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를 생산하고 자원이 순환되는 도시 서울! 2013 주요업무...

Post on 16-Jan-2020

1 views 0 download

Transcript of 에너지를 생산하고 자원이 순환되는 도시 서울! 2013 주요업무...

에너지를 생산하고 원 순환 는 도시 울!

2013 주요업무 보고

2013.2.28

기 후 환 경 본 부

목 차목 차

ⅠⅠ 일 반 현 황 1

ⅡⅡ 정책목표 및 방향 2

ⅢⅢ 2013년 주요업무 3

1 2/3가 어든 원 하나

2 세계 제일의 재활용도시 구

3 공기가 맛있는 상쾌한 서울

4 건강하고 깨끗한 생활환경 조성

- 1 -

Ⅰ.일 반 황

조 직 : 1본부 1정책관 6과 1반 32팀 1사업소

기 후 환경 본

기후변화정책

경 책과(6 )

색에 지과(5 )

후 과(5 )

경 통과(5 )

원 과(5 )

생 경과(4 )

에 지시민(2 )

차량 비

인 력

계 직 계 직 능 직

원 / 원( ) 218 / 241 154 / 150 9 / 9 55 / 82

2013년 세출예산 현황 (단 : 만원)

2013 2012 증 감

계 616,939 556,210 60,729

산 533,632 481,531 52,101

계 264,332 238,921 25,411

특별 계 269,300 242,610 26,690

- 집단에 지공 사업 특별 계 269,300 241,900 27,400

- 도시개 특별 계 - 710 △710

83,307 74,679 8,628

- 후변 34,358 44,095 △9,737

- 원 수시 주변 향지역 주민지원 28,949 30,584 △1,635

- 수도 매립지 주변지역 경개 20,000 - 20,000

- 2 -

Ⅱ.정책목표 방향

원 하

본 격 진

태 시

보 ․

연 료 지

열 병 합 충

열에 지

생 산

시 민 체 감 하 는

L E D 도 시

건 에 지 효 개

에 지 시 민 생

산 ․ 착

에 마 리 지

시 민 참 여 폭

에 향

미 지, 산 질

건강도시 한

한 실내공 질 만들

그린 보 등 운행차

공 해 경

운 산

후변 ․

내 실

주 민 과 함 께 하 는

한 거 리 가 꾸

생 독 ․VOC 등

리 체 계

생 주변 사

실시 지 거

․ 취 없 는

도 시

시민 주도하는 눔장

산 · 착

「 울 재사용 플 」

건 립 진

도 매립지

해 결 진

원 시 운

식 쓰 량 시행

등 통한 원천감량 착

식 쓰 처리시 충

폐 상처리 책

- 3 -

Ⅲ.주요업무 추진계획

1. 2 / 3 가 줄 어 든 원 하 나 4

2. 계 재 활용도시 현 15

3. 공 기 가 맛 는 상 쾌 한 울 22

4. 건강하고 깨끗한 생활환경 27

- 4 -

1 원 하 본격 진

2 태 시 보 ‧ 대

3 연료 지 열병합 충

4 수 열에 지 생산

5 시민 체감하는 LED도시

6 건물에 지 효 개 가

7 에 지 시민생 문 산 ․ 착

8 에코마 리지 시민참여 대폭 대

1. 2/3 줄어든 원 하나

- 5 -

1 원전하나줄이기 본격 추진

◇ '12 , 원 하 합 책 립과 민 등 마

◇ '13 , 시민과 함께 에 지 원 하 본격 진

에너지 절감목표(단 :만TOE)

구 분 계 2012실 2013계획 2014계획

계 200 33 100 67

신재생에 지 생산 50 3 25 22

에 지 효율화 79 14 32 33

에 지 약 71 16 43 12

그간 주요 추진사항

○ 신재생에 지 민간투자 활성화를 한 기반 마련

-태양 230MW,수소연료 지 200MW 등 민자 1조4천억원 유치

-태양 발 사업 인․허가 조건 제도개선 공공부지 조사

※ 민간주택 태양 발 시설 10MW 설치 암사 등 2개소 10MW 착공

○ 차액 방식 도입으로 건물BRP LED 교체 활성화

- 형건물 396개소,주택 3,028개소 BRP완료,LED 83만등 보

○ 에 지 약 시민공감 확산

-에코마일리지 가입 69만 회원,에 지클리닉 10,624개소 등

2013 추진방향

○ 공공시설 부지 학교옥상 등에 신재생에 지 설치 민자사업 활성화

-정수센터 등 공공시설 부지와 학교옥상을 활용한 발 사업 민자사업 추진

-민간건물 옥상임 등을 활용한 시민햇빛발 소 극 유치

○ 건물BRP와 LED조명등은 보 상을 모든 시설물로 확 하여 붐 조성

-에 지사용량이 많은 시설(학,병원 등)BRP와 지하주차장 LED보 집 추진

○ 에 지 약을 한 시민실천운동 극 추진

-각종 시민참여 캠페인과 에코마일리지 등에 시민의 자발 참여 유도

- 6 -

2 태양광 발전시설 보급․확대

◇ ’12 지규 , 료 규 개 등 규모 한

◇ , 철도차량 지 등 집 울 계 고 태 도시 변모

민자 대규모 태양광발전소 상반기 집중 설치(153MW)

○ 정수센터 등 공공시설 활용 태양 발 소 조기착공(54MW)

-MOU 참여기업별 설치물량 배분 착공(’13.3월까지)

▸ 태양 업 참여 하여 태양 산업 MOU체결(’13.3월 )

-자동차 용도로 교량 태양 발 시설 방침 수립(’13.2월)

시 별 태양 치계 ( 54MW) 도심 암사태양 공 ('13.4, 5MW)

○ 태양 설치 등 환경학교 로젝트 추진(60MW)

-권역별 강력한 력체계 구축(자치구,교육청,학교,학부모,시민단체 등)

-태양 설치학교 종합 지원 로그램 운 으로 극 참여 유도

▸에 지진단 실시, 시 개 비(BRP) 경비보 우 지원 등

-하드웨어(에 지, 빗물 용, 상 )와 스 트웨어( 경 )가 결합된 녹색학교 조성

○ 국공립 시설 형 민간건물 민자 태양 발 소 설치(39MW)

