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5. 1. 14. · #$%&' 정 민 정* 요 약 본 연구는 숲에서의 자연물을...

22
정 민 정 * 본 연구는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 기능 발달 즉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발달척도 소근육 운동기능 검사를 사전 사후로 측정하여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의 정도 를 각 장애유아별로 점수와 백분율로 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 끝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회기별로 뇌병변유아의 소근육 운동능력 변화양상을 관찰일지로 기술 하고 유아가 수행과정 중 남긴 결과물을 보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소근육 운동기능의 하위 영역인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능력 발달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사회복지법인 베타니아 한국숲학교연구소 소장

Transcript of ! #$%&' · 2015. 1. 14. · #$%&' 정 민 정* 요 약 본 연구는 숲에서의 자연물을...

  • 생태유아교육연구

    2014. 제13권 제4호 , 109 - 130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 민 정*

    요 약

    본 연구는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

    기능 발달 즉,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KISE 발달척도 소근육 운동기능 검사를 사전, 사후로 측정하여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의 정도

    를 각 장애유아별로 점수와 백분율로 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

    끝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회기별로 뇌병변유아의 소근육 운동능력 변화양상을 관찰일지로 기술

    하고, 유아가 수행과정 중 남긴 결과물을 보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소근육 운동기능의 하위 영역인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능력 발달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주제어 자연물(natural material)

    뇌병변 장애유아(young children with brain lesions)

    소근육 운동기능(fine motor skills)

    손끝놀이(fingertip handicraft)

    ※ 논문접수 : 2014. 07. 31 / 수정본 접수 : 2014. 09. 05 / 게재승인 : 2014. 09. 23* 사회복지법인 베타니아 한국숲학교연구소 소장([email protected])

  • 1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우리나라는 숲에서 유아 자신의 관심과 흥미에 따라 자유롭게 놀이하는 숲 활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유아 숲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데, 정형화되지 않은

    자연 숲의 보고 속에서 유아들은 스스로 선택한 자연의 놀잇감으로 무한히 창의적인 놀이

    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숲 자유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인

    전인발달을 이루어 갈 수 있다. 최정애(2009)는 유아가 숲에서 뛰고 달리는 동안 신체가 발

    달하고 원만한 사회생활이 형성된다고 하였으며, 박애순(2010)은 자연에서 놀이를 중심으로

    체험활동을 하였을 때 유아는 모든 활동영역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며, 전인적인 발달을 이

    룬다고 하였다. 즉, 숲에서의 활동은 유아의 오감을 자극함으로써 인지적 활동에 동기유발

    이 어려운 유아일지라도 스스로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갖도록 하여 능동적인 학습자로 변화

    시킬 수 있는 힘을 얻게 하고 유아에게 자연을 사랑하고 경외하는 성숙된 어른으로 성장시

    킬 수 있게 한다(최수경, 2013). 그리고 숲이라는 자연을 통하여 무한한 가능성을 배우고,

    유아들 내면에 있는 본연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자연에서의 놀이를 통하여

    유아는 전인적인 성장을 이루게 된다(안명숙, 2014).

    소근육 활동을 돕는 미술활동 교육과 치료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

    데, 미술활동에서 자연물 재료는 인공적인 재료와는 달리 같은 종류라 하더라도 생김새, 빛

    깔 및 성질이 다양하고 이러한 재료의 다양한 성질 때문에 유아의 호기심을 훨씬 더 빠르

    고 다양하게 이끌어 낼 수 있다. 윤은화(2003)는 자연물을 이용한 미술활동은 꽃이나 잎의

    색, 모양 등이 다양한 시각으로서의 아름다움을 체험해 볼 수 있고, 각기 다른 나무나, 꽃

    의 모양을 비교해 보며 만들거나 그리기 등으로 표현활동을 다양하게 특징을 살려 표현해

    볼 수 있으며, 나무껍질이나 식물의 잎, 강가의 돌, 산의 돌 등을 만져보게 되면 재료마다

    감촉이 다르기 때문에 울퉁불퉁한 것, 보송보송한 것, 매끈매끈 한 것 등의 여러 가지의 감

    촉이 있다는 것을 촉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자연재료를 이용하면

    유아들이 표현활동에 흥미를 느끼고 자연스럽게 자연물을 접하므로 평소에 무심히 지나쳤

    던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고 이를 통해 유아들의 정서적인 안정과 자연에 대한 친

    밀감을 형성하고 창의성 및 감각통합을 개발할 수 있다고 하였다(장미, 2006).

    자연물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먼저 이재화(2003)는 자연물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11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물에 대한 민감성과 융통성을 증진시켰다

    고 제시하고 있으며, 주보경(2008)은 자연물을 이용한 미술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소

    근육 운동능력의 하위영역인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

    하고 있다. 김기영(2011)은 친근감이 있고 다양한 형태와 색과 촉감을 가지고 있는 여러 자

    연물을 이용하여 작품을 자신의 방법으로 더욱 창의적이고 세심하게 표현하며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실패감에 대한 부담 없이 개인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자신이 표

    현하고 싶은 것이 반영된 결과물을 통하여 성취감과 만족감을 높일 수 있어서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기회를 제공했다고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자연물을 이용한 점토활동은

    유아들이 즐겁게 활동에 참여하여 각기 다른 창의적 표현활동을 함으로써 자신의 생각과

    감정 등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정서를 인식할 수 있으며 협동작업이나, 재료와 도

    구를 나누어 사용하였는데 이로 인해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기술을 익히게 되어 협동하는

    습관을 기르게 되었고 유아의 정서지능 중 타인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

    료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자연물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들은 유아의 소근육 운동, 지적능력 및 상호작

    용 등과 같은 여러 분야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숲에

    서의 자연물을 활용한 손끝놀이 활동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는 것은 또 다른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겠다.

