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22
호호호 호호호호 호호 호호 호호호 호호호호 호호 호호 ( ( 호호호 호호호 ) )

description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목차. 호주의 캔버라 - 호주의 캔버라 - 개발사업의 전개 - 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대한 평가 - 이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시사점. PART 1. 호주의 캔버라. 호주의 캔버라. ① 개념 : 행정중심형 캔버라 ( 수요대처형 모델에서 수요창출형 모델로 전환 ) ② 추진개요 ㉮ 이전 배경 • 경제적으로 우월한 시드니로부터의 정치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멀리 떨어 진 곳으로 행정수도를 이전하도록 멜버른과 타협하여 결정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Page 1: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캔버라캔버라 ))

Page 2: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목차목차호주의 캔버라 - 호주의 캔버라 - 개발사업의 전개 - 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대한 평가 - 이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시사점

Page 3: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PART 1. PART 1. 호주의 캔버라호주의 캔버라

Page 4: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호주의 캔버라호주의 캔버라① 개념 : 행정중심형 캔버라 ( 수요대처형 모델에서 수요창출형 모델로 전환 )

② 추진개요

㉮ 이전 배경 ㉮ 이전 배경 • • 경제적으로 우월한 시드니로부터의 정치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멀리 떨어경제적으로 우월한 시드니로부터의 정치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멀리 떨어

진 곳으로 행정수도를 이전하도록 멜버른과 타협하여 결정 진 곳으로 행정수도를 이전하도록 멜버른과 타협하여 결정

• • 시드니와 멜버른은 해안도시로서 함포사격에 의한 위협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드니와 멜버른은 해안도시로서 함포사격에 의한 위협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로부터 안전한 내륙입지를 선정 이로부터 안전한 내륙입지를 선정

• • 수도 위치 선정을 위해 수도 위치 선정을 위해 77 년간 격론과 여론조사를 거친 끝에 시드니와 멜버른은 년간 격론과 여론조사를 거친 끝에 시드니와 멜버른은 새 수도가 두 도시사이에 있어야 하며 용수나 도시기반시설을 갖추는데 지장이 새 수도가 두 도시사이에 있어야 하며 용수나 도시기반시설을 갖추는데 지장이 없어야 한다는 점에 합의해 없어야 한다는 점에 합의해 19081908 년 시드니에서 년 시드니에서 300300 ㎞㎞ , , 멜버른에서 멜버른에서 700700 ㎞ ㎞

떨어떨어 진 야스 캔버라지역을 최종 신도시 후보지로 정함진 야스 캔버라지역을 최종 신도시 후보지로 정함 . .

Page 5: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호주의 캔버라호주의 캔버라연 도 내 용 비 고

1901 년 • 국가일체성 강화를 위해 행정수도 수립 논의• 정부소재지법이 연방의회 통과  

1908 년 • 새 행정수도 후보지로 야스 캔버라 선정  

1912 년 • 미국 시카고 출신 건축가 벌리 그리핀의 75,000 인구의 도시계획안 확정  

1915 년 • Cotter Dam 완공  

1927 년 • 임시 국회의사당 설립 • 1921-30 년 : 국회의사당건설 , 도심 상업 , 업무용지 개발 및 1,100명의 공무원 주택건설

1936 년 ~

1950 년 • 제 1 차 및 제 2 차 세계대전 발발 • 캔버라 건설재원의 고갈에 따라 소수의 국가프로젝트만 수행

• 1941 년 : Australian War Memorial ( 호주 전쟁 기념관 ) 건설

1952 년 • 국립수도개발위원회가 설립되어 2000 년까지 캔버라 거주인구를 50 만명으로 확대 발표

• 1954 년 : Australian-American Memorial ( 호주 - 미국 기념관 ) 건설

1960 년 • 인공호수 벌리 그리핀 완성 • 1961 년~ 1965 년 : Civic Center 주위에 공공기관의 입주에 따른 업무지구 ,

상업지구 완공 및 극장 , 법원 등의 입주  

1962 년 • 첫마을 사업 ( 자족도시형태의 1 차 뉴타운 ) : Woden-Weston Creek (Canberra 의 북쪽과 남쪽 연접지역에 위성도시 )

• 8000 명 인구규모의 도시로 , 정부행정기관의 공무원 , 도소매 서비스업 ․및 무역활동 종사• 1962 년 : Kings Avenue Bridge 완공• 1963 년 : Commonwealth Avenue Bridge 완공 (Burley Griffin 호수와 연계 )