-국공유시설(코 일,태릉선수 ,박물 등),민간건물( 학,유통시설)

중소규모 민간 태양광발전소 설치 확산(27MW)

○ 민간건물 지붕 여 컨설 태양 발 사업 활성화 :25MW

-발 사업자와 건물소유주 연계, 정임 료 기 설정 계약업무 지원

○ 주택 태양 보조 지원사업 추진 :800가구 2.4MW

○ 태양 발 Boom-Up분 기 조성 :순회 설명회,상담창구 개설 등

- 7 -

미니 태양광 개발 및 설치 대중화

○ 태양 가 제품 모델 개발․보

-안 인증 기 마련

-가 매장에서 구매 후 설치 가능 모델 개발

○ 수상 태양 시범설치 태양 아이디어제품 보

-한강,석 호수 등 주변 경 을 고려한 설계 디자인으로 시범설치

▸‘13.2월 재 원천 술 보 한 한 수 원공사 본 술참여

-태양 아이디어 제품(가방,모자 등)보 을 통한 태양 이용 화

태양광 설치에서 A/S까지 종합 지원시스템 구축·운

○「서울 햇빛지도」제작(’13.4월 공개)

-최 치,용량,수익성 등 필요한 정보 제공

-지붕임 창구 개설 :온라인 정보 제공

-주요 태양 발 시설 정보 표출(’13.9월)

○ 융자지원 확 A/S실시 등 태양 설치 활성화

-태양 발 사업 설치비 융자지원( 후변 ) 비율 한도 확

▸’12 치비 40%, 1억원 → ’13 치비 50%, 1.5억원

※ 시 행(우리, 국민)과 조체계 구축, 태양 용상품 운용 ( 리 4.1~4.2%)

-태양 A/S지원 등 안정 운 기반 구축

▸ 문 태양 A/S 지 업체 통해 태양 시 체계 리

▸앞 치 연에 지재단 등에 문 A/S 능 여

・ 치업체 도 A/S 무 간 경과에 우 식

태양광 입지 완화 등 제도개선 지속추진

○ 공원부설 주차장 태양 설치 입지제한 완화 :서울 공원 주차장 등

○ 신재생에 지공 인증서(REC)가 치 개선

- 도시 가 치 신설 :1.2

-유수지 태양 설치시 가 치 인상 :0.7→ 1.5

- 8 -

3 연료전지발전소 및 열병합발전소 확충

◇ 도시 시 운 한 지역 산 시스

◇ 마곡 경 에 지타운 해 하 열 등 신재생에 지 용 극

연료전지 발전시설 건립 확대 :132MW

○ 형 연료 지 발 소 민자유치 추진(130MW)

-’13년 차량기지,공원 등 8개 기반시설내 130MW 연료 지 사업 착수

※ '12 사 자 치 : 한국 원자 ㈜ 120MW 보 MOU 체결

※ 고 차량 지(20MW) 사업자 (SK E&S) 월드컵공원(20MW), 잠실운동장(20MW) 부지

○ 건물용 연료 지 발 시설 보 확

-’13년 20개소 2MW 설치

※ 어린이 공원(100KW), 북병원(100KW) 운 , 2롯데월드(800KW) 치

-‘환경 향평가제도’,‘녹색건축물 가이드라인’심의제도 강화 등으로 설치확

<SH집단에 지, 상계> - 2.8MW <어 린 공 원 > - 1 00kW

고효율 열병합 발전으로 분산형 전력시스템 구축 추진

○ 마곡 친환경 집단에 지시설 건설

-신재생에 지 45%, 력 자 100%

-복합화력 200MW,하수열,발 열 연계 등

-사업 타당성(용량 등) 조사 (’13.1~6, 울연 원)

○ 자가 열병합발 보 확 잉여열 지역난방 활용

-기존 앙난방(지역난 ) 85㎡이상 공동주택 4개 단지 선정 추진

-공동주택( 용 85㎡, 500 상),일반건물(연 10만㎡ 상, 21층 상)

건축시 자가 열병합발 의무화 검토(건 심 , 경 향평가 )

- 9 -

4 소수력발전 및 열에너지 생산

◇ 재생 원 시 시 개 에 지 생산

◇ 지는 연에 지 생 산 원 재생에 지 공

소수력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원 개발

○ 미활용 수자원 개발로 소수력 발 사업 추진(580kW)

-’13년 노량진배수지(370kW),난지물재생센터(210kW) 낙차 수력발 설치

※ 하 ⋅ 장 시 용가능 상 조사 용역실시 : E&C

○ 목재펠릿 활용 소득층 에 지 복지사업 시범추진

-’13년 펠릿보일러 45 설치(시30,노원구15)

※ ‘13.2월 국 (산림청) 지원 : 42,300천원( 치 의 30%)

○ 물재생센터 바이오가스 열병합 발 소 설치

-난지(3.1MW)설치,서남(5.5MW)우선 상 상자 선정 정

지역난방 에너지이용효율 극대화

○ 발 잉여열,하수열 등 재생열 지역난방으로 재활용

-양주 별내에 지 발 열 수열 :20천TOE

-하수열 이용 :탄천(열공 료 19천TOE),서남(11천TOE 착공),난지(타당 사)

지역난방 열수송 환상망 구축 사업자간 집단에 지시설 연계 운

-열수송 환산망 구축을 한 MOU 기 체결(’12.12 한 지역난 공사)

⇒ 하수열 등 미활용에 지 연계 이용으로 장래 57만TOE에 지 감효과 상

※ 신재생에 지 열공 의 도(RHO) 개 추진 : 하 열, 소 열병합 열 포함

자원회수시설 소각열 증산

○ SCR 매탑 가온용 연료를 소각열로 체

-연료개선(강남 1기,노원 2기)을 통한 LNG 감 2,945천㎥(3,072TOE)