    한편, 몬테소리는 ‘인간은 손으로 환경을 지배한다’고 하여 인간의 손이 지성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환경과 특별한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실제 생활에서 볼 수

    있는 물건을 사용하여 자르기, 오리기, 붙이기, 바느질 등의 일상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에

    게 손끝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소근육과 대근육을 사용하고, 눈과 손의

    협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것은 곧 유아들이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질서감, 독립심

    및 자율성을 익히게 된다고 보았다(하정연, 김은주, 2000).

    손을 움직인다는 것은 몸을 움직이는 것과 관련되며 신체적인 소근육, 대근육의 발달을

    이루게 된다. 손의 기능은 일상생활 활동뿐만 아니라 학습활동, 직업활동 등 우리 삶의 모

    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손을 이용한 놀이는 유아의 일상적인 생활과 학습활동을 원만

    하게 해결하도록 도와주며 아동의 전인적인 쓰기활동에 필요한 집중력, 자제력, 치밀함 등

    을 기르게 한다(김정학, 2005). 특히 손으로 할 수 있는 놀이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있

    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손끝놀이 활동은 다른 미술활동에 비해 정교함을 요구하고 순서에

    의한 방법을 제시하는 활동으로서, 대부분의 유아가 직접 손으로 자르고, 뚫고, 바느질하면

    서 즐기는 활동으로 아동이 직접 손으로 그 질감을 느끼면서 평면적으로뿐만 아니라 입체

  • 1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적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손끝놀이는 사물에 대한 형태감을 인식하는 시·지각을 발달

    시켜 주고,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행해지며 변형이 자유로워 소근육

    운동기능에 어려움을 가지는 취학 전 발달지체유아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놀잇감이다(이

    병희, 2008).

    손끝놀이 활동과 매우 밀접한 소근육 운동은 주로 눈과 손을 협응하여 손기술을 정확히

    구사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그래서 소근육 운동은 주로 손의 조작능력을 말하며, 동시에

    소근육 운동조절 능력의 발달을 의미한다. 발달된 소근육 운동조절 능력은 전체 운동발달

    이 통합되고, 중추신경계가 성숙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박대근, 2004). 유아의 신체발

    달은 대체적으로 대근육 운동에서 소근육 운동으로 발달하며, 대근육 운동은 이동과 같은

    전신운동을 다루고 소근육 운동은 미세운동, 손 운동, 작은 운동 등으로 대신 할 수도 있는

    말로서 비교적 적은 수의 근육 군을 사용한 몸의 상지, 특히 손과 손가락의 작은 운동을

    말한다. 소근육 운동은 눈과 손의 협응, 두 손사용의 협응, 사물의 조작력, 그리고 손가락의

    민첩성과 힘의 4가지 주요요소들로 구성되어있고, 이들이 조화를 이룰 때 환경과의 관계에

    서 적절한 운동계획을 짤 수 있다(조윤경, 2007).

    인간에게 있어 소근육 운동은 인지적 수행과 신변처리의 습득, 사회성 발달 등의 기본

    전제가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많은 장애유형 중에서도 특히 뇌병변 장애의 유아는 소근육

    운동기능에 있어 많은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뇌병변 장애유아는 일반 유아에 비해서 도형

    을 변별하는 능력, 선이나 도형을 지각하는 능력, 또는 전체와 부분과의 관계를 추상하여

    공간에서 동일한 도형으로 표현하는 능력 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그리고 뇌병변 장애유

    아는 뇌 손상으로 인해 근육이 왜곡되게 작용하며 근육 상호간에도 협조가 조화롭게 이루

    어지지 않아 대근육과 소근육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고, 불수의적인 움직임으로 인한 눈

    과 손의 협응 또한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불어 뇌병변 장애 유아의 경우 간단한 손동작

    습득에도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글쓰기나 물건 조작하기 등에서도 어려움을 갖고 있다. 이

    로 인해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되고, 학습에도 지체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뇌병변 장애유아에게는 소근육 활동을 촉진시켜주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시

    도해야하며, 습득되지 않은 행동에 대하여 같은 행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숙달시켜야

    하고, 지능, 운동 또는 심리발달과 관련시키면서 흥미를 가지고 실행할 수 있는 활동과 놀

    이로 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임국희, 2007).

    이상과 같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훈련은 유아가 흥미를 가지고 하는 활동과 놀이로 이루

    어져야 하는데 여러 가지 교육과 치료 중에서 손끝놀이는 다른 활동과는 달리 감각, 사회

    성, 인지, 정서, 창의성발달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손끝놀이는 손을 이용하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13

    여 그림을 그리고 색을 칠하기도 하며, 무엇인가를 만들고 언어가 배제된 상태에서 사물의

    감각을 익히며 그에 따라 언어가 수반되면 사물이 가지는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칠

    하고 만지면서 손을 사용하여 힘을 기르고 손가락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법과 손목을 조

    절하는 법을 익히게 된다. 적절히 작업할 수 있도록 종이와 물감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알

    게 되고 정리정돈도 학습되며 주의집중 시간이 늘어나는 등의 시간 지속성에 대한 것도 익

    히게 된다. 손끝놀이는 기술적인 부분 이외에도 시지각력을 증진시켜 사물의 변화에 민감

    하게 되므로 쓰기를 위한 학습의 기초능력도 키울 수 있다(한기정, 1997). 이렇듯 손끝놀이

    는 유아 발달의 다양한 영역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뇌병변 장애유

    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도 많은 도움과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을 위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장애아동의 소근육 운동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자연물을 이용한

    활동의 선행연구들을 보면, 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와 표현, 공간능력, 친환경

    적인 태도, 과학적 탐구행동, 미술교육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들이 있었지만 그 대상이 대부

