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28
소소소소소 소소소소소소 2013. 7. 19. 권권권 권권권권권권권 권권권

description

Scientometric analysis on asteroids, comets and meteorites studies

Transcript of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Page 1: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2013. 7. 19.권기석

한국천문연구원 세미나

Page 2: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차례 1 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 2 본 연구의 분석대상과 분석방법 3 국가별 네트워크 4 기관별 네트워크 5 분야간 네트워크 6 주제어간 네트워크 7 토의

Page 3: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

구분 명칭 특성

Data

특성에

따른 분류

Biblometrics출판된 기록물 형태의 정보들을

양적 측면에서 연구

Scientometrics과 학 의 양 적 측 면 을 논 문 의

정보를 통해 연구

Technometrics기 술 의 양 적 측 면 을 특 허 의

정보를 통해 연구

Webometrics웹상의 정보들을 양적 측면에서

연구

Informetrics 정보를 양적 측면에서 연구

목적에

따른 분류

Research Profiling

연구 결과 집합으로의 패턴을

식별하여 연구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발췌

Patent intelligence특허 문서 분석을 통해 기술의

경향과 기술간 관계 분석

Knowledge visualization이해와 통찰력을 위한 도구로써

그래픽화한 정보 제공

Tech mining

과학기술 정보의 텍스트마이닝

(text mining) 도 구 를 통 해

기술혁신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적용 (application)

출처 : Thelwall e.t al. (2003) 재구성

분류기준에 따른 계량정보분석의 정의

출처 : 저자

계량정보분석의 각 범주간 관계

Page 4: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

연구프로파일링은 연구 결과 집합으로의 패턴을 식별하여 연구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발췌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

전통적인 문헌검토(literature re-view)

연구프로파일링(research profil-ing)

분석 초점논 문 을 하 나 하 나

검토하는 미시적 초점

문 헌 전 체 에 서 패 턴 을

인식하는 거시적 초점

검토 범위 20 여개 정도로 좁음 20-2 만개까지 넓음

관련 주제매우 협소한 연구문제

관련 주제

관련된 주체를 포괄하는

보다 넓은 범위

텍스트 토의 텍스트를 통한 토의

텍 스 트 외 에 수 치 ,

그 래 픽 을 제 공 하 면 서

토의

출처 : Porter et al. (2002), p.364.

< 전통적인 문헌검토와 연구프로파일링의 비교 >구분 세부 내용

기 존

연 구 성 과 의

파악

- 연구영역 내 관련된 연구주제 (research topic)

파악

- 연구영역을 넘어서는 연구주제 파악

- 연구활동에 대한 “거시적 안목 (big picture)” 획득

- 거시적 안목에서 흥미로운 주제 도축

연구자 집단의

이해

- 정보원 (information source) 의 파악

- 기존의 전체문헌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는지 파악

- 연구관심과 연계된 타 연구자와 연구기관 , 특히

상이한 연구영역과 분야의 연구자를 파악

기법과 주제의

탐색

- 전체 연구분야에서 주제가 관계를 도시 (mapping)

- 목표한 연구주제가 다른 분야와 어떻게 엮이는지 파악

- 도시를 통해 연구주제를 결합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

- 어떤 주제가 " 뜨는지 (hot)" 파악

- 특정 연구기법이나 주제의 파급효과 (impact) 를

파악

- 전도유망한 연구주제를 심층 탐색출처 : Porter et al. (2002), p.364.0

< 연구프로파일링의 활용 >

Page 5: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

계량정보분석을 이용하는 다양한 프로젝트

계량정보분석을 이용하는 다양한 기관

- 국립과학재단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 해군연구소 (ONR: Office of Naval Research) - 조지아공대 기술정책평가센터 (TPAC: Technology Policy & As-

sessment Center) - 전미경제연구소 (NBER: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

search)

기술정책평가센터의 알란 포터 교수의 연구팀 - 미국 국립 과학 재단 (National Science Foundation) 의 지원을 받고

있는 Ping Wang 의 STICK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oncept Knowledge-base) 프로젝트

Science-Metrix

Page 6: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Rafols 박사는 다양한 계량정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나노분야의 연구동향 및 추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바 있음 .

출처 : Rafols et al (2010) 출처 :Rafols et al (2010)

영국 Sussex 대학 SPRU

Page 7: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Solar Cells 프로젝트

< 전 세계 태양전지분야 논문의 주제어 군집 >

출처 :http://studies.cwts.nl/projects/solar-cell/show?page=downloads

Page 8: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계량정보분석의 최근 동향

NISTEP( 과학기술정책연구소 :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Policy) 의 계량정보분석

- Science Map 시리즈의 발간과 변화 경향 파악

- 학제간 연구와 다학제 연구의 구분을 통해 차별화된 촉진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가능해짐 .

