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48
[2012년도 ICT표준화전략포럼 최종연구보고서]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2012. 12. 15.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Transcript of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Page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2012년도 ICT표준화전략포럼 최종연구보고서]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2012 12 15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주의

1 본 연구보고서는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수행한 방송통신표

준기술력향상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

2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방송통신표준

기술력향상사업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983189

제 출 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귀하

본 보고서를 ldquo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rdquo의 최종결과보고서

로 제출합니다

2012 년 12월 15일

포럼 사무국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연구 책임자 이상산 본부장

참여 연구원 박종문 팀장 문정훈 과장

방송통신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35조에 따라 보고서 열람에 동의합니다

요 약 문 (초 록)과 제 번 호

과 제 명 국제사실표준화기구(포럼) 협력 및 전문가 육성

포 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on

the Information Devices operating사 무 국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연구책임자 이상산 본부장당 해 년 도사 업 기 간 2012 3 15 ~ 12 15 ( 9 개월)

참 여 기 관 참여기관책임자

1 포럼의 목적 및 필요성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표준화 추진

- 삼성전자(천지인) KT(나랏글) 팬택(SKY한글) 국가표준 이외

기술성시장성소비자 편의성을 고려한 한글문자판 표준(안) 마련

2 포럼 핵심 표준화 대상(ToR) 및 내용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3 포럼 운영 개발 결과 및 성과

o 모바일 산업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 활성화

4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됨

Summary ( Abstract )Assignment

Number Assignment

Title ISO ( FORUM ) Cooperation amp Experts Training

Forum Title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on

the Information Devices operating

Office

MOIBA

(Korea Mobile Internet

Business Association)

Research Director Chief Director

Lee Sang San

Current Business Year 2012 3 15 ~ 12 15 ( 9 month )

Participatory

Organization

Participatory

Organization Director

1Purpose of Forum amp Necessity

o Promoting the standardization of the Hangul character keyboard layout

to be entered Korean alphabet quickly and accurately on the mobile

information device keypad

- Samsung Electronics ( Cheonjiin ) KT ( Naratgul )Pantech ( SKY Hangul)

National Standard etc

- Arranging the Hangul Keypad Standard for technical marketable and

consumer convenience considerations

2 Forum Core Standardization targets (ToR) amp contents

o Suggesting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and Entry

Technological Value Standard according to future device entry technology

-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 in conformity with the

associated apparatus and layout method

3 Forum operation development result amp outcome

o Standardization Activity Revitalization by private sector for mobile

industr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4 Application plan amp Expected Effect

o Increase of users convenienc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layout standard which is easy to

access for entry and popular to get compared to the current standard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Operating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1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11 Core Standardization Technologies

12 Market Status and Forecast

A Domestic Market

B International Market

13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atus

A Domestic Technology

B International Technology

2 Forum Configuration and Operating

21 Purpose and need

22 History

23 Organization and Major Activities

A Organization ( include organization chart)

B Key Activities by Standardization Committee

C Member Composition

D Standardization of the system

Chapter 3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activity results in fiscal 2012

1 Summary of Major Outcomes

2 Results of the activities

21 Forum Operation

2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 Contributory proposition results ( offer reflection adoption)

B Year of representative report

23 Domestic Standardization

A Performance Standards Development (forum group country)

B Results represent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24 Results of other activities

Chapter 4 2013 Major plans to undertake

1 2013 Research goals of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in 2013

2 Task contents to conduct

3 How to conduct a task

Chapter 5 Conclusion

1 Conclusion

2 Expected effect

appendix) Making the Summary of Standardization Promoting Project

1 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Standard

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Contributory proposition

3 A roster of Members

- 목 차 -

제 1장 서론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2 연혁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다 회원사 구성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나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한글문자판표준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붙임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2 2012년도 국외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3 회원사 명부 작성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주의

1 본 연구보고서는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수행한 방송통신표

준기술력향상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

2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방송통신표준

기술력향상사업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983189

제 출 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귀하

본 보고서를 ldquo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rdquo의 최종결과보고서

로 제출합니다

2012 년 12월 15일

포럼 사무국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연구 책임자 이상산 본부장

참여 연구원 박종문 팀장 문정훈 과장

방송통신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35조에 따라 보고서 열람에 동의합니다

요 약 문 (초 록)과 제 번 호

과 제 명 국제사실표준화기구(포럼) 협력 및 전문가 육성

포 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on

the Information Devices operating사 무 국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연구책임자 이상산 본부장당 해 년 도사 업 기 간 2012 3 15 ~ 12 15 ( 9 개월)

참 여 기 관 참여기관책임자

1 포럼의 목적 및 필요성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표준화 추진

- 삼성전자(천지인) KT(나랏글) 팬택(SKY한글) 국가표준 이외

기술성시장성소비자 편의성을 고려한 한글문자판 표준(안) 마련

2 포럼 핵심 표준화 대상(ToR) 및 내용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3 포럼 운영 개발 결과 및 성과

o 모바일 산업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 활성화

4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됨

Summary ( Abstract )Assignment

Number Assignment

Title ISO ( FORUM ) Cooperation amp Experts Training

Forum Title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on

the Information Devices operating

Office

MOIBA

(Korea Mobile Internet

Business Association)

Research Director Chief Director

Lee Sang San

Current Business Year 2012 3 15 ~ 12 15 ( 9 month )

Participatory

Organization

Participatory

Organization Director

1Purpose of Forum amp Necessity

o Promoting the standardization of the Hangul character keyboard layout

to be entered Korean alphabet quickly and accurately on the mobile

information device keypad

- Samsung Electronics ( Cheonjiin ) KT ( Naratgul )Pantech ( SKY Hangul)

National Standard etc

- Arranging the Hangul Keypad Standard for technical marketable and

consumer convenience considerations

2 Forum Core Standardization targets (ToR) amp contents

o Suggesting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and Entry

Technological Value Standard according to future device entry technology

-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 in conformity with the

associated apparatus and layout method

3 Forum operation development result amp outcome

o Standardization Activity Revitalization by private sector for mobile

industr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4 Application plan amp Expected Effect

o Increase of users convenienc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layout standard which is easy to

access for entry and popular to get compared to the current standard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Operating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1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11 Core Standardization Technologies

12 Market Status and Forecast

A Domestic Market

B International Market

13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atus

A Domestic Technology

B International Technology

2 Forum Configuration and Operating

21 Purpose and need

22 History

23 Organization and Major Activities

A Organization ( include organization chart)

B Key Activities by Standardization Committee

C Member Composition

D Standardization of the system

Chapter 3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activity results in fiscal 2012

1 Summary of Major Outcomes

2 Results of the activities

21 Forum Operation

2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 Contributory proposition results ( offer reflection adoption)

B Year of representative report

23 Domestic Standardization

A Performance Standards Development (forum group country)

B Results represent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24 Results of other activities

Chapter 4 2013 Major plans to undertake

1 2013 Research goals of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in 2013

2 Task contents to conduct

3 How to conduct a task

Chapter 5 Conclusion

1 Conclusion

2 Expected effect

appendix) Making the Summary of Standardization Promoting Project

1 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Standard

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Contributory proposition

3 A roster of Members

- 목 차 -

제 1장 서론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2 연혁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다 회원사 구성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나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한글문자판표준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붙임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2 2012년도 국외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3 회원사 명부 작성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제 출 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귀하