○ 반건식 반응탑 통과시 냉각되는 열을 회수하여 에 지 증산

-강남 자원회수시설 압보일러 1기 설치를 통한 소각열 증산 540TOE

- 10 -

5 시민이 체감하는 LED도시 조기 완성

◇ '12 차 도 도 , 83만개 보 LED

◇ '13 222만개 보 LED 색 도시

공공조명 24시간 조명시설 교체 추진

○ 지하철역사 공 주차장 등 기존조명 LED조명 교체 추진

-한국정책 융과 력,LED조명 교체 민간자 유치(ESCO사업 추진)

-지하철 역사(208개)․공 주차장등 기존조명 약 40만개 LED로 교체

시민과 LED 만남, 저효율 조명 퇴출운동 전개

○ 1가구한등LED갖기추진(100만가구):가정내백열등・할로겐․삼 장⇒LED조명

-시민단체와 연계 “찾아가는 LED장터” 개 :LED염가 공

《공동주택 에 지 약 LED 한등 갖 캠 개 》

○ “LED로 세상 밝히기”종교계 등과 본격 시행

-종교건물 조명 진단서비스 실시(1천개 ),교단과 LED보 의체 구성

민간조명 무상 先설치 방식 확대 추진

○ LED 보 회와 제휴,무상 설치(선투자)․ 차액으로 투자비 회수

○ 지하주차장(장시간사용)조명 집 교체 :LED 100만개 보 (’13)

LED 실증(TestBed)으로 가로등 ․ 보안등 개발지원 및 본격 보급

○ 물재생센터내 LED조명 총 33개 제품 실증 추진,성능 우수제품 선별(’13.3)

-총 33개 제품 (가로등 11,보안등 19,터 등 3)

등 실증(탄천 ) 가 등․보안등 실증( 남 )

- 11 -

6 건물에너지 효율개선 가속화

◇ 에 지효 개 사업(BRP) 새는 에 지 잡 에 지 립건

◇ 주택, 빌 , 지하철 역사 등 모든 에 지시 사업

에너지효율개선자금 지원제도 대폭 개선 및 조건 완화

○ 국내 최 융자 로그램 시행(이율 ’12년 연2.5% → 연2.0%)

-에 지 효율개선 사업비의 80%이내 최 20억원까지 융자 확

○ 서민 지원을 해 효율개선 시 무담보 융자시행 :최 1천만원까지

건물부문 에너지 효율개선 가속화 ⇒ ’13년 7,150개소

○ 에 지 사용량이 많은 건물 소유자 착 마 추진

-에 지 비용 감 사례 등 업종별 사업설명회 공과 고지서 활용 홍보 강화

- 학교,24시간 패스트푸드,병원,지하철 등 BRP자 우선 융자시행

<BRP 사 : 단열․창호 및 냉․난방 효율개 등 ⇒ 에 지 감 20% 내 (45TOE/ )>

○ 서민 맞춤형 노후 공동주택 에 지효율개선 본격 추진

-시공업체와 업하여 에 지 약항목(단열창 등) 가격 20%인하 추진

- 림 I&S(주)와 노후 공동주택 BRP추진을 한 업무 약 (’13.2.15)

▸ 후 단지 아 트 에 지효율개 시범 진 (단열창호 및 후보일러 체 등)

친환경건축물 조성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 가이드라인” 용범 확

-시 허가 상(‘12년)→ 자치구 허가 상에도 용토록 확 (’13년)

○ 부동산 거래시 에 지소비증명제 실시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13.2)

-500세 이상 공동주택,총면 3천㎡이상 업무시설(에 지평가 무 )

- 12 -

7 에너지절약 시민생활문화 확산 ․ 정착

◇ ’12 에 지시민 신 , 시민참여 운동 마

◇ ’13 새 운 에 지 운동 , 에 지 비 생 산 등

새로운 절약운동 주체 및 공간 확대, 시민협력 강화

○ 에 지 약 실천 시민 력 공모사업 확 추진(’12년17개→’13년50개사업)

-에 지 약 공모사업 추진지역을 약운동 거 으로 육성,주변지역에 확산

○ 워블로거,부동산 개인,인테리어 디자이 등을 약운동 주역으로 참여

-온라인 공간을 통한 에 지 소비형 생활문화 정보 확산

○ 종교 활동과 연계한 에 지 약실천 문화 형성

-기독교,천주교,불교 등 범 종교계 조체계 구축 참여 유도

에너지 저소비형 놀이 ․ 여가 ․ 생활문화 및 서비스 확산

○ 유명인 홍보 사 추진

○ 홍보 사와 함께 다양한 행사를 통해 에 지 소비형 생활문화 확산

-불 끄는 날(매월 22일)소등행사와 연계한 에 지 소비형 문화행사 추진

○ 촛불 밝히는 카페 등 서비스 공간의 에 지 약 참여 확산

-과다 조명 등 실태조사와 에 지를 아끼는 가게 칭찬하기 캠페인 추진

에너지 다소비 건물의 과학적 효율관리 제도 정착

○ 건물의 냉․난방온도 가이드라인 수 생활화

- 정 실내온도 리기 :여름철(6~9월) 26℃이상,겨울철(11~2월) 20℃이하

○ 민간건물 에 지진단 단계 확 (’12년 413개소 → ’13년 1,566개소)

-에 지사용량 2,000TOE에서 력다소비건물(’13년 1,000kW 이상)로 확

○ 에 지사용정보 공개( 설치)정착화 ※ 연차

- 년 비 에 지사용량, 계량,증감량 등 정보제공

-건물입구 는 1층 로비에 설치( 보 등)

○ 에 지 약 모범건물 표창 사례 공개

- 13 -

정기적인 불 끄는 날 추진 : 매월 22일

○ 소등행사 등 에 지 소비형 문화행사,마을 공동체와 빌딩 심으로 확산

※ 지구 불끄 (3.23), 지구의 날(4.22), 생 다양 의 날(5.22), 하지(6.21), 에 지의 날(8.22), 차없는 날(9.22), 동지(12.22)