1966 년 • 첫마을 사업 ( 자족도시형태의 2 차 뉴타운 ) : 베코넨 • 1965 년 : Royal Australian Mint ( 왕립 호주 조폐소 ) 완공 • 1968 년 : National Library ( 국립도서관 ) 완공 • 1970 년 : Carillon 과 Captain Cook Memorial Jet 완공

Page 6: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호주의 캔버라호주의 캔버라연도 내 용 비 고

1967 년 • 캔버라 대학교 건립  

1973 년 • 첫마을 사업 ( 자족도시형태의 3 차 뉴타운 ) : Tuggeranong 건설 (Murrumbidgee

강에 의해 가로질러진 골짜기와 구릉 및 언덕에 위치한 Woden-Weston Creek 의 남부에 위치 )

• 100,000 여명의 거주인구

1975 년 • 첫마을 사업 ( 자족도시형태의 4 차 뉴타운 ) : Gungahlin 조성 (Canberra 의 북쪽에 위치 )

• Mitchell Industrial Estate ( 미쉘 공업용지 ) 의 개발과 85,000 명의 거주인구

1988 년 • 국회의사당 완공  

2001 년 • Bruce Stadium 및 호주 National Museum 의 완공  

- 캔버라 시는 1901 년 식민지 6 개주가 모여 연방국가 수도 지정을 놓고 시드니 ( 뉴 사우스 웨일즈 ), 멜버른 ( 빅토리아주 ) 이 치열한

유치활동을 벌이는 과정에서 중간입지인 캔버라가 선정됨 .

- 시드니는 1788 년 최초의 정주지로서 성장하였으나 19 세기말 금광개발로 부를 축적한 멜버른의 도전을 받게 됨 .

- 지역의 이름은 원주민 ( 에버리진 ) 의 언어로 사람이 모이는 곳 '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

- 캔버라 행정타운은 1901 년 연방정부가 구성된 이후 행정수도의 입지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1908 년 10 월 선정되었음

- 호주 헌법에 따라 연방수도를 결정하게 된 의회에서는 1908 년 야스 - 캔버라 지역을 연방수도의 입지로 표결

- 일설에는 지역의 농부인 존게일이 1899 년 쿠라종 언덕에 올라가 왕립위원회에 이 부지를 추천하였다고 함 .

- 입지 결정 이후 캔버라를 시드니가 속한 뉴사우스웨일 (NSW) 주에서 분리하고 우리나라의 특별시 격인 호주 수도

특별구 (ACT) 로 칭함 .

- ACT 는 2,360㎢의 면적 ( 서울의 3.9 배 ) 에 NSW 주 등 6 개주를 통괄하는 연방정부가 들어선 호주 행정의 심장부로 자리잡음 .

Page 7: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호주의 캔버라호주의 캔버라㉰ 캔버라 건설에 대한 이론적 배경

- - 공간계획을 구상하기 위해 사용된 가상의 직선 공간계획을 구상하기 위해 사용된 가상의 직선 - - 그리핀은 그리핀은 landland 축과 축과 waterwater 축은 건축물 집합군에 의해 비롯되는 선적 공간이며 축은 건축물 집합군에 의해 비롯되는 선적 공간이며 municipalmunicipal 축축 (Mount Vernon((Mount Vernon( 현재 현재 city hill)city hill) 과 과 RusselRussel 의 의 Mount Pleasant Mount Pleasant 연 결연 결 )) 은 그 의 은 그 의

중심삼각형의 중심삼각형의 틀을 이룸틀을 이룸 . . - - 기본축들은 도시의 핵심적 도로이며 다른 축들은 상업기본축들은 도시의 핵심적 도로이며 다른 축들은 상업 , , 주택들을 연결하는 도로주택들을 연결하는 도로 (avenue)(avenue) 로 구성됨로 구성됨 . . * * 그리핀은 옥외 음악당과 음식점을 카지노라 일컬음그리핀은 옥외 음악당과 음식점을 카지노라 일컬음 . .

