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17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I. 연구배경 및 목적 II.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III.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IV.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Ⅴ. 시사점 및 제언 작성 유지연 / Private Curve 기획실장 ([email protected]) 이익주 / 정책연구실 산업정책팀 주임연구원 ([email protected]) 2014-03 호(통권 80 호) 2014. 7. 15. 코카포커스

description

 

Transcript of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Page 1: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I. 연구배경 및 목적

II.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III.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IV.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Ⅴ. 시사점 및 제언

작성 유지연/Private Curve기획실장([email protected]) 이익주/정책연구실산업정책팀주임연구원([email protected])

2014-03호(통권 80호)2014. 7. 15.

코카포커스

Page 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요약

1.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 �음악�산업의�디지털화

-�영국은�타�유럽�국가들보다�빠르게�디지털화에�적응해나가며,�다양한�음악�온라인�서비스�운영

-�2012년�디지털�앨범�판매�수입의�피지컬�앨범�판매�수입�추월

● �스트리밍�서비스와�앨범�다운로드의�강세

-�영국�음악�산업�중�2013년�스트리밍�판매�수입의�전년대비�41%�증가

-�영국�음악�산업�총�수입의�약�50%를�디지털�음악�수입이�차지하며�음악�산업의�중심�개편

-�2013년�디지털�앨범�다운로드�판매수입은�전년대비�19.5%�증가

● �앨범�포맷�형태�와�음악�출판�산업계�수익채널의�다변화

-�피지컬�포맷의�수입은�감소(6.4%)하였으나,�피지컬�포맷�중�LP�판매수입�증가

-�음악�출판업의�다른�소스와의�협력을�통해�수익�채널�다변화�도모

● �라이브�음악�시장�강세

-�라이브�음악�시장의�성장으로�인해,�불법�음악�유통으로�발생한�수입�감소�타격�상쇄

-�2009년부터�라이브�음악�시장의�가치가�레코딩�산업을�넘어서는�추이�보임

-�라이브�티켓의�온라인�판매가�약�90%를�차지

-�주요�도시�기반의�지역�라이브�밴드�구성�및�공연�활성

-�올림픽과�과잉공급으로�인한�페스티벌�수요�감소에�대해�관객�지향적인�새로운�형태의�페스티벌�추구

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 �영국�비즈니스�모델�구조

-���영국�음악�산업�구조는�다수의�플레이어가�복잡히�연결되어있으나,�음반�산업과�라이브�음악�산업으로�구분

3.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 �라이브�음악�정책

-��UK�Music이�구성되며�라이브�음악�시장�조직�통합�시도

-��2차�티켓�판매에�관한�규제�정책�논의

-��라이브�공연법�2012�시행과�추가�규제�완화에�대한�논의

● �디지털�음악�정책

-���BPI,�IFPI,�NFIB�및�런던�경찰과의�협업을�통한�불법사이트�결제진행�금지방침과�광고업자들의�불법사

이트에서의�홍보�금지�협조

0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3: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정부의�강한�입장�및�개입�필요�여론�제기

● �디지털�경제법�2010

-�온라인�저작권�침해를�줄이기�위한�시스템�및�기술적�제재에�대한�기준�수립

-�개인의�인터넷�상에서의�자유�침해�등에�대한�반대�논란�직면

4. 시사점 및 제언

● �새로운�시장�환경�변화가�반영되는�전략적�접근�필요

-���급변하는�음악�산업�비즈니스�환경�변화에�적절히�대응할�수�있는�정책적�전략과�글로벌�경쟁력�강화를�

위해�새로운�시장�환경�변화가�반영된�접근�필요

● �라이브�산업�육성·강화�방안�필요

-�공연관련�규제�완화를�통해�창작자와�뮤지션들이�창조경제에�공헌할�수�있는�기회�제공

● �음악�산업의�대표자�역할�및�리서치�강화

-�정치적·경제적으로�음악�산업의�목소리를�대변할�수�있는�통합�조직의�효율적�구성�및�운영�필요

-�음악�산업의�잠재적�비즈니스�기회를�파악할�수�있는�데이터�축적과�타�산업과�연계된�리서치�필요

03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4: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I. 연구배경 및 목적

