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9
기술특집 22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Segment (area color) Illumination HDTV Notebook PC PC Monitor DVD Player PDA Digital Camera Cell phone, MP3 player Car stereo Alphanumeric Displays LCD backlight General lighting Dot Matrix : mainly active matrix [그림 1] OLED의 응용분야 . 서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는 수 층의 발 광성 유기 화합물을 양극과 음극사이에 형성한 후 전기적 으로 여기시켜 그 발광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자발 광형 디스플레이 중 가장 각광받는 차세대 기술이며, 은 시야각, 10 μs 이하의 빠른 응답속도, 초경량/박형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학계 및 산업체 에서 관련된 새로운 고성능 유기재료의 개발, 소자의 전 자 물리적 특성, 풀 컬러화 공정기술, 고성능 능동형 (active) 소자의 설계 및 제작 공정 , 유연(flexible) 박막에 의 응용 등 방대한 분야에서의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으 며 수동형(passive) 디스플레이로서의 상용화가 시작된 지 수년 만에 본격적인 능동형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어 향후 시장진출 및 확보 전망도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유연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한 첨단재료 개발과 고해 상도, 색재현성의 대폭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특성이 더욱 우수한 발광재료 및 전하수송성 재료의 개발 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재료의 특성에 대한 이해 를 기반으로 한 소자 전기적 구조와 광학구조의 최적화 , -무기 하이브리드/다양한 interface 구조제어 등도 필요 하다. 현재는 열안정성이 우수한 증착용 저분자 재료의 개발과 상품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향후 대면적 적용 에 유리한 습식공정용 저분자 및 안정성이 뛰어난 유-기 융합구조재료가 구현되면 대형 OLED TV 및 플렉서 블 기판에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OLED가 선보일 것 으로 기대한다. [그림 1]에 여러 가지 OLED의 응용분야 를 도식화하여 구분하였다. 이러한 고성능 OLED 디스플 레이의 개발 및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 수한 발광 특성과 안정성을 갖는 유기 화합물에 대한 연 구개발과 이들 재료를 효과적으로 대면적 박막으로 만들 거나 고해상도로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 용액공정용 재료의 분류 OLED 디스플레이 소자는 진공 증착을 통해 다층박막 을 형성하는 저분자 (small molecule) 계와 스핀코팅이나 잉크젯 등의 습식공정을 이용하는 고분자 (polymer)계로 구분할 수 있다 . 역사적으로는 Bernanose 등과 Pope에 의 한 안트라센 유기박막의 전기발광 현상이 보고된 이후로, 1987년에 Kodak사의 C.W. Tang에 의해 적층형 OLED 진 병 두 (단국대학교 고분자시스템공학부)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Transcript of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Page 1: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img.kisti.re.krimg.kisti.re.kr/soc_img/society//kids/HGJBBV/2009/v10n4/HGJBBV... ·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기술특집

22❙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Segment(area color)

Illumination

HDTVNotebook PCPC Monitor

DVD PlayerPDADigital Camera

Cell phone, MP3 playerCar stereo

AlphanumericDisplays

LCD backlightGeneral lighting

Dot Matrix: mainly active matrix

[그림 1] OLED의 응용분야

Ⅰ. 서 론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는 수 층의 발

성 유기 화합물을 양극과 음극사이에 형성한 후 기

으로 여기시켜 그 발 을 이용하는 디스 이로서 자발

형 디스 이 가장 각 받는 차세 기술이며, 넓

은 시야각, 10 μs 이하의 빠른 응답속도, 경량/박형이

가능한 장 을 갖고 있다. 세계 으로 학계 산업체

에서 련된 새로운 고성능 유기재료의 개발, 소자의

자 물리 특성, 풀 컬러화 공정기술, 고성능 능동형

(active) 소자의 설계 제작 공정, 유연(flexible) 박막에

의 응용 등 방 한 분야에서의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으

며 수동형(passive) 디스 이로서의 상용화가 시작된

지 수년 만에 본격 인 능동형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어

향후 시장진출 확보 망도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유연기 에도 용이 가능한 첨단재료 개발과 고해

상도, 색재 성의 폭 인 개선을 해서는 무엇보다도

특성이 더욱 우수한 발 재료 하수송성 재료의 개발

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재료의 특성에 한 이해

를 기반으로 한 소자 기 구조와 학구조의 최 화,

유-무기 하이 리드/다양한 interface 구조제어 등도 필요

하다. 재는 열안정성이 우수한 증착용 분자 재료의

개발과 상품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향후 면 용

에 유리한 습식공정용 분자 안정성이 뛰어난 유-무

기 융합구조재료가 구 되면 형 OLED TV 서

블 기 에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OLED가 선보일 것

으로 기 한다. [그림 1]에 여러 가지 OLED의 응용분야

를 도식화하여 구분하 다. 이러한 고성능 OLED 디스

이의 개발 상용화를 앞당기기 해서는 무엇보다 우

수한 발 특성과 안정성을 갖는 유기 화합물에 한 연

구개발과 이들 재료를 효과 으로 면 박막으로 만들

거나 고해상도로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이 요하다.

