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9
www.keca.or.kr 46 기고 1 1 기고 1● 뇌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김 동 진∙여 인 식∙이 기 식 단국대학교 교수 전기설비 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KS C IEC 62305에 의해 서지보호기 설치는 더 이상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사항 되었다. KS C IEC 62305-4에 의거, 규정에 맞는 등급을 설치하고 설치 후에도 정 기적으로 검사와 유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설치되고 있는 서지보호 기는 사용자가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설치 후에도 서지의 유입 경 파악을 없어 정확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SPD의 특성 변화를 파악 없어 교체시기 예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SPD의 잔 수명을 예상할 없어 유지보수에 많은 인력과 비용,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 이다. 이로 인해 과다 서지보호기 설계가 이루어지거나 적절치 못한 내부 뇌 보호 시 스템을 수립하게 되어 기기보호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장시기를 예측하고 판단하는 기술 및 SPD의 특성 경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서지의 발생 시기, 크기, 유입 경로 등의 데이터의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고장유무 파악, 정확한 원인 분석을 통해 능동적 대책마련과 규정에 맞는 경제적인 검사 및 유지 보수를 가능케 하도록 계통에 유입되는 서지전 류와 유입횟수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보호소자(바리스터)의 상태측정을 연구하여 전 력계통 및 중요 보호기기의 효율적 적용 및 유지관리에 실질적 도움이 되고자 한다. 2. 본론 2.1 현 서지 보호기술 문제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서지보호기술은 설치 후에도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첫째, 정상 동작 상태 확인이 불가능하다. 현 서지보호기 기술의 고장 여부 판단은 퓨즈의 특성을 이용한 방식이다. 고장유무는 서지보호소자 중 하나인 MOV(Metal Oxide Varistor)의 수명이 다하는 것을 LAMP를 통해 알리는 것이다. 그러나 80% 이 상이 퓨즈와 MOV의 파손으로 고장이라 판단되고 이를 LAMP를 통한 고장 경고를 알림으로 인해 고장 판단의 신뢰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서지 피해 발생 시 사용자는 제품의 정상적인 동작 상태 파악이 어렵다. 둘째, 서지보호기로 들어오는 서지의 특성을 파악 없다. 침입하는 서지의 크 기, 시기, 유입경로 등을 없어 SPD의 특성 변화를 없다. 따라서 문제 발 생 시 정확한 원인 분석과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할 수 없다. 셋째,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서지보호기의 검사 유지 관리가 어렵다. 서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단지 횟수만 카운터 가능하여 유지, 보수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든다. 또한 서지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으므로 규격에 맞는 설치를 했 는지의 적합성을 알 수 없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Transcript of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Page 1: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 단국대학교교수 전기설비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www.keca.or.kr46

기고1

1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단국 학교교수

전기설비 2009/1 47

Varistor기고2

1. 서론

KS C IEC 62305에 의해 서지보호기 설치는 더 이상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사항

이 되었다. KS C IEC 62305-4에 의거, 규정에 맞는 등급을 설치하고 설치 후에도 정

기적으로 검사와 유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설치되고 있는 서지보호

기는 사용자가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설치 후에도 서지의 유입 경

로 파악을 할 수 없어 정확한 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SPD의 특성 변화를 파악 할 수 없어 교체시기 예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SPD의 잔

여 수명을 예상할 수 없어 유지보수에 많은 인력과 비용,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

이다. 이로 인해 과다 서지보호기 설계가 이루어지거나 적절치 못한 내부 뇌 보호 시

스템을 수립하게 되어 기기보호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장시기를 예측하고 판단하는 기술 및 SPD의 특성 경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서지의 발생 시기, 크기, 유입 경로 등의 데이터의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고장유무 파악, 정확한 원인 분석을 통해 능동적 책마련과

규정에 맞는 경제적인 검사 및 유지 보수를 가능케 하도록 계통에 유입되는 서지전

류와 유입횟수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보호소자(바리스터)의 상태측정을 연구하여 전

력계통 및 중요 보호기기의 효율적 적용 및 유지관리에 실질적 도움이 되고자 한다.