○�음악�산업은�아날로그에서�디지털로의�전환에�따라�가장�큰�영향�받음

-���콘텐츠�산업�중�음악�산업은�전통적인�비즈니스�모델에서�디지털화에�따라�생산,�유통,�소비에�걸쳐�큰�변화

를�겪고�있음

○�음악�산업�비즈니스�모델의�변화

-�음악�산업은�전통적으로�앨범에�다수의�곡을�담은�음반이라는�상품�형태로�소비자에게�전달

*규모의경제에따라싱글앨범의판매수익은상대적으로낮음

-�디지털화에�따른�유통·복제비용�감소로,�규모의�경제에�대한�장벽이�낮아지며�싱글앨범의�수요�증가

-�이로�인해�기존�음악�산업에서�지배적이었던�앨범�기반의�비즈니스�모델�약화

○�음악�산업�생태계�변화

-�음악�산업의�디지털화에�따라�지속적인�불법�음원�유통과의�문제에�직면

-���이를�통한�저작권�침해�이슈�증가는�기존�음악�산업�비즈니스�모델의�큰�위협인�동시에�새로운�비즈니스�모

델의�창출�요구

○�음악�산업의�구조적�특징

-���디지털화로�인해�유통,�프로모션의�다양한�아웃소싱�기회�증가에도�불구하고,�여전히�메이저�음반사�소유�유

통�시스템에�의존하는�수직화�구조�

*전세계음반회사는기존5개에서SonyMusic의BMG인수및영국음반사EMI의UniversalMusicGroup합병1)으로3개

메이저사(UniversalMusicGroup,SonyBMG,WarnerMusicGroup)중심구조

-���음악�산업은�광고수입에�비해�주로�음반�판매�수입과�로열티�수입에�의존하는�구조이나,�온라인�음악�서비

스의�등장으로�산업�내�광고�수입�비중�점차�증가

○�음악�산업�유통구조�변화

-�음악�산업의�디지털화에�따라�손쉬운�공유·소비를�통해�소비자들의�향유�혜택�증가

-�인터넷�음악�공유를�통해�아티스트들의�음악�판매�및�더�넓은�관객층에�대한�라이브�공연�어필�기회�증가

-���유튜브�및�SNS등의�활성화로�인해�개인�아티스트의�홍보�기회는�확대되었으나,�성공한�대부분의�아티스트

들은�여전히�메이저�레코드�회사�및�전문�투자�지원�기관을�통해�배출되고�있는�상황

○�음악�산업�소비�패턴�변화

-���메이저�음반사�중심의�기존�모델에서�보다�더�많은�플레이어들에게�시장이�공개되는�등,�음악�산업의�디지털

화로�인한�생태계�변화는�전통적인�방법과는�다른�방식으로�플레이어들에게�영향을�미침

1)레코드사업부분과음악배급부분이UMG에인수,퍼블리싱부분은Sony/ATVMusicPublishing이인수

04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5: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디바이스�확대로�인한�온라인�음악�서비스�이용�증가는�오프라인�음반�매장의�존재�위협

-���SNS는�사용자에게�음악을�공유하는�수단�제공�및�온라인�스트리밍�서비스와�연동되어�음악�마케팅과�판매

에�대한�중요성�증가

○���이러한�국내외�음악�산업의�디지털화�및�비즈니스�모델�변화에�대해,�영국�음악�산업의�변화�및�정책�현황�분석

을�통해�국내�음악�산업의�발전�방안�모색�도모

Ⅱ.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 음반 업계 현황

○�음악�산업의�디지털화

-���영국은�유럽�국가�중�디지털화에�빠르게�적응해가며,�70개�이상의�합법�음악�온라인�서비스를�운영하는�등�

디지털�음악시장에서�빠른�성장세를�보임

-���레코드�레이블의�경우도�디지털�유통�채널을�통해�온라인�및�모바일�음악�서비스를�유럽�다른�나라들보다�빠

르게�시작

-���디지털�앨범과�음악�스트리밍�서비스의�성장에�따라,�2012년�디지털�음악�판매�수입이�처음으로�일반�판매�

수입�추월

영국 음악시장 포맷별 판매 수입: 2012-2013 단위:천£표 1

2012 2013 증감률(%)

피지컬포맷

싱글 2,148 2,254 -6.8

앨범 366,740 344,182 -6.2

뮤직비디오 21,213 18,924 -10.8

합계 390,371 365,360 -6.4

온라인

싱글 127,365 121,716 -4.4

앨범 134,266 160,468 +19.5

뮤직비디오 2,198 1,604 -27.0

합계 263,829 283,788 +7.8

스트리밍

서브스크립션 39,836 54,684 +37.3

광고기반 14,526 19,042 +31.1

클라우드 - 3,014 -

합계 54,362 76,740 +41.2

*출처:TimIngham(19February,2014).재구성

05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6: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음악�스트리밍�서비스의�강세

-�영국�음악�산업의�2013년�스트리밍�판매�수입(7,674만�파운드)이�전년(5,436만�파운드)대비�41%�증가

-���디지털�음악�수입이�영국�음반�산업�총수입의�50%를�차지하여�디지털�음악을�중심으로�음악�산업이�개편되

고�있는�상황

-���디지털�싱글앨범�판매는�전년대비�4.4%�감소하였으나,�서브스크립션�스트리밍(subscription�streaming)2)�

서비스는�37.3%�증가

-�2013년�스트리밍된�수(74억�건)는�2012년(37억�건)�대비�2배�증가

-���음악�스트리밍�서비스는�클라우드�서비스의�확대로�인해�빠른�성장세를�나타내고�있으며,�전체�영국�음악�산

업�성장�견인(전년대비�1.9%�성장)