Ⅱ. 용액공정용 재료의 분류

OLED 디스 이 소자는 진공 증착을 통해 다층박막

을 형성하는 분자 (small molecule) 계와 스핀코 이나

잉크젯 등의 습식공정을 이용하는 고분자 (polymer)계로

구분할 수 있다. 역사 으로는 Bernanose 등과 Pope에 의

한 안트라센 유기박막의 기발 상이 보고된 이후로,

1987년에 Kodak사의 C.W. Tang에 의해 층형 OLED

진 병 두 (단국대학교 고분자시스템공학부)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Page 2: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img.kisti.re.krimg.kisti.re.kr/soc_img/society//kids/HGJBBV/2009/v10n4/HGJBBV... ·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23

[그림 2] 저분자형 OLED의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 및 역할

소자가 소개되어 실용화를 목표로 활발히 연구되기 시작

하 으며, 1990년 에 공액결합을 갖는 고분자형 재료의

기 발 상이 국의 임 리지 학에서 발표되

어 고분자형 OLED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 다. 공통

으로 양극 (anode)상에 두 층 이상의 유기 물질이 층된

구조를 갖는다. 양극으로는 주로 indium-tin-oxide (ITO)

의 투명 극을 사용하고 음극(cathode)은 일함수(work

function)가 낮은 속 (Ca/Al, Li:Al, Mg:Ag 등)을 사용한

다. 유기재료 박막층은 각각의 치 그 기능에 따라 정

공주입 재료, 정공 수송재료, 자수송재료, 자주입재

료 등의 주입/기능층과 발 재료로 나뉠 수 있으며, 발

재료는 다시 발 기구에 따라 형 (fluorescence) 재료

와 인 (phosphorescence) 재료로 나뉜다. 재료의 분자량,

용해도 등의 특성에 따라 유기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진

공증착공정과 용액공정, 그 외에 유기기상증착법 (organic

vapor phase deposition)과 같은 공정으로 분류되어, 분자

량에 의한 분자/고분자의 단순한 분류에 비해 보다 세

분화된다. 즉, 분자 OLED 재료의 경우에도 일부는 진공

증착법이 아닌 용액공정 기타 방법에 의해 소자형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 으로는 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양극과 음극 사

이에 형성되는 다층의 유기박막은 각각의 기능이 매우 세

분화되어 있고 고효율의 호스트/도 트형 발 재료, 우수

한 정공/ 하 수송재료와 주입재료 등이 잘 구분되어 있

다. 최근의 분자 OLED 디스 이 소자의 속한 특

성과 수명개선은 두께 제어에 의한 발 역의 조 등

소자의 물리 상에 한 이해와 그에 기 한 재료 최 화

에 힘입은 바 크다. 이에 비해 고분자 OLED에서는 발

고분자의 단일 층에 코 을 통한 필름 형성성을 높이는

역할, 하 주입 수송능력, 여기자 발생과 발 등의

여러 기능이 집 화되어 있기 때문에, 분자 OLED에서

처럼 combinatorial 인 해석수법을 취하기 어렵다는 약

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래 고분자와 분자 모

두 기술 으로는 하게 얽 있어, 분자 OLED 에

서 연구/개발되는 새로운 인 발 재료나 엑시톤 폐

등의 기법이 고분자 하이 리드 형의 소자에 용되어

면 의 소자기술 발 을 앞당길 것으로 기 할 수 있

다. 본 고에서는 용액공정에 의해 소자 형성이 가능한

분자, 올리고머, 고분자 덴드리머 등의 분자

(supramolecule) 재료와 소자의 개발 동향에 해 다루고

용액공정 재료에 해 용할 수 있는 박막형성 패터

닝 기술에 해 소개하 다.

