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14
- 1 - <학문과신앙연구소 세미나 자료>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 1) 이혜정(대신대) Ⅰ. 왜 기독교적 건국론인가? Ⅱ. 자료와 분석방법 Ⅲ. 기독교적 건국론의 세 가지 측면 Ⅳ. 후속연구의 과제 Ⅰ. 왜 기독교적 건국론인가? 이 글의 목적은 한경직의 생애와 활동을 포괄하는 해석틀로서 기독교적 건국론을 제안하 고 앞으로 이어질 한경직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한경직 연구경향은 목 회적 관점에서 신학과 신앙 분석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연구경향에서 더 나아가 한경직이 한국 근현대 사회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규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경직은 한국 기독교계뿐 아니라 한국 종교사, 나아가 한국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인물이 며 한경직을 연구한다는 것은 이 시대 한국기독교의 성격을 규명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러한 문제의식이 필자가 한경직 연구를 시작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이전에 필자는 한경직 에 관한 두 개의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는데 하나는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이념-복음해 석을 중심으로」, 또 다른 하나는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과 복음화운동」이다. 2) 한경직은 일제강점기와 민족분단의 격동기를 거치면서 민족의식을 깊이 체득한 목회자였 으며 일평생 민족구원을 위한 기독교적 메시지를 전했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한경직 의 생애를 한국 근현대 흐름에 따라 해석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 결과 한경직의 생애 와 활동은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내적 동기에서 시작되었음을 발견하였고 구체적으로 한경 직의 기독교적 민족의식을 기독교적 건국론이라 명명하였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실제로 발표된 적이 있었다. 노명식 3) 은 한경직이 1945년 9 월 신의주 제이교회에서 열린 새나라 건설 프로그램에서 발표와 토론을 했다고 증언하고 있 다. 그러나 그 자료는 현재 남아있지 않아서 한경직이 제시했던 본래 형태로 복원하기 어렵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기독교적 건국론이라는 틀을 제시하는 것은 한경직이 일관되 게 '기독교정신이 기반된 건국'(건국 이후에는 保國 4) 으로 변화함-필자 주)을 주장하고 있기 1) 본 글은 다음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이혜정,「한경직 연구의 관점-기독교적 건국론」,『한국기독교와 역사』 30(2009). 2) 이혜정,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복음 해석을 중심으로」,『종교연구』39(2005); 이혜정, 『한경직의 기 독교적 건국론과 복음화운동』,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6. 3) 노명식, 「김재준의 기독교적 건국이념」,『한국사시민강좌』(1995 8월), 117118쪽. 4) 한민족의 정부수립이 있기 전까지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의 핵심은 건국이었으나 공식적인 건국 이후에는

Transcript of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Page 1: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1 -

<학문과신앙연구소 세미나 자료>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1)

이혜정(대신대)

목 차

Ⅰ. 왜 기독교적 건국론인가?

Ⅱ. 자료와 분석방법

Ⅲ. 기독교적 건국론의 세 가지 측면

Ⅳ. 후속연구의 과제

Ⅰ. 왜 기독교적 건국론인가?

이 글의 목적은 한경직의 생애와 활동을 포괄하는 해석틀로서 기독교적 건국론을 제안하

고 앞으로 이어질 한경직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한경직 연구경향은 목

회적 관점에서 신학과 신앙 분석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연구경향에서 더

나아가 한경직이 한국 근현대 사회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규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경직은 한국 기독교계뿐 아니라 한국 종교사, 나아가 한국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인물이

며 한경직을 연구한다는 것은 이 시대 한국기독교의 성격을 규명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러한 문제의식이 필자가 한경직 연구를 시작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이전에 필자는 한경직

에 관한 두 개의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는데 하나는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이념-복음해

석을 중심으로」, 또 다른 하나는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과 복음화운동」이다.2)

한경직은 일제강점기와 민족분단의 격동기를 거치면서 민족의식을 깊이 체득한 목회자였

으며 일평생 민족구원을 위한 기독교적 메시지를 전했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한경직

의 생애를 한국 근현대 흐름에 따라 해석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 결과 한경직의 생애

와 활동은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내적 동기에서 시작되었음을 발견하였고 구체적으로 한경

직의 기독교적 민족의식을 기독교적 건국론이라 명명하였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실제로 발표된 적이 있었다. 노명식3)은 한경직이 1945년 9

월 신의주 제이교회에서 열린 새나라 건설 프로그램에서 발표와 토론을 했다고 증언하고 있

다. 그러나 그 자료는 현재 남아있지 않아서 한경직이 제시했던 본래 형태로 복원하기 어렵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기독교적 건국론이라는 틀을 제시하는 것은 한경직이 일관되

게 '기독교정신이 기반된 건국'(건국 이후에는 保國4)으로 변화함-필자 주)을 주장하고 있기

1) 본 글은 다음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이혜정,「한경직 연구의 관점-기독교적 건국론」,『한국기독교와 역사』

30(2009).

2) 이혜정,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복음 해석을 중심으로」,『종교연구』39(2005); 이혜정, 『한경직의 기

독교적 건국론과 복음화운동』,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6.

3) 노명식, 「김재준의 기독교적 건국이념」,『한국사시민강좌』(1995 8월), 117〜118쪽.

4) 한민족의 정부수립이 있기 전까지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의 핵심은 건국이었으나 공식적인 건국 이후에는

Page 2: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2 -

때문이다. 또한 건국이념이라는 용어대신 건국론으로 명명한 것은 이념과 관련된 학문적 기

대치와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이 글은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이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표출임을 설명하고 국가재건의

시대과제에 대한 한경직의 대응 방식을 분석할 것이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건국구

상에서 출발하여 건국 후에는 국가유지이념으로 변화하였다. 한경직의 건국구상은 이처럼

국가정황의 변화에 따라 부분적인 의미변화는 있지만 일관되게 '기독교 정신으로 건국(나라

세우기)'사상이 핵심이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을 구원관으로 설명한다면 '민족을 위한 구원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한경직은 민족과 복음의 관계를 떼어놓을 수 없는 것으로 인식했다. 그에게 있어 복

음이란 민족의 시대적 요구에 응답하는 것이며 민족과 복음의 관계는 서로의 존재에 영향을

주고받는 상생관계이다. 그러나 한경직의 기독교적 민족의식은 민족주의와는 거리가 멀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민족의식, 또는 민족구원론은 민족중심주의를 지양하고 복음을 다른 민

족에게 전달하는 이타적 민족의식을 가질 것을 강조한다. 한경직에게 있어서 복음이란 각

민족현실과 만나 그 민족의 영적, 현실적 구원에 기여하는 실용적 구원을 의미한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목회자적 정체성을 통해 구체화5)된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한

사례이다. 지금까지 민족의식은 소위 좌경화된 민족의식을 중심으로 규명되어 왔지만 학문

적 편중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민족의식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최근 『이승만과

김구-양반도 깨어라, 상놈도 깨어라』6)를 출간한 손세일은 민족주의의 두 측면을 모두 발

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승만과 김구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실제 이들은 해

방 이후 추종자들에 의해 라이벌로 인식되었을 뿐 실제로는 줄곧 협력관계였으며 같은 민족

주의 안에서 이승만은 건국을 김구는 민족을 강조한 측면도 지적7)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

을 따른다면 한경직의 민족의식은 이승만 계열의 민족의식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한경직에게는 민족적 열정과 기독교적 열정이 하나로 일치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

시대정황을 고려할 때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한경직은 1903년 1월8) 평안북도 평원군 공

덕면 간리마을에서 태어났으며 8세가 되던 1910년에 한일합방이 공포되었다. 일제의 조선

침탈은 이미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었기에 한경직의 출생 시기에는 조선민족의 항일의식

이 이미 형성되어 있었고 한경직의 생애초기 교육과정은 애국적 열정과 기독교적 신앙이 혼

연일체가 된 교육이념 아래 이루어졌다. 그래서 한경직은 회고하기를, '기독교 교육과 신문

학(신학문을 의미-필자 주), 철저한 애국적인 기독교 교육'9)을 받았다고 언급하였다.

