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20
전전전전전 전전전 전전 전전전 전전 전전 4 1930 전전 전전 전전

description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주제 4 1930 년대 민족 운동. 4. 주제. 1930 년대 민족 운동.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학습 목표. 1930 년대의 농민ㆍ노동 운동을 1920 년대와 비교할 수 있다 . 국어 , 역사 연구를 비롯한 일제 강점기 문화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 1930 년대 만주와 중국 관내에서의 항일 운동을 연결하여 이해한다. 4. 주제. 1930 년대 민족 운동.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Page 1: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Ⅶ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주제 4 1930 년대 민족 운동

Page 2: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 1930 년대의 농민ㆍ노동 운동을 1920 년대와 비교할 수 있다 .

• 국어 , 역사 연구를 비롯한 일제 강점기 문화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

• 1930 년대 만주와 중국 관내에서의 항일 운동을 연결하여 이해한다 .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학습 목표

Page 3: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농민 운동과 노동 운동의 변화

미리보기

교육 ·종교 ·예술의 활동

우리말 살리기 운동

한국사의 변화

한 · 중 연합 작전

동북 항일 연군

조선 의용대 , 조선 의용군

민족 문화 수호 운동

혁명적 조합

비합법적 활동

만주와 중국 관내의 항일 운동

사립학교 , 야학 , 개량 서당

종교계의 활동

문학과 예술 활동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1930 년대 민족 운동

Page 4: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농민 운동과 노동 운동의 변화1

내용 정리

(1)변화 양상 : 사회주의자들과 연결된 비합법적인 혁명적 조합 중심

(2) 1930 년대 농민 운동과 노동 운동

농민 운동

혁명적 농민 조합을 중심으로 소작료 인하 , 군수용 물자 강제 수매 반대 , 부역 동원 반대 등을 주장 , 사회주의 혁명 구호 제기 → 1937년 중반 무렵에 거의 붕괴

노동 운동

ㆍ서울 , 원산 , 부산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활동 → 공업화 정책이 집중된 북부 지방에서 활발ㆍ일제가 단순한 파업까지 정치범으로 탄압 → 정치 투쟁으로 확대 → 지나치게 비합법 투쟁과 정치 투쟁에 치우침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5: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활동 농민 운동의 성격 변화 _ 교과서 285 쪽

1 자료 1, 2 를 보고 1920 년대와 1930 년대 소작 쟁의의 원인을 비교해 보자 .

2 자료 2 와 같이 소작 쟁의의 양상이 바뀌게 된 배경을 설명해 보자 .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6: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활동 풀이 교과서 285 쪽

예시답안

1920 년대 소작 쟁의는 “소작 조건을 보장하고 소작료는 실제로

수확하는 양의 40% 를 한도로 할 것”과 같은 구호로 볼 때 무리한

소작권 이동과 높은 소작료가 원인이 되었다 . 그러나 1930 년대

소작 쟁의는 “토지를 농민에게 , 타도 제국주의”와 같은 구호로 볼

때 민족 말살 정책과 같은 일제의 가혹한 탄압과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일어났다 .

1 자료 1, 2 를 보고 1920 년대와 1930 년대 소작 쟁의의 원인을 비교해 보자 .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7: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예시답안

1930 년대 소작 쟁의의 양상이 비합법적인 정치 투쟁으로 바뀌게

된 배경은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 하나는 농민 운동 내부적인

요소로 당시 혁명적 농민조합은 사회주의 세력의 영향을 받았는

데 , 코민테른의 방침이 기존의 개량적 농민 운동을 배격하고

계급투쟁을 통한 혁명을 추구하는 것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

다른 하나는 외부적인 요소로 일제의 탄압으로 합법적인 활동

공간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

2 자료 2 와 같이 소작 쟁의의 양상이 바뀌게 된 배경을 설명해 보자 .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8: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 우리말 살리기 운동① 조선어 연구회 (1921): 가갸날 제정 , 잡지 ‘한글’ 발간 , 강연회 개최