본 보고서를 ldquo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rdquo의 최종결과보고서

로 제출합니다

2012 년 12월 15일

포럼 사무국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연구 책임자 이상산 본부장

참여 연구원 박종문 팀장 문정훈 과장

방송통신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35조에 따라 보고서 열람에 동의합니다

요 약 문 (초 록)과 제 번 호

과 제 명 국제사실표준화기구(포럼) 협력 및 전문가 육성

포 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on

the Information Devices operating사 무 국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연구책임자 이상산 본부장당 해 년 도사 업 기 간 2012 3 15 ~ 12 15 ( 9 개월)

참 여 기 관 참여기관책임자

1 포럼의 목적 및 필요성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표준화 추진

- 삼성전자(천지인) KT(나랏글) 팬택(SKY한글) 국가표준 이외

기술성시장성소비자 편의성을 고려한 한글문자판 표준(안) 마련

2 포럼 핵심 표준화 대상(ToR) 및 내용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3 포럼 운영 개발 결과 및 성과

o 모바일 산업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 활성화

4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됨

Summary ( Abstract )Assignment

Number Assignment

Title ISO ( FORUM ) Cooperation amp Experts Training

Forum Title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on

the Information Devices operating

Office

MOIBA

(Korea Mobile Internet

Business Association)

Research Director Chief Director

Lee Sang San

Current Business Year 2012 3 15 ~ 12 15 ( 9 month )

Participatory

Organization

Participatory

Organization Director

1Purpose of Forum amp Necessity

o Promoting the standardization of the Hangul character keyboard layout

to be entered Korean alphabet quickly and accurately on the mobile

information device keypad

- Samsung Electronics ( Cheonjiin ) KT ( Naratgul )Pantech ( SKY Hangul)

National Standard etc

- Arranging the Hangul Keypad Standard for technical marketable and

consumer convenience considerations

2 Forum Core Standardization targets (ToR) amp contents

o Suggesting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and Entry

Technological Value Standard according to future device entry technology

-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 in conformity with the

associated apparatus and layout method

3 Forum operation development result amp outcome

o Standardization Activity Revitalization by private sector for mobile

industr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4 Application plan amp Expected Effect

o Increase of users convenienc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layout standard which is easy to

access for entry and popular to get compared to the current standard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Operating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1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11 Core Standardization Technologies

12 Market Status and Forecast

A Domestic Market

B International Market

13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atus

A Domestic Technology

B International Technology

2 Forum Configuration and Operating

21 Purpose and need

22 History

23 Organization and Major Activities

A Organization ( include organization chart)

B Key Activities by Standardization Committee

C Member Composition

D Standardization of the system

Chapter 3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activity results in fiscal 2012

1 Summary of Major Outcomes

2 Results of the activities

21 Forum Operation

2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 Contributory proposition results ( offer reflection adoption)

B Year of representative report

23 Domestic Standardization

A Performance Standards Development (forum group country)

B Results represent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24 Results of other activities

Chapter 4 2013 Major plans to undertake

1 2013 Research goals of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in 2013

2 Task contents to conduct

3 How to conduct a task

Chapter 5 Conclusion

1 Conclusion

2 Expected effect

appendix) Making the Summary of Standardization Promoting Project

1 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Standard

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Contributory proposition

3 A roster of Members

- 목 차 -

제 1장 서론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2 연혁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다 회원사 구성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나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한글문자판표준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붙임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2 2012년도 국외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3 회원사 명부 작성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요 약 문 (초 록)과 제 번 호

과 제 명 국제사실표준화기구(포럼) 협력 및 전문가 육성

포 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on

the Information Devices operating사 무 국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연구책임자 이상산 본부장당 해 년 도사 업 기 간 2012 3 15 ~ 12 15 ( 9 개월)

참 여 기 관 참여기관책임자

1 포럼의 목적 및 필요성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표준화 추진

- 삼성전자(천지인) KT(나랏글) 팬택(SKY한글) 국가표준 이외

기술성시장성소비자 편의성을 고려한 한글문자판 표준(안) 마련

2 포럼 핵심 표준화 대상(ToR) 및 내용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3 포럼 운영 개발 결과 및 성과

o 모바일 산업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 활성화

4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됨

Summary ( Abstract )Assignment

Number Assignment

Title ISO ( FORUM ) Cooperation amp Experts Training

Forum Title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on

the Information Devices operating

Office

MOIBA

(Korea Mobile Internet

Business Association)

Research Director Chief Director

Lee Sang San

Current Business Year 2012 3 15 ~ 12 15 ( 9 month )

Participatory

Organization

Participatory

Organization Director

1Purpose of Forum amp Necessity

o Promoting the standardization of the Hangul character keyboard layout

to be entered Korean alphabet quickly and accurately on the mobile

information device keypad

- Samsung Electronics ( Cheonjiin ) KT ( Naratgul )Pantech ( SKY Hangul)

National Standard etc

- Arranging the Hangul Keypad Standard for technical marketable and

consumer convenience considerations

2 Forum Core Standardization targets (ToR) amp contents

o Suggesting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and Entry

Technological Value Standard according to future device entry technology

-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 in conformity with the

associated apparatus and layout method

3 Forum operation development result amp outcome

o Standardization Activity Revitalization by private sector for mobile

industr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4 Application plan amp Expected Effect

o Increase of users convenienc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layout standard which is easy to

access for entry and popular to get compared to the current standard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Operating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1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11 Core Standardization Technologies

12 Market Status and Forecast

A Domestic Market

B International Market

13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atus

A Domestic Technology

B International Technology

2 Forum Configuration and Operating

21 Purpose and need

22 History

23 Organization and Major Activities

A Organization ( include organization chart)

B Key Activities by Standardization Committee

C Member Composition

D Standardization of the system

Chapter 3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activity results in fiscal 2012

1 Summary of Major Outcomes

2 Results of the activities

21 Forum Operation

2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 Contributory proposition results ( offer reflection adoption)

B Year of representative report

23 Domestic Standardization

A Performance Standards Development (forum group country)

B Results represent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24 Results of other activities

Chapter 4 2013 Major plans to undertake

1 2013 Research goals of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in 2013

2 Task contents to conduct

3 How to conduct a task

Chapter 5 Conclusion

1 Conclusion

2 Expected effect

appendix) Making the Summary of Standardization Promoting Project

1 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Standard

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Contributory proposition

3 A roster of Members

- 목 차 -

제 1장 서론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2 연혁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다 회원사 구성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나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한글문자판표준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붙임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2 2012년도 국외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3 회원사 명부 작성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5: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Summary ( Abstract )Assignment

Number Assignment

Title ISO ( FORUM ) Cooperation amp Experts Training

Forum Title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on

the Information Devices operating

Office

MOIBA

(Korea Mobile Internet

Business Association)

Research Director Chief Director

Lee Sang San

Current Business Year 2012 3 15 ~ 12 15 ( 9 month )

