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21
달바람, 민수, 서지연,

Transcript of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Page 1: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달바람, 민수, 서지연, 줄

Page 2: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이야기 하나.

시즌이 있는 학교 보

셨어요?

Page 3: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1998년 IMF

저성장 고실업의 어려운 사회 속 청년/청소년에 대한 관심

1999년 12월 하자센터 개관

청소년 작업장 프로그램 : 웹/영상/음악/디자인/시민 작업장에서 도제식 프로젝트 진행

지속적인 프로그램의 필요성학교를 만들어보자!

2001년 9월 하자작업장학교 개교

학교의 원칙, 명칭, 프로그램, 학제 등을 죽돌이 주도적으로 기획함

문화작업자를 꿈꾸는 십대들의 신나는 문화작업장

2005년 경부터.. 아이들의 요구가 달라지기 시작함

기존의 하자의 학제와 프로그램의 기준이 부담스럽다! 과하다! 못하겠다!

2009년 대토론회

“이제까지의 하자작업장학교는 지금의 청소년에게 힘든 형태다.”

시즌1을 마무리하고, 휴교하기로.

2010년 3월 휴교.

시즌2를 위한 8개월 간 학교 만들기

2011년 9월 시즌2 개교

“하자작업장학교”가 걸어온 길 한 눈에 보

Page 4: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시즌2 학교 만들기의 고민

숲이 타고 있었습니다.

숲속의 동물들은 앞을 다투며 도망을 갔습니다.

하지만 크리킨디(벌새)란 이름의 새는 왔다갔다

하며

작은 주둥이로 물고 온 단 한 방울의 물로 불을 끄

느라 분주했습니다.

다른 동물들이 이런 그의 모습을 보고

“저런다고 무슨 소용이 있어”라며 비웃었습니다.

크리킨디는 대답했습니다.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할 뿐이야.”

Page 5: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시즌2의 변화

개인보다는 사회, 지역, 공동체를.

훌륭한 사람보다는 쓸모있는 사

람을.

개인의 창의성보다는 사회적 창

의성을.

돌봄과 소통을 강조하는 모습으

로.

고래에서 벌새로.

그리고, 변화는 진행중...

Page 6: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시즌이 있는 학교.. 어떻게 가능할까?

원동력 하나. “현재 아이들에

맞춘다”는 관점

원동력 둘. “판돌”, 또 하나의 죽

Page 7: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이야기 둘.

사회적 창의

Page 8: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버려진 페트병과 물 그리고 몇가지 화학첨가물으로 태턍광을 증폭시켜 전구

역할을 하는 bottle 을 만들어 전기로 불을 밝힐 수 없는 빈민가에 공급하는

프로젝트!

Solar bottle ??

Page 9: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하나,

사회적 관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

청소년은?

사회적 창의를 질문하는 교실

Page 10: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은둔형 외톨이?

그냥 유유자적 노래가 좋은 것일 뿐.

유유자적 살롱에서 유유자적 유영하기

Page 11: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핵문명안에서 지구를 갉아먹는 애벌레가 고치의 시간을 견디고 나비가 되어

더이상 나뭇잎을 갉아먹지 않고 꿀을 먹으며 하늘로 날아오르는 새로운 꿈’

크리킨디에서 더 작은 나비로

Page 12: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이야기 셋.

Appendix

Page 13: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시즌1에서 시즌2로 계승되는 하자의 약

속과 문화

하자의 일곱 가지 약속

1.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해야 하는 일도 할 거다.

2. 나이 차별, 성 차별, 학력 차별, 지역 차별, 인종 차별 안 한다.

3. 어떤 종류의 폭력도 행사하지 않을 거다.

4. 내 뒤치다꺼리는 내가 할 거다 /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5. 정보 때문에 치사해지지 않을 거다 / 정보와 자원은 공유한다.

6. 입장 바꿔 생각할 거다 / 배려와 친절.

7. 약속은 지킬 거다 / 못 지킬 약속은 안 할 거다.

하자 작업장학교 문화

1. 스스로 이름 짓기

2. 학습 계약서 쓰기 (평생학습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설계 연습)

3. 쇼하자 하기 (정리와 회고)

시즌1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왔던 약속과 문화는 시즌2에서도 이어 계승함

Page 14: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시즌 1 교육과정

▶▷ 길찾기 과정

길찾기 과정은 하자에 입학하기를 희망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예비코스로 하자작업장학교의 학습원리와 문화를 익히고, 공

통의 체험을 통해 다른 사람과 공생하고 협력하는 법을 배우며, 기초적인 문화작업을 통해 자신의 욕구와 적성을 발견하여

전공 과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

▶▷ 주니어 과정

주니어 과정은 문화작업(영상, 대중음악, 생활디자인, 웹)에 집중하면서 문화작업자로서의 자기발견과 성장을 꾀하는 한편

문화시민학습(철학, 문학, 과학, 글로벌 네트워크 프로젝트 등)과 문화기능학습(외국어, 디지털 툴 등)을 통해 인문학적 감

수성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 시니어 과정

시니어 과정은 하자에서 학습한 것들을 사회에 접합시키면서 적극적으로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것이 목적이다. 시니어 과

정은 크게 졸업 프로젝트(20-40학점), 인턴십 프로젝트(20-40학점), 포트폴리오 제작(10-30학점) 등으로 이루어지며 최소

7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졸업을 하려면....

1) 10학기 이내, 총 학점 210학점 이상 이수

(단, 2001년 가을 학기와 2002년 봄 학기 입학자는 180학점 이상 이수)

2) 문화작업영역 중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서 최소 60학점 이상 이수.

(복수전공의 경우, 각 60학점 이상 이수)

3) 문화시민영역/문화기능영역에서 최소 18학점 이상 이수.

3) 자치학습 영역 3학점 이상 이수

4) 여행/글로벌 네트워크 프로젝트 2회 이상 수행

5) 졸업프로젝트와 인턴쉽 수행

6) 포트폴리오 제작 (웹포트폴리오가 포함되어야 함)

Page 15: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시즌 2 학습목표

Page 16: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시즌 2 학습원리

Page 17: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시즌2 하자작업장학교에서의 생활

Page 18: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Page 19: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4. 이야기 넷

발제

Page 20: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생각해 볼까요?

1. 아이들이 사회적 관계의 가치를 발견 하도록 도와 주기위해 어떤 노력을 할 수 있는가?

2. 주변 사람 (부모 , 교사 등) 들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도록 돕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할 수 있는가?

3. 사회적 요구가 빠르게 변화 하고 있는 시대에 교사는 어떤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가?

Page 21: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언젠가학교2기 하자작업장학교탐방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