Ⅲ. 용액공정용 저분자 및 고분자 재료

[그림 2]에 일반 인 분자 OLED의 각 층을 구성하

는 재료 역할을 표시하 다. 정공주입재료는 ITO 등

의 양극으로부터의 정공주입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고

반복 인 구동에도 ITO와의 계면 착성이 우수해야 할

뿐 아니라 가시 의 흡수가 어야 한다. 원활한 정공주

입을 해서는 양극과의 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 지 매칭이 요구된다. 분자 재료에서는

오믹 합에 가까운 하주입 특성과 높은 유리 이온도

를 갖는 화합물의 개발이 건이 되고 있다. 고분자

OLED의 경우 유기용매에 녹지 않는 PEDOT:PSS 가 많

이 사용되는데, 발 층과의 계면에서 여기자(exciton)의

quenching이 심하게 일어난다는 보고가 있으며[1], 재료의

강한 산성도에 의해 연속사용 보 시 ITO의 식각이

진행되어 유기박막 내부로 indium이 확산되는 상이 생

기고 이는 소자의 수명/효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2]. 따라서, PEDOT:PSS를 체할 수 있도록 스핀 코

과 층이 가능하면서 성에 가까운 정공주입재료의

Page 3: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img.kisti.re.krimg.kisti.re.kr/soc_img/society//kids/HGJBBV/2009/v10n4/HGJBBV... ·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기술특집❙

24❙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그림 3] PPV 계열 발광재료

[그림 4] (a) PPP (b-d) Modified-PPP, (e) PF (f-h) PF Copolymer

(i) Spiro-PF

개발이 최우선시되고 있으며 듀 사에서 발표된 새로운

정공주입재료를 비롯하여 새로운 이온 도체를 함유한

PEDOT:PSS 계열 재료의 개발이 활발하다[3~4]. 양이온성

(cationic) 고분자인 poly(p-xylylene-a- tetrahydrothiophenium

: PXT) 등의 복합체를 형성하여 홀 주입 층에서의 농도구

배를 조 하여 고분자형 OLED 소자효율의 향상을 보고

하거나[5], ITO에 착성이 우수한 자기조립 특성을 갖는

말단기를 정공주입물질에 화학 으로 연결시켜 새로운

buffer층을 도입하는 연구 등이 좋은 라고 볼 수 있다[6].

특별히, 유기 박막층과 anode, cathode와의 사이에 존

재하는 하수송의 장벽을 제거하여 Ohmic contact을 이

루기 한 방법으로 F4-TCNQ 등을 이용한 홀주입층의

p-type 도핑, 자주입층의 n-type 도핑(혼합하여 p-i-n 도

핑)에 의한 압 구동, 높은 력효율의 OLED가 개발

되고 있다. p-dopant를 함유한 홀 주입층과 n-dopant의

자 주입층 사이의 발 층 구역 계면에는 한 억제층을

사용함으로써 3V 이내에서 1000 cd/m2 이상의 고휘도,

100lm/W 이상의 고효율 OLED가 보고되었다[7]. 한

극의 에 지 에 민감하지 않는 정공/ 하 주입이 가

능하도록 설계됨으로써 비정질실리콘 ZnO 기반의

TFT를 사용하는 n-type 능동 구동소자에 용하기 용이

한 inverted OLED구조[8], 다수의 폴리실리콘형 TFT를 사

용하는 능동 구동소자에서 pixel 면 을 넓힐 수 있는 top

emission 형 OLED에서 반사 극/반투명 극의 선택폭을

다양하게 해 주는 소자기술로서 많은 가능성이 있으나

재까지는 용액공정에 의해 분산이 가능한 p-dopant 정공

주입층 계는 거의 보고되고 있지 않다. 용액공정에 의한

OLED소자의 성공 개발을 해서는 고특성의 용액용

OLED 재료 (발 층 수송층), 린 /패턴형성 공정시

에도 고효율, 장수명 특성을 확보하는 소자기술, 수율이

높고 가격의 생산/제작공정, 그리고 장비의 scale-up 용

이성 등의 요소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 발광층 형성을 위한 용액용 OLED재료

발 층의 형성을 한 형 고분자계 재료의 경우

Poly(phenylene vinylene)계 재료 [그림 3] 사용시 발 색

깔은 녹색(G), 황색(Y), 주황색(O), 진홍색(OR)을 구 할

수 있다.[9] Orange-red 재료는 alkoxy 등 electron donating

그룹을 phenyl ring에 붙여 얻을 수 있으며 green 발 재

료는 electron donating 그룹이 없거나 silyl 치환체를 갖는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다. 표 인 황색(Y)재료에서는 발

스펙트럼이 넓기 때문에 컬러필터로 분 을 해 R과 G

의 표시도 가능하며, 고분자 유기 EL 재료 에서도 가장

긴 수명을 갖는 재료 하나이다.