한경직은 자신이 받았던 교육의 핵심이념을 ‘기독교, 신문명, 애국’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

세 개의 키워드10)는 후에 그의 사상을 형성하는 근간이 되었고 민족을 위해 가장 필요한

국가유지이념이 중시되었다. 즉 보국(保國), 안보(安保), 사회안정 추구이다. 즉 어렵게 세운 국가를 유지하는

것으로 변화된 것이므로 건국과 국가유지이념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5) 김병희, 『한경직목사』, 규장문화사, 1982, 22-23쪽; 한숭홍, 『한경직의 생애와 사상』, 장로회신학대학출판

부, 1993, 89-90쪽,

6) 손세일, 『이승만과 김구(1875〜1919, 양반도 깨어라 상놈도 깨어라)』1〜3, 나남출판, 2008.

7) 〈이승만과 김구 관계 협력적, 관련 서적 펴낸 원로 언론인 손세일씨 인터뷰〉,《중앙일보》2008. 9. 23.

8) '제가 임인(1902)년 12월 29일생입니다만 양력으로 하면 실상은 1903년 1월생이 되요', 이만열, 「한경직 목

사를 만남」,『한국 기독교와 역사』 창간호(1991), 137쪽.

9) 한경직 목사 기념사업회, 「채무감」,『한경직 목사 설교전집 1』, 대한기독교서회, 340-341쪽. 이하 줄여 '

「설교제목」,『권수』, 쪽'으로 표기함. 한경직 목사 설교전집은 1971년 대한기독교서회에서 10권을 출간,

다시 1977년에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교육부에서 2권을 출간, 나중에 기독교문사에서 12권을 재출판하였다.

10) 이만열, 앞의 글, 137쪽. 이만열과 한경직의 대담에 따르면 한경직은 오산학교의 교육 가치를 ‘애국, 과학,

예수’라고 언급하는데 본문의 ‘기독교, 신문명, 애국’과 동일한 내용으로서 ‘과학’, ‘문명’, ‘학문’이란 용어가 같

Page 3: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3 -

사람이 되겠다는 인식으로 발전한다. 즉 신문명을 배워 민족의 정치, 사회, 경제적 안정에

기여하는 것, 그것이 애국하는 것이며 신문명과 애국의 근본정신은 기독교정신이라는 신념

으로 확립된다. 이와 같이 민족구원을 위해 세 가지 측면, 기독교, 신문명, 애국을 강조하는

것이 바로 기독교적 건국론의 핵심이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민족구원을 위한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표출이라 할 수 있다.

기독교적 건국론의 세 가지 요소인 '기독교, 신문명, 애국'은 민족구원을 위한 세 가지 측면,

즉 종교, 경제, 정치적 구원을 의미한다. 종교적 구원(기독교)이란 한민족을 부흥시키기 위

한 정신적 측면을 의미하며 사회경제적 구원(신문명)이란 민족의 생존구조를 세우고 분배정

의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측면을 의미하고 정치적 구원(애국)이란 민족 구성원의 기

본권을 보장하고 국가적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정치적 측면을 의미한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종교적 구원뿐 아니라 민족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구원의 필요성을 강조한 한민족

의 현실적 구원론이자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표출이다.

Ⅱ. 자료와 분석방법

본고의 일차 자료는 대부분 한경직의 설교 자료이다. 한숭홍11)이 지적한 대로 설교 자료

에서 그의 사상을 추출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한경직은 자신의 사상을 집

필한 저서를 남기지 않았기에 가장 직접적인 일차자료는 설교 자료이다. 현재 출간된 설교

자료는 해방 이후의 자료로서 특히 1970년대 설교 자료가 대부분이며 월남 이전 설교 자료

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12).

본고의 주요 분석대상은 한경직의 대표적인 설교 자료인 1970년대 출간된 12권의 설교

전집과 재편집된 설교저서와 관련자료13), 그리고 잡지와 언론, 기타 저서에 나타난 한경직

기사와 설교 자료들14)이다. 설교전집 12권의 설교 편수는 611편이며 그 외 설교저서는 27

은 맥락에서 언급된다. 한경직은 문명과 과학을 동일시하며 과학 그 자체는 중립적이나 그 속에 담긴 정신에

따라 긍정성과 부정성을 가른다고 인식하였다. 과학에 긍정성을 부여하는 것은 ‘기독교’와 ‘민주주의’이다.

「새 시대와 새 사람」,『4』, 296-306쪽.

그 외 한경직은 세 가지 교육이념을 ‘민족과 국가, 예수, 과학’, ‘신앙, 애국심, 학문’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

둘은 동일한 내용이다. 조만, 「대담: 한경직 목사와의 대화;중도를 걷는 목회」,『기독교사상』 313(1984 7

월), 102-103쪽.

11) 한숭홍은 한경직 연구를 위해 설교에서 어록이나 명제를 발굴하여 신학화하는 작업은 창작에 가까울 만큼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한경직의 신학, 그것은 철저히 인간적이며 현실주의적이다. 이를 위해 더 이상의 수식

어는 필요없다." 한숭홍, 『한경직의 생애와 사상』, 장신대 출판부, 1993.(이후 재출간됨, 『한경직: 예수를

닮은 인간, 그리스도를 보여준 교부』, 북코리아, 2007.) 한숭홍, "한경직 신학에 대한 비판을 다시 묻는다",

『빛과 소금』, 두란노서원, 20-21쪽.

12) 현재 영락교회 한경직 기념사업회에서 새로운 설교 자료를 발굴하여 출간할 예정이어서 기대가 크다. 영락교

회 한경직 기념사업회 사이버기념관 홈페이지 http://www.revhan.net

13) 설교집은 다양한 이름으로 출간되었지만 대부분 12권의 설교전집 자료가 재편집된 것이다. 『건국과 기독

교』, 기문사, 1949; 『우주시대의 신앙생활』, 신우사, 1960; 『한경직예화』1〜3권, 규장문화사, 1984;

『칼럼: 길』, 예목, 1984; 『사도신경강해』, 이영헌 편, 예목, 1985; 『예수를 바라보자: 한경직 메시지』,

삼일서적, 1985; 『사도바울에게 배운다』, 기독교문사, 1985: 『참 그리스도인상』, 규장문화사, 1985; 『참

목자상』, 규장문화사, 1985; 『한경직목사 성역 50년』, 한경직 목사 기념사업회, 1986; 『한경직 설교자

료』1〜10권, 이영헌 편, 예목, 1987; 『새벽강단』, 예목, 1988; 『사진으로 보는 한경직목사』, 신성그리픽

스, 1998; 『하나님의 영으로』, 홍성사, 2001; 『May the words of my mouth』, 영락교회, 2002; 『한경

직목사 탄신100주년기념사업위원회, 『평생에 듣던 말씀』, 선미디어, 2002.

14) 「基督敎會의 社會的信條」, 신학지남 제15권 3(1933); 「종교와 과학」, 신학지남 1(1949); 「교회진흥의

비결」, 신학지남 1(1949); 「이 패역한 세대에서 구원을 받으라」, 새가정, 제8권 7(1961); 「교직자의 자세

」, 교회와 신학 1(1965); 「신의 사랑」, 기독교사상 93(1965); 이장식, 「아시아신학 모색의 발돋움」, 기

Page 4: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4 -

권, 잡지 기고된 기사 및 설교 자료는 69편이다. 한경직 연구에 있어서 직접적인 일차 자료

는 설교 자료이지만 잡지에 나타난 인터뷰 내용과 설교, 회고담 등도 한경직 관련증언들로

서 매우 중요하다.

