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GBGB.txt - 메모장cfs6.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516
==================== 05.04.22 ==================== 1. 성공적인 Six Sigma 추진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 가운데 가장 거리가 것은? (Right Cost) 2. 프로젝트의 CTQ명확히 하고 측정 가능한 구체적인 지표로 표현하는 활동과 가장 거리가 ? (성과표준 도출) 3. 다음 VOC수집할 사용하는 방법 성격이 다른 하나는? (FGI) 4. 프로젝트 정의시 일정계획의 설명 틀린 것은? (일정계획은 고정되어 있으면 안되며 정기적으로 수정한다.) 5. 다음 사항 Measure단계에서 일이 아닌 것은? (Vital Few X's선정) 6. 3시그마 수준의 프로세스를 6시그마 수준의 프로세스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세스의 표준편차를 현재에 비해 얼마만큼 줄여햐 하는가? (1/2) 7.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변수(Z)0.74왼쪽에 위치할 확률은 얼마인가? (0.77) 8. 시그마 수준 평가에 대한 가정이다. 다음 설명 가장 거리가 것을 고르시오. (높은 시그마 수준을 얻기 위하여 가장 성과(performance)좋은 시기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9. 측정시스템 분석(MSA)대한 설명 틀린것은? (연속형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이산형 데이터는 실시하지 않는다.) 10. 다음중 프로세스 맵을 작성함으로서 없는 것은? (데이터를 수집해야 목적을 있다.) 11. X-Y Matrix작성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고객의 ) 12. Analyze 단계에서 Vital Few X's선정하기 위한 단계로 옳은 것은? (데이터수집->데이터 분석-> Vital Few X's 선정) 13. 양쪽 검정의 경우는 미니탭 화면에서는 어떤 대립가설을 선택해야 할까? (not equal) 14. 산점도를 보는 방법 틀린 것은? (점들이 흩어져 있는 폭이 좁을수록 상관관계가 약하다) 15. X계수형이고 Y계수형인 경우 분석에 사용되는 적합한 통계 기법은? (Chi-square test) ==================== 05.04.01(1) ==================== 1. 6시그마에 관련된 설명 거리가 것은? (재무성과가 없는 경우에는 6시그마 프로젝트로 인정하지 않는다.)

Transcript of GBGBGB.txt - 메모장cfs6.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 ====================05.04.22====================1. 성공적인 Six Sigma 추진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 가운데 가장 거리가 먼 것은?(Right Cost)

    2. 프로젝트의 CTQ를 명확히 하고 측정 가능한 구체적인 지표로 표현하는 활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성과표준 도출)

    3. 다음 중 VOC를 수집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FGI)

    4. 프로젝트 정의시 일정계획의 설명 중 틀린 것은?(일정계획은 고정되어 있으면 안되며 정기적으로 수정한다.)

    5. 다음 사항 중 Measure단계에서 할 일이 아닌 것은?(Vital Few X's의 선정)

    6. 3시그마 수준의 프로세스를 6시그마 수준의 프로세스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세스의 표준편차를 현재에 비해 얼마만큼 줄여햐 하는가?(1/2)

    7.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변수(Z)가 0.74의 왼쪽에 위치할 확률은 얼마인가?(0.77)

    8. 시그마 수준 평가에 대한 가정이다.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을 고르시오.(높은 시그마 수준을 얻기 위하여 가장 성과(performance)가 좋은 시기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9. 측정시스템 분석(MSA)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연속형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이산형 데이터는 실시하지 않는다.)

    10. 다음중 프로세스 맵을 작성함으로서 알 수 없는 것은?(데이터를 수집해야 할 목적을 알 수 있다.)

    11. X-Y Matrix작성 시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고객의 수)

    12. Analyze 단계에서 Vital Few X's를 선정하기 위한 단계로 옳은 것은?(데이터수집->데이터 분석-> Vital Few X's 선정)

    13. 양쪽 검정의 경우는 미니탭 화면에서는 어떤 대립가설을 선택해야 할까?(not equal)

    14. 산점도를 보는 방법 중 틀린 것은?(점들이 흩어져 있는 폭이 좁을수록 상관관계가 약하다)

    15. X가 계수형이고 Y도 계수형인 경우 분석에 사용되는 적합한 통계 기법은?(Chi-square test)

    ====================05.04.01(1)====================1. 6시그마에 관련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재무성과가 없는 경우에는 6시그마 프로젝트로 인정하지 않는다.)

  • 2. 프로젝트의 CTQ를 명확히 하고 측정 가능한 구체적인 지표로 표현하는 활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성과표준 도출)

    3. 다음 중 바람직한 6시그마 과제의 기준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을 고르시오(개선 방향을 알고 있어야 한다.)

    4. 프로젝트의 범위를 결정하기도 하며 공급자, 입력물, 프로세스, 산출물, 고객항목을 표현하여 프로세스를 도식화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SIPOC)

    5. 다음 중 설명이 틀린 것은?(규격상한과 하한가의 차이를 데이터의 범위(Range)라 한다.

    6. 6시그마 품질 수준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에서 틀린 것은?(3시그마 품질수준에 비해서 불량률이 1/2수준이다.)

    7. 선반 공장의 김 과장은 공구(Tool) 종류(X)에 따른 사용시간(Y)를 조사하였다. 이때 요인(X)과 반응(Y)의 데이터 구조로 올바른 것은?(x-이산형, Y-연속형)

    8. 갑순이의 타이핑 능력은 1분에 600타를 중심으로 정규분포를 가진다. 한 페이지의 문서를 작성할때 오타 없이 타이핑 할 확률이 99.67%라면 갑순이의 문서작성 시그마수준은 얼마인가?(4.22)

    9.다음중 측정시스템 분석을 실시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10. Brainstorming의 설명 중 틀린 것은?(아이디어 양보다는 질을 추구)

    11. FMEA의 역할로써 가장 부적절한 것은?(프로세스에서 고객의 요구사항에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요인 파악)

    12. 과학적인 문제해결 방법의 순서로 옳은 것은?(실제적 문제 > 통계적 문제 > 통계적 해법 > 실제적 해법)

    13. 다음은 1종 오류와 2종 오류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을 고르시오.(검정력은 1-a로 귀무 가설이 옳지 않을 때 이를 기각하는 확률이다.)

    14. Box Plot에서 중간의 Box를 둘로 나누는 선은 다음 중 무엇인가?(중앙값)

    15. A와 B의 모 평균차가 있다고 할 수 있는지를 유의수준 10%에서 검정한 결과 P-VALUE로 0.08을얻었다. 이에 맞는 해석은?(A와 B의 모평균은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16. 개량치 가설 검정의 방법이 아닌 것은?(카이제곱)

    17. 6시그마의 근본철학과 거리가 먼 것을 2개 고르시오.(6시그마는 기존의 개선기법들의 사용을 점차적으로 중단한다. 6시그마는 제종공정의 품질에 초점을 둔 전략이다.)

    18. COPQ(Cost of Poor Qualit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프로세스를 개선해도 숨은 공장은 드러나지 않는다.)

  • 19. 고객핵심요구사항이 아닌 것은?(프로젝트 추진자의 입장에서 중요도를 매긴다.)

    20. 프로젝트 '정의(Define)'단계에 있어서 실행계획서에 기재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X-Y Matrix는 Vital Few X's의 최적화를 위해 사용된다.)

    21. 다음은 Y의 현수준 파악과 목표 설정에 대한 내용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차례대로 고르시오.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전에()분석을 실시함으로서 우선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한다. 그런 후에는 현재 문제점이 어느 정도인지 그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분석을 통해 현재의 시그마 수준을 파악한다. 파악된 현재 수준을 바탕으로 개선 목표를 설정한다.(측정시스템, 공정능력)

    ====================05.04.01(2)====================

    1. 프로젝트의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Top-Down을 계속적으로 유지)

    2. 다음중 CTQ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CEO가 결정하는 주요 품질 특성)

    3. 고객핵심요구사항이 아닌 것은?(프로젝트 추진자의 입장에서 중요도를 매긴다.)

    4. 프로젝트 목표설정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항상 6시그마 수준을 목표로 한다.)

    5. Measure단계에서 진행하는 각 Tools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GAGE R&R:측정시느템의 정확도를 평가한다.)

    6.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Measure 단계의 지표 Y는 CTQ와 일치해야 한다.)

    7. 다음 중 다른 성격의 척도는 무엇인가?(분산)

    8. 직원들의 보고서 작성시간을 조사해 보니, 작성시간은 평균 30분, 표준편차 20분을 따른다고 한다. 상사가 요구하는 작성시간은 45분이라고 할 때 시그마 수준은?(2.25)

    9. GAGE R&R을 평가할 때 Study Variation이 몇% 초과이면 해당 측정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는가?(30%)

    10. 프로세스 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중요한 원인별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11. 잠재적 고장유형과 원인을 우선순위화 하는 툴은"?(FMEA)

    12. Analyze Phase의 추진 절차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데이터 수집->데이터 분석->개선전략수립->vital Few X's선정)

    13. 표본으로부터 얻은 검정결과가 우연에 의해 잘못 판단되었을 가능성을 무슨 위험이라고 하는가?

  • (알파위험)

    14. ()는 불량품이나 결점, 클레임, 사고 등이 집중된 항목을 식별하고, 문제를 우선 순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이다.(파레토차트)

    15. 3개 이상 모집단의 평균을 비교 할 때 사용하는 검정기법은?(One-Way ANOVA)

    16. 다음의 설명에서 용어정리가 잘못 된 것은?(모수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T-분포를 이용한다.)

    17. 다음의 설명 중 올바르지 않는 것은?(상관계수의 절대값이 크면 클수록 두 변수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18. 다음의 데이터는 매출액(X)와 광고시간(Y)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X에 대한 Y의 회귀식을 Y=A+BX라고 할 때 여기에서 A의 값은?

    매출액(Y) 90 95 81 92 83 광고시간(X) 45 46 40 37 35

    (60.1)

    19. Improve단계에서의 올바른 프로세스 절차는?(개선안 수립->Vital Few X's 최적확-> 결과검증)

    20. PILOT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대안인자에 의한 개선 결과는 Pilot에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21. 여러가지 대안 중에서 최적의 대안 선정하고자 한다.선정 기준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타부분 전파 정도)

    22. 다음 중 용어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인자(Factor)가 갖을 수 있는 값의 종류를 처리(Treatment)라고 한다.)