Participatory

Organization

Participatory

Organization Director

1Purpose of Forum amp Necessity

o Promoting the standardization of the Hangul character keyboard layout

to be entered Korean alphabet quickly and accurately on the mobile

information device keypad

- Samsung Electronics ( Cheonjiin ) KT ( Naratgul )Pantech ( SKY Hangul)

National Standard etc

- Arranging the Hangul Keypad Standard for technical marketable and

consumer convenience considerations

2 Forum Core Standardization targets (ToR) amp contents

o Suggesting Standardization Forum of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and Entry

Technological Value Standard according to future device entry technology

-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Standard in conformity with the

associated apparatus and layout method

3 Forum operation development result amp outcome

o Standardization Activity Revitalization by private sector for mobile

industr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4 Application plan amp Expected Effect

o Increase of users convenienc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layout standard which is easy to

access for entry and popular to get compared to the current standard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Operating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1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11 Core Standardization Technologies

12 Market Status and Forecast

A Domestic Market

B International Market

13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atus

A Domestic Technology

B International Technology

2 Forum Configuration and Operating

21 Purpose and need

22 History

23 Organization and Major Activities

A Organization ( include organization chart)

B Key Activities by Standardization Committee

C Member Composition

D Standardization of the system

Chapter 3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activity results in fiscal 2012

1 Summary of Major Outcomes

2 Results of the activities

21 Forum Operation

2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 Contributory proposition results ( offer reflection adoption)

B Year of representative report

23 Domestic Standardization

A Performance Standards Development (forum group country)

B Results represent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24 Results of other activities

Chapter 4 2013 Major plans to undertake

1 2013 Research goals of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in 2013

2 Task contents to conduct

3 How to conduct a task

Chapter 5 Conclusion

1 Conclusion

2 Expected effect

appendix) Making the Summary of Standardization Promoting Project

1 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Standard

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Contributory proposition

3 A roster of Members

- 목 차 -

제 1장 서론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2 연혁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다 회원사 구성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나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한글문자판표준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붙임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2 2012년도 국외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3 회원사 명부 작성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6: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Operating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1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11 Core Standardization Technologies

12 Market Status and Forecast

A Domestic Market

B International Market

13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atus

A Domestic Technology

B International Technology

2 Forum Configuration and Operating

21 Purpose and need

22 History

23 Organization and Major Activities

A Organization ( include organization chart)

B Key Activities by Standardization Committee

C Member Composition

D Standardization of the system

Chapter 3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activity results in fiscal 2012

1 Summary of Major Outcomes

2 Results of the activities

21 Forum Operation

2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 Contributory proposition results ( offer reflection adoption)

B Year of representative report

23 Domestic Standardization

A Performance Standards Development (forum group country)

B Results represent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24 Results of other activities

Chapter 4 2013 Major plans to undertake

1 2013 Research goals of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in 2013

2 Task contents to conduct

3 How to conduct a task

Chapter 5 Conclusion

1 Conclusion

2 Expected effect

appendix) Making the Summary of Standardization Promoting Project

1 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Standard

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Contributory proposition

3 A roster of Members

- 목 차 -

제 1장 서론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2 연혁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다 회원사 구성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나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한글문자판표준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붙임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2 2012년도 국외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3 회원사 명부 작성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7: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21 Forum Operation

2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 Contributory proposition results ( offer reflection adoption)

B Year of representative report

23 Domestic Standardization

A Performance Standards Development (forum group country)

B Results represent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24 Results of other activities

Chapter 4 2013 Major plans to undertake

1 2013 Research goals of Futuristic Hangul Keypad Standard Forum in 2013

2 Task contents to conduct

3 How to conduct a task

Chapter 5 Conclusion

1 Conclusion

2 Expected effect

appendix) Making the Summary of Standardization Promoting Project

1 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Standard

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fiscal 2012 earnings

- Contributory proposition

3 A roster of Members

- 목 차 -

제 1장 서론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2 연혁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다 회원사 구성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나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한글문자판표준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붙임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2 2012년도 국외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3 회원사 명부 작성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8: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 목 차 -

제 1장 서론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2 연혁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다 회원사 구성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나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한글문자판표준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붙임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2 2012년도 국외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3 회원사 명부 작성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9: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나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한글문자판표준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붙임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2 2012년도 국외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3 회원사 명부 작성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0: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제 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가 2010년 10월 신문 방송 등 언론의 lsquo한글공정rsquo 보도 이후 모바일 정보기기 한글

문자판 표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수요가 제시됨

나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국내middot외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이 상이하여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

라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마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한글 문자입력 방식을 통일하고 이를 토

대로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음

바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가 요구됨

사 민간 전문가 중심의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여 기술성 bull 시장성 bull 소비자 편의성 등

을 총망라한 종합평가를 통해 미래형 국가표준(안)의 도출하는 표준화 방안 마련

이 필요함 모바일 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중심의 표준화

활동이 요구됨

2 연구의 목적

o 국민 편익증진을 위해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제 2장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제 1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o 차세대 입력장치 기술을 고려한 미래형 한글문자판에 표준 및 입력 기술 평가 기준 제시

- 대상기기 및 배열방식에 따른 한글 문자판 표준

2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구글 애플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컴퓨터용 자판

의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한 터치스크린용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음

o 블랙베리 삼성 노키아 등에서는 26개의 알파벳을 14개의 글쇠에 할당한 lsquoHalf

qwertyrsquo 방식 자판이 포함된 단말기를 출시하기도 함 그러나 이는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은 방식임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o 스마트폰은 1000만대 시장으로 12키 번호 자판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방송통신 표준으로 3종(천지인 나랏글 스카이)의 입력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3종의 표준은 단순성 통일성의 없으며 입력방식을 각

각 특정하여서 제한된 방식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래형 표준 배열을 도출하면 소비자는

통일된 배열을 일관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o 스마트폰 뿐 아니라 12키의 번호 자판이 장착되고 한글 입력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장비(500만대)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 뿐 아니라 전통적인 버튼식에도

동일한 배열로 적용될 수 있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세계 기술현황(향후 시장규모 전망 포함)

o 영어권 및 영문 자판

- 1963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MFC 푸쉬 버튼 전화기가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CCITT(현 ITU-T)는 다이얼방식 및 MFC 푸쉬 버

튼 전화기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 배열을 포함한 E161권고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를 제정하여 아래 그림과 같

이 option A와 option B로 두 개 배열이 권고되었으나 1996년 4월 1일부터

option A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 을 권고하여 최근 2001년에 개정된 E161에는

option A 만 표준으로 권고하고 있음

ltOption Agt ltOption B 2001년 폐지gt

[그림 1 ITU-T E161 영문 전화기 자판 배열]

o 일 본

- 자판에 대한 공식표준은 없으나 0~9까지의 숫자에 오음십도의 각 행을 배열

한 자판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3: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입력방식 개발업체 제품 적용 현황

1 천지인 삼성전자 ㆍ애니콜

2 나랏글 언어과학 ㆍLG사이언 KT

3 이지패드 이지패드 ㆍ해당사항 없음

[그림 2 일본 휴대폰 자판 배열]

o 중 국

- 중국어 문자입력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이용하

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 배열은 영문자판을 차용

-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표준은 없으며 두 가지 입력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 병음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문자입력은 병음(영문으로 된 중국어의 발음기호)를 입력하여 한 자로 바

