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15
인적자원관리연구제13권제3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06. 9. pp. 123~137 논문접수일: 2006년 2월 28일 게재확정일: 2006년 7월 16일 - 123 - * 본 논문은 2005년도 계명대학교 비사연구기금으로 이루어졌음. ** 계명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조교수 [email protected] 최고경영자, 전략, 구조 및 관리시스템 특성이 중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ㆍ대만 비교연구 * 신 진 교 * <목 차> Ⅰ.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Ⅱ. 연구모형 Ⅲ. 자료 및 분석 1. 자 료 2. 측 정 3. 상관관계 Ⅳ. 분석결과 1.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 2. 한국과 대만 중소기업의 성과 결정요인 Ⅴ. 연구결과의 해석 및 연구명제의 설정 1. 연구결과의 해석 2. 연구명제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의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성과 결정요인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위 해 2002년 2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제조업종에 속한 한국의 408개 및 대만의 98개 중소기업으로부 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LISREL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고경영자 특성, 경영전략 특 성, 조직구조 특성, 그리고 관리시스템 특성이 중소기업의 성과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 다. 한국과 대만 중소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한국 중소기업에 있어서는 경영전 략 및 조직구조 요인이 중소기업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 중소기업 의 경우 최고경영자 특성과 관리시스템 특성이 국제경쟁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Transcript of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Page 1: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인 자원 리연구제13권제3호

한국인 자원 리학회

2006. 9. pp. 123~137

논문 수일: 2006년 2월 28일

게재확정일: 2006년 7월 16일

- 123 -

* 본 논문은 2005년도 계명 학교 비사연구기 으로 이루어졌음.

** 계명 학교 경 학 경 학과 조교수 [email protected]

최고경영자, 전략, 구조 및 관리시스템 특성이

중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ㆍ대만

비교연구*

신 진 교*

< 목 차 >

Ⅰ. 문제제기 연구의 목

Ⅱ. 연구모형

Ⅲ. 자료 분석

1. 자 료

2. 측 정

3. 상 계

Ⅳ. 분석결과

1. 연구모형의 합도 분석

2. 한국과 만 소기업의 성과 결정요인

Ⅴ. 연구결과의 해석 연구명제의 설정

1. 연구결과의 해석

2. 연구명제

참고문헌

Abstract

국문 록

본 연구는 한국과 만의 제조 소기업을 상으로 성과 결정요인을 비교ㆍ분석하 다. 이를

해 2002년 2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제조업종에 속한 한국의 408개 만의 98개 소기업으로부

터 설문자료를 수집하 다. LISREL을 이용한 확인 요인분석 결과 최고경 자 특성, 경 략 특

성, 조직구조 특성, 그리고 리시스템 특성이 소기업의 성과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밝 졌

다. 한국과 만 소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한국 소기업에 있어서는 경

략 조직구조 요인이 소기업의 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소기업

의 경우 최고경 자 특성과 리시스템 특성이 국제경쟁력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Page 2: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인 자원 리연구 제13권제3호

- 124 -

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게 된 이유를 한국과 만에서의 소기업의 구조, 경제체

계 정책, 기업문화, 그리고 소기업 육성정책 등에 있어서의 공통 과 차이 의 측면에서 설명하

고 있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의 이론 실무 시사 , 한계 미래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 다.

주제어: 소기업, 최고경 자, 경 략, 조직구조, 리시스템, 성과

Ⅰ. 문제제기 연구의 목

IT의 속한 진 과 이에 따른 지식경제

로벌화의 확산으로 부분의 소기업들은

과거보다 높은 불확실성과 경쟁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런 경 환경 하에서 소기업이 생존

과 함께 지속가능한 경쟁우 를 확보하기 해

서는 지 까지의 경 시스템을 체계 으로 개

선하여 “좋은 기업을 넘어 한 기업(Good

to Great: Collins, 2001)"으로 성장하기 한

신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Aaker, 1988;

Barney, 1996). 이런 노력은 소기업들 스스로

가 최고경 자, 경 략, 조직구조, 리시스

템 등의 측면에서 세계 인 경쟁기업들과 비교

될 수 있는 경쟁우 요소를 개발해야 할 것이

다(Nelson, 1992). 이런 맥락에서 한국과 만

소기업들은 상 으로 빠른 성장과 높은 국

제경쟁력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따라서 한국과 만 소기업의 역할과 구조에

한 연구 심이 날로 높아가고 있다.

한국과 만은 한 때 “아시아의 4마리 작은

용”으로 불리었으며, 많은 공통 과 차이 을

가지고 있다. 일본의 식민지 경험, 분단국, 수

출주도형 성장 략, 높은 인구 도와 빈약한

부존자원, 양질의 노동력 보유, 비슷한 소기

업의 수 종사자 비 (2001년), 사회에 비해

국가의 높은 자율성, 신흥공업국(NICS)의 일원,

동북아시아 국가로서 유교 문화권에 소속, 그

리고 비슷한 경제수 (Kim, 1988) 등의 공통

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한국과는 달리, 만의

경우 이주민( 국 본토인)과 원주민간의 높은

갈등, 권 주의 사회, 소기업 심의 경제

발 , 손문(孫文)의 삼민주의(三民主義)에 입각

하여 소득재분배를 강조해 왔다는 , 자유시

장 심의 경제발 략, 그리고 사회복지 수

이 높다는 등의 한국과의 차별성도 있다

(Kim, 1988; Lin, 1990; Park, 2001).