㉱ 캔버라 도시의 입지적 특성 수도로서의 입지는 지형적으로 산악수도로서의 입지는 지형적으로 산악 (( 북측의 아인즈리 북측의 아인즈리 846m, 846m, 남측의 빔버리남측의 빔버리 , , 서측의 블랙서측의 블랙마운틴 마운틴 812m)812m) 에 둘러싸여 있으며 모롱 글로강이 중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서 매년 하천의에 둘러싸여 있으며 모롱 글로강이 중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서 매년 하천의범람으로 토양이 퇴적되는 지세를 가지고 있음 범람으로 토양이 퇴적되는 지세를 가지고 있음 19051905 년 수도의 입지를 검토할 당시 주택이나 수목과 같은 지장물이 거의 없었으며 자연적년 수도의 입지를 검토할 당시 주택이나 수목과 같은 지장물이 거의 없었으며 자연적인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음 인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음 캔버라의 밀도는 호주의 유명한 건축가인 존 설먼으로부터 저밀도의 도시로 건설되도록 캔버라의 밀도는 호주의 유명한 건축가인 존 설먼으로부터 저밀도의 도시로 건설되도록 제창되었으며 구체적인 수치는 제시하지 않았으나 건축물과의 사이에 충분한 녹지공간을제창되었으며 구체적인 수치는 제시하지 않았으나 건축물과의 사이에 충분한 녹지공간을확보하도록 하여 현재 캔버라의 녹지율은 약 확보하도록 하여 현재 캔버라의 녹지율은 약 70%70%에 달함 에 달함

Page 8: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호주의 캔버라호주의 캔버라㉰ 캔버라 건설에 대한 이론적 배경

- - 공간계획을 구상하기 위해 사용된 가상의 직선 공간계획을 구상하기 위해 사용된 가상의 직선 - - 그리핀은 그리핀은 landland 축과 축과 waterwater 축은 건축물 집합군에 의해 비롯되는 선적 공간이며 축은 건축물 집합군에 의해 비롯되는 선적 공간이며 municipalmunicipal 축축 (Mount Vernon((Mount Vernon( 현재 현재 city hill)city hill) 과 과 RusselRussel 의 의 Mount Pleasant Mount Pleasant 연 결연 결 )) 은 그 의 은 그 의

중심삼각형의 중심삼각형의 틀을 이룸틀을 이룸 . . - - 기본축들은 도시의 핵심적 도로이며 다른 축들은 상업기본축들은 도시의 핵심적 도로이며 다른 축들은 상업 , , 주택들을 연결하는 도로주택들을 연결하는 도로 (avenue)(avenue) 로 구성됨로 구성됨 . . * * 그리핀은 옥외 음악당과 음식점을 카지노라 일컬음그리핀은 옥외 음악당과 음식점을 카지노라 일컬음 . .

㉱ 캔버라 도시의 입지적 특성 수도로서의 입지는 지형적으로 산악수도로서의 입지는 지형적으로 산악 (( 북측의 아인즈리 북측의 아인즈리 846m, 846m, 남측의 빔버리남측의 빔버리 , , 서측의 블랙서측의 블랙마운틴 마운틴 812m)812m) 에 둘러싸여 있으며 모롱 글로강이 중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서 매년 하천의에 둘러싸여 있으며 모롱 글로강이 중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서 매년 하천의범람으로 토양이 퇴적되는 지세를 가지고 있음 범람으로 토양이 퇴적되는 지세를 가지고 있음 19051905 년 수도의 입지를 검토할 당시 주택이나 수목과 같은 지장물이 거의 없었으며 자연적년 수도의 입지를 검토할 당시 주택이나 수목과 같은 지장물이 거의 없었으며 자연적인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음 인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음 캔버라의 밀도는 호주의 유명한 건축가인 존 설먼으로부터 저밀도의 도시로 건설되도록 캔버라의 밀도는 호주의 유명한 건축가인 존 설먼으로부터 저밀도의 도시로 건설되도록 제창되었으며 구체적인 수치는 제시하지 않았으나 건축물과의 사이에 충분한 녹지공간을제창되었으며 구체적인 수치는 제시하지 않았으나 건축물과의 사이에 충분한 녹지공간을확보하도록 하여 현재 캔버라의 녹지율은 약 확보하도록 하여 현재 캔버라의 녹지율은 약 70%70%에 달함 에 달함

Page 9: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PART 2. PART 2. 개발 사업의 전개 개발 사업의 전개

Page 10: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개발사업의 전개개발사업의 전개㉮ 캔버라 건설을 위한 입지선정

- 1908 년 12 월 연방기술자인 Charles Scribener 를 중심으로 예비조사 시행

- 구역의 범위 : 900평방마일 이상 (충분한 용수공급과 위생관리를 위한 완전한 시스

템구축이 가능한 규모 )