2. 본론

2.1 현 서지 보호기술 문제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서지보호기술은 설치 후에도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첫째, 정상 동작 상태 확인이 불가능하다. 현 서지보호기 기술의 고장 여부 판단은

퓨즈의 특성을 이용한 방식이다. 고장유무는 서지보호소자 중 하나인 MOV(Metal

Oxide Varistor)의 수명이 다하는 것을 LAMP를 통해 알리는 것이다. 그러나 80% 이

상이 퓨즈와 MOV의 파손으로 고장이라 판단되고 이를 LAMP를 통한 고장 경고를

알림으로 인해 고장 판단의 신뢰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서지 피해 발생 시 사용자는

제품의 정상적인 동작 상태 파악이 어렵다.

둘째, 서지보호기로 들어오는 서지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없다. 침입하는 서지의 크

기, 시기, 유입경로 등을 알 수 없어 SPD의 특성 변화를 알 수 없다. 따라서 문제 발

생 시 정확한 원인 분석과 효과적인 책을 수립할 수 없다.

셋째,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서지보호기의 검사 및 유지 관리가 어렵다. 서지 유

입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단지 횟수만 카운터 가능하여 유지, 보수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든다. 또한 서지에 한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으므로 규격에 맞는 설치를 했

는지의 적합성을 알 수 없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현대 산업에서 정밀기기와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뇌 보호 관련 규정이 KS C IEC 62305로 개정되면서 선택사항에 불과했던 내부 뇌 보호 시스템 서지보호기

(SPD)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서지보호기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많

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서지보호기를 설치 후 제대로 작동 하는지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단지 낙뢰

가 몇 번 유입되었는지의 카운터 기능의 시각적 판단만 가능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지보호기의 특성 변

화 파악이 불가능하다. 설치 후 제 성능을 얼마나 발휘하는 가를 알 수 없고 LAMP에 의해 SPD의 소손 여부

만을 판단할 수 있어 SPD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보호기에 유입되는

서지크기, 유입경로 및 횟수를 통한 서지보호소자의 성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가능케 하여 바람직한 서지보호

및 적용이 가능토록 하고자 한다.

Page 2: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 단국대학교교수 전기설비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전기설비 2009/1 49

Varistor

서 자체적으로 보호한다. 보호부분은 모듈형으로 제작하여 서지보호기 손상 시 모듈

만 교체 가능하여 유지 보수에 경제적이다. 그리고 후단에는 감지기 기능을 하는

MCU(Micro Control Unit)를 장착하여 서지에 한 특성파악과 소자 상태를 확인하

여 고장 여부를 LCD 패널을 통해 보여주어 사용자가 쉽게 판단 할 수 있게 한다.

SPDM도 원격 감시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여 수신기를 중앙에 설치하여 고장

여부를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각 수배전반에 수신기(e-MOSSI

System)를 설치하여 차후 서지에 한 정보 뿐 아니라 전력품질을 감시,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기존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수신기와 수신기를 연결하여 전국의 서지보호

시스템을 감시하는 것으로 확장할 수 있다.

2.2.2 서지 상태측정 기술

서지 상태측정 기술은 첫째, 서지보호시스템 고장예측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기존

기술은 서지보호소자 MOV 손상 시 전류가 도통되어 퓨즈(Fuse)의 손상으로 고장유

무를 판단하 다. 그런데 퓨즈가 불량이어도 서지보호기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 80%이상으로 신뢰도는 현저히 낮다.

이것을 서지 상태측정 기술을 통해 MOV 소자는 특성에 따라 일정량의 전류 값을

발생시킨다. 이 전류 값을 고장판단, 회로에 통과시켜 소자의 잔여수명을 측정하는

www.keca.or.kr48

기고1

실제 적용되어지고 있는 서지보호기는 카운터내장 된 것으로 서지의 종류를 판단

및 구분하지 못하므로 실제적으로 서지 양(10, 15, 20, 25kA등)및 유입시기, 횟수 등

의 구분이 필요하며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2.2 서지 양과 횟수에 따른 varistor 성능 측정

서지보호기의 중요소자인 바리스터는 서지의 유입에 의한 그 양과 횟수에 따라 소

자의 성능이 저하되어 보호 상이 되는 주요 기기 또는 회로를 보호하는데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서지보호기의 보호소자인 바리스터의 성능을 유지하려면 서지 양과

횟수에 따른 적절한 교체가 바람직하다.