▸언플러그드 트, 별빛․달빛 행, 에 지 등 시민참여 프 그램 공

「에코라이프 디자이너」양성 ․ 운

○ 녹색가정 디자이 (500명):아 트‧단독주택 2만개소 진단

-가정에 지 사용실태 진단 감 처방책 제시

- 기 력 차단 가 제품의 올바른 선택 사용정보 제공

-LED 등 설치,에코마일리지 가입 권장 등

○ 녹색일터 디자이 (150명):건물‧상 ‧학교 등 피크 리 컨설

-에 지진단을 통한 효율 사용과 약 유도

-지능형 수요 리(DR)사업과 연계 지원 - 력피크 리

- 기 계량기가 통합되어 있는 건물내 상가・오피스의 계량기 분리운동 개

「에너지 수호천사단」운 : 400개교 2만명( 등학생 ~ 고등학생)

○ 학교․가정 에 지 약 실천,에 지 낭비사례 모니터 등

-에코마일리지 가입 학교․가정에서 에 지 약실천 활동 개

-시민단체 활동가를 커미셔 로 지정․지원(5개 단체)

○ 학생,교사,가족 등이 함께하는 다양한 로그램 확 ․운

-‘에 지수호 경찰 ’,‘천사단 기자단’,‘학부모 동아리’운

상업부문의「에너지를 아끼는 착한가게」운 : 2천개소

○ 자율 감 목표 실천, 실천과제 이행 등

-가게별 감 자율목표 설정 5 필수 실천과제 이행 실천

※ 자 품 드빼 , 구 한등빼 , 주간간 소등하 등

○ 시민모니터단 양성․운 :50명

-가게 방문 맞춤형 에 지 감정보제공 등 지원

- 14 -

8 에코마일리지제 시민참여 대폭 확대

◇ '12 말 원 가 70만개 에 달하 직 체 가 상 18%에 과

◇ 참여동 하는 티브 , 매개 직 용한 원가 도

목 표

구 분 2011까지 2012 2013 2014

회원가입(명・개소, 계) 50만 70만 120만 150만

에 지 감(TOE) 4만 10만 17만 22만

회원 인센티브 확대 및 서비스 강화

○ 자동차보험사와 제휴,주행거리 감축 시 에코마일리지 추가 지

-자동차 마일리지보험과 연계( 가 티브는 보험사에 공)

○ 회원가입 차 간소화 :주민등록번호 에 지별 고객번호 자동확인

○ 소액 다품종의 인센티 제공,모바일 쿠폰에 의한 배송방식 추가 등

○ 우수 단체․아 트단지․회사 등에 인증마크 부여 등

에코마일리지카드 발급은행간 경쟁을 통한 회원가입 유도

○ 카드 발 은행간 경쟁 로그램 시행

-에코은행 선발 회를 통하여 우수은행 유공직원 표창

○ 카드 발 은행과 함께하는 공동캠페인 실시

-은행내 포스터 부착,가입안내 사인폴 리 렛 비치,창구직원 안내

○ 카드 사용혜택 확

- 교통요 할인율 확 (10%→20%),구매할인 상 친환경제품 추가 발굴 등

매개조직을 활용한 회원가입 유도 및 절약의욕 고취

○ 통․반장(11만여명),마을공동체,새마을 의회(3만여명)등을 통한 가입홍보

○ 시 산하기 발주 각종 공사계약 시 에 지 약 실천조건(에코마일리지가입)삽입

○ 에 지 클리닉 효율화사업 지원 시 에코마일리지 가입 유도

- 15 -

2. 계 재활용

도시 현

1 시민 주도하는 눔장 산· 착

2 「 울재사용플라 」 건립 진

3 수도 매립지 문 해결 진

4 원 수시 운 효

5 식물쓰 량 시행 등 통한 원천감량 착

6 식물쓰 처리시 충 폐수 상처리 대책

- 16 -

<뚝섬나눔장터 >< 화문 장터 >

1 시민이 주도하는 나눔장터 확산 ․ 정착

◇ 도심 눔장 등 재사용 산

◇ 시민 주도 뚝 눔장 색장 운

광화문 희망나눔장터 (3~10월): 화문 장,세종로 일

○ 운 방향

-집행 원회 구성( 로그램 개발 선정 등) 시민 심의 장터 운

-주변 문화· 시설과 연계 시 지 극 화 :세종문화회 ,경복궁,청계천 등

○ 화문 장 정례장터(3~6월):매주 일요일

-재활용 련 기업․단체,시민참여 고장터,어린이 장터

-농부의 시장,풍물시장,헌책방,친환경 기업 참가,공방작가 체험코 등

○ 차 없는 거리 연계장터(3~6월 셋째주 일요일/9~10월 매주 일요일,확 검토)

-재활용장터,농부시장,엔틱장터,외국인벼룩시장․커뮤니티,열린 술극장 등

-사회 기업․마을기업장터, 동조합장터,학교장터 등 월별 주제장터 추가

뚝섬나눔장터 (3~10월):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

○ 매주 토요일 운 (’12년 주 1회)→토⋅일요일(주 2회)확 운

○ 가족간의 여가문화 공감 형성,계 별 테마장터 등 장터 구성 다양화

○ 문화공연 등을 통해 볼거리 제공 ( 학 동아리,재능기부자 참여확 등)

녹색장터 (3~11월):아 트 주차장,공원 등 일상 생활공간

○ 자치구별 녹색장터 활성화 운 (’12년 연 1,300회 → 1,600회)

○ 시민단체,종교단체,자치구 자생단체 등 운 단체 다양화 추진

○ 매품목의 다양화와 재사용 자선가게,지역 재활용센터 등 업체 연계 추진

- 17 -

2 「서울 재사용 플라자」건립 추진

◇ ’12 울 재사용 플 한 본계 립 등 마

◇ ’13 재 용 상징 건 한 건 계 착공

조성 개요

○ 사업기간 :’12.8~ ’15.3

○ 장 소 : 랑물재생센터 내 부지 6,000㎡

○ 조성규모 :연면 16,000㎡(지하 4,000㎡포함),373억원(국비 112억원)

○ 주요시설 :재활용 작업장,재활용 공방,소재은행,재활용 박물 ,

재활용 백화 ,교육장,회의장 등

추진사항

○ 문가, 련기업 등 자문회의(4회):’12.4∼9월

○ 사업타당성조사 등 기본계획 수립(서울연구원):’12.6∼12월

○ 사업계획서 수립 시 투자심사 :’12.8∼9월

향후 계획

○ 상설계공모를 통해 설계자 선정:’13.3월(공모기간:’12.12.17~’13.2.27)

