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18
201239가이아쓰리디() 대표이사 신상희([email protected])

description

국토부 신임 국토정보정책관과의 간담회 발표 자료

Transcript of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Page 1: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2012년 3월 9일

가이아쓰리디(주) 대표이사

신상희([email protected])

Page 2: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2

  거시환경 분석(PESTEL)

정치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기술적

요인

환경적

요인

법적

요인

• 자연자원가격의 급등에 따라 자원 부국에서 매핑 및 GIS 관련 투자 증가 예상

• 정권교체기에 대한 고려 필요

• 한국 GIS 업체의 해외 진출에 대한 본격적인지원 시작 예상

• 전 세계 경제는 전반적인 불확실성 속에서 3.5%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SERI)

• 한국 경제는 3.6% 성장 전망. 물가상승률은 3.4%로 예상

• 세계 GIS 시장은 11% 성장 예상(Daratech)

•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광범위한 확산과 소셜미디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대중적 확산이 예상됨

• 복잡한 기술 자체보다는 편하고 빨리 쓸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

• 참여에 기반한 Crowd Sourcing 관심 증가

• 향후 모마일 플랫폼이 데스크탑을 대체하는 대세로 성장

• 클라우드 컴퓨팅, 3D, Open Source 등이 우리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

• 타 분야와의 커버전스 증가 예상

•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 녹색 성장 등이 주요한 화두

• 방재 분야에 대한 관심 증가 예상

• 탄소배출권 등과 관련된 기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해킹 대처, 개인정보보호, 영상 자료 보안 등에 대한 중요성 증가

• 특히 공간정보의 해상도가 높아지고, 그 소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사생활 보호와 관련된 이슈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Page 3: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3

  최근의 공간정보 분야 세계 시장 동향

  2010년 21억 6천 만 달러의 매출 기록한 스웨덴 회사   ERDAS(ER-Mapper 포함), Intergraph, Leica Geosystems, GeoMax 등을 인수하여 자회사화   ESRI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 중

  2010년 7억 9천만 달러의 매출 기록   공식적으로 전 세계 GIS 소프트웨어 시장의 40% 이상 점유. 비공식적으로는 70% 가량의 시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Wikipedia)

  고객 35만, 본사 직원 2,800명, 전 세계 80개 국가에 딜러망, 2,200개 이상의 비즈니스 파트너

  오픈 소스 GIS가 기존 독점 소프트웨어에 대한 대안으로 급 부상 중   OpenGeo, Simple Geo, Geo Solutions 등 상업적 오픈 소스 GIS 회사 등장   EU INSPIRE, 미국 국방성 등에서 그 성능과 신뢰성, 보안성 등을 인정받음   OSGeo를 중심으로 강력한 개발과 홍보 활동 전개 중

  Autodesk와 Bentley는 전통적인 GIS 소프트웨어 시장보다는 특화된 시장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전략 수정

  Autodesk와 Bentley는 CAD, Utility, Engineering, Infrastructure와 관련된 GIS 부분에 집중 중

Page 4: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4

  공간정보 분야 시장 성장 현황(2004-2009)

Page 5: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5

  공간정보 분야 시장 성장 전망(2011-2015)

  2010년 보고서에서 공간정보 분야 시장은 향후 5년 간 연평균 10.5%의 성장을 기록하며 2010년에 비해 65% 성장할 것으로 예측

  정부 부문과 유틸리티 부분이 가장 큰 시장이 될 것으로 예측. Smart Grid, 보험, 부동산, 소매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이 발생할 것

  지역적으로는 인도, 중국, 브라질 등에서 상당한 수요 발생 예상

Page 6: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6

  Profit Pool의 이동?

직원수 : 80 여명 이용자 수 : 1,200만명 이상 매출액 : ???

직원수 : 2,800 명 고객 : 35만 이상 매출액 : 7억 9천만 달러

7조 ~ 10조 가량(추정) 1조 가량

Page 7: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7

  Google Trends를 이용한 공간정보기술의 현 위치 파악(GIS)

Page 8: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8

  Google Trends를 이용한 공간정보기술의 현 위치 파악(3D GIS)

Page 9: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9

  첨단 기술 발전 곡선(Gartner Hype Curve)

