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31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 지금 여기, 페이스북을 대하는 소통 참여자의 자세 이성규(블로터닷넷 기자), 김지연(고려대학교)

description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Transcript of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Page 1: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지금 여기, 페이스북을 대하는 소통 참여자의 자세

이성규(블로터닷넷 기자), 김지연(고려대학교)

Page 2: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왜 페이스북인가

Page 3: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전세계 페이스북 이용자 현황

Page 4: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한국에서 페이스북 위상카카오스토리는 이미지 중심의 ‘폐쇄적’ 커뮤니케이션 도구

페이스북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포맷의 개방적 도구

김윤화,신선(2013.12.26). SNS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 13-12. p.1-5

Page 5: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페이스북 한국 이용자수

• 2013년 12월 기준

• 월 활성 사용자(MAU) : 1300만명

• 일 활성 사용자(DAU) : 840만명

• 2012년 초 400만명이던 사용자수는 2012년 말 1000만명에 육박

Page 6: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왜 페이스북을 이용하는가

Page 7: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SNS 이용 동기 비교 분석• SNS 이용자들의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터에 대한 관계맺기, 자기표현, 정보교류의 이용동기와 이용 만족도에서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상이점이 발견

• 이용동기에 따른 미디어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관계맺기, 자기표현, 정보교류에 있어서 페이스북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 다음이 싸이월드, 트위터 순

• 자기표현이나 정보교류를 하기 위해서도 페이스북 이용을 많이 하는 반면에 트위터 이용은 낮음.

• 설문은 2012년 5월 7일에서 18일까지 2주 동안 행해졌으며 이 기간 동안 총 259명이 응답. 이 가운데 252명 대상으로 분석.(김유정, 2013)

Page 8: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페이스북 이용동기(미국)• 친구가 올린 사진과 영상을 볼 수 있어서(47%) - 관계 맺기 / 정보 교류

• 많은 사람들에게 한번에 즉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서(46%) - 정보 교류 / 자기 표현

• 다른 친구들의 최신글(updates)을 확인할 수 있어서(39%) - 관계 맺기

• 유머러스한 콘텐트를 볼 수 있어서(39%) - 정보 획득

• 기타 뉴스를 계속 찾아볼 수 있고, 관계 네트워크 내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어서 이용한다고 답변 - 관계 맺기

Page 9: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피드백과 이용자의 심리•퀸즈랜드대학교 학생 79명을 두 집단으로 나눠 실험(S.J. Tobin et al., 2014)

• 첫 번째 집단에겐 게시물이 다른 사람들에겐 보이지 않도록 조작해 좋아요와 댓글을 ‘0’개로 만들었다. 반대로 두 번째 집단에겐 ‘좋아요’와 ‘댓글’의 수가 높게 나타나도록 조작

• 연구진은 페이스북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행위가 소셜미디어 이용자 사이에선 소속감을 만들어내는 열쇠라고 결론

• 그 다음 연구자들은 학생들에게 소속감, 자신감, 제어력, 의미있는 존재감, 흥미로움 등의 항목을 물어봤다. 페이스북에서 사람들과 더 많은 교류를 한 학생들은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Page 10: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페이스북은 어떻게 사회적 소통을 매개하는가

Page 11: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Page 12: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 팔로잉

• 트위터의 팔로우와 같은 기능으로 친구 맺지 않고도 정보를 뉴스피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공개 범위 설정

• 전체 공개, 친구만, 아는 사람을 제외한 친구, 나만 보기, 사용자 지정 등 5단계로 지정 가능

• 트위터와 유사한 기능적 구조로 출판(Publishing) 이후 폭넓은 확산 구조를 지니고 있는 개방형 커뮤니케이션 채널

Page 13: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페이스북 엣지 랭크엣지 스코어가 높을수록 뉴스피드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진다

Page 14: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뉴스피드에 노출되기 위해선

•친밀도 : 친구들과 얼마나 자주 소통하는가를 측정

• 콘텐츠 가중치 : 게시물을 작성하는데 얼마나 노력했는가를 측정(사진 > 텍스트, 노트 > 링크, 댓글 > 좋아요)

• 시의성(시간 경과) : 최근에 올라온 글, 댓글, 좋아요가 빠른 시간 내에 발생할 때 점수가 상승

Page 15: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알고리즘에 따른 노출의 차별적 분배로 기대하는 글쓰기 유형을 유도하는 방식

내가 직접 작성한 글(노트)이 얼마나 많은 피드백을 받았는지(댓글)에 따라 더 많은 이들로부터 더 많은 관심을 받을 수 있는 기술적 구조로 구성돼 있다

Page 16: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페이스북에서 피드백이 높은 글의 유형

Page 17: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페이스북에서 피드백 높은 글•질문과 조언 요청(Questions and Input): 25% of posts contain a question to the reader (either rhetorical or soliciting input/reactions). In an earlier study, we found that posts that sought input received 64% more engagement (comments, likes, and shares).

• 링크(Links): 62% of posts contain a link (either to one of the journalist's own stories, or to something else of interest). And when reporters include analysis with the links, those links receive 20% more referral clicks on average.

• 요청(Call to Action): 30% of posts contain “promotional” language – “read my link," “check out my interview with,” etc. Posts with a call to action receive 37% more engagement than an average post.

• 사진(Photos): 12% of posts were photos. Posts with photos receive 50% more likes than posts without photos.