필자는 자료 분석을 위해 내용 분석과 주제별 분류작업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이

가능한 것은 자료에 나타난 한경직의 기본적 인식이 성서 해석과 현실적용의 명확한 이분법

적 구도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필자의 관심은 한경직의 현실인식과 시대과제에 대한 대응

구도를 파악하는 데 있으므로 자료에서 현실적용과 현실대응의 관련내용을 추출하여 24가

지의 주제별로 정리, 분류하였다. 필자가 자료에서 추출한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정치참여/ 정교분리/ 애국의 의미/ 통일관/ 미국인식/ 대미관계/ 교육의 목적/ 교육사업/

노동에 대한 정의/ 노사문제/ 사회정화/ 현실인식/ 역사인식/ 구호사업/ 문명관/ 절제운동/

인간관/ 복음화운동/ 성경관/ 청교도주의/ 에큐메니즘/ 타 종교 비판/ 교회관/ 신앙관/

위의 주제를 통해 한경직의 현실인식과 민족적, 국가적 과제에 대한 실천적인 대응양상을

독교사상 116(1968); 「나의 신으로」, 복된 말씀, 제16권 4(1969); 「사모님 안녕하세요」, 주간기독교(1971. 12. 5); 「첫 8‧15의 회상」, 만남 (1973. 8. 21); 「전군신자화운동과 5천만의 복음화」, 새가정220(1973); 「민족 복음화운동의 증인」, 백발의 증인 원로와의 대화, 경향신문사, 1974; 「교회성장과 나의

회고록」, 목회 28(1978); 「바른 마음」, 목회 27(1978); 「교직자의 자세」, 목회 28(1978); 「창설 35주

년 맞는 영락교회」, 주간한국 (1980. 10. 12); 「목회자의 자세」, 목회 56(1981); 문영진, 「영락농아인교

회」, 기독교교육 165(1981); 「주한 미국 선교사 활동 100년을 평가한다」, 기독교사상 284(1982); 「기독

교 학교의 문제, 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기독교사상 285(1982); 신동일, 「우리가 어찌 성공과 실패를 단

언할 수 있나요」, 목회 73(1982); 「그리스도의 편지」, 목회 74(1982); 「교회성장을 위한 목회전략」, 목회 78(1983); 「나를 정결케 하소서」, 목회 78(1983); 「계절과 그 교훈」, 목회 81(1983); 「한국기독교

100주년을 회고하면서」, 고신 25(1983); 김경문, 「그리스도의 몸이 하나이듯 교회도 하나입니다」, 신앙계201(1983); 「삶이 주는 설교」, 목회 90(1984); 백성남 편, 「축복받기 보다는 용서받기 위해 기도하라」, 통일한국 6(1984); 「믿음으로」, 목회 92(1984); 「한국 교회와 회개운동」, 목회 93(1984); 조 만 편, 「중도

를 걷는 목회」, 기독교사상 313(1984); 김태복, 「한경직과 박조준」, 현대종교 131(1984); 「부활하신 주

님의 최후약속」, 목회 115(1986); 김정기 편, 「국가와 사회에 대해 기독교가 일원화된 창구 가져야」, 신앙

계 230(1986); 「자아의 혁명」, 새가정 8‧9월호(1986); 「마음안정이 건강의 초석」, 「영원한 청교도 한경직

목사」, 「하나님은 사랑 속에 존재」, 주간건강 (1986. 10. 6); 서정민 편, 「내가 본 남강선생」, 한국기독교

사연구 13(1987); 「신의 뜻」, 목회 131(1987); 탁명환 편, 「생전에 남북통일 보고 싶어」, 현대종교172(1988); 「내 어릴 적의 스승, 우용진 목사님」, 빛과 소금 70(1991); 이만열 편, 「원로와의 대담-한경직

목사를 만남」, 한국기독교와 역사 창간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1); 이한민 편, 「저는 그저 한 목사올

시다」, 목회와 신학 34(1992); 「사는 동안 좋은 일 하고 삽시다」, 빛과 소금 85(1992); 「20세기 개신교

회의 별 한경직 목사 템플턴 상 수상 축하예배」, 신앙계 287(1992); 이영헌 외, 「한경직 목사, 화평으로 덮

어주는 영락의 뿌리」, 목회와 신학 38(1992); 「우리 시대의 마지막 증언-신의 은혜, 그저 감사할 뿐입니다

」, 목회와 신학 39(1992); 편집부, 「서평-한경직의 생애와 사상」, 교육교회 200(1993); 한경직, 「창설자

밥 피어스 목사와 나」, 宣命 (1993 3월); 한종호, 「청빈한 성직자의 삶과 사상」, 그 말씀 (1993 3월); 김

대덕 외, 「군복음화를 위하여」, 빛과 소금 99(1993); 이창건, 「원로목사님의 어린시절」, 만남, 영락교회(,

1994 6월); 하용조, 「구십삼 세의 한경직 목사님」, 빛과 소금 117(1994); 「신행일치의 삶」, 가이드포스트(1995); 「은혜와 보답」, The Joint Chiefs of Staff, 7(합동참모본부, 1996); 「추양 한경직 목사 기념 추양

안식관 준공예배」, 신앙세계 342(1997); 정혁현, 「해방과 건국: 그때 그 목소리」, 기독교사상 476(1998);

「살아있는 성자-한경직 목사」, New Christian Family (1998 11월); 이영희, 「민족의 아픔과 고난, 기쁜 함

께 해온 신앙의 선진들」, 신앙계 392(1999); 전정자, 「고 추양 한경직 목사 추모식」, 영락뉴스119(2000); 최정욱, 「고통받는 이웃과 함께 한 ‘한국의 성자’」, 신앙계 398(2000); 정진경 외, 「한경직 목

사 추모특집」, 신앙세계 382(2000); 「한국 기독교계 큰 별 지다」, 자명고 20(2000); 「섬김과 봉사의 신

화를 남긴 큰 목자」, 월드비전 125(월드비전후원개발본부, 2000); 「청빈과 겸손으로 보여 준 참 지도자의

삶 한경직 목사」, 리더스라이프 (2000 5‧6월호); 김대령 외, 「한경직 목사의 빛과 그림자」, 복음과 상황102(2000); 문재진, 「덕장(德蔣)의 리더십‧목사 한경직」, 교육교회-교사클릭 6(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

연구원, 2000); 「진리의 매매」, 현대종교 315(2000); "Following Footsteps of Christ", The Soongsil Times, Vol. ⅪⅩ 106(June, 2000)

Page 5: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5 -

설교 주제들 내용 구분 기독교적 건국론

정치참여/ 정교분리/ 애국의 의미/

통일관/ 미국인식/ 대미관계/정치적 측면 애국

교육의 목적/ 교육사업/ 노동에 대한

정의/ 노사문제/ 사회정화/ 현실인식/

역사인식/ 구호사업/ 문명관/ 절제운동/

사회경제적

측면신문명

인간관/ 복음화운동/ 성서관/

청교도주의/ 에큐메니즘/ 타 종교 비판/

교회관/ 신앙관/

종교적 측면 기독교

추적할 수 있다. 위의 주제들은 각각 정치와 사회, 종교의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

한 구분은 또한 기독교적 건국론의 요소들과 일치한다. 다음의 표는 설교주제의 분류와 기

독교적 건국론의 세 가지 요소와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표 1> 한경직 설교 자료의 주제별 분류

이러한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본고는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을 재구성하였다. 본고의 3

장은 기독교적 건국론의 세 가지 요인, 즉 기독교, 신문명, 애국의 각 요소를 설명하고 있

다. 그 내용을 약술하면, 첫째, 한경직이 복음의 의미를 한국의 상황에서 어떻게 수용하고

적용하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애국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둘째, 한경직이 제시한 민족의 가

나안 복지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민족에게 필요한 사회경제적 개혁, 즉 신문명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셋째, 한경직이 주도적으로 전개한 복음화운동의 성격과 전개를 소개하여 기독

교의 측면을 설명하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경직은 세 가지 요인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민족

의 시급한 과제로 여겼지만 목회자적 정체성에 따라 기독교 사상이 근본이라고 여겼다. 한

경직은 '한민족의 복음화'가 가장 시급하며 ‘복음화가 최대의 애국’이라는 논리를 확립했다.