Polyfluorene 계 재료[그림 4]는 9-alkyl 혹은 9,9-alkyl-

fluorene 계로 출발하 으나 이후 Suzuki coupling 방법에

의한 고분자량, 고순도의 재료들의 합성이 가능하게 되면

서 많은 종류의 발 재료들이 보고되기 시작하 다.[10]

Poly-Spiro-Fluorene (폴리스 이로 루오 )계 재료는

Merck 사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상하 2개의 루오 고

리가 직교한 부피가 큰 모노머 유닛을 특징으로 한다. 이

로 인한 입체장해 효과는 방향고리의 스택킹을 불가능하

게 해, 고분자 사슬의 회합을 막아, 화학안정성과 색도좌

표 온도안정성에 기여한다. 한, 유리 이온도가 높기

(Tg=160~230℃) 때문에 막의 열 안정성이 높다. 나아가,

Page 4: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img.kisti.re.krimg.kisti.re.kr/soc_img/society//kids/HGJBBV/2009/v10n4/HGJBBV... ·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25

[그림 6] 저분자 (CBP 혹은 PBD) 및 고분자(PVK) 호스트를

사용한 용액공정 OLED의 소자구조 (a) 스핀코팅

(b) 레이저전사법으로 패턴형성을 위한 소자

C CN

C C

O

ON S

N

S

Ir

m nC CN

C C

O

ON

NIr

m n

C CN

C Cm n

O

N O

O

Ir N

N

F

F

F

F

NN

O ON

N

Red Green

Blue ETL

[그림 5] 비공액 고분자 (인광 계열) 발광 재료: 호스트-

도판트 일체형태의 대표적 구조

측면사슬인 루오 고리를 색도조정과 하수송능력

개선에 이용할 수 있다는 도 뛰어나다. PF계 고분자는

뛰어난 발 재료로서, 호모폴리머계 재료는 청색발 을

나타내며 이후 여러 가지 공 합체가 합성되면서 황, 녹,

색에 이르기까지 장수명의 재료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

서 풀컬러용 RGB삼색의 조색이 가능해졌으나, 녹색 재

료의 색도와 청색 재료의 색도와 수명이 과제이다.

Poly(phenylene):(PPP)계 재료는 분자의 밴드갭 (band-gap,

Eg) 이 넓으므로 폴리 루오 계 고분자와 함께 주로 청

색 발 재료 쪽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11]. 역시 유기

용매에의 용해도가 낮아 precursor route에 의한 PPP합성

bulky한 치환체를 도입한 PPP의 합성 등의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비공액 고분자를 이용하는 경우 인 재료의 고효율 특

성을 얻기 하여 호스트-도 트의 이종 블 드 혹은 호

스트-도 트 일체형태의 재료 등이 개발되었다. Band

Gap(Eg)이 넓은 고분자 재료를 호스트로, 인 발 재료

를 도 트로 이용하는데 공액계 고분자에서는 일반 으

로 Eg가 작기 때문에, 녹색-청색의 발 인 도 트의 호

스트에는 쓰기 어렵다. 비교 Eg가 낮은 비닐폴리머인

poly(vinyl carbazole):PVK를 이용한 [12]가 있으나 [그림

5], 단순히 분자 인 발 재료를 PVK 안에 용해 분산

시킨 것, 측면사슬에 통합시킨 것 등 모두 효율과 수명이

아직까지는 좋지 못한데, 이후 다양한 올리고머로 구성된

호스트 재료가 시도되고 있다 (다음 에 소개) 4,4'-N,N'

-dicarbazole-biphenyl (CBP) 나 2-Phenyl-5-(4-biphenylyl)

-1,3,4- oxadiazole (PBD) 와 같은 분자 호스트 재료와

PVK등의 고분자를 혼합하여 박막형성 소자특성을 향

상시키고 사법 등을 통해 풀칼라 소자의 패터닝을 가능

하게 만든 연구[13]도 시도되었다[그림 6].

분자형 일반 인 색/녹색 인 소자용 호스트의 경

우 카바졸(carbazole) 단 를 포함하는 재료들이 많이 사

용되고 있으며 이는 자수송성에 비해 정공수송성이 큰

호스트로 분류될 수 있다. 반면 TPBi(1,3,5-tris(phenyl-2-

benzimidazolyl)-Benzene),TAZ(3-(4-Biphenylyl)-4-phenyl-

5-tert- butylphenyl-1,2,4-triazole),PBD 계열의 재료들은

자 수송특성이 더 우수한 호스트 재료들이다. 이외의

새로운 인 호스트용 재료로 quinoline pyridine 유도

체를 포함하는 화합물도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이들

분자 호스트에 용액공정이 가능하도록 알킬기 등의 가용

성 부분을 도입할 수 있으나, 성능 열안정성 하가 쉽

게 나타날 수 있고, 특히 비정질성을 향상시키기 하여

비 칭구조를 갖도록 분자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

다. 아래 도와 같이 호스트 고유의 성질을 유지하는 function

unit과 용해성 유지를 한 soluble wing의 치배열에

한 최 화를 통해 우수한 특성의 분자 호스트를 개발하

Page 5: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img.kisti.re.krimg.kisti.re.kr/soc_img/society//kids/HGJBBV/2009/v10n4/HGJBBV... ·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기술특집❙