- 접근성 : 중심도시인 시드니 , 멜버른과 해안의 적절한 항만과 인접

- 코터강 : 청결한 물 공급을 위하여 적합

- 공간적 입지개념 : 북측 또는 북동측으로 양호한 조망이 가능하며 원형경기장과 같

이 언덕으로 위요된 입지로서 남풍과 서풍을 차단 가능

- 캔버라와 Muga Muga 지역이 연방수도의 대안으로 선정되어 지형 등 자연적 입지

조건에서는 적합하였으나 무가무가 지역은 하수처리비용이 캔버라에 비해 불리

- 1909 년 6 월 최종적으로 상세 입지 결정

Page 11: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개발사업의 전개개발사업의 전개㉯ 캔버라 도시계획 및 건축의 특징

- 건축물의 지붕과 측벽면이 동일구조체로 이뤄져 있으며 지붕면은 녹화하여 걸어서 지 붕 상부까지 접근할 수 있는 편안한 공간으로 조성됨 - 건축물과 조경구조물 , 도로 등이 하나의 축 상에 위치한 전형적인 전제주의적 도시계획 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화물의 하역작업을 위한 시간제 정차공간으로 별도의 공간이 조성되어있음 - 입체적 도시계획이 운용되는 사례로서 도로를 횡단하는 회랑형 통로와 1층 판매시설의 상부 2 개층에 주차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 벌리 그리핀 호수는 캔버라시의 중심을 동서로 나누는 호수 ( 연장 9km, 호안연장 40.5km) 로서 1964 년 인공적으로 조성되었으며 아스펜 섬에는 제임스 쿡 기념관이 입지하여 호수변의 산책로를 따라 킹즈 파크 , 1860 년대의 주거문화를 보여주는 블런들 카티지 , 국립박물관 , 국립도서관 , 대법원 , 국립 미술관 등이 입지하고 있음 - 1988 년 완공된 신 국회의사당 건물은 외관도 특이하지만 4,500실의 규모도 세계적인 규모임 - 건물 지붕의 캥거루 /에뮤 조형물은 호주의 장래 비전을 이미지적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뒷걸음치지 못하는 동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전진’만을 상징함

Page 12: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개발사업의 전개개발사업의 전개㉰ 1958 년 이후 캔버라 건설

- 1909 년 행정수도 입지 결정 이후 1950 년대 중반까지는 2 차 대전 이후 경제적 침체와 관료적 논쟁 , 정치적 무관심으로 인하여 도시계획적으로 큰 발전이 없었음 - 하원 선정위원회에서는 캔버라의 발전을 위한 보고서를 1955 년 제출하였고 그 결과 국가수도 발전심의회 (National Capital Development Commission : NCDC) 가 1958 년 발족되어 국가 수도로서 캔버라를 계획 , 개발 , 건설하는 법적 기구로 설립됨 - NCDC 는 당시 수상인 로버트 맨지즈에 의해 적극적 지원을 받았으며 존 오버올은 초대 의장에 선출됨 - 존 경은 국제적으로 명성이 있는 도시계획 및 조경전문가인 윌리엄 홀포드 (런던 유니버시티 칼 리지의 도시계획교수 ) 와 대임 실비아 크로우 (영국 조경가 ) 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커먼웰즈공 원의 기본계획을 수립함

Page 13: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개발사업의 전개개발사업의 전개- 캔버라의 장래 발전을 위한 고찰 보고서 (1958) 에서 홀포드는 장래 수도 건설을 위한 세가지 목적을 제시함 .

