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적전기자극 Functional Electrical...

Post on 27-Dec-2019

1 views 0 download

Transcript of 기능적전기자극 Functional Electrical...

1

기능적 전기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임재길

2

I. 기능적 전기자극의 기초

3

I. 기능적 전기자극의 기초

1) 기능적 전기자극의 역사

기능적 전기자극이란 용어는 1961년 Liberson에 의해처음으로 기능적 전기치료(functional electrotherpy)로기술되었다가,1962년 기능적 전기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으로 명명

4

I. 기능적 전기자극의 기초

최근에 이르러서는 근수축을 조절하기 위한기능적 전기자극의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해짐

▶ 심박동의 리드미컬한 기능의 조절▶ 횡격신경의 자극을 통한 호흡의 조절▶ 이식시스템(implant systems)을 이용한

비뇨방광기능의 조절▶ 내장기관의 운동조절▶ Dysphagia

6

I. 기능적 전기자극의 기초

상운동신경원(upper motor neuron)Ex) 편마비환자, 뇌성마비, 척수손상

손상

하운동신경원(lower motor neuron)

정상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7

I. 기능적 전기자극의 기초

기능적 전기자극(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기능적 신경근자극(FNS)(Functional neuromuscular

stimulation)

신경근전기자극(NMES)(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탈신경된 근육(denervated muscle)을 자극하기 위한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lation)과 구별.EST

8

2) 기능적 전기자극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I. 기능적 전기자극의 기초

Ia 신경섬유의 주동근과길항근에 대한 작용

9

I. 기능적 전기자극의 기초2) 기능적 전기자극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굴곡도피반사 시의반대측 사지운동

LloydIa 신경섬유의 주동근과

길항근에 대한 작용

Sherrington이중상반지배

Rood운동잠재기억

(Motor engrams)

10

II. 기능적 전기자극의 구성

11

II. 기능적 전기자극의 구성

1. 자극기와 전극

기능적전기자극기

12

II. 기능적 전기자극의 구성1. 자극기와 전극

(1) 전극의 형태와 배치

치료용 전극의 최적 크기 :근반응의 정도와 수축을 일으키고자 하는 근육의 크기, 그리고 사용할 전극배치법에 따라 다름

대형 전극 – 양극배치법으로 사용하면 큰 근육을수축시키거나 여러 근육을 함께 수축시킬 때 효과적임

소형전극 – 작은 근육이나 개개의 근자극을 목적으로할 때는 전류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함

분산전극 – 근육의 건이 있는 말초 쪽에 배치하는 것이효과적임

14

II. 기능적 전기자극의 구성1. 자극기와 전극

(2) 전극의 스위치

스위치의 형태

15

II. 기능적 전기자극의 구성1. 자극기와 전극

(2) 전극의 스위치스위치의여러 형태

A : 구두 뒤꿈치에 내장된 스위치가 발뒤꿈치를 들면 연결되어 자극기를작동시킴으로써 표면 전극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자극하는 방법

A CB

16

II. 기능적 전기자극의 구성1. 자극기와 전극

(2) 전극의 스위치스위치의여러 형태

B : 구두 뒤꿈치에 내장된 전파발생기가 발뒤꿈치를 들면 자극기의 전파수신기에 신호를 주어 자극기를 작동시킴으로써 표면전극에 전류가흐르도록 하여 자극하는 방법

A CB

17

II. 기능적 전기자극의 구성1. 자극기와 전극

(2) 전극의 스위치스위치의여러 형태

C : B에서와 작동원리는 갖고 다만 표면적극 대신 이식전극을 사용하여자극하는 방법

A CB

18

III. 기능적 전기자극의변수들

19

III. 기능적 전기자극의 변수들

1. 기능적 전지자극 파형

1) 대칭성 양상성 정(직)사각형파(sysmmetrical biphasic square(rectangular) wave)

2) 비대칭성 양상성 정(직)사각형파(asysmmetrical biphasic square(rectangular) wave)

20

III. 기능적 전기자극의 변수들

4. 주파수(맥동률)

◈ 낮은 주파수(1-5pps) : 근육에서 짧은 시간 동안장력이 유지되는 연축(twitch contraction)을 일으킴높은 주파수(10-20pps) : 진동이나 불완전 강축

(incomplete tetany)을 일으킴

◈ 임상적으로 신경근접합부 수준에서의 신경근피로(neuromuscular fatigue)를 줄이기 위해서는 목적에따라 주파수를 적절하게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함

21

IV. 임상적용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들

2. 환자의 선택

◈ 기능적 전기자극을 위해서는 자극에 반응할 수있는 말초신경이 손상되지 않았거나 혹은부분적으로나마 손상되지 않고 남아 있어야 함

22

IV. 임상적용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들

3. 적응증과 금기증

1. 무용성 위축(disuse atrophy)2.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의 증진3. 근 재교육과 촉진

(muscle re-education and facilitation) 4. 경련성 관리(spasticity management)5. 보행훈련(gate training)6. 원발성 측만증(Idiopathic scoliosis)7. 견관절 아탈구(shoulder subluxation)8. 부종(edema)의 관리9. 근력과 지구력

(muscle strengthening and endurance) 증진10. 기타(other)

적응증

23

IV. 임상적용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들

3. 적응증과 금기증

기능적 전기자극은 심박조율기(cardiac pacemaker)에영향을 미칠 수 있음

부정맥(arrhythmia)이나 심장 전도장애(conduction disturbances)를 비롯하여 심장병이 있는 환자에게신경근전기자극을 실시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

임신중인 산모의 복회음부(abdominal perineal)나허리부위(lumbar region)에 대한 적용은 추천되지 않음

금기증과 주의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