② 조선어 학회 (1931): 조선어 연구회 계승 , 한글 맞춤법 통일안 및 표준어 제정 , “ 우리말 큰 사전” 편찬 시도 → 조선어 학회 사건 (1942) 으로 강제 해산

③ 문맹 퇴치 운동 : 문자 보급 운동(1929. 조선일보 ), 브나로드 운동 (1931.동아일보 )

우리말을 지킨 사람들

민족 문화 수호 운동2

내용 정리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9: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2) 한국사의 연구

민족주의 사학

민족의 주체성 강조→타율성론비판 , 신채호(“ 조선상고사” , 고대사 중심 , “ 조선사연구초” , 낭가 사상 ), 박은식 (“ 한국통사” ,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민족혼 ( 魂 ) 강조 ), 정 인 보 (“5 천 년 간 조 선 의 얼 ” , 얼 강 조 ), 문일평 (“ 한미 50 년사” , 조선심 ( 心 ) 강조 )

사회 경제 사학

유 물 사 관 의 영 향 → 한 국 사 에 세 계 사 의 보 편 적 법 칙 적 용 , 민 족 주 의 사 학 의 정신주의와 식민 사관의 정체성론 비판 , 백남운 (“ 조선사회경제사” )

실증주의 사학문헌 고증을 통한 객관적 사실을 밝히는 연구 방법 채택 , 이병도․손진태 등 “ 진단 학회” 조직

조선학 운동정인보 , 안재홍 , 문일평 등이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를 발간 , 실학자들 재평가 → 한국인의 발전 역량 증명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0: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활동 한국사 연구 _ 교과서 287 쪽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1: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 자료를 읽고 각 역사 연구의 입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비교해 보자 .

2 자료와 같은 한국사 연구 활동이 중요한 민족 운동으로서 평가받는 이유를 말해 보자 .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2: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활동 풀이 교과서 287 쪽

예시답안

민족주의 사학은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하여 한국 고대사에서

민족정신을 찾고자 하였으며 , 사회 경제 사학은 마르크스의 유물

사관에 기초하여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의 경로를

이행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고 , 실증 사학은 개별적인 사실을

객관적으로 밝혀내는데 집중하였다 .

1 자료를 읽고 각 역사 연구의 입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비교해 보자 .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3: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예시답안

한국사 연구를 단순한 학문 활동이 아닌 민족 운동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그것이 식민 사관을 비판하는 논리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타율성론을 , 사회 경제 사학자들은

정체성론을 비판하였고 , 실증 사학자들은 진단학회를 창립하여

친일 역사 연구 단체인 청구학회를 비판하였다 . 또한 신채호 ,

박은식 , 백남운 등은 한국사 연구를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생각하였을 뿐만 아니라 평생을 민족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

다만 실증 사학은 일본 역사학계의 영향을 받은 관계로 식민

사관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고 말할 수는 없다

2 자료와 같은 한국사 연구 활동이 중요한 민족 운동으로서 평가받는 이유를 말해 보자 .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4: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교육ㆍ종교ㆍ예술의 활동3

내용 정리

(1)교육계 : 황국 신민화 교육정책에 저항한 민족 교육 운동 전개 → 사립학교ㆍ 개량 서당ㆍ야학 등 , 민립 대학 설립 운동 전개

1 차교육령 (1911): 보통학교의 수업 연한 4 년설정 , 실업교육 중점

2 차교육령 (1922): 일본과 동일한 학제와 수업 연한 설정 (

초등교육 연한 6 년 )

3 차교육령 (1938): 한국어의 선택 과목화 , 보통학교→소학교

4 차교육령 (1941): 한국어∙한국사 교육 폐지 , 군사 교육 실시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5: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교육ㆍ종교ㆍ예술의 활동3

내용 정리

(2) 종교계

1) 유교 : 유생들이 파리 강화 회의에 청원서 제출

2) 불교 : 한용운 중심으로 사찰령 폐지 운동 전개

3) 개신교 : 교육 사업 , 신사 참배 거부 운동

4) 천주교 : 사회사업 , 항일 무장 단체로 의민단 조직

5) 천도교 : 제 2 의 독립 선언 운동 계획 , ‘ 개벽’ ·‘ 신여성’