*음악스트리밍서비스수입액약7,674만파운드

-���독립된�Official�Streaming�Chart의�등장(2012년�5월)은�디지털�스트리밍�포맷에�대한�레코드�비즈니스와�

소비자�모두의�관심이�증대한�결과

○�앨범�다운로드의�강세

-�앨범�다운로드�판매수입은�전년(13,427만�파운드)�대비�약�19.5%�증가

*2013년바스틸(Bastille)과같은신인영국아티스트의디지털앨범판매(Title:BadBlood)와디지털편집앨범,디지털로만발매

된비욘세의‘프리미엄’에디션앨범의판매증가에따른것으로분석

○�앨범�포맷�형태의�변화

-�2013년�CD와�싱글,�뮤직�비디오�판매�수입은�36,540만파운드로�예상치보다�낮은�6.4%�감소한�것으로�조사

-�영국�음반�산업�수입�중�피지컬�포맷3)은�아직�절반�이상을�차지하여�여전히�중요한�포맷

-���LP�판매수익이�전년(2012년)�대비�49%�증가세를�보이며�1,210만�파운드의�수입�발생�및�2013년�총�앨범�수

입의�2.4%�차지

-�LP�판매는�1994년�이후�가장�높은�수준의�판매량을�보이며�2013년에는�전년�대비�판매수량�100.8%�증가

LP 판매량 변화: 2009-2013 표 2

포맷 2009 2010 2011 2012 20132013

점유율

전년대비

증감률

LP 0.219m 0.234m 0.337m 0.389m 0.781m 0.8% +100.8%

*출처:StuartDredge(2013).재구성

□ 음악 출판 산업계 현황

○�수익�채널의�다변화�

-���초기�음반판매량�감소�후�음악�출판4)은�음반판매에�큰�영향을�받았지만,�기존�전통적인�모델�이외의�다른�소

2)매월잡지나신문을구독하듯,소비자들이온라인스트리밍콘텐츠를체험하기위해소비자가신청을하면업체가다양한콘텐츠를제공해주는신

개념유통서비스

3)PhysicalFormat:음반등의제품을디지털이아닌CD,LP등의물체에담아내는형태

4)대부분의메이저레이블은출판(Publishing)부문을가지고있는데,이는전체수익의약1/3을차지하고있음

06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7: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스와의�협력을�통해�수익�채널의�다변화�도모

-�음악�출판사들은�불법�침해로�큰�타격을�받았던�음반�부문에�비해�상대적으로�영향을�적게�받음

-���음악�출판업은�사업�성격상�아티스트�개발과�음반�제작,�마케팅,�광고,�유통�등과�관련된�비용이�발생하지�않

아�음반사보다�높은�투자�수익률�창출

-���복제권�로열티�손실이�피지컬�앨범�판매�감소로�인해�발생하였으나,�디지털�다운로드�판매�증가로�인해�안정

적�상태�유지

-�음반�판매�수입이�가장�많고,�음악�출판�수입5)이�그�뒤를�이으며�증가세를�나타내고�있음

-���특히,�유럽�국가들의�공연�저작권�수입이�지속적으로�증가하여,�영국의�경우�가장�높은�성장세를6)�나타내고�있음

2006-2010 유럽 주요 8개국 공연 저작료 성장세 (단위 US$ million)그림 1

120

100

80

60

40

20

0

UK

Germ

any

Fran

ce

Spain Italy

Nethe

rland

s

Switzerlan

d

Belgium

2006 2010

*출처:IFPI(2011).

□ 라이브 음악 산업계 현황

-���라이브�음악�산업계는�라이브�음악�성장으로�인해,�음악�산업이�불법�음악�유통으로�발생한�음반�수입�감소�

타격�상쇄

-���디지털화로�소비자들이�새로운�아티스트를�찾아내는�작업이�보다�쉽고�효율적으로�가능하게�되었고,�이로�

인해�콘서트�산업에서도�더�많은�수익을�창출�할�수�있는�기회�마련

○�영국�라이브�시장의�강세

-���영국은�2009년�라이브�음악�시장�가치가�처음으로�음반�산업을�넘어서는�추이를�보이며�라이브�음악�시장의�

강세를�보임

5)라이브공연,라디오방송,영화TV삽입곡등에대해징수

6)[그림1]에따르면,2006년과2010년사이18%가증가하여,$11,110만의수입발생

07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8: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영국 라이브와 음반 시장 가치 비교 (단위:million £)그림 2

1500

1200

900

600

300

0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Primary Tickets (PRS for Music)

Recorded Music Trade Value (BPI)

*출처:GregParmley(July,2011).

○�라이브�티켓�시장�동향

-�영국에서�티켓�판매�점유율은�Ticketmaster가�가장�높으며,�그�뒤를�See�Ticket이�차지

-���이외�The�Ticket�Factory,�Ticketweb,�WeGotTickets,�Eventin�UK�등의�업체가�나머지�시장에서�경쟁하

고�있는�상황

-�영국�티켓의�90%�이상이�온라인을�통해�판매되며,�평균�티켓가격은�37파운드

○�지역�라이브�공연의�활성화

-���라이브�밴드들이�맨체스터,�글래스고,�리버풀과�같은�도시를�주요�거점으로�구성해가며,�각�지역별로�독특한�

라이브�공연�문화가�자리잡고�있음

*글래스고의경우,보통1일15회이상의밴드공연개최

���-�지역별�라이브�음악시장�문화는�각각의�음악색이�다양하고�독특한�특징을�보임

*같은영국내에서도볼튼과글래스고사이에라이브음악성격이다르며,런던의음악이스코틀랜드에서는받아들여지지않을

정도로지역간의차이가큰것이특징

○�페스티벌�인기�상승

-���단독�콘서트의�계속된�티켓�가격�상승에�따라,�상대적으로�한�번에�많은�라인업을�볼�수�있는�페스티벌에�대

한�수요�증가

*영국의대표페스티벌인‘LeedsFestival’과스코틀랜드의‘TinthePark’의경우페스티벌기간동안1일에약5∼10만명의관

객이참여했고,‘GlastonburyFestival’(영국최대규모)의경우1일약10∼14만명의관객이참여하는것으로집계

-�약�650만�명의�관광객이�2013년�영국의�페스티벌�및�공연�참관을�위해�약�220,000만�파운드�소비

08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9: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3년한해콘서트참가자들은평균602파운드를소비하고페스티벌은평균910파운드를소비한것으로집계되며,일반

