정보체계 운용현황 ······························· 152그림 2-4-7-2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 주요내용 ··························· 153그림 2-4-7-3 방위사업청의 IT 거버넌스 체계 구축·운영 과정 ····················· 153그림 2-4-7-4 통합사업관리정보체계 주요내용 ····························· 154그림 2-4-8-1 119다매체 신고서비스시스템 개념도 ··························· 158

    제5장 사회·문화·복지·노동 분야 ································160그림 2-5-1-1 문화체육관광 사이버안전센터의 문화 콘텐츠 사이버 침해·보완 대응 체계 ······· 164그림 2-5-1-2 관제대상기관 현황 ··································· 164그림 2-5-2-1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개념도 ······························· 168그림 2-5-2-2 보육정보시스템개념도 ·································· 169그림 2-5-2-3 DUR 점검 절차 ····································· 170그림 2-5-3-1 연도별 홈페이지 방문자 수 ······························· 172그림 2-5-3-2 연도별 전자민원 건수 ·································· 172그림 2-5-4-1 성별영향분석평가시스템 구성도 ····························· 177그림 2-5-4-2 e새일시스템 추진체계 ·································· 178그림 2-5-5-1 인권정보시스템 구조도 ································· 180그림 2-5-7-1 국민신문고 시스템 개념도 ································ 183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그림 2-5-7-2 정부민원안내콜센터 콜처리 개념도 ··························· 185그림 2-5-7-3 온라인 민원정보분석 시스템 개념도 ··························· 186그림 2-5-7-4 부패·공익신고자 보호 제도 운영시스템 개념도 ····················· 187그림 2-5-7-5 행정심판 허브시스템 개념도 ······························ 188그림 2-5-10-1 문화재 전자행정 구축·운영 현황 ···························· 195그림 2-5-10-2 문화유산 허브뱅크 시스템 구축(구성) 현황 ······················· 197그림 2-5-10-3 디지털문화유산 콘텐츠 활용 사업 내용 ························· 199

    제6장 농림수산·환경·국토해양 분야 ·····························202그림 2-6-1-1 농업경영체 관리체계 개선방향 ····························· 204그림 2-6-2-1 국가환경지도시스템 체계 ································ 209그림 2-6-3-1 한국토지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 내용 ······················ 211그림 2-6-3-2 부동산 행정서비스 목표 ································· 212그림 2-6-3-3 지하시설물 전산화 활용체계 ······························ 213그림 2-6-3-4 3차원 공간정보구축 ··································· 213그림 2-6-3-5 국가 공간정보의 허브 구축 실현 ····························· 214그림 2-6-3-6 도시계획정보체계 개발행위허가 모니터링 ························ 214그림 2-6-3-7 건설CALS 시스템 현황 ································· 215그림 2-6-3-8 건설산업종합정보망 업무 범위 ····························· 216그림 2-6-3-9 하천종합정보시스템 발전 방안 ····························· 216그림 2-6-4-1 수산물이력시스템 개념도 ································ 220그림 2-6-4-2 수산연구정보시스템 개념도 ······························· 222그림 2-6-4-3 검사·검역 모바일시스템 구성도 ···························· 223그림 2-6-5-1 스마트폰 웹페이지 및 최신소식 알리미 ························· 225그림 2-6-5-2 국가 농작물 병해충 관리시스템(NCPMS) ························ 226그림 2-6-5-3 국제기술협력 포털 시스템(ITCC) ····························· 226그림 2-6-5-4 농촌진흥청 보안관리체계 ································ 227그림 2-6-5-5 가축통합관리시스템 ··································· 228그림 2-6-5-6 축산농장 안전위생관리 지원 네트워크 시스템 ····················· 229그림 2-6-6-1 산림청 목표시스템 구성도 ································ 231그림 2-6-6-2 산림자원통합관리시스템 주요 구축 내용 ························ 232그림 2-6-6-3 연차별 대국민서비스통합 및 강화 ···························· 233그림 2-6-6-4 모바일 기반 현장 업무 개선 ······························· 234그림 2-6-7-1 기상업무 패러다임의 변화 ································ 236그림 2-6-7-2 차세대 예보업무시스템 ································· 236그림 2-6-7-3 기상 IT 인프라 구축 프로세스 ······························ 237그림 2-6-7-4 차세대 통합 IT 인프라 ·································· 238그림 2-6-7-5 선진예보시스템 예시 ··································· 239그림 2-6-7-6 전지구 예보 모델의 북반구 대기중층고도 예측오차 ··················· 239그림 2-6-7-7 차세대 통합 IT 인프라 구축 ······························· 240그림 2-6-8-1 코스넷 구성도 ····································· 241그림 2-6-8-2 TRS 통합 지휘통신체계 구성도 ····························· 242그림 2-6-8-3 해양경비안전망 시스템 구성도 ····························· 242그림 2-6-9-1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연도별 추진 목표 ······················· 243

