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9
M }jJ( 23 2 pp. 254 - 262 , 1987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3(2) 254-262 1987 - Abstract- Computed Tomographic Feature of Regio n.al Lymph Nodes Involvement in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Ki Whang Kim, M.D. , Hyung Sik Kim, M.D. , Jong Tae Lee, M.D. , Tae Sub Chung, M.D. , Jung Ho Sub, M.D. and Yong Ho Auh , M.D. * Department of Radiol ogy ,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 e resectabilit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s determined by the extent of hepatic involvement , the presence or abscence of venous invasion and the presence or abscence of extrahepatic metastasis. Extrahepatic spread to regional Iymph node represent contraindincation to surgical resec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regional node metas tasis, their CT appearance is poorly understood. 19 cases of hepatoma co ll ected uring Oct . 1982 to May 1985 at New York Hospital-Cornell Medical center and 73 cases of hepatoma collected during Mar. 1985 to Sept. 1986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o ll ege were reviewed and analysed. Regional Iymph node involvement were divided into four main groups wit h subgrouping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Iymphatic pathway. 1. Iymph nod es in lesser omentum: hepatic, portocaval , left gast ri c and celiac nodes. 2. Iymph nod es around pancrease head: subpyloric, superior mesenteric, preaortic retropancreatic, and precaval ret ropancreatic Iymph nod es 3. paraaortic nodes: left paraaortic, interaorticocaval, retrocaval and preaortic below 3rd duodenum. 4. phrenic nodes: lower parasternal , middle phrenic and ret rocrural nodes Th e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regional node involvement , cases collected at New York Hospital-Cornel Medical center, is hepatic node in 5 (26.3%) , portocaval node in 8 (4 2. 1%), left gastric in 4 (21. 1%), cel iac in 7 (36 .8%); precaval retropancreatic in 5 (26.3%) preaortic retropancreatic in 4 (21.1 %) interao rticocaval in 7 (36 .8%) retrocaval in 4(21.1%) and lower parasternal in (5 .3%)2. The frequency of regional node involvement, cases co ll ected at Yo ns ei University co ll ege of Med icine, is hepatic in 20.5%, portocaval in 24 .7% left gastric in 19.2% celiac in 19.2%, precaval retropancreatic in 8.2%, * Department of New York Hospital-Corn ell Medical Center - 254-

Transcript of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Page 1: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人M’ }jJ( q‘H~↓ 썩 샤.~* iìt‘ 까 23 양 짜 2 號 pp. 254 - 262, 1987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3(2) 254-262 1987

간암의 區域 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Abstract-

연세 대 학교 의 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김기황· 유형식 • 이종태 • 정태섭 • 서정호 • 오용호*

Computed Tomographic Feature of Region.al Lymph Nodes Involvement in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Ki Whang Kim, M.D., Hyung Sik Kim, M.D., Jong Tae Lee, M.D., Tae Sub Chung, M.D., Jung Ho Sub, M.D. and

Yong Ho Auh, M.D. *

Department of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resectabilit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s determined by the extent of hepatic involvement, the presence

or abscence of venous invasion and the presence or abscence of extrahepatic metastasis. Extrahepatic spread

to regional Iymph node represent contraindincation to surgical resec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regional node metastasis, their CT appearance is poorly understood. 19 cases

of hepatoma collected uring Oct. 1982 to May 1985 at New York Hospita l-Cornell Medical center and 73 cases

of hepatoma collected during Mar. 1985 to Sept. 1986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were reviewed

and analysed.

Regional Iymph node involvement were divided into four main groups with subgrouping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Iymphatic pathway.

1. Iymph nodes in lesser omentum: hepatic, portocaval, left gastric and cel iac nodes.

2. Iymph nodes around pancrease head: subpyloric, superior mesenteric, preaortic retropancreatic, and precaval

retropancreatic Iymph nodes

3. paraaortic nodes: left paraaortic, interaorticocaval, retrocaval and preaortic below 3rd duodenum.

