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39

description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 알바트로스팀의 탐방 보고서: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새로운 날개 - LSA(Light Sport Craft)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스포츠급 경량항공기(LSA)’에 주목한다. 항공산업 선진국 탐방을 통해 LSA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Transcript of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Page 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9

1 초록

ABSTRACT

2 사전조사

Introduction to LSA

해외 LSA 비교분석

대한민국 LSA산업의 성장 가능성

대한민국 LSA산업의 기대효과

3 국내탐방

국내 탐방 전 준비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4 해외탐방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탐방 일정 및 예산

5 결론 amp 기대효과

6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8 추가탐방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9 해외 탐방 ndash 미국(1~3) 캐나다(4~6)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1 탐방결과의 적용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9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새로운 날개 LSA(Light Sport Aircraft)

2010년 1월 21일 개최한 제6회 항공우주산업개발정책심의회에서 정부는 2020년까지 우리나라 항공

사업을 글로벌 7위권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항공기업 300개를 육성하는 한편

7만개의 고급 일자리의 창출 기존의 전자조선자동차 등 주력산업을 보완하는 새로운 전략산업 중

하나로 항공산업을 육성할 계획을 밝혔다

이러한 정책에 힘입어 세계적인 항공 레저 스포츠의 급속적인 활성화 추세 및 국내 항공레저스포츠

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욕구가 증대가 경량 항공산업의 가능성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 현

실은 세계는 물론 국내의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못할 정도로 매우 미비하다 본 기획서에서는 항공레

저 산업의 선진국에서 레저용 항공기로 사랑 받고 있으며 2010년 9월 29일 국토해양부에서 항공산업

의 단계적 발전을 위한 일환으로 개발착수를 발표한 스포츠급 경량 항공기(Light Sport Aircraft 이하

LSA)를 주제로 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운영 중인 LSA는 약 250여대이며 대부분 외국에서 도입된 것으로서 현재의 저

탄소 배출 저소음을 추구하는 그린 정책 기조를 적용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향후 지속

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국내의 LSA 소요를 대체하면서 녹색성장을 지향하는 국가 정책에 부응할 수

있는 경량 항공기의 국내 독자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 알바트로스[Albatross]는 국산 LSA의 성공적인 개발과 지속적인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단계적

발전을 희망한다 지피지기백전불태(知彼知己百戰不殆)라는 손자의 말처럼 우리는 국내탐방을 통하여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항공레저 산업의 선진국들을 탐방하여 대한민국 레

저 항공산업과 국산 LSA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 단계적 항공산업의 발전을 꿈꾸는 대한민국

에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항공산업의 전반에 걸쳐 발전을 위하여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적

흐름 속에서 우리 알바트로스는 기술적 산업적으로 항공산업이 가장 발전된 국가인 미국 캐나다의

LSA산업 및 항공산업의 탐방을 통하여 대한민국의 LSA산업 및 항공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

다 이러한 과정들은 학교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될 것이며 국가와 사회의 요

구에 부응하고 개인적으로 항공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Next Generation으로서 꿈에서 현실로 한걸음

더 다가서게 될 멋진 기회가 될 것이다

팀 소개 lt알바트로스[Albatross]gt

이상록(팀장 기록촬영) 조훈기(계획회계) 현준 (행정섭외)

그 누구보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과 그 안에서 꿈을 이루기를 바라는 3명의 항공공학도가 모

인 팀이다 알바트로스[신천옹(信天翁) Albatross]의 넓은 팔을 벌려 자유롭게 하늘을 나는 모습은 자

유로움을 상징한다 건전한 여가생활을 즐기고 일상에 지친 전세계 현대인들이 대한민국의 LSA를 타

고 알바트로스처럼 자유롭게 비행하며 비행의 낭만과 꿈을 이루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름 붙였다

ABSTRACT

1 초록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439

Introduction to LSA

LSA(Light Sport Aircraft 이하 LSA)란 2002년 미연방항공국(FAA)에서

제안한 초경량 항공기와 일반항공기 사이에 위치하는 레저용 항공기를

일컫는다 항공기 제작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초경량 항공기의 요건을

만족하면서도 비행성능은 경량항공기에 버금가는 항공기들의 출현에

발맞춰 이를 법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및 국

외 LSA의 수요증가와 세계적으로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 대수의

50 이상을 LSA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국토해양부에

서는 2014년 하반기 개발 양산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용어설명

1)실속

비행기의 날개 표면을 흐르

는 기류의 흐름이 날개 윗면

으로부터 박리되어 비행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

2)피치식 프로펠러

프로펠러 중 하나의 특별한

형태 프로펠러의 날개로 들

어오는 받음각을 변환하며

회전할 수 있는 것

3)여압

공기가 통하지 않는 기내에

공기의 압력을 높여 지상에

가까운 기압 상태를 유지하

는 일

4)랜딩기어

항공기가 이착륙을 하거나

지상활주 시 항공기의 무게

를 지지하는 구조물

FAA가 규정한 LSA의 규정

- 최대 이륙 중량 1320lb (600kg)

- (수상 비행기의 경우 1430lb)

- 최대 1)실속 속도 51mph (82kmh)

- 최대 비행 속도 138mph (222kmh)

- 최대 두 개의 좌석을 가질 수 있음

- 고정 2)피치식 또는 지상 조절 피치식의 프로펠러를 사용

- 조정석이 3)여압 되어선 안됨

- 고정식 4)랜딩기어가 사용되어야 함

LSA의 특징

- 엔진 LSA의 엔진은 TracktorPusher Type으로 나뉜다 주로 4기통

100마력 정도의 엔진이 사용된다

- 안전성 주로 항공기의 구조적인 부분과 연계되는 사항이며 낙하산

이나 에어백 같은 안전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다

- 외형 형상 동체에 주날개가 결합되는 위치 꼬리날개의 형상 항공

기의 소재 등 많은 부분들이 외형형상에 속하며 항공기 설계에서 기

본이 되는 중요한 사항이다

- 내부 형상 항공기에 장착되는 엔진의 위치 조종실이나 Cargo의 위

치 연료탱크 등 항공기 내부의 모든 구조에 대한 사항이다

- 인증 개발된 항공기를 각 국가별 항공우주관리기구에 인증을 받는

것을 뜻한다 개발된 항공기를 판매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항공기 판매를 위하여 최근 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Introduction to LSA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539

해외의 LSA

현재 LSA의 시장은 유럽과 미국이 양분하고 있다 가장 높은 시장점

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독일 Flight Design사의 CTLS와 현재 가장 최신

의 LSA인 미국 ICON사의 ICON A5를 소개한다 두 항공기의 비교 분석

을 통해 실제 LSA란 무엇인지 파악하고 향후 대한민국이 개발해야 할

LSA의 형태를 상상해 볼 수 있다

CTLS (Flight Design Germany)

현재 세계 시장점유율 1 위의 LSA 로서 높은 안정성과 1800km 에

이르는 운항거리 높은 순항속도 낮은 실속속도 등의 장점이 있다

그림설명

- High Wing 고익기 가볍고

강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비행시 안정성이 뛰어나다

- Tractor type 엔진이 앞에

달려 있는 형태 엔진 냉각에

좋고 최고속도가 뛰어남

- Conventional Tail 일반적인

형태의 꼬리날개 모습 안정성제어 면에서 뛰어나고 꼬리날개의

무게가 가볍다

이 외에도 금속 소재가 아닌 복합소재로 항공기를 제작하여 가볍고

연비가 좋으며 플로트(Float)를 장착하여 수륙양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ICON A5 (ICON USA)

- ICON A5는 최신의 LSA 항공기로 향후 LSA의 발전 모습을 대표한다

- 고익기이며 Pusher Type의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날개를 접을 수 있

어 보관이동 시 공간을 적게 차지해 유용하다

- Pusher Type 엔진은 전방 시야를 가리지 않아 시야확보에 유리하다

- 추가적인 Float의 장착 없이 동체 자체로 수상 이착륙이 가능하다

- 수평꼬리날개가 주날개의 후류에 잠기지 않아 조종성과 안정성이 높

으며 디자인 특성이 좋아 시장 선호도가 매우 높다

- 복합소재로 만들어져 있어 가볍고 자동차의 조종석과 비슷한 형태의

조종석을 가지고 있어 초보 조종사들도 쉽게 조종할 수 있다

- 유사시에 창문을 제거할 수 있고 낙하산이 있어 안전성을 갖췄다

해외 LSA 비교분석

ICON A5 (ICON USA)

편리한 조종을 추구한 실내

유사시 사용하는 낙하산

ltLSA항공기의 세계 시장 점유율gt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독일의 CTLS이다

CTLS

(Flight Design Germany)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639

국산 LSA의 성공적인 개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국민의 비행에 대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준의

레저항공산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량 항공기 비행을 위한 이

착륙장 및 비행노선 등은 인프라가 어느 정도 확보된 상태로 확인되었

으며 항공레저문화에 대한 국민적 욕구 역시 높다 2009년 1월 기준으

로 국내 자가용 조종사 면허소지자는 약 1300여명이고 매년 130여명

의 조종사가 배출되고 있으며 확보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현재 LSA를

소유하지 않은 자가용조종사 면허소지자를 LSA의 잠재적 수요자로 감

안한다면 국내 레저항공산업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 될 것이다

LSA산업은 전 세계적으로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다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이하 FAA)의 보고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LSA의 판매가 전 세계항공기 교역량의 50 이상

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자가 항공기 및 개인 소유 항공기

증가 비행장비 장비 업그레이드 정비 연료 여행 관련 상품 증대 DIY

레저항공기 KIT 개발 및 제조사 급속증가 그리고 전장품 및 부품시장

확대 지속(GPS 무선통신 및 위성추적 등)등이 급성장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미국 FAA에 등록된 LSA는 8765대(2010년 기준)이다 LSA의 수요는 북

미지역이 가장 많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삶의 질 향상

에 따라 여가 활동에 대한 욕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서 다양한

레저 및 관광 수요가 신규 창출되거나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사람들의

통행시간가치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고급 교통서비스 수단인 항공수단

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LSA는 육상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29개의 LSA 육상 이착륙장이 있으며 특히 수상비행기는 기

존 육상 활주로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하천이나 호수 바다

등 적정 수변 공간만 확보되면 어디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

이러한 LSA의 특징을 바탕으로 국내 지방 공항 활성화에 기여 항공

관광 자원의 개발 및 새로운 항공 비즈니스 창출 최첨단 기술 산업인

항공 산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수 있는 기반 마련 항공기 제작

산업의 체계적 구축이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성장 가능성

전국 비행장치 이착륙장 및

비행경로

수도권 수상비행기 이착륙 가

능 지점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739

대한민국 LSA산업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대한민국이 LSA를 개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뿐만 아니라 LSA산업은 다음분야의 발전도 기대가 된다

- 국내 항공기 제작 분야의 중소기업 육성

국내 항공기 산업이 대기업 위주임을 감안하면 LSA 사업은 중소기업의 주도가 가능하므로 항공

기 산업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균형적 산업구조를 만들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일

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 국내 항공기 제작능력 향상

국내에서 생산한 LSA 및 장착 장비의 시험평가 및 인증을 통해 항공기와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

하고 선진국 수준의 기반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 및 장비를 통해

안전 항공문화의 국내 보급 및 해외 수출 시장 개척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기대효과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839

성공적인 탐방을 위한 조언을 구하다

우리는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현 주소와 미래 유망한 항공산

업에 관한 조언을 얻음과 동시에 LSA산업의 가능성에 대하여 조언을

얻고자 국내 항공학계의 권위자들을 찾았다 이들에게서 대한민국 LSA

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방법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언을 얻었다

변영환 교수님의 조언

안타깝게도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시장은 활발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

다 현재 항공회사로서 개발 및 완제품 제작을 맡고 있는 회사는 KAI가

유일하며 생산품목도 군수분야로 집중되어 있다 국가 정책에 힘입어

향후 국내 항공 산업은 민수분야에 주목될 계획이며 LSA를 비롯하여 4

인승 항공기에서부터 100인승 정도의 중형항공기까지 폭넓은 개발을

꾀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간과해서

안 될 점은 시장성이다 국내의 수요만으로는 막대한 개발 투자비를 충

족하기 어려우며 수출을 염두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비싸지 않은 가격과 세계에서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이 그 방법이다 국가 간 상호 품질을 인정해주는 인증프

로그램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 탐방 중에 이것

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신보현 교수님의 조언

항공산업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미래에 매우 유망

한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lsquo2020 G7항공강국rsquo을 목표

로 비약적 발전을 준비하고 있다 미래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현재

국한된 군수사업은 물론이고 시야를 넓혀 민수사업의 활성화까지 노릴

것이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흐름 속에 해외를 탐방한다면

최고의 항공회사임을 자부하는 lsquo보잉rsquo을 방문할 것을 권한다 보잉을 방

문하여 외부적으로는 생산 시스템의 모습을 살펴보고 내부적으로는 보

잉에 근로하는 사람들의 자신의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만의 비전

그들이 바라보는 미래 항공산업의 전망을 보고 올 것을 추천한다 분명

돌아와 느끼게 될 것이 많을 것이다 해외로 나가기 전 LSA뿐만 아니라

국내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나갈 것을 권한다 KAI를 견학하고

간다면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넓은 세상을 보고 돌아와 나와 국가의

발전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국내 탐방 전 준비

2010 10 26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학과장

교수 변영환

현 한국추진공학회 부회장

현 표준검사 전문위원회 위원

현 한국항공우주학회 분회장

2010 10 29

무기체계연구소장

예비역 공군소장

교수 신보현

전 공군 F-X사업단장

전 국방대학교 부총장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939

LSA사업을 추진중인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을 찾다

대한민국의 LSA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국토해양부의 항공정책실은

경기도 과천 정부청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별도로 사무실을 두고 있

다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RampD)의 총괄 항공기 제작 등 항공기술개발

과 RampD 계획 수립 및 시행 항공정비산업 육성 정책 수립 시행을 맡아

책임지고 있는 민풍식 사무관님을 찾아 LSA사업의 전반적인 이야기와

향후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 개발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lt답변gt 국토해양부는 레저용 경량 항공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

기 위하여 다목적 2인승 경량 항공기 국산화 개발 사업에 총 209억원

을 투입하여 2010년 9월 착수 2014년 8월 완료할 계획 중에 있다

lt질문gt LSA 사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세계적으로는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대수의 50 이상을 경

량 항공기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량 항공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적으로도 국민소득 증대에 따라 레저용 경량 항공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의 공급이 없으므로 물품 조달 및 정비가 미흡하여 안전사고에 국민들

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대한민국을 G10 및 전 세계 5위

권 이내의 항공기술 선진국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이미 주도권을 장

악하고 있는 미국 및 선진국들의 기존기술들을 따라잡아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신기술들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키우고자

한다 LSA는 국토해양부가 계획하고 있는 사업들 중의 하나로 계속해서

항공기 산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lt돌발질문gt 그렇다면 2010년 초 발표된 lsquo항공 산업 G7으로의 도약rsquo과

관련하여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인가요

그렇지 않다 발표와 상관없이 국토해양부는 작년 12월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현재 진행하는 LSA사업은 이러한

사업들의 일환이다 올해 초의 발표는 이러한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것

의 시너지효과가 되고 있다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가 전보다 쉬워져 향

후 사업들을 매끄럽게 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로고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

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

정책실은 국민이 편리하고 안

전하게 국middot내외로 이동하기 위

한 항공 기반시설 구축과 항

공 산업 발전을 담당하고 있

항공정책과 등 3개과로 구성

된 항공부문은 국내외 항공시

장의 변화의 중심에 서서(환태

평양을 주도하는 항공강국의

실현)이라는 비전 하에 국적항

공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선 노력과 더

불어 국제노선의 개척 국내공

항의 활성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 11 4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항공산업과

항공사무관 민풍식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039

lt질문gt 개발될 국산 LSA가 국내에 미칠 영향과 기대하는 바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이번 사업을 통하여 항공산업에서 경량 항공기의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

량 항공기 사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사업들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개발 및 생산에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임으로

써 대한민국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 항공산업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산업들도 발전할 것이다

lt질문gt 국토해양부에서 향후 항공기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자세히 말해주기는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많은 것들을 계획하고 있다 LSA는 그 사업들의 첫걸음이다 간략하게

말해준다면 2인승 항공기인 LSA를 시작으로 4인승의 경량 항공기 경

량 제트기 80인승의 중형항공기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

기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들의 개발 역시 함께 진행될 것이다 국토

해양부는 항공관련 산업 및 항공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을 발전시키고

자 하는 신념을 항상 갖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의 이해와 정책들이 받

쳐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를 구하고 예산을 확보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해마다 예산을 100억씩

늘리고 있으며 내년에는 450억의 예산을 거의 확정 지은 상태다 항공

기 개발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들로의 경

쟁은 경쟁력이 없다 현재까지 아시아에는 LSA에 도전한 나라가 없다

LSA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며 최신 기술들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국토해양부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기적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산업이 발전한 선진국의 중소기업 수익 및 균형 잡힌 발전사례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직종들

항공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가적 지원을 위한 방법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개발 LSA 특성

개발 모델 2인승 수륙양용

고정익 단발 피스톤 프롭기

예상 판매가 약 1억원 (수입

품 약 1억 5천만원)

개발할 경량 항공기 제원

형식 수륙양용 2인승 고정익

최대이륙중량 650kg

최대순항속도 213kmh

엔진 추진력 100마력

동체 길이 612m (폭 93m)

동체 높이 228m

최신기술적용 복합재료 디

지털 계기 등

위 사진은 현재 세계판매 1위

기종 CTLS

국토해양부가 구상하는 차기

사업들

4인승 경량 항공기

경량제트기 [VLJ]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9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새로운 날개 LSA(Light Sport Aircraft)

2010년 1월 21일 개최한 제6회 항공우주산업개발정책심의회에서 정부는 2020년까지 우리나라 항공

사업을 글로벌 7위권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항공기업 300개를 육성하는 한편

7만개의 고급 일자리의 창출 기존의 전자조선자동차 등 주력산업을 보완하는 새로운 전략산업 중

하나로 항공산업을 육성할 계획을 밝혔다

이러한 정책에 힘입어 세계적인 항공 레저 스포츠의 급속적인 활성화 추세 및 국내 항공레저스포츠

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욕구가 증대가 경량 항공산업의 가능성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 현