○ 입주 상 기업 의견청취 설계 반 (2회 이상):’13.3~ 4월

-재활용 련 기업‧단체,재활용 작가 등 참여(건축구조‧설비 로그램 등 자문)

○ 문가 원회 참여 포럼 개최 :’13.2~ 공시

-입주기업 선정범 차, 라자 운 리,발 방안 등 의견수렴

○ 기본․실시설계 실시 :’13.4~ 10월

-도시계획변경 심의( 상향 : 1 → 2 ), 물재생센터 내부도로 개방 등

○ 시공자 선정 착공 :’13.10~12월

- 18 -

3 수도권매립지 현안문제 해결 추진

◇ 매립지 사용 간 연장 해결 한 울시· 천시간 공동 T/F 운

◇ ’13 새 과 경 ‧ 경 도 등과 공 체계 강

매립지 개요

○ 매립면허 :1992년 ~ 2016년(매립률 55%,2044년까지 매립가능)

○ 이용지역 :서울시(25개구),인천시(9개 구․군),경기도(24개 시․군)

구 분 계 1매립장 2매립장 3매립장 4매립장 기타

부지면(매립면 )

1,979만㎡(901만㎡)

409만㎡(251만㎡)

409만㎡(248만㎡)

394만㎡(221만㎡)

389만㎡(181만㎡)

378만㎡

매립용량 228백만톤 64백만톤(매 종료)

78백만톤(매 78%) 86백만톤 아라뱃길,고속도로,

철도,연구단지,하수처리장 등매립실태 ’92~ ’44 ’92~’00 ’00~’16

제3매립장 조성공사비

현안문제

○ 인천시에서 주민 민원 등을 이유로 2016년 이후로 매립종료를 천명

○ 새로운 매립지 조성시 장소문제,막 한 재원,조성기간 등을 고려하면 기간

연장이 불가피 ⇒환경부,3개 시․도가 공동으로 해결 방안 모색

○ 제2매립장 종료(’16년) 비 제3매립장 조성공사(51개월 소요)추진 시

수도권 매립지 사용기간 연장협의

○ 매립기간 연장 필요성 공감 확산

-서울시 T/F 상단(단장:정무부시장) 운 계기 의 활성화

※ 략 의 안 모색, 상안 마 (법률 검토, 략계획 립, 시민토론회 개최 등)

○ 새정부 국정과제로 선정 노력(환경부,경기도와 의․공조)

-인수 에 기간연장 필요성 등 의견 제출,환경부 등과 세미나 개최 등

○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사업 추진(매립기간 연장 제)

-여름철 악취 책,수도권매립지 수송도로 개선 비산먼지 감방안 등

- 19 -

4 자원회수시설 운 효율화

◇ 원 시 운 가동 지

◇ 지 업 개 통해 원 시 운 효 도모

가동실적(’12년):85%

○ ‘12년 자원회수시설 가동률은 평균 85%로 년 82% 비 3% 향상

※ 자원회수시설 가동률

구 분 계 양천 노원 강남 마포

시설용량(톤/일) 2,850 400 800 900 750

소 각 량(톤/일) 2,459 345 614 835 635

가 동 률(%) 85(평균) 86 77 93 85

효율화 추진계획

○ SCR 매탑 연료개선사업 총 10기 완료로 연간 50억 LNG 비용 감

-’13년3기(강남 2기,노원1기)설치추진(5~6월 정비시 시행)

-’12년까지7기설치완료( 매가온용 연료를LNG→소각증기로 체)

○ 자원회수시설 기술진단을 통한 시설개선으로 고장 방 주민신뢰도 확보

-’13년동 문구쓰 기반입으로가동률이향상된노원과가동률이높은강남실시

-’12년은 공동이용 약에 따라 양천자원회수시설 실시(’14년 마포 정)

○ 자원회수시설 사 정비로 최 운 상태 유지(5~6월 실시)

-내화물,폐열보일러 수 ,환경오염방지시설 등 326건(146억 소요)

○ 자원회수시설 학생 장 정규수업 실시로 공감 홍보 강화

-’12년 3개 학 → ’13년 4개 학(시립 ,건국 ,이 ,국민 )

※ ’12년 3개 학(시립 ,건국 , 운 )162명 참여

<마포자원회수시설>

- 20 -

5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 등을 통한 원천감량 정착

◇ 식 쓰 량 시행(’13.6.1) 생량 감․ 착

◇ 감량 보 식 개 캠 개 생원 원천감량

음식물쓰레기 감량 목표(‘12년 비 ’13년 10%→ ’14년 20% 감량)

연도구분 ’12년 ’13년 ’14년 ’16년 ’18년

발생량(톤/일) 3,347 3,012 2,678 2,343 2,009

감축량(톤/%) 0 335(10%) 669(20%) 1,004(30%) 1,338(40%)

음식폐기물 종량제 시행 (’13.6.1)-정착시 30% 감량 기

○ ’12년 단독주택(18개구),공동주택(미실시) → ’13년 면시행

<자치구별 종량제 시행시기>

구 분 ’13.1월 ’13.3월 ’13.4월 ’13.5월 ’13.6월

단독주택기시행18개구

+ 노원강서

양천․ 등포‧

서 ․강남‧송

공동주택구‧동 문

노원

종로‧성북

강서

은평‧서 문

강북․도

구로‧동작

강동

용산‧성동‧ 진랑‧양천‧마포천‧ 등포‧강남악‧서 ‧송

감량기기 보급확대로 원천 감량

○ 형감량기(170 ,177백만원):운 비, 탈비 지원

○ 소형감량기(750 ,300백만원): 계 문가 자문 원회 구성,구매기

마련․시행

감량 캠페인 대대적 전개 -“음식은 먹을 만큼만,버릴땐 꼭 짜서”

○ 가 정 :반상회,시민단체 등을 통한 홍보활동 개

○ 음식 :음식문화 개선운동 추진으로 원천감량

※ 음식물쓰 기 감량 비율만큼 자치구 인센티 부여 검토

- 21 -

6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확충 및 음폐수 육상처리 대책

◇ 2018 지 식폐 체 처리능 95% 보 처리

◇ 생 폐 는 공공처리시 민간 도 10%

처리시설 확충

○ 자체처리 목표 :37%(’12)→ 69%(’16)→ 95%(’18)

