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 · 배전

47
송송 송송 · · 송송 송송 3. 3. 배 배 배 배

description

송전 · 배전. 3. 배 전. 배전선로의 개요. 배전 전압 - 3 상 22.9[kV] : 규모가 큰 공장 - 3 상 4 선식 380/220[V] : 동력이 필요한 소규모 공장 - 단상 220[V] : 일반 가정. 배전 선로의 배전 방식. 특고압 배전 방식 - 22.9[kV] 다중 접지 계통 방식 - Y 결선 방식을 사용 - 상전압 : 13.2[kV] - 선간전압 : 22.9[kV] - 배전선로의 전압선 : 절연 전선 사용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송전 · 배전

Page 1: 송전 · 배전

송전송전 ·· 배전배전송전송전 ·· 배전배전

3. 3. 배 전배 전

Page 2: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

배전선로의 개요

1. 배전 전압 - 3 상 22.9[kV] : 규모가 큰 공장 - 3 상 4 선식 380/220[V] : 동력이 필요한 소규모 공장 - 단상 220[V] : 일반 가정

Page 3: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

배전 선로의 배전 방식

1. 특고압 배전 방식 - 22.9[kV] 다중 접지 계통 방식 - Y 결선 방식을 사용 - 상전압 : 13.2[kV] - 선간전압 : 22.9[kV] - 배전선로의 전압선 : 절연 전선 사용 - 중성선 : 나선 사용

Page 4: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4

배전 선로의 배전 방식

Page 5: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5

배전 선로의 배전 방식

2. 저압 배전 방식 (1) 단상 2 선식 (220[V]) - 전선 2 가닥으로 구성 - 일반 가정용

Page 6: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6

배전 선로의 배전 방식

(2) 단상 3 선식 (220[V], 110[V]) - 22.9[kV] 다중 접지 계통 방식 - Y 결선 방식을 사용 - 상전압 : 13.2[kV] - 선간전압 : 22.9[kV] - 배전선로의 전압선 : 절연 전선 사용 - 중성선 : 나선 사용

Page 7: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7

배전 선로의 배전 방식

Page 8: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8

배전 선로의 배전 방식

(3) 3 상 3 선식 (220[V]) - 전압은 낮고 전류가 많은 결선방식 - 선로 손실이 커짐 - 변압기 1 대 고장시 V 결선으로 공급 가능

Page 9: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9

배전 선로의 배전 방식

(4) 3 상 4 선식 (380[V], 220[V]) - 단상변압기 3 대를 결선하여 동력과 전등 부 하에 전력 공급 - 동력전용 : 용량이 작음 - 전등과 동력 공용 : 용량이 큼 - 동력 : 3 상 380[V] - 전등 : 단상 220[V] - 중성선 단선시 단상 부하에 과전압 인가

Page 10: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0

배전 선로의 배전 방식

Page 11: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1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1. 가공 배전 선로 (1) 가공 배전 선로의 개요 - 지중 배선 선로에 비해 건설이 쉽고 건설비가 적게 든다 . - 지지물 : 콘크리트 전주

Page 12: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2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2) 가공배전 선로의 주요자재 1) 지지물 가 ) 철근콘크리트 전주 - 배전선로에서 가장 많이 사용 - 일반용 , 중하중용

Page 13: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3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나 ) 배전용 강관 전주 - 철근 콘크리트 전주보다 강한 설계 하중이 필요하거나 전주운반이 어려운 경우 사용 - 컬러 강관전주 , 곡선형 강관 전주도 사용

Page 14: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4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2) 완철과 래크 - 전선을 지지하는 금구류 가 ) 완철 : 특고압 선로를 지지하는 기자재 - 수평으로 전선 배열 - 종류 : 경완철 , ㄱ형 완철 - 경완철 : 가볍고 시공성이 좋음 특고압 배전선로에 사용 - ㄱ형 완철 : 큰 장력이 걸리는 곳

Page 15: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5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나 ) 래크 - 저압용 애자를 사용하여 저압선 또는 특고압의 중성선을 수직으로 가선