이와 같은 공통 과 차이 에도 불구하고 한

국과 만 소기업의 경 특성 성과 결정

요인을 실증 으로 비교ㆍ분석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만 소기업을

상으로 성과 결정요인을 비교해 보고자 한

다.1) 본 연구의 구체 인 목 은 다음 두 가지

이다. 하나는 한국과 만 소기업의 성과 결

정 모형을 구축하고 그 타당성을 실증 으로

분석한다. 다른 하나는 한국과 만 소기업

의 성과 결정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해 경 자 특성, 경 략 특성, 조직구조 특성,

그리고 리시스템(정보, 인 자원 연구개발

시스템) 특성에 을 두고, 이 가운데 어떤

요인이 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본 연

구는 한국의 408개 소기업과 만의 98개

소기업으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실증분석

을 실시하 다.

1) 일반 으로 비교연구는 유사성과 차별성, 그

리고 보편성과 특수성을 구분, 비시킴으로

써 상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게 한다. 여

기서는 무엇을 어떻게 비교할 것인가? 하는

비교 상 방법의 결정이 매우 요하다.

Page 3: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최고경 자, 략, 구조 리시스템 특성이 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한ㆍ 만 비교연구

- 125 -

Ⅱ. 연구모형

체계 이고도 분석 인 시각에서 한국과

만 소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을 악하기 해

서는 무엇보다도 경 시스템의 기본개념에서

출발하는 것이 요하다. 즉, 한국과 만 소

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을 이해하기 해서는 투

입요인으로서의 경 자원, 산출요인으로서 경

성과, 그리고 기업경 의 핵심원리로서 경

환경에 응하면서 경 자원을 경 성과로 변

환시키는 과정에 한 이해가 필요하다.

경 시스템의 내부 변환과정은 환경변화에

응하면서 산출물의 성과를 제고하기 한 투

입자원들을 계획, 조직, 지휘, 조정 통제하

는 핵심 인 역이다. 따라서 경 시스템의

핵심 인 부분은 변환과정(transformation process)

이다. 기업이 성과를 높이기 해서는 필요한

경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도 요하지만

확보된 자원을 효율 으로 활용하는 것 역시

요하다(March, 1991). 특히 내부 변환과정에

는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과 암묵 요인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단 경 시스템이 구축되고

나면 경쟁기업들이 쉽게 모방할 수 없는 경쟁

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실 시스템 근 내에서도 내부 변환과정의

구성요소에 한 시각은 연구자들마다 상이하

다(Koontz & Weihrich, 1990). 변환과정을 두

고 블랙박스(black-box)로 칭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Katz와 Rosenzweig(1979)는 내부 변

환과정을 ① 목표/가치시스템, ② 사회/심리시

스템, ③ 기술시스템, ④ 구조시스템, ⑤ 리

시스템으로 악하고 있으며, Koontz와

Weihrich(1990)는 ① 계획, ② 조직, ③ 충원,

④ 조정, ⑤ 통제의 과정으로 악하고 있다.

Nadler와 Tushman(1980)은 내부 변환과정을

① 략, ② 과업, ③ 공식조직, ④ 비공식조직,

그리고 ⑤ 사람으로, 신유근(1992)은 ① 경 체

제, ② 경 략, ③ 기업문화, ④ 노사 계로,

삼일회계법인(1993)에서는 ① 경 략, ② 조

직구조, ③ 리더십, ④ 기업문화, 그리고 ⑤ 자

원 리시스템으로 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는 시스템 에서 소기업의 성과 결정요인

을 악한다는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내부

변환과정의 핵심요인으로 략(strategy), 구조

(structure), 리시스템(system), 그리고 사람

(person) 등에 을 두고자 한다(신유근,

1996). 그 이유는 다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러한 특성들이 경 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고 있다는 실증 인 증거들이 기존

의 경 학 연구들에서 이미 제시되어 오고 있기

때문이다. 즉, 최고경 자 특성과 성과(Baron,

2000; Chen et al., 1998; Walsh et al., 1996;

Bandura, 1986; Roure & Madique, 1986 등), 경

략 특성과 성과(Gartner et al., 1994;

McDougall et al., 1994; Dess & Davis, 1984;

Porter, 1980 등), 조직구조 특성과 성과(Baum,

1994; Jackson & Morgan, 1978; Lawrence &

Lorsch, 1967 등), 그리고 리시스템 특성과 성

과(Lawler et al., 1998; Dyer & Reeves, 1995;

Cohen & Levinthal, 1991; Huber, 1990; Dewett

& Jones, 2001 등) 사이에 유의한 계가 존재

한다는 것을 밝힌 실증연구들이 매우 많다.

다른 하나는 경 략과 조직구조, 그리고

리시스템이 해당 소기업의 내부특성요인

(역사, 창업자, 구성원 특성 등)은 물론, 외부특

성요인(업종, 경쟁기업 사회경제 특성 등)

도 동시에 반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사람

은 최고경 자 구성원 특성을 히 반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2) 이와 같은 본 연구

2) 이들 네 요인은 개별 으로 소기업의 성과

에 향을 미치는 것을 넘어 상호작용을 통

해서도 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도 문화나 기술특성 등이 강조

Page 4: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인 자원 리연구 제13권제3호

- 126 -

의 모형은 아래의 <그림 1>과 같다3).