이러한 논리는 민경배의 ‘신앙 내연(內燃)의 외연(外延)으로의 현상화(現象化)’15)의 이행(移

行)논리 신앙구조와 일치한다. 이 구조는 기독교 신앙이 역사적 컨텍스트를 만나 자연스럽

게 외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내연의 신앙이 자연스럽게 민족

정황을 만나 애국과 신문명을 추구하는 자세로 외연되는 구조이다.

<표 2> 기독교, 신문명, 애국의 상호 구조

애국

건국 부국 외연(外延)

↗ ↖ 신문명 기독교

과학 실업 경제부흥 ← 신앙 정신혁명 복음화운동 2차적 외연 내연(內燃)

<표 2>와 같이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기독교 신앙내연이 애국으로 외연되며 또한

애국을 위해 신문명을 추구하는 2차적 외연으로 나타난다. 민경배의 도식은 다수 민중의 시

15) 민경배,『일제하의 한국기독교 민족‧신앙운동사』, 대한기독교서회, 1991, 4〜6쪽.

Page 6: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6 -

각을 제외한 지도자적 인식의 한계라는 지적16)을 받기도 하지만 당시 기독교인의 신앙표출

양식을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타당성이 많다. 일제강점기에 이어진 불안정한 정권변화의 정

황에서 민족적 열정과 기독교적 열정의 만남은 자연스럽다. 특히 한경직의 생애에서 초기,

즉 일제강점기에 해당할수록 이러한 경향은 더욱 짙어진다. 일제 강점기에 비해 해방 이후

는 수많은 이념과 외세의 영향으로 민족의식이 더욱 다양하게 분화되기 때문이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국가부재, 또는 정권변화의 정황에서 국가와 민족의 운명이 불안했던 시

기에 기독교인들의 신앙이 애국심으로 외연되는 현상을 잘 설명해 준다.

민경배와 한경직의 외연화 구도는 기독교 신앙의 외연내용이 차이가 있다. 민경배는 신앙

의 외연화구도가 1900년대 초기 부흥운동에서 처음 형성되어 한국 기독교의 원형적 신앙을

구현하였음을 지적17)하였다. 민경배의 외연화 구도는 신앙의 형질을 특징18)지은 데 의의가

있다면 한경직의 외연화 구도는 신앙이 정치, 사회경제적 측면으로 외연되었으며 민족현실

에 대한 구체적 대응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기독교정신으로 국가의 기틀을 세운다는 발상은 당시 기독교인들의 일반적 생각일 수도

있지만 한경직의 독특한 논리적 전개구조를 발견하는 것은 오늘날 한국기독교의 성격을 이

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한경직은 해방 이후 한국기독교계 대표인물로서 한민족이

맞닥뜨린 정치경제사회적 측면의 시대적 과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를 피력했다. 3

장은 복음이 구체적인 한민족의 현실과의 만남과 상호작용의 내용을 설명한다.

Ⅲ. 기독교적 건국론의 세 가지 측면19)

1. 애국 : 민족적 복음주의

한경직에게 있어서 '애국'은 '기독교적 애국', 또는 '기독교적 민족의식'을 의미한다. 그의

기독교적 애국정신은 당시 시대배경과 그가 다녔던 기독교 학교 교육이념에서 시작되었다.

그가 태어났을 때는 일제강점 초기 무렵으로 반일 민족의식이 형성되었고 한국 기독교 초기

선교가 서북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해 질 무렵이었다. 한경직이 다녔던 서북지역의 교육기관

은 진광소학교, 오산학교, 숭실대학교였는데 이 기관은 기독교계 학교로서 서북지역의 애국

계몽운동과 기독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20). 한경직은 이와 같은 교육이념을 충실히 습득

하여 일생의 신념으로 발전된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기반을 형성하였다.

기독교적 건국론의 논리적 근거는 복음이해에서 출발한다. 한경직은 올바른 신앙노선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를 제시21)하였는데 즉 복음주의, 청교도적 생활, 에큐메니칼 정신, 올

16)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 기독교의 역사』Ⅰ, 기독교문사, 6〜7쪽.

17) 민경배,『한국기독교회사』,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280-281쪽.

18) 민경배는 대부흥운동의 성격을 한국교회 정통확립의 계기로서 정립하면서 그 신앙원형의 특질을 다음과 같

이 정리하였다. 즉 비정치화와 민족현실에 대한 희망의 근거로서의 신앙구현, 공동체적 교회형태 등이다. 민경

배, 앞의 책, 2007, 294〜306쪽

19) 기독교적 건국론의 세 가지 측면에 대한 세부내용은 필자의 기존논문을 참조할 것. Ⅲ장에서는 필자의 기존

논문을 부분적 인용, 또는 내용의 중복이 있기는 하지만 가능한 한 기존논문과 다른 표현을 사용하였다. 본고

의 논지가 한경직 연구관점에 관한 주제이기 때문에 세부적인 설명이 불가피하였다. 이혜정, 「한경직의 기독

교적 건국론-복음 해석을 중심으로」, 2005.

20)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의 세 가지 요소는 그의 생애 초기 교육기관의 교육이념에 각각 잘 나타나고 있다.

김정기, 「국가와 사회에 대해 기독교가 일원화된 창구 가져야」,『신앙계』 230(1986), 46쪽.; 이혜정, 『한

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과 복음화운동』, 20〜35쪽.

21) 「올바른 신앙노선」,『12』, 415-421쪽. 임걸은 한경직의 네 가지 신앙노선을 중심으로 한경직의 사상을

Page 7: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7 -

바른 사회봉사와 사회참여이다. 여기서 복음주의를 제외한 나머지는 사회참여와 실천에 관

한 것이다22). 이것은 한경직의 성향을 잘 나타낸다. 한경직은 최소한의 신학적 논의와 최대

한의 사회참여를 추구했고 실제 그렇게 살았던 인물이다. 그의 생애와 활동을 추적하다보면

신학적 논의는 가장 원칙적인 수준에서 다루는 한편 그를 필요로 하는 사회참여에는 제한이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경직이 신학적 논의를 전개하는데 소극적이었던 원인은 프린스턴 신학교의 분열과 국내

교계분열을 목도한 경험이 작용했을 것이다. 비록 한경직 자신의 진보적인 신학노선의 면모

는 국내 첫 기독교정당 창당과 기독교의 사회참여를 강조하는「기독교회의 사회적 신

조」23)를 국내에 소개한 것, 아빙돈 단권번역사건의 관련, 조선신학교 교수시절에 여성신학

부의 책임을 자처했던 일, 성경 고등비평의 일부 수용 등의 사건에서 드러나기도 하지만 교

계의 논란이 있을 때는 언제나 분열지양의 일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가 제시한 올바른 신앙노선 네 가지 중에서 신학적 논의와 가장 관련 있는 부분은 복음

주의이다. 그러므로 복음주의의 검토는 한경직의 중요한 신학적 모티프이지만 이 용어를 설

명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특히 복음주의라는 용어가 사용하는 사람의 의도와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현실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김경재는 복음주의라는 용어가 명확히 정의

될 때까지 용어사용을 지양하는 입장24)을 취한다. 필자의 생각은 김경재의 견해에 동의하는

한편 한경직 연구에 있어서 복음주의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 용어를 사용하는

의도와 맥락이 함께 설명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경직의 복음주의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징을 따른다. 첫째 복음은 각 민족의 현실을

개선하고 구원하는 의미를 가지며 민족구원을 위한 개개인의 민족의식과 사회참여를 강조한

다. 그러므로 인간은 하나님의 나라실현을 이루어가는 존재로서 하나님의 계시로서의 양심

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민족구원에 참여25)한다.