    23. 완전요인실험에서 인자의 수가 K이고 각 인자 수준수가 N인 경우 실험횟수는?(N^K)

    24. 다음의 의2승 완전요인실험법의 교호작용 효과를 계산하시오. 인자 A B A*B Response

    1 - - + 72 2 + - - 77 3 - + - 66 4 + + + 93

    (11)

    25. 다음관리 추진 절차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관리대상인자 정리-관리방법결정-프로젝트 문서화)

    26. 관리계획서에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어느것인가(고객요구사항)

    27. 실수방지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실수방지는 생산단계에서 고려해야 문제 해결 효과가 크다.)

    28. 관리도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라 판단할 수 있는 상황은?(연속적인 5개의 점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경우)

    29. 다음의 관리도 중 연속형의 데이터에 대해 평균과산포를 함께 분석하기에 적절한 관리도 기법은

  • 어느것인가?(X Bar R Chart)

    ====================05.04.01(3)====================1. 6시그마에 관련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재무 성과가 없는 경우에는 6시그마 프로젝트로 인정하지 않는다.)

    2.다음 중 CTQ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CEO가 결정하는 주요 품질 특성)

    3.정보수집의 POINT로 시장 요구 파악의 조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시장에 침투하기 위한 전술적인 활동을 기획할 수 있어야 한다.)

    4.프로젝트 실행 계획서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항목이 아닌것은?(관리계획)

    5.DMAIC 단계중, 다음 보기에서 Measure단계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내용을 잘 설명한 것은?(Y의 현수준 파악과 X의 나열 및 우선 순위화를 위해 프로세스 맵핑을 실시한다)

    6."공정이 안정되어 있다"는 말은 공정에 어떤 원인에 의한 산포가 존재한다는 것인가?(우연원인)

    7.공정능력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공정능력 분석은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8.측정시스템 분석의 용어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동일성)

    9.다음 중 Process mapping을 설명하는 것으로 가장 부적절 한 것은?(핵심입력 변수와 주요 핵심 결과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10.다음 중 FMEA 작성시 사전 준비 사항으로서 필요한 정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11. 표본을 구성하기 위해서 좋은 샘플링의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것은?(직교성)

    12. 다음 중 데이터에 대한 분석도구를 선정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계수형 X, 계수형 Y : 2 Proportion

    13. 일정한 기간 동안에 수집된 데이터에 어떤 패턴이 존재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Run Chart)

    14. ANOVA를 실시할 경우, 사전에 확인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2가지 고르시오(정규성)

    15. X가 계수형이고 Y도 계수형인 경우 분석에 사용되는 적합한 통계기법은?(Chi-square test)

    16. 다음중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의 용도와 관계 없는 것은?(특성치의 산포를 요인별로 분해)

    17. 다음은 단순회귀분석의 분산분석표이다.(a),(b),(c)에 들어갈 숫자의 합은 얼마인가?Analysis of Variance

  • Source DF SS MS F P REgression (a) 200 200 (c) 0.000

    Residual Error (b) 50 5 Total 20 250

    (51)

    18. 다음 Improve 단계에 대해 잘못된 설명은?(한 인자의 효과가 다른 인자 수준의 변화에 따라 변할 때 교호작용의 효과가 없다고 할 수 있다.)

    19. 다음은 어느 단계에서 실행하는 것인가?(잠재프로젝트 발굴 - Define, 현수준 확인 - Measure, 개선 결과 검증 - Improve, 관리계획서 수립 - Control)

    ----------------------------------------------------------------------------------

    2005년 6월 24일 기출문제(1) 1. 6시그마를 추진하는 목적이 아닌것은? (인력감축을 통한 총경비 절감)

    2.Define 단계에서 프로젝트 리더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은 다음 중 무엇인가?(프로젝트 목표에 대해 챔피언의 승인을 득하는 일)

    3.프로젝트를 선정하는 기준이 아닌것은 ?(개선후의 유지가능성)

    4.프로젝트 실행계획서 작성 시 효과적인 문제 기술 요령과 거리가 먼것은?(추진 배경으로써 문제의 근원적 원인을 어느 정도 기술한다.)

    5.Measure 단계에서 행해야 하는 일련의 과정 중 잘못 설명한 것은?(잠재원인 변수의 우선순위화를 위해 특성요인도를 사용)

    6.운영정의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측정시스템의 신뢰성)

    7.선반 공장의 김과정은 공구 (Tool) 종류(X)에 따른 사용 시간 (Y)를 조사하였다. 이때 요인(X)과 반응(Y)의 데이터 구조로 올바른 것은? (X-이산형, Y-연속형)

    8.공정(프로세스)능력을 분석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많은 항목 중 불량이 가장 높은 항목을 찾기 위해서)

    9.Gage R&R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 (총 산포중에서 측정 산포가 차지하는 비율)

    10.다음은 프로세스 맵의 관련 용어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부가가치작업 : 내부프로세스 관점에서 제거 가능한 의미있는 활동)

    11.프로세스 맵 및 C-E Diagram에서 도출 된 모든 X인자들에 대해 출력변수 Y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등급화 해 우선순위를 매긴 스프레드 시트는?(X-Y Matrix)

    12.다음 중 Analyze 단계에서 주로 하는 활동이 아닌것은?(개선안 수립)

    13.다음 중 데이터에 대한 분석도구를 선정중 연결이 잘못된것은?

  • (계수형 X, 계량형 Y : 2 Proportion)

    14.다음 중 분포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석기법은?(히스토그램)

    15.한 학급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력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전의 어휘력과 실시 후의 어휘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적절한 검정방법은?(Paired t Test)

    16. 다음의 분석방법 중 데이터의 수집이 필요없는 경우는 어느것인가?(Proces Mapping)

    17.회기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다음중 ()의 A,B,C,D의 값으로 틀린것을 고르시오.(B = 96.6)

    Regression Analsis : b versus a (이렇게 시작하는 문제...)

    18. 다음 데이터는 매출액 (y)과 광고시간(x)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X에 대한 Y의 회귀식을 y = a +bx라고 할때 여기에서 a의 값은?

    매출액 (y)90 95 81 92 83

    광고시간 (x) 45 46 40 37 35

    (60.1)

    19. improve 단계에서의 올바른 프로세스 절차는?(개선안 수립 -> Vital Few X's 최적화 -> 결과 검증)

    20. 결과 점증의 목적과 거리가 먼것은 ?(장기 공정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21. 다음 중 성격이 다른 Tool은 어느 것인가?(친화도)

    22. X's에 따른 Y의 수학적 모델이나 X's의 최적조건을 설정하는데 가장 일잔적으로 사용되는 도구는 무엇인가?(실험계획법)

    23. 완전요인실험에 대해 맞지 않은 것은?(2의 3승 요인실험은 3수준을 갖는 2개의 인자로 구성되어 있다.)

    24.DOE를 통해서 아래와 같은 회귀식을 얻었다.Y의 목표값이 10인 경우 인자의 값을 설정하고자 한다. 인자 A를 조절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1"로 설정하는 경우 인자C는 어떤값으로 설정해야 하는가? [회귀식 Y=-3 + 2A + 5C ](3)

    25.프로젝트 완료 후 프로젝트를 문서화하고 확산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프로젝트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6.Control 단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Tool이 아닌것은?(Fishbone Chart)

    27.실수방지원칙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 (어느 정도의 불량은 인정한다.)

    28.관리도를 사용하는 이유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프로세스 x들 보다는 프로세스 y들에 대해 사용할 때 효과적이다.)

    29.다음은 어떤 모직물 100m2을 하나의 검사 단위로 볼 때 모직물에 대한 최종 검사에서 발견된 결점수를 기록한것이다 적합한 관리도와 분석결과로 가장 알맞은 것은?

    부분군 번호 결점수 부분군번호 결점수

    1 5 7 6

    2 1 8 3

    3 2 9 3

    4 3 10 8

    5 0 11 1

    6 2 12 0

    (C-관리도 - 10번째 점이 관리의 상한선을 벗어났으므로 공정에 이상상태가 있다.)

    -----------------------------------------------------------------------------------1.6시그마의 과학적인 문제 해결방법의 절차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실제문제->통계문제->통계해법->실제해법)2.프로젝트의 선정절차로 맞는 것은?(프로젝트 발굴->프로젝트 평가->프로젝트 선정3.프로젝트 실행계획의 역할(또는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것은?(문제의 개선안을 명확히 해준다)4.다음 중 옳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X_Y Matrix는 Vital Few X's의 처ㅣ적화를 위해 사용된다)5.Six Sigma에서는 Y에 영향을 주는 잠재 X를 도출한 후 X를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하기를 권장한다.다음 중 X의 분류 유형으로 적당하지 않은것은?(Y에 영향을 미치지만 특이사항이 있는 인자 (Out-lier))6.다음 중 산포와 관련있는 것을 고르시오.(표준편차)7.공정 능력 분석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cpk가 (-)라는 것은 공정의 산포가 지나치게 크다는 의미이다.)8.Gage R&R을 실시하는 경우 평가할 수 없는것은?(안정성)9.C&E Diageam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문제에 대한 점재적인 근본원을 도출하기 위해)10. 다음 중 가장 틀린 것을 고르시오.(정량적 분석대비 정성적 분석은 접근 용이성이 좋으므로 가급적이면 정성적 분서을 시행하는것이 바람직하다.)11.다음 중 잘못된 것은?(p-value 는 2종 오류를 범할 확율이다)12.단일 분포의 모양과 중심위치, 한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인 것은?(Dot Pit)13.다음 중 중심적 경향에 대한 가설 검정에 해당되지 않는것은 무엇인가?(F-test)14. 다음 중 정성적 분석Tool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상관분석)15.분산 분석의 결과가 다음과 같을 경우 올바르게 해석한것은 무엇인가?