최고경영자

경영전략성과조직구조

관리시스템

최고경 자

경 략조직구조 성과

리시스템

<그림 1> 연구모형

Ⅲ. 자료 분석

1. 자 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만 소기업의 성과

를 악하기 해 2002년 2월부터 2004년 2월

까지 제조업에 속한 한국의 408개 만의

98개 소기업으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

다. 조사 상 기업 가운데 일부로부터는 팩스

나 우편으로 설문지를 회수(78개 기업) 할 수

있었으나, 다른 부분의 기업으로부터는 조사

원이 해당기업의 임원 혹은 최고경 자를 직

방문하여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하여 설문지가

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 두 특성을

개별 인 하 시스템으로 다루기보다는 네

가지 하 시스템 반에 향을 미치는 기본

요인으로 악하고자 한다.

3) 소기업은 기업에 비해 다양한 특성과 차

이 들을 지니고 있으나 경 시스템의 구축

과 리방식의 선택에 있어서는 공통 인 메

커니즘을 지니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서 소기업의 성과 분석을 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 다.

작성ㆍ회수되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

써 애매한 설문항목에 해 구체 으로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응답을 최소화할 수 있

었다(Miller & Friesen, 1982).

한국 응답기업들의 업종별 분포는 기계

자동차부품기업이 288개 기업(70.6%)이었고 섬

유기업이 120개(29.4%) 다. 설립년도별로는 최

1년에서 최 58년 사이에 걸쳐있으며 평균

14년 1개월, 표 편차 9년 4개월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종업원 수 최 3명에서 최 285

명으로 평균 36.6명, 표 편차 51.2명으로 소

기업의 특성을 잘 반 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한편, 만 응답기업들의 업종별 분포는 기

계 속이 48개 기업(49%), 기 자가 32개 기

업(32.6%), 음식료 5개 기업(5.1%), 그리고 기타

13개 기업(13.2%) 등이었다. 설립년도별로는 최

1년에서 최 87년 사이에 걸쳐있으며 평균

22년 9개월, 표 편차 13년 7개월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종업원 수 최 2명에서 최 279

명으로 평균 53.3명, 표 편차 61.2명이었다.

2. 측 정

2-1 최고경 자

최고경 자 특성은 경 의사결정 경 활

동의 지휘를 한 인 문능력 특성으로

정의하고, 인 특성으로 연령, 학력, 경 년수

를, 그리고 문능력 특성으로 사업성공경험,

공일치도, 사업실패 경험 등을 측정하 다.

이들 자료의 구성타당성(construct validity)을

검토하기 하여 varimax 회 방법을 사용한

주성분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

과 2가지 요인이 발견되었다. 여기서 문능력

특성에 한 사업실패 경험 1문항이 제거되었

다. 그 결과 <표 1>과 같은 요인이 발견되었

다. 한편, Cronbach 알 값을 구한 결과, 인

Page 5: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최고경 자, 략, 구조 리시스템 특성이 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한ㆍ 만 비교연구

- 127 -

특성은 .627, 문 능력특성은 .683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 이었다.

<표 1> 최고경 자 특성에 한 요인분석 결과

요인명 항목 요인1 요인2 신뢰도(α)

인 특성

학력 0.874 0.000

.627연령 0.795 -0.091

경 연수 0.532 0.398

문 능력특성성공경험 0.022 0.761

.683공일치도 0.014 0.614

아이겐값 1.681 1.122

설명력(%) 33.6 22.4

2-2 리시스템

리시스템 특성은 목 달성을 해 인 자

원, 연구개발 경보시스템을 계획, 조직, 지

휘 통제하는 체계로 정의하고, 연구개발시

스템은 연구개발체제, 특허 개발건수로, 경

정보시스템은 담부서, 담당자 수, 경 자의

지, 인트라넷, 홈페이지로, 그리고 인 자원

리시스템은 선발, 평가, 보상, 충원 해고 등

으로 측정하 다. 이들 자료의 구성타당성을

검토하기 하여 varimax 회 방법을 사용한

주성분 요인분석 결과 3가지 요인이 발견되었

다. 여기서 연구개발 요인에서 연구개발 요원

수, 매출액 비 연구개발비 비 2문항, 경

정보시스템 요인에서 정보담당자 수, 정보화

산 2문항, 그리고 인 자원 리 요인에서 성

과평가와 해고 유지 3개 항목이 해당 요인

에 낮게 재(loading)되거나 다른 요인에 재

되어 이들 문항을 제외시키고 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 다. 그 결과 <표 2>와 같은 요인이

발견되었다. 한편, Cronbach 알 값을 구한 결

과, 인 자원 리시스템은 .773, 경 정보시스

템은 .791, 그리고 연구개발시스템은 .677 등으

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 이었다.