꾸는 방법을 사용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화면에 보여지 는 글자 중에

필요한 글자를 선택하여 입력

나 오필자형

모든 한자가 다섯 가지 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자 판을 최

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

입력 속도가 병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빠르지만 배우기가 어렵 기 때문

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

o 프랑스

- 기본적으로 영문자판 배열과 동일 특수 기호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

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o 4times 3 배열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종류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4: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4 한글사랑 팬택계열 ㆍ현재 제품 미적용

5 SKY 팬택계열 ㆍ팬택 계열 제품

6 승리한글 VK ㆍ해당사항 없음

7 한돌코드 한돌코드ㆍ과거 VK 일부제품ㆍMS WinXP 및 Win7 O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8 한글80 모모테크 ㆍ(주)큐릭스 HD케이블 TV 등 케이블 TV업체에 리모컨 적용

9 퀵타 아마소프트 ㆍ해당 사항 없음

10 스몰쿼티 모비언스 ㆍ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판매 중

11 01초 SL소프트 ㆍ해당사항 없음

12 제일자판 고려아이텍 ㆍ해당사항 없음

13 으뜸한글 삼원정밀금속 이완수 ㆍ해당사항 없음

14 쉬운글 어언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5 우리글 시멘틱퀘스트 ㆍ해당사항 없음

16 가온타 어문과학연구소 ㆍ해당사항 없음

17 정음자판 경희대 진용옥 교수 ㆍ해당사항 없음

18 모토로라 모토로라 ㆍ모토로라 휴대전화 제품

(2) 표준화 현황

o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화를 추진하였

으나 이해당사자들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표준화에 실패

o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무선인터넷포럼에서 표준화를 다시 추진하였으나 합

의도출에 실패하여 표준화 포기

o 2005년 9월 22일 TTA에서 정통부와 기표원 공동으로 표준화 추진을 위한 공

청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나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한 표준화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함을 확인

- 1995년 5월 9일 한글대응 전화버튼 표준안

- 2004년 8월 2일 전화기 표준자판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 2006년 10월 24일 휴대폰 한글 입력방법 표준 TTA 표준화과제 제안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5: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일자 내용

1 2012523 제 2차 운영위원회

2 2012620 2012년도 정기총회

3 2012912 표준화위원장 간담회

4 20121210 기술위원회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가 포럼의 목적

키패드(키 터치패드 멀티터치 등) 배열의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대한 활동 및 표준화를 추진

나 포럼의 필요성

(1) 한글 종주국으로써 lsquo미래형 한글 문자 입력 기술 표준rsquo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홍보하는 것이 필요함

관련근거 50대 친서민 생활공감 표준화 정책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9)

(2) 현재 각 휴대폰 제조사 별로 자판 배열이 서로 상이하여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

더라도 사용자는 휴대폰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자판 배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

려움이 있음

(3) 다양한 모바일 단말 출현 및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가적 차원의 표준 제시 및 국민의

편의성 증대가요구되고 있음

2 연혁

[2012년]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6: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일자 내용

1 2011415 TTA IT 표준화 전략 포럼 협약 체결

2 2011 52 ~ 2011 5 13 회원사 모집공고 신문공고

3 2011520 창립준비위원회

4 20110525 창립총회 및 회원사 워크샵

5 20111124 제 1차 운영위원회 및 회원사 워크샵

[2011년]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 총회 운영위원회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5개 표준화위원회 감사 사무국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7: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워킹그룹 주요활동 및 핵심표준화 대상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주요활동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o 핵심표준화 대상

-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을 구체화하여 KCS KSX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일본 ISO 유니코드에 반영

- 중국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준을 우선적으로 진행

- 존재하는 표준이 있을 때는 중간 치환 변통표준으로 대응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기존 배열 및 입력방식 조사연구 설계요구사항 분석

- 3x4 전화기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안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3x4 자판 표준화 활동

- 특정 입력방식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

도출

3QWERTY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26개의 영어알파벳 및 한글문자배열 표준안 도출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인 쿼티자판에 한글을 재배열하는

표준안 개발

미래형 전화기 번호 영어 한글배열 표준 통합 문자입력

장치개발

o 핵심표준화 대상

- QWERTY자판 표준화 활동

개인용 PC 문자입력장치의 쿼티자판에 한글 24 자모 + 쌍자

음 5 개(ㅃㅉㄸㄲㅆ) + 이중모음 2 개(ㅔㅐ)을 재배열 제안하는 안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전화 다이얼 번호 영어 알파벳 국가적

언어문자(한글포함) 기타 특수문자 모두를 모든 정보기기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국제표준자판 제안과

단계적 국제표준 제안

나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별 주요활동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8: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NxM 격자형 형태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한글 문자판의 자소

배열 표준(안)을 도출

- 구체적으로는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3개의

표준(안)을 도출

o 핵심표준화 대상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rsquo 표준화

- lsquo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rsquo 표준화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한글을 이용하는 정보통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문규정의

제한을 탈피하여 다양한 한글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필요 시 새로운

자모를 추가로 개발 이러한 과정을 한글확장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장된 한글 체계를 확장한글이라고 정의

o 핵심표준화 대상

- ldquo 확장한글이 입력될 수 있는 자판rdquo이 표준화의 대상 이를 위하

여 한글확장표준화 위원회는 확장한글(안)을 연구 결론으로 도

출하고 이를 다른 자판위에 제공

- 확장한글 속에 유니코드에 없는 자모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자모를 유니코드(국제기준 ISO IEC 10646 국내기준 KS

X 1026-1)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연구

6다언어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주요활동

- 다언어 치환 자판배열의 표준화

o 핵심표준화 대상

- 역내 공동표준 표준화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19: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다 회원사 구성

구분

산업체

연구소 학계 개인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0 1 6 63 77

백분율() 9 0 12 78 82 100

라 표준화 추진체계도

(1) 국제기구(ISOITU 등)를 통한 국제표준화 대응

(2) 포럼을 중심으로 이통사제조사 등 민간 중심의 표준화를 추진

(3)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의 지원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국가표준화 추진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0: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제 3 장 2012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활동결과

제 1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TTA표준 제정 2 0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정 4 0

o NXM 표준화위원회 - 3행방식 표준(안) 개발 - 4행방식 표준(안) 개발 - 기타형태의 자판 표준(안) 개발

o 3X4 표준화위원회 - 12자판의 한글글자배열(초성형) 표준(안) 개발 - 12자판의 자음모음배열(자모분리형) 표준(안) 개발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 표준(안) 개발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안) 개발

포럼 표준개정

기타성과 지표-1 5 3

o 한글확장(안) 기술보고서 3건 - 방점방식 한글확장(안) - 합자방식 한글확장(안) - 복합방식 한글확장(안)

기타성과 지표-2 9 2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표준자료집 o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자료집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정기총회 2012-06-20 CampA Expert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표준화위원회 참여위원 현황

- 각 표준화위원회 경과 보고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05-23 MOIBA

- 일반 현황 보고(회원 현황 등)

- 201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 포럼 표준화 절차규정(안) 승인

- 포럼 조직구성 보고

조직신설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단장 진용옥 교수)