  • 그림목차

    contents

    국가정보화 인프라 및 서비스 고도화제3편

    제1장 국가정보화 인프라 고도화 ······························248그림 3-1-1-1 농어촌 광대역망(BcN) 구성도 ······························ 250그림 3-1-2-1 범정부 EA 개념 ····································· 254그림 3-1-2-2 범정부 EA 추진성과 ·································· 255그림 3-1-2-3 EA 2단계 기본계획 ··································· 255그림 3-1-2-4 정보화 추진단계별 현황정보 종합관리 ························· 256그림 3-1-2-5 범정부EA 기반의 정보화거버넌스 지원 체계 마련 ···················· 256그림 3-1-2-6 서비스 및 정보 연계 통합 예시 ····························· 256그림 3-1-3-1 연도별 사회적 비용 절감 및 탄소저감 효과 추이 ····················· 263그림 3-1-4-1 다양한 미디어 기기를 통한 데이터 활용 사례 ······················ 271그림 3-1-4-2 공공과 민간 데이터의 융복합 생태계 ·························· 274그림 3-1-5-1 정부통합전산센터 구축 효과 ······························ 277그림 3-1-5-2 월평균 장비당 장애시간 및 고객만족도 ························· 277그림 3-1-5-3 사이버공격 탐지·차단 및 디도스 대응 ························· 277그림 3-1-5-4 자원통합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 ····························· 278그림 3-1-5-5 중소기업 참여율 및 통합센터 방문자 현황 ························ 278

    제2장 정보화 서비스 확대 추진 ································280그림 3-2-1-1 u-서비스 지원사업 선정 및 추진절차 ·························· 281그림 3-2-1-2 u-서비스 사업추진체계도 ································ 281그림 3-2-1-3 u-IT신기술 검증확산사업 체계도 ···························· 282그림 3-2-2-1 인터넷 신산업 육성 목표 및 전략 ···························· 291그림 3-2-5-1 스마트워크센터 분포 현황 ································ 300그림 3-2-5-2 스마트워크센터 시설 인프라 ······························ 300

    제3장 전자정부 및 서비스 고도화 ······························306그림 3-3-2-1 국가대표포털에 서비스중인 모바일 앱 서비스 ····················· 312그림 3-3-2-2 모바일 서비스 추진방향 ································ 313그림 3-3-2-3 모바일 전자정부 비전과 목표 ······························ 313그림 3-3-4-1 표준프레임워크 주요 버전 현황 ····························· 323그림 3-3-4-2 표준프레임워크와 공통컴포넌트 개념 ·························· 324

    제4장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329그림 3-4-1-1 시·도 행정 정보화 사업 추진목표 ··························· 329그림 3-4-1-2 시·도 행정 정보화 사업 추진단계 ··························· 330그림 3-4-1-3 시·도 행정정보화 사업 목표 시스템 구성도 ······················ 331그림 3-4-2-1 시·군·구 행정정보화 사업목표 ···························· 334그림 3-4-2-2 시·군·구 새올행정시스템 개념도 ··························· 335그림 3-4-3-1 행정 공간정보시스템 이해 ································ 337그림 3-4-3-2 행정공간정보시스템 적용 업무 및 기능 ························· 338그림 3-4-3-3 새올 행정정보시스템 구현 화면 ····························· 338그림 3-4-3-4 스마트 현장행정서비스 개념 ······························ 339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그림 3-4-3-5 생활공감지도서비스 개념도 ······························· 340그림 3-4-3-6 생활불편스마트폰신고 수상 내역 ···························· 341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이용환경 조성제4편

    제1장 안전한 인터넷환경 조성 ·································344그림 4-1-1-1 주요국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비교 ···························· 344그림 4-1-3-1 공인전자서명인증체계 ································· 350그림 4-1-3-2 연도별 공인인증서 이용자 수 변화추이 ························· 351그림 4-1-3-3 정보보호제품 평가·인증체계 ····························· 355그림 4-1-3-4 정보보호 사전점검 범위 ································· 360그림 4-1-3-5 정보보호 사전점검 효과 ································ 360그림 4-1-3-6 정보보호 사전점검 수행 ································ 360그림 4-1-3-7 ISMS 인증 심사 체계도 ································· 362그림 4-1-4-1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보호체계 ···························· 364그림 4-1-4-2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보호계획 수립 절차 ······················ 366그림 4-1-5-1 목표 및 추진전략 ···································· 368