  • Analysis of Variance for Length Source DF SS MS F P Length 3 8193 2730 5.01 0.009

    Error 20 10894 545 Total 23 19086

    (길이 요인의 수준은 4개이다)16. 대안인자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수치화 불가능 / 프로세스 최적합 및 표준화)17.DOE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최대의 반복 실험으로 최대의 정보를 창출)18.완전용인실험에서 인자의 수가 K이고 각 인자 수준수가 n인경우 실험 회수는?(n^k)19.Control단계에서 나와야하는 Output과 거리가 먼겋은?(중요 KPIV및 KPOV에 대한 샘플링 방법 및 측정 시스템 관리 도구)20.프로젝트 관리 계획서를 작성하는데 근거가 되는 자료가 아닌것은?(프로잭트 실행 계획서)21.Mistake-Proof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개선결과의 확인)22.다음 중 관리 한계선을 개정하여야 할 경우가 아닌것은?(샘플 데이터를 수집하는 작업자가 변경된 시점)23.관리하고자 하는 항목이 결점수에 관련된 데이터로서 부분군의 크기가 변할 때 사용하는 관리는 무엇인가?(U-관리도)-------------------------------------------------------------2005年 10月 07日 旣出問提

    1. 조직내에서 6시그마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6가지 필수적인 구성용소가 있다. 다음 보기중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배점(3)( 3. 완벽을 향한 노력, 실패에 대한 용인 )

    2. 다음 중 CTQ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배점(4)( 2. CEO가 결정하는 주요 품질 특성 )

    3. 프로젝트의 선정절차로 맞는 것은? 배점(4)( 3. 프로젝트 발굴 > 프로젝트 평가 > 프로젝트 선정 )

    4. 다음 중 상위 프로세스 맵(SIPOC)의 약자에 대한 원 뜻이 잘못된 것은? 배점(3)( 4. C : Control )

    5. 다음 각 설명 중 옳은 것을 2개 고르시오. 배점(4)( 2. MSA에서는 편의(Bias)란 측정치의 평균과 참값의 차이를 말한다. 4. 표본 중에 포함된 불량품 수는 이항분포에 따른다.)

    6. Y에 대하여 누구나 동일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Y가 무엇인지", "어떻게 Y를 측정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규정한 것은 무엇인가? 배점(3)( 4. 운영정의)

    7. 고객은 서비스 신청 후 5일 이내 개통을 원한다. 개통업무 조사결과 평균 4일, 표준편차 2일로 조사되었다. 이 경우 몇 %의 고객이 개통에 대한 불만족을 느끼고 있는가? ( 단, 개통업무는 정규분포에 따름)( 3. 30.9% )

    8. DPMO의 계산에 필요한 기회(Opportunity)에 대하여 옳은 설명은? 배점(3)( 1. 총결함을 일으킬 수 있는 기회의 수 )

    9. 측정시스템 분석 중 서로 다른 사람이 동일한 계측기를 사용하여 동일한 특성으 ㄹ여러번 반복 측정하여 얻은 값들의 평균차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배점(3)

  • ( 2. 재현성 )

    10. FMEA에서 RPN의 의미와 관계가 없는 것은? 배점(3)( 4. 반복도 )

    11. Analyze단계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배점(3)( 2. Y에 영향을 미치는 중욯나 X변수가 무엇인가를 찾아 나가는 것 )

    12. 제2종 오류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배점(4)( 2. 2종 오류가 증가하면 검정력이 줄어든다. )

    13.데이터의 시간 흐름에 따르는 경향을 체크해보기 좋은 도구는?(ANOVA)14.3개 이상 모집단의 평균을 비교할때 사용하는검증 방법은?(One-Way ANOVA)15.아래의 통계적 분석 기법들 중에서 정량적 분석 영역에 속하지 않는 기법은 무엇인가?(친화도)16. 다음의 설명 중 올바르지 않는 것은?(상관계수의 절대값이 크면 클수록 두 변수간에느느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17.다음은 단순회귀분석의 분산분석표이다. (A),(B),(C)에 들어갈 숫자의 합은 얼마인가?(51)18.다음 개선 전략 중 대안에 해당하는 것은?(작업의 용이성, 숙련도, 계절 요인 등의 시간에 따른 변수가 반영되지 않음)

    19.다음 중 최적대안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Tool로 볼 수 없는 것은?(Control Chart)20. 실험계획시 잡음인자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교호효과)21.DOE의 결과를 분석할떄 잔차 분서을 실시한다. 적절히 실시된 실험의 잔차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아닌것을 고르시오.(반복성)22.SIGMA PARK의 주요 기능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내용은?(BB인증테스트)23.SPC (통계적 프로세스 관리)르르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아닌것은?(개선해야할 프로세의 범위 선정기능)24.표준화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숙련도가 높은 공정에 대해서는 표준화를 고려하지않아도 된다)

    25. 조립라인의 결함 수에 관려된 분포이며 U관리도와 C관리도와 관련이 있는 분포는 무엇인가?(포아송 분포)

    26. 고정된 크기의 완성품에서 결함의 수는 어떤 종류의 관리도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C Chart)

    ------------------------------------------------------------------------

    1.6시그마의 근본철학과 거리가 먼 것을 2개 고르시오?(6σ는 기존의 개선기법들의 사용을 점차적으로 중단한다. 6σ는 제조공정의 품질에 초점을 둔 전략이다.)

    2. 물품 불량 클레임으로 인하여 소비자에게 물품을 교환하여 주었다. 이것은 품질비용 중 어느 경우에 속하는가?(실패비용)

    3. Define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선정시의 활동으로 맞지 않는 것은?(잠재인자 발굴)

  • 4. 프로젝트 실행계획서의 작성 내용 중 문제 기술 시 고려해야 할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문제는 누구에 의해 발생되고 있는가?)

    5. 다음 중 Measure 단계의 산출물이 아닌 것은?(Vital Few X's)

    6. Y의 데이터 수집에 관련된 운영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안정된 공정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의 공정능력을 확인한다.)

    7.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평균이 같고 분산이 다른 두 정규 분포의 모양(Shape)은 같다.)

    8. 프로세스의 공정능력분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프로젝트의 Y's에 대한 시그마수준 산출을 통한 현재 프로세스의 수준 결정)

    9. Gage R&R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총 산포 중에서 측정 산포가 차지하는 비율)

    10. 다음은 프로세스 맵의 관련 용어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부가가치 작업 : 내부 프로세스 관점에서 제거 간으한 의미있는 활동)

    11. X-Y Matrix의 용도 중 가장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팀 활동을 위한 촉진제 역할)

    12. 다음 중 데이터 수집 계획서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측정 결과)

    13. 계수치 데이터의 특징으로 아닌 것은?(연속데이터보다 많은 분석을 할 수 있다.)

    14. 다음 중 Multi-vari를 실시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정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15. 두 모집단의 검정에 대한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세웠따. 미니탭 분석결과 P-VALUE 값이 0.23이 나왔다면 유의수준 0.05에서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좋은가?(H0 : µ1=µ2, H1 : µ1≠µ2)(두 모집단 간에는 산포의 차이가 없다.)

    16. 주 5일 근무제에 대한 사원 만족도를 A사와 B사에 대해 조사해 본 결과 A사는 150명 중 85명, B사는 190명 중 101명이 찬성하였따. 두 개사의 사원 만족도가 다른지 유의수준 5%로 검정한 결과가맞지 않는 것은?(A,B사에 대한 샘플 만족도는 각각 57%, 53% 정도이다)

    17. 상관계수가 0.8이면 결정계수는 얼마인가?(0.64)

    18. A사 제조품과 B사 제조품의 재료로부터 각각 랜덤샘플링하여 강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 데이터가 나왔다. A사와 B사의 모평균에 대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지를 유의 수준 5%로 검정하였다. 가장 적당한 답을 고르시오.(단, A사와 B사의 시료에 따른 강도의 분포는 서로 분산이 다르다고 할 수 없으며, 정규분포를 따른다.)(P-VALUE가 0.402로 유의수준 5%로 모평균에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19. 개선단계에서의 주요 결과물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가?(최적대안 선정)

    20. 다음 중 PILOT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여러 가지 에러 요인들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어려움)

  • 21. 개선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방법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Control Plan)

    22. 실험계획법에서 두가지 이상의 인자가 서로 조합해 상호 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교호작용효과)

    23. 분석단계에서 CTQ에 영향을 주는 근본원인으로 IQ정도, 계산기 성능, 교육시간, 교육방법이 선정되었다. 각 인자를 2개 수준으로 분류하여 인자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를 구분하고 유의한 인자에 대해서는 최적조건을 결정하고자 실험계획을 실시하였다. 가능한 모든 조건에서 실험하고자한다면 몇 회의 실험을 해야 하는가?(16)

    24. Control 단계에서 나와야 하는 Output과 거리가 먼 것은?(KPOV의 변화로 영향을 받는 공급자에 대한 교육 완료)

    25. 품질 변동의 원인으로는 우연원인과 이상원인이 있다. 다음 항목 중에서 이상원인의 특징이 아닌 것은?(관리가 잘 되는 상태에서도 발생하는 불가피한 원인을 말한다.)

    26. 다음 중 실수방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실수로 지운 데이터를 복구해 주는 하드디스크 복구 툴)

    27. 다음 중 관리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이상원인이 규명되면 이상원인에 의한 데이터를 제거하고 관리한계선을 재설정 한다.)

    28. 다음 중 전화 케이블의 1000M당 결함수를 관리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관리도는?(C관리도)

    =============================================================================================1. 6시그마에 관련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재무성과가 없는 경우에는 6시그마 프로젝트로 인정하지 않는다.)

    2. Define 단계에서 프로젝트 리더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은 다음 중 무엇인가?(프로젝트 목표에 대해 챔피언의 승인을 득하는 일)

    3. 잠재프로젝트 발굴 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문제해결 방법의 유무)

    4. 프로젝트의 예상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모든 프로젝트는 재무성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5. 다음 중 설명이 틀린 것은?(규격상한과 하한가의 차이를 데이터의 범위(Range)라 한다.)

    6.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 공정상에 외부의 요인이 영향을 미쳐서 평균치가 Shift되는 변동 - 원인 규명이 가능한 변동 - 현재의 공정상에서 통제가 가능한 변동(군간변동)

    7. 다음 중 다른 성격의 척도는 무엇인가?(분산)

    8. 다음은 3개월간의 S사의 신용카드 신청서 작성 현황이다. 신청서 작성 능력의 DPMO 수준은 얼

  • 마인가? · 신청서작성 항목 수 : 20개 · 전체 신청서 수 : 600건 · 잘못된 신청서 건 : 75건 · 잘못 기재되거나 누락 항목 수 : 300개(25,000)

    9. 아래의 계측시스템 분석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R&R은 계측기의 정확도와 관련된 용어이다.)