Page 16: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6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3) 전선 - 절연전선 사용 ( 중성선 제외 ) 가 ) 강심 알루미늄 연선 (ACSR) - 피복이 없는 나선 - 송전선로 및 배전선로의 특고압 중성선으 로 사용

Page 17: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7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나 ) 강심 알루미늄 절연 전선 (ACSR/OC) - 특고압 배전 선로의 전압선으로 가장 많이 사용 - 전선의 재질 : 알루미늄 - 전선 위에 피복을 하여 절연 - 인장 하중을 높이기 위해 전선 중심에 강 심일 넣음

Page 18: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8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다 ) 외옥용 비닐 절연 전선 (OW) - 전선의 재질 : 동선 - 저압 배전 선로의 전압선으로 사용 라 ) 인입용 비닐 절연 전선 (DV) - 전선의 재질 : 동선 - 절연된 2~3 가닥의 전선이 꼬임 - 전주와 수용가 사이를 연결하는 인입용 전 선으로 사용

Page 19: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19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Page 20: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0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4) 애자류 - 배전선 지지 및 연결 - 완철과 전선 사이를 절연 - 종류 : 라인포스트 , 현수 , 폴리머 애자 가 ) 라인 포스트 애자 - 배전 선로의 전압선이 절연전선이고 , - 장주의 형태가 직선주인 경우 - 점퍼용으로 설치된 경우

Page 21: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1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Page 22: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2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나 ) 현수 애자 - 특고압 배전선로에 사용 - 선로의 종단 - 수평각도가 30 도 이상 - 전선의 굵기가 변경되는 지점 - 개폐기 설치 전주 - 내오손 및 염해 지역 : 3 련 사용

Page 23: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3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Page 24: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4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나 ) 폴리머 애자 - 재질 : 실리콘 , EPDM - 염해 지역에 적합

Page 25: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5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5) 개폐기 - 목적 : 선로의 고장 및 휴전 작업을 하는 경 우 부하의 절환 , 구간의 축소 ,

계통의 병렬 운전 등을 위해 설치 - 종류 : 가스 개폐기 (SF6 가스 사용 )

폴리머 개폐기

Page 26: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6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Page 27: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7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6) 주상 변압기 - 배전선로의 전주에 설치하는 변압기 - 일단 접지 주상 변압기 : 22.9[kV] 배전선로 에 사용되며 1 차측 코일의 한쪽 끝을 배전 선로의 중성선과 연결 - 선로 1 차측 상전압 13,200[V] 를 220[V] 로 강압 - 철심 재료의 특성에 따라 변압기 철손 변동

Page 28: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8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Page 29: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29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1. 지중 배전 선로 (1) 지중 배전 선로의 개요 - 다회선 배전 선로 건설이 필요한 변전소 - 고가도로 , 고속도로 , 철도 등 횡단 - 가공배선선로 건설이 어려운 부하 밀집 지역 - 대단위 신규 개발 지역 - 가공 배선 선로에 비해 도시 환경과의 조화 , 도시 밀집 지역의 전력 공급 능력 확보 , 공급 신뢰도 향상

Page 30: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0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구분 가공배선 지중배선

공급능력

동일 루트에 4 회선 이상 전력 공급 곤란

동일 루트에 다회선 가능으로 도심지역역에 적합

외부영향

전력선 접촉이나 기상 악화에 따른정전 빈도 높음

외부 기상 여건 등의 영향이 거의 없음

유지보수

설비의 지상 노출로 보수 업무 많은 편임

노출 설비가 적어 보수 업무 비교적 적음

Page 31: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1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구분 가공배선 지중배선

환경미화 도심 환경 저해 요인 쾌적한 도심 환경

조성

건설비 지중 설비 보다 저렴 건설비용 고가

걸설기간 단기간 소요 장기간 소요

고장 복구

고장점 발견과 복구가 용이함

고장점 발견과 복구가 어려움

Page 32: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2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구분 가공배선 지중배선