    제2장 개인정보 보호 활동 강화 ································370그림 4-2-2-1 개인정보 관리실태 점검 개요 ······························ 376그림 4-2-3-1 공공 I-PIN 적용 현황 ·································· 379그림 4-2-3-2 공공 I-PIN 서비스 구성도 ································ 380그림 4-2-4-1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신고·상담 접수 현황 ······················ 383

    제3장 건전한 정보문화 기반 강화 ·······························388그림 4-3-1-1 2012년 정보문화지수 현황 ································ 389그림 4-3-2-1 인터넷중독 현황····································· 393그림 4-3-2-2 제2차 인터넷중독 예방·해소 종합계획 정책비전 및 정책영역 ·············· 394

    제4장 정보격차 해소 추진 ···································401그림 4-4-1-1 일반국민 대비 소외계층 정보화 수준 ·························· 401그림 4-4-1-2 정보화 수준 비교 ···································· 404그림 4-4-1-3 4대 소외계층 스마트폰 보유율 ····························· 404그림 4-4-2-1 2012년 정보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 ··························· 404그림 4-4-3-1 장애인 통신중계서비스 개념도 ····························· 409그림 4-4-5-1 정보화마을 운영 내실화 중점과제 ···························· 414

    글로벌 협력 강화제5편

    제1장 글로벌 협력 추진 ·····································420그림 5-1-2-1 개도국 정보접근센터 센터당 월평균 이용자 ······················· 423

    제2장 전자정부 수출 및 국제 협력 ······························425그림 5-2-2-1 엘살바도르 및 모로코 맞춤과정 ····························· 430그림 5-2-2-2 제1회 전자정부 글로벌 포럼 ······························· 431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 국가정보화 추진현황 및 성과

    제1편

    제1장 추진성과

    제1절 추진현황

    제2절 추진성과

    제3절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

    제2장 추진방향

    제1절 비전 및 전략

    제2절 추진계획

    제3장 추진기반

    제1절 추진체계

    제2절 법체계

    제3절 평가체계

  • 제1편 | 국가정보화 추진현황 및 성과

    018

    제1절 추진현황

    우리나라는 2012년 UN이 전 세계 192개국을 대상

    으로 실시한 전자정부 평가에서 2011년에 이어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 2002년의 첫 평가에서 15위를 차

    지한 이후 단 10여 년 만에 세계 최고의 정보화 강국

    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정부는 최신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로 구현된 국가

    인프라 환경을 바탕으로 정부 업무의 생산성과 효율

    성을 제고하고, 끊임없이 급변하는 기술 환경을 반영

    하여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 고도화

    를 위해 노력하였다. 2000년 이전까지 기본 인프라 구

    축을 위한 전산화와 ICT를 통한 국가경제 기반을 마련

    하였다면, 21세기 고도 정보사회에서는 신사회간접자

    본인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과 안정적인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등 인프라 조건을 향상시키고, 첨단 기술

    기반하에서 정부 서비스의 효율성과 품질을 개선하는

    데 주력하였다.

    시기적으로 그간의 진행 상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996년 정보화 촉진 기본계획에서는 2010

    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화를 실현한다는 비전

    을 제시하였다. 이어 1999년 사이버 코리아 21(Cyber

    Korea 21) 계획을 통해서는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 건

    설을 목표로 하여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그간의 제조

    업 중심에 지식 기반 조성을 더한다는 선진적 가치를

    반영하였다. 2002년 이 코리아 비전 2006(e-Korea

    Vision 2006)에서는 국제적 정보 강국으로서 우리

    나라의 위상을 높인다는 발전 목표를 제시하였으며,

    2003년 브로드밴드 IT 코리아 비전 2007(Broadband

    IT Korea Vision 2007)을 통해 브로드밴드 보급의 확

    대를 도모한 결과 우리나라의 브로드밴드 보급률을

    확장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2006년의

    u-Korea 기본 계획, 2008년과 2012년의 국가정보

    화 기본계획에서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인프라

    와 창의적인 지식사회 마련을 도모하였으며, 스마트

    (Smart) 한국과 기가 코리아(Giga Korea) 구축 등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그간의 국가정보화 정책은 정치·행정·경제·사

    회적 이슈와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한편, 산업의 일부

    가 아닌 사회전반의 인프라로서 ICT가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모든 정부부처의 역량을 집중한 프로젝트 지

    제1장 추진성과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019

    제1장 | 추진성과

    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또한 중장기

    국가정보화 마스터플랜과 부처별 정보화 계획의 체계

    적인 연계를 통해 단기간 내 목표를 달성하게 되었다.