실은 세계는 물론 국내의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못할 정도로 매우 미비하다 본 기획서에서는 항공레

저 산업의 선진국에서 레저용 항공기로 사랑 받고 있으며 2010년 9월 29일 국토해양부에서 항공산업

의 단계적 발전을 위한 일환으로 개발착수를 발표한 스포츠급 경량 항공기(Light Sport Aircraft 이하

LSA)를 주제로 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운영 중인 LSA는 약 250여대이며 대부분 외국에서 도입된 것으로서 현재의 저

탄소 배출 저소음을 추구하는 그린 정책 기조를 적용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향후 지속

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국내의 LSA 소요를 대체하면서 녹색성장을 지향하는 국가 정책에 부응할 수

있는 경량 항공기의 국내 독자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 알바트로스[Albatross]는 국산 LSA의 성공적인 개발과 지속적인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단계적

발전을 희망한다 지피지기백전불태(知彼知己百戰不殆)라는 손자의 말처럼 우리는 국내탐방을 통하여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항공레저 산업의 선진국들을 탐방하여 대한민국 레

저 항공산업과 국산 LSA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 단계적 항공산업의 발전을 꿈꾸는 대한민국

에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항공산업의 전반에 걸쳐 발전을 위하여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적

흐름 속에서 우리 알바트로스는 기술적 산업적으로 항공산업이 가장 발전된 국가인 미국 캐나다의

LSA산업 및 항공산업의 탐방을 통하여 대한민국의 LSA산업 및 항공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

다 이러한 과정들은 학교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될 것이며 국가와 사회의 요

구에 부응하고 개인적으로 항공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Next Generation으로서 꿈에서 현실로 한걸음

더 다가서게 될 멋진 기회가 될 것이다

팀 소개 lt알바트로스[Albatross]gt

이상록(팀장 기록촬영) 조훈기(계획회계) 현준 (행정섭외)

그 누구보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과 그 안에서 꿈을 이루기를 바라는 3명의 항공공학도가 모

인 팀이다 알바트로스[신천옹(信天翁) Albatross]의 넓은 팔을 벌려 자유롭게 하늘을 나는 모습은 자

유로움을 상징한다 건전한 여가생활을 즐기고 일상에 지친 전세계 현대인들이 대한민국의 LSA를 타

고 알바트로스처럼 자유롭게 비행하며 비행의 낭만과 꿈을 이루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름 붙였다

ABSTRACT

1 초록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439

Introduction to LSA

LSA(Light Sport Aircraft 이하 LSA)란 2002년 미연방항공국(FAA)에서

제안한 초경량 항공기와 일반항공기 사이에 위치하는 레저용 항공기를

일컫는다 항공기 제작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초경량 항공기의 요건을

만족하면서도 비행성능은 경량항공기에 버금가는 항공기들의 출현에

발맞춰 이를 법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및 국

외 LSA의 수요증가와 세계적으로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 대수의

50 이상을 LSA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국토해양부에

서는 2014년 하반기 개발 양산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용어설명

1)실속

비행기의 날개 표면을 흐르

는 기류의 흐름이 날개 윗면

으로부터 박리되어 비행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

2)피치식 프로펠러

프로펠러 중 하나의 특별한

형태 프로펠러의 날개로 들

어오는 받음각을 변환하며

회전할 수 있는 것

3)여압

공기가 통하지 않는 기내에

공기의 압력을 높여 지상에

가까운 기압 상태를 유지하

는 일

4)랜딩기어

항공기가 이착륙을 하거나

지상활주 시 항공기의 무게

를 지지하는 구조물

FAA가 규정한 LSA의 규정

- 최대 이륙 중량 1320lb (600kg)

- (수상 비행기의 경우 1430lb)

- 최대 1)실속 속도 51mph (82kmh)

- 최대 비행 속도 138mph (222kmh)

- 최대 두 개의 좌석을 가질 수 있음

- 고정 2)피치식 또는 지상 조절 피치식의 프로펠러를 사용

- 조정석이 3)여압 되어선 안됨

- 고정식 4)랜딩기어가 사용되어야 함

LSA의 특징

- 엔진 LSA의 엔진은 TracktorPusher Type으로 나뉜다 주로 4기통

100마력 정도의 엔진이 사용된다

- 안전성 주로 항공기의 구조적인 부분과 연계되는 사항이며 낙하산

이나 에어백 같은 안전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다

- 외형 형상 동체에 주날개가 결합되는 위치 꼬리날개의 형상 항공

기의 소재 등 많은 부분들이 외형형상에 속하며 항공기 설계에서 기

본이 되는 중요한 사항이다

- 내부 형상 항공기에 장착되는 엔진의 위치 조종실이나 Cargo의 위

치 연료탱크 등 항공기 내부의 모든 구조에 대한 사항이다

- 인증 개발된 항공기를 각 국가별 항공우주관리기구에 인증을 받는

것을 뜻한다 개발된 항공기를 판매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항공기 판매를 위하여 최근 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Introduction to LSA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539

해외의 LSA

현재 LSA의 시장은 유럽과 미국이 양분하고 있다 가장 높은 시장점

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독일 Flight Design사의 CTLS와 현재 가장 최신

의 LSA인 미국 ICON사의 ICON A5를 소개한다 두 항공기의 비교 분석

을 통해 실제 LSA란 무엇인지 파악하고 향후 대한민국이 개발해야 할

LSA의 형태를 상상해 볼 수 있다

CTLS (Flight Design Germany)

현재 세계 시장점유율 1 위의 LSA 로서 높은 안정성과 1800km 에

이르는 운항거리 높은 순항속도 낮은 실속속도 등의 장점이 있다

그림설명

- High Wing 고익기 가볍고

강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비행시 안정성이 뛰어나다

- Tractor type 엔진이 앞에

달려 있는 형태 엔진 냉각에

좋고 최고속도가 뛰어남

- Conventional Tail 일반적인

형태의 꼬리날개 모습 안정성제어 면에서 뛰어나고 꼬리날개의

무게가 가볍다

이 외에도 금속 소재가 아닌 복합소재로 항공기를 제작하여 가볍고

연비가 좋으며 플로트(Float)를 장착하여 수륙양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ICON A5 (ICON USA)

- ICON A5는 최신의 LSA 항공기로 향후 LSA의 발전 모습을 대표한다

- 고익기이며 Pusher Type의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날개를 접을 수 있

어 보관이동 시 공간을 적게 차지해 유용하다

- Pusher Type 엔진은 전방 시야를 가리지 않아 시야확보에 유리하다

- 추가적인 Float의 장착 없이 동체 자체로 수상 이착륙이 가능하다

- 수평꼬리날개가 주날개의 후류에 잠기지 않아 조종성과 안정성이 높

으며 디자인 특성이 좋아 시장 선호도가 매우 높다

- 복합소재로 만들어져 있어 가볍고 자동차의 조종석과 비슷한 형태의

조종석을 가지고 있어 초보 조종사들도 쉽게 조종할 수 있다

- 유사시에 창문을 제거할 수 있고 낙하산이 있어 안전성을 갖췄다

해외 LSA 비교분석

ICON A5 (ICON USA)

편리한 조종을 추구한 실내

유사시 사용하는 낙하산

ltLSA항공기의 세계 시장 점유율gt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독일의 CTLS이다

CTLS

(Flight Design Germany)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639

국산 LSA의 성공적인 개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국민의 비행에 대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준의

레저항공산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량 항공기 비행을 위한 이

착륙장 및 비행노선 등은 인프라가 어느 정도 확보된 상태로 확인되었

으며 항공레저문화에 대한 국민적 욕구 역시 높다 2009년 1월 기준으

로 국내 자가용 조종사 면허소지자는 약 1300여명이고 매년 130여명

의 조종사가 배출되고 있으며 확보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현재 LSA를

소유하지 않은 자가용조종사 면허소지자를 LSA의 잠재적 수요자로 감

안한다면 국내 레저항공산업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 될 것이다

LSA산업은 전 세계적으로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다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이하 FAA)의 보고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LSA의 판매가 전 세계항공기 교역량의 50 이상

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자가 항공기 및 개인 소유 항공기

증가 비행장비 장비 업그레이드 정비 연료 여행 관련 상품 증대 DIY

레저항공기 KIT 개발 및 제조사 급속증가 그리고 전장품 및 부품시장

확대 지속(GPS 무선통신 및 위성추적 등)등이 급성장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미국 FAA에 등록된 LSA는 8765대(2010년 기준)이다 LSA의 수요는 북

미지역이 가장 많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삶의 질 향상

에 따라 여가 활동에 대한 욕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서 다양한

레저 및 관광 수요가 신규 창출되거나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사람들의

통행시간가치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고급 교통서비스 수단인 항공수단

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LSA는 육상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29개의 LSA 육상 이착륙장이 있으며 특히 수상비행기는 기

존 육상 활주로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하천이나 호수 바다

등 적정 수변 공간만 확보되면 어디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

이러한 LSA의 특징을 바탕으로 국내 지방 공항 활성화에 기여 항공

관광 자원의 개발 및 새로운 항공 비즈니스 창출 최첨단 기술 산업인

항공 산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수 있는 기반 마련 항공기 제작

산업의 체계적 구축이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성장 가능성

전국 비행장치 이착륙장 및

비행경로

수도권 수상비행기 이착륙 가

능 지점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739

대한민국 LSA산업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대한민국이 LSA를 개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뿐만 아니라 LSA산업은 다음분야의 발전도 기대가 된다

- 국내 항공기 제작 분야의 중소기업 육성

국내 항공기 산업이 대기업 위주임을 감안하면 LSA 사업은 중소기업의 주도가 가능하므로 항공

기 산업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균형적 산업구조를 만들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일

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 국내 항공기 제작능력 향상

국내에서 생산한 LSA 및 장착 장비의 시험평가 및 인증을 통해 항공기와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

하고 선진국 수준의 기반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 및 장비를 통해

안전 항공문화의 국내 보급 및 해외 수출 시장 개척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기대효과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839

성공적인 탐방을 위한 조언을 구하다

우리는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현 주소와 미래 유망한 항공산

업에 관한 조언을 얻음과 동시에 LSA산업의 가능성에 대하여 조언을

얻고자 국내 항공학계의 권위자들을 찾았다 이들에게서 대한민국 LSA

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방법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언을 얻었다

변영환 교수님의 조언

안타깝게도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시장은 활발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

다 현재 항공회사로서 개발 및 완제품 제작을 맡고 있는 회사는 KAI가

유일하며 생산품목도 군수분야로 집중되어 있다 국가 정책에 힘입어

향후 국내 항공 산업은 민수분야에 주목될 계획이며 LSA를 비롯하여 4

인승 항공기에서부터 100인승 정도의 중형항공기까지 폭넓은 개발을

꾀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간과해서

안 될 점은 시장성이다 국내의 수요만으로는 막대한 개발 투자비를 충

족하기 어려우며 수출을 염두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비싸지 않은 가격과 세계에서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이 그 방법이다 국가 간 상호 품질을 인정해주는 인증프

로그램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 탐방 중에 이것

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신보현 교수님의 조언

항공산업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미래에 매우 유망

한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lsquo2020 G7항공강국rsquo을 목표

로 비약적 발전을 준비하고 있다 미래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현재

국한된 군수사업은 물론이고 시야를 넓혀 민수사업의 활성화까지 노릴

것이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흐름 속에 해외를 탐방한다면

최고의 항공회사임을 자부하는 lsquo보잉rsquo을 방문할 것을 권한다 보잉을 방

문하여 외부적으로는 생산 시스템의 모습을 살펴보고 내부적으로는 보

잉에 근로하는 사람들의 자신의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만의 비전

그들이 바라보는 미래 항공산업의 전망을 보고 올 것을 추천한다 분명

돌아와 느끼게 될 것이 많을 것이다 해외로 나가기 전 LSA뿐만 아니라

국내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나갈 것을 권한다 KAI를 견학하고

간다면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넓은 세상을 보고 돌아와 나와 국가의

발전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국내 탐방 전 준비

2010 10 26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학과장

교수 변영환

현 한국추진공학회 부회장

현 표준검사 전문위원회 위원

현 한국항공우주학회 분회장

2010 10 29

무기체계연구소장

예비역 공군소장

교수 신보현

전 공군 F-X사업단장

전 국방대학교 부총장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939

LSA사업을 추진중인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을 찾다

대한민국의 LSA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국토해양부의 항공정책실은

경기도 과천 정부청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별도로 사무실을 두고 있

다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RampD)의 총괄 항공기 제작 등 항공기술개발

과 RampD 계획 수립 및 시행 항공정비산업 육성 정책 수립 시행을 맡아

책임지고 있는 민풍식 사무관님을 찾아 LSA사업의 전반적인 이야기와

향후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 개발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lt답변gt 국토해양부는 레저용 경량 항공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

기 위하여 다목적 2인승 경량 항공기 국산화 개발 사업에 총 209억원

을 투입하여 2010년 9월 착수 2014년 8월 완료할 계획 중에 있다

lt질문gt LSA 사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세계적으로는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대수의 50 이상을 경

량 항공기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량 항공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적으로도 국민소득 증대에 따라 레저용 경량 항공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의 공급이 없으므로 물품 조달 및 정비가 미흡하여 안전사고에 국민들

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대한민국을 G10 및 전 세계 5위

권 이내의 항공기술 선진국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이미 주도권을 장

악하고 있는 미국 및 선진국들의 기존기술들을 따라잡아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신기술들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키우고자

한다 LSA는 국토해양부가 계획하고 있는 사업들 중의 하나로 계속해서

항공기 산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lt돌발질문gt 그렇다면 2010년 초 발표된 lsquo항공 산업 G7으로의 도약rsquo과

관련하여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인가요

그렇지 않다 발표와 상관없이 국토해양부는 작년 12월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현재 진행하는 LSA사업은 이러한

사업들의 일환이다 올해 초의 발표는 이러한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것

의 시너지효과가 되고 있다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가 전보다 쉬워져 향

후 사업들을 매끄럽게 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로고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

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

정책실은 국민이 편리하고 안

전하게 국middot내외로 이동하기 위

한 항공 기반시설 구축과 항

공 산업 발전을 담당하고 있

항공정책과 등 3개과로 구성

된 항공부문은 국내외 항공시

장의 변화의 중심에 서서(환태

평양을 주도하는 항공강국의

실현)이라는 비전 하에 국적항

공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선 노력과 더

불어 국제노선의 개척 국내공

항의 활성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 11 4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항공산업과

항공사무관 민풍식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039

lt질문gt 개발될 국산 LSA가 국내에 미칠 영향과 기대하는 바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이번 사업을 통하여 항공산업에서 경량 항공기의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

량 항공기 사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사업들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개발 및 생산에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임으로

써 대한민국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 항공산업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산업들도 발전할 것이다

lt질문gt 국토해양부에서 향후 항공기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자세히 말해주기는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많은 것들을 계획하고 있다 LSA는 그 사업들의 첫걸음이다 간략하게

말해준다면 2인승 항공기인 LSA를 시작으로 4인승의 경량 항공기 경

량 제트기 80인승의 중형항공기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

기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들의 개발 역시 함께 진행될 것이다 국토

해양부는 항공관련 산업 및 항공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을 발전시키고

자 하는 신념을 항상 갖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의 이해와 정책들이 받

쳐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를 구하고 예산을 확보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해마다 예산을 100억씩

늘리고 있으며 내년에는 450억의 예산을 거의 확정 지은 상태다 항공

기 개발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들로의 경

쟁은 경쟁력이 없다 현재까지 아시아에는 LSA에 도전한 나라가 없다

LSA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며 최신 기술들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국토해양부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기적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산업이 발전한 선진국의 중소기업 수익 및 균형 잡힌 발전사례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직종들

항공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가적 지원을 위한 방법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개발 LSA 특성

개발 모델 2인승 수륙양용

고정익 단발 피스톤 프롭기

예상 판매가 약 1억원 (수입

품 약 1억 5천만원)

개발할 경량 항공기 제원

형식 수륙양용 2인승 고정익

최대이륙중량 650kg

최대순항속도 213kmh

엔진 추진력 100마력

동체 길이 612m (폭 93m)

동체 높이 228m

최신기술적용 복합재료 디

지털 계기 등

위 사진은 현재 세계판매 1위

기종 CTLS

국토해양부가 구상하는 차기

사업들

4인승 경량 항공기

경량제트기 [VLJ]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439

Introduction to LSA

LSA(Light Sport Aircraft 이하 LSA)란 2002년 미연방항공국(FAA)에서

제안한 초경량 항공기와 일반항공기 사이에 위치하는 레저용 항공기를

일컫는다 항공기 제작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초경량 항공기의 요건을

만족하면서도 비행성능은 경량항공기에 버금가는 항공기들의 출현에

발맞춰 이를 법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및 국

외 LSA의 수요증가와 세계적으로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 대수의

50 이상을 LSA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국토해양부에

서는 2014년 하반기 개발 양산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용어설명

1)실속

비행기의 날개 표면을 흐르

는 기류의 흐름이 날개 윗면

으로부터 박리되어 비행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

2)피치식 프로펠러

프로펠러 중 하나의 특별한

형태 프로펠러의 날개로 들

어오는 받음각을 변환하며

회전할 수 있는 것

3)여압

공기가 통하지 않는 기내에

공기의 압력을 높여 지상에

가까운 기압 상태를 유지하

는 일

4)랜딩기어

항공기가 이착륙을 하거나

지상활주 시 항공기의 무게

를 지지하는 구조물

FAA가 규정한 LSA의 규정

- 최대 이륙 중량 1320lb (600kg)

- (수상 비행기의 경우 1430lb)

- 최대 1)실속 속도 51mph (82kmh)

- 최대 비행 속도 138mph (222kmh)

