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스 데이터분석과 저널리즘 2장 데이터저널리즘의 탄생과현주소

Post on 15-Apr-2017

698 views 6 download

Transcript of 인포그래픽스 데이터분석과 저널리즘 2장 데이터저널리즘의 탄생과현주소

제 2 장

데이터 저널리즘의 탄생과 현주소

언론정보학과 21310627 구소영 / rnthdud9522@naver.-com 언론정보학과 21310640 박소민 / family94818@naver.-com

데이터 분석과 저널리즘 / 저자 함형건 / 컴원미디어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인간 - 컴퓨터상호작용과 인포그래픽스

2015 년 4 월 3 일 수업발표자료

01

02

03

04

데이터 시각화 , ‘ 오래된 미래’컴퓨터 활용보도의 탄생세계 탐사 보도 역사의 이정표가 된 지도빅데이터 시대와 저널리즘의 조우

INDEX

05 분석 도구의 ‘대중화’ 그리고 네티즌 참여06

07

속 빈 강정 : 한국의 데이터 환경황무지에서도 꽃은 핀다

08 스스로 만드는 DIY 정신으로

01 데이터 시각화 , ‘ 오래된 미래’

주민들이 사용한물 펌프의 위치표시

사망자의 위치를표시

사망자의 위치와 물 펌프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

01•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의 초기 · 토대• 역사적인 사례1) 존 스노우의 콜레라 지도

01 데이터 시각화 , ‘ 오래된 미래’

01•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의 초기 · 토대• 역사적인 사례2) 나폴레옹 군대 러시아 원정 차트

연한 적갈색 : 진격 할 때진한 검정색 : 퇴각 할 때선의 굵기: 병력선의 움직임: 군대 이동 궤적하단 그래프: 당시 기온 그래프

01 데이터 시각화 , ‘ 오래된 미래’

02

Chapter 02

컴퓨터 활용보도의 탄생

02

02 컴퓨터 활용보도의 탄생

1) 미국 CBS 방송 대통령 선거 개표방송

CAR : Computer-assisted Re-porting컴퓨터 활용 보도 기법의 성장

• 뉴스 보도에 컴퓨터 활용 보도 기법이 접목된 사례• 민주당 , 공화당 후보의 선거 예측

여론조사 - 민주당 컴퓨터 분석 - 공화당공화당이 승리컴퓨터 예측의 오차 범위는 1% 미만

02

02 컴퓨터 활용보도의 탄생

CAR : Computer-assisted Re-porting컴퓨터 활용 보도 기법의 성장

2) 미국 디트로이드시 흑인폭동 취재• 취재 현장에 컴퓨터 활용 보도 기법이 접목된 사례• 디트로이드시 일간신문 기자 필립 메이어

• 흑인폭동이 발생한 원인을 설문조사와 교차분석법으로 규명

고교 중퇴자남부 출신 이주자일자리 부족열악한 주거여건경찰권 남용

= 전반적인 사회문제

02 Chapter 03 세계 탐사 보도 역사의 이정표가 된 지도

03 세계 탐사 보도 역사의 이정표가 된 지도

뉴스와 GIS( 지리 정보 시스템 ) 의 만남: 스티브 도이의 허리케인 지도 사례

녹색 : 평균 이상 피해 주황색 : 더 심한 피해 등고선 : 허리케인 풍속

03

03

03 세계 탐사 보도 역사의 이정표가 된 지도

• 이러한 한 장의 데이터 지도나 차트는 추가적인 현장 조사와 결합할 때 더욱 큰 힘을 발휘한다 .

• 공공 데이터가 확산되면서 최근 더 주목 받는 데이터 시각화 기법은 이미 오래 전부터 그 가능성이 예고돼 온 역사 속의 흐름이다 .

02 Chapter 04 빅데이터 시대와 저널리즘의 조우

05 분석도구의 ‘대중화’ 그리고 네티즌 참여

04

04 빅데이터 시대와 저널리즘의 조우

분석 도구의 발전공공 데이터의 확산 네티즌의 참여

빠르게 언론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시대적 흐름 3 가지

: 데이터 저널리즘이 급격히 변하는 언론환경에 부응하기 위한대응에서 비롯됐다 .