    정부 부문에서는 2001년 「전자정부법」 제정을 통해

    국책사업으로서 전자정부 11대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이어 2003년부터 5년간 전자정부 사업을 집중 추진

    함으로써 전자정부 사업을 고도화하고 민간 부문에

    대한 정보화 확산을 적극 지원하였다. 이어 2011년에

    는 사회현안 해결과 국민행복을 위한 핵심정책으로서

    ‘스마트 전자정부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013년 7월

    에는 ‘정부 3.0 추진 기본 계획’을 통해 국민 중심의 소

    통하는 투명한 정부, 일 잘하는 유능한 정부라는 국정

    운영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산업 부문에서는 1980년대까지 초기의 전자산업 육

    성 본격화를 추진하며 통신사업 5개년 계획(1961), 전

    자공업진흥계획(1968), 반도체 산업 종합 육성 대책

    (1985)을 발표하였으며, 1990년대에는 국가 정보인프

    라를 고도화하여 세계 최초 CDMA 상용화(1996), 이

    동전화 가입자 수 1,000만 명 달성(1998)이라는 놀라

    운 성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2000년대에는 차세대 성

    장동력(2004), IT 839전략(2004) 등을 통해 ICT 산업

    수출 1,000억 달러를 달성하여 단일 업종 중 최초의

    1,000억 달러 달성이라는 성과를 보였으며, 2010년대

    에는 세계 ICT 시장에서 ICT 수출 및 스마트폰 판매

    에 있어 수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ICT는 우

    리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여 전체 GDP 대비 12%, 수출

    의 28%를 차지하는 국가 중핵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한편으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극복할 수 있

    는 원동력으로 작동하였다. 이제는 하드웨어뿐만 아

    니라 소프트웨어 기술 및 지식을 국내외적으로 발전

    시킬 수 있는 국가적 역량을 축적하는 것이 향후 국가

    발전을 위한 중대한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국민 생활 부분에서는 단지 ICT 기술 혜택뿐만 아

    니라 스마트 교육, 복지, 워크, 관광, 헬스케어 등 응

    용 분야에서 실제적인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아울러 해킹, 개인정보 유출, 정보 격

    표 1-1-1-1 역대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추진 현황

    구분 수립년도 계획 기간 비전

    1987 국가기간전산망사업계획 1987~1996 주요 국가 전산망 구축

    1995 초고속정보통신기반 구축 1995~2005정부의 선도적 투자와 민간 참여를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초고속 통신망 구축

    1차 1996 정보화촉진 기본계획 1996~2000 201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화 실현

    2차 1999 Cyber Korea 21 1999~2002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 건설

    3차 2002 e-Korea Vision 2006 2002~2006 글로벌 리더 e-Korea 건설

    3차(개정) 2003 Broadband IT Korea Vision 2007 2003~2007 Broadband IT Korea 건설

    3차(연동) 2006 u-Korea 기본계획 2006~2010세계 최고 수준의 u-인프라 위에 세계 최초의 u-사회 실현을 통해 선진 한국 건설에 기여

    4차 2008국가정보화 기본계획 2008~2012 창의와 신뢰의 선진 지식정보사회구현

    4차(수정) 2012

  • 제1편 | 국가정보화 추진현황 및 성과

    020

    차 등 정보화 역기능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도 다각도

    로 마련하고 있다. 스마트 교육 부문에서는 1996년부

    터 5년 주기로 계획이 수립되었던 교육정보화종합계

    획을 발전시켜, 2013년까지 디지털 교과서 표준 개

    발, 온라인 수업 활성화, 클라우드 기반의 교육 서비

    스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디지털 복지 환경 조성을 위해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확대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 내의 통합 국가 지식 인프라 및 디지

    털 융합 인프라 구축과 대외적인 ICT 국제협력을 강

    화하여 국가의 경쟁력과 국제적 거버넌스 능력을 신

    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또한 국가 정보화 정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제2절 추진성과

    지난 1년간 우리나라 정보화 부문의 가장 대표적

    인 성과는 전자정부 세계 1위라는 대외적 성과뿐만

    아니라 국민 생활의 스마트화, 지식정부 가속화, 빅

    데이터와 공공정보 활용, 신뢰와 안전의 정보사회 기

    틀 마련, 전자정부 해외 수출 및 국제협력이라고 할

    수 있다.