    10. 다음 중 프로세스 맵의 용도가 아닌 것은?(세계적 수준의 조직, 상품과 서비스, 사업관행을 파악)

    11. 프로세스 맵 및 C&E Diagram에서 도출된 모든 X인자들에 대해 Y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등급화해 우선 순위를 매긴 스프레드 시트를 무엇이라 하는가?(X-Y Matrix)

    12. 다음 중 데이터 수집 계획서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측정결과)

    13. 다음은 일반적인 검정 사례의 귀무 가설이다. 틀린 것은?(데이터의 정규 분포 : 데이터는 정규 분포가 아니다)

    14. 다음 중 분포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석기법은?(히스토그램)

    15. 두 모집단의 검정에 대한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미니텝 분석결과 P-Value값이 0.23이 나왔다면 유의수준 0.05에서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옳은가?(H0 : µ1=µ2, H1 : µ1≠µ2)(두 모집단 간에는 평균값의 차이가 없다)

    16. 불량품의 개수, 도서 교정 시 오타 개수 등과 같이 셀 수 있는 계수형 자료의 통계적 검정에 사용되어지는 검정 방법은?(1-Proportion)

    17.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P-value = 0.738이 나왔다. 가장 올바른 해석은?(유의하지 않다.)

    18. A, B 두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의 불량품 수를 조사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이 제품에 대한 불량률의 차에 대한 90% 신뢰수준에서 신뢰구간의 상한값을 구하시오.(단, 소수점 3자리까지 표시)[제품의 불량품 수] 검사제품수 불량품수 A 공장 550 293 B 공장 708 341(0.098)

    19. Improve(개선)단계 주요활동이 아닌 것은?(Vital Few X's 선정)

    20. Pilot test의 목적이 아닌 것은?(Analyze의 이해도 향상)

    21. 개선 아이디어 평가기준 중 부적합한 것은?(프로젝트 행하는 사람 개인의 생각)

    22. 다음 중 DOE(Design Of Expression)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치 않은 것은?(개선안을 확정한다.)

  • 23. 다음 중 완전요인실험을 통하여 얻을 수 없는 것은?(프롯헤스 능력 분석 결과)

    24. 분석단계에서 CTQ에 영향을 주는 근본원인으로 (1) IQ정도(2) 계산기성능(3) 교육시간(4) 교육방법이 선정되었다.각 인자를 2개 수준으로 분류하여 인자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를 구분하고 유의한 인자에 대해서는 쵲거조건을 결정하고자 실험계획을 실시하였다. 가능한 모든 조건에서 실험하고자 한다면 몇 회의 실험을 해야 하는가?(단, 반복은 없음)(16)

    25. 개선사항들을 문서화 할 대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기술 자산이므로 전문적인 용어 위주로 작성한다.)

    26. 다음의 Control plan 설명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CONTROL PLAN의 조치 담당자는 프로젝트 리더가 되어야 한다.)

    27.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절차 상에 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아닌 것은?(작업자의 근무 연수 차이)

    28. 관리도의 상한과 하한은 공정의 중심에서 ±3σ의 위치에 설정된다. 우연변동에 의해 특성치가 이범위 밖에 있을 확률은 얼마인가?(0.04%)

    29. 공정관리를 위하여 관리도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의 유형이 계량형이고 부분군의 크기가 1인 경우 사용하기에 적합한 관리도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I-MR 관리도)

    ============================================================================================

    1. 6시그마가 일반적 품질관리 활동과 다른 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사업 전략 및 결과에 강하게 연계되어 있지 않고 독자적임)

    2. Define 단계에서 프로젝트 리더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은 다음 중 무었인가?(프로세스의 분석)

    3. A가 고객만족팀에서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판매된 제품을 신속히 배달하고 설치하기 위한프로젝트를 추진하였고, 배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고객 만족도가 높아지지 않았다. 프로젝트를 다시 추진한다면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은 무엇이겠는가?(CTQ의 파악)

    4. 프로젝트 실행 계획서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항목이 아닌 것은?(관리 계획)

    5. 다음 중 잘못 설명한 것은?(계수치, 계량치 모두 장기공정능력(Long Term Process Capability)값으로써, Cp, Cpk를 이용한다.)

    6. 운영정의(Operational Definition)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측정시스템의 신뢰성)

    7. 워크시트의 두 개이상의 열을 하나로 합치거나 하나의 열을 두개 이상의 열로 나눌 수 있는 미니탭 메뉴는?(Stack/Unstack)

  • 8. 갑순이의 타이핑 능력은 1분에 600타를 중ㅇ심으로 정규분포를 가진다. 한 페이지의 문서를 작성할 때 오타 없이 타이핑 할 확률이 99.67% 라면 갑순이의 문서작성 시그마 수준은 얼마인가?(4.22)

    9. Gage R&R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Gage R&R은 측정단계에서만 실시한다.)

    10. 잠재인자를 발굴하기 위한 프로세스 맵 작성 시 범하기 쉬운 오류는?(이상적인 모습을 맵핑한다.)

    11. FMEA는 원인변수(X)가 잘못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미리 예측하여 사전에 예방하고자하는 활동이다. 다음 중 FMEA 활용 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RPN이 낮은 항목에서 높은 항목까지 자세하게 검토한다.)

    12. 다음 중 가장 틀린 것을 고르시오.(정성적 분석 방법으로는 벤치마킹, 현장실사, 기술자료분석, 전문가 의견 청취, 설문조사, 등의 방법이 있다.0

    13. 다음 중 데이터의 유형에 따른 가설검정방법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성인 남자 평균 키가 170인지 확인하고자 성인 남자 100명을 조사하였다. 단, 과거의 경험으로 모집단의 표준편차는 1로 알려져 있다. ------- 1 Sample T 검정)

    14. 다음 중 분포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석기법은?(히스토그램)

    15. 모집단의 평균차에 대한 검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두 집단의 분산이 다른 경우에는 평균의 차이를 검정할 수 없다.)

    16. 주 5일 근무제에 대한 사원 만족도를 A사와 B사에 대해 조사해 본 결과 A사는 150명 중 85명, B사는 190명 중 101명이 찬성하였다. 두 개사의 사원 만족도가 다른지를 유의수준 5%로 검정한 결과가 맞지 않은 것은?(검정결과, A, B사에 대한 사원 만족도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17. 다음 중 잔차에 대한 가정이 아닌 것은?(잔차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18. 다음 표의 상관분석 결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어린이 월령 X 점수 Y 1 15 95 2 26 71 3 10 83 4 9 91 5 15 102 6 20 87 7 18 93 8 11 100 9 8 104 10 20 94(월령과 점수간에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19. 다음 중 Improve 단계와 가장 관련이 높은 단어들을 나열한 것은?(개선 아이디어 도출, 개선안 평가 선정, 최적화, 시험적용)

    20. 개선 결과의 검증 계획 수립 시 고려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현업 이전 계획)

    21. 다음 중 최적대안 선정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 (대안창출 - 위험평가 - 대안시험 - 최적안 선정)

    22. 실험계획법에서 두 가지 이상의 인자가 서로 조합해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교호작용효과)

    23. 고객이 선호하는 최적의 안내장을 결정하기 위한 DOE를 실시하고자 한다. "고객의 성격", "고객의 기분", "고객의 안내장 이해력"라는 핵심인자가 도출됐을 때 다음 중 어떠한 실험을 하겠는가?(2수준의 8회 실험)

    24. 다음 그림은 2인자 2수준의 실험을 한 후 교호작용도(Interaction Pilot)을 그린 것이다. 교호작용의 효과를 구하시오.(-10)

    25. 개선안(해결안) 실행 후 얻어지는 성과를 유지하기 위해 갖춰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추가 프로젝트)

    26. 관리의 행동 중 가장 개선된 접근방법은?(예방0

    27. SOP(Stadard Operation Procedure)절차 상에 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아닌 것은?(작업자의 근무 연수 차이)

    28. 다음 중 관리도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우연 변동의 원인을 찾기 위해)

    29. 다음 중 계량형 관리도가 아닌 것은?(P 관리도)

    ----------------------------------------------------------------------------2006年 07月 14日 기출문제(1)

    1. 6시그마의 통계적 의미를 설명한 것중 틀린 것은?배점(3)( 2. 5σ-shift를 고려하지 않으면, 6σ를 벗어날 확률은 원래 1ppm이다.)

    2. CTQ특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배점(3)( 2. 신뢰성이 있고 반복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

    3. 프로젝트를 정의함에 있어서 추진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배점(4)( 1. 사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 문제의 범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

    4. 다음 중 설명 중 올바른 것은? 배점(4)( 2. SIPOC 분석에서 프로세스의 범위를 지정하는 것은 결함을 만들어 내는 프로세스에 집중하기 위해서이다. )

    5. Measure단계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배점(3)( 4. X인자에 대한 측정 시스템 분석을 실시한다 )

    6. 운영정의(O[erational Defination)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2. 측정시스템의 신뢰성 )

    7. 테이터들이 중심값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는? 배점(3)( 1. 분산 )

    8. 어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A, B, C, 의 프로세스를 거치는 경우 각각의 Yield가 0.97, 0.98, 0.99 일때 RTY는? 배점(3)( 1. 0.94 )

  • 9. Gage R&R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 배점(4)( 1. 총 산포중에서 측정 산포가 차지하는 비율 )

    10. 선진 기업의 분야별 가장 좋은 방법이나 공정의 정보 수집을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참신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법은 어떤 것인가? 배점(3)( 2. Benchmarking )

    11. 다음 X-Y Matrix를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배점(4)( 1.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 점수로 평가하여 순위화한다.)