Page 10: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10

  AutoDesk의 전망

Page 11: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11

  한국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개인적 단상

대형 사업 위주 - 작게는 몇 십억 대에서 크게는 몇 백억 대의 대형 사업 위주로 발주됨

1

과도한 정부 의존 - 대부분의 매출이 정부나 공공 기관에서 발생하며, 해외 진출마저도 정부에 의존하는 경향

전통 GIS에 대한 집착 -  공간정보산업의 주요 시장이 이동하고 있음에도 전통 GIS에 대한 집착이 강함

2

3

대형 사업 위주로 사업이 발주됨으로써 대형 SI 회사가 수혜를 받고, 대부분의 중소 기업은 사업 참여 기회마저 박탈당하거나 하청 업체로 전락

정부나 공공기관에 과도하게 의존하여 신사업 개척이나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며, 공공 사업에 수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산업 전체적으로 활력이 없음

전 세계적으로 공간정보산업의 영역과 중심이 동태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에도 전통적인 GIS에 대해서만 집착하는 경향이 있음

시사점

산업계 전체적으로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경험, 의지, 노력 등이 매우 부족한 편이며, 세계적인 동향 등에 매우 둔감함

글로벌 마인드의 부족 -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의지나 노력이 많이 부족한 편

4

Page 12: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12

  한국 공간정보산업 개선 방향 – 1

GIS 산업에 대한 인식 전환 -GIS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중소기업형 산업

1

정부 주도에서 업계 자생성 확보로

작고 혁신적인 사업 위주 발주 -미래 예측에 기반한 대형 사업 위주보다는 다수의 작고 혁신적인 유전자 풀이 만들어 지도록

2

생활 밀착형 사업에 대한 관심 필요 -영국 Ordnance Survey의 GeoVation과 같은 정책 필요

3

과도한 중앙정부 주도 자제 -중앙정부는 큰 틀의 정책 방향과 표준화를 설정하고, 실제 실행은 지자체가 할 수 있도록

4

Page 13: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13

한국의 상황 • 독자적 공간정보 기술력 확보의 어려움

• 과도한 정부 의존

• 선진국에 비해 영세한 기업 규모

• 제한된 자원으로 모든 분야에 투자 불가능

• 외산 기술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높은 의존성

극복 전략 • 특화 분야에 역량 선택적 집중

• 전통적인 GIS 분야는 오픈 소스 GIS의 과감한 활용

• 대중을 활용한 혁신 전략 마련(오픈 소스 GIS 및 V

GI의 과감한 채택 및 활용)

• 오픈 소스 GIS 활용을 통해 외산 기술 의존성 하락

선택과 집중의 Outside-In 전략 채택

  한국 공간정보산업 개선 방향 – 2

Page 14: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14

개방과 공유의 Inside-Out 전략 채택

1

2

 GIS는 향후 다른 분야에 내포(embed)되며 보이지 않는 기술(Invisible)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됨  혁신은 타 분야와의 경계에서 발생. GIS 기술을 과감하게 타 분야에 적용할 때 새로운 시장 창출

 기후, 방재, 시설물 관리, 마케팅, 환경, 농업, 교통, SNS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GIS 회사 출현 지원

 미국의 GOS(GeoSpatial One Stop)과 같이 과감한 지리정보의 무료 공개

 궁극적으로 싸고, 빨리, 쉽게 공간정보기술과 자료를 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

 OpenStreetMap과 같은 VGI에 과감한 자료 제공 및 협력

  한국 공간정보산업 개선 방향 – 3

Page 15: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15

  일반적인 비즈니스 성장 방식

Page 16: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16

  우리는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

기존 기술 혹은 가치 신 기술 혹은 가치

신규 고객

기존 고객

S/W

영상

S.I.

해외 진출

3D GIS

매핑

다른분야

???

Open Source

Open Data

Page 17: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신상희([email protected]) 2012년 3월 9일 17

• 중장기적으로 과도한 정부 의존을 줄이는데 정책 목표 설정

• 과도한 중앙정부 주도 자제 정부 의존도 감소 노력

• 타 분야와 연계와 융합이 필요한 부분에 자원 집중

• 전통적인 GIS 부문은 오픈 소스 GIS 및 Open GeoData 등의 과감한 활용 선택과 집중

전략

• 향후 공간정보산업의 활로는 타 분야와의 연계에 있음을 인식

• 타 분야와의 연계와 융합 활성화를 위해 기술 및 정보의 과감한 공개 개방과 공유

전략

• 산업계에 정부 위주의 사업은 감소할 수 있음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음

• 업계가 특화된 분야에 특화된 기술로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

• 중소기업을 위한 작고 혁신적인 사업을 중단기적으로 지속적 발주

• 생활밀착형 사업과 혁신에 관심 필요

업계 자생력 확보

• GIS는 사실상 성숙 기술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런 변화에 따른 정책 필요

• 시장의 중심은 전통적인 GIS에서 다른 곳으로 급속히 이동하기 시작 공간정보기술에 대한 인식 전환

Page 18: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