2.2.1 서지 상태측정기의 구성

서지보호기(SPD)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는 모듈(Module)과 SPDM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Module은 단지 유입되는 서지에 한 데

이터 축적이 가능하여 이 자료를 수신기에 전

달한다. 이 방법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서지보

호기를 교체 할 수 없기 때문에 모듈기능을

추가하는 것으로 LCD 패널을 장착하여 간편

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돕는다.

SPDM은 Protection Part(보호부분)와

Detection Part(감지기 부분)로 구분한다. 기기에 위험을 초래하는 서지는 보호부분에

[그림 1] 모듈방식을 활용한 서지보호기

[그림 2] SPDM 개략도

구 분 고장예측 감시 회로

기존

기술

개발된 기술

[그림 3] 고장 예측 감시회로

Detection Part

FUSE

VARISTOR

leak

0_leak

OP-AMP

N

G

R S R

OP-AMP

FUSE FUSE

Protect to Class 2(8/㎲)Respones Time : <25nsec)Maximum Curet : 120kA

Converter Compare

Urnormalwave Slames

FREquencySampling

Maximum current : 10kAResponse Time : <1nsec

확장 port

Protection part1

Data Line protect

AC Power

Other DigitalDevice

PC

Alarm LEDDisplay

Page 3: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 단국대학교교수 전기설비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전기설비 2009/1 51

Varistor

2.2.3 varistor 성능에 관한 실험 결과

기존 서지보호기는 서지에 노출되는 경우, 절연특성이 매우 느리게 변화하며, 어느

순간에 급격히 나빠지기 때문에 보호기의 교체 유무 판단이 매우 힘들었다. 그 이유는

비선형 특성을 가진 서지보호기의 주요 소자인 MOV가 비선형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지보호기의 수명 진단을 위해 유입 서지 크기와 횟수에 따라

MOV 소자의 클램핑 전압의 한계점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여 교체 시점을 정하 다.

실험에 사용한 MOV는 34S111K로 Clamping voltage는 400V, Max. Peak current는

8/20의 10kA로 10kA, 15kA, 20kA, 25kA의 서지를 가한 후 MOV 클램핑 전압의 소

손 한계점을 측정하 다.

실험결과, 유입된 서지가 해당 MOV소자의 Peak current 이상 시, MOV가 급격히

열화가 되어 소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지 유입 횟수와 양에 의해 MOV

소자의 소손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SPD의 잔존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www.keca.or.kr50

기고1

것이다. 따라서 보호소자 잔여수명, 특성 잔존상태 파악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쉽게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특성 전류 값을 외부에서 측정할 시에는 내부

뇌 보호 시스템을 점검하는 계측기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서지 측정회로 기술로 서지 침입횟수, 침입크기, 시간, 유입경로, 잔여수명 파

악, 동작상태 측정, 침입경로 파악, 침입시간 측정 등이 가능하다. 기존기술은 R, S,

T상에 각각 소세력센싱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서지의 횟수만 측정 가능하

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지 크기 측정이 불가능한 기술이다. 그러나 서지 상태

측정기술은 MCU(Micro Control Unit)소자를 사용하여 유입되는 서지에 한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터를 축적,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초단위로 유입되는 서지의 피크전압을 필요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서지 클램핑 강제방전회로를 구성한다. 이것은 서지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

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차후 서지에 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접지선

을 통하여 서지가 반동되었는지 전력선을 통한 유입인지 등 서지 유입 경로를 파악

할 수 있어 서지에 의한 피해를 능동적으로 처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네트워크와 PC를 연결하여 중앙 감시제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

다. 고성능 MCU 사용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를 중앙으로 전송

하여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전력품질을 체크할 수 있다. 정 기기의 사용

증가로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재, 고가의 전력감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는 건축물 또는 설비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소형 제작을 하여 아주 작은 공간

만이 요구될 수 있게 경제적, 공간적으로 이점이 있도록 한다.

구 분 서지 측정 회로

기존기술

개발된 기술

[그림 4] 서지 측정회로

규격별

인가서지

Varistor 소손 한계점 (횟수)

1Type 2Type 3Type 4Type 5Type

1군 10kA 490 530 350 380 440

2군 15kA 400 440 380 350 360

3군 20kA 140 130 102 180 150

4군 25kA 15 20 22 29 30

[표 1] 서지 양과 횟수에 따른 바리스터 성능 측정치

횟수

600

500

400

300

200

100

0

10kA 15kA 20kA 25kA

1Type

2Type

3Type

4Type

5Type

Page 4: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 단국대학교교수 전기설비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2기고2●조명제어시스템

전기설비 2009/1 53

기고2

www.keca.or.kr52

기고1

2.2.4 적용 시 파급효과

‘KS C IEC 62305'로 기술 단일화와 더불어 전력품질의 중요성이 두되고 있는 현

재, 서지양과 횟수에 따른 상태 측정기법은 경제적, 산업적, 기술적으로 파급 효과가

크다.