- 최대 두 개의 좌석을 가질 수 있음

- 고정 2)피치식 또는 지상 조절 피치식의 프로펠러를 사용

- 조정석이 3)여압 되어선 안됨

- 고정식 4)랜딩기어가 사용되어야 함

LSA의 특징

- 엔진 LSA의 엔진은 TracktorPusher Type으로 나뉜다 주로 4기통

100마력 정도의 엔진이 사용된다

- 안전성 주로 항공기의 구조적인 부분과 연계되는 사항이며 낙하산

이나 에어백 같은 안전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다

- 외형 형상 동체에 주날개가 결합되는 위치 꼬리날개의 형상 항공

기의 소재 등 많은 부분들이 외형형상에 속하며 항공기 설계에서 기

본이 되는 중요한 사항이다

- 내부 형상 항공기에 장착되는 엔진의 위치 조종실이나 Cargo의 위

치 연료탱크 등 항공기 내부의 모든 구조에 대한 사항이다

- 인증 개발된 항공기를 각 국가별 항공우주관리기구에 인증을 받는

것을 뜻한다 개발된 항공기를 판매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항공기 판매를 위하여 최근 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Introduction to LSA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539

해외의 LSA

현재 LSA의 시장은 유럽과 미국이 양분하고 있다 가장 높은 시장점

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독일 Flight Design사의 CTLS와 현재 가장 최신

의 LSA인 미국 ICON사의 ICON A5를 소개한다 두 항공기의 비교 분석

을 통해 실제 LSA란 무엇인지 파악하고 향후 대한민국이 개발해야 할

LSA의 형태를 상상해 볼 수 있다

CTLS (Flight Design Germany)

현재 세계 시장점유율 1 위의 LSA 로서 높은 안정성과 1800km 에

이르는 운항거리 높은 순항속도 낮은 실속속도 등의 장점이 있다

그림설명

- High Wing 고익기 가볍고

강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비행시 안정성이 뛰어나다

- Tractor type 엔진이 앞에

달려 있는 형태 엔진 냉각에

좋고 최고속도가 뛰어남

- Conventional Tail 일반적인

형태의 꼬리날개 모습 안정성제어 면에서 뛰어나고 꼬리날개의

무게가 가볍다

이 외에도 금속 소재가 아닌 복합소재로 항공기를 제작하여 가볍고

연비가 좋으며 플로트(Float)를 장착하여 수륙양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ICON A5 (ICON USA)

- ICON A5는 최신의 LSA 항공기로 향후 LSA의 발전 모습을 대표한다

- 고익기이며 Pusher Type의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날개를 접을 수 있

어 보관이동 시 공간을 적게 차지해 유용하다

- Pusher Type 엔진은 전방 시야를 가리지 않아 시야확보에 유리하다

- 추가적인 Float의 장착 없이 동체 자체로 수상 이착륙이 가능하다

- 수평꼬리날개가 주날개의 후류에 잠기지 않아 조종성과 안정성이 높

으며 디자인 특성이 좋아 시장 선호도가 매우 높다

- 복합소재로 만들어져 있어 가볍고 자동차의 조종석과 비슷한 형태의

조종석을 가지고 있어 초보 조종사들도 쉽게 조종할 수 있다

- 유사시에 창문을 제거할 수 있고 낙하산이 있어 안전성을 갖췄다

해외 LSA 비교분석

ICON A5 (ICON USA)

편리한 조종을 추구한 실내

유사시 사용하는 낙하산

ltLSA항공기의 세계 시장 점유율gt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독일의 CTLS이다

CTLS

(Flight Design Germany)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639

국산 LSA의 성공적인 개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국민의 비행에 대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준의

레저항공산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량 항공기 비행을 위한 이

착륙장 및 비행노선 등은 인프라가 어느 정도 확보된 상태로 확인되었

으며 항공레저문화에 대한 국민적 욕구 역시 높다 2009년 1월 기준으

로 국내 자가용 조종사 면허소지자는 약 1300여명이고 매년 130여명

의 조종사가 배출되고 있으며 확보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현재 LSA를

소유하지 않은 자가용조종사 면허소지자를 LSA의 잠재적 수요자로 감

안한다면 국내 레저항공산업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 될 것이다

LSA산업은 전 세계적으로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다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이하 FAA)의 보고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LSA의 판매가 전 세계항공기 교역량의 50 이상

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자가 항공기 및 개인 소유 항공기

증가 비행장비 장비 업그레이드 정비 연료 여행 관련 상품 증대 DIY

레저항공기 KIT 개발 및 제조사 급속증가 그리고 전장품 및 부품시장

확대 지속(GPS 무선통신 및 위성추적 등)등이 급성장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미국 FAA에 등록된 LSA는 8765대(2010년 기준)이다 LSA의 수요는 북

미지역이 가장 많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삶의 질 향상

에 따라 여가 활동에 대한 욕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서 다양한

레저 및 관광 수요가 신규 창출되거나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사람들의

통행시간가치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고급 교통서비스 수단인 항공수단

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LSA는 육상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29개의 LSA 육상 이착륙장이 있으며 특히 수상비행기는 기

존 육상 활주로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하천이나 호수 바다

등 적정 수변 공간만 확보되면 어디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

이러한 LSA의 특징을 바탕으로 국내 지방 공항 활성화에 기여 항공

관광 자원의 개발 및 새로운 항공 비즈니스 창출 최첨단 기술 산업인

항공 산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수 있는 기반 마련 항공기 제작

산업의 체계적 구축이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성장 가능성

전국 비행장치 이착륙장 및

비행경로

수도권 수상비행기 이착륙 가

능 지점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739

대한민국 LSA산업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대한민국이 LSA를 개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뿐만 아니라 LSA산업은 다음분야의 발전도 기대가 된다

- 국내 항공기 제작 분야의 중소기업 육성

국내 항공기 산업이 대기업 위주임을 감안하면 LSA 사업은 중소기업의 주도가 가능하므로 항공

기 산업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균형적 산업구조를 만들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일

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 국내 항공기 제작능력 향상

국내에서 생산한 LSA 및 장착 장비의 시험평가 및 인증을 통해 항공기와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

하고 선진국 수준의 기반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 및 장비를 통해

안전 항공문화의 국내 보급 및 해외 수출 시장 개척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기대효과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839

성공적인 탐방을 위한 조언을 구하다

우리는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현 주소와 미래 유망한 항공산

업에 관한 조언을 얻음과 동시에 LSA산업의 가능성에 대하여 조언을

얻고자 국내 항공학계의 권위자들을 찾았다 이들에게서 대한민국 LSA

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방법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언을 얻었다

변영환 교수님의 조언

안타깝게도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시장은 활발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

다 현재 항공회사로서 개발 및 완제품 제작을 맡고 있는 회사는 KAI가

유일하며 생산품목도 군수분야로 집중되어 있다 국가 정책에 힘입어

향후 국내 항공 산업은 민수분야에 주목될 계획이며 LSA를 비롯하여 4

인승 항공기에서부터 100인승 정도의 중형항공기까지 폭넓은 개발을

꾀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간과해서

안 될 점은 시장성이다 국내의 수요만으로는 막대한 개발 투자비를 충

족하기 어려우며 수출을 염두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비싸지 않은 가격과 세계에서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이 그 방법이다 국가 간 상호 품질을 인정해주는 인증프

로그램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 탐방 중에 이것

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신보현 교수님의 조언

항공산업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미래에 매우 유망

한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lsquo2020 G7항공강국rsquo을 목표

로 비약적 발전을 준비하고 있다 미래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현재

국한된 군수사업은 물론이고 시야를 넓혀 민수사업의 활성화까지 노릴

것이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흐름 속에 해외를 탐방한다면

최고의 항공회사임을 자부하는 lsquo보잉rsquo을 방문할 것을 권한다 보잉을 방

문하여 외부적으로는 생산 시스템의 모습을 살펴보고 내부적으로는 보

잉에 근로하는 사람들의 자신의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만의 비전

그들이 바라보는 미래 항공산업의 전망을 보고 올 것을 추천한다 분명

돌아와 느끼게 될 것이 많을 것이다 해외로 나가기 전 LSA뿐만 아니라

국내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나갈 것을 권한다 KAI를 견학하고

간다면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넓은 세상을 보고 돌아와 나와 국가의

발전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국내 탐방 전 준비

2010 10 26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학과장

교수 변영환

현 한국추진공학회 부회장

현 표준검사 전문위원회 위원

현 한국항공우주학회 분회장

2010 10 29

무기체계연구소장

예비역 공군소장

교수 신보현

전 공군 F-X사업단장

전 국방대학교 부총장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939

LSA사업을 추진중인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을 찾다

대한민국의 LSA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국토해양부의 항공정책실은

경기도 과천 정부청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별도로 사무실을 두고 있

다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RampD)의 총괄 항공기 제작 등 항공기술개발

과 RampD 계획 수립 및 시행 항공정비산업 육성 정책 수립 시행을 맡아

책임지고 있는 민풍식 사무관님을 찾아 LSA사업의 전반적인 이야기와

향후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 개발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lt답변gt 국토해양부는 레저용 경량 항공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

기 위하여 다목적 2인승 경량 항공기 국산화 개발 사업에 총 209억원

을 투입하여 2010년 9월 착수 2014년 8월 완료할 계획 중에 있다

lt질문gt LSA 사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세계적으로는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대수의 50 이상을 경

량 항공기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량 항공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적으로도 국민소득 증대에 따라 레저용 경량 항공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의 공급이 없으므로 물품 조달 및 정비가 미흡하여 안전사고에 국민들

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대한민국을 G10 및 전 세계 5위

권 이내의 항공기술 선진국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이미 주도권을 장

악하고 있는 미국 및 선진국들의 기존기술들을 따라잡아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신기술들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키우고자

한다 LSA는 국토해양부가 계획하고 있는 사업들 중의 하나로 계속해서

항공기 산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lt돌발질문gt 그렇다면 2010년 초 발표된 lsquo항공 산업 G7으로의 도약rsquo과

관련하여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인가요

그렇지 않다 발표와 상관없이 국토해양부는 작년 12월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현재 진행하는 LSA사업은 이러한

사업들의 일환이다 올해 초의 발표는 이러한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것

의 시너지효과가 되고 있다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가 전보다 쉬워져 향

후 사업들을 매끄럽게 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로고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

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

정책실은 국민이 편리하고 안

전하게 국middot내외로 이동하기 위

한 항공 기반시설 구축과 항

공 산업 발전을 담당하고 있

항공정책과 등 3개과로 구성

된 항공부문은 국내외 항공시

장의 변화의 중심에 서서(환태

평양을 주도하는 항공강국의

실현)이라는 비전 하에 국적항

공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선 노력과 더

불어 국제노선의 개척 국내공

항의 활성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 11 4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항공산업과

항공사무관 민풍식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039

lt질문gt 개발될 국산 LSA가 국내에 미칠 영향과 기대하는 바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이번 사업을 통하여 항공산업에서 경량 항공기의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

량 항공기 사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사업들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개발 및 생산에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임으로

써 대한민국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 항공산업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산업들도 발전할 것이다

lt질문gt 국토해양부에서 향후 항공기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자세히 말해주기는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많은 것들을 계획하고 있다 LSA는 그 사업들의 첫걸음이다 간략하게

말해준다면 2인승 항공기인 LSA를 시작으로 4인승의 경량 항공기 경

량 제트기 80인승의 중형항공기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

기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들의 개발 역시 함께 진행될 것이다 국토

해양부는 항공관련 산업 및 항공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을 발전시키고

자 하는 신념을 항상 갖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의 이해와 정책들이 받

쳐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를 구하고 예산을 확보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해마다 예산을 100억씩

늘리고 있으며 내년에는 450억의 예산을 거의 확정 지은 상태다 항공

기 개발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들로의 경

쟁은 경쟁력이 없다 현재까지 아시아에는 LSA에 도전한 나라가 없다

LSA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며 최신 기술들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국토해양부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기적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산업이 발전한 선진국의 중소기업 수익 및 균형 잡힌 발전사례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직종들

항공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가적 지원을 위한 방법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개발 LSA 특성

개발 모델 2인승 수륙양용

고정익 단발 피스톤 프롭기

예상 판매가 약 1억원 (수입

품 약 1억 5천만원)

개발할 경량 항공기 제원

형식 수륙양용 2인승 고정익

최대이륙중량 650kg

최대순항속도 213kmh

엔진 추진력 100마력

동체 길이 612m (폭 93m)

동체 높이 228m

최신기술적용 복합재료 디

지털 계기 등

위 사진은 현재 세계판매 1위

기종 CTLS

국토해양부가 구상하는 차기

사업들

4인승 경량 항공기

경량제트기 [VLJ]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4: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539

해외의 LSA

현재 LSA의 시장은 유럽과 미국이 양분하고 있다 가장 높은 시장점

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독일 Flight Design사의 CTLS와 현재 가장 최신

의 LSA인 미국 ICON사의 ICON A5를 소개한다 두 항공기의 비교 분석

을 통해 실제 LSA란 무엇인지 파악하고 향후 대한민국이 개발해야 할

LSA의 형태를 상상해 볼 수 있다

CTLS (Flight Design Germany)

현재 세계 시장점유율 1 위의 LSA 로서 높은 안정성과 1800km 에

이르는 운항거리 높은 순항속도 낮은 실속속도 등의 장점이 있다

그림설명

- High Wing 고익기 가볍고

강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비행시 안정성이 뛰어나다

- Tractor type 엔진이 앞에

달려 있는 형태 엔진 냉각에

좋고 최고속도가 뛰어남

- Conventional Tail 일반적인

형태의 꼬리날개 모습 안정성제어 면에서 뛰어나고 꼬리날개의

무게가 가볍다

이 외에도 금속 소재가 아닌 복합소재로 항공기를 제작하여 가볍고

연비가 좋으며 플로트(Float)를 장착하여 수륙양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ICON A5 (ICON USA)

- ICON A5는 최신의 LSA 항공기로 향후 LSA의 발전 모습을 대표한다

- 고익기이며 Pusher Type의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날개를 접을 수 있

어 보관이동 시 공간을 적게 차지해 유용하다

- Pusher Type 엔진은 전방 시야를 가리지 않아 시야확보에 유리하다

- 추가적인 Float의 장착 없이 동체 자체로 수상 이착륙이 가능하다

- 수평꼬리날개가 주날개의 후류에 잠기지 않아 조종성과 안정성이 높

으며 디자인 특성이 좋아 시장 선호도가 매우 높다

- 복합소재로 만들어져 있어 가볍고 자동차의 조종석과 비슷한 형태의

조종석을 가지고 있어 초보 조종사들도 쉽게 조종할 수 있다

- 유사시에 창문을 제거할 수 있고 낙하산이 있어 안전성을 갖췄다

해외 LSA 비교분석

ICON A5 (ICON USA)

편리한 조종을 추구한 실내

유사시 사용하는 낙하산

ltLSA항공기의 세계 시장 점유율gt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독일의 CTLS이다

CTLS

(Flight Design Germany)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639

국산 LSA의 성공적인 개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국민의 비행에 대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준의

레저항공산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량 항공기 비행을 위한 이

착륙장 및 비행노선 등은 인프라가 어느 정도 확보된 상태로 확인되었

으며 항공레저문화에 대한 국민적 욕구 역시 높다 2009년 1월 기준으

로 국내 자가용 조종사 면허소지자는 약 1300여명이고 매년 130여명

의 조종사가 배출되고 있으며 확보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현재 LSA를

소유하지 않은 자가용조종사 면허소지자를 LSA의 잠재적 수요자로 감

안한다면 국내 레저항공산업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 될 것이다

LSA산업은 전 세계적으로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다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이하 FAA)의 보고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LSA의 판매가 전 세계항공기 교역량의 50 이상

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자가 항공기 및 개인 소유 항공기

증가 비행장비 장비 업그레이드 정비 연료 여행 관련 상품 증대 DIY

레저항공기 KIT 개발 및 제조사 급속증가 그리고 전장품 및 부품시장

확대 지속(GPS 무선통신 및 위성추적 등)등이 급성장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미국 FAA에 등록된 LSA는 8765대(2010년 기준)이다 LSA의 수요는 북

미지역이 가장 많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삶의 질 향상

에 따라 여가 활동에 대한 욕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서 다양한

레저 및 관광 수요가 신규 창출되거나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사람들의

통행시간가치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고급 교통서비스 수단인 항공수단

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LSA는 육상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29개의 LSA 육상 이착륙장이 있으며 특히 수상비행기는 기

존 육상 활주로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하천이나 호수 바다

등 적정 수변 공간만 확보되면 어디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

이러한 LSA의 특징을 바탕으로 국내 지방 공항 활성화에 기여 항공

관광 자원의 개발 및 새로운 항공 비즈니스 창출 최첨단 기술 산업인

항공 산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수 있는 기반 마련 항공기 제작

산업의 체계적 구축이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성장 가능성

전국 비행장치 이착륙장 및

비행경로

수도권 수상비행기 이착륙 가

능 지점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739

대한민국 LSA산업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대한민국이 LSA를 개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뿐만 아니라 LSA산업은 다음분야의 발전도 기대가 된다

- 국내 항공기 제작 분야의 중소기업 육성

국내 항공기 산업이 대기업 위주임을 감안하면 LSA 사업은 중소기업의 주도가 가능하므로 항공

기 산업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균형적 산업구조를 만들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일

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 국내 항공기 제작능력 향상

국내에서 생산한 LSA 및 장착 장비의 시험평가 및 인증을 통해 항공기와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

하고 선진국 수준의 기반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 및 장비를 통해

안전 항공문화의 국내 보급 및 해외 수출 시장 개척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기대효과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839

성공적인 탐방을 위한 조언을 구하다

우리는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현 주소와 미래 유망한 항공산

업에 관한 조언을 얻음과 동시에 LSA산업의 가능성에 대하여 조언을

얻고자 국내 항공학계의 권위자들을 찾았다 이들에게서 대한민국 LSA

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방법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언을 얻었다

변영환 교수님의 조언

안타깝게도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시장은 활발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

다 현재 항공회사로서 개발 및 완제품 제작을 맡고 있는 회사는 KAI가

유일하며 생산품목도 군수분야로 집중되어 있다 국가 정책에 힘입어

향후 국내 항공 산업은 민수분야에 주목될 계획이며 LSA를 비롯하여 4

인승 항공기에서부터 100인승 정도의 중형항공기까지 폭넓은 개발을

꾀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간과해서

안 될 점은 시장성이다 국내의 수요만으로는 막대한 개발 투자비를 충

족하기 어려우며 수출을 염두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비싸지 않은 가격과 세계에서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이 그 방법이다 국가 간 상호 품질을 인정해주는 인증프