위원장 및 포럼 사무국장 변경

- 정기총회 일정 논의

No 구분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1 1차 2012-12-10 MOIBA

- 의장선임 이충근 박사(이피엔텍 대표이사)

- 기술위원회 진행방향 논의

- 표준 제안에 대한 검토

NXM표준화위원회 표준안 3건

3X4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한글확장자판표준화위원회 표준안 2건

- 차기회의 일정에 관한 논의

제 2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총회

나 운영위원회

다 기술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구 분 주요 내용

1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o 회의 개최 총 7회

o 표준화 활동 동아시아 및 국제표준화 기고서 초안 작성

o 활동내용

- 6월20일 발족 후 회의 진행

- 동아시아 표준 공동 국제학술 회의 개최(8월30일 중국연길)

- 다언어 정음 중간 치환 대조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다언어 입력장치 국제표준 기고서 초안 작성 (구체기고서는 2013년 작성예정)

[ 회의내용 ]

1) 1차 6월 2일 남서울대학

- 국외 표기 검토

- 중국어 공통표기 방안 진행 논의

2) 2차 6월 13일 지방신문발전위원회 회의실

- ICMIC 초청연사 주제 강연

- 동아시아 국제 표준안 도출

3) 3차 6월 23일 남서울대학

- ICMIC12회의중 동아시아 국제표준화 분임 토의안 3차 독회

- ICMIC12 개최 점검 2차 재론 12년도 주요 활동 방안

4) 4차 7월 6일 창신소프트웨어 회의실

- 중국어 입력방식 검토

5) 5차 9월 21일 한국어정보학회 사무실

- ICMIC12 경과보고

- 공동 표준 기고서 초안 14종 중 KCSTTA 제안 최종 심의관련 논의

- 공동표준안 영문및 중문번역과 GBANSI 표준안검토

6) 6차 11월 1일 남서울대학

- 동아시아 지역 입력장치 표준안 논의

7) 7차 12월 12일 남서울대학

- 중국어 정음 치환표기와 기호순 정열 방법

- 자료집 발간 최종 마무리

라 표준화추진단 및 표준화위원회

(1)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3: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구 분 주요 내용

2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제안서(NP) 2건 및 이에 따른 포럼표준서 초안(WD) 2건 제출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o 활동내용

- 전년도 결과 도출 검토

- 2가지 유형 작업반 편성 및 표준제안서 제출

- 유형 작업반별 경합 도출

- 다수 찬성자 제안의 표준서 초안 예비 작성 및 유형별 종합 편집

- 2가지 표준안 제출

[ 회의내용 ]

1) 10차 2월 11일 남서울대학

- 3X4자판 총람 발간기념 및 배포

- 표준제안서 공지 및 이의제기방법 논의

2) 11차 3월 24일 남서울대학

- 2011년 결과 표준시안 공지 및 대안 제시 후 최종 합의안 도출

3) 12차 6월 15일 남서울대학

- 에디터 선출

- 워킹그룹(연구분과) 편성

4) 13차 9월 8일 남서울대학

- 유형별 표준안 제안

- 표준안 제안 절차 논의

5) 14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 표준안 범주유형 분류방법 및 도출 방법 논의

6) 15차 10월 12일 남서울대학

- NP 선정방식 협의

6) 16차 10월 26일 강남 토즈타워점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후보 선정

7) 17차 11월 5일 강남 토즈타워점

(2) 3X4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4: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구 분 주요 내용

3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2회

o 표준화 활동

- QWERTY 자판 한글표준을 위한 개발자 발표

- QWERTY 자판 한글표준 제안 접수

세로형가로형 쿼티 한글배열 자판 (미래형 한글확장형 3벌식겸용형)

o 활동내용

-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활동

- 각 제안의 기술특성 별로 제안서 8건 작성 후 검토 중임

[ 회의내용 ]

1) 7차 9월 18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제안평가 방법 토론 및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제안별 발표

o 제안 미 제출자 추가제출

o 가로 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제한안 미발표는 다음회의 계속발표

차기 회의 일정 및 안건 논의

2) 8차 10월 16일 남서울대학

제안안 평가방법 의견개진

o 쿼티 가로 형 제안 한글자판 미발표자 발표완료

o 가로형 제안 유형분류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 내 배열제안 안

종전 한글배열을 존중하고 일부 수정안

종전 배열을 무시하고 전부 재배열안

- 종전 쿼티자판 물리적 규격을 벗어난 배열제안 안 사이버 토론

- 표준안 제안 토론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선정

8) 18차 11월 7일 남서울대학

- 각 연구분과별 표준안 편집

9) 19차 11월 24일 남서울대학

-표준안 구성 및 제안 검토

(3) QWERTY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5: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구 분 주요 내용

4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9회

o 표준화 활동 3개의 표준안 도출

-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3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5차 6월 20일 CampA Expert

- NxM 확장형 자판 포럼 표준을 제정을 위한 표준화 절차 및 향후 일정 논의

2) 6차 7월 11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그룹별 각 제안 내용 소개

3) 7차 7월 24일 남서울대학

- NxM 확장형 자판 표준제안서 초안 검토

4) 8차 8월 7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방식 및 4행방식 표준제정제안서 제출 검토

- 3x8 및 4x4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5) 9차 8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x7 및 4x5 제안 검토 및 표준안 선정

- 기타 방식 제안 검토

6) 10차 8월 24일 영등포역 회의실

- 3행 및 4행 방식과 기타 제안방식 발표 및 선정

7) 11차 9월 14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표준안 서명

8) 12차 9월 27일 영등포역 회의실

- 각 연구분과별 표준 초안 검토 및 동의 서명

- 기술보고서 (NxM 한글 입력을 위한 NxM 방식의 자판배열 고찰) 초안 검토

9) 13차 10월 18일 영등포역 회의실

- 4행 및 기타 방식 표준 초안 검토

- 상세 기술한 제안내용 검토 및 기술 보고서 추진 여부 결정

- lsquoNxM 형태의 자판설계 지침rsquo 표준제정제안서 검토 및 제정추진 여부 확정

(4) NXM 자판 표준화위원회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6: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구 분 주요 내용

5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8회

o 표준화 활동 2개의 표준안 도출

- 외국어 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문자판

o 활동내용 개발한 표준안을 포럼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적합한지 논의

및 수정 활동 후 2개의 표준안을 도출

[ 회의내용 ]

1) 12차 1월 14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방법에 대한 그룹별 토론

- 위원회 합동 회의

2) 13차 1월 2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3) 14차 2월 17일 남서울대학

- 위원회 결론 도출 방법 추인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4) 15차 3월 16일 남서울대학

- 그룹별 토론 결과를 발표

(합용병서그룹 가점방점그룹 새글자그룹 연서그룹 복합그룹)

5) 16차 4월 6일 남서울대학

- 확장위의 3대 수행(안) 도출방법 논의

- 한글확장 절차결정

- 확장한글 자판설계

6) 17차 4월 19일 남서울대학

- 가점연구반 진도보고

- 1단계 확장대상 음소에 대한 예시단어 확정

- 복모음 표기방식

- 합철법 토의

- 복모음 표기의 대상 발음군 토의

(5)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7: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7) 18차 5월 3일 남서울대학