기술적으로는 MCU 소자 사용으로 서지측정기기, 전력품질 측정기기, 휴 용 SPD

동작상태 감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용화되면 고장유무 판단을 정확히 알 수 있

어 국내 서지 보호 시스템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경제적으로는 건물 내에 있는 SPD 유지 및 진단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획기

적으로 줄일 수 있다. 큰 기지국에는 배전반이 수십~수백 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전반 2차 보호를 위한 내부 뇌 보호 시스템인 SPD는 수십~수백 개가 들어간다.

많은 SPD를 현재는 일일이 검사하므로 소요시간 및 인력비용 많이 든다.

이런 문제점을 서지상태측정법으로 IT와 접목하여 중앙 감시 시스템이 된다면 획

기적으로 인적 자원 절감 효과를 가져 올 뿐 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법적 조항에 의무적으로 서지보호기를 설치해야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여 기술 문서를 작성해야 한다. 축적되는 데이터로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으며 고장 예측 및 잔존 수명 파악으로 고장에 따른 정확한 원인 파악과 능

동적인 책을 가능케 한다.

3. 결론

본 기고에서는 현재 설치되고 있는 서지보호기의 실제 적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한 해결방안으로 전력계통에 유입되는 서지 양과 유입횟수에 따른 바리스터 성능

에 관한 연구 및 서지 상태측정기술에 해 논하 다.

기존은 Fuse와 MOV 파손에 의한 LAMP 작동으로 고장유무의 판단 기술이었다.

이를 보호소자의 클램핑 전압 한계점을 서지 양과 횟수에 따라 성능이 급격히 저감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인해 소손여부 시점을 파악하여 SPD 수명이 예측 가능하다. 더불어 단순 서지

침입 횟수만을 알 수 있는 것에서 나아가 서지 침입크기, 시간, 유입경로, 동작 상태

등을 파악 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상황에 모듈방식과 SPDM 방식으로 선택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런 특성 등을 DB화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중앙감시를 가능케

하여 서지보호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효율적 관리할 수 있어 안정적인 내부 뇌 보

호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한승호∙최경식∙김성철한전전력연구원∙일진전기

조명제어란 인공조명기구의 출력 즉, 방사광속[lm]을 제어하

여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공간의 용도에 맞추어 밝기를 조절

함으로써 시각환경의 질을 조절하는 기능적/미관적 제어와, 필

요한 시간에만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조명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하는 에너지 절약적 제어가 있다. 에너지 절약적 제

어는 조명 시스템의 사용전력이나 사용시간을 줄임으로써 에너

지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

시켜 조명의 질을 유지하면서 최대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

명제어의 성공적 설치를 위해서는 실내 시작업 환경의 쾌적성

유지와 에너지사용 절약, 배선절약, 시공절약, 설계의 절약 등

을 고려해야 한다

Page 5: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 단국대학교교수 전기설비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전기설비 2009/1 55

멸제어방법에 비하여 작업 면에 급격한 조도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조광제어방법보다 설치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조광제어방법은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조명기구의 입력전력을 0~100%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

키는 방법으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여 작업에 필요한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면에 한 조도변화를 거의 인식하지 않게 하므로 공간에서의 쾌적

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점멸제어나 스텝제어방법보다 구성이 복잡하며, 고가의 가격으

로 고급 제어시스템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림 1]은 일반적인 제어시스템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어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제어부로부터 제어기로 연결되는 제어신호와 조명기구로 전달되는 전원공급의 형

태에 따라 제어방법이 구분된다.

2.2. 조명제어 실험조건

본 연구에서 상으로 한 사무공간의 개념도는 [그림 2]와 같으며, 실험실의 크기

는 4.9x6.4x2.4m^3 이고, 창문크기는 1.5x4.5m^2 이며 창문바닥높이는 0.9m, 창의 투과

율은 28%이다. 센서는 실 깊이의 2/3 지점(창으로부터 4.3m)의 천장에 설치하 다

[4, 5]. 작업면 조도 측정점은 실 중앙부 6점으로 설정하 다.