로그램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 탐방 중에 이것

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신보현 교수님의 조언

항공산업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미래에 매우 유망

한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lsquo2020 G7항공강국rsquo을 목표

로 비약적 발전을 준비하고 있다 미래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현재

국한된 군수사업은 물론이고 시야를 넓혀 민수사업의 활성화까지 노릴

것이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흐름 속에 해외를 탐방한다면

최고의 항공회사임을 자부하는 lsquo보잉rsquo을 방문할 것을 권한다 보잉을 방

문하여 외부적으로는 생산 시스템의 모습을 살펴보고 내부적으로는 보

잉에 근로하는 사람들의 자신의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만의 비전

그들이 바라보는 미래 항공산업의 전망을 보고 올 것을 추천한다 분명

돌아와 느끼게 될 것이 많을 것이다 해외로 나가기 전 LSA뿐만 아니라

국내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나갈 것을 권한다 KAI를 견학하고

간다면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넓은 세상을 보고 돌아와 나와 국가의

발전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국내 탐방 전 준비

2010 10 26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학과장

교수 변영환

현 한국추진공학회 부회장

현 표준검사 전문위원회 위원

현 한국항공우주학회 분회장

2010 10 29

무기체계연구소장

예비역 공군소장

교수 신보현

전 공군 F-X사업단장

전 국방대학교 부총장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939

LSA사업을 추진중인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을 찾다

대한민국의 LSA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국토해양부의 항공정책실은

경기도 과천 정부청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별도로 사무실을 두고 있

다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RampD)의 총괄 항공기 제작 등 항공기술개발

과 RampD 계획 수립 및 시행 항공정비산업 육성 정책 수립 시행을 맡아

책임지고 있는 민풍식 사무관님을 찾아 LSA사업의 전반적인 이야기와

향후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 개발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lt답변gt 국토해양부는 레저용 경량 항공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

기 위하여 다목적 2인승 경량 항공기 국산화 개발 사업에 총 209억원

을 투입하여 2010년 9월 착수 2014년 8월 완료할 계획 중에 있다

lt질문gt LSA 사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세계적으로는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대수의 50 이상을 경

량 항공기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량 항공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적으로도 국민소득 증대에 따라 레저용 경량 항공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의 공급이 없으므로 물품 조달 및 정비가 미흡하여 안전사고에 국민들

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대한민국을 G10 및 전 세계 5위

권 이내의 항공기술 선진국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이미 주도권을 장

악하고 있는 미국 및 선진국들의 기존기술들을 따라잡아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신기술들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키우고자

한다 LSA는 국토해양부가 계획하고 있는 사업들 중의 하나로 계속해서

항공기 산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lt돌발질문gt 그렇다면 2010년 초 발표된 lsquo항공 산업 G7으로의 도약rsquo과

관련하여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인가요

그렇지 않다 발표와 상관없이 국토해양부는 작년 12월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현재 진행하는 LSA사업은 이러한

사업들의 일환이다 올해 초의 발표는 이러한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것

의 시너지효과가 되고 있다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가 전보다 쉬워져 향

후 사업들을 매끄럽게 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로고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

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

정책실은 국민이 편리하고 안

전하게 국middot내외로 이동하기 위

한 항공 기반시설 구축과 항

공 산업 발전을 담당하고 있

항공정책과 등 3개과로 구성

된 항공부문은 국내외 항공시

장의 변화의 중심에 서서(환태

평양을 주도하는 항공강국의

실현)이라는 비전 하에 국적항

공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선 노력과 더

불어 국제노선의 개척 국내공

항의 활성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 11 4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항공산업과

항공사무관 민풍식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039

lt질문gt 개발될 국산 LSA가 국내에 미칠 영향과 기대하는 바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이번 사업을 통하여 항공산업에서 경량 항공기의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

량 항공기 사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사업들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개발 및 생산에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임으로

써 대한민국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 항공산업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산업들도 발전할 것이다

lt질문gt 국토해양부에서 향후 항공기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자세히 말해주기는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많은 것들을 계획하고 있다 LSA는 그 사업들의 첫걸음이다 간략하게

말해준다면 2인승 항공기인 LSA를 시작으로 4인승의 경량 항공기 경

량 제트기 80인승의 중형항공기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

기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들의 개발 역시 함께 진행될 것이다 국토

해양부는 항공관련 산업 및 항공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을 발전시키고

자 하는 신념을 항상 갖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의 이해와 정책들이 받

쳐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를 구하고 예산을 확보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해마다 예산을 100억씩

늘리고 있으며 내년에는 450억의 예산을 거의 확정 지은 상태다 항공

기 개발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들로의 경

쟁은 경쟁력이 없다 현재까지 아시아에는 LSA에 도전한 나라가 없다

LSA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며 최신 기술들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국토해양부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기적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산업이 발전한 선진국의 중소기업 수익 및 균형 잡힌 발전사례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직종들

항공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가적 지원을 위한 방법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개발 LSA 특성

개발 모델 2인승 수륙양용

고정익 단발 피스톤 프롭기

예상 판매가 약 1억원 (수입

품 약 1억 5천만원)

개발할 경량 항공기 제원

형식 수륙양용 2인승 고정익

최대이륙중량 650kg

최대순항속도 213kmh

엔진 추진력 100마력

동체 길이 612m (폭 93m)

동체 높이 228m

최신기술적용 복합재료 디

지털 계기 등

위 사진은 현재 세계판매 1위

기종 CTLS

국토해양부가 구상하는 차기

사업들

4인승 경량 항공기

경량제트기 [VLJ]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639

국산 LSA의 성공적인 개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국민의 비행에 대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준의

레저항공산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량 항공기 비행을 위한 이

착륙장 및 비행노선 등은 인프라가 어느 정도 확보된 상태로 확인되었

으며 항공레저문화에 대한 국민적 욕구 역시 높다 2009년 1월 기준으

로 국내 자가용 조종사 면허소지자는 약 1300여명이고 매년 130여명

의 조종사가 배출되고 있으며 확보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현재 LSA를

소유하지 않은 자가용조종사 면허소지자를 LSA의 잠재적 수요자로 감

안한다면 국내 레저항공산업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 될 것이다

LSA산업은 전 세계적으로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다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이하 FAA)의 보고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LSA의 판매가 전 세계항공기 교역량의 50 이상

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자가 항공기 및 개인 소유 항공기

증가 비행장비 장비 업그레이드 정비 연료 여행 관련 상품 증대 DIY

레저항공기 KIT 개발 및 제조사 급속증가 그리고 전장품 및 부품시장

확대 지속(GPS 무선통신 및 위성추적 등)등이 급성장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미국 FAA에 등록된 LSA는 8765대(2010년 기준)이다 LSA의 수요는 북

미지역이 가장 많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삶의 질 향상

에 따라 여가 활동에 대한 욕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서 다양한

레저 및 관광 수요가 신규 창출되거나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사람들의

통행시간가치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고급 교통서비스 수단인 항공수단

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LSA는 육상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29개의 LSA 육상 이착륙장이 있으며 특히 수상비행기는 기

존 육상 활주로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하천이나 호수 바다

등 적정 수변 공간만 확보되면 어디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

이러한 LSA의 특징을 바탕으로 국내 지방 공항 활성화에 기여 항공

관광 자원의 개발 및 새로운 항공 비즈니스 창출 최첨단 기술 산업인

항공 산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수 있는 기반 마련 항공기 제작

산업의 체계적 구축이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성장 가능성

전국 비행장치 이착륙장 및

비행경로

수도권 수상비행기 이착륙 가

능 지점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739

대한민국 LSA산업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대한민국이 LSA를 개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뿐만 아니라 LSA산업은 다음분야의 발전도 기대가 된다

- 국내 항공기 제작 분야의 중소기업 육성

국내 항공기 산업이 대기업 위주임을 감안하면 LSA 사업은 중소기업의 주도가 가능하므로 항공

기 산업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균형적 산업구조를 만들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일

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 국내 항공기 제작능력 향상

국내에서 생산한 LSA 및 장착 장비의 시험평가 및 인증을 통해 항공기와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

하고 선진국 수준의 기반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 및 장비를 통해

안전 항공문화의 국내 보급 및 해외 수출 시장 개척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기대효과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839

성공적인 탐방을 위한 조언을 구하다

우리는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현 주소와 미래 유망한 항공산

업에 관한 조언을 얻음과 동시에 LSA산업의 가능성에 대하여 조언을

얻고자 국내 항공학계의 권위자들을 찾았다 이들에게서 대한민국 LSA

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방법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언을 얻었다

변영환 교수님의 조언

안타깝게도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시장은 활발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

다 현재 항공회사로서 개발 및 완제품 제작을 맡고 있는 회사는 KAI가

유일하며 생산품목도 군수분야로 집중되어 있다 국가 정책에 힘입어

향후 국내 항공 산업은 민수분야에 주목될 계획이며 LSA를 비롯하여 4

인승 항공기에서부터 100인승 정도의 중형항공기까지 폭넓은 개발을

꾀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간과해서

안 될 점은 시장성이다 국내의 수요만으로는 막대한 개발 투자비를 충

족하기 어려우며 수출을 염두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비싸지 않은 가격과 세계에서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이 그 방법이다 국가 간 상호 품질을 인정해주는 인증프

로그램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 탐방 중에 이것

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신보현 교수님의 조언

항공산업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미래에 매우 유망

한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lsquo2020 G7항공강국rsquo을 목표

로 비약적 발전을 준비하고 있다 미래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현재

국한된 군수사업은 물론이고 시야를 넓혀 민수사업의 활성화까지 노릴

것이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흐름 속에 해외를 탐방한다면

최고의 항공회사임을 자부하는 lsquo보잉rsquo을 방문할 것을 권한다 보잉을 방

문하여 외부적으로는 생산 시스템의 모습을 살펴보고 내부적으로는 보

잉에 근로하는 사람들의 자신의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만의 비전

그들이 바라보는 미래 항공산업의 전망을 보고 올 것을 추천한다 분명

돌아와 느끼게 될 것이 많을 것이다 해외로 나가기 전 LSA뿐만 아니라

국내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나갈 것을 권한다 KAI를 견학하고

간다면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넓은 세상을 보고 돌아와 나와 국가의

발전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국내 탐방 전 준비

2010 10 26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학과장

교수 변영환

현 한국추진공학회 부회장

현 표준검사 전문위원회 위원

현 한국항공우주학회 분회장

2010 10 29

무기체계연구소장

예비역 공군소장

교수 신보현

전 공군 F-X사업단장

전 국방대학교 부총장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939

LSA사업을 추진중인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을 찾다

대한민국의 LSA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국토해양부의 항공정책실은

경기도 과천 정부청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별도로 사무실을 두고 있

다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RampD)의 총괄 항공기 제작 등 항공기술개발

과 RampD 계획 수립 및 시행 항공정비산업 육성 정책 수립 시행을 맡아

책임지고 있는 민풍식 사무관님을 찾아 LSA사업의 전반적인 이야기와

향후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 개발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lt답변gt 국토해양부는 레저용 경량 항공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

기 위하여 다목적 2인승 경량 항공기 국산화 개발 사업에 총 209억원

을 투입하여 2010년 9월 착수 2014년 8월 완료할 계획 중에 있다

lt질문gt LSA 사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세계적으로는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대수의 50 이상을 경

량 항공기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량 항공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적으로도 국민소득 증대에 따라 레저용 경량 항공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의 공급이 없으므로 물품 조달 및 정비가 미흡하여 안전사고에 국민들

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대한민국을 G10 및 전 세계 5위

권 이내의 항공기술 선진국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이미 주도권을 장

악하고 있는 미국 및 선진국들의 기존기술들을 따라잡아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신기술들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키우고자

한다 LSA는 국토해양부가 계획하고 있는 사업들 중의 하나로 계속해서

항공기 산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lt돌발질문gt 그렇다면 2010년 초 발표된 lsquo항공 산업 G7으로의 도약rsquo과

관련하여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인가요

그렇지 않다 발표와 상관없이 국토해양부는 작년 12월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현재 진행하는 LSA사업은 이러한

사업들의 일환이다 올해 초의 발표는 이러한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것

의 시너지효과가 되고 있다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가 전보다 쉬워져 향

후 사업들을 매끄럽게 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로고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

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

정책실은 국민이 편리하고 안

전하게 국middot내외로 이동하기 위

한 항공 기반시설 구축과 항

공 산업 발전을 담당하고 있

항공정책과 등 3개과로 구성

된 항공부문은 국내외 항공시

장의 변화의 중심에 서서(환태

평양을 주도하는 항공강국의

실현)이라는 비전 하에 국적항

공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선 노력과 더

불어 국제노선의 개척 국내공

항의 활성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 11 4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항공산업과

항공사무관 민풍식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039

lt질문gt 개발될 국산 LSA가 국내에 미칠 영향과 기대하는 바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이번 사업을 통하여 항공산업에서 경량 항공기의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

량 항공기 사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사업들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개발 및 생산에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임으로

써 대한민국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 항공산업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산업들도 발전할 것이다

lt질문gt 국토해양부에서 향후 항공기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자세히 말해주기는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많은 것들을 계획하고 있다 LSA는 그 사업들의 첫걸음이다 간략하게

말해준다면 2인승 항공기인 LSA를 시작으로 4인승의 경량 항공기 경

량 제트기 80인승의 중형항공기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

기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들의 개발 역시 함께 진행될 것이다 국토

해양부는 항공관련 산업 및 항공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을 발전시키고

자 하는 신념을 항상 갖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의 이해와 정책들이 받

쳐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를 구하고 예산을 확보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해마다 예산을 100억씩

늘리고 있으며 내년에는 450억의 예산을 거의 확정 지은 상태다 항공

기 개발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들로의 경

쟁은 경쟁력이 없다 현재까지 아시아에는 LSA에 도전한 나라가 없다

LSA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며 최신 기술들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국토해양부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기적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산업이 발전한 선진국의 중소기업 수익 및 균형 잡힌 발전사례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직종들

항공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가적 지원을 위한 방법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개발 LSA 특성

개발 모델 2인승 수륙양용

고정익 단발 피스톤 프롭기

예상 판매가 약 1억원 (수입

품 약 1억 5천만원)

개발할 경량 항공기 제원

형식 수륙양용 2인승 고정익

최대이륙중량 650kg

최대순항속도 213kmh

엔진 추진력 100마력

동체 길이 612m (폭 93m)

동체 높이 228m

최신기술적용 복합재료 디

지털 계기 등

위 사진은 현재 세계판매 1위

기종 CTLS

국토해양부가 구상하는 차기

사업들

4인승 경량 항공기

경량제트기 [VLJ]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6: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739

대한민국 LSA산업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대한민국이 LSA를 개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뿐만 아니라 LSA산업은 다음분야의 발전도 기대가 된다

- 국내 항공기 제작 분야의 중소기업 육성

국내 항공기 산업이 대기업 위주임을 감안하면 LSA 사업은 중소기업의 주도가 가능하므로 항공

기 산업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균형적 산업구조를 만들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일

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 국내 항공기 제작능력 향상

국내에서 생산한 LSA 및 장착 장비의 시험평가 및 인증을 통해 항공기와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

하고 선진국 수준의 기반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 및 장비를 통해

안전 항공문화의 국내 보급 및 해외 수출 시장 개척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대한민국 LSA산업의 기대효과

2 사전조사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839

성공적인 탐방을 위한 조언을 구하다

우리는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현 주소와 미래 유망한 항공산

업에 관한 조언을 얻음과 동시에 LSA산업의 가능성에 대하여 조언을

얻고자 국내 항공학계의 권위자들을 찾았다 이들에게서 대한민국 LSA

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방법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언을 얻었다

변영환 교수님의 조언

안타깝게도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시장은 활발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

다 현재 항공회사로서 개발 및 완제품 제작을 맡고 있는 회사는 KAI가

유일하며 생산품목도 군수분야로 집중되어 있다 국가 정책에 힘입어

향후 국내 항공 산업은 민수분야에 주목될 계획이며 LSA를 비롯하여 4

인승 항공기에서부터 100인승 정도의 중형항공기까지 폭넓은 개발을

꾀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간과해서

안 될 점은 시장성이다 국내의 수요만으로는 막대한 개발 투자비를 충

족하기 어려우며 수출을 염두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비싸지 않은 가격과 세계에서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이 그 방법이다 국가 간 상호 품질을 인정해주는 인증프

로그램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 탐방 중에 이것

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신보현 교수님의 조언

항공산업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미래에 매우 유망

한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lsquo2020 G7항공강국rsquo을 목표

로 비약적 발전을 준비하고 있다 미래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현재

국한된 군수사업은 물론이고 시야를 넓혀 민수사업의 활성화까지 노릴

것이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흐름 속에 해외를 탐방한다면

최고의 항공회사임을 자부하는 lsquo보잉rsquo을 방문할 것을 권한다 보잉을 방

문하여 외부적으로는 생산 시스템의 모습을 살펴보고 내부적으로는 보

잉에 근로하는 사람들의 자신의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만의 비전

그들이 바라보는 미래 항공산업의 전망을 보고 올 것을 추천한다 분명

돌아와 느끼게 될 것이 많을 것이다 해외로 나가기 전 LSA뿐만 아니라

국내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나갈 것을 권한다 KAI를 견학하고

간다면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넓은 세상을 보고 돌아와 나와 국가의

발전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국내 탐방 전 준비

2010 10 26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학과장

교수 변영환

현 한국추진공학회 부회장

현 표준검사 전문위원회 위원

현 한국항공우주학회 분회장

2010 10 29

무기체계연구소장

예비역 공군소장

교수 신보현

전 공군 F-X사업단장

전 국방대학교 부총장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939

LSA사업을 추진중인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을 찾다

대한민국의 LSA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국토해양부의 항공정책실은

경기도 과천 정부청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별도로 사무실을 두고 있

다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RampD)의 총괄 항공기 제작 등 항공기술개발

과 RampD 계획 수립 및 시행 항공정비산업 육성 정책 수립 시행을 맡아

책임지고 있는 민풍식 사무관님을 찾아 LSA사업의 전반적인 이야기와

향후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 개발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lt답변gt 국토해양부는 레저용 경량 항공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