    분 일반 유아 또는 지적장애아동이고, 뇌병변 장애유아를 대상로 한 연구사례는 거의 전무

    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행동들은 소근육 사

    용을 필요로 하고 학습적인 면에서도 소근육 사용이 필수적인 기초능력으로 중요시되기 때

    문에,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발달을 위하여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

    끝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시함으로써 장애유아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그 방향을

    제시하여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활동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

    육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가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가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1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3. 용어의 정의

    1) 숲에서의 자연물

    자연물이란 인위적인 개입이나 통재로 인해 발생되거나 유지되지 않는 자연범주에 속할

    수 있는 물체나 대상으로서, 특정한 공통의 법칙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실체들의 묶

    음으로 정의되는데,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숲에서의 자연물은 숲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솔

    방울, 돌멩이, 풀, 풀꽃, 나무열매, 나뭇가지 등을 말한다.

    2) 뇌병변 장애유아

    뇌병변 장애유아란 장애인복지법(2008)에서 제시한대로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

    적인 장애로 뇌의 기질적 손상에 따라 보행, 일상생활동작 등에 상당한 제한을 받으며 시

    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지체를 동반한 유아를 말한다. 즉,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

    상, 뇌졸중 등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인하여 발생한 신체적 장애로 보행이나 일상생활의

    동작 등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유아를 일컫는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복지법에 근거하여

    전문기관에서 뇌병변 장애로 진단받은 만 3세에서 만5세 미만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다.

    3) 소근육 운동기능

    본 연구에서의 소근육 운동기능이란 일상생활을 하는데 많이 필요한 운동으로 미세운동,

    손 운동, 작은 운동 등으로 대신할 수 있는 말로 비교적 적은 수의 근육 군을 사용한 손과

    손가락의 작은 운동의 능력을 의미한다. 즉, 손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모든 활동에서 손가

    락을 자유자재로 움직여 문제를 해결해 낼 수 있는 손가락 사용 능력을 말한다.

    4) 손끝놀이

    손끝놀이라 함은 손끝을 사용해서 할 수 있는 모든 활동을 말하며 오리기, 뚫기, 자르기,

    끼우기, 직조, 바느질하기 등의 활동을 포함하며 특히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초적인 활동과

    심화된 활동을 말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손끝놀이란 숲에서의 자연물을 사용하

    여 계획한 손끝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말한다.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15

    기시행일 자연물

    손끝놀이 프로그램

    주제 및 활동방법

    소근육운동

    하위영역

    1 2013. 08. 26나뭇잎, 꽃잎, 풀잎,

    열매(청미래덩굴)

    나뭇잎 왕관 /

    마음에 드는 나뭇잎 모은 후 머리띠

    에 양면테이프 붙이고 양면테이프가

    지각운동

    정교성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유아 2명을 대상으로 2013년 8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총 10회기

    의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주제와 관련하

    여 연구대상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전반적인 부분과 하위영역인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법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B 특수어린이집에 다니는 뇌병변 장

    애유아 2명을 대상으로 직접 참여하여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자는 KISE 발달척도-VI인 소

    근육 운동기능 발달부분 검사 전에 운동치료사에게 검사에 대한 사전 훈련을 받은 후 예비

    검사를 거쳐 본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관찰일지는 매 회기가 끝난 후 작성하였으며 작

    성한 일지에 대해 운동치료사의 감수를 받은 후 결과분석 하였다. 즉, 운동치료사와 함께

    매 회기 일지내용에서 소근육 운동의 하위영역과 관련된 활동들에 대해 분석하고 검토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최종 결과분석을 하는데 있어서도 운동치료사의 감수를 받은 후 작

    성하였다.

    구체적인 본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KISE 발달척도 중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 영역을 사전, 사후로 검사하고 측정하여

    장애유아별로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둘째,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

    동기능 능력의 변화양상을 회기별로 관찰일지를 기술하여 유아의 프로그램 활동들을 분석

    하였다.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은 총 10회로 진행되었으며 전체적인 프로

    그램 진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 회기별 내용 및 하위영역

  • 1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붙여진 머리띠에 나뭇잎을 붙여서

    꾸미기. 완성된 나뭇잎 왕관 쓰기

    2 2013. 09. 09

    돌멩이, 풀잎,

    꽃잎(제비꽃),

    열매(까마중, 자리공)

    풀잎 손수건 만들기/

    물들일 수분이 많은 풀잎과 꽃잎 모

    아서 풀잎 및 꽃잎을 바닥에 내려놓

    고 그 위에 손수건을 올려 숟가락으

    로 두드리기. 두드려 납작해진 풀잎

    과 꽃잎 손수건에서 떼어내기. 백반

    을 넣어 풀잎 손수건을 삶고, 그늘에

    널어 말리기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능력

    3 2013. 09. 16나뭇가지,

    열매(자리공)

    열매로 그림 그리기/

    그림 그릴 수 있는 색깔 있는 열매

    찾아서 통에 넣고 터트려 즙 만들기.