- 가든시티 유지 - 도로와 항공에 의한 현대적 소통 시스템 개발 - 호주 문화의 다양성을 위한 중심적 역할

- NCDC 의 주된 계획보고서들은 1965 년에서 1970 년 사이에 발간되었으며 캔버라를 25 만 인구 및 100 만 인구를 수용하는 도시로 확장하는 전략을 제시함 . - 1970 년 종합성장전략 또는 Y- 계획의 특징으로는 개발을 하더라도 계곡과 주변의 구릉지를 제외하여 보존하도록 하였고 중심상업과 업무시설을 포함하는 신도시의 건설을 통하여 성장이 이뤄지기도 함 . - 신도시들은 각기 외곽의 parkway 에 의해 연결되고 이는 인접 도시로 연결되는 교통을 절감하는 효 과를 가지며 도시 간 공공교통으로써 실행됨 . - Y- 계획은 30 년 이상 캔버라의 개발을 이끌었으며 그리핀의 중심 캔버라의 영역 밖의 신도시로는 워 든 - 웨스턴 크릭 (1961 년 ), 베코넨 (1966 년 ), 투거라농 (1974 년 ) 과 최근에 군가린 (1975 년 ) 의 사례가 있음 . - 수도 건설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방정부에서는 멜버른의 공무원을 대거 캔버라로 이동 시켰으며 국방 성의 이전은 러셀컴플렉스의 개발을 유도하였음 . - NCDC 에 의한 가장 현저한 공적은 벌리 그리핀호수의 건설에 대한 결정과 킹즈앤드 - 커먼웰즈 도 로교량 건설과 관련된 사업의 시행임 . - 1964 년 조성된 벌리 그리핀 호수는 그리핀 계획의 중심이 되며 호수 건설은 북측 캔버라와 남측 캔 버라를 연결시켜 수도의 독특한 이미지를 창출함 . - 그리핀 호수 주변에는 시민광장 (1961 년 ), ACT 법원 (1963 년 ), 스크리버너댐 (1963 년 ), 왕립 호주 조 폐국 (1964 년 ), 안작 공원사무국 (1964 년 ), 안작 퍼레이드 (1965 년 ), 호주 국립도서관 (1968 년 ) 등의 주요 건물과 국가기관들의 건설이 시작됨 .

Page 14: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개발사업의 전개개발사업의 전개- 1963 년에 건설된 모나로 몰 (현재는 캔버라센터의 일부 ) 은 호주 최초의 몰로 조성됨 . - 1970 년대에 NCDC 는 신도시개발에 집중하여 주택과 커뮤니티시설을 공급하였으며 , 1980 년대 중반 까지 캔버라는 국가 수도로서 또는 독립된 하나의 도시로서 기틀을 완성함 . - 1989 년 캔버라가 특별구로 출범하게 됨에 따라 NCDC 도 NCPA( 국가수도 계획국 ) 와 준주 (準州 ) 계획 국으로 분리됨 .

Page 15: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PART 3. PART 3. 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대한 평가 대한 평가

Page 16: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대한 평가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대한 평가㉮ 자치도시 부문

- 설계경기에서는 연방정부의 건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지방정부 활동에 대한 제안은 없었음 - 그리핀의 디자인에서는 행정수도로서 연방정부와 지방정부의 2 개 축이 나타남 - 그리핀의 기하구조에서는 꼭데기에 연방체제 , 기단부에 지방체제를 의미하는 2 개축에 江의 공 간을 연결한 삼각형을 구현 - Municipal 가로는 한 끝은 철로와 접하며 다른 끝은 문화 수경축 대로에 접하는 캔버라의 대 표적인 가로이며 2 마일의 연장에 2 개소의 철도역이 입지

㉯ 주거지역

- 성상의 도시형태에서 정주공간의 형태는 'Municipal' 부문에서 일부 언급됨 - 건축물 부지는 블록의 중심 주변에 집중되며 대로변에도 상업용도의 건물이 선형 배치 - 주거공간 표준형태는 전면과 후면에 정원을 둔 프라이버시와 통풍에 염두를 둔 테라스하우스로 설정- 대부분의 상업 및 주거용 건축물은 도시적이며 선형이며 밀도와 연속성은 도시계획에서 강조됨 - 근린주구 또는 'Domestic Community' 는 삼각형의 영역 내에서 12~25 에이커의 규모로설정

Page 17: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대한 평가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대한 평가㉰ 조경 및 건축부문

- 그리핀이 최초 설계할 당시에는 조경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었음 . 그러나 그리핀의 도면은 조경 의 밑받침을 두고 있으며 전체적인 질서도 지형에 순응하는 형태에서 접근 - 건축에 대한 접근은 미래도시의 원칙을 포함하고 있으며 랜드마크적 건축물이 도시 전체에 대한 디자인을 강조할 수 있도록 표현 - 삼각형의 꼭지점부분에 가장 높은 건축물을 계획하여 극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 - 정부기관 및 여가공간은 건축물들은 오픈스페이스에 맞추어 정렬되고 조화롭게 축을 강조할 수 있도록 배치