창의 투과율은 주간에 외부 수직면조도와 창면 안팎의 수직면 조도를 3회 측정하

여 평균값을 기준으로 산출하 으며, 표면 반사율 역시 야간에 수직, 수평면 조도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산출하 다.

www.keca.or.kr54

기고2

1. 서 론

한편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에너지의 부분은 해외로부터 수입되고 있는 화

석 및 원자력 연료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점차 높아지는 에너지 위기를 고려할

때 국내의 전력에너지 절약은 경제적인 효과 외에도 국가 에너지안보측면에서도 매

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전력소비자와 한전이 협력하여 전력수요관리(Demand Side

Management)를 수행한다.

국내 수요관리 목표량은 지난 2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상의 높은 수요관리 량을 유

지하는 수준으로 목표를 설정하 으며, 아울러 에너지 소비절감 차원에서 효율향상

에 한 사업비중을 크게 강화하여 2006년 12.9%에서 2020년 25.3%로 점유비율을 상

향 조정할 계획이다.

통상 항상 가동하는 전력기기가 아닌 경우, 이러한 효율향상 차원의 에너지절감 보

다는 불필요한 전력사용을 줄이는 에너지절약 차원의 절감이 더 효과적이다. 본 논

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2. 본 론

2.1. 조명제어 방법

외부로부터 자연채광의 변화에 따라 광센서에 의해 인공조명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점멸제어(On/Off Control), 스텝제어(Step Control), 조광제어(Dimming

Control)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점멸제어의 원리는 제어시스템의 제어부로부터 초기 입력된 조건에 따라 조명기구

의 작동을 결정하는 2진(0 또는 1)신호를 받아 조명기구의 입력전원을 점멸(On/Off)

한다. 조명점멸제어방법은 설치비용이 저렴하여 가장 경제적이며, 조명제어의 초기

형태로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명방법이다. 스텝제어방법은 조명기구의 출

력을 사전에 정해진 단계별 입력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점

구 분 2005(실적) 2010 2015 2017 2020

부하관리(가스냉방포함)

(4,420) 2,818 4,949 5,932 7,404

효율향상 (735) 1,004 2,334 2,825 3,521

신규개발 (1) 350 540 600 690

계-

(5,156)

4,172

(9,328)

7,823

(12,979)

9,357

(14,513)

11,615

(16,771)

[표 1] 전력수요관리 목표 [단위: MW]

* ( ) 내는 총 누계 수요관리 량

입력

(초기 데이터, 센스)

제어기

(제어/연산)

Actuator

(안정기)조명기구

입력 전원

입력 시그널 출력 시그널 전원 공급

[그림 1] 일반적인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

구분 실험조건

규모 4.9x6.4x2.4m^3

반사율 천장 80%, 벽 50%, 바닥 30%

창문크기 1.5(h)x4.5(w)m^2, 바닥높이 0.9m

창문투과율 28%

주광센서 4.3m (실 깊이의 2/3 지점)

작업면조도 내측창에서 0.8m 간격으로 중앙부 6개 지점

측정점높이 바닥으로부터 0.8m

[표 2] 실험실의 구성조건

Page 6: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 단국대학교교수 전기설비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전기설비 2009/1 57

[표 3]은 가을철 특정일(10월 11일) 오후2시의 실험치 이다. 동일시간의 실외조도

는 53,800[lux]로 부분담천공이었으며, 인공조명을 사용하지 않은 실내의 포인트별 조

도는 274[lux]에서 787[lux]로 나타났다. 이를 광센서를 통해 550[lux]인 평균작업면

조도로 유지토록 조광제어 하 을 때 소비전력은 226[W]이었다. 이는 45%의 전력절

감률이다.

또한 [표 5-2]는 10월 17일(12.9℃) 오후4시의 실험치이다. 동일시간의 실외조도는

65,100[lux]로 청천공에 해당되었으며, 인공조명을 사용하지 않은 실내의 포인트별 조

도는 310[lux]에서 712[lux]로 나타났다. 이를 광센서를 통해 550[lux]인 평균작업면

조도로 유지토록 조광제어 하 을 때 소비전력은 186[W]이었다. 이는 52%의 전력절

감률이다.