기 위하여 다목적 2인승 경량 항공기 국산화 개발 사업에 총 209억원

을 투입하여 2010년 9월 착수 2014년 8월 완료할 계획 중에 있다

lt질문gt LSA 사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세계적으로는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대수의 50 이상을 경

량 항공기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량 항공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적으로도 국민소득 증대에 따라 레저용 경량 항공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의 공급이 없으므로 물품 조달 및 정비가 미흡하여 안전사고에 국민들

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대한민국을 G10 및 전 세계 5위

권 이내의 항공기술 선진국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이미 주도권을 장

악하고 있는 미국 및 선진국들의 기존기술들을 따라잡아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신기술들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키우고자

한다 LSA는 국토해양부가 계획하고 있는 사업들 중의 하나로 계속해서

항공기 산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lt돌발질문gt 그렇다면 2010년 초 발표된 lsquo항공 산업 G7으로의 도약rsquo과

관련하여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인가요

그렇지 않다 발표와 상관없이 국토해양부는 작년 12월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현재 진행하는 LSA사업은 이러한

사업들의 일환이다 올해 초의 발표는 이러한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것

의 시너지효과가 되고 있다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가 전보다 쉬워져 향

후 사업들을 매끄럽게 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로고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

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

정책실은 국민이 편리하고 안

전하게 국middot내외로 이동하기 위

한 항공 기반시설 구축과 항

공 산업 발전을 담당하고 있

항공정책과 등 3개과로 구성

된 항공부문은 국내외 항공시

장의 변화의 중심에 서서(환태

평양을 주도하는 항공강국의

실현)이라는 비전 하에 국적항

공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선 노력과 더

불어 국제노선의 개척 국내공

항의 활성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 11 4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항공산업과

항공사무관 민풍식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039

lt질문gt 개발될 국산 LSA가 국내에 미칠 영향과 기대하는 바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이번 사업을 통하여 항공산업에서 경량 항공기의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

량 항공기 사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사업들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개발 및 생산에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임으로

써 대한민국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 항공산업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산업들도 발전할 것이다

lt질문gt 국토해양부에서 향후 항공기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자세히 말해주기는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많은 것들을 계획하고 있다 LSA는 그 사업들의 첫걸음이다 간략하게

말해준다면 2인승 항공기인 LSA를 시작으로 4인승의 경량 항공기 경

량 제트기 80인승의 중형항공기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

기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들의 개발 역시 함께 진행될 것이다 국토

해양부는 항공관련 산업 및 항공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을 발전시키고

자 하는 신념을 항상 갖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의 이해와 정책들이 받

쳐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를 구하고 예산을 확보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해마다 예산을 100억씩

늘리고 있으며 내년에는 450억의 예산을 거의 확정 지은 상태다 항공

기 개발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들로의 경

쟁은 경쟁력이 없다 현재까지 아시아에는 LSA에 도전한 나라가 없다

LSA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며 최신 기술들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국토해양부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기적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산업이 발전한 선진국의 중소기업 수익 및 균형 잡힌 발전사례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직종들

항공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가적 지원을 위한 방법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개발 LSA 특성

개발 모델 2인승 수륙양용

고정익 단발 피스톤 프롭기

예상 판매가 약 1억원 (수입

품 약 1억 5천만원)

개발할 경량 항공기 제원

형식 수륙양용 2인승 고정익

최대이륙중량 650kg

최대순항속도 213kmh

엔진 추진력 100마력

동체 길이 612m (폭 93m)

동체 높이 228m

최신기술적용 복합재료 디

지털 계기 등

위 사진은 현재 세계판매 1위

기종 CTLS

국토해양부가 구상하는 차기

사업들

4인승 경량 항공기

경량제트기 [VLJ]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7: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839

성공적인 탐방을 위한 조언을 구하다

우리는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현 주소와 미래 유망한 항공산

업에 관한 조언을 얻음과 동시에 LSA산업의 가능성에 대하여 조언을

얻고자 국내 항공학계의 권위자들을 찾았다 이들에게서 대한민국 LSA

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방법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언을 얻었다

변영환 교수님의 조언

안타깝게도 현재 대한민국의 항공시장은 활발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

다 현재 항공회사로서 개발 및 완제품 제작을 맡고 있는 회사는 KAI가

유일하며 생산품목도 군수분야로 집중되어 있다 국가 정책에 힘입어

향후 국내 항공 산업은 민수분야에 주목될 계획이며 LSA를 비롯하여 4

인승 항공기에서부터 100인승 정도의 중형항공기까지 폭넓은 개발을

꾀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간과해서

안 될 점은 시장성이다 국내의 수요만으로는 막대한 개발 투자비를 충

족하기 어려우며 수출을 염두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비싸지 않은 가격과 세계에서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이 그 방법이다 국가 간 상호 품질을 인정해주는 인증프

로그램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 탐방 중에 이것

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신보현 교수님의 조언

항공산업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미래에 매우 유망

한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lsquo2020 G7항공강국rsquo을 목표

로 비약적 발전을 준비하고 있다 미래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현재

국한된 군수사업은 물론이고 시야를 넓혀 민수사업의 활성화까지 노릴

것이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흐름 속에 해외를 탐방한다면

최고의 항공회사임을 자부하는 lsquo보잉rsquo을 방문할 것을 권한다 보잉을 방

문하여 외부적으로는 생산 시스템의 모습을 살펴보고 내부적으로는 보

잉에 근로하는 사람들의 자신의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만의 비전

그들이 바라보는 미래 항공산업의 전망을 보고 올 것을 추천한다 분명

돌아와 느끼게 될 것이 많을 것이다 해외로 나가기 전 LSA뿐만 아니라

국내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나갈 것을 권한다 KAI를 견학하고

간다면 좋은 비교가 될 것이다 넓은 세상을 보고 돌아와 나와 국가의

발전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국내 탐방 전 준비

2010 10 26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학과장

교수 변영환

현 한국추진공학회 부회장

현 표준검사 전문위원회 위원

현 한국항공우주학회 분회장

2010 10 29

무기체계연구소장

예비역 공군소장

교수 신보현

전 공군 F-X사업단장

전 국방대학교 부총장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939

LSA사업을 추진중인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을 찾다

대한민국의 LSA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국토해양부의 항공정책실은

경기도 과천 정부청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별도로 사무실을 두고 있

다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RampD)의 총괄 항공기 제작 등 항공기술개발

과 RampD 계획 수립 및 시행 항공정비산업 육성 정책 수립 시행을 맡아

책임지고 있는 민풍식 사무관님을 찾아 LSA사업의 전반적인 이야기와

향후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 개발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lt답변gt 국토해양부는 레저용 경량 항공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

기 위하여 다목적 2인승 경량 항공기 국산화 개발 사업에 총 209억원

을 투입하여 2010년 9월 착수 2014년 8월 완료할 계획 중에 있다

lt질문gt LSA 사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세계적으로는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대수의 50 이상을 경

량 항공기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량 항공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적으로도 국민소득 증대에 따라 레저용 경량 항공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의 공급이 없으므로 물품 조달 및 정비가 미흡하여 안전사고에 국민들

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대한민국을 G10 및 전 세계 5위

권 이내의 항공기술 선진국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이미 주도권을 장

악하고 있는 미국 및 선진국들의 기존기술들을 따라잡아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신기술들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키우고자

한다 LSA는 국토해양부가 계획하고 있는 사업들 중의 하나로 계속해서

항공기 산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lt돌발질문gt 그렇다면 2010년 초 발표된 lsquo항공 산업 G7으로의 도약rsquo과

관련하여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인가요

그렇지 않다 발표와 상관없이 국토해양부는 작년 12월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현재 진행하는 LSA사업은 이러한

사업들의 일환이다 올해 초의 발표는 이러한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것

의 시너지효과가 되고 있다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가 전보다 쉬워져 향

후 사업들을 매끄럽게 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로고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

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

정책실은 국민이 편리하고 안

전하게 국middot내외로 이동하기 위

한 항공 기반시설 구축과 항

공 산업 발전을 담당하고 있

항공정책과 등 3개과로 구성

된 항공부문은 국내외 항공시

장의 변화의 중심에 서서(환태

평양을 주도하는 항공강국의

실현)이라는 비전 하에 국적항

공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선 노력과 더

불어 국제노선의 개척 국내공

항의 활성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 11 4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항공산업과

항공사무관 민풍식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039

lt질문gt 개발될 국산 LSA가 국내에 미칠 영향과 기대하는 바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이번 사업을 통하여 항공산업에서 경량 항공기의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

량 항공기 사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사업들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개발 및 생산에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임으로

써 대한민국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 항공산업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산업들도 발전할 것이다

lt질문gt 국토해양부에서 향후 항공기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자세히 말해주기는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많은 것들을 계획하고 있다 LSA는 그 사업들의 첫걸음이다 간략하게

말해준다면 2인승 항공기인 LSA를 시작으로 4인승의 경량 항공기 경

량 제트기 80인승의 중형항공기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

기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들의 개발 역시 함께 진행될 것이다 국토

해양부는 항공관련 산업 및 항공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을 발전시키고

자 하는 신념을 항상 갖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의 이해와 정책들이 받

쳐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를 구하고 예산을 확보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해마다 예산을 100억씩

늘리고 있으며 내년에는 450억의 예산을 거의 확정 지은 상태다 항공

기 개발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들로의 경

쟁은 경쟁력이 없다 현재까지 아시아에는 LSA에 도전한 나라가 없다

LSA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며 최신 기술들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국토해양부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기적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산업이 발전한 선진국의 중소기업 수익 및 균형 잡힌 발전사례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직종들

항공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가적 지원을 위한 방법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개발 LSA 특성

개발 모델 2인승 수륙양용

고정익 단발 피스톤 프롭기

예상 판매가 약 1억원 (수입

품 약 1억 5천만원)

개발할 경량 항공기 제원

형식 수륙양용 2인승 고정익

최대이륙중량 650kg

최대순항속도 213kmh

엔진 추진력 100마력

동체 길이 612m (폭 93m)

동체 높이 228m

최신기술적용 복합재료 디

지털 계기 등

위 사진은 현재 세계판매 1위

기종 CTLS

국토해양부가 구상하는 차기

사업들

4인승 경량 항공기

경량제트기 [VLJ]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8: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939

LSA사업을 추진중인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을 찾다

대한민국의 LSA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국토해양부의 항공정책실은

경기도 과천 정부청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별도로 사무실을 두고 있

다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RampD)의 총괄 항공기 제작 등 항공기술개발

과 RampD 계획 수립 및 시행 항공정비산업 육성 정책 수립 시행을 맡아

책임지고 있는 민풍식 사무관님을 찾아 LSA사업의 전반적인 이야기와

향후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 개발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lt답변gt 국토해양부는 레저용 경량 항공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

기 위하여 다목적 2인승 경량 항공기 국산화 개발 사업에 총 209억원

을 투입하여 2010년 9월 착수 2014년 8월 완료할 계획 중에 있다

lt질문gt LSA 사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세계적으로는 향후 10년간 항공기 판매대수의 50 이상을 경

량 항공기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량 항공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적으로도 국민소득 증대에 따라 레저용 경량 항공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의 공급이 없으므로 물품 조달 및 정비가 미흡하여 안전사고에 국민들

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대한민국을 G10 및 전 세계 5위

권 이내의 항공기술 선진국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이미 주도권을 장

악하고 있는 미국 및 선진국들의 기존기술들을 따라잡아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신기술들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키우고자

한다 LSA는 국토해양부가 계획하고 있는 사업들 중의 하나로 계속해서

항공기 산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lt돌발질문gt 그렇다면 2010년 초 발표된 lsquo항공 산업 G7으로의 도약rsquo과

관련하여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인가요

그렇지 않다 발표와 상관없이 국토해양부는 작년 12월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현재 진행하는 LSA사업은 이러한

사업들의 일환이다 올해 초의 발표는 이러한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것

의 시너지효과가 되고 있다 사업을 위한 예산확보가 전보다 쉬워져 향

후 사업들을 매끄럽게 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로고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

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

정책실은 국민이 편리하고 안

전하게 국middot내외로 이동하기 위

한 항공 기반시설 구축과 항

공 산업 발전을 담당하고 있

항공정책과 등 3개과로 구성

된 항공부문은 국내외 항공시

장의 변화의 중심에 서서(환태

평양을 주도하는 항공강국의

실현)이라는 비전 하에 국적항

공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선 노력과 더

불어 국제노선의 개척 국내공

항의 활성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 11 4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항공산업과

항공사무관 민풍식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039

lt질문gt 개발될 국산 LSA가 국내에 미칠 영향과 기대하는 바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이번 사업을 통하여 항공산업에서 경량 항공기의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

량 항공기 사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사업들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개발 및 생산에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임으로

써 대한민국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 항공산업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산업들도 발전할 것이다

lt질문gt 국토해양부에서 향후 항공기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자세히 말해주기는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많은 것들을 계획하고 있다 LSA는 그 사업들의 첫걸음이다 간략하게

말해준다면 2인승 항공기인 LSA를 시작으로 4인승의 경량 항공기 경

량 제트기 80인승의 중형항공기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

기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들의 개발 역시 함께 진행될 것이다 국토

해양부는 항공관련 산업 및 항공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을 발전시키고

자 하는 신념을 항상 갖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의 이해와 정책들이 받

쳐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를 구하고 예산을 확보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해마다 예산을 100억씩

늘리고 있으며 내년에는 450억의 예산을 거의 확정 지은 상태다 항공

기 개발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들로의 경

쟁은 경쟁력이 없다 현재까지 아시아에는 LSA에 도전한 나라가 없다

LSA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며 최신 기술들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국토해양부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기적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산업이 발전한 선진국의 중소기업 수익 및 균형 잡힌 발전사례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직종들

항공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가적 지원을 위한 방법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개발 LSA 특성

개발 모델 2인승 수륙양용

고정익 단발 피스톤 프롭기

예상 판매가 약 1억원 (수입

품 약 1억 5천만원)

개발할 경량 항공기 제원

형식 수륙양용 2인승 고정익

최대이륙중량 650kg

최대순항속도 213kmh

엔진 추진력 100마력

동체 길이 612m (폭 93m)

동체 높이 228m

최신기술적용 복합재료 디

지털 계기 등

위 사진은 현재 세계판매 1위

기종 CTLS

국토해양부가 구상하는 차기

사업들

4인승 경량 항공기

경량제트기 [VLJ]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9: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039

lt질문gt 개발될 국산 LSA가 국내에 미칠 영향과 기대하는 바를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이번 사업을 통하여 항공산업에서 경량 항공기의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

량 항공기 사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사업들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또한 항공기의 개발 및 생산에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임으로

써 대한민국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 항공산업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산업들도 발전할 것이다

lt질문gt 국토해양부에서 향후 항공기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자세히 말해주기는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많은 것들을 계획하고 있다 LSA는 그 사업들의 첫걸음이다 간략하게

말해준다면 2인승 항공기인 LSA를 시작으로 4인승의 경량 항공기 경

량 제트기 80인승의 중형항공기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

기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들의 개발 역시 함께 진행될 것이다 국토

해양부는 항공관련 산업 및 항공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을 발전시키고

자 하는 신념을 항상 갖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의 이해와 정책들이 받

쳐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를 구하고 예산을 확보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해마다 예산을 100억씩

늘리고 있으며 내년에는 450억의 예산을 거의 확정 지은 상태다 항공

기 개발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들로의 경

쟁은 경쟁력이 없다 현재까지 아시아에는 LSA에 도전한 나라가 없다

LSA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며 최신 기술들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국토해양부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장기적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산업이 발전한 선진국의 중소기업 수익 및 균형 잡힌 발전사례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직종들

항공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가적 지원을 위한 방법

국내 탐방 1 ndash 국토해양부

개발 LSA 특성

개발 모델 2인승 수륙양용

고정익 단발 피스톤 프롭기

예상 판매가 약 1억원 (수입

품 약 1억 5천만원)

개발할 경량 항공기 제원

형식 수륙양용 2인승 고정익

최대이륙중량 650kg

최대순항속도 213kmh

엔진 추진력 100마력

동체 길이 612m (폭 93m)

동체 높이 228m

최신기술적용 복합재료 디

지털 계기 등

위 사진은 현재 세계판매 1위

기종 CTLS

국토해양부가 구상하는 차기

사업들

4인승 경량 항공기

경량제트기 [VLJ]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139

대한민국의 유일한 완제기 제작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을

찾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하는 한국항공우주산

업(이하 KAI)를 찾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KAI는 2020년까지 항공우

주 Total Solution 업체로의 성장을 비전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무실 확장이전 준비로 바쁜 이날 KAI의 대외협력실의 이

명환 부장님을 만나 국산 LSA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과 향후 항

공산업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완제기를 제작 및 수출한 기업으로서

향후 개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항공기를 한 국가 또는 개인에게 납품한다는 것은 향후 20-

30년 동안 항공기에 관한 한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업과 구매자 모두 사활을 걸고 계약에 임한다 항공기가 경쟁력을 갖

추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기업과 국가의

역량이다 여느 소비재와 다르게 항공기는 구매할 때 기업의 역량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역량까지도 고려된다 KAI는 기업적 역량을 키우

기 위해 내부적 낭비가 되는 것들을 줄이고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였

다 또한 재무적으로 건강한 회사를 만들어 대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만들었다 항공 산업은 필연적으로 방위산업과 직결되고 국가

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KAI는 우수한 제품 생산으로 국가

와 KAI의 브랜드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

시 제작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쟁력과 정부차원의 지

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다 항공기는 매우 고가

의 상품이므로 가격이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설계 단계에서 프로세스를 줄이고 재료대체를

함으로써 원가의 30-40를 절감할 수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가

격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산 LSA역시 설계단

계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하여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국산 LSA역시 FAA의 인증을 받는 다면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부차원의 제도적 부분의 기술료를 줄여준다면

원가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국항공우주산업

1999년 10월 1일 대우중공

업(주)middot삼성항공산업(주)middot현대우

주항공(주) 등 3사(社)의 항공

관련 부문을 통합해 설립된

기업 1999년 12월 산업자원부

방위산업체 2000년 2월 방위

산업전문화업체로 지정되었고

2010년 11월 현재까지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

로서 항공우주산업과 관련된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2010 10 28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외협력실