    나무 연필에 열매즙을 묻혀서 자유

    롭게 그리기

    지각운동

    쓰기능력

    4 2013. 09. 30나뭇잎

    (갈참나무, 떡갈나무)

    나뭇잎 가면 만들기/

    잎이 넓은 넓적한 나뭇잎 찾아서 나

    뭇잎을 따고 그 나뭇잎으로 가면 만

    든(나뭇잎에 눈, 코, 입의

    위치를 정하고 눈, 코, 입의 위치 나

    뭇잎 구멍 내기) 후 나뭇잎 가면에

    고무줄을 연결하여 얼굴에 쓰기

    지각운동

    정교성

    5 2013. 10. 07나뭇가지, 흙, 돌멩이,

    꽃잎, 풀잎

    땅 그림 그리기/

    주변에서 나뭇가지 구해서 줍고

    물통을 이용하여 땅에 물 붓기. 물이

    부어진 땅에 나뭇가지로 그림 그리

    기. 나뭇가지로 흙 웅덩이 만들어 연

    못 만들고 돌멩이 울타리, 풀잎 및

    꽃잎 배 등으로 흙 웅덩이 꾸미기

    지각운동

    쓰기능력

    정교성

    6 2013. 10. 21 나뭇잎, 풀잎, 꽃잎

    자연물 스크래치/

    약수터까지 가는 산책길에서 여러

    가지 나뭇잎, 풀잎, 꽃잎 주운 후 나

    뭇잎이나 풀잎, 꽃잎을 도화지 밑에

    깔아 놓고 크레파스로 천천히 문질

    러 모양내기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능력

    7 2013. 10. 28 나무, 나무껍질

    나뭇결 스크래치/

    활동장소에서 나의 나무를 찾아 선

    정한 후 선정한 나무를 만지면서 나

    뭇결을 느껴보기 그리고 도화지를

    테이프로 나무에 붙여 고정시켜서

    크레파스로 천천히 나뭇결 따라 문

    지각운동

    쓰기능력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17

    질러 보기

    8 2013. 11. 04

    나뭇잎, 나뭇가지,

    풀잎, 돌멩이, 꽃잎,

    열매, 솔방울

    자연물로 얼굴 꾸미기/

    땅에 있는 나뭇잎, 가지, 돌멩이, 솔

    방울 등의 자연물을 모으고 물로 땅

    에 얼굴 모양을 그린 후 그려놓은

    선을 따라 솔잎을 놓아 얼굴형을 완

    성하기. 만든 얼굴형 위에 자연물로

    얼굴 신체 부위를 및 머리를 꾸미기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능력

    9 2013. 11. 18 나뭇잎

    자연물로 꾸미기/

    여러 밑그림의 활동지 중 유아가 원

    하는 활동지를 고르게 한 후 활동지

    그림에서 무엇이 빠졌는지 살펴보기.

    자연물을 사용하여 활동지의 밑그림

    을 완성하기

    지각운동

    정교성

    10 2013. 11. 25 낙엽

    낙엽 모자이크/

    다양한 색의 나뭇잎을 주워 모은 후

    낙엽을 비닐봉지에 넣어 손을 사용

    하여 잘게 부수기. 도화지에 자유롭

    게 그림 그린 후 모자이크를 할 부

    분에 풀 바르기. 풀을 바른 부분에

    부순 낙엽을 뿌려서 그림을 완성시

    키고 꾸미기.

    지각운동

    정교성

    위의 표에서와 같이 본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와 숲 교사가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맞춰 프로그램 내용 및 활동 등을 계획하였다. 특히 소근육 운동기능의

    하위영역 중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능력에 해당되는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장애유아의 변

    화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하였다. 즉, 뇌병변 장애유아가 숲의 자연물

    을 이용한 손끝놀이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자연물 재료를 제공하였으며,

    주제에 적절한 실물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손끝놀이의 주제를 이해하고 만들고자 하는 사

    물의 특징에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또한 시작 전 숲 교사의 세심한 지도를 받고, 숲 교사

    의 모델링 등을 보여줌으로써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자극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2013년 8월 26일부터 11월 25일까지 총10회기의 과정으로 주 1회

    40분씩 진행되었으며, 유아 숲 지도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며 숲 활동 프로그램을 3년 이

    상 실시한 숲 교사가 진행하였다. 따라서 숲에서 교사와 함께 손끝놀이에 필요한 자연물을

    직접 수집해보고, 그것을 사용하여 손끝놀이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

    한 손끝놀이 활동이 뇌변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1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이 름 김** (여/ A)생년월일 2007. 10. 07

    진 단 명 뇌병변 1급

    발달영역 현행수준

    1. 지퍼를 위·아래, 좌·우로 열고 채울 수 있다.

    2. 단추를 푸는데 어려움이 있다.

    3. 색연필이나 크레파스를 손바닥으로 주먹을 쥐듯이 잡는다.

    4. 제시한 수직선이나 직선을 보고 모방하여 그리는데 어려움이 있다.

    5. 동그라미는 그리지만 세모, 네모는 그리지 못한다.

    6.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는 것이 미흡하여 간단한 종이접기가 어렵다.

    이 름 김** (여/ B)생년월일 2009. 05. 04

    진 단 명 뇌병변 1급

    발달영역 현행수준

    1. 정적인 3점 잡기를 하나 통합되지 않고 전체잡기와 번갈아 가면서 도구를 사용한

    다.

    2. 모든 동작에 양손을 사용하는 양측협응을 진행하고 있으며, 조작하는 능력 중 회전

    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3. 도구 사용의 분리된 움직임을 보이지 않으며 어깨 및 손목, 손가락의 근력이 부족

    하다.(어깨의 관절가동범위를 120도 이상 가져가지 못하고 떨리는 모습을 보임)

    4. 상지의 근력 및 복근의 약화를 보이는 모습을 보이고, 시각 및 청각에 민감한 반응

    을 보인다.(특히 움직임을 오랫동안 주시 하는 경향을 보임)

    5. 연필을 잡고 사용은 하나 긁적거리거나 사용함에 있어 정확한 방법과 눈-손협응의

    미흡함으로 인해 선을 긋지 못한다.

    6. 작은 물건을 잡고 옮긴다.

    7. 시선을 위로 가져가려 하지 않고 머리위에 붙여져 있는 물건을 떼어 낼 때 어려움

    을 보인다.

    8. 숟가락 사용이 어려워 물체를 이동할 때 떨림이 있어 흘린다.