<표 2> 리시스템 특성에 한 요인분석 결과

요인명 항목 요인1 요인2 요인3 신뢰도(α)

인 자원 리시스템

문제해결 능력 심선발 0.810 0.116 0.041

0.773기술 심선발 0.801 0.114 -0.097

개인성과 0.764 -0.201 0.169

집단성과 0.697 0.284 -0.135

경 정보시스템

홈페이지 0.020 0.874 0.116

0.791인트라넷 0.167 0.811 0.096

정보부서 0.270 0.790 0.004

경 자 의지 -0.089 0.667 0.239

연구개발시스템연구개발실 -0.066 0.111 0.783 0.677

연구체제 0.146 0.124 0.725

아이겐값 2.773 2.021 1.275

설명력(%) 30.3 21.2 13.8

2-3 경 략 경 략은 “경쟁기업에 한 우 를 획득하

Page 6: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인 자원 리연구 제13권제3호

- 128 -

기 한 방법”으로 정의하고, 제품차별화 략

과 원가 략을 측정하 다. 이를 해 Dess

와 Davis(1984)가 개발한 11개 항목(비용 감,

원재료와 인건비 감, 효율성 향상, 제조공정

개선, 품질개선, 신제품 개발, 고품질 달성, 신

제품 도입, 제품신뢰성, 기술을 새롭게 용,

신기술에 보조를 맞추는 일)을 경쟁기업에 비

해 얼마나 더 강조하고 있는지를 5 척도로 측

정하 다. 이들 자료의 구성타당성을 검토하기

하여 varimax 회 방법을 사용한 주성분 요

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3>과 같은 요인이

발견되었다. 나아가 Cronbach 알 값은 제품차

별화 .843, 비용 감추구 략 .644로 나타나 신

뢰할 수 있는 수 이었다.

<표 3> 경 략 특성에 한 요인분석 결과

요인명 항목 요인1 요인2 신뢰도(α)

제품차별화 략

신기술보조 0.781 0.135

.843

신기술 용 0.775 0.169

신제품도입 0.721 0.019

신제품개발 0.702 0.068

다양한 제품 0.696 -0.048

제품구색 변동 0.694 0.078

제품설계 0.623 0.139

원가 략

비용 감 -0.006 0.861

.644원재료 감 0.000 0.829

제품가격 0.287 0.599

아이겐값 3.662 1.866

설명력(%) 41.1 22.8

2-4 조직구조

조직구조에서 분권화는 “의사결정 권한을 하

에 양하는 정도”로, 그리고 공식화는 “과업수행

을 한 규칙과 차 등이 명문화되어 있는 정

도”로 정의하 다. 측정을 해서는 Vancil(1980)

이 개발한 설문문항에 략 의사결정에 한

항목을 추가하여 분권화 공식화 정도를 측정

하 다. 이들 자료의 구성타당성을 검토하기 하

여 varimax 회 방법을 사용한 주성분 요인분석

결과 2개의 요인이 발견되었다. 여기서 분권화에

한 2문항과 공식화에 한 1문항은 특정 요인

에 합하게 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하여 이들 문항을 제외시키고 와 동일한 방

법으로 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 다. 그 결과

<표 4>와 같은 요인이 발견되었다. 나아가 이들

자료의 신뢰성을 검토하기 하여 Cronbach 알

값을 구한 결과, 분권화는 .690, 공식화는 .627

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 이었다.

<표 4> 조직구조 특성에 한 요인분석 결과

요인명 항목 요인1 요인2 신뢰도(α)

분권화의사결정 분권 0.842 0.049

.690의사결정 참여 0.826 0.021

공식화규율과 차 -0.048 0.777

.627업무문서화 0.113 0.744

아이겐값 1.407 1.160

설명력(%) 35.2 29.0

Page 7: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최고경 자, 략, 구조 리시스템 특성이 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한ㆍ 만 비교연구

- 129 -

2-5 성과

성과는 재무성과를 측정하 다. 이를 해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5년간의

순이익을 평균하여 측정하 다.

3. 상 계

본 연구가 도입한 변수들의 구성요소간의 상

계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표 5> 변수간 상 계(한국 소기업)

인 특성 문능력 R&D MIS HRM 차별화 원가 분권화 공식화

문능력 0.027

R&D -0.085 -0.048

MIS 0.149++ 0.143++ 0.055

HRM 0.020 0.084 0.054 0.246++

차별화 략 0.043 0.027 0.220++ 0.161++ 0.375++

원가 략 0.053 0.030 0.007 0.121++ 0.254++ 0.284++

분권화 0.057 0.080 0.166++ 0.282++ 0.413++ 0.280++ 0.208++

공식화 0.082 -0.032 0.059 -0.007 -0.010 0.094 0.190++ 0.124+

성과 0.170++ 0.085 0.123 0.231++ 0.122+ 0.202++ 0.138++ 0.188++ 0.028

<표 6> 변수간 상 계( 만 소기업)

인 특성 문능력 R&D MIS HRM 차별화 원가 분권화 공식화

문능력 0.193+

R&D -0.007 0.078

MIS 0.041 0.148 0.156

HRM 0.127 0.032 0.308++ 0.026

차별화 략 0.056 0.064 0.216++ 0.084 0.499++

원가 략 -0.071 0.048 0.122 0.114 0.186+ 0.320++

분권화 0.066 0.273++ -0.204+ -0.049 -0.357++ -0.272++ -0.003

공식화 -0.135 -0.180+ 0.131 0.049 0.309++ 0.318++ 0.239++ 0.426++

성과 0.070 0.123 -0.108 -0.087 -0.058 -0.189+ -0.175 0.063 -0.145

+: P<.05수 에서 유의 ++: P<.01수 에서 유의

<표 5> <표 6>에서 경 략과 조직구

조 변수들에서 상하지 못했던 두 가지 결과

가 발견되었다. 첫째는 차별화 략과 원가

감 략이 서로 正(+)의 상 계를 맺고 있다

는 사실이다. 비록 논리 으로는 차별화 략

과 원가 감 략을 동시에 추구하기 어렵다

할지라도, 성과 강화를 해 양국 소기업들

은 두 략 어느 하나도 희생시키지 않고

균형 으로 추구하고 있음을 이 연구결과는 보

여주고 있다. 과거에는 차별화 략과 원가

략을 상호 배타 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지배 인 흐름이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Dess,

Gupta, Hennart 그리고 Hill(1995)을 비롯한 여

러 학자들이 두 개의 략이 서로 상이한 차원

으로서 함께 추구될 수 있는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들 학자들

의 주장이 타당함을 시 하고 있다.