부장 이명환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239

용어해설

1) 국제공동개발

투자금액이 크고 회수기간이 긴

항공산업에서 위험부담을 줄이

고자 전 세계의 신뢰도 높은 기

업과 함께 항공기를 개발하는

lt질문gt 향후 기대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더불어 KAI의 항공산업

의 계획에 대한 전망을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민수산업이 발전할 것이며 KAI역시 민

수사업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다 현재 KAI의 사업에서 40가 민수사

업이다 민수사업에 집중하면서 군수사업에 집중할 때보다 KAI를 경영

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1)국제공동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참여함

으로써 사업을 키워갈 계획이다 2020년 KAI의 매출모표를 42조원 규

모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민수사업을 60-70로 확대할 것이다 현재

민수완제기 KC-100 4인승 경량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시제를 출시한다 또한 중형항공기와 소형제트기 등에 투자 및 개발 검

토를 하고 있으므로 KAI와 함께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은 계속해서 성장

할 것이다

KAI가 말하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발전이 분명한 이유 4가지

1 항공산업의 성장 토양인 GDP 국방예산규모가 세계 10위권으로 충

분한 성장 잠재력 보유

- GDP 국방 예산 규모와 항공산업의 발전 정도는 정비례 관계

2 기계 전자 등 관련산업 발전으로 항공산업 인프라 성숙

-항공산업의 기반산업인 기계 및 전자 등 관련 산업의 세계적인 경

쟁력

3 세계 항공업계의 국제협력 추세로 시장진입 기회 확대

-항공기 개발비용의 급증 대규모 투자에 따른 위험 분산 등으로

항공기 국제공동개발방식이 보편화

4 주력산업을 단시간 내에 육성한 저력과 경험 보유

-불모지 상태에서 자동차 조선 반도체 산업을 20~30년 만에 육성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안정적인 기업경영을 위해 방위산업과 더불어 민수기를 개발 투자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세계적 기업의 재무구조와 생산 프로세스의 전반적 모습

항공기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증에 관한 조사

민수산업과 방위산업을 함께 하는 기업에서 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

국내 탐방 2 ndash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항공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

임을 설명해 주는 도표

lt생산유발계수gt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이

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

별 직간접적으로 유발 되는

산출액단위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lt부가가치생산액gt

= (매출액ndash중간생산물가치액)

산업종사자수

항공산업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항공산업은 (질좋은 고용) 높

은 생산유발효과 高부가가치

高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

산업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339

경량항공기 전문 제작 및 교육업체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이하 SOC)의 LSA 조립현장을 찾다

해외에서 제작한 LSA를 수입하여 조립한다는 소식을 접한 우리는 충

남 서산에 위치한 한서대학교를 찾았다 이곳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LSA

의 모습과 이를 전문으로 조립 및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SOC

AVIATION(이하 SOC)의 김은회 과장님을 만나 경량항공기의 제작 및

판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대한민국에서 경량항공기를 취급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향후 개

발될 LSA 및 항공기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lt답변gt LSA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그보다 국내 및 외국으로 원활한 판매를 위해 항공기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인정받는 인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이를 위한 국

내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시장 보다 해외시장의 수요가

훨씬 크므로 해외 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례로 SOC가 개발 중이던 기종이 국내 규정이 바뀌어 판매가 불가능

할 뻔한 경우가 있었다 다행히 유럽 일본 등 국외시장 인증을 목표로

다양한 버전을 준비한 덕분에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었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항공기를 제작 및 조립하는 중소기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 불완전한 국내인증이다 초경량항공기를 폐지하고 LSA만 허용

하겠다는 애매한 규제 때문에 초경량항공기의 국내시장의 수요와 개발

의욕이 저하되었다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

비행기를 만드는 기술은 이미 충분히 발전되었다 그 외에 원가계산과

서류심사의 통과 등이 더 중요한 문제이다 시장점유를 할 수 있는 항

공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인증획득이 필요하다 개발초기부터 인증을 준비해야 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경량 항공기의 인증행정이 미흡함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선진국을 상대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해외 중소기업의 사례

국내 탐방 3 ndash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경량항공기 제작 및 비행교육

을 전문으로 하는 SOC

AVIATION은 레저용 항공기

및 농약살포 항공기 등을 국

산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다 현재 한서

대학교와 산학협력관계에 있

2010 11 3

인천 송도 비행스쿨

SOC AVIATION

김은회 과장

국내 초경량항공기 등록 건수

증가 현황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439

LSA구매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LSA를 조종하여 세계 일주를 계획하고 있는 산악인 허영호 대장을

만나 LSA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가 구매한 항공기는 현재 세계

판매 1위 기종인 CTLS이다 그가 LSA를 구매할 때 고민했던 점과 구매

자로서 LSA에 대하여 느끼는 바를 들어보았다

lt질문gt LSA를 구매하며 고민한 것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lt답변gt 단연 인증이다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안전한 것은 물론이거니

와 해외의 인증을 받은 항공기만이 방문할 국가의 영공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CTLS를 구매하게 된 이유도 이와 같다 국산LSA

가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국내에서 만든 LSA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

증을 받지 않으면 세계일주도 할 수 없다

lt질문gt 해외와 우리나라의 LSA문화를 비교해 주신다면

lt답변gt 20년 전 알래스카를 여행할 때이다 햄버거 가게를 갔는데 비

행기가 주차장에 착륙하더니 햄버거를 사고는 다시 낚시를 하러 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 모습이 이색적이고 한편으로 부러웠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유럽 필리핀은 이미 경량 항공기 선진국이다 결론적으

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20년 전도 못 따라 잡은 것 같다

lt질문gt 국내에서 경량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면

lt답변gt개인이 경량항공기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등록 및 절차가 복잡

하다 또한 군 국가의 규제가 심한 편이다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 10일

전 지방항공청과 비행 1시간 전 비행정보실에 비행계획을 제출 및 신

고해야 한다 우리와 비교해 필리핀이 항공레저로 10배 이상 성장해 있

는 이유도 규제의 완화에 있다 또한 아직도 부족한 활주로와 교육시설

이 아쉽다 무엇보다 해외 인증을 받은 항공기가 없다 보니 국산 항공

기를 고려할 수 없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인증은 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공을 비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레저가 발전한 선진국에서 자유롭게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례

국내 탐방 4 ndash LSA구매자 허영호 대장

2010 11 3

LSA구매자

산악인

허영호 대장

산악인 허영호 대장은 광복

60주년의 뜻을 세계에 갈리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

해 구매한 LSA로 2010년 12

월 초 세계일주를 계획하고

있다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4: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539

lsquo인증rsquo을 받아야 한다

각계 각 분야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대한민국의 LSA가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인증을 강조하였다 인증이 무엇이며

인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인증이란

민항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자체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증명을 말한다 특히 미국의 FAA인증이 세계에서 경쟁력이 있음

구성 설계 안전성을 입증하는 형식인증 제작 안전성을 입증하는 제작

인증 비행 안정성을 입증하는 감항인증 등으로 구성

lt특히 민항기가 특정 국가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국의 감항인증이 필요gt

해외 탐방목표를 구체화 하다

국내 탐방 결과 해외탐방을 통해 얻어와야 할 것들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다 LSA산업의 해외탐방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알바트로스의 탐방 목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장을 탐방하고 해외탐방국가와 비교하여 그들의

강점을 직접 배워올 것이다

2 세계 최대시장 미국을 상대하는 국가를 탐방하여 그들의 전략과 노

하우를 배워오겠다

3 항공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대기업 상대 전략과 그들의 틈새시장을

배워오겠다

4 항공레저가 대중화 되어있는 현장을 경험하고 인터뷰하여 그들의 여

가생활 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5 직접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대한민국의 LSA사업과 항공산업 각 분

야(레저항공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재생산 및 기부 하겠다

추가 조사 및 탐방목표

미국 연방 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미국 운수성 하부기관으로

항공수송의 안전 유지를 담당

한다 미국내의 항공기의 개

발 제조 수리 운행 허가 등

은 이곳의 승인 없이는 실시

할 수 없다 항공사에 대한 감

찰 감리 비행승인 안전도 등

항공기와 관련한 거의 모든

업무를 담당한다 거의 대부분

의 항공사들은 FAA의 규정을

따라야 여객업무가 가능하다

군수 및 민수 사업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인증기구는 세계에 국가별

로 있으나 FAA의 인증을 세계

의 항공기업들은 FAA의 인증

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

을 보임

지역별 소형항공기 운영현황

북미지역이 가장 많이 운영

되고 있어 전체의 76를 차

지하고 있음 탐방국가 선택의

근거

3 국내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639

목적이 확실해 졌다

이로써 알바트로스의 탐방목표는 분명하고 확실해졌다 우리는 탐방목표에 부합하는 장소를 선택하

였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과 LSA 특히 미국시장을 주 상대로 하는 캐나다

를 선정하였다 허락이 필요한 각 장소에 연락을 취한 결과 모든 선정지로부터 방문허락을 받았다

미국 lt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산업 국가gt

CUB CRAFTERS

1980년 설립 이후 CC11 Legend Cub 등의 LS

제작전문회사 특히 CC11은 2008년 캐나다 오스

트레일리아의 인증을 받았으며 Legend Cub은 현재

세계판매율 2위를 점하고 있다

탐방목적

세계판매율 2위의 제품을 만든 중소기업의 노하우

미국내 항공산업의 중소기업으로서의 수익

Cub Crafters Inc

1918 South 16th Avenue Yakima WA 98903

Tel 5092489491

Boeing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 이자 방위산

업체 1915년 설립하여 B-707 747 787등의 베

스트셀러의 민항기를 제조 및 판매한다

탐방목적

세계 최대 최고의 항공기업을 둘러봄으로써 그

들이 갖춘 외형적 시스템과 기업이념을 배움

민수기 사업의 수익 및 계획을 탐방

The Future of Flight Aviation Center amp Boeing

Tour Mukilteo Wash 25 miles north of Seattle

Tel360-756-0086

한국항공우주산업

시애틀지사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공기 체계 종합업

체 주요 사업은 항공기 부품 및 KT-1 T-50 등의

완제품 제조와 판매이며 국내 항공산업의 최선두에

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상대로 한 대한민국 항공

기업의 마케팅 및 구매 전략을 탐방

PO Box 3707 MS 09-91 Seattle WA

미국의 항공레저현장

SpanaFlight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비행교육 항공기 대여 관

광비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16705 103rd Ave Ct E Puyallup WA 98374

Tel 253-840-584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6: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739

캐나다 lt세계 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산업 국가g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

작기업으로 유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으로 뽑

힐 정도로 경량 항공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탐방목적

세계최대의 시장을 상대하는 캐나다의 중소기업의

노하우 탐방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Parry Sound Ontario Canada

Tel (519) 304 -7867

Diamond Aircraft

1981년 설립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경

량 항공기 제조사 DV20 시리즈로 경량 항공기

제조 노하우가 풍부하며 최근에는 D-Jet 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음

탐방목적

미국을 상대로 LSA인증을 위한 노력 탐방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Tel (519) 457-4000

Ryerson Univ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서로다른 실무위주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

다 LSA제작업체 Diamond Aircraft와 산학협력관계

를 맺고 있다

탐방목적

산학협력으로 얻는 항공산업의 발전모습 탐방

Diamond Aircraft Industries Inc

1560 Crumlin Sideroad London Ontario Canada

Tel (519) 457-4000

캐나다의 항공레저현장

수상 경비행기를 이용하여 관광비행 수상 경비

행기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탐방목적

항공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의 여가생활의 만족도

항공레저가 원활한 국가의 행정적 지원 조사

대한민국의 항공레저의 아이템 및 가능성 발굴

Suite 206 City Centre West

Billy Bishop Toronto City Airport

Toronto Ontario M5V 1A1

Phone 4162337663 Fax 4162033473

해외 탐방 장소 선정 이유 및 컨택 상황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7: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839

예상 탐방 일정 및 경로

예상 비용

일 위치 내용 비고

0111 화 ICN 출국

0112 수 Seattle Cub crafters Air tour

0113 목 Everett Boeing Factory amp The Museum of Flight

0114 금 Seattle -gt Toronto KAI 시애틀 지사 amp 공항

0115 토 Toronto Found aircraft

0116 일 Toronto Ontario Diamond air Ryerson University

0117 월 Toronto -gt Seattle Ontario Air tour 공항

0118 화 Seattle 귀국 공항

항목 예상비용 금액(원)

항공료 1400000 3명 4200000

숙박비 40000 7일 280000

식비 20000 7일 3명 420000

교통비 20000 7일 3명 420000

기념품 100000 100000

총액 5420000

탐방 일정 및 예산

4 해외탐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8: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1939

국내 탐방의 결론

우리는 민 관 군 항공산업에 관련한 다방면의 국내탐방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좀 더 자세하고 확실히 파악

할 수 있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

으나 항공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계각층에서 비전을 갖고 구체

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갖고 도약의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힘입어 우리 알바트로스 역

시 대한민국 항공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추가적인

국내외탐방을 통하여 우리는 국산 LSA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과 LSA를 기반으로 민간항공산업의 발전

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바트로스의 해외탐방이 가질 기대효과

직접적 효과 lt대한민국 항공산업의 비전 및 방향gt

1 기술적 효과 ndash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한 국산 LSA산업의 기술 방향 제시

- 선진국의 항공산업 탐방을 통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여 국산 LSA 산업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공기 개발 시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시장까지 목표

로 기술을 준비하게 되는 비전을 갖게 되며 해외에서 적용되는 환경규제에도 대비할 수 있다

2 산업 및 경제적 효과 ndash 선진 항공산업국가의 기반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에 요긴한 정보 제공

- 직접적 해외 탐방을 통해 보고서를 국내시장에 제공함으로써 항공산업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

국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항공산업의 발전은 수

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와 국가 신임도와 기업경쟁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3 사회문화적 효과 - 레저항공산업의 선진국을 탐방하여 대한민국의 성숙된 레저항공문화에 기여

- 국민 소득 3만불을 목표로 새롭게 발전하는 대한민국에서 여가생활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선진국의 항공레저문화를 직접 탐방하여 대한민국에 한 단계

더 발전된 항공레저문화의 아이템을 제시할 것이다 LSA를 이용한 새로운 여가생활 및 관광 아이

템을 제시할 것이다

간접적 효과

1 개인적 측면 ndash 넓은 세계를 탐방하고 관련분야에 지식을 쌓음으로써 항공기의 꿈을 키움

- 항공산업의 발전과 부흥을 기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들로서 우리의 꿈을 이룰 무대인 대한민국

의 항공산업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 그 속에서 함께 꿈을 이루고자 한다

2 주관기업 측면 ndash 꿈을 가진 청년을 지원하고 지식기부를 실천하는 기업의 이미지 상승에 도움

- 정확하고 실질적인 우리 알바트로스의 탐방 보고서의 지식기부를 통하여 국민의 지식함양과 이를

지원하는 주관 및 후원사의 기업이미지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기부 제시

결론 amp 기대효과

5 결론 amp 기대효과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19: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039

1 탐방 전

최종 일정 확인 - 정확한 방문 일자와 교통편 확인을 통한 여행일정의

최적화를 이룬다

국내 항공산업 추가 탐방 ndash 시간 및 공간의 제약으로 견학하지 못한

곳(KAI 경남 사천 공장)과 국내 탐방으로 필요성을 느낀 대한민국의

항공레저현장(충북제천 청풍호 수상비행장)을 직접 탐방하여 향후 해외

에서의 효과적인 탐방을 할 것이다

국내 LSA 사업 자료 체크 - 탐방 중 실시할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

LSA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조사를 실행한다

탐방비용 확보 ndash 추가적 비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처

2 탐방 중

대한민국 LSA사업 홍보 - 해외LSA 사업체 및 항공레저현장 방문 시

한국 경량 항공산업의 밝은 미래를 알리고 추후 한국의 LSA가 발전했

을 때 협업 가능성(3년 내) 암시와 관심을 유도한다

설문활동 - 설문지를 통해 기업체 탐방 시 추후 한국의 인프라 구축

시 반영할 요소를 정확히 파악한다 항공레저의 현장에서 대한민국에

서 만들 LSA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직접적 조사를 한다

활동일지 작성 - 탐방기간 중 개개인의 업무를 정확히 파악하고 숙지

및 추후 미국으로 탐방을 오게 되는 팀에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3 탐방 후

즉각적인 피드백 - 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중인 LSA 사업에 탐방 내용

의 직접적 피드백과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

출 향후 항공산업 및 항공레저 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정책유도

대학내일과 월간 항공에 투고 ndash 경량 항공기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시

장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알리고 항공산업의 투자에 대

한 국민의 이해를 유도한다 잡코리아와 글로벌 프런티어어의 홍보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학교 홍보 도우미 활동 - 연락담당 조훈기가 활동중인 학교홍보 도우

미 활동 시 방문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 항공 분야의 밝은 미래를 홍

보함으로써 항공산업 관련된 인재를 키울 수 있다

UCC 제작 및 블로그에서 홍보 ndash LSA산업의 대국민 이해와 향후 항공

산업을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UCC제작과 블로그에 게시한다

향후 활동 및 홍보 계획

충북 제천 청풍호 수상비행기

민간 업체인 드림항공이 충북

제천 청풍호에 수상 항공기

비행면허를 따기 위한 lsquo훈련

용rsquo 수상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대한민국 항공

레저의 현 주소와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한국항공산업 경남사천공장

경남 사천의 KAI의 공장이다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항공산

업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탐방에서 KAI와 보잉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연락 방문 허락과 면담을 허