4. phrenic nodes: lower parasternal, middle phrenic and retrocrural nodes

The res비t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regional node involvement, cases collected at New York Hospital-Cornel Medical center,

is hepatic node in 5 (26.3%), portocaval node in 8 (42.1%), left gastric in 4 (21.1%), cel iac in 7 (36.8%); precaval

retropancreatic in 5 (26.3%) preaortic retropancreatic in 4 (21.1%) interaorticocaval in 7 (36.8%) retrocaval

in 4(21.1%) and lower parasternal in (5 .3%)‘

2. The frequency of regional node involvement, cases collected at Yonsei University co llege of Medicine, is

hepatic in 20.5%, portocaval in 24.7% left gastric in 19.2% celiac in 19.2%, precaval retropancreatic in 8.2%,

* 뉴욕영원 코넬메디칼센타 방사선과학교실 • Department of Radiologκ New York Hospital-Cornell Medical Center

이 논문은 1987 년 2 월 28 일에 접수하여 1987 년 4 월 10 일에 채택되었읍.

- 254-

Page 2: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깅기황 외 간앙의 1,',,',꾀 임프절 μ싫에 내한 전산화단층촬영싱-

preaortic retropancreatic in 5.5%, left paraaortic in 12.3%, interaorticocaval in 12.3%, retrocaval in 1.1.0% low

parasternal in 0.8%, superior mesenteric in 4.1% subpyloric 1.4% and preaortic below 3rd duodenum in 1.4%

3. High chance of regional node invo lvement can be found in nodes in lesser omentum which located in the

main Iymphatic pathway, followed by paraaortic Iymph node invo lvement via retropancreatic Iymph node

involvement

1. 서 료르

원발성 간암은 발뱅했을 경우 대부분 진행되어 있어

질병 자체의 진단에 만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 다. 합영

증으로 운맥정액 (portal vein)의 혈전증에 판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나 국소 임프절 션이에 판해서는 부검을

통한 보고 외에는 잘 규명되어 있지 않다. 구미 지역에

는 원발성 간암보마 전이암이 상대적으로 18-20 배 않

기 때문에 J) 전이된 임프절 종괴가 취장 주변에서 현저

히 클 경우 임프절 종괴를 원발암£호 생각하고 간의

뱅소를 전이된 것무로 오진할 수 있다 저자들은 코넬

에디랄씬타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망사선고벼| 서 경험

했던 간암의 구역 임프절 칩습에 판한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을 토대로 문헌 고찰과 함께 정상 간 임프커l 해부

학, 간$L에셔의 구역 임프절 침습 양상파 분류를 분석

고찰해 보았다.

2. 대상 및 방법

1982 년 10 월부터 1985 년 5 월까지 뉴욕영원-코벨에

마칼센1:.1에 서 간암으로 진단을 받고 전산화단층촬영 사

진이 있었던 19 예와 1985 년 3 월부터 1986 년 9월까

지 연세대학교 외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에서 경험한 간

암 환자 중 천산화단층촬영 사진이 있었년 73 예를 대

상으로 하였다(Table 1). 코낼에디칼센타 환자 19 예

의 진단은 부검 4 예, 수술 7 예, 흡업생검 7 예, alpha

-fetoprotein (a -F P) 이 1000 ngj ml이상인 1 예였다.

세브란스병원 환자 73 예의 진만은 수술 11 예, 흡업생

검 28 예 , a - FP 이 의의있게 증가한 34 예였다. 이용된

주변부위를 5mm co l1 imation 하여 촬영하였다. 세브

란스영원 73 예에서 이용된 CT 기종은 GE - 9800 34

예 , GE - 8800 2 예, Tomoscan 310 25 예, T omoscan

305 4 예, Somatom 2 예 , 기다 2 예였다. 조영제는

1-3%의 gastrograffin (diatrizoate meglumine

and diatriazoate sodium , Squibb) 500-1000 cc 를

CT scan 하기 30 분선에 경구투여했고 주사시작 직전

에 20mg의 Buscopan 을 정맥주사하였다. 정액내 조

영제는 con ray ( lotha lamate meglumine 60%, Sq­

uibb) 150cc 를 정액내호 빠르게 뼈뾰하였다.

침습된 임프절로 간주한 크기는 임파절이 lcm 이상

인 경우로 정하였마 (예외 門大靜服 임프절은 전후직경

이 13mm 이상인 경우를 취하였마).