관광객의1인당지출600파운드보다더많은것으로나타남

○�페스티벌의�위기와�대응

-���영국�페스티벌�시장은�지난�몇�년간�유사한�라인업으로�구성된�페스티벌�기획으로�차별성이�부족하여�음악�

소비자들의�불만족을�가져왔고,�또한�이러한�페스티벌의�과잉�공급으로�인한�시장의�포화를�낳음

*최근몇년동안지속된경제침체위기와대안이벤트(ex.2012년런던올림픽)등으로페스티벌의수요감소

-�결과적으로,�2012년�대형�페스티벌인�Sonicsphere�UK을�포함한�많은�페스티벌이�취소됨

*TheBigChill,GoGoFestival,LadyRockFestival,PrideHouse,TrowbridgeFestival,KelvedonFreeMusicFestival,Harvestat

Jimmy’s,TitanicLockdown등이취소

-���2012�런던�올림픽의�영향으로�무료�라이브�이벤트가�증가하여,�페스티벌�중심지인�영국�남부�지역을�중심으

로�한�유료�콘서트�시장의�관객확보�난항

-���특히,�올림픽�여파�이외에�콘서트�시장의�포화,�아티스트�개런티의�상승�및�새로운�대형�헤드라이너

(Headliner,�주연)의�부재�등이�시장�침체�원인으로�지적

-���이에,�대형�페스티벌�브랜드들은�행사를�진행할�새로운�지역을�개발하여�성장을�모색하고�있으며,�틈새�페스

티벌이나�지역�부티크�페스티벌�등�관객과�가까이�호흡할�수�있는�형태의�페스티벌�등을�지속적으로�추구

Ⅲ.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 영국의 음악 산업 관련 주요 플레이어

○�구조

-���영국�음악�산업의�구조는�다수의�플레이어가�복잡한�관계로�연결되어�있으나,��음반�산업과�라이브�음악�산

업으로�구분

*음반산업의핵심활동으로음반상품(피지컬과디지털)유통과저작권관리포함

-�음악�산업�구조를�이루는�각�플레이어들이�서로�얽혀�비즈니스�관계�형성

*음악출판사는음반판매와라이브공연에서지불되는로열티에서가장큰수입을얻고,라이브공연은음반판매를촉진하는

중요한역할을하는등각요소들이상호연결

○�PRS�for�Music(The�Performing�Right�Society�for�Music,�영국�음악�저작권�협회)

-�음악�창작자와�음악�출판업자를�위해�공연과�방송�사용을�위한�실연권�관리

-�음반�복제권을�관리하는�MCPS(Mechanical-Copyright�Protection�Society)를�하부조직으로�설치

-�주요�업무는�회원들의�실연권(Performing�Rights)7)과�복제권(Mechanical�Rights)8)에�관한�로열티�징수�및�

7)실연권(performingrights):음악저작물을상연및연주하는것과관련된권리로TV와라디오에서와같은방송에서의사용,펍,클럽,호텔,공연장

등에서의공연,인터넷과모바일서비스,TV와라디오에서의스트리밍과다운로드,해외사용등포함

8)복제권(mechanicalrights):기계적으로제작된음악저작물에대한저작자의권리로TV와라디오에서음악저작물사용,오디오와비디오쥬크박

스사용,컴퓨터게임,영화와비디오,도서관에서의사용,DVD제작,레코드회사로부터음악상품판매,해외사용등포함

09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10: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징수된�사용료의�분배

○�음악�출판업자(Music�Publisher)

-�저작자로부터�음악저작물�관리를�양도받아�곡을�관리하는�업무�담당

-���PRS�for�Music으로부터�징수되는�실연권(performing�rights)과�복제권(mechanical�rights)에�관련된�로열

티�이외에,�악보,�연극이나�오페라�등의�사용,�영화나�비디오�등의�음악�사용으로부터�수익�생성

○�창작자(송라이터,�작가�등)

-�음악�창작�작업을�위해,�음악�산업�관련�다양한�단체와�관계를�맺고�회계사�및�변호사와�업무협력�진행

*뮤지션조합(Musician’sUnion),PCAM(TheSocietyforProducersandComposersofAppliedMusic,실용음악제작자·작곡가

협회),BASCA(theBritishAcademyofSongwriters,Composers&Authors,영국송라이터,작곡가및작가협회)등과협력

-�실연권,�복제권�등의�수익�외에�PRS�Foundation(PRS�for�Music�Foundation)의�지원금�획득�가능

○�UK�Music

-���영국�음반�산업과�라이브�음악�산업의�공동�이익을�대변해주는�단체로,�다양한�음악�산업�관련�플레이어를�

포함

*MU(Musician’sUnion),PRSforMusic,BASCA,MPA(theMusicPublishersAssociation,음악출판협회),MMF(theMusic