락 받은 상태이다

2010

6 향후 활동 및 홍보계획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139

ltBoring 방문 허락 자료gt

lt CUB CRAFTERS 방문 허락 자료gt

ltFou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 Ryerson University amp Diamond Aircraft 방문 허락 자료gt

lt현지에서 질문할 내용 및 설문지gt

참고문헌 및 참고웹사이트

- 김두만 「스포츠급 클린 경량항공기 개발 기획」 한국

항공대학교 2010

- 윤정원 「항공기 개발과 인증에 관한 보고서」 건국대

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2010

- 박경철 지우석 「국내 수상비행기 도입 방안」 경기개

발연구원 2009

- 전재우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 착수」 국토해

양부 보도자료 2010

- 이재홍「대한민국 항공산업 G7 도약rsquo위한 청사진 제

시」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

- 김병륜 「2020년까지 항공산업 세계 7위 도약」 국방

일보 2010

- 이경호 「민항기시장 본격진출2020년 항공산업 세

계7위 목표」 아시아경제 2010

- 김성휘 「영화가 아닙니다 날으는 자동차 美 항공

국 승인」 머니투데이 2010

- 홍보자료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 2010~2019 -」

지식경제부 2010

- 홍보자료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 선도기업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 2010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httpaviationmltmgokr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httpblogdaumnetmltm2008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 인천송도비행스쿨 httpwwwsocaviationcom

- CTLS 제작기업 Flight Design

httpwwwflightdesigncom

- ICON A5 제작기업 ICON wwwiconaircraftcom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7 별첨 자료 amp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239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의 생산공장을 찾다

미국 탐방 중 방문할 보잉공장과의 비교와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현

주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남 사천의 KAI공장을 찾았다 우리를

안내해준 KAI의 사원에게서 많은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KAI 사천공장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주신다면

KAI는 이곳에서 국내기술로 만든 KT-1 T-50 헬기등의 완제품 생산을

하고있다 또한 보잉의 민항기와 F-15 16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하여 수

출하고 있다 이곳 생산 단지는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장 조립공장 도

색장과 활주로로 이루어 졌다

민수용 경비행기 KC-100의 개발 상황에 대하여 말씀해주신다면

총 4대의 항공기를 만들 것이다 1대는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파기될

것이다 나머지 1대는 테스트용 2대는 시제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군수용 항공기를 주로 만들던 KAI에서 KC-100을 만든 이유와 이를 이

용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KC-100은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기술을 인정받기 위한 초석으로 개발

한 것이다 사실상 해외 수출이나 사업성 등은 전혀 생각지 않고 개발

하였다 이유는 BASA라는 상호 인증체계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을 미국의 인증시스템과 동급으로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인증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당장의 수익을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닌 국익 차원에

서 사업을 시행한 것이다 다른 기업에서 한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으면

미국의 항공기 인증을 받게 되어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국산LSA의 성공전략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다면

현재 수출의 난황을 겪고 있는 T-50의 경우처럼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항

공기는 다른 수출품과 다르게 국가의 경쟁력이 제품의 경쟁력으로 작

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협상 시 대한민국의 높은 신뢰도감을 줄 수

있도록 다른 분야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향후 해외탐방에서 조사 및 연구해야 할 것들

항공기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ndash 경남 사천공장

8 추가탐방

KAI 항공우주박물관에서

조훈기

공장을 견학시켜준 사원 분

은 방위사업체임을 이유로 사

진촬영을 정중히 거절하셨다

공장내부 역시 사진촬영은 금

지다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생산

공장은 경남 사천에 위치해

있다 공군활주로와 인접한 이

곳은 본사 생산공장 단품공

장 조립공장 도색장으로 이

루어져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339

세계 최대규모의 항공기 제조사이자 방위산업체인 보잉을 찾다

인천을 출발하여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한 우리는 다시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어 시애틀에 도착하였다 한국의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공장

을 생각한 것과 달리 시애틀 자체가 보잉공장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도시 전체가 보잉의 항공산업에 매진하고 있었다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보잉의 민수사업과 군수사업에 대하여 인터뷰할 수 있었다 민수

사업에 관련하여 한국의 KAI에서 근무 후 현재 미국의 보잉에서 근무

하고 있는 학교 선배를 찾아가 여쭤보았다

미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소형항공기 LSA를 개발하여 계속적으로 항공

산업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안타깝게도 한국이 항공기를 개발하고 만든다는 것에 국가적 차

원의 기술지원과 투자육성이 된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기대치를 처음

부터 높게 가지고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미국의 항공산업은 무려 100

여년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수많은 시행착오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의 역사로 이뤄낸 그야말로 인간의 우주를 향한 기간산업이다 현

재 다방면의 첨단 기술력과 산업기반 위에서 만들어 지는 항공기와비

교했을 때 이제 겨우 걸음마단계인 한국의 항공산업이 역사적 시간속

에 축적된 기술을 단기간에 습득하여 시장에 내놓을 만한 안전성과 신

뢰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비행기를 수년내로 만들어해외시장에 팔

수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물론 소형레저용 항공기 개발의 경우

기술력의 격차는 크지 않아 신개념 독자 모델 개발로 주목 받을 수 있

는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국내 레저항공기 비행수요와 공급이라는 측

면에서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그

리 밝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개발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정보산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항공

산업은 체계종합산업으로 타 경제 파급효과와 자주국방 산업기술을 선

도하는 동력산업으로써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투자는 지

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보잉의 파트너 또는 경쟁국가로서의 역량은 어떻

게 생각하는지

한국은 뛰어난 기술인력과 기존 사업 계약관계에 있어 신뢰확보로 이

미 보잉의 주요 파트너 또는 협력업체로 인식되어 있다 단지 일본이나

중국업체에 비해 아직 규모 면에서 양적으로 기술개발 투자 설비 및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BOEING

민수기를 비롯한 군수기 제

조의 세계 최고 최대의 기업

베스트셀러 여객기인 B-747

767을 생산하고 있으며 경제

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B-787

을 생산중에 있다 군수기로는

F-15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밖

에 다양한 군수기를 전세계로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첫번째 해외 탐방국가

- 미국 -

세계의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가 세계 최고의 민수기 제

조업체 보잉과 군수기 제조업

체 맥도넬더그랄스 레이시온

등을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세스나를 비롯한 수많은

소형항공기 제조사가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439

생산 시설 그리고 핵심기술력 등이 뒤진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 유연하

게 협력하며 리드해 갈 수 있는 핵심 기술 인력 부족은 앞으로 중형항

공기 개발 등 적극적인 국제프로젝트 참여로 질적인 역량강화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기반산업들(전기 전자 재료 기계 레저관광 항공기 제작업

체)이 유기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산업인력 양성은 기본이고 고가 탑재장비의 국산화로 해외의존도

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절차를 확보해

야 한다 항공레저에 대한 관심과 실제 수요가 증대되는 시점을 예상하

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독자 기술

개발이지만 신뢰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기종을 생산하여 운용하여 사

업성이 있는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잘 협조되어 국내 소형레저 항공기 산업이 수년 또는 10

여년 동안 안전 사고 없이 잘 운용이 된다면 세계시장에 도전장을 내

도 가능성이 있으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향후 개발 구도에 대하여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국의 항공산업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선 국가 정책에 따라 수

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다 현재의 군용 수요는 면허생산이나 직구매

방식으로 충당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보이며 자주

국방을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는 현재가 바람직해 보인다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민간 수요의 증대를 예상하고 개발 구도는 민

항기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형항공기 자가용 및 레저항공기 한국형 커

뮤터기 개발 등에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세계 항공산업시장에서의

지위를 상위권에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덧붙이자면 지구 온난

화 자원고갈 등 현재 당면한 또는 곧 닥칠 국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으로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기간사업임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목을 갖고 각 분야에서 준비해야 함

해외 탐방 1 ndash BOEING 민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캐나다에서 시애틀로

넘어가기 직전의 면세점

이전에는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대사관에서 비자를 얻을 필요

가 없다 단 대한민국 전자여

권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인터뷰와 방문목적을 작성한

다음에 국경을 통과할 수 있

다 (통과 수수료 $6)

김장욱 선배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산

업(주)에서 근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재 시애틀의 보잉

사에 근무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B-787 드림라이너의 제작

업체에서의 부품조달을 관리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4: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539

보잉의 좀 더 깊숙한 곳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세계최대의 민수용 항공기를 만드는 보잉은 동시에 군수사업에도 역점

을 두고 있다 맥도널더글라스와 더불어 미국 항공방위산업의 쌍두마차

라 불리는 보잉은 세계 최대의 군수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보잉의 군수

사업은 일반인으로서는 견학하기 힘든 곳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

으로나마 경험을 하기 위해 이곳에 근무중인 군 소속의 장교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무하는 동안 느낀 보잉이 세계 최대의 항공산업을 갖게 된 원동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

군수와 민수를 통틀어 보잉사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충실

하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최대한 맞추려 노력한다 하지만 한

국의 항공산업은 기대치에 맞지 않는 군수품을 만들어도 국가에서 구

매하는 경향이 있어 자생력이 약하다 이런 식으로는 전혀 경쟁력을 갖

출 수 없다 따라서 보잉처럼 성공적인 회사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시

장의 니즈에 맞는 비행기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설명해 주겠다 시애틀은 비와 호수의 도시라는 수식어가 있

을 정도로 물이 많은 도시이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자연스럽게

수상레포츠가 발달되었고 그에 따라 선착장과 정비 부대시설 관련 산

업이 발달하였다 시애틀이 수상레포츠의 발달한 것은 물이 있었기 때

문이다 즉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물이 있어 사람들이 배를 산 것이다

이야기를 연장시켜 현재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발달하려면 아주 쉬운

접근이다 다닐 하늘이 있어야 사람들은 비행기를 산다 현재 한국의 날

수 있는 하늘이 굉장히 제한적이다 면장을 따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좀 더 쉽게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면장을 따는 것은 너무 힘들고 비싸다 이렇게 인프라가 전혀 안된 상

황에서 비행기부터 만든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말도 안 된다 날 수 있는

하늘과 활주로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날 수 있는 하늘도 공항도 부

족하다 제도적으로만 본다면 비행기를 탈 수 없는 제도이다 그러나 아

주 불가능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역을 새롭게 정하고 이를 사용하

는 사람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숙하게 시행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자

주 사용하지 않는 육군의 활주로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보잉 플라이트 뮤지엄

우리를 안내해준 대한민국 항

공산업의 사정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분은 군 소속의 장

교임을 이유로 사진을 비롯한

소속과 계급 성명을 공개하길

정중히 거절하셨다 군수공장

의 내부는 견학시키기 어려우

므로 보잉의 박물관을 다니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639

향후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면

현재까지 한국의 항공산업은 Top-Down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즉 항공

산업을 피라미드형태로 보았을 때 필요한 항공기가 있다면 아무 기반

을 갖추지 않은 채 기술을 다른 곳에서 전수받거나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그 때뿐이라

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기술은 파급력을 갖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

게 된다 LSA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Bottom-Up 방식 즉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위로 발전해 나가는 방식을

꾀해야 한다 2인승 항공기를 만든 기술과 이를 뒷받침한 제도적 여건

들이 향후 4인승 그 이상의 기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기술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뿌리가 단단해야한다

미래의 항공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향후 유망한 분야에 대

해 소개해 주신다면

미군은 F-22가 마지막 유인 전투기다 앞으로는 UAV 즉 무인 항공기가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UAV를 목표로 설정하고 발전해야 한다

한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F-22보다 좋은 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그것

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UAV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있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미국은 제도적 기반이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을 정도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수요

가 어느 정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함

해외 탐방 2 ndash BOEING 군수사업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점심으로 먹은 햄버거

미국에서 주로 먹은 점심은

대체로 햄버거였다 식사=쌀

밥인 우리와 달리 미국은 자

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든

먹으면 된다는 식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즐겨먹는 맥XXX

햄버거는 그리 대중적이지 않

다 매우 저렴한 음식이거나

Junk Food로 인식되며 홀대를

받는다 개인이 운영하는 햄버

거가 선호되는데 가격은 맥

XXX보다 3~4$ 더 비싸다 팁

은 제외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6: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739

미국 항공사에서 종사하는 파일럿을 만나 이야기를 듣다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지인으로부터 미국의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분을

소개받았다 미국으로 이주하여 항공운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항공

사에서 파일럿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성민님에게서 밝은 면만 보았던

미국 항공산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이야기와 파일럿으로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과 LSA에 바라는 바를 들을 수 있었다

미국에서 항공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고자 한다면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레저

를 위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한다면 약 5000달러의 비용으로 FAA가 규

정한 시간을 비행하면 된다 나처럼 직업으로서의 항공운항을 하고자

한다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항공관련 대학에서

운항학과를 졸업하여 비행경험을 쌓아 기장이 되었다

미국의 레저항공산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주신다면

미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여도 레저항공을 즐기는 사람들은 어

느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계층의 사람들이다 레저항공기는 중고시장

이 활성화 되어있어 항공기의 가격은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매우 싼

항공기도 많지만 약 5천만원정도의 항공기를 사야 쓸만하다 신품의 가

격은 대당 한화로 몇억 수준이다 그리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유류비와 보관비 등 기타 비용까지 생각한다면 한달 오백달러

에서 천달러를 들여야 하므로 보통수준의 경제력으로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에서 LSA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신다면

사실 친구들(알바트로스)이 오기까지 LSA라는 항공기 부류는 들어본 적

이 없었다 그만큼 새로운 시장인 것 같다 대한민국이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는 것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항공산업

이 발전한 미국에서 역시 레저항공기는 대중적인 취미가 아니다 특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다 만약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 있다 해도 그들 모

두가 레저항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항공기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직접항공기를 몰아

레저를 즐길지 사실 의심스럽다 레저항공기를 개인소유 한다 해도 그

것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Airline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Regional Airline

우리나라말로 번역하면 지

역항공사 정도인 Regional

Airline은 미국의 메이저급 항

공사의 하청을 받아 운항한다

메이저급 항공사가 큰 도시에

서 많은 사람들을 실어 나르

면 Regional Airline은 승객들

을 작은 도시로 이동시켜준다

Regional Airline 파일럿

이성민

고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

을 와서 대학교에서 항공운항

학과를 전공했다 현재 미국의

파일럿으로 재직 중에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7: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839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미국에서 항공기 면허를 따기 위해 소형항공기를 모는 기간 동안 나에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항공기의 효율성이다 항공기의 비싼 유

류비를 부담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대다수의 사

람들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대중의 수요를 노리고 만드는 항공기인 만큼

비행을 꿈꾸는 대중들에게 맞는 가격의 LSA가 먼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심을 끌고 판매에 성공하고자 한다면 항공기의 효율

성이 좋아야 한다 현재 비행기를 모는 파일럿으로서 느끼는 LSA에 중

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내가 말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다는 개념이

아닌 역학적으로 좋은 효율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학교에서 말하는 항공기의 소재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무거운 소재를

쓰더라도 같은 효율을 낸다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본다 이 역시 디자

인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역시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자

동차와 달리 사람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새로 나온 항공기보다 몇

년간 안전이 입증된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약 5년 정도 사고

없이 안전한 기종을 구매한다 대한민국도 역시 개발할 LSA를 장기적으

로 안전한 항공기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적

인 탓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기내에 앉았을 때 안락하다

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웃음) 하지만 진지하다 비행이 불편

하지 않으면 좋겠다 재벌이든 서민이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LSA를 만

들기를 바란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의 특성상 미국의 항공산업 역시 내부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갖고

있었음 경제적인 면에서 이를 해결할 방안을 고민해야 함

해외 탐방 3 ndash Regional 항공사 파일럿

9 해외탐방 ndash 미국

미국여행을 위한 TIP

태국 음식(위)

그리스 음식(아래)

lsquo미국의 전통음식은 과연 무

엇일까rsquo가 궁금할 정도로 미

국은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음식을 사

먹게 되면 생각보다 비싼 값

에 놀라게 되는데 우선 음식

값에는 세금이 따로 청구가

된다 즉 메뉴에 있는 음식값

이 음식값이 아닌 것이다 그

리고 음식을 먹고 나면 항상

TIP을 주게 되는데 TIP을 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우리로

선 늘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

팠다 보통 음식값의 15~20

를 주는 편이며 음식값을 계

산하고 남는 잔돈을 주는 편

이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해야

한다면 음식값의 영수증에 주

고 싶은 만큼의 TIP액수를 적

어 함께 결제하게 된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8: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2939

캐나다의 경항공기 제조회사를 견학하다

미국을 상대로 경항공기를 제조하여 꾸준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있는

파운드 에어사를 찾았다 KAI와 보잉의 대형공장만을 둘러본 우리에게

소형항공기 회사는 마치 가내수공업처럼 소규모 작업의 현장이었다 한

과정 한 과정 공을 들여 항공기를 수작업으로 생산하는 모습에서 장인

의 세심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방문을 허락해준 민승기님의 공장

내부 가이드와 인터뷰를 통해 소형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만의 장점과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LSA를 비롯한 소형 항공기의 수요와 장래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나사에서 추정하는 피스톤 항공기의 연간 수요는 2000대 이다 가장 큰

경항공기 제조 회사인 세스나는 일년에 2~300대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나머지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회사에서 현 시장을 가르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관광사업 자가용 등으로 수요를 그 10배인

2만대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이 대중화를 위해서

는 항공기의 가격을 대당 10만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항공기를 개발하는 비용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대한민국의 LSA개발을 위해 약 260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초기에

우리가 항공기를 도안부터 개발했던 비용은 약 400억 가량이었다 이에

비해 LSA는 우리가 초기에 만든 항공기보다 기체구조나 인증절차 등이

간소해 그보다는 적게 들겠지만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만큼 인증에

많은 비용이 든다

항공기 개발은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변경에

따른 비용을 생각해 보자 냉각문제로 엔진덮개 디자인을 변경하면 이

에 따른 냉각 테스트가 최소 4~5번 필요하다 테스트비행에 따른 파일

럿과 기술자의 월급에 연료비용까지 추가하면 한 시간에 400불 정도

사용되며 6시간의 테스트 비행에 2400불이 든다 테스트 비행 후 엔지

니어가 60시간을 투자하여 보고서를 쓴다고 가정하면 시간당 50불의

임금에 3000불 이 지출된다 결론적으로 이 작은 디자인 변형에 6~7천

불이 소요되므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항공기의 인증에 만족하는 수준을 갖추는 것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항

공기의 부품들은 인증을 거친 것이어야 하므로 장착되는 부품들의 가

격이 매우 비싸다 항공기 부품은 오작동확률이 적은 것을 인증 받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인증을 받지 않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다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Found Aircraft