정상 간 임프계 해부학

간의 임 프켜l는 表在系와 深部系가 있으며 。l 두 계통

응 간의 表面에 서 자유홈게 운함한다. 간 임 프액의 80

% 정도는 深部系를 통하여 배액된다각 즉 간의 심부 임 프액은 porta hepatis 에 서 간을 떠 나 깐동맥을 따라

위치하는 간 임프절 (hepatic node)로 유입되며 그 마

음은 題뾰뼈 주위에 위치한 題隊結節로 유입된마3- 5) 간

Table 1. Distribution of 92 Patients

Cornell Medical Center

Cases Confirmed

1982. 10 - 1985. 5 Autopsy 4

Total 19 patients Operation 7

Age 33-79 Aspiration 7

m : f = 13 : 6 t alphefetoprotein

선산화단층촬영 기기는 코넬에디칼센타의 경우 GE - Yonsei University C이lege Medicine

8800 과 GE-9800 CT scanner(Milwaukee , Wis)으

로 lO mm co l1 imation 하여 scan time 응 각기 10초

와 2-3 초였다. CT scan 은 때없位(supine position)

에서 우측 횡격악 정점에서 題骨援(i liac crest) 까지

깊은 吸氣 상태하에 촬영하였고 필요에 짜라 문액 정액

1985. 5 - 1986. 9

Total 73 cases

m ‘ f = 67 : 6

Age 27-69

- 255-

Operation 11

Aspiration 23

t alphafetoprotein 34

Page 3: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ç함líXMí'á‘엠짜싼픔‘ i:ií23~ 짜 2 까 1987

LIl. cvstÎci

LIl. choledochi

LI1. para­)anCreatlCI

Hilar Iympllllode:-; LI1 . hepat ici

Ln. gaslrici

Ln.lienales

Ln. parapan

LIl. mesenteriales

Fig 1. Lymph drainage directions on biliary passages and pancreas (Ln. = lymphonodi). (Adapted from W . HESS: Surgery of the biliaη passages and the pancreas. New York, D. Van Nosterand Company Inc. 1965)

임프절은 小網 (lesser omentum)의 府 十二指題없帶

(hepatoduodenal ligament) 속에 위치하며 이 속에

서 거의 일정해1 존재승F는 임프절을 볼 수 있는데 하나

는 담냥판과 총간담판이 만나는 부분에 위치한鍵뼈(cy­

stic) 임프절과 담도의 상부에 위치하며 때로 node of

anterior border of the epiploria foramen_로 칭 하기

도 하는 임프절로3 , 5) 문액정맥과 下大靜服 사이에 위치

하기 때운에 Zirinsky등6 )은 門大靜服( portocaval )

잉프절이라고 CT 운헌에 서 명명하였마 (Fig. 1).

간십이지장 · 인대 속에서 간에서 냐온 임프액이 유업

되는 임프절들은 두 수직 사슬로 배열되어 있는데 하냐

는 깐동맥을 따라 배열되어 복강결절로 유업되는 주된

임프계와 다흔 하냐는 총수담판을 짜라 위치하며 하방

으호는 後上牌十二指題連續 아취 (posterior sup erior

pancreatioduodena l a rcade) 와 연결되는 임프계 이

다7) 후자는 윗쪽으로 복강결절로 배액될 수 있£며 下

部로는 後下鷹十二指題연결아취을 통해 上陽間陳根(su­

perior mesenteric root) 주위에 위치한 임프절로 유

업되며 8 ) 다음 경로로 대동액 주위에 위치한 측대 동액

임프계와 연결된다9) ( Fig. 1~2).

간의 표재성 엄프계는 윗쪽£로는 下뼈u觸骨( parast­

ernal) 임프결과 간의 상빙써l 위치한 하대정액 주위의

임프절 4)파, 횡격막뼈部 후방의 대통액 주위에 위치한

임프철로 유입되며 간의 下面의 임프액은 左몹임파선무

로 주로 유업된마5)(Fig. 3 ).

intrahepatic Iymphatics

Iymphatics at inferior surface 。 f liver

portal Iymphatics

lumbar trunks ..r righ t L. left

Fig 2. Lymphatic drainage of liver in cirrhosis of the liver. (Adapted from H. Herlinger. A. Lunderquist and S. Wallace: Clinical Radiology of the liver New York, Marcel Dekker , Inc. 1984)

간g,fOi l 서 침습된 구역임프절의 운류

상복부 임프결의 CT 해부학적 명칭은 아직 정해진

공통 명명법은 없으며 저지어l 짜라 약깐 마르기는 하나

해부학적 명칭에 근거하여 명영하고 있 다. 저자들은 C

T 영상상 임프절의 명칭을 주위의 중요 구조물의 해부

학적 명칭을 딱라 명명하고 분류해 보았마(Tab l e 11 ,

Fig. 4).