    1. 국민 생활의 스마트화

    초고속인터넷, 무선인터넷, IPTV, 스마트폰 등 스

    마트 미디어의 대중화에 이어 2012년부터는 와이브로

    (Wibro)의 전국 확대와 LTE 상용서비스 개시 등을 통

    해 본격적인 4G 시대로의 전환이 시작되었으며, 대외

    적으로는 스마트폰의 세계시장 점유율과 스마트 TV

    의 세계시장 진출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아울러 국민들의 정부 서비스에 대한 이용률도 꾸

    준히 증가하고 있다. 정부 전자민원서비스는 2002년

    11월부터 시작하여 2013년 6월 현재 인터넷으로

    5,000여 종의 법정 민원사무에 대한 안내, 3,000여

    종 민원에 대한 신청, 1,200여 종의 민원에 대한 인터

    넷 열람 및 인터넷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등록

    증 진위 확인 및 인감증명 발급 사실 확인 등 7종의 부

    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전자지불, 민원발급

    등 4종에 대해 전자민원 공통서비스(Shared Service)

    를 제공하고 있다. 2005년 7월부터 주민등록등(초)본

    인터넷 발급 수수료를 무료화하고 어디서나 민원처리

    서비스를 민원24를 통해 개시한 이후 서비스 이용량

    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9년 보편적 서비스

    사업(‘웹 표준화 및 웹 접근성’ 강화 사업)을 통해, 익

    스플로어뿐만 아니라 다른 브라우저에서도 동일한 서

    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장애인, 노약자) 제한이나 전

    문능력 없이도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표 1-1-2-1 이동통신사업자 트래픽 증가 추이 (단위 : TB)

    구분 2010.12 2011.1 2011.3 2011.6 2011.9 2011.12 2012.3 2012.6 2012.9 2012.12

    합계 4,372 5,463 6,111 6,795 7,540 9,224 10,132 12,105 13,473 14,179

    출처 방송통신위원회 데이터트래픽전담반 자료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021

    제1장 | 추진성과

    2. 지식정부로의 가속화

    정보환경의 변화와 수요의 다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의 전자정부는 초기의 웹기반 서비스에서 모바일 정

    부, 플랫폼(Platform) 정부에 이어 정부 3.0 서비스로

    거듭나고 있다. 모바일 정부와 플랫폼 정부가 서비스

    의 기술적 다변화를 강조한 것이라면, 2013년부터 본

    격화되고 있는 정부 3.0 서비스는 이제까지의 전자정

    부 서비스가 내세운 정부 업무의 효율성과 대민 서비

    스의 확대라는 가치를 좀 더 심화·발전시킨 것이라

    고 평가할 수 있다.

    그림 1-1-2-1 정부 3.0의 비전과 중점 추진 과제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일자리·신성장동력 창출

    서비스 정부

    유능한 정부투명한 정부

    개 방 공 유 소 통 협 력

    국민 모두가 행복한 대한민국국민 모두가 행복한 대한민국

    목표

    비전

    전략

    가치

    전자문서 유통률, 세금에 대한 전자신고율, 민원 서

    비스 이용률 등이 100%가 되어가는 상황에서 우리나

    라 행정과 민원의 전자화와 온라인화는 완성 단계라

    고 평가할 수 있다. 이미 UN, EU, 가트너 등의 주요

    전자정부 평가기관에서는 전자정부 서비스의 최고 단

    계에서 중요한 가치를 통합·개인화 서비스·가치 창

    출로 규정하고 있는 바,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정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우리나라 또한 기관간 경계

    없는 서비스, 공공영역과 민간 서비스를 융합한 수요

    자 중심의 통합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실질적인 만

    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절실하게 되었

    다. 이에 더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와 빅데이터 등 새로

    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신기술의 적극적인 도입 또

    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정부는 이미 유선 전자정부 서비스를 모바일 환경

    에 맞게 디자인하고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 2011년에는 총 23종, 2012년에는 총 20