1946년 설립 이후 FBA-2

Bush Plane 으로 생산을 시작

이후 개발한 E350은 경량 및

중형항공기 제작기업으로 유

명한 Cessna 206의 경쟁기종

으로 뽑힐 정도로 경량 항공

기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번째 해외 탐방국가

- 캐나다 ndash

미국의 시장을 상대로 하는

항공산업 강국이다 지형적 특

징 때문에 소형항공산업이 발

달하였으며 미국과 함께 수

차례 항공우주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현재도 진행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29: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039

그 예로서 자동차 배터리는 $8~100이지만 똑같은 출력과 똑같은 규격

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비행기에 쓰이는 것은 $500이다 항공기가 나는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GPS역시

같은 회사의 제품이 $1~200라면 항공기 용은 $8000이다 인증에 필요

한 테스트와 절차의 비용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다

항공기를 이루는 모든 부품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미국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FAA가 승인한 항공기여야 한다 비행기에

들어가는 프로펠러 엔진 배터리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선 또한 불에 안

타고 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엔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

여 200도에서 30분간 견디는 실험을 한다 이 외에도 공기흡입구가 얼

음서리로 인해 막힐 시에도 잘 날 수 있는지 고의적으로 막고 실험도

한다 이렇듯 위험한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

행기 한대 개발에 400억의 예산과 45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솔직

히 말하자면 이런 방식으로 항공산업에서 돈 벌기가 쉽지 않다

인증과 관련해 국내 LSA개발 전략에 조언을 한다면

어느 사업에 있어서 단가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특히 항공산

업은 인증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의 LSA사업에 있어서

는 간단해진 인증 규정을 이용해 단가를 낮추는 것이 필수가 되겠다

현재까지 LSA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아닌 각 항공기 회사에서 비용을

최소화한 인증을 추려 제안한 것을 FAA가 받아 들인 것이다 규정을

지켜 항공기를 만든다면 기존 항공기 제작에 드는 시간은 절반으로 비

용은 10만 소요되게 된다 그래서 한국이 LSA를 개발하는 것에 긍정

적이다 다만 느슨해진 규정만큼 안전한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된다면 FAA는 다시 규제를 강화시켜 비행기

개발을 어렵게 할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산업이 발전한 캐나다 역시 항공기의 개발비용이 부담스러울 정도

임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LSA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다른 종류의 항공기에 비해 인증비용

이 적은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가 됨

해외 탐방 4 ndash FOUND AIR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Found Aircraft

민승기

캐나다로 토론토에서 Found

Aircraft의 엔지니어로서 항공

기 인증 및 시험비행을 담당

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139

캐나다 항공산업의 발전 기반 산학협력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캐나다의 대학들은 다양한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 대학과는 달리 겨울방학이 2주정도인 것에 비해 여

름방학은 약 4개월 정도인 이곳은 방학을 이용하여 산학협력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들이 산업

체에서 근무하는 동안 받는 임금은 우리나라의 인턴제도와 달리 정식

직원으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알바트로스가 재학중인 대학을 졸업하고

라이어슨 대학에서 박사과정으로 연구중인 이형욱 선배님을 만나 산학

협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흔히 한국의 산학협력이라 하면 단순히 회사에 취업해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라이어슨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도 회사와 직접 접촉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공부를 하며 이것이 실무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를 경험

하고 배우고 있는 이것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하여 알게 되므로 학업의

욕 상승에 도움이 된다 내가 경험한 예를 들자면 실제 수강한 수업 중

에는 발표 시간에 Bombardier와 Diamond air라는 항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실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조언해 주는 등 기업가와 공학도

로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매우 적극적인 형태

의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내가 한국의 대학을 다닐 때 에도 KAI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탐방 프로그램과 인턴 프로그램이 있었다 하지만

이곳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처럼 단순 잡무를 하는 것이 아닌 사

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으며 졸업 후 실무가 가능하도록 일을 배우는 것

이 한국과의 큰 차이다

산학협력의 기대효과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먼저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연구 관련 비용을 대학에서 대행해 주

므로 기업체로서는 생산단가를 낮추고 학교에서는 실무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어 대학과 기업 간의 WIN WIN 전략이다 예를 들자면 항공기

의 한 부분 중 복합재의 열 내구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자 기

존의 방법대로 한다면 소기업 회사로서는 분석을 위한 부서를 보유 및

운영해야 하지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면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기업을 대신해 학교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

고 분석을 대행해 준다면 회사로서는 개발비용을 상당수 줄일 수 있다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라이어슨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형욱

RYERSON UINVIERSITY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주

립대학으로 컴퓨터경영 등

38개의 실무위주의 프로그

램을 갖고 있다 LSA 제작

업체 Diamond Aircraft

Found Air사와 산학협력관

계를 맺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239

내가 경험한 바로 피스톤엔진 대신 터보프롭엔진에 대한 가능성을 조

사한 것으로 기업에서는 안정성이 유지되는 지에 대하여 수십만불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시간의 테스트를 해야 하지만 대학에서 이런 공력

분석을 대신 해 줄 수 있으므로 엄청난 절약가능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바로 산학협력이다 Found air Diamond air등의 항공

기 제작기업은 비행 성능 분석을 위한 두뇌인력이 많이 필요한 곳이다

산학 협력을 통하여 이런 지식층을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하므로 개발

비용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학생들로서는 실무를 배우며 Business

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업과 학교 양 측

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에는 이러한 제도가 매우 부족하다 LSA

는 매우 유망한 분야의 항공사업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서 많은 분야에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초기 항공기를 개발하는 단계

에는 인증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산학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실무의 감각을 익히게 하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캐나다의 항공산업 발전의 원동력에는 국내보다 발전된산학협력의 제

도가 있음

해외 탐방 5 ndash RYERSON UNIVERSITY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사업차 캐나다를 방문한

LSA개발 사업단장 이재우 교

수와 동행하는 라이어슨 대학

의 정준교수를 우연히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

다 또한 후에 탐방 결과보고

서를 개발 연구실로 가지고

올 것을 약속하였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339

캐나다의 경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레저현장을 찾다

겨울 북미의 날씨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관광을 하기에 좋지 않았다 직

접 항공기를 체험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경항공기의 실질적 수

요시장인 경항공기를 이용한 관광 및 운수회사 HABOUR AIR

SEAPLANE(이하 HA)을 찾아 대한민국이 만드는 LSA와 항공기가 갖추어

야 할 요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캐나다에서 경항공기의 쓰임에 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경항공기는 개인 교통수단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관광수단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경항공기는 렌탈 및 비행교육에도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

활주로나 수상격납고에 항공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편이다 시내를 관통하는 벤쿠버 대부분에 호수와 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선 교통수단으로도 쓰이고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지 말씀해 주신다면

겨울철은 하루 40편 정도의 운항이 있고 대당 3~4명까지 타기 때문에

하루 150명 정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비수기이며 성수기에는 300

명까지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 HA의 경항공기를 사용한 사업의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자가 경비행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꽤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경비행기들

은 FAR23급으로서 대당 가격이 6~8억원 정도로 중산층이 사용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이외에 세금과 보험 유지비 등을 생각한다면 초기 발

생 비용을 제외하고도 1년 연봉이 6~7억 정도가 되어야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항공레저 사업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것

이 HA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원동력이다

만일 한국에서 경비행기를 제작한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

현재 사용하는 FAR23급 항공기의 기본사양은 50만불(5억 5천만원)정도

의 가격이다 그에 비해 LSA는 9만불로서 1억 정도의 가격이다 당연

사업을 한다면 단가가 낮은 LSA를 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LSA는 크

기가 작기 때문에 상업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규제가 되어있다

따라서 아직은 사업 예정에 없으나 LSA상업화가 된다면 LSA만을 이용

한 사업 또한 구상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이하 HA)

1982년 브리티쉬 컬럼비아

주에서 창설된 세계 최대규모

의 수상관광 비행회사이다 창

업 25주년 이후 30대 이상의

해상기를 이용하여 밴쿠버 빅

토리아 랭리등에 취항하여 항

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439

단가와 안정성 이 두 가지다 두 가지 조건만 맞는다면 당연히 구입하

여 사업에 운용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LSA가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이 갖춰야 할 것이 있다면

항공관련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하

게도 자동차사고는 매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항공

기 추락 사건 보도가 난다면 우리 같은 관광업체로서는 타격이 크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은 항공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에서 LSA가 개발

되더라도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 한다면 누구도 사지 않을 것이다 항공

기로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입증되지 않은 신생 비행기를 사고자 하지

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항공기의 가격이 매우 싸거나 옵션을 많이 끼워

준다면 시험적으로 한대 구매해서 사용해 볼 용의가 있다 후에 믿을

만하다면 더 구매하게 될 것이다 시작이 어려울 뿐이지 좋은 비행기를

만들어 안정성 입증에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탐방을 통해 알게 된 것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안전성이 크게 작용함 그리

고 국가의 경쟁력 역시 중요함 개발 후에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안전

성을 입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해외 탐방 6 ndash HABOUR AIR SEAPLANES

9 해외탐방 ndash 캐나다

HABOUR AIR SEAPLANES

밴쿠버 지사

Mendith 팀장

우리가 방문할 당시 HA에는

팀장이 자리에 없었다 카운터

의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다

답변에 힘이 들었는지 HA 밴

쿠버 지사 팀장의 연락처를

건네 받았다 Mendith 팀장과

의 인터뷰는 e-mail로 진행되

었고 카운터에서 만난 직원과

나눈 이야기와 Mendith 팀장

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실었다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4: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539

탐방 결과

수많은 사업들이 그러하겠지만 항공산업은 국가적 방위산업과 연계되는 등 비밀유지에 극도로 민감

했다 특히 이전에 방문하기로 하였던 캐나다의 DIAMOND AIR사는 우리의 방문목적을 알고 방문을

거절하는 등 다소 실망스러운 경험도 하였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각 산업체와

이를 뒷받침하는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만난 결과 국내에서 막연히 기대하였던 것들과 달리 뜻밖의

많은 결과를 배울 수 있었다 탐방국가의 항공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와 LSA를 비롯한 대한민

국의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제안

1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산업이다

보잉의 탐방결과 미국의 항공산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과 노하우가 중요한 산업임

을 알게 되었다 대형항공기를 만드는 것과 이를 위해 각국 기업과 긴밀히 공조하는 보잉의 모습

은 경외감이 들 정도다 단순히 항공기를 제작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업이 만든 항공기가 인정

을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와 달리 새로운 모델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입증 받은 항공기가 더 시장에서 오래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제 막 항공산업에 뛰어든 우리 역시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의 안목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항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항공산업이 발전하는 것엔 이에 대한 당연한 이유가 있다 넓은 국토에 대한 이유를

제외하고라도 미국과 캐나다는 항공기가 나는 것에 제도적 제한이 심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군의 훈련 등을 이유로 규제가 심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LSA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경항공기를 운행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

다 국내에서 날 수 없는 비행기라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다 또한 국내 수요가 없는 제품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도 이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경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구역을 좀더 넓

히고 시간대를 조절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기 운항면허를

취득하는 것 역시 어렵지 않은 기반이 필요하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639

3 항공기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 요소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비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가 갖

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에 대하여 많은 이들이 불안함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탐방결과

역시 궁극적으로 이들이 노력하고 원하는 바는 안전성 이었다 항공기의 안전성을 위해 기업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항공기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FAA라는 미국의 기관은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기는 수입은 물론 비행 역시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고 산학협력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현재와 다른 산학협력의 모습을 갖추어

기업의 비용절감과 대학의 학생들의 실무에 대한 경험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LSA의 개발이 향후 항공산업에서 기술 파급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많은 항공기 개발은 한 회사에 의한 독자적 개발양상을 보여왔다 필요한 기종이 있

을 때 국가는 기업을 지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 기술은 그 이후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양상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어렵게 한다 LSA의 개발은 여러 회사가 협력하여 정

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이 국가의 중소기업까지 전반에

축적될 때 더 나은 항공기와 더 발전된 항공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탐방의 결론 및 제안

10 탐방의 결론 및 제안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6: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739

탐방결과의 적용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인 만큼 우리 알바트로스 역시 우리의 탐방과 연구결과가 적용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우리의 탐방결과를 알리고 당국에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활동하였다

1 각 관계기관 결과보고서 제출

- LSA사업단 결과보고서 제출

실질적 LSA의 시장이 될 미국과 캐나다를 탐방한 결과를

LSA사업단 연구단장실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향

후 개발될 LSA에 탐방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 국토해양부 항공정책실 결과보고서 제출

국내의 항공산업을 지원하고 주관하는 국토해양부 항공정책

실의 항공산업과에 탐방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향후 정책 개발에 참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등록

기존 영문판에서 검색이 되었던 LSA(Light Sport

Aircraft)를 한국에 알리기 위하여 오픈 백과사전인 위

키피디아 한국어판에 등록하였다

(추후 결과보고서의 링크를 걸어 결과 보고서 공개 예

정)

3 잡코리아 커뮤니티 및 개인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탐방내용 및 동영상 게시

LSA를 주제로한 알바트로스의 탐방내용에 대하여 대중들이 관심

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탐방결과의 적용

11 탐방결과의 적용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7: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839

탐방을 마치며

생각처럼 쉽지 않았던 탐방을 마치며 각 대원들의 소감과 후기를 작성하였다 차기 글로벌프런티어

를 구상하는 모든 분들과 해외탐방을 계획하는 많은 이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팀장 이상록

누군가를 이끌어 함께 목표하는 바를 지향하고 이루게 한다는 것은 언제

나 힘든 일이고 부담스러운 일이다 조직의 구성원이 설령 죽마고우라 할

지라도 장이 원하는 만큼의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마음을

언제나 헤아리고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는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한 글로벌프런티어

였지만 팀장이 출발 당일 비행기를 놓치는 대형사고를 치고 방문을 계획

했던 시애틀에 소재의 KAI사무소가 철수하는가 하면 또 위기의식을 느낀

기업체에서 견학을 거절하는 등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정성이 부족한 탓을 이런 식으로 미화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어찌되었든 우리에게는 고난을 극복할

용기가 있었고 돌파하기 위해 나름의 몸부림을 쳐야 했다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준 것은 무엇일까를 되돌아본다 몇 주를 탐방한 결

과보고서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지 사실 짐작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공공학

도로서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꿈을 위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대

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한 큰 행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글로벌프런티어가 되기 위해 지나온 과정 속

에서 사람들과의 크고 작은 갈등을 경험하고 함께 무엇인가를 이루어 냈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찾는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다 꿈을 찾기 위한 탐방을 넘어 사람들 마음

속 하나하나의 작은 감정들을 읽어나가는 것 역시 또 다른 탐방이고 탐사였다 팀원들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 모두들 그 과정 속에서 성장했음을 역시 알고 있다

젊은 날의 허풍을 믿고 지원해준 팀원들과 잡코리아에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훌륭한 사람이 되어

갚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팀원 현준

먼저 잡코리아 글로벌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해외탐방을

하면서 도움 주신 모든 분들과 만났던 모든 인연께 감사하다

는 말씀 드립니다

쉽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핑계인 시

간도 없고 학기 중인 상황에서 보고서를 쓰고 인터뷰를 진행

하려니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이런 것들은 괜찮았는데 lsquo내가

글로벌프런티어가 될 수 있겠다rsquo는 확신이 없는 도전이라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

Page 38: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BE THE GLOBAL FRONTIER albatross

페이지 3939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나왔을 때 저희 팀장 형이 말합니다 lsquo너도 너를 못

믿는데 누가 너를 뽑아주겠느냐 100 된다는 생각으로 가자rsquo

그렇게 준비해서 1차 합격이 되고 2차 프레젠테이션까지 마치고 나니 후회가 없더군요 확신이 있

었습니다 최종합격 통보가 담담하게 느껴질 정도로해외탐방을 하며 마주한 선진 항공산업은 충격적

이었습니다 엄청난 규모 선진화된 시스템 다양한 사업방향 등 탐방을 준비하면서 예상했던 것 그

이상을 눈앞에 보고 있으니 가슴이 뛰더군요 원하는 결과물을 전부 얻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큰

것을 얻었으니 만족합니다

나와 다른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던 일이 저에게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저는 변했습

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고 세상의 주인공은 나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가 23살 막바지에 준 가장 큰 선물입니다

해가 지나고 24살이 되었습니다 저는 또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프런티어로 지난

겨울방학을 특별하게 보내고 다시 평범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소감을 쓰는 것으로 이 모든 것

이 마무리 될 테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글로벌프런티어로서 또 학생으로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

다 lsquo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rsquo는 말씀을 되새기며 해외탐방을 했던 것처럼 이제 저는 학생으로

마음을 다해 갑니다 대한민국 항공산업과 제 꿈을 위해 달려갑니다 그 원동력을 선물해준 잡코리아

꼭 보답하겠습니다 내 젊은 날의 도전 무척 행복했습니다

팀원 조훈기

처음 이상록 군이 GF 참가 제안을 할 때가 떠오릅니다 따

끈따끈한 가을 볕 같은 제안을 그 시기에 건넸더랬죠 사실

저는 참가를 거절 했었습니다 미래에 필요한 취업 준비가 더

걱정이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열정에 가득찬 상록군의 삼고

초려에 결국 제안서를 준비하게 되었고 더 신기하게도 그 제

안서는 통과 하여 결국 2차 PT 면접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때

심사 하시던 심재두 과장님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리고 결국 탐방에 까지 이르게 되지만 탐

방은 실수와 좌절의 연속 이었습니다 예상 못했던 준비 부족 기대와 다른 협찬 기업의 거절 등 실

제 탐방을 하며 오히려 탐방 기간 준비해 왔던 환상이 허물어 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벽은 허물고 뛰어 넘기 위해 있는 것 그 환상을 허물고서야 우리가 이뤄나갈 LSA 판로 개척

이 보였습니다 계획대로 되지 못해 좌절한 GF의 꿈 그러나 실패를 겪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젊음

실패야 말로 왜 GF 가 존재하는 지를 보여준 명확한 결과였습니다 이 젊음의 실패를 지원해 줄 것은

GF 밖에 없기 때문일까요

현재 LSA는 진행 중 입니다 우리가 발견한 문제점은 아직도 많은 곳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과 다른 것이라면 이제는 그 해결책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잘 따라준 동생들에게 감사하

는 바 입니다 감사합니다

탐방후기

12 탐방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