    12. 데이터 수집 계획의 절차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배점(4)( 2. 질문 및 분석 기법 선정 - 데이터 수집원 결정 - 샘플링 및 샘플 크기 결정 - 데이터 수집양식 및 지침 설계 - 데이터 수집과정 재검토 )

    13. 표본으로부터 주어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모수에 대한 예상, 주장 또는 단순한 추측, 등의 옳고 그름을 파정하는 과정을 ( )이라한다. 괄호에 들어갈 용어는? 배점(3)( 2. 가설검정 )

    14. 단일 분포의 모양과 중심위치, 산포를 보여 주는 그래프인 것은? 배점(3)( 3. Dot Plot )

    15. 두 개의 집단의 Lead Time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어떤 검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가? 배점(3)( 1. ANOVA )

    16. 주 5일 근무제에 대한 사원 만족도를 A사와 B사에 대해 조사해 본 결과 A사는 150명 중 85명, B사는 190명중 101명이 찬성하였다. 두 개사의 사원 만족도가 다른지를 유의수준 5%로 검정한 결과가 맞지 않은 것은? 배점(3)( 3. 검정결과, A, B 사에 대한 사원 만족도는 다르다고 할 수 있디. )

    17. 변수들 간의 관계를 수학적 함수식으로 설명하고 독립변수에 따른 종속 변수를 예측할 수 있는 분석은? 배점(3)( 4. 회귀분석 )

    18. 수집된 데이터가 비정규 분포를 보이고 있다. 과제 수행 담장자가 검토해야 할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2가지 고르시오. 배점(5)( 2. 측정 도구가 적절한지 검토한다. 4. 데어터 표본수가 적절한지 검토한다. )

    19. 개선활동을 실시한 後 그 결과를 검증하는 단계는? 배점(3)( 4. Improve )

    20. Pilot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2개 고르시오. 배점(4)( 1. 개선활동의 결과에 대한 실제 Process에 대한 검증 활동이다. 2. 대안 인자에 의한 개선 결과는 Pilot에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

    21. 대안선정이 사용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배점(3)( 2. 수치화 가능한 인자에 대애 체계적으로 계획, 수행 및 통계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경우 )

    22. 두 인자들 사이의 조합에서 일어나는 효과를 무엇이라 하는가? 배점(3)( 3. 교호 작용)

    23. 다음은 완전요인실험을 실시하는 단_계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적당한 것은? 배점(3) 1) 실험목적의 설정 2) ( ) 및 ( )을 결정 3) 실험의 배치 및 실험순서의 랜덤화 4) 실험실시

  • 5) 실험결과의 분석 6) 분석 결과의 해석 및 조치 (2. 인자, 수준)

    24. 다음의 실험계획법 진행 순서 중 Analyze단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은? 배점(5) ( 3. 실험실시 및 데어터 수집)

    25. 프로젝트 완료 후 현업 이관 시 프로세스 지침의 요건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은 것 2개를 고르시오. 배점(3)( 3. 문서의 양을 가능한 많게 할 것. 5. 현실적이기 보다 이상적일 것 )

    26. 우연원인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시오. 배점(4) ( 4. 만성적으로 발생한다. )

    27. 실수방지에 대한 다음 설명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배점(4) ( 2. 실수방지는 생산단계에서 고려해야 문제 해결 효과가 크다. )

    28. 관리도를 이요해서 분석한 내용이 관리상태이나 규격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왔다. 이런 상태에서 취해야 할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 배점(3) ( 2. 공정이 관리 상태이기에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29. 다음 중 부분군의 크기가 3일 때 적합한 계량형 관리도는? 배점(3) ( 3. Xbar-R 관리도 )

    2006年 07月 14日 기출문제(2)

    1. 6시그마에 관련딘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 4. 재무성과가 없는 경우에는 6시그마 프로젝트로 인정하지 않는다. )

    2. 다음 중 Define단계를 가장 알맞게 설명한 것은? 배점(4) ( 1. 프로젝트의 문제를 기술하고 목표를 설정한다. )

    3. 프로젝트를 선정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배점(3) ( 3. 개선후의 유지 가능성)

    4. 상위 프로세스 맵(SIPOC)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배점(4)( 4. 상위 프로세스 맵은 가능한 한 상세하게 작성되어야 한다. )

    5. 다음 중 Measure단계의 산출물이 아닌 것은? 배점(3) ( 4. Vital Few X's )

    6. 프로젝트 Y는 ( )을(를) 반영하고, 현 수준과 ( ) 을(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위 ( )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순서대로 연결한 것은? 배점(4)( 4. 고객 핵심요구사항 - 개선효과 )

    7. 다음의 내용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배점(3)( 4. 정규 분포가 아닌 계량형 데이터는 이항분포이다. )

    8. 가공 대상물에 각각 4개의 홀을 가공하는 공정에서 5개의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데 6개의 결함이 발생하였다. DPU를 구하시오? 배점(4) - 그림있음( 2. 1.2)

    9. 서로 다른 사람이 똑같은 자를 가지고 계란의 지름을 측정할 때, 측정값들의 평균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무엇에 의한 변동이라고 하는가? 배점(3)( 3. 재현성)

  • 10. 다음 중 상세 프로세스 맵을 작성하여 확인할 수 있는 사항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어느 것인가? 배점(4)( 4. 고객과 프로세스의 연관성 )

    11. X-Y Matrix 작성 시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배점(3)( 4. 고객의 수)

    12. 데이터 수집시 유의할 점이 아닌 것은?( 4. 데이터 수집의 변동이 가능한 커야 한다.)

    13. 다음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배점(3)( P-Value가 유의 수준 α(알파)보다 크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

    14. 그래프 분석 중 X에 따른 Y의 분포 형태를 표현하는 그래프로서, 각 그룹간의 분포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중심위치와 산포는 어떻게 다른지를 한 눈에 보여 주는 것은? 배점(3)( 3. Box Plot )

    15. 두 모집단의 평균값이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할 때에는 미니탭의 어떤 메뉴를 사용해야 하는가? 배점(3)( 1. 2- sample t )

    16. 스포츠 센터에서 연령대(20대, 30대, 40대)에 따라, 운동(수영, 스쿼시, 배드민턴)의 종류에 따른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계획하였다. 어떤 분석기법을 사용 할 것인가? 배점(4)( 4. Chi-square test)

    17. 상관분석은 두 변수간 상호관계를 확대한 것이다. 만약 상관계수 R값이 +1.0이라면 두 변수강의관계가 어떠하다고 할 수 있는가? 배점(3)( 2. 한 변수가 증가하면 다른 변수가 증가한다. )

    18. 개선(Improve)단계헤서 해야 할 일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배점(3)( 2. 현수준 확인)

    19. 최적안을 본격적으로 확대 적용하기 전에 Risk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배점(3)( 1. 파일럿 시험 )

    20. 다음 중 최적대안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Tool로 볼 수 없는 것은?( 4. Control chart )

    21. 완전요인실험의 특징이 아닌 것은? 배점(3)( 3. 2인자 이상의 교호작용 효과는 평가할 수 없다. )

    22. 미니탭을 이용한 실험계획법에서 설명이 틀린 것은? 배점(4)( 3. Number of replicates : 에러항의 추정 )

    23. 제어인자에 대한 최적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 조건을도출하는 방법은? 배점(5)( 3. 실험계획법 )

    24. 개선효과의 유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배점(4)( 4. 재무성과 )

    25. 프로세스의 산포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다음 중 이상요인에 의한 산포가 아닌 것은? 배점(3) - 그림있음.( 1. 1 그림설명 : 가은데 굵은 선이 하나 있고 '>'모양의 그림 4개가 이 선에 아래위로 이쁘게 걸쳐있음. 모양의 크기는 동일해야하며 단지 선에 걸친 위치가 조금씩 다름.)

  • 26. Control plans 개발을 위한 관리 기법 중 [ 고장이나 실수가 다른 재해나 불이익 또는 과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 의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은? 배점(3)( 4. 실수방지 )

    27. 관리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3)( 4. 우연원인에 의한 공정의 변동이 있으면 관리한계선 밖으로 특성치가 나타난다. )

    28. 다음 중 관리도 선택이 올바른 것은? 배점(4)( 4. 면적이 일정치 ㅇ낳은 유리의 샘플에서 기포의 수 - U 관리도 )

    2006年 07月 14日 기출문제(3)

    1. 성공적인 Six Sigma 추진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 가운데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3)( 4. Right Cost)

    2. 프로젝트의 CTQ를 명확히 하고 측정가능한 구체적인 지표를 표현하는 활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3. 현수준 확인)

    3. 고객세분화를 통해 얻을 수 없는 것은? 배점(4)( 3. 높은 성장율과 수익성을 가진 시장 파악 )

    4. 프로젝트의 예상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배점(3)( 4. 모든 프로젝트는 재무성가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5. Measure 단게에서 진행하는 주요 프로세스의 순서가 제대로 된 것은? 배점(3)( 4. Y's확인 -> MSA -> 현수준 확인 -> 잠재 X's 도출)

    6. 다음중 옳지 않은 것은? 배점(4)( 3. Measure 단계의 지표 Y는 CTQ와 일치해야 한다.)

    7. 다음과 같은 두 정규분포에 대한 설명에 대해서 틀린 것은? 배점(3)(4. a와 b 두 분포의 곡선 아래 영역의 면적은 다르다. : 그림설명 - 높이가 다른 2개의 정규분포 그림있음.)

    8. 측정 데이터가 다음과 은 분포를 나타애었다면 몇 시그마 수준이라고 할 수 있나? 배점(4)( 1. 3σ : 그림설명 - 정규분포가 있고 상한값에서 하한값까지 σ간격으로 일정하게 나누어져 있음. 정규분포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0에서 하한까지 3σ, 0에서 상한까지 3σ로 나누어져 있음.)

    9. 인사고과를 A~D 등급으로 평가하는 평가시스템에서 평가자간의 측정 변동을 파악하려면 다음중 어떤 분석을 해야 하는가? 배점(3)( 4. Attribute MSA(Measurement System Analysis) )

    10. 다음 그림은 C&E Diagram을 그린 것이다. 문제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배점(4)( 4. 4 : 그림설명 - C&E Diagram에서 대표되는 노드(같은 level)들 중 하나에 빈칸이 있고 번호가 매겨져 있음. 답은 최하위 노드임.)

    11. 모든 X인자들에 대한 출력변수 Y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등급화해 우선순위를 매긴 스프레드 시트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배점(3)( 1. X-Y Matrix)

    12. 다음 중 "핵심원인이 파악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경우를 고르시오. 배점(3)( 4. Y의 변동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확인될 때 )

  • 13. 제 2종 오류(Type 2 Error) β는 무엇인가? 배점(4)( 3. 참인 대립가설을 기각하는 것 )

    14. 히스토그램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배점(3)( 3. 데이터 존재범위를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막대 그래프로 작성한다.)

    15. 모집단의 평균차에 대한 검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배점(3)( 4. 두집단의 분산이 다른 경우에는 평균의 차이를 검정할 수 없다.)