ManagersForum,음악매니저포럼),PPL(PhonographicPerformanceLimited,레코드공연협회),BPI(BritishRecordedMusic

Industry),AIM(theAssociationofIndependentMusic,독립음악협회)등이UKMusic의멤버

-���정치적�로비�활동�참여,�시장�트렌드�파악�및�다양한�리서치�수행을�통해,�음악�산업과�관련된�정책�수립�및�

멤버들에게�이로운�새�법안�마련�등�추구

-���정부�차원에서�음악과�음악�저작권의�가치에�대해�인지할�수�있도록�다양한�활동�추진�및�국가�경제�차원에

서의�음악�가치와�영국�창조�산업에서의�주요�역할에�대해�정치·경제�리더들을�대상으로�어필하는�역할�

수행

*전국투어가영국경제에미치는효과,LiveMusicAct시행으로전망되는라이브음악시장의효과,음악유산투어리즘의잠

재적경제효과에관한리포트등발간

○�PPL(Phonographic�Performance�Limited,�영국�녹음물�관련�징수기관)

-�사운드�레코딩과�뮤직�비디오의�사용�허가�및�로열티�징수�담당

-���음악�콘텐츠의�해외�및�각종�온/오프라인�경로를�통한�사용에�대해�로열티를�징수하여�연주자와�레코드�회사

에게�사용료�분배�

○�레코드�회사

-�BPI�및�AIM�소속으로�도·소매업자와�편집�앨범,�해외�사용�등으로부터�수입을�얻어�연주자에게�분배

○�연주자

-���ISM(Incorporated�Society�of�Musicians–연주자,�작곡자,�교사를�위한�단체)�소속으로�매니저,�에이전트,�

회계사,�변호사,�콘서트�프로모터,�프로듀서와�비즈니스적으로�연결

10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11: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 영국 음악 산업의 주요 범주와 구성 요소

영국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주요 범주와 구성 요소표 3

주요 범주 구성 요소

창작자(ContentCreators)뮤지션,가수

작곡가,송라이터,작사가

음반(RecordedMusic)

레코드레이블

음악출판사

레코딩스튜디오·스태프

온라인음악유통사업자

음반디자인·제작

라이브음악(LiveMusic)

음악페스티벌기획자

콘서트프로모터

에이전시

프로덕션

티켓에이전시

공연장

음악출판(MusicPublishing) 음악출판업

음악단체(MusicSocieties)

저작권징수단체

음악매니저

음악무역단체

음악프로듀싱(MusicProducing)음악프로듀서

레코딩스튜디오와스태프

*출처:TheUKMusic(2013).재구성

○�광의의�음악�산업�범주�및�요소

-�음악관련�제조·유통업,�음악�방송,�교육�및�각종�서비스업�등

*음악소매(디지털·오프라인매장),디지털음악서비스,음악방송,뮤직비디오제작,음악장비와음악소프트웨어제조업,악

기판매,음악잡지,상품화제작및판매·유통,아티스트변호사·회계사,음악교사,경호,케이터링(catering)및각종라이브

공연과관련된서비스업등포함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구분 및 역할표 4

구분 역할

음악제작 작곡가,송라이터(song-writer),뮤지션과같은음악창작자의작업

음악출판사

(MusicPublisher)

작곡자나송라이터를대신해음반,라이브공연,클럽이나매장,영화,게임,라디오,TV등과같은곳에음악사

용을허락해주는역할

레코드회사

(RecordLabel)

•음반,뮤직비디오의마케팅과관련된브랜드를관리.주로생산,제작,유통,마케팅,프로모션과음반과뮤

직비디오의저작권관리등을담당.

*A&R(artist&repertoire)은아티스트스카우트를담당하는데,신인아티스트를발굴하고계약을체결,유지

하도록하는역할수행

•음반사는음반의저작권을소유하고,때로는음반제작을위해아티스트에게선급금을지급하기도하며유

통,마케팅과프로모션비용을부담

*아티스트는음악판매(CD또는디지털음원)로부터수익일부를받고,복제권(mechanicalrights)이라불리

는음반에담긴곡사용으로생기는로열티와다른수입원(ex.머천다이징등)으로부터수입생성

•음악을홍보하고판매하는다양한채널을가지고있는데,CD와같은피지컬포맷의경우기존의유통채널

인음반매장을통해오프라인으로유통되며,라디오,TV,영화,라이브공연,비디오플랫폼,온라인스토어,

음악서비스등을통해서도유통됨

*출처:NicolaSearle(2011).재구성

11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1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구조 변경

○�음악�산업�비즈니스�모델의�변화

-���뮤지션들의�전통적�수익원이던�라이브�공연의�수익이�음반�판매�수입으로�넘어가며,�음악�출판사(Music�

Publisher)와�레코드�회사에�의존해�수입을�얻고,�음악�출판사와�레코드�회사가�음악�산업의�주요한�게이트�

키퍼(Gate�Keeper)로서의�역할�수행

-���디지털�음악�상품의�등장으로�중간적�역할�없이�온라인을�통해�직접�음악�콘텐츠의�유통/판매가�가능하도록�

다양한�유통�방식과�창작기회�확대

*음악산업디지털화에따라대형음반사의경험·노하우·네트워크등의강점을기반으로한음악시장에서의영향력은유지

되나,새로운유통업자들의등장으로게이트키퍼로서의역할은상대적으로약화및유통시장구조재편9)