-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키보드 개발사례 발표

- 복합반 중간결과 발표

8) 19차 5월 14일 코엑스

- 기술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부사항 토의

9) 20차 5월 25일 남서울대학

- 합용병서반 중간결과 발표 (리의재)

- 새글자반 중간결과 발표 (김재찬)

- 연서반 중간결과 발표 (임봉대)

10) 21차 6월 20일 CampA Expert

- 기술표준문서 제정 절차 설명

- 확장한글용자판 개발방법 및 일정 논의

11) 22차 6월 29일 남서울대학

- 기 제출 제안서 제목 등 검토

- 확장한글자판표준 제안자 선정

- 확장한글자판 제출 각 안 검토 및 토의

12) 23차 7월 17일 남서울대학

- 한글확장 각 그룹별 진행 검토

- 확장한글용 자판 제안 검토

13) 24차 8월 23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 확장한글용 자판 시안 검토

14) 25차 9월 6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5) 26차 9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표준문서 작성 진행 상황 점검

16) 27차 10월 5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용어 통일 협의

17) 28차 10월 8일 남서울대학

- 3개 연구분과의 기술보고서 및 2개 표준문서의 용어 통일 최종 의결

18) 29차 11월 21일 남서울대학

- 기술보고서 및 표준제안서 진행 상황 보고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8: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구 분 주요 내용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o 회의 개최 총 12회

o 표준화 활동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 연구

o 활동내용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안 도출을 위한 논의 활동

[ 회의내용 ]

1) 14차 1월 7일 한국어정보학회

- SNCJV 기고 제안서 제목 일람

- SNC 지역 부호문 식별자 기고 초안

2) 15차 1월 14일 한국어정보학회

- 부호문 식별자 기고 제안서 제 1차 독회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제 2차 독회

- 점묘꼴 + 점자 부호문 통합 치환 표준안 제 2차 독회

- 쪽자판 내부 치환 배치와 번호문 변통 표준안 제 2차 독회

- 증강 쪽자판(enhanced key pad)의 기능 정의 제 1차 독회

3) 16차 1월 28일 한국어정보학회

- 15차 회의록 독회

- 기타 제기되는 사안

4) 17차 2월 4일 한국어정보학회

- 판쪽자판(8글쇠 배치와 26글쇠 배치)에 대한 중간 지환 변통 자판 배열

표준에 대한 실험 방식 검토

- 부호문 지역 식별자의 중간치환변통에 대한 역내 표준 기고문(영문) 제안서

작성 검토

5) 18차 2월 11일 한국어정보학회

- 점자( 3x7)와 점묘꼴(5x7) 문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 번호문자판과 판쪽자판의 치환변통 통합 표준화

6) 19차 2월 18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6) 다언어 치환자판배열 표준화위원회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29: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7) 20차 2월 25일 한국어정보학회

- 중국어 한음치성의 표출 문제

(SNC 공통 표준 초안안을 중국과 전화 회의 포함)

- 부호문식별자와 정음 7빗(Bits) 부호문 표준안 번호문 지환 변통 표준안

8) 21차 3월 10일 남서울대학

- 한중북 공동연구 초안 검토

- 중국어 치환변통 표기원칙 토의

- 중국어 치환 변통 표기법 표준안 토의

9) 22차 5월 19일 남서울대학

- 부호문 지역화 식별자의 치환 변통 표준(안)토의

- 국제학술회의( ICMIC120729~0802 China )의 역내 공통 표준 제안 토의

10) 23차 7월 26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11) 24차 8월 7일 순복음대학교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12) 25차 8월 27일 한화비즈메트로 회의실

- 다언어 변통 한글부호 체계 표준화 방안 논의

No 워크샵세미나 명개최

기간

개최

장소참가인원 주요내용

1

201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포럼

창립총회 및 워크샵

개최

2012

620

CampA

Expert28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추진활동 및 향후계획

o 5개 표준화위원회 경과보고

및 활동계획

2

3times 4 자판

표준화위원회

공개 평가대회

2012

1026

토즈타워

강남점

위원9인

국어국문과

대학생

50여명

o 다양한 한글 문자판 입력

방식의 공개평가

o 3x4 한글 문자판 문자배열

표준화를 위한 의견 수렴

마 국내외 워크샵세미나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0: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없음

구분 내용

기술정의 NxM 격자 형태 또는 임의 형태를 갖는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의 표준(안) 제안

주요내용

o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

판의 자모 배당

o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 표준(안)

-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

기대효과내비게이션 휴대용정보단말기 등 한글입력이 필요한 자판의 표준 배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관성이 있는 한글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채택)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없음

나 대표 기고서 실적 없음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NXM 표준화위원회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구분 내용

기술정의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주요내용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

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

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ㅣgtㅡgtㅢ

(2)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기대효과

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소비자는 입력방식의 선호에 따라 원하는

입력방식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문자입력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이다 업체는 표준적인 배열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3: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제 4장 2013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3년도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연구목표

1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WG)을 통한 한글 문자판 표준화 진행 및 이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

o 포럼 표준 제정 및 TTA 단체표준 채택

o 국제 표준기고서 제안 및 반영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o 표준에 필요한 각 분야별 분과그룹를 구성운영하고 국내 표준안 마련

o 통신사업자(SKT KT LGT) 단말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텍) 유관기관(TTA ETRI) 등

포럼에 참여하는 각 분야별 전문 인력을 표준화 활동 전담 조직에 참여시켜 연구 성과 극대화를 추진함

2 민간 중심의 표준 개발 추진

o 이동통신사 단말제조사 솔루션 사업자 유관기관 등 모바일 웹 관련 민간기업이 참

여하여 표준화 대상을 찾아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여 국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환경에

맞는 표준안 개발을 추진

o 동아시아 국제 표준화추진단 수행 과제 내용

- 2012년 기고서 초안에 대한 KCS KSX 반영하는 기고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를

한중북 3국과 공동으로 국제화 표준 추진

- ISOITU 기고서 작성

3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o 해외 표준화 단체와의 상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포럼에서 개발한 표준안의 국제

표준화 연계를 추진함

o 해외 표준화 단체 주관의 컨퍼런스 기술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해외 모바일 웹 관련

기술 현황을 습득하며 해외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한 표준화 협력을 추진함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4: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1 표준화 전략

o 포럼에서 채택된 표준안을 TTA 를 통해서 국내 표준화 추진

o 민간중심의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 개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워킹그룹(WG) 운영

2 표준화 위원회

o 한글 문자 입력방식 특허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o 이해당사자(업계 학계 개발자 등) 의견 수렴

o 월 1회의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 회의 및 실무작업반 회의

o 번호입력용 기억술(mnemonic)의 적용이 용이한 한글 문자 배열의 체계적 도출

o 포럼 표준 및 국내 표준 제안 모색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5: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제 5장 결 론

제 1 절 결론

1 사업 추진 실적 요약

o 표준은lsquo합의성rsquo통일성rsquo단순성이 본질임

o 국가표준 및 스마트폰용 방송통신표준 3가지(천지인 나랏글 SKY)에 대비되어 표준화

의 본질에 부합하고 국민middot기업에 유익하며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배열표준안