    16. 계량치 가설 검정의 방법이 아닌 것은? 배점(3)( 4. 카이제곱 )

    17. 상관분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을 것은? 배점(3)( 3. 상관계수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18. 다음 데이터는 매출액(Y)과 광고시간(X)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X에 대한 Y의 회귀식을 Y = a+ bx 라고 할 때 여기에서 b의 값은? 배점(5)

    매출액(y) 90 95 81 92 83 광고시간(x) 45 46 40 37 35

    ( 답 : 0.691 )

    19. 다음 중 Improve 단계와 가장 관련이 높은 단어들을 나열한 것은? 배점(3)( 4. 개선 아이디어 도출, 개선안 평가 선정, 최적화, 시험적용 )

    20. 결과검증의 목저과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4. 장기 공정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

    21. 선정된 대안을 평가하는 방법 중 '대안 평가/선정 시에 고려해야 할 해결책이 요구하는 노력의 양과 예상되는 효과를 비교'한여 대안을 선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배점(3)(3. Pay-off Matrix )

    22. DOE에서 반복을 하지 않으면 발생할 수 잇는 상황은? 배점(3)( 1. 잔차를 확인할 수 없다. )

    23. 완전요인실험의 특징이 아닌 것은? 배점(3)( 3. 2인자 이상의 교호작용 효과는평가할 수 없다. )

    24. 분석단계에서 CTQ에 영향을 주는 근본원인으로 (1) IQ정도, (2) 계산시 성능, (3) 교육시간, (4) 교육방법이 선정되었다.각인자를 2개 수준으로 분류하여 인자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를 구분하고 유의한 인자에 대해서는 최적조건을 결정하고자 실험계획을 실시하였다. 가능한 모든 조건에서 실험하고자 한다면 몇 회의 실험을 해야 하는가? (단 반복은 없음) 배점(5)(답 : 16회)

    25. 프로젝트 완료 후 현업 이관 시 프로세스 지침의 요건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 2개를 고르시오. 배점(3)( 3. 문서의 양을 가능한 많게 할것. 5. 현실적이기보다 이상적일 것. )

    26. 안정상태, 관리상태의 공정에서 만들어진 제품 간에 산포가 나타나는 주된 원인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배점(4)( 2. 우연요인 )

    27. 실수방지에대한 다음 설명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배점(4)( 2. 실수방지는 생산단계에서 고려해야 문제 해결 효과가 크다.)

  • 28. 관리도에 대한 설명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3)( 4. 우연원인에 의한 공정의 변동이 있으면 관리한계선 밖으로 특성치가 나타난다. )

    29. 계수형 관리도의 설명 중 맞는 것은? 배점(3)( 1. 실패/성공, 양호/불량 등의 이산 자료에 사용한다. )

  • 2005년 4월 22일 기출문제

    1. 성공적인 Six Sigma 추진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 가운데 가장 거리가 먼 것은?배점(3) 1) Right Project 2) Right Road Map 3) Right People 3) Right Cost 5) Right Method

    2. 프로젝트의 CTQ를 명확히하고 측정 가능한 구체적인 지표로 표현하는 활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1) Y"s 도출 2) 성과표준 도출 3) 현수준 확인 4) 프로젝트 Y의 결정

    3. 다음 중 VOC를 수집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배점(3) 1) 시장 점유율 변화 조사 2) Interview 3) FGI 4) 설문조사

    4. 프로젝트 정의시 일정계획의 설명 중 틀린 것은?배점(4) 1) 일정계획은 문서화 되어서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2) 일정계획은 고정되어 있으면 안되며 정기적으로 수정한다. 3) 일정계획으로 프로젝트의 규모를 확인하기는 힘들다. 4) 일정계획의 각 항목은 중요한 사건을 기록한다.

    5. 다음 사항 중 Measure단계에서 할 일이 아닌 것은?배점(3) 1) 프로젝트 Y의 확인 2) 측정시스템 및 공정 능력 분석을 통한 현재수준 확인 3) Vital Few X's의 선정 4) Y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원인변수(X's)발굴

    6. 3시그마 수준의 프로세스를 6시그마 수준의 프로세스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세스의 표준 편차(σ)를 현재에 비해 얼마만큼 줄여야 하는가?배점(4) 1) 1/6 2) 1/5 3) 1/4 4) 1/3 5) 1/2

    7.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변수(Z)가 0.74의 왼쪽에 위치할 확률은 얼마인가?(Cal>Probability Distribut- ions>Normal..)배점(4) 1) 0.77 2) 0.23 3) 0.26 4) 0.84

    8. 시그마 수준 평가에 대한 가정이다.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을 고르시오. 배점(3) 1) 프로세스는 안정된 상태에 있어 이상치가 없는 것이 좋다. 2) 측정되는 데이터가 계수형인 경우에도 시그마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3) 높은 시그마 수준을 얻기 위하여 가장 성과(performance)가 좋은 시기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4) 데이터는 무작위(Random Sampling)로 추출되어야 한다.

    9. 측정시스템 분석(MSA)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배점(3) 1) 측정시스템 산포가 공정 산포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2) 생산 적용 이전에 신규 측정 장비를 평가한다. 3) 연속형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이산형 데이터는 실시하지 않는다. 4)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실시한다.

    10. 다음 중 프로세스 맵을 작성함으로서 알 수 없는 것은? 배점(4) 1) 공정능력분석을 할 위치를 확인한다. 2) 데이터를 수집해야 할 목적을 알 수 있다.

  • 3) 측정시스템 분석을 할 위치를 파악한다. 4) 숨은 공정을 찾아낼 수 있다.

    11. X-Y Matrix 작성 시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배점(3) 1) 주요 출력변수 2) 고객의 주요 요구사항 3) 프로세스의 입력변수 4) 고객의 수

    12. Analyze 단계에서 Vital Few X's를 선정하기 위한 단계로 옳은 것은? 배점(3) 1) 데이터 분석 → Vital Few X's 선정 → Vital Few X's 분석 2) 데이터 수집 → Vital Few X's 선정 → Vital Few X's 분석 3) 데이터 수집 → 데이터 분석 → Vital Few X's 분석 4) 데이터 수집 → 데이터 분석 → Vital Few X's 선정

    13. 양쪽 검정의 경우는 미니탭 화면에서는 어떤 대립가설을 선택해야 할까? 배점(3) 1) not equal 2) less than 3) greater than 4) equal

    14. 산점도를 보는 방법 중 틀린 것은? 배점(3) 1) X가 증가할 때 Y가 증가하면 플러스의 상관관계가 있다. 2) X가 증가할 때 Y가 감소하면 마이너스의 상관관계가 있다. 3) X가 증가함에 따라 Y의 증가 혹은 감소 여부를 알 수 없을 때는 상관관계가 없다. 4) 점들이 흩어져 있는 폭이 좁을수록 상관관계가 약하다.

    15. X가 계수형이고 Y도 계수형인 경우 분석에 사용되는 적합한 통계 기법은? 배점(3) 1) Chi-square test 2) ANOVA 3) Regression 4) Correlation

    2005년 04월 01일 기출문제(1)

    1. 6시그마에 관련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1) 측정 가능한 목표, 철학, 경영전략의 세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2) 고객 중심의 사고방식이 기본이 된다. 3) 설계 과정과 프로세스 개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4) 재무성과가 없는 경우에는 6시그마 프로젝트로 인정하지 않는다.

    2. 프로젝트의 CTQ를 명확히 하고 측정 가능한 구체적인 지표로 표현하는 활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1) Y's 도출 2) 성과표준 도출 3) 현수준 확인 4) 프로젝트 Y의 결정

    3. 다음 중 바람직한 6시그마 과제의 기준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 고르시오. 배점(3) 1) 조직의 중요한 Issue 사항이어야 한다. 2) 개선 방향을 알고 있어야 한다. 3) 고객이 결과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4) 내가 속한 조직의 힘으로 개선 할 수 있는 과제 일수록 좋다. 5) 시급성이 요구되는 과제일수록 좋다.

    4. 프로젝트의 범위를 결정하기도 하며 공급자, 입력물, 플고세스, 산출물, 고객항목을 표현하여 프로 세스를 도식화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배점(3) 1) SIPOC 2) X-Y Matrix 3) FMEA 4) C-E Diagram

    5. 다음 중 설명이 틀린 것은? 배점(4) 1) 규격상한과 하한가의 차이를 데이터의 범위(Range)라 한다.

  • 2) 특성치의 산포가 클수록 불량률은 높아진다. 3) 1PPM이란 백만개중의 한개를 의미한다. 4) 실질적으로 여러 가지 변동원인에 의해 분포의 중심값은 변할 수 있다.

    6. 6시그마 품질 수준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에서 틀린 것은? 배점(3) 1) 규격의 상한과 하한의 위치가 분포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시그마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를 말한다. 2) 3시그마 품질수준에 비해서 불량률이 1/2수준이다. 3) 정규분포를 하고있다는 가정하에서(?.5시그마 자연변동 고려)규격을 벗어나는 불량률은 3.4 PPM이다. 4) 분포의 중심이 규격의 목표치와 일치하는 겨우 불량률은 0.002PPM이다.

    7. 선반 공장의 김 과장은 공구(Tool) 종류(X)에 따른 사용 시간(Y)를 조사하였다. 이때 요인(X)과 반응(Y)의 데이터 구조로 올바른 것은? 배점(3) 1) X-이산형, Y-연속형 2) X-이산형, Y-이산형 3) X-연속형, Y-연속형 4) X-연속형, Y-이산형8. 갑순이의 타이핑 능력은 1분에 600타를 중심으로 정규분포를 가진다. ?한 페이지의 문서를 작성할 때 오타 없이 타이핑 할 확률이 99.67%라면 갑순이의 문서작성 시그마수준은 얼마인가? 배점(4) 1) 3.54 2) 1.20 3) 2.22 4) 4.22

    9. 다음 중 측정시스템 분석을 실시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배점(3) 1) 공정 능력을 분석하여 현재의 수준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 분석 2) 공정능력의 치우침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3) 측정 데이터의 기본적인 통계 자료 분석 4)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5) 데이터의 관리 영역을 선정하기 위해

    10. Brainstorming의 설명 중 틀린 것은? 배점(3) 1) 자유분방하게 아이디어를 낸다. 2) 아이디어 양보다는 질을 추구 3) 자유로운 토의가 가능 4) 남의 아이디어를 참고하여 더 좋은 것으로 만들 수 있다.