○�저작권�단체의�역할�강화

-���음악�산업의�디지털화에�따라,�회원들을�대신하여�저작권�징수�단체의�음반�사용�및�불법복제�등에�대한�저

작권�관리�기능�확대

-���저작권자를�대표하고�저작물�사용�허가를�담당하며,�저작권�요율�협상,�로열티�징수�및�분배에�대한�업무�등�

영역�확대

○�공연�지원�플레이어의�역할�강화

-���라이브�공연�확대를�위해,�부킹�에이전트(Booking�Agent)10),�콘서트�프로모터(Concert�Promoter)11)�및�공

연장�운영자의�플레이어로서�수행하는�역할�강화

영국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그림 3

*출처:PRSforMusic(2012C).재구성

9)기존레코드회사가직접온라인서비스를시작하거나음악서비스공급자와의조인트벤처등을통해온라인음악사업을시작하는등레코드회

사와인터넷/모바일플랫폼기반음악서비스사업자와의거래증가

10)공연자와공연자의공연을조율

11)공연의마케팅,티켓판매및지역공연장운영자와의조율담당

1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13: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Ⅳ.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 라이브 음악 정책

○�라이브�공연산업�활성화를�위한�조직화

-�2011년�UK�Music이�구성되며�라이브�음악�시장�조직�통합�시도

-�영국�음악�산업의�성숙화�단계에�대한�인식�상승�및�라이브�음악�산업의�중요성�인식

*영국정부의라이브음악산업의중요성인식에대한기대감상승과2013년음악투어리즘이영국경제에미치는영향에관

한리포트발표

○�티켓�재판매(Ticket�Resale)�규제�정책

-���새로운�온라인�경제�환경에서�새롭게�등장한�비즈니스�모델인�2차�티켓�판매(Secondary�Ticketing)12)에�관

한�논쟁�확대

-���실제,�2011∼12년�사이�영국�내�2백만�명�이상이�온라인�티켓�판매�사기로�864,000만�파운드�규모의�피해�

발생

-���이러한�2차�티켓�판매�옹호하는�측에서는�2차�티켓�판매는�자유�시장�경제의�자연스러운�결과이며,�오히려�

안전한�2차�티켓�구매�플랫폼을�제공함으로서�온라인�티켓�사기나�안전하지�않는�암표�구매로�인한�피해를�

줄이고�충성스러운�음악팬들을�유지할�수�있다는�주장

*하지만,2차티켓판매는아무런투자없이단순히올라가는티켓가격으로부터수익을얻는다는점에서잘못이라는지적을

당하고있음.특히,유명한공연의경우1차티켓시장에서초기티켓을대량으로구매하여,의도적으로희소가치를높여2차

티켓판매를조장하여수익을올리는관행또한문제점으로지적

-�즉각적인�정부의�간섭은�실행�가능성이�낮으나,�정책�규제에�대한�논의가�계속되고�있는�상황

-���2차�판매�부분을�컨트롤하고�판매�사기를�근절할�수�있는�정부의�규제�정책이�필요하다는�주장이�산업계와�

정책�담당자들로부터�지속�제기

-���특히,�2012년�런던�올림픽�티켓�재판매에�대한�규제�법안이�17분�만에�통과되어�시행되었던�사례가�있어�라

이브�음악�산업도�불법�판매�근절을�위한�강력한�정부의�조치가�필요하다고�주장

○�라이브�공연법�2012(Live�Music�Act�2012)

-���모든�공연에�정부허가를�받아야하던�기존�법률을�수정·보완한�라이브�공연법�201213)�제정으로�다양한�공

연�추진

-�음악�업계에서는�다양한�분야와�커뮤니티로부터�지원을�받으며�이�법안�시행에�기대감을�나타냄

-���영국은�일반적으로�작은�공연장에서�커리어를�꾸준히�쌓아온�뮤지션들이�글로벌�차원에서�성공을�거두며�미

래�뮤직�페스티벌의�헤드라이너가�될�수�있는�기반을�쌓는데,�이러한�작은�규모의�공연장들에게�자유로이�라

이브�공연을�열수�있는�기회를�주는�것은�결국�영국�음악�시장을�성장시킬�수�기회가�될�것으로�인식

12)일반적인티켓판매처인1차티켓시장(primaryticketing)이아닌매진된공연의티켓거래가이루어지는것으로,Viagogo와Seatwave와같은사

이트가대표적

13)2012년10월부터LiveMusicAct2012시행으로영국과웨일즈에서200석규모이하의소규모공연장과펍에서8시에서11시까지앰프를사용

한라이브공연에대해,지역허가를받을필요가없게됨.또한앰프를사용하지않는라이브공연은관객수의제한없이공연이가능

13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14: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또한,�영국�음악�시장�신(scene)14)에서�영국�아티스트들에게�보다�다양한�기회를�제공하며�라이브�공연시장�

활성화에�도움을�가져와�지역�사회�경제에도�영향을�줄�것으로�분석

-�영국의�라이브�음악�산업은�작은�펍에서의�공연과�잘�알려지지�않은�밴드의�음악을�듣는�사람들로부터�시작

-���라이브�공연법�2012은�영국�음악�시장�성장의�가장�중요한�기초인�풀뿌리�음악의�중요성이�강조되어,�산업

계와�정책적�측면의�시각에서�거시적으로�영국�음악�경제에�전략적으로�중요한�법안

-�현재�관객�제한을�늘리도록�규제�완화에�대한�논의�중(기존�200명에서�500명으로�확대)

□ 디지털 음악 정책

○�불법�음악�근절을�위한�노력

-���영국은�매달�약�7백만�명이�불법�콘텐츠를�제공하는�사이트를�방문하는�것으로�집계되어�불법�음악�유통�수

준이�높은�나라로�분류되며,�신규�온라인�음악�서비스들은�불법�사이트로�인해�피해를�받고�있는�상황

-�정부의�보다�강력한�입장과�개입�필요

•��AudienceNet15)�조사결과에�의하면,�응답자의�60%가�정부는�기업들이�불법�음악�유통�사이트에�광고하는�

것을�막아야�하며,�불법�다운로드를�금지하기�위해�조치를�취하여�창작�부문에�일자리를�더�보장해야한다는�

의견�제시

•��또한�61%의�응답자는�정부가�불법�다운로드와�관련된�법률에�대해�일반인들에게�교육을�보다�강화해야�한

다고�응답

-�BPI는�광고업자들이�상품과�서비스를�저작권�침해�사이트에서의�홍보하는�것을�금지하도록�권유

*광고산업의DigitalTradingStandardsGroup과파트너십구축을통해진행

-���또한�BPI와�IFPI(International�Federation�of�the�Phonographic�Industry,�국제�음반�산업�협회)는�이미�

런던�경찰과�NFIB(National�Fraud�Intelligence�Bureau,�국가�사기정보국)와�함께�주요�신용카드�회사들

에게�불법�사이트에서의�결제진행�금지�방침

○�디지털�경제법�2010�(Digital�Economy�Act,�DEA�2010)16)

-���음반�부문에만�연간�약�20,000만�파운드의�수익�손실을�입고�있는�온라인�저작권�침해를�줄이기�위한�목적

으로�제정

•���이러한�막대한�손실은�음반회사가�지속적으로�신인�투자를�하고�영국�음악�산업에서�중요한�고용과�수출을�

창출�할�수�있는�글로벌�차원에서의�성공�유지를�어렵게�만든다는�판단�반영

-���특히,�인터넷�서비스�제공사업자(ISP)가�콘텐츠�불법�이용�등�저작권�침해�행위시�행할�수�있는�저작권�침해�

공지�시스템�및�기술적�제재�기준�수립

•��합법적�디지털�서비스�활성화와�소비자�교육도�저작권�보호에�중요한�요소이지만,�강력한�법적�저작권�강화�

규정이�수반되지�않고서는�불법�다운로드�수준을�크게�낮추는�것이�현실적으로�불가능하다는�판단�아래,�온

14)영국음악산업의특징은뮤지션들이작은규모의클럽이나바에서공연을하며음악커리어를쌓는전통이강함

15)예슬기술을소비자의시각에서접근하며분석하는연구조사전문기관

16)영국의DigitalEconomyAct(디지털경제법)는온라인저작권침해로인해영국의창조산업이입고있는막대한피해를줄이고디지털과기술환

경의변화로인한창조산업활성화에대한강력한의지를표명하고있는법률로2010년4월법률로서공포

14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15: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라인�저작권�침해에�대해�단계적�대응(graduated�response)�제안

•��하지만,�더욱이�단계적�대응으로서�인터넷�서비스�이용자에�대한�경고�서한�발송은�ISP에�의한�장기간�법적�

분쟁과�불법복제�대응�프로그램�운영을�위한�재정�조달의�문제로�2015년까지�지연

-�하지만,�DEA�2010은�초기부터�개인�사생활�침해와�자유�침해가�주요�이슈가�되어�반대�논란�직면

•��계정�제한은�인터넷상에서의�자유�제한이며,�온라인�침해에�속하지�않은�사용자들조차도�부당하게�희생될�

수�있다는�의견

-���최근�창조산업�협의회(Creative�Industry�Council)와�ISP는�DEA에�대해�증거가�불충분하며,�디지털�경제

법을�재평가해야�한다고�주장

-���하지만,�온라인�저작권�침해는�창작자의�산물에�대한�지불과�창조적�투자에�대한�보상을�거부하는�것이기에,�

음악�산업�이해관계자들은�지속가능한�인터넷�콘텐츠�생태계�형성을�위해�도움이�될�것으로�전망

15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16: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Ⅴ. 시사점 및 제언