둘째는 표 인 두 개의 조직구조 차원인

공식화와 분권화 간의 상 계가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기존의 다수의 연구들에서는

공식화와 분권화가 負(-)의 계를 맺는 것으

로 주장되었다. 즉, 공식화는 분권화를 제약하

Page 8: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인 자원 리연구 제13권제3호

- 130 -

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그와 반 로 분권화하

게 되면 공식화는 희생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두

개의 조직구조가 상호 배타 차원이 아니고,

공존가능한 서로 다른 차원임을 시사하고 있

다. 다국 기업의 자회사를 상으로 한

Ghoshal과 Nohria(1989)의 연구에서도 본 연구

와 동일한 결과가 산출되었다. 그리고 그 동안

주목받지 못했지만, 상당히 이른 시기에

Perrow(1977)는 공식화와 분권화가 상보

계에 있다는 주장을 펼친 바 있다.

Ⅳ. 분석결과

1. 연구모형의 합도 분석

연구모형의 합도 분석을 해 먼 각 요

인을 구성하고 있는 문항에 하여 신뢰성

탐색 요인분석을 실시하 다. 이어 Anderson

과 Gerbing(1988)이 제시한 2단계 근방법에

따라 최고경 자 특성, 리시스템 특성, 경

략 특성, 조직구조 특성, 그리고 성과 변수를

포함하는 측정모형을 구성하고, LISREL V8.12로

확인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을 통하여 모형의 합성을 추정 평가하

다. 확인 요인분석을 통해 각 구성변수에

한 집 타당성(convergent validity)과 별타당

성(discriminant validuty), 그리고 모형 합도

를 분석한 결과 최고 경 자특성 2개 항목,

리시스템 특성 3개 항목, 경 략 특성 2개

항목, 그리고 조직구조 특성 2개 항목으로 구

성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설계한 바 로 구

성개념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확인 요인분석

결과는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7> 확인 요인분석 결과

측 정 항 목 추정치(λ) t 값 표 오차

최고경 자(ξ1 )인 특성(X1) 0.530** 2.695 1.971

문능력(X2) 2.364** 2.127 1.112

리시스템

(ξ2 )

인 자원 리(X3) 0.943** 2.782 0.339

MIS(X4) 0.767** 2.505 0.306

R&D(X5) 0.648** 2.861 2.263

경 략

(ξ4 )

차별화(X6) 0.591** 2.783 2.129

원가(X7) 1.073** 3.016 0.356

조직구조

(ξ5 )

분권화(X9) 1.000 - -

공식화(X10) 0.770** 6.758 0.114

구성개념간 상 계

최고경 자 리시스템 경 략 조직구조

한국 만 한국 만 한국 만 한국 만

리시스템 -0.063 0.041

경 략 -0.063 0.056 0.359** 0.084

조직구조 0.244* 0.066 0.282** -0.049 0.294** 0.272**

성과 0.215* 0.194* 0.262** 0.068 0.288** -0.197* 0.303** -0.098

* p< .05, ** p< .01

2. 한국과 만 소기업의 성과 결정요인 아래의 <그림 2> <그림 3>은 한국과

Page 9: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최고경 자, 략, 구조 리시스템 특성이 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한ㆍ 만 비교연구

- 131 -

만 소기업의 성과에 한 경 자 특성, 경

략 특성, 조직구조 특성, 그리고 리시스템 특성

의 향 계를 제시하고 있다. 모형평가와 향

계 검정을 한 공변량구조분석 모형은 측정모형

과 마찬가지로 구성지표(composit indicator)를 사용

하 다. <표 8> <표 9>는 <그림 2> <그

림 3>의 제안모형을 LISREL로 추정한 결과이다.

연구모형의 반 합도는 추정치의 계수

와 표본규모를 고려할 때 만족할만한 수 이었

다(한국 소기업: χ2 = 98.572, P = 0.00000812;

GFI = 0.935; RMR = 0.054; NFI = 0.932; 만

소기업: χ2 =101.435, P = 0.000694; GFI =

0.925; RMR = 0.061; NFI = 0.885). 한국 소

기업의 경우 구성개념 사이의 경로추정치

경 략과 조직구조 요인이 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 소

기업의 경우 최고경 자 리시스템 요인이

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76**

최고경영자

(ξ 1 )

관리시스템

(ξ 2 )성과

(η 1)

경영전략

(ξ 3 )

조직구조

(ξ 4 )

-.017

.232

2.295**

<그림 2> 성과에 한 경 시스템 특성의 향 계(한국 소기업)

<표 8> 성과 향요인 요약(한국 소기업)