    11. FMEA의 역할로써 가장 부적절한 것은? 배점(4) 1) 프로세스 개선의 방향 설정 2) 프로세스의 위험요인 도출 3) 프로세스에서 고객의 요구사항에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요인 파악 4) Control Plan과 연계

    12. 과학적인 문제해결 방법의 순서로 옳은 것은? 배점(3) 1) 실제적 문제 > 통계적 문제 > 실제적 해법 > 통계적 해법 2) 실제적 문제 > 통계적 문제 > 통계적 해법 > 실제적 해법 3) 통계적 문제 > 실제적 문제 > 통계적 해법 > 실제적 해법 4) 통계적 문제 > 통계적 해법 > 실제적 문제 > 실제적 해법

    13. 다음은 1종 오류와 2종 오류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을 고르시오. 배점(4) 1) α-risk는 귀무 가설이 참이나 이를 기각 할 확률이다. 2) β-risk는 귀무 가설을 기각해야하나, 이를 채택할 확률이다. 3) 검정력은 1-α로 귀무 가설이 옳지 않을 때 이를 기각하는 확률이다. 4) 일반적으로 P-VALUE < 0.05이면 귀무 가설을 기각한다.

    14. Box Plot에서 중간의 Box를 둘로 나누는 선은 다음 중 무엇인가? 배점(3) 1) 평균 2) 중앙값 3) 최대값 4) 최빈값 5) 최소값

    15. A와 B의 모 평균차가 있다고 할 수 있는지를 유의수준 10%에서 검정한 결과 P-VALUE로 0.08을

  • 얻었 다. 이에 맞는 해석은? 배점(3) 1) A와 B의 모평균은 동일하다. 2) A와 B의 모평균은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3) A와 B의 모평균은 약 0.08 정도의 차이가 있다. 4) 위의 정보로는 A와 B의 모평균에 대한 어떠한 결론도 내릴 수 없다.

    16. 개량치 가설 검정의 방법이 아닌 것은? 배점(3) 1) F-test 2) 1-Sample t 3) ANOVA 4) 카이제곱

    17. 6시그마의 근본철학과 거리가 먼 것을 2개 고르시오? 배점(4) 1) 6시그마는 시존의 개선기법들의 사용을 점차적으로 중단한다. 2) 조직문화의 벽을 없앤다. 3) 엄격한 원칙을 따르지만 개인적인 창조성은 장려한다. 4) 현실적인 문제를 통계적 방법으로 접근하여 해결한다. 5) 6시그마는 제조공정의 품질에 초점을 둔 전략이다.

    18. COPQ(Cost of Poor Qualit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배점(3) 1) COPQ의 발생원인은 숨은 공장(Hidden Factory)이다 2) 숨은 공장을 제거하면 프로세스의 용량이 확보될 수 있다. 3) 프로세스를 개선해도 숨은 공장은 드러나지 않는다. 4) 프로세스에서 완벽하지 못해 발생했던 재작업 및 폐기 비용은 곧 COPQ발생으로 이어진다.

    19.고객핵심요구사항이 아닌 것은? 배점(4) 1) 고객의 애매하고, 감정적인 발언을 구체화 하여야 함. 2) 유사하고 공통적인 내용은 Grouping한다. 3) 고객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 Issue를 파악한다. 4) 프로젝트 추진자의 입장에서 중요도를 매긴다.

    20. 프로젝트 '정의(Define)'단계에 있어서 실행계획서에 기재하는 내용이 아닌 것ㅇ은? 배점(3) 1) X-Y Matrix는 Vital Few X's의 최적화를 위해 사용된다. 2) FMEA는 업무의 실패유형에 대한 위험도에 따라 대책을 세우는데 활용한다. 3) SIPOC은 공급자, 입력물, 프로세스, 산출물, 고객 항목을 표현하여 프로세스를 도식화한 것이다. 4) C-E Diagram은 결과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인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이다.

    21. 다음은 Y의 현수준 파악과 목표 설정에 대한 내용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차례대로 고르시오. "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전에 ()분석을 실 시함으로써 우선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한다. 그런 후에는 현재 문제점이 어는 정도인지 그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분석을 통해 현재의 시그마 수준을 파악한다. 파악된 현재 수준을 바탕으로 개선 목표를설정한다." 배점(3) 1) 측정시스템, 공정능력 2) 공정능력, 정규성 3) 안정성, 정규성 4) 측정시스템, 정규성

    9. GAGE R&R을 평가할 때 %Study Variation이 몇 % 초과이면 해당 측정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고 판 단하는가? 배점(3) 1) 30% 2) 25% 3) 20% 4) 15%

    10. 프로세스 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배점(3)

  • 1) 숨어 있는 공정을 발굴할 수 있다. 2) 중요한 원인별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3) 잠재적인 X와 Y인자를 확인 할 수 있다. 4) 현 상황과 분석에 관한 기초적인 사항들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11. 잠재적 고장유형과 원인을 우선순위화하는 툴은? 배점(3) 1) Process Map 2) FMEA 3) X-Y Matirix 4) C&E Diagram

    12. Analyze Phase의 추진 절차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배점(3) 가)개선 전략 수립 나) 데이터 분석 다) 데이터 수집 라) Vital Few X's 선정 1) (가)(나)(다)(라) 2) (나)(라)(다)(가) 3) (다)(나)(가)(라) 4) (가)(다)(나)(라)

    13. 표본으로부터 얻은 검정결과가 우연에 의해 잘못 판단되었을 가능성을 무슨 위험이라고 하는가? 배점(3) 1) 알파위험 2)베타위험 3) 검출위험 4)소비자위험

    14. ()는 불량품이나 결점, 클레임, 사고 등이 집중된 항목을 식별하고, 문제를 우선 순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이다. 배점(3) 1) BOX PLOT 2) ANOVA 3) 파레토차트 4) T TEST

    15. 3개 이상 모집단의 평균을 비교 할 때 사용하는 검정방법은? 배점(3) 1) Chi-Square test(카이스퀘어 검정) 2) 2 Sample t-test 3) One-Way ANOVA 4) TEST FOR EQUAL VARIANCE(등분산 검정)

    16. 다음의 설명에서 용어 정리가 잘못 된 것은? A사의 금연율이 80%를 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직원 100명에 대해 금연 유무를 알 수 있는 혈액검 사를 하였더니, 이중 10명이 비금연자로 판명되었다. 배점(4) 1) 모집단은 A사의 전체 직원이다. 2) 관심이 되는 모수는 A사의 전체 직원의 금연율이다. 3) 금연율의 통계량은 90%이다 4) 모수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T-분포를 이용한다.

    17. 다음의 설명 중 올바르지 않는 것은? 배점(3) 1) 양의 상관이란 독립변수의 값이 감소할 대 종속변수의 값이 감소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2) 상관계수의 값은 01과 1사이의 값을 갖는다. 3) 상관계수의 절대값이 크면 클수록 두 변수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4) 단순회귀분석의 R-sq값은 두 변수의 상관계수값의 제곱과 일치한다.

    18. 다음 데이터는 매출액(Y)과 광고시간(X)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X에 대한 Y의 회귀식을 Y=A+BX라 고 할 때 여기에서 A의 값은? 배점(5)

    19. Improve단계에서의 올바른 프로세스 절차는? 배점(3) 1) 결과 검증 → 개선안 수립 → Vital Few X's 최적화 2) 개선안 수립 → 결과 검증 → Vital Few X's 최적화 3) 결과 검증 → Vital Few X's 최적화 → 개선안 수립 4) 개선안 수립 → Vital Few X's 최적화 → 결과 검증

    20. PILOT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배점(3) 1) 개선활동의 결과에 대한 실제 Process에 대한 검증 활동이다.

  • 2) 제반 환경이 실제 Process와 가능한한 똑같은 상태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랍직하다. 3) 대안인자에 의한 개선 결과는 Pilot에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4) Pilot의 주 목적은 실제 Process에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21.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최적의 대안 선정하고자 한다. 선정 기준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배점(4) 1) 목표 달성에 미치는 영향 2) 실행에 드는 비용 3) 실행하기 쉬운 정도 4) 타부문 전파 정도

    22. 다음 중 용어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배점(3) 1) 인자(Factor)가 갖을수 있는 값의 종류를 처리(Treatment)라고 한다. 2) 반복(Replicate)이란 동일한 처리에서 2회이상 실험하는 것을 말한다. 3) DOE란 문제에 대하여 ㅔ계적으로 계획을 수립 실험을 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4) 인자(Factor)란 출력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말한다.

    23. 완전요인실험에서 인자의 수가 K이고 각 인자 수준수가 N인 경우 실험횟수는? 배점(3) 1) N*K 2) N^K 3) K^N 4) K^N + 1 5) N^K - 1

    24. 다음의 2의 2승 완전요인실험법의 교호작용 효과를 계산하시오.(단 +는 높은수준, -는 낮은 수준을 의미한다.) 배점(5)인자ABA*BResponse1--+722+--773-+-664+++93

    25. 다음 관리 추진 절차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배점(3) A : 프로젝트 문서화 B : 관리방법결정 C : 관리대상인자 정리 매출액(Y)9095819283광고시간(X)

  • 4546403735 1) A-B-C 2) B-C-A 3) C-A-B 4) C-B-A

    26. 관리계획서에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어느 것인가? 배점(3) 1) 측정단위 2) 조치사항 3) 의사결정기준 4) 고객요구사항

    27. 실수방지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배점(4) 1) 현장에서 어떠한 비정상 상태도 방치됨 없이 즉각 발견, 조치한다는 개념이다. 2) 실수방지는 생산단계에서 고려해야 문제 해결 효과가 크다. 3) 6시그마 수준의 공정능력에서도 작업자 실수로 인해 6시그마 이하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4) 결함이 발생하기 전에 결함의 원인인 오류를 제거하는 기법이다.

    28. 관리도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라 판단할 수 있는 상황은? 배점(4) 1) 중심선에서 3시그마를 벗어난 경우 2) 어느 한쪽 편에 연속되는 9개의 점이 나타나는 경우 3) 연속적으로 여섯개의 점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4) 연속적인 5개의 점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경우

    29. 다음의 관리도 중 연속형의 데이터에 대해 평균과 산포를 함께 분석하기에 적절한 관리도 기법은 어느 것인가? 배점(3) 1) P Chart 2) NP Chart 3) X Bar R Chart 4) U Chart 5) I Chart

    2005년 4월 1일 기출문제(3)

    1. 6시그마에 관련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1) 측정 가능한 목표, 철학, 경영전략의 세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2) 고객 중심의 사고방식이 기본이 된다. 3) 설계 과정과 프로세스 개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4) 재무성과가 없는 경우에는 6시그마 프로젝트로 인정하지 않는다.