○�새로운�시장�환경�변화가�반영되는�전략적�접근�필요

-���창조�산업이�영국�경제에�차지하는�비중은�매우�높으며,�그�비중은�증가할�것으로�전망되어�최근�디지털화된�

음악�산업�비즈니스�환경에�적절히�대응해나갈�수�있는�다양한�정책적�전략들이�업데이트�되는�중

-���한국의�음악�산업도�문화·경제적�차원에서�이러한�필요성을�인식하고�정책적으로�연결될�수�있는�전략이�

필요.�특히�디지털화된�환경은�음악�산업의�영역을�재구성하고�있기에�글로벌�경쟁력�강화를�위해�새로운�시

장�환경�변화의�현실이�정책에�반영되는�전략적�접근�필요

○�라이브�산업�육성·강화�방안�필요

-���영국의�풀뿌리�라이브�음악�시장의�생존을�위한�정책적�지원처럼,�아티스트�개발�및�발전을�위한�정책�마련

이�더욱�절실

-���라이브�공연과�관련된�불필요한�규제�축소를�통해�장기적으로�창작자와�뮤지션들이�창조�경제에�공헌�할�수�

있는�기회�제공

*뮤지션들이라이브공연기획을보다더쉽게할수있고,대중에게도다양한예술과문화를경험할수있는기회제공

-���따라서�한국에서도�라이브�음악�시장�육성을�위한�좀�더�세분화된,�작은�단위의�지원이�국내�음악�산업�발전

의�중요한�접근이�될�것.�성장�단계에�접어들고�있는�한국�라이브�음악�시장�육성을�위해,�국가를�대표하는�

대규모의�라이브�콘서트�이외�소규모�스타트업�사업체�등에�보다�적극적인�지원을�통해�라이브�시장에서�경

쟁력을�높여주는�방안�모색�필요

○�음악�산업의�대표자�역할�및�리서치�강화

-���UK�Music�등의�음악�산업�단체의�노력처럼,�음악�산업계의�목소리를�낼�수�있는�통합적�조직의�효율적�운영

과�음악�산업과�관련된�정책적�활동�참여�필요.

*시장성장과디지털혁신은다이내믹하게서로연동되어있으며,전후십년간음악산업의변화및발생할기술혁신을고려

해볼때더욱급속하게일어날것이기에,음악산업은좀더유동적으로기술과시장변화에대처해야하는필요성이더욱높

아지며,새로운디지털환경에적응하는지에성공여부가달림

-���또한�음악�산업의�트렌드�및�향후�잠재적�비즈니스�기회를�파악할�수�있는�리서치�데이터가�부족한�한국�음

악�산업에서�지속적으로�기본적인�산업�데이터를�알�수�있는�통합적�데이터�발간�및�타�산업과�연계된�리서

치�등�필요

*라이브음악시장과음악페스티벌의성장에도국내페스티벌에관한연구조사가미흡하여이러한리서치에대한관심및투

자가더욱필요

16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Page 17: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참고문헌

•� �Adam�Liversage(2012).�Digital�revenues�overtake�physical�in�UK�recorded�music�market.�BPI.

•�Andra�Leurdijk,�et�al.(2012).�Statistical,�Ecosystems�and�competitiveness�Analysis�of�the�Media�and�

Content�Industries.�European�Commission.

•�Bart�Cammaerts,�Robin�Mansell,�Bingchum�Meng(2013).�Copyright�&�Creation:�A�case�for�promoting�

Inclusive�Online�Sharing.�The�London�School�of�Economics�and�Political�Science.

•�BPI(2013).�Digital�Music�Nation.�https://www.bpi.co.uk.

•�Greg�Parmley(July�2011).�Talent’s�Got�Britain.�IQ�Magazine.

•�IFPI(2011).�Recording�Industry�in�Numbers�2011.�https://www.ifpi.org.

•�Lynne�McDowell(2014).�Vinyl�revival�continues�as�LP�sales�reach�highest�level�in�more�than�a�decade.�

http://www.bpi.co.uk.

•�Nicola�Searle(2011).�Changing�Business�Models�in�the�Creative�Industries:�The�cases�of�Television,�

Computer�Games�and�Music.�The�UK�Intellectual�Property�Office.

•�PRS�for�Music(2012�a).�2011�Financial�review.�https://www.prsformusic.com.

•�PRS�for�music(2012�b).�Adding�up�the�UK�music�industry�2011.�https://www.prsformusic.com.

•�PRS�for�Music(2012�c).�The�Music�Universe.�https://www.prsformusic.com.

•�Stuart�Dredge(2013).�Daft�Punk�and�David�Bowie�have�helped�UK�vinyl�sales�double�in�2013.�The�

Guardian.�http://www.theguardian.com.

•�Tim�Ingham(19th�February�2014).�UK�record�industry�income�retyrns�to�growth�in�2013.�Music�Week.�

http://www.musicweek.com.

•�UK�Music(May,�2014�a).�Copyright�and�Intellectual�Property.�http://www.ukmusic.org.

•�UK�Music(May,�2014�b).�Live�Music�Act.�http://www.ukmusic.org.

•�UK�Music(2013�a).�Music�Tourism’s�Contribution�to�the�UK�Economy.�https://www.ukmusic.org.

•�UK�Music(2013�b).�The�Economic�contribution�of�the�core�UK�music�industry.�https://www.ukmusic.

org.

•�UK�Music�&�Musician’s�Union(2013).�The�Rocktober�Report.�https://www.ukmusic.org.

•�UK�Praliament(October,�2012).�Support�for�the�creative�economy.�http://www.publications.

parliament.uk.

•�Official�Charts�Company(http://www.officialcharts.com).

17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