04 빅데이터 시대와 저널리즘의 조우

공공 데이터의 확산빅데이터 시대04 거리에서 CCTV 에 찍힐 때

,휴대전화로 통화할 때 , 디지털 사진 찍어 전송할 때 ,

소셜미디어에 글 올릴 때 ,매장에서 물건 살 때 ,전자 금융거래 할 때 ,

공공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공공서비스 질을 높이려는 각국 정부와 언론 등장

데이터 저널리즘이 확산

05

05 분석도구의 ‘대중화’ 그리고 네티즌 참여

• 가디언 데이터 블로그: 무료 데이터 분석 도구 + 독자들의 관심 , 참여→ 투명성과 개방성을 높이려는 시도

이후 , 여러 신문사들이 다양한 자료 분석과 현장 취재를 결합한 탐사 보도를 시도

분석 도구의 발전 네티즌의 참여

데이터 저널리즘이 많은 형태로 진화 중

05

05 분석도구의 ‘대중화’ 그리고 네티즌 참여

“( 정밀 저널리즘을 실천하기에 앞서 ) 먼저 저널리스트가 돼야 한다 . 컴퓨터 기술에 함몰된 나머지 , 세상을 보지 못해서는 안 된다 .”

(Be a journalist first. Don’t use the computer to shut out the world.)

- 필립 메이어 (Philip Neyer)

02 Chapter 06 속 빈 강정 : 한국의 데이터 환경

06

06 속 빈 강정 : 한국의 데이터 환경

오픈 데이터의 시대; 데이터 저널리즘이 요구되는 중요한 시대

• 하지만 , 빅데이터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오픈 데이터가 부족 .• 팀 버너스 리 “오픈 데이터 등급” - 활용 편의성에 따라 공공 및 민간의 오픈데이터를 5 단계 별 표시로 등급화

★★★

★★★★★★★

★★★★★

조회 , 인쇄 , .pdf 나 .hwp 파일 형식으로 저장 가능하나 정형화 된 자료는 아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구조화된 데이터 , 상용도구 자료 (.xlsx)거의 모든 시각화와 분석도구에서 읽을 수 있음 (.csv)특정 URI 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재활용 (Open API)다른 데이터와 연결 (LOD)

06

06 속 빈 강정 : 한국의 데이터 환경

우리나라의 데이터 환경1) 우리나라 데이터 환경의 문제점

• ‘ 데이터 사일로’ 현상

• 마이크로데이터 기반의 합계나 평균 같은 거시적인 통계자료만 공개• 각 기관의 지출 내역 데이터 상세 공개되지 않음

우리나라다양한기관 · 부서기관 · 부서마다다른 데이터 규격다른 데이터 내용 갖가지 비효율 야기하는 문제

06

06 속 빈 강정 : 한국의 데이터 환경

우리나라의 데이터 환경2) 나아지고 있는 우리나라 데이터 환경

• 공공 데이터 개방 속도 빨라지고 , 공공 데이터 포털 이용 횟수 증가 추세

• 정부의 ‘데이터 빅뱅 프로젝트’ 추진 - 민간 수요가 많은 10 대 분야 대용량 데이터 집중 개방 - 2017년 까지 다른 36 대 주요 분야 공공 데이터도 공개 예정

201112,04

3

2012109,2

57

2013159,7

112014 상반기120,1

91

( 단위 : 만 )

06

06 속 빈 강정 : 한국의 데이터 환경

우리나라의 데이터 환경3)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

• 공공 데이터 등급 최소 별 3 개 이상 별 5 개의 수준을 지향• 공공 데이터에 대한 공무원들의 의식 개선

공공정보의 공개

사회 정의 , 공익성을 증진시키는 국가의 이익

공공 데이터의 확장

공공 데이터는 국민의 세금을 들여 구축한 것으로 선명하게 공개 · 공유 되어야 마땅하다

02 Chapter 07 황무지에서도 꽃은 핀다

07

07 황무지에서도 꽃은 핀다

케냐

‘ 데이터 드렛저’; 아프리카 케냐 데이터 저널리즘 사이트

케냐가 직면한 사회문제를 데이터 분석하고인포그래픽으로 소개

아르헨티나 일간지 ‘라 나시온’정부의 비리와 예산 낭비 추적하여 탐사보도효과적인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작 태국

‘Isra News’유명인의 납세자료 , 기업 이사진의 현황데이터베이스 구축하여 일반에 공개 .

필리핀 비영리 탐사 보도 기구 ‘ PCIJ’정치인 , 기업인들의 비리를 추적 .공공 데이터베이스 구축 , 언론인 교육 .

말레이시아 ‘ 시나 프로젝트’언론인이 아닌 IT 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정부의 자료 재구축 하여 국민에게 공개 .공공 데이터의 개방 촉진이나 데이터 기반보도가세계적인 흐름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

02 Chapter 08 스스로 만드는 DIY 정신으로

08데이터 저널리즘

“Do-It-Yourself ethos”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시각으로 좋은 보도를 하려는 의지와 도전정신만 갖고 있다면 누구에게나 길은 열려 있다 .

( 가디언지 데이터 블로그 에디터 , 사이먼 로저스 )

펑크뮤직

DIY 정신

08 스스로 만드는 DIY 정신으로

Thank you