구 분 ’12년 ’13년 ’16년 ’18년

발생량(톤/일) 3,347 3,012(△10%) 2,343(△30%) 2,009(△40%)

자체처리(톤/일) 1,240(37%) 1,360(45%) 1,610(69%) 1,910(95%)

민간 탁(톤/일) 2,107(63%) 1,652(55%) 733(31%) 99(5%)

○ 음식폐기물 자체처리시설 확충 :기존5개소 1,240톤/일(’12)→ 8개소1,910톤/일(’18)

-강동 음식폐기물처리시설은 ’13.2월까지 처리용량 증설(240톤/일→360톤/일)

※ 시설은 강동보 자리주택 건설 정 부지내에 설치되어 있어 이 이 불가피하여

폐기물종합처리시설과 연계해서 음식물처리시설 이 설치 정( 재 타당성용역 시행 )

-강서 처리시설은 시에서 재정투자를 통해 ’16년까지 조기 건설(250톤/일)

- 랑 처리시설(200톤/일) 은평 처리시설(100톤/일)은 ’18년까지 완공 추진

음폐수 안정적 육상처리 추진

○ 음폐수 처리 황(’12년)(단 :톤/일)

음폐수 발생량

(톤/일)

해양배출(622) 공공처리시설민간 탁

업 체공공 민간 소계동 문,송

서 문

수도권매립지

침출수처리장

1,800 194 428 969 748 221 209

○ 육상처리 책

-공공처리시설 확 :1,591톤/일(기존 969톤+확 622톤)

▹ 랑물재생센터 하수연계처리(’13.1.2부터):194톤

▹서남 랑물재생센터 처리(’13.2.1부터):428톤(기존 민간해양 배출)

-민간처리 :209톤/일(기존 민간시설)

- 22 -

3. 공기가 맛 는

상쾌한 울

1 에 향 미 지, 산 질

2 건강도시 한 한 실내공 질 만들

3 그린 보 등 운행차 공해 경

운 문 산

4 후변 ․ 내실

- 23 -

1 호흡기에 향이 높은 초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중점 관리

◇ 그간 미 지(PM-10) 집 리 ’12 도가 질 달

◇ ’13 에는 눈에 보 지 는 NO2 지 리 강 시민건강 보

대기질 개선목표 : PM-1030㎍/㎥ 로 감,NO2까지 리

연 도구 분

’11년

(실 )

’12년

(실 )’13년 ’14년

환경기

국내 유럽

PM10(㎍/㎥) 47 41 39 38 50 40PM2.5(㎍/㎥) 24 23 22 21 25 25NO2 (ppm) 0.033 0.030 0.029 0.027 0.030 0.021

초미세먼지(PM-2.5) 발생원별 저감대책 추진 :’15년 국가기 용 정

○ 친환경자동차보 노후운행경유차매연 감장치부착등 공해화지속 추진

-직화구이 음식 배출 미세먼지 감 실증연구 완료(’13.8)

○ 도로분진청소체계 개선으로 도로청소 내실화 :103만㎞(’12)→120만㎞(’13)

-사계 용 도로분진흡입 청소차 확 보 :23 (’12) → 31 (’13)

-도로물청소 지하수,빗물 사용확 :21.6%(’12) → 30%(’13)

-자치구 도로분진 청소역량 집 :‘자치구 인센티 사업’반 추진

○ 사업장 규모 계 별 맞춤형 비산먼지 발생 리 강화

- 규모 공사장(연 10,000㎡ 상) 410개소,DB구축,연 24회 검

-소규모 공사장(연 1,000㎡∼10,000㎡ 미만) 899개소,연 12회 검

○ 오존,미세먼지 등 기오염물질 농도단계별 상황발령

- 기‧교통정보 (1,029개소),학교‧노약자 보호시설(19만개소) ‧경보

○ 출근 활동시간 미세먼지 보로 활용도 증진 기오염 감 동참 유도

-아침 보시간 변경 :오 9시 → 오 8시

특히, 개선정도가 느린 이산화질소(NO2) 관리 강화

○ 형 화물차 PM-NOx동시 감장치부착 건설기계엔진교체 시범사업 추진

○ 건물난방부문 보일러 리 강화,가정용 소형 보일러까지 녹스형으로 교체

- ‧ 형 보일러 녹스버 교체 지원(’13 500 )

-에 지 빈곤층 상 가정용 친환경보일러 설치 시범사업 실시(SH공사와 의)

- 24 -

2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깨끗한 실내공기질 만들기

◇ 실내공 질 리 장 역량 강 (우 시 증 컨 )

◇ 건강민감 용시 집 리, 효 리체계 도개

건강민감층 이용 취약시설 컨설팅 확대 : 244개소(’12)→700개소(’13)

○어린이집 등 취약시설에 한 공기질 측정,오염요인 분석 실태조사

○ 화 ,PC방,학원 등 신규 리 상 시설 실내공기질 리요령 안내

새집증후군 예방 신축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검사 강화

○입주 시공사 단독 공기질 측정 ⇒ 주민‧자치구 공동참여

○시‧자치구 홈페이지에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공개

실내공기질관리 우수시설 인증 확대 및 사후관리

○ 상시설을 어린이집에서 산후조리원 등으로 확 인증(100개소)

○기 인증시설에 한 문가 장 실태조사,사후 리(41개소,어린이집)

실내공기질 오염도검사 및 지도점검 강화

○어린이집 등 리 상 민감계층이용시설 오염도 검사 확 (10%→20%)

○ 체 리 상시설 실내공기질 리 실태 지도․ 검

효율적인 실내공기질관리 추진체계 구축・운

○ 분야별로 추진하고 있는 실내공기질 리업무의 총 ・조정 기능 수행

○시민단체, 문가가 참여하는 공기질 자문단 운 강화(10명→13명)

-자문회의 정례화(분기별),시민단체,의학,교육홍보 분야 등 문가 보강

○ 시설별 실내공기질 리 매뉴얼 제작 배부,홈페이지 등 활용 홍보

실내공기질관리 제도개선 추진(환경부 건의)

