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차 진심으로소통하라

Post on 08-Jul-2015

704 views 7 download

Transcript of 1일차 진심으로소통하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시작

가정과 고객을 춤추게 하는

설득과 소통

1일차

진심으로 소통하라.

나에게 소통은 (이)다.

소통은 이(가)필요하다.

나의 소통점수는 점 이다.

소통기본과정(4시간*4일=16시간)

설득과 소통 리더과정(각 과정별 4시간 * 2일*3회=24시간)

설득(2)

소통(2)

액션러닝문제해결(2)

설득과 소통 코치과정(8시간*4일 + 4시간*2회 실

습=40시간)

CEO

직장인

주부

중고등학생

어린이

즐거운 변화를 위한 설득과 소통, 문제해결과정

과정 내용

회차 교육내용 비고

1일차

아이스 브레이킹 스킬

-회의, 프로젝트, 교육전 분위기 만들기

진심으로 소통하라

-칭찬 및 경청, 질문, 감사

성찰

2일차

다함께 해결하는 소통기술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방법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기본 방법 및 사례 학습

성찰

3일차

상대를, 내편을 만드는 소통기술

-설득의 법칙

실습

성찰

4일차

나를 표현하는 소통기술

실습

성찰

아이스 브레이커란?

- 회의 시작 전에 참가자들간의 서먹한 분위기를 깨고 활기찬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활동

- 회의에 집중할 수 있도록 분위기 조성

아이스 브레이커 아이디어

- 간단한 게임, 그림을 활용한 교육 참가목적 공유,

상대방 어깨 주무르기, 명함교환 등…

아이스 브레이커 (Ice-Breaker)

아이스 브레이커 유의사항

- 전원 참여

- 자연스럽게, 오버는 금물

- 3분 이내로 : 시간 낭비라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 참석자들의 지위, 분위기, 성격 특성에 어울리도록

- 회의의 평소 분위기를 감안하여 너무 파격적이지 않게

- 인원 수, 장소, 시간 등을 고려하여 선택

- 교육 및 회의내용과 연계성 있는 아이디어 선택

아이스 브레이커 (Ice-Breaker)

협력의 결과는 무한하다

“협동작업을 하는 그룹의 성과가 혼자 작업하는 팀원들의

평균적인 성과보다 뛰어날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의 성과보다 낫다”

(행동과학자, 패드릭 래플린)

“파트너들과 협력해서 최대한 많은 지식을 흡수하면 다양

한 관점으로부터 도출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

만들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빌 미첼)

협력의 결과는 무한하다

제임스왓슨+프랜시스 클락 vs.로잘린드 프랭클린

가장 중요한 문제를 발견

1953년 4월 25일, 과학저널 <네이처>

참가자 각자가 다른 사람과

얘기하지 않고 (침묵 속에서)

토의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일정한 시간 부여

한 장에

한가지 아이디어

(분류 쉽게)

인쇄체

(읽기 쉽게)

굵은 펜 사용

(보기 쉽게)

Post-its 사용

(이동이 쉽게)

마음을 여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경청

칭찬

질문

감사

건성으로 듣는 것인데 한 술 더 떠 하는 말을

가로막기까지 한다.

배우자 경청처럼 말을 가로 막지는 않지만

건성으로 듣는 시늉만 낼 뿐 관심을 기울이며

듣지는 않는다.

상대의 말에 주의를 기울이고 공감을

표현한다. 저런....어떻게 됐어? 하며

추임새를 넣기도 한다.

경청의 4단계

소극적 경청

배우자 경청

적극적 경청

말 자체뿐 아니라 의도와

감정, 배경까지 헤아리면서

듣는 것을 말한다.맥락적 경청

N

O문 항 응답 표시란

1 상대방의 말을 항상 집중해서 듣는다

2 상대방의 말에 대한 관심의 표현(미소, 동의의 말 제스처 등)을 한다

3 상대방의 말을 들을 때 필요한 때 메모를 한다

4 들으면서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기 위해 적절할 때 질문을 확인한다

5 상대방의 말을 아무런 선입견 없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6 상대방과 눈을 맞추려고 노력한다

7 상대방의 입장이 돼서 들으려고 노력한다

8 상대방에게 충분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대화가 잘 마무리 되도록 한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부 족 우 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부 족 우 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부 족 우 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부 족 우 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부 족 우 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부 족 우 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부 족 우 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부 족 우 수

타인의„칭찬‟한 마디가„기대‟를 만든다!

1. 칭찬할 일이 생겼을 때 즉시 칭찬하라.

2. 잘한 점을 구체적으로 칭찬하라.

3. 긍정적인 눈으로 보면 칭찬할 말이 보인다.

4. 가끔씩 자기 자신을 칭찬하라.

5. 재능이 아니라 노력을 칭찬하라.