- 256-

Page 4: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A

C

-깅기황 외 , 간앙의 I끊域 임프절 f증짧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ln f. vena cava

Hepatic a

1. 小網內 임프절 ( lymph nodes in lesser

omentum)

a. 府結節 (hepatic node): 간운액 앞 간동액을 따

라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porta hepatis node 라고도

한다.

b. 門大靜服間結節(porto - caval node): 해부학적

으로 맑結節의 일부로서 門)jJft과 하대정액 사이에 위치

한다.

Fig 3. Diagram of the lymphatic drainage of the liver, in sagittal section. (Adapted from Brash, ].C. , and Jamieson, E.B.: Cunningham’s Text.Book of Anatomy [ed. 8]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43.)

B

D

Fig 4. Serial CT section of upper abdomen showing showing regional lymph noae involvement. A. There show lower parastemal node (LPSN) enlargement in anterior aspect of diaphragm. Mid.

dle phrenic node (MPN) could be seen around cava at the level of diaphragm B. Hepatic node (HN) is located along hepatic artery. Portocaval node (PCN) is part of hepatic

node which is located in between main portal vein and inferior vena cava. Left gastric node (LGN) is seen along the left gastric arteηι Retrocrural node (RCUN) could be seen in posterior to diaphragmatic crus, along aorta

C. Subpyloric node is located along proximal protion of gastroduodenal artery (GDA) D. Celiac node (CN): nodes which lies on the front of the abdominal aorta close to the origin

of the celiac trunk

- 257-

Page 5: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 大혐1iX~‘t싫뽑상,~註‘ · 第23卷 m 2~ 1987-

E F

H

Fig. 4. Continued E. Precaval retropancreatic node (PCRN) is anatomically pancreaticoduodenal node which is

located in between inferior vena cava and pancreas head. Superior mesenteric node (SMN) is node around superior mesenteric artery root

F. Retrocaval node (RCN): Anatomically these node is right paraaortic node which lies posterior to inferior vena cava.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retropancreatic node (PORN) is node in between pancreas head and anterior aspect of the aorta.

H. Interaorticocaval node (IOCN) is anatomically righ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in between aorta and cava.

c. 左몹結션 (left gastric node) 몹府願帶 속어l c. precaval retropancreatic nodes

위치하며 죠내동맥을 짜라 분포한다.

d. 題脫結節(ce 1i ac node): 복강동맥 주위에 위치

하는 임프절을칭한다.

後牌職十二指職연속아취 (posterior pancreati codu­

odenal arcade) 를 짜라 위치하는 엄프절로 취장두부

뒷쪽에 하대정맥 앞쪽에 위치한다.

2. 降廳頭部 주위임프절( lymph nodes around

pancreas hea d)

a. 뼈門下結節(subpyroric node) : 심 이지장제 1부

와 제 2 부의 경계 후연에 위치하며 위십이지장 동액의

기시부 주위에 해 당된다.

b. 상장간막결절(superior mesenteric nodes)

상장간악동백 根 주위에 밀집되어 위치하는 임프절

d. preaortic retropancreatic node: 취정두부 뒷

쪽에 대동맥 앞쪽에 위치하는 임프절

3. 뼈.IJ大動服結節(paraaortic nodes)

a. 左없u大動服結節, 복대동액 좌측에 위치하는

절.

。 1 효 。-

b. 大動版大靜版間結節( interaorti cocava 1 no de)

해부학적으로 右뻐大動服 임프절에 속하며 대동액과

- 258-

Page 6: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깅기황 외 : 간암의 !히핸 임프절 f갖껏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Table 2. Correlation of CT and Anatomic Nomenclature

CT nomenclature

1. Ln" in lesser omentum

* Hepatic

* Portocaval

* Lt. gastric

* Celiac Preaortic

2. Ln around pancreas head

* Subpyloric

* Superior mesenteric

* Precaval retropancreatic

* Preaortic retropancreatic

3. Paraaortic Ln

* Lt. paraaortic

* lnteraorticocaval

* Retrocaval

anatomic nomenclature

Hepatic

Hepatic

Lt. gastric

Pyloric or subpyloric

Preaortic

Pancreaticoduodenal

Preaortic

Lt. LUl11bar (lat.aortic)

Rt. 1 umbar (lat. aortic)

* Preaortic Ln below duodenum Preaortic

.1 . Phren ic Ln

Lo\\'er parasternal

Yl idclle phrenic

Retrocrural

LN': lumpn node

Anterior phrenic

Micldle phrenic

Posterior phrenic

하대정맥 사이에 위치하는 임프절을 말한다.