○ 실내공기질 리 상 확 신고제 도입

○ 실내공기질 검사결과 평가방법 개선(측정치의 평균값 합격 정⇒개별값으로 평가)

- 25 -

3 그린카 보급 등 운행차 저공해화 및 친환경 운전문화 확산

◇ 『 어링』 등 공 고 통 ․ 에 지 감 효과 큰 그린 보

◇ 운행차 공해 지 진 경 운 산 질 개 에 여

친환경 그린카 보급 : 308대

○ 기차 셰어링 보 확 :184 (’12)→ 274 (’13)

○ 기술발 을 한 테스트 베드로서 공공기 주 보 :218

- 기승용차 96 (공공용), 기이륜차 120 (공공용), 기버스 2 (셔틀버스용)

○ 보 차종 다양화로 기차 상용화 기반 마련 :1종 → 3종

노후 운행차 저공해화 사업 추진

○ 운행경유차 공해화 지속 추진 :25만 (’12)→ 26만 (’13)

-도심 운행 3.5톤이하 차량 공해화 본격 추진

- 공해 조치 차량 사후 리 강화 :특별 검반 운

○ CNG자동차 보 :10,128 (’12)→ 10,390 (’13)

-경유 시내버스 CNG로 100% 교체 완료

친환경 경제 ․ 운전문화 확산

○ 자동차 공회 제한 역으로 확

-터미 ,시내버스 차고지 등 공회 지역 83개소 동․하 기 집 검

○ 승용차요일제 운 내실화 추진

-승용차요일제 운 리 조례 제정,장기 추진 략 마련을 한 학술용역 시행

○ 시내버스․마을버스 친환경운 장치 부착 :4,597 (’12)→ 5,847 (’13)

-장치 기능 보완 :운 습 교정 + 실시간 연비 표출

○ 친환경․경제운 교육 실시 :3,600명

-시내버스 운 자 3,000명,여성 200명,어린이 400명

- 26 -

4 기후변화 국제교류 ․ 협력 내실화

◇ ‘12 ICLEI 동 시 본 , WMCCC 장 등 상 고

◇ 후변 도시들과 실질 공 체 ․

ICLEI, C40 등 회원도시간 교류 강화 및 참여도시 확대

○ ICLEI회원도시간의 정기교류체 구성( 국․일본․ 만․몽골로 확 )

-ICLEI동아시아본부 한국사무소와의 유기 력으로 우수사례 발표회,

시장회의 등 정기 개최,동아시아지역 공동 심사업 발굴

○ 우리시 국내 지자체들의 해외 자매도시 상으로 회원가입 확

-ICLEI동아시아본부 특별사업을 통해 동아시아 국도시 가입 극 추진

○ 탄소정보공개(CDP),기후 정개발 로그램(CPDP)등 C40공동 력사업 추진

○ 기후변화세계시장 의회(WMCCC) 극 참여 의장(서울시장)활동 지원

○ 국제회의 주도 참여를 통한 시책 ․홍보

-메트로폴리탄 솔루션 페어(하노버:4월),회복력있는 도시 총회(본:5월),

세계시장기후회의(낭트:9월)

동북아 대기질 개선을 위한 도시간 환경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 동북아 기질 개선을 한 한․ ․일 주요도시 국제세미나 개최(’13.9)

○ CDP Cities아시아지역 의장도시로서 탄소배출량 감을 한 도시간

온실가스 배출량 리․ 감분야 의견수렴 등 선도 역할 강화

○ CleanAirAsia등 기 련 국제기구와의 연계 강화

타 해외도시 및 국제기구와의 수범사례 교류

○ ‘원 하나 이기’,‘에코마일리지’등 시 우수정책 해외

○ 해외도시의 친환경 우수사례 수집 시정 활용

-ICLEI․C40․CleanAirAsia등 련 네트워크 탄소정보공개(CDP),

탄소도시기후등록(CCCR) 등 제공정보 활용,우수사례집 수집 정책화

- 27 -

4. 건강하고 깨끗한

생활환경

1 주민과 함께하는 한 거리 가꾸

2 생 독물 ․ VOC 등 리체계

3 생 주변 수 사 실시 지 거

4 ․ 취 없는 도시

- 28 -

깔끔이 사단(구로),내 상가 앞 청소 의체( 구),골목아름지기(서 문),

통시장상인회(강동),어르신청결 사단(양천),클린디자인 사단( 천)등

1 주민과 함께하는 깨끗한 거리 가꾸기

◇ 민간 직, 직능단체 등 행사 주 참여에 가 , 상 , 사업장 등

◇ 청 참여 에 한 청 간 지 청 도 등 행 지원체계

자율청소 참여단체 모집 확대 및 운 체계 구축 : ’13.2~3

○ 주민자율청결 사단 추가 구성‧운 :7만3천명(’12)→10만명(’13)

-골목길․마을 청소,취약지역 환경개선활동 등 실천

-깨끗한 골목길 아름지기 약,청소구간 자율책임분담제 운

○ 시민들의 청소 참여 근성 향상을 한 온라인 신청 시스템 등 마련

-자치구별 홈페이지에 청소‧환경개선활동 주민참여 코 운 :팝업창 등

-학생 사활동확인증 발 ,우수 참여자 표창 등 인센티 부여

주민 청소 활성화를 위한 홍보 강화 및 봄맞이 대청소의 달 운

○ 주민 참여 활성화를 한 집 홍보 실시 :3월

○ 맞이 일제 청소의 날 지정,서울 역에서 범시민 참여 청소 실시

-3월 하루를 일제 청소의 날로 지정 ⇒ 시민 자율 청소 분 기 확산

주민 참여형「서울클린데이」운

○ 주민이 참여하는 골목길,이면도로 물청소 취약지역 환경개선활동

-매월 넷째 수요일은 깨끗한 서울을 해 다 같이 참여하는 청소의 날로 운

주민 참여 청소 평가 및 우수 자치구(단체) 인센티브 지원

○ 시민평가단 구성(30명 내외), 장평가(매월) 종합평가(11월):’13.3~11

○ 우수 자치구 인센티 지원 우수사례 공유 :’13.11~12

○ 주민 참여형 청소 우수단체(마을)공모 시상 :’13.11.