다음은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한 값들로부터 한달간 시간별 평균사용전력을 각 월

에 해 나타내고 이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광제어 전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고자

www.keca.or.kr56

기고2

본 연구에서 조도계는 8개를 설치(외부조도1, 작업면 조도6, 센서조도1) 하 으며,

작업면 조도는 실 중앙부 6개 지점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분석하 다. 실험기간은

2007년 10월 5일~ 11월 10일까지 약 1개월간 실시하 으며, 일반 작업시간 인 오전

9시~오후6시까지 매 60분 단위로 측정하 다.

다음은 실험실의 개념도 및 구성도이다.

실험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센서에서 평균

조도를 유지하며 일조환경에 따라 조광장치로 조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채택하 다.

각 위치의 조도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 3차원 입체 시뮬레이션을 하여 등조도선을

조명기구의 치와 함께 [그림 3]에 표현하 다.

2.3. 조명제어를 통한 전력절약

본 실험에서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환경과 조건에서 수행하 다.

[그림 2] 실험실 폐회로 제어시스템 개념도

설계 기준 조도

제어부 조광장치조명전원

자연량

작업면

광센서 조명기구

[그림 3] 시뮬레이션 결과 입체도

실외조도 [lux] 65,100

실내조도 [lux] 310 328 471 479 631 712

전력 [W]조광제어 전 조광제어 후 절감률

389 [W] 186 [W] 52%

[표 3] 10월 11일 14:00의 전력절감률

[표 4] 10월 17일 16:00의 전력절감률

실외조도[lux] 53,800

실내조도 [lux] 274 295 465 501 632 787

전력 [W]조광제어 전 조광제어 후 절감률

412 [W] 226 [W] 45%

[그림 4-1] 청천공의 조광제어 없는 경우

Page 7: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 단국대학교교수 전기설비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전기설비 2009/1 59www.keca.or.kr58

기고2

한다. 여기서 외기조건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맑은 날씨인 청천공과 약간 흐린날씨

인 담천공인 날들에 해 조광제어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림 4-2] 청천공의 조광제어를 한 경우

[그림 4] 조광제어 전후의 소비전력비교 1

[그림 5] 조광제어 전후의 소비전력비교 2

[그림 5-1] 부분담천공의 조광제어 없는 경우

[그림 5-2] 부분담천공의 조광제어를 한 경우

이상에서 청천공의 기상조건에서 최 부하 시간 에 하

절기 60�65.5%, 동절기 51�64%의 조명 소비전력이 줄어

든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은 부분적으로 흐린날들의 조광제어 시 소비전력에

해 알아보기로 한다.

이상에서 부분담천공시 최 부하 시간 에 하절기 27�

40%, 동절기 23�38%의 조명 소비전력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조명제어를 하 을 경우에 소비전력이

절약량이 통상의 효율향상에 의해 절감되는 수%에 비해

매우 큼을 알 수 있으며 일광까지 이용한 조광제어의 경

우는 청천공인 경우에 부분담천공인 경우보다 그 절약효

과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3. 결 론

이상과 같이 조명제어를 통하여 소비자의 사용전력을

절약하는 경우에 해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전기절약은

전력기기의 효율향상을 통한 전기절감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불필요한 조명을 억제함으로써 얻는 사용전력

저감이 매우 큰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사용자 임의로 전력스위치를 조절하여 절약을 하는 경

우에는 에너지 절약가능량을 계량화하기가 그리고 지속적

으로 수행되기가 매우 어렵고 국가적 지원제도를 만들어

가기도 힘들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제어시스템의 제어알고리즘이 특정

표준에 의해 정의되고 관리된다면 일관된 전력절약의 효

과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이러한 사업에

해 국가적 전력수요관리 차원에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age 8: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 단국대학교교수 전기설비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전기설비 2009/1 61

원자력법에 의해 채택 및 고시된 안전성 관련 KEPIC은 기자재 제작, 설치 및 검사

등에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향후 원전 2차 측에 관련된 KEPIC도 확 고시

예정이다. KEPIC의 개발이 착수 되고 지금까지 16년간 많은 개발 종사자 들이 심혈

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KEPIC의 적용범위가 크게 확 되었고, 이제 KEPIC의 품질

과 활용성에 관해 한전과 발전회사, 설계회사, 제작사, 시공회사 및 시험기관 등 각계

각층의 전력산업분야 종사자들로부터 두터운 신뢰와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KEPIC은 국내 여타 표준이 불특정 다수를 상으로 하는 것과는 달리 적용범위,

사용계층 및 지지계층이 보다 명확하고 산∙학∙연 등 각계에 두터운 전문가 인프라

를 확보하고 있으며, 최고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KEPIC 개발시스템은 인적 구성

및 운 측면에서 매우 정교하고 계획적이다.