도출을 위한 포럼활동을 전개함

o 입력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기본적인 한글 문자 배열의 표준안을 도출을 통해 2013년에는

포럼 표준안을 통해 향후 TTA표준 국가표준middot국제표준으로 발전 모색

o 주요결과물

1 번호 자판의 한글 문자 배열 표준 (포럼표준 개발중)

2 NxM 자판에서의 한글 문자 배열 (포럼표준 개발중)

2 2012년도 중점 추진 전략

o 표준화위원회 활동을 통한 시의성있는 표준화 활동 강화

o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o 포럼 회원사 확대

o 포럼 활동 대외 홍보

제 2 절 기대효과

o 현재의 표준에 비해 보편성이 높고 입력방식 적용이 쉬운 배열 표준안 도출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편의성 제고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6: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표준화 추진과제(표준(안) 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 (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자음 모음 배열 및 입력방법(자모분리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Alphabets(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s Consonants and Vowels Division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1 표준의 목적 12 건반에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할당하고 입력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효율적 입력 증진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 9 ~ 201211 3 대상 및 범위 4행 3열 1-2-3형의 번호자판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 키패드에 적용된다 4 내용요약 2가지의 새로운 배열 및 입력규칙 제안과 기존 표준의 개선 1 가지

ㄱㅋ ㅁㅂㅍ ㅗㅜ

ㄴ ㅅ ㅏㅓ

ㄷㅌ ㅇㅎ ㅣㅡ

ㄹ ㅈㅊ 변환

1 ㄱㅋ 2 ㄴㄹ 3 ㅏㅓ

4 ㄷㅌ 5 ㅂㅍ 6 ㅣㅡ

7 ㅅㅁ 8 ㅇㅎ 9 ㅗㅜ

0 ㅈㅊ

1 ㅏㅓ 2 ㅗㅜ 3 ㅣ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제1방식 배열을 자음은 세로로 순차 모음은 세로로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변환누름 예) ㅋ=ㄱ+ ㄲ = ㄱ+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또는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3회 또는 ㅏ+ ㅕ=ㅏ4회 또는 ㅓ+제2방식 좌 자음 우 모음 영역 자음은 순차 모음은 비순차 배열함 - 자음입력 제자리누름 예) ㄱrarrㅋrarrㄲ - 모음입력 제자리누름 및 변환누름 예) ㅓ=ㅏ2회 ㅜ=ㅗ2회 ㅑ=ㅏ+ ㅕ=ㅓ+기존개선방식 ① 천지인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아래아 1회로 ㅏ 대체 2회로 ㅓ 대체 lsquoㅡrsquo 1회로 ㅗ 대체 2회로 ㅜ 대체 lsquoㅣrsquo 제자리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 옵션 ② 천지인에서 모음자획 대신 ㅏㅓㅗㅜㅣㅡ 배열 모음은 123 또는 456 배열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ㅣgtㅡgtㅢ ③ 나랏글 개선 자음입력은 동일 모음입력은 제자리누름 ㅏgtㅓgtㅑgtㅕ ㅗgtㅜgtㅛgtㅠ ㅡgtㅢ 5 기대효과정보통신용 단말기의 12키 번호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자판으로서 버튼식 피쳐폰이나 터치스크린 화면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채용하여 한글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시대에 입력기술이 다양해지고 기능성을 띠는데 여러 가지 입력기술이 표준배열 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열의 일관성이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7: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3X4자판 표준화위원회)

표준(안)명- 국문 12건반 번호자판의 한글 글자 배열(초성형)- 영문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s (Hangeul) on 12-key Numeric Keypad ndash Consonants Type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 1 표준의 목적 0 에서 9 까지 10개의 숫자를 4x3 행렬 1-2-3식으로 배열된 숫자구역(ZN0)에 한글 글자를 배정한 12단추 한글자판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9~201211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4x3 행렬형태를 가지는 12단추 자판에 한글 글자를 배열한다 한글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을 10개의 숫자 단추 1 2 ~ 0에 각기 배정 및 배열하는 것과 한글입력하는 것을 기술한다

1

2

3

4

5

6

7

8

9

0

5 기대효과 12단추 자판에 한글 초성자음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체계를 기억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한글 글자와 숫자가 병기된 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글의 초성을 매개로 하는 사용자 활용성이 풍부해지고 사용자 문자입력을 통한 정보기술(IT)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표준적 자판배열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전화기 표준규격서(체신부 19881117)-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ISOIEC 9995-82009 Allocation of letters to the keys of a numeric keypad- KS X 5020 2011 모바일 정보기기의 한글문자 자판배열- KCSKO-050046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8: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three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12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3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정의된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서는 글쇠가 3개에 모음 또는 모음 구성 요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록 3에는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정리하였으며 부록 4에는 각 3행 방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39: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4)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의 자판

- 영문 Keypad layouts specified with four lines for inputting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배당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의 기능쇠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주로 촉지_화면(touch-screen)이나 단추(button)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space key) 지움쇠(delete key) 등의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는 다루지 않으며 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배당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각 표준 자판에 유용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권장사항을 다루기로 한다 또한 5장부터 9장까지는 줄수의 증가에 따른 각 4행 방식 자판의 자모 배정을 규정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4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0: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5)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NXM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한글 입력을 위한 기타 형태의 자판들

- 영문 Keypad layouts with non-regular shapes to input HanGeul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110~ 201211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포럼 표준 진행 중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포럼 표준 진행 중

3 대상 및 범위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3행 방식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자모 배당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공백쇠(key) 지움쇠 등과 같은 기능쇠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다만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태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정보통신용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입력의 능률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3행방식과 4행 방식을 제외한 非정형 자판의 일반 요구사항 및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규정하기로 한다 본 표준의 적용 대상은 통상적인 화상 자판이나 물리적 글쇠(key)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력 장치이다 본 표준에서는 지움쇠(delete key) 공백쇠(space key) 등과 같이 글자 입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기능쇠(function key)의 배치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의 형식에 따른 한글 자모의 배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유효한 입력 방법을 본보기로 제시하였다 본 문서의 4장부터 12장까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자판의 한글 자모 배정 방법을 규정하였다 또한 본 문서의 부록 1에서는 본 표준에서 제안하는 자판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였고 부록 2에는 각 기타 형식 자판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5 기대효과본 표준은 정보통신_단말기에서의 한글입력을 능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타 형태 자판의 자모 배당을 규정한 것으로서 촉지_화면이나 단추로 이루어진 정보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1: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6)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외국어표기를 위한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for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영어중국어동남아어 발음 f l z v x ɵeth ŋ sh zh ch

4 내용요약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 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2: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안(7)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표준(안)명 - 국문 확장한글용 미래형 한글자판

- 영문 Korean Future Character Keys with Hangeul Extension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제시

1 표준의 목적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를 확장된 한글자모까지 확대하여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할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세계인이 공용으로 쓸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701 ~ 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현대한글 자모(24자)와 확장된 한글자모(예 f v l r Ɵ eth sh zh ch 등의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안)를 입력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