    9. 손가락의 분리 움직임을 가져가지 못한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은 B 특수어린이집에서 뇌병변 1급장애로 진단을 받은 만 6세와 만 5세 여

    아 2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대상아동의 현행 발달수준은 다음과 같

    다.

    연구대상 아동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19

    0 1 2 3

    거의 나타나지 않음 가끔 나타남 자주 나타남 일상적으로 나타남

    0 -.25 .26 - .50 .51 - .75 .76 - 1.00

    3. 측정도구

    본 연구는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가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로 진행하였다.

    KISE 발달척도 중 소근육 운동발달 영역을 사전, 사후에 걸쳐 검사를 실시하였다. KIS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발달척도는 The Southern California Ordina

    Scales of Development를 국립특수교육원 정대영 외 3인(1996)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표준화 한 것으로, 통계적 규준에 따라 표준화 된 것이 아니라 Piaget의 발달이론에 기초한

    준거-참조형 검사도구로 단순히 피검자가 반응을 보이느냐 않느냐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반응의 질적인 측면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KISE 발달척도는 생활자립, 사회성, 언어발

    달, 인지능력, 대근육 운동발달, 소근육 운동발달 등 6개의 영역을 중심으로 인지능력발달

    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인데, 본 연구에서는 KISE 발달척도-VI부분인 소근육 운동기

    능 발달을 사용하여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을 평가하였다. 소근육 운동기능 검

    사는 총 6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능력의 세 가지 경향을 사정한

    다.

    검사는 특별한 지시사항이 없는 문항에서는 피검자가 가장 적절한 수준에서 과제를 수

    행할 수 있도록 문항을 2-3회 반복하여 지시할 수 있고 적절한 강화기법을 사용하여 진행

    할 수도 있다. 각 문항을 0, 1, 2, 3으로 평정하되, 각 하위영역에서도 검사항목별로 0, 1, 2,

    3으로 평정하고, 하위 영역에서 얻은 점수의 총점을 산출한 후 하위영역 문항 수에 3을 곱

    한 수로 나눈 다음 표 Ⅱ-3과 같은 해당 점수별로 0, 1, 2, 3으로 평정한다.

    KISE발달척도 점수표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KISE 발달척도-VI인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부분을 사전과 사후

    에 측정하여 결과분석 하였으며,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면

    서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변화양상을 회기별로 작성한 관찰일지를 분석하

    여 제시하였다.

  • 1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4. 자료 처리

    소근육 운동기능에 대한 효과 측정은 KISE 발달척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영역별 채점

    기준에 의하여 연구자가 직접 채점하였으며, 대상 장애유아 간 변화의 정도는 각 영역별로

    점수와 백분율로 표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뇌변병 장애유아가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 활동을 진행하면서 나타내는 다양한 변화를 관찰일지를 통하여 구체적

    으로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Ⅲ. 연구결과

    본 연구는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대상인 뇌병변 장애유

    아 소근육 운동의 하위영역 즉,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 대한 소근육 변화양상을 알

    아보기 위하여 KISE 발달척도 소근육 운동기능 검사를 사전, 사후로 측정하여 소근육 운

    동기능 발달의 정도를 각 장애유아별로 점수와 백분율로 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숲에

    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활동 프로그램 회기별로 뇌병변유아의 소근육 운동능력 변

    화양상을 관찰일지로 기술하고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가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표 Ⅲ-1과 같다.

    뇌병변 장애유아이 소근육 운동기능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

    대상

    하위영역

    유아A 유아B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소근육 운동기능

    (100%)

    88

    (77%)

    106

    (92%)

    75

    (67%)

    100

    (89%)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을 뇌병변 장애유아에게 실시한 결과,

    KISE발달척도-VI부분인 소근육 운동기능을 측정한 사전점수가 유아A는 88(77%), 유아B는

    75(67%)이였고,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을 실행 후 측정한 사후점수

    는 유아A는 106(92%), 유아B는 100(89%)으로,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1

    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이 각각 15%와 22%로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가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정교

    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표 Ⅲ-2와 같다.

    유아별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 사전· 사후 검사 결과

    대상

    하위영역

    유아A 유아B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정교성

    60(100%)

    75

    (67%)

    88

    (79%)

    56

    (50%)

    74

    (66%)

    지각운동

    87(100%)

    16

    (29%)

    24

    (44%)

    12

    (22%)

    16

    (29%)

    쓰기능력

    42(100%)

    3

    (12%)

    5

    (20%)

    1

    (4%)

    2

    (8%)

    표 Ⅲ-2에서와 같이, 정교성에서 A유아의 겨우 사전검사 75(67%)점에서 사후검사

    88(79%)점으로 12%의 증가율을 보였다. B유아는 사전검사 56(50%)점에서 사후에는

    74(66%)점으로 16%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각운동에서 A유아는 사전검사 16(29%)점에서

    사후검사에 24(44%)점으로 15%의 증가율을 보였다. B유아는 사전검사 12(22%)점에서 사

    후검사 16(29%)점으로 7%의 증가율을 보였다. 그리고 쓰기능력에서 A유아는 사전검사

    3(12%)점에서 사후검사 5(20%)점으로 8%의 증가율을 보였다. B유아는 사전검사 1(4%)점

    에서 사후검사 2(8%)점으로 4%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대상아동 모두가 수치는 다르지만

    사전 검사 때보다 사후 검사에 증가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숲에서의 자연물

    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하위영

    역인 지각능력, 정교성 및 쓰기능력에 있어서 각각의 변화를 보였다. 즉, 뇌병변 장애유아

    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하위영역의 정교성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결과 사전검사 결과

    보다 사후검사 결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쓰기능력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사전검사 결

    과보다 사후검사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즉,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뇌병변유아의 소근