26❙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그림 7] 진공증착 및 용액공정이 가능한 Ir-complex계열의

적색 인광도판트[14]

[그림 8] 형광 고분자를 이용한 발광소자에서 계면층(interfacial

layer)삽입에 의한 효율 및 수명의 향상 (green 및 red소자의

경우). 청색발광 소자의 경우에는 발광층의 넓은 밴드갭으로

인해 계면삽입층의 전자확산 억제층으로서의 효과가 미약하여

효율/수명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15]

고자 하는 연구가 국내외 학계 연구기 에 의해 활발

히 추진되고 있다.

인 소자의 경우 여기자의 lifetime 확산거리와 정

공확산이 아무래도 형 소자에 비해 크기 때문에 발 층

내에 하 여기자를 효과 으로 분포하도록 하기 해

서는 정공/ 자 이동도를 략 으로 맞춘 용액공정용 재

료를 개발하거나 두가지 이상의 호스트재료를 혼합하여

이동도를 히 맞추면서 다양하게 분포하는 하트랩

(trap)에 의한 발 역 제한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이 효

율 수명의 향상에 유리하다. 이와 같은 복합 호스트 구

조 하트랩 제어구조는 도 트의 하수송특성, 도

트의 HOMO/LUMO, 삼 항 에 지 , 도 트의 극성

등과도 하게 연 되어 있다. 도 트의 경우 일반 으

로 발 층 내에 소량 들어가므로 증착용 재료와 함께 용

액공정이 가능한 화학구조들이 제안되었다. [그림 7]에

홀 도성을 갖는 9-Arylcarbazole 기가 포함된 색 인

Ir-complex의 화학구조 소자형성도를 나타내었다. 증

착형은 12%, 용액공정형은 8% 수 의 외부양자효율과

CIE 1931 (0,67, 0.33) ~ (0.68, 0.32)의 순 색을 보고하

다[14].

2. 용액공정 OLED를 위한 수송층/Buffer재료

PEDOT:PSS에서 고분자발 층으로의 S 혹은 SO2기의

확산으로 인해, 고분자가 가교 내지 용매 난용성으로 변

화해 발 효율이 떨어진다고 생각되며, 인듐의 확산으로

인한 특성 하도 보고되고 있다. 이를 피하기 해서 공

액고분자를 사용한 홀주입/수송층용액을 층으로 도포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poly(9,9'-dioctylfluorene-co-N-

(4-butylphenyl) diphenylamine) (TFB), poly(9,9'-dioctylfluorene

-co-bis-N,N'-(4-ethoxycarbonylphenyl)-bis-N,N'-phenyl-be

nzidine (BFEC) 혹은 4,4-bis[(p- trichlorosilyl-propylphenyl)

phenylamino] biphenyl(TPDSi2) 등의 고분자 박막을 PEDOT:

PSS와 용액공정용 발 층 사이에 1~5nm 사이의 계면층

(Interfacial layer) 두께로 연속 코 공정에 의해 형성하여

소자의 효율과 수명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는데[15] [그

림 8], 이 방법은 면 소자에도 재 성 있게 사용될 수

있으나 용액용 인 소자에도 용할 수 있도록 높은 삼

항 에 지를 갖는 interface 층 재료는 아직 미흡하다. 따

라서 새로운 하수송재료의 탐색개발도 필요하다.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정공주입/수송층을 형성하고 열처리에

의해 이를 가교시켜 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옥

사텐(oxatene) 기를 사용한 가교성질의 홀수송층을 도입

하여 58lm/W의 용액공정 녹색인 소자 효율이 보고되었

다[16]. 수용성/유기용매성 용매직교 (solvent orthogonality)

Page 6: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img.kisti.re.krimg.kisti.re.kr/soc_img/society//kids/HGJBBV/2009/v10n4/HGJBBV... ·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27

[그림 10] ITO/PEDOT:PSS-Nafion 혼합물/고분자 발광층/Ba/Al

소자의 일함수변화 및 수명 향상[4]

[그림 11] BaF2 /Ca 층 두께변화에 따른 소자효율 및

반감수명의 contour plot과 다층음극의 모식도[19]

[그림 9] PEDOT:PSS에 소수성기 성분을 함유한 첨가물을

고분자산 형태로 도입하여 만들어진 buffer재료의 물성 및 소자

특성 향상의 결과[17]

성질을 그 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서 소개한 것처럼 미

국의 듀 (Du Pont) 사에서 보고한 정공수송재료가 기존

의 PEDOT:PSS에 비해 세 배 이상의 소자 수명과 높은

발 효율을 보고하고 있다[3]. PEDOT:PSS의 이온 complex

타입의 도성 고분자 구조를 변형시켜 고유결합이 도

성 고분자 unit과 고분자 산 (polymeric acid) 사이에 존재

하도록 하여 기화학 안정성 PSS의 해리를 방지하

도록 하는 재료합성 기법이 사용되었고, [그림 9]에 나타

낸 바와 같이 PH 와 일함수(work function)의 조 이 가

능하며 최 조성의 buffer를 홀주입층으로 사용한 용액공

정형 고분자 OLED에서 효율과 수명이 크게 향상되는 결

과를 보고하고 있다[17].