WTO/TBT 무역협정 발효와 함께 IT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2000년 초기부

터는 누구나 할 것 없이 Globalization 시 에 살게 되었다. 오늘날의 Globalization 시

에서는 세계 도처에서 분야별 기술이 시시각각 변화하고, 새로운 기술이 경쟁적으

로 출현하여 세계 무역시장의 우위를 치열하게 자리다툼하는 상황이다. 한 마디로

무역전쟁이다. 세계 도처에서 몰려드는 무역 주체들이 자신이 개발한 우수한 기술의

요건을 담아 이를 표준(Standard)의 그릇으로 포장하여 경쟁자들과 각축을 벌이는

형상이다. 실로 치열한 전쟁이다. 최근에 국내외적으로 표준의 중요성이 급부상하여

강조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Globalization 시 에서 무역전쟁의 승리는 경쟁자마다

우수하고 차별화된 기술표준을 선점 확보하는 데에 있다.

KEPIC은 현재도 국내 전력산업계를 위한 표준으로서 사용자들로부터 더 큰 신뢰

와 폭넓은 활용을 확보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Globalization 시 에 걸 맞는 KEPIC으로 탈바꿈하기 위하여 새로운 도전에의 기회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www.keca.or.kr60

기고3

3기고3● KEPIC

이덕재한전기협회KEPIC처전기팀장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자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보수, 시험, 검사 등에 관하여 기술과 제도적인 요건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유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 최대규모의 민간단체표준이다.

1988년 KEPIC 개발에 관한 기본방향 수립 후, 1992년에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KEPIC 개발작업에 착수하였고 KEPIC 1995년판이 최초 제정되었다. 이후 KEPIC 2000년판과 2005년

판은 원자력과 화력 분야 외에 각각 송배전, 방사선 분야까지 확대하여 제정되었으며 5년 마다 발행되는

KEPIC판 사이에도 매년 추록을 발행하고 있고, 현재 KEPIC 2010년판의 발행을 추진 중에 있다. KEPIC

은 주로 IEEE,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1995년 발효된 WTO/TBT

협정에 순응하기 위하여 2002년 이후 KS에 대한 IEC 국제표준 부합화 작업이 한창 진행될 때, KEPIC에

대해서도 IEEE, ISA 등 참조표준과의 부합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완료된 상태이다.

Page 9: 1 · 2009-01-16 · 46 기고1 1 기고1 뇌보호시스템서지보호기 김동진∙여인식∙이기식 단국대학교교수 전기설비2009/1 47 Varistor 기고2 1. 서론

전기설비 2009/1 63

만을 위한 회의참가는 지양하여야 하며, 외국어능력과 전문성을 면 히 검토하고 해

당 기술분야 국제회의장에서 우리의 의견을 활발히 개진하여 보다 많은 실리를 확보

해 줄 수 있는 기술전문가 들만을 엄선하여 참가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실적위주의

국제표준활동을 지양하고 소수정예로 소기의 실리를 취할 수 있는 국제표준활동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당초의 국제표준 제안계획도 중도에 하차하는 일 없이 우리

의 표준초안이 성공적으로 제안 될 수 있도록, 사전에 기술적 타당성 검토 및 용의주

도한 실천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며, 제안된 국제표준이 반드시 채택될 수 있도

록 다각도의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전기협회는 지난해 9월 23일, 서울 중구 소재 한국인의 집에서 미국의 IEEE-

SA(전기전자기술자협회 산하 표준협회)와 기술협력을 위한 MOU 조인식을 가진 바

있다. IEEE-SA와 맺은 MOU는 매우 호혜적이며 실질적인 기술협력 조항을 담고 있

다. 전기협회와 IEEE-SA는 지속적으로 긴 한 연락을 취하며 해당 조항들을 충실히

실천하자고 약속하 다. 이중“양 기관 공동의 표준화 프로젝트 선정”의 조항은 향후

우리의 국제표준 제안을 위해 IEEE-SA와의 공조 가능성을 열어 둔 것이다. 실질적

으로 향후 국제표준 초안을 국내 독자적으로 제안하느니 보다는 IEEE-SA와 같은

형 외국표준기관과 공조하여 제안하는 전략이 보다 내실 있고 채택이 용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었다.

