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2 기구감염관리

3
1. 목 의료기관 감염발생의 위험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지침에 따른 효과적인 감염관리 활 동을 수행한다. 2. 정 가. 기도 흡인 관리를 한다. 나. 방광내 유치 도뇨관을 관리한다. 다. 말초정맥관을 관리한다. 라. 중심정맥관을 관리한다. 3. 절 가. 환경관리 1) 세면 시설에는 손소독제와 일회용종이 타올 또는 핸드 드라이어가 구비되어야 한다. 나. 기도 흡인 흡입시간을 초 이내 총 흡인시간을 분 이내로 한다 : 10-15 , 5 . 1) 처치 전 반드시 손위생을 수행한다. 2) 환자에게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3) 소독 카테타와 멸균 생리식염수를 준비한다. 4) 흡인기계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5) 장갑을 착용한다. 6) 적절한 압력 으로 부드럽게 흡인한다 (80-120mmHg) . 7) 흡인이 끝나면 카테타를 제거한다. 8) 카테타는 매회 교환을 원칙으로 한다. 9) 흡인기계를 끄고 손 위생을 수행한다. 다. 유치 도뇨관 관리 1) 손 위생을 수행하고 도뇨관 삽입 시 무균적으로 삽입하고 유지한다. 기구감염관리 10.2.2 2013-07-15 관련근거 인증평가 기준 (Standard): 10.2.2 2013-08-01 담당부서 간호과 검토 책임자 경영위원회 검토주기 2 승인 책임자 병원장 검토 예정일 2015-07-01

Transcript of 10.2.2 기구감염관리

Page 1: 10.2.2 기구감염관리

1. 목 적

의료기관 감염발생의 위험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지침에 따른 효과적인 감염관리 활

동을 수행한다.

2. 정 책

가. 기도 흡인 관리를 한다.

나. 방광내 유치 도뇨관을 관리한다.

다. 말초정맥관을 관리한다.

라. 중심정맥관을 관리한다.

3. 절 차

가. 환경관리

1) 세면 시설에는 손소독제와 일회용종이 타올 또는 핸드 드라이어가 구비되어야 한다.

나. 기도 흡인 흡입시간을 초 이내 총 흡인시간을 분 이내로 한다: 10-15 , 5 .

1) 처치 전 반드시 손위생을 수행한다.

2) 환자에게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3) 소독 카테타와 멸균 생리식염수를 준비한다.

4) 흡인기계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5) 장갑을 착용한다.

6) 적절한 압력 으로 부드럽게 흡인한다(80-120mmHg) .

7) 흡인이 끝나면 카테타를 제거한다.

8) 카테타는 매회 교환을 원칙으로 한다.

9) 흡인기계를 끄고 손 위생을 수행한다.

다. 유치 도뇨관 관리

1) 손 위생을 수행하고 도뇨관 삽입 시 무균적으로 삽입하고 유지한다.

기구감염관리10.2.2

제 정 일 2013-07-15 관 련 근 거 인증평가 기준(Standard): 10.2.2

시 행 일 2013-08-01담 당 부 서 간호과

개 정 일검토 책임자 경영위원회

검 토 주 기 년2

승인 책임자 병원장검토 예정일 2015-07-01

Page 2: 10.2.2 기구감염관리

2) 도뇨관 삽입 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3) 소변 백을 침상아래에 고정하고 항상 방광위치보다 낮게 유지하고 꼬이지 않게

주의한다.

4) 소변 백은 시간마다 용기를 비우고 환자마다 개별적으로 소변기를 사용한다8 .

5) 소변 검체취 시에는 무균 적으로 체취하고 를 알콜 솜으로 닦은 후 멸균sample port

주사기를 이용한다.

6) 다량의 검체가 필요 한 경우에는 소변 백에서 무균으로 채취한다.

7) 받은 소변은 실내에서 시간 이상방치 할 경우 세균수가 증가하므로 가능한 빨리2

진단검사팀으로 보낸다.

라. 말초정맥류관리

1) 손 위생을 수행하고 투약카드와 비교하여 정확한 수액과 약을 준비한다.

2) 라벨에 환자이름. 등록번호 혼합약물. 용량 투여시간. 을 적어 수액 팩에 붙인다.

3) 주사부위를 알콜 솜으로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며 닦고 무균술을 적용하여 주

사바늘을 삽입한다.

4) 삽입부위를 고정하고 삽입날짜 시간 바늘의 크기를 기록한다. .

5) 수액속도를 조절하고 수액 세트에도 날짜를 기록한다.

6) 정맥염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시간 마다 카테터를 교환한다48-72 .

7) 말초정맥삽입부위에 발적 부종 삼출물이 있는지 매 근무마다 관찰한다. . .

8) 카테터가 막혔을 시 주사기를 사용하여 수액을 강제로 밀어 넣지 않는다.

9) 주사약은 미리 준비하지 않고 시술시 바로 준비한다.

마. 중심정맥관을 삽입하고 내원한 환자 관리방법

본원에서는 중심정맥관을 삽입하지는 않습니다( .)

1) 꼭 필요한 기간만 삽입하고 불 필요시 제거 한다.

2) 근무마다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 의사 시행일자 건조 상태 부착상태 발적 부종 삼출, , , , ,

물 여부를 확인한다.

3) 제거하지 않을 경우 시간마다 멸균 드레싱을 한다48-72 .

4) 연결부튜브의 교환이나 수액세트 등은 시간마다 교환한다 교환 시 무균 술을.CAP 48-72 .

지키도록 한다.

5)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이 의심되거나 카테타의 유지 필요성이 사라지면 즉시 제거한다.

6) 카테터 관련 감염예방 목적으로 중심 정맥관을 교환하지 않는다.

Page 3: 10.2.2 기구감염관리

검토 및 승인책임자 병원장( ) :

서 명 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