3. 고효율 및 장수명을 위한 소자기술

용액공정을 사용한 OLED의 소자 효율 수명을 향상

시키기 해서는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발 층으로 사용

되는 호스트/도 트 혹은 호스트-도 트 일체형 재료의

하균형이 잘 맞도록 이동도 하트랩 구조를 설정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 재료 자체의 무정형 특성이 넓

은 온도범 에서 유지되도록 하며 우수한 박막형성 특성

을 갖는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고분자 재료

의 경우 무정형 박막형성 특성은 우수하나 분자구조가

복잡하고 공 합체 형태의 사슬구조에서 하균형을 완

벽하게 구 하기 어렵고 정제과정이 까다로우므로 분

자 덴드리머 등을 사용한 재료에서의 박막 특성과 안

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자/공정기술 개발이 요시되

고 있다.

Buffer interfacial layer를 사용한 소자 층화를 통

해 소자 수명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앞

에서 소개한 바 있는데, Perflorinated Ionomer (Nafion)과

같은 이온 도체와 PEDOT:PSS의 혼합에 의해서도 유사

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그림 10]에

PEDOT:PSS/이온 도체(Nafion) 혼합물을 정공주입층으

로 사용시의 ITO/발 층 계면의 일함수 변화 소자수

명의 향상 결과를 보 다.

고분자 OLED에 흔히 쓰이는 Ca/Al, Ba/Al 의 음극 구

조에 비해 LiF/Ca/Al, BaF2/Ca/Al 등의 다층음극구조는

자주입 특성 향상으로 소자 구동시 하균형에 유리하

여 수명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18,19]. [그림 11]에서는 BaF2 와 Ca 층의 두께를 동시에 변

화시키면서 얻어진 최 다층음극구조의 효율 반감수

명에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BaF2 층의 두께에 따라

Page 7: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img.kisti.re.krimg.kisti.re.kr/soc_img/society//kids/HGJBBV/2009/v10n4/HGJBBV... ·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기술특집❙

28❙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표 1] Red, Green 및 Blue solution OLED의 특성

[그림 12] 카바졸 중합체를 사용한 인광호스트/이리듐계

도판트의 에너지준위 및 전달

substrateITONPD

CBP:Ir(ppy)3

BAlQAlQ3

LiFAl

substrateITO

Dendrimer

TPBILiFAl

[그림 13] Dendrimer 발광층의 구성 및 단순화된 OLED

소자구조[22~23]

칼슘충과 고분자발 층 계면조건이 달라지게 되며, 3nm

이상의 두께를 갖는 BaF2/Ca 계면 구조에서 자주입 특

성 향상과 칼슘의 유기막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에

의해 소자 수명의 향상을 설명할 수 있다.

듀 사에서 2008년 보고한 용액 공정 OLED의 RGB별

소자특성은 [표 1]과 같다[20]. 아직까지 분자 증착 소자

에 비해서는 효율/수명이 낮으나 색순도 특성 등은 등

한 것을 알 수 있고, 최근의 재료 소자기술의 비약 인

발 에 힘입어 면 공정에 유리한 용액공정 OLED 의

지속 인 특성 향상을 기 할 만 하다.

Ⅳ. 용액공정용 올리고머 및 덴드리머

여러 가지 올리고머/폴리머 형태의 인 호스트 재료를

이용하여 PVK와 분자 호스트의 혼합물의 단 인 낮은

소자효율 수명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카바졸(carbazole)계의 단일 공 합체를 이용하여 합성

된 용액공정용 고분자 인 호스트들의 삼 항 에 지

/밴드갭 특성과 이를 이용한 소자효율 등의 계가 보

고된 바 있다(그림 12, [21]). Core, branching, Surface group

으로 구성되는 덴드리머 기반의 인 재료의 경우에는 기

본 으로 삼 항-삼 항 여기자 소멸(triplet-triplet annihilation)

이 고 하수송 특성과 발 효율의 간섭을 게 할 수

있는 분자구조 설계가 가능하여 높은 색순도와 고효율 특

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림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가 없는 단일성분