자료 : NISTEP

- 주기적인 Science Map 의 작성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지식의 변천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임

<Science Map 의 연도별 변화 포착 >

- 국가 분야별 비교연구 Science Map 의 작성을 통해 주요 국가들의 지식활성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 일본은 이를 전략적 R&D 기획에 활용하고 있음 .

Page 9: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본 연구의 분석대상과 분석방법본 연구의 분석대상과 분석방법 데이터 수집 Thomson-Reuter Web of science 의 논문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데이터 추출

분석방법 수집된 논문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 국가별 , 기관별 기술통계와 Net-miner 를 활용한 네트 워크 분석 실시

(((wc=((Astronomy and Astrophysics) or (Engineering and Aerospace) or (Engineering and Geological) or (Geochemistry and Geophysics) or (Geology) or (Geosciences and Multidisciplinary) or (Materials Science and Multidisciplinary) or (Mineralogy) or (Mining and Mineral Processing) or (Remote Sensing) or (Robotics) or (Spectroscopy)) and (ts=(asteroids or comets or meteorites))))) AND 언어 =(English) AND 문서 유형 =(Article) 기간 =2000-2013. 데이터베이스 =SCI-EXPANDED

Page 10: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분석대상과 분석방법분석대상과 분석방법 데이터

Page 11: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분석대상과 분석방법분석대상과 분석방법 분석방법 – coauthor network

저자매개 저널 ( 분야 ) 네트워크

논문매개 기관 , 지역 , 국가 네트워크

국가 , 기관 , 주제어 , 분야간 네트워크 분석 실시

Page 12: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세계의 소행성분야 성장세계의 소행성분야 성장 최근 13 년간 소행성 연구분야는 총 10,174 건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연도별 소행성 분야 논문생산 추이 (2000~2013)

Page 13: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국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국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소행성 분야 전체 10,174 건의 논문 중 5,164 건의

논문을 발표한 미국이 세계 소행성 연구분야의 논문 중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소행성 분야 국가별 논문생산 추이 (2000~2013)

Page 14: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국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국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미국을 중심으로 독일 , 영국 , 프랑스 , 스페인 , 일본 ,

러시아 등의 연구그룹을 형성하고 있음

< 소행성 분야 국가별 논문생산 추이 (2000~2013)>

* 링크강도 ( 공저논문회수 ) 20 이상이 경우만 표시하였음

Page 15: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국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국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2002 년도와 2012 년도 국가별 논문발표 현황을

비교해보면 미국 , 프랑스 , 독일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있으며 , 최근에 영국이 부상하는 국가로 조사됨

2002 년 2012 년

연 번 국 가 명 논 문 수 점 유 률 연 번 국 가 명 논 문 수 점 유 률

1 USA 356 47.9 1 USA 470 51.12 FRANCE 104 13.9 2 FRANCE 169 18.33 GERMANY 88 11.8 3 GERMANY 155 16.84 JAPAN 58 7.8 4 ENGLAND 105 11.45 ITALY 53 7.1 5 ITALY 80 8.76 RUSSIA 52 6.9 6 SPAIN 75 8.17 ENGLAND 48 6.4 7 JAPAN 69 7.58 SPAIN 32 4.3 8 CANADA 60 6.59 NETHERLANDS 30 4.0 9 RUSSIA 56 6.0

10 PEOPLES R CHINA 24 3.2 10 AUSTRALIA 45 4.811 CANADA 23 3.0 11 SWITZERLAND 38 4.112 POLAND 19 2.5 12 PEOPLES R CHINA 35 3.813 UKRAINE 19 2.5 13 NETHERLANDS 30 3.214 SWITZERLAND 17 2.2 14 POLAND 28 3.015 AUSTRALIA 12 1.6 15 FINLAND 26 2.8

Page 16: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국가간 논문 공저자 네트워크국가간 논문 공저자 네트워크

2002 년 국가간 네트워크 2012 년 국가간 네트워크

* 링크강도 ( 공저논문회수 ) 7 이상이 경우만 표시하였음

미국을 중심으로 프랑스 , 네덜란드 , 이태리 , 러시아 , 독일 , 스페인 , 사이의 연구그룹화

차이점은 독일이 연구네트워크의 중심에 진입했다는 것이며 , 선진국간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있음 . 한국은 일본과 주로 연결되어 있음 . 따라서 선진국 그룹과 연구협력을 강화할 필요

Page 17: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기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기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최근 13 년간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기관은 전체 논문 중

13.1% 를 발표한 National Aeronautics Space 로 조사되었으며 , 미국 소속의 기관들이 상위로 조사되었음

Page 18: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기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기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칼텍 , 미항공우주국 , 메릴랜드대 , 존스홉킨스대 , 코델