여기에는 종말론적 관점에서의 긍정적 인간관이 작용한다. 한경직이 이해하는 양심은 신

앙적 양심 뿐 아니라 사회적 양심, 민족적 양심을 비롯하여 보편적 영역까지 기능26)하는 칸

트적 이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간은 계시로서의 양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원사역을 위해 응답하고 참여하는 일이 당연시되며 의무론적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다. 양

심은 인간이 삶에서 만나는 수많은 선택의 순간에 작용하는데, 예를 들어 재물과 의, 정욕

과 경건, 그리스도와 세상 등과 같은 선택에서 한경직은 인간이 양심에 의해 올바른 선택을

하리라는 긍정적 시각27)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한경직은 무서운 심판에 대한 경고나 선

택에 대한 인간적 고뇌 등은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한경직에게 있어서 복음

이란 민족단위의 구원을 의미하며 민족구성원 개개인이 민족의식을 가지고 사회영역에 적극

‘교회 신앙론’으로 묶었다. 임걸, 「한경직(1902-2000)의 교회신앙론」,『한국기독교신학논총』24(한국기독교

학회, 2002), 193-224쪽. 또한 한경직의 신학을 교회중심주의로 분석한 기존연구가 있다. 한숭홍, 같은 책,

197-205쪽.

22) 올바른 신앙노선 네 가지 중에서 에큐메니칼 정신도 신학적 논의의 차원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그러나 한경

직의 에큐메니칼 논의는 같은 목적을 위한 사업상의 연합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질 뿐, 신학적 논의로서 다루

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한경직의 내적 맥락에 따라 구성되었으므로 에큐메니칼 정신을 사회참여와 실천적 측

면에 두었다. 「성령 안에서 하나」,『3』, 137-138쪽.

23) 이 신조는 1932년 12월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서 개최된 북미기독교연합공의회에서 제정된 것이다. 한경직,

「기독교회의 사회적 신조」,『신학지남』15-3(1933), 366-367쪽.

24) 김경재, 「한국신학의 태동과 흐름」,『기독교사상』 518(2002 2월), 128-136쪽.

25) 「믿음과 착한 양심」,『1』, 374쪽;「자신을 계시하신 하나님」,『2』, 464쪽;「공의와 평화」,『5』, 61쪽.

26) 「거리낌없는 량심」,『11』, 296-302쪽.

27) 「회개와 보상」,『2』, 182쪽;「회개와 신앙」,『5』, 288쪽; 「쉬지 말고 기도하라」,『8』, 174쪽.

Page 8: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8 -

참여케 한다.

둘째, 한경직이 제시하는 복음주의의 근본정신은 성서에 있으며 성서의 근본정신으로 국

가건설28)을 강조하였다. 즉 '복음화운동 = 국가문제 해결'을 의미한다. 민족현실에서 국가적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정신적 변화29)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복음화운동이었다. 그

러므로 복음화운동은 개인과 사회, 국가적 차원의 모든 현실적 문제를 개인의 내적 회심에

서 출발하는 전도운동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한민족은 복음을 다른 민족에게 전해야 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한경직은 한민족

이 복음의 전달자로서 아시아 국가와 민족에게 복음을 전하고 아시아복음화에 기여해야 한

다고 강조하였다.30) 다른 민족에게 기독교를 전하는 것은 그 민족의 부흥에 기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음전파는 민족이기주의를 극복하고 복음이 자민족을 넘어서 타민족에게 전달되

도록 하는 역동적 흐름을 강조한다.

넷째, 청교도주의는 조국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생활태도이다. 청교도주의

는 복음과 삶의 일치를 지향하는 생활태도를 강조하여 복음의 뜻을 삶 속에 실현하고자 했

다. 한경직은 청교도주의가 미국의 초기 건국이념에 영향을 준 것을 이상적이라고 여겨 한

국에 적용하고자 했다.31) 청교도적 생활태도의 강조는 당시 근대화운동의 일환으로 퍼졌던

계몽적 성격의 사회질서쇄신운동, 애국계몽운동과 일치하는 점이 많다.

즉 한경직의 복음주의는 기독교 사상을 수용하고 실천하여 영적, 현실적 구원에 이르는

총체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32) 또한 한경직의 복음주의는 개인의 구원에 머무르지 않는 민

족단위의 구원론이다. 그의 복음주의에서 인간은 민족현실에 깊숙이 참여함으로써 하나님

나라실현을 직접 이루어가는 능동적 존재이므로 개인의 민족의식과 사회참여가 중요하다.

2. 신문명 : 가나안복지

한경직은 한민족이 이루어야 할 목표를 총칭하여 가나안 복지라고 불렀다. 구약에서 가나

안 복지는 유대민족의 새로운 정착지를 뜻하지만 한경직의 가나안 복지는 한민족의 질적 변

화로서 종교운동(민족복음화)을 통한 민족번영을 의미한다. 한경직은 성서에 나타난 종교적

신앙과 민족번영의 관계33)를 한경직은 민족의 상황에 적용시켰다.

한경직은 가나안 복지의 의미를 다양한 현실적 차원34)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개인적

28) 「성경은 어떠한 책인가」,『6』, 55-56쪽.

29) 「재난과 그 교훈」,『9』, 312-320쪽.

30)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1』, 415-423쪽; 「위대의 새 표준」,『9』, 271-281쪽.

31) 한경직과 대미관계는 좀 더 상세히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외적으로 한경직은 미국적 영향에 밀접하게 보

인다. 그러나 미국의 기독교적 건국이념을 제외한 나머지 언급들은 미국적 영향력을 경계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미국 장로교의 결의사항을 일방적으로 답습하려는 국내 기독교계에 대한 우려(「화해의 복음」,『8』,

211-212쪽.), 미국의 자유주의적인 도덕관과 사회풍조에 대한 경계(「자유와 그 책임」,『8』, 34-45쪽.), 초

기 건국이념의 변질에 대한 경계 등이다.

32) “한 목사에게는 민족을 살리고 부흥시키는 길이 다름 아닌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고 그대로 사는 것이었

다”, 최태연, 「한경직 신학의 이해」,『인문과학』숭실대 논문집 29 (1999 12월), 69쪽.

33) 신앙과 민족의 관계는 구약 전체의 주제라고도 할 수 있으며 특히 신명기신학에서 잘 나타난다. 신명기 신학

논의는 다음을 참조. John H. Hayes, 『구약학 입문』, 이영근 역, 크리스찬 아카데미, 1994, 190-202쪽.