의 덴드리머 발 층만을 사용하여 보다 간단한 소자 제작

공정을 구 할 수 있다는 것을 장 으로 내세울 수 있으

나 아직까지는 연구개발 기단계로 세계 으로 몇몇

그룹만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어 소자의 작동수명 등에

한 보고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Page 8: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img.kisti.re.krimg.kisti.re.kr/soc_img/society//kids/HGJBBV/2009/v10n4/HGJBBV... ·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29

[그림 14] 용액용 OLED의 박막/패턴형성을 위한 공정기술

[그림 15] 용액공정 AMOLED의 제작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컬러(RGB) 패터닝 기술

Ⅴ. 용액공정 OLED의 박막 형성 및 패터닝 기술

용액 공정 OLED는 [그림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

단하면서도 생산성이 높은 공정기술을 사용하여 박막형

성 RGB 칼라 패턴 공정이 확보되어야 진공증착형

OLED 비 차별화된 장 시장 유가 가능할 것으

로 망된다.

[그림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backplane상

에 형성하는 Active matrix(AM)형 용액공정 OLED의 제

조에 매우 요한 공정은 컬러패터닝을 한 용액인쇄

(solution printing) 기법이다. 잉크젯, 이 사인쇄, 노

즐 린 등 이미 많은 종류의 RGB인쇄방법이 용액형

full color AMOLED의 제작을 한 공정기술로 보고되었

으며[24~26], 그라비어인쇄법 등은 가격/고속생산이 가능

한 OLED 조명소자용 공정으로 매우 합하다. 이들

잉크젯 인쇄공정의 기술개발이 가장 먼 시작되었고

Cambridge Display Technology(CDT) Seiko-Epson, Sumitomo

화학, 삼성 자 등의 산업계에서 재까지 150~200ppi

의 고해상도 40인치 이상의 면 디바이스의 시연

에 성공하 으나 상업화를 한 고분자 발 재료의 개발

이 미흡한 수 이다. 잉크젯/그라비어 공정에서는 용액과

기 사이의 표면장력이 잘 제어되어야 하고 인쇄된 패턴

의 형상을 균일하게 만들기 하여 최 용매의 선택이 매

우 요하다. 이 사법을 이용한 용액공정 AMOLED

의 제작은 삼성/3M, 듀 사 등에서 개되었으나 재는

이 사용 필름에 증착 재료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소

자기술로 개발방향이 집 되고 있다. 듀 사에서 최근 발

표한 용액공정 OLED를 한 노즐 린 (nozzle printing)

은 기 /유기막과 액 (drop) 사이의 표면장력에 민감한

잉크젯 공정의 안으로서 제시되고 있으며 성공 으로

개발이 이루어지면 용액공정 OLED의 형화 full

color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Ⅵ. 결 론

최근의 분자 AMOLED 의 성공 인 사업화에 따라

련소재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시장 진입이 더욱 늦어

질 가능성도 있으며, 세계 으로는 OLED 유기트랜지

스터용 재료 부분에서 용액공정이 가능한 물질을 연구/개

발하는 회사의 수가 거나 타회사에 합병되는 사례가 많

다. 그러나 이들 용액공정용 소재는 손쉽게 형 면 에

도포할 수 있고 상 으로 간단한 인쇄법에 의해 정 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므로 차세 형, 그리고 유연기

소자에의 용을 한 원천기술 획득을 해서는 로

용액공정용 발 기능소재의 개발에 련된 노력을 게

을리해서는 안 된다. 국내 기업 연구소, 학계에서는

분자계 소재를 이용한 상품개발에 보조 으로 사용될 수

있는, 를 들면 일부 소재의 체품이나 지재, 표면개

질 등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소재의 상품화부터 시작하여

차 고효율 발 재료 핵심소재의 사업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Page 9: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 img.kisti.re.krimg.kisti.re.kr/soc_img/society//kids/HGJBBV/2009/v10n4/HGJBBV... · 용액 공정 oled의 기술 동향 2009년 제10권 제4호

❙기술특집❙

30❙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참 고 문 헌

[ 1 ] J. Kim, R. H. Friend, I. Grizzi, and J. H. Burroughes,

Appl. Phys. Lett. 87, 023506 (2005).

[ 2 ] M. P. De Jong, L. J. van Ijzendoorn, and M. J. A.

de Voigt, Appl. Phys. Lett. 77, 2255 (2000).

[ 3 ] S. H. Kim, Digest of Technical Papers, International

Meeting of Information Display (IMID) 1044 (2005).

[ 4 ] T.-W. Lee, Y. Chung, O.Kwon, J.-J.Park, Adv. Funct.

Mater. 17, 390 (2007).