활기 넘치는 정렬적인 낙천적인 재미있는 진취적인 신중한 건강한

리더십 있는 독립적인 현명한 생명력 있는 재치 있는 단결하는 절제된

사랑 스러운 조용한 카리스마 법 없이도 사는 천하무적의 민첩한 유머러스한 집중력이 높은

책임감 있는 순발력 있는 솔직 담백한 전문적인 미래지향적인 순수한 삶의 균형 이룬

힘이 불끈 불끈 매력적인 인정이 많은 쾌활한 자상한 사려 깊은 우호적인

꼼꼼한 탁월한 소신 있는 섹시한 호기심 많은 새침한 정의로운

화끈한 따뜻한 결단력 있는 검소한 지혜로운 압도하는 박력 있는

자신감 있는 완벽한 겸손한 생각이 깨어있는 소박한 기운찬 모범적인

목표지향적인 낭만적인 정확한 인내심 있는 더없이 근사한 활기찬 믿을 수 있는

햇살처럼 밝은 매혹적인 이해심 많은 공정한 여유로운 희망찬 화사한

마음을 사로잡는 귀여운 강인한 용기 있는 깨끗한 긍정적인 포근한

명랑한 자주적인 생동감 있는 자비로운 추진력 있는 매력적인 활기찬

부지런한 특출한 창의적인 의리 있는 섬세한 주도 면밀한 열정적인

협동적인 우아한 주도적인 친화력이 좋은 대담한 평화스러운 정직한

정직한 신속한 눈부신 분석적인 의지적인 에너지 넘치는 봉사하는

논리적인 탐구적인 적극적인 열정적인 설득력 있는 조화로운 자비로운

질문하면

( )를 얻고

질문하면

( )을 갖는다.

정 보

통제력

열린 질문

중립 질문

가능성을 찾는 질문

닫힌 질문

의도성 질문

책임소재를 찾는 질문

열린질문 닫힌질문

질문의 효과(The 7 Powers Questions)

질문을 하면 ?

1. 질문을 하면 답이 나온다

2. 질문은 생각을 자극한다

3. 질문을 하면 정보를 얻는다

4. 질문을 하면 통제가 된다

5. 질문은 마음을 열게 한다

6. 질문은 귀를 기울이게 한다

7. 질문에 답하면 스스로 설득이 된다

- 참고문헌 : The 7 Powers of Questions(Dorothy Leeds)

오프라 윈프리의 감사

- 오늘도 거뜬하게 잠자리에서 일어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 유난히 눈부시고 파란 하늘을 보게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점심때 맛있는 스파게티를 먹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얄미운 짓을 한 동료에게 화내지 않았던 저의 참을성에 감사합니다.

- 좋은 책을 읽었는데 그 책을 써준 작가에게 감사합니다.

첫째는 인생에서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를......

둘째는 삶의 촛점을 어디에 맞춰야 하는지를...

하버드에서 배운 ‘행복해지는 법’

첫째, 인간임을 인정하라. 공포, 슬픔, 불안 같은 감정을 인정하면 극복하기가 더 쉽다. 자기 감정

을 부정하면 좌절하든지 불행해진다.

둘째, 행복은 „재미‟와 „의미‟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다.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의미도 있다고 생각

하는 활동을 하라.

셋째, 행복은 마음상태에 달려 있는 것이지 지위나 은행 잔고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우리가 어디에 집중하느냐와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달려 있다. 실패를 재앙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배움의 기회로 볼 수도 있다.

넷째, 단순화 하라. 우리는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일을 하려고 기를 쓴다. 지나치게 많은 일을 하

려고 하다가 행복을 잃지 마라.

다섯째, 몸과 마음이 연결돼 있다는 것을 명심하라.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충분히 자고 건강한 식

습관을 유지하면, 몸도 마음도 건강해진다.

여섯째, 언제나 감사한 마음을 가져라. 우리는 삶을 너무 당연하게 받아 들인다. 사람에게 음식,

미소까지, 살면서 일어나는 멋진 일을 음미하고 그 진가를 인정하는 법을 배워라.

(강인선, 조선일보 논설위원,의 <하버드 스타일>에서)

어떻게 할까?

감사하기 훈련 6주간 실행

- 한 그룹에서는 매주 한 번씩 감사일기

- 다른 그룹에서는 3주에 한 번씩

오직 매주 감사일기를 쓴 집단에서만 긍정적 효과 발견

출처: 이지성작가 후원카페 폴레폴레

http://files.youngsamsung.com

▶ We had the experience but missed the meaning - T.S.Eliot

▶ The heart of action learning is the process of reflection

▶ 일기와 학습인, 그리고 비 학습인(Back to the Basic!!)

Simple, but Strong!!

Reflection

개인 차원 성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