34) 가나안 복지를 총회차원의 해석에 적용한 사례, “금번총회는 요단을 건너는 획시기적 총회 가나안을 꿈꾸는

새 전환의 총회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한국교회사료연구원,「가나안 점령할 해」,『추양 한경직 목사 기독공

보 기사 모음집(1952년〜2001년)』, 한국교회사료연구원, 2002, 19쪽.; "단결하고 죄를 깨끗이 한 후 가나안

을 정복하자. 우리 총회의 총력을 5개년 계획안에 신설할뿐더러 민족전체를 주께로 인도하여 한국을 영적으로

온전히 정복하자.",「한국교회의 사명, 가나안을 정복하라」, 같은 책, 23쪽.

Page 9: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9 -

차원에서 사업의 성공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민족적 차원에서는 통일, 자유와 번영의 민족국

가로 해석하기도 하고, 영적 차원에서는 영혼구원, 하늘나라 입성, 민족복음화, 기독교국가,

아시아복음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 외에 교회와 총회 차원에서 중요한 사업경영을 의미35)

하기도 한다. 즉 한경직에게 있어서 가나안 복지의 의미는 개인과 민족차원의 모든 현실적

필요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한경직이 제시한 가나안 복지의 의미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첫째는 민족 현실

을 개선하고 참여하는 것을 기독교인의 의무로 여겼다는 점이며 둘째는 현실적 문제를 영적

문제로 환원시켰다는 점이다. 여기서 우리는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의 의의와 한계를 동

시에 발견하게 된다. 기독교의 사회참여에 적극적인 측면은 사회 참여적 입장에서 긍정적

의의를 가지지만 모든 현실 문제를 영적 차원으로 본 점은 신앙적 환원론이라는 한계를 가

진다.

모든 천재를 영적 방면에 바치고 교육을 종교화하고 과학을 종교의 혼으로 발전케 하여야

하겠습니다. 대한의 문명은 과학의 몸에다 기독교의 혼으로 창조해야 하겠습니다. 대한의 건

국도 그렇습니다.36)

위의 인용문에서 한경직은 교육과 과학을 종교화해야 할 것을 강조하는 한편, 건국도 종

교의 정신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그동안 기독교의 사회참여의 긍

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기도 했다. 한경직 스스로도 이러

한 이중적 평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는 적극적 사회참여를 하면서도 신앙적 환원론

으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보수주의자가 되어갔다.

한경직의 정치적, 사회적 성향은 생애 후기에 갈수록 점차 보수성향이 짙어졌다. 그의 보

수적 성향은 태생적인 한계이기도 하다. 한경직은 공산당의 종교박해를 직접 체험한 이북출

신의 월남 목회자이자 월남 개신교인 교회설립자37)로서 승공통일론을 지지38)하며 공산주의

와의 어떠한 타협도 허용하지 않는 강경한 반공주의자이다. 승공통일론은 정치, 경제, 사회

의 모든 분야에서 북한보다 우위를 점하여 국가체제를 통합적으로 발전시키려는 접근법으로

서 이러한 통일론자들의 특징은 사회불안요소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고 사회 안정을 최

우선 순위에 두는 행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이후 한경직의 정치적 입장을 평가할

때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한경직의 정치적 입장을 결정하는 내적 동기는 민족구원이라는 종교적 관점에 있다. 한경

직의 정치적 입장은 고정불변의 그것이 아니라 종교적 관점에 따른 이차적 태도39)로서 때

로는 협력적, 때로는 비판적 입장을 취하게 된다.40) 한경직의 기본적인 정교관계 인식은 국

가와 종교의 분리를 표방하면서 국가에 대한 종교의 기여를 정신적 측면에 두었다. 한경직

35) 「산 믿음」,『9』, 370쪽.

36) 「기독교와 현대문명」,『1』, 136쪽.

37) 강인철은 ‘예장통합교단과 월남 기독교인의 대표격’으로서 한경직의 행적을 통해 교계의 정치적 태도를 언급

하였다. 강인철, 「남한사회와 월남기독교인-극우반공체제하의 교회활동과 반공투쟁」,『역사비평』 (1993 여

름), 111-112쪽, 각주 147 참조.

38) 「빈집의 위험」,『10』, 37쪽.

39) 정진경은 한경직이 유신헌법 반대서명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사회불안가중과 당시 추진 중이던 군복음화 사

역의 정부허가를 위함이었다고 지적한다. 정진경, 「한경직 목사와 선교」,『제2회 한경직목사 기념강좌집』,

숭실대 한경직센터, 1998, 24쪽.

40) 강인철은 박정희 정권과 예장통합교단의 관계를 ‘포괄주의 내지 절충주의적 태도’로 언급하였다. 강인철, 앞

의 논문, 111쪽.

Page 10: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10 -

이 주장하는 정치참여태도의 기본원칙은 결코 소극적이지 않다. 그는 모든 사회영역이 하나

님의 영역에 속하므로 적극적 참여를 주장하였다.

우리들은 사회정화, 사회정의 구현에 꼭 동참해야 합니다. 그 방법도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내가 내 개인적으로 직장에서 그리고 어디서든지 바르고 깨끗한 생활로써 빛과 소금

의 생활을 하여야 합니다. 둘째는 사회정화, 사회정의 구현을 위한 단체, 또는 정당에 적극

참여하여 이 운동에 선구자가 되는 것입니다.41)

한경직의 정치적 참여의 한계는 목회자적 정체성에 있었다. 적극적 정치참여를 주장하긴

했지만 참여방식은 개인의 선택과 결정에 맡길 뿐, 정치적 세력형성에는 무관하였을 뿐 아

니라 교회의 정치세력화를 반대함으로써 교회의 사회참여방식과 기독교인의 정치활동의 한

계를 스스로 규정하고 있다.42) 이러한 정치참여의식은 가톨릭 성직자들의 정치 참여관43)과

동일하다.

3. 기독교 : 복음화운동

본 장은 한경직이 주도한 복음화운동의 주요특징을 소개하는 한편 복음화운동이 20세기

후반 한국 기독교 양적 성장의 주요 원인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복음화운동은 한

경직이 기독교적 건국론의 세 가지 요소 가운데 가장 주력한 영역이다. 한경직은 복음화운

동의 중요성을 인지한 후 1964년 전국복음화운동위원회를 주도적으로 조직하여 복음화운동

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다. 그에 앞서 한경직은 한국전쟁 시기부터 군선교와 구제 사업을

통해 복음화운동의 조직적 운영을 이미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복음화운동의 대략적인 시기

는 1950년대 초부터 1980년대까지 약 40여년이 해당하며 이 시기는 한국기독교의 급속한

양적성장의 시기와 일치한다. 한국 기독교의 기하급수적인 양적성장은 이례적인 사회현상으

로서 세계적 관심을 받았다.

이병주는 복음화운동을 1900년대 초 부흥운동44)의 연장선상에서 비교의 가능성45)을 제

시하였다. 역사적 정황으로 볼 때, 1900년 대 초 부흥운동과 한국전쟁 이후 복음화운동은

국난의 경험 이후에 일어난 종교운동인 점이 유사하지만 전개의 양상은 차이가 있다. 1900

년대 초 부흥운동은 ‘백만 명 구령운동’의 전도운동으로 연계되었으나 선교적 관점에서는

뚜렷한 가시적 성과가 없었다.46) 백만명 구령운동에 대해 민경배는 선교사 주도의 계획된

복음화운동이 실패하였다고 평가하였다. 김영재도 비록 비현실적 목표의 전도운동으로 효과

는 미비하였지만 결과와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여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부흥운동의

특징은 당시의 역사적 정황에 비해 내면적 신앙에 침잠47)했던 반면 교회의 대사회적 대응

41) 「그리스도의 몸」,『11』, 139-140쪽.

42) 백성남, 「자유대담-한경직원로목사, 축복받기 보다는 용서받기 위하여 기도하라」,『통일한국』(1984 4월),

53쪽.