Page 18: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공감 얻는 스토리의 톤• 감성적인 글 : 2~3배의 피드백 증가

• 열정적인 논쟁 : 2~3배의 피드백 증가

• 고무적이고 희망을 주는 스토리 : 2배 증가

• 이용자를 향한 쉬운 질문 : 2배 증가

• 중요한 스포츠 게임 : 1.5~2배 증가

• 특정 토픽에 대한 논평 : 1.5~2배 증가

Page 19: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공감적 글쓰기Sharable Content

Page 20: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SNS에서의 공감•공감의 의미역은 인지적 공감, 감정 전염, 감정이입, 자기-타인 중첩, 연민 등으로 매우 다양(Preston & Hofelich, 2012)

• SNS에서의 공감경험을 SNS에서 타인의 글을 읽거나 타인의 소식을 접하면서 공감의 각 하위 차원들, 즉 관점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을 얼마나 자주 경험해본 적이 있는가의 정도(장현미, 2014)

• SNS에서 공감의 증거는 댓글, 소환, 등의 피드백과 공유, 간단하게는 공감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표현된다

Page 21: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공감을 많이 얻는 콘텐츠 대표 사례

Page 22: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이미지 카드형 스토리• 페이스북에서 공유되는 일반적 글쓰기 유형을 기반으로

• 공유 친화적인 콘텐트 포맷인 이미지를 삽입하여

• 유익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스토리를 구성

• 좋아요 + 공유 + 댓글 = 1만개 이상

• Sharable Content Media

Page 23: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리스티클 스토리• List + Article = Listicle

• 페이스북에서 공유되는 일반적인 글쓰기 방식을 전제로

• 명확한 특정 집단을 겨냥

• 유익한 정보를 추려

• 관련 이미지를 첨부한 뒤

• 요약 및 리스트 형식으로 구성해 전달하는 글쓰기 방식

Page 24: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국어교육을 향한 제안

Page 25: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공감을 위한 대화로서의 쓰기

(Writing as a Conversation)

Page 26: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개념의 착안

•빌렘 플루서는 담론형 매체(diskursive Medien)와 대화형 매체(dialogische Medien)를 구분. 담론적 매체는 정보가 형성되고 유통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변형되고 단순화되기 때문에 정보의 유익함이나 유해함을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자정능력이 발생. 대화형 구조에서 소통의 흐름을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또 다른 변형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수직적, 권위적 커뮤니케이션 행위에서 벗어나 다양한 개인들 간의 접촉과 수평적 의사소통을 가능케 한다. “그는 상상과 피드백을 억압하는 일방향적 담론형 매체를 대화형 매체로 일신할 수 있는 비판적 지성(텍스트, 담론)과 새로운 대화법을 창안할 수 있는 기술적 상상(기술적 형상)을 습득한 주체의 다른 이름이다. (김겸섭, 2011 ; p.183)

• 디지털 시대의 저자는 문자 텍스트의 개념을 기술적 형상 시대에 어울리는 기술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사람이다. 그는 기술적 상상에 기대어 개념을 그림으 로 만들고, 그러한 그림을 개념의 상징으로 해독할 수 있어야 한다.(김겸섭, 2011 ; p. 190)

• 블로그 같은 1인 미디어에서의 읽기는 쓰기와 직접 연결되어 ‘쓰기로서의 읽기(reading-as-writing)’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블로그는 존재하는 텍스트를 취한 뒤 여기에 무언가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런 방식으로 의견이 덧붙여진 블로그는 트랙백을 통해 능동적 독자의 텍스트와 연결되고, 그것에 통합시킴으로써 토론을 계속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이런 현상은 바르트가 말한 쓰기 텍스트를 실제로 구현했다는 의의를 지닌다.(김동현 외, 2010)

Page 27: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공감을 위한 대화로서의 쓰기란

• 독자를 설정하고 고려한 글쓰기(Writing for Audience)

• 구어적 글쓰기(Writing like you talk)

• 새로운 형식의 글쓰기(Writing for new form)

• 협력적 글쓰기(Writing Collaboratively)

Page 28: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공감을 위한 대화로서의 쓰기란

• 가상의 독자를 전제로(독자 설정 및 고려)

• 요청하고, 부탁하고, 배려하면서(협력적)

• 그들에게 유익한 정보를(독자 고려)

• 해독하기 쉽고 명확한 언어(새로운 형식)

• 대화하듯 글을 쓰는 방식(구어적)

Page 29: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 김겸섭.(2011). 미디어의 이중성. 인문과학연구 제37호. p.173-202

• 김동윤, 김민하, 김사승, 김익현, 이동훈.(2010). 뉴스 수용자의 진화.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유정.(2013).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교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3권 1호. p. 5-32

• 김윤화,신선(2013). SNS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 13-12. p.1-5

• 이재현.(2013). SNS의 열 가지 얼굴. 커뮤니케이션북스.

• 장현미.(2014). SNS에서 글쓰기가 공감경험과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Betsy Cameron, Vadim Lavrusik.(2011). Analysis: How News Pages Are Keeping Readers Engaged. Journalists on Facebook.

• Stephanie J. Tobin, Eric J. Vanman, Marnize Verreynne & Alexander K. Saeri.(2014). Threats to belonging on Facebook: lurking and ostracism.

Page 30: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감사합니다

Page 31: 사회적 소통과 국어교육

SNS 커뮤니케이션 특성

빌렘 플루서 이재현

대화형 커뮤니케이션 (not 담론형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킹 플랫폼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미디어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