변수간의 계 추정치(λ) t 값 표 오차

최고경 자 → 성과(γ11) -0.074 -.017 1.573

리시스템 → 성과(γ12) 0.413 0.232 1.427

경 략 → 성과(γ13) 0.375 2.295** 0.143

조직구조 → 성과(γ14) 0.578 2.776** 0.714

모형 합도χ2 = 98.572 (P = 0.0000812); GFI = 0.935; RMR = 0.054;

AGFI=.901; NFI = 0.932

Page 10: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인 자원 리연구 제13권제3호

- 132 -

1.357

최고경영자

(ξ1 )

관리시스템

(ξ2 )성과

(η1)

경영전략

(ξ3 )

조직구조

(ξ4 )

6.211 **

1.724 **

-.518

<그림 3> 성과에 한 경 시스템 특성의 향 계( 만 소기업)

<표 9> 성과 향요인 요약( 만 소기업)

변수간의 계 추정치(λ) t 값 표 오차

최고경 자 → 성과(γ11) 0.473 6.211** 0.101

리시스템 → 성과(γ12) 0.153 1.724** 0.521

경 략 → 성과(γ13) - 0.272 - 0.518 0.064

조직구조 → 성과(γ14) - 0.143 1.357 0.081

모형 합도χ2 = 101.435 (P = 0.000694); GFI = 0.925; RMR = 0.061;

AGFI=.887; NFI = 0.885

Ⅴ. 연구결과의 해석

연구명제의 설정

1. 연구결과의 해석

한국 만 소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을 실

증 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발

견되었다.4) 첫째, 연구모형에 한 합도 검증

4)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우리나

라 소기업의 경우 기계, 자동차 부품

결과 연구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밝 졌다. 즉,

최고경 자 특성, 경 략 특성, 조직구조 특성,

그리고 리시스템 특성이 한국과 만 소기

업의 성과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밝 졌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만 소기업의 경 특

성 성과 결정요인 악을 한 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섬유업종이, 그리고 만 소기업의 경우

기계 속 지 자 업종이 부분을 차지

하고 있음. 따라서 연구결과의 해석 시 이에

한 주의가 요구됨.

Page 11: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최고경 자, 략, 구조 리시스템 특성이 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한ㆍ 만 비교연구

- 133 -

둘째, 한국과 만 소기업의 성과 결정요

인을 분석한 결과 한국 소기업에 있어서는

경 략과 조직구조 특성이 성과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밝 졌다. 반면, 만 소기업

에 있어서는 최고경 자 리시스템 특성이

성과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밝 졌다. 이

러한 연구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다음의 측면에

서 해석가능하다. 1) 만 소기업의 경우 기

존 아이템을 가지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창업이 많은 반면, 한국 소기업들은 새로운

아이템을 가지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려는 창

업이 많다. 새로운 아이템을 가지고 새로운 시

장에 진출하기 해서는 체계 인 략의 수립

이 요구된다(다각화 략, 마 략, 국제화

략 등); 2) 한국은 성장 심 경제정책을 추

진해 왔으나, 만은 분배 심 정책을 추진

해 왔다. 한 로 한국은 경제발 과정에서

축을 과한 투자부분에 해서는 외자를 도입

하 다. 그러나 만은 국내 축 범 내에서

투자가 이루어졌다. 성장을 해서는 환경변화

에 응하기 한 략의 수립과 실행을 강조

해야 한다; 3) 한국과는 달리 만의 경우 이주

민( 국 본토인)과 원주민간의 갈등이 심하다.

근로자들의 갈등을 리하기 해서는 최고경

자의 역할과 체계 인 리시스템(인 자원

리 등)이 필요하다; 4) 한국경제의 철학 배

경이 효율인 반면, 만경제의 철학 배경은

평등(공정)이다. 한 경제운용에 있어서 한국

은 차별성과 험감수를 시한 반면, 만은

균형과 안정을 시하 다. 효율과 차별성, 그

리고 험감수를 해서는 략이 강조되어야

한다; 5) 상 으로 만이 소기업을 보호하

는 정책을 추진해 온 반면( 소기업 심 정

책), 한국은 기업을 보호하는 정책을 추진해

왔다( 기업 심 정책). 여기서 한국의 소기

업들은 생존과 성장을 한 략 노력에 역

을 두어야 한다; 6) 만 소기업이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를 지니고 있는 반면, 한국 소

기업은 소품종 량생산체제를 가지고 있다. 상

으로 소품종 량생산체제에서는 경쟁이 높

으며, 따라서 략 응이 더욱 요구된다; 7)

만의 근로자들은 한국의 근로자들보다 독립

심이 강하다. 따라서 효과 인 노동력 리를

한 세 한 인 자원 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8) 한국 소기업(25.3%)은 만 소기업

(14.4%)에 비해 사 융의존도가 높고, 따라서

융비용도 한국(12%)이 만(8%)보다 높다.