43) 교황청 교리서 위원회,「제3편 그리스도인의 삶」,『가톨릭 교회 교리서』(2442),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3. 3월 12일 발표.

44) 한국기독교의 역사적 사건인 1903년 원산 부흥운동과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을 일컫는다.

45) 김경재, 앞의 논문, 김경재는 부흥운동을 교회부흥신학으로 규정하고 한국 기독교계의 주류적 성격을 형성해

왔다고 정의한다. 이병주는 1900년대 초의 부흥운동과 한국전쟁 이후의 기독교의 전개양상에 대한 비교 가능

성을 제시한다. 이병주,「1907년 평양대부흥운동의 요인 규명」,『한국기독교와 역사』 19(2003), 82쪽, 각주

12번 참조.

46) 김영재, 『한국교회사』, 이레서원, 2006, 135쪽. 민경배, 앞의 책, 326쪽.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

기독교의 역사Ⅰ』, 기독교문사, 1995, 277쪽.

Page 11: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11 -

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여기에 비해 복음화운동은 한경직을 비롯한 교계 지도자들의 주도하에 조직적 전개되어

급속한 양적성장이 이루어진 점이 대비된다. 한경직이 주도한 복음화운동의 특징은 시대정

황에 부합하여 한국전쟁 후의 정치, 사회, 경제적 재건과 복구의 필요, 조국근대화의 과제,

정권불안정에 대한 사회적 불신 등과 같은 사회적 분위기에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다.48) 한경직은 종교적 신앙과 민족의 안위목적을 결합시켜 민족의 미래는 복음화운동에 달

려있다는 것을 강조49)하였다.

복음화운동은 민족단위의 전도운동으로서 민족현실 개선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 원리를

한경직은 참된 신앙이 복된 민족의 미래를 보장하는 신앙의 원칙50)으로 발전시킨다. 여기서

우리는 ‘신앙 내연(內燃)의 외연(外延)으로의 현상화’가 구체적으로 드러남을 목격하게 된다.

복음화운동은 단순한 종교부흥운동이 목적이 아니라 종교부흥을 통해 민족현실을 개선51)하

기 위한 것이다.

기독교 사상에 철저한 나라는 정치적 자유와 경제적 자유를 찾습니다.52)

한경직은 전략적 노력을 기울여 복음화운동을 다양한 방면으로 전개시켜 나갔다. 특히 예

장 통합총회의 복음화운동 내용을 설펴보면 한경직의 지도력과 조직력이 잘 나타난다. 예장

통합총회의 복음화운동을 구체적 영역별로 살펴보면, 각종 전도대회 개최, 북한선교, 선교

전략적 운동기구 설치, 해외선교, 특수선교, 군선교 영역으로 살펴볼 수 있다.53) 각 영역별

복음화운동의 전개내용과 그 성과와 평가의 문제는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복음화운동은 종교운동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연구의 필요가 있다. 복

음화운동으로 인한 사회현상들을 분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국전쟁 이후 다양한 복음

화운동의 전개, 한국 기독교 인구의 기하급수적 증가, 교회의 양적성장 증대54) 등 일련의

움직임들은 사회적 이슈들로서 한경직을 주요축으로 삼지 않은 것이 없다.

오늘날 한국 기독교의 양적성장현상은 중요한 사회현상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며, 평가 자체도 부정적 비판에 치우쳐 있다. 그러므로 사회현상으로서 복음화운동에

대한 객관적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복음화운동은 에큐메니칼 운동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

를 가지고 있다. 한경직은 국내에 에큐메니칼 운동노선을 처음으로 소개하는 한편, 에큐메

니칼 운동노선의 취지에 따라 연합운동으로서 복음화운동을 주도해 나갔다. 전반적으로 복

음화운동은 한경직이 대표적인 주창자이자 지도자, 그리고 에큐메니칼 운동의 주동자로서

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음화운동 연구는 한경직 연구에 있어

47) 이병주, 앞의 논문, 77-108쪽; 이덕주, 『한국 토착교회 형성사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87-158쪽; 서정민, 「초기 한국교회 대부흥운동의 이해」,『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종로서적, 1992.

48) 한국 기독교 양적성장이 근대화와 함께 이루어졌다는 종교사회학적 접근은 다음을 참조. 김병서, 『한국사회

와 개신교-종교사회학적 접근』, 한울아카데미, 1995.

49) 「오천만 복음화를 위한 새로운 헌신」,『11』, 400쪽.

50) 「아골 골짜기」,『11』, 418쪽.; 「산 믿음」,『9』, 370쪽.

51) 「지혜있는 자의 생활」,『11』, 233쪽.

52) 「기독교와 현대문명」,『1』, 196쪽.

53) 한경직이 주도한 복음화운동의 세부 내용은 다음을 참조, 이혜정,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과 복음화운

동』, 74쪽, 105〜137쪽; 한국교회사료연구원, 『추양 한경직 목사 기독공보 기사 모음집(1952년〜2001

년)』, 한국교회사료연구원, 2002.

54) 한경직은 양적성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는 전통종교가 많은 한국에서 기독교의 양적성장이 중요

하다고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경직은 스스로 교회성장이나 대형교회 자체를 목적으로 삼지는 않았다. 조만, 앞

의 글, 101-102쪽.

Page 12: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12 -

서 중요한 주제이다.

필자는 복음화운동과 한경직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시하고자 한

다. 첫째, 복음화운동의 구체적 연구로서 복음화운동의 배경과 전개, 그리고 한국사회에 끼

친 영향에 대한 평가이다. 복음화운동은 사실상 한국전쟁 당시의 구호활동과 군선교를 통해

시작되었지만 복음화운동의 명칭이 사용된 것은 1964년 전국복음화운동위원회가 조직55)되

고 나서이다. 이 위원회에서 한경직은 김활란과 함께 명예회장으로 추대되어 이후 복음화운

동을 전개한 실질적인 주도인물이다.

둘째, 복음화운동은 에큐메니칼 연합운동의 측면에서 국내교회 연합의 측면 뿐 아니라 해

외교회와의 관계정립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경직은 1957년 예장 총회에서 에

큐메니즘 노선을 공식발표함으로써 국내 에큐메니즘 노선을 정립56)시켰다. 복음화운동은

1964년 전국복음화운동위원회가 조직됨으로써 본격적으로 전개되었지만 그 이전에 중요한

과정을 거쳤다. 바로 한경직이 예장 통합측 내에 협동사업부를 구성하여 해외교회, 국내 선

교부, 국내 교회 삼자간의 관계정립을 해결하고 삼자의 활동을 국내 선교활동으로 더욱 일

원화시켜 복음화운동의 전개에 핵심적 역할57)을 하게 되었다. 이처럼 복음화운동 전개과정

을 통한 에큐메니칼의 두 가지 측면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58)

한경직을 통하여 복음화운동의 내적동기를 분석해 보면 시대적 정황을 목회자적 정체성

안에서 이해하고 대응해 나간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외연을 목격하게 된다. 한경직은 민족적

과제에 대해 스스로 교회가 할 일을 정신적 측면에 두어 복음화운동에 집중하고 한편으로는

사회참여의 차원에서 구호활동과 봉사활동을 주도해 나갔다.

4. 후속연구의 과제

본고의 목적은 한경직 연구의 해석틀로서 기독교적 건국론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설명

하는 것이다. 기독교적 건국론은 기독교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민족현실에 적극적으로 대응

해 나갔던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경직은 민족현실을 인식하고 기

독교, 신문명, 애국의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한민족의 건국과 부흥을 실현하기 위해 목

회자적 정체성 안에서 헌신적으로 전념하는 삶을 살았다.