[ 5 ] P. K. H. Ho, J. Kim, J. H. Burroughes, H. Becker,

S. F. Y. Li, T. M. Brown, F. Cacialli, and R. H. Friend,

Nature 404, 481 (2000).

[ 6 ] H. Yan, P. Lee, N. R. Armstrong, A. Graham, G. A.

Evmenenko, P. Dutta, T. J. Marks, J. Am. Chem. Soc.

127, 3172 (2005).

[ 7 ] J. Birnstock, T. Canzler, M. Hofmann, A. Lux, S.

Murano, P. Wellmann, A. Werner, SID 2007 Digest,

Vol. 38, 1193 (2007).

[ 8 ] C.-W. Chen, C.-L. Lin, C.-C. Wu, Appl. Phys. Lett.

85, 2469 (2004).

[ 9 ] H. Becker, H. Spreitzer, K. Ibrom, W. Kreuder,

Macromolecules, 32, 4925 (1999).

[10] M. T. Bernius, M. Inbasekaran, J. O'Brien, W. Wu,

Adv. Mater. 12, 737 (2000).

[11] D. Gin, V. Conticello, Trends Polym. Sci. 4, 217, 1996

[12] S. Tokito,, M. Suzuki, F. Sato, M. Kamachi, K. Shirane,

Organic Electronics 4, 105 (2003).

[13] M.-H. Kim, M. C. Suh, J. H. Kwon, B. D. Chin, Thin

Solid Film, 515, 4011 (2007).

[14] C.-L. Ho, W.-Y. Wong, Z.-Q. Gao, C.-H. Chen, K.-W.

Cheah, B. Yao, Z. Xie, Q. Wang, D. Ma, L.Wang, X.-M.

Yu, H.-S. Kwok, Z. Lin, Adv. Func. Mater. 18, 319

(2008).

[15] B. D. Chin, N. S. Kang, J.-W. Yu, S. M. Jo, J. Y.

Lee, J. of Appl. Phys., 102, 024506 (2007).

[16] N. Rehmann, C. Ulbricht, A. Koehnen, P. Zacharias,

M. C. Gather, D. Hertel, E. Holder, K. Meerholz, U.

S. Schubert, Adv. Mater. 20, 129 (2008).

[17] D.H.Huh, J. W.Lee, E. S. Kang, M. Chae, SID 2008

Digest. Vol 39, 1985 (2008) Los Angeles.

[18] B.D.Chin, D.Lian, M. H. Kim, S. T.Lee, H. K. Chung,

Appl. Phys. Lett. 85, 4496 (2004).

[19] T.-W. Lee, M.-G. Kim, S. H.Park, S. Y. Kim, O.

Kwon,T. Noh, J.-J.Park, T.-L. Choi, J.H.Park, B.D.

Chin, Adv. Funct. Mater. 19, 1863 (2009).

[20] W. Feehery, “Tuning solution OLED into Reality,”

Organic Semiconductor Conference, Frankfurt,

October, 2008.

[21] A. van Dijken, J. J. A. M. Bastiaansen, N. M. M.

Kiggen, B.M. W. Langeveld, C. Rothe, A. Monkman,

I.Bach, P. Stossel, K. Brunner, J. AM. CHEM. SOC.

126, 7718 (2004).

[22] S.-C. Lo, T.D. Anthopoulos, E. B. Namdas, P.L.Burn,

I.D.W.Samuel, Adv, Mater. 17, 1945 (2005).

[23] S.-C. Lo, R. E. Harding, S. G. Stevenson, R. N. Bera,

P.L.Burn, I.D.W.Samuel,Adv. Funct. Mater. 18, 3080

(2008).

[24] Y. Iizumi, Y. Kobayashi, T. Tachikawa, H. Kishimoto,

K. Itoh, H. Kobayashi, N.Itoh, S. Handa, D. Aoki, and

T. Miyake, SID 2007 Digest, vol. 38, 1660 (2007).

[25] M.C. Suh, B. D. Chin, M.-H. Kim, T.M.Kang, S. T.Lee,

Adv. Mater., 15, 1254 (2003).

[26] S. T. Lee, M. C. Suh, T. M. Kang, Y. G. Kwon, J.

H. Lee, H. D. Kim, and H.K. Chung, SID 2007 Digest,

Vol.38, 1588 (2007).

저 자 약 력

진 병 두

∙ 1994년 : 연세대학교 공학사

∙ 2000년 : 한국과학기술원 공학박사

∙ 2000년~2001년 :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Amherst, Post-doc

∙ 2001년~2005년 : 삼성SDI 책임연구원

∙ 2005년~2009년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

연구원

∙ 2009년~현재 : 단국대학교 고분자시스템

공학부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