높은 융비용은 신과 변화를 한 경 략

과 진 성장을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경 략 특성 조직구조 특

성이 개념 으로 상호 립 인 내용들로 구성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경 략 특성은

제품차별화 략과 원가 략으로, 그리고 조

직구조 특성은 분권화와 공식화로 구성되어 있

다. 이는 소 상호 역설 인 요소들(원가와 품

질, 경쟁과 동, 분화와 통합, 분권화와 집권

화, 효율성과 신 등: Evans & Doz, 1993:

86)이 공존할 수 있도록 경 시스템을 구축할

때 경 성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역설의 경

(Management by Paradox: Collins & Porras,

1994: Fombrun & Wally, 1989)5)의 요성을

5) 역설의 경 이란 모순 요소들을 단일차원

의 양극단이 아닌 서로 다른 차원으로 인식

하고, 이들이 각각의 내재 속성을 최 한 발

하면서도 조율된 조화(orchestrated harmony)

를 이루면서 하나의 체계내에서 상보 으로

공존할 수 있도록 리하는 것이다(Hampden-

Turner, 1990). 이 때 모순 요소들은 독립

으로 작용하면서도 서로를 제약하는 계

속에서 상 자율성을 가지고 체계내에 공

존한다. 즉, 모순 요소들은 상호간에

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그 정도가 과도할 정

도는 아니어서 각 요소들이 체계의 작동에

독립 으로 작용할 수 있는 여지 한 존재

한다(Stacey, 1996: 97).

Page 12: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인 자원 리연구 제13권제3호

- 134 -

제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에서 볼

때 한국과 만 소기업들은 제품차별화 략

과 원가 략을 동시에 추구할 때, 그리고 공

식화와 분권화를 동시에 높일 때 성과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간 상호 배타 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략유형(Porter, 1980; Miles & Snow,

1978 등)들이 함께 추구될 수 있으며, 나아가

조직구조의 구성요소(분권화 혹은 집권화, 공식

화, 복잡성) 역시 동시에 높이거나 낮출 수 있

음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 때 경 성과가 향상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2. 연구명제

지 까지 보여 연구의 결과가 더욱 유용해

지기 해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 들이 극복되

어야 할 것이다. 우선, 본 연구는 한국과 만

소기업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함에

있어서 특성요인들 사이의 인과 계를 제 로

규명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6) 따라서

향후의 연구에서는 경 자 특성, 리시스템

특성, 경 략 특성 조직구조 특성 사이의

계를 체계 으로 밝 본다면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 연구모형을 설

계함에 있어서 거시 인 환경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물론, 본 연구가 도

입한 경 특성 요인들이 거시 환경특성을 반

6) 컨 , Miller(1987)의 주장에 의하면 창업단

계에서는 리더십 임페러티 가, 성장단계에

서는 환경 임페러티 가, 성숙단계에서는 구

조 임페러티 가, 그리고 재변신기에서는

략 임페러티 가 구성형태의 핵심 인 요소

가 된다. 즉, 각 성장단계에 따라 특성변수들

사이의 계를 규정하는 임페러티 가 상이

함을 밝힌 바 있다.

하고 있다고 이해할 수도 있으나( : 경 략,

조직구조 혹은 리시스템), 구체 인 환경특성

에 따른 경 시스템 특성과 성과 사이의 계

를 체계 으로 살펴본다면 논리 개의 타당성

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 기술 규모,

나아가 기업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체계 으로

통제하여 분석하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역설의 경 의 성과함의를 실증

으로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상호 모순 인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모순을 극복해 나가는지의 과

정에 한 분석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과제들

을 해소할 수 있는 방향에서 후속연구들이 수

행된다면, 한국과 만 소기업의 성과에

련된 깊이 있는 이론 실무 함의를 제공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한계 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

과들은 향후 한국과 만 소기업 비교연구를

하여 다음의 연구명제들을 탐색하는데 도움

을 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 만과는 달리, 한국 소기업

의 경우 경 략 특성이 성과에 유의한 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 소기업

이 변하는 국제 경 환경에 능동 으로 처

하면서 조직목표를 효율 으로 달성하기 해

제품차별화 략과 원가 략을 동시에 추구할

때 성과가 증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음의 명제설정이 가능하다.

연구명제1: 한국 소기업의 경우 제품차별

화 략과 비용 감 략을 함께 추구할 때 성과

가 높다.

조직구조 특성 역시 한국 소기업의 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

으로는 한국 소기업들이 공식화와 분권화

를 동시에 높일 때 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다음의 명제설정이 가능하다.

Page 13: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최고경 자, 략, 구조 리시스템 특성이 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한ㆍ 만 비교연구

- 135 -

연구명제2: 한국 소기업의 경우 분권화와

공식화를 동시에 높일 때 성과가 높다.

한, 략의 수립과 실행을 동시 으로 바

라볼 경우(이분법 극복) 경 략과 조직구조

는 불가분의 계에 있게 된다. 즉, 수립된

략이 효율 으로 실행에 옮겨지기 해서는

합한 조직구조가 구축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

음의 명제설정이 가능하다.

연구명제3: 한국 소기업의 경우 경 략

과 조직구조가 합성을 이룰 때 성과가 높다.

한국과는 달리, 만 소기업의 경우 최고

경 자 특성이 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만 소기업 최고경

자들의 축 된 경험(경험학습)과 문 능력

이 성과 향상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음의 명제설정이 가능

하다.

연구명제4: 만 소기업의 경우 최고경

자의 경 경험이 축 될수록, 문능력이 높을

수록 성과가 높다.

리시스템 특성 역시 만 소기업의 성과

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체 으로는 만 소기업들이 효과 인 인

자원 리 시스템, 경 정보시스템, 그리고 연구

개발 시스템을 구축할 때 성과가 향상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음의 명제설정이 가

능하다.

연구명제5: 만 소기업의 경우 인 자원

리 시스템, 경 정보시스템, 그리고 연구개발

시스템을 구축할 때 성과가 높다.