    종의 모바일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모바일 전자

    정부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공공 모바일 서비스의 안

    전한 배포 및 지속적 관리를 실시함으로써 대국민 신

    뢰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3년에 제시한 정

    부 3.0은 소통하는 정부, 일 잘하는 유능한 정부, 국

    민 중심의 서비스 정부를 통해 이제까지의 전자정부

    패러다임을 진일보시킬 수 있는 지식정부로의 가속화

    노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3. 공공정보 활용 기반 마련

    데이터가 자산이 되는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면서

    융합 지식 창출을 통한 정부 운영 효율화 및 투명성 제

    고, 맞춤형 국민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 다수 국가들도 적

    극적으로 오픈 데이터 정책에 참여하고 있으며 미래

    의 국가 경쟁력은 빅데이터 활용에 달려 있다는 예견

    은 이미 2010년부터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빅데이

    터 활용을 위해서는 ‘공공정보 민간활용 촉진 종합계

    획’(2010.3)과 같이 공공 데이터의 민간 활용을 위한

  • 제1편 | 국가정보화 추진현황 및 성과

    022

    정부의 노력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공공정보 개방이 이루어져 공공기관이 이용자에게

    정보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제공받은 정보

    를 상업적·비영리적으로 이용할 권한을 부여하는 서

    비스가 활성화되어야 진정한 빅데이터의 시대가 도래

    할 수 있는 것이다. 정부는 2012년 6월 빅데이터 서

    비스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2012년 8월에 빅데이

    터 포럼을 출범시켰으며, 2012년부터 진행되는 국가

    지식정보자원관리 3단계 계획을 통해서는 2016년까

    지 공공지식정보의 민간 개방을 촉진하여 관련 산업

    을 육성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방향을

    정립하였다.

    2013년 현재 우리나라는 27개 공공기관에서 9,500

    여 건의 공공정보를 개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보

    다 2년 앞서 서비스를 시작한 미국의 경우에는 172개

    기관에서 40여 만 건의 데이터셋(Dataset)을 제공하

    고 있다. 재난 방지, 테러 감지 등의 국가 안보 분야

    와 국가 경제, 의료 및 과학 기술, 교통·항만 등의 국

    가 인프라 혁신을 위해 빅데이터는 다양하게 활용되

    고 있는데,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인력 양성 및 재

    표 1-1-2-2 기관별 공공정보 개방 현황

    연번 제공기관 서비스명 세부 기능(서비스 개수)

    계 126

    1서울시

    버스 실시간 운행정보 서비스 정류소별 버스도착정보, 노선정보, 환승정보 등 실시간 운행정보 7개 서비스

    2 보육시설 서비스 우리동네 보육시설정보, 보육정보, 보육비 현황, 입소 신청 등 4개 서비스

    3 경기도 버스 실시간 운행정보 서비스정류소별 버스도착정보, 노선정보, 환승정보, 버스위치정보 등 실시간 운행정보 18개 서비스

    4 안전행정부공공 취업서비스

    안전행정부 나라일터 시스템에서 취합한 공공기관 채용 정보조회, 취업정보 등록/수정/삭제 등 4개 서비스

    5 문화재청 문화재 서비스문화재 통계서비스, 지역별/시대별/종목별 문화재서비스(종목, 명칭, 수량/면적, 지정일, 소재지, 시대, 설명 등) 4개

    6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안전정보 서비스농수축산물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농산물의 안전 및 품질에 관한 정보(농약정보, 구제역정보, 식품첨가물 등) 33개

    7 기상청 방재 기상정보 서비스기상관측소가 없는 곳에 설치되어 국지적인 위험기상 현상을 감시하는 기상관측장비(AWS) 자료, 산업기상(농업시설, 농약살포지수 등), 생활기상지수(식중독지수, 부패지수 등) 등 9개 서비스

    8 문화체육관광부 공연·전시 서비스 국내 문화 관련 공연/전시/행사정보, 티켓할인정보 등 7개 서비스

    9 우정사업본부우편번호·택배 조회

    서비스우정사업본부가 관리하고 있는 우편번호 조회, 우편물종적 조회 등 9개 서비스

    10 식품의약품안전처 위해식품 서비스의약품에 대한 인허가 정보, 부적합 식품 정보 등 식품 안전과 관련된 정보 10개 서비스

    11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제안 신청 서비스 국민신문고의 민원신청, 국민제안 신청, 나의민원서비스 등 10개 서비스

    12 법제처 생활법령 검색 서비스 생활법령조회, 생활법령 백문백답 조회, 판례 등 5개 서비스

    13 국회도서관 학술자료원문조회 서비스 국회도서관의 서지정보 조회 등 6개 서비스

    출처 통계청, e-나라지표, 2013. 4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023

    제1장 | 추진성과

    교육, 법제도 개선, 기술 개발 등도 더욱 요구되고 있

    는 상황이다.