4 내용요약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터치스크린 문자판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문자판을 해당 언어와 병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따라서 외국어 발음을 한글 자모로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한글의 과학적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글확장안이 안출된 상태에서 그 한글확장안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문자판을 도출함으로써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시함

5 기대효과ㅇ 확장된 한글까지 입력함으로써 한글 문자판의 기능면에서 외연이 확대됨ㅇ 세계인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한글 문자판을 제공하게 됨

ㅇ lsquo한글공정rsquo 등과 같은 수세적 돌발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3: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1)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방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Dots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

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의 문자체계에 약간의 개선을 가하여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외국어 표기와 관련된 모든 불편을 없애는데 본 제안의 목적이 있음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01~20120930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f l 발음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지만 한국어에는 없으며 z v x ɵeth ŋ sh zh ch 등도 마찬가지로서 이들 발음을 현행 한글체계에서는 정확하게 구별하여 표기하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학계 산업계 등의 각 분야에서 많은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한글로 이들 외국어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4 내용요약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의 f l v z th 등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음절의 주변에 방점형태의 부호를 첨가하여 외국어 발음의 변별력을 가지도록 함

5 기대효과 글로벌 시대를 맞아 외국어 전문용어의 정확한 표기와 한글세계화의 기초작업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을 확립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국격)를 고양할 수 있음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4: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2)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합자 방식 한글확장안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use of Coupled Phonemes 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표준화 내용요약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

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혼란스럽게 적히고 혼동되고 있는 주요 외국음을 명확히 표기하여 삶의 질을 고품위로 향상시키며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임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주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최소한의 외국 자음들을 대상으로 겹쓰기_법을 활용적용한 새로운 한글 음절표기 방안 부 위와 같은 목적의 외국 모음들과 그 이상의 확장자음들을 위한 새로운 한글표기 방안

4 내용요약 대한민국은 이제 선진국으로서 각 부문에서 두각을 보여야 마땅할 것인 바 특히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문자체계인 한글이 몇 개 외국음을 잘 적어내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를 개선한다면 한민족은 물론이고 인류가 향유할 수 있는 세계적 표기체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이에 최소한의 확장대상인 외국 자음 [f v z ɵeth x ŋ(초성) l] 등과 복모음 일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_표기하기 위하여 한글자모 겹쓰기 방식을 주로 활용함

5 기대효과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5: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1 2012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기술보고서(3)

포럼 명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한글확장자판 표준화위원회)기술보고서 - 국문 복합방식 한글확장

- 영문 Hangeul Extension by a Hybrid Method표준 상태 ①포럼표준 개발중 ②포럼표준 제정완료 ③TTA 표준 과제채택

④TTA표준 완료 ⑤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1 표준의 목적 현행 한글체제를 개선하여 익히기 어렵고 문자입력이 어려운 IPA기호를 대체하고자 함 2 추진 경위 ① 기술보고서 개발 시작일 종료일 20120615~20120915 ② TTA표준 제안일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표준 완료일 미정 ③ 국가표준 채택일 미정

3 대상 및 범위 IPA기호를 대상으로 현행 한글체계로는 구별하지 못하나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발음을 f v z ɵeth 는 새글자 sh zh ch 등은 복모음 표기의 확장으로 ŋ x l 등은 겹쓰기의 확장 방법등으로 한다

4 내용요약 세계가 단일시장화 되어가고 각국의 언어가 상호 교합되는 시대에 만국 언어를 정확히 표기 할 수 있는 기호는 IPA기호가 유일 할 것이나 이를 한글로 대치한다면 익히고 사용하는데 대단히 효율적일 것이다 한글_세계화를 위해 이를 적극 개발하기를 제안함 한글 복모음 쓰기의 제한을 풀어서 더 많은 확장된 발음을 적을 수 있게 하고 한글 기본 자음에 없는 외국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새글자 방점 겹쓰기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한글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5 기대효과 한글이 국제 발음기호가 될 수 있고 또 문자를 겸할 수 있어서 국제 공용문자가 될 수 있고 국내 적으론 외국문물과 어휘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학한 외국어휘를 위한 새 한글표기를 통하여 각 분야학계 연구계 산업실업계 등 전문인 속성 양성과 전문학술용어 정비에 따른 과학기술의 독자적 발전에 혁혁한 공훈이 기대됨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6: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기관 14개사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SK텔레콤

2 KT

3 LG U+

4 삼성전자

5 LG전자

6 팬택

7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기관 8 ETRI 의장사

학 계

9 경희대학교

10 서경대학교

11 한세대학교

12 공주대학교

13 충남대학교

14 아주대학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7: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2 최성

동북아정보연구원

남서울대학교컴퓨터학과

한국어정보학회

원장

교수

부회장

3 강태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파센터 책임연구원

4 김재찬 (주) 라드텍 대표 이사

5 이석민    

6 김영권 숫자한글 운영회 운영자

7 박찬용 Crossdial Technologies CTO

8 김현숙 한서대학교 겸임교수

9 김용성 태극 한글 연구소 소장

10 이완수 한글번호연구소 대표

11 김상근 한판이 연구소장

12 임기중    

13 이대로 한글학회 부설 말글문화협회 대표

14 신준 새한글 연구소 대표

15 장순길    

16 최기동 태극한글연구소  

17 박주학 SL소프트 대표

18 김위수 (주)에네시스 책임연구원

19 김민겸 한글초성활용운동본부 총무실장

20 박기환 도서출판 사장모임 사장

21 박종선    

22 박경윤 한국어정보학회 부회장

23 반재원 훈민정음 연구소 소장

24 김명수 주식회사 듀얼로그 대표

25 이장휘 로드넥스트 대표

26 곽경아키덤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대표이사

27 김세환    

28 강현웅 KBS방송국 감독

29 김정훈    

30 최건호    

31 김경석 부산대공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

32 소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 전문연구위원

33 박흥호 (주)깃든 대표

34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35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6 임인빈 누리글 연구원 연구원

37 이종구 한국성우협회 성우

38 오구탁 광주ENM(세계로선교회) 은퇴선교사

39 전상도 세벌사랑넷 대표

o 개인회원 63명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

Page 48: 미래형 한글문자판 표준포럼 운영 - tta.or.kr o 모바일 정보 기기에서 한글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에

40 홍일중 한글문자학회 회장

41 이의재 한글_세계화_연구회 창립대표

42 최낙민 LIG 넥스원 연구원

43 이응칠 선교회 지역책임자

44 전정남 광주ENM(세계로선교회) 간사

45 하형준 경찰청 경위

46 장선호 피노키오이비인후과의원 원장

47 고영훈 멘토-브레인 연구소 연구소장

48 안재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49 원진희 서울한우리교회 담임목사

50 고갑천 호남대학교 교수51 서영환 밝은21네트웍스 대표52 황재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위원

53 임종희 로랑(출판사) 사장

54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5 이숙향원광대학교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교수

56 송기중 서울대학교 인문대 교수

57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58 최용석 문엔지니어링 부장(기술사)

59 오금철 정보통신기술사회 정보통신기술사

60 유승덕 문엔지니어링 부장(박사)

61 유재덕 이프라임 상무

62 정규정 제일엔지니어링 이사(기술사)

63 김기주 (주)태화전기 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