C 後大靜)illC감節 (retrocaval node): 해부학적으로

자때λ助|派감前에 속하며 하대 정 액 뒷쪽에 위 치 히는 임

프절을 칭한다

d. Preaortic node be low third du o denum:십이

지장 제 3 부의 하쑤의 대동액 떼方에 위치따는 임 프섣

4. 橫|隔賴結節(phr enic nodes)

a. 低{I!I]뼈r되 %節 ( low parasternal node)

해부학적으호 횡격악 앞쪽에 위치하는 떼J31i 1햄 O莫 結節

을 칭한다.

b. 마’橫隔n맺t.~ðí'i : 횡 격 악 부근어l 하다! 정 액 주위에 위

치하는 임프칠을 칭한다.

c. Retrocrural node 해부학적으로 後짧隔얹結節

을 말하며 횡격막 각부(聊部) 후8J-에 디}동맥 주위에 위

치하는 엄프절이다.

3. 결 과

표벨메디칼센타 19 예의 간암의 경우 區域임프절의 침

습은 소oJc;양l] 위치한 임프결에 가장 않。l 볼 수 있 었

으며 門大靜Iill(샘節이 8 예 (42.1 %). 服뽑結節 7예(36.8

%). 맑結節이 26.3%. 左몹結節이 21. 1% 였다. 취장

주변엄 프절의 침 습은 뺑門下結節과 t陽間體結節의 침슴

은 봉 수 없었고 취장 두부 윗쪽에 대정액과 대동맥 사

이에 각기 위치한 precava l retropancreatic node 에

26.3 %. preaortic retrop.ancreatic node 에 16.8 %

가 침습됨을 볼 수 있었마. 이들 임프절의 칭습은 취장

하부에서 대동백 좌우 임프절의 칭습파 연결되어 있는

데 大動師大靜服間임프절이 36.8%. 左大動服엄프절이

21. 1 %. 後大靜版임프절이 21. 1 %의 침승을 보여주었

다.

횡격막염파절은 下에뼈骨엄프절。1 5.3%로 침습되어

있는 외에는 없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 73 예 간암의 경우 구

역 임프절 침숨은 표넬메디깔센타 환자의 경우와 유사

하며 소oJ속의 임프설이 가장 높은 첨숨을 보이며 門

大靜服結節이 24.7%. 맑結節이 20.5 %. 左뿜結節과 題

股結節이 각기 19.2 % 였다.

취장주변 측대동맥 임프절은 코낼메디킬씬다 경우보

다 낮은 침습을 보여 precaval retropancreatic no­

de 가 8.2%. preaortic retropancreatic node가 5.5

%. 左뻐大動服結節, 大動版大靜間結節이 각기 12. 3%.

後大靜임프절이 1 1. 0 % 였으냐 취장 두부의 후빙L을 따

라 취장 하부의 측대동액 엄프절에 침습되는 경호댄 같

았다. 생쩍門下 임프절은 1. 4%. 上題間願結節은 4. 1%에

서 칭 습되 었고 횡 격 막입 프섣은 低測뼈骨結節。1 6.8%의

침습을 볼 수 있었마(Tab l e ID).

취 "'<1녁냄위 후$써l 임 프섣이 대 단허 크고 간에 공간

점유 영소가 있어 복막이.냐 취장 종양이 간에 전이된

것으로 오진된 예가 코넬메디칼센타 19 예의 환자중 3

예에서 있었마(Fig.5).

4. 고 찰

간암의 切除 가능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간내 뱅소

파급정도, 주요 간내정맥 침습 유무, 用:外搬散 유우를

둘 수 있다10) 간외 파급으로 뭔域 임프절의 선이는 수

술자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하나 금기사항으효 되어 있

다. 이와 같운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원발성 종양의 진

단, 파급정도와 간내 주요 정액 첨습에 대해서는 이미

- 259-

Page 7: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 大~~1i'Â~‘1없협켈츄픔‘ : m23卷 第 2 ~JÆ 1987

Table 3. Regional Ln lnvolvement in Hepatoma

Ln groups Subgroup Cases of Cases of

CUMC (19pts) YUMC (73pts)

1. Ln in less omentum * hepatic / 5 (26.3%) 115(20.5%)

* portocaval 8 (42.1 %) 18(24.7%)