세계최 규모의 민간단체표준기관인 IEEE-SA에 MOU를 제의한 후 곧 바로 혼

자 미국에 건너가 IEEE-SA 스텝들로부터 한전기협회의 실체와 개인의 엔지니어

링 실무경험 및 표준운 등에 관하여 다단계 측정의 시간을 거치고 나서야 비로소

허심탄회하게 MOU 의 구체적인 사항을 논의할 수 있게 되었고 상호 두터운 신뢰를

가지고 매우 구체적이고 호혜적인 MOU 조항을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 MOU의 개

최장소를 미국 신 한국으로 하자는 제의에 해서도 IEEE-SA는 쾌히 수락하 다.

이 때 IEEE-SA는 오늘날의 국제표준활동에 있어서 표준기관 간의 상호 각축전을

버리고 공조를 할 때에 비로소 상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 다.

과거 20 여 년간의 원전설계 경험이 KEPIC 개발업무의 표준화로 접목될 수 있었

던 것은 기술자로서 큰 행운이 아닐 수 없다. 일천하지만 개인적으로 KEPIC 은 물

론 국내 표준화 발전에 작은 기여가 될 수 있기를 기 하며 머지않아 국제사회가 주

목할 수 있는 표준항목을 선정하여 국제표준을 제안하는 행운을 얻기 위해 계속 노

력할 것이다.

www.keca.or.kr62

기고3

IEEE와 ISA 등 미국의 사실상 표준을 참조 번역한 KEPIC은 설계 및 시공기술이

우수한 국내 원전 및 화력발전소의 해외 수출 시 동반 적용시킬 수 있는 여건을 단

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1단계로 참조표준과 동일하게 부합화 작업을 완료하 고, 2

단계로 부합화 완료된 모든 KEPIC에 해 국 문화(Bilingual) 작업을 완료하 다.

국 문화 작업이 완료된 문(English) 부문은 미국 참조표준의 원본과 동일한 내용

을 담고 있어서 해외에서의 사용상 편의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으며, KEPIC 국문

(Korean)에는 응 참조표준의 제원이 투명하게 표시되고 있다. 참조 표준기관과의

저작권협정도 견실하게 응 중이며, 이들 기관들과 기술협력을 위한 MOU 체결도

점진적인 확 를 진행 중이다.

KEPIC은 당초 원자력발전 분야를 모태로 하 고, 원자력기술의 선진국인 미국의

사실상 표준의 번역으로 개발을 시작하여 오늘날 국내 최고의 민간단체표준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하 다. 그러나, KEPIC도 이제는 외국의 표준을 번역하는 데만 그치지

않고 국내의 우수기술 또는 국내외적으로 크게 이슈화 되는 분야의 기술을 선정 및

연구하고, KEPIC 개발과 연계하여 국내외 독자기술을 확보하며, 궁극적으로는 국제

표준으로 제안하여 채택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전략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

해 사용자들로부터 KEPIC의 품질에 해 보다 큰 신뢰를 획득하는 데 노력을 경주

하는 한편 국내외 독자기술 확보 및 국제표준 제안을 목표로 과제연구에도 치중하여

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미 개발된 또는 향후 개발 상 KEPIC에 해서도 활용성

과 기타 추정 가능한 문제점 등을 전면 재검토하여 KEPIC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재정립할 계획이다.

2000년 이후, Globalization 시 에 발맞추어 국제표준 부합화 또는 국제표준 제안

등 국내에서도 국제표준으로의 도약을 위한 노력이 도처에서 경주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기술전문가 들이 해외에서 수시로 개최되는 국제 기술위원회, 분과원회,

전문가 회의 등에 참석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많은 연구과제가

다수의 국제표준 제안을 표방하

며 진행되고 있다.

그 만큼 Global Standardization

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고무적인 현상이다. 다만 국

제표준화 활동이 시작 된지도 상

당히 경과되었음을 고려할 때, 이

제는 단순히 국제회의 경험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