송전용량

발생 열의 냉각이 수월해 송전 용량이 높은 편임

발생 열의 냉각이 어려워 가공 전선에 비해 송전 용량이 낮음

고장형태

조류 , 수목 접촉 , 재해 등에 의한 고장

외상 사고 , 접속 개소 시공 불량에 의한 고장 발생

Page 33: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3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2) 지중 배전 계통 1) 특고압 지중 배전 계통 - 고장 발생시 복구에 많은 시간이 걸림 - 공급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환상방식 사용 - 스폿 네트워크 : 높은 공급신뢰도가 필요한 경우 사용 2) 저압 지중 배전 계통 - 지중 변압기에서 방사상 인입 방식으로 구성

Page 34: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4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Page 35: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5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3) 케이블 포설 방식 1) 직매식 - 전력케이블을 직접 지중에 매설 - 트러프 : 케이블 보호재

Page 36: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6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2) 관로식 - 파이프로 관로를 구성한 후 케이블을 부설 - 관로 양끝에 맨홀을 설치 - 유지 보수가 편리함

Page 37: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7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3) 전력구식 - 터널과 같이 상부가 막힌 형태의 지하 구조 물에 포설 - 내부 벽측에 케이블을 부설 - 작업원 통행이 가능한 크기로 제작 - 건설비가 많이 든다 . - 다회선 인출 지점에 적용 - 공동구식 : 가스 , 통신 , 상하수도 관로 등과 전력 설비를 동시에 설치

Page 38: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8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Page 39: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39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4) 지중 배선 선로의 주요기기와 기자재 1) 전력케이블 ( 가 ) 특고압 지중 케이블 - 수트리 (water tree) 현상 : 절연층에 수분 이 침투하여 절열이 파괴되는 것 - 수밀형 동심중성선 케이블 (TR-CNCV) - 수트리 억제용 수밀형 동심중성선 케이블 (TR-CNCE)

Page 40: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40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 나 ) 난연성 특고압 지중 케이블 (FR-CNCO-W)

- 불과 열에 강한 소재로 만든 케이블 ( 다 ) 600[V] CV 케이블 - 지중 배전 저압 선로에 사용 - 별도의 중성선 설치

Page 41: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41

배전 선로의 시설 방식

2) 지상 변압기 - 수용가에 저압 (380[V], 220[V]) 을 공급 - 내부 단락 사고에 대비해 퓨즈 내장 - 스테인리스 외함으로 내부 보호 - 순간 압력 저감 장치 부착 3) 지상 개폐기 - 지상 또는 지중에 설치 - 선로 분기 , 선로 구분 , 인입 개폐장치로

사용

Page 42: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42

배전 선로의 보호

1. 배전 보호 기기의 종류 - 자동 재폐로 차단기 , 고장 구간 자동 개폐기 , 선로용 퓨즈 (1) 자동 재폐로 차단기 (recloser) - 가공 배선 선로의 주상에 설치 - 선로에 흐르는 전류 감시 - 순간 고장일때 투입상태 유지 - 일시 고장일때 완전 개방

Page 43: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43

배전 선로의 보호

(2) 고장 구간 자동 개폐기 (ASS) - automatic section switch - 수전 설비의 책임 분계점에 설치 - 800[A] 이하의 전류 차단 - 800[A] 이상일 경우 스스로 개방하여 고장점을 배전 선로로부터 분리2. 배전 자동화 시스템 (DAS) -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유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하여 원거리 제어

Page 44: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44

배전 선로의 보호

Page 45: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45

무정전 공법

1. 활선공법 - 충전 상태에 있는 전력선을 활선 장구로 작업 - 간접 활선 공법 : 고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작업 - 직접 활선 공법 : 활선 작업차의 버킷에 승탑 하여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선로를 직접 작업

Page 46: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46

무정전 공법

Page 47: 송전 · 배전

23年 4月 21日 47

무정전 공법

2. 임시 송전 공법 - 배전 활선 작업 대상 설비 이외의 설비에

대하여 정전 없이 작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공법

- 공사용 개폐기 공법 ,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 , 이동용 변압기차 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