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 유형 영 교육과정...

Post on 24-Oct-2019

2 views 0 download

Transcript of 교육과정의 유형 영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유형

- 영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

출처: 김대현(2011).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 31-40.

• 개발측면: ‘법적 구속력이 null’:

배울만한 가치가 있는데도

공적인 문서에서 빠진 내용

(교과, 영역, 주제 등)

•운영측면: ‘학습할 기회가 null’:

공식적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어도 학습할 기회가 없는

교육내용

(교과, 영역, 주제 등)

영 교육과정 (null Curriculum)

1960년대 행동적 교육목표 & 전통적

학문교과를 강조하던 교육과정의 풍

토 비판

주된 관심 - 예술 교육과 교육과정

저서 <교육적 상상력(1994)>:

“공식적 교육과정은

문자 숫자위주의 표현양식만 강조

그러나 다양한 표상형식 개발이

필요합니다”

Eisner

감식안 (심미안)

대상의 복잡하고 미묘한 특징을

섬세하게 식별하는 능력

라틴어 ‘cognoscere’ (안다 know) 에서 유래

교육적 감식안 감식안을 교수활동과 교육과정을 비롯

한 일반적으로 학교에 적용

교실의 특징, 상황, 학생들의 학습 등을 감식가(교사)의 교육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관찰하고 감지하는 능력

교육비평(educational criticism)

교실이나 학교 또는 수업행위의 질을 설명하고 해석하고 평가하는 공적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

교실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를 말로 생

생하게 그려내는 것

사람들이 교육현상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도움

⇒ 비평을 하려면 교육적 감식안이 선행되

어야 함

교육적 감식안 vs. 교육비평

비평가가 되지 않고도 위대한 감식가가 될 수 있지만, 어느 수준의 감식안 없이 비평가는 될 수 없다

비평가는 자신이 파악한 미묘한 질적인 차이를 그것을 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마치 그 사람들이 그곳에 있었던 것처럼 느낄 수 있게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교육적 감식안 교육비평

평가의 예술

개인적

폭로의 예술

사회적, 공적

• 교사가 계획하지 않았거나

의식하지 않은 가운데,

• 권력자나 집단이 의도를 가지고 계획하였는데,

교사들이 동조하거나

혹은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채,

사회적 관계, 사회적 실천, 교육환경 등이

학생들의 지식,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실천,환경’과 ‘그 결과’

출처: Jackson(1968) 『아동의교실생활』;

Eisner(1994) 『교육적 상상력』

• 공식적(official)

·표면적(manifest)

교육과정

VS

잠재적 교육과정 (latent/hidden Curriculum)

학교의 생태

• Jackson: 군집성(crowd) - 인내, 상찬(praise) -평가,권력(power) -교사의 권위

• 기 타: 시간표, 절차를 위한 절차,

정적의 강요, 위계질서

학교의 비공식적 문화, 또래집단

인적 구성요소(학교행정가, 교사,

학생, 학부모)

잠재적 교육과정과 학교

중학교 3학년 도덕 교과서(138쪽)에 ‘김 노인에게는 결혼한 아들 셋과 출가한 막내딸이 있다’고 기술된 부분이 있다. 이는 아들은 ‘결혼’, 딸은 ‘출가’라 표현하여 ‘딸은 키워도 소용없다’는 것을 은연중에 내비치고 있다

<출처: 한겨레신문. 2009.8.13자 기사. ‘교과서 속 성차별 표현’>

B학생: 난 미술하면 중학교 때 우리 미술 선생님이

생각나서 정말 즐거워!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by Eisner)

유사점 - 명시성이 없다(공식적, 문서화 X)

-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내포한다.

논의 ‘잠재적 기능’에서 비롯됨 ‘교육 기회의 박탈’에서

비롯됨

의도성 의도되지 않은 결과

- 학생의 경험 의도적으로 배제된 교육과정

발생 자연적 인위적

내용 결과 : 순기능 + 역기능 포함되지 않았지만 긍정적

가치가 있는 교과 혹은 요소

시기 도착점에서의 고려 출발선에서의 고려

잠재적 교육과정과 영교육과정

A교사: 어떤 것을 가르친다는 것은 다른 것을 가르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제한된 여건 때문에

모든 것을 다 가르칠 수는 없지 않겠어요?

OOO 교육과정

Quiz

잠재적 교육과정을 설명하는 사례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계발활동에서 문예반을 선택하여 소설을 읽고 현대 소설의 특징을 이해하였다. ② 냉전시대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시장 경제 체제의 장점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았다. ③ 수업시간에 배운 한자를 30번씩 써 오라는 숙제 때문에 한문을 싫어하게 되었다. ④ 국어시간에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에 기여한 문학 작품을 조사하고 각각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Quiz

출처: 2001. 초등임용고사 교육학

차시 예고

교육과정 활동의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