한숭홍은 한경직의 신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한경직의 신학, 그것은 철저히

인간적이며 현실주의적이다. 이를 위해 더 이상의 수식어는 필요없다."59) 그의 지적은 한경

직 연구의 어려움과 한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한경직의 생애와 활동을 신학화, 또는 이론

화하려면 자료의 문제부터 시작하여 많은 어려움이 있다. 무엇보다 한경직의 삶이 철저히

현실적 맥락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한경직은 그저 현실에서 그를 필요로 하는

모든 일을 외면하지 않고 충실하게 감당하며 살아온 선한 인물이다.

그러면 좋다, 나 본래 교회에서 일하려고 신학한 사람이니까 배운 대로 하겠다. 교회에 봉

사하겠다. ……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는 신학이나 그런 것을 너무 따지는 것보다도 내가 배

55) 김영재, 앞의 책, 320쪽; 김인수, 『한국 기독교회사』,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371쪽; 김해연, 『한국기독

교회사-한국 기독교 문화사 및 사상사』, 성지출판사, 1999, 411쪽.

56) 『제42회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회의록』, 1957,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출판부, 65쪽. 이후 총회(예장 통

합)록은『제〇회 총회 회의록』으로 간략 표기함.

57) 『제49회 총회 회의록』, 1964, 68〜85쪽.

58) 이혜정, 앞의 논문, 89〜102쪽.

59) 한숭홍, 앞의 글, 21쪽.

Page 13: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13 -

운 것 가지고 내가 할 수 있는 일 모든 봉사를 다하겠다 하는 생각을 했어요. 그러고 보니

거기 고아원도 양로원도 없음을 알고 고아원과 양로원도 짓고 그런대로 목회생활을 정착시

켜나갔지요60)

인용문에 언급된 것처럼 한경직은 일평생 '기독교의 진수는 사랑이고 봉사며, 어떻게든지

영혼을 구원하고 일신을 구원하는 것에 있다'61)고 믿었고 그렇게 실천하며 살았다. 그의 삶

이 현실 중심적이기 때문에 신학화, 또는 이론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지라도 그의 존재 자

체가 한국 기독교사에서, 나아가 한국 근현대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크기 때문에 연구자들

은 그가 한국 기독교사와 한국 근현대사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물어야 하는 것이다.

본 글은 한경직에 관한 신학화, 또는 이론화 작업이라기보다는 한경직이 차지하는 한국

기독교사적 의미와 한국 근현대사에서의 의미를 묻기 위한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글을 시작으로 후속연구가 이어져야 한경직 인물연구의 갈무리가 이루어 질 것이기 때문에

맺음말에서 앞으로 한경직 후속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소개하는 것이 의미 있을 것이다.

필자는 본인의 박사학위논문에서 한경직 인물연구의 여러 측면들을 조명하였는데 각 부분을

더욱 발전시킬 의무와 책임을 느끼고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후속연구들은 필자가 앞으로

발전시켜야 할 과제들이기도 하다.

본고에 이어져야 할 한경직 후속연구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경직의 생애와 활동

에 대한 분석연구이다. 지금까지 한경직 연구는 신학과 신앙의 특징을 분석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는데 그 외 한국사회의 흐름과 연관 지어 설명해야 할 요인들이 제외되어 온 경향

이 있다. 그의 생애를 크게 구분한다면 생애초기와 유학기, 국내 활동기로 구분할 수 있으

며 생애와 활동에서 분야별로 설명되어야 할 영역은 생애 초기 교육의 영향, 정치적 태도,

대미관계, 신학과 신앙의 특징, 목회관, 목회활동 등이다. 또한 각 영역에 대해 구체적인 자

료를 통한 예증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복음화운동의 연구로서 복음화운동의 배경과 전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복음화

운동은 공식적으로는 1964년 10월 6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모인 신․구교 75인의 인사들이

결의한 전국복음화운동위원회 출범이 시초였으나 사실상 한국전쟁부터 한경직 주도로 이루

어진 구호활동과 군선교가 시작이었다. 복음화운동의 시작은 한국근현대 사회변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는데 복음화운동을 통한 한국기독교의 양적성장 자체가 사회현상이기 때문이다.

복음화운동의 각 분야별 전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복음화운동에 대한 평가도 한

국사회에 끼친 순기능과 역기능의 양 측면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기독교적 건국론에 대한 평가로서 특징과 한계를 정리하는 일이다. 이것은 한경직

의 생애와 활동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고 난 후 내려야 할 한경직 인물연구의 전체적

평가이기도 하다. 필자의 한경직 인물연구의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있어야겠지만 이 글에 나

타난 기독교적 건국론에 대한 특징과 그 한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독교적 건국론의 특징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민족단위의 현실적 구원관을

확립한 점이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종교적 의미뿐 아니라 민족의 현실을 인식하고

현실적 구원을 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진보와 보수의 절충적

수용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경직은 복음화운동의 주도적 역할과 함께 기독교의 정치, 문

화적 개화운동62)을 동시에 강조함으로써 해방이전, 즉 한반도에서 기독교를 수용했던 복음

60) 이만열, 앞의 글, 148쪽.

61) 이만열, 위의 글, 158쪽.

62) 정치적 개화는 정치적 변혁에 앞서 변화된 개인의 도덕적 품격의 구현화, 근대 시민국가의 이념적 기초로서

Page 14: 한경직 연구의 관점 : 기독교적 건국론(이혜정)

- 14 -

1세대가 가졌던 진보보수의 양대 과제를 동시에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기독교적 건국론의 한계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경직은 정교분리원칙

과 목회자적 정체성에 입각하여 복음화운동에 평생을 헌신하였지만 이러한 행적은 시간이

갈수록 정치적 보수성을 나타냈다. 특히 그의 투철한 반공사상과 사회 안정 추구의 열망은

소극적 정치참여태도를 결정지었다. 둘째,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해방 당시에는 기독

교인의 적극적인 사회대응이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보수성을 피할 수 없었다. 특히 기독교

적 건국론이 정부수립 이후 보국, 안보, 사회 안정 추구의 성향이 강해질수록 보수성은 짙

어졌고 새로운 비전제시가 부재하였다. 셋째, 한경직의 승공통일관과 원색적이고 이원론적

인 반공사상은 민족통합기능을 약화시킨 점이 있다. 비록 한경직이 북한선교차원에서 통일

정책과 통일 사업을 지지했지만 남북한 민족의 정서적 통합에는 소홀히 대처하였던 한계가

존재한다.

한경직의 민족의식과 신앙의 외연화는 기독교적 민족의식의 한 사례이다. 특히 그의 영향

력이 남한인구의 1/4에 해당하는 개신교 주류세력에 끼친 영향을 감안하면 한경직의 민족

의식은 오늘날 한국기독교 대중의 민족의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

한국기독교세력의 주류는 보수적 성향의 정치적, 신앙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경직이 한국기독교계에 끼친 영향력은 지대하였다. 그것은 한경직이라는 인물의 대표성

에도 있지만 서정민이 지적63)한대로 오랫동안 한국 기독교계에서 그를 대체할만한 지도력

이 부재했다는 점이 정확할 것이다. 오랫동안 그의 영향력에 기대온 한국기독교계는 그의

영향력을 새롭게 정립하고 적용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은 그가

살았던 당대에 부합한 것으로 오늘날 우리 시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이제 그의 기독

교적 민족의식은 이 시대에 맞게 반성과 재정립을 통해 민족을 위한 기독교로 다시 새롭게

태어나야 할 과제를 남기고 있다.

반왕적 지양성을 추구하며 문화적 개화란 교육운동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민경배, 앞의 책, pp. 236-263.

63) 서정민, 「상징적 '카리스마'와 '리더십'에 관하여」,『기독교사상』 499(2000 7월), 9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