데 , UCLA 등이 코어그룹 형성

< 소행성 분야 기관간 네트워크 현황 >* 링크강도 ( 공저논문회수 ) 15 이상이 경우만 표시하였음

Page 19: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기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기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 년도별 기관간 논문 생산 분포 변화 >

2002 년 2012 년

연번 기관명 논문수 점유률 연번 기관명 논문수 점유률

1NATIONAL AERONAUTICS SPACE ADMINISTRATION NASA

104 13.9 1NATIONAL AERONAUTICS SPACE ADMINISTRATION NASA

119 12.9

2 MAX PLANCK SOCIETY 44 5.9 2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83 9.0

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43 5.7 3 MAX PLANCK SOCIETY 76 8.2

4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35 4.7 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64 6.9

5 JET PROPULSION LABORATORY 32 4.3 5 UNIVERSITY OF CALIFOR-

NIA LOS ANGELES 47 5.1

6 AMES RESEARCH CENTER 30 4.0 6 UNIVERSITY OF MARY-

LAND COLLEGE PARK 41 4.4

7 JOHNS HOPKINS UNIVERSITY 29 3.9 7 JET PROPULSION LABO-

RATORY 40 4.3

8 RUSSIAN ACADEMY OF SCIENCES 27 3.6 8 GODDARD SPACE FLIGHT

CENTER 35 3.8

9 CORNELL UNIVERSITY 24 3.2 9 UNIVERSITY OF HAWAII SYSTEM 35 3.8

10 OBSERV PARIS 24 3.2 10 UNIVERSITY OF PARIS DIDEROT PARIS VII 34 3.7

Page 20: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기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기관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2002 년 기관 간 네트워크 2012 년 기관 간 네트워크

* 링크강도 ( 공저논문회수 ) 3 이상 경우만 표시하였음 . 전체 네트워크의 95% 를 차지하고 있는 첫 번째 , 두 번째 , 세 번째 콤포넌트 까지 표현함

미항공우주국과 코넬대가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 위스콘신대와 존스홉킨스대가 각각의 기관과 강한 협력

미항공우주국이 별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 칼텍의 중심성이 매우 짐 . 또한 막스플랑크연구소 , 유럽우주기구 , 파리대 등 유럽지역의 기관의 부상

Page 21: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분야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분야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 공동출현이 20 회 이상인 링크만을 표현함 . 링크의 굵기는 공동출현한 회수를 의미함 .

Astronomy&Astrophysics 를 중심으로 물리학 , 지질학 , 기상학 등과 강한연계를 맺고 있었으며 , 공학분야가 네트워크에 있어 중요한 분야로 나타남

Page 22: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시기별 분야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시기별 분야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 공동출현이 10 회 이상인 링크만을 표현함 . 링크의 굵기는 공동출현한 회수를 의미함 .

2007 년부터 최근까지의 분야간 네트워크로 Astronomy&Astrophysics 를 중심으로 공학 , 지질학 , 지구화학 및 지구물리학이 중요한 분야로 나타났으며 , 물리학 , 화학 , 분광학 , 인스트루먼테이션 등을 중심으로 하는 클러스터를 공학이 연결하고 있음

Page 23: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시기별 분야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시기별 분야간 논문 분포 및 네트워크

* 공동출현이 10 회 이상인 링크만을 표현함 . 링크의 굵기는 공동출현한 회수를 의미함 .

2006 년 이전까지 분야간 Astronomy&Astrophysics 를 중심으로 공학 , 지질학 , 기상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이는 최근 시기와 비교시 , 기기와 관련된 공학분야와 관계가 상대적으로 미비

Page 24: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소행성 분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소행성 분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 공동출현이 20 회 이상인 링크만을 표현함 . 링크의 굵기는 공동출현한 회수를 의미함 .

주제어 전체 네트워크에서는 asteroid, celastial mechanics, comets: general, astrochemistry 등이 중요한 주제어로 나타남

Page 25: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2002 년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2002 년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 공동출현이 3 회 이상인 링크만을 표현함 . 링크의 굵기는 공동출현한 회수를 의미함 .

2002 년의 주제어 네트워크를 보여주고 있음 . 전체 네트워크와 다른 것은 comets, minor planets 의 주제어가 나타난다는 점

Page 26: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2012 년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2012 년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 공동출현이 4 회 이상인 링크만을 표현함 . 링크의 굵기는 공동출현한 회수를 의미함 .

2012 년도 네트워크와 다른 것은 comets: general, astrochemistry 의 주제어가 나타난다는 점임 . 따라서 향후 새로운 연구경향을 반영

Page 27: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향후 과제향후 과제 주제어 등의 범주화 진행 시각화에 있어서 기준점을 잡아 비교 용이하게 개선 질적인 정보 ( 인용수 등 ) 와 결합 원 데이터에 따른 별도 빈도수 계산 주제어 등 중복 값에 대한 데이터 노이즈 제거

Page 28: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