    4. 신뢰와 안전의 정보사회 기틀 마련

    사이버테러, 해킹 등을 통한 개인정보 보호 문제는

    ICT가 사회 속에 확산되는 만큼 중요한 대응과제로 제

    시된다. 정부는 미래 정보사회에 대비한 국가정보화

    법제도 및 추진체계를 정비하면서 개인정보 보호 제

    도의 조기 정착을 추진하고, 정보 보호 관리 기반을 강

    화하였다. 특히 보안서버의 지속적 보급 확대를 통해

    안전한 전자거래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스마트 안

    전을 위한 스마트 복지 활성화와 소외 계층에 대한 시

    민의식 교육, 취업 기회 제공, 사회적 기업 지원과의

    연계를 통해 정보화의 역기능에 대응하면서 사회통합

    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정보격차 해소 부문에서는 스마트 환경에서의 정

    보격차로 인해 기존 취약 계층을 포함한 정보 격차

    해소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제시되었다. 일반 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의

    26%, 스마트폰 보유율은 일반 국민(40%)의 22% 수준

    (8.6% 보유)으로 스마트 기기의 급속한 확산에도 불

    구하고 무관심과 소극적 이용계층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사회통합을 위해 일상에서 이

    용할 기회와 자원의 균등한 배분의 관점에서 모든 사

    람에게 기회의 균형적 배분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주

    력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기기와 인프라의 발달은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는 반면 인터넷중독과 같은 역기능이 발생하

    기도 한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는 인터넷중독

    의 심각성과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를 위한 계획을 검토하였으

    며, 인터넷중독 예방 교육, 인터넷중독 상담 치료 등

    6개 세부 추진 과제를 확정하고 시행하도록 하였다.

    세부과제는 예방교육, 상담치료, 전문인력, 법제도 개

    표 1-1-2-3 정부민원포털 민원24 서비스 이용 민원 처리건수

    구분2009 상반기

    2009 하반기

    2010 상반기

    2010 하반기

    2011 상반기

    2011 하반기

    2012 상반기

    2012 하반기

    2013 상반기

    신청건수 13,385 12,326 16,417 14,872 19,870 18,712 24,002 22,334 28,937

    발급건수 8,892 7,353 11,020 10,086 14,784 13,460 20,383 16,300 22,138

    열람건수 1,656 2,288 2,638 2,625 2,804 3,145 3,319 3,888 4,404

    출처 통계청, e-나라지표

    그림 1-1-2-2 스마트복지 10대 과제

    IT기반 복지전달의 고도화, IT기반 사회통합의 고도화배경

    돌봄(care) IT

    맞춤전략

    5대중점과제

    신기술 기반

    정보격차

    선제적 대응

    소셜미디어

    플랫폼

    구축 및 확산

    전자바우처를

    통한 복지

    서비스 확대

    생애관리의

    범부처 연계

    사업화

    민관공동

    자원봉사자

    매칭

    5대주요과제

    • 사회복지 통합망의 대국민 포털과 DW연계, 복지 관련 비영리 조직 클라우딩 컴퓨팅

    • 복지서비스 시행검증 시스템 구축, 복지플래너 복지컨설팅 모델 개발 지원

    •학습 복지를 위한 open University 전 국민 접근성 강화

    출처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국가정보화로 만드는 스마트 대한민국, 2013. 2

  • 제1편 | 국가정보화 추진현황 및 성과

    024

    선, 정책 효과성 제고, 민관 협력 강화 등 6개 분야에

    서 총 53개의 정책과제로 구성되었으며, 부처간 협의

    를 통한 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강조하였다.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차세대 전자

    정부 추진계획 내에 지능화·대형화되는 사이버 위협

    에 대비하는 동시에 안전한 서비스를 위한 전자정부

    인프라 구현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사이버범죄 발생

    건수는 2001년 3만 3,289건에서 2011년 11만 6,961건

    으로 약 351% 증가하였으며, 검거 건수는 2001년 2

    만 2,693건에서 2011년 9만 1,496건으로 약 403% 증

    가하였다.

    경찰청의 단속 강화 결과, 가파른 상승 추세에 있던

    사이버 범죄 발생 건수가 2010년부터는 다소 감소하

    고 있는 상황인데, 사이버 범죄에 대한 적시 대응을 위

    해 전국 지방경찰청에 사이버 범죄 수사대를 설치하

    고, 전국 234개 경찰서에 일반적인 유형의 사이버 범

    죄 대응을 위한 사이버수사전담반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민간 IT 전문가 수사인력 영입을 위한 사이버 특

    채 제도 실시, 24시간 사이버 범죄 전문 전화 민원상

    담 및 인터넷 신고 접수 시스템 운영, 초국경적 범죄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며, 시

    의적절하고 효과적인 범죄 단속을 위해 사이버폭력,

    음란물, 쇼핑몰 사기, 모바일스팸 등 시기별 기획수사

    를 실시하고 있다.