    육 운동기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정교성이나 지각운동에 비해 쓰기능력

    에 있어서는 많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상징적 의사소통이나 표현을 위

    해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영역이기 때문에 중재 기간 변화가 많이 나타나

    지 않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큰 변화는 아니었지만 쓰기능력의 백분

    율 점수가 조금씩은 향상되는 것을 볼 때, 기간을 길게 하여 꾸준하게 프로그램을 적용한

  • 1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다면 쓰기능력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양적 측정과는 별개로 본 연구자가 숲에서의 자연물을 활용한 손끝놀이 프로그

    램을 실시한 후 작성한 관찰일지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는데, 뇌병변 장애유아 A, B 각각의

    소근육 운동의 하위영역 즉,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 대한 변화양상을 초기, 중기, 말

    기의 활동들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진행초기에 유아 A는 손에 어떠한 것들이 닿는 것의 촉감자극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손가락 전체와 손바닥을 사용하지 않고 엄지와 검지만을 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정교성과 지각운동이 많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자극의 민감한 반응 때문

    에 유아 A는 활동을 시작하는데 있어서 그 시작이 어려웠으며, 따라서 다양한 촉각적 자극

    을 제시하여 자극의 둔감화를 통한 소근육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촉진

    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열매를 만지는 활동에는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숟

    가락으로 열매를 터트리는 과정에서 활동하기를 거부하였고, 숟가락으로 풀잎이나 나뭇잎

    을 두드릴 때 유아 A가 움직이는 팔운동 범위가 넓어서 두드리는 속도 및 횟수가 많지 않

    은 등 정교성, 쓰기능력과 지각운동이 많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때에 교사가 유아 A

    의 팔을 잡고 운동범위를 좁혀서 숟가락으로 함께 두드리며 도움을 주자 유아 A는 스스로

    3회 정도 운동범위를 유지하며 숟가락으로 두드렸지만, 점점 팔의 운동범위가 넓어져 본래

    의 활동모습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시각적 촉각적인 자극에 민감한 반응으

    로 인한 소근육 사용 및 능력발달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촉진과 개입이 필요하였다.

    프로그램 중기 활동에서는 엄지와 검지를 주로 사용하는 유아 A에게 열매를 잡아들어

    올릴 때 많은 손가락을 사용하여 열매를 쥐어보게 하였다. 그 결과 다섯 손가락의 모든 사

    용은 아니었지만 엄지, 중지, 약지 등 평소 유아가 사용하지 않았던 손가락을 사용하는 모

    습을 보이는 등 정교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유아 A는 양손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지만 평소 활동을 할 때에 주로 한손만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었다.

    그러나 프로그램 회기가 거듭되면서 활동 시 한쪽 손에는 물병을, 다른 한쪽 손에는 나뭇

    가지를 들어 물병에 물을 붓고 나뭇가지로 끄적이는 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쓰기능력의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여전히 선을 긋거나 끄적이는 모습보다는 점을 찍거

    나 찌르는 듯한 그림을 나타내지만, 초기 때보다는 손을 좌우로 움직이며 그리는 횟수의

    정도가 많아지고 점점 그 반경도 넓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 나뭇잎이나 풀잎의 잎

    맥 모양에 흥미를 갖고 스스로 스크래치를 만들어 내려고 노력을 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

    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주변에 있는 나뭇잎을 스스로 주워서 화선지 아래에 깔고

    스크래치를 시도하려는 모습이 관찰되는 등 지각운동에서의 향상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3

    프로그램 말기 활동에서 유아 A는 교사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봉지 속에 든 낙엽을 주먹

    쥐듯이 낙엽을 잡으며 부술 수 있었고, 부셔진 낙엽이 든 봉지를 한손으로 잡고 자신의 귀

    옆에다 봉지를 흔들며 낙엽의 소리를 들으려고 하였다. 하지만 유아 A가 흔들어대는 강도

    와 팔의 움직임에 의해 봉지가 움직여지는 반경이 넓지 못하여 소리가 잘 들리지 않자 양

    손으로 봉지를 잡고 힘을 주며 위, 아래로 봉지를 힘껏 흔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

    다가 유아는 봉지를 실수로 놓쳐 낙엽가루들이 봉지 밖으로 흩어지자 엄지와 검지로 낙엽

    가루를 집어 봉지에 다시 넣는 등 정교성, 지각운동과 쓰기능력이 아주 많이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자이크 활동을 할 때에 유아 A는 낙엽가루를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집어 뿌렸는데, 교사가 손 전체를 사용하여 낙엽가루를 보다 많이 잡고 많이 뿌리는 것을

    본 후, 유아 A도 자신의 손 전체를 사용하여 낙엽가루를 집어서 뿌리는 모습의 변화를 보

    이는 등의 지각운동에서의 향상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 초기에 유아 B는 활동을 하고자 하는 참여도 및 의욕은 높지만 불수의

    운동 문제로 인한 근육 및 손가락 사용능력에서 흔들림과 정확도가 많이 떨어져서 세세한

    조작능력이 필요한 활동에서는 교사가 B의 손목이나 팔꿈치를 잡아주는 등의 도움이 필요

    하였다. 또한 양면테이프 떼기, 자연물 들어올리기 등 팔꿈치를 들어 올리거나 뒤로 젖히는

    등의 동작을 수행했을 때, 팔을 움직이기 위해 상체 전체를 함께 움직여서 팔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정교성, 지각운동 및 쓰기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상체는

    되도록 움직이지 않고 팔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자연물을 너무 꽉 쥐는 등의 손가락을