㉱ 철도 및 도로부문

- 주가 되는 교통수단은 트램이라는 전차였으며 이는 현상설계의 기본적인 조건이었음 - 그리핀은 현상설계 이후 1912 년 전차 노선에 대하여 강조하는 도면을 작성 - 주거지역은 통과교통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며 가로망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함 - 간선 철도노선은 도시의 주요 지점을 연결하여 Vernon( 시민회관 ), Pleasant ( 시장 ), 철도 주차장과 산업시설에 이르도록 함 . 그러나 소음으로부터 시가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행정부축에 평행한 노선에 굴곡을 주었고 둑길을 횡단하도록 함 - 간선철도와 도로를 혼합하는 문제에 대하여 철로를 도로 하부로 교차하여 통과시키는 방안을 제시

Page 18: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대한 평가도시의 분야별 특성에 대한 평가㉲ 종합적인 비젼

- 도시계획에서의 가장 최신의 사상이 표출 - 기 개발지와 교외지역을 조화시키는 Garden City 의 원칙이 명백히 나타남 - 현대적인 건축물의 상징적인 배열을 통하여 그리핀의 계획은 City Beautiful Movement 를 찬란하게 꽃피운 마지막 작품으로 평가 - 9 주라는 짧은 기간에 모든 아이디어를 종합적인 비전으로 승화시킨 것은 기적과 같은 성과임 - 그림으로 표현한 데로 건설하는 것이나 디자인에서 명백히 나타나는 원칙의 범위에서 건축하는 것 모두 매우 어려움

Page 19: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PART 4. PART 4. 이전 과정 및 결과에 이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시사점 대한 시사점

Page 20: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이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시사점이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시사점㉮ 입지선정 및 도시개발의 시사점

- 물리적 조건으로 사면이 구릉지로 구성되어 바람의 영향을 덜 받는 입지 선택 - 물을 생활공간으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생활용수 공급이 가능하면서 인공호수 의 조성이 가능한 분지형 입지 선택 - 새 수도에는 정보통신 등 첨단과학과 연구개발 (R&D)센터 등의 기능이 행정기능과 조화되어 갖 춰져 야 함 . - 산학연계를 위하여 새 수도에 국립대학교 신설 , R&D 강화 등 클러스터링 극대화 - 토지임차시스템의 도입 : 캔버라에서는 국유지에 대하여 매각하지 않고 최고 99 년까지 임대하 는 제도를 쓰고 있어 부동산 투기를 원천적으로 방지 . 단 , 국유지에 건립한 건물에 대해서는 자 유로운 매매가 가능 - 건축물고도의 엄격한 제한 ( 주택높이 : 4층 이하 , 상업용 건축물의 높이 : 16층 이하 ) 으로 고층 건물을 선호하는 다국적 대기업의 유치가 어려워 고용창출에도 어려움 - 인구유치의 제약 (1939 년에 이르러 인구 3 만명 수용의 기반시설을 갖추었고 , 현재에도 상주인 구가 32 만인에 불과하여 행정적 기능 외에는 복합화된 도시기능 수행에 제약 ) - 1952 년 국립수도개발위원회를 설립하여 2000 년까지 50 만인을 수용하는 장기적 청사진을 제시

Page 21: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이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시사점이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시사점㉯ 긍정적 시사점

- 첫째 , 장기간에 걸친 검토와 이행으로 시대적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여유와 보완의 지혜를 살림 - 둘째 , 내륙에 입지하나 물을 주제로 공간의 배분 , 충분한 녹지공간 확보 , 저밀도의 생활공간 구성으로 행정수도라는 딱딱한 이미지 완화와 환경친화적 도시 이미지 창출 - 셋째 , 도시공간구조가 상징적 , 기하학적 사고에 바탕을 두고 이뤄져 보다 질서정연하고 계획적 이미지를 풍김 - 넷째 , 성숙한 시민 질서의식에 기초한 교통운영체계의 도입 : 시가지 내에 상당수의 무신호 Roundabout 시설로 교차로 운영

㉰ 부정적 시사점

- 호주의 도시들이 바다에 면하고 있지만 캔버라는 내륙지역에 위치하여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아 화재 등 방재에 취약함 . - 행정 및 업무기능 위주의 토지이용으로 다양성이 부족하고 야간시간에 도심공동화가 심각하여 야간활동이 거의 없음 - 도시공간구조가 단정한 형태이지만 방사형구조로 인하여 대규모 도시로 성장하는 데에는 한계 가 있으며 토지이용이 비효율적임 - 개인 교통수단 중심의 교통체계로 대중교통수단체계가 미약하며 주변도시와 연계체계는 거의 없음

Page 22: 호주의 행정수도 이전 사례 ( 캔버라 )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 ....The End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