* lt. gastric 4 (21.1%) 14 (19.2)

* celiac 7 (36.80/0) 14(1 9.2%)

2. Ln around pancreas head * Subpyloric 0 1( 1.4%)

* superior mesenteric 0 3( 4.1%)

* precaval retropancreatic 5 (26.3%) 6( 8.2%)

* preaortic retropancreatic 3 (16.8%) 4( 5.5%)

3. Paraaortic Ln * Lt. paraaortic

* lnteraorticocaval

* retrocaval

* preaortic below 3rd

duodenum

4. Phrenic Ln * lower parasternal

* middle phgrenic

* retrocrural

Ln involvement more than 1

Note Ln ‘ Lymph node CUMC Cornell Medical Center YUMC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잘 알려져 있으나 쿠역 임프절 전이에 관해서는 잘 알

려져 있지 않다. 근자 간암의 조기 발견에 따라 간암의

수술이 증가하연서 수술천 명기 결정을 위해 구역 임프

절 전이에 대해 관심이 높아졌다. 간암의 구역 임프절

전이에 판한 보고는 부검"<J-에서는 15-45% 의 임프절

전이블 보고하고 있3며 11-16) Nakashim a등 13)에 의

하연 맘門 (hepatic hilum) , 牌職때部, 대동액, 후복악,

위, 종격동 등의 순으로 되어 있 o 며 커다란 장기 주변

을 모두 포호빼 분류하였기 때운에 현재와 같은 고해상

력 CT를 이용한 판목에는 구체성이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임상환자에서의 보고로 Kishi 등17)에 의하

연 57 예의 간암 절제 환자의 14 예에서 임파절 전이를

볼 수 있었마고 하나 문맥 주변 임프절은 침습이 없었

마고 하며 LaBerge 등 10)에 의한 CT 문헨보고에 의하

연 30 예의 원발성 간암의 분석 결과 13 예에서 임프절

전이을 관찰할 수 있었고 주로 후복막/대동액 주변이

11 예, 운맥주변이 3 예, 網/題間模 임프절이 3 예, 복

4 (21.1%) 9(21.3%)

7 (36.8%) 9(12.3%)

4 (21.0%) 8(1 1.0%)

0 1( 1.4%)

1 ( 5.3%) 5( 6.8%)

0 0

0 0

9/19 (47.4%) 38/73(52.1 %j

강결절이 1 예에서 전이되었마고 한다. 부검 보고냐 실

제 환자의 CT 문헌 모두 실제 이용하기에 구체성과 재

현성 이 부족하여 저자들은 저자들의 C’뻐을 토대로 잉

프절의 영명파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첨습된 구역임프

절을 크게 4 群으로 각기 小網의 임프절,취장두부 주위

임프절, 뻐大動服임프절과 횡격 막임프절로 나누었마. 소

%딱에는 깐, 門大靜Jl.Ijt, 左룹 , 그라고 뼈뾰 임프절로 임

프절이 소oJ-'양II 모두 위치하거냐, 마지막 경로이며 취

징L두부주위 임 프절은 취 장두부주위 의 pancreati coduo­

denal arcade와 연결되어 있는 임프절들이며 측대통

맥 임프2셜은 취장하부위 대동액 좌우에 위치하기 혜문

에 한 군ξ로 묶을 수 있었고 횡격막 임프절군 또한 횡

격막 천후에 위치하여 한 군우로 분류하였다. 문제가

되는 것은 어느 크기 이상 혹은 어떤 형태의 엄프절이

간암의 전이된 입프절로 간주할 수 있느냐인데 Balfe

등18)에 의하연 府몹뺑帶속에 임프절이 8mm 이상일 경

우 비정상적이라 간주할 수 있다 하며 Zirinsky등6)은

- 260-

Page 8: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김기황 외 · 간앙의 l낌J싸 엄프절 f갚앓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A