    5. 전자정부 해외 수출 및 국제협력

    우리나라의 전자정부는 세계 최고의 전자정부 서비

    스를 통해 일 잘하는 지식정부로 도약하고 있다. 그 결

    과 전자정부 수출의 비약적 증대 및 중소기업 ICT 생

    그림 1-1-2-4 사이버 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

    90

    85

    80

    75

    (건수) (검거율, %)

    200,000

    150,000

    100,000

    50,00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검거율 발생건수 검거건수

    출처 통계청, e-나라지표

    그림 1-1-2-3 인터넷중독 현황

    만 9세~49세 PC기반 만 5~49세 PC기반및 스마트기기 기반

    9.2 8.8 8.0 7.7 7.2

    인터넷중독률 고위험잠재적위험

    1.7

    7.5

    1.6

    7.2

    1.5

    6.5

    2006년 2008년 2010년 2011년 2012년

    6.0

    1.7

    5.7

    1.5

    출처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2년 인터넷중독실태조사, 2013.6

    그림 1-1-2-5 전자정부 수출 실적 (단위 : 만불)

    104,350

    9822,732

    6,670

    14,876

    23,566

    34,032

    10 5 85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도별 전자정부 수출액

    출처 안전행정부

  •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025

    제1장 | 추진성과

    산액 100조 원 돌파로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한

    편 「개인정보보호법」 제정 및 정보 보호 관리 체계 정

    비를 통해 신뢰와 안전의 정보 사회 기틀을 마련하였

    으며,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강화로 일반 국민과의 정

    보 격차를 감소시키는 등 정보화를 통한 사회통합을

    추진하였다. 특히 전자정부 해외 수출의 경우 2011년

    (2억 3,566만 불) 대비 44% 증가한 3억 4,032만 불

    을 달성했는데, 2002년만 해도 10만 불에 불과하던

    전자정부 수출이 2010년 1억 5,000만 불, 2011년 2

    억 4,000만 불, 2012년 3억 4,000만 불 등 매년 급

    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는 UN 전자정부 평가 2회 연

    속 1위에 따라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국제적 위상이 강

    화되고, ICT 기업들의 적극적인 해외시장 공략과 정

    부의 수출 지원 노력 등이 어우러져 이루어낸 결과라

    고 볼 수 있다.

    2012년 전자정부 수출의 특징을 보면 조달, 통관 등

    전통적인 수출 효자 종목 이외에도 정부행정망, 전자

    주민증, 교통, 재난관리 등으로 수출 품목이 다양화되

    고 있을 뿐 아니라, 수출국가와 지역도 기존의 동남아

    시아 중심(2011, 59.4% 차지)에서 2012년에는 아프리

    카(31%), 서남아시아(28%), 동남아시아(19%), 중남미

    (11%), 중앙아시아(8%), 중동(3%) 등 전 세계 공공행

    정시장으로 다변화되고 있다.

    또한 국내 ICT 기업들의 국제경쟁력이 높아짐에 따

    라 다국적 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한 수입국 자체재원

    사업 및 국제기구사업 수주가 대폭 증가한 것도 큰 특

    징이다. 주요 수출 내용을 보면, 아프가니스탄 전자주

    민증사업(4,500만 불), 말리 통신청 정부행정망사업

    (3,570만 불), 탄자니아 전자통관시스템사업(1,961만

    불), 리비아 공항시스템사업(2,000만 불) 등이 있다.

    표 1-1-2-4 전자정부 수출 세부 내역(2012)

    사업명 대상국가 금액(만불)

    합 계 34,032

    1 통신청 정부행정망 말리 3,570

    2 정부보안관제센터 모로코 7

    3 주소등록정보시스템 아제르바이잔 100

    4 e-NID(전자주민증발급) 아프가니스탄 4,500

    5 법인등록 및 인허가 시스템 바레인 800

    6 한국형 첨단교육시스템 몽골, 필리핀 200

    7 Jazan대학 E-learning ISP 사우디아라비아 50

    8 우편물류 유상유지보수 카자흐스탄 20

    9 재무부 정보화교육센터 스리랑카 300

    10 전자조달 유지보수 코스타리카 84

    11 다낭시 전자정부시스템 베트남 500

    12 지진재난경보시스템 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