    오므려 잡는 힘 조절을 적절하게 하지 못해서 아동의 작은 힘에도 자연물의 모양이 쉽게

    변하는 등 자연물을 사용하여 활동하는데 손의 힘 조절 능력 부분에서도 지도하는 것이 필

    요하였다. 또한 숟가락 사용하여 손수건 염색하는 활동에 있어서 유아 B는 숟가락을 쥐고

    두드릴 때 숟가락이 유아 B의 손에서 미끄러져 빠져나와 숟가락의 머리 부분에 힘이 전달

    되지 않아서 손수건에 염색이 잘 되지 않는 등의 쓰기능력에 어려움이 두드러졌는데, 유아

    에게 소근육 운동의 촉진과 더불어 활동에 제공되는 도구의 형태 및 모양을 수정하여 프로

    그램 활동에 반영을 시키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중기에 유아 B는 풀잎을 엄지와 검지로 뜯는 활동 시 초기보다는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시도하려는 횟수가 더 증가하면서 손가락으로 풀잎을 잡는 지각 및 정교성 능력

    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다른 유아의 활동 모습을 보고 자신도 한쪽 손에는 물병

    을, 나머지 한쪽 손에는 나뭇가지를 들고 다른 유아의 행동을 모방하여 따라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등 쓰기능력에 변화를 보였으며, 교사의 도움 없이 스스로 양손으로 물병을 들고

    기울여서 흙 위에 물을 부었고 그런 다음 나뭇가지로 끄적이는 모습을 보이는 쓰기능력이

  • 1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점차 향상되고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여전히 구체적인 양손조작 및 움직임이 둔하여 양손

    을 동시에 사용하여 활동하기에는 어려운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교사가 유아 B에게 나뭇

    잎을 건네며 엄지와 검지만을 사용하여 나뭇잎을 받게 하자 유아 B는 상체의 흔들림으로

    인해 두 손가락으로 나뭇잎을 잡는데 1분정도의 시간이 걸렸지만 그 시간동안 나뭇잎에서

    시선을 떼지 않고 계속 바라보면서 집중하여 결국에는 나뭇잎을 두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

    었다. 이러한 자신의 행동과 활동의 결과물로 인한 성취감 때문인지 활동 시 교사 및 또래

    에게 먼저 말을 걸고, 자신의 의사표현 등이 많아지면서 밝아진 유아의 모습이 보이기 시

    작하는 등 지각운동과 쓰기능력에서의 향상된 모습을 조금씩 관찰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말기 활동에서 유아 B는 교사가 바구니에 담겨진 나뭇잎을 봉지 속에 넣게 하

    자 유아 B는 스스로 봉지를 가져가 한손으로는 봉지를 들고 나머지 한손으로는 바구니에

    담긴 나뭇잎을 넣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교사가 낙엽을 부수는 방법을 보여주고 유아 B

    에게도 스스로 혼자 해볼 수 있도록 제안하자 봉지의 양쪽을 잡고 박수를 치듯이 양손을

    서로 부딪치며 낙엽가루를 만드는 모습을 보였으며, 교사가 양손으로 비비듯이 낙엽을 부

    수는 방법을 보여주면서 알려주자 유아 B는 낙엽을 가루로 만들지는 못하였지만 양손의

    손가락 끝마디를 비비듯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활동의 모습을 통해서 정

    교성과 지각운동 및 쓰기능력이 많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낙엽가루를 자신의

    손 전체를 사용하여 종이에 뿌리고 양면테이프가 붙여진 부분에 낙엽가루가 붙을 수 있도

    록 검지 손가락으로 낙엽가루를 누르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교사가 검지 손가락만이 아

    닌 나머지 손가락의 끝마디를 사용하여 낙엽가루를 눌러서 붙일 수 있도록 신체적으로 도

    움을 주자 유아 B는 손끝마디와 손바닥을 번갈아가며 사용하여 낙엽가루를 눌러 붙이는

    모습을 보이는 등 정교성과 지각운동에서의 증진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관찰하면서

    느껴진 유아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은 뇌

    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중 비우위손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었으

    며, 자연물이라는 재료의 사용은 장애유아들로 하여금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였고 다양한

    방법으로 소근육을 조절하고 표현할 수 있게 유연성을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

    히 손가락 및 양손의 협응 능력과 정확한 사용능력인 정교성이 많이 증진됨을 알 수 있었

    고, 시각, 촉각 및 근육운동지각과 소근육 운동의 협응 및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지각운동

    또한 많은 향상을 보였다.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5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뇌병변 장애유아 모두 수치와 변화의 양상은 다르지만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

    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전체적인 기능변화에 효과가 있었

    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소근육 운동기능 하위영역인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능력에 효과

    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

    능의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A는 손끝에 힘이 너무 강하여 조

    절력과 민감함이 부족하여 활동 중 다루게 되는 자연물을 많이 망가뜨렸지만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미술용품의 사용 및, 그리기 도구를 잡는 자세가 좋아져서 손끝놀이 후

    보다 완성된 결과물을 얻게 되었다. 유아B는 우세손이 정해지지 않아 모든 활동을 양손을

    사용하는 움직임을 많이 보였는데, 손끝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스스로

    자신의 자세를 점검하여 바로 앉고, 의식적으로 도구를 오른쪽으로 바꾸어 쥐는 모습이 많

    이 관찰되었다. 즉, 유아가 조금 더 편하고 자주 사용하는 손사용에 대한 변별능력이 생기

    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의 손가락과 손바닥 사용의 정교함이 조금씩 증진되는 모

    습도 관찰되었다. 이처럼 두 유아의 변화들은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

    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의 하위 영역인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능력 발

    달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정교성에서 A유아의 겨우 사전검사 67%성취에서 사후검사

    79% 성취로 12%의 증가율을 보였고, B유아는 사전검사 50%성취에서 사후에는 66%성취로

    16%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각운동에서 A유아는 사전검사 29%성취에서 사후검사에 44%성