C

門大靜服홍間의 임프절은 전후직경이 13mm 이상인 경

우를 말하고 있£냐 저자들은 일반적」즈로 받아들여지는

lcm 이상의 임프절을 바정상 임프절로 간주하였다(예

외 門大靜服임프절은 전후칙경이 13mm 이상을 침습된

임프절로 간주하였다). 또한 lcm 이상의 임프절이 반

드시 轉移를 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펀의상 홉盛 ( invo-

lvement) 란 말을 사용하였 다. 0 1와 같은 기 준하에 침

습된 엄프설을 살펴보니 연세대학뱅원 환자의 경우 소

00'μ속 임프절。l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주었고 간임프철

이 20 .5%, 문대정액임프절이 24.7 %,복강임프절이 9.2

%로 기존 알려진 간 임프액의 주요 배액경로상의 임프

절이 가장 많이 첨습됨을 알 수 있었고 죠}위동액임프절

은 21. 1 %에서 침습되었다. 취장주위임프절은 취장 후

연의 대통맥 및 대정맥 전뽀써l 우l 치한 precaval- , pr­

eaortic retropancreatic node 가 각기 8.2%와 5.5

%의 칭습을 볼 수 있었고 이어서 취장 하부로는 대동

액 주위의 엄 프철이 취장두부 뒷쪽의 임프절과 연결되

어 비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좌대동맥 임프절

이 12.3 %, 대동백대정액간 임프절이 12. 3%,후대정액

Fig 6. Bulky metastatic retropancreatic lymph nodes mimicking prim와y pancreas or retroperitoneal tumor. 65 years old black male patient was brough to emergency room. He was a known alcohal abuser and had a bleeding ulcer. On CT scan, there show multiple focal low den­sity lesion in the right lobe of liver with focal enhancing area (A). A large complex mass was seen in between the duodenum and inferior vena cava which had a cystic center(B). The mass extended downward posterior to the pan­creas with anterior displacement of dista1 com­mon bile duct(C).

B

엄프절。 1 ll.O%로 소망의 엄프절 보냐는 낮으나 적지

않게 침습되었고 횡격막잉프절은 低測뼈骨임프절에 5.3

%가 칭습되었다. 코넬메디칼센타 환자 1 9 예의 경우에

서도 유사한 소견을 보여 소oJ-속의 임 프절이 가장 빈번

하게 침습되었고 취장두부 뒷쪽으l 임프절파 연계되어 취

장하부 대 통맥주위의 임프절에 침송됨을 판찰할 수 있

었다. 이와 같이 간$L에 있어 주된 통로인 hepa tic­

ce liac axis 축상의 침습외에 취.::<J-두부뒷쪽을 통한 취

장 하부 측대동액 주변 엄프절의 침습은 두가지로 설명

할 수 있다. 첫째로 간의 임프액의 주된 경로인 간-복

강(hepatic -c e liac) 엄프계외에 담도를 따라 취장 뒷

쪽의 취 - 심이지장 arcade로 배액되며 7) 이는 마시 상

장간막 임 표철이냐 측대동맥 임프계와 연결될 수 있는

것파 우번째로 엄프액의 흐릎을 지배하는 물리적인 힘

이 동액 또는 정액의 흐픔파 유사하며 주된 임프액 배

액 경로가 폐쇄될 경우 훌測路 (collatera l channel)

을 통하여 i영상시의 활발하지 않던 경로가 열 리어 마른

곳」즈로 우회할 수 있다면

진단상의 문제점은 취장 뒤에 임파션이 커질 경우 취

- 261-

Page 9: 간암의 區域임프절 흡흉홀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상€¦ · Left paraaortic node (LP AN) is anatomically left lateral aortic node which lies left to aorta. G. Preaortic

- 大함放Mií댔짧짤會誌 : 第23卷 第 2 號 1987 -

장과의 지땅相이 소실되연 엄파선 증대인지 취장자체가

커진 것인지의 구분이 힘든데 그 감l날점으로 조영처| 증

강이 질된 CT 사진%에 임프절은 보통 주우l 장기의 살

질보다 조영제 증강이 낮아 밀도가 낮게 보이며 총수당

관이나 심이지장이 전방 전위가 되연 취장 자체의 종괴

보냐는 엄프절 증대의 가능성이 높마6 , 20~

소망속에 죠{위임파절의 전이된 임프절。l 정맥류와 강

벌이 힘든 경우가 있우냐 조영제 증강이 잘 되고 nar­

row window setting 시 밀도 차。l와 tortous 한 판상

주조물이 확인될 경우 감별이 가능하며 필요시 역동적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연 더 용이해진다. 門大靜服호

間의 임프절이 尾狀葉 (caudate lobe)의 뚱L頭狀 혹은

尾狀突起와 쿠분이 필요하며 serial section 을 연결

해 보변 인접 간조직과 연결될 경우나 밀도자체가 임프

절의 경우 간 실질보마 밀도가 낮을 가능성 이 많다6)

때로 大動服大靜服間임프절이 題內에 조영제가 차 있지

않을 경우 陽 자체와 구분이 힘든 경우도 있으나 이는

경구 조영제를 적절히 투여할 경우 오진을피할 수 있다.