    2. 다음 중 CTQ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배점(4) 1) 비즈니스 용어로 전화된 핵심 요구 사항 2) 고객의 요구사항으로부터 효율 및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파악된 제품, 서비스 핵심 품질특성 3) CEO가 결정하는 주요 품질 특성 4) Critical To Quality의 줄임말

    3. 정보수집의 POINT로 시장요구 파악의 조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배점(3) 1) 고객이 참된 요구가 무엇인지 이끌어 내도록 한다. 2) 시장의 요구는 될 수 있는 한 빠짐없이 파악한다. 3) 고객의 속성도 동시에 파악한다. 4) 시장에 침투하기 위한 전술적인 활동을 기획할 수 있어야 한다.

    4. 프로젝트 실행 계획서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항목이 아닌 것은? 배점(3) 1) 팀 선정 2) 프로젝트 범위 3) 관리 계획 4) 문제 및 목표기술5. DMAIC 단계중, 다음 보기에서 Measure단계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내용을 잘 설명한 것은? 배점(3) 1) 잠재적 원인변수평가를 위해, 평균검정, 산포검정, 상관분석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2) Y가 원하는 성능을 얻기 위해 주요 원인변수(X)의 조건을 최적화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3) Y의 현수준 파악과 X의 나열 및 우선순위화를 위해 프로세스 맵핑을 실시한다. 4) 프로세스 개선 성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관리계획을 실현하고 표준화한다.

    6. "공정이 안정되어 있다"는 말은 공정에 어떤 원인에 의한 산포가 존재한다는 것인가? 배점(3)

  • 1) 이상원인 2) 우연원인 3) 위의 원인들 모두 4) 해당사항 없음

    7. 공정능력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배점(4) 1) 공정능력 분석은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2) 공정능력 분석은 품질을 개선시키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3) 공정능력은 공정의 정밀함과 정확함의 두 측면을 통해 평가된다. 4) 공정능력 분석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예측하게 해 준다.

    8. 측정시스템 분석의 용어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배점(3) 1) 정밀성 2) 반복성 3) 재현성 4) 동일성

    9. 다음중 Process mapping을 설명하는 것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배점(4) 1) 프로젝트의 현재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것. 2) INPUT과 OUTPUT을 가진 일련의 단계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 3) 팀 작업으로 이루어지며 프로세스 전문가가 참가해야 한다. 4) 핵심입력 변수와 주요 핵심 결과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10. 다음 중 FMEA 작성시 사전준비 사항으로서 필요한 정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1) 프로세스에 대한 과거 문서 2) 프로젝트 실행 계획서 3) 설계규격 및 파라미터 체크리스트, 지침, 규칙 4) 사용환경 및 조건

    11. 표본을 구성하기 위해서 좋은 샘플링의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배점(3) 1) 랜덤성 2) 치우침 없음 3) 대표성 4) 직교성

    12. 다음 중 데이터에 대한 분석도구를 선정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배점(3) 1) 계량형 X, 계량형 Y : 회귀분석 2) 계량형 X, 계수형 Y : 2Sample t 검정 3) 계수형 X, 계수형 Y : 2Proportion 4) 계수형 X, 계량형 Y : ANOVA

    13. 일정한 기간 동안에 수집된 데이터에 어떤 패턴이 존재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배점(3) 1) Histogram 2) Pie Chart 3) Run Chart 4) Pareto Chart 5)산점도

    14. ANOVA를 실시할 경우, 사전에 확인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2가지 고르시오, 배점(3) 1) 정규성 2) 안전성 3) 반복성 4) 등분산성 5) 선형성

    15. X가 계수형이고 Y도 계수형인 경우 분석에 사용되는 적합한 통계 기법은? 배점(3) 1) Chi-square test 2) ANOVA 3) Regression 4) Correlation

    16. 다음 중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의 용도와 관계가 없는 것은? 배점(4) 1) 잠재 원인변수(X)의 발견과 상호관계 분석 2) 대용특성의 발견 3) 특성과 요인간의 관련성 규명 4) 특성치의 산포를 요인별로 분해

    17. 다음은 단순회귀분석의 분산분석표이다. (a),(b),(c)에 들어갈 숫자의 합은 얼마인가? 배점(5) Analysis of Variance Source DF SS MS F P Regression (a ) 200 200 (c) 0.000 Residual Error (b ) 50 5 Total 20 250

    18. 다음 Improve단계에 대해 잘못된 설명은? 1) 개선대책이 현실성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반드시 위험평가를 실시한다.

  • 2) DOE 실험결과 어느 인자의 P값이 0.05보다 같거나 크면 그 인자는 유의하지 않은 것이다. 3) 한 인자의 효과가 다른 인자 수준의 변화에 따라 변할 때 교호작용의 효과가 없다고 할 수 있다. 4) 대안인자의 경우 팀원과 전문가의 의견을 모아 대안을 창출하고 위험평가를 실시한다.

    19. 다음은 어느 단계에서 실행하는 것인가? 1) 잠재 프로젝트 발굴 2) 현수준 확인 3) 개선 결과 검증 4) 관리계획서 수립

    2005년 6월 24일 기출문제(1)

    1. 6시그마를 추진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배점(3) 1)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무결점 수준으로 생산 2) 알맞은 가격과 높은 시장 점유율 확보로 수익 극대화 3) 빠른 Cycle Time, 재작업비용의 감소로 총비용 감소 4) 인력 감축을 통한 총경비 절감

    2. Define 단계에서 프로젝트 리더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은 다음 중 무엇인가? 배점(4) 1) 개선 결과에 대한 관리 전략 도출 2) 프로젝트 목표에 대해 챔피언의 승인을 득하는 일 3) 대략적인 개선 방향을 수리하는 일 4) 문제의 1차적 원인을 파악해 보는 일

    3. 프로젝트를 선정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배점(3) 1) 사업영향도 2) 고객영향도 3) 개선후의 유지가능성 4) 실패할 가능성

    4. 프로젝트 실행계획서 작성 시 효과적인 문제 기술 요령과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1) 사실에 근거하여 기술한다. 2) 도표,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일차적 현상분석을 해 둔다. 3) 너무 협소하거나 너무 광범위하게 정의 하지 않는다. 4) 추진 배경으로써 문제의 근원적 원인을 어느 정도 기술한다.

    5. Measure 단계에서 행해야 하는 일련의 과정 중 잘못 설명한 것은? 배점(4) 1) Y의 현수준 확인을 휘한 공정능력 분석 2) 프로세스 원인변수 도출을 위해 프로세스 매핑의 활용 3) 잠재원인 변수의 우선순위화를 위해 특성요인도를 사용 4) 잠재원인의 리스크 분석을 위한 FMEA의 사용 5) 측정시스템 검증을 위한 데이터 수집계획 수립과 MSA실시

    6. 운영정의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4) 1) 상세하고 구체적인 기준 2) 측정시스템의 신뢰성 3)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 4) 고객의 측정방법을 반영

    7. 선반 공장의 김 과장은 공구(Tool) 종류(X)에 따른 사용 시간(Y)를 조사하였다. 이때 요인(X)과 반 응(Y)의 데이터 구조로 올바른 것은? 배점(3) 1) X-이산형, Y-연속형 2) X-이산형, Y-이산형 3) X-연속형, Y-이산형 4) X-연속형, Y-연속형

    8. 공정(프로세스)능력을 분석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점(3) 1) 생산되는 제품/서비스가 고객의 요구사항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2) 현재의 평균과 산포를 확인하여 평균관리 또는 산포관리 방안 제시를 위해서 3) 많은 항목 중 불량이 가장 높은 항목을 찾기 위해서 4)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본질을 정량화 및 시그마 수준 파악을 위해서 9. Gage R&R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 배점(4) 1) 총 산포중에서 측정 산포가 차지하는 비율 2) 측정 산포안에서 재현성이 차지하는 비율

  • 3) 고객이 원하는 규격공차 안에서 측정 산포가 차지하는 비율 4) 측정 산포안에서 반복성이 차지하는 비율

    10. 다음은 프로세스 맵의 관련 용어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배점(3) 1) KPIV : 주요 프로세스 입력변수 2) KPOV : 주요 프로세스 출력변수 3) 제어가능변수 : 프로세스가 가동되는 동안 조절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입력 변수 4) 부가가치작업 : 내부프로세스 관점에서 제거 가능한 의미있는 활동

    11. 프로세스 맵 및 C-E Diagram에서 도출 된 모든 X인자들에 대해 출력변수 Y에 영향을 미치는 정 도를 등급화 해 우선 순위를 매긴 스프레드 시트는? 1) Gage R&R 2) X-Y Matrix 3) 데이터 수집 계획서 4) Control Plan

    12. 다음 중 Analyze 단계에서 주로 하는 활동이 아닌 것은? 배점(3) 1) 데이터 수집 2) 데이터 분석 3) Vital Few X's 선정 4) 개선안 수립

    13. 다음 중 데이터에 대한 분석도구를 선정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배점(3) 1) 계량형 X, 계량형 Y : 회귀분석 2) 계량형 X, 계수형 Y : 2 Sample t 검정 3) 계수형 X, 계량형 Y : 2 Proportion 4) 계수형 X, 계량형 Y : ANOVA

    14. 다음 중 분포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석기법은? 배점(3) 1) 히스토그램 2) 특성요인도 3) 산점도 4) 파레토도

    15. 한 학급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력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 하기 전의 어휘력과 실시 후의 어휘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적절한 검정 방법은? 배점(3) 1) 1 Sample t 2) ANOVA 3) Paired t Test 4) 파레토도

    16. 다음의 분석 방법 중 데이터의 수집이 필요없는 경우는 어느 것인가? 배점(3) 1) Multi-Vari Analysis 2) 회귀분석 3) 상관분석 4) Process Mapping

    17. 회귀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다음 중 ( )의 A,B,C,D의 값으로 틀린 것을 고르 시오. 배점(4) 1) A = 1.5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