참 고 문 헌

1. 김상표, (1997), [역설의 경 : 조직특성과

인 자원 리에 한 실증연구], 연세 학

교 학원 경 학과 박사학 논문.

2. 삼일회계법인, (1993), [ 소기업의 성공조

건], 김 사.

3. 서성무, 이지우, (2002), [경 학원론], 형설

출 사.

4. 신유근, (1992), [한국의 경 : 그 상과

망], 박 사.

5. 신유근, (1996), [ 경 학 - 원론 근

-], 다산출 사.

6. Aaker, A., (1988), Strategic Market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

7.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3:

411-423.

8. Bagozzi, R. & Youjae Yi.,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pp. 64-94.

9. Barney, J. B., (1996), Gaining and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New

York: John Wiley & Son.

10. Collins, J. & Porras, J. I., (1994), Built to

Last: Successful Habits of Visionary

Companies,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11. Collins, J., (2001), Good to Great, New

York: Jim Collins c/o Curtis Brown, Ltd.

12. Dess, G. G. & Davis, P. S., (1984),

"Porter's Generic Strategies as a

Determinants of Strategic Group Membership

Page 14: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인 자원 리연구 제13권제3호

- 136 -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7, pp. 467-488.

13. Dess, G. G., Gupta, A., Hennart, J., &

Hill, W. L., (1995), “Conducting and

Integrating Strategy Research at the

International, Corporate and Business

Levels: Issues and Directions,” Journal of

Management, 21, pp. 357-393.

14. Evans, P. A., & Doz, Y., (1993), "Dualities:

A Paradigm for Human Resource and

Otganizational Development in Complex

Multinationals," in V. Pucik, N. M. Tichy,

and C. K. Baenett(Eds.), Globalizing

Management: Creating and Leading the

Competitive Organizat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pp. 85-106.

15. Fombrun, C. J. & Wally, S., (1989),

"Structuring Small Firms for Rapid

Growth,"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4, pp. 107-122.

16. Ghoshal, S. & Nohria, N., (1989), “Internal

Differentiation with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0, pp. 323-337.

17. Hampden-Turner, C., (1990), Charting the

Corporate Mind: Graphic Solutions to

Business Conflicts, New York: The Free

Press.

18. Kim, Suk-Joon, (1988). The State, Public

Policy, and NIC Development. Daeyoung

Moonwhasa.

19. Koontz, H. & Weihrich, H., (1990),

Essentials of Management, New York :

McGraw-Hill Publish Company.

20. Lin, Wan-I, (1990). “Social Welfare

Development in Taiwan: An Integrated

Theoretical Explanation”.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1. March, J. G., (1991),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 Science, 2, pp. 71-87.

22. Miles, R. E., & Snow, C. C. (1978),

Organizational Strategy, Structure and

Process, New York: McGraw-Hill.

23. Miller, D. & Friesen, P. H., (1984), "A

Longitudinal Study of the Corporate Life

Cycle," Management Science, 30(10), pp.

1161-1183.

24. Nadler, D. A. & Tushman, M. L., (1980),

"A Congruence Model for Organizational

Assessment," in Lawler, Ⅲ, E. E., Nadler,

D. A. & Camman, C.(eds.) Oragnization

Assessment, N.Y.: John Wiley & Sons.

25. Nelson, R., (1992), "Recent Writings on

Competitiveness: Boxing the Compas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34(2), pp. 127-137.

26. Park, Bong-In, (2001),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tart-up Management,"

Proceeding of Start-up Management,

Korean Academy of Start-up Management.

27. Perrow, C., (1977), “The Bureaucratic

Paradox: The Efficient Organization

Centralizes in Order to Decentralize,”

Organizational Dynamics, pp. 2-14.

28. Porter, M., (1980), Competitive Strategy:

Techniques for Analyzing Industries and

Competitors, New York: The Free Press.

29. Stacey, R. D., (1996), Complexity and

Creativity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Berrett-Koehler Publishers.

30. Vancil, R. F., (1980), Decentralization:

Managerial Ambiguity by Design, Financial

Executives Research Foundation, New York.

Page 15: ÀÝÖ'ª Ì- ä ì yp ³ *0 ê é* ' D ì 3 3 Scyb.ox.or.kr/lms_board/bbs_upload/%C3%D6%B0%ED%B0%E6%BF... · 2013-11-29 · ueuîu}t½Zíg sÝ[Y v [yv % uE h u- s1e uE [åg© Zé

최고경 자, 략, 구조 리시스템 특성이 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한ㆍ 만 비교연구

- 137 -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Determinants of Performance of Korean

and Taiwanese SMEs

Shin, Jin-Kyo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ses determinants of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SMEs

between Korea and Taiwan.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has conducted a research by

collecting questionnaire data of 408 Korean manufacturing related SMEs and 98 Taiwanese's.

Results showed the research model was valid. In other words, characteristics of top

management, corporate strategy,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are proved to

be critical determinants of performance of SMEs. As a consequence of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Korean and Taiwanese SMEs, corporate strategy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were

more influential determinants to Korean SMEs' performance. Reversely for Taiwanese SME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op management and management system were more convincing

than other variables where corporate strategy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were less effective.

This study indicat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a context of theoretical

implication, there need to a management by paradox. At the end, the study suggests research

limitation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well as research propositions based on organizational

theory and business strategy.

Key Word:SMEs, Top Management, Corporate Strategy, Organizational Structure,

Management System,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