5. 걸 르료

1) 저자들은 간%L에서 천이될 수 있는 구역임프절을

크게 4 群으로 분듀하여 a) 소망내 임프절 b) 취장두

부 주위 엄프절 c) 예大動服임프절 d) 횡격악 임프절

로 냐누었다.

2) 소망내 임프설은 府結節, 門大靜服間結節, 左몹結

節, 그러고 陽뾰結節로 나누었고 취징L두부 주위 임프절

은 빼門下結節, 上陽間體結節. precaval retropancre­

atic node와 preaortic retropancreatic node 로 냐

누었고 測大動JW結節은 左떼大動JW結節, 大動服大靜JW間

結節, 後大靜服結節로 preaortic node below third

duodenuffi_으로 나누었고 橫隔題結節은 다시 低測뼈骨

結節, 中橫隔體結節. retrocrural 結節로 나누었 다.

3) 간암에서 구역 임프절의 침습은 임프액의 배액의

주 통로안 소망속의 엄프절。l 가장 많이 되었고 취장두

부 뒷쪽의 pancreaticoduodenal arcade 플 짜라 취

장 하부의 대동맥 주위 임프절을 흔히 칩습할 수있음을

알았다.

REFERENCES

1. Edmonson HA, Pe‘ers RL, Tumors of the liver: Pathologic

Features 5emin in Roentgenol 18: 75-83, 1983

2. Herlinger H. Landerquist A, Wallace 5: Clinical Radiology

of the /iveι Part A Marcel Dekker, New York, 1983, p.

55-59

3. Clemente CD: Graγ5 Anatomy 30th American Ed Lea and

Febiger, philadelphia 1985 p. 896-902

4. Romanes GL, Cunningham’5 Textbook of Anatomy, 12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998-996, 1981

5. Woodburnen RT: Essentials of Human Anatomy, 4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6 p. 408, 419

6. Zirinsky K, Auh YH, Rubenstein WA: The Portocaval5pace:

CTwith ι1R correlation Radiology 156: 453-460, 1985'

7. Hess W. surgery of the biliary passaes and the pancreas.

D. Van Nosterand New York 1965 p. 26

8. Howat HT. Sales H. The Exocrine Pancreas. W.B. Saunders

philadelphia, 1979, p. 24

9. Evans BP, Ochsner A: The Cross Anatomyòf the Iym­

phatics of the Human Pancrease. Surgery 36: 177-191, 1954

10. LaBerge JM, Laing Fζ Federle MP: Hepatoce/lular Car

cinoma: Assessment of Resectability by Computed

Tomography and Ultrasound. Rdiology 152: 485-490, 1984

11. Wright R, AlbeπiKGι'1M, Karran 5: Liver and Biliary Disease

W. B Saunders, philadelphia, 1979 p. 894

12. Cameron HM. Linsell DA. Warwick GP: Liver ce/l cancer.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976,

p . 33, 430

13. Nakashima T, Okuda K, Kojiro M: Pathology of hepatocel­

lular carcinoma in }apan, 232 consecutive cases Autop

sied in Ten years. Cancer 51: 863-877, 1983

14. Patton RB, Horn Rc Jr.: Primary liver carcinoma Autopsy

study of 60 cases Cancer 17: 757-768, 1964

15. Okuda K, Primary liver Cancers in Japan. Cancer 45

2663-2669. 1980

16. Edmonson HA, Steiner PE: Primary Carcinoma of the liver.

A study of 100 cases among 4890 Necropsies Cancer 7:

462-503, 1954

17. Kishi K, Shikata T, Hiroshashi 5: Hepatocellular Carcinoma

A clinical and Pathologic Analysis of 57 Hepatoctomy

cases. Cancer 51:542-548. 1983

18. Balfe DM, Mauro MA, Koehler RE: Castrohepatic ligament:

Normal and patholgic CT Anatomy Radiology 150

485-490, 1984

19. Lachman E. common and uncommon pathways in the

spread of tumors and infections Surg Gynecol Obstet 85:

767-775, 1947

20. Whalen JP: Whalen }P: Radiology of the Abdomen:

Anatomic Basis, Lea and Febiger, PhiladelJ껴ia, 1976 p. 283

- 2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