- 29 -

2 생활밀접 유독물 ․ VOC 등 관리체계 구축

◇ 해 학 질 보공 체계 간 업 업 진 강

◇ 탁 , 쇄 등 규모 생 (비규 ) VOC 원에 한 리 강

현황 및 실태

○ 유독물 취 사업장 :1,137개소(제조 2, 매 1,118,운반 6,사용 11)

※ 취 사업장 분류 : 독 질 보 123개소( 조업 2개소 도체), 미보 1,014개소(알 매업)

-유독물 사업장에 한 유 기 ( 청․ ) 업무연계 체계 구축(’12)

-유독물 사업장 지도‧ 검규정에 의거 정기‧특별 검 2회 실시(’12)

○ 휘발성유기화합물(VOC :VolatileOrganicCompounds)

-배출규제시설 685개소(주 642, 탁시 31, 9, 업 3)

-비규제시설인 생활 소규모 세탁소,인쇄소 등 8,000개소에 한 리 필요

유해화학물질 관리강화로 시민 안전 제고

○ 타지역 유해화학물질 사고 빈발에 따른 정기 검 강화 :연 1회 → 연 2회

※ 최근(’13.1.12~1.27) 독 사고(상주, 청주, ) 생에 라 울지역 독 보 사업장 등

200개소에 해 특별 검(’13.1.28~2.19) 실시하 .

○「유해화학물질 종합 리 산망」구축,유 기 간 정보공유 (’13.10~)

-유 기 간 업 업무 연계체계 구축으로 사고발생시 신속 응

-사업장 정보,취 물질,지도감독 결과 등 데이터베이스 구축

휘발성유기화합물(VOC) 관리강화로 시민건강 증진

○ VOC 배출 규제시설(주유소, 유소,세탁소 등)에 한 리 강화

-오존농도가 높은 여름철 집 지도 검( 증 , 용 수 치 등)

○ 세탁소,인쇄소 등 비규제(소규모)VOC 배출원에 한 리 강화

-소규모 비규제 배출원에 한 수조사 실시,DB구축

-비규제 배출원에 한 VOC 감방안 교육 홍보( )

-VOC배출실태 조사 실시(보건 경연 원),개선방안 마련

- 30 -

3 생활주변 석면 전수조사 실시 및 석면지붕 제거

◇ 빠짐없는 사 실시하여 체계 리 마

◇ 후 슬 트 체, 건강민감 용시 리 지원

석면사용 실태 전수조사 실시

○ 공공건물(1,927개소),다 이용시설(3,286개소)석면조사 조기실시 유도

-석면안 리법 상시설의 조사기한(’14~’15)을 1년씩 앞당겨 조기 완료

○ 슬 이트 지붕재 이용실태 조사

-건축 용도별,노후도,거주실태,교체희망여부,건축물 장 비교 등

○ 학교 석면사용 실태 수조사 :100개교(’12)→ 1,900개교(’13)

-건축자재 시료채취 분석,석면지도 작성 해성 평가 등

○ 건축폐기물 처리장, 형공사장 석면처리실태 검 :년 2회

-유 기 ( 울지 고용 동청, 치 , 보건 경연 원) 합동 검

-석면감리자 지정,공사일정 공개,공사장 주변 공기 석면농도 모니터링

○ 공원,하천 조경석 등 주변 석면모니터링 :분기 1회

-석면이 함유된 조경석에 주의표시 식물식재,교체 등 조치

○ 시 소유 공공건축물 석면 해성 평가 실시 :1,037개소

-석면건축자재 사용 건축물에 한 해성 평가를 실시하여 등 결정

- 해성 등 결과에 따라 석면제거 안 화 조치(보수,유지 리)추진

석면슬레이트 지붕 제거, 건강민감층 이용시설 석면관리 지원

○ 노후 슬 이트 지붕재 교체 지원 :200동(’12)→ 345동(’13)

-국‧시비 확보하여 슬 이트 해체‧제거 개량비 지원( 1,331 만원)

-집수리 사업,마을만들기 사업 등과 연계 추진하여 주거환경개선 효과 제고

○ 소규모 어린이집 등 건강민감층 이용시설 석면 리 지원방안 강구

-석면함유 건축물 종류 리요령 등 정보제공

-석면조사 제거에 필요한 소요비용 확보 방안 강구( 비지원 청)

- 31 -

4 소음·악취 없는 도시 조성

◇ 공사장·사업장 상시 리시스 운 취 생

◇ 취민원 검 한 공공시 허용 강 상시 감시체계

소음발생 저감 대책 추진

• ’12년 소음 민원은 년동기(21,745건) 비 11%감소

-건 공사장(78%), 사업장(10%) 순으 발생, 집중 리 필

○ 형공사장(1만㎡이상 410개소)소음 리 선진화 추진

-소음발생 장비 사용시 폐 이 방음벽 설치 의무화 등 리 철

-공사장(13개 ) 소음 상시모니터링시스템 시범운 ,결과 분석 확 보

○ 소형공사장(1천㎡~1만㎡미만 899개소) 사업장 소음발생 감시체계 강화

-민원다발지역 이동측정차량(4 )활용,집 리

-민원 집 발생시기(5~10월) 장 검 강화 :월 1회 → 월 2회 이상

※ 최근 사회 로 간소 에 해 는 시 차원의 T/F구 , 책마 (주 주택 책실)

악취 저감을 위한 배출원 관리 강화

○ 악취배출사업장 하 기 상시 검 강화로 악취발생 최소화 :5월~10월

-집 리사업장 63개소(공공시 50개 , 민간 야 13개 ) 리

○ 공공시설 배출허용기 강화 :악취기 15배 → 10배 이하

○ 서울형 악취 리지역 지정 련 장 조사추진

-악취배출원 집지역 등에 한 조사 실시(’13.6)

○ 악취 이동측정차량(1 )활용하여 민원과다 발생

지역‧사업장 상시 측정

○「 비용 고성능 악취방지시설(’12.개발)」모니터링 확 보 방안 마련

-서울형 녹색기술(GT)R&D 2차 사업으로 선정,모니터링․평가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