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16
1 원원원원원원원 원원 .

description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1. 표준원가시스템의 퇴조 표준원가시스템은 원래 작업현장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의 작업능률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그 후 표준원가시스템은 소품종대량생산체계 , 즉 반복적으로 되풀이 되는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리기법으로서 발전해왔다.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Page 1: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1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Page 2: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2

1. 표준원가시스템의 퇴조

표준원가시스템은 원래 작업현장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의 작업능률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그 후 표준원가시스템은 소품종대량생산체계 , 즉 반복적으로 되풀이 되는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리기법으로서 발전해왔다 . .

Page 3: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3

그러나 CAD/CAM(Computer-Aided Design/Computer-Added Manufacturing),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JIT,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등 자동화 생산 방식하에서는 직접공의 수가 현격히 감소되면서 관리수단으로서 표준원가시스템의 기능이 거의 상실되고 있다 .

더불어 제품의 기획 . 설계단계에서 원가가 거의 결정되고 생산단계에서 추가적인 원가발생이 극히 미미한 상황하에서는 생산 현장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표준원가시스템의 유용성은 하락하게 되었다 . .

Page 4: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4

. 2. 시장지향관리시스템으로 변화

과거에 기업의 경영활동에 만년되어 온 사고방식은 기술 또는 제품을 중심으로 한 사고방식이었다 . 이 방식은 생산과정의 기술에 초점을 둔 기술지향의 이념이며 , 좋은 제품은 만들면 반드시 판매된다고 하는 사고이다 .

이와같은 기술지향 기업이 기술에 기초한 제품을 시장으로 밀어낸다는 의미에서 ‘ push system' 이라 할 수 있다 . 이와 같은 기술지향하에서는 새삼스럽게 시장요구를 발굴할 필요 없이 기술적 합리성을 달성하기 쉬운 소품종대량생산이 가장 적합한 생산형태로 선택되어 왔다 . 이 사고 방식하의 관리시스템을 기술지향관리시스템이라 하며 , 개념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Page 5: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5

. 기술지향관리시스템

내부의 기술 업적의 목표 시장에 판매

실 적

Page 6: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6

. 그러나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 제품수명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다품종소량생산이 이루어지는 현대의 상황에서는 이러한 기술지향관리 사고방식 하의 원가관리시스템은 진부화될 수 밖에 없다 .

현대의 기업들은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시장의 명시적 . 잠재적 요구를 수용하여 제품의 기획에서부터 생산단계를 거쳐 최종적인 판매에 이르기 까지 모든 과정을 관리 사이에 두기 때문에 관리사고방식도 시장중심의 사고로 바뀌고 있다 .

이와 같이 시장의 요구를 중심으로 하여 판매될 것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하는 이념을 시장지향이라 한다 . 아래 그림은 시장지향관리시스템을 요약하고 있다 .

Page 7: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7

시장지향관리시스템은 현재 및 장래의 시장요구에 적응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사고방식이다 .

즉 , 시장에서 출발하여 시장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업적목표가 책정되며 , 시장요구나 업적목표에 의거하여 연속적이고 혁신적인 기술개발이 확립되는 것이다 .

이와 같은 시장지향관리시스템은 시장요구를 기업 내에 끌어들이려는

의미에서 ‘ pull system' 이라 할 수 있다 .

Page 8: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8

. 공급자인 제조업자가 상품을 결정하는 과거의 상황을 공급자 중심 시자이라 하며 , 수요자인 시장이 상품을 결정하는 현재의 상황을 수요자중심시장이라고 한다 .

수요자중심시장에서의 시장지향관리시스템의 원가관리는 목표원가(target cost) 의 달성이라 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

목표원가는 시장가격 - 필요이익 = 목표원가로 구해지며 , 시장에

기초를 둔 원가라 할 수 있다 .

Page 9: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9

. 따라서 , 시장지향관리시스템은 기업을 둘러싼 경제상황 , 경쟁기업과 고객의 동향 , 기술혁신의 추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조직구성원에게 피드백 (feed-back) 시키고 , 경쟁시스템이라는 환경을 조직문화로서 기업 내에 도입하도록 한다 .

또한 시장요구로부터 도출된 목표원가를 달성될 수 없다면 경쟁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의식을 고취시켜 조직을 활성화 시키고 , 엄격한 목표를 설정하여 이를 달성했을 때의 만족감을 공유하는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

이와 같은 사고방식이 과거 수년간 익숙해져 온 생산현장을 중시하는 표준원가시스템을 대체하는 소위 개발 . 설계단계에 초점을 두는 원가기획 또는 목표원가관리가 전개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Page 10: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10

. 시장지향관리시스템

업적의 목표 내부의 기술 업적의 목표 시장의 요청

실적

Page 11: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11

3. 원가관리 초점의 변화

소비자 가치관의 다양화는 제품수명주기 (product life cycle) 가 짧아지는현상을 초래하였으며 , 소품종 대량생산체제를 유발하였다 . 이로 인하여 과거 소품종대량생산체계에서는 생산단계의 원가관리가 중요하였던 반면 , 현재 다품종소량생산체계에서는 제품의 개발 . 기획 . 설계단계가 원가관리측면에서도 그 비중이 높아지게 되었다 . 특히 , FA(Factory Automation) 화나 CIM 화는 생산단계에서 직접공의 대폭적인 감소를 가져온다 . .

Page 12: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12

. 전통적인 제품과 최근 제품의 원가관리초점의 중요도 변화

전통적 제품 ( 소품종대량생산체계 )

최근의 제품 생산

( 다품종소량생산체계 )

연구개발 기획 .설계 생산

연구개발 기획 . 설계 생산

Page 13: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13

. 원가관리대상의 초점 변화

관리과정 계획 실행 통제

생산과정

원가관리기법 목표원가관리 전통적 원가관리 ( 표준원가시스템 )

기획 .설계 생산 생산완료

Page 14: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14

. 이에 따라 가공조립형산업에 있어서 원가관리수단으로서 표준원가시스템의 중요성이 점점 감퇴됨으로써 전체 제품수명주기 중 상위단계인 계획 . 설계단계에서 어떻게 원가를 절감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

그 결과 , 기업의 관리과정에서 원가관리의 대상초점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산단계에서 기획 . 설계단계로 변화되었다 .

따라서 , 앞에서 고찰한 원가관리사고의 변화와 시대적 요청으로 인하여 계획 . 설계단계에서의 새로운 원가관리기법으로서

목표원가관리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

Page 15: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15

. 목표원가관리라는 개념이 출현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미국국방성에서 사용되었던 원가목표달성을 위한 설계 (DTC: Design To Cost), 그리고 가치공학 (VE) 등에서 비롯되었으며 , 현재와 같은 원가기획개념이 정착된 것은 일본에서였다 .

1975 년 석유위기 이전부터 일본에서는 VE 활동의 형태로 행해져 왔으며 , 1974 년경 일본의 다이하쯔공업 ( 주 ) 에서 현재의 원가기획활동의 틀이 확립됨으로써 원가기획이 점점 정착되기 시장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일본에서 발전한 원가기획활동 (cost planning) 운 이후 미국에

재도입 . 발전되어 목표원가관리 (target costing) 로 불리고 있다 .

Page 16: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16

.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