    취로 15%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B유아는 사전검사 22%성취에서 사후검사 29%성취로 7%

    의 증거율을 보였다. 쓰기능력에서 A유아는 사전검사 12%성취에서 사후검사 20%성취로

    8%의 증가율을 보였고, B유아는 사전검사 4%성취에서 사후검사 8%성취로 4%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즉, 대상아동 모두가 수치는 다르지만 사전 검사 때보다 사후 검사에 증가율을

    보였으므로,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능의 하위 영역인 지각운동, 정교성, 쓰기

    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1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셋째, 양적인 측정과는 별개로 본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관찰하면서 느껴진 변

    화로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중 비우위손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잘못된 방법으로 연필을 잡았던 장애유아 A는 올바른 방법으로 연필을 잡을 수 있

    게 되었고,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기를 기피하는 비우위손의 성취율이 수치상

    으로 나타내어지지 않았지만 우세손이 정해지지 않아 혼란된 움직임을 보였던 장애유아 B

    는 점차 의식적으로 손을 변별해서 쓰게 되었고, 정교한 움직임을 비롯해 필요할 때 미술

    용품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변화가 있었다.

    넷째, 자연물이라는 재료의 사용은 장애유아들로 하여금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였고 다양

    한 방법으로 소근육을 조절, 표현할 수 있게 유연성을 높였다. 즉, 지금까지 뇌병변 장애유

    아들을 대상으로 손끝놀이를 통한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재료의 사용에 있어서는 한정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실행했던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뇌병변 장애유아에게 사용되었던 한정된 매체의 사용에서 벗어나 숲에서의 자연

    물이라는 재료의 사용으로 자칫하면 딱딱하고 지루해 질 수 있는 운동 발달의 영역에 흥미

    를 유발시킴으로써 그 효과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본 프로그램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위의 결과들은 남정현(1997)의 소조활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지각발달 기능과

    시각발달 기능 및 눈과 손의 협응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의견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최정화(2008)의 점토를 활용한 소조활동이 뇌성마비 학생의 소근육 기능과 쓰기 속도, 쓰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떨림이나 긴장이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와 안정된 손놀

    림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순주(2007)의 연구에서

    는 손 기능 강화훈련 미술치료는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시각-운

    동 통합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와 전반적으로 자조기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하

    였다. 홍재란(2001)은 뇌성마비 유아를 대상으로 소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소근

    육 운동 능력 중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임국희

    (2007)는 소근육 협응 놀이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소근육 운동기능 중 정교성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쓰기 능력에서 효과가 있었으며, 전체 소근육 운동 기능에 효과가 있었고

    소근육 협응 놀이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감소 시지각 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

    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뇌병변 장애유아가 손으로 하는 활동

    이 소근육 운동 기능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므

    로 본 연구는 앞으로의 다양한 숲 활동 및 자연친화적 활동 프로그램을 장애유아에게 개발

    하고 보급시키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7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의 결론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병변 장애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자연물 재료를 선정하고 근육의 이완-긴

    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재료들을 개발하거나 찾아서 장애유아들에게 제공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했던 손끝놀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양한 장애유아의 언어, 성

    격 및 사회성 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장소를 수정 적용하여 가정에서도 지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개

    발할 필요가 있겠다.

  • 1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참고문헌

    김기영(2011). 자연물을 이용한 점토 활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정(1998). 생태학적 유아환경교육의 방안 모색.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학(2005). 상지 동작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소근육 운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

    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정현(1997). 소조활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시각-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애순(2010). 유아의 창의성과 자연이해지능 향상을 위한 자연체험 교육프로그램개발. 덕성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송수현(1997). 정신지체 아동의 미술활동 수행수준.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명숙(2014). 숲에서의 놀이를 통한 유아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엄상진(2009). 자연물을 이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들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은화(2003). 자연의 형태 고찰을 통한 조형원리 이해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병희(2008). 손끝놀이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변화연구. 단국

    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헌(2012). 자연물을 이용한 산책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재화(2003). 자연물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표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국희(2007). 소근육 협응 놀이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소근육 운동 기능과 시지각에 미치

    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미(2006). 지역사회의 자연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미술 수업 연구: 전라북도 부안지역을 중심

    으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윤경(2007). 장애아동의 소근육 운동과 미술지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주보경(2008). 자연물을 이용한 미술치료가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운동능력 향상에 미치

    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대영, 김상진, 장병연, 정동영(1996). KIES 발달척도 Ⅵ.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 서울 : 국립특

  • 숲에서의 자연물을 이용한 손끝놀이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9

    수교육원.

    최수경(2013). 숲에서의 유아놀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최순주(2008). 손 기능 강화 훈련을 통한 미술치료가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 동작수

    행 능력과 시각, 운동 통합에 미치는 효과.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정애(2009).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정화(2008). 점토 조소 활동이 뇌성마비 학생의 소근육 운동기능 및 쓰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정연, 김은주(2000). 유아를 위한 손끝놀이프로그램의 적용사례. 영유아보육연구. 6(1). 1-2.

    한기정(1997). 아동미술과 특수아동미술. 서울 : 교육과학사.

    홍재란(2001). 학업성취도 상하집단 간 시각적 인지기능 및 뇌 활성화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허윤정(2001).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3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Abstract

    The effects of natural material fingertip handcraft on fine motor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brain lesions

    Min Jung Chung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natural material fingertip handicraft on the development of

    the fine motor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brain lesion. Changes in fine motor skills were

    analyzed using the KISE Developmental Scale IV, comparing the test results for each chil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motor skills of the children were logged during each session and the

    results of their performance were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program showed clear

    improvement in overall fine motor skills, especially in the areas of perception, precision, and

    penma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