잡지 발간

6) 대종교 : 만주에서 적극적인 무장 투쟁 , 중광단→

북로군정서

6) 원불교 : 박중빈의 창시 , 개간 사업 , 저축 운동 등 새 생활

운동 전개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6: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교육ㆍ종교ㆍ예술의 활동3

내용 정리

(3) 예술 활동 1) 문학 1920 년대 - 동인지중심의 사실주의적 경향 , 문학의

예술성강조 , 퇴폐적 낭만주의출현 , 민족의식 작품출현 ( 님의침묵 ), 신경향파 ( 사회주의영향에 따른 사회적 실천성 강조 ) 등장

1930 년대 - 현실 도피적 예술성 , 작품성 강조 , 민족의식 (윤동주 , 이육사 ), 중∙일전쟁 이후 친일문학 등장

2) 음악 : 서양음악에 바탕을 둔 가곡과 동요 등장 ( 홍난파 , 현재명 , 안익태 ),

3) 미술 : 안중식 , 이중섭 ( 소 ) 4) 연극 : 토월회 (1923), 극예술 연구회 (1931) 5) 영화 : 나운규의 아리랑 (1926), 1930 년대 유성영화 제작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7: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 한 · 중 연합 작전 ① 배경 : 일제의 만주 침략 → 반일 감점 고조② 한 · 중 연합 작전 전개

(2) 만주 지역의 항일 유격 투쟁 : 만주에 사회주의 사상의 전파 , 추수 · 춘황 투쟁 → 동북 인민 혁명군 (1933), 동북 항일 연군 (1936), 조국 광복회 (1936, 반일 민족 통일 전선 형성 ) → 보천보 전투 .1937

1930 년대 무장 독립 전쟁

만주와 중국 관내의 항일 운동4

한국 독립군지 청 천 , 북 만 주 지 역 에 서 중 국 호로군과 연합 → 쌍성보 , 대전자령 등지에서 대승

조선 혁명군

양 세 봉 , 남 만 주 지 역 에 서 중 국 의 용 군 과 연 합 → 영릉가 , 흥경 성 등지에서 대승 → 양세봉 암살 후 세력 양과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8: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3) 중국 관내의 민족 운동① 배경 : 일제의 만주 점령 → 중국 관내 독립운동 세력 들의 통합 움직임 전개② 민족 혁명당 조직 (1935): 조선 의열단 , 한국 독립당 , 조선 혁명당 등이 참여 → 조소앙 , 지청천 이탈 → 조 선 민족 혁명당 → 조선 민족 전선 연맹 결성 (1937) ③ 조선 의용대 활동 : 중 · 일 전쟁 발발 → 조선 민족 전선 연맹의 산하 조선 의용대 창설 (1938, 김원봉 중심 ) → 일부 화북으로 이동 , 조선 의용대 화북 지대 결성 ( 호 가장 전투 ) → 조선 독립 동맹의 군사 조직인 조선 의 용군에 흡수

조선 의용대 2 주년 기념식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19: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확인 학습

혁명적 조합1 1930 년대 합법적인 활동이 불가능해지자 농민 · 노동 운동 진영에서

등장한 것은 ?

조선어 학회

4 조선 민족 전선 연맹이 조직한 군사 조직으로 , 김원봉이 대장을 맡았던 독립군은 ? 조선 의용대

3 다음을 관련 있는 것끼리 연결하시오 .

① 민족주의 사학 ㄱ . 진단 학회 조직② 실증주의 사학 ㄴ . 식민 사관의 정체성론 비판③ 사회 · 경제 사학 ㄷ . 우리 민족의 전통과 정신 강조

2 우리말 큰 사전 편찬을 시도하였던 국어 연구 단체는 ?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1930 년대 민족 운동4주제

Page 20: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주제 5

‘ 민족 통일 전선의 형성과 건국 준비 활동’ 에

대해 수업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